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101738A -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 Google Patents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1738A
KR20050101738A KR1020040026914A KR20040026914A KR20050101738A KR 20050101738 A KR20050101738 A KR 20050101738A KR 1020040026914 A KR1020040026914 A KR 1020040026914A KR 20040026914 A KR20040026914 A KR 20040026914A KR 20050101738 A KR20050101738 A KR 20050101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drying
hot air
drying duct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6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상태
김재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6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1738A/ko
Priority to US11/037,407 priority patent/US20050229646A1/en
Priority to DE102005018046A priority patent/DE102005018046B4/de
Publication of KR20050101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1738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유로구조의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에 비해 건조효율 및 건조성능을 향상시킨 새로운 유로구조가 채용된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경된 시스템에 적합한 건조덕트의 방열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세탁수를 저장하도록 캐비닛 내에 설치되고, 전면의 상부에 열풍유입구가 형성된 터브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면에 열풍흡입홀이 형성된 드럼과; 상부덮개와 하부덮개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상기 터브의 상부측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고정 설치되고, 열풍을 발생시키도록 그 내부에 히터 및 송풍팬이 내장되며, 그 일단부가 상기 터브의 열풍유입구에 연결되어 내부에서 생성된 열풍을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건조덕트와; 상기 터브의 후면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건조덕트에 타단부가 연결되도록 상기 터브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에 함유된 습기를 제거하여 상기 건조덕트로 안내하는 응축덕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건조덕트의 상부덮개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히터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발열시키는 방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가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조겸용 드럼세탁기{drum-type washing machine with dryer}
본 발명은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덕트와 밀착되게 설치된 터브의 변형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한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세탁기는 세제, 세탁수 및 세탁물을 드럼 내에 투입한 상태에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드럼세탁기는 세탁물의 손상이 적고 세탁물이 잘 엉키지 않으며, 두드리고 비벼빠는 세탁효과를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종래기술에 따른 드럼세탁기에 관하여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건조겸용 드럼 세탁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전면에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된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세탁물 투입구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20)와,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세탁수를 저장하도록 설치되는 금속재질의 터브(30)와, 상기 터브(3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40)과, 상기 터브(30)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4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20)에는 터브(30)의 개구부측으로 돌출되도록 도어 글래스(21)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 상부면 내측과 터브(30) 외주면 상부측 사이에는 터브(30)를 지지하는 행잉 스프링(90)(Hanging spring)이 설치되고,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캐비닛(10) 하부면 내측과 터브(30) 외주면 하부측 사이에는 드럼세탁기 작동시 발생하는 터브(30)의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한 프릭션 댐퍼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모터장치(50)로는 모터(51)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벨트(52)에 의해 세탁축(53)에 전달하여 드럼(40)을 회전시키는 간접 구동방식이 적용된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의 상부 내측면에는 건조덕트(60)가 설치된다. 이 때, 상기 건조덕트(60)에는 열풍을 토출할 수 있도록 송풍팬(62)과 히터(61)가 내장된다. 이러한 건조덕트(60)의 일단부는 터브(30)의 도어(20)측 개구부와 연통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건조덕트(60)의 일단부와 터브(30)의 개구부는 가스켓(80)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가스켓(80)은 상기 터브(30)의 전면 내측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터브(30)의 진동을 수용하도록 주름진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건조덕트(60)와 터브(30)의 연결부를 통해 열풍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터브(30)에는 건조덕트(60)와 연통되도록 응축덕트(7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응축덕트(70)의 일단부는 터브(30)의 외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응축덕트(70)의 타단부는 건조덕트(60)에 연결된다. 이러한 응축덕트(70)에는 공기 중의 습기를 응축시켜 습기를 제거하도록 냉각수를 공급하는 급수기(71)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드럼세탁기는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 및 건조행정을 수행한다. 이하, 드럼세탁기의 건조행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드럼세탁기의 건조행정이 시작되면, 상기 건조덕트(60)의 히터(61)에 전원이 인가된다. 이때, 상기 송풍팬(62)과 히터(61)가 가동됨에 따라 상기 송풍팬(62)은 열풍을 송풍시킨다.
이러한 열풍은 건조덕트(60)의 안내에 의해 상기 도어 글래스(21)의 경사진 부분에 부딪혀 상기 드럼(40)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40) 내부로 유입된 열풍은 세탁물을 가열하여 세탁물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킨다. 이 때, 상기 드럼(40)이 저속으로 회전되면서 세탁물을 교반시켜줌으로써, 상기 세탁물이 골고루 열풍에 노출되도록 하여 수분의 증발을 돕는다.
이렇게 증발된 수분은 공기에 포함된 상태로 응축덕트(70)를 통해 배출된다. 이 때, 상기 응축덕트(70)의 급수기(71)에서 물을 분사함으로써,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한다. 이렇게 습기가 제거된 공기는 다시 건조덕트(60)로 유입되고 건조덕트(60)로 유입된 공기는 히터(61)와 송풍팬(62)에 의해 열풍으로 변환되어 드럼(40)으로 재유입되어 세탁물에 대해 건조작용을 수행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세탁물을 건조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드럼세탁기는 건조덕트(60)가 가스켓(80) 상부 일측에 연결되어 이부분을 통해 드럼(40) 내부로 공급되고, 공급된 건조공기는 다시 터브(30)의 전방 측면을 통해 배출되어 순환하는 구조를 갖고 있어 건조효율등 여러가지 면에서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첫째, 드럼(4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가 드럼(40) 내부 깊숙이 침투되지 못한 상태에서 터브(30) 전방 측면을 통해 배출됨을 인해 드럼(40) 내부 깊숙한 곳에서는 건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유로구조는 건조효율 및 건조성능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둘째, 기존의 건조겸용 드럼세탁기는 건조덕트(60)가 가스켓(80)에 연결되어 있는데, 건조덕트(60)는 고정되어 있고, 가스켓(80)은 터브(30)의 진동시 유동하게 됨으로 인해 가스켓(80)의 마모 및 찢어짐 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열변형이 작은 고가의 가스켓을 설치해야 하므로, 제조단가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상기 건조덕트(60)가 가스켓(80)을 통해 수직하방으로 토출되는데, 이는 드럼(40)의 축방향과 어긋난 것이고, 토출되는 열풍이 도어 글래스(20)에 부딪혀 저항을 받게 됨으로써 이 또한 열풍이 드럼(40) 깊숙이 투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보다 큰 용량을 갖는 송풍기를 설치해야 한다.
넷째, 상기 건조덕트(60)의 열풍은 가스켓(80)을 거쳐 상기 도어 글래스(21)의 경사진 부분에서 절환되어 드럼(40)에 유입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상기 도어(20)와 터브(30)가 불필요하게 가열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기존 유로구조의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에 비해 건조효율 및 건조성능을 향상시킨 새로운 유로구조가 채용된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경된 시스템에 적합한 건조덕트의 방열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세탁수를 저장하도록 캐비닛 내에 설치되고, 전면의 상부에 열풍 유입구가 형성된 터브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면에 열풍 흡입구이 형성된 드럼과, 상부덮개와 하부덮개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상기 터브의 상부측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고정 설치되고, 열풍을 발생시키도록 그 내부에 히터 및 송풍팬이 내장되며, 그 일단부가 상기 터브의 열풍유입구에 연결되어 내부에서 생성된 열풍을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건조덕트와, 상기 터브의 후면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건조덕트에 타단부가 연결되도록 상기 터브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에 함유된 습기를 제거하여 상기 건조덕트로 안내하는 응축덕트 그리고, 상기 건조덕트의 상부덮개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히터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발열시키는 방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겸용 드럼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과 일치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종래 도면부호를 그대로 인용하기로 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조덕트가 적용된 건조겸용 드럼 세탁기의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대한 건조덕트의 상부덮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다음,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조덕트의 상부덮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건조덕트의 상부덮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즉,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건조겸용 드럼세탁기는 크게 캐비닛(10)과, 터브(30)와, 드럼(40)과, 건조덕트(100)와, 응축덕트 그리고, 방열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캐비닛(10)은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의 외관을 이루며, 상기 캐비닛(10) 내부에는 상기 터브(100)가 설치된다.
이 때, 상기 터브(30)는 재료비를 절감하는 것과 더불어 무게를 줄이기 위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는 플라스틱 재질의 소재로 형성된 것이 제시된다.
이 때, 상기 터브(30)는 전면 상부에 열풍 유입구(31)가 형성되며, 상기 열풍 유입구(31)와 대응되는 후면 하부에는 열풍 토출구(3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40)은 상기 터브(3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드럼(40)의 전면에는 상기 열풍을 흡입하는 열풍 흡입구(41)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덕트(100)는 상부덮개(110)와 하부덮개(12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건조덕트(100)의 하부덮개(120)가 상기 터브(30) 외주면의 상측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건조덕트(100)의 내부에는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발생시는 히터(61) 및 송풍팬(62)이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는 상기 건조덕트(100)의 상부덮개(110)가 철 소재로 제작되고, 상기 하부덮개(120)가 알루미늄합금 소재로 제작된 것이 제시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덮개(120)는 상기 다이케스팅 작업에 의해 제작된다.
상기 하부덮개(120)만을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하여, 다이케스팅 작업으로 제작한 것은, 상기 건조덕트(100)를 제작하기 위한 제작비를 절감하되, 상기 터브(30)의 변형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함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터브(30)와 직접체결되는 건조덕트(100)의 하부덮개(120)에 있어서, 상기 하부덮개(120)가 상기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터브(30)가 하부덮개(120)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열전도율과 내식성 및 내열성이 좋은 알루미늄합금 소재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방열수단(200)은 상기 건조덕트(100)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건조덕트(100) 내의 히터(61)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킨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방열수단(200)은 다수개의 방열핀(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방열핀(210)을 상기 건조덕트(100)의 종방향을 따라 임의의 간격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물론, 상기 방열핀(210)이 상기 건조덕트(100)의 횡방향을 따라 구비되어도 상관없다.
즉, 상기 상부덥게(110)의 상면에 상기 상부덮개(110)와는 별도록 방열핀(210)을 제작하여, 상기 방열핀(210)을 상부덮개(110)에 종방향 혹은, 횡방향을 따라 임의의 간격을 두고 설치하면, 건조 드럼세탁기의 건조행정 시, 상기 건조덕트(100) 내의 히터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면적이 증가되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건조덕트(100)내의 히터가 작동하여 열이 발생하게 되면, 열의 일부는 상기 하부덮개(120)로 전달되어 방열이 이루어진다.
또한, 열의 일부는 상기 상부덮개(110)로 절달되어, 상기 상부덮개(110)에서 방열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방열핀(210)에 의해 방열면적이 증가한 상부덮개(110)로 히터(61)에서 발생되는 상당한 량의 열이 전달되어, 많은 열을 방열시킬 수 가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건조덕트(100)의 하측에 위치한 상기 터브(30)에 극히 적은 열이 전달되어, 상기 터브(30)의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방열수단(200)이 상기 별도의 방열핀(210)으로 제작되어, 상기 건조덕트(100)의 상부덮개(110)에 부착되는 것이 제시됐지만, 상기 방열수단(200)이 별도로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상부덮개(110) 그 자체를 이용하여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방열수단(200)이 상기 건조덕트(100)의 상부덮개(110)로부터 외측으로 요입된 다수개의 방열홈(220)으로 형성된 것이 제시된다.
이는, 상기 상부덮개(110)의 방열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상부덮개(110)를 제작할 때, 상기 상부덮개(110)의 상면을 판금 작업으로 일부가 상측으로 요입되도록 하여, 다수개의 방열홈(220)을 형성시킨다.
즉, 상기 상부덮개(110)에 다수개의 방열홈(22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부덮개(110)로 전달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방열면적이 증가되는 것이다.
따라서,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의 건조행정 시, 상기 히터(61)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방열면적이 증가됨으로써, 방열효율은 향상되고 이로 인해, 상기 터브(61)로 전달되는 열이 극히 적어, 상기 터브(61)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건조덕트(100)의 상부덮개(110)의 상면에 구비되는 방열수단(200)이 다수개의 방열핀(210)이 구비된 것과, 다수개의 방열홈(220)이 형성된 것이 제시된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덮개(110)에 방열핀(210)이 구비된 것이 제시되고, 제2실시예에서는 방열홈(220)이 형성된 것이 제시됐지만,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방열핀(210)과 방열홈(220)이 동시에 형성된 것이 제시된다.
이 때, 상기 다수개의 방열홈(220)이 상기 상부덮개(110)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방열홈(220)이 형성된 상측에 상기 방열핀(210)이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상부덮개(120)에 상기 방열홈(220)과 방열핀(21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히터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접촉면적이 더욱 증가된다.
이와 같이, 각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건조덕트(100) 내부의 히터(61)로부터 발생되는 열의 일부는 상기 하부덮개(120)로 전달되어 방열이 이루어지고, 일부는 상기 상부덮개(110)에서 상기 방열홈(220) 및 방열핀(210)으로 전달되어 방열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상기 터브(30)로 극히 적은 열이 전달되어, 터브(30)에 변형이 일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건조덕트(100)의 상부덮개(110)와 하부덮개(120) 중 하부덮개(120)만 알루미늄합금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상기 건조덕트(100)를 제작하기 위한 제작비가 절감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겸용 드럼세탁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가 드럼 내부 깊숙이 침투되어 건조가 모든 세탁물에 고르게 이루어지게 되어 건조효율 및 건조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즉, 상기 건조덕트에서 발생된 열풍이 드럼의 전방측 상부로 유입되어 유입방향과 대각선 방향인 드럼의 후방측 하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드럼 내부 깊숙이 열풍이 공급되므로 건조효율 및 건조성능이 향상된다.
둘째, 기존의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와는 달리 건조덕트가 터브에 연결됨으로써 가스켓의 마모 및 찢어짐 현상이 해소된다.
셋째, 토출되는 열풍이 도어 글래스에 부딪쳐 저항을 받지 않고 드럼 내부로 투입됨으로써 열풍이 드럼 깊숙이 투입될 수 있고, 이를 통해서도 건조효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넷째, 터브를 통해 건조덕트의 열풍은 가스켓을 거치지 않고 드럼으로 유입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종래와는 달리 도어와 터브가 불필요하게 가열되는 현상이 해소된다.
다섯째, 상기 건조덕트와 응축덕트를 터브에 고정시키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연결부에 별도의 가스켓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각 덕트의 공기 유동유로를 단축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건조덕트가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 역할을 하게 되어 터브의 균형 유지력을 향상시킨다.
일곱째, 건조덕트의 상부덮개에 방열수단이 구비됨으로써, 히터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의한 방열효율이 향상되어, 터브에는 극히 적은 열이 전달어, 상기 터브에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여덟째, 건조덕트의 상부덮개와 하부덮개 중 하부덮개만 알루미늄합금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상기 건조덕트를 제작하기 위한 제작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건조겸용 드럼 세탁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조덕트가 적용된 건조겸용 드럼 세탁기의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대한 건조덕트의 상부덮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조덕트의 상부덮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건조덕트의 상부덮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캐비닛 30: 터브
31: 열풍 유입구 32: 열풍 토출구
40: 드럼 41: 열풍 흡입구
61: 히터 62: 송풍팬
100: 건조덕트 110: 상부덮개
120: 하부덮개 200: 방열수단
210: 방열핀 220: 방열홈

Claims (5)

  1. 세탁수를 저장하도록 캐비닛 내에 설치되고, 전면의 상부에 열풍 유입구가 형성된 터브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면에 열풍 흡입구이 형성된 드럼과;
    상부덮개와 하부덮개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상기 터브의 상부측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고정 설치되고, 열풍을 발생시키도록 그 내부에 히터 및 송풍팬이 내장되며, 그 일단부가 상기 터브의 열풍유입구에 연결되어 내부에서 생성된 열풍을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건조덕트와;
    상기 터브의 후면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건조덕트에 타단부가 연결되도록 상기 터브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에 함유된 습기를 제거하여 상기 건조덕트로 안내하는 응축덕트; 그리고,
    상기 건조덕트의 상부덮개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히터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발열시키는 방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덕트의 상부덮개는 철 소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덕트의 하부덮개는 알루미늄합금 소재를 사용하여, 다이캐스팅 작업에 의해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수단은
    다수개의 방열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임의의 간격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수단은
    드기 건조덕트의 상부덮개로부터 외측으로 요입된 다수개의 방열홈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KR1020040026914A 2004-04-19 2004-04-20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KR2005010173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914A KR20050101738A (ko) 2004-04-20 2004-04-20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US11/037,407 US20050229646A1 (en) 2004-04-20 2005-01-19 Washing machine
DE102005018046A DE102005018046B4 (de) 2004-04-19 2005-04-19 Waschmas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914A KR20050101738A (ko) 2004-04-20 2004-04-20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738A true KR20050101738A (ko) 2005-10-25

Family

ID=35094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6914A KR20050101738A (ko) 2004-04-19 2004-04-20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50229646A1 (ko)
KR (1) KR200501017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2098A (ko) * 2009-09-22 2011-03-30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중장비용 유압탱크설치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641B1 (ko) * 2009-01-09 2015-07-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및 그 건조유닛
CN105696247A (zh) * 2014-11-27 2016-06-22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干一体洗衣机
US20220145507A1 (en) * 2020-11-06 2022-05-12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Heating The Clothes Load In A Tumbling Combination Washer/Dry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2438A (en) * 1969-09-08 1975-07-01 Chester H John Air channeling means
KR930003337B1 (ko) * 1991-05-27 1993-04-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건조덕트
US5187879A (en) * 1992-04-27 1993-02-23 Melvin Holst Fabric dryer with rotary microwave choke seal
JP2001178985A (ja) * 1999-12-27 2001-07-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乾燥機
EP1229160B1 (en) * 2001-02-01 2007-01-24 Lg Electronics Inc. Pulsator type washing machine with drying fun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2098A (ko) * 2009-09-22 2011-03-30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중장비용 유압탱크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29646A1 (en) 200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1492B2 (en) Washing machine with steam generator
KR100617110B1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KR20050101660A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KR101071817B1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US20060260367A1 (en) Drum type washing and drying machine
KR101033584B1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의 방열판 체결구조
KR20050101738A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KR100546613B1 (ko) 드럼 세탁기
JP2008086620A (ja) 洗濯乾燥機
KR101033585B1 (ko) 드럼세탁기
KR101033586B1 (ko) 드럼세탁기
KR100556420B1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CN100519912C (zh) 具备烘干功能的滚筒洗衣机的虹吸现象防止结构
KR100617111B1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KR101111511B1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의 역수압방지 구조
KR101053584B1 (ko) 드럼세탁기
KR20050101739A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KR20050101740A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KR20050101788A (ko) 드럼세탁기
KR100546612B1 (ko) 드럼 세탁기
KR20050105527A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의 역수압방지 구조
KR20050101741A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KR20050105526A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의 사이펀 작용 방지 구조
KR100640821B1 (ko) 드럼 세탁기
KR20200045749A (ko) 의류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