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5542A - 자동 덮개가 달린 신발 - Google Patents
자동 덮개가 달린 신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95542A KR20050095542A KR1020047010845A KR20047010845A KR20050095542A KR 20050095542 A KR20050095542 A KR 20050095542A KR 1020047010845 A KR1020047010845 A KR 1020047010845A KR 20047010845 A KR20047010845 A KR 20047010845A KR 20050095542 A KR20050095542 A KR 200500955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able support
- shoe
- upper element
- shoes
- open posi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1/00—Footwear with arrangements to facilitate putting-on or removing, e.g. with strap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08—Combined fastenings, e.g. to accelerate undoing or fastening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의 뒷덮개부(5)는 가동지지대(6)에 연결되고, 가동지지대는 발뒷굼치에서 떨어진 개방위치와 뒷굽을 홀딩하는 폐쇄위치 사이를 움직이며, 뒷굽(3) 내부의 메커니즘에 연결되고, 상기 메커니즘은 사용자가 뒷굼치로 뒷굽(3)을 누르는 압력에 의해 작동되어, 가봉지지대(6)를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움직이며, 이 위치에서 제1 유지해제수단(10,26,50,70,90,100,110,120,130,140,150,160)에 의해 유지되고, 사용자의 다른쪽 발로 메커니즘의 부재(24,36,51,71,91,101,111,121,131,141, 151,152)를 누르면 가동지지대(6)가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움직이며, 이 위치에서 제2 탄성 유지해제수단(7,25,52,72,92,102,112,122,132,142,152,162)에 의해 유지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 덮개가 달린 신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발뒷굼치를 이용해 신발의 뒷부분을 뒷굼치로 움직여 작동될 수 있는 자동 덮개기구가 달린 신발에 관한 것이다.
사람에 따라서는, 나이가 많거나, 임산부이거나, 척추통증, 비만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신발을 신는 것 자체가 불편하거나, 곤란하거나, 힘들거나 심지어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이런 사람들을 위해,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즉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도 신발을 신고 벗을 수 있는 자동덮개가 달린 신발이 쓸모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당 분야에서는 이런 특징을 갖는 신발은 알려진 것이 없다.
스키 분야에서는, 사용자가 신은 부츠를 스키에 고정하기 위한 바인딩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들 장치중 하나는 스키 앞부분에 부착된 소켓과, 스키 뒷부분에 부착된 덮개기구를 포함한다. 부츠에는 바인딩장치에 의해 고정되도록 특수 설계된 전후방 돌출부가 달려있다. 스키를 신으려면, 부츠를 신은채 부츠의 전방 돌출부를 전방의 요홈에 삽입한 다음 뒷굼치로 후방 덮개기구의 버튼을 눌러, 덮개를 부츠의 후방돌출부에 결합시킨다. 부츠를 해제하려면, 다른족 발로 후방기구의 레버를 누른다. 그러나, 이 장치는 양말을 신거나 벗은 발에 신겨지는 신발에는 적용할 수 없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해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신발이 개방위치에 있을 때 뒷굽부분의 종단면도;
도 2a는 도 2의 레버 안내수단의 상세단면도;
도 3은 도 2의 신발이 폐쇄위치에 있을 때의 종단면도로서, 유지해제수단의 확대도를 포함함;
도 4는 도 1의 신발의 뒷굽부분의 평면도로서, 편의상 상부요소를 제거한 상태임;
도 5는 도 1의 신발의 폐쇄위치에서의 배면도;
도 6,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뒷굽의 종단면도;
도 8은 도 1-5의 실시예의 변형례의 측면도;
도 9는 도 1-5의 실시예의 메커니즘을 이용하는 신발의 폐쇄위치의 측면도;
도 10은 도 1-5의 실시예의 메커니즘의 변형례를 이용하는 신발의 폐쇄위치의 종단면도;
도 11,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2는 도 11의 변형례;
도 13-15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다르게 작용하는 스프링의 위치들을 보여주는 다른 변형례들;
도 16은 본 발명의 또다른 변형례;
도 17-19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례;
도 20은 중앙피봇축이 없는 본 발명의 실시예;
도 21, 22는 또다른 변형례;
도 23은 개방위치의 유지해제수단이 탄성재료인 다른 실시예;
도 24-26은 재료의 유연성을 이용하는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자동덮개가 달린 신발에 관한 것으로, 이 신발은 발의 앞부분을 덮는 앞덮개부에 연결되는 앞부리를 갖는 밑창과, 발의 뒷부분을 덮는 뒷덮개부에 연결되는 뒷굽을 포함한다. 이 신발에 있어서, 상기 뒷덮개부는 가동지지대에 연결되거나 그 일부분이고, 탄성수단에 의해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동지지대를 폐쇄위치로 밀어주는 탄성수단과, 상기 탄성수단에 대항해 가동지지대를 개방위치로 유지하는 유지해제수단을 포함한다. 발뒷굼치로 상부요소를 눌러 하부요소에 접근시키면 유지해제수단이 해제위치로 돌아가 가동지지대를 풀며, 가동지지대는 탄성수단에 의해 폐쇄위치로 되돌아간다. 사용자가 다른쪽 발을 사용해 뒷덮개부의 일부인 가동지지대를 탄성수단에 대항해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움직일 수도 있으며, 이렇게 움직이는 동안 상하부 요소들은 가동지지대를 개방위치로 유지하는 위치로 유지해제수단이 자동으로 복귀할 때까지 서로 분리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자동덮개가 달린 신발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신발은 발의 앞부분을 덮는 적어도 하나의 앞덮개부(4)에 부착된 앞부리(2)를 구비한 밑창(1)과, 발 뒷굼치를 홀딩하는 하나의 뒷덮개부(5)에 연결되는 뒷굽(3)으로 구성된다. 뒷덮개부(5)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지지대(6)에 연결되거나 그 일부분이고, 가동지지대(6)는 뒷덮개부가 뒷굼치 부분에서 분리된 (파단선으로 표시된) 개방위치로부터 뒷덮개부가 뒷굼치를 홀딩하고 있는 폐쇄 위치까지 움직일 수 있다. 가동지지대(6)는 뒷굽(3)의 내부 메커니즘에 연결되고, 이 메커니즘은 사용자가 뒷굼치로 뒷굽(3)을 누르면 작동되어 가동지지대(6)를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움직임은 물론, 다른쪽 발로 메커니즘의 부재(10)를 누르면 가동지지대가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움직인다.
도 1에는 샌들 형태의 신발이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실내용 슬리퍼나 실외용 겨울신발 등의 다른 형태의 신발에도 적용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해서는 도 9,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뒷굽(3)은 상부요소(8)와 하부요소(9)로 구성되고, 이들은 힌지핀(15)에 의해 서로 힌지연결되어 상대이동 가능하다. 상기 상하부요소(8,9)는 가동지지대(6)와 뒷덮개부(5)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는 서로 분리되고, 폐쇄위치에 있을 때는 서로 인접해있다. 바람직하게, 하부요소(9)는 밑창(1)의 앞부리(2)에 연결되고, 상부요소는 앞부리에 대해 위로 움직인다(도 1-7, 9-10 참조). 그러나, 상부요소(8)를 밑창(1)의 앞부리(2)에 연결하고 하부요소(9)를 앞부리에 대해 아래로 움직이게 할 수도 있다(도 8 참조). 또, 상부 및/또는 하부 요소들(8,9)의 기계적 부품들을 비교적 얇고 단단한 벽을 갖는 대응 지지대에 장착하고, 지지대를 다른 대응 요소에 연결하여 신발에 필요한 성질을 갖는 뒷굽(3)의 상하부 요소들의 형상을 이룰수도 있는데, 그 예로는 중량을 줄이기 위해 다공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부요소(8)의 패드형 상부라이닝(28)과 하부요소(9)의 고무러버(29), 및 고무밑창(30)이 있다. 따라서, 상하부 요소들(8,9)은 자체 메커니즘과 함께 별도의 모듈로 제작되어 다양한 형상과 사이즈의 신발에 조립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메커니즘과 작동상태를 자세히 보여준다. 이 메커니즘은 가동지지대(6)를 개방위치로 밀어주는 탄성수단(10)과, 탄성수단(7)에 대항해 가동지지대(6)를 폐쇄위치로 붙잡아두는 가역 유지해제 수단(10)을 포함하는데, 탄성수단은 가동지지대를 개방위치로 유지하는 제2 유지수단 기능을 하기도 한다. 도면에서 한쌍의 외부아암을 포함하는 가동지지대(6)는 하부요소(9)에 장착된 축(11)에 연결되므로, 개폐위치 사이를 소정 각도로 선회할 수 있다. 한편, 뒷덮개부(5)와 가동지지대(6)를 일체로 구성하여 축(11)에 연결할 수도 있다. 또, 축(11)에 연결된 레버(13)는 하부요소(9)의 중앙에 위치하고 그 말단부(14)는 상부요소(8)와 접촉한채 미끄럼 가능하다. 탄성수단(7)은 일단부는 하부요소(9)에 삽입되고 타단부는 레버(13)를 밀어 가동지지대(6)를 개방위치로 밀어주는 나선형 압축스프링으로서, 상부요소(8)와 레버가 미끄럼접촉하여 상하부요소(8,9)가 분리될 수 있다. 이런 구성에서, 사용자가 뒷굼치로 상부요소(8)를 누르면, 말단부(14)가 상부요소(8)에서 미끄러지면서 상부요소가 하부요소(9)에 접근하므로, 가동지지대(6)가 탄성수단(7)을 거슬러 폐쇄위치로 움직이고, 이 상태에서 가동지지대는 유지수단(10)에 의해 자동으로 고정된다. 폐쇄위치에서, 레버(13)와 스프링(7)은 하부요소(9)의 공간(46)에 들어가 있다.
도 2a에 의하면, 상부요소(8)는 레버(13) 말단부(14)의 안내수단(16)을 포함한다. 이들 안내요소는 상하부 요소(8,9)의 측방향 움직임과 상부요소(8)에 대한 말단부(14)의 분리움직임을 제한한다. 안내수단(16)은 적어도 한쌍의 서로 마주보는 홈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홈은 상부요소(8)에 부착되어 있으며, 레버(13) 말단부(14) 옆으로 튀어나온 돌기(17)가 이 홈에 걸려저 미끄러진다(도 4 참조). 말단부(14)는 끝이 둥그스름하고, 상대적으로 마찰계수가 낮은 강한 재질로 이루어진 접촉궤도(18)에서 미끄럼운동한다. 접촉궤도와 안내수단(16)은 상부요소(8)에 볼트체결, 접착 또는 매립될 수 있다. 한편, 말단부(14)에 소형 휠이나 롤러(도시 안됨)와 같은 롤링 요소를 설치할 수도 있다.
말단부(14)의 돌기를 상부요소(8) 좌우측에서 돌출하여 가동지지대(6)의 사이드아암에 결합하기에 충분히 긴 축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또한 하부요소(9)의 표면(33)에 걸리는 편심돌출부를 축(11)에 형성하여, 가동지지대(6)의 개방운동과 상하부요소(8,9)이 분리를 제한할 수도 있다(도 4 참조). 한편, 안내수단(16)에 정지구(도시 안됨)를 형성하여 이런 제한을 가할 수도 있다.
도 3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상기 유지수단(10)은 하부요소(9) 뒷쪽에 설치된 트리거(19)를 포함하고, 트리거는 핀(2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스프링(31)에 의해 유지위치쪽으로 밀린다. 트리거(19)의 탭(20) 윗부분은 경사면(22)으로 되어 있다. 상부요소(8) 밑으로 돌출한 고리(21)의 밑면(23)은 상부요소(8)가 하부요소(9)쪽으로 움직일 때 경사면(22)과 접촉하면서 경사면을 밀어 트리거(19)를 스프링(31)의 힘을 거슬러 움직이게 하여, 고리(21)을 탭(20)에 걸리게 한다. 가동지지대(6)가 폐쇄위치에 있고 상하부 요소들이 서로 접촉하면, 탭(20)은 스프링(31) 때문에 자동으로 고리(21)에 걸린다(도 5 참조). 트리거(19)의 돌기(24)는 외부로 노출되고, 가동지지대(6)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가 스프링(31)을 거슬러 트리거(19)를 움직이면, 탭(20)이 고리(21)에서 풀리고 가동지지대(6)는 탄성수단(7)에 의해 개방위치로 움직인다. 상기 돌기(24)는 부주의하게 메커니즘을 개방하지 않도록 장치의 외측 경계 밖으로 튀어나오지 않는다.
한편, 경사면을 트리거(19)가 아닌 상부요소(8)에 둘 수도 있다. 예컨대, 스프링(31)은 양단부가 트리거(19)와 하부요소(9)의 구멍에 삽입되고 핀(12)을 감는 나선형 비틀림스프링일 수도 있다(도 4, 5 참조). 도 5에는 폐쇄위치에서 하부요소(9)의 공간(43)의 경사벽(37)에 삽입되는 고리(21)의 양측단부(47)가 도시되어 있고, 이 공간에 트리거(19)가 있으므로, 하부요소(9)에 대해 상부요소(8)가 잠길 수 있다. 폐쇄위치에서 레버(13)와 스프링(7)을 수용하는 하부요소(9)의 공간의 측면경사면(45)에 폐쇄위치에서 삽입하게 배치된 안내수단(16)의 측단부에 경사면(44)을 형성하면 비슷한 잠금수단을 얻을 수 있다(도 2a, 4 참조).
도 4에 도시된 방수 가스켓(27)을 하부요소(9) 둘레에 설치하여(물론 상부요소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하부 요소들(8,9)이 서로 근접하거나 접촉하거나 폐쇄위치에 있을 때 메커니즘을 보호밀봉할 수 있다. 상기 방수가스켓(27)은 탄성재로 이루어진 철선 형태로서, 하부요소(9)의 윗면에 형성된 홈에 일부 삽입되어, 트리거(19)를 개폐할 수 있기에 충분한 탄성을 부여한다. 축(11)은 공간에 수용되고, 축의 원형 바닥은 하부요소(9)를 가로지르며 볼트(35) 등으로 지지된 한쌍의 소형 커버(34)에 의해 제위치로 유지된다. 이들 커버의 하단 구성(도시 안됨)은 마찰부싱의 도움을 받아 축(11)를 안내하도록 구성되고, 커버 윗면에는 방수가스켓(27)용으로 하부요소(9) 윗면의 홈과 연속되는 홈이 있다.
도 6, 7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실시예의 탄성수단(25)은 가동지지대(6)를 폐쇄위치쪽으로 밀어서 유지하는 제1 유지수단으로 작용하며, 상기 탄성수단(25)을 거슬러 가동지지대(6)를 개방위치(도 6)로 유지하는 제2 가역 유지해제 수단(26)도 있다. 상부요소(8)를 발뒷굼치로 눌러 하부요소(9)쪽으로 밀면 유지해제수단(26)이 가동지지대(6)를 해제하는 위치로 돌아가 하부요소를 탄성수단(25)에 의해 폐쇄위치(도 7)로 움직인다.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부요소(9)의 공간(48)에 장착된 축(11)에 가동지지대(6)가 단단히 고정되어 있으므로, 가동지지대는 개폐위치 사이를 일정 각도 회동할 수 있고, 레버(14) 역시 축(11)에 고정되어 상부요소(8)와 미끄럼/구름 접촉한다. 그러나, 탄성수단(25)은 상부요소(8)를 하부요소(9)쪽으로 당겨주는 나선형 견인스프링이다. 제2 유지수단(26)은 상부요소(8)에 부착된 탄성 핑거 형태로서 레버(13)의 말단부(14)에 설치된 가로핀을 끼우는 좁은 틈새를 형성하며, 가동지지대(6)의 개방 및 상하부요소(8,9)의 분리 정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도 1-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신발을 개방할 때 사용자가 자신의 다른쪽 발을 사용해 탄성수단(25)에 대항해 가동지지대(6)를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움직이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뒷덮개부(5)에서 돌출한 돌기(36)를 이용한다. 레버(13)로 인해 상하부 요소들(8,9)은 말단부(14)가 유지수단(26)의 탄성 핑거에 걸릴 때까지는 분리되어 있어서, 가동지지대(6)를 자동으로 개방위치(도 6)에 유지한다.
도 9는 도 1-5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비슷한 메커니즘을 갖춘 신발이 도시되어 있는데, 폐쇄위치에서 뒷덮개부(5)는 밑창의 외연부에 닿고 신발 뒷굽을 덮는다. 이 목적으로, 가동지지대(6)는 아치형 피스(49)에 연결되고, 아치형 피스(49)는 뒷덮개부(5)의 하단 후연부를 둘러싸며, 뒷덮개부(5)는 폐쇄위치에서 밑창의 외연부에 아주 가까이 가능한한 밀착되고, 그 전연부는 일부분 앞덮개부(4)에 겹쳐진다. 한편, 가동지지대(6)가 프론트 아암 형태를 취하고, 뒷덮개부(5)의 뒷부분(도시 안됨)은 뒷굽(3)의 외측 후연부에 재봉질되거나 접착되며 개방위치에서 접힐 정도로 충분히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부요소(8)는 뒷굽(3)의 윗면 전체를 에워싸지 않으며, 개방위치에서는 하부요소(9)로부터 돌출하는 버튼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부요소는 밑창에 연결된다.
끝으로, 도 10에는 겨울철에 신기에 적당한 신발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는데, 가동지지대(6)는 하부요소(9)에 대해 나란히 위치이동되어 있다. 레버(38)의 일단부(39)는 상부요소에 힌지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기어휠(40)에 연결되며, 기어휠은 두개의 평행한 대향 랙(41,42)에 결합되고, 각각의 랙은 가동지지대(6)와 하부요소(9)에 부착되어 있다. 제2 해제유지수단의 기능은 메커니즘 전체를 개방위치로 밀어주는 나선스프링(7)에 의해 발휘되고, 제1 해제유지수단(10)은 가동지지대(6)를 폐쇄위치로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뒷덮개부(5)는 기어휠(40)이 장착된 레버(38)의 일단부가 움직이는 거리의 두배를 이동하고, 앞뒤 덮개부(4,5)를 서로 적당히 겹치게 할 수 있다. 제1 유지수단(10)은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아주 비슷하지만, 고리(21)가 상부요소(8)가 아닌 가동지지대(6)에 설치된 점이 다르다.
도 9, 10의 실시예에서, 앞덮개부(4)는 평상시 폐쇄된 신발로 사용되고 스프링, 버클달린 스트랩, 벨크로 스트립 등과 같은 일반적인 조임수단을 포함하며, 이런 조임수단은 처음 조정할 때만 사용되고 뒤에는 사용되지 않는데, 이는 본 발명의 신발은 조임수단을 풀지 않고도 신고 벗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1, 12에는 동일한 원리를 채택한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발의 앞부분을 홀딩하는 앞부리를 갖는 밑창과, 뒷덮개부에 연결되는 뒷굽을 포함하며, 뒷덮개부는 개폐위치 사이를 움직일 수 있는 가동지지대에 연결되어 있다. 가동지지대는 뒷굽에 들어있는 메커니즘에 연결되고, 이런 메커니즘으로는 가동지지대를 개폐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 해제유지수단들이 있다.
도 11의 뒷덮개부(5)는 뒷굽에서 떨어진 개방위치에 있고, 유지요소(52)에 의해 이 위치를 유지한다. 뒷덮개부(5)를 폐쇄위치로 유지하는 유지해제수단(50)이 있고, 이 수단은 해제수단(51)에 의해 풀린다.
뒷덮개부(5)와 가동지지대(6)로 형성된 조립체는 단단히 결합되어 있고, 밑창(1)의 뒷굽(3) 후방부에 부착된 힌지축(63)에 의해 뒷부분을 중심으로 선회한다.
밑창(1)의 뒷굽(3)에는 가동베이스(65)가 달린 피스가 설치되는 공간(58)이 있고, 가동베이스는 신발의 앞뒤로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다. 가동베이스(65)가 달린 피스는 공간(58) 내부에 설치되어, 이동가이드 역할을 하는 공간(58)내의 안내수단(59)에 의해 안내된다.
가동베이스(65)의 전진은 해제수단(51)이 가동베이스(65)에 가하는 힘에 의하고, 이런 이동은 탄성수단(57)을 압축하므로, 해제수단(51)이 더이상 가동베이스(65)에 작용하지 않으면 탄성수단(57)에 의해 가동베이스(65)가 뒷쪽으로 움직인다.
또, 해제수단(51)에는 돌기(62)가 달려있어, 해제수단이 피봇축(63)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돌기가 움직이면서 가동베이스(65)의 돌출부(61)를 밀어서 전진시킨다.
뒷덮개부(5)와 가동지지대(6)로 이루어진 조립체의 분리와 상승을 돕고 상기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가동베이스(65)에 형성된 연결요소(60)와 가동지지대(6)에 형성된 다른 연결요소 사이에 탄성수단(52)을 배치한다. 유지수단(50)이 가동지지대(6)에서 풀리고 탄성수단(52)에 의해 가동지지대가 개방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해제수단(51)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가동지지대의 상승을 조정할 수 있다.
유지해제수단(50)은 가동베이스(65)의 앞에 배치되고, 유지해제수단의 돌기(53) 상단부에는 베벨형 돌출부(55)가 달려있으며, 이 돌출부는 가동지지대(6)에 형성된 요홈(66)에 맞물려 뒷덮개부(5)에 단단히 결합된다. 가역 유지해제수단(50)의 요홈부에는 탄성수단(57)의 일단부가 맞물린다.
요홈(66)의 하부 가장자리(54)는 유지해제수단(50)을 신발 앞쪽으로 움직인 다음 돌출부(55)가 요홈(66)에 걸릴 수 있도록 경사져 있다.
도 12에 도시된 것은 미리 폐쇄된 상태로서, 가동베이스(65)가 더이상 해제수단(51)의 돌기(62)의 힘을 받지 않아 탄성수단(57)에 의해 후방위치에 있으면, 가역 유지해제수단(50)의 상부 돌출부(55)가 가동지지대에 형성된 요홈(66)에 삽입되어, 개방위치에서 탄성유지수단이 작용해도 가동베이스와 뒷덮개부(55)가 더이상 개방위치로 진행하지 않게 된다.
뒷덮개부의 전방부에는 오리피스(64)가 형성되어 있고, 이곳을 중심으로 앞덮개부(4)가 힌지한다.
도 11의 개방위치로 유지하는 탄성수단(52) 대신, 뒷덮개부(5)와 가동지지대(6)의 조립체에 작용하는 스프링 등의 탄성수단을 힌지축(63)에 배치할 수도 있다.
도 13-15에는 구조적으로 3가지 대체수단을 갖는 본 발명의 자동 덮개가 달린 신발의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바, 3가지 대체수단은 상부요소에 작용하는 전방축상의 스프링, 상부요소에 작용하는 수직스프링, 또는 가동지지대에 작용하고 상부요소에 배치된 수평스프링이다.
이 실시예에서, 뒷덮개부(5)는 가동지지대(6)에 단단히 결합되고, 후방 피봇축(73)과 중앙피봇축(74)이 삽입되는 두개의 오피리스가 가동지지대에 형성되어 있다. 또, 뒷굽 부분에 상부요소(8)가 있고, 하부요소(9)는 전방피봇축(75)에 힌지연결되며, 상부요소(8)는 중앙 피봇축(74)에서 가동지지대(6)에 한번 더 힌지연결된다.
뒷덮개부(5)와 가동지지대(6)는 전술한 특징을 갖는 하나의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 조립체는 뒷덮개부(5)를 폐쇄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가역 유지해제수단(70)을 구비한다. 가역 유지해제수단(70)에는 작동탭(71)이 있고, 스프링(79)에 대해 탭을 누르면 피봇축(7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플랩(78)이 상부요소(8)의 뒷부분(77)을 놓으면, 상부요소 뒷부분이 탄성수단에 의해 상승된다(도 14 참조).
유지해제수단(70)과 다음 3가지 동작중 하나에 의해 상부요소(8)가 전방힌지축(75)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뒷부분부터 들리면 뒷덮개부(5)가 상부요소(8)의 상승과 동시에 개방되기 시작한다:
- 전방축(75)에 배치된 탄성수단(76)의 동작,
- 하부요소(9)와 상부요소(8) 사이에 배치된 수직 탄성수단(72)의 작용으로 피봇축(74)이 후방축(73)을 중심으로 선회,
- 중앙축(74)에 작용하는 수평스프링(80)의 작용.
도 14는 본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부품을 보여주는데, 중앙피봇축(74)이 관통하는 기다란 타원형 오리피스(81)가 상부요소(8)에 형성되고, 유지해제수단(70)의 작용과 전술한 탄성수단(72,76,80)중 하나의 작용에 의해 중앙피봇축(74)은 상부요소(8)의 오리피스(81) 내부에서 움직인다.
중앙축(74)이 미끄럼운동하는 오리피스(81)가 없고 단순히 피봇축만 있으면, 상부요소가 상승할 때 전방축도 상승할 것이다.
도 15에는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부요소(8) 양측면에 돌기(82)가 형성되어 있고, 오리피스(81)는 없으며, 이들 돌기가 가동지지대(6)에 형성된 기다란 오리피스(83)에 삽입된채 가동지지대(6)가 상부요소(8)에 대해 회전하면, 상부요소의 측면 돌기(81)는 상기 오리피스(83)에서 미끄럼운동한다.
또, 앞덮개부(4)의 힌지부(84)가 피봇하는 오리피스가 뒷덮개부(5)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전방힌지부(84)는 힌지(86)를 통해 뒷덮개부에 연결된다. 힌지부(84)는 힌지구역(85)을 통해 전방요소(4)에 대해서도 회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은 힌지부(84) 대신, 가이드 밑에서 옆으로 움직이는 벨트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조립체가 하강하여 폐쇄될 때 힌지(86)가 벨트를 당겨 상부요소를 누르도록 되어 있다.
다른 가능성은, 뒷덮개부(5)가 추가 수단 없이 힌지(86)에 의해 앞덮개부(4)에 직접 힌지연결되는 것이다.
도 16에는 트리거(91)를 포함한 유지해제수단(90)을 상부요소(8)의 뒷부분에 설치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트리거(91)는 하부요소(9)의 요홈(93)에 삽입되고, 탄성요소(92)에 의해 상부요소는 도시된 위치에 유지되며, 뒷덮개부(5)와 상부요소(8)의 더 힌지가 있다.
도 17의 유지해제수단(100)은 밑창이나 하부요소에 연결된 트리거(101)에 의해 작동되고, 뒷덮개부(5)는 아암(103)에 작용하는 탄성수단(102)에 의해 도시된 위치에 유지된다.
도 18에서, 유지해제수단(110)의 트리거(111)가 113 부분에 작용하면, 114 부분이 움직여 상부요소(8)의 후크(115)가 풀리고, 상부요소(8)가 탄성수단(112)에 의해 상승된다.
도 19의 동작도 비슷한데, 유지해제수단(120)이 트리거(121)에 의해 작동되면 123 부분이 움직여 상부요소(8) 일단부의 후크가 풀린다. 최종 2가지 실시예에서는, 신발이 열릴 때 상부요소와 안창 사이에 균열이 생긴다.
도 20은 도 17과 비슷한 경우로서, 트리거(131)에 의해 유지해제수단(130)이 작동되고, 이들 둘다 밑창의 공간 내부에 위치한다. 상부요소(8)의 동작을 촉진하기 위해, 뒷덮개부(5)의 아랫부분에 추가 요소(133)를 배치하는데, 이 요소는 중앙힌지가 불필요하고 윈도우(13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요소(8)의 후크(134)가 이 윈도우를 통해 움직여 요소들(5,8)을 연결한다. 상부요소(8)는 탄성수단(132)에 의해 개방위치로 유지된다.
도 21, 22의 실시예에서는, 상부요소(8)와 가동지지대(6)의 결합을 기본으로 하고, 가동지지대(6)는 뒷덮개부(5)에 연결되어 있다. 트리거(141)에 의해 작동되는 유지해제수단(140)이 있고, 조립체는 탄성수단(142)에 의해 개방위치로 유지된다.
도 23에는 트리거(151)에 의해 작동되는 유지해제수단(150)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수단은 개방위치로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고무밴드 등의 탄성요소(152)를 포함하고, 상부요소(8)와 하부요소(9)는 자체 재료의 탄성으로 힌지연결되므로 별도의 힌지가 불필요하다.
도 24에는 변형에 의해 작동되는 트리거(161)가 달린 해제유지수단(160)이 도시되어 있는데, 하부요소(9)와의 연결부에 탄성부(163)가 있고, 그 반대쪽의 상부요소(8)와 하부요소(9)의 연결부에는 조립체를 개방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탄성부(162)가 있다.
도 25의 유지해제수단 역시 하부요소(9)와의 연결부에 있는 탄성부(163)는 물론 가동지지대(6)와 하부요소(9)의 연결부에 형성된 다른 탄성부(166)를 이용하고, 가동지지대(6)는 하부요소(9)에 대한 상부요소(8)의 연결부에 형성된 탄성부(162)에 의해 조립체를 개방위치로 유지한다.
끝으로, 도 26은 다른 실시예로서, 가동지지대(6)와 하부요소(9) 사이의 탄성부(166) 외에도, 가동지지대(6)를 고정하는 탄성부(167)와, 다른 탄성부(162)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몇가지 실시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례를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어디까지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어야 한다.
Claims (47)
- 발 앞부분을 홀딩하는 기능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앞덮개부(4)에 부착되는 앞부리(2)를 갖는 밑창(1)과, 발뒷굼치로 작동시키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상부요소(8)에 연결되는 뒷굽(3)을 포함하는 형태의 자동 덮개가 달린 신발에 있어서:상기 상부요소(8)는, 뒷덮개부(5)가 결합된 가동지지대(6)의 움직임에 따라 발을 넣을 수 있는 개방위치로부터, 발을 신발 안에 고정한채 유지할 수 있는 폐쇄위치로 움직이며;상기 뒷덮개부(5)와 가동지지대(6)는 이들을 개방위치로 밀어주는 제1 가역 탄성수단(10, 26, 50, 70, 80, 100, 120, 130, 140, 150, 160)에 의해 유지되고, 사용자의 다른 발은 상기 가동지지대(6)를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움직이는 메커니즘의 부재(24,36,51,71,91,101,111,121,131,141,151,152)에 의해 유지되고, 제2 탄성유지해제수단(7,25,52,72,92,102,112,122,132,142,152,162)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뒷굽(3)이 서로 연결된 상부요소(8)와 하부요소(9)로 구성되고 상기 메커니즘과 함께 상대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메커니즘은 가동지지대의 개방위치에서는 상하부 요소들(8,9)이 서로 분리되고 폐쇄위치에서는 서로 가까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지수단이 가동지지대(6)를 개방위치로 미렁주는 탄성수단(7)과 가동지지대(6)를 폐쇄위치로 유지하는 상기 제1 유지수단(10)을 포함하고, 가동지지대(6)는 상부요소(8) 및/또는 하부요소(9)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뒷굼치로 상부요소(8)를 눌러 하부요소에 접근시키면 가동지지대가 폐쇄위치를 향해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3항에 있어서, 상하부 요소들(8,9)이 힌지핀(15)을 통해 서로 힌지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4항에 있어서, 가동지지대(6)가 하부요소(9)에 설치된 축(11)에 단단히 연결되어 개폐위치 사이를 소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레버(13)가 축(11)에 연결되며, 레버의 말단부(14)가 상부요소에서 미끄러지거나 구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7)이 레버(13)에 작용하여 가동지지대(6)를 개방위치로 밀어 상하부 요소들(8,9)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7)이 압축스프링이나 나선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5항에 있어서, 상부요소(8)는 레버(13) 말단부(14)를 안내하는 안내수단(16)을 갖고, 이들 안내수단은 말단부(14)와 상부요소(8) 사이의 측방향 상대이동은 제한하되 상부요소(8)에 대한 말단부(14)의 직선운동은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이 상부요소(8)에 부착되거나 상부요소의 일부분인 적어도 한쌍의 홈(16)을 포함하고, 레버(13) 말단부(14)의 측방 돌기(17)가 이들 홈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13)의 말단부(14)가 둥그스름한 형태이고 말단부에 비해 마찰계수가 낮은 단단한 재료의 접촉궤도(18)를 미끄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해제수단(10)이 탭(20) 달린 트리거(19)를 포함하고, 트리거(19)는 핀(12)을 중심으로 자유 회전하되 스프링(31)에 의해 유지위치를 향해 밀리도록 상부요소(8)나 하부요소(9)에 설치되며, 가동지지대(6)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상기 탭(20)이 하부요소(9) 또는 상부요소(8)에 형성된 고리(21)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19)는 고리(21)의 표면(23)과 접촉하는 표면(22)을 갖되, 이들 표면(22,23)은 고리의 표면(23)을 따라 트리거(19)가 스프링(31)을 거슬러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요소(8)와 하부요소(9)가 서로 접근하면 고리(21)가 탭(20)의 전면을 지나가서 가동지지대(6)가 폐쇄위치에 도달하면 트리거(19)가 풀려 탭(20)이 고리(2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11항에 있어서,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고 가동지지대(6)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가 작동할 수 있는 돌기(24)가 트리거(19)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스프링(31)을 거슬러 트리거(19)를 움직이면 고리(21)에서 탭(20)이 풀리고 가동지지대(6)를 탄성수단(7)에 의해 개방위치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12항에 있어서, 상부요소(8)나 하부요소(9)에 설치된 상기 고리(21)는 경사진 양측단부(47)를 갖고, 트리거(19)가 수용되는 하부요소(9)나 상부요소(8)에 존재하는 공간의 경사벽(37)에 폐쇄위치에서 상기 양측단부(47)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수단은 가동지지대(6)를 폐쇄위치로 밀어주도록 작용하는 탄성수단(25)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유지수단(26)은 탄성수단(25)에 대항해 가동지지대(6)를 개방위치로 유지하며, 사용자가 발뒷굼치로 상부요소(8)를 눌러 하부요소(9)에 접근시킬 때 제2 유지수단(26)이 풀려 상기 가동지지대(6)가 탄성수단(25)에 의해 폐쇄위치로 움직이도록 제2 유지수단(26)이 상하부 요소들(8,9)에 대해 구성 및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14항에 있어서, 가동지지대(6)는 사용자에 의해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움직일 수 있고, 가동지지대가 움직이는 동안 상하부 요소들(8,9)은 가동지지대(6)를 개방위치에 유지하는 위치로 제2 유지수단(26)이 자동으로 위치할 때까지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2항 내지 15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요소(8)나 하부요소(9) 둘레에 방수 가스켓(27)을 배치하여, 상하부 요소들(8,9)이 폐쇄위치에서 서로 접근할 때는 보호밀봉부를 제공하고 트리거(19)를 개폐하는 탄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2항 내지 4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요소(9)가 밑창(1) 앞부리(2)에 연결되고, 상부요소(8)는 하부요소에 대해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2항 내지 4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요소(8)가 밑창(1)의 앞부리(2)에 연결되고, 하부요소(9)가 상부요소에 대해 아래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4항에 있어서, 가동지지대(6)가 선형이동 가이드에 의해 하부요소(9)에 연결되고, 레버(38)의 일단부(39)는 상부요소(8)에 힌지 연결되며, 가동지지대(6)와 하부요소(9)에 각각 부착된 두개의 랙(41,42) 사이에서 이들 랙에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휠(40)이 레버의 타단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2항에 있어서, 유지해제수단(50)이 가동베이스(50) 앞부분에 배치되고, 가동베이스는 밑창(1) 뒷굽(3)의 공간(58) 안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58)에는 가동베이스(65)의 안내수단(59)과, 가동지지대(6)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에서 유지수단(52)에 연결된 부착수단(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21항에 있어서, 유지해제수단(51)에 돌기(52)가 있고, 이 수단이 힌지(63)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돌기(52)가 전진하여 가동베이스(65)를 탄성수단(57)에 대항해 움직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23항에 있어서, 가동베이스(65)의 뒤에 해제수단(51)의 돌기(62)를 움직이는 돌출부(61)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21항에 있어서, 가동지지대(6)가 연결된 뒷덮개의 전방에 해제수단(50)을 수용하는 요홈(66)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21항에 있어서, 개방위치의 유지수단(52)이 가동베이스(65)의 부착요소(60)와 가동지지대(6)의 다른 돌기 사이의 탄성수단으로서, 해제수단(51)과 협력하여 해제수단을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21항에 있어서, 유지해제수단(50)이 돌기(53)가 형성된 가동베이스(65)의 전단부에 배치되고, 그 상단부에는 베벨식 돌출부(55)가 있고, 이 돌출부는 가동지지대(6)에 수용될 수 있으며, 가동지지대는 경사진 하단부(54)를 가지고, 이 하단부는 뒷덮개부(5)에 결합되고, 유지해제수단(50)에 요홈부(56)가 형성되고, 이곳에 탄성수단(57)의 일단부가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2항에 있어서, 상부요소(8)와 하부요소(9) 사이의 힌지는 전방힌지(75)로 이루어지고, 상부요소(8)와 가동지지대(6) 사이에서 뒷덮개부(5)에 연결되는 힌지는 중앙축(7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동지지대(6)가 후방축(73)에 의해 하부요소(9)에 힌지 연결되고, 이런 후방축(73)에 의해 유지해제수단(70)이 하부요소(9)에 힌지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2항에 있어서, 뒷덮개부(5)를 폐쇄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해제수단(70)에 작동탭(71)이 달려있고, 이 탭을 스프링(79)에 대항해 눌러 후방축(73)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상부요소(8)의 뒷부분(77)이 풀려 탄성수단에 의해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2항에 있어서, 개방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해제수단이 상부요소(8)와 하부요소(9) 사이의 전방피봇축(75)에 설치된 탄성요소(7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2항에 있어서, 개방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해제수단이 하부요소(9)와 상부요소(8) 사이에 수직으로 배치된 탄성수단(7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2항에 있어서, 개방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해제수단은 압축되었을 때 중앙축(74)을 뒤로 밀어주는 탄성수단(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2항에 있어서, 개방위치용으로 사용되는 유지해제수단의 형상과 무관하게, 중앙축(74)이 타원형 오리피스(81)를 관통하고 개방위치용 탄성 유지해제수단의 작용으로 상기 오리피스에서 미끄럼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33항에 있어서, 상부요소(8)에 중앙축이 관통하는 타원형 오리피스(81)가 형성되지 않고, 대신 가동지지대(6)에 형성된 기다란 타원형 오리피스(83)에 삽입되는 대응 돌기(82)가 상부요소 양측에 형성되어 있고, 이들에 의해 가동지지대(6)와 상부요소(8)가 힌지연결되며, 상부요소(8)의 측면돌기(81)는 상기 타원형 오리피스(83) 안에서 미끄럼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2항에 있어서, 전방요소(4)의 힌지부(84)에 힌지연결되는 오리피스가 뒷덮개부(5) 양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방 힌지부(84)는 힌지(86)를 통해 뒷덮개부(5)에 연결되며, 또한 힌지부(84)는 힌지구역(85)을 통해 전방요소(4)에 대해 자유롭게 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84)가 가이드 밑을 좌우로 뻗는 벨트 형태로 구성되고, 이 힌지부는 힌지(86)가 하강하여 조립체를 폐쇄할 때 벨트를 당겨 상부요소를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35항에 있어서, 뒷덮개부(5)의 힌지(86)가 다른 추가 요소 없이 직접 앞덮개부(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1항에 있어서, 하부요소(9)에 형성된 요홈(93)에 걸리는 유지해제수단(90)이 상부요소(8)의 후단부에 설치되고, 뒷덮개부(5)와 상부요소(8)의 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1항에 있어서, 트리거(101)에 의해 작동되는 유지해제수단(100)이 밑창이나 하부요소에 연결되고, 탄성수단(102)에 작용하여 뒷덮개부(5)를 이 위치에 유지하는 아암(103)이 뒷덮개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1항에 있어서, 유지해제수단(110,120)은 트리거(111,121)에 작용하여 요소(133,123)을 움직이고, 이들 요소(133,123)는 상부요소(8)에 결합된 후크(115,125)를 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1항에 있어서, 상부요소(8)에는 중앙축이 없고 대신 트리거(131)에 의해 작동되는 유지해제수단(130)이 제공되며, 중앙힌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 추가 요소(132)가 상부요소(8)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1항에 있어서, 상부요소(8)와 뒷덮개부(5) 사이로 지지대에 기어휠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연결부의 마찰이 크게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1항에 있어서, 조립체를 개방위치로 유지하는 수단(152)이 고무 등의 탄성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1항에 있어서, 조립체를 개방위치로 유지하는 수단이 상부요소(8)와 하부요소(9) 연결부의 탄성부(16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1항 또는 제44항에 있어서, 유지해제수단(160)과 하부요소(9)와의 연결부에 탄성부(163)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1항에 또는 제44항에 있어서, 가동지지대(6)와 하부요소(9)와의 연결부에 탄성부(166)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1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가동지지대(6)의 전방에 탄성부(16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S0202590 | 2002-10-28 | ||
ESU200202590 | 2002-10-2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95542A true KR20050095542A (ko) | 2005-09-29 |
Family
ID=37309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7010845A Withdrawn KR20050095542A (ko) | 2002-10-28 | 2003-09-10 | 자동 덮개가 달린 신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50095542A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4269B1 (ko) * | 2013-05-07 | 2015-03-20 | 강병도 | 자동 착용 신발 |
WO2018230961A1 (ko) * | 2017-06-16 | 2018-12-20 | 김남국 | 신기 편한 신발구조 |
WO2020006490A1 (en) | 2018-06-28 | 2020-01-02 | Fast Ip, Llc | Rapid-entry footwear having an actuator arm |
US11918071B2 (en) | 2019-01-07 | 2024-03-05 | Fast Ip, Llc | Rapid-entry footwear having a compressible lattice structure |
US11992092B2 (en) | 2016-04-22 | 2024-05-28 | Fast Ip, Llc | Rapid-entry footwear with rebounding fit system |
US12048347B2 (en) | 2019-09-03 | 2024-07-30 | Fast Ip, Llc | Rapid-entry footwear having a pocket for a compressed medium |
US12201180B2 (en) | 2020-01-28 | 2025-01-21 | Fast Ip, Llc | Rapid-entry footwear having rotatable straps |
US12262777B2 (en) | 2019-09-09 | 2025-04-01 | Fast Ip, Llc | Rapid-entry footwear having an arm for expanding an opening |
US12268272B2 (en) | 2020-10-13 | 2025-04-08 | Fast Ip, Llc | Rapid-entry footwear having a rotating rear portion and a fulcrum |
US12274325B2 (en) | 2022-10-13 | 2025-04-15 | Fast Ip, Llc | Rapid-entry footwear having a stabilizer and an elastic element |
-
2003
- 2003-09-10 KR KR1020047010845A patent/KR20050095542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4269B1 (ko) * | 2013-05-07 | 2015-03-20 | 강병도 | 자동 착용 신발 |
US11992092B2 (en) | 2016-04-22 | 2024-05-28 | Fast Ip, Llc | Rapid-entry footwear with rebounding fit system |
US12207702B2 (en) | 2016-04-22 | 2025-01-28 | Fast Ip, Llc | Rapid-entry footwear with rebounding fit system |
US12102178B2 (en) | 2016-04-22 | 2024-10-01 | Fast Ip, Llc | Rapid-entry footwear with rebounding fit system |
WO2018230961A1 (ko) * | 2017-06-16 | 2018-12-20 | 김남국 | 신기 편한 신발구조 |
US12022916B2 (en) | 2018-06-28 | 2024-07-02 | Fast Ip, Llc | Rapid-entry footwear having an actuator arm |
EP3813582A4 (en) * | 2018-06-28 | 2021-10-27 | Fast IP, LLC | QUICK-ENTRY FOOTWEAR WITH AN ACTUATOR ARM |
WO2020006490A1 (en) | 2018-06-28 | 2020-01-02 | Fast Ip, Llc | Rapid-entry footwear having an actuator arm |
US11918071B2 (en) | 2019-01-07 | 2024-03-05 | Fast Ip, Llc | Rapid-entry footwear having a compressible lattice structure |
US12048347B2 (en) | 2019-09-03 | 2024-07-30 | Fast Ip, Llc | Rapid-entry footwear having a pocket for a compressed medium |
US12262777B2 (en) | 2019-09-09 | 2025-04-01 | Fast Ip, Llc | Rapid-entry footwear having an arm for expanding an opening |
US12201180B2 (en) | 2020-01-28 | 2025-01-21 | Fast Ip, Llc | Rapid-entry footwear having rotatable straps |
US12268272B2 (en) | 2020-10-13 | 2025-04-08 | Fast Ip, Llc | Rapid-entry footwear having a rotating rear portion and a fulcrum |
US12274325B2 (en) | 2022-10-13 | 2025-04-15 | Fast Ip, Llc | Rapid-entry footwear having a stabilizer and an elastic ele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59069B2 (en) | Shoe comprising automatic closing system | |
US7963050B2 (en) | Sports boot with articulated upper cuff to provide a position for walking | |
US8499474B2 (en) | Hands-free step-in closure apparatus | |
US3146535A (en) | Overshoe | |
US20020174568A1 (en) | Footwear fit system | |
EP3266327A1 (en) | Ski boot | |
CA1167639A (en) | Shoe orthosis or shoe orthosis parts | |
US1964705A (en) | Sandal | |
JP3088778U (ja) | 自動脱ぎ履き靴の改良制御装置 | |
JPH0472522B2 (ko) | ||
JPS63264001A (ja) | アルペンスキー靴 | |
KR20050095542A (ko) | 자동 덮개가 달린 신발 | |
US20060012151A1 (en) | Device for binding a boot to a sports article having a separate elastic return system | |
EP0521432A2 (en) | Ski boot | |
EP3053469B1 (en) | A ski boot | |
EP0426754B1 (en) | Adjustable girth shoe constructions | |
EP1136008B1 (en) | Shell, particularly for a ski boot | |
KR200390153Y1 (ko) | 발교정용 인솔덧신 | |
CN213074664U (zh) | 一种便于穿脱的高帮鞋 | |
KR200361931Y1 (ko) | 아이젠 | |
JPWO2020158119A1 (ja) | 靴 | |
KR20200120363A (ko) | 신발끈 고정구 | |
JPH0439841B2 (ko) | ||
CN209711666U (zh) | 一种皮鞋 | |
JP6599581B1 (ja) | 靴の踵部分開閉機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4071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