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9112A - 터치 스크린용 명료 텍스트 입력 방법 및 감소된 키보드시스템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용 명료 텍스트 입력 방법 및 감소된 키보드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119112A KR20050119112A KR1020057016436A KR20057016436A KR20050119112A KR 20050119112 A KR20050119112 A KR 20050119112A KR 1020057016436 A KR1020057016436 A KR 1020057016436A KR 20057016436 A KR20057016436 A KR 20057016436A KR 20050119112 A KR20050119112 A KR 200501191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racter
- input
- key
- screen
- detection area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문자를 명확하게 등록하기 위한 방법이다. 본 방법은 스크린, 센서 패드 또는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에서 개별 문자 또는 심볼의 횡단 스트로크를 검출하고, 문자 또는 심볼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는 모드 또는 보조 키이를 변경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고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의 명확한 입력을 허용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임의의 키보드 시스템 및 문자의 배열에서 센서를 갖는 스크린, 센서 패드 또는 펜 기반 입력용의 명료 텍스트 입력에 관한 것이다. 이는 또한 부가의 버튼, 소프트 키 또는 불명료 텍스트 입력 및 명료 텍스트 입력 사이에서 모드를 변환하기 위한 방법을 갖지 않고 명료 키 스트로크 방법을 보완하기 위해 예를 들어, 텐고(TenGo)(싱가폴 특허 출원 제200202021-2호)인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용으로 무단 실행되는 명료 텍스트 입력 시스템을 허용한다. 본 발명은 또한, 특히 모바일 장치, 휴대 전화, 핸드헬드, PDA, 포켓 컴퓨터, 타블렛 PC, 센서 패드 또는 임의의 펜 기반 및 가상 키보드 시스템의 터치 스크린 또는 소프트 키 텍스트 입력 응용예에 관한 것이다.
PDA, 핸드헬드 및 모바일 장치의 성장은 경이적인 짧은 시간에 이루어졌다. 당신이 가는 거의 대부분의 장소에서 모든 사람들은 정리되지 않은 모바일 장치들을 휴대한다. 이러한 새로운 시대의 출현은 온라인 텍스트 기반의 통신을 급증시켰다. 온라인 텍스트 통신은 컴퓨터 및 인터넷에 의해 시작되었고,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로 수용되고 대중성을 얻게 되었다. 이메일은 사실상 개인 및 비즈니스용의 통신을 형성하고, 컴팩트 전자 장치들은 보다 소형화되고 보다 고기능화 및 고집적화되었다. 휴대 전화, 핸드헬드, PDA 및 포켓 컴퓨터에 의해 지향된 단방향은 이메일, SMS 또는 인스턴트 메시징(IM)인 하나 또는 그 이외의 형상의 온라인 텍스트 기반 통신이다.
텍스트 입력용으로, 펜 기반 패러다임은 핸드헬드 시장에 제공되었지만, 이는 키보드 기반 테크놀로지를 이용하는 쪽과 평행한 추세이다. 펜 기반 입력은 스타일러스, 손가락 또는 스크린 상의 가상 키보드를 태핑하거나 또는 필기함으로써 남게되는 "디지털 잉크"를 해독하기 위한 필기 인식을 이용하는 스크린에 필기하기 위한 대상물을 이용한다. 펜 기반 태핑은 스크린 상에 나타나는 작은 가상 키보드 또는 디스플레이 면적을 손상시키는 큰 버튼으로 불편한 반면, 외관상으로는 "보다 자연적인" 펜 기반 필기(서명)는 느리고 높은 사용자 기대를 달성할 만큼 정확하지 않다. 그러나, 서명 입력의 최대 병목현상(bottleneck)은 사람의 서명 속도를 제한하게 한다. 속도 및 효율의 방법에서, 키보드 엔트리는 텍스트 기반 통신용으로 여전히 가장 빠르고 가장 편리하다. 따라서, 온라인 텍스트 기반 통신의 중요하고 크게 증가하는 요구에 의해, 다수의 장치 제조자들은 소형의 풀사이즈 QWERTY식 키보드를 이용하도록 강제된다. 시각적으로 호소하는 소형 키보드는 키이가 너무 소형이고 너무 근접함에 따라 우발적인 텍스트 입력이 일어나기 쉽다. 이 때문에, 예측 텍스트 입력을 이용하는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은 공간의 제한과 큰 버튼 때문에 장래성이 있는 것으로 보여지는 다른 대체안이지만, 다중 탭 또는 이중 키이 스트로크 방법과 유사한 텍스트 입력(예를 들어, 비예측성 또는 명료 텍스트 입력)의 보다 효율적인 모드로 모드 변경이 종종 요구되는 사전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없는 단어의 키이를 누를 때 문제가 발생한다. 다중 탭, 이중 키이스트로크 또는 다중 스트로크 번역의 일반적인 명료 텍스트 입력 방법의 예는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용으로 미국 특허 제6,011,554호 및 제6,307,549호에 개시된다.
펜 기반 탭 방법용의 전방 예측 엔진이 합체된 펜 기반 탭 방법 및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용의 명료 텍스트 입력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펜 기반 탭 방법의 주요한 문제는 정확하게 입력하기 너무 작아서 종종 잘못된 키이를 누를 때 실패를 생성하는 가상의 버튼을 태핑하는 것을 요구하고, 태핑할 때 상당량의 주의력과 집중력을 여전히 요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종종 읽기용으로만 이메일 및 워드 프로세싱 등의 모바일 텍스트 기반 응용제품을 이용하고 쓰기용이 아닌 것을 놀랄만한 일이 아니다. 모바일 장치의 텍스트 입력은 단문 메시지, 단문 노트 및 접촉 정보를 파일링하는 데에만 제한된 시간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문자 키이를 태핑하는 대신에 스크린 텍스트 입력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당신은 문자를 횡단하여 간단하게 스트로크할 수 있다. 명료 펜 기반 텍스트 입력용의 이러한 스트로크 또는 필기방법을 실행함으로써, 보다 적은 집중력과 주의력을 요구하고, 태핑보다 아주 약간 긴 스텝 프로세스만으로 부정확한 시작점과 빠른 조절을 허용하는 필기의 보다 관대한 유연성 때문에 보다 정확하다. 빠른 조절은 또한 필기 동안 가상 키보드의 뒤에 남겨진 디지털 잉크 궤적 때문에 보다 쉽게 만들어질 수 있다. 디지털 잉크 궤적은 정확한 문자를 필기하기 위해 빠른 임의의 조절이 되도록 사용자를 적절하게 안내하도록 사용자에게 구별되는 가시적인 피드백을 제공한다. 펜 기반 텍스트 입력용의 미려한 설계는 장치의 폼팩터의 변경을 요구하지 않고 임의의 가상 키보드 설계 또는 문자 배열 및 문자 형식(예를 들어, 중국 문자, 일문자, 중국 및 일본 스트로크 심볼 등)에서 실행될 수 있다.
필기 방법은 (예를 들어, 모드 변경 버튼의 필요없이) 불명료 텍스트 입력을 갖는 일정한 명료 텍스트 입력에 의해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에서 두 가지 기능성을 갖는다. 무단성은 동일한 키이의 입력의 두 가지 상이한 형식(예를 들어, 탭 대 필기)을 식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의해 생성된다. 감소된 키보드의 키이는 다중 문자 키이가 태핑할 때 불명료 텍스트 입력용으로 정상 기능하도록 하고, 필기할 때 명료 텍스트 입력을 수용하도록 허용한다. 이는 키이가 태핑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허용하는 보다 우수한 자유도를 간단히 제공함으로써 물리적인 키이를 이용하는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에 동일하게 적용되고, 따라서, 개별 문자용의 스트로크를 시뮬레이션한다. 이는 다중 문자 키이인 (정상 탭 메커니즘을 갖는) 다중 방향 버튼을 갖거나 또는 태핑 방향 반대로 이동될 수 있는 개별 키이들로 구성된 다중 문자 키이를 가짐으로써 실행된다.
입력 자체에 기초한 제스처 또는 스트로크는 파일 열기, 파일 닫기, 파일 실행 등과 같은 명령 작동용의 "쇼트커트"로써 컴퓨터 시스템에 이용되어왔고, 신규한 것이 아니다. 펜 기반 텍스트 입력용으로, 대문자 형상에서 기본 문자를 입력하기 더 쉽게 하기 위해 윈도 CE(Windows CE) 표준 키보드에 또한 이용된다. 이는 대문자화할 문자를 터치고 펜을 위로 활주함으로써 수행되고, 터치된 글자의 대문자 버전이 디스플레이된다. 윈도 CD 표준 키보드는 또한 펜을 좌측으로 활주시킴으로써 백스페이스를 검출하고, 펜이 오른쪽으로 활주되면 스페이스를 검출한다. 미국 특허 출원 제20030014239호에서, 활주는 또한 상이한 활주 방향을 가짐으로써 악센트 또는 다른 확장 문자들을 입력하기 위해 펜 기반 텍스트 입력에 이용되고, 활주 길이는 터치된 글자의 다양한 버전 또는 커스텀화된 출력을 결정한다. 윈도 CE 표준 키보드 및 미국 특허 출원 제20030014239호의 주요한 문제는 활주하기 전에 글자를 나타내는 작은 가상 버튼/키이를 터치하는 것을 여전히 요구한다는 것이다. 본원의 필기 방법에서, 당신은 다른 글자의 버튼 공간을 터치함으로써 활주를 사실상 시작할 수 있고, 입력하고자 하는 글자의 검출 영역을 통한 활주는 문자를 입력한다. 다른 주요한 차이점은, 본원은 태핑하지 않고 필기하는 것이 원하는 글자의 실제 선택에 이용되지만, 전술한 다른 해결책은 활주가 악센트, 대문자화, 연장된 문자 또는 글자의 실제 선택을 위한 태핑에 여전히 의지하면서 기능에 기초한 지령과 같이, 선택된 글자의 대체 형상을 선택하도록 이용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이 태핑과 일치하는 필기를 이용하는 경우만이 불명료 및 명료 텍스트 입력 사이의 무단 전환을 생성하도록 가상 다중 문자 키이에 이용된다.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용의 불명료 및 명료 텍스트 입력을 무단 구별하기 위한 활주 방법의 이용은 미국 특허 제6286064호에서 포함되지만, 활주 운동은 정확하게 각각의 키이의 각각의 심볼을 여전히 먼저 터치하는 것을 요구한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 요구된 문자는 스크린으로부터 펜의 상승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이러한 길이가 활주된 후에 활주 운동의 다른 방향을 식별함으로써 문자는 검출 영역에서의 필기 운동과 접촉하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잉크 궤적 및 빠른 검출을 위한 라인 검출 영역의 이용을 보다 개선하고, 스페이스바아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 다양성은 라인 또는 박형 바아로 수축되어, 공간을 절약하지만, 가상 키보드의 텍스트 입력을 고속화하기 위해 보다 전략적인 위치에 라인 스페이스 바아를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이들 및 다른 특징,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설명으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종사자들에 의해 보다 잘 이해될 수 있고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1은 터치 스크린 또는 스크린 입력 인터페이스에 온 스크린 키보드(종래의 QWERTY식 키보드)를 유사하게 보이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1a는 센서 패드에 온 패드 키보드(종래의 QWERTY식 키보드)를 유사하게 보이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2는 터치 스크린 또는 스크린 입력 표면에 온 스크린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예를 들어, TenGO)를 유사하게 보이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3은 온 스크린 상의 개별 문자들이 횡단 스트로크(필기)되고 이에 따른 문자 입력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도시한다.
도4는 검출 영역의 예를 도시한다.
도4a는 라인 검출 영역의 예를 도시한다.
도5는 개별 버튼으로 구성된 다중 문자 키이를 갖는 하드 키이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에 적용된 필기 방법을 도시한다.
도5a는 조이스틱형 다중 문자 키이를 갖는 하드 키이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에 적용된 필기 방법을 도시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연관된 주요 성분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작동과 연관된 주요 단계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입력 루틴과 연관된 주요 단계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태양은 스크린 텍스트 입력 시스템용 방법을 제공하고, 스크린의 가상 키보드의 키이스트로크를 나타내는 문자에 걸쳐 스트로크하기 위해 손가락 또는 대상물을 이용하여 명료하게 가상 키보드의 데이터 값 또는 데이터 심볼을 입력하기 위해, 스크린의 터치를 검출하는 단계와, 스크린의 접촉 지점으로부터 스트로크 운동을 검출하는 단계와, 그에 위치된 또는 근접하여 위치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문자를 나타내는 데이터 값 또는 데이터 심볼이 할당된 스크린의 검출 영역으로 스트로크 경로의 위치 지점을 매치시키는 단계와, 횡단 스트로크된 검출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 값 또는 데이터 심볼을 문자 입력으로써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는 문자 상에서 원 그리기, 가로지르기, 십자 그리기 및 지그재그로 그리기 등의 다른 제스처에 걸친 스트로크를 포함할 수 있고 그에 걸친 스트로크로써 동일한 기능성을 가질 수 있다. 부가로, 제스처 동안 가상 키보드의 디지털 잉크 궤적 뒤에 제스처가 남겨질 수 있다.
스크린의 검출 영역과 스트로크 경로의 위치 지점을 매칭하는 본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가장 적절하거나 또는 최초 공통 검출 영역에서 가장 적절하지 않거나 최종 공통 검출 영역까지를 갖는 매칭 순서로 수행된다.
다른 실시예는 문자를 나타내는 검출 영역이 문자 내에 있거나 또는 이를 커버하고, 문자 검출 박스는 임의의 형상과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부가로, 검출 영역은 문자를 횡단하거나 또는 인접한 검출 라인일 수 있다. 또한, 검출 라인은 키보드 상에서 가시성이다. 또한, 스페이스바아는 가상 키보드 상의 단일 라인 또는 박형 바아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이는 검출 라인으로써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예는 또한 어퍼 케이스, 발음기호 및 악센트 형식 또는 그 기능 등과 같은 상이한 케이스에서 데이터 값 또는 데이터 심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보조 키이 또는 스티키(sticky) 보조 키이(스티키의 의미는 다른 키이와 협력하여 작업하도록 키이를 눌러 보유하는 것을 유지할 필요가 없이 보조 키이를 한번 누르는 것만을 요구하는 것-예를 들어, 스티키 시프트)가 제스처와 협력하여 이용된다.
본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제스처가 끝난 다음의 임의의 문자를 무시한 제스처가 끝난 첫 번째 문자가 디스플레이되는 문자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된 문자는 제스처가 끝난 임의의 이전 문자를 무시한 제스처가 끝난 최종 문자이다. 다른 변형은 디스플레이되는 문자는 제스처가 끝난 임의의 다른 문자를 무시하는 가장 많이 제스처가 끝난 문자를 디스플레이한다. 검출 라인에서, 가장 많이 제스처가 끝난 문자는 검출 라인의 중심에 근접하게 제스처된다. 다른 변형에서, 문자들은 제스처가 끝난 순서로 제스처가 끝난 각각의 문자가 디스플레이된다.
본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 또는 센서 패드 또는 펜 기반 입력과 유사한 센서 대상물 또는 센서로 작동하는 스크린 또는 가상 스크린이다.
본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 문자는 다중 문자 키이의 문자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부가로, 실시예는 문자 또는 다중 문자 키이가 이에 걸쳐 스트로크하는 대신에 태핑되면 다중 문자 키이 입력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스크린 텍스트 입력 시스템을 제공하고, 이는, 스크린 상에 가상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루틴, 가상 키보드의 디스플레이된 문자를 나타내는 가상 키보드의 다양한 검출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 값과 데이터 심볼의 저장된 세트, 가상 키보드의 터치와 가상 키보드와 접촉하는 필기 경로를 검출하는 입력 루틴, 필기 경로와 가상 키보드의 검출 영역을 매치시키고 선택된 검출 영역을 결정하는 매칭 루틴, 선택된 검출 영역을 나타내는 데이터 값 또는 데이터 심볼을 디스플레이하는 출력 루틴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스크린 텍스트 입력 시스템용의 입력 방법을 합체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복수개의 키이를 갖고, 각각의 키이는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갖고, 상기 특성은 키보드의 키이스트로크를 나타내는 데이터 값, 함수 또는 데이터 심볼이고, 개별 데이터 값 또는 데이터 심볼로 구성됨을 나타내는 개별 키이들로 구성된 다중 문자 키이이고, 키이는 다중 문자 키이의 정상 태핑 운동의 반대 방향 운동으로 이동할 수 있고, 스트로크 텍스트 입력 방법을 이용하여 불명료 및 명료 텍스트 입력 사이에서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 명료하게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것인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용 입력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다중 문자 키이 입력용의 정상 태핑에 반대 방향으로 개별 문자 키이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개별 문자 키이를 나타내는 데이터 값 또는 데이터 심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개별 문자 키이들로 구성된 다중 문자 키이 대신에, 태핑에 이격된 다중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단일 버튼이 있고, 각각의 방향은 태핑과 반대인 개별 문자 키이로 구성되어 이동하는 스트로크 텍스트 입력 방법을 나타낸다.
다른 실시예는 보조 키이 또는 스티키 키이가 태핑에 반대인 개별 문자의 이동과 협력하여 이용되면, 어퍼 케이스, 발음 기호 및 악센트 형식 또는 그 기능과 같은 상이한 케이스에서 데이터 값 또는 데이터 심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문자를 나타내는 버튼이 스트로크 대신에 태핑되고 태핑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면 다중 문자 키이 입력에 따라 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가로, 동일한 다중 문자 키이 세트로부터 하나 이상의 개별 문자 키이가 함께 태핑되면, 단일의 다중 문자 키이 입력에 따라 수행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을 제공하고, 이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갖는 복수의 키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특성은 키보드의 키이스트로크를 나타내는 데이터 값, 함수 또는 데이터 심볼이고, 상기 키이는 다중 문자 키이의 정상 태핑 운동의 반대방향 운동으로 이동될 수 있는 개별 데이터 값 또는 데이터 심볼로 구성됨을 나타내는 개별 문자 키이들로 구성된 다중 문자 키이이고, 상기 데이터는 키이의 입력 키이스트로크 시퀀스와 연관된 데이터 문자 또는 데이터 심볼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명료하게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정상 다중 문자 키이 입력에 따라 태핑에 반대방향으로 개별 문자 키이를 이동시킴으로써 불명료 및 명료 텍스트 입력 사이에서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개별 문자 버튼으로 구성된 다중 문자 키이 대신에, 태핑에 이격된 다중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단일 버튼이고, 각각의 방향의 태핑에 반대방향으로 개별 키이를 구성하는 이동의 동등물을 나타낸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중 문자 키이는 태핑될 때 다중 문자 키이 입력에 따라 기능한다. 다중 문자 키이 입력은 미국 특허 제5,818,437호, 제5,945,928호, 제5,953,541호, 제6,011,554호, 제6,286,064호, 제6,307,549호 및 싱가폴 특허 출원 제200202021-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임의의 현존하는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걸쳐 도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제한으로써가 아닌 예로써 고려된다.
모바일 장치들이 크기가 줄어들고, 이메일 및 워드 프로세싱과 유사한 문자 입력이 요구되는 텍스트 기반의 컴퓨터 어플리케이션이 보다 많이 포함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빠르고 쉽고 직관적일 뿐만 아니라 이를 지지하거나 또는 확장된 텍스트 입력용으로 이용될 수 있는 텍스트 입력 해결책을 제공하기 위한 도전이 있다.
일반적으로, 소형 키보드와 유사한 하드웨어 기반의 텍스트 입력 방법과, 서명 인식 및 가상 키보드와 유사한 주로 펜 기반 또는 터치 스크린 방법 또는 음성 인식과 유사한 핸즈프리 방법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기반의 텍스트 입력 방법의 두 개의 주요한 유형의 해결책이 있다. 표면적으로는 타이핑의 주목할만한 대체물이고 보다 개선을 통한 음성 인식은 여전히 부정확성, 긴 훈련 및 학습 기간, 속도, 프라이버시 및 말하고 생각하는 것보다 생각하고 타이핑하는 것이 보다 자연적인 것과 같은 다른 인간적인 요소들의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다. 공간의 속박 및 제한 때문에, 작은 버튼 및 키이를 갖는 소형 키보드와 같은 하드웨어 기반 해결책은 타이핑하기 어렵고 잘못된 이웃의 키이를 눌러서 종종 에러가 발생한다. 펜 기반 해결책은 서명 인식보다 우수하지 않고, 여전히 많이 부정확하고, 느리고, 인식 소프트웨어를 훈련시키기 위한 긴 학습 연습이 필요하다. 가상 키보드와 유사한 다른 펜 기반 해결책은 하드웨어 대응물로써 동일한 함정에 직면하는데, 이는 가상 키보드 상에 할당된 작은 영역이 또한 타이핑하는데 많은 집중력과 주의력을 요구하는 작은 버튼을 갖고, 오타가 종종 발생한다는 것이다. 명확하게, 모든 해결책들은 지속적이거나 또는 보다 집약적인 텍스트 입력을 위한 적절한 텍스트 입력 플랫폼을 제공하는데 불가능하다.
본 발명자는 보다 이해하기 쉬운 모바일 문자 입력 해결책을 생성하는데 두 개의 주요한 방향이 있음을 인식하였다. 하나는 작은 가상 키보드 버튼을 태핑하는 것보다 효율적인 것이고, 다른 하나는 요구되는 키보드의 수를 줄여서 큰 키보드 버튼을 가능하게 하는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이다.
가상 키보드의 작은 버튼을 타이핑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약간 느리지만 너무 많은 주의력과 집중력을 요구하는 태핑보다는 보다 관용적인 방법을 요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스처 또는 스트로크 입력 텍스트 입력 방법이다. 제스처 또는 스트로크 입력 텍스트 입력 방법은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하고, 온 스크린 키보드로부터 문자를 선택하는 오류에 관대한 방법이 되도록 태핑보다는 느린 단계 프로세스(제스처)를 이용한다. 본 방법은 영어, 불어 및 독어 키보드와 유사한 QWERTY식 키보드와, 또한 피탈리(Fitaly)[등록 상표 텍스트웨어 솔루션스 인크.(Textware Solutions Inc.)-미국 특허 제5,487,616호], 옵티(Opti) I, 옵티 II, 메트로폴리스(Metropolis) 키보드 및 중국어, 일본어 키보드 등과 같은 비-QWERTY식 키보드를 포함하는 모든 방식에 활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아이디어 및 목적은 작은 온 스크린 또는 온 패드 키이를 태핑할 때 보다 많은 주의력과 집중력을 요구하지 않고, 보다 정확하고, 보다 오류에 대해 관대하고, 따라서, 전체적으로 빠른 입력 방법을 갖는 것이다. 이는 또한 활공하는 그의 텍스트 입력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자용 가상 피드백으로써 제공되는 가상 키보드의 디지털 잉크 궤적을 방치한 본 발명으로 개선된다. 이는 보다 오류에 대해 관대하도록 집중력있게 태핑하는 것을 방해하는 작용을 주기적으로 번역하여, 즐길수 있는 스트로크 제스처가 스크린 기반 텍스트 입력 또는 펜 기반 텍스트 입력용으로 이용되도록 보다 흥미를 유발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응용예는 모바일 장치, PDA, 핸드헬드, 포켓 PC, 휴대 전화, 타블렛 PC 또는 가상 키보드 또는 스크린 기반 또는 펜 기반 입력을 이용하는 임의의 장치와 같은 소형, 중형 장치일 것이다. 도1은 핸드헬드 장치(10)에 유사하게 보이는 가상 키보드(12)의 온 스크린 실행 방법을 도시한다. 도1a는 타이핑 표면 패드(54)에 유사하게 보이는 가상 키보드(56)의 온 패드 실행 방법을 도시한다. 표면 패드(54)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프로세서(52) 및 디스플레이(50)에 링크되고, 텍스트 입력이 동일한 컴퓨터 프로세서에 링크된 개별 스크린(50)에 나타내어진다.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들과 본원에서 설명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실행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공지된 컴퓨터 구조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능성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드에서 실행 가능하다. 소프트웨어의 의미에서, 시스템 구성요소들은 프로세스, 프로그램 또는 일반적으로 특정 기능 또는 연관된 기능을 수행하는 그의 일부일 수 있다. 하드웨어의 의미에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와 함께 이용하도록 설계된 기능성 하드웨어 유닛이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는 개별 전기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실행될 수 있거나 또는 주문형 반도체(ASIC)와 같은 전체 전자 회로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들은 존재하는 다양한 다른 가능성이 있고, 해당 기술 분야의 종사자들은 시스템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써 또한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 및 컴퓨팅 장치들은 실시예가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아키텍쳐의 예이다. 이러한 컴퓨터 아키텍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갖는 중앙 처리 유닛(CPU), 각각 임시 및 영구적으로 정보를 저장하는 랜덤 어세스 메모리(RAM), 리드 온리 메모리(ROM), 하드 드라이브, 메모리 스틱, 디스켓 또는 CD ROM과 같은 대용량 저장 장치 등과 같은 구성요소 및/또는 모듈을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아키텍쳐는 또한 구성요소들 사이를 상호연결하고, 구성요소들 사이의 정보 및 통신을 제어하는 버스를 포함한다. 부가로, 사용자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들이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등이 사용자 입력용으로, 그리고 디스플레이, 프린터, 스피커 등이 출력용으로 일반적으로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입력/출력 인터페이스 각각은 제어기에 의해 버스에 접속되고 제어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한다. 물론, 임의의 수의 입력/출력 장치들이 이러한 시스템에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컴퓨터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CPU에 상주하는 운영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되고 취급된다. 이들은 통상적으로 활용되고 공지된 다수의 운영 시스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러한 컴퓨터 아키텍쳐내에서 그리고/또는 아키텍쳐에서 실행될 수 있다.
스트로크 입력 텍스트 입력 방법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 이들의 하이브리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소프트키이(즉, 터치 패드 상의 가상 키보드)에 의해 순수하게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되면, 스트로크 입력 텍스트 입력 방법이 통상적으로 실행되는 장치는 운영 시스템, BIOS(기본 입출력 시스템), 디스플레이 및 입력 메커니즘(즉, 터치 스크린 및 스타일러스)를 포함한다. 그 다음에, 스트로크 입력 텍스트 입력 방법용 소프트웨어는 운영 시스템에 의해 지원되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이러한 방법을 커버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검출 영역을 갖는 데이터 값 및 데이터 심볼의 할당을 커버하는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스트로크 입력 텍스트 입력 방법이 예를 들어 하드키이 악세서리로써 하드웨어에서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으로 실행되면, 하드웨어는 프로세서, ROM/RAM과 같은 메모리 모듈, 버튼, 키이 등과 같은 입력 메커니즘 및 모바일 장치, PDA, 핸드헬드 컴퓨터, 휴대 전화, 콘솔 장치 등과 같은 장치로의 인터페이스 소켓을 포함한다. 다양한 조합들이 가능하다.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는 메모리 모듈 및 메모리의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디스플레이와 인터페이스 소켓으로 정보를 중계하는 포괄적인 마이크로프로세서인 프로세서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또한 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인 프로세서와 메모리 모듈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 매핑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주요 중앙 유닛이다. 입력 메커니즘의 입력에서, 신호는 프로세서로 보내어진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저장되면 신호를 처리하거나 또는 메모리를 쿼리하고, 입출력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대해 메모리의 정보를 처리한다.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의 하드웨어 해결책의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로, 그리고/또는 예를 들어, PDA, 하드웨어 액세서리 등인 장치로의 인터페이스 소켓을 통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해결책에서, 예를 들어, PDA 등의 실행되는 장치의 메모리는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드라이버를 통해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도록 이용될 수 있고, 전술한 첫 번째 경우와 유사하게 프로그램을 처리하기 위해 장치의 프로세서를 이용한다. 하드웨어는 버튼, 키이, 센서 및 인터페이스와 같은 입력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메커니즘이 예를 들어 부가의 버튼으로 장치상에 설치되면, 인터페이스는 장치와 접속되고 통신하는 간단한 유선 또는 무선 수단일 수 있다. 입력 메커니즘이 액세서리와 같은 외부 장치상에 있으면, 인터페이스는 전술한 두 번째 경우와 유사한 인터페이스 소켓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는 액세서리를 갖는 이전의 경우와 유사하게 하드웨어 해결책 상에 이식될 수 있고 또는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할 수 있다.
물론, 하드웨어의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회로, 프로세서, 메모리 등을 수납하기 위해 회로 보드와 유사한 와이어에 의해 접속될 수 있고, 하우징은 버튼, 디스플레이 및 회로 보드와 같은 전체 하드웨어 부품을 장착한다.
필기 또는 스트로크 교차
태핑은 순간적인 단계 프로세스이기 때문에, 이는 또한 많은 주의력과 집중력을 요구하고 여전히 많은 실수가 생기고 많은 에러 교정을 할 필요가 있는 작은 가상 버튼의 소문자 또는 문자들을 선택하도록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 보다 지루하고 불편하게 되게 한다.
요구되는 것은 직관적이고 쉽고 사용하기 빠를 뿐 아니라 집중력의 요구가 줄어든 약간 긴 프로세스 단계이다. "슬로우 다운" 프로세스 단계는 그를 태핑하는 대신에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해 요구되는 문자에 제스처의 형태로 된다.
많은 제스처가 원 그리기, 가로지르기, 십자형 또는 지그재그 그리기 등의 프로세스 단계를 지연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지만, 이들은 문자의 횡단 스트로크 또는 필기인 일 바람직한 제스처이다. 필기는 태핑과 달리 당신이 필기하는 것에 너무 주의력을 요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연이 충분히 제공되는 다른 제스처보다 일반적으로 빠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임의의 터치 스크린 입력 또는 센서 펜 또는 센서 입력을 갖는 스크린 또는 센서 펜과 센서 검출기를 갖는 가상 키보드 또는 센서 패드용으로 작용한다. 기본적으로, 문자를 필기할 수 있는 모든 방식들은 숫자, 알파벳 또는 구두점으로 필기될 수 있다.
필기 제스처는 또한 필기 운동 동안 가상 키보드에 반사된 디지털 잉크 궤적을 이용하는 것을 보다 개선시킨다. 이는 실시간 가시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활공 중에" 조절하기 쉽도록 하고, 사용자가 그가 필기한 것을 사실상 볼 수 있다.
도3은 핸드헬드 장치(150)용의 가상 키보드(156)의 문자를 선택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필기 방법의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158) 또는 키보드(156)의 문자 "y"(160)에 필기하기 위한 대상물을 이용한다. 이는 텍스트 커서가 디스플레이(152)에 존재하는 문자를 입력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필기는 이웃 문자 "g"(161)에서 시작될 수 있어서, 사용자를 위해 보다 유연성과 오류 관용성을 생성시킬 수 있다.
온 스크린 키보드 등의 거리 분리를 시뮬레이션하도록 약간 이격되어 위치된 두 개의 작은 장방형을 갖는 필기의 유효성을 도시하기 위한 예1은 아래와 같다.
두 개의 장방형 사이에서 탭을 신속하게 교호하는 것과 신속하게 두 개의 박스를 가로질러 스트로크하는 것 사이를 비교할 때, 더욱 많은 히트 수(장방형 터치)/분을 가질 것이고, 실수가 줄어들고, 장방형을 필기하기 위해 보다 적은 노력(주의력)을 요구한다.
검출 영역
본 발명의 주요 메커니즘은 보다 효율적인 필기를 만들고, 주의력을 요구하지 않고 달성하고, 작은 버튼의 탭이 검출 영역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전의 제스처 방법은 모두 문자가 디스플레이되는 키이와 초기에 접촉하는 것을 요구하는 미국 특허 제6,286,064호 및 미국 특허 출원 제2003-0014239호와 유사하다.
문자용 검출 영역은 문자를 커버하거나 또는 문자보다 작고 그 내에 유지되는 검출 박스(임의의 형상 또는 크기)일 것이다. 검출 영역의 이용에서, 사용자는 다른 문자의 버튼 공간을 터치하고, 요구되는 문자의 검출 영역을 통해 활주함으로써 필기를 시작할 수 있다. 도4는 검출 영역(202, 210, 214)이 문자(204, 208, 216)와 여유 공간(205, 209, 215)에 할당되고, 이는 보다 오류에 관용적인 문자의 선택을 하기 위해 검출 영역과 각각의 정상 버튼 공간(200, 206, 212) 사이에 생성된다. 검출 영역은 검출 영역들 사이의 증가된 공간 때문에 필기 운동의 시작점에서 보다 오류 관용성이 커지게 하고[즉, 임의의 입력의 시작 없이 임의의 자유 공간(205, 209, 215)에 필기를 시작], 너무 작은 검출 영역은 문자 상에 필기하는 것을 검출하기 어렵게 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검출 영역은 임의의 문자 또는 심볼[즉, 중국어 문자(216)]과 동일하게 작용한다.
또한 종래 기술인 미국 특허 출원 제2003-0014239호에서, 활주 방법이 악센트, 대문자, 확장 문자 또는 기능 기반의 지령과 같은 문자의 교호식 형태를 선택하는데 이용되고, 본 발명에서 글자의 실제 선택용 태핑에 여전히 의존하고, 필기는 명료 가상 키보드 입력에서 문자를 선택하는 태핑의 개선이다.
검출 영역 메커니즘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후술하는 바와 같이 라인 검출 영역과 함께 이용될 때 보다 크게 개선된다.
라인 검출 영역
도4a는 정상 버튼 공간(240, 248)이 할당된 문자(244, 250) 상에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보다 오류에 대한 관용성이 있게(라인 검출 영역들 사이에 보다 큰 공간) 문자들을 선택되도록 라인 검출 영역들 사이에 더 많은 공간을 생성하지만, 필기를 통해 문자를 선택하는 어려움을 감소시키는 것을 불충분하다. 다시, 라인 검출 영역은 임의의 문자 또는 심볼[예를 들어, 중국 문자(250)]용으로 동일하게 잘 작동할 수 있다.
온 스크린 키보드 등의 거리 분리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약간 이격되어 위치되는 (박스 검출 영역으로 나타내어지는) 2개의 작은 장방형을 갖는, 라인 검출 영역의 유효성을 도시하기 위한 예2는 이하와 같다.
다음에 온 스크린 키보드 등의 거리 분리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약간 이격된 (라인 검출 영역을 나타내기 위한) 2개의 라인이 이하에 그려진다.
2개의 장방형 사이에서 필기를 신속하게 교호하는 것과 2개의 라인을 신속하게 횡단 스트로크하는 것을 비교할 때, 라인을 횡단하여 필기하는 것보다 더 쉽고 다른 영역을 우선 필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의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필기하는 것보다는 적은 주의력이 요구되는 것으로 보인다.
서로 근접한 모든 문자들을 갖는 전체 가상 키보드의 결과를 외삽법을 행하면, 라인 검출 영역의 유효성을 알게 될 것이다. 검출 라인은 필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상 키보드상에서 보여질 수 있다.
라인 검출 영역으로, 단일 라인 또는 얇은 바아 내로 스페이스바아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공간과 결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기능의 선택은 정상 라인 검출 영역에 따라 라인 또는 얇은 바아를 횡단하여 필기하도록 간단하게 될 수 있다. 라인 또는 얇은 바아로써, 텍스트 입력 효율을 최대화하고 소비되는 공간을 최소화하도록 영역 또는 공간의 기능을 실행/위치선정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라인 스페이스바아가 실행되는 방법의 예는 도2의 수직 라인(110)에 의해 도시된다.
검출 영역의 유연성 및 능력은 선택 규칙을 이용하여 또한 실행된다.
선택 규칙
검출 영역, 특히 검출 라인 영역에 의해, 작은 버튼과 관련된 주의력, 집중력 및 방해물이 필요없이 작은 가상 버튼을 갖는 문자를 필기하는 것이 매우 쉽다. 임의의 위치에서 필기의 시작 지점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필기된 문자들이 선택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선택 규칙은 요구되지 않는다.
기본적으로 문자들이 선택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4개의 규칙이 있다.
1. 필기되는 최초 검출 영역이 선택된 문자
2. 필기되는 최후 검출 영역이 선택된 문자
3. 가장 많이 필기된 검출 영역이 선택된 문자-라인 검출 영역에서 중앙에 가장 근접하여 필기된 검출 라인을 의미한다. 박스형 검출 영역에서, 이는 절반에 가장 근접한 컷인 검출 영역 또는 가장 많이 제스처된(예를 들어, 원 그리기, 십자 그리기, 지그재그 등의 제스처) 검출 영역이 될 수 있다.
4. 필기된 모든 검출 영역은 필기된 순서로 선택된 문자들이다.
규칙 2 및 규칙 3에서, 터치 접촉이 끝난 후(예를 들어, 펜이 스크린에서 떨어진 후) 또는 표면과의 접촉 이후의 고정된 시간 인터벌 이후에만 선택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규칙 1 및 규칙 4는 가장 우수한 유연성을 제공하도록 터치 접촉이 끝나는 것을 요구하지 않고, 가장 우수한 반응 시간 및 속도를 제공한다. 규칙 1은 보다 자연스럽고 원하는 문자가 선택된 후에 필기하는 곳에 주의력과 집중력을 요구할 필요가 없도록 보다 "캐주얼"한 필기를 허용함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달리 말하면, 속도 또는 유효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본 발명의 용이함, 자연스러움 및 재미 부분을 보강하여 필기를 보다 "흐릿하게(lacklustre)"할 수 있다. 규칙 1을 이용하여, 필기 방법을 이용하는 명료 텍스트 입력은 원하는 검출 라인을 횡단하여 필기한 후에 처음 터치 및 운동이 진행하는 것에 대해서 걱정할 필요 없이 매우 빠르고 쉬울 수 있다. 문자의 선택은 저음 검출 라인을 횡단하는 것과 동시에 일어난다. 이는 선택이 결정될 수 있기 전에 스크린으로부터 펜을 들어올리는 것을 요구하거나 또는 문자 선택이 결정될 수 있기 전에 소정의 라인 및/또는 방향으로 활주시키는 것을 요구하는 종래 기술과는 다르다.
특정 문자 또는 기능의 입력
어퍼 케이스, 대문자, 발음기호, 악센트, 연장된 문자 또는 기능 호출 등의 상이한 케이스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보조 키이가 필기와 협력하여 이용된다. 보조 키이를 선택하고 필기하여 문자를 선택함으로써, 특정 문자들이 디스플레이되거나 또는 기능이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보조 키이가 필기와 동시에 눌려지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 스티키 보조 키이를 실행하도록 될 수 있다. 보조 키이는 필기 전에 한번 눌러주는 것만을 요구하고(플래그가 활성화됨), 요구되는 문자를 입력함으로써 추종된다.
특정 문자 또는 기능들은 각각의 검출 영역과 연관된 문자, 데이터 값 및 데이터 심볼로써 데이터베이스에 한정된다.
스크린 텍스트 입력 시스템
제스처 또는 스트로크 입력 텍스트 입력 방법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장치 드라이버로써 펜 기반 시스템 및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텍스트 입력 시스템용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연관된 주요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스크린 텍스트 입력 시스템(300)은 입력하도록 적절한 위치에서 검출 영역(302)을 갖는 가상 키보드 디스플레이(306)와, 가상 키보드에 디스플레이된 문자 및 임의의 특정 문자 또는 보조 키이 및 검출 영역의 시퀀스와 연관된 기능을 나타내는 다양한 검출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 값 및 데이터 심볼의 세트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308)와, 출력 루틴(306)뿐만 아니라 입력 루틴(302), 매칭 루틴(304)을 갖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300) 또는 장치 드라이버(300)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는 주로 메모리(310)에 상주하고, (예를 들어, 이메일, 워드 프로세서, 스프레드 시트) 모든 어플리케이션(314), 소프트웨어 프로그램(300) 또는 장치 드라이버(300) 및 메모리는 윈도 CE 또는 팜(Palm) OS와 같은 운영 시스템(312)의 제어 하에서 기능할 수 있다.
도7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작동과 연관된 주요 단계를 도시한다. 도6에서 도면부호 30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루틴은 필기 운동(352)에 의해 추종되는 터치 온 스크린(350)을 검출한다. 이때, 도6에서 도면부호 304로 도시된 바와 같은 매칭 루틴은 필기 경로를 모니터할 수 있고, 임의의 검출 영역(354)과 매치되도록 한다. 검출 영역이 터치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검출 규칙의 규칙 1을 이용하여) 횡단하게 되면, 매칭 루틴은 데이터 값, 데이터 심볼, 특정 문자 또는 눌려진 임의의 보조 키이(360)와의 조합으로 필기된 검출 영역에 매칭되는 기능을 검색하고, 도6의 도면부호 30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루틴으로 정보를 통과시킨다. 출력 루틴은 커서 또는 입력 포인트가 현재 위치되는 장치(356)의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터치(350)에 추종하여 도면부호 352에서 필기 운동이 검출되지 않으면, 터치는 키보드의 정상 터치 입력에 따라 작동하고, 또는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358)의 다중 문자 버튼에 터치되면, 정상 다중 문자에 따라 작동한다.
도8은 입력 루틴이 필기 운동을 분석하고 검출 영역(즉, 라인 검출 영역)과 매치되도록 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첫 번째 터치가 가상 키보드(400) 상에 검출되면, 접촉 좌표는 X1 및 Y1(402)로써 검색한다. 필기 운동이 궤적을 그리고 검출된 각각의 좌표가 Xn 및 Yn(406)으로써 운영 시스템에 의해 일반적으로 결정된 개별 시간 인터벌(1 내지 n)로 검색된다(404). 라인 방정식은 필기가 Xn-1 및 Yn-1로부터 Xn 및 Yn(408)까지 진행됨에 따라 계산되고, 이들 라인 방정식은 임의의 라인 영역이 필기되면(예를 들어, 2개의 라인 방정식들 사이에서 차단됨) 라인 검출 영역의 방정식으로 필기 프로세스(410)동안 매칭된다.
보조 키이 더하기 검출 영역 콤보뿐만 아니라 다양한 검출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 값 및 데이터 심볼의 세트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는 이하와 같이 보여진다.
검출 영역 | 문자 |
X1Y1, X2Y2 | q |
X3Y3, X4Y4 | w |
X5Y5, X6Y6 | e |
X7Y7, X8Y8 | r |
X9Y9, X10Y10 | t |
... | ... |
X1Y1, X2Y2은 검출 장방향 박스의 대향 좌표들의 좌표(수평축으로 Xx가 좌표이고 Yy는 수직축의 좌표임)를 도시한다. 장방형 외에 다른 형상이 이용되는 경우(예를 들어, 삼각형), 보다 많은 좌표들이 이용될 수 있고, 또는 원의 경우에 중심 지점과 반경이 이용될 수 있다. 검출 라인 영역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X1Y1, X2Y2는 수직 라인용의 X1Y1, X1Y2이고 수평 라인용으로 X1Y1, X2Y1이다.
보조 키이 더하기 검출 영역의 콤보용으로, 데이터베이스는 이하와 같다.
보조 키이, 검출 영역 | 문자 |
시프트, X1Y1, X2Y2 | Q (대문자/어퍼 케이스) |
시프트, X3Y3, X4Y4 | W |
시프트, X5Y5, X6Y6 | E |
보조1, X5Y5, X6Y6 | |
보조2, X5Y5, X6Y6 | |
보조3, X5Y5, X6Y6 | ё |
... | ... |
따라서, 전술한 데이터베이스 예에서, 시프트(스티키 시프트)를 누르고 검출 영역(X5Y5, X6Y6)을 필기하는 것은 어퍼 케이스에서 문자 "e"을 문자 "E"로 선택하고 디스플레이하고, 보조 키이 1(스티키 보조 키이)을 누르고 검출 영역(X5Y5, X6Y6)을 필기하면 문자 ""를 선택하고 디스플레이한다.
보다 효율적으로 루틴을 매칭하기 위해, 검출 영역들은 가장 공통적으로 필기된 문자로부터 가장 공통적으로 필기되지 않은 문자까지의 순서로 저장된다. 이러한 리스트에 이용된 가장 공통적인 글자는 임의의 바람직한 또는 참조된 통계치에서 쉽게 얻어질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를 셋업하기 위해 리스트에 이용된 단순한 공통 글자를 이용함으로써, 이는 매칭 루틴이 가장 자주 이용되는 처음 진행된 (가장 공통된) 검출 영역부터 두 번째로 자주 이용되는 것으로 필기 좌표/방정식을 항상 매칭할 수 있도록 한다.
(QWERTY 키보드 배열에서 이용될 때) 가장 공통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부터 가장 공통적으로 이용되지 않는 순서로 배열된 영어의 문자의 예는 다음과 같다.
E, T, A, O, I, N, S, H, R, D, L, C, U, M, W, F, G, Y, P, B, V, K, J, X, Q, Z
따라서, 다양한 검출 영역에 할당되는 데이터 값과 데이터 심볼의 세트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는 다음과 같다.
검출 영역 | 문자 |
X1Y1, X2Y2 | e(가장 자주 이용됨) |
X3Y3, X4Y4 | t |
X5Y5, X6Y6 | a |
... | ... |
X26Y26, X26Y26 | z(가장 적게 이용됨) |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
스트로크 입력 텍스트 입력 방법은 예를 들어, TenGO(싱가폴 특허 출원 제200202021-2호)인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용 명료 텍스트 입력용으로 특히 유용하다. 이는 정상 불명료 텍스트 입력으로부터 모드를 절환할 필요 없이, 그리고 부가의 버튼의 필요 없이 명료 텍스트 입력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는 또한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용의 미국 특허 제6,011,554호 및 제6,307,549호에서 개시된 다중 탭 및 2 단계 방법과 유사한 교호식 다중 단계 방법을 요구하지 않는 직접 명료 텍스트 입력 방법이다.
주요한 요인은 스트로크 입력 텍스트 입력 시스템이 필기와 탭 사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명료 텍스트 입력(필기)과 불명료 텍스트 입력(탭)이 동시에 구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용의 불명료 및 명료 텍스트 입력 사이에서 이를 무단 구별하기 위한 활주 방법의 이용은 미국 특허 제6,286,064호에 이미 개시되어 있지만, 활주 운동은 미리 각각의 키이의 각각의 심볼을 먼저 터치할 필요가 있다. 본원의 개선된 스트로크 입력 텍스트 입력 시스템에서는 그럴 필요가 없다. 사실상, 임의의 개별 가상 키이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중 문자 키이(106)를 구성하는 개별 문자들을 나타낼 필요가 없다. 도2는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이 핸드헬드 장치(100)에 실행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다중 문자 버튼(106)으로 이루어진 가상 키보드(104) 및 데이터베이스(108)로 구성된다. 문자들은 다중 문자 키이 상에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되고 다중 문자 키이를 태핑하여 명료 알고리즘으로 결정될 수 있는 불명료 텍스트 입력을 시작할 수 있고, 개별 문자들(예를 들어, 검출 영역)을 필기하는 것은 명료 텍스트 입력을 시작하고 (예를 들어, 선택 규칙의 규칙 1을 이용하여) 필기된 처음 검출 영역을 나타내는 문자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는 펜 기반 장치에서 가상의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 명료 및 불명료 텍스트 입력 사이를 절환할 때 보다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동일한 방법은 정상 태핑 또는 키이의 가압에 반대방향으로 "필기" 운동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물리적인 다중 문자 키이를 간단히 이용함으로써 물리적인 키이를 이용하는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물리적인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용의 스트로크 입력 텍스트 입력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두 개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있다.
정상적으로,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은 싱가폴 특허 출원 제200202021-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정상 키보드와 유사하게 실행되는 큰 버튼을 갖지만 (텍스트 입력을 개선하기 위해 공간을 압축하고 큰 버튼을 활용하도록) 동일한 다중 문자 키이를 할당하는 개별 문자를 갖는 것 또는 미국 특허 제5,818,437호, 제5,945,928호, 제5,953,541호, 제6,011,554호, 제6,286,064호, 제6,307,549호 및 싱가폴 특허 출원 제200202021-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정상 키보드와 유사하지 않는 작은 버튼을 갖지만 키보드에 의해 활용되는 공간을 최소화하는 두 가지 방식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큰 버튼의 장치에서, 필기 방법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태핑 운동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다중 문자 키이(270)의 문자(264)를 구성하도록 나타내어지는 개별 키이들로 구성된 물리적인 다중 문자 키이의 형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도5는 이러한 방법/메커니즘(268)을 이용하는 키보드가 핸드헬드 장치(260)에서 실행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태핑 또는 눌려질 때, 개별 버튼(264)들은 하나(270)로써 함께 이동되고, 정상 다중 문자 키이 입력에 따라 입력된다. 그러나, 개별 키이는 태핑 운동에 반대 방향(즉,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러한 운동은 "필기" 운동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고, 명료 텍스트 입력으로써 입력되고, 개별 키이들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개별 문자를 디스플레이한다. 도5에서, 개별 키이"O"(264)는 상향으로 이동되고, 따라서, 디스플레이(266)에 현재 상주하는 텍스트 커서가 곳에 문자"o"이 입력된다. 물론, "상향" 운동이 명료 텍스트 입력용으로 이용되면, "하향" 운동은 특정 문자 또는 그 기능을 입력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작은 키이들을 이용한 또는 키보드용의 작은 면적(예를 들어, 작은 폼 팩터)만을 갖는 물리적으로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에서, 필기 방법은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태핑 운동에 부가하여, 다중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버튼[예를 들어, 조이스틱형 버튼(288)]인 물리적인 다중 문자 키이의 형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도5a는 조이스틱형 버튼(288)을 이용하는 키보드(288)가 핸드헬드 장치(280)에서 실행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다. 따라서, 개별 문자를 명료하게 입력하기 위해, 각각의 방향은 다중 문자 키이(288)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문자들(예를 들어, "Q", "W", "E", "R", "T")의 세트에서 각각의 개별 문자를 나타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중 문자 키이가 (보조 키이 또는 메뉴/선택 리스트를 이용하지 않고) 기본 세트의 5개의 문자들 이상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쪽으로 5개의 방향인 다중 방향일 것이다. 도5a에서, 다중 문자 키이(288)는 우측으로 이동되고, 따라서, 디스플레이(282)에 텍스트 커서가 현재 존재하는 위치에 문자"t"를 입력한다. 물론, 보다 적은 방향이 5개의 문자들보다 적은 다중 문자 키이용으로 이용될 수 있거나 또는 보다 많은 방향(예를 들어, 후방 반원 방향, 당김, 시계 및 반시계 방향 꼬임 등)이 대문자, 악센트, 확장 또는 발음기호 문자 또는 기능과 같은 비문자 기반 세트를 수용하기 위해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방향으로 버튼을 이동시키면 데이터 값 또는 데이터 심볼이나 심지어 버튼과 연계된 기능 및 이동 방향을 명료히 선택/디스플레이한다. 이는 물리적으로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을 위하여, 명료한 텍스트 입력(방향적 입력) 및 불명료한 텍스트 입력(태핑)을 무단 통합시킨다.
물론,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을 위한 명료한 텍스트 입력은 새로운 단어를 라이브러리에 저장하는 것 같은 기능을 위한 통상의 명료한 텍스트 입력에 따라서 동작한다.
제스처 또는 스트로크 입력 텍스트 입력 방법 및 실행을 고려한 소정 설계 요소는 핸드헬드, PDA, 이동 전화, 포켓 PC 및 태블릿 PC 같은 소형 모바일 장치를 위한 스크린상의 소형 소프트-키이를 두드릴 때의 실수(frustration)이다. 신속한 적용 및 낮은 티밍 곡선(low teaming curve)과, 디스플레이 스크린 크기를 훼손(즉, 보다 큰 버튼)시키지 않고,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그리고, 영어, 불어 및 독어 키보드 같은 QWERTY-형 키보드와, 또한, Fitaly(TextwareTM Solutions Inc.-미국 특허 제5,487,616호), 옵티 I, 옵티 II, 메트로폴리스 키보드 및 심지어 중국어 키보드, 일본어 키보드 등 같은 비 QWERTY-형 키보드를 포함하는, 모든 방식의 키보드와 호환적인, 보다 양호하고 보다 효율적인 방식이 필요하다. 개발된 방법은 불명료 및 명료 텍스트 입력 사이의 모드 변경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고, 다중-문자 키이를 사용하는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상에서 실행되어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을 위한 명료 텍스트 입력의 무단 실행(가상 키이 또는 물리적 키이 중 어느 하나를 사용)을 제공할 수도 있다.
작은 버튼 또는 문자상의 태핑이 문제가 되기 때문에, 활공(fly)의 조절을 허용하지만, 보다 적은 에러 빈도수 및 보다 적은 사용자 실수로 인해, 전체적 텍스트 입력을 가속시키며, 주의력 및 집중력에 대한 보다 적은 필요성 때문에 사용자의 숙련도를 높이도록(정확도 내성적이며, 조절을 허용하기 때문에) 태핑 보다 미소하게 긴 시간을 소요하면서 보다 유연한 시작점을 가지는 처리 단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제스처 또는 스트로크 기반 텍스트 입력이 개발되었다. 제스처의 양호한 실시예는 횡단 스트로크 또는 필기이지만, 보다 느리기는 하지만, 모든 다른 제스처형 원그리기, 교차, 십자형 교차 또는 지그재그운동 등이 적용가능하다. 따라서, 필기에서, 스크린상의 키보드의 임의의 문자를 횡단 스트로크를 하는 것만이 스타일러스, 손가락 또는 대상물로 행하여야 하는 전부이며, 문자가 입력된다. 필기는 시작점을 문자 자체 상에 위치시켜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사실, 시작점은 다른 버튼일 수 있으며, 입력을 원하는 문자를 통한 필기의 운동일 수 있다. 이는 임의의 터치 스크린 입력 또는 센서 펜이나 센서 입력을 갖는 스크린이나 심지어 센서 펜이나 센서 검출기를 갖는 가상 키보드 또는 센서 패드에 대해 작용한다. 기본적으로, 모든 방식의 문자가 필기될 수 있으며, 이는 숫자, 알파벳, 심볼, 구두점 등이 될 수 있다.
그 필기 동작시 사용자를 안내하면서 시각적 피드백으로서 기능하도록 필기 동안 가상 키보드상에 디지털 잉크 궤적이 도시되게 하도록 필기의 강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효과적인 필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문자를 검출 영역에 형성하는 대신, 문자를 덮거나, 문자 보다 작아 문자 내에 유지되는 검출 박스(임의의 형상 또는 크기)가 사용될 수 있다. 검출 영역의 양호한 실시예는 문자를 횡단하는 라인(사용자에게 가시적이거나 비가시적일 수 있음)이다. 사용자가 수행하여야하는 전부는 라인을 횡단하여 필기하는 것이며, 문자는 횡단하여 스트로크된 것으로 간주된다. 이는 초-신속 필기 동작을 가능하게 하며, 심지어 텍스트 입력에 즐거움의 요소를 추가한다. 라인 검출의 부가적인 용도는 단일 라인 또는 얇은 바아로 스페이스바아 같은 기능을 소비하는 공간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기능의 선택은 단순히 기능을 나타내는 라인을 횡단하여 필기하는 것이다. 라인 또는 얇은 바아로서, 공간점유를 최소화하고, 텍스트 입력 흐름을 최적화하기 위해 일 영역 내에 기능을 배치하는 것이 매우 보다 용이해 진다.
어떤 문자가 필기되는지를 결정하는 로직은 필기된 최초 문자, 필기된 최종 문자 또는 스타일러스가 스크린/표면과의 접촉상태를 벗어난 이후, 또는 필기의 시작이후 소정 시간 간격 이후, 대부분에 걸쳐 필기된 문자(필기된 검출 영역의 면적 백분율)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검출 영역으로서 문자의 횡단 라인이 사용되는 양호한 실시예의 사용시, 이때, 필기된 문자를 결정하기 위한 양호한 로직은 그 검출 라인이 횡단하여 필기되는 최초 문자이다.
필기 요소는 임의의 보조키이 또는 스티키 보조키이(스티키는 다른 키이와 조화하여 작용하도록 키이를 누른 상태로 유지할 필요 없이 보조키이를 일회 누르는 것만을 필요로하는 것을 의미함-예로서, 스티키 시프트)와 조화 사용되어 대문자, 식별 문자 또는 심지어 기능 호출 같은 필기된 문자의 특수한 변형을 생성할 수 있다.
필기 방법은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에서 다중-문자 키이와 양호하게 동작하며, 그 이유는 필기가 태핑과는 특징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원래의 불명료한 태핑 기능을 무효화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중-문자 버튼에 대하여, TenGO 같은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 또는 T9®(Tegic Communications, Inc.), iTAPTM(Motorola, Inc.), eZiText®(Zi Corporation) 또는 WordWise®(Eatoni Ergonomics, Inc.) 같은 번호 전화 패드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다중-문자 버튼을 두드릴 때, 일반적인 기능이 트리거되고, 예측가능한 텍스트 입력 또는 다중 태핑이 되게 하지만, 다중-문자 세트의 특정 문자 위에 필기가 이루어지면, 이때, 문자가 명료하게 무단으로 입력된다.
이 방법의 확장은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의 하드-키이 실행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이는 하드 버튼에 대한 일부 변경을 필요로 한다. 눌러질 수 있는 보다 큰 다중-문자 버튼 이외에도, 또한, 버튼은 누르는 반대로 이동(예로서, 당겨 올림, 전향 누름 또는 후향 누름)할 수 있는 문자 세트의 개별 문자를 나타내는 개별 버튼으로 구성된다. 다중 문자 버튼에 대한 다른 대안은 직선으로 아래로 누르는 것 이외에, 조이스틱 같은 이동 기능 또는 레디얼 누름 기능을 갖도록 하는 것이며, 각 이동 또는 방향적 누름은 다중-문자 버튼의 문자 세트 중의 일 문자를 나타낸다.
상기 설명의 견지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수는 작은 가상 버튼 상에 텍스트를 명료하게 입력하기 위해 보다 적은 실수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또한, 명료한 텍스트 입력과 명료한 텍스트 입력을 무단 통합하는 것이다. 비록, 문자를 참조하였지만, 본 발명의 시스템의 교지는 임의의 심볼, 숫자 또는 기능으로 쉽게 확장될 수 있다. 여기에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들을 제외한, 그리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규정된 이들 교지의 범주를 초과하여 확장하지 않는 본 발명의 교시의 다수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특히, 시스템의 응용처는 표준 명료 코드 또는 텍스트 입력을 필요로 하는 종래의 장치나 모바일 장치에서의 응용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응용처 및 실시예, 심지어, 기록 표면 패드, 센서 펜 및 광학적 또는 이동 인식 입력 장치 같은 "초현대적"(덜 종래의) 것들 또는 좌표를 검출하거나 필기 운동을 구별할 수 있는 한, 비난수적 문자의 스트링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을 필요로하는 임의의 전자 장치에도 매우 적합하다.
또한, 여기에 설명된 텍스트 입력 방법은 텍스트 입력의 소정의 다양성을 위해 필요한 키이 스트로크의 수를 추가로 감소시키기 위해 다른 잘 아려진 단어 완성 메커니즘과 혼합-및-정합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그 정수가 남아 있고, 텍스트 입력 기능이 완전한 한,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을 완성하기 위해 모든 방법 및 메커니즘이 실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비용, 소프트웨어 크기, 실행 요구조건 및/또는 심지어 소정의 소유를 원하는(그러나 임계적이지 않은) 기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특정 방법 및 메커니즘의 생략이 가능하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의 목적으로 여기에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를 제외하고는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48)
- 제스처 및 스트로크 입력 방법을 이용하여 명료하게 가상 키보드의 데이터 값 또는 데이터 심볼을 입력하기 위한 스크린 텍스트 입력 시스템용 입력 방법이며,상기 스크린의 가상 키보드에 키이 스트로크를 나타내는 문자를 횡단하여 스트로크하도록 손가락 또는 대상물을 이용하는 단계와,상기 스크린의 터치를 검출하는 단계와,상기 스크린의 접촉 지점으로부터 스트로크 운동을 검출하는 단계와,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문자를 나타내는 데이터 값 또는 데이터 심볼이 그 또는 그 근처에 할당된 스크린의 검출 영역과 스트로크 경로의 위치 지점을 매칭시키는 단계와,횡단 스트로크된 검출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 값 또는 데이터 심볼을 텍스트 입력으로써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는 또한 횡단 스트로크외에도, 문자 상에서 원그리기, 횡단, 십자그리기 및 지그재그 운동을 포함하고, 스트로크 횡단과 동일한 기능성을 갖는 입력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는 제스처하는 동안 가상 키보드의 디지털 잉크 궤적을 이탈하는 입력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크 경로의 위치 지점을 스크린의 검출 영역과 매칭시키는 단계는 가장 자주 또는 처음의 공통 검출 영역으로부터 가장 적게 또는 최후의 공통 검출 영역의 매칭 순서로 수행되는 입력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를 나타내는 검출 영역은 문자 내에 있거나 이를 커버하는 검출 박스이고, 상기 검출 박스는 임의의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입력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를 나타내는 검출 영역은 문자를 횡단하거나 또는 그에 인접한 검출 라인인 입력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라인은 키보드 상에 보여지는 입력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바아는 가상 키보드의 단일 라인 또는 얇은 바아로 나타내어지고, 또한 검출 라인에 따라 선택되는 입력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또는 문자를 나타내는 버튼은 제스처 대신에 태핑하면 정상 버튼 입력에 따라 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입력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보조 키이 또는 스티키 보조 키이가 제스처와 협력하여 이용되면 어퍼 케이스, 발음기호 및 악센트 형식 케이스 또는 기능과 같은 상이한 케이스에서 데이터 값 또는 데이터 심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입력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문자는 제스처가 끝난 임의의 다음의 문자들을 무시하고 제스처가 끝난 최초 문자인 입력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문자는 제스처가 끝난 임의의 이전 문자들을 무시하고 제스처가 끝난 최종 문자인 입력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문자는 제스처가 끝난 적은 빈도의 임의의 다른 문자들을 무시하고 제스처가 끝난 가장 빈도가 많은 문자인 입력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문자는 검출 라인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제스처된 임의의 다른 문자들을 무시하고 검출 라인의 중심에 가장 근접한 제스처가 끝난 문자인 입력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들은 제스처가 끝난 순서로 제스처가 끝난 각각의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입력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 또는 센서 패드 또는 펜 기반 입력과 유사한 센서 대상물 또는 센서로 작동하는 스크린 또는 가상 스크린인 입력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는 다중 문자 키이의 문자들 중 하나인 입력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문자를 나타내는 문자 또는 다중 문자 키이가 횡단 스트로크 대신에 태핑되면 다중 문자 키이 입력에 따라 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입력 방법.
- 스크린 텍스트 입력 시스템이며,스크린 상에 가상 키보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루틴과,상기 가상 키보드에 디스플레이된 문자들을 나타내는 가상 키보드의 다양한 검출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 값과 데이터 심볼의 저장된 세트와,상기 가상 키보드의 터치와 상기 가상 키보드와 접촉하는 필기 경로를 검출하는 입력 루틴과,상기 가상 키보드의 검출 영역을 필기 경로와 매칭시키고 선택된 검출 영역을 결정하는 매칭 루틴과,상기 선택된 검출 영역을 나타내는 데이터 값 또는 데이터 심볼을 표시하는 출력 루틴을 포함하는 스크린 텍스트 입력 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키보드와 접촉하는 필기 경로는 필기 동안 가상 키보드의 디지털 잉크 궤적을 이탈하는 스크린 텍스트 입력 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루틴은 가상 키보드의 검출 영역을 가장 빈도가 높거나 처음의 공통 입력 검출 영역에서 가장 빈도수가 낮거나 최후의 공통 검출 영역까지의 매칭 순서로 필기 경로와 매칭되는 스크린 텍스트 입력 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를 나타내는 검출 영역은 문자 내에 또는 이를 커버하는 검출 박스이고, 상기 검출 박스는 임의의 형상 및 크기일 수 있는 스크린 텍스트 입력 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를 나타내는 검출 영역은 문자를 횡단 또는 그에 근접한 검출 라인인 스크린 텍스트 입력 시스템.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라인은 가상 키보드에서 보여지는 스크린 텍스트 입력 시스템.
- 제23항에 있어서, 스페이스바아는 가상 키보드의 단일 라인 또는 얇은 바아로 나타내어지고, 이는 검출 라인에 따라 선택되는 스크린 텍스트 입력 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루틴은 정상 버튼 입력에 따라 가상 키보드의 필기 경로없이 터치를 검출하는 스크린 텍스트 입력 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어퍼 케이스, 발음기호 및 악센트 형식 케이스 또는 기능과 같은 상이한 케이스에서 데이터 값 또는 데이터 심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보조 키이 또는 스티키 보조 키이가 제스처와 협력하여 이용되는 스크린 텍스트 입력 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루틴은 필기가 끝난 임의의 다음의 검출 영역을 무시하고 필기가 끝난 최초의 검출 영역을 선택된 검출 영역으로 결정하는 스크린 텍스트 입력 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루틴은 필기가 끝난 임의의 이전 검출 영역을 무시하고 필기가 끝난 최종 검출 영역을 선택된 검출 영역으로 결정하는 스크린 텍스트 입력 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루틴은 필기가 끝난 적은 빈도의 임의의 다른 검출 영역을 무시하고 필기가 끝난 가장 빈도가 많은 검출 영역을 선택된 검출 영역으로 결정하는 스크린 텍스트 입력 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루틴은 검출 라인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필기된 임의의 다른 검출 영역을 무시하고 검출 라인의 중심에 가장 근접한 필기가 끝난 검출 영역을 선택된 검출 영역으로 결정하는 스크린 텍스트 입력 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루틴은 스트로크가 끝난 순서로 스트로크가 끝난 각각의 검출 영역용으로 검출 영역이 선택되는 것을 결정하는 스크린 텍스트 입력 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 또는 센서 패드 또는 펜 기반 입력과 유사한 센서 대상물 또는 센서로 작동하는 스크린 또는 가상 스크린인 스크린 텍스트 입력 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키보드는 문자들로 구성된 세트를 표시하는 각각의 다중 문자 키이를 갖는 다중 문자 키이들을 구비한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인 스크린 텍스트 입력 시스템.
-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루틴은 정상 다중 문자 키이 입력에 따라 다중 문자 키이에서 필기 경로 없이 터치를 검출하는 스크린 텍스트 입력 시스템.
- 복수의 키이를 구비하고, 각각의 키이는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갖고, 상기 특성은 키보드의 키이 스트로크를 나타내는 데이터 값, 기능 또는 데이터 심볼이고, 상기 키이는 다중 문자 키이에서 태핑하는 정상 운동과 반대방향 운동할 수 있는 구성된 개별 데이터 값 또는 데이터 심볼을 나타내는 개별 문자 키이들로 구성된 다중 문자 키이이고, 스트로크 텍스트 입력 방법을 이용하여 불명료 및 명료 텍스트 입력 사이에서 모드를 변경할 필요 없이 명료하게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의 입력 방법이며,정상 다중 문자 키이 입력에 따라 태핑에 반대 방향으로 개별 문자 키이를 이동시키는 단계와,상기 개별 문자 키이를 나타내는 데이터 값 또는 데이터 심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 방법.
- 제36항에 있어서, 개별 문자 키이로 구성된 다중 문자 키이 대신에 태핑 외에 다중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단일 버튼이 있고, 각각의 방향은 태핑에 반대 방향으로 구성된 개별 문자 키이를 이동시키는 스트로크 텍스트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입력 방법.
- 제36항에 있어서, 보조 키이 또는 스티키 보조 키이가 제스처와 협력하여 이용되면 어퍼 케이스, 발음기호 및 악센트 형식 케이스 또는 기능과 같은 상이한 케이스에서 데이터 값 또는 데이터 심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입력 방법.
- 제36항에 있어서, 문자를 나타내는 버튼이 스트로크되는 대신에 태핑되고 태핑에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면 정상 다중 문자 키이 입력에 따라 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입력 방법.
- 제39항에 있어서, 동일한 다중 문자 키이 세트로부터 하나 이상의 개별 문자 키이가 함께 태핑되면, 여전히 단일 다중 문자 키이 입력에 따라 수행되는 입력 방법.
-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이며,복수의 키이와,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와,상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상기 각각의 키이는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갖고, 상기 특성은 키보드의 키이 스트로크를 나타내는 데이터 값, 기능 또는 데이터 심볼이고, 상기 키이는 다중 문자 키이에서 태핑하는 정상 운동과 반대방향 운동할 수 있는 구성된 개별 데이터 값 또는 데이터 심볼을 나타내는 개별 문자 키이들로 구성된 다중 문자 키이이고,상기 데이터는 상기 키이의 입력 키이 스트로크 시퀀스와 연관된 데이터 문자 또는 데이터 심볼인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
- 제41항에 있어서, 명료하게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다중 문자 키이 입력용의 정상 태핑에 반대 방향으로 개별 문자 키이를 이동시킴에 따라 불명료 및 명료 텍스트 입력 사이에서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
- 제41항에 있어서, 개별 문자 버튼으로 구성된 다중 문자 키이 대신에 태핑 외에 다중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단일 버튼이 있고, 각각의 방향은 태핑에 반대 방향으로 구성된 개별 문자 키이를 이동시키는 것과 동일한 것을 나타내는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
- 제43항에 있어서, 명료하게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다중 문자 키이 입력용의 정상 태핑에 반대 방향으로 이를 구성하는 개별 데이터 값 또는 데이터 심볼을 나타내는 방향으로 버튼을 이동시킴에 따라 불명료 및 명료 텍스트 입력 사이에서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
- 제41항에 있어서, 어퍼 케이스, 발음기호 및 악센트 형식 케이스 또는 기능과 같은 상이한 케이스에서 데이터 값 또는 데이터 심볼을 입력하기 위해 보조 키이 또는 스티키 보조 키이가 태핑에 반대 방향으로 개별 문자 키이를 이동시키는 것과 협력하여 이용되는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
- 제43항에 있어서, 어퍼 케이스, 발음기호 및 악센트 형식 케이스 또는 기능과 같은 상이한 케이스에서 데이터 값 또는 데이터 심볼을 입력하기 위해 보조 키이 또는 스티키 보조 키이가 태핑에 반대 방향으로 데이터 값 또는 데이터 심볼을 나타내는 방향으로 버튼을 이동시키는 것과 협력하여 이용되는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
- 제41항에 있어서, 다중 문자 키이 입력에 따라 입력하기 위해, 문자를 나타내는 다중 문자 키이가 태핑되는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
- 제43항에 있어서, 다중 문자 키이에 따라 입력하기 위해, 문자를 나타내는 다중 문자 버튼이 태핑되는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SG200300895-0A SG135918A1 (en) | 2003-03-03 | 2003-03-03 | Unambiguous text input method for touch screens and reduced keyboard systems |
SG200300895-0 | 2003-03-0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19112A true KR20050119112A (ko) | 2005-12-20 |
Family
ID=32960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7016436A KR20050119112A (ko) | 2003-03-03 | 2004-03-02 | 터치 스크린용 명료 텍스트 입력 방법 및 감소된 키보드시스템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060119582A1 (ko) |
EP (1) | EP1599787A1 (ko) |
JP (1) | JP2006524955A (ko) |
KR (1) | KR20050119112A (ko) |
CN (1) | CN1777858A (ko) |
SG (1) | SG135918A1 (ko) |
WO (1) | WO2004079557A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3398B1 (ko) * | 2007-06-11 | 2009-12-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전환하는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US8018441B2 (en) | 2007-06-11 | 2011-09-1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
KR20120133670A (ko) * | 2011-05-31 | 2012-12-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
WO2022005238A1 (ko) * | 2020-07-01 | 2022-01-06 | 윤경숙 | 문자 입력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645137B2 (en) | 2000-03-16 | 2014-02-04 | Apple Inc. | Fast, language-independent method for user authentication by voice |
US7555732B2 (en) * | 2004-03-12 | 2009-06-30 | Steven Van der Hoeven |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a data entry interface |
US7669135B2 (en) * | 2004-07-15 | 2010-02-23 | At&T Mobility Ii Llc | Using emoticons, such as for wireless devices |
DE102004042907A1 (de) * | 2004-09-01 | 2006-03-02 | Deutsche Telekom Ag | Online Multimedia Kreuzworträtsel |
US7443386B2 (en) * | 2004-11-01 | 2008-10-28 | Nokia Corporation | Mobile phone and method |
US7487461B2 (en) | 2005-05-04 | 2009-02-03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issuing commands based on pen motions on a graphical keyboard |
US7886233B2 (en) | 2005-05-23 | 2011-02-08 | Nokia Corporation | Electronic text input involving word completion functionality for predicting word candidates for partial word inputs |
US8185841B2 (en) | 2005-05-23 | 2012-05-22 | Nokia Corporation | Electronic text input involving a virtual keyboard and word completion functionality on a touch-sensitive display screen |
NZ589382A (en) * | 2005-06-16 | 2012-03-30 | Keyless Systems Ltd | Data Entry System |
US20070013667A1 (en) * | 2005-07-12 | 2007-01-18 | Chong Tsun Y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ntering characters therein |
US8677377B2 (en) | 2005-09-08 | 2014-03-18 | Apple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an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
TW200713060A (en) * | 2005-09-30 | 2007-04-01 | Primax Electronics Ltd | Adaptive input method for touch screen |
CN1949158B (zh) * | 2005-10-11 | 2012-02-15 | 摩托罗拉移动公司 | 向电子设备中输入文本 |
KR100756986B1 (ko) * | 2006-08-18 | 2007-09-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모드 변경 장치 및 방법 |
US8564544B2 (en) | 2006-09-06 | 2013-10-22 | Apple Inc. |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ustomizing display of content category icons |
US9304675B2 (en) * | 2006-09-06 | 2016-04-05 | Apple Inc. |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instant messaging |
US9318108B2 (en) | 2010-01-18 | 2016-04-19 | Apple Inc. |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
KR100910577B1 (ko) | 2006-09-11 | 2009-08-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KR100770936B1 (ko) * | 2006-10-20 | 2007-10-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
KR100762944B1 (ko) | 2007-02-24 | 2007-10-04 | 홍성찬 | 화면자판 편집기와 편집방법 |
US8977255B2 (en) | 2007-04-03 | 2015-03-10 | Apple Inc. |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multi-func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voice-activation |
US8059097B2 (en) * | 2007-04-27 | 2011-11-15 | Virgin Mobile USA LP | Shared symbol and emoticon key and methods |
EP1988444A3 (en) * | 2007-04-30 | 2016-03-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
US8146003B2 (en) * | 2007-08-17 | 2012-03-27 | Microsoft Corporation | Efficient text input for game controllers and handheld devices |
KR101436091B1 (ko) * | 2007-08-28 | 2014-09-0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포인터의 연속 궤적에 의한 버튼 선택 장치 및 방법 |
CN101174190B (zh) * | 2007-09-30 | 2013-06-12 | 上海触乐信息科技有限公司 | 电子设备屏幕上实现复合按键的软件键盘输入的方法 |
WO2009059479A1 (en) * | 2007-11-07 | 2009-05-14 | Pohsien Chiu | Input devices with virtual input interfaces |
US8351666B2 (en) * | 2007-11-15 | 2013-01-08 | General Electric Company | Portable imaging system having a seamless form factor |
US8175639B2 (en) * | 2007-11-26 | 2012-05-08 | Nasrin Chaparian Amirmokri | NanoPC mobile personal computing and communication device |
US8674947B2 (en) * | 2007-12-21 | 2014-03-18 | Xerox Corporation | Lateral pressure sensors for touch screens |
TWI393029B (zh) * | 2007-12-31 | 2013-04-11 | Htc Corp | 電子裝置以及於電子裝置上執行指令之方法 |
US9330720B2 (en) | 2008-01-03 | 2016-05-03 | Apple Inc. | Methods and apparatus for altering audio output signals |
US20090241027A1 (en) * | 2008-03-18 | 2009-09-24 | Dapeng Gao |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for improving typing efficiency on the device |
US8996376B2 (en) | 2008-04-05 | 2015-03-31 | Apple Inc. | Intelligent text-to-speech conversion |
US10496753B2 (en) | 2010-01-18 | 2019-12-03 | Apple Inc. | Automatically adapting user interfaces for hands-free interaction |
US20090289902A1 (en) * | 2008-05-23 | 2009-11-26 | Synaptics Incorporated | Proximity sensor device and method with subregion based swipethrough data entry |
US20090288889A1 (en) * | 2008-05-23 | 2009-11-26 | Synaptics Incorporated | Proximity sensor device and method with swipethrough data entry |
US20100030549A1 (en) | 2008-07-31 | 2010-02-04 | Lee Michael M | Mobile device having human language translation capability with positional feedback |
CN101676851B (zh) * | 2008-09-17 | 2012-04-25 |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 输入方法和输入装置 |
KR101606140B1 (ko) * | 2008-11-03 | 2016-03-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컴퓨팅 기기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WO2010068445A2 (en) * | 2008-11-25 | 2010-06-17 | Spetalnick Jeffrey R |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ed data input, compression, recognition, correction, and translation through frequency-based language analysis |
WO2010067118A1 (en) | 2008-12-11 | 2010-06-17 | Novauris Technologies Limited | Speech recognition involving a mobile device |
US8839154B2 (en) | 2008-12-31 | 2014-09-16 | Nokia Corporation | Enhanced zooming functionality |
US20100194694A1 (en) * | 2009-01-30 | 2010-08-05 | Nokia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Stroke Input |
US20100199226A1 (en) * | 2009-01-30 | 2010-08-05 | Nokia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nput Information from a Continuous Stroke Input |
US8831687B1 (en) * | 2009-02-02 | 2014-09-09 | Dominic M. Kotab | Two-sided dual screen mobile phone device |
WO2010095769A1 (ko) * | 2009-02-23 | 2010-08-26 | Kwak Hee Soo | 터치센서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
US20100241984A1 (en) * | 2009-03-21 | 2010-09-23 | Nokia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non alphanumeric character based on a user input |
US20100251176A1 (en) * | 2009-03-24 | 2010-09-30 | Microsoft Corporation | Virtual keyboard with slider buttons |
US10241644B2 (en) | 2011-06-03 | 2019-03-26 | Apple Inc. | Actionable reminder entries |
US9858925B2 (en) | 2009-06-05 | 2018-01-02 | Apple Inc. | Using context information to facilitate processing of commands in a virtual assistant |
US10241752B2 (en) | 2011-09-30 | 2019-03-26 | Apple Inc. | Interface for a virtual digital assistant |
US10255566B2 (en) | 2011-06-03 | 2019-04-09 | Apple Inc. | Generating and processing task items that represent tasks to perform |
US9431006B2 (en) | 2009-07-02 | 2016-08-30 | Apple Inc.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
TWI492140B (zh) * | 2009-08-28 | 2015-07-11 | Compal Electronics Inc | 鍵盤輸入的方法與輔助系統 |
US9317116B2 (en) | 2009-09-09 | 2016-04-19 | Immersion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for haptically-enhanced text interfaces |
KR101633332B1 (ko) * | 2009-09-30 | 2016-06-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US10276170B2 (en) | 2010-01-18 | 2019-04-30 | Apple Inc. |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
US10679605B2 (en) | 2010-01-18 | 2020-06-09 | Apple Inc. | Hands-free list-reading by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
US10705794B2 (en) | 2010-01-18 | 2020-07-07 | Apple Inc. | Automatically adapting user interfaces for hands-free interaction |
US10553209B2 (en) | 2010-01-18 | 2020-02-04 | Apple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hands-free notification summaries |
US8682667B2 (en) | 2010-02-25 | 2014-03-25 | Apple Inc. | User profiling for selecting user specific voice input processing information |
US8756522B2 (en) | 2010-03-19 | 2014-06-17 | Blackberry Limite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
KR20130088752A (ko) * | 2010-05-24 | 2013-08-08 | 윌 존 템플 | 다방향 버튼, 키 및 키보드 |
US8487877B2 (en) | 2010-06-10 | 2013-07-16 | Michael William Murphy | Character specification system and method that uses a limited number of selection keys |
US9021033B2 (en) * | 2010-07-23 | 2015-04-28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ethod to change instant messaging status based on text entered during conversation |
US9122318B2 (en) | 2010-09-15 | 2015-09-01 | Jeffrey R. Spetalnick | Methods of and systems for reducing keyboard data entry errors |
US8719014B2 (en) * | 2010-09-27 | 2014-05-06 | Apple Inc. | Electronic device with text error correction based on voice recognition data |
US10762293B2 (en) | 2010-12-22 | 2020-09-01 | Apple Inc. | Using parts-of-speech tagging and named entity recognition for spelling correction |
CN102063255B (zh) * | 2010-12-29 | 2013-07-31 |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 用于触摸屏的输入方法、触摸屏及装置 |
CN102637108B (zh) * | 2011-02-10 | 2018-03-02 | 张苏渝 | 一种复合输入控制方法 |
US9134809B1 (en) * | 2011-03-21 | 2015-09-15 | Amazon Technologies Inc. | Block-based navigation of a virtual keyboard |
US9262612B2 (en) | 2011-03-21 | 2016-02-16 | Apple Inc. | Device access using voice authentication |
US8922489B2 (en) * | 2011-03-24 | 2014-12-30 | Microsoft Corporation | Text input using key and gesture information |
US8624837B1 (en) | 2011-03-28 | 2014-01-07 | Google Inc. |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a scratch pad region of a computing device |
CN102736821B (zh) * | 2011-03-31 | 2017-06-16 | 深圳市世纪光速信息技术有限公司 | 基于滑动轨迹确定候选词的方法和装置 |
US9342155B2 (en) * | 2011-03-31 | 2016-05-17 | Nokia Technologies Oy | Character entry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
WO2012139266A1 (zh) | 2011-04-09 | 2012-10-18 | 上海汉翔信息技术有限公司 | 电子设备上基于屏幕软件键盘实现滑动输入文本的系统及方法 |
US8316319B1 (en) * | 2011-05-16 | 2012-11-20 | Google Inc. | Efficient selection of characters and commands based on movement-inputs at a user-inerface |
US8826190B2 (en) | 2011-05-27 | 2014-09-02 | Google Inc. | Moving a graphical selector |
US8656315B2 (en) | 2011-05-27 | 2014-02-18 | Google Inc. | Moving a graphical selector |
US10057736B2 (en) | 2011-06-03 | 2018-08-21 | Apple Inc. | Active transport based notifications |
CN103608760A (zh) | 2011-06-03 | 2014-02-26 | 谷歌公司 | 用于选择文本的手势 |
US8994660B2 (en) | 2011-08-29 | 2015-03-31 | Apple Inc. | Text correction processing |
US8286104B1 (en) * | 2011-10-06 | 2012-10-09 | Google Inc. | Input method application for a touch-sensitive user interface |
CN102521215B (zh) * | 2011-11-28 | 2017-03-22 | 上海量明科技发展有限公司 | 一种文档划线标记的方法及系统 |
US9244612B1 (en) | 2012-02-16 | 2016-01-26 | Google Inc. | Key selection of a graphical keyboard based on user input posture |
WO2013130682A1 (en) * | 2012-02-27 | 2013-09-06 | 5 Examples, Inc. | Date entry system controllers for receiving user input line traces relative to user interfaces to determine ordered action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
US10134385B2 (en) | 2012-03-02 | 2018-11-20 | Apple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name pronunciation |
US9483461B2 (en) | 2012-03-06 | 2016-11-01 | Apple Inc. | Handling speech synthesis of content for multiple languages |
US8667414B2 (en) | 2012-03-23 | 2014-03-04 | Google Inc. | Gestural input at a virtual keyboard |
JP5422694B2 (ja) * | 2012-04-11 | 2014-02-19 | 株式会社東芝 | 情報処理装置、コマンド実行制御方法及びコマンド実行制御プログラム |
US9280610B2 (en) | 2012-05-14 | 2016-03-08 | Apple Inc. | Crowd sourcing information to fulfill user requests |
US8484573B1 (en) | 2012-05-23 | 2013-07-09 | Google Inc. | Predictive virtual keyboard |
US9721563B2 (en) | 2012-06-08 | 2017-08-01 | Apple Inc. | Name recognition system |
US9495129B2 (en) | 2012-06-29 | 2016-11-15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user interface for voice-activated navigation and browsing of a document |
CN102841752B (zh) * | 2012-08-21 | 2015-10-07 | 刘炳林 | 一种人机交互设备的字符输入方法和装置 |
US9576574B2 (en) | 2012-09-10 | 2017-02-21 | Apple Inc. | Context-sensitive handling of interruptions by intelligent digital assistant |
US20140267050A1 (en) * | 2013-03-15 | 2014-09-18 | Logitech Europe S.A. | Key layout for an input device |
US9081482B1 (en) | 2012-09-18 | 2015-07-14 | Google Inc. | Text input suggestion ranking |
WO2014047161A2 (en) | 2012-09-18 | 2014-03-27 | Google Inc. | Posture-adaptive selection |
US9547647B2 (en) | 2012-09-19 | 2017-01-17 | Apple Inc. | Voice-based media searching |
US8656296B1 (en) | 2012-09-27 | 2014-02-18 | Google Inc. | Selection of characters in a string of characters |
US9021380B2 (en) | 2012-10-05 | 2015-04-28 | Google Inc. | Incremental multi-touch gesture recognition |
US8782549B2 (en) | 2012-10-05 | 2014-07-15 | Google Inc. | Incremental feature-based gesture-keyboard decoding |
US8701032B1 (en) | 2012-10-16 | 2014-04-15 | Google Inc. | Incremental multi-word recognition |
US8843845B2 (en) | 2012-10-16 | 2014-09-23 | Google Inc. | Multi-gesture text input prediction |
US8914751B2 (en) | 2012-10-16 | 2014-12-16 | Google Inc. | Character deletion during keyboard gesture |
US8612213B1 (en) | 2012-10-16 | 2013-12-17 | Google Inc. | Correction of errors in character strings that include a word delimiter |
US8713433B1 (en) | 2012-10-16 | 2014-04-29 | Google Inc. | Feature-based autocorrection |
US8850350B2 (en) | 2012-10-16 | 2014-09-30 | Google Inc. | Partial gesture text entry |
US9569107B2 (en) | 2012-10-16 | 2017-02-14 | Google Inc. | Gesture keyboard with gesture cancellation |
US9557818B2 (en) | 2012-10-16 | 2017-01-31 | Google Inc. | Contextually-specific automatic separators |
US9304595B2 (en) | 2012-10-19 | 2016-04-05 | Google Inc. | Gesture-keyboard decoding using gesture path deviation |
US8704792B1 (en) | 2012-10-19 | 2014-04-22 | Google Inc. | Density-based filtering of gesture events associated with a user interface of a computing device |
US8994681B2 (en) | 2012-10-19 | 2015-03-31 | Google Inc. | Decoding imprecise gestures for gesture-keyboards |
US8819574B2 (en) | 2012-10-22 | 2014-08-26 | Google Inc. | Space prediction for text input |
US9804777B1 (en) | 2012-10-23 | 2017-10-31 | Google Inc. | Gesture-based text selection |
US20140123049A1 (en) * | 2012-10-30 | 2014-05-01 | Microsoft Corporation | Keyboard with gesture-redundant keys removed |
US8806384B2 (en) | 2012-11-02 | 2014-08-12 | Google Inc. | Keyboard gestures for character string replacement |
US9129100B2 (en) * | 2012-12-13 | 2015-09-08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Verification code generation and ve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
US8832589B2 (en) | 2013-01-15 | 2014-09-09 | Google Inc. | Touch keyboard using language and spatial models |
US9047268B2 (en) | 2013-01-31 | 2015-06-02 | Google Inc. | Character and word level language models for out-of-vocabulary text input |
US9454240B2 (en) | 2013-02-05 | 2016-09-27 | Google Inc. | Gesture keyboard input of non-dictionary character strings |
KR102516577B1 (ko) | 2013-02-07 | 2023-04-03 | 애플 인크. | 디지털 어시스턴트를 위한 음성 트리거 |
US8782550B1 (en) | 2013-02-28 | 2014-07-15 | Google Inc. | Character string replacement |
US8701050B1 (en) | 2013-03-08 | 2014-04-15 | Google Inc. | Gesture completion path display for gesture-based keyboards |
US10652394B2 (en) | 2013-03-14 | 2020-05-12 | Apple Inc. |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voicemail |
US9368114B2 (en) | 2013-03-14 | 2016-06-14 | Apple Inc. | Context-sensitive handling of interruptions |
WO2014144579A1 (en) | 2013-03-15 | 2014-09-18 | Apple Inc. |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an adaptive speech recognition model |
AU2014233517B2 (en) | 2013-03-15 | 2017-05-25 | Apple Inc. | Training an at least partial voice command system |
US8825474B1 (en) | 2013-04-16 | 2014-09-02 | Google Inc. | Text suggestion output using past interaction data |
US9665246B2 (en) | 2013-04-16 | 2017-05-30 | Google Inc. | Consistent text suggestion output |
US9122376B1 (en) | 2013-04-18 | 2015-09-01 | Google Inc. | System for improving autocompletion of text input |
US8887103B1 (en) | 2013-04-22 | 2014-11-11 | Google Inc. | Dynamically-positioned character string suggestions for gesture typing |
US8756499B1 (en) | 2013-04-29 | 2014-06-17 | Google Inc. | Gesture keyboard input of non-dictionary character strings using substitute scoring |
US9081500B2 (en) | 2013-05-03 | 2015-07-14 | Google Inc. | Alternative hypothesis error correction for gesture typing |
US8997013B2 (en) | 2013-05-31 | 2015-03-31 | Google Inc. | Multiple graphical keyboards for continuous gesture input |
US9582608B2 (en) | 2013-06-07 | 2017-02-28 | Apple Inc. | Unified ranking with entropy-weighted information for phrase-based semantic auto-completion |
WO2014197334A2 (en) | 2013-06-07 | 2014-12-11 | Apple Inc. | System and method for user-specified pronunciation of words for speech synthesis and recognition |
WO2014197336A1 (en) | 2013-06-07 | 2014-12-11 | Apple Inc. |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errors in interactions with a voice-based digital assistant |
WO2014197335A1 (en) | 2013-06-08 | 2014-12-11 | Apple Inc. | Interpreting and acting upon commands that involve sharing information with remote devices |
US10176167B2 (en) | 2013-06-09 | 2019-01-08 | Apple Inc. | System and method for inferring user intent from speech inputs |
US9465985B2 (en) | 2013-06-09 | 2016-10-11 | Apple Inc. | Managing real-time handwriting recognition |
KR101959188B1 (ko) | 2013-06-09 | 2019-07-02 | 애플 인크. | 디지털 어시스턴트의 둘 이상의 인스턴스들에 걸친 대화 지속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
KR101809808B1 (ko) | 2013-06-13 | 2017-12-15 | 애플 인크. | 음성 명령에 의해 개시되는 긴급 전화를 걸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US9280276B2 (en) * | 2013-07-09 | 2016-03-08 | Htc Corporation |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
CN105453026A (zh) | 2013-08-06 | 2016-03-30 | 苹果公司 | 基于来自远程设备的活动自动激活智能响应 |
CN104615262A (zh) * | 2013-11-01 | 2015-05-13 | 辉达公司 | 一种用于虚拟键盘的输入方法和输入系统 |
US9620105B2 (en) | 2014-05-15 | 2017-04-11 | Apple Inc. | Analyzing audio input for efficient speech and music recognition |
US10592095B2 (en) | 2014-05-23 | 2020-03-17 | Apple Inc. | Instantaneous speaking of content on touch devices |
US9502031B2 (en) | 2014-05-27 | 2016-11-22 | Apple Inc. | Method for supporting dynamic grammars in WFST-based ASR |
US9842101B2 (en) | 2014-05-30 | 2017-12-12 | Apple Inc. | Predictive conversion of language input |
US9430463B2 (en) | 2014-05-30 | 2016-08-30 | Apple Inc. | Exemplar-bas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
US9633004B2 (en) | 2014-05-30 | 2017-04-25 | Apple Inc. | Better resolution when referencing to concepts |
US10078631B2 (en) | 2014-05-30 | 2018-09-18 | Apple Inc. | Entropy-guided text prediction using combined word and character n-gram language models |
US9734193B2 (en) | 2014-05-30 | 2017-08-15 | Apple Inc. | Determining domain salience ranking from ambiguous words in natural speech |
US9715875B2 (en) | 2014-05-30 | 2017-07-25 | Apple Inc. | Reducing the need for manual start/end-pointing and trigger phrases |
US10170123B2 (en) | 2014-05-30 | 2019-01-01 | Apple Inc. | Intelligent assistant for home automation |
US9785630B2 (en) | 2014-05-30 | 2017-10-10 | Apple Inc. | Text prediction using combined word N-gram and unigram language models |
TWI566107B (zh) | 2014-05-30 | 2017-01-11 | 蘋果公司 | 用於處理多部分語音命令之方法、非暫時性電腦可讀儲存媒體及電子裝置 |
US9760559B2 (en) | 2014-05-30 | 2017-09-12 | Apple Inc. | Predictive text input |
US10289433B2 (en) | 2014-05-30 | 2019-05-14 | Apple Inc. | Domain specific language for encoding assistant dialog |
US10659851B2 (en) | 2014-06-30 | 2020-05-19 | Apple Inc. | Real-time digital assistant knowledge updates |
US9338493B2 (en) | 2014-06-30 | 2016-05-10 | Apple Inc. |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TV user interactions |
US10446141B2 (en) | 2014-08-28 | 2019-10-15 | Apple Inc. |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based on user feedback |
US9818400B2 (en) | 2014-09-11 | 2017-11-14 | Apple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vering trending terms in speech requests |
US10789041B2 (en) | 2014-09-12 | 2020-09-29 | Apple Inc. | Dynamic thresholds for always listening speech trigger |
US9940016B2 (en) | 2014-09-13 | 2018-04-10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Disambiguation of keyboard input |
US9668121B2 (en) | 2014-09-30 | 2017-05-30 | Apple Inc. | Social reminders |
US9646609B2 (en) | 2014-09-30 | 2017-05-09 | Apple Inc. | Caching apparatus for serving phonetic pronunciations |
US9886432B2 (en) | 2014-09-30 | 2018-02-06 | Apple Inc. | Parsimonious handling of word inflection via categorical stem + suffix N-gram language models |
US10074360B2 (en) | 2014-09-30 | 2018-09-11 | Apple Inc. | Providing an indication of the suitability of speech recognition |
US10127911B2 (en) | 2014-09-30 | 2018-11-13 | Apple Inc. | Speaker identification and unsupervised speaker adaptation techniques |
US9619043B2 (en) | 2014-11-26 | 2017-04-11 |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 Gesture multi-function on a physical keyboard |
US10552013B2 (en) | 2014-12-02 | 2020-02-04 | Apple Inc. | Data detection |
USD766224S1 (en) * | 2014-12-08 | 2016-09-13 | Michael L. Townsend | Interface for a keypad, keyboard, or user activated components thereof |
US9711141B2 (en) | 2014-12-09 | 2017-07-18 | Apple Inc. | Disambiguating heteronyms in speech synthesis |
US9865280B2 (en) | 2015-03-06 | 2018-01-09 | Apple Inc. | Structured dictation using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s |
US10567477B2 (en) | 2015-03-08 | 2020-02-18 | Apple Inc. | Virtual assistant continuity |
US9721566B2 (en) | 2015-03-08 | 2017-08-01 | Apple Inc. | Competing devices responding to voice triggers |
US9886953B2 (en) | 2015-03-08 | 2018-02-06 | Apple Inc. | Virtual assistant activation |
US9899019B2 (en) | 2015-03-18 | 2018-02-20 | Apple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structured stem and suffix language models |
US9842105B2 (en) | 2015-04-16 | 2017-12-12 | Apple Inc. | Parsimonious continuous-space phrase representations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
US20160321237A1 (en) | 2015-04-30 | 2016-11-03 | Michael William Murphy | Method of word identification that uses an array variable |
US10083688B2 (en) | 2015-05-27 | 2018-09-25 | Apple Inc. | Device voice control for selecting a displayed affordance |
US10127220B2 (en) | 2015-06-04 | 2018-11-13 | Apple Inc. | Language identification from short strings |
US9578173B2 (en) | 2015-06-05 | 2017-02-21 | Apple Inc. | Virtual assistant aided communication with 3rd party service in a communication session |
US10101822B2 (en) | 2015-06-05 | 2018-10-16 | Apple Inc. | Language input correction |
US10186254B2 (en) | 2015-06-07 | 2019-01-22 | Apple Inc. | Context-based endpoint detection |
US10255907B2 (en) | 2015-06-07 | 2019-04-09 | Apple Inc. | Automatic accent detection using acoustic models |
US11025565B2 (en) | 2015-06-07 | 2021-06-01 | Apple Inc. | Personalized prediction of responses for instant messaging |
US20160357411A1 (en) * | 2015-06-08 | 2016-12-08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Modifying a user-interactive display with one or more rows of keys |
US10747498B2 (en) | 2015-09-08 | 2020-08-18 | Apple Inc. | Zero latency digital assistant |
US10671428B2 (en) | 2015-09-08 | 2020-06-02 | Apple Inc. | Distributed personal assistant |
US9697820B2 (en) | 2015-09-24 | 2017-07-04 | Apple Inc. | Unit-selection text-to-speech synthesis using concatenation-sensitive neural networks |
US11010550B2 (en) | 2015-09-29 | 2021-05-18 | Apple Inc. | Unified language modeling framework for word prediction, auto-completion and auto-correction |
US10366158B2 (en) | 2015-09-29 | 2019-07-30 | Apple Inc. | Efficient word encoding for recurrent neural network language models |
US11587559B2 (en) | 2015-09-30 | 2023-02-21 | Apple Inc. | Intelligent device identification |
US10691473B2 (en) | 2015-11-06 | 2020-06-23 | Apple Inc. |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messaging environment |
US10049668B2 (en) | 2015-12-02 | 2018-08-14 | Apple Inc. | Applying neural network language models to weighted finite state transducers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
US10223066B2 (en) | 2015-12-23 | 2019-03-05 | Apple Inc. | Proactive assistance based on dialog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
US10446143B2 (en) | 2016-03-14 | 2019-10-15 | Apple Inc. | Identification of voice inputs providing credentials |
US9934775B2 (en) | 2016-05-26 | 2018-04-03 | Apple Inc. | Unit-selection text-to-speech synthesis based on predicted concatenation parameters |
US9972304B2 (en) | 2016-06-03 | 2018-05-15 | Apple Inc. | Privacy preserving distributed evaluation framework for embedded personalized systems |
US10249300B2 (en) | 2016-06-06 | 2019-04-02 | Apple Inc. | Intelligent list reading |
US10049663B2 (en) | 2016-06-08 | 2018-08-14 | Apple, Inc. |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media exploration |
DK179309B1 (en) | 2016-06-09 | 2018-04-23 | Apple Inc |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home environment |
US10509862B2 (en) | 2016-06-10 | 2019-12-17 | Apple Inc. | Dynamic phrase expansion of language input |
US10586535B2 (en) | 2016-06-10 | 2020-03-10 | Apple Inc. | Intelligent digital assistant in a multi-tasking environment |
US10192552B2 (en) | 2016-06-10 | 2019-01-29 | Apple Inc. | Digital assistant providing whispered speech |
US10067938B2 (en) | 2016-06-10 | 2018-09-04 | Apple Inc. | Multilingual word prediction |
US10490187B2 (en) | 2016-06-10 | 2019-11-26 | Apple Inc. | Digital assistant providing automated status report |
DK179343B1 (en) | 2016-06-11 | 2018-05-14 | Apple Inc | Intelligent task discovery |
DK179049B1 (en) | 2016-06-11 | 2017-09-18 | Apple Inc | Data driven natural language event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
DK201670540A1 (en) | 2016-06-11 | 2018-01-08 | Apple Inc | Application integration with a digital assistant |
DK179415B1 (en) | 2016-06-11 | 2018-06-14 | Apple Inc | Intelligent device arbitration and control |
DK179329B1 (en) * | 2016-06-12 | 2018-05-07 | Apple Inc | Handwriting keyboard for monitors |
US10043516B2 (en) | 2016-09-23 | 2018-08-07 | Apple Inc. |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
CN107015637B (zh) * | 2016-10-27 | 2020-05-05 |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 虚拟现实场景下的输入方法和装置 |
US10593346B2 (en) | 2016-12-22 | 2020-03-17 | Apple Inc. | Rank-reduced token representation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
US10671181B2 (en) * | 2017-04-03 | 2020-06-02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Text entry interface |
DK201770439A1 (en) | 2017-05-11 | 2018-12-13 | Apple Inc. | Offline personal assistant |
DK179496B1 (en) | 2017-05-12 | 2019-01-15 | Apple Inc. | USER-SPECIFIC Acoustic Models |
DK179745B1 (en) | 2017-05-12 | 2019-05-01 | Apple Inc. | SYNCHRONIZATION AND TASK DELEGATION OF A DIGITAL ASSISTANT |
DK201770431A1 (en) | 2017-05-15 | 2018-12-20 | Apple Inc. | Optimizing dialogue policy decisions for digital assistants using implicit feedback |
DK201770432A1 (en) | 2017-05-15 | 2018-12-21 | Apple Inc. | Hierarchical belief states for digital assistants |
DK179560B1 (en) | 2017-05-16 | 2019-02-18 | Apple Inc. | FAR-FIELD EXTENSION FOR DIGITAL ASSISTANT SERVICES |
CN110637275B (zh) | 2017-05-19 | 2023-11-14 | M·W·墨菲 | 交错字符选择界面 |
CN108762654B (zh) * | 2018-05-15 | 2020-09-29 |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 文本编辑的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US11922007B2 (en) | 2018-11-29 | 2024-03-05 | Michael William Murphy |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inputting characters to an electronic device |
US11194467B2 (en) | 2019-06-01 | 2021-12-07 | Apple Inc. | Keyboard management user interfaces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2006163A1 (en) * | 1988-12-21 | 1990-06-21 | Alfred B. Freeman | Keyboard express typing system |
JP3546337B2 (ja) * | 1993-12-21 | 2004-07-28 | ゼロ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 計算システム用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グラフィック・キーボード使用方法 |
US5574482A (en) * | 1994-05-17 | 1996-11-12 | Niemeier; Charles J. | Method for data input on a touch-sensitive screen |
EP0842463B1 (en) * | 1995-07-26 | 2000-03-29 | Tegic Communications, Inc. | Reduced keyboard disambiguating system |
US5953541A (en) * | 1997-01-24 | 1999-09-14 | Tegic Communications, Inc. | Disambiguating system for disambiguating ambiguous input sequences by displaying objects associated with the generated input sequences in the order of decreasing frequency of use |
US6104317A (en) * | 1998-02-27 | 2000-08-15 | Motorola, Inc. | Data entry device and method |
KR100327209B1 (ko) * | 1998-05-12 | 2002-04-17 | 윤종용 | 첨펜의자취를이용한소프트웨어키보드시스템및그에따른키코드인식방법 |
TW546943B (en) * | 1999-04-29 | 2003-08-11 | Inventec Corp | Chinese character input method and system with virtual keyboard |
WO2001074133A2 (en) * | 2000-03-31 | 2001-10-11 | Ventri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 of alphanumeric text data from twelve key keyboards |
US20030014239A1 (en) * | 2001-06-08 | 2003-01-16 | Ichbiah Jean D. | Method and system for entering accented and other extended characters |
KR100446613B1 (ko) * | 2001-07-16 | 2004-09-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착용할 수 있는 정보 입력 장치를 사용한 정보 입력 방법 |
US6882337B2 (en) * | 2002-04-18 | 2005-04-19 | Microsoft Corporation | Virtual keyboard for touch-typing using audio feedback |
US7203455B2 (en) * | 2002-05-30 | 2007-04-10 | Mattel, Inc. | Interactive multi-sensory reading system electronic teaching/learning device |
US7098896B2 (en) * | 2003-01-16 | 2006-08-29 | Forword Input Inc. |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stroke word-based text input |
FI116168B (fi) * | 2003-03-03 | 2005-09-30 | Flextronics Odm Luxembourg Sa | Datan syöttö |
US20040183833A1 (en) * | 2003-03-19 | 2004-09-23 | Chua Yong Tong | Keyboard error reduction method and apparatus |
-
2003
- 2003-03-03 SG SG200300895-0A patent/SG135918A1/en unknown
-
2004
- 2004-03-02 WO PCT/SG2004/000046 patent/WO2004079557A1/en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04-03-02 CN CNA2004800106373A patent/CN1777858A/zh active Pending
- 2004-03-02 US US10/548,697 patent/US2006011958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4-03-02 EP EP04716405A patent/EP1599787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4-03-02 KR KR1020057016436A patent/KR2005011911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4-03-02 JP JP2006508057A patent/JP2006524955A/ja active Pending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3398B1 (ko) * | 2007-06-11 | 2009-12-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전환하는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US8018441B2 (en) | 2007-06-11 | 2011-09-1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
USRE48242E1 (en) | 2007-06-11 | 2020-10-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
USRE49670E1 (en) | 2007-06-11 | 2023-09-2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
KR20120133670A (ko) * | 2011-05-31 | 2012-12-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
WO2022005238A1 (ko) * | 2020-07-01 | 2022-01-06 | 윤경숙 | 문자 입력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4079557A1 (en) | 2004-09-16 |
EP1599787A1 (en) | 2005-11-30 |
SG135918A1 (en) | 2007-10-29 |
US20060119582A1 (en) | 2006-06-08 |
CN1777858A (zh) | 2006-05-24 |
JP2006524955A (ja) | 2006-1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50119112A (ko) | 터치 스크린용 명료 텍스트 입력 방법 및 감소된 키보드시스템 | |
US10275153B2 (en) | Multidirectional button, key, and keyboard | |
US6295052B1 (en) | Screen display key input unit | |
JP6115867B2 (ja) | 1つ以上の多方向ボタンを介して電子機器と相互作用できるようにする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 | |
US6741235B1 (en) | Rapid entry of data and information on a reduced size input area | |
US9189156B2 (en) | Keyboard comprising swipe-switches performing keyboard actions | |
Nesbat | A system for fast, full-text entry for small electronic devices | |
US9304683B2 (en) | Arced or slanted soft input panels | |
US6104317A (en) | Data entry device and method | |
US8583440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 indication of character ambiguity during text entry | |
US20060055669A1 (en) | Fluent user interface for text entry on touch-sensitive display | |
Lee et al. | Hibey: Hide the keyboard in augmented reality | |
US20130227460A1 (en) | Data entry system controllers for receiving user input line traces relative to user interfaces to determine ordered action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 |
JP2013527539A5 (ko) | ||
CN1954355A (zh) | 自动更正虚拟键盘系统 | |
JP2003015808A (ja) | タッチ式キー入力装置 | |
KR20120107110A (ko) | 데이터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 |
US20150100911A1 (en) | Gesture responsive keyboard and interface | |
JP4462120B2 (ja) | 文字入力装置 | |
KR20100069089A (ko) |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
Dunlop et al. | Pickup usability dominates: a brief history of mobile text entry research and adoption | |
JP4614505B2 (ja) | 画面表示式キー入力装置 | |
JP2005275635A (ja) | 仮名文字入力方法および仮名文字入力プログラム | |
US20100164876A1 (en) | Data input device | |
Bhatti et al. | Mistype resistant keyboard (NexKe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5090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