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0780A - 영상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촬영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90780A KR20050090780A KR1020040016024A KR20040016024A KR20050090780A KR 20050090780 A KR20050090780 A KR 20050090780A KR 1020040016024 A KR1020040016024 A KR 1020040016024A KR 20040016024 A KR20040016024 A KR 20040016024A KR 20050090780 A KR20050090780 A KR 200500907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image
- camera unit
- camera
- main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04N1/212—Motion video recording combined with still video record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3—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 H04N23/531—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being rotatable or detachabl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2201/216—Arrangements for recording on different types of storage medium, e.g. IC card or magnetic tape; Recording on a plurality of storage med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개의 렌즈를 통해 정지영상과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영상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영상촬영장치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1카메라부의 제1렌즈와, 제1카메라부의 제1렌즈와 동질면 상에 설치되며 정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2카메라부의 제2렌즈와, 제1렌즈를 통해 동영상을 촬영하는 동영상 모드와 제2렌즈를 통해 정지영상을 촬영하는 정지영상 모드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스위치, 및 모드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촬영모드에 따라 제1카메라부와 제2카메라부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별개의 렌즈를 통해 동영상과 정지영상을 각각 촬영할 수 있는 영상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영상용 렌즈와 정지영상용 렌즈가 동질면상에 배치되며 동영상 모드와 정지영상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스위치를 구비한 영상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촬영장치는 크게 정지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동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주목적인 캠코더로 분류되는 바, 카메라와 캠코더는 각각 독자적인 기능적인 특성이 있기 때문에 별도로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각각 카메라와 캠코더를 별도로 구매하여 정지영상을 촬영하고자 할 때는 카메라를 사용하고, 동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캠코더를 사용하여야만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찍고자하는 영상에 따라 사용자가 별도의 장치를 구매하여 사용하여야 한다는 것이 휴대성이나 경제적인 면에서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첨부된 도 1과 같이 카메라와 캠코더가 일체로 된 영상촬영장치를 발명하여 출원한 바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의한 영상촬영장치는 본체(10)와, 카메라유닛(20)과, 디스플레이수단(30)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체(10)에는 동영상을 저장하는 테이프 카세트를 장/탈착하는 무빙데크와 정지영상을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가 장/탈착되는 플래시 메모리 장착부가 마련된다.
카메라유닛(20)은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며, 동영상을 촬영하는 캠코더부와 정지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한다. 캠코더부와 카메라부는 각각의 렌즈의 전면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즉 캠코더부 렌즈(23)와 카메라부 렌즈가 서로 180도를 이루도록 하우징(21)에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21)은 본체(10)의 일측에 힌지부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본체(10)와 하우징(21)의 사이에는 하우징(21)의 회전을 감지함으로써 선택된 렌즈를 확인할 수 있는 모드 감지부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우징(21)을 본체에 대해 180도 회전시킴으로써 카메라와 캠코더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카메라부 렌즈가 전면을 향하면 모드 감지부에 의해 카메라부가 선택된 것을 판별하고, 캠코더부 렌즈(23)가 전면을 향하면 모드 감지부에 의해 캠코더부가 선택된 것을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수단(30)은 본체의 후면에 마련되며, 캠코더부와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보여주는 뷰파인더(31)와, 액정표시장치(LCD)(33)를 구비한다.
제어부(미도시)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며, 모드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따라 카메라부와 캠코더부중 어느 것이 선택되었는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카메라부와 캠코더부를 제어하여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촬영한다. 이때, 캠코더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무빙데크의 테이프 카세트에 저장되고,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플래시 메모리 장착부에 장착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동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캠코더부 렌즈(23)가 전방을 향하도록 카메라유닛(20)의 하우징(21)을 180도 회전시키면 된다. 그러면, 제어부가 모드 감지부를 통해 캠코더부가 선택된 것을 인식하고 캠코더부를 제어하여 동영상을 테이프 카세트에 기록하게 된다. 만일 사용자가 정지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시 카메라유닛(20)을 다시 180도 회전시켜 카메라부의 렌즈가 전방을 향하도록 한다. 그러면, 제어부가 모드 감지부를 통해 카메라부가 선택된 것을 인식하고 카메라부를 제어하여 정지영상을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나의 장치만을 휴대하여도 필요에 따라 동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고, 또 고화질의 정지영상도 촬영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일체형 영상촬영장치는 캠코더 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선택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카메라유닛(20)을 180도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조작이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캠코더부 렌즈(23)와 카메라부 렌즈를 회전가능한 하우징(21)에 180도로 배치하여 설치하였기 때문에 크기가 비교적 커서 휴대성이 떨어진다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카메라용 렌즈와 캠코더용 렌즈가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하고, 카메라 기능과 캠코더 기능중 어느 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스위치를 마련함으로써, 조작이 편리하고 그 크기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는 영상촬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1카메라부와 정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2카메라부를 갖는 영상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카메라부의 제1렌즈; 상기 제1카메라부의 제1렌즈와 동질면 상에 설치되는 상기 제2카메라부의 제2렌즈; 상기 제1렌즈를 통해 동영상을 촬영하는 동영상 모드와 상기 제2렌즈를 통해 정지영상을 촬영하는 정지영상 모드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스위치; 및 상기 모드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촬영모드에 따라 상기 제1카메라부와 제2카메라부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촬영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렌즈는 상기 제1렌즈의 아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렌즈의 상측에는 플래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프 카세트가 장/탈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제1렌즈;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1렌즈를 통해 포착된 동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제1카메라부; 상기 제1렌즈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제2렌즈;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2렌즈를 통해 포착된 정지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제2카메라부;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제1카메라부와 제2카메라부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카메라부의 렌즈를 통해 포착된 영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수단;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카메라부로 동영상을 촬영하는 동영상 모드와 상기 제2카메라부로 정지영상을 촬영하는 정지영상 모드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스위치; 및 상기 모드 선택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촬영모드에 따라 상기 제1카메라부와 제2카메라부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촬영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제2렌즈는 상기 제1렌즈의 아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제1카메라부와 제2카메라부중 어느 하나를 통해 포착되는 영상을 보여주는 뷰파인더; 및 상기 본체에 적어도 1축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뷰파인더와는 독립적으로 포착된 영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판넬;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정지영상을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가 장착/탈착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 장착부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외부의 음향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영상촬영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영상촬영장치는 본체(100)와, 제1카메라부(110)와, 제2카메라부(120)와, 모드 선택스위치(130)와, 디스플레이수단(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본체(100)의 내부에는 동영상 및 정지영상을 기록하기 위한 저장매체를 장착/탈착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저장장치가 마련된다. 이러한 저장매체로는 하드디스크, 메모리 스틱, DVD, 테이프 카세트등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으며, 저장장치는 선택된 저장매체에 따라 그 저장매체를 본체에 장착/탈착할 수 있도록 형성됨은 당연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매체로 테이프 카세트(102)가 사용되며, 이 테이프 카세트(102)를 본체에 장착/탈착하는 무빙데크(미도시)가 마련된다. 본체(10)의 일측면에는 테이프 카세트(102)를 장착하기 위한 데크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러한 데크도어는 본체(100)의 하부를 개방시킴으로써 무빙데크에 테이프 카세트(102)를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데크도어 및 무빙데크의 기술은 일반적인 캠코더에 적용되는 것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정지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매체로는 플래쉬 메모리가 사용되며, 본체(100)에는 플래시 메모리를 장착/탈착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장착부가 마련된다.
한편, 본체(100)의 상면에는 플래시(101)가 설치되며, 플래시(101)의 후방에는 외부의 음향을 취득하기 위한 마이크유닛(103)이 마련된다. 그리고 본체(100)의 후면에는 영상처리장치의 동작용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장/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배터리 장착부(105)가 마련된다.
제1카메라부(110)는 동영상을 포함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캠코더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가 사용된다. 제1카메라부(110)는 외부 영상을 포착하는 제1카메라부의 제1렌즈(111)와, 상기 제1렌즈(111)를 통해 들어온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제1영상센서(112)와,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되면서 상기 제1영상센서(112)를 구동시키는 제1드라이버(113)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제1렌즈(111)는 본체(100)의 정면에 설치되고, 제1렌즈(111)의 상측에는 플래시(101)가 마련된다. 이때, 제1영상센서(112)는 통상 전하결합소자(CCD, Charged Coupled Device)가 사용되며, 그 화소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렌즈에 대응되도록 후술되는 제2영상센서(122)보다 화소수가 적은 것이 사용된다. 모드 선택스위치(130)가 동영상 촬영모드 또는 제1카메라부(110)에 의한 정지영상 촬영모드일 때, 제어부(150)는 제1드라이버(113)를 제어하여 제1영상센서(112)를 구동시킨다. 이러한 제1카메라부(110)는 통상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즉 디지털 캠코더에 적용되는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카메라부(120)는 정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DSC, Digital Steel Camera)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용 렌즈인 제2렌즈(121)와, 상기 제2렌즈(121)를 통해 촬영된 정지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제2영상센서(122)와, 제2영상센서(122)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2드라이버(123)를 구비한다. 이때, 제2렌즈(121)는 제1렌즈(111)와 동질면상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렌즈(111)의 전면과 제2렌즈(121)의 전면이 동일 방향을 향하고, 제1렌즈(111)의 광축과 제2렌즈(121)의 광축이 서로 평행을 이루면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2렌즈(121)는 제1렌즈(111)에 대해 동질면 상의 상하좌우의 어떤 위치에도 설치할 수 있지만 가장 바람직한 것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렌즈(111)의 바로 아래쪽에 설치하는 것이다. 그러면, 플래시(101)가 캠코더용 렌즈인 제1렌즈(111)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2렌즈(121)로 정지영상을 촬영할 때 빛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모드 선택스위치(130)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제1렌즈(111) 또는 제2렌즈(121)를 선택하여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촬영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영상센서(122)는 통상 전하결합소자(CCD, Charged Coupled Device)가 사용되며, 그 화소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용 렌즈에 대응되도록 전술한 제1영상센서(112)보다 화소수가 많은 것이 사용된다. 또한, 제2카메라부(120)의 제2드라이버(123)는 제어부(15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된다. 즉, 모드 선택스위치(130)에 의해 정지영상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50)는 제2드라이버(123)를 제어하여 제2영상센서(122)를 구동시켜 제2렌즈(121)로 들어 온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정지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제2카메라부(120)는 일반적인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모드 선택스위치(130)는 본체(100)의 일측에 마련되며, 동영상 모드와 정지영상 모드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2접점 이상의 스위치가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로터리 스위치가 사용된다. 또한, 모드 선택스위치(130)는 촬영기능외에 다른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컨데, 촬영된 동영상이나 정지영상을 후술하는 디스플레이수단(140)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플레이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추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수단(140)은 제1카메라부(110)와 제2카메라부(12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해주며, 본체(100)의 후단에 마련된 뷰파인더(141)와, 본체(100)의 일측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판넬(142)을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판넬(142)은 통상적으로 액정표시장치(LCD)가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뷰파인더(141)와 액정표시장치(142)는 일반적인 캠코더에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50)는 상술한 모드 선택스위치(130)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촬영모드를 판단하고, 선택된 촬영모드에 대응되는 카메라부(110,120)를 구동시킨다. 즉, 모드 선택스위치(130)가 동영상 모드로 선택되면 제1카메라부(110)를 구동시키고, 모드 선택스위치(130)가 정지영상 모드이면 제2카메라부(120)를 구동시킨다. 제어부(150)에는 키입력부(106)를 통해 소정의 제어테이터가 입력되고 세팅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제1카메라부(110)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제1영상처리부(160) 또는 제2카메라부(120)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제2영상처리부(164)를 모드 선택스위치(130)에 의해 선택된 촬영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 제어한다. 이때, 제1영상처리부(160)는 제1카메라부(110)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처리하는 동영상 처리부(162)와, 제1카메라부(110)에서 촬영된 정지영상을 처리하는 정지영상 처리부(161)로 구분된다. 동영상 처리부(162)는 입력되는 동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동영상 저장매체, 예컨데 테이프 카세트(102)에 저장하고 디스플레이수단(140)을 통해 디스플레이 가능한 신호로 압축 처리한다. 또한, 정지영상 처리부(161)는 입력되는 정지영상 신호를 정지영상 저장매체, 즉 플래시 메모리(104)에 저장되고 디스플레이수단(140)을 통해 디스플레이 가능한 신호로 압축 처리한다. 제2영상처리부(164)에서는 제2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된 정지영상을 압축하여 플래시 메모리(104)와 같은 정지영상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수단(140)을 통해 디스플레이 가능한 신호로 처리한다.
한편, 제1영상처리부(160)의 정지영상 처리부(161)와 제2영상처리부(164) 각각에서 처리된 신호는 먹스(MUX,166)에서 선택적으로 채택되어 정지영상 저장매체(104)에 저장된다. 이러한 먹스(166)는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되어 설정된 촬영모드에 대응되는 카메라부(110,120)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선택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먹스(166)는 모드 선택스위치(130)와 연동하여 제2카메라부(120)의 오프(off)시에는 함께 오프 상태로 유지되고, 온(on)시에는 함께 온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의 본체(100)에 마련되는 파워 스위치를 온 시킨 후, 모드 선택스위치(130)를 조작하여 동영상 모드 또는 정지영상 모드중 어느 하나로 설정한다. 그러면, 제어부(150)는 모드 선택스위치(130)의 선택모드를 판단하여 그에 따라 제1카메라부(110)나 제2카메라부(120)가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모드 선택스위치(130)가 동영상 모드에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제1카메라부(110)를 동작시킨다.
이와 같은 동영상 모드에서, 키입력부(106)를 통해 촬영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50)는 제1드라이버(113)를 제어하여 제1영상센서(112)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제1렌즈(111)를 통해 촬영된 동영상은 제1영상센서(112)에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다. 변환된 전기적 신호는 제1영상처리부(160)의 동영상 처리부(162)에서 테이프 레코더(102)에 저장되기 적합한 신호로 압축 처리된다. 압축 처리된 동영상 신호는 테이프 레코더(102)에 기록되며, 실시간으로 뷰파인더(141)와 디스플레이 판넬(142)을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테이프 레코더(102)에 기록된 동영상 신호는 USP 포트등을 통해 PC등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제1카메라부(110)를 통해 정지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카메라부(110)에 의해 촬영된 정지영상은 제1영상처리부(160)의 정지영상 처리부(161)로 전달되어 플래시 메모리(104)에 저장되기 적합한 신호로 압축 처리된다.
한편, 동영상을 촬영하다가 정지영상을 촬영하고 싶은 경우에 사용자는 모드 선택스위치(130)를 조작하여 정지영상 모드를 선택한다. 그러면, 제어부(150)는 모드 선택스위치(130)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정지영상 모드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제2카메라부(120)를 동작시킨다. 이 상태에서 본체(100)의 키입력부(106)를 통해 촬영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50)는 제2드라이버(123)를 제어하여 제2영상센서(122)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제2렌즈(121)를 통해 촬영된 정지영상은 제2영상센서(122)에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다. 변환된 전기적 신호는 제2영상처리부(164)에서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104)에 저장되기 적합한 신호로 압축 처리된다. 압축 처리된 정지영상 신호는 먹스(166)를 통해 플래시 메모리(104)에 저장되고, 실시간으로 뷰파인더(141)나 디스플레이 판넬(142)을 통해 디스플레이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키입력부(106)를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플래시 메모리(104)에 저장된 영상신호를 USB 포트등을 통해 PC로 전송하기도 하고, 별도의 보조 기억장치에 저장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장치는 정지영상 및 동영상을 각각 촬영할 수 있는 2개의 카메라부(110,120) 각각의 렌즈(111,121)가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본체(1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렌즈(111,121)를 선택하여 촬영할 수 있는 모드 선택스위치(130)를 구비하고 있다. 그래서 모드 선택스위치(130)를 조작하여 촬영하고 싶은 촬영모드를 선택하면 그 선택된 촬영모드에 해당하는 카메라부(110,120)가 구동되어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 별도의 제품으로 출시되던 디지털 스틸 카메라와 캠코더를 일체화하는 것이 가능하면서도, 모드 선택스위치(130)의 조작만으로 촬영모드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정지영상 촬영과 동영상 촬영의 선택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촬영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카메라부를 회전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다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영상촬영장치에 의하면, 캠코더용 렌즈와 카메라용 렌즈가 각각 그 전면이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동질면상에 설치되어 있고, 사용하고자 하는 렌즈를 모드 선택스위치의 조작만으로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정지영상과 동영상의 선택 촬영의 조작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촬영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카메라가 설치된 하우징을 회전가능하게 만들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종래보다 장치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별도의 렌즈를 통해 정지영상과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종래의 영상촬영장치의 일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촬영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3의 영상촬영장치의 렌즈부를 나타내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촬영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기능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체 101; 플래시
102; 테이프 카세트 103; 마이크 유닛
104; 플래시 메모리 106; 키입력부
110; 제1카메라부 111; 제1렌즈
112; 제1영상센서 113; 제1드라이버
120; 제2카메라부 121; 제2렌즈
122; 제2영상센서 123; 제2드라이버
130; 모드 선택스위치 140; 디스플레이수단
141; 뷰파인더 150; 제어부
160; 제1영상처리부 164; 제2영상처리부
Claims (8)
-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1카메라부와 정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2카메라부를 갖는 영상촬영장치에 있어서,상기 제1카메라부의 제1렌즈;상기 제1카메라부의 제1렌즈와 동질면 상에 설치되는 상기 제2카메라부의 제2렌즈;상기 제1렌즈를 통해 동영상을 촬영하는 동영상 모드와 상기 제2렌즈를 통해 정지영상을 촬영하는 정지영상 모드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스위치; 및상기 모드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촬영모드에 따라 상기 제1카메라부와 제2카메라부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는 상기 제1렌즈의 아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의 상측에는 플래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테이프 카세트가 장/탈착되는 본체;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제1렌즈;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1렌즈를 통해 포착된 동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제1카메라부;상기 제1렌즈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제2렌즈;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2렌즈를 통해 포착된 정지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제2카메라부;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제1카메라부와 제2카메라부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카메라부의 렌즈를 통해 포착된 영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수단;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카메라부로 동영상을 촬영하는 동영상 모드와 상기 제2카메라부로 정지영상을 촬영하는 정지영상 모드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스위치; 및상기 모드 선택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촬영모드에 따라 상기 제1카메라부와 제2카메라부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는 상기 제1렌즈의 아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은,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제1카메라부와 제2카메라부중 어느 하나를 통해 포착되는 영상을 보여주는 뷰파인더; 및상기 본체에 적어도 1축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뷰파인더와는 독립적으로 포착된 영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판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정지영상을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가 장착/탈착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 장착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외부의 음향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유닛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6024A KR20050090780A (ko) | 2004-03-10 | 2004-03-10 | 영상촬영장치 |
US11/047,769 US20050200718A1 (en) | 2004-03-10 | 2005-02-02 |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
EP05101476A EP1575270A1 (en) | 2004-03-10 | 2005-02-25 | A camera apparatus having a still camera element and a camcorder element |
JP2005066165A JP2005260959A (ja) | 2004-03-10 | 2005-03-09 | 撮像装置 |
CNB2005100535799A CN100338942C (zh) | 2004-03-10 | 2005-03-10 | 图像摄影设备和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6024A KR20050090780A (ko) | 2004-03-10 | 2004-03-10 | 영상촬영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90780A true KR20050090780A (ko) | 2005-09-14 |
Family
ID=34825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16024A Withdrawn KR20050090780A (ko) | 2004-03-10 | 2004-03-10 | 영상촬영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050200718A1 (ko) |
EP (1) | EP1575270A1 (ko) |
JP (1) | JP2005260959A (ko) |
KR (1) | KR20050090780A (ko) |
CN (1) | CN100338942C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053104B2 (en) * | 2005-12-29 | 2011-11-08 | Samsung Sdi Co., Ltd. | Pouch type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KR101476647B1 (ko) * | 2008-03-14 | 2014-12-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32724A (ko) * | 2002-10-09 | 2004-04-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캠코더 |
KR20060015883A (ko) * | 2004-08-16 | 2006-02-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사경을 이용한 복합촬영장치 및 그 촬영방법 |
JP2007041046A (ja) * | 2005-07-29 | 2007-02-15 | Eastman Kodak Co | 撮像装置 |
US7697827B2 (en) | 2005-10-17 | 2010-04-13 | Konicek Jeffrey C | User-friendlier interfaces for a camera |
KR100810265B1 (ko) * | 2006-08-07 | 2008-03-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단말기의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
JP4254857B2 (ja) * | 2006-12-25 | 2009-04-15 | ソニー株式会社 | 撮像装置 |
KR101532610B1 (ko) * | 2009-01-22 | 2015-06-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지털 촬영 장치,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저장매체 |
KR101692398B1 (ko) | 2010-08-30 | 2017-01-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지털 촬영 장치 및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
US8520080B2 (en) | 2011-01-31 | 2013-08-27 | Hand Held Products, Inc.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use of imaging assembly on mobile terminal |
CN113259565B (zh) | 2012-11-28 | 2023-05-19 | 核心光电有限公司 | 多孔径成像系统 |
CN109194849B (zh) | 2013-06-13 | 2021-01-15 | 核心光电有限公司 | 双孔径变焦数字摄影机 |
JP2016523389A (ja) | 2013-07-04 | 2016-08-08 | コアフォトニクス リミテッド | 小型望遠レンズアセンブリ |
CN105917641B (zh) | 2013-08-01 | 2018-10-19 | 核心光电有限公司 | 具有自动聚焦的纤薄多孔径成像系统及其使用方法 |
US9392188B2 (en) | 2014-08-10 | 2016-07-12 | Corephotonics Ltd. | Zoom dual-aperture camera with folded lens |
WO2016108093A1 (en) | 2015-01-03 | 2016-07-07 | Corephotonics Ltd. | Miniature telephoto lens module and a camera utilizing such a lens module |
KR101914894B1 (ko) | 2015-04-02 | 2018-11-02 |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 듀얼 광학 모듈 카메라의 듀얼 보이스 코일 모터 구조체 |
EP3696587B1 (en) | 2015-04-16 | 2023-09-20 | Corephotonics Ltd. | Auto focus and optical image stabilization in a compact folded camera |
KR101911198B1 (ko) | 2015-05-28 | 2018-10-24 |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 이중-조리개 디지털 카메라의 광학식 손떨림 방지 및 자동-초점을 위한 양-방향성 강성 |
EP3335415B1 (en) | 2015-08-13 | 2019-11-20 | Corephotonics Ltd. | Dual aperture zoom camera with video support and switching / non-switching dynamic control |
KR101993077B1 (ko) | 2015-09-06 | 2019-06-25 |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 소형의 접이식 카메라의 롤 보정에 의한 자동 초점 및 광학식 손떨림 방지 |
EP4024842A3 (en) | 2015-12-29 | 2022-08-31 | Corephotonics Ltd. | Dual-aperture zoom digital camera with automatic adjustable tele field of view |
CN107219710B (zh) * | 2016-03-21 | 2020-12-08 |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 多镜头系统及具有该多镜头系统的便携式电子装置 |
CN107925717B (zh) | 2016-05-30 | 2020-10-27 | 核心光电有限公司 | 旋转滚珠引导音圈电动机 |
EP4020958B1 (en) | 2016-06-19 | 2023-10-25 | Corephotonics Ltd. | Frame synchronization in a dual-aperture camera system |
WO2018007981A1 (en) | 2016-07-07 | 2018-01-11 | Corephotonics Ltd. | Linear ball guided voice coil motor for folded optic |
WO2018007951A1 (en) | 2016-07-07 | 2018-01-11 | Corephotonics Ltd. | Dual-camera system with improved video smooth transition by image blending |
US10311712B2 (en) * | 2016-09-10 | 2019-06-04 | Wearable Technology Limited |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functionality and supplying power to a peripheral device attached to an item of clothing |
US11531209B2 (en) | 2016-12-28 | 2022-12-20 | Corephotonics Ltd. | Folded camera structure with an extended light-folding-element scanning range |
EP4525469A3 (en) | 2017-01-12 | 2025-05-21 | Corephotonics Ltd. | Compact folded camera |
KR102211711B1 (ko) | 2017-02-23 | 2021-02-03 |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 폴디드 카메라 렌즈 설계 |
KR102770496B1 (ko) | 2017-03-15 | 2025-02-18 |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 파노라마 스캐닝 범위를 갖는 카메라 |
WO2019048904A1 (en) | 2017-09-06 | 2019-03-14 | Corephotonics Ltd. | STEREOSCOPIC DEPTH CARTOGRAPHY AND COMBINED PHASE DETECTION IN A DOUBLE-OPENING CAMERA |
US10951834B2 (en) | 2017-10-03 | 2021-03-16 | Corephotonics Ltd. | Synthetically enlarged camera aperture |
KR102424791B1 (ko) | 2017-11-23 | 2022-07-22 |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 컴팩트 폴디드 카메라 구조 |
CN110352371B (zh) | 2018-02-05 | 2022-05-13 | 核心光电有限公司 | 减少高度容余的折叠摄像装置 |
KR102708672B1 (ko) | 2018-02-12 | 2024-09-20 |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 광학 이미지 안정화 기능을 갖는 폴디드 카메라 |
US10694168B2 (en) | 2018-04-22 | 2020-06-23 | Corephotonics Ltd. | System and method for mitigating or preventing eye damage from structured light IR/NIR projector systems |
CN112367448B (zh) | 2018-04-23 | 2022-04-19 | 核心光电有限公司 | 感测机构 |
CN119919618A (zh) | 2018-07-04 | 2025-05-02 | 核心光电有限公司 | 用于汽车或监控应用具有扫描光路折叠元件的相机 |
WO2020031005A1 (en) | 2018-08-04 | 2020-02-13 | Corephotonics Ltd. | Switchable continuous display information system above camera |
US11635596B2 (en) | 2018-08-22 | 2023-04-25 | Corephotonics Ltd. | Two-state zoom folded camera |
KR102242437B1 (ko) | 2019-01-07 | 2021-04-20 |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 슬라이딩 조인트를 갖는 회전 메커니즘 |
EP4224841B1 (en) | 2019-03-09 | 2025-06-25 | Corephotonics Ltd. | Method for dynamic stereoscopic calibration |
KR20240027858A (ko) | 2019-07-31 | 2024-03-04 |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 카메라 패닝 또는 모션에서 배경 블러링을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
US11659135B2 (en) | 2019-10-30 | 2023-05-23 | Corephotonics Ltd. | Slow or fast motion video using depth information |
CN114641983A (zh) | 2019-12-09 | 2022-06-17 | 核心光电有限公司 | 用于获得智能全景图像的系统及方法 |
US11949976B2 (en) | 2019-12-09 | 2024-04-02 | Corephotonics Ltd. |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a smart panoramic image |
EP4052176B1 (en) | 2020-02-22 | 2025-04-30 | Corephotonics Ltd. | Split screen feature for macro photography |
CN114144898B (zh) | 2020-04-26 | 2022-11-04 | 核心光电有限公司 | 用于霍尔棒传感器校正的温度控制 |
EP4407976A3 (en) | 2020-05-17 | 2024-10-09 | Corephotonics Ltd. | Image stitching in the presence of a full field of view reference image |
WO2021245488A1 (en) | 2020-05-30 | 2021-12-09 | Corephotonics Ltd. |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a super macro image |
EP4202521B1 (en) | 2020-07-15 | 2025-03-19 | Corephotonics Ltd. | Point of view aberrations correction in a scanning folded camera |
US11637977B2 (en) | 2020-07-15 | 2023-04-25 | Corephotonics Ltd. | Image sensors and sensing methods to obtain time-of-flight and phase detection information |
KR20250037574A (ko) | 2020-07-31 | 2025-03-17 |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 큰 스트로크 선형 위치 감지를 위한 홀 센서-자석 구조 |
KR102480820B1 (ko) | 2020-08-12 | 2022-12-22 |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 스캐닝 폴디드 카메라의 광학 이미지 안정화 |
WO2022137213A1 (en) | 2020-12-26 | 2022-06-30 | Corephotonics Ltd. | Video support in a multi-aperture mobile camera with a scanning zoom camera |
TWI836372B (zh) | 2021-03-11 | 2024-03-21 | 以色列商核心光電有限公司 | 彈出式照相機系統 |
EP4204885A4 (en) | 2021-06-08 | 2024-03-06 | Corephotonics Ltd. | Systems and cameras for tilting a focal plane of a super-macro image |
KR102770497B1 (ko) | 2022-03-24 | 2025-02-18 |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 슬림 컴팩트 렌즈 광학 이미지 안정화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0908B2 (ja) * | 1986-12-27 | 1996-01-31 | ソニー株式会社 | スチルカメラ付ビデオカメラ |
JPH0728388B2 (ja) * | 1987-04-03 | 1995-03-29 |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 スチルカメラ付きビデオカメラ |
US4829384A (en) * | 1987-04-16 | 1989-05-09 | Fuji Photo Film Co., Ltd. | Camera for shooting movie and still pictures |
JPS63261332A (ja) | 1987-04-20 | 1988-10-28 | Fuji Photo Film Co Ltd | スチルカメラ付きビデオカメラ |
JPH0769564B2 (ja) * | 1987-04-20 | 1995-07-31 |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 スチルカメラ付きビデオカメラ |
KR930002042Y1 (ko) | 1990-10-11 | 1993-04-2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 스틸 촬영이 가능한 캠코더 |
US5504584A (en) * | 1991-01-30 | 1996-04-02 | Fuji Photo Film Co., Ltd. | Video movie camera capable of still photography using a stroboscopic flash |
JPH0686127A (ja) * | 1992-08-31 | 1994-03-25 | Sony Corp | スチルカメラ付ビデオカメラ |
JP3496207B2 (ja) * | 1994-06-22 | 2004-02-09 | ソニー株式会社 | ビデオカメラ |
JP2815553B2 (ja) * | 1995-04-28 | 1998-10-27 | 三星電子株式会社 | スチルカメラ一体型ビデオカメラ |
JPH09127603A (ja) * | 1995-11-01 | 1997-05-16 | Nikon Corp | ビデオカメラ用スチルカメラ |
US5926218A (en) * | 1996-06-04 | 1999-07-20 | Eastman Kodak Company | Electronic camera with dual resolution sensors |
US6549237B1 (en) * | 1997-07-29 | 2003-04-15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sensing apparatus capable of seeing image displayed on display device through finder |
JPH11164245A (ja) * | 1997-12-01 | 1999-06-18 | Sony Corp | 映像記録装置および映像再生装置ならびに映像記録再生装置 |
US7046286B1 (en) * | 1997-12-24 | 2006-05-16 | Canon Kabushiki Kaisha | Video camera |
JP2000175153A (ja) * | 1998-12-04 | 2000-06-23 | Olympus Optical Co Ltd | 電子カメラ |
US6937280B2 (en) * | 2000-02-15 | 2005-08-30 | Canon Kabushiki Kaisha | Electronic device having pivotal display and stereo speakers |
-
2004
- 2004-03-10 KR KR1020040016024A patent/KR20050090780A/ko not_active Withdrawn
-
2005
- 2005-02-02 US US11/047,769 patent/US2005020071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5-02-25 EP EP05101476A patent/EP1575270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5-03-09 JP JP2005066165A patent/JP2005260959A/ja active Pending
- 2005-03-10 CN CNB2005100535799A patent/CN100338942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053104B2 (en) * | 2005-12-29 | 2011-11-08 | Samsung Sdi Co., Ltd. | Pouch type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KR101476647B1 (ko) * | 2008-03-14 | 2014-12-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668078A (zh) | 2005-09-14 |
JP2005260959A (ja) | 2005-09-22 |
EP1575270A1 (en) | 2005-09-14 |
US20050200718A1 (en) | 2005-09-15 |
CN100338942C (zh) | 2007-09-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50090780A (ko) | 영상촬영장치 | |
US663095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displaying an image taken by a rotatable image pickup portion | |
US7405751B2 (en) |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photographic mode based on position of camera unit | |
KR20040099874A (ko) | 복합촬영장치 및 방법 | |
JP4643439B2 (ja) | 携帯型撮像装置 | |
JP2925417B2 (ja) |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及び撮像装置と接続可能な外部装置 | |
JP2002359763A (ja) | デジタルカメラ用スタンド | |
JP3930471B2 (ja) | 映像撮影装置 | |
JP3392112B2 (ja) | 撮像装置と接続可能な外部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US20040131327A1 (en) | Portable recording playback apparatus | |
KR20050075893A (ko) | 영상 촬영장치 | |
JPH08313792A (ja) | 撮像装置 | |
JP3119448B2 (ja) | 撮像装置と接続可能な外部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 |
KR100920720B1 (ko) | 영상 촬영장치 | |
JP2005229428A (ja) | 撮影装置 | |
JP3150309B2 (ja) | 撮像装置と接続可能な外部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EP1689166A1 (en) | A camera apparatus | |
JP2006229524A (ja) | 撮影装置 | |
JPH11136545A (ja) | 画像記録装置 | |
JP2007060304A (ja) | 撮影装置 | |
JP4050688B2 (ja) | デジタルカメラ、その制御方法および記録媒体 | |
JPH11177860A (ja) | デジタルカメラ | |
JP2007180835A (ja) | 携帯型撮像装置 | |
JP2004343810A (ja) | 画像記録装置 | |
JP2007214999A (ja) | 撮像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1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