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123002A - 가시오가피 추출물이 첨가된 어류양식용 사료 - Google Patents

가시오가피 추출물이 첨가된 어류양식용 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3002A
KR20050123002A KR1020040048702A KR20040048702A KR20050123002A KR 20050123002 A KR20050123002 A KR 20050123002A KR 1020040048702 A KR1020040048702 A KR 1020040048702A KR 20040048702 A KR20040048702 A KR 20040048702A KR 20050123002 A KR20050123002 A KR 20050123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extract
thorny
fish
oa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8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기
원경미
이성희
Original Assignee
김병기
원경미
이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기, 원경미, 이성희 filed Critical 김병기
Priority to KR1020040048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23002A/ko
Publication of KR20050123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300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r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강보조식품이나 약학제로 생산되는 가시오가피를 재추출하여 양식어류의 사료에 첨가하여 사용함으로서, 양식어류의 체액성 및 세포성 비특이적 면역을 자극하여 면역기능이 개선됨과 동시에 실제 병원세균의 감염실험을 실시한 결과에서 항병력이 증가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그동안 재활용하지 못한 가시오가피 추출 부산물을 이용하여 해양생물용 면역기능 개선제로 개발이 가능한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이용한 어류사료용 사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시오가피 추출물이 첨가된 어류양식용 사료{A fish-feed to containing an extract Siberian-Ginseng}
본 발명은 가시오가피 추출물이 첨가된 어류양식용 사료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가시오가피의 추출물 및 상기 가시오가피를 추출 후 생성된 부산물을 재활용하여 사료의 구성성분으로 첨가함으로서 어류의 면역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어류양식용 사료에 관한 것이다.
어류양식은 짧은 기간동안 양식기술의 발전으로 급격한 양적 증가를 보여 왔으며, 1997년에 약 320만톤의 국내 수산물 생산량 중에서 수산양식에 의한 수산물 공급량은 약 100만톤에 이르고 있다. 최근에는 상기한 수산물은 바로 건강식품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그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연안역의 오염과 양식생물의 질병 등으로 어류양식을 통한 수산물 공급량은 크게 늘지않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원인은 적극적으로 양식어장을 개발하지 못한 데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으나, 근본적으로 연안어장의 오염이 수반된 양식환경의 악화로 연중 양식생물이 질병에 노출되면서 생산성이 크게 떨어졌기 때문이다.
이에 해상가두리나 육상 넙치양식장의 경우 연간 총생산 경비의 10%이상을 질병예방 및 치료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어 수산양식산업의 경제성을 크게 악화시키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양식생물의 질병예방이나 치료목적으로 각종 약제를 남용함에 따라 양식생물의 식품안정성은 떨어지고 내병성도 나빠질 뿐만 아니라 국내외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PCB나 다이옥신 등의 환경호르몬으로 식품안정성에 대한 의구심이 증폭되고 있어 양식생물에 대한 기호도가 크게 떨어지고 있기 때문에 적절한 대책이 없을 경우 한순간 양식업체가 쉽게 무너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각종 수산약품 및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고 식품안정성이 확보된 신선한 양식어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질병이 발생되기 이전에 특정 병원체에 대한 백신을 적극 활용하거나 면역증강물질의 투여로 어체의 면역기능을 강화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와 같이 불특정 질병에 저항할 수 있도록 어류 자체의 면역능을 증강시켜 주는 물질에 관한 연구가 폭넓게 연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물질로는 β-glucan(Won et al., 2004), 기생충 구제제인 levamisole(Kajita et al., 1990), 달걀 유래 산생물인 EF203(Yoshida et al., 1993) 등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물질부터, 감귤 발효액(Song et al., 2002), 녹차 (Park et al., 1999), 그리고 미역, 다시마, 파래와 같은 각종 해조류(Choi et al., 1995; Nakagawa et al., 1985; Yone et al., 1996)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게 연구된 바 있다.
특히 최근에는 각종 생약제를 사료에 첨가하여 사료 효율 개선 및 비특이적 면역 기능 증가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이어지고 있으나(Hwang et al., 1999; Kwon et al., 1999), 아직까지는 식품안정성을 보장하면서 어류 자체의 면역능을 증강시켜 줄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형편이다.
한편, 가시오가피는 드룹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시베리안 인삼(Siberian ginseng)이라고도 불리우며, 원산지는 남동쪽 러시아, 북 중국, 북 한국, 북 일본 등의 동쪽 타이가(Taiga)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다.
상기한 가시오가피의 주요성분은 엘레우테로사이드(eleutherosides)로 7개의 주요 엘레우테로사이드가 규명되었으며 그 중 엘레우테로사이드 B와 E가 집중적으로 연구되어지고 있다. 엘레우테로사이드 B는 진정, 불면증, 건망증, 성선 자극, 혈압강하, 자율신경 조정, 당뇨병의 당대사 개선, 당뇨병의 합병증 예방, 간기능 개선 등의 작용을 하고, 엘레우테로사이드 E는 항피로, 항스트레스, 성선자극, 학습향상, 지구력, 스태미너, 집중력, 항류머티스 등의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가시오가피는 복합다당류를 함유하고 있어 이러한 성분은 면역기능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와 같은 효능을 갖는 가시오가피는 열수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이 이미 건강보조식품이나 약학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품화되고 있으나, 이러한 가시오가피의 용도는 대부분 인체용 약제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는 바, 그 사용용도가 매우 한정되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인체용으로 생산되는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양식어류의 사료에 첨가하고 양식어류의 비특이적인 면역능과 실제 항병력을 조사한 결과 뛰어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강보조식품이나 약학제로 생산되는 가시오가피의 추출물을 양식어류의 사료에 첨가하여 사용함으로서, 양식어류의 비특이적인 면역능과 실제 항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어류양식용 사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시오가피를 열수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양식어류의 사료 첨가제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이용한 어류양식용 사료를 제공함으로서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가시오가피는 7개의 주요 엘레우테로사이드(eleutherosides)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엘레우테로사이드 B는 진정, 불면증, 건망증, 성선 자극, 혈압강하, 자율신경 조정, 당뇨병의 당대사 개선, 당뇨병의 합병증 예방, 간기능 개선 등의 작용을 하고, 엘레우테로사이드 E는 항피로, 항스트레스, 성선자극, 학습향상, 지구력, 스태미너, 집중력, 항류머티스 등의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가시오가피는 복합다당류를 함유하고 있어 면역기능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앞에서 밝힌 바 있다.
이와 같은 가시오가피를 선별하여 깨끗이 세척하고 건조한 후, 10배량의 정제수와 함께 밀폐형 고압추출기에 넣고 2기압, 100 ~ 11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열수추출하여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얻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1차 추출하고 남은 가시오가피 부산물을 다시 6배량의 물과 함께 고압추출기에 넣고 상술한 방법과 동일한 조건에서 다시 재추출하여 2차 추출물을 얻게 된다.
이와 같이 가시오가피의 1차 추출물과 2차 추출물을 혼합하고 냉장보관하면서 어류양식의 사료에 첨가제로 혼합사용함으로서 양식어류의 비특이적인 면역능과 실제 항병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한 가시오가피를 열수추출시 두충, 대추, 감초, 당귀 등과 같은 한약재를 가시오가피에 대해 1 ~ 10중량% 더 첨가하게 되면 좀 더 바람직한 효과를 가져오게 되는데, 이는 상기한 한약재의 약효성분은 혈액순환개선, 해독작용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어류의 면역능과 항병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재추출된 가시오가피 추출액은 사료에 대하여 1 ~ 3중량%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가시오가피 추출액이 1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그 양이 너무 적어 본 발명이 기대하는 어류의 면역능과 항병력 향상을 얻을 수 없으며, 반대로 가시오가피 추출액을 3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게 되면 어류의 면역능과 항병력에 대한 향상은 미비하게 나타나며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는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생물학적 여과조와 포말분리기가 설치되어 있는 순환여과식 사육시설내 700ℓ사육조에 평균체중이 약 60g 되는 넙치 육성어 50마리를 각각 수용하고, 이와 더불어 동일한 700ℓ사육조에 평균체중이 약 3.2g의 넙치 치어를 각각 수용하였다.
실험군으로 중량비로 가시오가피 90%와 두충 3.5%, 대추 3.5%, 감초 1.5%, 당귀 1.5%로 구성된 혼합물을 10배량의 정제수와 함께 밀폐형 고압추출기에 넣고 2기압, 11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열수추출하여 얻어진 가시오가피 추출물과 상기와 같이 1차 추출하고 남은 가시오가피 부산물을 다시 6배량의 물과 함께 고압추출기에 넣고 상술한 방법과 동일한 조건에서 다시 재추출하여 얻어진 2차 추출물을 혼합하여 냉장보관하면서 사료공급 1시간 전에 사료에 각각 3%와 10%씩 흡착시킨 다음, 오전과 오후에 1일 2회 반복공급하면서 넙치 육성어와 치어를 8주간 실험사육하였다.
또한, 대조군으로서 실험군과 동일한 조건의 넙치 육성어와 치어에 사료공급 1시간 전에 10%의 증류수를 흡착시킨 사료를 실험군과 동일한 방법으로 8주간 실험사육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사료는 중량비로 조단백질 48%, 조지방 8%, 탄수화물 38%, 비타민 premix 3%, 미네랄 premix 3%가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의 실험군과 대조군의 넙치를 8주간 사육한 후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사료계수를 측정하여 첨부된 도 1에 나타내었다.
사료계수 = 일정기간 먹인 먹이량 / 일정기간 증가한 어체의 체중
그 결과, 하기 도 1에서와 같이 가시오가피 추출액이 흡착된 사료를 사용한 실험군 중에서 10% 첨가구의 사료계수가 1.17로 1.05의 사료계수를 나타낸 대조구에 비해 다소 높았으나, 3% 및 10% 실험구 모두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혈청 라이소자임의 활성조사-
실시예 1의 실험군과 대조군의 넙치에 대하여 Parry et al. (1995)의 turbidimetric method를 이용하여 혈청 라이소자임(lysozyme) 활성을 측정하였다. 즉, Micrococcus lysodeikticus (0.2㎎/㎖) 현탁액 950㎕와 혈청 50㎕를 혼합하여 25℃에서 30초 및 4분 30초간 반응시킨 후 53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첨부된 도 2에 나타내었다. 라이소자임 활성은 units/㎖로 나타내었으며, 1unit는 흡광도 값이 0.001 감소한 값으로 표시하였다.
그 결과, 하기 도 2와 같이 가시오가피 추출액이 흡착된 사료를 사용한 실험군의 혈청 라이소자임은 무처리된 대조군과 비교하여 첨가 사료 투여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실험군에서도 3% 첨가구는 4주와 8주 모두 유의하게 높은 증가를 보였고, 최고치는 4주째에 나타났다. 점액 lysozyme은 8주째에 3% 첨가구에서만 유의적인 증가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식세포의 활성산소 측정-
실시예 1의 실험군과 대조군에 대한 넙치의 두신을 무균적으로 분리하여 2% fetal calf serum(FCS), 1 % penicillin/streptomycin 및 0.2% heparin이 함유된 L-15 medium에서 nylon mesh를 통과시켜 세포 현탁액을 준비하고, 상기 세포 현탁액을 각각 27%, 36%, 45% 및 54% 농도의 Percoll에 중층시킨 후 450g에서 30분간 원심 분리하여 백혈구를 분리하였다. 이와 같이 분리된 백혈구는 0.1% tryphan blue로 viability를 확인한 후 2×106 cells/㎖ 농도로 조정하여 96 well tissue culture plate에 분주한 다음, 18℃에서 2시간 부착시켜 상층액을 제거한 후 3회 세척하여 식세포를 준비하였다. 또한, FCS로 옵소닌화된 zymosan을 nitroblue tetrazolium(NBT) 용액에 현탁시킨 후 식세포가 부착된 well에 100㎕씩 첨가하고 18℃에서 30분간 반응시킨 다음 100% methanol로 세포를 고정시킨 다음, 각 well에 2M KOH 용액 120㎕와 dimethyl sulphoxide(DMSO) 140㎕를 첨가한 후 63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첨부된 도 3에 나타내었다. 이 때 blank는 2M KOH와 DMSO의 혼합액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하기 도 3과 같이 가시오가피 추출액이 흡착된 사료를 사용한 실험군의 3% 첨가구에서는 시간이 소요될수록 활성산소가 증가되었으며, 특히 8주째에 매우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10% 첨가구에서는 오히려 활성이 감소하였고, 8주째에는 오히려 무처리된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감소한 결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식세포의 식균능 조사-
실시예 1의 실험군과 대조군에 대하여 넙치의 미부정맥을 헤파린 처리된 주사기로 0.25㎖를 채혈한 후, 실리콘 처리된 유리시험관에 옮기고 Escherichia coli formalin killed cell(FKC) 부유액 0.025㎖를 넣어 27℃에서 반응시킨 다음. 상기 반응 3시간 후, 반응시킨 혈액을 슬라이드 글라스에 도말하여 May-Giemsa 염색법으로 염색하였다. 식작용은 식세포 100개에 대한 식균율과 식균지수을 하기 수학식 2와 3을 통해 측정하여 첨부된 도 4에 나타내었다. 단, 식포를 형성한 식세포라도 식포 내에 세균이 관찰되지 않으면 식작용을 하지 않은 것으로 하였다.
식균율 = (세균을 식균한 식세포의 수 / 관찰한 식세포의 수 ) × 100
식균지수 = 식세포에 식균된 세균 수 / 세균을 식균한 식세포의 수
그 결과, 하기 도 4와 같이 가시오가피 추출액이 흡착된 실험군 중에서 3% 첨가구의 경우, 식균율과 식균지수 모두 대조구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고 (p < 0.05), 특히 8주째에는 최고치를 보였다. 그러나 실험군 중에서 10% 첨가구의 경우는 식세포 한 개당 식작용된 세균의 수를 의미하는 식균지수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전체 식세포 중 식작용을 일으킨 식세포 수의 비율을 의미하는 식균율에서의 변화는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혈액세포 수의 변화 조사-
실시예 1의 실험군과 대조군에 대한 넙치의 혈액세포의 수적 변화를 혈액 도말 표본법으로 조사하였다. 즉, 넙치의 미부정맥에서 채혈한 혈액을 곧바로 슬라이드 글라스에 도말하여, May-Giemsa 염색법으로 염색한 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면서 적혈구 5,000세포당 임파구, 전구, 그리고 호중구의 수를 계수하여 그 결과를 첨부된 도 5에서 나타내었다.
그 결과, 하기 도 5에서와 같이 가시오가피 추출액이 흡착된 사료를 사용한 실험군을 무처리된 대조군과 비교하여 임파구와 전구는 크게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으나, 호중구는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실험군 중에서 3% 첨가구는 4주와 8주 모두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나, 10% 첨가구는 4주째에만 유의적인 증가를 보이다가 8주째에는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고치는 8주째 3% 첨가구에서 관찰되었다.
<실험예 6>
-병원세균의 공격실험-
실시예 1의 실험군과 대조군의 넙치에 대하여 어병 세균인 Edwardsiella tarda, FSW910410과 Vibrio anguillarum으로 공격 실험을 한 후 생존율을 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세균은 어체 통과를 2회 실시한 후, TSA 배지에서 재분리된 집락을 24시간째에 수집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은 넙치 치어와 성어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실시하였고, 각 실험에 사용된 넙치의 수는 20마리씩 사용하였다. 먼저, 넙치 치어의 공격 실험은 먼저 E. tardaV. anguillarum이 4×1010/2ℓ의 농도로 현탁된 3ℓ삼각플라스크 2개에 10 마리씩 나누어 넣고, 이를 1시간 동안 방치한 후 현탁액을 깨끗한 해수로 교체하고 7일간 폐사율을 관찰하여 첨부된 도 6에 나타내었다. 또한, 넙치 성어의 공격 실험은 먼저 100ℓ 원형 FRP수조 2개에 10마리씩 나누어 넣고, 각각의 세균이 2×108/㎖로 준비된 균액을 0.1㎖씩 어체에 복강 주사하면서 7일간 폐사율을 측정하여 첨부된 도 7에 나타내었다. 이 때 공격 실험 중 사육수온은 26℃를 유지하였고, 사육수는 1일 2회 절반씩 교체하였다.
그 결과, 하기 도 6에서와 같이 넙치 치어의 Edwardsiella tarda에 대한 방어력은 가시오가피 추출액이 흡착된 사료를 사용한 실험군인 3%와 10% 첨가구 둘 다 증가율을 나타냈으며, 특히 3% 첨가구에서의 방어력이 현저히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Vibrio anguillarum에 대한 방어력에 대해서도 비슷한 결과를 보이지만, 역시 3% 첨가구의 방어력이 대조구에 비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기 도 7에서와 같이 넙치 성어의 Edwardsiella tarda에 대한 방어력은 3% 첨가구가 다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10% 첨가구에서는 대조구와 그다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Vibrio anguillarum에 대한 방어력에 대해서도 3% 첨가구의 넙치는 방어력의 증가를 보였으나, 10% 첨가구에서는 오히려 대조구보다 낮은 방어력을 보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이용한 어류사료용 사료는 건강보조식품이나 약학제로 생산되는 가시오가피를 재추출하여 양식어류의 사료에 첨제로 사용함으로서, 양식어류의 체액성 및 세포성 비특이적 면역을 자극하여 면역기능이 개선됨과 동시에 실제 병원세균의 감염실험을 실시한 결과에서 항병력이 증가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그동안 재활용하지 못한 가시오가피 추출 부산물을 이용하여 해양생물용 면역기능 개선제로 개발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수산약품 및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고 식품안정성이 확보된 상태에서 어체의 면역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수산양식산업의 경제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생산성과 상품성에서도 좋은 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대한 넙치의 사료계수를 측정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 대한 넙치의 혈청 라이소자임의 활성을 측정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대한 넙치 식세포의 활성산소를 측정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 대한 넙치의 식세포의 식균능을 측정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 대한 넙치의 혈액세포 수의 변화를 측정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대한 넙치 치어의 병원세균의 공격성을 측정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대한 넙치 성어의 병원세균의 공격실험을 측정한 도면

Claims (5)

  1. 가시오가피를 열수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양식어류의 사료 첨가제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이용한 어류양식용 사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시오가피 추출물은 선별된 가시오가피를 10배량의 정제수와 함께 밀폐형 고압추출기에 넣고 2기압, 100 ~ 11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열수추출하여 얻어진 1차 추출물과, 상기와 같이 1차 추출하고 남은 가시오가피 부산물을 다시 6배량의 물과 함께 고압추출기에 넣고 동일한 조건에서 다시 재추출하여 얻어진 2차 추출물이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이용한 어류양식용 사료.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시오가피의 열수추출시 두충, 대추, 감초, 당귀 등과 같은 한약재가 가시오가피에 대해 1 ~ 10중량%이 되도록 더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이용한 어류양식용 사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시오가피 추출액은 사료 총량에 대해 1 ~ 3중량%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이용한 어류양식용 사료.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시오가피 추출액은 더욱 바람직하게 사료 총량에 대해 3중량%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이용한 어류 양식용 사료.
KR1020040048702A 2004-06-26 2004-06-26 가시오가피 추출물이 첨가된 어류양식용 사료 Ceased KR200501230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8702A KR20050123002A (ko) 2004-06-26 2004-06-26 가시오가피 추출물이 첨가된 어류양식용 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8702A KR20050123002A (ko) 2004-06-26 2004-06-26 가시오가피 추출물이 첨가된 어류양식용 사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3002A true KR20050123002A (ko) 2005-12-29

Family

ID=37294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8702A Ceased KR20050123002A (ko) 2004-06-26 2004-06-26 가시오가피 추출물이 첨가된 어류양식용 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2300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456B1 (ko) * 2007-08-23 2008-10-02 안종만 야생식물을 이용한 사료첨가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39620B1 (ko) * 2009-05-25 2011-06-09 농업회사법인 제우 주식회사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
CN103070929A (zh) * 2013-02-01 2013-05-01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黑龙江水产研究所 一种山女鳟用免疫增强剂
CN103549149A (zh) * 2013-10-31 2014-02-05 王馨洁 淡水鱼诱食剂
KR102389270B1 (ko) * 2021-08-26 2022-04-22 주식회사 코팩스 두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민물장어 양식용 사료첨가제 및 이의 용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456B1 (ko) * 2007-08-23 2008-10-02 안종만 야생식물을 이용한 사료첨가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39620B1 (ko) * 2009-05-25 2011-06-09 농업회사법인 제우 주식회사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
CN103070929A (zh) * 2013-02-01 2013-05-01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黑龙江水产研究所 一种山女鳟用免疫增强剂
CN103549149A (zh) * 2013-10-31 2014-02-05 王馨洁 淡水鱼诱食剂
KR102389270B1 (ko) * 2021-08-26 2022-04-22 주식회사 코팩스 두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민물장어 양식용 사료첨가제 및 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bdel‐Tawwab et al. Use of green tea, Camellia sinensis L., in practical diet for growth and protection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L.), against Aeromonas hydrophila infection
RU2370532C2 (ru) Способ ферментации раститель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бактерий, экстракт ферментированного растительного материала, порошок экстракта ферментированного раститель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KR101061257B1 (ko) 봉독과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천연항생제 및 이의 제조방법
Naiel et al. The dietary administration of miswak leaf powder promotes performance, antioxidant, immune activity, and resistance against infectious diseases on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Lee et al. Effects of three medicinal herbs Bidens pilosa, Lonicera japonica, and Cyathula officinalis on growth and non-specific immune responses of cobia (Rachycentron canadum)
CN110742185A (zh) 含有甜叶菊的饲料及其用途
Semenov et al. Veterinary-sanitary evaluation of fish when applying the Akwa-Biot-Norm nutrient feed additive
EP1297837A1 (en) Remedies for allergic diseas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Bo et al. Growth performance, gut and haemo-microbial study of finishing broilers fed African sweet basil (Ocimum gratissimum) leaf extract
KR20050123002A (ko) 가시오가피 추출물이 첨가된 어류양식용 사료
RU2725801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эффективности выращивания молоди осетровых рыб
Al-Ngada et al.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green tea (Camellia sinensis) on growth, body composition and serum biochemistry of the Asian seabass, Lates calcarifer fingerlings
DE60117388T2 (de) Zusammensetzung zur Prophylaxe und Behandlung von Krebs
Shahin et al. Effect of olive leaves and propolis extracts on growth performance, immunological parameters and economic efficiency using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KR100847354B1 (ko) 잣나무잎을 이용한 동물사육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된기능성 산물
JP6049639B2 (ja) クロロフィルc含有脱顆粒抑制剤
CN106554385B (zh) 多肽类化合物及其在畜禽方面的应用
KR101316450B1 (ko) 생리활성물질을 사료첨가제로 이용한 뱀장어 양식방법
CN109170200A (zh) 一种含有薄荷提取物和杜仲提取物的生物饲料添加剂
CN105558350A (zh) 一种含有中草药复合粗多糖的饲料及其制备方法
RU2755195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эффективности выращивания молоди нельмы
Paray et al. Effect of dietary Lagnaria breviflora leaves extract on the growth performance, haematological, antioxidative and immune responses of African catfish (Clarias gariepinus) juveniles
RU2791554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эффективности выращивания рыбопосадо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осетровых
KR102726935B1 (ko) 반려동물의 장내 유익균 개선용 조성물
CN111760032B (zh) 防治鸡耐药性球虫病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0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2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10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