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113593A - 시퀀스 스위치용 부하시 탭 절환장치 - Google Patents

시퀀스 스위치용 부하시 탭 절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3593A
KR20050113593A KR1020057007795A KR20057007795A KR20050113593A KR 20050113593 A KR20050113593 A KR 20050113593A KR 1020057007795 A KR1020057007795 A KR 1020057007795A KR 20057007795 A KR20057007795 A KR 20057007795A KR 20050113593 A KR20050113593 A KR 20050113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ermanent main
main contact
erosion
movab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7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5495B1 (ko
Inventor
귄터 클로트
질케 브레드
Original Assignee
마쉬넨파브릭 레인하우센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쉬넨파브릭 레인하우센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마쉬넨파브릭 레인하우센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50113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3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5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549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005Tap change devices
    • H01H9/0016Contact arrangements for tap cha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9/00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 H01F29/02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with tappings on coil or winding; with provision for rearrangement or interconnection of windings
    • H01F29/04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with tappings on coil or winding; with provision for rearrangement or interconnection of windings having provision for tap-changing without interrupting the load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0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6Contact arrangements for providing make-before-break operation, e.g. for on-load tap-chan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eakers (AREA)
  • Contacts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Protection Of Transformers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 Slide Switches (AREA)
  • Keying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퀀스 스위치용 부하시 탭 절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부하시 탭 절환장치는 각각의 절환 위상마다 2쌍의 주접점을 포함하며, 고정 접점은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에 의하여 각각 연결된다. 상기 고정 영구 주접점은 상기 개별 접촉 세그멘트의 기다란 방향이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의 임팩트 방향에 대응하도록 접촉 스프링에 의하여 피벗되는 복수개의 접촉 세그멘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퀀스 스위치용 부하시 탭 절환장치 {ON-LOAD TAP CHANGER FOR A SEQUENCE SWITCH}
본 발명은 각 위상마다 파워없이 절환되는 영구 주접점을 갖는 탭 절환장치용 부하 절환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부하 절환 스위치(load changeover switch)는 DE 100 50 895 C1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는, 절환될 각 위상마다, 2가지 상이한 말단 세팅으로 피벗가능한 하나의 이동가능한 도전성 영구 주접점에 의하여 교호로 연결될 수 있는 2개의 영구 주접점 쌍을 포함한다. 이 경우, 2개의 영구 주접점 쌍은 각각 정상 상태로 연결되어, 탭 절환장치 각각의 부하 절환 시작 시, 영구 전류가 이미 흐르고 있는 영구 주접점 쌍이 개방되도록 영구 전류를 전도하고, 각각의 부하 절환 종료 시, 즉 전체 절환 시퀀스가 지난 후, 이미 개방된 다른 하나의 영구 주접점 쌍이 연결되어 영구 전류를 흡수한다. 이를 위하여, 부하 절환 스위치의 내부에는 중앙으로 연장되는 스위치 샤프트가 배치되며, 상기 스위치 샤프트에 의하여 이동가능한 도전성 영구 주접점, 즉 연결 접점이 작동가능하다. 각각의 영구 주접점 쌍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제1 및 제2 영구 주접점으로 구성된다. 제1 쌍의 영구 주접점 중 하나는 부하 절환 스위치의 사이드 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쌍의 영구 주접점 중 다른 하나는 부하 절환 스위치의 사이드 B와 연결된다. 제2 쌍의 2개의 영구 주접점은 부하 절환 스위치의 공통 부하 분류기(common load shunt)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은, 부하 분류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영구 주접점 쌍 중 제2 쌍의 영구 주접점과 정전 상태로 연결되도록 구형으로 된 구조인 런업면(run-up surface)을 갖고, 이들 런업면 상에서 슬라이딩 또는 롤링한다. 런업면은, 소정 영역에서는, 2개의 영구 주접점 쌍 중 한 쌍의 각각의 영구 주접점 하나와 2가지 가능한 말단 세팅 각각에서만 교호로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된 횡방향 접촉면과 상이한 형상을 갖는다. 즉,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의 하나의 말단 세팅에서는 부하 절환 스위치의 사이드 A가 부하 분류기와 연결되며, 다른 하나의 말단 세팅에서는 부하 절환 스위치의 사이드 B가 부하 분류기와 연결된다. 사이드 A 또는 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영구 주접점 쌍 중 제1 쌍의 영구 주접점 각각의 배선은, 이 경우, 말단 위치 중 하나로 피벗될 때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 즉 각각의 제1 쌍의 영구 주접점 또는 보다 정확하게는 개별 접촉 플레이트가 이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위치, 즉 전개된 위치에서 접촉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외측으로 가압된다.
그러나, 이러한 접촉 플레이트의 전개는 여러 가지 단점을 가진 것으로 판명되었다. 한편으로는,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의 적절하게 대응하는 접촉면은 대응하는 제1 영구 주접점으로 비교적 서서히 절환되고; 이 절환은 개별 접촉 플레이트의 프로파일 형상 및 이동 방향에 의하여 야기되며, 후술하는 이유 때문에, 전체 장치의 절연 강도, 즉 부하 절환 스위치의 전압 강도에 대하여 불충분한 값을 갖게 된다. 각각의 부하 절환 시, 초기에는 영구 주접점이 이미 전도 중인 전류 쪽을 오프시키고, 즉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이 대응하는 고정 영구 주접점 쌍으로부터 분리된 다음, 실제 절환 접촉을 오프시킨다.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은, 실제 절환 접촉이 개방될 때까지, 소정의 이동 경로를 가져야 소정의 전압 강도가 보장된다. 공지된 부하 절환 스위치의 경우 상기 이동 경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비교적 작은데, 이는 전압 강도에 바람직하지 못한 효과를 갖는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으로 인한 개별 접촉 플레이트의 저속 슬라이딩 및 전개는 마찰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마찰을 극복하는 힘은 힘 저장부에 의하여 추가로 가해져야 한다. 상기 문제는 영구 주접점의 절환이, 전술한 바와 같이, 부하 절환 종료 시, 즉 힘 저장부의 저장된 에너지가 이미 거의 소진된 시점에 일어남으로써 더 악화된다. 최종적으로, 공지된 해소책은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 뿐만 아니라 접촉 플레이트의 고도의 치수 정확성을 또한 요구하고, 또한 가장 작은 생산 공차는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이 각각의 고정 영구 주접점의 플레이트로 완전하게 절환시킬 수 없도록, 즉 전체 부하 절환 스위치가 자신의 말단 세팅에 도달하지 않거나 또는 아주 어렵게 도달하도록 마찰이 증가되는 결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영구 주접점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제1의 부하 절환 스위치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설명에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다수의 구성품 및 절환 수단은 생략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의 부하 절환 스위치의 이동가능 영구 주접점과 협동 상태에 있는, 도 1의 제1 면 A-A를 따라 절취된 고정 영구 주접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의 부하 절환 스위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의 부하 절환 스위치의 이동가능 영구 주접점과 협동 상태에 있는, 도 3의 제2 면 B-B를 따라 절취된 고정 영구 주접점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 3에 따른 면 A-A의 개략적인 단면도는 도 2와 유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제부에 개시된 종류의 부하 절환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영구 주접점 쌍은 간단한 방식으로 내전압를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부를 가진 부하 절환 스위치에 의하여 충족된다. 종속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 내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적인 개념은 각각의 제1 영구 주접점의 탄성에 의해 유기적 이어진 접촉 플레이트가 대응하는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편향가능한 방향이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의 접촉 방향, 즉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가능한 주접점의 프로파일과 적어도 대략 대응한다는 점이다. 이로써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은, 자신의 편향 방향으로, 각각의 접촉 플레이트 상에 정밀하게 접촉되고; 이것은 운동학적인 용어로 하나는 휘어진 2개의 레일웨이 버퍼가 접촉하는 것과 대략 비교가능하다. 이 경우, 접촉은 매우 신속하게, 즉 고속으로 개폐된다. 이로써 비교적 높은 이동 경로가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에 의하여 단시간 내에 커버되기 때문에 내전압이 양호해 진다. 또한, 이동가능한 접점이 동일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한 고정 접점 상에 접촉하는 모드 및 방식에서 정확도는 크게 요구되지 않고 추가적인 마찰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단지, 접촉 스프링력을 극복하는 힘만 가해져야 한다.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은 각각의 고정 영구 주접점으로 갑자기 절환되고; 당해 기술에 따른 마찰 연결의 경우에서 보다 마모는 실질적으로 덜 발생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절환 도중에,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이 대응하는 스프링력에 의하여 고정 접점으로부터 떨어지도록 가압되는, 즉 절환을 위하여 추가적인 힘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이다. 이와는 반대로, 당해 기술에서는 마찰력 또한 절환 도중에 극복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부하 절환 스위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부하 절환 스위치의 지지 부재는 각각의 위상마다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 및 이를 작동시키는 수단을 수용 및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이다. 본 명세서에는 이러한 완전한 영구 주접점(2)이 단지 하나만 예시되어 있다. 고정 영구 주접점 쌍(3, 4)은 함께 협동하도록 부하 절환 스위치 전체를 둘러싸는 오일 용기(oil vessel)(도시되지 않음)의 내벽에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3개의 접촉 캐리어(contact carrier)(5, 6, 7)가 각각의 위상마다 제공된다. 저부에 배치되고 부하 절환 스위치의 사이드 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정 영구 주접점(8) 및 상기 고정 영구 주접점 위에 배치되고 부하 절환 스위치의 공통의 부하 분류기로 안내되는 고정 영구 주접점(9)으로 구성되는 제1 고정 영구 주접점 쌍(3)이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고정 영구 주접점(8, 9) 각각은 복수의 개별 접촉 플레이트(8.1, 9.1)를 각각 포함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접촉 플레이트(8.1, 9.1) 각각은 접촉 스프링(10, 11)에 의하여 각각 탄성으로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고정 영구 주접점 쌍(4)은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 고정 영구 주접점 쌍은 완전히 유사한 방식으로, 저부에 배치되고 부하 절환 스위치의 사이드 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정 영구 주접점(12) 및 상기 고정 영구 주접점 위에 배치되고 공통의 부하 분류기로 안내되는 고정 영구 주접점(13)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 경우 고정 영구 주접점(12, 13) 각각은 복수의 개별 접촉 플레이트(12.1, 13.1)를 각각 포함하며, 접촉 스프링(14, 15)에 의하여 각각 완전히 유사한 방식으로 탄성으로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고정 영구 주접점(9, 13)은 제1 도전성 접촉 캐리어(5) 상에 배치되어 공통의 부하 분류기를 형성한다. 고정 영구 주접점(8)은 제2 접촉 캐리어(6) 상에 배치되고 부하 절환 스위치의 사이드 A와 연결되며, 상기 고정 영구 주접점과 절연된 고정 영구 주접점(12)은 제3 접촉 캐리어(7) 상에 배치되고 부하 절환 스위치의 사이드 B와 연결된다.
또한, 도전성을 가진 공통의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16)이 제공된다. 상부 영역의 좌측에는 고정 영구 주접점(9)에 대응하는 런업면(17)을 갖고 우측에는 고정 영구 주접점(13)에 대응하는 런업면(18)을 갖는다. 하부 영역의 좌측에는 고정 영구 주접점(8)에 대응하는 접촉면(19)을 갖고 우측에는 고정 영구 주접점(12)에 대응하는 다른 접촉면(20)을 완전히 유사한 방식으로 갖는다.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16)은, 중앙 위치를 중심으로 부하 절환 스위치의 길이방향 축으로 피벗가능하도록 배치된 베어링(21)(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음)을 갖는다. 영구 주접점(6)의 피벗 경로는 도면에 이중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2개의 런업면(17, 18)은,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16)이 베어링(21)을 중심으로 피벗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부하 절환 스위치의 전기 부하 분류기와 양자 모두 연결되는 고정 영구 주접점(9, 13)과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면 형상을 갖고, 이 런업면 상에서 슬라이딩 또는 롤링한다. 즉,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16)과 부하 분류기의 전기적 연결은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16)의 세팅과는 별개로 영구적으로 연결된다.
이와는 반대로, 저부에 각각 배치되는,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16)의 2개의 접촉면(19, 20)은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16)이 2개의 말단 위치 중 하나의 위치로 피벗할 때에만 각각의 대응하는 고정 영구 주접점(8, 9)과 접촉하도록 구조를 갖는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르면 접촉 플레이트(8.1, 12.1)는 접촉 스프링(10, 14)의 길이방향 축이 각각의 접촉면(19 또는 20)이 접촉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매번 연장되도록 접촉 스프링(10, 14) 쪽으로 각각 연결된다.
이것은 각각의 말단 세팅에서 각각의 접촉 플레이트(8.1 또는 12.1) 상에 접촉될 때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16)이 이들 접촉 플레이트를 러닝-업이나 횡방향으로의 전개없이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자신의 이동 방향으로 정밀하게 편향시킨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2는 평면 A-A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2에는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16) 및 대응하는 접촉 스프링(10, 14)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 방향이 각각의 말단 세팅에 따라 일치되는 것으로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말단 세팅에 도달할 때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16)의 이동 방향 및 상기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이 접촉 플레이트에 접촉될 때 고정식 영구 주접점(8)의 접촉 플레이트(8.1)의 편향 방향이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고정 영구 주접점(12)의 접촉 플레이트(12.1) 상에 완전히 유사한 방식으로 부딪치는 영구 주접점(16)의 타단 세팅이 얇은 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의 개선된 부하 절환 스위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하였고, 도면 부호 1 내지 21로 표시된 부품의 배치 및 기능 모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다르지 않으므로 다시 중복해서 설명하지 않는다. 도 4는 평면 B-B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영구 주접점(2)이 절환될 때, 소정의 작동 조건에서 원하지 않는 아크가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16)에서와 같이 고정 영구 주접점(8, 9)의 접촉 플레이트(8.1, 9.1)에서 원하지 않는 접촉 연소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연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의 고정 영구 주접점(8)은 고정 영구 주접점(9)이 대응하는 침식 접촉 플레이트(erosion contact plate)(23)를 갖는 바와 같이 상부에 배치된 특수한 구조를 가진 침식 접촉 플레이트(22)를 갖는다.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16)과 접촉되는 영역에서, 침식 접촉 플레이트(22, 23) 각각은 특수한 내연성 소재, 예를 들면 텅스텐-구리로 제조된 침식 접촉 인서트(24, 25)를 갖는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16)은 각각의 경우에 침식 접촉 플레이트(22, 23)와 접촉되는 대응하는 영역에 전술한 특징을 갖는 특정의 침식 접촉 인서트(26, 27)를 또한 갖는다.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16)의 침식 접촉 인서트(26, 27)와 같이, 탄성적으로 배치된 고정 침식 접촉 플레이트(22, 23)는 이 경우, 영구 주접점(16)이 절환되는 대응하는 사이드 A 또는 B 상에서 절환되는 경우, 상기 고정 침식 접촉 플레이트가 먼저 서로 접촉, 즉 상기 특수한 소재를 구비한 나머지 접촉 플레이트(8.1, 9.1)가 절환되기 전에 접촉되도록 기하학적인 구조를 갖는다. 다른 방향으로 절환 시, 즉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16)이 이전 위치를 떠날 때, 고정 침식 접촉 플레이트(22, 23)는 최종적으로 대응하는 침식 접촉 인서트(26, 27)와 접촉 해제되고, 즉 나머지 모든 접촉 플레이트(8.1, 9.1)가 이미 접촉 해제된 이후에 접촉 해제된다. 이로써, 발생가능한 아크는 침식 접촉 플레이트(22, 23)의 특정의 내연재로 제조된 침식 접촉 인서트(24, 25) 사이 및 이들 인서트와 각각 협동하는 침식 접촉 인서트(26, 27) 사이에서만 항상 일어나고, 다른 접촉 쌍은 이러한 아크, 즉 원하지 않는 연소에 대하여 확실하게 보호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특정의 내연성 소재로 제조된 특수한 침식 접촉 플레이트(22, 23)를 매번 제공하고 전술한 별개의 침식 접촉 인서트는 불필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내연성을 갖는 구조로 제조된 상기와 같은 특수한 접촉 플레이트 쌍을 일회 이상의 경우에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모든 접촉 플레이트(8.1, 9.1) 및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16) 전체를 상기 특정의 내연성 소재로 또한 제조할 수 있으나, 이것은 비용 문제 때문에 일반적으로 실현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부하 절환 스위치의 실시 형태는 2가지의 추가적인 장점을 갖는다. 한편으로는 모든 접촉 플레이트를 고가의 텅스텐-구리 소재로 제조할 필요가 없다. 다른 한편으로는 검사 등을 수행하는 경우, 단지 침식 접촉 플레이트(22, 23) 및 침식 접촉 인서트(26, 27)만 간단한 방식으로 교체하면 되고, 다른 접촉 쌍에는 시각적으로는 마모가 발생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예에서 침식 접촉 인서트(26, 27)의 교체를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들 침식 접촉 인서트는 나사(28, 29)에 의하여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16)과 별개로 나사 연결된다.

Claims (5)

  1. 탭 절환장치용 부하 절환 스위치에 있어서,
    절환될 각 위상마다, 2가지 상이한 말단 세팅으로 피벗가능한 하나의 이동가능한 도전성 영구 주접점(main contact)(16)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는 2개의 고정 영구 주접점 쌍(3, 4)을 구비하고,
    절환될 각 위상마다, 상기 2개의 영구 접점 쌍(3 또는 4)은 각각 정상 상태(stationary state)로 연결되어 정전류(constant current)를 전도하며,
    상기 2개의 영구 주접점 쌍(3, 4)은 각각, 하부 영구 주접점(8, 12) 및 상기 하부 영구 주접점과 절연된 상부 영구 주접점(9. 13)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하부 영구 주접점(8)은 상기 부하 절환 스위치의 사이드 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다른 하나의 하부 영구 주접점(12)은 상기 부하 절환 스위치의 제2 사이드 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2개의 상부 영구 주접점(9, 13)은 상기 부하 절환 스위치의 공통 부하 분류기(common load shunt)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16)은 상기 상부 영구 주접점(9, 13)과 항상 정전 상태(constant electrical connection)로 배치되며,
    상기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16)은 양쪽 영역에 접촉면(19, 20)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2가지 말단 세팅에서만 상기 2개의 접촉면(19 또는 20) 중 각기 하나는 상기 하부 영구 주접점(8 또는 12) 중 각기 하나와 교호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하부 영구 주접점(8, 12)은 각각 복수개의 개별 접촉 플레이트(8.1, 12.1)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플레이트(8.1, 12.1)는 각각 접촉 스프링(10, 14)에 의하여 탄성으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 플레이트(8.1, 12.1)를 각각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촉 스프링(10, 14)의 길이방향 축은, 상기 접촉 플레이트(8.1, 12.1), 즉 상기 하부 영구 주접점(8, 12)의 편향 방향이 상기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16)의 접촉 방향과 각기 대응하는 방식으로 상기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16)의 각기 다른 접촉면(19 또는 20)의 접촉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절환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 영구 주접점(8, 12)의 상기 접촉 플레이트의 하나 이상이 침식(erosion) 접촉 플레이트(22, 23)로서의 구조를 갖고,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내연성 소재를 포함하며,
    상기 침식 접촉 플레이트(22, 23)와 접촉되는 영역의 상기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16)은 내연성 소재와 유사한 소재로 이루어진 침식 접촉 인서트(26, 27)를 가지며,
    상기 침식 접촉 플레이트(22, 23) 및 상기 대응하는 침식 접촉 인서트(26, 27)는, 상기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16)이 상기 2개의 말단 위치 중 하나의 위치로 절환되는 절환 동작 시마다, 각 사이드의 나머지 접촉 플레이트(8.1, 9.1)가 절환되기 전에 먼저 서로 접촉되며, 절환 중인 각 측면의 나머지 접촉 플레이트(8.1, 9.1)가 상기 영구 주접점(16)과 이미 접촉해제된 후에 최종적으로 접촉해제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절환 스위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16)의 상기 각각의 침식 접촉 인서트(26, 27)와 접촉 중인 영역의 상기 침식 접촉 플레이트(22, 23)도 침식 접촉 인서트(24, 25)를 가지며, 이들은 내연성 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절환 스위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침식 접촉 인서트(26, 27)는 나사(28, 29)에 의하여 상기 이동가능한 영구 주접점(16)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절환 스위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성 소재로서 텅스텐-구리 합금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절환 스위치.
KR1020057007795A 2003-03-19 2004-03-10 시퀀스 스위치용 부하시 탭 절환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0154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12176.5 2003-03-19
DE10312176A DE10312176B3 (de) 2003-03-19 2003-03-19 Lastumschalter für einen Stufenschal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593A true KR20050113593A (ko) 2005-12-02
KR101015495B1 KR101015495B1 (ko) 2011-02-22

Family

ID=32309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7795A Expired - Fee Related KR101015495B1 (ko) 2003-03-19 2004-03-10 시퀀스 스위치용 부하시 탭 절환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998547B2 (ko)
EP (1) EP1620871B1 (ko)
JP (1) JP4403175B2 (ko)
KR (1) KR101015495B1 (ko)
CN (1) CN100437854C (ko)
AT (1) ATE408886T1 (ko)
BR (1) BRPI0406208B1 (ko)
DE (2) DE10312176B3 (ko)
ES (1) ES2311808T3 (ko)
WO (1) WO200408424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27524B3 (de) * 2005-06-15 2006-10-12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Kraftspeicher
DE102005027527B3 (de) * 2005-06-15 2006-08-17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Kraftspeicher
DE102010015051B4 (de) * 2010-04-15 2012-06-14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Mechanischer Schaltkontakt
DE102010020180A1 (de) 2010-05-11 2011-11-17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Lastumschalter für einen Stufenschalter
DE102010050264A1 (de) * 2010-11-02 2012-05-03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Mechanischer Schalter für einen Laststufenschalter
US9417639B2 (en) 2014-03-24 2016-08-16 Brandon & Clark, Inc. Non-bridging position tap changer control and method of operation
DE102014107273B4 (de) * 2014-05-23 2016-10-27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Schalter für eine Schaltvorrichtung und Lastumschalter für einen Laststufenschalter eines Stelltransformators
WO2017036496A1 (de) * 2015-08-28 2017-03-09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Lastumschalter für einen laststufenschalter und dauerhauptschalter und trennschalter hierfür
CN112133584B (zh) * 2020-10-15 2023-03-31 施耐德万高(天津)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旋转型插入式触头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20901C (ko) * 1963-05-17
SE335174B (ko) * 1966-07-27 1971-05-17 Reinhausen Maschf Scheubeck
US3624319A (en) * 1970-04-16 1971-11-30 Westinghouse Electric Corp Transformer switch with improved rotary axial bridging contact structure
US3902030A (en) * 1973-08-31 1975-08-26 Laurentiv Popa Diverter switch for on-load changers
US4112274A (en) * 1976-02-04 1978-09-05 General Power Corp. Electrical control
DE3401297A1 (de) 1984-01-16 1985-07-18 Transformatoren Union Ag, 7000 Stuttgart Lastwaehler fuer stufentransformatoren
IN169357B (ko) * 1986-07-05 1991-09-28 Reinhausen Maschf Scheubeck
DE3928359C1 (ko) * 1989-08-28 1991-01-24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8400 Regensburg, De
DE4016428C1 (ko) * 1990-05-22 1991-11-07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8400 Regensburg, De
DE4141142C1 (ko) * 1991-12-13 1993-04-08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8400 Regensburg, De
SE500609C2 (sv) * 1992-07-09 1994-07-25 Asea Brown Boveri Lindningskopplare
DE19510809C1 (de) * 1995-03-24 1996-07-04 Reinhausen Maschf Scheubeck Lastumschalter eines Stufenschalters
DE19542880C1 (de) * 1995-11-17 1997-02-20 Reinhausen Maschf Scheubeck Fester Polungskontakt für Stufenschalter
DE10050895C1 (de) * 2000-10-13 2002-08-08 Reinhausen Maschf Scheubeck Lastumschalter für einen Stufenschalter
DE10050932C1 (de) * 2000-10-13 2002-06-13 Reinhausen Maschf Scheubeck Kraftspeicher für einen Stufenschalter
US6693248B1 (en) * 2002-10-28 2004-02-17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electrical po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2004008089D1 (de) 2008-10-30
CN100437854C (zh) 2008-11-26
BRPI0406208A (pt) 2005-08-09
ES2311808T3 (es) 2009-02-16
WO2004084241A2 (de) 2004-09-30
BRPI0406208B1 (pt) 2016-10-25
EP1620871B1 (de) 2008-09-17
DE10312176B3 (de) 2004-06-09
WO2004084241A3 (de) 2006-02-23
JP2006520535A (ja) 2006-09-07
ATE408886T1 (de) 2008-10-15
HK1085836A1 (zh) 2006-09-01
US6998547B2 (en) 2006-02-14
JP4403175B2 (ja) 2010-01-20
EP1620871A2 (de) 2006-02-01
CN1836299A (zh) 2006-09-20
KR101015495B1 (ko) 2011-02-22
US20050205394A1 (en) 200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0630B1 (ko) 셀렉터스위치
RU2683797C1 (ru) Коммут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9218918B2 (en) Single pole switching unit and switchgear device comprising one such unit
CA2199350A1 (en) A power circuit breaker with a high-speed bridging contact
KR101015495B1 (ko) 시퀀스 스위치용 부하시 탭 절환장치
US6689979B1 (en) Switching contact arrangement of a low voltage circuit breaker with main contacts, intermediate contact and arcing contacts
US4529853A (en) Electric circuit breaker with self blow-out by rotation of the arc
US20130112541A1 (en) Load transfer switch for a tap changer
JP3967387B2 (ja) アーク切換開閉器
CN113745024A (zh) 电气开关
AU2001271128B2 (en) Switch with auxiliary and main contacts
US7202427B2 (en) Switch contact arrangement comprising a device for increasing a contact-force acting between switch contacts
AU2001271128A1 (en) Switch with auxiliary and main contacts
WO2017059912A1 (en) An arc extinguishing chamber for a switching device
WO2021204992A1 (en) Commutating electric circuit breaker with reliable actuating mechanism and operation method thereto
EP3046129B1 (en) Shunt breaking system
JP4069863B2 (ja) 電力開閉器
KR100609417B1 (ko) 회로차단기의 쌍방향 한류형 아크 분류 장치
EP3091547B1 (en) Circuit breaker
JP2002304935A (ja) シーソースイッチ
SU955245A1 (ru) Коммутирующий розеточный контакт
JP2022012663A (ja) 接地開閉器
CN116936296A (zh) 一种滑动接触式弧触头结构及隔离开关
SU955260A2 (ru) Контактный узел с промежуточным жидкометаллическим контактом
JPS5825031A (ja) 回路しや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21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21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