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06771A - 이동가능한 화물 이송 플랫폼을 통합한 차량 및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이동가능한 화물 이송 플랫폼을 통합한 차량 및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6771A
KR20060006771A KR1020057015076A KR20057015076A KR20060006771A KR 20060006771 A KR20060006771 A KR 20060006771A KR 1020057015076 A KR1020057015076 A KR 1020057015076A KR 20057015076 A KR20057015076 A KR 20057015076A KR 20060006771 A KR20060006771 A KR 20060006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trailer
movable
cargo
sup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5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터 딥딘
폴린 다우스
Original Assignee
미들게이트 마켓팅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0303502A external-priority patent/GB2398278B/en
Priority claimed from GB0305984A external-priority patent/GB2399545B/en
Application filed by 미들게이트 마켓팅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미들게이트 마켓팅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06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677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parallel up-and-down movement of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 B60P1/3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forming the main load-transporting element or par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플로어를 구비하고, 트레일러의 제1 단부로부터 화물이 적재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이동가능한 제1 플랫폼을 포함하는 트레일러가 제공된다. 상기 제1 플랫폼은 화물 적재시 상승되고 트레일러의 제1 단부로부터 멀리 전진될 수 있도록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플랫폼은 트레일러의 측벽에 제공된 서포트 트랙 상에서 전방으로 굴러간다. 또한 상기 트레일러는 자신의 이동가능한 화물 플랫폼 또는 플랫폼들과 함께 화물 이송 웰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랫폼은 화물 적재시 상기 웰 위에서 위쪽으로 이동되어, 트레일러의 성능을 증대시킨다. 대응하는 화물 이송 차량, 및 적재 방법이 제공되고 청구된다.
화물, 적재, 차량, 트레일러, 플랫폼, 웰, 서포트,

Description

이동가능한 화물 이송 플랫폼을 통합한 차량 및 트레일러{VEHICLES AND TRAILLERS INCORPORATING MOVEABLE LOAD CARRYING PLATFORMS}
본 발명은 트레일러 및 차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타적이지 않지만, 화물-이송 웰(load-carrying well)을 통합한 트레일러 및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트레일러는 화물이 운송을 위하여 적재될 수 있는 밀폐가능한 공간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트레일러는 직사각형 프레임, 및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에 장착되는 다수의 견고한 판넬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트레일러는 견인 목적을 위하여 트레일러 내지 트랙터 장치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적당한 주행 기어(running gear)를 포함하는 섀시에 장착된다.
종래의 트레일러의 이송 성능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웰(well)을 형성하기 위하여 트레일러의 리어 엑슬(rear axle) 및 프론트 히치(front hitch) 사이의 트레일러의 베이스를 낮추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한 변형은 추가 화물이 상부에 더해져 트레일러 내에 적층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웰을 가지는 하나의 트레일러가 미국 특허 5,092,721호에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5,092,721호에 개시된 트레일러에서는, 함께 견고하게 고정되는 상부 및 하부 화물 이송면을 구비하고 있다. 유압 리프트가 상부 및 하부 화물 이송 면을 상승시키고 하강시키도록 상기 웰 내에 제공된다. 하부 화물 이송면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화물이 하부 화물 이송면에 적재되어, 상기 이송면이 트레일러의 플로어와 동이한 높이로 된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화물 이송면은 유압 리프트를 사용하여 하강되어, 하부 화물 이송면이 상기 웰의 바닥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부 화물 이송면에 이송된 화물은 상부 회물 이송면과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는 리프트 상에 적재되고, 상기 화물은 상기 리프트로부터 상부 화물 이송면에 이송될 수 있다. 미국 특허 5,092,721호에 개시된 트레일러는, 리프트로부터 상부 화물 이송면으로 화물을 이송하는 방법이 만족스럽지 않기 때문에 불리하다. 예를 들면, 일부의 국가에서는, 건강 및 안전 규정이 화물을 수동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사람이 장치에 기어 올라가는 금지할 수 있다. 또한, 화물 이송은 시간을 소비하고 집약적인 노동을 필요로 할 수 있다.
국제 특허 출원 번호 PCT/GB01/00279호, 국제특허공보 번호 WO 01/62542호(인슐레이티드 스터럭쳐 리미티드 등)는 트레일러를 적재하는 다수의 장치를 개시한다. 그러나, 이 특허 출원에 개시된 장치는 각각 포크 리프트 트럭을 사용하여 펠릿(pallets)을 적재하는데만 적합하고, 트레일러의 화물을 이송하는데 흔히 사용되는 롤 케이지를 이송하는데 적합하지 않으며, 수동으로 작동되는 펠릿-손수레(pallet-barrow)를 사용하여 펠릿을 적재하는데 적합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 설명된 단점 중 적어도 하나를 제거하거나 또는 완화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목적은 표준 치수의 화물을 수용할 수 있는 웰부를 통합하는 트레일러 및 다른 차량을 제조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플로어(floor)가 형성되고, 화물이 상기 트레일러의 제1 단부로부터 적재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이동가능한 제1 플랫폼(platform)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랫폼은, 상기 화물 적재시, 상승될 수 있고 상기 트레일러의 제1 단부로부터 멀리 전진될 수 있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가 제공된다.
상기 트레일러는 웰을 형성할 수 있고, 제1 상부 위치로부터 상기 웰 내의 제2 하부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이동가능한 제2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랫폼의 적어도 일부가 웰 직상부에 위치되도록, 상승되고 전방으로 전진될 수 있다.
이동가능한 상기 제1 플랫폼은 추가의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추가 플랫폼에 지지될 수 있고, 이동가능한 상기 제1 플랫폼은,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상기 추가 플랫폼이 상부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트레일러의 상기 제1 단부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다.
이동가능한 상기 플랫폼 각각의 수직 이동은 유압 램 또는 스큐류 잭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공기압식으로 작동되는 시소 리프트 장치가 서포트 플랫폼 및 웰 플랫폼 각각을 상승시키는데 사용된다. 이것은 매우 작은 공간까지 수축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화물 이송 플랫폼을 그 상승된 전방 위치에 수용하고 지지하기 위하여, 그 측벽 내에 또는 그 측벽 상에 장착되는 서포트를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는 수평의 트랙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화물-이송 플랫폼은 그 측면 에지를 따라 롤러를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롤러는 플랫폼이 전방으로 이동될 때 트랙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플랫폼은 수평 위치에 유지될 수 있고, 측벽 서포트 상을 굴러도록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완전히 전방으로 이동되면, 스톱 장치가 작동될 수 있고, 서포트 플랫폼이 화물 플랫폼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강될 수 있다.
이동가능한 제1 플랫폼은 하나 이상의 설정된 수직 위치로부터만 전방으로 전진될 수 있다. 설정된 수직 위치는 트레일러의 벽 내에 또는 벽 상에 제공된 트랙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트랙은 설정된 수직 위치에 고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고, 이동가능한 제1 플랫폼은 트랙의 전방으로 전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물을 차량 또는 트레일러의 제1 단부로부터 상기 트레일러 또는 상기 차량의 내부에 이동가능한 제1 플랫폼 상에 적재하는 단계, 및 상기 화물을 적재한 이동가능한 상기 제1 플랫폼을 상승시키고 전방으로 전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또는 차량의 적재 방법을 제공한다.
화물은 이동가능한 제2 플랫폼 상에 적재될 수 있고, 이동가능한 제2 플랫폼은 상기 트레일러의 웰 내부로 하강될 수 있다.
상기 웰 플랫폼 각각은 웰 벽에 끼움 결합되는 수직 가이드 트랙 내에 수용되는 돌출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트랙은 웰 내부에서 플랫폼의 적당한 위치 결정을 보장한다. 또한, 가이드 트랙의 상단부를 차단하는 수단이 제공되어, 플랫폼이 상승된 위치로 상승된 후, 플랫폼이 상승된 위치로부터 하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이드 트랙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유압의 고장의 경우에도 플랫폼의 우발적인 하강으로부터 보호하는 고유의 안전한 기계 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화물-이송 프론트 플로어를 형성하는 전방부, 리어 플로어를 형성하는 후방부, 상기 전방부와 상기 후방부 사이에 위치되는 웰부(well section), 및 화물을 상기 웰부 내에 하강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서포트 플랫폼이 상승된 위치와 하강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리어 플로어 위에서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서포트 플랫폼은 상기 상승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웰 위에서 이동가능한 화물-이송 플랫폼을 이송하고,
상기 화물-이송 플랫폼은 상기 서포트 플랫폼으로부터 차량의 측벽에 장착된 서포트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따라서, 화물을 웰부를 따라 이동시키고 적재될 수 있도록 하는, 단순하고 견고한 장치가 제공된다. 이것은 측벽의 낮은 형상 서포트(low-profile supports)를 사용하여 달성되고, 화물을 수용할 수 있는 차량의 내부 폭의 상당한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롤러는 서포트 플랫폼과 화물 이송 플랫폼 사이, 및 측벽 서포트와 화물 이송 서포트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물 이송 플랫폼은 서포트 플랫폼의 길이 방향 에지를 따라 연장되는 트랙에 작동되는 그 길이 방향 에지를 따라 롤러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측벽 서포트는 상기 화물-이송 플랫폼의 길이 방향 에지 상의 구조체가 구르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플랫폼은 웰 위에서 화물 이송 플랫폼을 이동시키는 구동 모터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트레일러를 가로지르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서포트 플랫폼의 상면 위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롤러의 회전이 상기 서포프 플랫폼에 대하여 상기 화물-이송 플랫폼을 구동하도록 상기 화물-이송 플랫폼에 의하여 형성된 표면과 마찰 결합되는, 롤러를 구동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구동 모터는 화물 이송 플랫폼에 제공된 랙과 결합되는 피니언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플로어, 및 상기 화물이 차량의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적재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이동가능한 제1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은, 상기 화물 적재시, 상승되고 상기 차량의 상기 제1 단부로부터 멀리 전진될 수 있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트레일러의 바람직한 특징들은, 대응하는 장점과 함께,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차량에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러의 종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h는 화물이 트레일러에 화물 적재시의 도 1의 트레일러를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트레일러 내에서 플랫폼을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유압 리프팅 기어를 나타내는, 도 1 및 도 2의 트레일러의 종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트레일러 내에서 플랫폼을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유압 리프팅 기어를 나타내는 다른 종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트레일러의 종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다른 트레일러 상에 표준 유럽 펠릿의 적재를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트레일러 상에 롤 케이지의 적재 상태를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다른 트레일러 상에 표준 영국 펠릿의 적재 상태를 도시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리어 트레일러 영역의 플로어 레벨을 조절하는 장치를 도시한다.
도 10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트레일러에 사용될 수 있는 롤링 및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플랫폼의 상세를 도시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벽걸이식 트랙 및 플랫폼 롤러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벽걸이식 트랙 및 플랫폼 롤러 장치의 개 략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플랫폼, 수평으로 이동가능한 플랫폼, 및 수평 구동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수평으로 이동가능한 플랫폼 및 그 수평 구동장치의 개략 저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수평으로 이동가능한 플랫폼 및 그 수평 구동장치의 개략 저면도이다.
도 25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트레일러 상에 화물의 적재 상태를 도시한다.
도 31은 초기의 하강된 적재 위치에서의,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트레일러의 리어 플랫폼 및 리프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2는 상승된 위치에서의, 도 31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상승된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4는 도 32의 하강된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5 및 도 36은 상승된 위치에서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플랫폼을 지지하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정지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차량의 일부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38은 도 37에 도시된 차량의 A-A선을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트레일러에 사용되는 수직 리트프 플랫폼의 리프팅 장치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40은 도 39의 리프팅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1은 도 39 및 도 40의 리프팅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은 3개의 리어 엑슬 서포팅 휠(rear axles supporting wheels)(2) 및 프론티 히치(front hitch)[킹핀(king pin)으로도 불릴 수 있고, 트랙터 유닛의 제5번 휠에 수용됨]를 구비하는 트레일러(1)를 도시한다. 상기 휠(2)과 상기 프론트 히치(3) 사이의 트레일러의 플로어(floor)의 중앙부는, 추가 화물을 이하에서 웰(well)(4)로 언급되는 트레일러의 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프론트 플로어 및 리어 플로어보다 하부에 위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웰(4)은 유압 램(hydraulic rams)의 작동에 의하여 상승되고 하강될 수 있는, 3개의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플랫폼(platforms)을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웰은 다수의 플랫폼을 구비할 수 있고, 웰-플랫폼 상승(lifting)이 다른 수단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술되는 바와 같이, 임의의 실시예에서, 상기 웰은 적합하게 작동되는 시소 잭 장치(scissor jack arrangement)에 의하여 상승되는 하나의 플랫폼을 가질 수 있다.
이 제1 실시예에서, 상기 트레일러(1)의 후방부는 두개의 플랫폼, 즉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플랫폼(9), 및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플랫폼(10)을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상기 플랫폼(9)은,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적당한 높이에서 상기 트레일러의 한 측면에 형성된 트랙(tracks)(11)의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펠릿(pallets)(12)이 상기 트레일러(1)의 전방 대부분 내에 적재되어 있다. 이러한 적재는 포크-리프트 트럭(fork-lift truck)이나 또는 수동으로 작동되는 펠릿 손수레(pallet barrow)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경우에, 화물은 후방 도어(13)를 통하여 트레일러로 들어가고, 상기 트레일러의 리어 플로어(14)와 같은 높이로 되도록 위치되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플랫폼(10)을 따라 이동된다. 또한 상기 화물은, 처음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플랫폼(10)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플랫폼(5, 6, 7)을 따라, 상기 트레일러의 플로어의 전방 대부분으로 이동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그 다음에 펠릿(15)이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상기 플랫폼(5, 6, 7)에 적재된다. 이러한 적재는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달성될 수 있다. 펠릿이 적재되었다면,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상기 플랫폼(5, 6, 7)은 유압 램(8)의 작동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플랫폼(5, 6, 7)이 상기 트레일러의 웰(4)의 플로어에 위치된다. 이 구성이 도 2c에 도시되어 있다.
도 2d를 참조하면, 펠릿(16)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플랫폼(10)에 적재되어 있다. 이러한 적재는 도 2a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펠릿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플랫폼(10) 상에 적재되면,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상기 플랫폼(9)이 도 2e에 도시된 위치까지 상부로 이동된다. 이 위치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플랫폼(10)은 트레일러의 측면까지 제공된 트랙(11)과 수직으로 정렬된다. 이 위치에서, 펠릿(16)을 이송하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플랫폼(10)은, 도 2f에 도시된 위치로 되도록, 상기 트랙(11)의 전방으로 이 동될 수 있다. 상기 플랫폼(10)의 상기 이동은, 상기 플랫폼(10)을, 이 실시예에서 구동 모터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롤러를 가지는, 롤링 플로어(rolling floor)의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랫폼(10)이 상기 트레일러 내의 적당한 높이에 위치되면, 롤러가 상기 플랫폼(10)을 트레일러에 의하여 제공된 트랙(11)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모터가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적당한 체인 구동장치 등이 간단한 프리-러닝 롤러(free-running rollers)의 롤링 플로어를 대체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실제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플랫폼에 의하여 이송되는, 하나의 수평 구동 모터가 사용되고, 상기 구동 모터는 마찰 구동장치 또는 랙 및 피니언 장치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플랫폼[화물 지지 플랫폼(load-bearing platform)이라고도 부름]을 구동한다. 상기 구동 모터(들)와 상기 화물 지지 플랫폼 사이에 구동 체인이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면, 이하의 것, 기어, 기어 박스 및 구동 샤프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도 2f를 참조하면, 상기 플랫폼(9)은 그 하단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는 서포트 레그(support legs)(17)를 이송한다. 상기 플랫폼(9)이 상기 트레일러의 플로어로 내려갈 때(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랫폼(10)이 상기 트레일러에 의하여 제공된 트랙(11)에 의하여 지지된다면, 상기 서포트 레그는 상기 플랫폼(9)이 상기 트레일러의 리어 플로어(14)와 동일한 높이로 되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상기 서포트 레그(17)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플랫폼(1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있다. 상기 플랫폼(10)이 그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플랫폼(9) 상부로 이동된 후, 상기 서포트 레그는, 예를 들면 적당한 유압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신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플랫폼(9)은, 예를 들면 트레일러 플로어로부터 유압적으로 신장되는 서포트 블록(support block)(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의 리어 플로어(14)의 높이에 유지될 수 있다.
도 2h를 참조하면, 펠릿(18)이 상기 트레일러의 후방에서 상기 플랫폼(9)에 적재되어 있다. 상기 플랫폼(9)은 상기 트레일러의 리어 플로어(14)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되기 위하여 서포트 레그(17)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펠릿(16)이 상기 펠릿(15) 상부에 위치되는 플랫폼(10) 상에 이송된다며, 본 발명은 트레일러(1) 내의 공간 사용을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적재 위치가 포크 리프트 트럭에 대한 필요 없이 수동으로 작동되는 펠릿 손수레를 사용하여 접근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원한다면 포크 리프트 트럭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 방식으로 화물을 이송하기 원한다면, 롤 케이지(roll cages)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들어서 수평으로 이동하는 플랫폼 장치가 트레일러에 도시되어 있을지라도, 이 장치는 분리할 수 없는 트레일러를 갖는 화물-이송 차량(cargo-carrying vehicles)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리프팅 및 전방-신장 이중-플랫폼 장치가 웰을 갖지 않는 화물-이송 차량 및 트레일러에 장점을 제공할 수 있는데, 적재 화물-이송 웰(load-carrying wells)과 함께 사용될 때에도, 상기 장치가 특히 유리하다.
도 3a 및 도 3b는 플랫폼(9)이 2쌍의 유압 램(19, 20)에 의하여 상승되고 하 강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a 및 도 3b에서는 각 쌍의 하나의 램만이 도시되어 있다. 제1 쌍의 유압 램(19)이 상기 트레일러의 웰(4) 내에 위치되고, 제2 쌍의 유압 램(20)이 상기 트레일러의 2개의 휠(2) 사이에 형성된 각각의 적당한 엔클로저(21)(도 3a 및 도 3b에서는 하나만 도시됨) 내에 위치되어, 상기 제2쌍의 유압 램 각각은 상기 트레일러(1)의 후방부의 플로어(22)를 관통한다. 상기 트레일러가 온도 제어된 조건하에서 화물을 이송하기 위하여 단열되어 있다면, 상기 엔클로저(21) 및 상기 트레일러에 대한 장착은 상기 트레일러의 단열 특성이 손상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도록 구성된다.
도 3b는 플랫폼(9)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유압 램(19, 20)이 신장될 때의 트레일러를 도시한다. 제1 유압 램(19)은 상기 플랫폼(9)을 상승시키도록 실린더로부터 신장되는 피스톤(23)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2 유압 램(20)은 상기 플랫폼(9)을 상승시키도록 신장되는 피스톤(24)을 포함한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3a의 4a-4a선, 및 도 3b의 4b-4b선을 따른 유압 램(2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a와 도 3b, 및 도 4a와 도 4b에서는, 상기 플랫폼(9)은 4개의 유압 램의 작동에 의하여 상승되고 하강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러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의 트레일러의 작동은 도 2, 도 3 및 도 4의 트레일러의 작동과 실제로 동일하지만, 그러나 도 5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플랫폼(5, 6, 7)이 상기 웰(4) 내에 이동가능한 단 하나의 플랫폼(5)으로서 실시되고 있다. 또한, 상기 펠릿(16)이 트레일러 내에 적재된 후, 2개의 서포트 바(support bars)(26)가 상기 트레일러 내에 삽 입된다. 상기 바는 상기 트레일러(1) 내에서 상기 펠릿(16)의 전방 이동을 방지한다. 도 5a 및 도 5b의 트레일러는 2개의 리어 휠(2)만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상기 웰(4)이 더 크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펠릿이 각 열의 웰(4) 내에 끼워맞춤 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3개의 플랫폼(5, 6, 7)은 독립적을 상승되고 하강될 수 있는데, 이것은 인접하는 플랫폼이 하강되면 상승되는 하나의 플랫폼의 저면에 접근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이에 비하여,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하나의 플랫폼(5) 하부로의 접근은 플랫폼의 제거가능한 해치(hatch)의 형태로의 접근에 의한다.
도 6a 내지 도 6f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다시 한번 도시된 트레일러는 전방부, 및 내부에 3개의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플랫폼(5, 6, 7)(웰 플랫폼)이 위치되는 웰에 의하여 분리되는 후방부를 포함한다. 초기에 상기 플랫폼(5, 6, 7)은 트레일러의 전방부의 플로어 및 상기 트레일러의 후방부에 지지된 수직으로 및 수평으로 이동가능한 플랫폼(10)의 상부면과 정렬된다. 상기 플랫폼(10)은 서포트 플랫폼(support platform)(9)에 장착되고, 상기 서포트 플랫폼(9)은 상기 플랫폼(10)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플랫폼(10)은 상기 플랫폼(9)이 상승된 후 수평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에 이동가능한 상기 플랫폼은 트레일러의 내부의 전체 이용가능한 길이를 따라 뻗어 있는 같은 높이의 적재면을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이것은 적재를 용이하게 된다. 또한, 10쌍의 펠릿(21)은 트레일러 내에 적재된다. 그 다음 상기 플랫폼(5, 6, 7)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되고, 상기 서포트 플랫폼(9)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된다. 그 다음 상기 플랫폼(10)은 트레일러 벽에 제공된 서포트의 전방으로 굴러가고, 상기 플랫폼 서포트(9)가 하강되어, 굴러가는 플랫폼(10)과 분리되어, 상기 서포트 플랫폼(9)에 의하여 형성된 상부면이 상기 트레일러의 입구 단부에서 짧은 플로어면(22)과 정렬된다. 또한 추가의 펠릿(23)이 트레일러의 후방부 내에 적재된다. 로더(loader)가 결코 펠릿을 직접 트레일러 내의 상승된 위치로 적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적재가 용이하게 된다. 모든 적재 및 하역이 짧은 플로어면과 동일한 높이에서 실시된다(즉, 중앙의 웰 또는 롤링/리프팅 플랫폼 없이, 종래의 트레일러를 적재할 때와 마찬가지로).
도 7a 내지 도 7f는 2개의 플랫폼(5, 6)만이 웰(4) 내에 제공되는, 도 6a 내지 도 6f와 유사한 장치를 도시한다. 도시된 구성은 펠릿보다 롤 케이지의 적재에 적합하다. 도 6a 내지 도 6f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플랫폼(5, 6)은 처음에는 상승되어 있고, 트레일러는 롤 케이지로 채워져 있다. 그 다음 상기 플랫폼(5, 6)은 하강된 후(도 7c), 트레일러의 후방부 내에 적재되는 롤 케이지가 상승되고 플랫폼(5, 6)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된다. 그 다음 상기 트레일러의 마지막 적재가 트레일러의 후방부 내에 롤 케이지를 적재함으로써 완성된다.
도 8a 내지 도 8f를 참조하면, 이들 도면은 도 6a 내지 도 6f에 도시된 장치와 매우 유사한 장치를 도시하지만, 도 6a 내지 도 6f의 장치는 표준 유럽 치수의 펠릿을 이송하는데 적합하고, 도 8a 내지 도 8f의 장치는 표준 영국 펠릿의 치수를 가지고 있는 펠릿을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8a 내지 도 8f의 실시예에서는, 처음에 트레일러의 후방부에 적재된 펠릿은 상승되고 상기 웰(4) 내부로 하강되었던 이전에 적재된 펠릿을 따라 전방으로 밀어진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작동가능한 트레일러를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드는 구조 및 장치의 상세가 다음에서 설명된다. 도 9a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1 상세는 후방 적재 플랫폼(10)과 도 6a 내지 도 6f의 서포트 플랫폼의 조합을 처음에 위치된 것으로 할 수 있게 하여, 상기 플랫폼(10)의 상부면이 플로어부(22)와 정렬되고(도 6a 참조), 그 다음 상기 서포트 플랫폼(9)의 상부면이 플러어부(22)와 정렬되는 것이다.
도 9a 및 도 9b를 상세하게 참조하면, 트레일러의 후방부는 단열된 플로어(27)를 지지하고 절연된 측벽(28) 사이에 연장되는 빔(beams)(26)을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 플랫폼(9)(도 6a 내지 도 6f 참조)은 상기 플로어(27) 위에서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서포트 빔(29)에 장착되어 상기 서포트 플랫폼(9)이 화살표(30)에 의하여 지시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2쌍의 블록(31)이 상기 플로어(27) 상부의 슬라이드(slide)에 지지되어 있고, 도 9a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상기 블록이 빔(29) 아래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위치(도시하지 않음)로 이동되기 위하여 유압 액츄에이터(3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플랫폼(10)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초기 위치에 있다면, 상기 빔(29)이 플로어(27)와 접촉되어 하강될 수 있도록, 상기 블록(31)은 도 9a에 도시된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서포트 플랫폼(9)이 상승되고 상기 플랫폼(10)이 상기 트레일러의 웰 위에서 이동된 후, 상기 블록(31)은 빔(29) 아래에 위치될 때까지 도 9a의 좌측으로 이동된다. 그 다음 상기 서포트 플랫폼(9)은 빔(29)이 블록(31)에 지지될 때까지 하강된다. 따라서 상기 서포트 플랫폼(9)의 상부면은 상기 플랫폼(10)의 상부면에 의하여 초기에 가정된, 즉 표면(22)과 정렬된 수직 위치를 나타낸다(도 6e). 따라서, 포크 리프트 트럭 등이 구동되어야 하는 표면이 트레일러의 입구 단부에 인접된 트레일러 플로어의 에지와 수직으로 정렬되는 것을 보장하는 간단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서포트 플랫폼(9)의 수직 이동은 플로어(27), 또는 임의의 다른 간편한 수단, 예를 들면, 트레일러 또는 차량의 웰부 내에서 플랫폼을 수직으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될 수도 있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공기압식으로 작동되는 시소-리프트 장치 아래에 수직으로 뻗어 있는 유압 액츄에이터(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도 1 내지 도 8의 플랫폼을 트레일러 내에서 전방으로 밀수 있는 한 장치의 상세가 설명된다. 도 10은 하부의 서포트 플랫폼(9)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전방으로 밀린 후의 상부의 수평으로 이동가능한 플랫폼(10)을 도시한다. 상기 플랫폼(10)의 각 에지는 서포트 플랫폼(9)의 각 에지를 따라 뻗어 있는 편평한 롤러 트랙(34)과 정렬되는 한 열의 롤러(33)(도 17)를 이송한다. 상기 롤러(33)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앵글(angle)(36)에 연결되는 서포트 빔(35)에 지지된다. 상기 앵글(36)의 하부 에지는 웰 위에서 트레일러의 측벽에 제공된 롤러를 작동시키도록 의도된다. 상기 서포트 플랫폼(9)은 트랙(34) 아래에 위치된 사이드 빔(side beams)(37)에 의하여 보강된다.
도 15는 서포트 플랫폼(9) 상부의 초기 위치로부터 트레일러 벽에 제공된 서포트 상으로 이동된 후의 플랫폼(10)의 한 에지를 도시한다. 상기 트레일러의 내벽에 고정된 플레이트(38)가 커버 플레이트(cover plate)(40) 아래에 위치된 롤러(39)를 지지한다. 일련의 롤러가 상기 플랫폼(10)에 의하여 지지된 앵글(36)이 이동될 수 있는 롤러 트랙을 제공하기 위하여 웰 위에서 트레일러 벽의 각 측면을 따라 제공된다. 상기 플랫폼(10)이 롤러(39)에 완전히 지지되면, 상기 서포트 빔(35)에 의하여 지지되는 롤러(33)가 임의의 지지면과 접촉되지 않는다. 상기 플랫폼(10)을 서포트 플랫폼(9) 상에 또는 떨어져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플랫폼(10)에 힘을 인가하는 다수의 장치가 제공된다. 단순한 모터 및 체인 구동 장치가 상기 서포트 플랫폼(9)에 제공되지만 다른 장치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 플랫폼(9)의 구멍을 통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휠(wheel)(42)을 구동하는 모터(41)의 형태로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된다. 상기 휠(42)은 플랫폼(10)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빔(43)의 저면에 기대기 위하여 서포트 플랫폼(9)의 정면 에지에 위치된다. 상기 휠(42)과 스트립(strip)(44) 사이에 양호한 마찰 결합이 있으며 따라서 단순히 모터(41)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플랫폼(10)은 서포트 플랫폼(9)으로 및 멀어지게 적당히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화물이 웰 상부로 및 웰 위에서 다음의 이동으로 플랫폼(10)에 적재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웰을 포함하는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은 웰을 포함하는 트레일러에 한정될 필요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다양한 각종 트레일러, 및 화물-이송 차량에 대신 적용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도 20은 다른 실시예의 수평으로 이동가능한 플랫폼(10)과 결합되는 트레일러 트랙(11)의 상세를 도시한다. 상기 트랙(11)은 차량의 측벽 또는 사이드 판넬(28)에 고정된 기다란 트랙 부재(또는 브래킷)(110)를 포함한다. 명백히, 상기 사이드 판넬(28)은 화물 적재시, 플랫폼(10)을 지지하도록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사이드 판넬은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철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판넬은 적재된 플랫폼(10)의 무게를 트레일러/차량 섀시(chassis)에 전달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다란 트랙 부재(110)는 측벽과의 사이에 상부로 향하는 채널을 형성한다. 상기 채널은 차례로, 롤러 또는 상부 플랫폼(10)의 양쪽 측면으로부터 가로질러 연장되는 샤프트(103)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휠을 수용한다. 상부 화물 지지 플랫폼(10)이 상승된 서포트 플랫폼으로부터 전방으로 전진될 때, 상기 채널(트랙 부재에 의하여 트레일러 내벽의 대향 측면에 제공됨)은 롤러를 측방향으로 구속하고 따라서 가이드한다. 본 실시예에서, 적재된 상부 플랫폼의 무게는 그 벽걸이식 트랙에 설치된 롤러를 유지하기에 충분하다. 상기 플랫폼(10)의 화물 지지 상부면의 이용가능한 영역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플랫폼은 플랫폼의 각 측면을 따라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롤러(33) 및 축(103) 장치를 덮는 연장부(101)를 포함한다. 영역을 증가시키는 것 외에 또, 상기 장치는 안전성을 개선한다. 상부 플랫폼(10)이 저면에는 라벨(104)이 부착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기 적합한 다른 트랙 및 롤러 장치를 도시한다. 또한, 기다란 트랙 부재(110)가 채널을 형성하도록 트레일러 측벽(28)에 고정된다. 그러나, 상부 플랫폼(10)의 측면에 늘어선 롤러(33)를 수용(길이 방향 삽입에 의하여)할 수 있는 채널을 형성하기 위하여, 추가 트랙 부재가 상기 트랙 부재(110) 위쪽의 벽에 고정된다. 상기 롤러(33)의 축(103)은 2개의 트랙 부재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뻗어 있고, 상기 롤러는 형성된 채널 또는 슬롯에 수직방향으로 구속된다. 상기 배치는 상기 플랫폼(10)의 길이 방향 이동만이 허용되고(즉, 트레일러의 길이를 따라서), 화물을 지지하지 않을 지라도, 상부의 트랙 부재가 상부 플랫폼(10)의 수직 방향의 이동(제거)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부 플랫폼을 서포트 플랫폼(9)으로부터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다른 구동장치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상부 플랫폼(10)의 저면에 랙(105)이 장착된다. 구동 모터(41)가 하부의 플랫폼(9)에 의하여 지지되고, 수용되어 있고, 랙(105)과 결합되는 피니언(46)을 구동한다. 따라서, 상기 모터의 제어는 상부 플랫폼의 전방 이동 및 후방 이동을 수평 방향(화살표 H로 나타냄)으로 제어한다. 상기 모터(41) 및 피니언(46)은 상기 서포트 플랫폼(9)의 전방 단부(191) 근처에 위치된다.
도 23은 다른 실시예의 구성요소의 개략도이다. 화물 플랫폼(10)의 저면이 도시되어 있고, 그 중심선을 따라 랙(105)을 지지한다. 모터(41)는 랙과 결합되는 피니언을 지지하는 축(45)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도시되지 않은 수단에 의하여, 하부 서포트 플랫폼에 장착됨)는 상기 플랫폼을 중앙 위치에서 작동시 킨다. 상기 예에서, 상부 플랫폼과 트레일러/차량 측벽의 트랙 사이에 바람직한 결합은 크래빙(crabbing)[즉, 전방으로 이동될 때 화물 플랫폼의 슬루(slew)]를 방지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유사한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 상부 플랫폼은 그 저면(104)을 따라 작동하는 2개의 평행 랙(105)를 가지고 있고, 상기 구동 모터(41)는 그 축(45)을 통하여 기어박스(gearbox)(450)를 구동한다. 상기 기어박스는 2개의 피니언(46)을 구동시키는 2개의 출력축(47)을 가지고 있고, 상기 피니언 각각은 랙 중 하나의 각 랙과 결합된다. 따라서, 평행 구동이 상부 플랫폼에 적용되고, 슬루에 대한 경향이 감소된다.
도 25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다른 트레일러의 적재를 도시한다. 상기 트레일러(1)는, 그 작동 장치와 함께, 하나의 이동가능한 화물 지지 플랫폼이 위치되는 중앙의 웰(4)을 포함한다. 상기 트레일러의 후방에는, 서포트 플랫폼(9), 그 작동 장치, 및 상부 플랫폼(10)이 위치된다. 적재가 개시되기 전에, 웰 플랫폼(5)이 상승된 위치로 되어, 그 상부면이 트레일러의 전방부에서 트레일러 플로어와 동일한 높이로 된다. 상부 플랫폼(10) 및 서포트 플랫폼은, 상부 플랫폼 표면이 웰 플랫폼 상부면과도 동일한 높이로 되도록 배치된다(도 25 참조). 다음에, 복수의 화물 유닛(cargo units)(21)[펠릿, 박스, 크레이트(crates), 롤 케이지 등일 수 있음]이 트레일러 내부에 적재되고, 실질적으로 이용가능한 플로어 공간을 채우게 된다(도 26 참조). 트레일러의 후방부에는, 서포트 플랫폼을 약간 상승된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는 정지 장치(91)가 제공된다. 그러나, 적재의 이 단계에서 는, 정지 장치가 작동되지 않으며, 서포트 플랫폼이 그 하부 위치에 위치된다. 또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화물 플랫폼(10)이 트레일러의 측벽 상에 또는 측벽에 제공된 트랙(11)과 정렬시키도록, 웰 플랫폼(5)이 하강되고, 서포트 플랫폼(9)이 상승된다. 그 다음 화물을 이송하는, 상부 플랫폼이 적당한 수단에 의하여 전방으로 구동/이동되고, 트랙(11)에 의하여 수용되고 트랙(11)과 결합된다. 상기 트랙은 상부 플랫폼의 전방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10)이 트랙을 따라서 뒤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플랫폼(10)이 완전히 전방 위치에 있을 때 작동될 수 있는 스톱 장치(stop arrangement)를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부 플랫폼이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부 플랫폼이 완전히 전진되었을 때에도, 상기 상부 플랫폼과 서포트 플랫폼 사이에 어느 정도의 오버랩(overlap)이 있다. 이것은, 하역 과정 동안, 상부 플랫폼(10)을 트랙(11)으로부터 "빼내기" 위하여, 길이 방향 구동 장치가 반대로 작동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도 28에서, 서포트 플랫폼이 완전히 상승되면, 스톱 장치(91)가 작동된다. 도 28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서포트 플랫폼(9)이 수직으로 하강되고, 이것은 구동 장치를 상부 플랫폼과 분리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서포트 플랫폼(9)은 약간 상승된 위치(본래의 적재 위치에 비하여)에 위치되고, 늘어선 스톱 장치(91)를 누르게 된다(도 29 참조). 마지막으로,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분의 화물(23)이 서포트 플랫폼(9)에 적재된다.
도 31 내지 도 34는 도 25 내지 도 30의 실시예의 서포트 플랫폼의 리프팅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다. 상기 서포트 플랫폼(9)은 공기압식으로 작동되는 시소 리프트(scissor lifts)(시소 잭이라고 함) 및 상기 시소 리프트 사이에 배치되는 에어 백(또는 공기압 잭)을 포함하는 장치에 의하여 들어 올려진다. 상기 장치는 도 31에서는 도시된 수축된 상태로 도시되고, 도 32에서는 들어 올려서 상승된 상태로 도시된다(상부 플랫폼이 측벽 서포트/트랙과 정렬되어 웰(4)을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소 리프트 장치의 이점은 매우 평평한 구조로 수축될 수 있고, 트레일러/차량에서 작은 공간을 차지한다는 것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2개의 시소 리프트 장치는 트레일러/차량의 길이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다. 2개의 시소 리프트 장치의 구조 및 작동은 동일하며, 단지 전방 리프트만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전방 리프트는 피벗(pivot)(83)에 의하여 제2 빔(922)에 연결된 제1 빔(921)을 포함한다. 제3 및 제4 빔은, 트레일러 폭을 따라 이격되어 있고, 도면의 제1 및 제2 빔의 아래에 위치된다. 제1 빔(921)의 제1 단부는, 차례로 트레일러 섀시에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940)에 견고하게 장착된 앵커 포인트(94)에 힌지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 빔(921)의 대향 단부는 서포트 플랫폼(9)의 저면과 결합되는 롤러(96)를 지지한다. 상기 제2 빔(922)의 일단부는 서포트 플랫폼(9)의 저면에 장착된 앵커(95)에 힌지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대향 단부는 섀시에 장착된 평평한 롤러 플레이트(97)를 따라 자유롭게 구를 수 있는 다른 롤러를 지지한다. 따라서, 교차하는 빔(921, 922)은 시소 배치를 형성하고, 상기 빔은 대체로 활꼴 형태로 팽창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에어백(99)에 의하여 작동된다. 상기 에어백은 시소 빔 사이에 장착된 플레이트(도시하지 않음)와 접촉된다. 처음에(즉, 수축된 상태에서) 에어백(99)은 수축되어 있다. 그 다음, 상기 플랫폼(9)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에어백이 팽창되어, 시소를 팽창시킨다[즉, 빔 피벗, 롤러가 플레이트(97) 및 플랫폼(9) 표면을 따라서 구른다]. 추가의 상승력이, 동시에 팽창되는 중앙의 에어백/잭에 의하여 제공된다.
도 33은 트레일러의 후방에서 본 상승된 시소 장치를 도시한다. 트레일러 중심선의 일측에 대향하는 쌍의 피벗식으로 연결된 빔(921, 922)이, 플레이트(229)와 같이, 보일 수 있고, 에어백(99)이 시소 장치를 팽창시키도록 힘을 가한다. 도 34는 후방에서 본, 수축된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예가 공기식으로 작동되는 시소 리프트를 사용했을 지라도, 다른 수단에 의하여 작동되는 시소 리프트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압 액츄에이터 또는 스크류 장치(스크류 잭)가 사용될 수 있다. 공기압 시스템을 사용하면, 트레일러 또는 차량이 에어백/에어잭을 팽창시키는 압축기 및 압축 공기 저장 용기를 간단하게 구비할 수 있다.
도 35 및 도 36은 상부 플랫폼을 그 전방의 상승된 위치로 위치시킨 후 하강시킬 때, 서포트 플랫폼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다른 스톱 장치를 도시한다. 상기 스톱 장치는 하우징(911) 및 피벗(910)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배치되는 스톱 부재(91)를 포함한다. 상기 피벗(910)은 상기 스톱 부재(91)의 무게 중심 상부에 배치되고, 따라서 도 35에 도시된 위치를 무게 아래로 위치시킬려고 한다. 하우징의 전방 하부 벽(961)은 상기 스톱 부재(91)의 하부가 하우징으로부터 전방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하우징의 내부에는 에어백(912) 또는 다수의 다른 적당한 작동 장치가 위치된다. 도 35에서, 에어백은 수 축되어 있고, 스톱 부재는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서포트 플랫폼(9)의 측면 에지는 스톱 장치를 지나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에어백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스톱 부재에 모멘트를 인가하여, 상기 스톱 부재를 피벗(91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한다. 이 회전은 하우징의 후방 내벽에 인접하고 있는 상기 스톱 부재(91)의 하단부에 의하여 제한되고, 이 위치에서는 상기 스톱 부재의 상단면(913)은 대체로 수평이고 하우징(911)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플랫폼(9)이 하강되면, 상기 플랫폼은 스톱 부재의 돌출된 상부면과 결합되고 지지된다. 상기 플랫폼의 무게는, 에어백이 고장나더라도, 상기 스톱 부재를 도 36에 도시된 위치에 유지시킨다.
도 37은 본 발명은 구체화하는 차량의 일부를 도시하는데, 상기 차량은 웰(4) 및 상기 웰 내의 하나의 화물 이송 플랫폼(5)을 포함한다. 상기 플랫폼(5)은 도 31 내지 도 34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것과 대체로 동일하게 작동되는, 시소 리프트 장치에 의하여 상기 웰 내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웰의 길이를 따라서 이격되어 있는, 3개의 시소-잭 어셈블리(92a, 92b, 92c)를 포함한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2개의 상부 플랫폼 서포트(11A 및11B)가 2개의 상이하게 설정된 높이로, 측벽에 고정된다. 따라서 후방 서포트 플랫폼 및 수평 구동 장치는 후방 화물 이송 플랫폼이 위치되는 서포트를 선택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도 38은 도 37의 A-A선을 따른, 차량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8에는 하나의 시소 장치 중 일부만이 도시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하는 시소 부재(921, 922)의 일단부는 힌지 서포트(94, 95)에 장착되고, 타단부는 이송 롤러(96)에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플랫폼(5)의 일측은 시소 장치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롤러에 단순하게 지지된다.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호이스트 앵커 포인트(50)가 상기 롤러에 지지되는 플랫폼의 측면 위쪽에서, 차량 천장에 제공된다. 적당한 연결부(51)에 의하여, 상기 플랫폼은 단순하게 상승될 수 있어, 화살표(52)에 의하여 지시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며, 따라서 웰 내의 플랫폼 아래의 공간으로 접근될 수 있도록 한다(따라서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고, 웰 및 웰-리프트 어셈블리를 청소할 수 있게 함). 상기 서포트(11A 및 11B)는 측벽으로부터 차량 화물 공간 내부로 가로질러 연장되는 선반 부재(shelf members)의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상부 플랫폼은 선반 상에 슬라이드 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선반 서포트(11A 및 11B)의 상부면을 따라 구르고 지지되도록 배치되는 일련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9 내지 도 41을 참조하면, 이들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서포트 플랫폼을 상승시키는 다른 장치를 도시한다. 상기 서포트 플랫폼은 일련의 풀리 내지 하나의 유압 램에 의하여 작동되는 케이블(382)에 연결된다. 상기 풀리는 트레일러 벽(28)에 위치되는 높은 위치의 풀리(381), 낮은 위치의 수직 풀리(383)(즉,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배치됨), 낮은 위치의 수평 풀리(384)(즉,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배치됨), 및 램에 의하여 구동되는(즉, 전환되는) 풀리(386)를 포함한다. 플랫폼(9)을 상승시키도록 램이 신장되어, 풀리 장치 위로 케이블을 당기고, 플랫폼 높이를 유지하도록, 트레일러의 어느 일 측면의 4 포인트(2)에서 플랫폼을 상승시킨다.
본 발명은 화물-이송 웰(load-carrying well)을 통합한 트레일러 및 차량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48)

  1. 트레일러에 있어서,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플로어(floor)를 구비하고,
    화물이 상기 트레일러의 제1 단부로부터 적재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이동가능한 제1 플랫폼(platform)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랫폼은, 상기 화물 적재시, 상승될 수 있고 상기 트레일러의 제1 단부로부터 멀리 전진될 수 있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이동가능한 상기 제1 플랫폼은 추가의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추가 플랫폼에 지지되고,
    이동가능한 상기 제1 플랫폼은,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상기 추가 플랫폼이 상부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트레일러의 상기 제1 단부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플랫폼을 수직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치된 리프팅 장치(lifting mechanism)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장치는 상기 추가 플랫폼을 상기 트레일러의 플로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유지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시소 리프트(scissor lif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공기압 액츄에이터(pneumatic actua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2개의 공기압식으로 작동되는 시소 리프트, 및 상기 시소 리프트 사이에 배치된 공기압 잭(jack)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풀리 및 하나 이상의 풀리 코드(pulley chor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9. 제1항 내지 제4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가능한 상기 추가 플랫폼의 수직 이동은 유압 램(hydraulic rams)에 의하여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가능한 상기 추가 플랫폼의 수직 이동은 스크류 잭(screw jacks)에 의하여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는 웰(well)을 가지며,
    제1 상부 위치로부터 상기 웰 내의 제2 하부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이동가능한 제2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랫폼은, 상기 제1 플랫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웰의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상승되고 전방으로 전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랫폼은 상기 웰을 완전히 덮는, 상승된 전방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14. 제11항 내지 제13항에 있어서,
    이동가능한 상기 제2 플랫폼을 수직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치된 제2 리프팅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프팅 장치는 이동가능한 제2 플랫폼을 상기 트레일러의 플로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유지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프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시소 리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프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공기압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프팅 장치는 상기 웰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3개의 공기압 식으로 작동되는 시소 리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19.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프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유압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20.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프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스크류 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물 적재시, 이동가능한 상기 제1 플랫폼을 상기 트레일러의 적어도 하나의 상승된 전방 위치로 상승시키고 전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일러의 측벽에 장착되는 서포트(supports)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는 이동가능한 상기 제1 플랫폼을 상기 상승된 전방 위치에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22. 제21항에 있어서,
    이동가능한 상기 제1 플랫폼은 상기 상승된 전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트레일러 플로어에 실질적으로 팽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트레일러의 양쪽 측벽에 장착되는 적어도 한 쌍의 트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은 상기 트레일러 플로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이동가능한 상기 제1 플랫폼은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트랙은, 이동가능한 상기 제1 플랫폼이 상승된 전방 위치까지 상기 서포트 상에서 굴러가도록, 상승되고 전방으로 전진될 수 있도록, 상기 롤러에 대해 구름면(rolling surface)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은 각각 상기 롤러를 수용하는 채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27. 제23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은 이동가능한 상기 제1 플랫폼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도록 배치되는 단부 멈추개(end stop)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28. 제23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가능한 상기 제1 플랫폼을 상기 상승된 전방 위치에 고정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는 제어가능한 멈추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가능한 상기 제1 플랫폼은 설정된 수직 위치로부터만 전방으로 전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수직 위치는 상기 트레일러의 벽에 구비된 트랙에 의하여 정해지고,
    상기 트랙은 상기 설정된 수직 위치에 고정적으로 위치되며,
    이동가능한 상기 제1 플랫폼은 상기 트랙을 따라 전방으로 전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31.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가능한 상기 제1 플랫폼은 화물-이송 플랫폼(load-carrying platform)이 고,
    상기 트레일러는 화물-이송 프론트 플로어를 형성하는 전방부, 리어 플로어(rear floor)를 형성하는 후방부, 상기 전방부와 상기 후방부 사이에 위치되는 웰부(well section), 및 화물을 상기 웰부 내에 하강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서포트 플랫폼(support platform)이 상승된 위치와 하강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리어 플로어 위에서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서포트 플랫폼은 상기 상승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웰 위에서 수평으로 이동가능한 화물-이송 플랫폼을 이송하고,
    상기 화물-이송 플랫폼은 상기 서포트 플랫폼으로부터 차량의 측벽에 장착된 서포트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플랫폼과 상기 화물-이송 플랫폼 사이에 롤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이송 플랫폼은 상기 서포트 플랫폼의 길이 방향 에지를 따라 뻗어 있는 트랙 위를 움직이는 롤러를 길이 방향 에지를 따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34. 제3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는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서포트와 상기 화물-이송 플랫폼 사이에 롤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서포트는 상기 화물-이송 플랫폼의 길이 방향 에지 상의 구조체를 굴리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서포트의 롤러는 상기 웰부의 내측벽을 형성하는 플레이트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37. 제31항 내지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플랫폼은 상기 웰 위에서 상기 화물-이송 플랫폼을 이동시키는 구동 모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트레일러를 가로지르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서포트 플랫폼의 상면 위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롤러의 회전이 상기 서포프 플랫폼에 대하여 상기 화물-이송 플랫폼을 구동하도록 상기 화물-이송 플랫폼에 의하 여 형성된 표면과 마찰 결합되는, 롤러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이송 플랫폼은 랙(rack)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랙과 결합되는 피니언을 구동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40. 제2항에 있어서,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상기 추가 플랫폼이 상부 위치로 이동된 후,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상기 추가 플랫폼은, 이동가능한 상기 제1 플랫폼을 구동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는 구동 모터를, 상기 트레일러의 제1 단부로부터 멀리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는 이동가능한 상기 제1 플랫폼에 구비된 랙과 결합되는 피니언을 구동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42. 화물 운송용 차량에 있어서,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플로어, 및
    상기 화물이 차량의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적재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이동 가능한 제1 플랫폼
    을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은, 상기 화물 적재시, 상승되고 상기 차량의 상기 제1 단부로부터 멀리 전진될 수 있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43. 차량에 있어서,
    화물-이송 프론트 플로어를 형성하는 전방부,
    리어 플로어를 형성하는 후방부,
    상기 전방부와 상기 후방부 사이에 위치되는 웰부(well section), 및
    화물을 상기 웰부 내에 하강시키는 수단
    을 포함하고,
    서포트 플랫폼이 상승된 위치와 하강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리어 플로어 위에서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서포트 플랫폼은 상기 상승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웰 위에서 이동가능한 화물-이송 플랫폼을 이송하고,
    상기 화물-이송 플랫폼은 상기 서포트 플랫폼으로부터 차량의 측벽에 장착된 서포트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44.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질적으로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차량.
  45.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질적으로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트레일러.
  46. 트레일러 또는 차량의 적재 방법에 있어서,
    화물을 차량 또는 트레일러의 제1 단부로부터 상기 트레일러 또는 상기 차량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한 제1 플랫폼 상에 적재하는 단계, 및
    상기 화물을 적재한 이동가능한 상기 제1 플랫폼을 상승시키고 전방으로 전진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또는 차량의 적재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을 제2 이동가능한 플랫폼 상에 적재하고,
    이동가능한 상기 제2 플랫폼은 상기 트레일러 또는 상기 차량의 웰 내로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또는 차량의 적재 방법.
  48.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질적으로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트레일러 또는 차량의 적재 방법.
KR1020057015076A 2003-02-15 2004-02-16 이동가능한 화물 이송 플랫폼을 통합한 차량 및 트레일러 Ceased KR200600067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303502.9 2003-02-15
GB0303502A GB2398278B (en) 2003-02-15 2003-02-15 Trailer
GB0305984.7 2003-03-15
GB0305984A GB2399545B (en) 2003-03-15 2003-03-15 Vehicle incorporating a load carrying we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771A true KR20060006771A (ko) 2006-01-19

Family

ID=32870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5076A Ceased KR20060006771A (ko) 2003-02-15 2004-02-16 이동가능한 화물 이송 플랫폼을 통합한 차량 및 트레일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665788B2 (ko)
EP (1) EP1592579B1 (ko)
JP (1) JP2006517493A (ko)
KR (1) KR20060006771A (ko)
AU (1) AU2004212180A1 (ko)
CA (1) CA2515936C (ko)
ES (1) ES2392717T3 (ko)
WO (1) WO200407180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86040T1 (de) * 2004-09-04 2010-11-15 Middlegate Marketing Ltd Lasthandhabungsvorrichtung, aufblasbarer beutel dafür, fahrzeuge und anhänger mit beweglichen lasttragplattformen
EP2394849A1 (en) 2010-06-10 2011-12-14 Middlegate Marketing Limited Load handling apparatus for handling goods In a vehicle
CN103097193B (zh) * 2010-06-08 2016-07-06 中门行销有限公司 用于车辆内操作货物的负载操作设备
EP2394848A1 (en) 2010-06-10 2011-12-14 Middlegate Marketing Limited Levelling apparatus for load supporting platform for vehicle
US8167329B2 (en) * 2010-08-26 2012-05-01 Garry Wayne Lee Fifth-wheel trailer with an adjustable floor and a method for its use
US8727692B2 (en) 2010-08-27 2014-05-20 Dana William Simpson Removable platform and load bed for vehicles
EP2484550A1 (en) * 2010-11-15 2012-08-08 ES Smede & Maskinservice ApS Vehicle
EP2692580B1 (en) 2012-08-01 2019-04-03 Middlegate Marketing Limited Load handling apparatus for handling goods in vehicle
CA2835586A1 (en) * 2012-12-04 2014-06-04 Spartan Motors, Inc. Dropped floor public interface transaction area for retail vehicles
AU2014100181B4 (en) * 2013-12-16 2014-11-20 Nq Group Pty Ltd Hydraulic Platform
CA2967291C (en) 2015-05-07 2019-04-16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Container bulk material delivery system
CA2975902C (en) 2015-07-22 2019-11-12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Blender unit with integrated container support frame
AU2015402766A1 (en) 2015-07-22 2017-05-18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Mobile support structure for bulk material containers
WO2017091221A1 (en) 2015-11-25 2017-06-01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Sequencing bulk material containers for continuous material usage
US11047717B2 (en) 2015-12-22 2021-06-29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slurry sand concentration and continuous calibration of metering mechanisms for transferring same
CA3007350C (en) 2016-03-15 2020-06-23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Mulling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bulk material released from portable containers
US11273421B2 (en) 2016-03-24 2022-03-15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Fluid management system for producing treatment fluid using containerized fluid additives
CA3007354C (en) 2016-03-31 2020-06-02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Loading and unloading of bulk material containers for on site blending
US11498037B2 (en) 2016-05-24 2022-11-15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Containerized system for mixing dry additives with bulk material
US10919693B2 (en) 2016-07-21 2021-02-16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Bulk material handling system for reduced dust, noise, and emissions
WO2018022064A1 (en) 2016-07-28 2018-02-01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Modular bulk material container
US11338260B2 (en) 2016-08-15 2022-05-24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Vacuum particulate recovery systems for bulk material containers
WO2018038723A1 (en) 2016-08-24 2018-03-01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Dust control systems for discharge of bulk material
WO2018038721A1 (en) 2016-08-24 2018-03-01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Dust control systems for bulk material containers
US11186318B2 (en) * 2016-12-02 2021-11-30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Transportation trailer with space frame
US10384506B1 (en) * 2017-05-26 2019-08-20 Amazon Technologies, Inc. Rod-lock enable air bag lifting system
US10577150B2 (en) 2017-07-27 2020-03-03 Walmart Apollo, Llc Configurable rolling pallet tray system
CN109972465A (zh) * 2017-12-27 2019-07-05 北京城建设计发展集团股份有限公司 预制道床板铺装用板下精调车
US11186214B2 (en) * 2018-12-06 2021-11-30 Amazon Technologies, Inc. Double deck truck trailer with movable upper deck
US11565622B2 (en) * 2020-02-22 2023-01-31 Strick Trailers, Llc Rear corner post for a truck trailer
JP6807617B1 (ja) * 2020-02-28 2021-01-06 株式会社浜名ワークス 航空コンテナ輸送用トレーラ
CA3152409A1 (en) * 2021-03-16 2022-09-16 Ancra International Llc Adjustable deck system for cargo compartment
CN113682326B (zh) * 2021-03-29 2024-06-07 鄂尔多斯市智博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矿井巷道滑轨动车
EP4429984A1 (en) 2021-11-10 2024-09-18 Labo, Inc. Automated product unloading, handling, and distribution
JP7251846B1 (ja) 2022-01-11 2023-04-04 小野谷機工株式会社 車両用昇降装置
US11565666B1 (en) 2022-03-17 2023-01-31 Robert John Thorndyke Lift system for elevating a load bed of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37365A (en) 1967-04-27 1971-06-30 Weston William A Improvements in load carrying and distributing apparatus
US3841503A (en) * 1971-07-08 1974-10-15 Drexel Ind Inc Material handling system
US3972427A (en) 1974-09-25 1976-08-03 The Boeing Company Appendant elevatable loader for vehicles
US4642018A (en) * 1982-06-11 1987-02-10 Compagnie Des Transmissions Mecaniques Sedis Automatic device for loading the total volume of a transport vehicle
DE3446059A1 (de) * 1984-12-18 1986-06-26 Wohlfarth GmbH & Co Spedition, 7000 Stuttgart Ladeaufbau fuer ein strassentransportfahrzeug und mit einem derartigen aufbau ausgeruestetes strassentransportfahrzeug
NL8502471A (nl) * 1985-09-10 1987-04-01 Talson Transport Engineering Vrachtvoertuig, in het bijzonder van het type oplegger, met een aan de voorzijde verhoogde laadvloer.
GB2215699A (en) 1988-02-12 1989-09-27 Thomas Murgatroyd Conveyor system for use in a container body.
US5092721A (en) * 1988-11-28 1992-03-03 Coterie, Ltd. Double drop trailer with two lifts
US4943204A (en) * 1988-11-30 1990-07-24 Ehrlich Rodney P Drop frame trailer construction
GB2279917B (en) 1992-07-18 1995-10-11 Adams William M Improvements relating to goods storage
GB9215324D0 (en) 1992-07-18 1992-09-02 Adams Mark W Improvements relating to goods storage
GB9302602D0 (en) 1993-02-10 1993-03-24 Wilson Frederick G Transport trailer with 2 vertically moving floors
US5915913A (en) * 1995-06-07 1999-06-29 Greenlaw; Robert J. Delivery vehicle with elevator assemblies for multi-tier storage of cargo
GB2325894A (en) 1997-02-04 1998-12-09 Don Bur Loading deck suspended from the roof of a trailer
GB2325914B (en) 1997-06-06 2001-01-24 Cartwright & Sons S Movable lifting device
DE19731324A1 (de) 1997-07-22 1999-03-1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Ausziehbarer Ladeboden für ein Fahrzeug
JPH11227514A (ja) 1998-02-13 1999-08-24 Nippon Fruehauf Co Ltd 貨物自動車の積み荷構造
DE60127536T2 (de) * 2000-02-21 2007-12-06 Middlegate Marketing Ltd., Worlaby Verbesserungen an einem verfahren und einer vorrichtung zum beladen eines anhängers
JP2002274244A (ja) 2001-03-14 2002-09-25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低床式トレーラ
JP2002362213A (ja) 2001-06-12 2002-12-18 Daido Steel Co Ltd 車両用荷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92717T3 (es) 2012-12-13
WO2004071806A3 (en) 2004-11-25
US7665788B2 (en) 2010-02-23
CA2515936C (en) 2013-04-16
WO2004071806A2 (en) 2004-08-26
AU2004212180A1 (en) 2004-08-26
CA2515936A1 (en) 2004-08-26
WO2004071806A8 (en) 2005-11-03
JP2006517493A (ja) 2006-07-27
EP1592579A2 (en) 2005-11-09
US20070274799A1 (en) 2007-11-29
EP1592579B1 (en) 201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06771A (ko) 이동가능한 화물 이송 플랫폼을 통합한 차량 및 트레일러
US711490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loading a trailer
AU2008319162B2 (en) Cargo handling apparatus
US4274789A (en) Mechanism for loading and unloading pallets from vans
JP3537803B2 (ja) 特装車両のリフト装置
EP0278558B1 (en) Road transport vehicle suitable for two separate loads
KR20200120314A (ko) 화물 분리가 용이한 농업용 지게차
US4645406A (en) Container loader and transport assembly
US20030147734A1 (en) Goods handling system
US44001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and transporting a load
US4721431A (en) Self loading system
CN100506604C (zh) 拖车、车辆及用于装载拖车或车辆的方法
KR101252758B1 (ko) 주차설비
EP0808780A1 (en) Containing and transporting device with internal lift, particularly for shipment of motor cars
KR200226127Y1 (ko) 차량운반용 트럭
JPH10324425A (ja) 荷役装置及び荷役方法
JP4364549B2 (ja) コンテナ運搬車両
JP3352266B2 (ja) 多目的貨物車両
KR20040035435A (ko)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
US20060182567A1 (en) Glass loading rack
EP1498308A1 (en) Goods handling system
JP2002362213A (ja) 車両用荷役装置
US3138269A (en) Semitrailer with elevator
JPH0744685Y2 (ja) 駐車装置
NL1008169C1 (nl) Inrichting voor het heffen van een last en voertuig voorzien van een dergelijke inrich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2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110228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6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8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