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07729A - Recording Media for Inkjet Printers - Google Patents

Recording Media for Inkjet Print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7729A
KR20060007729A KR1020040056960A KR20040056960A KR20060007729A KR 20060007729 A KR20060007729 A KR 20060007729A KR 1020040056960 A KR1020040056960 A KR 1020040056960A KR 20040056960 A KR20040056960 A KR 20040056960A KR 20060007729 A KR20060007729 A KR 20060007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zirconium
receiving layer
styrene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9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6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7729A/en
Publication of KR20060007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7729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02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18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inorganic additives, e.g. pigments, c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63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B41M5/5272Polyesters; Polycarbon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흡수량, 잉크흡수속도 뿐만 아니라 내수성, 내습성도 우수한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cording medium for an inkjet printer which is excellent in water absorption and moisture resistance as well as ink absorption amount and ink absorption speed.

본 발명은 기재층과; 및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도공된 잉크 수용층을 포함하며, 상기 잉크 수용층은 무기물 충전제, 친수성 수지, 스티렌-말레이미드 공중합체 및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는 지르코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ase layer; And an ink receiving layer coat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wherein the ink receiving layer is made of a zirconium compound containing an inorganic filler, a hydrophilic resin, a styrene-maleimide copolymer, and a halogen element. To provide.

잉크수용층, 스티렌, 말레이미드, 지르코늄, 할로겐Ink receiving layer, styrene, maleimide, zirconium, halogen

Description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Recording medium for ink jet printers}Recording medium for ink jet printers {Recording medium for ink jet printer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잉크젯 기록 매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inkjet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major symbols in the drawings>

1... 기재층1 ... substrate layer

2... 잉크수용층2. Ink receiving layer

3... 언더코팅층3 ... undercoat layer

4... 보호층4 ... protective layer

5... 후면코팅층5. Back coating layer

본 발명은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재층(substrate)의 일면에 도공된 잉크수용층을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ording medium,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cording medium for an inkjet printer including an ink receiving layer coated on one surface of a substrate layer.

잉크젯 프린터는 출력 속도가 빠르고, 프린터 가격이 낮으며, 고해상도의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 Inkjet printers are widely used due to their high output speed, low printer cost, and the ability to provide high resolution images.

잉크젯 프린터에는 일반 용지를 비롯하여 특수 코팅된 전용지, 전용 필름 등 의 다양한 기록 매체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진 소수성 기재층과 상기 소수성 기재층 일면에 친수성 물질을 코팅하여 기록 매체에 잉크가 용이하게 정착할 수 있는 역할을 하는 잉크 수용층으로 이루어진다.In inkjet printers, various recording media such as general paper, specially coated special paper, and special film are used. In general, a recording medium for an inkjet printer has a hydrophobic base layer made of cellulose acetate or a polyester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a hydrophilic material coated on one surface of the hydrophobic base layer so that the ink can be easily fixed to the recording medium. It consists of an ink receiving layer.

이와 같은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는 열방식, 피에조 방식 또는 페이스 체인지 방식 등의 잉크젯 프린터를 통한 디지털 사진이나 화상의 인쇄에 적용되어, 오버헤드 프로젝터를 통한 프리젠테이션 도구로 이용되거나, 외벽 장식, 디자인, 광고 분야 등에서 이용되고 있다.Such recording media for inkjet printers are applied to the printing of digital photographs or images through inkjet printers, such as thermal, piezo or face change, which are used as presentation tools via overhead projectors, It is used in the advertising field.

근래의 잉크젯 프린터에 의한 기록은 급속히 화질이 향상되면서, 하드 카피의 궁극 목표인 은염 사진에 맞먹는 기록물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In recent years, recording by inkjet printers has rapidly improved the picture quality, and thus records that are equivalent to silver chloride photographs, which are the ultimate goals of hard copying, can be obtained.

미국 특허 제 5,866,268호, 일본 특개소 제 55-144,172호 및 일본 특개소 제 62-268,682호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비닐알코올 등과 같은 친수성 수지를 바인더로 사용하여 잉크의 흡수속도 및 흡수용량이 개선된 기록 매체를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특허에서의 기록 매체는 내수성이 약하여 화상의 번짐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U.S. Patent No. 5,866,268,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5-144,172,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62-268,682 use a hydrophilic resin such as cellulose derivative, polyvinyl alcohol, etc. as a binder to improve the absorption rate and absorption capacity of ink. Although a medium is disclosed, problems such as blurring of an image are pointed out because the recording medium in the patent is weak in water resistance.

일본 특개소 제 59-198,186호, 일본 특개소 제 56-84,992호는 폴리에틸렌이민의 유기산염을 함유하는 코팅층을 구비한 기록매체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에서는 기록 매체의 내수성은 향상되었지만, 내열성, 내광성이 저하되어 자외선에 의한 황변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9-198,186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6-84,992 disclose a recording medium having a coating layer containing an organic acid salt of polyethyleneimine. In the above patent, the water resistance of the recording medium is improved, but there is a problem that yellowing due to ultraviolet rays occurs due to deterioration of heat resistance and light resistance.                         

최근, 기록 매체로서 종래의 기록 매체와 비교하여 잉크 중에 염료를 고착시키는 뛰어난 능력과 고광택의 화상을 형성시킬 수 있는 알루미나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 4,879,166호, 미국 특허 제 5,104,730호 및 일본 특개평 제 2-276,670호, 일본 특개평 제 4-37,576호 및 일본 특개평 제 5-32,037호는 뵈마이트 구조를 갖는 알루미나 수화물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In recent years,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alumina capable of forming a high gloss image and an excellent ability to fix dyes in ink as a recording medium as compared with conventional recording media. U.S. Patent No. 4,879,166, U.S. Patent 5,104,730,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276,670, Japanese Patent Laid-Open No. 4-37,576,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32,037 include records containing alumina hydrates having boehmite structures. Disclosed about the medium.

이 밖에 지르코늄 원자를 함유한 화합물을 잉크젯 기록 용지에 이용한 것도 이미 알려져 있다. 일본 특개소 제 55-53,591호, 일본 특개소 제 55-150,396호, 일본 특개소 제 56-867,789호, 일본 특개소 제 58-89,391호 및 일본 특개소 제 58-94,491호에는 수용성 염료와 결합하여 난용성 염을 형성하는 다가 금속염을 포함하는 잉크젯 기록 용지에 관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개소 제 60-67,190호, 일본 특개소 제 61-10,584호 및 일본 특개소 제 61-57,379호에는 양이온성 고분자와 수용성 다가 금속염을 첨가한 잉크젯 기록 용지에 관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개평 제 4-7,189호에는 다공성 안료와 산 염화 지르코늄 화합물을 이용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유럽 특허 제 754,560호에는 수용성 바인더, 안료, 지르코늄 화합물, 양이온성 고분자를 병용한 특허가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it is already known to use a compound containing zirconium atoms in an inkjet recording paper.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5-53,59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5-150,396,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6-867,789,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8-89,391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8-94,491 in combination with a water-soluble dye An ink jet recording paper comprising a polyvalent metal salt forming a poorly soluble salt is described. In additio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60-67,190, Japanese Patent Laid-Open No. 61-10,584,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61-57,379 describe an inkjet recording paper to which a cationic polymer and a water-soluble polyvalent metal salt are adde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4-7,189 discloses a method using a porous pigment and an acid zirconium chloride compound. EP 754,560 discloses a patent using a water-soluble binder, a pigment, a zirconium compound and a cationic polymer in combination.

그러나, 상기의 선행 기술에는 염료 정착이나 단기적인 내수성 등이 많이 향상되기는 하였으나 장기적인 내수성이 부족한 상태이고 특히, 고온에서의 내습성은 경우에 따라서는 오히려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although dye fixation and short-term water resistance have been improved a lot, there is a problem in that long-term water resistance is insufficient, and in particular, moisture resistance at a high temperature is deteriorated in some cases.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고온에 서의 내습성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내수성 및 잉크 흡수력등이 향상된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recording medium for an ink jet printer, which has improved not only moisture resistance at high temperature but also long term water resistance and ink absorption.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기재층과; 및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도공된 잉크 수용층을 포함하며, 상기 잉크 수용층은 무기물 충전제, 친수성 수지, 스티렌-말레이미드 공중합체 및 지르코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 매체을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layer; And an ink receiving layer coat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wherein the ink receiving layer comprises an inorganic filler, a hydrophilic resin, a styrene-maleimide copolymer, and a zirconium compound. To provide.

상기 기재층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카보네이트계, 셀룰로오즈-아세테이트계 또는 폴리에틸렌계 필름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투명 또는 반투명 필름,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이 단면 또는 양면 코팅된 종이, 편면 또는 양면 아트지, 캐스트 코팅지, 합성지, 인화지 및 바리타(baryta)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The base layer may be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film selected from polyester-based, polycarbonate-based, cellulose-acetate-based or polyethylene-based films, paper coated with one or two sides of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single-sided or double-sided art paper, cast coated paper, It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ynthetic paper, photo paper and baryta paper.

상기 무기물 충전제는 탄산칼슘, 카올린, 탈크, 황산칼슘, 황산바륨, 산화티탄, 산화아연, 탄산아연, 규산알루미늄, 규산, 규산나트륨, 규산마그네슘, 규산칼슘, 실리카 및 알루미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루미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The inorganic filler may be calcium carbonate, kaolin, talc, calcium sulfate, barium sulfate, titanium oxide, zinc oxide, zinc carbonate, aluminum silicate, silicate, sodium silicate, magnesium silicate, calcium silicate, silica and alumina. More preferab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alumina represented by Formula 1 may be used.

<화학식 1><Formula 1>

Al2O3-p(OH)2p·qH2O Al 2 O 3-p (OH ) 2p · qH 2 O

상기 식중 p 는 3이하의 정수이고 q 는 10이하의 양의 유리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이하의 양의 유리수이다.In said formula, p is an integer of 3 or less, q is a rational number of quantity of 10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a rational number of quantity of 5 or less.

이와 같은 알루미나는 자체적으로 양전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잉크 중의 염료의 잉크수용층으로의 정착이 좋고 동시에 투명성이 양호하며 인쇄 농도가 높고, 발색이 좋은 화상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공질의 층을 형성하므로 잉크 수용층의 잉크 흡수도를 향상시키고, 바인더 위주의 레진타입은 친수성 위주의 고분자를 사용하여 내수성이 약한 반면, 본 발명과 같이 알루미나를 위주로 쓰는 다공방식은 안료 위주의 잉크수용층을 형성하므로 내수성도 우수한 편이며, 바인더 단독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필름들간의 눌어붙는 현상을 없애는 현상과 같은 표면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Since such alumina has a positive charge on its ow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ye in the ink is well fixed to the ink receiving layer, and at the same time, the transparency is high, the printing density is high, and the color is good. In addition, since the porous layer is formed, the ink absorption of the ink receiving layer is improved, and the binder-based resin type has a weak water resistance using a hydrophilic polymer, whereas the porous method using the alumina is mainly a pigment-based method as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k receiving layer is formed, the water resistance is also excellent, and surface characteristics such as a phenomenon of eliminating the sticking phenomenon between the films that may occur when the binder is used alone can be controlled.

여기서, 상기 무기충전제는 잉크수용층 형성물 조성물중의 전체 고형분에 대해 50 내지 95 중량%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inorganic filler preferably has 50 to 95%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solids in the ink-receiving layer-forming composition.

그러나 상기 알루미나와 같이 안료를 주로 사용하여 다공성의 잉크수용층을 형성하는 기록 매체가 대체로 내수성이 우수하기는 하나 장시간에 걸쳐 물에 침지하거나 고온 고습하에서는 좋지 못한 결과를 보이기도 한다. However, recording media that form a porous ink-receiving layer mainly using pigments, such as alumina, are generally excellent in water resistance, but are also poor in immersion in water for a long time or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이에 따라 내수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고온 고습하에서의 내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티렌-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opolymer of styrene-maleimide to not only improve water resistance but also improve moisture resistance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더 나아가, 상기 스티렌-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는 스티렌과 3급 아민기를 갖는 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진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copolymer of styrene-maleimide is preferably a compound consisting of styrene and maleimide having a tertiary amine group.

일반적으로 잉크젯 프린터용 컬러 잉크에 사용되고 있는 염료는 직접 염료 또는 산성 염료로서 그 염료 분자 자체에 음이온성의 카르복실기나 술폰산기를 갖고 있어, 상기의 스티렌-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의 양이온성 염 형태와 이온 결합 등을 통해 고정이 되어 상기 염료에 의해 형성되는 화상의 내수성이나 정착성이 향상된다. Generally, dyes used in color inks for inkjet printers are direct dyes or acidic dyes, which have anionic carboxyl groups or sulfonic acid groups in the dye molecules themselves, and thus cationic salt forms and ionic bonds of the copolymers of styrene-maleimide. It is fixed through the film, and the water resistance and fixability of the image formed by the dye are improved.

여기서, 상기 스티렌-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는 잉크수용층 형성물 조성물중의 전체 고형분에 대해 0.5 내지 20 중량%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polymer of styrene-maleimide preferably has 0.5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solids in the ink-receiving layer-forming composition.

한편, 상기 기록 매체의 내수성 및 고온 고습하에서의 내습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지르코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르코늄 화합물은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는 지르코늄 화합물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zirconium compound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water resistance of the recording medium and the moisture resistance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ven more preferably, the zirconium compound is a zirconium compound containing a halogen element.

이로써, 지르코늄 화합물은 가교제 역할뿐만 아니라 지르코늄이 다가 금속으로 염료 고정 능력도 있어 스티렌-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와 같이 염료 정착 역할을 하여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다. 산성인 지르코늄 화합물은 스티렌-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를 양이온성인 암모늄 염 형태로 전환시켜 스티렌-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를 수용성으로 만든다. 이로써, 스티렌-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와 지르코늄 화합물의 상호 작용으로 구조적으로 안정된 형태의 가교와 다른 형태의 염료 정착의 상승 효과로 코팅층의 내수성 및 내습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가교를 통해서만 내수성을 너무 올리면 반대로 잉크흡수도가 떨어지거나 내습성이 약해지는데, 상기에 의한 방법은 내습성을 떨어뜨리지 않는다. As a result, the zirconium compound not only acts as a crosslinking agent but also has a dye-fixing ability of zirconium as a polyvalent metal, thereby acting as a dye fixing agent such as a copolymer of styrene-maleimide, thereby providing a synergistic effect. Acidic zirconium compounds convert the copolymer of styrene-maleimide into the form of a cationic ammonium salt to render the copolymer of styrene-maleimide water soluble. As a result, the copolymer of styrene-maleimide and the zirconium compound may serve to improve the water resistance and moisture resistance of the coating layer by synergistic effects of structurally stable crosslinking and other forms of dye fixation. In general, if the water resistance is increased too much only through crosslinking, the ink absorbency is lowered or the moisture resistance is weakened. However, the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 does not degrade the moisture resistance.

여기서, 상기 지르코늄 화합물은 잉크수용층 형성물 조성물중의 전체 고형분에 대해 0.05 내지 20 중량%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zirconium compound preferably has 0.05 to 2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solids in the ink-receiving layer-forming composition.                     

상기 친수성 수지는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틸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젤라틴, 스타치 및 폴리에텔렌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더욱 더 바람직한 친수성 수지는 폴리비닐 알코올이다. 상기 폴리비닐 알코올은 잉크 적성이 좋고 안료에 대한 접착제 역할이 우수하여 주요 바인더로서 자주 사용된다. The hydrophilic resin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vinyl alcohol, polyvinylpyrrolidone, methyl cellulose, hydroxypropylmethyl, gelatin, starch and polyethylene oxide. Here, even more preferred hydrophilic resin is polyvinyl alcohol. The polyvinyl alcohol is often used as a main binder because of good ink suitability and excellent adhesive role to pigments.

여기서, 상기 친수성 수지는 잉크수용층 형성물 조성물중의 전체 고형분에 대해 5 내지 30 중량%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hydrophilic resin preferably has 5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solids in the ink-receiving layer-forming composition.

또한 상기 잉크수용층은 기록 매체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잉크수용층 중의 기타 첨가제는 잉크수용층 형성물 조성물중의 전체 고형분에 대해 0.015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ink receiving layer may further include other additives to improv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cording medium. At this time, the other additive in the ink receiving layer is preferably 0.015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solids in the ink receiving layer formation composition.

상기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는 기재층과 상기 잉크수용층 사이에 위치한 언더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cording medium for an inkjet printer may further include an undercoat layer located between the base layer and the ink receiving layer.

상기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는 잉크수용층의 상부에 위치한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cording medium for the inkjet printer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layer located on the ink receiving layer.

상기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는 기재층의 잉크수용층이 형성되지 않은 일면에 위치한 후면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cording medium for an inkjet printer may further include a back coating layer locat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on which the ink receiving layer is not form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Hereinafte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잉크젯 기록 매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inkjet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상부면과 하부면을 갖는 기재층(1)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기재층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카보네이트계, 셀룰로오즈-아세테이트계 또는 폴리에틸렌계 필름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투명 또는 반투명 필름,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이 단면 또는 양면 코팅된 종이, 편면 또는 양면 아트지, 캐스트 코팅지, 합성지, 인화지 및 바리타(baryta)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또한, 기재층의 두께는 취급이 용이하고 그 상부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70 내지 350㎛ 인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1, first, a substrate layer 1 hav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is provided. Here, the base layer is on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film selected from polyester-based, polycarbonate-based, cellulose-acetate-based or polyethylene-based film,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single-sided or double-sided coated paper, single-sided or double-sided art paper, cast It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ated paper, synthetic paper, photo paper and baryta paper.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base layer is preferably 70 to 350㎛ to be easy to handle and to prevent bending when forming a coating layer thereon.

이어서, 먼저, 상기 기재층(1)의 상부면에 잉크수용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잉크수용층(2)을 형성한다.Subsequently, first, the ink receiving layer 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layer 1 by us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ink receiving layer.

상기 잉크수용층 형성용 조성물은 무기물 충전제, 폴리비닐 알코올, 스티렌-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는 지르코늄 화합물 및 용매를 혼합하여 형성한다.The ink receiving layer-forming composition is formed by mixing an inorganic filler, a polyvinyl alcohol, a copolymer of styrene-maleimide, a zirconium compound containing a halogen element, and a solvent.

여기서, 상기 잉크수용층 형성용 조성물에서, 상기 무기물 충전제는 탄산칼슘, 카올린, 탈크, 황산칼슘, 황산바륨, 산화티탄, 산화아연, 탄산아연, 규산알루미늄, 규산, 규산나트륨, 규산마그네슘, 규산칼슘, 실리카 및 알루미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기충전제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루미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ink-receiving layer, the inorganic filler may be calcium carbonate, kaolin, talc, calcium sulfate, barium sulfate, titanium oxide, zinc oxide, zinc carbonate, aluminum silicate, silicate, sodium silicate, magnesium silicate, calcium silicate, Silica and alumina and the like can be used. More preferably, the inorganic fille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lumina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화학식 1><Formula 1>

Al2O3-p(OH)2p·qH2O Al 2 O 3-p (OH ) 2p · qH 2 O

상기 식중 p 는 3이하의 자연수이고 q 는 10이하의 양의 유리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이하의 양의 유리수이다. 많은 경우, 수화물 형태의 물(H2O)은 결정 격자의 형성에 관여하지 않는 이탈 가능한 수상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화학식 1에서 q 는 정수배가 아닌 값을 취할 수도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루미나는 X선 회절법으로 분석하였을 때, 뵈마이트 구조 또는 비정질 형태를 갖는다.In the above formula, p is a natural number of 3 or less and q is a free number of an amount of 10 or less, and more preferably a positive number of 5 or less. In many cases, hydrated water (H 2 O) exhibits a detachable aqueous phase that is not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the crystal lattice. Therefore, q in Formula 1 may take a value that is not an integer multiple. More preferably, the alumina has a boehmite structure or an amorphous form when analyzed by X-ray diffraction.

이와 같은 알루미나는 상술한 화학식 1의 분말 상태로 사용하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 이들 성분이 입자로 함유되어 있는 졸 상태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졸 상태의 안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졸내의 입자크기는 20 내지 2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알루미나의 입자의 크기가 20nm미만이면 잉크 흡수성이 저하되고, 200nm를 초과하게 되면 기록 매체의 투명도 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Such alumina may be used in a powder state of the above-described formula (1), or in some cases, a sol state in which these components are contained as particles may be used. Here, when using a pigment in a sol state, the particle size in the sol is preferably 20 to 200nm. At this time, if the size of the particles of the alumina is less than 20 nm, the ink absorbency is lowered, and if the size of the alumina exceeds 200 nm, there is a problem of lowering the transparency of the recording medium.

또한, 알루미나의 함량은 잉크수용층 형성물 조성물중의 전체 고형분에 대해 50 내지 9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잉크수용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알루미나의 함량이 너무 작거나 너무 많으면 상기한 대로 필름간의 눌어 붙는 현상 또는 잉크흡수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of alumina is preferably 50 to 9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solids in the ink-receiving layer-forming composition. At this time, if the content of the alumina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ink-receiving layer is too small or too much, the phenomenon of adhesion between films or a decrease in ink absorbency may occur as described above.

여기서 잉크수용층 형성용 조성물에는 알루미나 이외의 다른 안료, 예를 들면, 탄산칼슘, 카올린, 탈크, 황산칼슘, 황산바륨, 산화티탄, 산화아연, 탄산아연, 규산알루미늄, 규산, 규산나트륨, 규산마그네슘, 규산칼슘 및 실리카 등의 무기계 안료, 플라스틱 안료 및 요소 수지 안료 등의 유기계 안료, 및 이들의 혼합물이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첨가적 안료는 알루미나 100 중량부에 대해 20 중량부 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ink-receiving layer may include other pigments other than alumina, such as calcium carbonate, kaolin, talc, calcium sulfate, barium sulfate, titanium oxide, zinc oxide, zinc carbonate, aluminum silicate, silicic acid, sodium silicate, magnesium silicate, Inorganic pigments such as calcium silicate and silica, organic pigments such as plastic pigments and urea resin pigments, and mixtures thereof can be mixed and us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dditive pigments are preferably added in an amount of 20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lumina.

상기 잉크수용층 형성용 조성물에서, 상기 폴리비닐 알코올은 폴리비닐 아세테이트를 검화하여 만든 일반적 폴리비닐 알코올과 양이온성 그룹과 음이온성 그룹 등이 일부 치환된 변성 폴리비닐 알코올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폴리비닐 알코올은 중합도가 1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5000 이다. 또한, 검화도는 70 내지 100 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9.5 이다.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ink-receiving layer, the polyvinyl alcohol may be a general polyvinyl alcohol made by saponifying polyvinyl acetate, and a modified polyvinyl alcohol partially substituted with a cationic group and an anionic group. The polyvinyl alcohol is preferably a polymerization degree of 1000 or more, more preferably 1500 to 5000. The saponification degree is preferably 70 to 100 denier, more preferably 80 to 99.5.

상기 잉크수용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폴리비닐 알코올의 함량은 잉크수용층 형성물 조성물중의 전체 고형분에 대해 5 내지 30 중량%가 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중량%이다. 이때, 폴리비닐 알코올의 함량이 너무 작으면 바인더의 역할을 하지 못하여 기재층과의 부착력이 약해질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안료와 같은 다른 성분이 많아져 잉크 수용층에 크랙이 생기는 등 면성이 나빠지고, 폴리비닐 알코올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잉크수용층이 거의 바인더로만 이루어지게 되어 잉크흡수도가 떨어지고 잉크 속건성도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The content of the polyvinyl alcohol in the ink-receiving layer-forming composition may be 5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solids in the ink-receiving layer-forming composition, preferably 5 to 25% by weight. At this time, if the content of the polyvinyl alcohol is too small, it does not act as a binder, thereby weakening the adhesion to the base layer, and other components such as pigments are relatively increased, resulting in cracks in the ink receiving layer, and thus, poly If the content of the vinyl alcohol is too high, the ink receiving layer is almost made of a binder, so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ink absorbency and ink quick drying are also reduced.

한편, 상기 잉크수용층 형성용 조성물에서, 바인더로 사용되는 폴리비닐 알코올 외 추가로 친수성 고분자가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틸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즈, 젤라틴, 스타치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등이다. 사용되는 상기 친수성 고분자의 함량은 상기 폴리비닐 알코올 100중량부에 대해 50 중량부 이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 중량부를 갖는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ink-receiving layer, in addition to the polyvinyl alcohol used as the binder may be added to the hydrophilic polymer. For example, polyvinylpyrrolidone, methyl cellulose, 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gelatin, starch and polyethylene oxide and the like. The content of the hydrophilic polymer to be used is preferably used within 50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vinyl alcohol, more preferably has 0 to 20 parts by weight.

상기 잉크수용층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는 스티렌과 3급 아민기를 갖는 말레이미드가 공중합된 화합물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스티렌-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In the ink-receiving layer-forming composition, the styrene-maleimide copolymer may be a compound in which styrene and a maleimide having a tertiary amine group are copolymerized. More preferably,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copolymers of styrene-maleimide represented by the formula (2).

<화학식 2><Formula 2>

Figure 112004032401480-PAT00001
Figure 112004032401480-PAT00001

여기서, m + n = 1, 0.1 ≤ n ≤ 0.9 이다.Where m + n = 1, 0.1 ≦ n ≦ 0.9.

이와 같은 상기 스티렌-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는 3급 아민기를 갖고 있어 유기 용매에서 사용할 수도 있고 암모늄 염 형태로 물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스티렌-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는 중합도가 1,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20,000 이다.Such copolymers of styrene-maleimide have tertiary amine groups and may be used in organic solvents or in water in the form of ammonium salts. Herein, the copolymer of styrene-maleimide preferably has a degree of polymerization of 1,000 or more, more preferably 2,000 to 20,000.

여기서, 상기 스티렌-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의 함량은 잉크수용층 형성물 조 성물중의 전체 고형분에서 0.5 내지 20 중량%를 갖는다. 이때, 스티렌-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사용 효과가 없으며 그 양이 너무 많으면 잉크흡수도를 떨어뜨려 잉크젯 잉크 인쇄 적성에 나쁜 영향을 미칠수 있다.Here, the content of the copolymer of styrene-maleimide has 0.5 to 20% by weight in the total solids in the ink receiving layer formation composition. In this case, if the content of the copolymer of styrene-maleimide is too small, there is no use effect, and if the amount is too large, the ink absorption may be lowered, which may adversely affect the inkjet ink printing aptitude.

상기 잉크수용층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지르코늄 화합물은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르코늄 화합물은 상기 잉크수용층 형성용 조성물에 균일하게 존재할 수 있으면 수용성이거나 비수용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불화지르코늄, 삼불화지르코늄, 사불화지르모늄, 이염화지르코늄, 삼염화지르코늄, 사염화지르코늄, 지르코늄 옥시클로라이드(지크코닐 클로라이드), 지르코늄 히드록시클로라이드, 이브롬화지르코늄, 삼브롬화지르코늄, 사브롬화지르코늄, 삼요오드화지르코늄 및 사요오드화지르코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ink-receiving layer, the zirconium compound preferably contains a halogen element. Here, the zirconium compound may be water-soluble or water-insoluble if it can be present uniformly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ink-receiving layer. For example, zirconium difluoride, zirconium trifluoride, zirconium tetrafluoride, zirconium dichloride, zirconium trichloride, zirconium tetrachloride, zirconium oxychloride (zirconyl chloride), zirconium hydroxychloride, zirconium tribromide, zirconium tribromide, zirconium tribromide It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zirconium bromide, zirconium trioxide and zirconium iodide.

여기서, 상기 지르코늄 화합물의 함량은 잉크수용층 형성물 조성물중의 전체 고형분에 대해 0.05 내지 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잉크수용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지르코늄 화합물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사용 효과가 없으며 그 양이 너무 많으면 잉크흡수도를 떨어뜨려 잉크젯 잉크 인쇄 적성에 나쁜 영향을 미칠수 있다.Here, the content of the zirconium compound is preferably 0.05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solids in the ink-receiving layer-forming composition. In this case, if the content of the zirconium compoun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ink-receiving layer is too small, there is no use effect, and if the amount is too large, the ink absorption may be lowered, which may adversely affect the inkjet ink printing aptitude.

이로써, 스티렌-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와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는 지르코늄 화합물을 동시에 사용하여 내수성과 잉크 정착성이 우수하면서도 고온 고습하에서도 인쇄된 잉크의 번짐이 적어 내습성도 매우 우수한 기록 매체를 공급할 수 있다As a result, by using a styrene-maleimide copolymer and a zirconium compound containing a halogen element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supply a recording medium having excellent water resistance and ink fixability, less smearing of printed ink even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and very excellent moisture resistance.

상기 잉크수용층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환경적 문제와 작업성 등을 고려하여 물이 주로 사용되고 기타 케톤류, 글리콜 에테르류, 알콜류 용매 또는 메틸 셀로솔브, 에틸 셀로솔브, 디메틸 포름아미드, 디메틸 술폭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상 일 수 있다. 여기서 케톤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아세톤 및 메틸 에틸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고, 글리콜 에테르류의 구체적인 예로는 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부틸 에테르가 있고, 알콜류 용매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및 이소프로판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In the ink receiving layer-forming composition, the solv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water is mainly used in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workability, and other ketones, glycol ethers, alcohol solvents or methyl cellosolve, ethyl cellosolve, dimethyl 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ormamide, dimethyl sulfoxide. Herein, specific examples of the ketones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etone and methyl ethyl ketone. Specific examples of the glycol ethers include diethylene glycol and di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and specific examples of alcohol solvents include methanol and ethanol. It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tanol and isopropanol.

또한, 용매의 함량은 잉크수용층 형성용 조성물의 고형분이 5 내지 40중량%가 되도록 희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형분의 함량이 너무 작으면 점도가 너무 낮아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팅시 건조에 어려움이 있고, 너무 많으면 점도가 너무 높아져 코팅면성이 나빠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In addition, the content of the solvent is preferably diluted so that the solid content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ink-receiving layer is 5 to 40% by weight. In this case, if the content of the solid is too small, not only the viscosity may be too low, but also difficult to dry during coating, and if too much, the viscosity may be too high, so that the coating surface may deteriorate.

상기 용매중 물을 제외한 알콜류 및 기타 유기용매는 용매의 총함량중 5 내지 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너무 적을 때는 건조특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고 또, 너무 많을 때에는 상기 조성물의 용해도 문제 발생과 가격 상승 요인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Alcohols and other organic solvents other than water in the solvent are preferably 5 to 50% by weight of the total content of the solvent. In this case, when too small, the drying property tends to deteriorate, and when too small,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solubility problem and a price increase factor of the composition may occur.

상기 잉크수용층 형성용 조성물에는 물성을 보완하기 위해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첨가제는 가교제, 정착제, 염료, 형광 염료, 광확산제, pH 조절제, 산화방지제, 소포 및 탈포제, 레벨링제, 윤활제, 컬링방지제, 표면 조절제 및 젖음성 향상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이상 일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바인더 성분 및 무기물 충전제 성분을 가교시켜 내수성 및 표면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잉크수용층 형성물 조성물중의 전체 고형분에 대해 0.015 내지 8 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가교제의 함량이 너무 작으면 가교의 효과가 없고, 너무 많으면 가교가 너무 심하여 잉크흡수도가 떨어지므로 이를 고려해야 한다. 상기 가교제는 옥사졸린, 이소시아네이트, 에폭사이드, 아지리딘, 멜라민-포름 알데히드, 디알데히드, 붕소 화합물 또는 그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상기 이소시아네이트의 구체적인 예로는 톨릴린 디이소시아네이트 어덕트(TDI(Tolylene diisocyanate) adduct) 가 있고, 상기 에폭사이드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피크롤 히드린이 있고, 상기 디알데히드의 구체적인 예로는 글라이옥살, 글루타릭 디알데히드가 있고, 상기 붕소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붕산, 보랙스(Borax)가 있다. The ink receiving layer-forming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ve to supplement physical properties. Here, the additive is at least one of the group consisting of a crosslinking agent, a fixing agent, a dye, a fluorescent dye, a light diffusing agent, a pH adjusting agent, an antioxidant, an antifoaming and defoamer, a leveling agent, a lubricant, an anti-curling agent, a surface control agent and a wettability improving agent Can be. The crosslinking agent crosslinks the binder component and the inorganic filler component. It serves to increase water resistance and surface strength. The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used in an amount of 0.015 to 8%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solids in the ink-receiving layer-forming composition. At this time, if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too small, there is no effect of cross-linking, if too much cross-linking is so severe that the ink absorbency is to be taken into account.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used oxazoline, isocyanate, epoxide, aziridine, melamine-formaldehyde, dialdehyde, boron compound or mixtures thereof. Here, specific examples of the isocyanate include tolylene diisocyanate (TDI) adduct, specific examples of the epoxide include epichlorohydrin, and specific examples of the dialdehyde include glyoxal, There is glutaric dialdehyde, and specific examples of the boron compound include boric acid and borax.

또한 상기 형광 염료는 눈으로 느껴지는 백색도(겉보기 백색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잉크수용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가교제외의 기타 첨가제의 총 함량은 잉크수용층 형성물 조성물중의 전체 고형분에 대해 0.015 내지 약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기타 첨가제의 함량이 너무 작으면 첨가제 부가 효과가 미미하고, 너무 많으면 기록 매체의 잉크 적성 및 코팅 특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In addition, the fluorescent dye serves to increase the whiteness (apparent whiteness) felt by the eye. The total content of other additives other than the crosslinking agent in the ink-receiving layer-forming composition is preferably 0.015 to about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solids in the ink-receiving layer-forming composition. At this time, if the content of the other additives is too small, the additive addition effect is insignificant, and if too large, the ink suitability and coating properties of the recording medium may be reduced.

이어서, 상기 잉크 수용층 도포제를 상기 기재층(1)의 상부면에 코팅한 다음, 이를 건조하여 잉크수용층(2)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건조는 50 내지 130℃에서 이루어지며, 이 단계에서 가교제가 첨가되어 있는 경우 가교제에 의한 열가교 반응이 일어난다. 따라서 건조온도가 50℃ 미만이면 가교 반응성이 저하되며, 130 ℃를 초과하면 황변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Subsequently, the ink receiving layer coating agent is co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layer 1, and then dried to form an ink receiving layer 2. Here, the drying is carried out at 50 to 130 ℃, in this step, if a crosslinking agent is added, the thermal crosslinking reaction by the crosslinking agent occurs. Therefore, if the drying temperature is lower than 50 ℃ cross-linking reactivity is lowered, if it exceeds 130 ℃ yellowing may occur.

상기 잉크수용층의 두께는 크게 한정하지는 않지만, 상기 잉크수용층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잉크 흡수를 다하지 못하고, 너무 두꺼우면 원가 상승과 코팅시 건조가 어려워지므로 8 내지 80㎛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 thickness of the ink receiving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f the thickness of the ink receiving layer is too thin, the ink cannot be absorbed. If the ink receiving layer is too thick,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cost and to dry the coating, so that the ink receiving layer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8 to 80 μm. desirable.

더 나아가, 상기 기재층(1)과 상기 잉크수용층(2) 사이에 이들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언더코팅층(3)을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an undercoat layer 3 may be further included to improve adhesion between the base layer 1 and the ink receiving layer 2.

여기서 상기 언더코팅층(3)은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이액형이나 아크릴계, 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비닐계 등의 일액형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 물질의 도포량은 0.2 내지 2g/m2 이며, 코팅두께는 0.2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며, 약 1㎛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Here, the undercoat layer 3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ne-component primers such as polyols and polyisocyanates, one-component primers such as acrylic, urethane, acrylic-urethane, and vinyl, and the amount of the coating is 0.2 to 2 g / m 2 , the coating thickness is preferably 0.2 to 2.0 μm, even more preferably about 1 μm.

또한, 상기 잉크수용층(2) 상부에 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잉크 투과성이 뛰어나면서도 어느 정도 경화가 이루어져 표면 강도가 좋은 셀룰로오즈계,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와 가교제로 이루어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물질로 형성하며, 이의 두께는 약 0.5 내지 약 3㎛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protective layer 4 may be further included on the ink receiving layer 2 to protect them. The protective layer is formed of a material selected from a compound consisting of a cellulose-based, polyethylene oxide-based and crosslinking agent having excellent surface strength due to excellent ink permeability and hardening to some extent, and its thickness is preferably about 0.5 to about 3 μm.

더 나아가 기재층의 하부면에 연속 급지 향상과 컬링 현상을 보완하기 위해 후면코팅층(5)을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a rear coating layer 5 may be further inclu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layer to compensate for continuous feeding and culling.

상기 후면코팅층(5)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틸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즈, 젤라틴,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계열과 상기의 가교제인 옥사졸린, 이소시아네이트, 에폭사이드, 아지리딘, 멜라민-포름 알데히드, 디알데히드, 붕소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물질로 형성하며, 이의 두께는 0.5 내지 4㎛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back coating layer 5 is polyvinyl alcohol, polyvinylpyrrolidone, methyl cellulose, 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gelatin, polyethylene oxide, acrylic polymer, polyester, polyurethane and the crosslinking agents oxazoline, isocyanate , Epoxide, aziridine, melamine-formaldehyde, dialdehyde, boron compound is formed from a material, the thickness thereof is preferably 0.5 to 4㎛.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 1Example 1

기재층으로 평량 200g/㎡을 갖는 바리타(baryta)지를 제공하는 한편, 잉크수용층 조성물을 제조한 후 상기 기재층의 상부에 바아 코터로 코팅한 다음, 110℃의 온도에서 3분 동안 건조시킴으로써, 약 35㎛ 두께의 잉크수용층이 형성된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잉크수용층 조성물은 알루미나(독일 데구사제, ALUMINIUMOXID C)는 87.5 g, 폴리비닐 알코올(일본 쿠라레이제, PVA 224E)은 7.0 g, 스티렌-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미국 사토머제, SMA 1000I)는 1.8 g, 지르코늄 옥시 클로라이드(일본국 준세이제)는 2.1 g, 레벨링제(독일국 테고제, Flow 425)는 1.0 g, 형광염료(삼원산업제, SW5274F)는 0.5 g, 붕산(삼전순약제)은 0.1 g의 조성을 가지며, 상기 잉크수용층 조성물을 증류수, 에탄올 및 디메틸포름아미드를 75 : 10 : 15 중량비로 혼합한 용매를 사용하여 400g으로 용해시켜 형성하였다. While providing a baryta paper having a basis weight of 200g / ㎡ as a base layer, while preparing an ink-receiving layer composition by coating a bar coater on the top of the base layer, and then drying for 3 minutes at a temperature of 110 ℃, A recording medium for an inkjet printer having an ink receiving layer of about 35 mu m thickness was formed. Here, the ink receiving layer composition is 87.5 g of alumina (manufactured by German Degussa, ALUMINIUMOXID C), 7.0 g of polyvinyl alcohol (Kuraray Co., Japan, PVA 224E), copolymer of styrene-maleimide (Sartomer, USA) 1000I) is 1.8 g, zirconium oxychloride (Japan quasi-seed) 2.1 g, leveling agent (German Tego, Flow 425) 1.0 g, fluorescent dye (Samsung Industrial Co., SW5274F) 0.5 g, boric acid (Samjeon Pure drug) has a composition of 0.1 g, and was formed by dissolving the ink aqueous layer composition at 400 g using a solvent in which distilled water, ethanol and dimethylformamide were mixed in a 75:10:15 weight ratio.

실시예 2Example 2

잉크수용층 형성용 조성물의 조성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록매체를 제조하였다.A recording medium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except for the composition of the ink-receiving layer-forming composition.

여기서, 잉크 수용층 형성용 조성물은 알루미나 졸(미국 카봇제, PG 003) 85.0 g, 폴리비닐 알코올(일본 쿠라레이제, PVA 117) 10.0 g, 스티렌-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미국 사토머제, SMA 2000I) 1.3 g, 지르코늄 옥시 클로라이드(일본국 준세이) 1.5 g, 글라이옥살(삼전순약제) 0.65 g, 레벨링제(독일국 테고제, Flow 425) 1.0 g, 형광염료(삼원산업제, SW5274F) 0.5 g, 붕사(삼전순약제) 0.05 g의 조성을 가지며, 상기의 잉크 수용층 형성용 조성물을 증류수, 에탄올 및 디메틸 포름아미드를 70:10:20 중량비로 혼합한 용매를 사용하여 400g으로 용해시켜 형성하였다. Here,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ink receiving layer is 85.0 g of alumina sol (manufactured by US Cabot, PG 003), 10.0 g of polyvinyl alcohol (manufactured by Japan Kuraray, PVA 117), a copolymer of styrene-maleimide (manufactured by Sartomer USA, SMA 2000I). ) 1.3 g, zirconium oxychloride (Junsei, Japan) 1.5 g, glyoxal (Samjeon Pure Chemicals) 0.65 g, leveling agent (German Tego, Flow 425) 1.0 g, fluorescent dyes (Samwon Industrial, SW5274F) 0.5 g and borax (Samjeon Pure Chemicals Co., Ltd.), 0.05 g of a composition containing the ink-receiving layer-forming composition of distilled water, ethanol and dimethyl formamide in a weight ratio of 70:10:20 was formed by dissolving at 400 g.

실시예 3Example 3

잉크수용층 형성용 조성물의 조성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A recording medium for an inkjet printer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for the composition of the ink receiving layer forming composition.

여기서, 잉크수용층 형성용 조성물의 조성은 알루미나 졸(하나이화제, SS 30) 76.9 g, 알루미나(독일 데구사제, ALUMINIUMOXID C) 8.5 g, 폴리비닐알코올(동양화학제, PVA P-17) 8.0 g, 스티렌-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미국 사토머제, SMA 3000I) 1.5 g, 지르코닐 히드록시클로라이드(미국 알드리치제) 3.5 g, 레벨링제(독일국 테고제, Flow 425) 1.0 g, 형광염료(삼원산업제, SW5274F) 0.5 g, 붕산(삼전순약제) 0.1 g의 조성을 가지며, 증류수, 에탄올, 디메틸 포름아미드 및 디메틸술폭사이드를 70:10:15:5 중량비로 혼합한 용매를 사용하여 400g으로 용해시켜 형성 하였다. Here, the composition of the ink-receiving layer-forming composition is 76.9 g of alumina sol (manufacturer, SS 30), 8.5 g of alumina (ALUMINIUMOXID C) manufactured by Degussa, Germany, 8.0 g of polyvinyl alcohol (PVA P-17). 1.5 g of copolymers of styrene-maleimide (manufactured by Sartomer USA, SMA 3000I), 3.5 g of zirconyl hydroxychloride (manufactured by Aldrich, USA), 1.0 g of leveling agent (Teuge, Germany), fluorescent dye (Samwon Industries) SW5274F) 0.5 g, boric acid (Samjeon Pure Chemicals) 0.1 g, distilled water, ethanol, dimethyl formamide and dimethyl sulfoxide were dissolved in 400 g using a solvent mixed in a weight ratio of 70: 10: 15: 5 Formed.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잉크수용층 형성용 조성물의 조성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A recording medium for an inkjet printer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for the composition of the ink receiving layer forming composition.

여기서, 잉크수용층 형성용 조성물은 알루미나(독일 데구사제, ALUMINIUMOXID C) 91.0 g, 폴리비닐 알코올(일본 쿠라레이제, PVA 224E) 7.4 g, 레벨링제(독일국 테고제, Flow 425) 1.0 g, 형광염료(삼원산업제, SW5274F) 0.5 g, 붕산(삼전순약제) 0.1 g의 조성을 가지며, 상기 잉크수용층 조성물을 증류수, 에탄올 및 디메틸포름아미드를 75 : 10 : 15 중량비로 혼합한 용매를 사용하여 400g으로 용해시켜 형성하였다. Here,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ink-receiving layer is 91.0 g of alumina (made by German Degussa, ALUMINIUMOXID C), 7.4 g of polyvinyl alcohol (made by Japan Kuraray, PVA 224E), 1.0 g of leveling agent (George Tego, Flow 425), 0.5 g of fluorescent dye (manufactured by Samwon Industrial Co., Ltd., SW5274F) and 0.1 g of boric acid (Samjeon Pure Chemicals Co., Ltd.), and the ink aqueous layer composition was prepared by using a solvent in which distilled water, ethanol and dimethylformamide were mixed at a 75:10 to 15:15 weight ratio. Formed by dissolving at 400 g.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잉크수용층 형성용 조성물의 조성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A recording medium for an inkjet printer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for the composition of the ink receiving layer forming composition.

여기서, 잉크수용층 형성용 조성물의 조성은 알루미나 졸(미국 카봇제, PG 003) 85.0 g, 폴리비닐 알코올(일본 쿠라레이제, PVA 117) 10.0 g,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일본 신에츠, 60SH-50) 1.3 g, 지르코늄 옥시 클로라이드(일본국 준세이) 1.5 g, 글라이옥살(삼전순약제) 0.65 g, 레벨링제(독일국 테고제, Flow 425) 1.0 g, 형광염료(삼원산업제, SW5274F) 0.5 g, 붕사(삼전순약제) 0.05 g의 조성을 가지며, 증류수 및 에탄올을 80:20 중량비로 혼합한 용매를 사용하여 400g으로 용해시켜 형성하였다. Here, the composition of the ink-receiving layer-forming composition is 85.0 g of alumina sol (manufactured by US Cabot, PG 003), 10.0 g polyvinyl alcohol (Kuraray Co., Japan, PVA 117), 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Shin-Etsu, Japan, 60SH-50) ) 1.3 g, zirconium oxychloride (Junsei, Japan) 1.5 g, glyoxal (Samjeon Pure Chemicals) 0.65 g, leveling agent (German Tego, Flow 425) 1.0 g, fluorescent dyes (Samwon Industrial, SW5274F) 0.5 g and borax (Samjeon Pure Chemicals Co., Ltd.) were formed by dissolving 400 g of a solvent having a composition of 0.05 g, distilled water and ethanol at a 80:20 weight ratio.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잉크수용층 형성용 조성물의 조성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A recording medium for an inkjet printer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for the composition of the ink receiving layer forming composition.

여기서, 잉크수용층 형성용 조성물의 조성은 알루미나 졸(하나이화제, SS 30) 79.9 g, 알루미나(독일 데구사제, ALUMINIUMOXID C) 8.5 g, 폴리비닐알코올(동양화학제, PVA P-17) 8.5 g, 스티렌-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미국 사토머제, SMA 3000I) 1.5 g, 레벨링제(독일국 테고제, Flow 425) 1.0 g, 형광염료(삼원산업제, SW5274F) 0.5 g, 붕산(삼전순약제) 0.1 g의 조성을 가지며, 증류수, 에탄올, 디메틸 포름아미드 및 디메틸술폭사이드를 70:10:15:5 중량비로 혼합한용매를 사용하여 400g으로 용해시켜 형성하였다. Here, the composition of the ink-receiving layer-forming composition is 79.9 g of alumina sol (manufacturer, SS 30), 8.5 g of alumina (ALUMINIUMOXID C, made by Degussa, Germany) 8.5 g, polyvinyl alcohol (made by Dongyang Chemical, PVA P-17), 1.5 g of copolymers of styrene-maleimide (manufactured by Satomer, SMA 3000I), 1.0 g of leveling agent (Tego, German), 0.5 g of fluorescent dyes (from Samwon Industries, SW5274F), boric acid (Samjeon Pure Chemicals Co., Ltd.) It was formed by dissolving distilled water, ethanol, dimethyl formamide and dimethyl sulfoxide to 400 g using a solvent mixed in a weight ratio of 70: 10: 15: 5.

상기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내지 3 에 따른 잉크젯 기록 매체에 대하여, 대한민국 삼성전자사제 컬러 잉크젯 프린터(MJC-1130i)를 이용하여 화상 인쇄를 수행하였다.Image printing was performed on the inkjet recording media according to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using a color inkjet printer (MJC-1130i) manufactured by Samsung Electronics of Korea.

이와 같이 화상이 인쇄된 실시예 1 내지 3와 비교예 1 내지 3 에 따른 잉크젯 기록 매체에 대하여, 잉크 흡수력, 칼라 화상의 선명성(번짐성 여부), 단기 및 장기 내수성 그리고 내습성 등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각 항목에 대한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았다.The inkjet recording media according to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on which the images were printed as described above were evaluated for ink absorption ability, clarity of color images (whether bleeding), short and long term water resistance and moisture resistance. The evaluation method for each item was as follows.

평가 방법Assessment Methods

1) 잉크흡수력 검사1) Ink absorption test

A4 사이즈의 시편에 혼합블랙 위주의 표준 화상(MJC-1130i 사용)을 찍은 후 바로 백상지를 겹치고 5kg의 쇠뭉치를 10초간 올려 놓은 뒤 백상지에 묻어 나오는 잉크의 정도를 확인하였다.Immediately after taking a mixed black-based standard image (using MJC-1130i) on an A4 sized specimen, the white paper was piled up, a 5 kg iron ball was placed for 10 seconds, and the amount of ink on the white paper was checked.

2) 번짐성 검사2) Smearability test

A4 사이즈의 시편에 혼합블랙 위주의 표준 라인(MJC-1130i 사용)을 찍은 후 24시간 경과후 표준 라인의 선명성 정도를 확인하였다.After taking the mixed black-oriented standard line (using MJC-1130i) on the A4 size specimen, the degree of sharpness of the standard line was confirmed after 24 hours.

3) 내수성 검사3) water resistance inspection

시편(2.5cm×5.0cm)을 상온(25℃)의 항온 수조에 넣고, 단기는 30분, 장기는 24시간동안 상기 항온 수조를 저어주면서 표면의 화상이 변형되거나 잉크수용층이 물러지는 정도를 확인하였다.Place the specimen (2.5cm × 5.0cm) in a constant temperature bath at room temperature (25 ℃), and stir the constant temperature bath for 30 minutes for a short time and for 24 hours for a long time to check the degree of image deformation or ink receiving layer falling off It was.

4) 내습성 검사4) Moisture resistance test

A4 사이즈의 시편에 칼라 화상의 표준 화상(MJC-1130i 사용)을 찍은 후 60℃, 95% 상대습도의 항온항습기에서 24시간 방치 후 화상의 번진 정도를 확인하였다.After taking a standard image of a color image (using MJC-1130i) on an A4 size specimen, the degree of bleeding of the image was confirmed after standing for 24 hours 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hamber at 60 ° C and 95% relative humidity.

이와 같이 수행된, 화상이 인쇄된 실시예 1 내지 3 와 비교예 1 내지 3 에 따른 잉크젯 기록 매체에 대한, 잉크 흡수력, 칼라 화상의 선명성(번짐성 여부), 단기 및 장기 내수성, 내습성 등에 대한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With respect to the inkjet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in which the images were printed in this way, for ink absorption power, clarity (whether bleeding) of color images, short and long term water resistance, moisture resistance, etc.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잉크흡수력 검사Ink Absorption Test 선명성 (번짐성 검사)Sharpness (smear check) 내수성 검사Water resistance test 단기short-term 장기long time ×× ×× 내습성Moisture resistance ×× ××

◎ : 매우 우수, ○: 우수한 편, △ : 나쁜 편, ×: 매우 나쁨          ◎: very good, ○: excellent, △: bad, ×: very bad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는 스티렌-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와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는 지르코늄 화합물을 잉크수용층에 도입하므로써 수성 잉크의 흡수량 및 흡수 속도가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내수성 및 내습성도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shown in Table 1, the recording media for ink jet printers prepared in Examples 1 to 3 were incorporated into the ink receiving layer by introducing a zirconium compound containing a copolymer of styrene-maleimide and a halogen element into the ink receiving layer. Not only was improved but also excellent in water resistance and moisture resistance.

또한, 스티렌-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와 지르코늄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의 경우에는 단기 내수성도 그리 좋지 않으며 고온 고습하에서의 내습성과 장기 내수성이 매우 나쁨을 알 수 있었고,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는 지르코늄 화합물은 포함하지만 스티렌-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2의 경우에는 단기 내수성은 괜찮은 편이지만 고온 고습하에서의 내습성, 장기 내수성이 좋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3의 경우는 스티렌-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는 포함하지만 지르코늄 화합물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단기 내수성은 괜찮은 편이나 장기 내수성과 고온 고습하에서의 내습성이 매우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1, which does not include a styrene-maleimide copolymer and a zirconium compound, short-term water resistance was not very good, and it was found that moisture resistance and long-term water resistance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were very poor, and a zirconium compound containing a halogen element.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2 containing but not containing a copolymer of styrene-maleimide, the short-term water resistance was good, but it was found that the moisture resistance and the long-term water resistance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were not good.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3, a copolymer of styrene-maleimide was included but did not contain a zirconium compound, and short-term water resistance was good but long-term water resistance and moisture resistance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tended to be very poo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는 스티렌-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와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는 지르코늄 화합물을 잉크수용층에 도입하므로써 잉크의 흡수력 뿐만 아니라 장기 내수성 및 고온 고습하에서의 내습성등을 개선할 수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recording medium for an inkjet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a zirconium compound containing a copolymer of styrene-maleimide and a halogen element into an ink receiving layer, so that not only the absorbing power of the ink, but also long-term water resistance and moisture resistance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tc. Could improve.

Claims (26)

기재층과; 및A base layer; And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도공된 잉크 수용층을 포함하며,An ink receiving layer coat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상기 잉크 수용층은 무기물 충전제, 친수성 수지, 스티렌-말레이미드 공중합체, 지르코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And the ink receiving layer is made of an inorganic filler, a hydrophilic resin, a styrene-maleimide copolymer, and a zirconium compoun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재층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카보네이트계, 셀룰로오즈-아세테이트계 또는 폴리에틸렌계 필름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투명 또는 반투명 필름,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이 단면 또는 양면 코팅된 종이, 편면 또는 양면 아트지, 캐스트 코팅지, 합성지, 인화지 및 바리타(baryta)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The base layer may be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film selected from polyester-based, polycarbonate-based, cellulose-acetate-based or polyethylene-based films, paper coated with single-sided or double-sided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single-sided or double-sided art paper, cast coated paper, synthetic paper And a photo paper and a baryta pap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70 내지 3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And the thickness of the base layer is 70 to 350 mu m.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무기물 충전제는 탄산칼슘, 카올린, 탈크, 황산칼슘, 황산바륨, 산화티탄, 산화아연, 탄산아연, 규산알루미늄, 규산, 규산나트륨, 규산마그네슘, 규산칼슘, 실리카 및 알루미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The inorganic fill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lcium carbonate, kaolin, talc, calcium sulfate, barium sulfate, titanium oxide, zinc oxide, zinc carbonate, aluminum silicate, silicate, sodium silicate, magnesium silicate, calcium silicate, silica and alumina A recording medium for an inkjet printer,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무기물 충전제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루미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The inorganic filler is a recording medium for an inkjet printe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elected from alumina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화학식 1><Formula 1> Al2O3-p(OH)2p·qH2O Al 2 O 3-p (OH ) 2p · qH 2 O 상기 식중 p 는 3이하의 자연수이고 q 는 10 이하의 양의 유리수이다.        P is a natural number of 3 or less and q is a rational number of 10 or less.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알루미나는 뵈마이트 구조 또는 비정질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And the alumina has a boehmite structure or an amorphous form.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알루미나는 분말 상태 또는 20 내지 200nm의 입자 크기를 갖는 졸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 And the alumina is used in the form of a powder or a sol having a particle size of 20 to 200 nm.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무기충전제는 잉크수용층 형성물 조성물중의 전체 고형분에서 50 내지 95 중량%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And the inorganic filler has 50 to 95% by weight of the total solids in the ink-receiving layer-forming composi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친수성 수지는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틸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젤라틴, 스타치 및 폴리에텔렌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The hydrophilic resin includes at least one recording mediu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vinyl alcohol, polyvinylpyrrolidone, methyl cellulose, hydroxypropylmethyl, gelatin, starch and polyethylene oxide. .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폴리비닐 알코올은 중합도가 1000이상이며, 검화도는 70 내지 100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And said polyvinyl alcohol has a degree of polymerization of at least 1000 and a degree of saponification of from 70 to 100 parts.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폴리비닐 알코올은 중합도가 1500 내지 5000이며, 검화도는 80 내지 99.5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The polyvinyl alcohol has a degree of polymerization of 1500 to 5000 and a degree of saponification of 80 to 99.5 part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친수성 수지는 잉크수용층 형성물 조성물중의 전체 고형분에서 5 내지 30 중량%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And the hydrophilic resin has 5 to 30% by weight of the total solids in the ink-receiving layer-forming composition.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친수성 수지는 잉크수용층 형성물 조성물중의 전체 고형분에서 5 내지 25 중량%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And said hydrophilic resin has 5 to 25% by weight in the total solids in the ink-receiving layer-forming composition.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르코늄 화합물은 분자내에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And the zirconium compound contains a halogen element in a molecule thereof. 제 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지르코늄 화합물은 이불화지르코늄, 삼불화지르코늄, 사불화지르모늄, 이염화지르코늄, 삼염화지르코늄, 사염화지르코늄, 지르코늄 옥시클로라이드(지크코닐 클로라이드), 지르코늄 히드록시클로라이드, 이브롬화지르코늄, 삼브롬화지르코늄, 사브롬화지르코늄, 삼요오드화지르코늄 및 사요오드화지르코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 The zirconium compound is zirconium difluoride, zirconium trifluoride, zirconium tetrafluoride, zirconium dichloride, zirconium trichloride, zirconium tetrachloride, zirconium oxychloride (zirconyl chloride), zirconium hydroxy chloride, zirconium tribromide, zirconium tribromide A recording medium for an inkjet printe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zirconium bromide, zirconium trioxide and zirconium iodid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르코늄 화합물은 잉크수용층 형성물 조성물중의 전체 고형분에서 0.05 내지 20 중량%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And the zirconium compound has 0.05 to 20% by weight of the total solids in the ink-receiving layer-forming composition.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티렌-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는 3급 아민기를 갖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And a copolymer of styrene-maleimide is a compound having a tertiary amine group. 제 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스티렌-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스티렌-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The copolymer of styrene-maleimide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copolymer of styrene-maleimide represented by the formula (2). <화학식 2><Formula 2>
Figure 112004032401480-PAT00002
Figure 112004032401480-PAT00002
여기서, m + n = 1, 0.1 ≤ n ≤ 0.9 이다.Where m + n = 1, 0.1 ≦ n ≦ 0.9.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티렌-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는 중합도가 2000 내지 2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And the copolymer of styrene-maleimide has a degree of polymerization of 2000 to 20,000.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티렌-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는 잉크수용층 형성물 조성물중의 전체 고형분에서 0.5 내지 20 중량%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And the copolymer of styrene-maleimide has 0.5 to 20% by weight of the total solids in the ink-receiving layer-forming com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잉크수용층은 가교제, 정착제, 염료, 형광 염료, 광확산제, pH조절제, 산화방지제, 소포 및 탈포제, 레벨링제, 윤활제, 컬링방지제, 표면조절제 및 젖음성 향상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The ink receiving layer is at least one more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rosslinking agent, a fixing agent, a dye, a fluorescent dye, a light diffusing agent, a pH adjusting agent, an antioxidant, an antifoaming and defoaming agent, a leveling agent, a lubricant, an anti-curling agent, a surface control agent and a wettability improving agent. And a recording medium for an ink jet printer. 제 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가교제는 옥사졸린, 이소시아네이트, 에폭사이드, 아지리딘, 멜라민-포름 알데히드, 디알데히드 및 붕소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The crosslinking agent further comprises one or more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xazoline, isocyanate, epoxide, aziridine, melamine-formaldehyde, dialdehyde and a boron compound.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잉크수용층의 두께는 8 내지 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The recording medium for an ink jet printer, wherein the ink receiving layer has a thickness of 8 to 80 µm.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언더코팅층은 기재층과 상기 잉크수용층 사이에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And the undercoat layer is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base layer and the ink receiving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호층은 잉크수용층의 상부에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And the protective layer is further included on the ink receiving lay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후면코팅층은 기재층의 잉크수용층이 형성되지 않은 일면에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And the back coating layer further comprises a surface on which an ink receiving layer of the base layer is not formed.
KR1020040056960A 2004-07-21 2004-07-21 Recording Media for Inkjet Printers Withdrawn KR2006000772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960A KR20060007729A (en) 2004-07-21 2004-07-21 Recording Media for Inkjet Print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960A KR20060007729A (en) 2004-07-21 2004-07-21 Recording Media for Inkjet Print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729A true KR20060007729A (en) 2006-01-26

Family

ID=37118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960A Withdrawn KR20060007729A (en) 2004-07-21 2004-07-21 Recording Media for Inkjet Print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7729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198B1 (en) * 2006-06-16 2007-05-15 주식회사 하이코 Inkjet printer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340978B1 (en) * 2012-09-20 2013-12-12 주식회사 미즈바테크놀로지 Rfid tag using korean paper treated by planarization process
KR101946804B1 (en) * 2018-07-31 2019-02-12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Scratch-resistant printing materia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198B1 (en) * 2006-06-16 2007-05-15 주식회사 하이코 Inkjet printer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340978B1 (en) * 2012-09-20 2013-12-12 주식회사 미즈바테크놀로지 Rfid tag using korean paper treated by planarization process
KR101946804B1 (en) * 2018-07-31 2019-02-12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Scratch-resistant printing materi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4607B1 (en) Recording Media for Inkjet Printers
US6780478B2 (en) Recording sheets for ink jet printing
US20080014360A1 (en) Composition for ink acceptable layer of recording medium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preparing recording medium
JP3754054B2 (en) Composition for forming ink-receiving layer of recording medium for ink jet printer and recording medium for ink jet printer
KR20060007729A (en) Recording Media for Inkjet Printers
US6855383B2 (en) Printing medium
KR100522596B1 (en) Recording medium for inkjet printer
KR100522610B1 (en) Recording medium for ink jet printers
KR100608046B1 (en) Recording Media for Inkjet Printers
KR100490419B1 (en) Recording medium for ink jet printers
KR100509476B1 (en) Recording medium for ink jet printers
KR20050049662A (en) Recording medium for ink jet printers
JP3446365B2 (en) Recording medium and recorded matter for inkjet printer
KR100580251B1 (en) Recording Media for Inkjet Printers
KR100518789B1 (en) Recording medium for inkjet printer and the method thereof
KR100490397B1 (en) Recording medium for ink jet printer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JP3436349B2 (en) Recording materials and recorded materials for back printing
KR100481503B1 (en) Printing medium of ink jet for photo
KR100460998B1 (en) Printing medium for ink zet
KR20170054591A (en) Photo transfer printing paper with good absorbtion and fixedness property of ink
KR20040054207A (en) Printing media for ink jet printing
JPH10129110A (en) Recording material and recording material for iffumination
JP2000313083A (en) Recording material, recording material for decorative illumination, and recorded matter
KR20040108216A (en) A photopaper for inkjet recording
KR20060005945A (en) Recording Media for Inkjet Prin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