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07743A - 가이드 롤러장치 - Google Patents

가이드 롤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7743A
KR20060007743A KR1020040056978A KR20040056978A KR20060007743A KR 20060007743 A KR20060007743 A KR 20060007743A KR 1020040056978 A KR1020040056978 A KR 1020040056978A KR 20040056978 A KR20040056978 A KR 20040056978A KR 20060007743 A KR20060007743 A KR 20060007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device
guide roller
guide
guide rope
wi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5161B1 (ko
Inventor
박현호
김성욱
백주흠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6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5161B1/ko
Publication of KR20060007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7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16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2Suspension of the load; Guiding means, e.g. wheels; Attaching traction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가공지선의 활선 공사시 유용하게 사용될 가이드 롤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이드 롤러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개방 및 폐쇄되는 도어가 구비된 프레임 및 롤러를 포함하는 와이어 롤링부와; 가이드 로프를 체결하기 위해 스프링에 의해 개방된 고정핀을 구비한 가이드로프 고정부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가공지선 등의 와이어 교체작업 시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와이어를 삽입하면, 스프링에 의해 도어가 자동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되어, 와이어를 손쉽게 체결 가능하고 체결 신뢰성도 높일 수 있다.
또한, 개방 상태의 상기 가이드로프 고정부의 고정핀에 가이드로프를 위치시키고 상기 고정핀을 밀어 체결하기만 하면 견고한 체결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송전탑, 가공지선, 가이드 롤러장치, 가이드로프

Description

가이드 롤러장치{Guide roller device to install optical ground wire under live line condition}
도 1은 종래 가이드 롤러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가이드 롤러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 가이드 롤러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롤러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롤러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롤러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지선용 가이드 롤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가공지선 20 : 가이드로프
30 : 풀링로프 40 : 자주기
100 : 가이드 롤러장치 110, 110' : 와이어 롤링부
112, 112' : 슬라이딩도어 114 : 스프링
116 : 경사면 120 : 가이드로프 고정부
122 : 고정홀 123 : 몸체부
124 : 고정핀 126 : 고정핀 잠금부
본 발명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개방 및 폐쇄되는 도어가 구비된 프레임 및 롤러를 포함하는 와이어 롤링부와; 가이드 로프를 체결하기 위해 스프링에 의해 개방된 고정핀을 구비한 가이드로프 고정부로 이루어지고, 주로 가공지선의 활선 공사시 유용하게 사용될 가이드 롤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탑에는 가공지선이 상측에 형성되고, 다수개의 송전선이 그 하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공지선은 낙뢰에 의해 송전선이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최근에 들어, 상기 가공지선은 단순한 낙뢰 유도를 위해 사용되지 않고, 내부에 광케이블을 설치하여 통신수단으로 사용되는 추세이다.
이에, 종래 가공지선을 광복합 가공지선으로 교체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이는 자주기와 다수개의 가이드 롤러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며, 다 교체된 다음 회수기를 작동시켜 교체선을 회수함으로 교체작업이 마무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 등에 사용 가능한 가이드 롤러장치에 관한 것이 다.
도 1은 종래 가이드 롤러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가이드 롤러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종래 가이드 롤러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송전탑의 가공지선(10)을 따라 이동되는 자주기(40)가 구비되고, 이 자주기(40)에는 가이드로프(20)와 풀링로프(30)가 연결되어 가공지선(1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로프(20)와 풀링로프(3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간격마다 가이드 롤러장치(50)를 설치하여 상기 자주기(4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롤러장치(50)는 와이어 롤링부(60, 60')가 형성되고, 이 와이어 롤링부(60, 60')의 사이에 가이드로프 고정부(70)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 롤링부(60)는 일 측면에 도어(62)가 구비되고, 이 도어(62)를 통해 상기 가공지선(10)이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로프 고정부(70)는 링 형상의 고정홀(72)과 고정홀(72)의 중앙부를 가로지르는 고정핀(74)이 형성된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가이드 롤러장치(50)를 살펴보면, 먼저 상기 와이어 롤링부(60)의 도어(62)를 개방시킨 후 상기 가공지선(10)을 삽입하고, 다시 도어(62)를 닫아 고정시킨다.
그리고, 다른 와이어 롤링부(60')는 상기 와이어 롤링부(60)와 동일한 방법으로 풀링로프(30)를 삽입시키며, 상기 가이드로프 고정부(70)에는 가이드로프(20) 를 체결한다.
상기 가이드로프 고정부(70)의 가이드로프(20) 체결방법은 가이드로프 고정부(70)의 고정핀(74)을 일측으로 개방시킨 후, 상기 가이드로프(20)의 일부를 고리형상으로 변형시킨 다음, 상기 고정홀(72)을 통과시키고, 상기 고리형상의 가이드로프(20)를 상기 고정핀(74)에 건 다음, 이 고정핀(74)을 닫아서 가이드로프(20)를 단속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가이드 롤러장치(50)는 가공지선(10) 및 풀링로프(30)에 거는 와이어 롤링부(60, 60')의 도어(62, 62')와 가이드로프(20)에 거는 가이드로프 고정부(70)의 고정핀(74)을 작업자가 직접 열고, 단속해야 함으로 그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고, 작업인원도 많이 필요함으로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와이어 롤링부(60)의 도어(62)는 일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있음으로 단단히 고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흔들리게 되면, 가공지선(10)이 이탈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 롤러장치는 와이어 롤링부에 스프링을 통해 상측 또는 하측으로 개방되는 슬라이딩 도어를 형성함으로서, 가이드 롤러장치를 가공지선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스프링의 힘에 의해 상기 가공지선이 빠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인원을 감소킬 수 있음으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 롤링부와 가이드로프 고정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롤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롤링부는 프레임, 롤러 및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도어는 와이어의 인입 전에는 닫힌 상태로 유지되고, 인입 시에는 프레임을 따라서 슬라이딩 되어 열리고, 인입 후에는 다시 닫혀 프레임으로부터 와이어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 가이드 롤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와이어 롤링부의 도어부분이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되어 가공지선 등의 체결이 용이하고, 개방상태의 가이드로프 고정부의 고정핀에 가이드로프를 위치시키고 상기 고정핀을 밀어 체결하기만 하면 가이드로프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어 작업의 공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가이드 롤러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 롤링부를 포함하는 데, 이에는 슬라이딩을 통해 개방되고 닫히는 것이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프레임을 형성하여 가공지선, 풀링로프 등의 삽입을 간단하고도 용이하게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롤러장치는 한국공개특허 1998-0065130에서와 같이 와이 어 롤링부를 하나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가이드로프 고정부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2개를 배치하는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롤러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롤러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롤러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지선용 롤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송전탑의 가공지선(10)을 따라 이동되는 자주기(40)가 구비되고, 이 자주기(40)에는 가이드로프(20)와 풀링로프(30)가 연결되어 가공지선(1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로프(20)와 풀링로프(3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간격마다 가이드 롤러장치(100)를 설치하여 상기 자주기(4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롤러장치(100)는 상·하에 한 쌍으로 와이어 롤링부(110, 110')가 형성되고, 이 와이어 롤링부(110, 110')의 사이에 가이드로프 고정부(120)가 형성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롤러장치는 와이어 롤링부를 하나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가이드로프 고정부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2개를 배치하는 것은 더욱 바람직한 구성이다.
상기 와이어 롤링부(110)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개방되는 슬라이딩도어(112)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슬라이딩도어(112)는 와이어 롤링부(110,110')의 일측을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 스프링(114,114')에 의해 자동으로 폐쇄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와이어 롤링부(110,110')에 가공지선(1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상기 슬라이딩 도어(112,112')를 상 또는 하측으로 밀어 고정시킨 후, 가공지선(10)을 삽입하고, 스프링(114,114')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112,112')를 폐쇄시킴으로 용이하게 설치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도어(112,112')의 일측면에는 경사를 갖는 경사면(116)이 형성되어, 가공지선(10) 만의 가압으로 슬라이딩 도어(112,112')가 상 또는 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도어(112,112')의 일측면에는 손잡이(119)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손잡이를 잡고 슬라이딩 도어를 상하로 이동시켜 개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로프 고정부(120)는 상기 가공지선(10) 등과 수직방향으로 통공된 고정홀(122)이 형성되고, 이 고정홀(122)의 중앙부를 가로지르는 고정핀(124)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핀(124)은 가이드로프 고정부(120)의 중앙 상단부에 힌지 연결되고, 이 힌지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핀(124)이 개방되도록 힘을 전달시키게 된다.
이는 미사용 시 상기 고정핀(124)이 항상 개방되도록 하기 위함으로 가이드로프(20)를 설치하는 작업공수를 감소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124)의 일단을 단속할 수 있는 고정핀 잠금부(126)가 상기 가이드로프 고정부(12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바, 이는 상기 가이드로프(20)의 체결 후,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공지선(10)의 교체를 위해 가공지선(10)을 따라 이동하는 자주기(40)가 형성되고, 이 자주기(40)에 연결되어 이동하는 가이드로프(20)와 풀링로프(3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로프(20)와 풀링로프(3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간격마다 가이드 롤러장치(100)가 구비되는데, 이 가이드 롤러장치(100)의 가이드로프 고정부(120)에 가이드로프(20)가 고정되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자주기(4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장치(100)의 설치를 살펴보면, 상기 풀링로프(30)를 가이드 롤러장치(100)에 한 쌍으로 형성된 와이어 롤링부 중 어느 하나(110')에 걸고, 상기 자주기(40)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가이드로프(20)를 가이드로프 고정부(120)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로프(20)가 고정된 가이드 롤러장치(100)를 상기 가공지선(10)에 설치하는데, 상기 풀링로프(30)가 삽입된 와이어 롤링부(110')와 한 쌍을 이루는 다른 와이어 롤링부(110)를 가공지선(10)에 걸어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로프 고정부(120)는 미사용 시 고정핀(124)이 스프링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가이드로프(20)의 설치 시 이 가이드로프(20)를 가이드로프 고정부(120)에 위치시키고, 고정핀(124)을 몸체부(123) 방향으로 밀어, 고정핀 잠금부(126)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고정핀 잠금부(126)는 고정핀(124)의 일단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로프 고정부(120)의 중앙 상단부에 위치하는 힌지 연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스프링에 의해 일정 각도 젖혀지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고정핀(124)의 체결 시 그 일단이 고정핀 잠금부(126)의 경사면을 밀어젖힌 후 하단에 걸려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롤러장치(100)는 가공지선(10)에 설치하는데, 이 가공지선(10)에 상기 와이어 롤링부(110)의 슬라이딩 도어(112)를 대응시킨 다음, 손잡이(119)를 통해 도어를 개방하여 가공지선(10)을 설치하거나, 경사면(116)을 따라 가공지선(10)을 밀어 넣어 슬라이딩 도어(112)를 개방한 상태에서 가공지선(10)을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112)는 스프링(114)이 구비되어 개방된 도어가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함으로서, 가공지선(10)이 프레임의 외형을 벗어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도어(112)의 개폐부는 20 내지 100mm의 폭을 가지도록 구성한다.
왜냐하면, 그 폭이 너무 좁으면, 가공지선 등의 와이어를 와이어 롤링부에 인입 시키기에 불편하고, 그 폭이 너무 넓으면, 와이어를 와이어 롤링부에 인입 시 키기는 용이하나, 와이어 롤링부의 크기가 이에 비례하여 커지게 되어 가이드 롤러장치 전체 크기가 커지며 또한 그 무게도 무거워 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가이드 롤러장치는 알루미늄이나 그 합금 등으로 제작하여 그 무게가 3kg을 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작업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 롤러장치에 의하면, 와이어 롤링부의 도어부분이 슬라이딩에 의해 상하 이동하면서 개폐됨으로서, 가공지선 등 와이어의 체결이 용이하고, 작업의 공수를 감소시키며 작업시간을 단축시킴은 물론 작업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Claims (8)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 롤링부와 가이드로프 고정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롤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롤링부는 프레임, 롤러 및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도어는 와이어의 인입 전에는 닫힌 상태로 유지되고, 인입 시에는 프레임을 따라서 슬라이딩 되어 열리고, 인입 후에는 다시 닫혀 프레임으로부터 와이어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 가이드 롤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프 고정부는 몸체부와 고정핀을 포함하며,
    가이드로프를 상기 가이드 롤러장치에 체결하기 전에는 상기 고정핀이 열린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가이드로프를 상기 가이드 롤러장치에 체결한 후에는 상기 몸체부와 상기 고정핀에 의해 상기 가이드로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 가이드 롤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프 고정부는 가이드로프 고정핀의 잠금부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롤러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프 고정부의 가이드로프 고정핀 개폐는 힌지축과 스프링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롤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폐는 슬라이딩 도어와 스프링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롤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일측이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롤러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일측에 도어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롤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20 내지 100mm 길이의 개폐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롤러장치의 무게는 3kg 이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롤러장치.
KR1020040056978A 2004-07-21 2004-07-21 가이드 롤러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645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978A KR100645161B1 (ko) 2004-07-21 2004-07-21 가이드 롤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978A KR100645161B1 (ko) 2004-07-21 2004-07-21 가이드 롤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743A true KR20060007743A (ko) 2006-01-26
KR100645161B1 KR100645161B1 (ko) 2006-11-10

Family

ID=37118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978A Expired - Fee Related KR100645161B1 (ko) 2004-07-21 2004-07-21 가이드 롤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516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256B1 (ko) * 2005-02-23 2007-01-0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조금차의 장착 장치
KR100669231B1 (ko) * 2006-06-05 2007-01-16 지에스네오텍 주식회사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
CN109360488A (zh) * 2018-12-13 2019-02-19 国网山东省电力公司龙口市供电公司 一种可带电安装的悬挂式警示牌组件
KR102339717B1 (ko) * 2020-11-26 2021-12-15 주식회사 프로감리단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방지장치
KR102561296B1 (ko) * 2023-05-26 2023-07-28 주식회사 지에스웹 주행 균형 장치가 마련되는 익스트림 주행 시설물의 주행체
CN107863715B (zh) * 2017-12-21 2024-02-23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衡水供电分公司 一种地线辅助安装工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0207B1 (en) 2002-04-08 2003-04-01 Harris Manufacturing Inc. Cable hanging syste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256B1 (ko) * 2005-02-23 2007-01-0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조금차의 장착 장치
KR100669231B1 (ko) * 2006-06-05 2007-01-16 지에스네오텍 주식회사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
CN107863715B (zh) * 2017-12-21 2024-02-23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衡水供电分公司 一种地线辅助安装工具
CN109360488A (zh) * 2018-12-13 2019-02-19 国网山东省电力公司龙口市供电公司 一种可带电安装的悬挂式警示牌组件
KR102339717B1 (ko) * 2020-11-26 2021-12-15 주식회사 프로감리단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방지장치
KR102561296B1 (ko) * 2023-05-26 2023-07-28 주식회사 지에스웹 주행 균형 장치가 마련되는 익스트림 주행 시설물의 주행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5161B1 (ko) 200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421B1 (ko)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
KR102079472B1 (ko) 활선 작업용 전선 홀더 및 이 홀더가 부착된 보조 완철
KR101592964B1 (ko)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KR102303614B1 (ko) 역회전 방지 및 해제장치를 갖는 치차 장력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가선 및 철거공법
CN105846344B (zh) 可自动闭锁的跟斗滑车
KR101874061B1 (ko) 가공송전선로용 자동전선삽입활차
KR100865480B1 (ko)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
KR100946425B1 (ko)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완금 및 전주 교체기구
KR100645161B1 (ko) 가이드 롤러장치
KR102389099B1 (ko) 잠금장치를 구비한 자동식 후크
KR100645162B1 (ko) 가이드 롤러장치
CN211008351U (zh) 一种装修用窗口安全保护装置
KR101894525B1 (ko) 가공송전선로용 자동전선삽입활차를 이용한 헬기 연선 공법
PL192947B1 (pl) Zintegrowane urządzenie do instalowania i podtrzymywania samonośnych przewodów linii napowietrznej z dołączonym wózkiem przewodu
CN111691660A (zh) 一种建筑用户外升降吊篮
KR100444672B1 (ko) 차체 이송용 행거장치
CN113184720B (zh) 一种跨越障碍物的展放装置
CN213116022U (zh) 一种防冲击波人防门结构
JP2001286020A (ja) ケーブル架渉用金車
CN213039196U (zh) 一种可调速的梯头
JP6000857B2 (ja) 移線工事用金車および移線工事方法
DE102009036909B4 (de) Fernöffnungsgerät für Türen
US20100133869A1 (en) Tailgate lifter
CN220727678U (zh) 一种基站监控装置
JPH06225418A (ja) 送電線の移線工法およびその工法に使用される移線用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0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