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0646A - Automatic locking and emergency call control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 Google Patents
Automatic locking and emergency call control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10646A KR20060010646A KR1020040059417A KR20040059417A KR20060010646A KR 20060010646 A KR20060010646 A KR 20060010646A KR 1020040059417 A KR1020040059417 A KR 1020040059417A KR 20040059417 A KR20040059417 A KR 20040059417A KR 20060010646 A KR20060010646 A KR 200600106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ll
- emergency
- user
- key
- mobile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 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말기가 분실되었을 경우에도 자동 잠금 기능에 의하여 사용자의 개인 정보 유출을 방지함과 아울러, 타인에 의한 단말기의 무단 사용을 방지하고, 간편한 비상통화 기능을 통하여 분실 단말기의 회수 및 비상시 통화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잠금 및 비상통화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름, 휴대폰번호, 비상연락번호 및 분실방지문구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입력하고; 사용자가 대기화면모드를 설정할 경우, 대기 시간을 설정하고 사용자의 주소를 입력하고; 대기화면모드 상태에서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단계에서 설정된 대기 시간이 경과될 경우 단말기를 잠금 상태로 전환시킴과 동시에 사용자 이름, 주소 및 분실방지문구를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대기화면모드 상태에서 통화키를 누를 경우, 미리 입력된 비상연락번호로 바로 통화 연결시키고; 비상키를 누를 경우, 미리 입력된 비상연락번호를 화면에 표시하고, 이 번호중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는 번호로 통화 연결시키고; 해제키를 누를 경우, 비밀번호입력화면을 표시하고 입력되는 비밀번호의 정오에 따라 잠금 상태를 해제 또는 유지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leakage of user's personal information by the automatic lock function even when the terminal is lost in the state that the lock function is not set, and prevents unauthorized use of the terminal by another person, and through a simple emergency call fun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locking and emergency call control device and a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recovery of lost terminals and emergency calls. The present invention enters the user information, including the name, mobile phone number, emergency contact number and anti-lost phrase in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user sets the idle screen mode, sets the standby time and inputs the user's address; Counting the time in the idle screen mode and switching the terminal to the locked state when the waiting time set in the step is elapsed, and simultaneously displaying the user name, address and anti-lost phrase on the screen; When the call key is pressed in the standby screen mode, the call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emergency contact number input in advance; When an emergency key is pressed, a previously entered emergency contact numb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a call is connected to a number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se numbers; If you press the release key, the password input screen is displayed and the lock is released or maintained according to the noon of the password.
이동통신, 휴대폰, 단말기, 잠금, 분실, 개인 정보, 비상통화, 대기화면Mobile communication, mobile phone, terminal, lock, lost, personal information, emergency call, standby screen
Description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출력 방법을 보인 순서도.1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user information output method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잠금 및 비상통화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utomatic locking and emergency call control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잠금 및 비상통화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utomatically locking and emergency call control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키 입력부 11 : 통화키10: key input unit 11: call key
12 : 비상키 13 : 해제키12: emergency key 13: release key
20 : 제어부 21 : 타이머20: control unit 21: timer
30 : 메모리 40 : 화면 표시부30: memory 40: screen display
50 : 소리 출력부50: sound output uni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잠금 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말기가 분실되었을 경우에도 자동잠금 기능에 의하여 사용자의 개인 정보 유출을 방지함과 아울러, 타인에 의한 단말기의 무단 사용을 방지하고, 간편한 비상통화 기능을 통하여 분실 단말기의 회수 및 비상시 통화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잠금 및 비상통화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device and a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leakage of user's personal information by an automatic locking function even when the terminal is lost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function is not se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locking and emergency call control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for preventing unauthorized use of a terminal by another person and effectively applying to a recovery and emergency call of a lost terminal through a simple emergency call function.
오늘날,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의 간편성 및 편리성으로 인하여 생활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연락처, 전화번호, 일정 관리, 메모 등을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서, 전화통화를 위한 수단을 넘어서 개인 정보 관리(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기능을 위한 수단으로 변화되고 있다. Toda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becoming a necessity of life due to the simplicity and convenience of portability, and are used by many peop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function of inputting a contact number, a phone number, a schedule management, a memo, and the like, and has been changed to a means for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function beyond a means for a telephone call.
상기와 같은 다양한 핸드폰의 기능중, 도 1에는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출력 방법을 보인 순서도가 개시되어 있다.Among the functions of various mobile phones as described above, FIG. 1 discloses a flowchart showing a user information output method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이동 통신단말기 메뉴의 사용자 정보 데이터 항목에서 입력을 선택하고 분실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되돌려 받을 수 있는 주소와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 등을 포함한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를 입력한다(S110). 여기서,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를 입력 및 수정할 때는 사용자 비밀번호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타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가 바뀌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user selects an input from a user information data ite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nu and inputs the user information data including an address 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returned in case of loss and a phone number to which a call can be made. S110). Here, a user password is required when inputting and modifying the user information data.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information data from being changed by another user.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가 입력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분실한 경우에 습득한 사람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메뉴의 사용자 정보 데이터 항목에서 검색을 선택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를 검색한다(S120, S130, S140). 여기서,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를 검색할 때는 사용자 비밀번호가 없어도 가능하다. In the case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to which the user information data is input is lost, the acquired person selects a search from a user information data ite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nu and searches for the user information data (S120, S130, and S140). In this case, the user information data may be searched without a user password.
상기한 과정 S140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된 사용자 정보 데이터를 확인하고 습득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인과 통화를 한다(S150). In step S140, the user information data is searched for, and the user information data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hecked and the own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cquired (S150).
상기한 과정 S150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주인과 통화가 이루어졌을 경우에는 상호 약속된 장소를 정하고 습득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주인에게 되돌려 준다(S160). When a call is made with the own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process S150, the place where the mutual appointment is promised is returned and the acquir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turned to the owner (S160).
한편,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기능중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여러 가지 사용 제한 기능이 있으며, 특히 전화 잠금 기능을 설정 상태로 함으로써 상기 단말기를 타인이 사용할 수 없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화 잠금 기능의 설정은, 사용자가 직접 상기 단말기에 입력해 놓은 암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선택 메뉴상에서 전화 잠금 기능을 설정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Meanwhile, among the control functions of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are various usage restriction functions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In particular, the terminal can be restricted from being used by others by setting the phone lock function to a setting state. At this time, the setting of the phone lock func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switch the phone lock function to the setting state on the selection menu of the terminal by using a password that the user directly inputs into the terminal.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 상태가 전화 잠금 기능이 설정된 상태로 되면, 상기 단말기는 전화 통화가 전혀 불가능하거나 또는 수신만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를 사용하여 전화를 발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설정된 암호를 사용하여 전화 잠금 기능의 설정을 해제 후, 사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기능 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에 입력시켜 놓은 개인 정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타인이 상기 단말기를 무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t to the phone lock function is set, the terminal is in a state in which no telephone call is possible or only reception is possible. Therefore, in order to make a call using the terminal or to check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the phone lock function must be canceled using the set password and then used. In this way, by using the phone lock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entering the personal information entered into the terminal to the outside, and to prevent the unauthorized use of the terminal by others. .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잠금 기능을 직접 설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잠금 기능을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가 분실되면,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에 입력해 놓은 연락처, 전화번호, 일정, 메모 등의 개인 정보가 타인에게 유출될 수도 있으며, 또한 타인이 상기 단말기를 무단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잠금 기능을 설정해 놓을 경우 매 통화마다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 때문에,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상기 종래의 잠금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실정이어서 더욱 큰 문제가 되고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user must directly set the locking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f the terminal is lost without the user setting the locking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contact information, phone numbers, schedules, memos, etc. input to the terminal may be leaked to another person, and another person may use the terminal without permission. In particular, when the conventional lock function is set as described above, most users do not use the conventional lock function because of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enter a password for every call.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잠금 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말기가 분실되었을 경우에도 자동잠금 기능에 의하여 사용자의 개인 정보 유출을 방지함과 아울러, 타인에 의한 단말기의 무단 사용을 방지하고, 간편한 비상통화 기능을 통하여 분실 단말기의 회수 및 비상시 통화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잠금 및 비상통화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even when the terminal is lost in the state that the lock function is not set, the automatic lock function prevents leakage of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lock and emergency call control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eventing unauthorized use of the terminal and effectively applying to recovery and emergency call of lost terminal through simple emergency call function. hav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잠금 및 비상통화 제어장치는, 통화키, 비상키 및 해제키를 포함하며, 이름, 휴대폰번호, 비상연락번호, 사용자의 주소 또는 분실방지문구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고, 사용자가 대기화면모드를 설정하고 시간 설정이 가능한 키 입력부; 대기화면모드 상태에서, 시간을 카운트하여 미리 설정된 대기 시간이 경과될 경우 단말기를 잠금 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통화키 입력시에는 입력된 비상연락번호로 바로 통화 연결시키고, 상기 비상키 입력시에는 입력된 비상연락번호를 화면에 표시하고 이 번호중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는 번호로 통화 연결시키고, 상기 해제키 입력시에는 비밀번호입력화면을 표시하고 입력되는 비밀번호의 정오에 따라 잠금 상태를 해제 또는 유지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단말기가 잠금 상태로 전환될 경우 사용자 이름, 주소 및 분실방지문구를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utomatic locking and emergency call control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ll key, an emergency key and a release key, and prevents a name, a mobile phone number, an emergency contact number, a user's address or loss. A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user information including a phrase and allowing a user to set a standby screen mode and set a time; In the idle screen mode, the time is counted to switch the terminal to a locked state when a preset waiting time elapses, and when the call key is input, the call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emergency call number entered, and when the emergency key is input, The emergency contact numb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call is connected to the number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numbers. When the release key is input, the password input screen is displayed and the lock state is released or maintained according to the noon of the input password. Control unit; A memory for storing data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under control of the controller; When the terminal is switched to the locked stat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cree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user name, address and anti-lost phrase on the scree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잠금 및 비상통화 제어방법은, 이름, 휴대폰번호, 비상연락번호 및 분실방지문구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입력하는 단계; 사용자가 대기화면모드를 설정할 경우, 대기 시간을 설정하고 사용자의 주소를 입력하는 단계; 대기화면모드 상태에서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단계에서 설정된 대기 시간이 경과될 경우 단말기를 잠금 상태로 전환시킴과 동시에 사용자 이름, 주소 및 분실방지문구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대기화면모드 상태에서 통화키를 누를 경우, 미리 입력된 비상연락번호로 바로 통화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대기화면모드 상태에서 비상키를 누를 경우, 미리 입력된 비 상연락번호를 화면에 표시하고, 이 번호중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는 번호로 통화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대기화면모드 상태에서 해제키를 누를 경우, 비밀번호입력화면을 표시하고 입력되는 비밀번호의 정오에 따라 잠금 상태를 해제 또는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utomatic locking and emergency call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inputting user information including a name, a mobile phone number, an emergency contact number and a loss prevention phras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tting a standby time and inputting a user's address when the user sets a standby screen mode; Counting the time in the idle screen mode and switching the terminal to the locked state when the waiting time set in the step is elapsed, and displaying a user name, address and an anti-lost phrase on the screen; Connecting a call directly to a previously entered emergency contact number when the call key is pressed in the standby screen mode; In case of pressing the emergency key in the standby screen mode, displaying a previously input emergency contact number on a screen and connecting a call to a number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numbers; When the release key is pressed in the standby screen mode state, displaying a password input screen and releasing or maintaining the lock state according to the noon of the input passwor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비상연락번호를 입력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상연락번호를 순차적으로 입력하고, 상기 대기화면모드 상태에서 통화키를 누를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비상연락번호중 맨 처음에 입력된 비상연락번호로 통화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mergency contact number is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t least one emergency contact number is sequentially inputted, and when the call key is pressed in the standby screen mode, the first emergency contact number entered first of the one or more emergency contact numbers. It is preferable to make a call.
상기 비상연락번호로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상태에서 일정시간동안 통화연결이 안될 경우에는 그 다음에 등록된 전화번호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f the call is not conn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while attempting to connect to the emergency contact number, it is more preferable to attempt to make a call while sequentially moving to the registered phone number.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잠금 및 비상통화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잠금 및 비상통화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utomatic locking and emergency call control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utomatically locking and emergency call control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통화키(11), 비상키(12) 및 해제키(13)를 포함하는 키 입력부(10)와, 제어부(20)와, 메모리(30)와, 화면 표시부(4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키 입력부(10)는 이름, 휴대폰번호, 비상연락번호 및 분실방지문구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입력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대기화면모드를 설정 할 경우, 대기 시간을 설정하고 사용자의 주소를 입력한다.The
제어부(20)는 타이머(21)를 포함하며, 대기화면모드 상태에서 시간을 카운트하여 미리 설정된 대기 시간이 경과될 경우 단말기를 잠금 상태로 전환시키고, 대기화면모드 상태에서 상기 통화키(11)가 입력될 경우 미리 입력된 비상연락번호로 바로 통화 연결시키고, 비상키(12)가 입력될 경우, 미리 입력된 비상연락번호를 화면에 표시하고, 이 번호중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는 번호로 통화 연결시키고, 해제키(13)가 입력될 경우, 비밀번호입력화면을 표시하고 입력되는 비밀번호의 정오에 따라 잠금 상태를 해제 또는 유지하도록 한다.The
메모리(30)는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키 입력부(1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화면 표시부(40)는 단말기가 잠금 상태로 전환될 경우 사용자 이름, 주소 및 분실방지문구를 화면에 표시한다.The memory 30 stores data input from the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상연락번호를 순차적으로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30)에 저장하고, 상기 대기화면모드 상태에서 통화키를 누를 경우 상기의 비상연락번호중 맨 처음에 입력된 비상연락번호로 통화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이름, 휴대폰번호, 비상연락번호 및 분실방지문구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입력하는 단계(S01)와, 사용자가 대기화면모드를 설정할 경우, 대기 시간을 설정하고 사용자의 주소를 입력하는 단계(S02~S04)와, 대기화면모드 상태에서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단계에서 설정된 대기 시간이 경과될 경우 단말기를 잠금 상태로 전환시킴과 동시에 사용자 이름, 주 소 및 분실방지문구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S05~S08)와, 상기 대기화면모드 상태에서 통화키(11)를 누를 경우, 미리 입력된 비상연락번호로 바로 통화 연결시키는 단계(S09~S10)와, 상기 대기화면모드 상태에서 비상키(12)를 누를 경우, 미리 입력된 비상연락번호를 화면에 표시하고, 이 번호중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는 번호로 통화 연결시키는 단계(S11~S12)와, 상기 대기화면모드 상태에서 해제키(13)를 누를 경우, 비밀번호입력화면을 표시하고 입력되는 비밀번호의 정오에 따라 잠금 상태를 해제 또는 유지하는 단계(S13~S14)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inputting the user information, including the name, mobile phone number, emergency contact number and anti-lost phrase in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01), and when the user sets the standby screen mode, setting the standby time And inputting the user's address (S02 to S04), counting the time in the standby screen mode, and switching the terminal to the locked state when the waiting time set in the above step elapses, and at the same time, user name, address and lost Displaying the prevention phrase on the screen (S05 to S08); and when the call key 11 is pressed in the standby screen mode, directly connecting a call to an emergency contact number previously input (S09 to S10); When pressing the emergency key (12) in the standby screen mode state, and displays the emergency contact number entered in advance on the screen, and the call is connected to the number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numbers (S11 ~ S12) When pressing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in this way in more detail as follows.
먼저, 사용자는 키 입력부(10)를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입력하게 되는데, 통상 사용자 이름, 휴대폰번호, 비상연락번호 및 분실방지문구를 입력한다(S01).First, a user inputs user informa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이후, 사용자가 대기화면모드를 설정하고자 할 경우, 대기 시간을 설정하고 사용자의 주소를 입력한다(S02~S04). Thereafter, when the user wants to set the standby screen mode, the standby time is set and the user's address is input (S02 to S04).
여기서 입력되는 대기 시간은 후에 단말기가 잠금 상태로 전환되는데 이용되며, 사용자 주소는 잠금 상태에서 단말기 화면에 표시될 때 이용된다. 이와 같이 입력된 각종 데이터는 제어부(20)에 제어에 의하여 메모리(30)에 저장된다.The waiting time input here is used to later switch the terminal to the locked state, and the user address is used when the terminal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screen in the locked state. The various data input as described above are stored in the memory 30 under control of the
이와 같이 기본적인 설정 과정이 이루어진 후, 단말기를 대기화면모드 상태에서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단말기를 사용할 때에는 별도의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After the basic setting process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is used in the idle screen mode. In this state, the terminal can be used without inputting a separate password.
이와 같은 대기화면모드 상태에서 단말기는 통상 제어부(20)에 내장된 타이 머(21)를 이용하여 시간을 카운트하고, 상기 단계에서 설정된 대기 시간이 경과될 경우 단말기를 잠금 상태로 전환시킨다(S05~S07). 이와 함께 화면 표시부(40)는 사용자 이름, 주소 및 분실방지문구를 화면에 표시한다(S08). In the standby screen mode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normally counts the time using the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습득한 사람이 상기 화면에 표시된 이름, 주소 및 분실방지문구를 보고 용이하게 단말기를 주인에게 찾아 줄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person who has acquir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easily find the terminal to the owner by looking at the name, address and loss prevention phrase displayed on the screen.
한편, 상기 대기화면모드 상태에서 통화키(11)를 누를 경우, 미리 입력된 비상연락번호로 바로 통화 연결된다(S09~S10).On the other hand, when the call key 11 is pressed in the standby screen mode state, the call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emergency contact number input in advance (S09 to S10).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비상연락번호를 입력하되, 적어도 하나 이상, 대략 3~4개 내외의 비상연락번호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대기화면모드 상태에서 통화키를 누를 경우 상기의 비상연락번호중 맨 처음에 입력된 비상연락번호로 통화 연결시킨다.At this time, the emergency contact number is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t preferably at least one or more, and approximately three to four emergency contact numbers are sequentially entered. Therefore, when the call key is pressed in the standby screen mode, the call is connected to the emergency call number first inputted from the emergency call numbers.
상기 비상연락번호로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상태에서 일정시간동안 상기 비상연락번호로 통화연결이 안될 경우에는 그 다음에 등록된 전화번호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emergency call number is not connected to the emergency contact number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state of attempting a call connection to the emergency contact number, it is preferable to try to make a call connection while sequentially moving to the registered telephone number.
또한, 상기 대기화면모드 상태에서 비상키(12)를 누를 경우, 미리 입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상연락번호를 화면에 표시하고, 이 번호중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는 번호로 통화 연결시킨다(S11~S12).In addition, when the emergency key 12 is pressed in the standby screen mode, at least one emergency contact number input in advance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call is connected to a number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numbers (S11 to S12). .
또한, 상기 대기화면모드 상태에서 해제키(13)를 누를 경우, 비밀번호입력화면을 표시하고 입력되는 비밀번호의 정오에 따라 잠금 상태를 해제 또는 유지한다.(S13~S14)In addition, when the
따라서, 잠금 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말기가 분실되었을 경우에도 자동잠금 기능에 의하여 사용자의 개인 정보 유출을 방지함과 아울러, 타인에 의한 단말기의 무단 사용을 방지하고, 간편한 비상통화 기능을 통하여 분실 단말기의 회수 및 비상시 통화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terminal is lost when the lock function is not set, the automatic lock function prevents the leakage of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prevents unauthorized use of the terminal by another person, and loses it through a simple emergency call function. It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recovery of terminal and emergency call.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잠금 및 비상통화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은, 잠금 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말기가 분실되었을 경우에도 자동잠금 기능에 의하여 사용자의 개인 정보 유출을 방지함과 아울러, 타인에 의한 단말기의 무단 사용을 방지하고, 간편한 비상통화 기능을 통하여 분실 단말기의 회수 및 비상시 통화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전화번호를 외우지 못하는 노인이나 아이도 간단히 통화키를 누름으로써 보호자와 연락할 수 있어 미아를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locking and emergency call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 leakage of user's personal information by the automatic locking function even when the terminal is lost without the locking function being set. In addition to preventing the unauthorized use of the terminal by other people, through the easy emergency call function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recovery of lost terminals and emergency calls, the elderly or children who can not memorize the phone number simply press the call key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keep in touch with the guardian and prevent the loss of children.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59417A KR100622874B1 (en) | 2004-07-28 | 2004-07-28 | Automatic locking and emergency call control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
CNB2005100050942A CN100505794C (en) | 2004-07-28 | 2005-01-31 | Auto-locking and abnormal communication controll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59417A KR100622874B1 (en) | 2004-07-28 | 2004-07-28 | Automatic locking and emergency call control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0646A true KR20060010646A (en) | 2006-02-02 |
KR100622874B1 KR100622874B1 (en) | 2006-09-19 |
Family
ID=35927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59417A KR100622874B1 (en) | 2004-07-28 | 2004-07-28 | Automatic locking and emergency call control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622874B1 (en) |
CN (1) | CN100505794C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0183B1 (en) * | 2006-07-18 | 2008-01-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How to lock your mobile device automatically |
KR101273483B1 (en) * | 2006-09-08 | 2013-06-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The method of hold state automatic conversion and portable device thereof |
US10671413B2 (en) | 2013-03-15 | 2020-06-02 | Facebook, Inc. | Social filtering of user interfa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835248B (en) * | 2010-04-02 | 2013-08-07 |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 Device and method for turning off bluetooth module |
CN102693391A (en) * | 2011-03-22 | 2012-09-26 | 联想(北京)有限公司 |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
CN110611736A (en) * | 2019-09-19 | 2019-12-24 | 深圳市亿道数码技术有限公司 | Controllable dormancy method and system based on Android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44370A (en) * | 1998-12-30 | 2000-07-15 | 윤종용 | Method for automatically locking keypad in cellular phone |
KR20020087665A (en) * | 2001-05-15 | 2002-11-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conducting in a PDA |
KR20040026560A (en) * | 2002-09-25 | 2004-03-31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Method for embodying lock-function after assigned tim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
KR100983264B1 (en) * | 2003-04-07 | 2010-09-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utomatic locking function and an automatic locking method thereof |
-
2004
- 2004-07-28 KR KR1020040059417A patent/KR10062287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
- 2005-01-31 CN CNB2005100050942A patent/CN100505794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0183B1 (en) * | 2006-07-18 | 2008-01-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How to lock your mobile device automatically |
KR101273483B1 (en) * | 2006-09-08 | 2013-06-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The method of hold state automatic conversion and portable device thereof |
US10671413B2 (en) | 2013-03-15 | 2020-06-02 | Facebook, Inc. | Social filtering of user interfa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22874B1 (en) | 2006-09-19 |
CN1728853A (en) | 2006-02-01 |
CN100505794C (en) | 2009-06-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17841B1 (en) | Mobile terminal and its automatic locking method | |
US7509140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pting input in non-active mode | |
US7414613B2 (en) | Method for intermediate unlocking of a keypad on a mobile electronic device | |
US723123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locking a mobile telephone touch screen | |
US20050085215A1 (en) |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for emergency calling in a touch screen mobile phone from a touch screen and keypad lock active state | |
US709968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against an inadvertent keystroke | |
EP1715663A2 (en) |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al restriction control method/program | |
JP3671832B2 (en) | Mobile phone terminal | |
JP2001086228A (en) | Mobile phone | |
CN1764884A (en) | Be used to authorize device to the visit of electronic equipment | |
KR100310191B1 (en) | How to control lost / stolen status of portable terminal | |
KR100622874B1 (en) | Automatic locking and emergency call control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 |
KR20060044206A (en) |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erforming auto lock function | |
JP3261394B2 (en) | Wireless portable terminal device | |
JP2010045454A (en) | Cellular phone | |
EP1733547B1 (en) | Movement activated key guard | |
KR100790183B1 (en) | How to lock your mobile device automatically | |
JP4056498B2 (en) | Mobile phone | |
EP1739937A1 (en) | Electronic equipment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providing a remind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JP4159069B2 (en) | Wireless telephone equipment | |
KR101152711B1 (en) | Lock setting mobile terminal capable of user and lock sett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20070071389A (en) | How to protect data on your mobile device | |
JP3056113B2 (en) | Mobile phone | |
JP2010183412A (en) | Communications device | |
KR20020051690A (en) | Automatic locking method using voice recognition of portable telepho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9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8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8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