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08071A - 스위치 조립체 - Google Patents

스위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8071A
KR20060008071A KR1020040057731A KR20040057731A KR20060008071A KR 20060008071 A KR20060008071 A KR 20060008071A KR 1020040057731 A KR1020040057731 A KR 1020040057731A KR 20040057731 A KR20040057731 A KR 20040057731A KR 20060008071 A KR20060008071 A KR 20060008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ubstrate
dome switch
button
switch assemb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7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9892B1 (ko
Inventor
정경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7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892B1/ko
Priority to CNB2005100022694A priority patent/CN100422840C/zh
Publication of KR20060008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8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89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2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스위치 조립체를 보다 소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스위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기판과; 상기 기판에 그 두께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설치되는 돔스위치와; 상기 기판에 그 판면 방향을 따라 상기 돔스위치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적어도 두개의 홀센서와; 상기 돔스위치가 눌려지며 신호가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돔스위치를 누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기판의 판면 방향을 따라 상기 각 홀센서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이 상기 홀센서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홀센서에 자기장이 인가되며 신호가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버튼에 형성되는 자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조립체를 제공한다.
스위치 조립체, 돔스위치, 홀센서, 버튼, 자석

Description

스위치 조립체{SWITCH ASSEMBLY}
도 1은 종래 스위치 조립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조립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조립체의 작동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기판 101 : 돔스위치
102a,102b : 홀센서 110 : 버튼
111 : 누름돌기 112 : 누름면
113a,113b : 자석부 120 : 장착대상물
본 발명은 스위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위치 조립체를 보다 소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스위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에는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다.
일 예로서,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에는 카메라의 줌(ZOOM) 기능(줌인/줌아웃) 및 셔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다.
아울러 최근에는 카메라의 줌 기능 및 셔터 기능을 하나의 스위치로 수행할 수 있도록 다중 스위치부를 갖는 스위치가 제공되고 있다.
첨부한 도 1은 종래 스위치 조립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스위치 조립체는 소정 위치에 제1(11), 제2(12) 및 제3스위치부(13)가 구비되어 있는 스위치본체(10)와, 상기 각 스위치부(11,12,13)에서 신호가 발생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각 스위치부(11,12,13)에 접촉되는 작동노브(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스위치본체(10)의 각 스위치부(11,12,13)는 작동노브(20)의 누름조작 및 회전조작에 의해 접촉되도록 되어 있는 바, 상기 제2스위치부(12)는 작동노브(20)의 누름조작에 의해 접촉되고, 제1(11) 및 제3스위치부(13)는 작동노브(20)의 좌우 회전조작에 의해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작동노브(20)는 (도면상)상단 일측에 조작버튼부(21)가 형성되어 있는 대략 반원 형상으로 그 하단에는 이 작동노브(20)를 회전 및 누름 조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22)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공(23)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공(23)을 통해 지지축(30)이 결합되는 바, 상기 작동노브(20)는 지지축(30)을 중심으로 소정구간 좌우 방향으로 회전 조작될 수 있으며, 또 지지축(30)이 가이드공(23)을 통해 슬라이딩되며 작동노브(20)가 스위치본체(10)에 대해 누름 조작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24는 상기 작동노브(20)의 누름 조작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동노브(2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지칭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스위치 조립체가 카메라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적용될 시 작동노브(20)의 누름조작에 따라 접촉되는 제2스위치부(12)는 카메라의 셔텨 기능을 수행하고, 작동노브(20)의 좌우 회전조작에 따라 접촉되는 제1(11), 제3스위치부(13)는 카메라의 줌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스위치 조립체의 경우에는 작동노브(20)가 누름 및 회전 조작되며 각 스위치부(11,12,13)에 접촉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불가피하게 스위치 조립체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 상기 작동노브(20)에 무리한 힘이 가해질 시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 지지부(22)가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스위치 조립체를 보다 소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스위치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판과; 상기 기판에 그 두께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설치되는 돔스위치와; 상기 기판에 그 판면 방향을 따라 상기 돔스위치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적어도 두개의 홀센서와; 상기 돔스위치가 눌려지며 신호가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돔스위치를 누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기판의 판면 방향을 따라 상기 각 홀센서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이 상기 홀센서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홀센서에 자기장이 인가되며 신호가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버튼에 형성되는 자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돔스위치와 상기 각 홀센서는 동일 선상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돔스위치와 접촉되는 상기 버튼의 접촉부에 형성되는 누름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조립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조립체의 작동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조립체가 카메라의 줌(ZOOM) 기능(줌인/줌아웃) 및 셔터 기능을 수행하도록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조립체는, 기판(100)과, 상기 기판(100)에 설치되는 돔스위치(101) 및 홀센서(102a,102b)와, 상기 돔스위치(101)가 눌려지며 신호가 발생될 수 있도록 돔스위치(101)를 누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기판(100)의 판면 방향을 따라 홀센서(102a,102b)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110)과, 상기 버튼(110)이 홀센서(102a,102b) 측 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홀센서(102a,102b)에 자기장이 인가되며 신호가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버튼(110)에 형성되는 자석부(113a,113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판(100)은 카메라가 장착되는 장착대상물(120)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돔스위치(101)는 기판(100)의 상면의 소정 위치에 그 두께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홀센서(102a,102b)는 기판(100)의 상면에 그 판면 방향을 따라 돔스위치(101)를 사이에 두고 소정 거리 이격되게 적어도 두개가 설치되며, 상기 기판(100)에 홀센서 수용부(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돔스위치(101)와 각 홀센서(102a,102b)는 동일 선상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튼(110)은 기판(100)의 상부에 즉, 돔스위치(101)의 상부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돔스위치(101)가 눌려지며 신호가 발생될 수 있도록 기판(1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돔스위치(101)를 누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기판(100)의 판면 방향을 따라 상기 각 홀센서(102a,102b)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버튼(110)의 상부에는 누름면(112)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 누름면(112)은 장착대상물(120)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며, 상기 돔스위치(101)와 접촉되는 버튼(110)의 접촉부에는 버튼(110)의 누름 조작시 그 누르는 힘이 돔스위치(101)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축소된 면적을 갖는 누름돌기(11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자석부(113a,113b)는 버튼(110)이 각 홀센서(102a,102b)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홀센서(102a,102b)에 자기장이 인가되며 신호가 발생될 수 있도록 버튼(110)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즉, 홀센서(102a,102b)를 흐르는 전류에 자기장이 수직 방향으로 인가됨에 따라 일정 신호가 발생하게 되는 바, 이는 통상적인 홀효과(Hall effect)를 응용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이하, 첨부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조립체의 작동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스위치 조립체를 통한 카메라의 셔터 기능은 돔스위치(101)에 의해 수행되는 바, 도 3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버튼(110)을 누름 조작하게 되면 버튼(110)의 누름돌기(111)가 기판(100)에 설치된 돔스위치(101)에 가압 접촉되며 신호가 발생되고 이 신호에 의해 카메라의 셔터 기능이 수행된다.
한편 본 발명의 스위치 조립체를 통한 카메라의 줌 기능(줌인/줌아웃)은 각 홀센서(102a,102b)에 의해 수행되는 바, 도 3의 (b) 내지 (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버튼(110)을 좌우로 슬라이딩 조작하게 되면 버튼(110)에 일체로 형성된 자석부(113a,113b)가 홀센서(102a,102b)에 상부에 배치되며 홀센서(102a,102b)에 자기장이 인가되어 신호가 발생되고 이 신호에 의해 카메라의 줌 기능이 수행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조립체에 의하면, 홀센서와 돔스위치를 이용하여 스위치를 조립체를 구성함으로써, 스위치 조립체를 보다 소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기판과;
    상기 기판에 그 두께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설치되는 돔스위치와;
    상기 기판에 그 판면 방향을 따라 상기 돔스위치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적어도 두개의 홀센서와;
    상기 돔스위치가 눌려지며 신호가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돔스위치를 누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기판의 판면 방향을 따라 상기 각 홀센서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이 상기 홀센서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홀센서에 자기장이 인가되며 신호가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버튼에 형성되는 자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돔스위치와 상기 각 홀센서는 동일 선상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돔스위치와 접촉되는 상기 버튼의 접촉부에 형성되는 누름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조립체.
KR1020040057731A 2004-07-23 2004-07-23 스위치 조립체 Expired - Fee Related KR100619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731A KR100619892B1 (ko) 2004-07-23 2004-07-23 스위치 조립체
CNB2005100022694A CN100422840C (zh) 2004-07-23 2005-01-20 开关组装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731A KR100619892B1 (ko) 2004-07-23 2004-07-23 스위치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071A true KR20060008071A (ko) 2006-01-26
KR100619892B1 KR100619892B1 (ko) 2006-09-19

Family

ID=35924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7731A Expired - Fee Related KR100619892B1 (ko) 2004-07-23 2004-07-23 스위치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19892B1 (ko)
CN (1) CN100422840C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009B1 (ko) * 2005-08-26 2007-01-16 주식회사 맥퀸트전자 문자 입력 장치
KR100770751B1 (ko) * 2006-06-21 2007-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의 스위칭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KR100797673B1 (ko) * 2006-04-20 2008-01-23 삼성전기주식회사 모듈형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와원격조정기
KR101279511B1 (ko) * 2006-11-16 2013-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형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US9027429B2 (en) 2013-05-03 2015-05-12 Hyundai Motor Company Electronic shift lev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725B1 (ko) * 2006-05-15 2008-01-02 삼성전기주식회사 입력장치
CN101414098B (zh) * 2007-10-19 2010-09-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调焦用的推键组件
JP2010157474A (ja) * 2009-01-05 2010-07-15 Omron Corp 操作入力装置
CN101629967B (zh) * 2009-07-10 2011-04-20 华为终端有限公司 移动终端上的方向感应方法及装置
CN103744471B (zh) * 2013-12-31 2017-12-12 上海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穿戴式设备按键及其电路
CN107102743A (zh) * 2016-02-23 2017-08-29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与按键模块
CN107610967B (zh) * 2016-07-11 2021-06-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操作键结构及具有其的移动终端设备
CN109819072A (zh) * 2018-12-05 2019-05-28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工作模式调整方法
WO2024130017A1 (en) * 2022-12-16 2024-06-20 Sonos, Inc. Mechanical slider for headphones
WO2024154963A1 (ko) * 2023-01-16 2024-07-25 삼성전자 주식회사 키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7964A (en) * 1997-09-04 2000-08-01 Nokia Mobile Phones Limited Navigation key for a handset
CN1241013A (zh) * 1998-06-30 2000-01-12 日本电气株式会社 包含在移动终端中的操纵杆开关的按钮
NO20003974L (no) * 2000-02-18 2001-08-20 Ziad Badarneh Manöverinnretning
CN2504842Y (zh) * 2001-08-28 2002-08-07 蔡文峰 移动电话用附加式摇杆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009B1 (ko) * 2005-08-26 2007-01-16 주식회사 맥퀸트전자 문자 입력 장치
KR100797673B1 (ko) * 2006-04-20 2008-01-23 삼성전기주식회사 모듈형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와원격조정기
KR100770751B1 (ko) * 2006-06-21 2007-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의 스위칭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KR101279511B1 (ko) * 2006-11-16 2013-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형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US9027429B2 (en) 2013-05-03 2015-05-12 Hyundai Motor Company Electronic shift le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9892B1 (ko) 2006-09-19
CN1725093A (zh) 2006-01-25
CN100422840C (zh) 200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9892B1 (ko) 스위치 조립체
EP0724278B1 (en) Rotatively-operated electronic component with push switch
US8054293B2 (en) Electronic apparatus
JP3991577B2 (ja) レバースイッチ
EP1310968A2 (en) Switch apparatus
US7638725B2 (en) Switch for electric power tool
JP5814676B2 (ja) スライドスイッチ、及びスライドスイッチを備える電子機器
KR101571454B1 (ko) 전자식 변속레버
US6201202B1 (en) Switch operating rubber member and switch device
EP1708220A1 (en) Multi-operational input device
KR100835142B1 (ko) 스크롤 푸싱 스위치 모듈
KR100761424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EP3104388B1 (en) Input device
JP2013045503A (ja) 入力装置
JP2007035402A (ja) 電気装置の操作機構
KR101919432B1 (ko) 스위치 장치
KR101155226B1 (ko) 스위치 유니트
DE50306944D1 (de) Elektrisches Schaltgerät
CN109841437B (zh) 具有扁平结构的按钮型控制装置
JP6015283B2 (ja) スイッチ及び電子機器
US20100201467A1 (en) Magnetically actuated electric switch
KR20100134239A (ko) 스위치 장치
KR101126484B1 (ko) 스위치 장치
JP2009283414A (ja) 入力装置
KR20040086805A (ko) 스위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2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8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