[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18565A - Character input method of keyboard device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quipment - Google Patents

Character input method of keyboard device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8565A
KR20060018565A KR1020040066999A KR20040066999A KR20060018565A KR 20060018565 A KR20060018565 A KR 20060018565A KR 1020040066999 A KR1020040066999 A KR 1020040066999A KR 20040066999 A KR20040066999 A KR 20040066999A KR 20060018565 A KR20060018565 A KR 20060018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button
chinese
character
consona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9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현일
박준일
박진수
Original Assignee
박진수
박현일
박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수, 박현일, 박준일 filed Critical 박진수
Priority to KR1020040066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8565A/en
Publication of KR20060018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565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나 휴대전화와 같은 정보통신기기에 구비되는 글자자판의 문자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음 자판부와, 모음 자판부 및 음운축약 버튼과 한자를 표시하기 위한 한자 버튼(240)을 구비하여 간편하게 한글, 한자를 비롯한 중국어 등의 외국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다중문자의 입력이 가능한 정보통신기기용 자판장치의 문자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판장치를 구성하는 자음 자판부의 기본 자음버튼과 모음 자판부에 배열된 기본 모음 버튼을 각각 조합하여 입력받아 한글을 생성하는 단계와; 한글이 표시된 자판장치의 화면에서 생성된 한글에 해당하는 중국어의 성조를 선택하기 위한 중국어 성조선택 단계와; 중국어의 성조를 선택함에 따라 표시된 한자중에서 해당 한자를 선택하여 변환하는 한자 변환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향후 유비쿼터스 시대에 대비하여 개인과 가정의 유무선전화기, PDA, 쌍방향 TV, CATV의 셋톱박스, POS 시스템, 생활용과 산업용 리모콘 및 키패드의 문자 입력시에도 적용이 가능한 등 응용분야가 확대되고 있어서 아주 유용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character keyboard provided in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portable terminal or a mobile phone, and in particular, a consonant keyboard part, a vowel keyboard part, a phonological abbreviation button, and a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for displaying Chinese characte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keyboard apparatus for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easily inputting foreign characters such as Korean, Chinese, Chinese, etc., comprising: a basic consonant button of a consonant keyboard portion constituting a keyboard apparatus And receiving a combination of the basic vowel buttons arranged in the vowel keyboard unit and generating Korean characters; Chinese tones selection step of selecting a Chinese tones corresponding to the Hangul generated on the screen of the keyboard display Hangu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hinese character conversion step of selecting and converting the selected Chinese characters from the displayed Chinese characters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Chinese tones. The present invention expands the field of application such as personal and home wired and wireless telephones, PDAs, interactive TVs, CATV set-top boxes, POS systems, living and industrial remote control and keypads for text input in the future ubiquitous era Very useful.

정보통신기기, 자판장치, 한글, 중국어, 외국어, 특수문자, 버퍼링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quipment, Keyboard, Hangul, Chinese, Foreign Language, Special Characters, Buffering

Description

정보통신기기용 자판장치의 문자입력 방법{An Input Method for a Keyboard in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An input method for a keyboard in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사용가능한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일 실시예의 글자자판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character keyboard of an embodiment for implementing multiple characters usable for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 도시 글자자판의 상세도,Figure 2 is a detailed view of the character keyboard shown in FIG.

도 3은 본 발명의 자판입력 방법에 따른 중국어 입력을 예시하기 위한 도면,3 is a diagram for illustrating Chinese input according to the keyboard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a는 본 발명에 따른 성조 선택에 의한 한자표를 나타내는 도면,Figure 4a is a view showing a kanji table by the selection of t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한자표를 나타내는 도면,Figure 4b is a view showing a Chinese character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문자입력 방법에 따른 편집 버퍼링 기능을 예시하는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diting buffering function according to a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문자입력 방법에 따른 특수 문자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6 is a view showing a special character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문자입력 방법에 따른 외국어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7 is a view showing a foreign language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문자입력 방법에 따른 저장글 또는 저장그림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8 is a view showing a stored article or a stored picture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xt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글자자판 110 : 화면100: keyboard 110: screen

120 : 기능 버튼부 125 : 방향버튼120: function button 125: direction button

210 : 자음 자판부 220 : 모음 자판부210: consonant keyboard 220: vowel keyboard

230 : 음운축약버튼 230a : 물음표 버튼230: phonetic abbreviation button 230a: question mark button

230b : 느낌표 버튼 235 : 공백 버튼230b: exclamation mark button 235: blank button

240 : 한자 버튼 250 : 화면이동 버튼240: Chinese character button 250: Scroll button

300a : 한자표 300b: 한자표300a: Chinese character table 300b: Chinese character table

320 : 특수 문자표 330 : 가다가나 선택표320: special character table 330: go to the selection table

340 : 히라가나 선택표 350 : 라틴문자 선택표340 Hiragana selection table 350 Latin character selection table

360 : 러시아문자 선택표 370 : 히브리어문자 선택표360: Russian Character Selection Table 370: Hebrew Character Selection Tabl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나 휴대전화와 같은 정보통신기기에 구비되는 글자자판에서의 문자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음 자판부와, 모음 자판부 및 음운축약 버튼과 한자를 표시하기 위한 한자 버튼을 구비하여 간편하게 한글, 한자를 비롯한 중국어 등의 외국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다중문자의 입력이 가능한 정보통신기기용 자판장치의 문자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method in a character keyboard provided in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portable terminal or a mobile phone. 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includes a consonant keyboard unit, a vowel keyboard unit, a phonetic abbreviation button, and a Chinese character button for displaying Chinese characte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keyboard apparatus for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inputting multiple characters that can easily input foreign characters such as Korean, Chinese, and Chinese.

정보통신의 발달로 인하여 개인 및 가정의 휴대용 전화기를 비롯한 유무선 전화기, PDA, 인터넷을 통한 쌍방향 TV, CATV의 셋톱박스, POS 시스템등 정보를 주 고 받는 기기들의 사용이 개인 생활분야 및 산업분야에서 크게 증가하면서 휴대용 단말기나 전화기등의 리모콘 및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전송하는 일들이 많아지고 있다. 무선통신의 발달로 이제는 개인 휴대전화는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이 되었으며, 부가 서비스의 일종으로 휴대 전화를 이용한 문자 전송과 메일 송수신등이 SMS가 일반화되어 정보통신기기의 자판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일이 증가하였다.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he use of devices for receiv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such as personal and home mobile phones, wired / wireless phones, PDAs, interactive TVs via the Internet, CATV set-top boxes, POS systems, etc. are greatly used in personal life and industrial fields. Increasingly, text transmission is increasingly performed using a remote controller and a keypad such as a portable terminal or a telephone. 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personal mobile phones have become an indispensable necessity, and as a kind of value-added service, SMS has been common for text transmission and e-mai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ing mobile phones. Increased.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전화와 같이 기기의 자판을 이용한 문자입력시 인터넷 시대에 알맞게 더 편리하고 사용하기 쉬운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more convenient and easy to use for the Internet era when inputting characters using the keyboard of a device such as a portable terminal and a mobile phone.

종래에 연구되고 사용되어온 한글 입력 방법은 0에서 9까지의 한정된 작은 번호판에 모든 한글을 표현하기 위한 모음과 자음을 표현하기 위해 한개의 버튼위에 여러개의 한글 모음과 자음을 겹쳐 기입하여 왔다. 즉, 사용자가 한글을 입력시 여러번씩 자판의 버튼을 눌러 한글을 조합하는 방식으로 문자를 표시하였다.The Korean input method which has been studied and used in the past has overwritten several Hangul vowels and consonants on a single button to express vowels and consonants for expressing all the Hangul characters on a limited number plate from 0 to 9. That is, when the user inputs Korean characters,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by combining the Korean characters by pressing the button of the keyboard several times.

따라서, 한글 하나를 입력하기 위하여 많게는 10번 가까이 자판의 버튼을 누르는 불편을 감수하여야 했으며, 글자자판의 버튼에 문자가 7자 이상 대응되게 표시하여야 하므로 보기에 혼란스럽고 사용하기에 까다로운 불편이 많았었다.Therefore, in order to input Korean characters, the user must take the inconvenience of pressing the button of the keyboard as many as 10 times, and the characters of the keyboard should be displayed more than 7 characters in correspondence with the buttons. .

또한, 한자나 중국어, 일본어등 외국어를 표현할 수 있는 다중문자 입력은 거의 불가능하였으며, 특수 문자를 입력함에 있어서는 소수의 특수 문자만이 가능하고, 그 방식 또한 원하는 특수 문자를 찾기에 불편함이 존재하였다.In addition, it is almost impossible to input multiple characters that can express foreign languages such as Chinese characters, Chinese, and Japanese, and only a few special characters are available for inputting special characters. .

한편, 글자자판을 이용하여 외국어를 입력시 중국어를 입력하는 방법으로는 오필자형(五筆字形) 방식과 한어 병음을 이용한 방식이 있으나, 전자의 경우는 성 조라는 걸림돌과 각 지역의 방언에 따른 성조 변화로 인한 입력이 곤란한 문제점과 후자의 경우 입력 속도가 느리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re are two methods of inputting Chinese when inputting a foreign language using a letter board. However, the former uses the five-letter type method and the Chinese pinyin method. There are problems that the input is difficult due to the change of tonality and the input speed is slow in the latter case.

따라서, 간편하게 한글 입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한자 입력과 여러가지 특수 문자 및 중국어, 일어와 같은 외국어의 입력이 가능한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글자자판의 개발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haracter keyboard that not only enables Korean input, but also implements multiple characters capable of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and various special characters and foreign languages such as Chinese and Japane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자음 자판부와 모음 자판부에 격자음을 표시하기 위한 음운축약 버튼과 한자를 표시하기 위한 한자 버튼을 구비하여 컴퓨터의 표준 키보드의 입력 방법과 같이 다중문자를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는 전자 및 정보통신기기용 자판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ncludes a phonetic abbreviation button for displaying a lattice sound on a consonant keyboard part and a vowel keyboard part, and a Chinese character button for displaying a Chinese charact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keyboard device for electronic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that can easily implement multiple characters as an input method.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면에 표현되는 한글에 대하여 한자 버튼을 눌러 중국어의 성조를 선택하여 한자로 변환할 수 있는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method capable of converting Chinese characters by selecting Chinese tones by pressing a Chinese character button on a Korean character displayed on a scree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문장을 붙이고 삭제할 수 있는 버퍼링 편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문자 입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method capable of performing a buffering editing function for attaching and deleting a sentenc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호간에 음성 또는 문자로 의사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통신기기에 구비되는 글자 자판으로서, 기본 자음군을 키입력하기 위해 버튼을 소정 형태로 분리하여 배정한 자음 자판부와, 상기 자음 자판부와 조합되도록 구성된 기본 모음군을 입력하기 위해 버튼을 소정 형태로 분리하 여 배정한 모음 자판부와, 상기 자음 자판부의 각 버튼 및 상기 모음 자판부의 각 버튼과 조합을 이루어 음운축약음을 표시하기 위한 음운축약 버튼과, 생성된 한글에 해당하는 중국어 및 한자를 표시하기 위한 한자 버튼을 포함하는 다중문자를 구현하기 위한 정보통신기기용 자판장치의 문자입력방법으로서: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haracter keyboard provided i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used to communicate the voice or text to each other, a consonant keyboard part which is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form to assign a button to input the basic consonant group And a vowel keyboard unit in which a button is divided and assigned in a predetermined form to input a basic vowel group configured to be combined with the consonant keyboard unit, and each button of the consonant keyboard unit and each button of the vowel keyboard unit As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keyboard apparatus for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for implementing a multi-character including a phono abbreviation button for displaying a sound and a Chinese character button for displaying a generated Hangul and Chinese characters.

자판장치를 구성하는 자음 자판부의 기본 자음버튼과 모음 자판부에 배열된 기본 모음 버튼을 각각 조합하여 입력받아 한글을 생성하는 단계와; Generating a Korean by receiving a combination of a basic consonant button of a consonant keyboard part and a basic vowel button arranged in a vowel keyboard part, respectively;

한글이 표시된 자판장치의 화면에서 생성된 한글에 해당하는 중국어의 성조를 선택하기 위한 중국어 성조선택 단계와;Chinese tones selection step of selecting a Chinese tones corresponding to the Hangul generated on the screen of the keyboard display Hangul;

중국어의 성조를 선택함에 따라 표시된 한자중에서 해당 한자를 선택하여 변환하는 한자 변환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정보통신기기용 자판장치의 문자입력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keyboard apparatus for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which comprises a Chinese character conversion step of selecting and converting the selected Chinese characters from among the displayed Chinese characters by selecting the tones of Chinese.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글자자판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 도시 글자자판의 상세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haracter keyboard implementing multiple characters of an embodiment for implementing a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etailed view of the character keyboard shown in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 나 휴대전화에 구비되는 글자자판(100)은 {ㄱㄴ, ㄷㄹ, ㅂㅁ, ㅅㅇ, ㅈㅎ} 10개의 기본 자음군이 5개의 버튼으로 구비된 자음 자판부(210)와, {ㅏㅗ, ㅓㅜ, ㅣㅡ} 6개의 기본 모음군이 3개의 모음 버튼으로 구비된 모음 자판부(220)로 크게 구성된다.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character keyboard 100 is provided in a portable terminal or a mobile phone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10b, ㄷ,, ㅁ, ㅅㅇ, ㅎㅎ} 10 basic consonant group of five buttons Consisting of a consonant keyboard portion 210 provided with, and {ㅏㅗ, ㅓ TT, ㅣ ㅡ} six basic vowel group is composed of a large vowel keyboard portion 220 provided with three vowel buttons.

그리고, 여기에 상기 자음 자판부(210) 및 모음 자판부(220)의 각 버튼과 조합을 이루어 상기 글자자판(100)에 표시되지 않은 자음 및 모음을 표시하기 위한 음운축약 버튼(230)과 한자 및 중국어를 표시하기 위한 한자 버튼(240) 및 화면이동을 위한 화면이동 버튼(250) 등이 구비되어 12개의 버튼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honetic abbreviation button 230 and the Chinese character for displaying consonants and vowels that are not displayed on the letter board 100 by combining the buttons of the consonant keyboard unit 210 and the vowel keyboard unit 220. And a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for displaying Chinese and a scrolling button 250 for moving the screen, and the like.

여기서, 상기 화면이동 버튼(250)을 제외한 상기 자음 자판부(210)와 모음 자판부(220) 및 한자 버튼(240)은 {1,2,3,4,5,6,7,8,9,0}의 아라비아 숫자가 순서대로 표시되어 해당 버튼을 동작하여 숫자를 표시하는 숫자버튼 기능을 포함한다.Here, the consonant keyboard 210, the vowel keyboard 220, and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except for the screen movement button 250 are {1,2,3,4,5,6,7,8,9. , 0} Arabic numerals are displayed in order to include a numeric button function for displaying the numbers by operating the corresponding button.

그리고, 이상과 같은 글자자판(100)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나 휴대전화에는 전화 사용에 필요한 기능 버튼부(120)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110)이 더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능 버튼부에는 방향 버튼(125)이 구비되어 화면(110) 상에 선택된 글자를 나타내기 위한 커서를 이동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or mobile phone provided with the letter board 100 as described above is further configured with a function button unit 120 and a screen 110 for display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use of the phone. In addition, the function button unit is provided with a direction button 125 to move the cursor for displaying the selected character on the screen (110).

아울러, 상기 화면(110)상에 표시되는 내용의 검색이동을 위해 표시되는 화면을 이전화면 또는 다음화면으로 이동시키는 화면이동 버튼(250)이 구비된다.In addition, a screen moving button 250 for moving the screen displayed for the search movement of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110 to the previous screen or the next screen is provided.

상기 자음 자판부(210)의 {ㄱㄴ, ㄷㄹ, ㅂㅁ, ㅅㅇ, ㅈㅎ} 10개 자음으로 구성된 기본 자음군은 각각 1개의 버튼에 두개의 자음을 배정하여 한 번의 누름 동작에서는 앞쪽의 자음이 표시되도록 하고, 두 번의 연속 누름 동작에서는 뒷쪽의 자 음이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즉, 상기 기본 자음군을 구성하는 5개의 버튼은 각각 두 개씩의 자음으로 배열되어 두 번의 동작으로 뒷쪽의 자음을 표시한다.The basic consonant group consisting of 10 consonants of the consonant keypad 210 includes 10 consonants, each of which assigns two consonants to one button so that the front consonants are displayed in one push operation. In the second consecutive pressing operation, the back consonants are displayed sequentially. That is, the five buttons constituting the basic consonant group are arranged with two consonants, respectively, to display the consonants at the rear in two operations.

먼저, 자음 표시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자음 자판부(210)의 기본 자음군에 상기 음운축약버튼(230)을 조합하여 격자음을 표시하게 된다.First, when the consonant display is described, a lattice sound is displayed by combining the phonetic contraction button 230 with the basic consonant group of the consonant keypad 210.

예를 들어, 상기 기본 자음군을 이루고 있는 {ㄱ, ㄷ, ㅂ, ㅈ}은 상기 음운축약 버튼(230)과 조합하여 격자음(거친소리)인 {ㅋ, ㅌ, ㅍ, ㅊ}을 표현(자음축약)하게 된다. 즉, 기본 자음군의 {ㄱ} 버튼을 누르는 동작 이후에 상기 음운축약 버튼(230)을 누르면 상기 화면(110)에 {ㅋ}(ㄱ+ㅎ)을 표시하게 된다. For example, {a, c, ㅂ, ㅈ} forming the basic consonant group expresses {ㅋ, ㅌ,, ㅅ}, which is a lattice sound (coarse sound), in combination with the phonetic contraction button 230 Abbreviated). That is, when the phonetic abbreviation button 230 is pressed after the {a} button of the basic consonant group is pressed, {ㅋ} (ㄱ + ㅎ) is displayed on the screen 110.

마찬가지로 {ㄷ} 버튼의 누름동작 후에 상기 음운축약 버튼(230)을 누르면 {ㅌ}(ㄷ+ㅎ)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격자음인 {ㅋ(ㄱ+ㅎ), ㅌ(ㄷ+ㅎ), ㅍ(ㅂ+ㅎ), ㅊ(ㅈ+ㅎ)}을 모두 표시할 수 있게 된다.Likewise, when the phonetic abbreviation button 230 is pressed after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c} button, {ㅌ} (ㄷ + ㅎ) may be displayed. In this way, the lattice sounds {ㅋ (ㄱ + ㅎ), ㅌ (ㄷ + ㅎ), ㄴ (ㅂ + ㅎ), ㅊ (ㅈ + ㅎ)} can be displayed.

그리고, 상기 기본 자음군을 통하여 또 다른 자음군인 쌍자음을 표시할 수 있는데, 이는 연속으로 키동작을 하여 총 3번의 키동작을 하면 각각 앞쪽의 자음을 쌍자음으로 표시하게 된다. 즉, 상기 기본 자음군을 이루는 5개의 버튼은 각각 앞쪽에 {ㄱ, ㄷ, ㅂ, ㅅ, ㅈ}으로 이루어진 기본자음이 배열되므로 각각의 버튼의 누름동작을 3회씩 하게 되면, 각각 {ㄲ, ㄸ, ㅃ, ㅆ, ㅉ}의 쌍자음을 표시하게 된다.Then, the consonant, which is another consonant group,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basic consonant group. When the key operation is performed three times in total, the front consonants are displayed as twin consonants. That is, the five buttons constituting the basic consonant group are arranged in front of each of the basic consonants composed of {a, c, ㅂ, ㅅ, ㅈ}, so if each button is pressed three times, the {ㄲ, ㄸ, 쌍, ㅆ, ㅉ} double consonants.

또한, 이상과 같이 상기 자음 자판부(210)를 통하여 표시되는 자음들은 {ㅏㅗ, ㅓㅜ, ㅣㅡ} 3개의 기본 모음 버튼으로 구성되어 표시되는 모음 자판부(220)의 모음들과 조합하여 글자를 완성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onsonants displayed through the consonant keyboard 210 as described above are composed of three basic vowel buttons {ㅏㅗ, ㅓㅜ, ㅣ ㅡ} in combination with the vowels of the vowel keyboard 220 displayed. You are done.

즉, 모음을 생성하여 한글을 생성할 경우, 상기 글자자판(100)에 배열된 (ㅏ ㅗ, ㅓㅜ, ㅣㅡ) 6개의 모음으로 구성된 기본 모음군의 각각 두개의 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한 3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모음 자판부(220)로부터 각각의 버튼 동작을 1회 입력받아 해당 버튼 앞쪽의 모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버튼 동작을 2회 입력받아 해당 버튼 뒷쪽의 모음을 생성하며, 각각의 모음 버튼과 음운축약 버튼(230)을 조합하여 나머지 모음을 표시(모음축약)하여 전체 모음을 모두 표시할 수 있다. 즉, 복모음{ㅑ(ㅣ+ㅏ), ㅕ(ㅣ+ㅓ), ㅛ(ㅣ+ㅗ), ㅠ(ㅣ+ㅜ)}은 (ㅏ, ㅓ, ㅗ, ㅜ)와 음운축약 버튼(230)을 조합하여 각모음 버튼을 1회 또는 2회 누르고 음운축약 버튼(230)을 누르면 된다. That is, when generating the vowels to generate the Hangul, 3 configured to input each of the two vowels of the basic vowel group consisting of six vowels (ㅏ ,, ㅓ TT, ㅣ ㅡ) arranged in the letter keyboard 100 Receives each button action from the vowel keyboard 220 consisting of two buttons once to create a vowel in front of the corresponding button, or receives the button action twice and creates a vowel behind the corresponding button. The remaining vowels can be displayed by combining the phonetic abbreviation buttons 230 (collecting the vowels) to display all the entire vowels. That is, the vowel vowels {ㅑ (ㅣ + ㅏ), ㅕ (ㅣ + ㅓ), ㅛ (ㅣ + ㅗ), ㅠ (ㅣ + TT)} (ㅏ, ㅓ, ㅗ, TT) and the phonetic abbreviation button 230 In combination, press each vowel button once or twice and press the phonetic abbreviation button 230.

아울러, 상기 {ㅅㅇ}으로 구성된 버튼은 상기 음운축약 버튼(230)과 조합하여 공백을 표시하는 공백 버튼(235)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즉, 상기 {ㅅㅇ} 버튼과 동일 버튼인 공백 버튼(235)을 누른 후 상기 음운축약 버튼(230)을 누르면 상기 화면(110)상에서 글씨의 작성위치를 표시하는 커서가 곧바로 한 칸 띄어쓰기가 되어 공백을 표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 button includes a blank button 235 function for displaying a blank in combination with the phonetic contraction button 230. That is, pressing the blank button 235 which is the same button as the {ㅅㅇ} button, and then pressing the phonetic abbreviation button 230 causes the cursor to immediately display a writing position on the screen 110 to be spaced by one space. Will be displayed.

또한, 상기 음운축약 버튼(230)은 물음표(?)와 느낌표(!)를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음운축약 버튼(230)의 누름 동작을 2회 반복하여 상기 화면(110)에 물음표(?)를 표시하고, 상기 음운축약 버튼(230)의 누름 동작을 3회 반복하여 상기 화면(110)에 느낌표(!)를 표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honological abbreviation button 230 may display a question mark (?) And an exclamation point (!). That is,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phonic abbreviation button 230 is repeated twice to display a question mark (?) On the screen 110, and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phonological abbreviation button 230 is repeated three times. ) With an exclamation point (!).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들을 이용하여 원하는 한글을 표현할 수 있게 되며 이 때 표현된 한글은 상기 한자 버튼(240)과 조합하여 중국어를 포함한 한자로 표시할 수 있다.The desired Hangul can be expressed using the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and the Hangul expressed can be displayed in Chinese characters including Chinese in combination with the Hanja button 240.

즉, 먼저 한글을 표시하고 상기 한자 버튼(240)을 누르면 도 3 도시와 같이, 화면(110) 상에 성조선택창(130)이 나타나는 데, 이 성조선택 표시는 기능버튼부(120)의 방향 버튼(125)에 대응하는 형식의 화살표로 각각의 한자 성조를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즉, 중국어의 표준어라고 할 수 있는 북경어의 경우 4성으로 구분되는 데, 제1성인 평성(음평)(기호:-)은 높게 평평하게 끝까지 늘이는 것으로서 화살표()로 나타내며, 제2성인 평성(양평)(기호:/)은 단숨에 끌어올리는 발음으로서 화살표()로 나타내며, 제3성인 상성(음상)(기호:∨)은 낮게 떨어뜨렸다가 올리는 발음으로서 화살표()로 나타내고, 제4성인 거성(기호: ′)은 그냥 가볍게 발음하는 것으로서 화살표()로 나타낸다. 물론, 이러한 표시방식은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방언에 따른 성조의 종류가 증감함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first display of Hangul and pressing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as shown in Figure 3, the tonal selection window 130 appears on the screen 110, the tone selection display is the direction of the function button unit 120 Arrows of the type corresponding to button 125 are configured to represent respective tones of Chinese characters. In other words, Mandarin, which is a standard Chinese language, is divided into four stars. The first sex, Pyeongseong (eumpyeong) (symbol:-), is extended to the end with a high level and is indicated by an arrow ( ), and the second sex, Pyeong ( Yangpyeong) (symbol: /) is pronounced by the arrow ( ) as the pronunciation that is pulled up at once, and the third adult (phonogram) (symbol: ∨) is represented by the arrow ( ) as the pronunciation that is lowered and raised. The giant (symbol: ') is just pronounced lightly by the arrow ( ). Of course, such a display metho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nd may be appropriately modified and applied as the type of tones according to the dialect increases or decreases.

이와 같이 표시되는 성조에 대해 기능선택부(120)의 해당 방향버튼(125)을 눌러 성조를 선택하고 한자 버튼을 재차 누르면 해당 성조의 한글에 대응하는 한자가 성조 한자표(300a)로서 도 4a 도시와 같이 나타나게 되어 그 중에서 해당하는 한자를 선택하여 중국어를 표시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4A, the Chines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Hangul of the tonal character is a tonal Chinese character table 300a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direction button 125 of the function selection unit 120 to select the tonality and pressing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again. It will appear like this to display the Chinese by selecting the Chinese characters.

한편, 단순하게 한글을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한자로 변환하는 경우에는 도 4b 도시와 같이, 생성된 한글에 대해 한자 버튼(240)을 눌러 해당 한글의 음에 해당하는 한자들이 나열된 한자표(300b)가 상기 화면(110)에 표시되어 한자선택화면으로 전환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simply converting Hangul to Hanja used in Korea, as shown in FIG. 4B, by pressing the Hanja button 240 on the generated Hangul, the Hanja table 300b listing the Hanja corresponding to the sound of the Hangul is displayed. Displayed on the screen 110 is switched to the Chinese character selection screen.

이 때, 화면이동 버튼(250)으로 한자선택화면 전환이 가능하며 각 한자마다 1 ~ 9번까지 번호가 부여되어 해당 숫자 버튼으로 한자를 선택하여 화면(110)에 표시 또는 방향 버튼(125)을 이용한 각 한자간의 커서 이동 후 상기 한자 버튼(240)을 눌러 선택한 한자가 상기 화면(110)에 표시된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switch the Chinese character selection screen by the screen movement button 250, and each Chinese character is numbered from 1 to 9 times, and selects the Chinese character with the corresponding number button to display or display the direction button 125 on the screen 110. After moving the cursor between the Chinese characters used, the selected Chinese charact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110 by pressing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여기서, 상기 화면이동 버튼(250)으로 한자선택화면 전환이 이루어짐은 하나의 상기 한자표(300b)에 9개씩 한자가 배열되어 다수개의 한자표(300b)를 이루고 있어 이전화면 또는 다음화면으로 전환이 가능하다.Here, the Chinese character selection screen switching is performed by the screen moving button 250, and the Chinese characters are arranged in the Chinese character table 300b one by one to form a plurality of Chinese character tables 300b. It is possible.

그리고, 상기 한자 버튼(240)은 최종 선택을 지시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마치 컴퓨터 키보드의 엔터(Enter) 키(Key)와 같은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includes a function of instructing a final selection, and thus acts as an enter key of a computer keyboard.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자음 자판부(210)와 상기 모음 자판부(220)의 버튼을 조합하여 생성된 한글에 대하여 상기 한자 버튼(240)을 누름으로써 해당하는 중국어나 한자를 표시하는 것이다. 상기 한자표(300b)는 각 한글의 음에 해당하는 모든 한자를 음별로 분류한 표이며 메모리내에 구비하여 원하는 한자를 모두 표시할 수 있게 되며, 성조 한자표(300a) 또한, 한글의 중국어 성조에 따른 한자를 분류한 표로서 메모리 내에 구비시켜 필요한 중국어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In this way, the corresponding Chinese or Chinese characters are displayed by pressing the Hanja button 240 for the Hangul generated by combining the buttons of the consonant keypad 210 and the vowel keyboard 220. The Chinese character table 300b is a table in which all Chinese characters corresponding to each Korean sound are classified by sound, and can be displayed in the memory to display all desired Chinese characters. It is a table that sorts the Chinese characters according to the Chinese characters and is arranged in the memory to display the required Chinese characters.

아울러, 표현되는 각 자음에는 상기 한자 버튼(240)과 조합하여 각 자음별 특수 문자의 표시가 가능하다. 즉, 각 자음에는 별첨되는 특수 문자표(320)가 배정되어 메모리에 저장되고, 해당 자음을 표시하여 상기 한자 버튼(240)과 조합하면 나타나게 된다. 상기 특수 문자표(320)는 일반적으로 컴퓨터에서 표현되는 특수 문자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each consonant to be expressed can be displayed in combination with the kanji button 240, a special character for each consonant. That is, a special character table 320 attached to each consonant is assigned to the consonant and stored in a memory. The consonant is displayed when the consonant is combined with the kanji button 240. The special character table 320 is generally composed of special characters expressed in a computer.

또한, 상기 특수 문자표(320)의 표시과정과 동일하게 외국어나 저장글 또는 저장그림을 표시하여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상기 외국어는 일본어의 가다가나와 히라가나의 표시와 라틴문자, 러시아문자 및 히브리어 문자를 실시예로 하였다. In addi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display process of the special character table 320 may be displayed by displaying a foreign language, stored articles or storage pictures. In particular, the foreign language is an example of the display of Japanese katakana and hiragana, Latin letters, Russian letters and Hebrew letters.

즉, 상기 자음 버튼부의 각 자음버튼을 3회 연속 누름으로 나타나는 쌍자음{ㅃ, ㄸ, ㄲ, ㅆ, ㅉ}과 한자 버튼(240)을 각각 조합하여 나타나게 된다. 이때, {ㅃ}과 한자 버튼(240)의 조합은 일본어의 가다가나 선택표(330)를 표시하고, {ㄸ}과 한자 버튼(240)의 조합은 일본어의 히라가나 선택표(340)를 표시한다. 또한, {ㄲ}과 한자 버튼(240)의 조합은 라틴문자 선택표(350), 그리고 {ㅆ}과 한자 버튼(240)의 조합은 러시아문자 선택표(360)를 표시하게 되며, {ㅉ}과 한자 버튼(240)의 조합은 히브리어 문자 선택표(370)를 표시하게 된다.That is, the consonant buttons {나타나는, ㄸ, ㄲ, ㅆ, ㅉ} and each of the Chinese characters button 240 appear by pressing each consonant button of the consonant button three times in succession. At this time, the combination of {ㅃ} and the kanji button 240 displays the Japanese katana selection table 330, and the combination of the {ㄸ} and the kanji button 240 displays the Japanese hiragana selection table 340. . In addition, the combination of {ㄲ} and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will display the Latin character selection table 350, and the combination of {ㅆ} and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will display the Russian character selection table 360, and the {ㅉ} The combination of and Chinese characters button 240 will display the Hebrew character selection table 370.

한편, 음운축약버튼(230)과 한자버튼(240)을 조합하여 누르면 저장글 또는 저장그림 선택표(380)를 표시하게 되는데, 이러한 저장글이나 저장그림은 사용자가 사용시에 자주쓰는 글이나 그림, 아바타 및 이모티콘(emoticon)을 메모리에 저장한 후 필요시 불러내어 표시하는 기능이다.On the other hand, when you press the phonetic abbreviation button 230 and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in combination to display a storage article or a storage picture selection table 380, such a storage article or storage picture frequently used by the user when writing or drawing, This function stores avatars and emoticons in memory and recalls them when necessary.

이러한, 각각의 특수 문자표(320)를 비롯한 다양한 선택표(330, 340, 350, 360, 370,380)들은 상기 화면(110)상에 나타나며 한 화면에 1 ~ 9번까지 번호가 지정되어 9개를 표시하는 해당 문자의 숫자 버튼을 누르면 선택된다. 또한, 기능 버튼부(120)에 구비된 방향 버튼(125)을 이용한 각 특수 문자간의 커서 이동 후 상기 한자 버튼(240)을 눌러 선택할 수도 있다.The various selection tables 330, 340, 350, 360, 370, and 380, including the special character table 320, respectively, appear on the screen 110 and are numbered 1 to 9 on one screen to display nine. Press the number button of the letter to select. In addition, after moving the cursor between each special character using the direction button 125 provided in the function button unit 120,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may be pressed.

그리고, 표시할 특수 문자들이 9개 이상으로 많은 경우는 복수화면으로 구성되고 이전화면과 다음화면으로의 이동은 화면이동 버튼(250)을 이용하여 전환한다.And, if there are more than nine special characters to display,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screens, and the movement to the previous screen and the next screen is switched using the screen move button 250.

이상과 같은 기능은 특수 문자표(320), 가다가나 선택표(330), 히라가나 선택표(340), 라틴문자 선택표(350), 러시아문자 선택표(360), 히브리어 문자선택표(370) 및 저장글 또는 저장그림 선택표(380)에서 각각의 문자나 글, 그림의 선택에서 모두 동일하게 이용된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은 한자표(300)에서도 구현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The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are the special character table 320, the katana selection table 330, the hiragana selection table 340, the Latin character selection table 350, the Russian character selection table 360, the Hebrew character selection table 370, and In the storage article or the stored picture selection table 380, all texts, articles, and pictures are identically used. And, this fea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Chinese character table (300).

아울러,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 각각의 자음과 쌍자음에 배정되는 특수 문자, 외국어 및 저장글이나 저장그림의 순서와 위치 관계는 본 발명에서 일실시예로 하였을 뿐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order and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special characters, foreign languages, storage words, and storage pictures assigned to each consonant and the double consonant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one embodi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

한편,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5 도시와 같이, 모음자판과 한자자판(240) 및 음운축약 버튼(230)을 조합하여 문장(句)의 지우기와 붙이기 기능과 같은 편집 버퍼링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지우기 또는 붙이기를 수행할 문장의 첫 부분에 커서를 두고 제1 모음자판(220)과 한자자판(240)을 조합하여 누르면 복사할 부분을 지정하기 시작하며, 커서의 이동에 따라 편집 버퍼링 기능을 수행할 부분이 모두 지정된 후에 이어서 제2 모음자판(220)을 누르면 지정된 부분이 삭제(CUT)되며, 복사할 부분으로 커서를 이동시킨 후에 제3모음자판(220)과 한자자판(240)을 누르면 붙이기 기능(PASTE)이 수행된다. Meanwhil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combination buffering function such as the erasing and pasting function of the sentence is performed by combining the vowel keyboard, the Chinese character keyboard 240 and the phonetic abbreviation button 230. Can be. That is, when the cursor is placed at the first part of the sentence to be erased or pasted, and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vowel keyboard 220 and the kanji keyboard 240 is pressed, it starts to designate a part to be copied. The buffering function is edi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ursor. After all of the portions to be performed are designated, the second collection keyboard 220 is subsequently pressed to delete the specified portions (CUT), and after moving the cursor to the copying portion, the third collection keyboard 220 and the Chinese character board 240 are moved. Press to perform the paste function (PASTE).

이와 같은 모음자판과 한자자판의 조합을 통한 문장의 붙이기 및 지우기 기능과 같은 편집 버퍼링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장문의 메시지 전달시 작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2모음자판(220)과 한자자판(240)을 누르면 레도(Re-Do)(재실행)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외국어문자 표시의 경우 하나의 외국어문자를 표시후 이어서 또 다른 외국어문자를 표시할 경우 격자음을 생성후 한자버튼을 누르는 대신에, 제2모음자판과 한자버튼을 눌러 간단하게 외국어 문자 표시작업을 계속할 수 있다.By configuring the editing buffering function such as the pasting and erasing of sentences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vowel keyboard and the kanji keyboard,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task more efficiently when the long message is delivered. On the other hand, when pressing the second vowel keyboard 220 and the Chinese character board 240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Re-Do (Redo) function, in the case of displaying foreign language characters after displaying one foreign language character and then another foreign language character In the case of displaying, instead of pressing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after generating the lattice sound, it is possible to simply press the second vowel keyboard and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to continue displaying the foreign language characters.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갖는 글자자판을 이용한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의 사용 방법을 중국어 및 한자 표시방법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a keyboar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multi-character using a letter keyboard having the above func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 method of displaying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characters.

도 9 도시와 같이, 자판을 사용하여 문자입력시, 우선 성조(聲調) 종류 정의, 저장글(구), 전화번호, 자판형태 등을 등록하는 메뉴작업 단계(S100)를 거쳐, 문자입력 단계(S200, S210)를 진행하게 된다.As shown in FIG. 9, when inputting a character using a keyboard, first, through a menu operation step (S100) of defining a tonal type definition, storing (old), telephone number, keyboard type, etc. S200, S210 to proceed.

문자입력 단계에서는 일반적으로 한글입력 단계(S300)로 진입하여 , 기본자음 또는 쌍자음 등을 생성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 글자자판(100)의 각각 (ㄱㄴ, ㄷㄹ, ㅂㅁ, ㅅㅇ, ㅈㅎ)으로 자음조합되는 5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자음 자판부(210)로부터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의 버튼 동작을 1회 입력받아 해당 버튼 앞쪽의 자음을 생성하거나 버튼 동작을 2회 입력받아 해당 버튼 뒷쪽의 자음을 생성하며, 쌍자음은 자음 자판부(210)의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을 3회 입력받아 해당 버튼 앞쪽의 쌍자음(ㄲ, ㄸ, ㅃ, ㅆ, ㅉ)을 생성하며, 격자음(ㅋ, ㅌ, ㅍ, ㅊ)은 자음버튼(ㄱㄴ,ㄷㄹ,ㅂㅁ,ㅈㅎ)을 각각 누름 동작으로 입력후에 음운축약 버튼(230)의 입력으로 해당 격자음(자음축약)을 생성한다.In the character input step, generally enters the Hangul input step (S300), when it is required to generate a basic consonant or a pair of consonants, consonants to each of the character keyboard 100 (ㄱ, ㄹ, ㅂㅁ, ㅅㅇ, ㅎ) By receiving the button operation of any one consonant button from the consonant keyboard unit 210 consisting of five buttons to be combined once to generate a consonant of the front of the button or to receive the button operation twice to generate a consonant behind the button , Consonant consonants receive any one consonant button of the consonant keyboard unit 210 three times to generate a consonant (ㄲ, ㄸ, ㅃ, ㅆ, ㅉ) in front of the corresponding button, lattice sound (ㅋ, ㅌ, プ, K) is to press the consonant buttons (b, ㄹ, ㅂㅁ, ㅎ) respectively, and then generate a corresponding lattice sound (consonant abbreviation) by input of the phonological abbreviation button 230.

한편, 모음을 생성하여 한글을 생성할 경우, 상기 글자자판(100)에 배열된 (ㅏㅗ, ㅓㅜ, ㅣㅡ) 6개의 모음으로 구성된 기본 모음군의 각각 두개의 모음을 입력 할 수 있도록 구성한 3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모음 자판부(220)로부터 각각의 버튼 동작을 1회 입력받아 해당 버튼 앞쪽의 모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버튼 동작을 2회 입력받아 해당 버튼 뒷쪽의 모음을 생성하며, 각각의 모음 버튼과 음운축약 버튼(230)을 조합하여 나머지 모음을 표시하여 전체 모음을 모두 표시할 수 있다. 즉, 복모음{ㅑ(ㅣ+ㅏ), ㅕ(ㅣ+ㅓ), ㅛ(ㅣ+ㅗ), ㅠ(ㅣ+ㅜ)}(모음축약)은 (ㅏ, ㅓ, ㅗ, ㅜ)와 음운축약 버튼(230)을 조합하여 각모음 버튼을 1회 또는 2회 누르고 음운축약 버튼(230)을 누르면 된다. 그리고, 이와 마찬가지로 (ㅐ, ㅔ, ㅚ, ㅟ)는 (ㅏ, ㅓ, ㅗ, ㅜ)+(ㅣ)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ㅏ)+(ㅣ)는 (ㅐ), (ㅓ)+ (ㅣ)는 (ㅔ)와 같은 조합으로 표시된다. 또한, (ㅒ, ㅖ)는 (ㅏ, ㅓ)+음운축약 버튼(230)+(ㅣ)으로 표시되거나, (ㅏ, ㅓ)+(ㅣ)+음운축약 버튼(230)으로 표시되어 두 가지 방법으로 모두 가능하다. 그리고, (ㅘ, ㅝ, ㅢ)는 (ㅏㅗ, ㅓㅜ, ㅣㅡ)의 버튼을 각각 3회 반복하여 누름으로서 표시되고, (ㅙ, ㅞ)는 (ㅘ, ㅝ)를 표시후에 (ㅣ)를 누름으로서 표시된다.On the other hand, when generating the vowels to create Hangul, three (3, 수, ㅓ ト, ㅣ ㅡ) consisting of six vowels arranged in the character keyboard 100 configured to input two vowels each of the two vowels group Receives each button operation from the vowel keyboard 220 composed of buttons once to create a vowel in front of the corresponding button, or receives the button action twice to create a vowel behind the corresponding button. The entire collection may be displayed by displaying the remaining collections by combining the abbreviation button 230. In other words, the vowel vowels {ㅑ (ㅣ + ㅏ), ㅕ (ㅣ + ㅓ), ㅛ (ㅣ + ㅗ), ㅠ (ㅣ + ()} (contract abbreviation) are (ㅏ, ㅓ, ㅗ, TT) Combining 230, pressing each vowel button once or twice, and press the phonetic abbreviation button 230. Similarly, (ㅐ, ㅔ, ㅚ, ㅟ) consists of (ㅏ, ㅓ, ㅗ, TT) + (ㅣ), where (ㅏ) + (ㅣ) is (ㅐ), (ㅓ) + (ㅣ) It is displayed in the same combination as (iii). In addition, (ㅒ, ㅖ) is represented by (ㅏ, ㅓ) + phoneme abbreviation button 230 + (ㅣ), or (ㅏ, ㅓ) + (ㅣ) + phoneme abbreviation button 230, two ways All is possible. Then, (ㅘ, ㅝ, ㅢ) is displayed by pressing the buttons of (ㅏㅗ, ㅓ, ㅣ ㅡ) three times each, and (ㅙ, ㅞ) is displayed after pressing (ㅘ, ㅝ) and then press (ㅣ). Is displayed as.

또한, 물음표 및 느낌표는 상기 음운축약 버튼(230)에 물음표 및 느낌표 표시 기능이 모두 부여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음운축약 버튼(230)을 2회 반복하여 누르면 상기 화면(110)에 물음표(?)를 표시하고 3회 반복하여 누르면 상기 화면(110)에 느낌표(!)를 표시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question mark and exclamation point is characterized in that both the question mark and exclamation point display function is given to the phonological abbreviation button 230. Therefore, pressing the phonological abbreviation button 230 repeatedly displays a question mark (?) On the screen 110 and pressing the phonological abbreviation button 230 repeatedly displays an exclamation mark (!) On the screen 110.

한편, 공백을 표시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는 상기 자음 자판부(210)의 상기 자음버튼(ㅅㅇ)을 음운축약 버튼(230)과 조합하여 공백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necessary to display a blank, the consonant button s of the consonant keyboard 210 is combined with the phonological abbreviation button 230 to display a blank.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한글이 생성되며, 다음에 한자 또는 중국어 입력단계 (S400,S410,S420;S500,S510,S520,S530)를 진행하는데, 도4a 및 도4b 및 도9 도시와 같이, 중국어가 아닌 우리 한글에 대응하는 한자를 표시할 경우(S400,S410, S420)는 자음자판부(210)의 각 자음자판과 모음자판부(220)의 각 모음자판을 조합하여 눌러 한글을 생성시킨 후에, 한자버튼(240)을 직접 누르면 한글에 대응하는 한자표(300b)가 생성되며 한자선택화면으로 전환(S410)된다. 그리고, 화면이동 버튼(250)으로 한자선택화면 전환이 가능하며 각 한자마다 1 ~ 9번까지 번호가 부여되어 해당 숫자 버튼으로 한자를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다.Through this process, the Korean language is generated, and then a Chinese character or Chinese input step (S400, S410, S420; S500, S510, S520, S530) is performed, as shown in FIGS. 4A, 4B, and 9, When the Chinese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Korean characters are displayed (S400, S410, and S420), after each consonant keyboard of the consonant keyboard unit 210 and each vowel keyboard of the vowel keyboard unit 220 are combined to generate a Korean character, When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is directly pressed, a Chinese character table 300b corresponding to Korean characters is generated and the screen is switched to the Chinese character selection screen (S410). In addition, the Chinese character selection screen can be switched by the screen moving button 250, and each Chinese character is assigned a number from 1 to 9 so that the Chinese character can be selected and displayed using the corresponding number button.

또한, 원하는 한자를 선택하는 다른 방법은 상기 기능 버튼부(120)에 구비된 방향 버튼(125)을 이용하여 각 한자간에 커서를 이동 시킨 후 상기 한자 버튼(240)을 눌러 선택한 한자가 상기 화면(110)에 표시되도록 한다. 예컨대, 한글(가)를 한자로 변환하고자 할 경우 상기 화면(110)에 한글로 글자(가)에 커서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한자 버튼(240)을 누른다. 상기 한자 버튼(240)을 누르면 상기 화면(110)의 하단에 "가"음의 한자가 나열된 한자표(300b)가 나타나 한자선택화면으로 전환된다. 이 때, 화면상에 표시된 한자표에 원하는 한자가 있으면 방향 버튼(125)을 이용하여 원하는 한자를 선택한 후 다시 상기 한자 버튼(240)을 눌러 선택한 한자가 표시되도록 한다.In addition, another method of selecting a desired Chinese character is to move the cursor between each Chinese character using the direction button 125 provided in the function button unit 120, and then press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to select the Chinese character on the screen ( 110). For example, if you want to convert Hangul (a) to Hanja, press the Hanja button 240 while placing the cursor on the letter (a) in Hangul on the screen 110. When the kanji button 240 is pressed, a kanji table 300b in which “kan” negative kanji characters are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110 is displayed and the screen is switched to the kanji selection screen. At this time, if there is a desired Chinese character in the Chinese character table displayed on the screen, the desired Chinese character is selected using the direction button 125 and then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is pressed again so that the selected Chinese character is displayed.

이 때, 원하는 한자가 없는 경우 화면이동 버튼(250)을 이용하여 이전화면 또는 다음화면으로 전환하여 원하는 한자를 찾아 해당 숫자 버튼 또는 방향 버튼(125)으로 이동하여 선택하도록 한다.At this time, if there is no desired Chinese character to switch to the previous screen or the next screen using the screen movement button 250 to find the desired Chinese character to move to the corresponding number button or direction button 125 to select.

한편, 중국어 표시(S500, S510, S520, S530)는 자판의 자음자판과 모음자판 을 조합하여 한글을 표시한 후에(S300), 한글이 표시된 상기 화면(110)에서 커서로 어느 하나의 1음절 한글을 선택하고 한자 버튼(240)을 조합하여 입력하면 우선 중국어의 성조선택창(130)이 나타나 성조선택단계(S510)를 실행하며, 성조선택창(130)의 성조를 나타내는 화살표에 대응하게 기능버튼부(120)의 방향버튼(125)을 누르면 중국어의 성조에 해당하는 한자표(300a)가 표시되어 중국어 한자선택화면으로 전환(S520)되고, 여기에서 해당하는 중국어 한자를 선택한 후 입력(S530)하면 된다. On the other hand, Chinese display (S500, S510, S520, S530) is a combination of the consonant keyboard and vowel keyboard of the keyboard to display the Hangul (S300), the Hangul is one one syllable Hangul cursor on the screen 110 is displayed If you select and input a combination of Chinese characters button 240, Chinese tonal selection window 130 appears first to execute the tone selection step (S510), the function button corresponding to the arrow indicating the tone of the tone selection window 130 When the direction button 125 of the unit 120 is pressed, the Chinese character table 300a corresponding to the Chinese tones is displayed and the screen is switched to the Chinese kanji selection screen (S520). Just do it.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판장치를 사용하여 특수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S700, S710, S720)를 나타내는 예시도인 데, 상기 글자자판(100)의 자음 자판부(210)로 생성 표시되는 각 자음별로 특수 문자표(320)가 일치되어 있다. 따라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자음을 상기 화면(110)에 표시 후 상기 한자 버튼(240)을 누르면(S700), 선택된 자음에 일치하는 특수 문자표(320)가 상기 화면(110)에 표시되어 특수문자 선택화면으로 전환(S710)된다.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step (S700, S710, S720) of displaying a special character using the keyboard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hich is generated and displayed by the consonant keyboard portion 210 of the letter keyboard 100 The special character table 320 coincides with each consonant. Accordingly, when one of the selected consonants is displayed on the screen 110 and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is pressed (S700), the special character table 320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nsonants is displayed on the screen 110 to select special characters. The display is switched to the screen (S710).

상기 특수문자 선택화면에 표시되는 특수 문자표(320)는 1 ~ 9까지 번호와 더불어 정렬되어 있으며, 원하는 특수 문자 앞의 번호와 동일한 글자자판(100)의 숫자 버튼을 누르면 선택(S720)된다. 이 때, 상기 특수 문자표(320)는 각 특수 문자가 9개씩 정렬된 복수화면으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화면이동 버튼(250)을 눌러 이전화면 또는 다음화면으로 전환하여 다양한 특수 문자를 상기 화면(110)에 나타낼 수 있다.The special character table 320 displayed on the special character selection screen is arranged along with the numbers from 1 to 9, and is selected by pressing the number button of the same character keyboard 100 as the number before the desired special character (S720). At this time, the special character table 32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creens each arranged by nine special characters, press the screen move button 250 to switch to the previous screen or the next screen various special characters to the screen 110 Can be represented.

여기서, 각 자음마다 서로 다른 특수 문자표(320)를 배정하여 필요한 특수 문자를 모두 표시할 수 있고,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각 특수 문자 앞의 번호와 동일한 글자자판(100)의 숫자 버튼을 누름으로서 선택하게 된다.Here, all the special characters required by assigning different special character table 320 for each consonant can be displayed, and selecting by pressing the number button of the letter keyboard 100 identical to the number before each special character as described above. Done.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판장치를 사용한 외국어(중국어 제외) 표시(S600, S610, S620)를 나타내는 예시도인 데, 각 자음버튼을 3회 연속 누름으로 나타나는 쌍자음 (ㅃ, ㄸ, ㄲ, ㅆ, ㅉ)에 각각 일치시켜 표시함이 바람직하다.Figure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oreign language (excluding Chinese) display (S600, S610, S620) using the keyboard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double consonant (나타나는, ㄸ, ㄲ) appears by pressing each consonant button three times in succession , ㅆ, 시켜) are preferably matched with each other.

즉, 쌍자음 {ㅃ}+한자 버튼(240)을 조합하면(S600), 가다가나 선택표(330)가 화면(110)에 표시(S610)되고, 상기 가다가나 선택표(330)에 표시되는 문자들은 9개씩 1 ~ 9까지 번호와 더불어 정렬되어 있으며, 원하는 가다가나 문자 앞의 번호와 동일한 글자자판(100)의 숫자 버튼을 누르면(S620) 선택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쌍자음 {ㄸ}+한자 버튼(240)을 조합하여 히라가나 선택표(340)를 화면(110)에 표시하고, 쌍자음 {ㄲ}+한자 버튼(240)을 조합하여 라틴문자 선택표(350)를 화면(110)에 표시하며, 쌍자음 {ㅆ}+한자 버튼(240)을 조합하여 러시아문자 선택표(360)를 화면(110)에 표시하고, 쌍자음{ㅉ} + 한자버튼(240)을 입력하여 히브리어 문자 선택표(370)를 표시한다. 이렇게 표시된 각각의 선택표에서 원하는 문자 앞의 번호와 동일한 글자자판(100)의 숫자 버튼을 눌러 선택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consonant {ㅃ} +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is combined (S600), the access table 330 is displayed on the screen 110 (S610), and the access table 330 is displayed. The letters are arranged with numbers from 1 to 9 by 9, and pressing the same number button on the letter board 100 as the number before the letter is selected (S620). In this way, the consonant {ㄸ} +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is combined to display the hiragana selection table 340 on the screen 110, and the consonant {ㄲ} +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is combined to select Latin characters. The table 350 is displayed on the screen 110, the combination of the double consonant {ㅆ} +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displays the Russian character selection table 360 on the screen 110, and the consonant {ㅉ} + Chinese character. A button 240 is input to display the Hebrew character selection table 370. In each of the selection table displayed in this way by pressing the number button of the letter keyboard 100 the same as the number before the desired character to be selected.

도 8은 저장글, 저장그림 또는 이모티콘의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인 데, 음운축약버튼(230)과 한자 버튼(240)을 조합하면 저장글, 이모티콘 또는 저장그림 선택표(380)가 화면(110)에 표시되어 나타나고 원하는 저장글, 이모티콘 또는 저장그림 앞의 번호와 동일한 글자자판(100)의 숫자 버튼을 눌러 선택하게 된다. 물론, 원하는 문자로 커서를 이동시킨후에 한자버튼(240)을 눌러 입력할 수도 있 다. 또한 화면이동 버튼(250)을 이용하여 이전화면이나 다음화면으로 전환하여 보다 많은 부분의 저장글 또는 저장그림을 나타내어 선택 표시할 수 있다.8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stored article, a stored picture, or an emoticon. When the phonetic abbreviation button 230 and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are combined, the stored article, emoticon, or stored picture selection table 380 is displayed on the screen ( 110 is displayed and displayed by pressing the number button of the letter keyboard 100, the same as the number before the stored text, emoticons or storage pictures. Of course, after moving the cursor to the desired character can also be entered by pressing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In addition, by using the screen move button 250, the display can be selected and displayed by displaying a larger portion or a stored picture by switching to the previous screen or the next screen.

상기 화면(110)에 표시되는 저장글, 이모티콘 또는 저장그림 선택표(380)는 자주 사용하는 문구를 사용자가 미리 메모리에 입력시킴으로서 필요시에 쉽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저장글이나 아바타, 이모티콘, 저장그림은 다운로드하여 저장이 가능하다.The stored text, emoticon or stored picture selection table 380 displayed on the screen 110 can be easily selected and used when necessary by inputting frequently used phrases into a memory in advance. You can download and save the picture.

또한, 도5 도시와 같은 편집기능을 수행하는 경우(S1000)는 모음자판과 한자자판(240) 및 음운축약 버튼(230)을 조합하여 문장(句)의 지우기와 붙이기 기능과 같은 버퍼링 편집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지우기 또는 붙이기를 수행할 문장의 첫 부분에 커서를 두고 제1 모음자판(220)과 한자자판(240)을 조합하여 누르면 복사할 부분을 지정하기 시작하며, 커서의 이동에 따라 버퍼링 편집 기능을 수행할 부분이 모두 지정된 후에 이어서 제2 모음자판(220)을 누르면 지정된 부분이 삭제(CUT)되며, 복사할 부분으로 커서를 이동시킨 후에 제3모음자판(220)과 한자자판(240)을 누르면 붙이기 기능(PASTE)이 수행된다. 이와 같은 모음자판과 한자자판의 조합을 통한 문장의 붙이기 및 지우기 기능과 같은 버퍼링 편집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장문의 메시지 전달시 작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editing function as shown in FIG. 5 (S1000), a combination of a vowel keyboard, a Chinese character 240, and a phonetic abbreviation button 230 is used to perform a buffering editing function such as a function of erasing and pasting a sentence. Can be done. That is, when the cursor is placed on the first part of the sentence to be erased or pasted, and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vowel keyboard 220 and the kanji keyboard 240 is pressed, it starts to designate a part to be copied and the buffering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ursor. After all of the portions to be performed are designated, the second collection keyboard 220 is subsequently pressed to delete the specified portions (CUT), and after moving the cursor to the copying portion, the third collection keyboard 220 and the Chinese character board 240 are moved. Press to perform the paste function (PASTE). By configuring the buffering editing function such as the pasting and erasing of sentences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vowel keyboard and the kanji keyboard, the work can be more efficiently performed when the long message is delivered.

아울러, 상기 자음 자판부(210)와 모음 자판부(220) 및 한자 버튼(240)에서 {1,2,3,4,5,6,7,8,9,0}의 아라비아 숫자가 순서대로 표시되어 해당 버튼을 동작시킴으로 숫자를 표시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숫자를 표시할 때는 상기 기능 버튼부(120)에서 입력모드를 숫자모드로 변경한 후 글자자판(100)을 눌러 숫자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rabic numerals of {1,2,3,4,5,6,7,8,9,0} in the consonant keyboard 210, the vowel keyboard 220, and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are sequentially. It displays the number by operating the butt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number is displayed, it is preferable to change the input mode to the number mode in the function button unit 120 and then press the letter board 100 to display the number.

한편, 이상 설명한 내용은 본 발명이 모음 자판으로서, (ㅏ,ㅗ; ㅓ,ㅜ; ㅣ,ㅡ)의 각각의 자판으로 구성된 자판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천지인, 나랏글 등과 같이 모음 자판을 달리 구성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 descrip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keyboard consisting of the key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vowel keyboard, (ㅏ, ㅗ; ㅓ, TT; ㅣ, ㅡ),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naragle It is obvious that the same can be applied to a case in which the vowel keyboard is configured differently.

더우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자판의 형태를 본 발명에서 사용한 자판과 달리 구성한 자판을 수개 일체화하여 사용하려는 자판 형태를 먼저 선택하게 하고, 이에 따라 선택된 자판장치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적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모음이나 자음을 포함한 문자 및 기호를 표시하기 위한 입력스택을 LED, LCD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선택하여 전환된 자판 형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Furthermor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ype of the keyboard is different from the on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several types of keyboards are integrated to be selected first, and thus, the selected keyboard device is applied to apply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input stack for displaying letters and symbols including vowels or consonants may be configured as LEDs and LCDs, and the characters may be configured to input characters using a type of keyboard selected and switched by the user.

물론, 이러한 자판 형태를 통합한 경우, 자판 형태를 선택하고 이어서 해당 자판 형태에 따라 입력방법을 달리 실시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해당 소프트웨어를 휴대용 단말기를 비롯한 정보통신기기에 내장시켜 자판 형태를 선택함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소프트웨어를 불러내어 실행하여 사용할 것이며, 각각의 자판 형태를 선택하고 이들 자판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관련 회사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다운받아서 사용할 수 있다.Of course, in the case of integrating such a keyboard type, in order to select a keyboard type and subsequently perform an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keyboard type, each corresponding software is embedded in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portable terminal, and thus the keyboard type is selected. The corresponding software will be called up and executed, and the program for selecting each type of keyboard and executing these keyboards can be downloaded and used by accessing the homepage of the relevant company.

이상과 같은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정보통신기기용 자판장치 및 그 입력 방법은 컴퓨터의 표준 키보드의 입력 방법에 보다 근사한 기능을 제공함으로서 다양한 문자를 구현할 수 있고 보다 간단한 입력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The keyboard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for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that implements the multi-characters as described above can provide various functions and provide a simpler input method by providing a function more similar to the input method of a standard keyboard of a computer.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글자자판을 구성하는 각각의 버튼은 그 배열에 있어서 서로 위치 관계는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으며, 단순한 배열 관계의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다. 특히 특수 문자를 표시함에 있어 각 자음 또는 쌍자음에 연결되어 표시되는 각각의 특수 문자나 외국어, 저장글 또는 저장그림의 연결 배치는 얼마든지 상호 변경될 수 있으며, 영어의 알파벳이 자판에 병기되어 영어 문장을 메시지로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each button constituting the character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any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in the arrangement, the modification of a simple arrangement relationship does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in displaying special characters, the connection arrangement of each special character or foreign language, stored word or stored picture that is connected to each consonant or double consonant can be changed as much as possible, and the alphabet of English is written together on the keyboard. Of course, the sentence can be configured to deliver the messag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 및 그 입력 방법에 의하면, {ㄱㄴ, ㄷㄹ, ㅂㅁ, ㅅㅇ, ㅈㅎ}로 구성된 자음 자판부(210)와, {ㅏㅗ, ㅓㅜ, ㅣㅡ}로 구성된 모음 자판부(220)에 격자음을 표시하기 위한 음운축약 버튼(230)과 한자를 표시하기 위한 한자 버튼(240)을 구비하여 보다 적은 횟수의 누름동작으로 모든 한글의 표현이 가능하게 되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keyboard apparatus and the input method for implementing the multi-charac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onant keyboard unit 210 composed of {ㄱ, ㄷ, ㅁㅁ, ㅅㅇ, ㅈㅎ} and {ㅏㅗ, ㅓ TT, ㅣ A phonological abbreviation button 230 for displaying a lattice sound and a kanji button 240 for displaying a kanji are provided on the vowel keyboard 220 composed of ㅡ}, so that all Korean characters can be expressed with fewer pushes. Was done.

그리고, 화면(110)에 표현되는 한자에 대하여 상기 한자 버튼(240)을 눌러 중국어 성조선택창을 표시하고 이어서 성조를 선택함에 따라 해당 한자표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서 원하는 중국어를 입력하거나, 한글 생성후 한자 버튼을 눌러 한자표를 표시하고 이어서 상응하는 한자를 선택하여 입력하여 한자를 표시할 수 있으며, 특수 문자와 가다가나, 히라가나, 라틴문자, 러시아문자 및 히브리어 문자와 같은 외국어 및 저장글이나 아바타, 이모티콘, 저장그림을 표의 형태로 입력하여 여러가지 문자를 표현할 수 있다.Then, by pressing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for the Chinese characters represented on the screen 110 to display the Chinese tonal selection window, and then select the tonality to display the corresponding Chinese character table, input the desired Chinese, or create a Chinese character after generating Korean You can display the Hanja by pressing the button, followed by selecting and typing the corresponding Hanja to display the Hanja, special characters and foreign languages such as Katana, Hiragana, Latin, Russian, and Hebrew, as well as avatars and emoticons. You can express various characters by entering the saved picture in the form of a table.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나 휴대전화에서도 컴퓨터 표준 키보드의 입력 방법과 같이 간편하게 글자입력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모든 문자의 입력 및 표시가 가능하여 모바일 전자상거래등에서의 향후 예상되는 모든 컨텐츠의 수용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or the mobile phone can easily enter letters as in a computer standard keyboard input method, and all characters can be input and displayed to accommodate all anticipated contents in mobile e-commerce. .

아울러, 컴퓨터의 문자운용체계 및 코드체계를 휴대전화 자판과 화면(110)에서 모두 수용할 수 있음으로 컴퓨터와 휴대전화간 모든 자료의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더욱이 기존의 문자입력체계 보다 더욱 단순하고 신속하게 문자입력을 보장하게 되었고, 휴대전화를 통한 문자 및 그림정보의 보다 신속, 정확한 정보전달이 가능하게 되었다.In addition, the character operation system and code system of the computer can be accommodated in both the mobile phone keyboard and the screen 110, thereby ensuring the compatibility of all data between the computer and the mobile phone. Moreover, it is possible to guarantee text input more simply and quickly than the existing text input system, and it is possible to transmit text and picture information more quickly and accurately through mobile phone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향후 유비쿼터스 시대에 대비하여 개인과 가정의 유무선 전화기, PDA, 쌍방향 TV, CATV의 셋톱박스, POS 시스템, 생활용 및 산업용 각종 리모콘과 키패드의 문자 입력시에도 적용이 가능한 등 응용분야가 확대되고 있어서 아주 유용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pply in the character input of various remote controllers and keypads for personal and home wired / wireless telephones, PDAs, interactive TVs, CATV set-top boxes, POS systems, living and industrial preparations for the future ubiquitous era. Is very useful because it is expanding.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various other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appended claims cover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fall within the true scope of the invention.

Claims (7)

상호간에 음성 또는 문자로 의사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통신기기에 구비되는 글자 자판으로서, 기본 자음군을 키입력하기 위해 버튼을 소정 형태로 분리하여 배정한 자음 자판부(210)와, 상기 자음 자판부(210)와 조합되도록 구성된 기본 모음군을 입력하기 위해 버튼을 소정 형태로 분리하여 배정한 모음 자판부(220)와, 상기 자음 자판부(210)의 각 버튼 및 상기 모음 자판부(220)의 각 버튼과 조합을 이루어 음운축약음을 표시하기 위한 음운축약 버튼(230)과, 생성된 한글에 해당하는 중국어 및 한자를 표시하기 위한 한자 버튼(240)을 포함하는 다중문자를 구현하기 위한 정보통신기기용 자판장치의 자판입력방법으로서:A character keyboard provided in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used to communicate a voice or a text to each other, comprising: a consonant keyboard unit 210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a button assigned to key input a basic consonant group, and the consonant keyboard unit In order to input a basic vowel group configured to be combined with 210, a vowel keyboard unit 220 is provided by separating and assigning a button in a predetermined form, and each button of the consonant keyboard unit 210 and each of the vowel keyboard unit 220 are alloc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for implementing a multi-character including a phonetic abbreviation button 230 for displaying a phonetic abbreviation in combination with a button, and a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for displaying Chinese and Hanja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Hangul As the keyboard input method of the keyboard device: 자판장치를 구성하는 자음 자판부(210)의 기본 자음버튼과 모음 자판부(220)에 배열된 기본 모음 버튼을 각각 조합하여 입력받아 한글을 생성하는 단계와; Generating a Korean by receiving a combination of the basic consonant buttons of the consonant keyboard unit 210 constituting the keyboard device and the basic vowel buttons arranged on the vowel keyboard unit 220; 한글이 표시된 자판장치의 화면에서 생성된 한글에 해당하는 중국어의 성조를 선택하기 위한 중국어 성조선택 단계와;Chinese tones selection step of selecting a Chinese tones corresponding to the Hangul generated on the screen of the keyboard display Hangul; 중국어의 성조를 선택함에 따라 표시된 중국어 한자중에서 해당 한자를 선택하여 변환하는 중국어 한자 변환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정보통신기기용 자판장치의 문자입력방법.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keyboard apparatus for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converting a Chinese kanji by selecting and converting the selected kanji from the displayed Chinese kanji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Chinese ton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자판부(210)의 자음자판과 한자자판(240)을 조합하여 누름으로써 특수문자 또는 외국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 기용 자판장치의 문자입력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special character or a foreign language is displayed by pressing a combination of the consonant keyboard and the Chinese character board of the consonant keyboard unit 2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모음버튼{(ㅏ ㅗ), (ㅣㅡ)} 및 한자버튼(240)을 조합하여 누름으로써 문장을 붙이거나 지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기용 자판장치의 문자입력 방법.The character input of the keyboard apparatus for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ic vowel buttons {(누 ㅗ), (ㅣ ㅡ)} and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are pressed in combination. W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생성단계에서 기본 자음과 음운축약버튼을 조합하여 눌러 격자음(ㅋ, ㅌ, ㅊ, ㅍ)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기용 자판장치의 문자입력 방법.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keyboard apparatus for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the Hangul generating step, a lattice sound is generated by pressing a combination of a basic consonant and a phonetic abbreviation button. 제2항에 있어서, 외국어문자 입력후 기본모음 버튼(ㅓㅜ)과 한자버튼(240)을 눌러 재실행(Re-do) 기능을 수행하여 외국어문자입력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기용 자판장치의 문자입력방법.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after inputting a foreign language character, the basic vowel button and the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are pressed to perform a re-do function to continue inputting a foreign language character. Character input method of. 제1항에 있어서, 저장글 등록후에 문서 편집시 음운축약버튼(230)과 한자 버튼 (240)을 조합하여 눌러 저장글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기용 자판장치의 문자입력방법.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ored text is inputted by pressing a combination of a phonetic abbreviation button (230) and a Chinese character button (240) when editing a document after registering the stored text. 제1항에 있어서, 상이한 자판형태를 실행하는 경우 해당 문자입력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다운받아 실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기용 자판장 치의 문자입력방법.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keyboard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haracter input program and data can be downloaded and executed when different keyboard types are executed.
KR1020040066999A 2004-08-25 2004-08-25 Character input method of keyboard device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quipment Ceased KR2006001856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999A KR20060018565A (en) 2004-08-25 2004-08-25 Character input method of keyboard device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999A KR20060018565A (en) 2004-08-25 2004-08-25 Character input method of keyboard device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quip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565A true KR20060018565A (en) 2006-03-02

Family

ID=37126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999A Ceased KR20060018565A (en) 2004-08-25 2004-08-25 Character input method of keyboard device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856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688B1 (en) * 2005-01-04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Character input method and device using the remote control
KR100719412B1 (en) * 2002-03-28 2007-05-18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ent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412B1 (en) * 2002-03-28 2007-05-18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ent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714688B1 (en) * 2005-01-04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Character input method and device using the remote contr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188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inpu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4369245B2 (en) Mobile phone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text
JP4252955B2 (en) Method for entering text into a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KR101260087B1 (en) Food input using the keypad
EP1862887A1 (en) Chinese phonetic alphabet and phonetic notation input method for entering multiword by using numerals of keypad
JP2011254553A (en) Japanese language input mechanism for small keypad
EP1932325A1 (en) Method of inputting multi-languages by using symbol characters allocated in keypads of user terminal
KR20000049205A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in which character input program is stored
CN101595449A (en) Be used for cross media input system and method at electronic equipment input Chinese character
JP4504571B2 (en) Text input system for ideographic and non-ideographic languages
KR100947401B1 (en) Text input to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JP2011524595A (en) Methods for customizing data entry for individual text fields
US7197184B2 (en) ZhuYin symbol and tone mark inpu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0579814B1 (en) Character Inputting System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JP2001084086A (en) Portable character input device
KR20060018565A (en) Character input method of keyboard device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quipment
KR100766717B1 (en) A text inputting method
JP2002297577A (en) Apparatus, and method of input conversion processing for chinese language and program therefor
JP2010072967A (en) Information search method, information search device and information search program
KR100436426B1 (en) A Keyboard Device Of Making Multiletter And Input Method Thereof
KR100823307B1 (en) Character input method
KR20030089190A (en) Chinese character input apparatus for communications equipment
KR100400694B1 (en) The Chinese code generator for mobile phone
KR200313360Y1 (en) A Keyboard Device Of Making Multiletter
KR100539281B1 (en) A Keyboard Device Of Making Multiletter And Input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505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6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3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