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16385A - 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장치 - Google Patents

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6385A
KR20060016385A KR1020040064803A KR20040064803A KR20060016385A KR 20060016385 A KR20060016385 A KR 20060016385A KR 1020040064803 A KR1020040064803 A KR 1020040064803A KR 20040064803 A KR20040064803 A KR 20040064803A KR 20060016385 A KR20060016385 A KR 20060016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starting
auxiliary
phase induction
inductio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4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7424B1 (ko
Inventor
김병택
이성호
박진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4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7424B1/ko
Priority to AU2005203420A priority patent/AU2005203420A1/en
Priority to EP05016777A priority patent/EP1628384A3/en
Priority to US11/202,161 priority patent/US7239109B2/en
Priority to RU2005126040/09A priority patent/RU2309515C2/ru
Priority to JP2005236400A priority patent/JP2006060999A/ja
Publication of KR20060016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6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7/00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Asynchronous induction generators
    • H02K17/02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 H02K17/04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for single phase current
    • H02K17/08Motors with auxiliary phase obtained by externally fed auxiliary windings, e.g. capacitor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1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42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single-phase induction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1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42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single-phase induction motor
    • H02P1/44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single-phase induction motor by phase-splitting with a capacitor
    • H02P1/445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single-phase induction motor by phase-splitting with a capacitor by using additional capacitors switched at start u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5/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 H02P25/02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motor
    • H02P25/04Single phase motors, e.g. capacitor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8Layout of windings or of connections between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And Converter Starters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 Ind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장치는 주권선과, 본권선 및 상기 본권선 끝단으로부터 추가로 권선되는 추가권선으로 이루어져 상기 주권선과 병렬 연결되는 보조권선과, 상기 추가권선의 끝단에 부가 설치되어 상기 보조권선과 직렬로 연결되는 운전 콘덴서와, 상기 본권선의 끝단에서 이어진 결선에 설치되어 상기 운전 콘덴서와 병렬로 연결되는 기동보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전동기의 기동 초기에는 상기 본권선 끝단으로부터 기동보조장치로 전류의 대부분이 흘러가도록 하여 상기 전동기의 기동토크를 크게 가져갈 수 있고, 전동기의 정상상태 운전시에는 상기 기동보조장치로의 전류유입을 차단하고 상기 추가권선으로 전류가 인가되도록 하여 전동기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단상 유도 전동기, 주권선, 보조권선, 운전 콘덴서, 기동보조장치

Description

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장치{Moving equipment for Single-phase induction motor}
도 1는 일반적인 단상 유도 전동기의 회로도,
도 2은 일반적인 단상 유도 전동기의 보조권선 결선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장치의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장치에서의 보조권선 결선도,
도 5는 보조권선 수에 따른 기동성능을 비교한 그래프,
도 6은 보조권선 수에 따른 전동기의 효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60 : 회전자 90 : 기동보조장치
S1 : 보조권선 S11 : 본권선 S12 : 추가권선
본 발명은 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동기에 적용되는 보조권선과 기동보조장치의 결선방법을 개선하여 전동기의 초기 운전시의 기동토크 성능 및 정상상태 운전시의 효율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상 유도 전동기는 주권선 및 보조권선이 장착된 고정자와 영구자석, Al도체 또는 철심으로 형성된 회전자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자에 장착된 권선에 주기적인 전류의 변화를 발생시켜 전류 변화에 따른 자계의 일정한 변화에 의해 상기 회전자에 토크가 발생하여 회전 동력을 얻어내는 장치를 말한다.
그러나 가정용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상 교류 전원이 상기 전동기에 인가되는 경우, 상기 유도 전동기는 권선의 축의 방향으로 크기가 변화하는 교번자계가 발생할 뿐이므로 회전력을 발생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일단 모터를 기동시키기 위해 기동장치를 설치하게 되는데 콘덴서 운전형 기동장치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는 일반적인 단상 유도 전동기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 1에 따르면 일반적인 단상 유도 전동기는 주권선(M) 및 보조권선(S)과, 상기 보조권선(S)에 직렬로 연결된 운전콘덴서(Cr) 및 상기 운전콘덴서(Cr)에 병렬로 연결된 PTC(Positive Thermal Coefficent) 등의 기동보조장치(50)로 구성되며, 상기 권선 사이에 도시된 원형 형상은 회전자(20)를 나타낸다.
상기 구성에 따른 단상 유도 전동기의 동작에 관해 설명하면, 상기 전동기에 전원(E)이 인가되는 경우 주권선(M)으로의 전류 유입(Im)에 따라 상기 주권선(M)에 교번자계가 발생하며, 상기 보조권선(S)에는 운전 콘덴서(Cr)에 의해 위상이 변화된 전류(Ia)가 유입됨에 따라 상기 교번자계와 전기적으로 다른 위상을 갖는 보조자계가 발생하는데, 상기 보조자계는 상기 위상이 다른 교번자계에 대해 회전자계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회전자가 회전할 수 있도록 토크를 형성하게 된다.
특히 상기 도 1의 회로에서 PTC(Positive Thermal Coefficent) 등의 기동보조장치(50)의 경우 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소자로서, 고온의 경우 높은 저항값을 갖고 저온의 경우 낮은 저항값을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단상 유도 전동기의 초기 기동시 PTC(50)의 저항값이 비교적 작은 값을 가지므로 보조권선(S)을 통과한 전류(Ia)는 대부분 PTC(50)를 통과하여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전동기의 기동초기에 기동토크를 증가시키게 된다.
반면,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상기 단상 유도 전동기가 정상상태 운전을 하는 경우에는 PTC(50)의 저항값이 매우 큰 값을 갖게되어 상기 PTC를 잇는 결선이 차단되므로 상기 보조권선(S)을 통과한 전류(Ia)는 운전 콘덴서(Cr)를 통하여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주권선(M), 보조권선(S) 및 운전 콘덴서(Cr)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과 상기 회전자(20)의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자(20)는 동기속도로 회전을 하게 된다.
도 2는 일반적인 단상 유도 전동기의 보조권선의 결선을 도시한 도이다. 다수의 슬롯(1-14, 1'-14')을 갖는 고정자(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단상 유도 전동 기에서 코일을 상기 슬롯(1-14, 1'-14')을 통해 권선하여 주권선 및 보조권선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도 2는 슬롯 12에서 코일의 권선을 시작하여 슬롯 3, 슬롯 11, 슬롯 4 등으로의 방향으로 권선한 n3-n7의 보조권선과, 슬롯 12'에서 시작하여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n3'-n7'의 다른 하나의 보조권선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보조권선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두 보조권선의 양단을 병렬연결하여, 상기 병렬연결된 보조권선의 양 끝단을 상기 운전 콘덴서(Cr)에 연결하였고, 상기 PTC(50)는 운전 콘덴서(Cr)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로 인가되는 전류에 따른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자(20)는 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회전력이 외부로 전달되도록 샤프트(40)가 상기 회전자(20)의 축방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단상 유도 전동기의 경우 효율성능과 함께 초기 기동성능이 상기 전동기의 성능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데, 상기 효율성능 및 초기 기동성능은 특히 보조권선의 권선수에 의해 좌우된다. 즉, 보조권선의 권선수가 많아지는 경우 상기 전동기의 효율성능은 높아지게 되나 초기 기동성능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반대로 보조권선의 권선수가 적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전동기의 효율성능이 낮아지는 반면에 초기 기동성능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방식의 단상 유도 전동기의 경우 상기 보조권선은 상기 전동기의 기동초기부터 운전 종료시까지의 동작기간 동안 일정한 권선수를 가지며 동작하므로, 상기 초기 기동성능 및 효율성능을 동시에 적절히 만족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동기의 동작기간 동안 상기 전동기의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보조권선의 권선수가 적절히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전동기의 초기 기동성능 및 효율성능을 동시에 적절히 만족시킬 수 있는 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장치는, 주권선과, 본권선 및 상기 본권선 끝단으로부터 추가로 권선되는 추가권선으로 이루어져 상기 주권선과 병렬 연결되는 보조권선과, 상기 추가권선의 끝단에 부가 설치되어 상기 보조권선과 직렬로 연결되는 기동 콘덴서와, 상기 본권선의 끝단에서 이어진 결선에 설치되어 상기 기동 콘덴서와 병렬로 연결되는 기동보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기동보조장치는 전동기의 운전 상태에 따라 본권선을 경유한 전류의 방향이 변화하도록 상기 전동기의 초기 기동시에 높은 등가저항값을 갖고, 정상상태 운전시에 낮은 등가저항값을 갖는 가변 등가저항 소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 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장치의 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장치는 주자계를 발생시키는 주권선(M1)과, 상기 주권선(M1)과 병렬로 연결되어 보조자계를 발생시키는 보조권선(S1)과, 상기 보조권선(S1)에 직렬로 연결되어 보조권선(S1)으로 유입되는 전류 및 상기 보조자계의 위상을 주권선에 흐르는 전류 및 주자계와 각각 소정의 차이를 갖도록하는 운전 콘덴서(Cr)와, 상기 운전 콘덴서(Cr)와 병렬로 연결되는 기동보조장치(90)로 구성되어진다.
특히 상기 보조권선(S1)은 본권선(S11)과, 상기 본권선(S11)의 끝단으로부터 추가로 이어져 권선되는 추가권선(S12)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추가권선(S12)은 상기 본권선(S11)을 형성하기 위해 코일이 권선되는 다수의 슬롯중에서, 상기 본권선의 끝단이 권선된 슬롯에서 시작하여 추가적인 코일을 더 권선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도에 따르면 추가권선(S12)은 슬롯 7과 슬롯 8을 통해 반복하여 권선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추가권선(S12)을 본권선(S11)과 연결하여 다수의 턴수를 갖도록 하면 상기 보조권선(S1)의 권선수를 증가시킬 수 있어 상기 전동기의 정상상태 운전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데, 특히 상기 본권선(S11) 및 추가권선(S12)은 상기 본권선(S11)의 끝단을 추가권선(S12)과 탭으로 처리하여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원(E)이 인가됨에 따라 주권선 및 보조권선에는 각각 전류 Im, Ia가 유입되는데, 특히 상기 기동보조장치(90)의 경우 전동기의 초기 동작시 상기 기동 보조장치(90)의 등가저항이 작은 값을 갖도록 하여 보조권선(S1)으로 유입되는 대부분의 전류(Ia)가 본권선(S11)을 지나 상기 기동보조장치(90)로 유입(Ip)되게 하고, 전동기의 정상상태 동작시에는 상기 기동보조장치(90)의 등가저항이 매우 큰 값을 갖도록 하여 상기 보조권선(S1)으로 유입되는 대부분의 전류(Ia)가 본권선(S11)을 지나 추가권선(S12)으로 유입되게 하여 상기 기동보조장치는 차단되어지는 효과를 갖는데, 상기 기동보조장치(90)로 적용될 수 있는 소자는 PTC, 원심스위치 및 릴레이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특히 PTC소자의 경우 온도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소자로서, 상기 전동기의 회전 초기의 낮은 온도에서는 작은 저항값을 갖는 반면에, 상기 전동기가 기동되고 난 후 일정시간 통전이 되면 상기 PTC소자의 온도는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매우 큰 저항값을 갖게 됨으로써 상기 PTC소자가 연결된 결선은 유입전류가 차단되어지는 효과를 얻게 된다.
전동기의 회전 상태에 따라 보조권선(S1)의 권선수가 적절히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전동기의 초기 기동성능 및 효율성능을 높이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보조권선(S1)이 다음과 같이 결선되도록 한다.
상기 보조권선(S1)은 본권선(S11)과 추가권선(S1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추가권선(S12)의 끝단에 운전 콘덴서(Cr)가 부가 설치되어 상기 보조권선(S1)은 운전 콘덴서(Cr)와 직렬로 연결되어지며, 상기 본권선(S11)의 끝단에서 이어진 결선에 상기 PTC 등의 소자형태인 기동보조장치(90)를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추가권선(S12) 및 운전 콘덴서(Cr)가 상기 기동보조장치(90)와 병렬로 연결되도록 한다.
전동기의 초기 기동시에는 상기 PTC가 작은 저항값을 갖게 되므로 보조권선(S1)을 향하여 흐르는 전류는 본권선(S11)을 통과한 뒤 대부분의 전류가 상기 PTC를 경유하여 흐르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전류가 추가되는 권선과는 관계없이 본권선(S11) 부분만 경유하여 진행하므로 코일을 적은 수로 권선하여 형성한 보조권선을 사용하였을 때와 같은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전동기의 초기 기동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동기의 정상상태 운전시에는 PTC의 온도가 상승하여 등가저항값이 매우 큰 값을 가짐에 따라 PTC는 이와 연결된 결선이 대략 차단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 본권선(S11)을 경유하여 PTC로 인가되던 전류의 방향이 변화되어 상기 전류는 본권선(S11)의 끝단을 지나 추가권선(S12)을 경유하여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정상상태 운전시에는 전류가 본권선(S11) 및 추가권선(S12)으로 이루어지는 보조권선(S1) 전체를 경유하여 진행하므로 코일을 많은 수로 권선하여 형성한 보조권선을 사용하였을 때와 같은 효과를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전동기의 동작에 관한 효율성능이 높아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장치에서의 보조권선의 결선을 나타내는 도이다.
상기 도 4의 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장치는 회전자(60), 고정자(70), 및 샤프트(8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70)에 형성된 복수개의 슬롯(1-14, 1'-14')에 코일을 권선하여 두 개의 보조권선을 형성하였으며, 상기 두 개의 보조권선은 슬롯 12에서 코일의 권선을 시작하여 슬롯 3, 슬롯 11 등으로의 방향으로 권선한 n3-n7 등의 본권선과, 슬롯 12'에서 권선을 시작하여 슬롯 3', 슬롯 11' 등의 방향으로 권선한 n3'-n7'등의 본권선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두 본권선에 추가하여 상기 코일을 슬롯 7과 슬롯 8을 연결하여 복수번 권선하는 방식으로 추가권선을 형성할 수 있으며, 타측의 본권선에도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슬롯 7'과 슬롯 8'을 연결하여 복수번 권선하는 방식으로 추가권선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에 따르면 각각 본권선 및 추가권선으로 구성되는 두 보조권선은 각 권선의 끝단이 서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병렬연결되어 이와 등가인 하나의 보조권선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상기 하나의 등가 보조권선을 구성하는 추가권선의 끝단(n8, n8')이 운동 콘덴서(Cr)과 연결되고 본권선의 끝단(n7, n7')이 PTC(91)와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보조권선 수에 따른 기동성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며, 도 6은 보조권선 수에 따른 전동기의 효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축은 회전자의 회전속도를 rpm단위로 나타낸 축이며, 세로축은 기동토크를 Nm단위로 나타낸 축이며, 큰 값의 권선수를 갖는 보조권선에 따른 전동기의 기동토크 특성은 실선에 따른 값을 가지며, 적은 값의 권선수를 갖는 보조권선에 따른 전동기의 기동토크 특성은 점선에 따른 값을 갖는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속도에 따른 상기 전동기의 효율면에 있어서 실선 및 점선에 의해 나타나는 특성은 각각 보조권선의 권선수가 크거나 적은 경우에 있어서의 전동기의 특성을 의미한다.
도 5 및 도 6을 종합하면, 상기 보조권선의 권선수를 큰 값으로 적용했을 때, 기동 초기 전동기의 회전속도가 낮은 경우에 있어서 기동토크값은 작은 값을 나타내므로 초기 기동성능은 높지 않으나, 정상상태 운전시의 전동기 효율면에 있어서는 더 높은 값을 갖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보조권선의 권선수를 적게 하였을때는 초기 기동토크에 있어서는 높은 값을 가지나, 정상상태 운전시 전동기 효율면에 있어서는 상기 큰 값의 권선수를 갖는 보조권선을 적용하였을 때보다 불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본권선에 추가로 코일을 권선한 추가권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조권선을 적용하고, 기동 초기 및 정상상태 운전시 PTC 등으로 적용되는 기동보조장치를 상기 본권선의 끝단에 연결하는 구성을 취함으로써 상기 전동기의 초기 기동시에는 보조권선의 권선수가 적은 값의 효과를 내고, 정상상태 운전시에는 보조권선의 권선수가 큰 값의 효과를 내도록 하여 상기 전동기의 기동토크 성능 및 효율성능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장치는, 상기 전동기의 초기 기동시에는 보조권선의 권선수가 적은 값의 특성을 갖도록 하고, 정상상태 운전시에는 보조권선의 권선수가 큰 값의 특성을 갖도록 결선함으로써 상기 전동기의 초기 기동성능 및 효율성능을 동시에 적절히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주권선과, 본권선 및 상기 본권선 끝단으로부터 추가로 권선되는 추가권선으로 이루어져 상기 주권선과 병렬 연결되는 보조권선과, 상기 추가권선의 끝단에 부가 설치되어 상기 보조권선과 직렬로 연결되는 운전 콘덴서와, 상기 본권선의 끝단에서 이어진 결선에 설치되어 상기 운전 콘덴서와 병렬로 연결되는 기동보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권선을 이루는 본권선 및 추가권선은 상기 본권선의 끝단이 추가권선의 일단과 탭으로 처리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보조장치는 전동기의 운전 상태에 따라 본권선을 경유한 전류의 방향이 변화하도록 상기 전동기의 초기 기동시에 높은 등가저항값을 갖고, 정상상태 운전시에 낮은 등가저항값을 갖는 가변 등가저항 소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보조장치는 PTC(Positive Thermal Coeffice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보조장치는 원심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보조장치는 릴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장치.
KR1020040064803A 2004-08-17 2004-08-17 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장치 KR100707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803A KR100707424B1 (ko) 2004-08-17 2004-08-17 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장치
AU2005203420A AU2005203420A1 (en) 2004-08-17 2005-08-02 Single-phase induction motor
EP05016777A EP1628384A3 (en) 2004-08-17 2005-08-02 Single-phase induction motor
US11/202,161 US7239109B2 (en) 2004-08-17 2005-08-12 Single-phase induction motor
RU2005126040/09A RU2309515C2 (ru) 2004-08-17 2005-08-16 Однофазный индукционный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ь
JP2005236400A JP2006060999A (ja) 2004-08-17 2005-08-17 単相誘導電動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803A KR100707424B1 (ko) 2004-08-17 2004-08-17 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385A true KR20060016385A (ko) 2006-02-22
KR100707424B1 KR100707424B1 (ko) 2007-04-13

Family

ID=36102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803A KR100707424B1 (ko) 2004-08-17 2004-08-17 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39109B2 (ko)
EP (1) EP1628384A3 (ko)
JP (1) JP2006060999A (ko)
KR (1) KR100707424B1 (ko)
AU (1) AU2005203420A1 (ko)
RU (1) RU2309515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70015A (zh) * 2017-03-22 2017-08-18 安徽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电机和具有其的压缩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51646A1 (de) * 2005-10-26 2007-05-10 Otto Bock Healthcare Ip Gmbh & Co. Kg Verfahren zur Überprüfung der Einstellung eines Prothesenkniegelenks
KR101198235B1 (ko) * 2006-05-02 2012-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의 기동 제어 장치 및 방법
US7741803B2 (en) 2006-10-25 2010-06-22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2-phase SRM
KR20100058343A (ko) * 2008-11-24 2010-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상 유도 모터
WO2012088447A1 (en) * 2010-12-24 2012-06-28 Marc Henness Electrical circuit for controlling electrical power to drive an inductive load
US20130241366A1 (en) * 2012-02-27 2013-09-19 Daniel Kee Young Kim High torque/high efficiency winding motor
CN103580413A (zh) * 2013-11-01 2014-02-12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单相感应电机、压缩机和空调器
CN113315445B (zh) * 2021-06-04 2023-05-09 上海儒竞智控技术有限公司 Spim电机驱动电路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286A (en) * 1870-09-13 Improvement in registering weighing-scales
US3303402A (en) * 1964-01-09 1967-02-07 Phillips Petroleum Co Single phase induction motor
JPS5111282B2 (ko) * 1972-02-28 1976-04-10
DE2627835B1 (de) * 1976-06-22 1977-10-13 Danfoss As Einphasen-asynchronmotor
US4107583A (en) * 1977-04-07 1978-08-15 General Electric Company Dynamoelectric machine winding arrangements, dynamoelectric machines incorporating same and methods of operating such dynamoelectric machines
US4322665A (en) * 1979-07-09 1982-03-30 Emerson Electric Co. Two speed single phase motor
JPS5612875A (en) 1979-07-12 1981-02-07 Sanyo Electric Co Ltd Single-phase induction motor
US4387330A (en) * 1980-09-19 1983-06-07 General Electric Company Balanced single phase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motor
US4388581A (en) * 1981-05-18 1983-06-14 General Electric Company Dynamoelectric machine
JPS5910193A (ja) 1982-07-07 1984-01-19 Hitachi Ltd コンデンサモ−タ
JPH01268468A (ja) * 1988-04-15 1989-10-26 Sanyo Electric Co Ltd 単相誘導電動機
DE58906048D1 (de) * 1989-08-11 1993-12-02 Siemens Ag Einphasen-Asynchronmotor.
KR940001811Y1 (ko) 1991-07-26 1994-03-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에지검출 슈퍼임포즈 회로
BR0106545A (pt) * 2001-12-06 2002-06-18 Weg S A Motor elétrico monofásico de duas velocidades com sistema de enrolamento aperfeiçoado
JP2003189564A (ja) * 2001-12-18 2003-07-04 Fujitsu General Ltd 誘導電動機
KR20050108640A (ko) * 2004-05-12 2005-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콘덴서 운전형 단상 유도 전동기
EP3463153B1 (en) * 2016-05-27 2024-06-26 MAKO Surgical Corp. Preoperative planning of a resection plane and a checkpoint position for use with a navigation system
KR200495295Y1 (ko) * 2017-10-12 2022-04-19 김태연 이탈방지구를 갖는 볼체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70015A (zh) * 2017-03-22 2017-08-18 安徽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电机和具有其的压缩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38528A1 (en) 2006-02-23
RU2309515C2 (ru) 2007-10-27
EP1628384A2 (en) 2006-02-22
JP2006060999A (ja) 2006-03-02
KR100707424B1 (ko) 2007-04-13
AU2005203420A1 (en) 2006-03-09
EP1628384A3 (en) 2006-07-05
US7239109B2 (en) 2007-07-03
RU2005126040A (ru) 2007-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75718B (en) Method of starting an electric brushless rotating machine for driv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2401803B1 (en) Two conductor winding for an induction motor circuit
US6930464B2 (en) Driving circuit for improving starting of hybrid induction motor and method thereof
JPS61164450A (ja) 同期交流モ−タ
KR20060016385A (ko) 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장치
JP2003189672A (ja) ブラシレス回転電機の始動方法
JP2001169517A (ja) コンデンサ電動機
KR100421394B1 (ko) 단상 캐패시터 분상형 동기 전동기
JP2003189675A (ja) 内燃機関駆動用ブラシレス回転電機の始動方法
KR20100058343A (ko) 단상 유도 모터
KR100698218B1 (ko) 하이브리드 인덕션 모터의 구동회로
KR100593542B1 (ko) 캐패시터 운전형 하이브리드 인덕션 모터의 구동장치
JP4046266B2 (ja) 内燃機関駆動用ブラシレス回転電機の始動方法
US6741061B2 (en) Efficient stator
JP2000083390A (ja) 同期モータ
EP1804369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arying speed of hybrid induction motor
JP7580629B2 (ja) 磁気ギアードモーターおよび磁気ギアードモーターの製造方法
JP2000125580A (ja) 同期モータ
KR100681573B1 (ko) 콘덴서 기동형 단상 유도 모터의 권선 방법 및 그 방법에따른 고정자 구조
SU205131A1 (ru) Однофазный реверсивный асинхронный двигатель
KR100511273B1 (ko) 쉐이딩 코일형 단상유도전동기의 구동장치
KR20060111303A (ko) 공기조화기의 팬모터 구동장치
KR100662431B1 (ko) 단상 유도 모터의 기동장치와 이를 구비한 단상 유도 모터
KR100517740B1 (ko) 무정류자 직류 전동기의 회전자 구조
JPH01202186A (ja) 分相始動単相誘導電動機の始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4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