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0089A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tereoscopic image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tereoscopic ima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10089A KR20060010089A KR1020040058671A KR20040058671A KR20060010089A KR 20060010089 A KR20060010089 A KR 20060010089A KR 1020040058671 A KR1020040058671 A KR 1020040058671A KR 20040058671 A KR20040058671 A KR 20040058671A KR 20060010089 A KR20060010089 A KR 200600100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mobile communication
- stereoscopic image
- image data
- communication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94—Transmission of image sig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39—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wo 2D image sensors having a relative position equal to or related to the interocular distan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여 피사체의 이미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지영상 또는 입체영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써, 피사체를 촬영하며 회전이 가능한 다수의 카메라 모듈과 상기 다수의 카메라 모듈로부터 각각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가 입체영상으로 구현되어 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이 좀 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그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보다 실감나는 입체영상을 통해 화상통화를 수행할 수 있어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plurality of camera modules to realize a still image or a three-dimensional image based on the image data of the subject, a plurality of camera modules capable of rotating and photographing the subject and the plurality of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for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each of the camera module is implemented as a stereoscopic image to be transmitted to other devices, the camera module mounted on the terminal can perform a variety of functions to improve the efficiency In addition, the user can perform a video call through a more realistic three-dimensional image, thereby improving the user's satisfaction with the product.
카메라, 듀얼 카메라, 입체영상, 이동통신 단말기Camera, dual camera, stereoscopic vide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scription
도 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이 간략하게 도시된 도,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 는 듀얼 카메라를 장착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가 도시된 도,2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quipped with a dual camera;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a: 제 1카메라 모듈 10b: 제 2카메라 모듈10a:
20: 제어부 21: 주제어부20: control unit 21: main control unit
23: 입체영상 처리부 30: 입력부23: stereoscopic image processing unit 30: input unit
40: 표시부40: display unit
본 발명은 입체 영상이 구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 수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여 피사체의 이미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지영상 또는 입체영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전에 따라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in the year 2000) 단말기와 같은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으며, 상기 단말기를 통해 주문형 모바일 방송이나 멀티 메시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capable of transmitting / receiving still picture or video information such as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in the year 2000 (IMT2000) terminals have emerged. Is being provided.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이 도시된 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earance of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H)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부(미도시)와, 렌즈를 통하여 입력된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상기 주제어부로 전달하는 카메라 모듈(1)과, 상기 단말기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주제어부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안테나를 통해 전송하도록 하는 RF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 is a main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the camera module (1) for transmitting the image signal of the subject input through the lens to the main control unit and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of the terminal And an RF unit (not shown) for converting the radio signal into a baseband signal and converting the baseband signal from the main controller into a radio signal and transmitting the radio signal through the antenna.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H)는 상기 카메라 모듈(1)로부터 촬영된 영상신호가 상기 주제어부를 거쳐 상기 RF부를 통해 상대측 단말기로 전송되게 된다. In the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video signal photographed from the
또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는 상기 RF부를 통해 변환처리되어 상기 주제어부로 전달되고, 변환처리된 영상신호는 상기 주제어부에서 복원되어 외부로 나타나게 된다. In addition, the vide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is converted through the RF unit and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 unit, the converted video signal is recover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and appear to the outside.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 및 동작되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카 메라 모듈을 통해 평면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타 기기로 전송하므로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것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structed and operated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a stereoscopic image through the camera module because the plane image is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module and transmitted to another devic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의 카메라 모듈을 장착하고, 상기 각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상된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mount a plurality of camera modules, and to implement a three-dimensional image in accordance with the image data captured from each of the camera modules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and the user's convenien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improved.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이 구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피사체를 촬영하며 회전이 가능한 다수의 카메라 모듈과, 상기 다수의 카메라 모듈로부터 각각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가 입체영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mplementing a stereoscopic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amera modules capable of rotating a photographing subject and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camera modules, respectively, to be implemented as a stereoscopic i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다수의 카메라 모듈(10)과, 선택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10)로부터 생성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타 기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20)와, 상기 각 카메라 모 듈(10)을 통해 촬영하고자 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평면/입체 구현방식을 선택하도록 하는 입력부(30)와, 상기 입력부(30)의 선택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가 평면 또는 입체 영상으로 나타나도록 하는 표시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회전이 가능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회전에 따라 렌즈가 향하는 방향이 이동된다. The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상기 입력부(30)의 선택에 따라 일반 촬영용 또는 화상통화용 등으로 각각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촬영된 이미지는 입체영상 뿐만 아니라 평면영상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The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카메라 모듈(1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22, Digital Signal Processor)와,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22)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입체영상이 구현되도록 하는 입체영상 처리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입체영상 처리부(23)는 동일 피사체에 대하여 동시에 각 카메라 모듈(10a, 10b)로부터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일련의 처리과정을 통해 입체영상을 구현하고자 하는 입체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데, 이는 어떤 사물을 볼 때 그것의 다른 면을 동시에 봄으로써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는 것에 기인한다.The stereoscopic image processor 23 may generate stereoscopic image data to implement stereoscopic image through a series of processing by receiving image data photographed from each camera module (10a, 10b) for the same subject at the same time,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when you see an object, you can feel the three-dimensional effect by looking at its other side at the same time.
이때, 상기 입체영상 처리부(23)를 통해 출력된 입체영상 데이터는 화상통화를 위해 상대측 단말기로 음성신호와 함께 전송될 수 있으며, 영상메시지로서 타 단말기 또는 외부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3D image data output through the 3D image processor 23 may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an audio signal to a counterpart terminal for a video call, and may be transmitted to another terminal or an external device as a video message.
또한, 상기 입체영상 데이터는 상기 표시부(40)를 통해 선명한 입체영상으로 출력되며, 입체안경 등의 보조기구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40)를 통해 구현되는 입체영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감상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tereoscopic image data is output as a clear stereoscopic image through the
한편, 상기 제어부(20)는 타 단말기와 무선으로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통신모듈(24)과, 상기 단말기를 구성하는 각 부의 전반적인 동작을 통합제어하는 주제어부(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입력부(30)는 상기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 또는 숫자, 문자등이 입력되기 위한 키입력부(미도시)와, 상대측 단말기로 음성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input unit 30 includes a key input unit (not shown) for inputting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a number, a character, and the like, and a microphone for receiving the voice signal for transmitting a voice signal to a counterpart terminal. Not shown).
상기 표시부(40)는 상기 단말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거나, 상기 카메라 모듈(10) 또는 상대측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데이터가 나타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상기 상대측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 데이터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하기 위한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는 LCD 또는 PDP가 사용될 수 있으며, 입체영상이 보다 쉽게 구현되기 위하여 편광필터를 설치하거나, 반원모양의 렌즈가 순차적으로 배열된 렌티큘러 스크린이 부착될 수 있다. The
도 2는 듀얼 카메라가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로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가 도시된 도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n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quipped with a dual camera.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제 1 및 제 2카메라 모듈(10a, 10b)로 구성되어 상기 단말기의 전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 고 설치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는 보조 표시부(미도시)가 장착되어 있다.In the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module is composed of first and
상기 제 1 및 제 2카메라 모듈(10a, 10b)의 위치는 반드시 상기 단말기의 전면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측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보조 표시부의 위치 역시 상기 단말기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통상의 단말기와 같이 상기 단말기의 내외부에 동시에 장착될 수도 있다.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상기 제 1 및 제 2카메라 모듈(10a, 10b)은 각각 렌즈를 통하여 입력된 피사체의 광학적 영상신호를 고체촬상소자(CCD, 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영상센서를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며, 변환된 신호는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22)를 통해 각각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The first an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이 구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mplemented as a three-dimensional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원이 인가되면 이동통신 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지국 등록절차를 수행한 후 대기상태에 놓여진다.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station is placed in a standby state after performing a base station registration procedur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대기상태에서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키입력부를 조작하여 카메라 촬영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주제어부(21)는 그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각 카메라 모듈(10a, 10b)로 전달한다. When the subject is to be photographed in the standby state, when the camera photographing menu is selected by operating the key input unit, the main controller 21 transmits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to each of the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를 향하여 상기 각 카메라 모듈(10a, 10b)의 렌즈 방향을 조절한 후 촬영 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각 카메라 모듈(10a, 10b)은 상기 피 사체의 각각 상이한 측면에서의 영상을 촬영하게 되며, 각기 다른 방향에서 보이는 동일한 피사체의 이미지 데이터가 생성되게 된다.When the photographing operation is performed after adjusting the lens direction of each of the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는 각각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22)로 전달되어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되고, 각각 변환된 디지털 영상신호는 상기 입체영상 처리부(23)로 전달된다. The generated image data is transferred to the
상기 입체영상 처리부(23)를 통해 구현된 입체영상 데이터는 상기 표시부(40)를 통해 나타나거나, 상기 통신모듈(24)을 통해 타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The stereoscopic image data implemented through the stereoscopic image processing unit 23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성통화중 상기 키입력부로 입체 영상을 통한 화상통화 메뉴를 선택한 경우, 상기 주제어부(21)는 상기 각 카메라 모듈(10a, 10b)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게 되며,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된 상기 피사체의 각 이미지 데이터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입체영상 처리부(23)로 전달된다.Meanwhil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a video call menu through a stereoscopic image as the key input unit during a voice call, the main control unit 21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each of the
상기 입체영상 처리부(23)는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피사체가 입체영상으로 나타나도록 입체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주제어부(21)는 상기 입체영상 데이터를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함께 상대측 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The stereoscopic image processing unit 23 generates stereoscopic image data based on the received image data so that the subject appears as a stereoscopic image, and the main control unit 21 inputs the stereoscopic image data through the microphone. Along with the other terminal.
이때, 상기 상대측 단말기로부터 입체영상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주제어부(21)는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22)로 전송한다.In this case, when a stereoscopic imag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the main controller 21 separates an audio signal and a video signal and transmits the audio signal to the
수신된 음성 및 영상신호는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22)를 통해 상기 주제어부(21)가 판독가능한 음성/영상 신호로 변환되며, 이중 변환된 영상신호는 상기 입체영상 처리부(23)로 전송된다.The received audio and video signal is converted into an audio / video signal that can be read by the main controller 21 through the
상기 입체영상 처리부(23)는 수신된 영상신호를 상기 상대측 단말기의 각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데이터로 각각 분리하고, 분리된 이미지 데이터를 토대로 입체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부(40)를 통해 입체영상이 구현되도록 한다.The stereoscopic image processor 23 separates the received image signal into image data of each camera module of the counterpart terminal, generates stereoscopic image data based on the separated image data, and displays the stereoscopic image through the
이와 동시에, 상기 변환된 음성신호는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At the same time, the converted voice signal is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a speake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입체 영상이 구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다수의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토대로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기술사상은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응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mplementing the stereoscopic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The technical idea of implementing a stereoscopic image based on the acquired image data can be easily appl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a protected rang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이 구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수의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영된 동일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토대로 입체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여, 상기 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이 좀 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그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보다 실감나는 입체영상을 통해 화상통화를 수행할 수 있어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진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mplementing the stereoscopic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generates stereoscopic image data based on image data of the same subject photographed from a plurality of camera modules, so that the camera module mounted to the terminal It can perform a variety of functions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can make a video call through a more realistic three-dimensional image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user's satisfaction with the product.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58671A KR20060010089A (en) | 2004-07-27 | 2004-07-27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tereoscopic im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58671A KR20060010089A (en) | 2004-07-27 | 2004-07-27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tereoscopic ima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0089A true KR20060010089A (en) | 2006-02-02 |
Family
ID=37120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58671A Ceased KR20060010089A (en) | 2004-07-27 | 2004-07-27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tereoscopic ima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010089A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58718B1 (en) * | 2004-12-23 | 2006-12-1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Stereoscopic Imager with Image Capture |
WO2012081787A1 (en) | 2010-12-14 | 2012-06-21 | Lg Electronics Inc. |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
WO2012091526A3 (en) * | 2010-12-31 | 2012-10-04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Portable video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camera, and method therefor |
KR20130002646A (en) * | 2011-06-29 | 2013-01-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
KR20130064257A (en) * | 2011-12-08 | 2013-06-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2004
- 2004-07-27 KR KR1020040058671A patent/KR20060010089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58718B1 (en) * | 2004-12-23 | 2006-12-1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Stereoscopic Imager with Image Capture |
WO2012081787A1 (en) | 2010-12-14 | 2012-06-21 | Lg Electronics Inc. |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
CN103262429A (en) * | 2010-12-14 | 2013-08-21 | Lg电子株式会社 |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
EP2630732A4 (en) * | 2010-12-14 | 2014-04-02 | Lg Electronics Inc |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
US9106893B2 (en) | 2010-12-14 | 2015-08-11 | Lg Electronics Inc. | 3D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using connection status and glasses type selection icons and method thereof |
WO2012091526A3 (en) * | 2010-12-31 | 2012-10-04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Portable video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camera, and method therefor |
KR20130002646A (en) * | 2011-06-29 | 2013-01-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
KR20130064257A (en) * | 2011-12-08 | 2013-06-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292795B2 (en) | Mobile device with camera | |
US9485430B2 (en) | Image processing device, imaging device,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 |
KR20040025580A (en) | Electronics with two and three dimensional display functions | |
JP2004120058A (en) | Electronic apparatus with two dimensional and three dimentional display functions | |
JP5294889B2 (en) |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 |
CN104365090A (en) | Image processing system, transmitting side device, and receiving side device | |
CN100433754C (en) | Equipment and method used for display image in mobile terminal | |
KR20040104777A (en) | Handset having dual camera | |
WO2013145821A1 (en) | Imaging element and imaging device | |
JP3804766B2 (en) | Imag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ortable telephone | |
KR20070113578A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video call function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ing same | |
KR20060010089A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tereoscopic image | |
JP2000078549A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video telephone function | |
JP2004109330A (en) | Electronic apparatus equipped with two dimensional and three dimensional display function | |
JP2004129027A (en) | Portable device and three-dimensional image formation system using the same | |
JP2004166159A (en) | Cellular phone with built-in camera | |
CN100544452C (en) | Method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 data of portable terminal | |
JP3935812B2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2D (2D) and 3D (3D) display functions | |
KR100747581B1 (en) |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with camera a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using same | |
JP2005039400A (en) | Electronic apparatus | |
JP2012100135A (en) |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 software of the same | |
JP5670828B2 (en) |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photographing a three-dimensional image, and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 | |
JP5626883B2 (en) | Videophon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2006345572A (en) | Mobile terminal device | |
KR200341237Y1 (en) | Apparatus for the 3d image aquisition and display of mobile pho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6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5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