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13959A - 송풍기기의 송풍효율 개선장치 - Google Patents

송풍기기의 송풍효율 개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3959A
KR20060013959A KR1020040062593A KR20040062593A KR20060013959A KR 20060013959 A KR20060013959 A KR 20060013959A KR 1020040062593 A KR1020040062593 A KR 1020040062593A KR 20040062593 A KR20040062593 A KR 20040062593A KR 20060013959 A KR20060013959 A KR 20060013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in body
blower
fan
pi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2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062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3959A/ko
Publication of KR20060013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395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7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influencing the flow pattern, e.g. suppression of turbule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41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20Application within closed fluid conduits, e.g. pip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팬의 가동으로 상기 본체의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상기 본체의 토출구로부터 공기를 유출시키는 송풍기기의 송풍효율 개선장치로서,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통공과 일측이 각각 연결되는 배관; 및 상기 배관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소통공을 통해 상기 팬의 가동과 더불어 상기 본체의 내주면 가장자리에서 발생하는 와류를 제거하도록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흡입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송풍기기,팬,펌프,배관.

Description

송풍기기의 송풍효율 개선장치{Apparatus for improving air blast efficiency in machine of air blower typ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송풍기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송풍기기의 실시예에서 송풍원리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기의 송풍효율 개선장치를 적용한 뒤, 송풍원리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2; 팬
15; 반사면 16; 토출구
17; 그릴 20; 공기흡입기
30; 배관 31; 소통공
40; 공기배출용 배관 50; 중공부
본 발명은 송풍기기의 송풍효율 개선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적외선 히터, 공 기조화기 및 공기청정기와 같은 송풍기기의 송풍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풍기기는 팬을 구비하되, 팬의 가동으로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거나 토출구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는 기계를 통칭하는 것이다.
이러한 송풍기기의 종류로는 가정 또는 일반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원적외선 히터(infrared rays heater), 공기청정기 및 공기조화기와 같은 송풍기기 외에도, 기타 산업에서 사용되는 송풍기기 등이 있다.
이 송풍기기들 중에서 원적외선 히터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적외선 히터는 본체(1)의 내부에 연소기로부터 가스나 석유를 연소시킨 연소열을 전달받아 열을 방사하는 튜브형상의 열방사체(3)를 가진다. 이 열방사체(3)의 외주면에는 원적외선을 방사하기 위한 세라믹이 코팅된다.
그리고 열방사체(3)의 상,하,좌,우면에는 각각 열방사체(3)로부터 방사된 열을 외부로 반사시키기 위한 거울면인 반사면(5)이 구비된다.
상기 열방사체(3)의 후면 중앙에는 열방사체(3)에서 방사된 열을 본체(1) 외부로 멀리 배출하는 팬(2)이 설치되며, 상기 본체(1)의 전면에는 팬(2)의 가동으로 송풍된 열을 본체(1)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구(6)를 가짐과 동시에 열방사체(3)에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그릴(7)이 설치된다.
하지만, 종래의 원적외선 히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2)의 가동으로 토출구(6)를 통해 열방사체(3)에서 방사된 열을 본체(1)의 외부로 배출할 경우, 본체(1)의 내주면에 발생하는 와류(vortex)로 인하여 팬(2)의 가동으로 송풍된 공기가 본체(1)의 내주면 가장자리까지 골고루 퍼지면서 배출되지 못하고, 단순히 팬(2)과 동일선상에 위치한 본체(1)의 중앙부를 통해서만 공기가 배출되므로서, 송풍효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도면에는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공기조화기 및 공기청정기의 경우에도 팬의 가동으로 토출구를 통해 본체 외부로 공기를 배출할 경우, 본체의 내주면에 발생하는 와류(vortex)로 인하여 팬의 가동으로 송풍된 공기가 본체의 내주면 가장자리까지 골고루 퍼지면서 배출되지 못하기 때문에, 송풍효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체의 내주면 가장자리에서 발생하는 와류를 제거하여 송풍 효율을 증가시키는 송풍기기의 송풍효율 개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팬의 가동으로 상기 본체의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상기 본체의 토출구로부터 공기를 유출시키는 송풍기기의 송풍효율 개선장치로서,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통공과 일측이 각각 연결되는 배관; 및 상기 배관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소통공을 통해 상기 팬의 가동과 더불어 상기 본체의 내주면 가장자리에서 발생하는 와류를 제거하도록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본 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흡입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기의 송풍효율 개선장치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공기흡입기는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흡입기는 공기배출용 호스 또는 배관에 의해 상기 본체의 외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기의 송풍효율 개선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기의 송풍효율 개선장치를 적용한 뒤, 송풍원리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적용된 실시예는 송풍기기 중에서 원적외선 히터이다.
상기 원적외선 히터의 일반적인 구조는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에 비교적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므로 생략하고, 여기서는 본 발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구성요소를 위주로 설명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기의 송풍효율 개선장치는 배관(30) 및 공기흡입기(40)로 이루어진다.
먼저, 배관(30)은 본체(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통공(31)과 일측이 각각 연결된다.
실시예에서, 원적외선 히터에서 본체(10)의 내주면에는 열방사체(도 1에서 도면부호 '3'참조)로부터 방사된 열을 그릴에 형성된 토출구(16)의 외부로 반사시키기 위한 거울면 형태의 반사면(15)이 구비된다.
이러한 반사면(15)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통공(31)이 형성된다. 이 소통공(31)은 각각 배관(30)의 일측과 연결된다. 이 배관(30)은 본체(10)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50) 상에 위치한다.
한편, 공기흡입기(20)는 상기 배관(30)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소통공(31)을 통해 상기 팬(12)의 가동과 더불어 상기 본체(10)의 내주면 가장자리에서 발생하는 와류를 제거하도록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실시예에서, 공기흡입기(20)는 본체(10)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위치한 중공부(50)에서 상기 팬(12)의 후면에 위치하며, 상기 각 배관(30)의 타측과 연결되게 된다.
이 공기흡입기(20)는 펌프 또는 기타 흡입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펌프가 바람직하다. 이 공기흡입기(20)는 공기배출용 호스 또는 배관(40)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외부와 연결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공기배출용 배관(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기의 송풍효율 개선장치의 작용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팬(12)의 가동으로 인해 본체(10)의 내주면 가장자리, 즉 반사면(15)에서 와류가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된 와류는 공기흡입기(20)의 가동으로 제거된다.
즉, 공기흡입기(20)의 가동으로 상기 소통공(31)을 통해 와류된 공기가 흡입되고 이 흡입된 공기는 상기 배관(30)들을 따라서 결국, 공기배출용 호스 또는 배관(40)을 통해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체(10)의 내주면에서 발생하는 와류를 제거하므로서, 팬(12)의 가동으로 토출구(16)를 통해 열방사체(도 1에서 도면부호 '3'참조)에서 방사된 열을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할 경우, 팬(12)의 가동으로 송풍된 공기가 본체(10)의 내주면 가장자리까지 골고루 퍼지면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송풍효율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도면에는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공기조화기 및 공기청정기와 같은 기타 송풍기기에도 본 발명과 같은 장치를 구비한다면, 송풍효율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
즉, 공기조화기와 공기청정기의 경우, 팬(12)의 가동으로 토출구(16)를 통해 본체(10) 외부로 공기를 배출한다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로 인해 본체(10)의 내주면에 발생하는 와류(vortex)가 제거되므로서, 팬(12)의 가동으로 송풍된 공기가 본체(10)의 내주면 가장자리까지 골고루 퍼지면서 배출되기 때문에, 송풍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송풍기기의 송풍효율 개선장치로서, 팬의 가동으로 본체의 내주면에서 발생하는 와류를 제거하므로서, 종래와 달리 팬의 가동으로 송풍되는 공기가 본체의 내주면 가장자리까지 골고루 퍼지면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송풍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팬의 가동으로 상기 본체의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상기 본체의 토출구로부터 공기를 유출시키는 송풍기기의 송풍효율 개선장치로서,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통공과 일측이 각각 연결되는 배관; 및
    상기 배관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소통공을 통해 상기 팬의 가동과 더불어 상기 본체의 내주면 가장자리에서 발생하는 와류를 제거하도록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흡입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기의 송풍효율 개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기는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기의 송풍효율 개선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기는 공기배출용 호스 또는 배관에 의해 상기 본체의 외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기의 송풍효율 개선장치.
KR1020040062593A 2004-08-09 2004-08-09 송풍기기의 송풍효율 개선장치 Ceased KR200600139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593A KR20060013959A (ko) 2004-08-09 2004-08-09 송풍기기의 송풍효율 개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593A KR20060013959A (ko) 2004-08-09 2004-08-09 송풍기기의 송풍효율 개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3959A true KR20060013959A (ko) 2006-02-14

Family

ID=37123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593A Ceased KR20060013959A (ko) 2004-08-09 2004-08-09 송풍기기의 송풍효율 개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39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5008A (zh) * 2018-07-14 2018-11-27 浙江科力风机有限公司 一种防堵的风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5008A (zh) * 2018-07-14 2018-11-27 浙江科力风机有限公司 一种防堵的风机
CN108895008B (zh) * 2018-07-14 2020-06-26 青岛鑫腾圣达通风设备有限公司 一种防堵的风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5437B2 (ja) 遠心羽根車、電動送風機、電気掃除機およびハンドドライヤー
EP1757866A2 (en) Exhaust hood
KR100578349B1 (ko) 건조기의 공기유동구조
KR101788640B1 (ko) 배기유도형 주방 레인지후드
KR20060013959A (ko) 송풍기기의 송풍효율 개선장치
WO2006001065A1 (ja) 室内空気によるエアカーテンを形成するレンジフード
KR100608704B1 (ko) 주방용 후드의 월제트 배기장치
JP4656866B2 (ja) レンジフード
KR101477167B1 (ko) 튜브형 히터의 버너 시스템
JP3953012B2 (ja) レンジフード
JPH10160174A (ja) 換気装置
CN105972695A (zh) 一种挂式空调器
CN111981531A (zh) 一种带中心气幕的吸油烟机
JP2002250554A (ja) 台所用循環送風装置及び台所用換気システム
JPH0742988A (ja) 同時給排形レンジフード
CN211041077U (zh) 一种风机和具有该风机的烟机
CN221526679U (zh) 集成灶
KR100705716B1 (ko) 팬 없이 히터 가열의 상승기류 발생하여 배기 가능한 후드
JPH10179415A (ja) ホットプレート
KR200273775Y1 (ko) 공기 조화기
KR20250102271A (ko) 공기정화기를 내장한 테두리를 구비한 액자
CN105972696A (zh) 一种空调器室内机
CN118159781A (zh) 通风罩
JP3398118B2 (ja) 温風輻射暖房器
KR20210090474A (ko) 환기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5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1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