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5265A - 제제의 폐 투여 방법 - Google Patents
제제의 폐 투여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15265A KR20060015265A KR1020057021955A KR20057021955A KR20060015265A KR 20060015265 A KR20060015265 A KR 20060015265A KR 1020057021955 A KR1020057021955 A KR 1020057021955A KR 20057021955 A KR20057021955 A KR 20057021955A KR 20060015265 A KR20060015265 A KR 200600152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posome
- ciprofloxacin
- liposomes
- formulation
- therapeut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7—Pulmonary tract; Aromatherapy
- A61K9/0073—Sprays or powders for inhalation; Aerolised or nebulised preparations generated by other means than thermal energy
- A61K9/0078—Sprays or powders for inhalation; Aerolised or nebulised preparations generated by other means than thermal energy for inhalation via a nebulizer such as a jet nebulizer, ultrasonic nebulizer, e.g. in the form of aqueous drug solutions or disper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Synthetic bilayered vehicles, e.g. liposomes or liposomes with cholesterol as the only non-phosphatidyl surfacta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Synthetic bilayered vehicles, e.g. liposomes or liposomes with cholesterol as the only non-phosphatidyl surfactant
- A61K9/1271—Non-conventional liposomes, e.g. PEGylated liposomes or liposomes coated or grafted with poly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대상에게 치료제 또는 진단제를 투여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 방법은 (i) 친수성 폴리머로 유도된 소포-형성 지질 및 (ii) 중성 리포폴리머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소포-형성 지질로 구성되고, 치료제 또는 진단제와 결합된 리포좀 현탁액을 제공하고; 상기 리포좀 현탁액의 에어로졸을 형성하며; 흡입에 의해 상기 에어로졸을 대상(subject)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리포좀 제제는 투여 후, 폐내에서 중성구 또는 마크로파지 세포수를 측정할 때 면역 반응의 자극이 관찰되지 않고, 대상의 기도로 완전한(intact) 리포좀성 입자를 송달하여 치료제의 데포를 형성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료제 또는 진단제를 대상의 기도에 송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면역 반응의 유발 없이 리포좀 입자와 결합된 그러한 제제를 송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흡입을 통한 약물 송달은 직접 송달의 장점을 지니고 많은 치료제의 독성을 최소화시키는 편리하고 손쉬운 투여 경로이다. 이러한 투여 방법은 염증성 및 섬유성 폐질환, 기도 감염, 폐암 및 낭포성 섬유증을 포함하는 다수의 증상에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폐는 또한 전신 투여를 위한 작은 마이크로-분자의 통상의 관문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흡입은 송달과 관련하여 많은 장점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투여 관문인 폐는 자극제에 민감하다. 치료제, 소분자 및 마이크로분자 모두, 및 진단제는 폐조직에 투여시, 중대한 자극 및/또는 독성을 일으킬 수 있다. 폐조직에 외부 물질을 투여함에 따라 개시되는 면역반응은 즉각적으로 폐기능을 손상시키고, 만성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폐내에는 점막섬모의 이동(mucociliary escalator), 세포적 면역 반응, 및 보체 작용과 같은 면역원성을 유도하는 물질을 제거하는 메카니즘의 숙주가 있는 반면, 이들 메카니즘은 또한 면역 자극과 관계가 있다. 마크로 파지 및 사이토카인의 활성에 의해 매개되는 폐염증의 장기간 효과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폐기능 저하 및 지속적 기관지수축을 일으키는 폐섬유증 및 점액 과다분비를 포함할 수 있다 (Zhang, -H. J. 등, Immunology 101 (4): 501, (2000)).
폐포성 마크로파지에 의한 탐식작용(phagocytosis)의 활성은 폐로의 자극제의 직접 투여에 따른 염증 과정의 첫번째 단계이다. 이것은 선천성 및 후천성 면역 모두를 일으키는 면역적 결과의 캐스케이드로 이끌 수 있다. 마크로파지 활성의 첫번째 결과의 하나는 TNFα, IL-1 β, IL-6, MCP- 1과 같은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의 생성, 부착물질의 자극뿐만 아니라 NO 및 활성산소종의 분비 등이다 (de Haan, A. 등, Immunology, 89 (4): 488 (1996); Lentsch, A. B., 등, Am. J. Respir. Cell Mol. Biol., 20 (4): 692 (1999)). 이들 효과기 분자는 다른 면역세포, 주로 중성구를 폐로 동원하고 자극한다. 마크로파지 및 중성구의 동원 및 활성화는 세포 부산물 방출 및 혈관확장의 결과로써 조직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Phan, S. H.등, Exp. Lung Res., 18(1) : 29 (1992)).
흡입에 의해 염증성 또는 면역성 효과를 유도하지 않는 송달계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이상적으로는, 그러한 송달계는 치료제의 내재 독성을 추가적으로 감소 또는 제거시킬 것이다.
폐송달로의 한가지 접근은 리포좀 내로 치료제를 포획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번호 5,043, 165; 5,958, 378; 6,090, 407; 6,103, 746; 6,346, 223; WO 86/06959 참조). 리포좀은 폐로의 송달을 위해 에어로졸화 한다. 그러나, 리포좀 제제의 분야에서 폐로 송달되고 면역 반응을 일으키지 않을 수 있지만, 지속성 방출을 위한 약물의 데포(depot) 저장소를 제공할 필요성이 남아있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로졸 리포좀 운반체 형태인 약제의 흡입을 통해 대상에게 치료제 또는 진단제를 투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 면에서, 본 발명은 (i) 친수성 폴리머로 유도된 소포-형성 지질 및 (ii) 중성 리포폴리머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소포-형성 지질로 구성되고, 치료제 또는 진단제와 결합된 리포좀 현탁액을 제공하고; 상기 리포좀 현탁액의 에어로졸을 형성하며; 흡입에 의해 상기 에어로졸을 대상(subject)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투여 후, 폐내에서 중성구 또는 마크로파지 세포수를 측정할 때 면역 반응의 자극이 관찰되지 않고, 대상의 기도로 완전한(intact) 리포좀성 입자를 송달하여 치료제의 데포를 형성하는, 치료제 또는 진단제를 대상에게 투여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폴리에틸렌 글리콜로 유도된 소포-형성 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이 제공된다. 예시적인 유도된 지질은 디스테아로일-폴리에틸렌 글리콜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리포좀 안에 포획된 치료제를 가진 리포좀을 제공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치료제는 외부의 리포좀 표면과 결합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치료제는 항바이러스제, 항염제, 항균제, 항진균제, 유전자요법제, 및 화학요법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및 특징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수반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읽을 때, 더욱 충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A-1B는 리포폴리머, mPEG-디스테아릴 (도 1A) 및 mPEG-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도 1B)의 화학 구조를 보여준다;
도 2는 Baxter Healthcare 사(Baxter 2083), Invacare 사(SidestreamR), Pari GmBH(Pari LC PlusR), 및 Aerogen 사(AeroNebR)의 네가지 상업적 분무기로부터 발생된 마이크로미터 중에서 리포좀 입자의 스프레이 입자경 분포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리포좀 제제 번호 1 (다이아몬드), 2 (x자 표시), 3 (삼각형), 및 4 (사각형)에 대해 Pari LC PlusR 분무기를 사용하여 에어로졸화한 리포좀 제제의 크기(μm)에 따른 리포좀 제제의 질량비를 보여준다;
도 4는 리포좀 제제 번호 1 (다이아몬드), 2 (x자 표시), 3 (삼각형), 및 4 (사각형)에 대해 시간(시)에 따른 시프로플록사신의 모델 폐 계면활성제(SurvantaR)로 방출되는 퍼센트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유리된 시프로플록사신 (역삼각형), 리포좀 제제 번호 1 (다이아몬드), 2 (x자 표시), 3 (삼각형), 및 4 (사각형)에 대해 시간(분)에 따른 마크로파지로의 시프로플록사신의 흡수(pg/cell)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A는 유리 시프로플록사신 (역삼각형) 및 리포좀 제제 번호 1 (다이아몬드), 2 (x자 표시), 3 (삼각형), 및 4 (사각형)의 쥐의 기관내 투여 후, 시간(분)에 따른 시프로플록사신의 혈장 농도(ng/mL)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B는 유리 시프로플록사신 (역삼각형), 리포좀 제제 번호 1 (다이아몬드), 5 (폐쇄된 원), 및 6 (개방된 원)의 쥐의 기관내 투여후, 시간(분)에 따른 시프로플록사신의 혈장 농도(ng/mL)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A-7B는 시프로플록사신 리포좀 제제 번호 1-4 및 유리 시프로플록사신의 기관내 주입 후, 48시간동안, 쥐의 폐에서의 시프로플록사신의 농도를 보여주는 막대 그래프이고, 도 7A 및 7B는 단지 y축이 다르다;
도 7C-7D는 시프로플록사신 리포좀 제제 번호 1,6, 및 7, 및 유리 시프로플록사신의 기관내 주입 후, 48시간동안, 쥐의 폐에서의 시프로플록사신의 농도를 보여주는 막대 그래프이고, 도 7C 및 7D는 단지 y축이 다르다; 및
도 8A-8H는 형광 현미경 하에서 관찰한, 인산 완충 식염수(도 8A-8B) ; 양성 대조군, 지모산(도 8C-8D); PEG 표면코팅이 부족한 통상의 리포좀(도 8E-8F); 및 PEG-코팅 리포좀(도 8G-8H)의 내비 투여 후, 마우스로부터 행해진 기관지 폐포 세척으로부터 회복된 세포의 현미경 사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정의
여기서 사용된, 용어 "에어로졸"은 상대적인 대기 안정성을 가지기 위해 충분히 미세한 입자경 및 결과적으로 낮은 침전 속도를 가진 고체 또는 액체 입자의 대기 중의 분산체를 말한다.
"리포좀 에어로졸"은 인간 또는 동물의 기도로의 송달을 위해 의도되는 리포좀의 하나 이상의 입자 또는 하나 이상의 약물 또는 진단제를 포함하는 리포좀이 분산된 수성 액적으로 구성된다. 에어로졸 액적의 크기는 약 1.5-2.5 μm의 기하표준편차를 가진 1-5 μm의 질량 중위 공기역학적 직경(MMAD)이다.
하기 약어가 여기서 사용된다: PEG, 폴리 (에틸렌 글리콜) ; mPEG, 메톡시-PEG; DSPE, 디스테아릴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mPEG-DSPE,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에 공유결합된 mPEG; HSPC, 경화 소이 포스파티딜콜린; mPEG-DS, 디스테아릴에 카바메이트 결합을 통해 공유결합된 mPEG; chol, 콜레스테롤.
리포좀
조성물 및 제제
리포좀은 다양한 치료 목적을 위해, 특히 리포좀의 전신 투여에 의한 표적 지역 또는 세포에 치료제를 운송하기 위해 이용되는 폐쇄 지질 소포이다. 리포좀은 일반적으로 소포-형성지질, 즉, 물 중에서 이중층 소포를 자발적으로 형성하는 지질이 형성된 것이다. 소포-형성 지질은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탄화수소 쇄 및 극성 머리 그룹을 갖는다. 두 개의 탄화수소 쇄가 일반적으로 약 12 내지 약 24개의 탄소 원자 길이이고 다양한 정도의 불포화도를 갖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합성 소포-형성 지질 및 천연-발생 소포-형성 지질이 있다. 그 예는 포스파티딜콜린 (PC),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PE), 포스파디드산 (PA), 포스파티딜이노시톨 (PI), 및 스핑고미엘린 (SM)과 같은 인지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사용을 위해 바람직한 지질은 경화 소이 포스파티딜콜린 (HSPC)이다. 지질의 또다른 바람직한 패밀리는 디아실글리세롤이다. 이들 지질은 상업적으로 얻거나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소포-형성 지질은 혈청 내에서의 리포좀의 안정성을 조절하기 위한, 그리고 리포좀 내에 포획된 제제의 방출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유동성 또는 강도의 정도를 달성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보다 단단한 지질 이중층 또는 액체 결정 이중층을 갖는 리포좀은 상대적으로 단단한 지질, 예컨대 상대적으로 높은 상 전이 온도, 예컨대 약 80℃이상의 온도를 갖는 지질의 함입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단단한 지질, 즉, 포화된 지질은 지질 이중층 내에서의 보다 큰 막 강도에 기여할 수 있다. 콜레스테롤과 같은 다른 지질 성분 또한 지질 이중층 구조 내의 막 강도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질 이중층 유동성은 액체-결정 상 전이 온도, 예컨대, 실온 또는 그 미만의 온도에(약 20-25℃) 상대적으로 낮은 액체를 갖는 지질의 함입에 의해 달성된다.
리포좀은 스테롤과 같은 지질 이중층 내로 함입될 수 있는 다른 성분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다른 성분은 일반적으로 내부와 접촉하는 소수성 부위, 이중층 막의 소수성 지역 및 외부를 향한 극성 머리 그룹 부위, 막의 극성 표면을 갖는다.
본 발명의 리포좀 내의 또다른 지질 성분은 친수성 폴리머로 유도된 소포-형성 지질이다. 이 리포폴리머 성분은 내부 및 외부 지질 이중층 표면 모두에서 친수성 폴리머 쇄로 코팅된 리포좀 표면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약 1-20 몰 퍼센트의 리포폴리머가 지질 조성물 내에 포함된다. 폴리에틸렌 글리콜(PEG)과 같은 친수성 폴리머 쇄의 코팅된 표면을 가진 리포좀은 폴리머 코팅이 부족한 리포좀에 비해 연장된 혈액 순환 기간을 제공하는 약물 송달체로써 바람직하다. 폴리머는 혈액단백에 장애물로 작용하여, 단백질의 결합 및 세망내피계의 마크로파지 및 다른 세포들에 의한 섭취 및 제거를 위한 리포좀의 인식을 방지한다.
소포-형성 지질로의 유도에 적합한 친수성 폴리머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메틸옥사졸린, 폴리에틸옥사졸린, 폴리하이드록시프로필옥사졸린, 폴리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폴리메타크릴아미드, 폴리디메틸아크릴아미드, 폴리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아스파트아미드를 포함한다. 폴리머는 호모폴리머 또는 블록 또는 랜덤 코폴리머로서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친수성 폴리머 쇄는 바람직하게는 약 500 내지 약 10,000 달톤, 바람직하게는 약 1,000 내지 약 5,000 달톤의 분자량을 갖는 PEG 쇄로서의 폴리에틸렌글리콜 (PEG)이다. PEG의 메톡시 또는 에톡시-캡핑된 유사체 또한 바람직한 친수성 폴리머이다. 이들 폴리머는 다양한 폴리머 크기, 예컨대 약 12 내지 약 220,000 달톤의 폴리머 크기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바람직한 리포폴리머는 mPEG-DPSE이다.
리포좀 내에 사용될 다른 리포폴리머는 미국 특허 번호 6,586,001에 기재되고, mPEG-DS로서 언급된 중성 리포폴리머이다. 리포폴리머의 제조 및 특성에 관한 설명은 여기서 참고자료로 삽입된다. 도 1A는 mPEG-DS의 구조를 보여준다. 친수성 폴리머는 카바메이트 결합을 통해 소수성 부분, 디스테아로일에 결합된다. 소수성 부분은 다양한 범위의 소수성 화학종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C18 디아실 쇄는 단지 좋은 예가 되는 것으로 인식될 것이다. 대체적 소수성 화학종은 미국 특허 번호 6,586,001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카바메이트 결합은 단지 좋은 예이며, 다른 결합도 능숙한 화학자에게는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될 것이다. 비교 목적으로, 폴리머가 포스파티딜 머리 그룹에서 소수성 화학종에 결합된 mPEG-DSPE의 구조가 도 1 B에 나타나 있다..
리포좀은 임의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타겟팅 리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리포좀은 치료제 또는 진단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제는 리포좀 내에 포획되거나 지질 또는 친수성 폴리머에 제제를 매어두는 것과 같이 외부 리포좀 표면과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될 것이다. 어떤 치료제 또는 진단제도 적절하며,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특정 질병 또는 상태의 치료제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여기 기재된 리포좀 조성물은 흡입을 통해 투여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흡입 치료를 위해, 송달은 (a) 함기성 분무기(nebulizer)에 의한 희석된 수성 현탁액의 분무주입법, (b) 분말 중에 현탁되고 건조된 리포좀과 함께 분사 용매를 사용한 자장식 분무기(self-contained atomizer)로부터의 분무, (c) 분사제와 함께 건조된 입자의 폐로의 분무 또는 (d) 적절한 장치를 사용한 분말 에어로졸로서 건조된 리포좀의 송달에 의해 달성된다.
폐 송달
본 발명을 지지하기 위해 행해진 연구에서, 6개의 리포좀성 제제가 분석을 위해 제조되었다. 제제의 제조는 실시예 1에서 설명되고, 성분 및 약물 로딩 방법은 표 1에서 요약된다.
표 1: 제제 조성물 및 약물 로딩 방법
제제 번호 1은 Baxter Healthcare 사(Baxter 2083), Invacare 사(SidestreamR), Pari GmBH (Pari LC PlusR), 및 Aerogen 사(AeroNebR)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4가지 분무기로 분부되었다.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리포좀성-시프로플록사신 제제 번호 1의 정해진 양을 각 분무기 내에 넣고,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에어로졸화한다. 입자 크기 및 분포는 프라운호퍼 회절 패턴 분석(Frauenhofer Diffraction Pattern Analysis)을 기준으로 말번 입도분석기(Malvern Mastersizer)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4가지 분무기에 의해 생성된 리포좀의 에어로졸 입자 분포는 도 2에 나타내었다.
입자 크기의 독특한 분포 패턴이 각 분무기에 의해 생성되었다. 기하 평균 직경의 분포 특성은, 용액 중에 리포좀 또는 다른 염이 없는, 물 중의 약물과 유사하다. Pari, Baxter 및 AeroNeb 분무기는 매우 다른 메카니즘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기하 평균 직경의 유사한 쌍봉성인(bimodal) 분포를 나타내었다. 흥미롭게도, SideStream은 기하 평균 직경이 < 5m인 입자가 대다수를 차지하는 단봉성인(unimodal) 분포를 나타내었다.
각 분무기로부터 제제에 대해 생성된 입자의 평균 질량 직경 (D50 μm)을 표 2에 요약하였다.
표 2: 다른 분무기로부터 생성된 입자의 평균 질량 직경의 요약
표 2는 평균 직경이, 측정된 4가지 통상의 분무기 각각에 대한 리포좀 약물의 모든 제제에 대해 동일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분무기로부터 분사된 에어로졸 크기는 리포좀성 제제보다는 분무기 메카니즘에 의존하였다. SideStreamR 분무기로부터 분사된 입자의 평균 공기역학적 크기는 유효한 차이가 있는 반면, Baxter 2083, Pari LC PlusR, 및 AeroNebR을 포함하는 다른 분무기로 측정된 공기역학적 직경은 유사하였다. AeroNebR는 매우 다른 분무기 메카니즘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결과가 나왔다. AeroNebR는 메쉬(mesh)를 통해 액체를 펌프하기 위한 압전 진동판(piezo-electric vibrational plate)을 사용한다. 질량 중위 직경은 폐 심부로 에어로졸 입자의 침전을 위해 흡입될 수 있는 범위 내이다. 따라서, 통상의 분무에 의해 생성되는 리포좀성 약물의 에어로졸화는 폐로 침전시키기에 적절한 크기의 에어로졸 입자를 발생시킬 수 있었다. 흡입가능한 분획 (1-5μm) 입자는 리포좀성 시프로플록사신 제제로부터, 그리고 사용에 적절한 공기역학적 직경에서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연구에서, 실시예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분무기 산출량에 대한 제제 조성물의 영향을 시험하였다. 제제 번호 1-4 (상기 표 1)를 Pari LC PlusR 분무기에 위치시키고, 충돌판(impactor plate) 상에서 수집된 스프레이로 건조될 때까지 에어로졸화하였다. 에어로졸 입자를 세척에 의해 회복시키고, 분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리포좀 제제 번호 1 (다이아몬드), 2 (x자 표시), 3 (삼각형), 및 4 (사각형)에 대해 도 3에 나타내었다. 판(plate)으로의 에어로졸 입자의 분포는 보다 많은 입자를 가진 에어로졸 입자에서 쌍봉성 분포를 나타내어 각 분무기에서 유사하였고, 각 제제에 대해 보다 작은 공기역학적 입자 크기에서 보다 큰 총질량이 관찰되었다.
리포좀성 운반체의 형태로 폐에 제제를 투여할 경우, 리포좀 입자는 에어로졸화 후에 완전히(intact) 남아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특히 연장된 기간에 걸쳐 방출되도록 약물의 데포 저장소를 달성하기에 바람직하다. 실시예 4는 분무 후, 리포좀 무손상(intactness) 및 약물 유출 범위를 측정하기 위한 연구를 기재하였다.
제제 번호 1-4 (표 1 참조)는 Pari LC PlusR 분무기를 사용하여 에어로졸화 하고, 분무입자(nebulisate)를 플라스크로 수집하였다. 투석에 의해 리포좀 내부에 포획되지 않은 시프로플록사신을 제거한 후, 분무입자의 액적을 용해시키고, 시프로플록사신 농도를 분석했다. 대조군으로, 분무되지 않은 리포좀 중의 시프로플록사신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동일 제제의 비-분무된 시료와 비교하여, 분무 후 각 제제의 리포좀 내에 포획된 시프로플록사신 퍼센트로서 표 4A에 요약하였다.
표 4A: 분무 전, 후의 리포좀 내에 포획된 시프로플록사신 퍼센트
1 각 제제 조성물은 표 1을 참조.
유사한 연구가 Pari LC PlusR, Baxter 2083, 및 AeroNebR 유닛에 의해 분무된 단일 리포좀 제제, 제제 번호 1을 사용하여 행해졌다. 분무 후에 리포좀 무손상(intactness)을 실시예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4B에 요약하였다.
표 4B: 다양한 분무기로부터 분무 전, 후의 제제 번호 1의 리포좀 내에 포획된 시프로플록사신 퍼센트
1 제제 번호 1의 조성물은 표 1을 참조.
리포좀 내에 포획된 채 잔류된 시프로플록사신의 양은 Pari LC PlusR 분무기에서, 96%의 최초 포획 퍼센트에 비해 분무 후 포획된 채 잔류된 시프로플록사신 농도는 78%로 가장 높았다. Baxter 2083 분무기로부터의 분무입자는 포획된 시프로플록사신이 68%를 나타낸 반면, AeroNebR 분무기는 분무로 인해 포획 약물이 54% 손실되는 점에 의해 입증되는 것처럼 리포좀을 불안정하게 하였다. 최소한의 분해를 일으키는 분무기 메카니즘은 통상의 제트 분무기 메카니즘으로, 그것에 의해 압축공기의 흐름이 액체를 기체로 만들고, 기체 및 물 사이의 표면 장력의 결과로서 에어로졸 입자의 자발적인 형성을 유발한다. 에어로졸 입자를 형성하기 위해 초음파 진동 메카니즘을 가진 분무기는 적어도 리포좀을 불안정하게 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른 연구에서, 리포좀 제제로부터 모델 폐 계면활성제 (SurvantaR)로의 시프로플록사신의 방출을 48시간에 걸쳐 시간에 따라 측정하였다. 실시예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 제제 (제제 번호 1-4, 표 1)는 SurvantaR와 결합하고, 인산완충액에 대해 투석하였다. 시료들은 시프로플록사신 농도 분석을 위해 주기적으로 제거되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시프로플록사신이 수동적으로 포획된 제제 번호 3 (삼각형)은 24 시간 시점에서, 약 60%의 약물 방출을 보이며 가장 높은 방출속도를 나타냈다. 시프로플록사신이 암모늄 설페이트 기울기에 거슬러 간접적으로 로딩된 두가지 제제, 제제 번호 1 (다이아몬드) 및 제제 번호 4 (사각형)는 24 시간 시점에서, 매질에 대해 10% 미만의 포획된 약물 방출을 보이며 가장 낮은 방출속도를 나타냈다. 제제 번호 2 (x자 표시)는 다른 제제들에 비해 중간 정도의 방출속도를 나타냈다.
이 데이터는 암모늄 설페이트 기울기의 사용이 리포좀 내부로부터 약물의 즉각적인 방출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예증한다. 암모늄 설페이트 기울기를 사용하여 생성된 제제는 수동적으로 피막화된 제제 (제제 번호 3)와 비교할 때, 리포좀 내부에서 피막화된 채 잔류하는 시프로플록사신 양이 적어도 50-800 % 증가되었음을 입증한다. 폐 체액의 pH 변화는 통상의 리포좀 제제 (데이터는 불표시)와 시프로플록사신의 방출속도에 있어 사소한 차이를 유발하였다. 덱스트란 암모늄 설페이트를 지닌 제제 번호 2는 암모늄 설페이트를 단독으로 사용한 것에 비해 개선된 안정성을 제공하지 못 했고, 안정성의 감소를 유발할 수 있다. 제제 번호 2의 보다 높은 방출 속도는 또한 리포좀 제조 공정 동안 제거되지 않은 리포좀 외부의 덱스트란-암모늄 설페이트-시프로플록사신 복합체의 존재에 기인한 것일 수 있다. 통상의 (non-PEG, 제제 번호 4) 또는 페길화(pegylated) (제제 번호 1) 리포좀 내에서 피막화된 약물은 매질 내부로 시프로플록사신의 다른 안정성 또는 방출성을 주지 못 했다.
폐 내 염증반응에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마크로파지의 활성화로, 이 때 상주 마크로파지가 세포적 방어의 첫번째 경로이다. 리포좀 제제 번호 1-4 및 유리 시프로플록사신의 마크로파지 섭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인비트로 연구가 행해졌다. 실시예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쥐 폐포 마크로파지를 배양하였다. 세포들을 0.5mg/mL의 약물 농도에서, 리포좀 제제 번호 1, 2, 3, 또는 유리 시프로플록사신과 함께 시험관에 위치시켰다. 세포들을 37 ℃에서 4시간 동안 제제의 존재 하에서 배양시키고, 시프로플록사신 섭취를 측정하기 위해 세포의 액적을 제거하였다. 유리 시프로플록사신 (역삼각형), 리포좀 제제 번호 1 (다이아몬드), 2 (x자 표시), 3 (삼각형), 및 4 (사각형)에 대해, 시프로플록사신의 마크로파지 세포로의 섭취 (pg/cell)를 시간(분)에 따라 그래프화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그 데이터는 리포좀성 운반체 형태로 세포 내에 투여된 시프로플록사신은 마크로파지에 의한 약물 섭취를 감소시킴을 보여준다. 유리 시프로플록사신 (역삼각형)의 섭취는 어떤 리포좀성 제제보다 높았다.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제제 번호1 (다이아몬드), 2 (x자 표시), 3 (삼각형)) 코팅을 가진 리포좀 제제는 통상의, peg-코팅되지 않은 리포좀 (제제 번호 4, 사각형)에 비해 감소된 폐포 마크로파지 섭취를 나타냈다. 암모늄 설페이트 기울기 및 PEG 코팅에 의해 제공된 입체구조적 장벽의 결합이 폐포 공간으로의 약물의 최소 누출이라는 장점을 수반하면서, 폐포 마크로파지 섭취를 감소시켰다, 따라서, 이온 기울기 및 친수성 폴리머 쇄의 표면 코팅, 예컨대, 암모늄 설페이트 기울기 및 PEG 코팅을 가지는 리포좀 제제는 폐에 대해 지속성 방출 송달계를 제공한다.
리포좀 제제 번호 1-6을 카테터를 사용한 기관내 주입을 통해 쥐의 폐로 투여하여 인 비보 연구를 행하였다. 실시예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제의 주입 후, 혈액 시료를 취하고, 시프로플록사신 농도를 분석하였다. 투여 후 48 시간에, 폐를 제거하고, 폐 조직 내의 시프로플록사신 농도를 정량하였다. 그 결과를 도 6A-6B 및 7A- 7D에 나타내었다.
도 6A는 시간(분)에 따라 리포좀 제제로부터 방출되는 시프로플록사신의 혈액 농도(ng/mL)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비교 대조군으로서, 유리 시프로플록사신 (역삼각형)을 기관내로 투여하고, 혈장 중의 그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폐로 투여될 때, 유리 시프로플록사신 (역삼각형)은 투여 후 빠르게 혈중에서 유효하고 검출가능한 양을 나타내었다. 리포좀 제제 번호 1 (다이아몬드), 2 (x자 표시), 3 (삼각형), 및 4 (사각형) 내에 포획된 시프로플록사신이 기관내 주입 후 혈액 구획으로 천천히 방출되었다.
도 6B는 리포좀 제제 번호 1 (다이아몬드) 및 유리 시프로플록사신 (역삼각형)과 함께 비교하기 위한 리포좀 제제 번호 5 (폐쇄된 원) 및 6 (개방된 원) (상기 표 1 참조)의 결과를 보여준다. 3가지 리포좀성 제제, 번호 1, 5, 및 6은 인 비보 기관내 투여 후 혈액으로 약물의 느리고 최소한의 방출을 제공하는데, 이는 약물 저장소 데포로서의 리포좀성 운반체의 적합성을 가리킨다.
리포좀 제제의 기관내 주입 후 48 시간에 수집된 시험 동물의 폐내 시프로플록사신 농도를 도 7A-7D에 나타내었다. 도 7A-7B는 시프로플록사신 리포좀 제제 번호 1-4 및 유리 시프로플록사신의 기관내 주입 후, 48 시간에 쥐의 폐 내 시프로플록사신 농도를 보여주는 막내 그래프이다. 도 7A 및 7B에서, 제제 번호 3 및 유리 시프로플록사신으로부터 폐 내 농도를 가시화하기 위해 '0-600 ng/g 조직'의 보다 작은 눈금을 가진 도 7B와 단지 y축만 다르다. 도 7C-7D는 시프로플록사신 리포좀 제제 번호 5-6 및 유리 시프로플록사신의 기관내 주입 후 48 시간에 쥐의 폐 내 시프로플록사신 농도를 보여주는 막내 그래프로, 도 7D는 '0-600 ng/g 조직'의 y축 눈금으로 데이터를 나타내었다. 도 7A-7D 상의 데이터는 약물이 수동적으로 포획된 (제제 번호 3) 리포좀으로부터 유리 형태로 투여될 때, 또는 리포좀이 제제 번호 5 및 6으로서 37 ℃에서 액상의 일차 지질로 구성될 때, 소량의 시프로플록사신이 폐 조직 중에서 회복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리포좀으로부터 시프로플록사신의 송달은 상대적으로 단단한 지질을 형성하고, 약물을 이온 기울기에 거슬러 리포좀으로 로딩하는 경우, 약물의 지속적 방출을 위하여 폐 내에 약물의 데포가 제공된다.
다른 인 비보 연구에서, 실시예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PEG 표면 코팅을 가진 리포좀 및 PEG 표면 코팅이 없는 통상의 리포좀을 마우스의 경비내로 투여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서, 지모산, 톨(toll)-유사 수용체 2를 통해 마크로파지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효모 세포의 불용성 제제를 경비적으로 투여하였다. 대조군 마우스의 다른 그룹은 인산 완충 식염수로 내비적으로 처리하였다. 투여 후 6시간에, 기관지 폐포 세척을 행하고, 중성구 및 마크로파지의 염증 세포 침투를 정량하였다. 비내 투여에 따른 세포 활성은 중성구 및 마크로파지의 세포수를 측정하여 정량하고, 그 수를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리포좀, 지모산, 또는 식염수의 비내 투여 후 6시간에, 염증 세포 침투의 기관지 폐포 세척 세포수
1 각 제제 조성물은 실시예 8 참조.
표 5의 데이터는 식염수로 처리된 대조군 동물 및 PEG-코팅된 리포좀으로 처리된 동물로부터 기관지 폐포 세척에서 회복된 세포수 및 타입에 현저한 차이가 없는 점에서 입증되는 바와 같이 PEG-코팅된 리포좀은 염증 반응을 유도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지모산의 내비 투여는 기대했던 바와 같이, 기도로 세포의 현저한 유입을 유발하였다. 식염수 처리 동물에 비해 중성구 및 마크로파지 세포수가 증가된 것에 의해 입증되는 바와 같이 PEG 코팅이 부족한 통상의 리포좀의 투여, 및 20 몰 % 음전하를 포함하는 투여는 염증 반응을 유도하였다. 요약하면, 데이터는 기도에서 PEG-코팅된 리포좀의 존재로 인해 관찰되는 염증 반응이 없다는 것을 분명히 입증한다.
형광 현미경 하에서 관찰되는 기관지 폐포 세척의 현미경 사진을 도 8A-8H에 나타내었다. 도 8A-8B는 인산 완충 식염수로 처리된 마우스의 기관지 폐포 세척에 해당하고; 도 8C-8D는 양성 대조군 지모산으로 처리된 마우스의 기관지 폐포 세척에 해당하며; 도 8E-8F는 PEG 표면 코팅이 부족한 통상의 리포좀으로 처리된 마우스의 기관지 폐포 세척에 해당하고; 도 8G-8H는 PEG-코팅된 리포좀으로 처리된 마우스의 기관지 폐포 세척에 해당한다. 모든 현미경 사진에서, 형광 상태 하에서 관찰함에 따른 마크로파지의 약간의 자가형광이 있다. 도 8C-8D에서 볼 수 있듯이, 세포내 엔도사이틱 바디의 존재로 암시되는 구둣점으로 찍힌 듯한(punctuated) 구조에 의해 입증되는 바와 같이, 지모산의 내비 투여는 세포의 의한 지모산의 섭취를 일으킨다. PEG-코팅된 리포좀 및 통상의 PEG 코팅되지 않은 타입 모두가 마크로파지에 의해 결합되거나 억압된 것으로 보였다. 통상의 리포좀의 형광(도 8E-8F)이 PEG-코팅된 리포좀 (도 8G-8H)에 비해 사실상 보다 과립상인데, 이는 PEG-코팅된 리포좀에 의한 세포 표면 결합과 비교되는 통상의 리포좀에 의한 세포적 섭취를 암시한다.
상기의 언급으로부터,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 및 특징이 평가될 수 있다. 전하를 띄는 송달계 또는 약물은 마크로파지 섭취 및 이에 따른 폐부위로의 중성구 침투의 유도에 의해 염증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높은 전하를 띄는 약물 송달계는 특히 폐 내에서 염증 또는 면역 반응을 유발하는데 효과적이어서, 저항력이 손상된 폐 기능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이온 지질은 사이토카인 생성 및 활성 산소 유도체를 유도하여 염증반응을 일으킨다 (Dokka, S.,등, Pharm. Res. , 18 (5): 521 (2000)). 송달계에서 음이온 전하는 또한 보체 활성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인다 (Cunningham, C. M.등, J. Immunol., 122 (4): 1238 (1989) ). 높은 전하를 띄지 않는 약물 및 분자도 여전히 운반체가 없이 염증반응을 유도하는 경향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본 연구는 면역 자극성 분자를 포함하지 않고, 면역 반응에 대항하는 보호 장벽을 가지는 리포좀 내부로의 약물 피막이 면역 반응의 유도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입증한다. 특히, 리포좀은 (i) 외부 리포좀 표면 상의 친수성 폴리머 코팅이 단백질, 세포막 등과의 결합 및 세포 표면의 수용체와의 상호작용으로부터 리포좀 및 포획된 약물을 보호함으로써 전하의 전위를 감소시키고; (ii) 암모늄 설페이트 기울기 또는 pH 기울기와 같은 이온 기울기가 지속적 약물 방출 및 감소된 염증 반응을 제공하기 위해 리포좀 중의 약물을 보유하는 특성을 가진다.
V.
실시예
하기 실시예는 여기 기재된 본 발명을 더욱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어떠한 형태로든 제한하지 않는다.
물질
모든 물질은 Aldrich 사와 같은 상업적으로 적절한 판매자로부터 입수되었다.
실시예
1
시프로플록사신
함유
리포좀의
제조
HSPC, 콜레스테롤 및 몇몇 제제 중의, mPEG-DSPE를 에탄올 중에서 용해시켰다. 지질의 에탄올 용액을 pH 5.5 및 65 ℃에서 암모늄 설페이트 중에서 수화시킬 때, 에탄올 주입 기술을 사용하여 다층 소포를 형성하였다. 일련의 0.4 μm, 0.2 μm 및 0.1 μm 크기의 막을 사용하여 65 ℃에서 사출 성형기를 통한 압출성형에 의해 리포좀을 -150 nm로 줄였다. 이온 기울기를 생성하기 위해 투석여과를 이용한 10% 슈크로스, NaCl (pH = 5.5) 교환에 의해 외부 암모늄 설페이트를 제거하였다. 시프로플록사신을 10% 슈크로스에서 용해시키고, 65 ℃에서 30-60 min 간 리포좀과 함께 배양시켰다. 유리 시프로플록사신을 10% 슈크로스, NaCl에 대한 투석여과를 사용하여 제거하였다. 일반적인 로딩은 리포좀에 로딩된 최초 약물 농도의 40-60 %가 되었다. 최종 용액을 10 mM 히스티딘 및 10% 슈크로스 완충액 중에 두었다. 지질에 대한 일반적 약물의 비율은 0.3-0.5 (w/w)였다.
리포좀을 또한 수동적 피막화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지질 HSPC, 콜레스테롤, 및 mPEG-DSPE를 에탄올 중에 용해시켰다. 용해된 지질을 65 ℃에서, 60 분간 고농도의 시프로플록사신 용액 (120 mg/mL)에 가했다. 그 후, 리포좀을 65 ℃에서 0.4 μm, 0.2 μm 및 0.1 μm 크기의 막을 통한 압출성형에 의해 ~150 nm로 크기를 줄였다. 피막화되지 않은 시프로플록사신을 10% 슈크로스, NaCl (pH = 5.5) 및 10% 슈크로스, 10 mM 히스티딘 (pH = 6.5)에 대한 투석여과를 사용하여 제거하였다. 일반적 로딩은 적어도 지질에 대한 약물 비율의 0.3 (w/w)가 되었다.
제조된 제제를 표 1에 요약하였다.
실시예
2
리포좀의
에어로졸 입자 형성
리포좀을 실시예 1에 따라 시프로플록사신을 포함하도록 제조하였다. 측정된 부피 (2-3 mL)의 리포좀성 시프로플록사신 제제 각각을 분무기의 저장소에 넣었다. 4가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분무기 (Baxter Healthcare 사. (Baxter 2083), Invacare 사 (SidestreamR), Pari GmBH (Pari LC PlusR), 및 Aerogen, Inc. (AeroNebR))를 얻어서 리포좀성 시프로플록사신 제제를 에어로졸화하는데 사용하였다. 에어로졸 입자 크기 및 분포를 프라운호퍼 회절 패턴 분석(Frauenhofer Diffraction Pattern Analysis)을 기준으로 말번 입도분석기(Malvern Mastersiz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에어로졸화 과정 동안, 분무기를 정렬시켜, 장치에 대한 고안된 시료면에서, 스프레이가 프라운호퍼 기구의 분석 빔을 통해 통과하도록 하는데, 이 때 이러한 시료면으로부터의 일탈은 분산 패턴을 흐리게 하고 부정확한 크기 분포 결과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시료 위치를 유지하도록 주의한다. 처음에, 크기 분포 측정에 영향을 미치는 스타트업 영향을 피하기 위해서 분석 빔에 위 치시키기 전에, 약 1분간 분무를 행하였다. 이러한 최초 기간 후, 분무 스프레이를 30 초간 수집된 분산 패턴으로 분석하였다. 마스터사이저(Mastersizer) 소프트웨어가 스프레이 입자 크기 분포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질량 기준 (D3 ,2, D50, D90)으로 통계적 치수와 관련지어 생각되었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리포좀의
에어로졸 입자 형성
공지의 양의 리포좀성 시프로플록사신을 분무기 저장소에 넣었다. 액체 제제의 분무를 추가적인 에어로졸화가 일어나지 않을 때까지, 즉 건조될 때까지 Andersen 캐스케이드 충격기를 향해 행하였다. 접시(plate)를 완충액으로 세척시켜서 침착된 시료를 수집하였다. 완충액은 pH 3.5의, 10 mM 소듐 포스페이트 모노베이직 디하이드레이트, 140 mM 식염수 및 10% 메탄올로 이루어졌다. 캐스케이드 충격기의 다양한 접시 상에 침착된 시프로플록사신의 농도를 UV 분광광도 분석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에어로졸화
후의
리포좀
안정성 분석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리포좀성 시프로플록사신 제제를 Pari LC PlusR 분무기를 사용하여 에어로졸화하고, 분무입자를 PBS 완충액을 함유한 엘렌메이어 (Erlenmeyer) 플라스크에 수집하였다. 수집된 분무입자를 적어도 50 x PBS 완충액 (pH = 3.8)에 대해 밤새 투석하여 피막화되지 않은 시프로플록사신을 제거하였다. 대조군의 경우, 최종 농도가 10% 메탄올이 되도록 메탄올을 분무입자에 가하고, PBS 완충액에 대해 밤새 투석하였다. 흡수율 = 288 nm 에서 UV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투석 완충액 및 투석 백 안의 분무입자의 용해된 액적 중의, 시프로플록사신을 분석하였다. 분무된 및 분무되지 않은 리포좀 간의 피막 비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표 4A-4B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모델 폐 계면활성제 중의
시프로플록사신의
인비트로
방출
실시예 1에 따라 리포좀 제제를 제조하였다. 각 제제를 SurvantaR, 변형된 천연 소의 폐 추출물(Ross Products Division, Abbott Laboratories,Inc., Columbus Ohio)과 1 : 5의 비율로 결합시키고, 투석 튜브에 위치시켰다. 각 제제 및 SurvantaR를 인산 완충액 (pH = 3.5)에 대해 48 시간에 걸쳐 투석하였다. 2 mL의 액적을 2-3 시간 간격으로 외상으로부터 제거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리포좀
및 쥐 폐포
마크로파지의
인비트로
배양
마크로파지-관련 활성 연구를 위한 반응성 폐포 마크로파지의 균질하고 연속적인 소스를 제공하기 위해 NR8383 셀 라인 (ATCC)을 구축하였다. NR8383는 쥐 폐포 마크로파지의 연속 배지로서 ATCC로부터 수득하였다. 원 배지는 암컷 Sprague-Dawley 쥐의 기관지 폐포 세척으로부터 수득하였다. NR8383 셀은 마크로파지 활성과 관련된 하기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 지모산의 포식작용, 비특이적 에스터라제 활성, 산화적 폭발, Fc 수용체, 및 IL-1, TNF, 및 IL-6의 분비. 연속 셀 라인을 15% FBS (Gibco), 2 mM L-글루타민 (Gibco) 및 100 U/100 μg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Sigma) 함유 Ham's F12 미디아(media) 중에서 2차 배양하였다.
로그-상에서 배양된 NR8383 셀을 1 x 106 cells/mL 농도에서 혈청 없이 Ham's F12 미디아 상에서 제조하였다. 셀을 리포좀성 시프로플록사신 제제 (실시예 1, 표 1 참조) 또는 약물(시프로플록사신, Uquifa) 농도가 0.5 mg/mL인 유리 시프로플록사신과 함께 12 x 75 mm의 폴리프로필렌 시험관에 위치시켰다. 지질 농도는 0.15-0. 25 mg/mL 총지질로 맞추었다. 셀을, 표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해 측면으로 놓인 튜브를 사용하여, 4 시간 동안 37 ℃ 및 5% C02에서 배양하였다. 셀의 액적(200μL)을 리포좀성 약물 추가 후, 30 분, 70 분, 120 분, 240 분의 시간 지점에서 제거하였다. 제거된 액적을 2 분간 200 g에서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펠렛을 30 mM 소듐 아세테이트/150 mM 소듐 클로라이드 pH 4.5를 사용하여 2회 세척하였다. 이차 세척 후 제거된 펠렛을 - 70 ℃에서 밤새 냉동시켰다.
냉동된 펠렛을 실온에서 가온하고, CyQuant-GR 프로브 (Molecular Probes, Eugene, OR)를 사용하여 셀 숫자를 측정하고, 형광측정법에 의해 프로플록사신을 측정하였다. 펠렛을 용해 완충액 함유 용액 중에서 재현탁시켜 세포막 및 CyQuant 그린 다이(dye)를 분쇄시켰다. DNA 결합에 따라, CyQuant GR 다이가 λ = 520 nm 및 여기(excitation) λ = 480 nm에서 방출하였다. 시프로플록사신은 λ = 450 nm 및 여기 λ = 350 nm에서 방출하였다. 셀 숫자 및 시프로플록사신 농도가 셀 숫자 및 CyQuantGR 다이 또는 시프로플록사신 함유 표준 커브로부터 보정되었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기관내
주입을 통한
리포좀성
시프로플록사신의
인비보
송달
카테터를 마취된 쥐의 기관에 위치시킨 후, 리포좀성 시프로플록사신 및 유리 시프로플록사신의 다양한 제제 (실시예 1,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됨)를 카테터를 통해 투여하였다. 투여 후, 혈액을 채취하고, HPLC를 사용하여 혈청 중 시프로플록사신 농도를 측정하였다. 48 시간 후 폐를 제거하고, 시프로플록사신을 폐로부터 추출하고, HPLC-MS을 사용하여 농도를 측정하였다. 제제 번호 1-6 및 유리 시프로플록사신에 대한 시프로플록사신 방출속도를 도 6A-6B에 나타내었다. 제거 후 폐 중의 시프로플록사신 농도를 도 7A-7D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마우스로의
리포좀의
내비
투여
PEG 코팅을 가진 리포좀을 HSPC: chol: mPEG-DSPE: FITC-DHPE (55: 40: 5: 01), (FITC = 플루오리세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DHPE = 디헥사데카놀리-sn-글리세롤-3-포스포에탄올아민)으로부터 제조하였다. PEG 코팅이 없는 통상의 리포좀을 eggPC: DPPG: chol: FITC-DHPE (40: 20: 40: 0.1)로부터 제조하였다.
리포좀, 양성 지모산 대조군 (FITC 라벨), 또는 인산 완충 식염수 (PBS) 대조군을 내비 투여를 통해 naive Balb/c 마우스에 투여하였다. 1 mL PBS를 사용하여 기관지 폐포 세척을 투여 후 6 시간째 행하였다. 각 세척의 회복 부피는 약 0.8 mL였다. 기관지 폐포 세척을 1200 rpm에서 10 분간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셀 펠렛을 재현탁시키고, 0.1% BSA로 PBS 중에서 1회 세척시켰다. 사이토스핀을 제조하고, 총 셀 숫자를 헤모사이토미터(hemocyt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거나, 형광성을 형광 현미경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6 및 도 8A-8H에 나타내었다.
비록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체예로 기재되었지만,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화 및 수식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Claims (7)
- (i) 친수성 폴리머로 유도된 소포-형성 지질 및 (ii) 중성 리포폴리머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소포-형성 지질로 구성되고, 치료제 또는 진단제와 결합된 리포좀 현탁액을 제공하고;상기 리포좀 현탁액의 에어로졸을 형성하며;흡입에 의해 상기 에어로졸을 대상(subject)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투여 후, 폐내에서 중성구 또는 마크로파지 세포수를 측정할 때 면역 반응의 자극이 관찰되지 않고, 대상의 기도로 완전한(intact) 리포좀성 입자를 송달하여 치료제의 데포를 형성하는,치료제 또는 진단제를 대상에게 투여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단계가 폴리에틸렌 글리콜로 유도된 소포-형성 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단계가 디스테아로일-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리포좀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단계가 리포좀 안에 포획된 치료제를 가진 리포좀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단계가 외부의 리포좀 표면과 결합된 치료제를 가진 리포좀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단계가 항바이러스제, 항염제, 항균제, 항진균제, 유전자요법제, 및 화학요법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포획된 치료제를 가진 리포좀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단계가 상기 리포좀과 결합된 진단제를 가진 리포좀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47508003P | 2003-05-30 | 2003-05-30 | |
US60/475,080 | 2003-05-3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5265A true KR20060015265A (ko) | 2006-02-16 |
Family
ID=33551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7021955A Withdrawn KR20060015265A (ko) | 2003-05-30 | 2004-05-27 | 제제의 폐 투여 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050025822A1 (ko) |
EP (1) | EP1628637A2 (ko) |
JP (1) | JP2007500239A (ko) |
KR (1) | KR20060015265A (ko) |
CA (1) | CA2527625A1 (ko) |
WO (1) | WO2004110493A2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51145B1 (ko) * | 2021-04-08 | 2022-10-06 | 큐벳 주식회사 | 로틀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WO2022216118A1 (ko) * | 2021-04-08 | 2022-10-13 | 큐벳 주식회사 | 로틀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718189B2 (en) | 2002-10-29 | 2010-05-18 | Transave, Inc. | Sustained release of antiinfectives |
US8980310B2 (en) * | 2002-12-31 | 2015-03-17 | Bharat Serums and Vaccines, Ltd. | Non-pegylated long-circulating liposomes |
US7303881B2 (en) * | 2004-04-30 | 2007-12-04 | Pds Biotechnology Corporation | Antigen delivery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
HUE029994T2 (en) | 2005-12-08 | 2017-04-28 | Insmed Inc | Lipid-based preparations of antinfectants for the treatment of lung infections |
BRPI0707641A2 (pt) * | 2006-02-10 | 2011-05-10 | Pari Pharma Gmbh | antibiàticos nebulizados para terapia de inalaÇço |
US20080138397A1 (en) * | 2006-10-24 | 2008-06-12 | Aradigm Corporation | Processes for taste-masking of inhaled formulations |
US8268347B1 (en) | 2006-10-24 | 2012-09-18 | Aradigm Corporation | Dual action, inhaled formulations providing both an immediate and sustained release profile |
US8119156B2 (en) * | 2006-10-24 | 2012-02-21 | Aradigm Corporation | Dual action, inhaled formulations providing both an immediate and sustained release profile |
US8877206B2 (en) | 2007-03-22 | 2014-11-04 | Pds Biotechnology Corporation | Stimulation of an immune response by cationic lipids |
CA2682376C (en) | 2007-03-30 | 2015-10-06 | Hirofumi Takeuchi | Transpulmonary liposome for controlling drug arrival |
US20100196455A1 (en) | 2007-05-04 | 2010-08-05 | Transave, Inc. | Compositions of Multicationic Drugs for Reducing Interactions with Polyanionic Biomolecul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
US9119783B2 (en) | 2007-05-07 | 2015-09-01 | Insmed Incorporated | Method of treating pulmonary disorders with liposomal amikacin formulations |
US9114081B2 (en) | 2007-05-07 | 2015-08-25 | Insmed Incorporated | Methods of treating pulmonary disorders with liposomal amikacin formulations |
WO2009129227A1 (en) | 2008-04-17 | 2009-10-22 | Pds Biotechnology Corporation | Stimulation of an immune response by enantiomers of cationic lipids |
CN102188378B (zh) * | 2010-03-18 | 2014-07-09 | 浙江海正药业股份有限公司 | 包载水溶性药物脂质体的制备方法 |
AU2011268101B2 (en) | 2010-06-19 | 2014-09-25 | Western University Of Health Sciences | Novel formulation of pegylated-liposome encapsulated glycopeptide antibiotics |
JP5813011B2 (ja) * | 2010-12-27 | 2015-11-17 | テルモ株式会社 | リポソーム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
CN103501766B (zh) * | 2011-03-01 | 2016-08-17 | to-BBB控股股份有限公司 | 不良水溶性物质的高主动脂质体装载 |
NZ700983A (en) | 2012-05-21 | 2016-10-28 | Insmed Inc | Systems for treating pulmonary infections |
AU2013274235B2 (en) | 2012-06-15 | 2018-01-18 | Samir N. Khleif | Cationic lipid vaccin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
CA2885741C (en) | 2012-09-21 | 2023-10-17 | Frank Bedu-Addo | Vaccine comprising r-dotap |
JP6529438B2 (ja) | 2012-11-29 | 2019-06-12 | インスメッ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安定化されたバンコマイシン処方物 |
CA2923647A1 (en) * | 2013-10-22 | 2015-04-30 | Aradigm Corporation | Inhaled surfactant-modified liposomal formulations providing both an immediate and sustained release profile |
EP3466432B1 (en) | 2014-05-15 | 2020-07-08 | Insmed Incorporated | Methods for treating pulmonary non-tuberculous mycobacterial infections |
EP3222273B1 (en) * | 2014-11-18 | 2019-09-25 | 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 | Method for producing porous particle |
US11612652B2 (en) | 2015-11-13 | 2023-03-28 | Pds Biotechnology Corporation | Lipids as synthetic vectors to enhance antigen processing and presentation ex-vivo in dendritic cell therapy |
EP3773505A4 (en) | 2018-03-30 | 2021-12-22 | Insmed Incorporated | PROCESS FOR THE CONTINUOUS MANUFACTURING OF LIPOSOMAL MEDICINAL PRODUCTS |
CN112004527B (zh) * | 2018-04-23 | 2024-09-24 | 盈擘生技股份有限公司 | 用于治疗肺部疾病的可吸入脂质体缓释组合物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TE78158T1 (de) * | 1985-05-22 | 1992-08-15 | Liposome Technology Inc | Verfahren und system zum einatmen von liposomen. |
US5340587A (en) * | 1985-05-22 | 1994-08-23 | Liposome Technology, Inc. | Liposome/bronchodilator method & System |
US5192528A (en) * | 1985-05-22 | 1993-03-09 | Liposome Technology, Inc. | Corticosteroid inhalation treatment method |
US4839175A (en) * | 1986-07-28 | 1989-06-13 | Liposome Technology, Inc. | Liposomes with enhanced retention on mucosal tissue |
US5049388A (en) * | 1986-11-06 | 1991-09-17 | Research Development Foundation | Small particle aerosol liposome and liposome-drug combinations for medical use |
IL91664A (en) * | 1988-09-28 | 1993-05-13 | Yissum Res Dev Co | Ammonium transmembrane gradient system for efficient loading of liposomes with amphipathic drugs and their controlled release |
US5043165A (en) * | 1988-12-14 | 1991-08-27 | Liposome Technology, Inc. | Novel liposome composition for sustained release of steroidal drugs |
US4906476A (en) * | 1988-12-14 | 1990-03-06 | Liposome Technology, Inc. | Novel liposome composition for sustained release of steroidal drugs in lungs |
WO1995001164A1 (en) * | 1993-06-30 | 1995-01-12 | Genentech, Inc. | Method for preparing liposomes |
US5939401A (en) * | 1994-12-09 | 1999-08-17 | Genzyme Corporation | Cationic amphiphile compositions for intracellular delivery of therapeutic molecules |
US5972379A (en) * | 1995-02-14 | 1999-10-26 | Sequus Pharmaceuticals, Inc. | Liposome composition and method for administering a quinolone |
US5958378A (en) * | 1996-07-03 | 1999-09-28 | Research Development Foundation | High dose liposomal aerosol formulations containing cyclosporin A or budesonide |
TW520297B (en) * | 1996-10-11 | 2003-02-11 | Sequus Pharm Inc | Fusogenic liposome composition and method |
US6056973A (en) * | 1996-10-11 | 2000-05-02 | Sequus Pharmaceuticals, Inc. | Therapeutic liposome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ation |
US6103746A (en) * | 1997-02-20 | 2000-08-15 | Oxis International, Inc. |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protection of mitochondria |
CA2215716C (en) * | 1997-09-17 | 1999-12-07 | Her Majesty The Queen, In Right Of Canada, As Represented By The Ministe R Of National Defence | Aerosol delivery of liposome-encapsulated fluoroquinolone |
US6090407A (en) * | 1997-09-23 | 2000-07-18 | Research Development Foundation | Small particle liposome aerosols for delivery of anti-cancer drugs |
PL352711A1 (en) * | 1999-07-14 | 2003-09-08 | Alza Corporation | Neutral lipopolymer and liposomal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
US6334999B1 (en) * | 1999-08-27 | 2002-01-01 | Research Development Foundation | Liposomal aerosols for delivery of chemotherapeutic retinoids to the lungs |
CA2393233A1 (en) * | 1999-12-04 | 2001-06-07 | Research Development Foundation | Carbon dioxide enhancement of inhalation therapy |
-
2004
- 2004-05-27 CA CA002527625A patent/CA252762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4-05-27 JP JP2006533501A patent/JP2007500239A/ja not_active Withdrawn
- 2004-05-27 US US10/856,559 patent/US2005002582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4-05-27 EP EP04753731A patent/EP1628637A2/en not_active Withdrawn
- 2004-05-27 KR KR1020057021955A patent/KR20060015265A/ko not_active Withdrawn
- 2004-05-27 WO PCT/US2004/016962 patent/WO2004110493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51145B1 (ko) * | 2021-04-08 | 2022-10-06 | 큐벳 주식회사 | 로틀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WO2022216118A1 (ko) * | 2021-04-08 | 2022-10-13 | 큐벳 주식회사 | 로틀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628637A2 (en) | 2006-03-01 |
US20050025822A1 (en) | 2005-02-03 |
JP2007500239A (ja) | 2007-01-11 |
WO2004110493A3 (en) | 2005-09-15 |
CA2527625A1 (en) | 2004-12-23 |
WO2004110493A2 (en) | 2004-1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60015265A (ko) | 제제의 폐 투여 방법 | |
Liu et al. | Physicochemical properties affecting the fate of nanoparticles in pulmonary drug delivery | |
Courrier et al. | Pulmonary drug delivery systems: recent developments and prospects | |
US5049389A (en) | Novel liposome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interstitial lung diseases | |
JP6357481B2 (ja) | プロスタサイクリン化合物およびプロスタサイクリン化合物を使用する方法 | |
Gaspar et al. | Inhaled liposomes–current strategies and future challenges | |
US20070065369A1 (en) | Novel methods and composition for delivering macromolecules to or via the respiratory tract | |
Elhissi et al. | Formulations generated from ethanol‐based proliposomes for delivery via medical nebulizers | |
Chellappan et al. | Protein and peptide delivery to lungs by using advanced targeted drug delivery | |
TW202011941A (zh) | 用於治療肺部疾病的可吸入的緩釋組成物 | |
WO2015138423A9 (en) | Prostacyli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 |
JP2001524930A (ja) | 高服量リポソームエアロゾル処方 | |
IL262087A (en) | Benzodiazepines for oral and nasal inhalation | |
WO2009027337A1 (en) | Liposomal dispersion and dry powder formulations comprising oligonucleotides having improved downstream prossessing properties | |
Swaminathan et al. | Liposomes for pulmonary drug delivery | |
Jin et al. | RETRACTED: Pulmonary route of administration is instrumental in developing therapeutic interventions against respiratory diseases | |
Altube et al. | Inhaled lipid nanocarriers for pulmonary delivery of glucocorticoids: Previous strategies, recent advances and key factors description | |
Trapani et al. | Nanocarriers for respiratory diseases treatment: recent advances and current challenges | |
da Rocha et al. | Inhalation drug products containing nanomaterials | |
TW202228792A (zh) | 吸入用奈米載體製劑 | |
Naik et al. | Pulmonary drug delivery: role and application of lipid carriers | |
Komalla et al. | Liposomes in the treatment of chronic respiratory conditions | |
WO2002087542A1 (en) | Novel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delivering macromolecules to or via the respiratory tract | |
Rahimpour et al. | Lipidic Micro‐and Nano‐Carriers for Pulmonary Drug Delivery—A State‐of‐the‐Art Review | |
Boddu et al. | Nanocarrier systems for lung drug deliver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511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