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17571A - 티오우레아 유도체를 함유하는 소양성 또는 자극성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티오우레아 유도체를 함유하는 소양성 또는 자극성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7571A
KR20060017571A KR1020050075925A KR20050075925A KR20060017571A KR 20060017571 A KR20060017571 A KR 20060017571A KR 1020050075925 A KR1020050075925 A KR 1020050075925A KR 20050075925 A KR20050075925 A KR 20050075925A KR 20060017571 A KR20060017571 A KR 20060017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pruritic
composition
compound
thioure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5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현주
최진규
정연수
임경민
모주현
배준호
김대권
김광미
이창훈
주영협
신송석
박영호
심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ublication of KR20060017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57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7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the group >N—C(O)—N< or >N—C(S)—N<, e.g. urea, thiourea, carmust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4Sulfonylureas, e.g. glibenclamide, tolbutamide, chlorpropam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닐로이드 수용체 길항제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오우레아 유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의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함유하는 소양성 또는 자극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5045493846-PAT00001
1
상기 화학식 중 R은 수소,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 탄소수 2 내지 5의 알케닐,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 하이드록시,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메톡시카르보닐 또는 카르복실기를 나타낸다.
바닐로이드 수용체 길항제, 티오우레아 유도체, 피부질환, 소양증, 피부자극

Description

티오우레아 유도체를 함유하는 소양성 또는 자극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A composition containing a thiourea derivative for preventing or treating pruritic or irritant skin diseases}
본 발명은 바닐로이드 수용체(Vanilloid Receptor 1:VR1)에 대한 강력한 길항제인 티오우레아 유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의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함유하는 소양성 또는 자극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 피부염(Wahlgren, 1991, Acta Derm. Venerenol. Suppl., 165, pp1-53), 접촉성 피부염(Meding, 1990, Acta Derm. Venerenol. Suppl., 153, pp1-43), 두드러기(Scoter, 1998, Dermatology in general medicine. 5th ed., pp1409-1419), 건선(Krueger et al., 2001, Arch. Dermatol., 137, pp280-284) 등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피부 질환의 경우 피부자극이나 가려움과 같은 임상적인 증상을 동반하게 된다. 특이하게도 피부와 상관 없는 만성 신부전(Schwartz et al., 1999, Nephrol. Dial. Transplant., 14, pp834-839), 담도 폐쇄증(Jones, 1999, Hepotology, 29, pp1003-1006)과 같은 전신질환의 경우에도 가려움(pruritus, itching) 증상이 나타난다. 피부자극이나 가려움증의 경우 필연적으로 피부를 긁는 행동을 유발하여 찰과상이나 홍반과 같은 피부염을 유발하고, 더 나아가 피부감염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피부자극이나 가려움은 많은 유발인자들이 직접 감각신경에서 뉴로펩티드를 분비시키거나 비만세포와 각화세포에서 가려움을 일으키는 매개체들을 촉진시켜 일어난다(Yosipovitch et al., 2003, Lancet, 361, pp690-694).
가려움증 치료제로는 코티코스테로이드제, 항히스타민제, 면역억제제 등이 사용되나 이 치료제들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부작용들을 가지고 있다. 바르는 스테로이드제에 의해서는 피부가 얇아지거나 피부 색깔이 변하거나 발진이 생기고, 장기간 많은 양을 사용했을 때 전신 부작용으로 부신 기능이 억제될 수 있다. 일세대 항히스타민제는 주로 전신 투여하여 사용하는데 항부교감작용이 있어서 진정작용을 나타낸다. 일세대 항히스타민제인 클로르페니라민은 국소 투여시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가려움을 억제시키지 못하였다(Munday et al., 2002, Dermatology, 205. pp40-45). 또한 아토피 피부염에 국소 항히스타민제의 사용은 권장되지 않는데 이것은 피하 과민반응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진정작용이 없는 이세대 항히스타민제 에바스틴과 터페나딘은 사이토크롬(cytochrome) P450 활성을 저해하는 약물(ketoconazole, erythromycin)과 함께 복용하면 부정맥을 일으킬 수 있다(Hey et al., 1996, Arzneimittelforschung, 46, pp159-163). 면역억제제인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e)은 전신투여 시 고혈압, 신독성, 약물 상호 작용 등의 심각한 부작 용을 초래할 수 있고 국소투여 시 분자량이 커서 피부통과가 어려워 효능이 약하다. 최근 국소 제제로 개발된 칼시뉴린 억제제인 프로토픽(타크로리무스, FK506)과 엘리델(피메크로리무스)은 사이클로스포린보다 부작용은 적고 효능은 좋지만 사용 초기에 발적감, 가려움, 홍반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Gupta et al., 2002, JEADV, 16, pp100-114; Gupta and Chow, 2003, JEADV, 17, pp493-503). 정확한 기전은 밝혀져 있지 않지만 사이클로스포린, 타크로리무스, 피메크로리무스 등과 같은 칼시뉴린 억제제들은 감각 신경 섬유에서 세포내 칼슘 유입을 증가시켜 신경전달 물질을 방출시키고 비만세포를 탈과립시킨다(Stander and Luger, 2003, Hautarzt, 54, pp413-417). 이러한 반응은 캡사이신 처리 시에도 관찰된다. 또 최근에 신경섬유에서 바닐로이드 수용체(TRPV1) 활성이 칼시뉴린을 통하여 칼슘 채널을 조절한다고 보고되고 있다(Wu et al., 2005, J. Biol. Chem., 280, pp18142-51). 이러한 것들은 칼시뉴린 억제제들에서 나타나는 피부 자극감과 가려움 같은 부작용이 바닐로이드 수용체와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피부자극의 경우에는 아직 별다른 치료제가 없는 상황이며 대부분의 경우 자극원을 제거하거나 여의치 않을 경우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고 있다.
그 외 국소 가려움 치료제로써 캡사이신 크림, 독세핀 크림, 아스피린을 사용한다. 캡사이신 크림은 통증전달 신경을 탈감작시켜 항소양효능을 발휘하나 초기 사용시 바르는 부위에 자극감을 유발해 피부자극을 동반하는 대부분의 염증성 피부 질환에는 사용하지 못한다(Wachtel, 1999, Reg. Anesth. Pain Med., 24, pp361-363). 이러한 자극성은 캡사이신과 같은 바닐로이드 수용체 효능제의 특징적인 부 작용으로 잘 알려져 있다. 삼환계 항우울제인 독세핀은 H1과 H2 히스타민 수용체에 모두 작용하여 소양증을 감소시키나 이것도 초기에 작열감, 따가움, 졸림 등의 부작용이 나타난다고 보고되었다(Drake et al., 1994, J. Am. Acad. Dermatol., 31, pp613-619). 아스피린은 국소 적용시 효과가 있지만 경구투여시 효과가 거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Daly and Shuster, 1986, Br. Med. J., 293, p907), 작용기전상 시클로옥시제나제(cyclooxygenase) 저해로 인한 대표적인 위장관 부작용을 지닌다.
한편, 바닐로이드 수용체(VR1)는 유해 자극을 전달하는 신경섬유에 존재하여 프로톤(acid), 열, 아라키돈산 유도체 등과 같은 다양한 내인성의 물리/화학적 유해자극에 대한 통합적 전달자로서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한다(Tominaga et al., 1999, Neuron, 21, pp531-543). 이 바닐로이드 수용체를 포함하고 있는 일차구심성 감각신경은 소화기, 호흡기, 방광 등 체내 대부분의 장기뿐만 아니라 피부에도 분포하고 있다는 것이 최근에 확실히 밝혀졌는데(Stander et al., 2004, Exp. Dermatol. 13, pp129-139), 내외인성자극에 의해 이 수용체가 활성화될 경우 유해자극이 전도될 뿐만 아니라 서브스턴스 피(substance P), 씨지알피(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등의 신경 펩티드가 유리되어 신경성 염증(neurogenic inflammation)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놀랍게도 바닐로이드 수용체가 일차 구심성감각신경뿐만 아니라, 사람 피부 표피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에도 분포하며(Denda et al., 2001, Biochem. Biophys. Res. Commun., 285, pp1250-1252; Inoue et al., 2001, Biochem. Biophys. Res. Commun., 291, pp124-129), 이 수용체가 활성화될 경우 염증 인자를 분비한다는 최근의 학술발표가 있었다(Southall et al., 2003, J. Pharm. Exp. Thera., 304, pp217-222). 즉, 바닐로이드 수용체는 피부의 감각신경 및 피부 표피 각질세포인 케라티노사이트에 존재해 피부자극과 가려움 등 각종 유해자극과 통증 전달에 관여하므로, 신경성/비신경성 요인에 의한 피부염증 등의 피부질환의 병인과도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게 된다.
피부에서 바닐로이드 수용체 길항제와 효능제의 작용은 바닐로이드 수용체의 기능 차단 나아가 바닐로이드 수용체를 포함한 일차구심성 감각신경 또는 케라티노사이트의 기능 차단/저해로 설명될 수 있으므로 피부질환에의 응용가능성도 대부분 공유한다고 볼 수 있다.
캡사이신을 비롯한 바닐로이드 수용체의 주요 효능제에 대해서는 동물시험뿐만 아니라 임상시험이 다각도로 진행되었거나 진행중인데, 자극성을 비롯한 부작용/독성과 경피 흡수성의 한계 때문에 주로 국소 투여 경로를 활용하고 있다. 바닐로이드 수용체 효능제는 특히 주로 항소양 효능을 목표로 건선(psoriasis), 혈액투석(hemodialysis) 중인 만성 신부전 환자의 소양증, 수인성 소양증(aquagenic pruritus), 외음부 전정염(vulvar vestibulitis)에 의한 소양증, 신경원성 소양증(notalgia paraesthetica, brachioradial pruritus), 만성 단순성 태선(lichen simplex chronicus) 등의 피부질환에 대해 실제 임상에서 적용된 바 있다. 이들 임상 평가에서 캡사이신을 비롯한 바닐로이드 수용체 효능제는 치료효과를 나타내지만, 초기 적용 시 자극성이라는 단점을 나타내었음이 보고되었다(Szallasi and Blumberg, 1999, Pharmacol. Rev., 51, pp159-211). 이러한 바닐로이드 수용체 효능제는 그 작용 기전상 신경세포에의 감작(sensitization), 탈감작(desensitization), 신경전도 차단/신경독성이라는 전형적인 단계를 거치면서 약효를 발휘하는데, 실제 그 약리 효능은 바닐로이드 수용체 자체 및 바닐로이드 수용체를 포함한 신경의 탈감작, 기능저해를 통해 발휘되는데, 이때 작용기전 중의 첫번째 감작 단계의 경우에서 자극 등과 같은 불필요한 부작용을 유발하게 된다.
그러나, 바닐로이드 수용체 길항제의 경우 작용기전상 바닐로이드 수용체의 기능을 특이적으로 차단하므로 바닐로이드 수용체 효능제에서 나타나는 부작용인 초기의 감작 반응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신경성 염증 및 피부 표피 케라티노사이트에서의 염증인자 분비를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험에 의해서 바닐로이드 수용체 길항제가 피부에서 항소양 효능 또는 피부자극 억제효능을 발휘할 수 있음을 밝힌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사람 피부 케라티노사이트를 활용한 실험에서, 피부에 존재하는 바닐로이드 수용체가 활성화될 경우 염증을 유발하고 이러한 염증인자 발현이 바닐로이드 수용체의 길항제로 잘 알려진 캡사제핀(capsazepine)에 의해 억제된다는 최근의 학술발표가 있었고(Southall et al., 2003, J. Pharm. Exp. Thera., 304, pp217-222), 또한 캡사제핀(capsazepine)이 피부자극, 소양증 등 신경성 피부 질환에 대해 응용 가능성이 있다고 미국특허 제6,048,855호의 클레임에 기술되어 있으나 실제 피부에의 임상 적용 가능성, 특히 항소양 효능이나 피부자극 억제효능에 대해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실험결과에 대한 보고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들은 가려움증과 피부자극에 대한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본발명의 화합물들의 효능을 구체적으로 검증하였다. 동물을 이용한 가려움증과 피부자극 모델의 경우 현실적으로 실험자와 동물간의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이유로 보통 실험동물의 행동을 관찰하는 방법을 이용하게 된다. 이 경우 보통 가려움이나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물질을 실험동물의 피내에 주입하는 방법을 주로 이용하는데 이는 주사한 물질이 비교적 장기간 주사 부위 주변에 머물러 주사부위를 긁는 행동을 관찰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Kuraish et al., 1995, Eur. J. Pharmacol., 275, pp229-233). 이 경우 실험동물은 관찰과 실험의 용이성으로 인해 보통 설치류를 이용한다. 가려움 유발 물질과 피부자극 유발 물질이 유도하는 실험동물의 행동은 다양하면서도 서로 매우 유사하다. 가려움의 경우 입으로 주사부위를 핥거나 물어뜯는 행동, 앞발이나 뒷발을 이용해 주사부위를 긁는 행동이 대표적인 경우다. 마찬가지로 피부자극의 경우에도 같은 행동이 관찰된다(Green., 2000, Am. J. Contact Dermat., 11, pp170-180). 그러나 설치류를 포함하여 털이 있는 대부분의 동물의 경우 입으로 핥거나 물어뜯는 행동, 앞발로 긁는 행동은 가려움이나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물질을 주사하지 않더라도 흔히 관찰된다. 그러나 뒷다리로 긁는 행동의 경우 일반적인 상황에서 매우 드물게 발생하며, 가려움이나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물질을 앞다리가 닿지 못하는 목 뒤쪽 등 상부에 주사할 경우 거의 뒷다리로 주사부위를 긁는 행동만이 유의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가려움이나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물질을 설치류의 등 상부에 주사하여 뒷다리로 주사부위를 긁는 행동을 관찰하는 것은 가려움이나 피부자극의 간접적인 지표로 이용될 수 있다(Kuraish et al., 1995, Eur. J. Pharmacol., 275, pp229-233). 하지만 이 경우 주사한 물질이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물질인지, 아니면 가려움을 유발하는 물질인지 구분이 모호한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엔 보통 사람에서의 임상결과를 이용해 유추하는 방법을 이용하는데, C48/80(Fjellner et al., 1982, Acta Dermatoenerol., 62, pp137-140), 히스타민(Maekawa et al., 2000, Jpn. J. Pharmacol., 84, pp462-466), 서브스턴스 피(Hagemark et al., 1978, J. Invest. Dermatol., 71, pp233-235), 세로토닌(Berendsen et al., 1991, Eur. J. Pharmacol., 194, pp201-208), PAF(Fjellner et al., 1985, Acta Dermavenerol., 65, pp409-412) 등과 같이 사람에서 명백하게 가려움을 유발하는 물질의 경우엔 설치류에서도 가려움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찬가지로 부식성 유기용매(JP2001-321016), 체액보다 삼투압이 낮은 저장액(Hwang et al., 1986, Life Sci., 30, pp2389-2396), 프레스로이드(Gargen et al., 1984, Toxicol. Appl. Pharmacol., 76, pp270-279), 타크로리무스(Fuchs et al., 2002, Contact Dermatitis, 45, pp290-294), 레티노익산(Varani et al., 2003, Arch. Dermatol. Res., 295, pp255-262) 등과 같은 피부자극성 물질에 의해서 유도되는 긁는 행동은 피부자극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유추 이외에도 실험적인 방법으로도 가려움 유발물질과 피부자극 유발물질은 구분이 되는데, 가려움 유발 물질의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긁기 행동을 증가시키나 피부자극성 물질의 경우 농도의존성이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유발되는 가려움의 상대적인 횟수도 일반적으로 피부자극성 물질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Jinks et al., 2002, J. Neurophysiol., 87, pp1280-1289). 따라서 본 발명자는 긁는 행동을 약효평가 지표로 하는 동물모델에서, C48/80과 히스타민에 의한 긁는 행동은 가려움증의 지표로, 타크로리무스에 의한 긁는 행동은 피부자극의 지표로서 활용하였다. 레티노익산의 경우 피부 홍반을 이 물질에 의한 직접적인 피부자극의 지표로 이용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여 바닐로이드 수용체 길항제인 티오우레아 유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의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함유하는 소양성 또는 자극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닐로이드 수용체 길항제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오우레아 유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의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함유하는 소양성 또는 자극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5045493846-PAT00002
상기 화학식 중 R은 수소,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 탄소수 2 내지 5의 알케닐,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 하이드록시,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메톡시카르보닐 또는 카르복실기를 나타낸다.
상기에서 화학식 1 중 R이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비닐, 프로페닐,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하이드록시,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요오도, 니트로, 시아노, 메톡시 카르보닐 또는 카르복실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중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들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1-(4-t-부틸벤질)-3-(3-플루오로-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티오우레아(화합물 1);
1-(4-t-부틸벤질)-3-(3-클로로-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티오우레아(화합물 2);
1-(4-t-부틸벤질)-3-(3-메틸-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티오우레아(화합물 3);
1-(4-t-부틸벤질)-3-(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티오우레아(화합물 4); 및
1-(4-t-부틸벤질)-3-(3-비닐-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티오우레아(화합물 5).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대부분은 본 발명자 등이 바닐로이드 수용체에 대 한 선택적 길항제로 개발한 티오우레아 유도체로서 기공개된 국제특허공개 WO 02/16318호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오우레아 유도체의 염에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과염소산과 같은 무기산과의 염; 메탈설폰산,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프로피온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말레산, 말산, 옥살산, 숙신산, 시트르산, 벤조산, 만델릭산, 신남산, 락트산, 글리콜산, 글루쿠론산, 아스코르브산, 니코틴산 및 살리실산과 같은 유기산과의 염; 또는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탐산과 같은 산성 아미노산과의 염이 포함된다. 또한 암모니아와,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트리메틸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N,N-비스(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에탄올아민, N-메틸글루카민, L-글루카민과 같은 아민의 염; 또는 리신, δ-히드록시리신 및 아르기닌과 같은 염기성 아미노산과의 염이 포함된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투여, 비경구 투여, 피하투여, 피내투여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피내투여 또는 국소적용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 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 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1일 0.001 ~ 100mg/체중 kg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30mg/체중 kg으로 투여한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이루어질 수 있고, 여러 번 나누어 이루어질 수 있도 있다. 조성물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약제학적 제제로 투여되며, 이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와 그것을 혼합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약제학적 제제는 예를 들어, 산제, 정제, 캡슐, 액제 등과 같은 경구 투여제제, 경피흡수제, 유제 및 현탁제, 첩부제, 크림제, 카타플라스마제 등과 같은 외용제, 정맥주사제, 근육주사제 등과 같은 주사제 등이 있다. 이들 약제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조제된다. 그 중 특히 바람직한 것은 외용제로, 그 구체적인 예로는 크림상, 연고상, 겔상, 유액상, 스틱상, 팩상, 유기용매에 의한 용액상 등의 제형이 있으나, 제형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는 약제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어떤 통상의 것도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화합물과 반응하지 않는다. 산제, 정제, 캡슐 등을 위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의 적절한 예는 옥수수 전분, 유당, 만니톨, 미결정형 셀룰로오스 등의 부형제, 크로스카멜로오즈 소디움, 감자 전분, 정제백당 등의 붕해제, 정제젤라틴, 아라비아 고무, 메칠셀룰로오스, 에칠셀룰로오스, 포비돈 등의 결합제,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경질무수규산, 탈크 등의 활택제가 있다.
정제는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프탈산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초산프탈산셀룰로오스, 산화티탄, 폴리소르베이트, 정제백당 등의 코팅제로 통상의 방법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피부외용제에 사용되는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액체유지, 고체유지, 밀랍, 탄화수소, 고급지방산, 고급알코올, 에스테르류, 계면활성제,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화합물, 점증제, 피막제, 저급알코올, 다가알코올, 당류, 아미노산류, 유기아민류, pH조정제, 산화방지제, 향료, 물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이들 성분은 각각 1종 이상을 사용하여도 된다.
패취제의 점착 기제의 적절한 예에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이소부틸렌 등과 같은 폴리머 기제, 트리에틸시트레이트, 트리에틸아세틸시트레이트,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가소제를 들 수 있다.
주사제는 주사를 위해 증류수에 화학식 1 화합물의 염을 용해시킴으로써 조제할 수 있지만, 필요시, 등장화제, 무통화제, pH 조정제, 용해보조제, 완충제, 보존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주사제는 또한 현택액의 형태가 될 수 있는 데, 이는 주사용 증류수 또는 식물유에 본 발명의 화합물 그 자체를 현탁시킴으로써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시, 기제, 현탁화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주사제는 산제의 형태이거나, 동결건조 된 것일 수 있고, 이는 사용시 용해되고, 부형제 등을 더 첨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약제학적 첨가제는 활성물질의 중량에 기초하여 1 중량 %에서 90 중량 %까지의 범위내에서 혼합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치료상 효과적인 양으로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양성 또는 자극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소양성 또는 자극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소양성 또는 자극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품의 제조를 위하여 사용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험예 및 제제예에 의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험예 및 제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생물학적 효능 검색
바닐로이드 수용체 길항제로서 본 발명의 티오우레아 유도체가 항소양 효능 또는 피부자극 억제 효능을 발휘함을 다양한 동물 모델에서 확인하였다. 티오우레아 유도체로는 상기에서 바람직한 화합물로 예시된 화합물 1 내지 3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ICR 마우스에서 컴파운드48/80(C48/80) 유도성 가려움 실험(피내투여)
ICR 마우스는 히스타민에 민감하게 가려움 반응을 보이고, C48/80 (condensation product of N-methyl-p-methoxyphenethylamine with formaldehyde, Sigma, 미국)은 결합조직과 피부 비만세포를 자극하여 히스타민 등과 같은 매개물질들을 방출시켜 가려움을 유발시키는 물질로서 사람에서도 피내투여시 가려움을 유발시킨다(Rukwied et al., 2000, Br. J. Pharmacol., 142, pp1114-1120). 그래서 본 실험은 ICR 마우스에서 C48/80으로 가려움을 유발시켜 실험하였다. 실험 하루 전 웅성 ICR 마우스(체중 28 - 32 g, 4 - 11마리/군) 등쪽의 털을 제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약물(화합물 1, 50 ㎕/마우스)은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HP-β-CD; 미쯔비시주식회사, 일본)에 용해시키고, C48/80(50 ㎍/50 ㎕/마우스)은 생리식염수에 용해시켜 동시에 등쪽에 피내투여하였다. 투여하자마자 투명한 케이지에 넣고 60분간 마우스 뒷다리로 투여 부위를 긁는 횟수를 세었다. C48/80만 투여한 대조군의 긁는 행동 횟수와 비교하여 약물 투여군에서의 긁는 행동 횟수의 감소를 가려움 억제효능의 지표로 삼았다. 긁는 행동 횟수의 감소를 %저해도로 계산하여 각 화합물의 가려움 억제 효능을 나타내었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 1은 용량 의존적으로 강력한 항소양효능을 발휘하였다. 그러나 1세대 항히스타민제인 클로르페니라민은 억제 효능이 없었다.
Figure 112005045493846-PAT00003
[실험예 2]
BALB/C 마우스에서 컴파운드48/80(C48/80) 유도성 가려움 실험(경구투여)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서 C48/80에 의한 가려움이 히스타민(H1) 수용체 길항제에 의해 억제되지 않는데 이는 아토피 환자에서 히스타민 이외 다른 가려움 유발 물질이 관여함을 나타낸다(Wahlgren et al., 1991, Acta Derm.-Venereol., Suppl. 165, pp1-53). 동물종에 따라 가려움 유발 물질에 대해 긁는 정도가 다른데 BALB/C 마우스가 ICR 마우스보다 히스타민이나 세로토닌에 대한 반응이 더 적다고 보고되어 있다(Inagaki et al., 2001, Skin Pharmacol. Appl. Skin Physiol., 14, pp87-96). 이것으로 BALB/C 마우스에서 C48/80에 의한 가려움이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서 가려움과 유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실험은 BALB/C 마우스에서 C48/80으로 가려움을 유발시켜 실험하였다. 실험 하루 전, BALB/c 마우스(체중 19 - 21 g, 6 - 12 마리/군) 등쪽의 털을 제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화합물 1은 HP-β-CD에 용해시키고, 화합물 2 및 화합물 3은 10% 에탄올, 10% Tween80이 포함된 생리식염수 용액에 용해시켜 경구투여하였고(10 ml/kg), 1시간 후 C48/80(50 ㎍/50 ㎕/마우스)은 생리식염수에 용해시켜 등쪽에 피내투여 하였다. 투여하자마자 투명한 케이지에 넣고 30분간 마우스 뒷다리로 투여 부위를 긁는 횟수를 세었다. C48/80만 투여한 대조군의 긁는 행동 횟수와 비교하여 약물 투여군에서의 긁는 행동 횟수의 감소를 가려움 억제 효능의 지표로 삼았다. 긁는 행동 횟수의 감소를 %저해도로 계산해 각 화합물의 가려움 억제 효능을 나타내었다. 표 2, 3,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 화합물 1 내지 3은 용량 의존적으로 항소양효능을 발휘하였다. 그러나 1세대 항히스타민제인 클로르페니라민과 진정작용이 없는 2세대 항히스타민제인 케토티펜은 유의한 억제 효능을 나타내지 않았다.
Figure 112005045493846-PAT00004
투여용량 (mg/kg, 경구투여) % 저해도 (mean ± SE)
화합물 2 (3) 0.89 ± 7.23
화합물 2 (10) 7.42 ± 10.43
화합물 2 (30) 44.53 ± 11.07
투여용량 (mg/kg, 경구투여) % 저해도 (mean ± SE)
화합물 3 (3) 8.21 ± 5.82
화합물 3 (10) 11.78 ± 15.26
화합물 3 (30) 38.76 ± 7.77
[실험예 3]
ICR 마우스에서 히스타민 유도성 가려움 실험(경구투여)
설치류의 경우 일반적으로 히스타민에 의한 가려움 반응이 사람에 비해 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Kuraishi et al., 1995, Eur. J. Pharmacol. 275, pp229-233). 하지만 ICR 마우스의 경우 특이하게 히스타민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가려움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aekawa et al., 2000, Jpn. J. Pharmacol. 84, pp462-466). 히스타민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대표적인 가려움 매개물질로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실험에서도 명백하게 가려움을 유발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Simone et al., 1987, Somatosens. Res. 5, pp81-92). 따라서 본 실험은 ICR 마우스에서 히스타민으로 가려움을 유발시켜 실험하였다. 실험 하루 전, 웅성 ICR 마우스(체중 28-32g, 5-8마리/군) 등쪽의 털을 제거하고 18시간 절식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약물(화합물 1, 0.5 ㎖/마우스)은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HP-β-CD; 미쯔비시주식회사, 일본)에 녹인 다음 경구투여하였다. 경구투여 1시간 후에 히스타민(100 nmol/50 ㎕/마우스)을 생리식염수에 녹여 마우스의 등쪽에 피내투여하였다. 투여 즉시 투명한 관찰용 케이지에 넣고 30분간 마우스 뒷다리로 투여 부위를 긁는 횟수를 측정하였다. 히스타민만 투여한 대조군의 긁는 행동 횟수와 비교하여 약물 투여군에서의 긁는 행동 횟수의 감소를 가려움 억제효능의 지표로 삼았다. 긁는 행동 횟수의 감소를 %저해도로 계산하여 각 화합물의 가려움 억제 효능을 나타내었다. 표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 1은 용량 의존적으로 강력한 항소양효능을 발휘하였다. 마찬가지로 항히스타민작용, 호산구 억제작용, 비만세포 안정화작용의 3중작용을 통해 소양성 질환에 탁월한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아젤라스틴도 용량 의존적으로 강력한 항소양 효능을 발휘하였다.
투여용량 (mg/kg, 경구투여) % 저해도 (mean ± SE)
화합물 1 (10) 39.8 ± 18.1
화합물 1 (30) 46.7 ± 24.0
화합물 1 (100) 75.8 ± 26.9
염산염 아젤라스틴(1) 63.7 ± 26.6
염산염 아젤라스틴(10) 91.7 ± 6.8
[실험예 4]
ICR 마우스에서 타크로리무스 유도성 피부자극 억제 실험(피하투여)
타크로리무스는 간이나 신장 이식 시 널리 사용되는 면역억제제이다(Lawrence, 1998, Dermatol. Ther., 5, pp74-84). 최근에는 아토피 피부염(Wollenberg et al., 2001, J. Allergy. Clin. Immunol., 107, pp519-525), 건선(Nasr, 2000, Clin. Exp. Dermatol., 25, pp250-254), 알러지성 접촉성 피부염(Lauerma et al., 1992, Lancet, 340, p556) 등과 같은 피부질환 연고제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사람의 자극성 접촉성 피부염 모델에서는 자극감을 증가시킨다고 보고하였다(Fuchs et al., 2002, Contact dermatitis, 46, pp290-294). 그리고 피부질환 환자들에서 사용 초기에 발적감, 가려움, 홍반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Gupta et al., 2002, JEADV, 16, pp100-114; Gupta and Chow, 2003, JEADV, 17, pp493-503). 동물실험에서 타크로리무스에 의한 피부 자극감 실험모델이 알려져 있지 않아 피부자극 물질인 타크로리무스를 직접 ICR 마우스에 피내투여하여 긁는 행동을 관찰하였다. 실험 하루 전 웅성 ICR 마우스(체중 30 - 33 g, 10마리/군) 등쪽을 제모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약물(화합물 1, 50 ㎕/마우스)은 28%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HP-β-CD; 미쯔비시주식회사, 일본)에 용해시키고, 타크로리무스(50 ㎍/50 ㎕/마우스, 씨플라주식회사, 인도)는 5% 에탄올, 5% Tween80을 포함한 생리식염수 용액에 용해시켜 동시에 등쪽에 피하투여하였다. 투여하자마자 투명한 케이지에 넣고 30분간 마우스 뒷다리로 투여 부위를 긁는 횟수를 세었다. 타크로리무스 투여군의 긁는 행동 횟수와 비교하여 약물 투여군에서 긁는 행동 횟수의 감소를 피부자극 억제 효능의 지표로 삼았다. 긁는 행동 횟수의 감소를 %저해도로 계산하여 각 화합물의 피부자극 억제 효능을 나타내었다. 타크로리무스 투여군은 대조물질 투여군보다 유의성 있게 피부자극을 증가시켰다.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 1은 용량 의존적으로 피부자극 억제 효능을 발휘하였다.
투여용량 (mg/마우스, 피하투여) % 저해도 (mean ± SE)
화합물 1 (0.1) 33.74 ± 37.73
화합물 1 (0.3) 52.03 ± 24.14
화합물 1 (1) 106.91 ± 30.13
[실험예 5]
뉴질랜드 흰 토끼에서 레티노익산 유도성 피부자극 억제 실험(국소투여)
레티노익산의 경우 피부 각질층 분화 촉진, 여드름 치료, 주름 개선 효과 등의 여러 가지 탁월한 피부 효능으로 인해 화장품과 의약품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Fisher et al., 1998, J. Investig. Dermatol., 3, pp61-68). 하지만 레티노익산을 피부에 국소적으로 적용할 경우 초기에 자극감을 유발하고 더 나아가 피부 홍반과 부종을 유발하는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Varani et al., 2003, Arch. Dermatol. Res., 295, pp255-262). 따라서 레티노익산의 이러한 피부자극을 줄이기 위한 시도가 다방면으로 진행되고 있다(Kim et al., 2003, Toxicol. Letters., 146, pp65-73). 뉴질랜드 흰 토끼의 경우 여러 피부자극 물질에 대한 반응성이 우수하고 개체차이가 적어 피부자극 실험에 널리 쓰이고 있다. 따라서 본 실험은 뉴질랜드 흰 토끼에서 레티노익산으로 피부자극을 유발시켜 실험하였다. 실험 하루 전, 웅성 뉴질랜드 흰 토끼(체중 2.0-2.5kg, 4마리) 등쪽의 털을 제거하고 실험에 사용하였다. 제모한 토끼의 등에 마리 당 2개씩 대칭되는 4개의 적용 부위(오른쪽 상부-왼쪽 상부, 오른쪽 하부-왼쪽 하부)를 표시하였다. 이 4개의 적용 부위에 모두 0.025% 레티노익산(retinoic acid; 시그마, 미국) 100 ㎕를 국소로 적용하였다. 적용 30분 후에, 대칭되는 적용 부위의 한쪽에는 약물(화합물 1, 1%/100 ㎕/적용부위)을 다른 쪽에는 용매(100 ㎕/적용부위)만 처리하였다. 레티노익산과 약물은 모두 PEG400과 에탄올 혼합용액(7:3)에 녹인 다음 각각 1일 2회 4일간 국소 적용하고, 5일째 적용 부위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피부자극 정도를 관찰하였다. 피부자극은 누적자극지수로 나타내고, 레티노익산(0.025%/100 ㎕/적용부위)과 용액만 처리한 대조군의 누적자극지수를 기준으로, 레티노익산과 약물을 모두 처리한 실험군의 누적자극지수 감소를 %저해도로 계산하여 피부자극 억제효능의 지표로 삼았다. 누적자극지수는 홍반을 기준으로 삼았으며, 홍반이 없는 경우(0), 눈으로 식별이 가능한 미약한 홍반(1), 명료한 홍반(2), 붉은색이 진한 홍반(3), 심홍색의 강한 홍반과 가피형성(4)의 5단계로 나누어 점수를 부과하였다.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 1은 피부자극 억제 효능을 발휘하였다.
투여용량 (100μl/적용부위) 누적자극지수(mean ±SE) % 저해도(mean)
레티노익산(0.025%) + 용매 3.13 ± 0.68 0%
레티노익산(0.025%) + 화합물 1(1%) 1.88 ± 0.45 40%
상기의 시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그의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은 항소양 효능 또는 피부자극 억제 효능을 나타냄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제제예 1
하기 표 8 에 나타난 성분 및 함량에 기준하여 화합물 1, 2 또는 3을 용제에 용해시킨 후 여기에 나머지 성분을 가하고 균질하게 혼합하여 외용 약제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5045493846-PAT00005
제제예 2
하기 표 9에 나타난 성분을 그에 해당하는 함량으로 사용하여 상기 제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제화하였다.
Figure 112005045493846-PAT00006
제제예 3
하기 표 10에 나타난 성분을 그에 해당하는 함량으로 사용하여 상기 제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제화하였다.
Figure 112005045493846-PAT00007
제제예 4
하기 표 11에 나타난 성분을 그에 해당하는 함량으로 사용하여 상기 제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제화하였다.
Figure 112005045493846-PAT00008
제제예 5
하기 표 12에 나타난 성분을 그에 해당하는 함량으로 사용하여 상기 제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제화하였다.
Figure 112005045493846-PAT00009
제제예 6
하기 표 13에 나타난 성분을 그에 해당하는 함량으로 사용하여 상기 제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제화하였다.
Figure 112005045493846-PAT00010
제제예 7
하기 표 14에 나타난 성분을 그에 해당하는 함량으로 사용하여 상기 제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제화하였다.
Figure 112005045493846-PAT00011
제제예 8
하기 표 15에 나타난 성분을 그에 해당하는 함량으로 사용하여 상기 제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제화하였다.
Figure 112005045493846-PAT00012
제제예 9
Figure 112005045493846-PAT00013
상기 표 16의 성분으로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즉 화합물 1, 2 또는 3과 유당을 혼합한 후, 에탄올 40mL에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6g을 미리 용해시켜둔 결합액을 첨가하여 연합하였다. 이를 14호체를 통과시켜 건조시킨 후, 18호체를 통과시켜 입자를 고르게 하였다. 여기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과 탈크, 감자전분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최종 정제의 형태로 압축하였다.
제제예 10
성분 함량
화합물 1, 2 또는 3 2 mg
폴리에틸렌 글리콜(M.W. 4,000) 0.3 g
염화나트륨 0.9 g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로올레에이트 0.4 g
나트륨 메타비술피트 0.1 g
메틸파라벤 0.18 g
프로필파라벤 0.02 g
주사용 증류수 잔량
합계 100 g
일정하게 교반하면서 상기의 성분들을 정제수에 모두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멸균 0.2 ㎛ 필터를 통하여 여과하고 바이알에 채워 동결 건조후 마개를 닫아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소양성 또는 자극성 피부질환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4)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오우레아 유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의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함유하는 소양성 또는 자극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igure 112005045493846-PAT00014
    1
    상기 화학식 중 R은 수소,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 탄소수 2 내지 5의 알케닐,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 하이드록시,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메톡시카르보닐 또는 카르복실기를 나타낸다.
  2. 제 1항에 있어서, 화학식 1 중 R이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비닐, 프로페닐,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히드록시,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요오도, 니트로, 시아노, 메톡시 카르보닐 또는 카르복실기인 소양성 또는 자극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이
    1-(4-t-부틸벤질)-3-(3-플루오로-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티오우레아;
    1-(4-t-부틸벤질)-3-(3-클로로-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티오우레아;
    1-(4-t-부틸벤질)-3-(3-메틸-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티오우레아;
    1-(4-t-부틸벤질)-3-(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티오우레아; 또는
    1-(4-t-부틸벤질)-3-(3-비닐-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티오우레아인 소양성 또는 자극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경구투여제, 경피투여제, 외용제, 또는 주사제의 형태로 제제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양성 또는 자극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050075925A 2004-08-19 2005-08-18 티오우레아 유도체를 함유하는 소양성 또는 자극성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eased KR200600175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260 2004-08-19
KR20040065260 2004-08-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571A true KR20060017571A (ko) 2006-02-24

Family

ID=35907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5925A Ceased KR20060017571A (ko) 2004-08-19 2005-08-18 티오우레아 유도체를 함유하는 소양성 또는 자극성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070208080A1 (ko)
EP (1) EP1778248A4 (ko)
JP (1) JP2008509992A (ko)
KR (1) KR20060017571A (ko)
CN (1) CN101010084A (ko)
CA (1) CA2575842A1 (ko)
WO (1) WO20060192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62454A1 (en) * 2006-06-02 2007-12-05 Amorepacific Corporation Novel compounds, isomer thereof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as vanilloid receptor antagonist;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EP3478283A4 (en) * 2016-06-29 2020-07-22 Menlo Therapeutics Inc. USE OF NEUROKININ-1 ANTAGONISTS FOR TREATING VARIOUS PRURIGINAL DISORDER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40682B1 (fr) * 1995-11-06 1997-12-05 Oreal Composition topique contenant de la capsazepine
DE60133743T2 (de) * 2000-08-21 2009-07-02 Pacific Corp. Neue thiourea-derivate und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en die diese enthalten
KR20050039573A (ko) * 2003-10-23 2005-04-29 주식회사 태평양 티오우레아계 유도체의 용해성과 생체이용률이 개선된약제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78248A4 (en) 2009-08-12
US20070208080A1 (en) 2007-09-06
CN101010084A (zh) 2007-08-01
WO2006019280A1 (en) 2006-02-23
EP1778248A1 (en) 2007-05-02
CA2575842A1 (en) 2006-02-23
US20080255238A1 (en) 2008-10-16
JP2008509992A (ja) 200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300727B2 (en) Use of Pirlindole for the treatment of diseases which are characterized by proliferation of T-lymphocytes and/or hyperproliferation of keratinocytes in particular atopic dermatitis and psoriasis
KR102202481B1 (ko) 신규 용도
MXPA06002716A (es) Metodos y composiciones para el tratamiento de dolor y otras condiciones mediadas por adrenergicos de alfa-2.
US2022018407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hdac6 inhibitor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itching
Trevisani et al. TRPV1 antagonists as analgesic agents
KR20220123176A (ko) 피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US20030104976A1 (en) Analgesic methods using endothelin receptor ligands
EP3551166B1 (en) Topical phenytoin for use in the treatment of peripheral neuropathic pain
WO2004096216A2 (en) Use of a topical medicament comprising riluzole
KR101018819B1 (ko) 티오우레아 유도체를 함유하는 소양성 또는 자극성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외용제 조성물
EP4257205A2 (en) Treatment of hand eczema
US20080255238A1 (en) Composition containing a thiourea derivative for preventing or treating pruritic or irritant skin diseases
KR20140138958A (ko) 마비성 패류 독
KR101841238B1 (ko) Trpc3의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US11154542B2 (en) Nail lacquer composition containing ciclopirox
CA3191653A1 (en) Mepyramine for use in the topical treatment of neuropathic pain
WO2024148291A1 (en) Raf inhibitor and kras g12c inhibitor combination therapy
HK40015081A (en) Topical phenytoin for use in the treatment of peripheral neuropathic pain
AU2008200878A1 (en) Use of a topical medicament comprising riluz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607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8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8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4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9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4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