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103713A - 이동통신 단말기 하우징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하우징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3713A
KR20050103713A KR1020040028991A KR20040028991A KR20050103713A KR 20050103713 A KR20050103713 A KR 20050103713A KR 1020040028991 A KR1020040028991 A KR 1020040028991A KR 20040028991 A KR20040028991 A KR 20040028991A KR 20050103713 A KR20050103713 A KR 20050103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housing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upper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28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3713A/ko
Publication of KR20050103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713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하우징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하우징의 측면에 나사공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공에 나사 체결하여 단말기의 견고한 체결은 물론 단말기 내부의 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 하우징의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에 있어서, 상부하우징의 측벽부에 결합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복수의 체결편; 상기 상부하우징에 대응되는 하부하우징의 측벽부에 상기 상부하우징의 측벽부에 설치되는 체결편에 형성된 체결공과 동일한 크기의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편; 및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체결편에 형성된 체결공을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하우징의 체결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하우징의 체결구조{Fixing structur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using}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하우징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하우징의 측면에 나사공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공에 나사 체결하여 단말기의 견고한 체결은 물론 단말기 내부의 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 하우징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는 특정인들만 사용하는 기호품이 아니라, 거의 대다수의 사람들이 소지하고 사용하는 필수품이 되었다. 따라서, 그 디자인 및 기능이 더욱 다양화되고 있고, 특히 사용자가 편리하게 소지할 수 있게 단말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을 별도로 제작하여 상기 하우징들의 결합을 통해 단말기의 외형을 이룬다. 상기 하우징들의 조립은 주로 후크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1a 및 도1b를 참조하여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 하우징의 체결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1a 및 도1b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폴더부, 즉 각종 숫자키, 송신부 등이 구비되는 제1폴더부의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상부하우징(10)은 각종 숫자키 및 액정표시화면 등을 단말기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하우징(10)와 하부하우징(20)을 포개었을 때, 서로 접촉되는 부위, 즉 상기 상부하우징(10) 및 하부하우징(20)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부에 후크(11)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후크(11)에 대응되는 삽입홈(21)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홈(21)에 후크(11)가 삽입 체결됨으로 상기 상부하우징(10)과 하부하우징(20)은 1차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상부하우징(10)과 하부하우징(20)을 1차 체결한 후, 상기 상부하우징(10) 및 하부하우징(20)에 구비된 나사체결공(12, 22)에 나사를 삽입하여 2차 체결을 하여 상기 하우징들의 결합을 완료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 하우징의 체결구조는, 견고한 체결을 위해 복수의 나사체결공들(12, 22)을 하우징들이 이루는 내부 공간 상에 배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나사체결공들(12, 22)을 배치시키기 위한 내부 공간 확보를 위해 단말기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나사체결공(12, 22)은단말기의 내부 공간 곳곳에 고르게 분포되어야 하므로, 내부 공간 설계에도 제약이 생기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단말기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의 측면에 나사공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공에 나사를 체결하여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을 결합함으로써, 단말기의 내부 공간을 줄일 수 있어 전체적인 단말기의 크기가 줄어둘어 단말기의 소형화, 경량화를 이룰 수 있고, 내부 부품들의 배치도 다양하게 할 수 있어 설계 및 디자인의 다양화를 이룰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히우징의 체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에 있어서, 상부하우징의 측벽부에 결합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복수의 체결편; 상기 상부하우징에 대응되는 하부하우징의 측벽부에 상기 상부하우징의 측벽부에 설치되는 체결편에 형성된 체결공과 동일한 크기의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편; 및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체결편에 형성된 체결공을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하우징의 체결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체결편은 상기 하우징들의 측벽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하우징 또는 하부하우징의 측벽부 중 어느 하나는 단차진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나머지 측벽부를 안정되게 지지한다.
상기 체결편은 인쇄회로기판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편에 형성된 체결공에 대응되는 상기 상부하우징 또는 하부하우징의 측벽부에는 동일 크기의 체결공이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2a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a 및 도2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하우징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3a 및 도3b는 각각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하우징의 체결구조는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의 견고한 체결을 위한 것으로, 각각 단말기 제1폴더부의 상면 및 하면의 외형을 이루는 상부하우징(100) 및 하부하우징(200)의 측벽부(210)에 결합된 체결편(300)에 형성된 체결공(310)에 체결부재(미도시)를 삽입함으로 상기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을 체결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상부하우징(100) 및 하부하우징(200)의 모서리부에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측벽부(110, 210)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들(110, 210)은 상기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이 서로 포개어져서 결합될 때, 측벽부(110, 210)의 측면들이 서로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벽부(110, 210)에는 복수의 체결편(300)이 결합되는데, 상기 체결편(300)은 상기 상부하우징(100) 또는 하부하우징(200)의 사출 성형시 함께 성형되거나, 사출 성형 후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하우징(100) 또는 하부하우징(200)의 사출 성형시, 금형 내에 미리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들을 성형하게 되면 설계된 위치에 체결편(300)이 위치되게 되고, 상기 상부하우징(100) 또는 하부하우징(200)의 성형 후에는 상기 상부하우징(100) 및 하부하우징(200)의 측벽부(110, 210)에 상기 체결편(300)이 삽입되는 슬롯을 형성시키고 상기 슬롯에 체결편(300)을 끼워 넣어 고정시킨다.
상기 체결편(300)의 형상은 일자형 또는 'ㄱ'자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측벽부(110, 210)에 형성된 슬롯 상에 끼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편(300)이 상기 측벽부(110, 210)에 결합되었을 경우, 상기 측벽부(110, 210)와 나란하게 위치되는 부위, 즉 상기 측벽부(110, 210)의 측면과 평행한 부위에는 체결공(310)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편(300)은 상기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이 결합될 때, 상기 제1폴더부의 테두리부에 걸쳐 고르게 분포되게 배치하여 상기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이 가장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편(300)이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에 각각 4 내지 5개 정도 설치되게 배치하였다.
또한, 상기 체결편(300)은 상기 측벽부(110, 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체결편(300)을 별도로 제작하지 않고,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측벽부(110)에 체결공(310)을 형성시키고 그에 대응되는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측벽부(210)에 체결공을 형성시켜 서로 포갠 후에 상기 체결공들(310)을 통해 외측에서 체결부재(미도시)를 삽입시켜 고정함으로써 상기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을 결합시킨다.
상기 체결부재(미도시)는 나사인 것이 그 설치나 설치 후의 견고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편(300)의 소재는 상기 체결부재(미도시)의 인입출 시 파손의 우려를 최소화하여야 하므로, 어느 정도 이상의 경도를 가진 금속성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편(300)은 상기 측벽부(110, 210)와 일체로 형성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측벽부(110, 210)를 성형할 때, 체결공(310)을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측벽부(110, 210)에 형성시키고 그에 대응되게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측벽부(110, 210)에도 체결공을 형성시켜서 상기 체결공들(310)을 통해 체결부재(미도시)를 삽입 체결함으로써 상기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을 체결시킨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100) 또는 하부하우징(200)의 측벽부(110, 210) 중 어느 하나는 단차진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그에 대응되는 측벽부가 단차진 측벽부에 안정되게 안착되므로 안정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도3a 및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의 측면을 통해 그 결합을 도모하므로, 단말기 내부 공간에 체결을 위한 별도의 체결공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서 내부 공간의 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디자인 및 설계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구성이다. 또한, 단말기의 내부 공간에 체결공이 형성되지 않아도 되므로, EMI를 도포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어 내부 공간 전체에 걸쳐 균일한 저항치를 유지시킬 수 있어서 품질 개선의 폭을 넓혀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4는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하우징 체결구조의 요부인 체결편이 인쇄회로기판 상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인쇄회로기판(220)의 측면에 체결편(300)을 장착하여서 하우징의 결합과 동시에 인쇄회로기판(220)을 결합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체결편(30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220)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220)은 하우징에 위치된 채로 단말기 외측에서 관통되는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의 측벽부(110, 210)에는 상기 체결편(300)에 형성된 체결공(310)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20)에 체결편(300)을 결합시키는 경우는 인쇄회로기판(220)의 고정과 하우징의 조립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 하우징의 체결구조의 조립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을 서로 대향되게 맞대어서, 그 측벽부(110, 210)가 서로 접촉되거나 근접되게 위치시킨다. 즉, 상기 상부하우징(100)에 구비된 체결편(300)의 체결공(310)과 상기 하부하우징(200)에 구비된 체결편(300)의 체결공(310)을 서로 잘 맞도록 위치시킨다. 그 다음에 단말기 외측에서 체결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공(310)을 관통하여 삽입함으로써, 상기 하우징들의 결합을 완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하우징의 체결구조는 단말기의 측면을 통해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을 고정시키는 구조를 취하므로, 단말기 내부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고, 그 설계 및 디자인 측면에서 다양화를 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a 및 도1b는 각각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 하우징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a 및 도2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하우징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3a 및 도3b는 각각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하우징 체결구조의 요부인 체결편이 인쇄회로기판 상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상부하우징 110: 측벽부
200: 하부하우징 210: 측벽부
220: 인쇄회로기판 300: 체결편
310: 체결공

Claims (4)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에 있어서,
    상부하우징의 측벽부에 결합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복수의 체결편;
    상기 상부하우징에 대응되는 하부하우징의 측벽부에 상기 상부하우징의 측벽부에 설치되는 체결편에 형성된 체결공과 동일한 크기의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편; 및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체결편에 형성된 체결공을 체결하는 체결부재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하우징의 체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편은 상기 하우징들의 측벽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하우징의 체결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 또는 하부하우징의 측벽부 중 어느 하나는 단차진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나머지 측벽부를 안정되게 지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하우징의 체결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편은 인쇄회로기판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편에 형성된 체결공에 대응되는 상기 상부하우징 또는 하부하우징의 측벽부에는 동일 크기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하우징의 체결구조.
KR1020040028991A 2004-04-27 2004-04-27 이동통신 단말기 하우징의 체결구조 Withdrawn KR200501037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991A KR20050103713A (ko) 2004-04-27 2004-04-27 이동통신 단말기 하우징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991A KR20050103713A (ko) 2004-04-27 2004-04-27 이동통신 단말기 하우징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713A true KR20050103713A (ko) 2005-11-01

Family

ID=37281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991A Withdrawn KR20050103713A (ko) 2004-04-27 2004-04-27 이동통신 단말기 하우징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37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0397B1 (en) Cover structur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474292B1 (ko) 이동 단말기의 폴더
US20010035442A1 (en) Casing for housing small portable equipment
CN1219832A (zh) 移动电话手机
US6788531B2 (en) Panel mounting apparatus
US20090103192A1 (en) Lens module structure with a metal shell and assembling method therefor
US7601925B1 (en) Fixing device for button
KR100813692B1 (ko) 휴대 단말기
US20070128942A1 (en) Smart card connector with a holding structure
US20030095656A1 (en) Rugged design and method for housing an electronic device
US747773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ver and structural body thereof
KR20050103713A (ko) 이동통신 단말기 하우징의 체결구조
JP2006278248A (ja) 操作釦を備えた電子機器
KR100310854B1 (ko) 휴대용 복합 무선단말기의 엘씨디 모듈 고정구조
JP2001144835A (ja) 携帯無線装置
US20100165570A1 (en) Latching structur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US8885351B2 (en) Portable terminal
JP3735514B2 (ja) 筐体嵌合構造
CN220959128U (zh) 具有装饰件的内胆结构、冰箱
JP2005217298A (ja) 電子機器
KR100418702B1 (ko) 휴대용 정보단말기
JPH10154213A (ja) Pcカード
KR101585224B1 (ko) 휴대폰 케이스
CN211545585U (zh) 一种用于电梯召唤盒的显示盖板及电梯召唤盒
KR100549927B1 (ko) 개방형 키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