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0096U - 뚜껑 겸용 컵과 보조 컵이 구비된 용기 - Google Patents
뚜껑 겸용 컵과 보조 컵이 구비된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00096U KR20060000096U KR2020060028783U KR20060028783U KR20060000096U KR 20060000096 U KR20060000096 U KR 20060000096U KR 2020060028783 U KR2020060028783 U KR 2020060028783U KR 20060028783 U KR20060028783 U KR 20060028783U KR 20060000096 U KR20060000096 U KR 2006000009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 container
- lid
- opening
- bottleneck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이나 음료 또는 술과 같은 액체 형태의 내용물을 저장하면서 그 상측에 병목이 형성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병목에 나사식 결합을 통해 여닫을 수 있도록 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 하단에 넓게 벌어져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되면서 그 벌어진 하단이 용기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로 닫히도록 하는 수용부가 일체로 형성된 뚜껑 겸용 컵과 나사식 결합된 보조 컵이 구비되어 이루어짐에 따라, 구조가 개선된 뚜껑을 사용하여 언제 어디서든 저장된 내용물을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따라 마실 수 있도록 한 뚜껑 겸용 컵과 보조 컵이 구비된 용기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뚜껑 겸용 컵과 보조 컵이 구비된 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뚜껑 겸용 컵과 보조 컵이 구비된 용기를 도시한 요부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뚜껑 겸용 컵과 보조 컵이 구비된 용기를 도시한 요부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뚜껑 겸용 컵과 보조 컵이 구비된 용기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용기 120: 병목
200: 뚜껑 겸용 컵 220: 개폐부
240: 수용부 300: 보조 컵
320: 결합부
본 고안은 물이나 음료 또는 술과 같은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용기의 병목을 여닫기 위한 뚜껑의 구조를 개선하여 이를 이용해 언제 어디서든 저장된 물이나 음료를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따라 마실 수 있도록 한 뚜껑 겸용 컵과 보조 컵이 구비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이나 음료 또는 술(이하, 내용물이라 통칭함)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는 그 상측에 좁아지는 병목이 형성하고 상기 병목에는 뚜껑이 나사식 결합된 상태로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의 병목에 결합된 뚜껑을 비틀어 개방한 후 저장된 내용물을 컵에 따라 마실 수 있으며, 마신 후에는 다시 뚜껑으로 병목을 닫아서 보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용기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따라 마시는 경우 보통 컵이 필요하나, 컵이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병목에 입을 직접 대고 마실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즉, 야외에서 여러 사람이 운동을 하거나 등산을 하면서 용기에 저장된 물을 나눠먹고자 할 경우 별도로 컵이 준비되지 않으면 돌려가면서 병목에 입을 직접 대고 마실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는 물이나 음료뿐만이 아니라, 술을 나눠 마셔야 하는 경우 더욱 곤란한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더구나, 음식점에서 술을 먹고자 하는 경우에는 보통 음식점에 준비된 술잔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상기 술잔의 청결상태가 나쁜 경우도 종종 발생하기 때문에 늘 새로운 술잔으로 마실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현실이다.
본 고안은 종래 문제점 및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으로는 용기의 병목를 여닫기 위한 뚜껑의 구조를 개선하여 이를 이용해 언제 어디서든 저장된 물이나 음료 또는 술과 같은 내용물을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따라 마실 수 있도록 한 뚜껑 겸용 컵과 보조 컵이 구비된 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두 사람 이상이 나눠 마실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잔을 구비한 뚜껑 겸용 컵과 보조 컵이 구비된 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뚜껑 겸용 컵과 보조 컵이 구비된 용기는 물이나 음료수 등과 같은 액체 형태의 내용물을 저장하면서 그 상측에 병목이 형성된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병목에 나사식 결합을 통해 여닫을 수 있도록 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 하단에 넓게 벌어져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되면서 그 벌어진 하단이 용기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로 닫히도록 하는 수용부가 일체로 형성된 뚜껑 겸용 컵; 및 상기 뚜껑 겸용 컵의 외측에 결합되는 보조 컵이 적어도 하나 이상 더 구성 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보조 컵은 상기 뚜껑 겸용 컵의 수용부 보다 작은 각도로 벌어지면서 그 하단은 상기 수용부의 하측 외면에 밀착되도록 형성하는 한편, 그 내부 상측에는 상기 뚜껑 겸용 컵의 개폐부와 나사식 결합되도록 결합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뚜껑 겸용 컵과 보조 컵이 구비된 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뚜껑 겸용 컵과 보조 컵이 구비된 용기를 도시한 요부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뚜껑 겸용 컵과 보조 컵이 구비된 용기를 도시한 요부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뚜껑 겸용 컵과 보조 컵이 구비된 용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뚜껑 겸용 컵과 보조 컵이 구비된 용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병목이 형성된 용기(100)와 상기 용기의 병목을 개폐하면서 물이나 음료 또는 술과 같은 내용물을 따라 마실 수 있도록 형성된 뚜껑 겸용 컵(200)과 상기 뚜껑 겸용 컵을 커버하는 보조 컵(300)으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용기(100)는 통상 물이나 음료 또는 술과 같은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병 형태로 형성한 것으로서, 그 상측에는 직경이 좁아지면서 그 외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병목(120)을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용기(100)는 합성수지재, 유리재 또는 금속재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뚜껑 겸용 컵(200)은 거꾸로 뒤집은 상태에서 상기 병목(120)에 나사식 결합을 통해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한편, 똑바로 새운 상태에서는 용기(100)에 저장된 내용물을 따라서 마실 수 있도록 형성한다.
즉, 뚜껑 겸용 컵(200)은 용기(100)의 병목(120)을 닫은 상태에서 상측에 상기 병목(120)과 나사식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개폐부(220)를 형성하고, 상기 개폐부(220)의 하측에는 스커트 형태로 넓게 벌어져서 내용물을 따라 담을 수 있도록 하는 수용부(240)를 일체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개폐부(220)의 내면에는 상기 병목(120)의 수나사와 대응되는 암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240)의 벌어진 하단은 용기(100)의 외면에 밀착되어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보조 컵(300)은 상기 뚜껑 겸용 컵(200)의 외측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여러 형태와 여러 결합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보조 컵(300)은 상기 뚜껑 겸용 컵(200)을 커버하면서 상기 수용부(240) 보다 작은 각도로 벌어지도록 형성하여 그 하단이 상기 수용부(240)의 하측 외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한편, 그 내부 상측에는 상기 뚜껑 겸용 컵(200)의 개폐부(220)와 나사식 결합되도록 결합부(32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개폐부(220)의 외면과 결합부(320)의 내면에는 상호 대응되는 수나사와 암나사를 형성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보조 컵(300)의 하단은 상기 뚜껑 겸용 컵(200)의 수용부(240) 외면과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뚜껑 겸용 컵과 보조 컵이 구비된 용기에 의하면 상기 뚜껑 겸용 컵(200)에 의해 용기(100)의 병목(120)을 간편하게 여닫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용기(100)에 저장된 물이나 음료 또는 술과 같은 내용물은 뚜껑 겸용 컵(200) 또는 상기 보조 컵(300)을 분리한 상태에서 이를 사용하여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따라 마실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뚜껑 겸용 컵과 보조 컵이 구비된 용기에 의하면 구조가 개선된 뚜껑을 사용하여 저장된 물이나 음료를 간편하게 따라 마실 수 있도록 형성됨에 따라, 별도의 컵을 준비할 필요 없이 언제 어디서든 더욱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컵이 구비됨으로써 두 사람 이상이 위생적으로 나눠 마실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Claims (2)
- 물이나 음료수 등과 같은 액체 형태의 내용물을 저장하면서 그 상측에 병목이 형성된 용기에 있어서,상기 병목에 나사식 결합을 통해 여닫을 수 있도록 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 하단에 넓게 벌어져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되면서 그 벌어진 하단이 용기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로 닫히도록 하는 수용부가 일체로 형성된 뚜껑 겸용 컵; 및상기 뚜껑 겸용 컵의 외측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컵;이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겸용 컵과 보조 컵이 구비된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컵은 상기 뚜껑 겸용 컵의 수용부 보다 작은 각도로 벌어지면서 그 하단은 상기 수용부의 하측 외면에 밀착되도록 형성하는 한편, 그 내부 상측에는 상기 뚜껑 겸용 컵의 개폐부와 나사식 결합되도록 결합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겸용 컵과 보조 컵이 구비된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8783U KR20060000096U (ko) | 2006-10-31 | 2006-10-31 | 뚜껑 겸용 컵과 보조 컵이 구비된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8783U KR20060000096U (ko) | 2006-10-31 | 2006-10-31 | 뚜껑 겸용 컵과 보조 컵이 구비된 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00096U true KR20060000096U (ko) | 2006-12-07 |
Family
ID=41784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28783U KR20060000096U (ko) | 2006-10-31 | 2006-10-31 | 뚜껑 겸용 컵과 보조 컵이 구비된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000096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D973441S1 (en) | 2019-09-23 | 2022-12-27 | Camelbak Products, Llc | Beverage container |
US11858688B2 (en) | 2019-09-23 | 2024-01-02 | Camelbak Products, Llc | Multi-vessel drink containers |
-
2006
- 2006-10-31 KR KR2020060028783U patent/KR20060000096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D973441S1 (en) | 2019-09-23 | 2022-12-27 | Camelbak Products, Llc | Beverage container |
US11858688B2 (en) | 2019-09-23 | 2024-01-02 | Camelbak Products, Llc | Multi-vessel drink container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97434B2 (en) | Bottle, in particular adapted to contain beverages | |
US20120168451A1 (en) | Drinking cup that rotatably attaches to a plastic bottle for closure and protection | |
KR20060000096U (ko) | 뚜껑 겸용 컵과 보조 컵이 구비된 용기 | |
US20060006128A1 (en) | Cap capable to be screwed in with nipple and cover cap | |
US20160137362A1 (en) | Cap attachment for drinking from cans | |
KR20170052358A (ko) | 음료 용기 | |
KR200475233Y1 (ko) | 주류 용기 | |
KR101424381B1 (ko) |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 | |
KR100429708B1 (ko) | 통체의 2중 분할 구조와 마개의 컵 겸용 구조를 갖는음료수 병 | |
KR200393417Y1 (ko) | 컵 겸용 병뚜껑 | |
KR200328710Y1 (ko) | 탄산가스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탄산 음료병용 컵 | |
KR200314066Y1 (ko) | 이중 분할 공간 구조의 음료수병 및 그 뚜껑 | |
KR20110137945A (ko) | 위생 음료병 | |
JP2006321540A (ja) | 飲料用ボトル | |
JP6608887B2 (ja) | ペットボトル容器 | |
KR20100058358A (ko) | 결합식 페트병 | |
KR200221669Y1 (ko) | 통체의 2중 분할 구조와 마개의 컵 겸용 구조를 갖는음료수 병 | |
KR200200551Y1 (ko) | 병 뚜껑이 달린 용기 | |
KR200325536Y1 (ko) | 착탈 가능한 이중 음료수병 | |
KR200398052Y1 (ko) | 복수의 음료 저장 공간을 갖는 음료수 병 | |
JP3200500U (ja) | ペットボトル用の栓体 | |
KR100558748B1 (ko) | 착탈형 컵을 갖는 플라스틱 음료병 | |
KR20080003837U (ko) | 분리형 음료용기 | |
KR200233050Y1 (ko) | 이중 개폐마개를 가진 용기 | |
JP3099948U (ja) | 味噌汁入り容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1031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71107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08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