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1 은 h0T7T175 발현 CH0 세포를 사용한 화합물322, 화합물305, 화합물303, 화합물286, 화합물232, 화합물141 의 유주 저해 활성 평가를 나타낸다. 가로축의 FBS- 는 FBS 무첨가인 경우, FBS+ 는 FBS 첨가인 경우, 322 는 화합물322 첨가인 경우, 305 는 화합물 305 첨가인 경우, 303 은 화합물303 첨가인 경우, 286 은 화합물286 첨가인 경우, 232 는 화합물232 첨가인 경우, 141 은 화합물141 첨가인 경우, (1-54) 는 메타스틴 (1-54) 첨가인 경우, (45-54) 는 메타스틴 45-54 첨가인 경우를 나타낸다. 세로축은, FBS 첨가인 경우의 유주 활성을 100% 로 한 경우의 상대활성을 나타낸다.
도 2 는 인간 결장암 유래 세포주 SW620 담암 (擔癌) 마우스를 사용한 화합물322 및 메스타틴 (1-54) 의 종양 증식 억제 활성 평가를 나타낸다. 값은 (평균치)±(표준오차) 를 나타낸다. ◇ 는 Vehicle (증류수) 을, ○ 는 화합물322 (0.1mM) 을, ● 은 화합물322 (1mM) 을, ■ 는 메스타틴 (메스타틴 l-54) 을 첨가하였을 때의 결과를 나타낸다. 가로축은 투여 후의 일수를 나타낸다. 가로축 상의 바는 투여 기간을 나타낸다. 세로축은 종양 체적 (㎣) 을 나타낸다.
도 3 은 인간 결장암 유래 세포주 SW620 담암 마우스를 사용한 화합물305 및 메스타틴 (1-54) 의 종양 증식 억제 활성 평가를 나타낸다. 값은 (평균치)±5 (표준오차) 를 나타낸다. ◇ 는 Vehicle (증류수) 을, ○ 는 화합물305 (0.1mM) 를, ● 은 화합물305 (lmM) 을, ■ 는 메스타틴 (메스타틴 l-54) 을 첨가하였을 때의 결과를 나타낸다. 가로축은 투여 후의 일수를 나타낸다. 가로축상의 바는 투여 기간을 나타낸다. 세로축은 종양 체적 (㎣) 을 나타낸다.
도 4 는 메타스틴을 무마취 하의 래트에 정맥 투여하였을 때의 혈중 글루코오스 농도의 변동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면 중, (-o-) 은 생리식염수 투여군, (-▲-) 은 메타스틴 17n㏖/㎏ 투여군, (-ㆍ-) 은 메타스틴 80n㏖/㎏ 투여군 및 (-◆-) 은 메타스틴 170n㏖/㎏ 투여군의 혈중 글루코오스 농도를 나타낸다. 값은 평균치±표준편차 (mean±SE) (n=5) 를 나타낸다. * 는 생리식염수 투여군에 비하여, P값이 0.05 이하인 것을 나타낸다. ** 는 생리식염수 투여군에 비하여, P값이 0.01 이하인 것을 나타낸다.
도 5 는 메타스틴을 무마취 하의 래트에 정맥 투여하였을 때의 혈중 글루카곤 농도의 변동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면 중, (-o-) 은 생리식염수 투여군, (-ㆍ-) 은 메타스틴 80n㏖/㎏ 투여군의 혈중 글루카곤 농도를 나타낸다. 값은 평균치±표준편차 (mean±SE) (n=6∼9) 를 나타낸다. * 는 생리식염수 투여군에 비하여, P값이 0.05 이하인 것을 나타낸다. ** 는 생리식염수 투여군에 비하여, P값이 0.01 이하인 것을 나타낸다.
도 6 은 메타스틴을 무마취 하의 래트에 정맥 투여하였을 때의 혈중 인슐린 농도의 변동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면 중, (-o-) 은 생리식염수 투여군, (-ㆍ-) 은 메타스틴 80n㏖/㎏ 투여군의 혈중 인슐린 농도를 나타낸다. 값은 평균치±표준편차 (mean±SE) (n=6∼9) 를 나타낸다.
도 7 은 메타스틴을 무마취 하의 래트에 정맥 투여하였을 때의 혈중 코르티코스테론 농도의 변동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면 중, (-o-) 은 생리식염수 투여군, (-ㆍ-) 은 메타스틴 80n㏖/㎏ 투여군의 혈중 코르티코스테론 농도를 나타낸다. 값은 평균치±표준편차 (mean±SE) (n=4∼5) 를 나타낸다.
도 8 은 메타스틴을 무마취 하의 래트에 정맥 투여하였을 때의 혈중 갑상선 호르몬 (T3) 농도의 변동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면 중, (-o-) 은 생리식염수 투여군, (-ㆍ-) 은 메타스틴 80n㏖/㎏ 투여군의 혈중 갑상선 호르몬 (T3) 농도를 나타낸다. 값은 평균치±표준편차 (mean±SE) (n=4∼5) 를 나타낸다.
도 9 는 메타스틴을 무마취 하의 래트에 정맥 투여하였을 때의 혈중 글루코오스 농도의 변동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면 중, (-o-) 은 생리식염수 투여군, (-ㆍ-) 은 메타스틴 80n㏖/㎏ 투여군의 혈중 글루코오스 농도를 나타낸다. 값은 평균치±표준편차 (mean±SE) (n=6∼9) 를 나타낸다. * 는 생리식염수 투여군에 비하여, P값이 0.05 이하인 것을 나타낸다.
도 10 은 메타스틴 유도체를 무마취 하의 래트에 정맥 투여하였을 때의 혈중 글루코오스 농도의 변동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면 중, (-o-) 은 생리식염수 투여군, (-ㆍ-) 은 KiSS1-305 80n㏖/㎏ 투여군, (-▲-) 은 KiSS1-322 80n㏖/㎏ 투여군의 혈중 글루코오스 농도를 나타낸다. 값은 평균치±표준편차 (mean±SE) (n=5) 를 나타낸다. * 는 생리식염수 투여군에 비하여, P값이 0.05 이하인 것을 나타낸다. ** 는 생리식염수 투여군에 비하여, P값이 0.01 이하인 것을 나타낸다.
도 11 은 메타스틴을 무마취 하의 래트에 정맥 투여하였을 때의 혈중 글루카곤 농도의 변동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면 중, (-o-) 은 생리식염수 투여군, (-ㆍ-) 은 KiSS1-305 (화합물305) 80n㏖/㎏ 투여군, (-▲-) 은 KiSS1-322 (화합물322) 80n㏖/㎏ 투여군의 혈중 글루카곤 농도를 나타낸다. 값은 평균치±표준편차 (mean±SE) (n=5) 를 나타낸다. * 는 생리식염수 투여군에 비하여, P값이 0.05 이하인 것을 나타낸다.
도 12 는 래트의 혈장 중에 함유되는 에스트라디올의 농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중, 세로축은 에스트라디올의 농도를, 가로축은 약제 투여군의 그룹을 각각 나타낸다.
도 13 은 래트의 혈장 중에 함유되는 프로게스테론의 농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중, 세로축은 에스트라디올의 농도를, 가로축은 약제 투여군의 그룹을 각각 나타낸다.
도 14 는 메타스틴 투여에 의한 미성숙 래트 혈중 FSH 농도의 변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는 메타스틴 투여에 의한 미성숙 래트 혈중 LH 농도의 변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은 메타스틴 투여에 의한 미성숙 래트 혈중 프로게스테론 농도의 변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은 메타스틴 투여에 의한 래트 혈중 FSH 농도의 변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은 메타스틴 투여에 의한 래트 혈중 LH 농도의 변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는 메타스틴 투여에 의한 래트 혈중 테스토스테론 농도의 변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 은 시험예 13 에서 측정한 각 투여군에 있어서의 래트 1개체 당의 배란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중 ◆ 는 래트 개체마다의 값을 나타내고, 는 각 군에 있어서의 평균치를 나타낸다.
도 21 은 시험예 13 에서 측정한 각 투여군에 있어서의 혈중 에스트라디올 농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중 ▲ 는 래트 개체마다의 값을 나타내고, 는 각 군에 있어서의 평균치를 나타낸다.
도 22 는 시험예 13 에서 측정한 각 투여군에 있어서의 혈중 프로게스테론 농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중 ▲ 는 래트 개체마다의 값을 나타내고, 는 각 군에 있어서의 평균치를 나타낸다.
서열표 프리텍스트
서열번호:15 C 말단이 아미드화되어 있다.
서열번호:16 C 말단이 아미드화되어 있다.
서열번호:17 C 말단이 아미드화되어 있다.
서열번호:18 C 말단이 아미드화되어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는, 자체 공지된 펩티드의 합성법에 따라서 제조할 수 있다. 펩티드의 합성법으로는 예를 들어 고상합성법, 액상합성법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즉, 본 발명의 펩티드를 구성할 수 있는 부분 펩티드 또는 아미노산과 잔여 부분을 축합시키고, 생성물이 보호기를 갖는 경우에는 보호기를 탈리함으로써 원하는 펩티드를 제조할 수 있다. 공지된 축합방법이나 보호기의 탈리법은 예를 들어, 이하의 (1)∼(5) 에 기재된 방법을 들 수 있다.
(1) M. Bodanszky 및 M.A.0ndetti, 펩티드 신세시스 (Peptide Synthesis), Interscience Publishers, New York (1966년)
(2) Schroeder 및 Luebke, 더 펩티드 (The Peptide), Academic Press, New York (I965년)
(3) 이즈미야 노부오 외, 펩티드 합성의 기초와 실험, 마루젠(주) (1975년)
(4) 야지마 하루아끼 및 사카키 순페이, 생화학실험 강좌 1, 단백질의 화학IV, 205, (1977년)
(5) 야지마 하루아끼 감수, 속 의약물의 개발 제14권 펩티드 합성 히로카와 서점
또, 반응 후는 통상의 정제법, 예를 들어, 용매추출·증류·칼럼 크로마토그래피·액체 크로마토그래피·재결정 등을 조합하여 본 발명의 펩티드를 정제단리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얻어지는 펩티드가 유리체인 경우에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적당한 염으로 변환할 수 있고, 반대로 염으로 얻어진 경우에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유리체로 변환할 수 있다.
보호된 아미노산 또는 펩티드의 축합에 관해서는, 펩티드 합성에 사용할 수 있는 각종 활성화 시약을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트리스포스포늄염류, 테트라메틸우로늄염류, 카르보디이미드류 등이 좋다. 트리스포스포늄염류로서는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피롤리디노)포스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PyBOP), 브로모트리스(피롤리디노)포스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PyBroP), 7-아자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피롤리디노)포스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PyAOP), 테트라메틸우로늄염류로서는 2-(1H-벤조트리아졸-1-일)-1,1,3,3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BTU), 2-(7-아자벤조트리아졸-1-일)-1,1,3,3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ATU), 2-(lH-벤조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TBTU), 2-(5-노르보르넨-2,3-디카르복시이미드)-1,1,3,3-테트라메틸우로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TNTU), 0-(N-숙시미딜)-1,1,3,3-테트라메틸우로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TSTU), 카르보디이미드류로서는 DCC, N,N'-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DIPCDI), N-에틸-N'-(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염산염 (EDCI·HCl)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에 의한 축합에는 라세미화 억제제 (예를 들어, HONB, HOBt, HOAt, HOOBt 등) 의 첨가가 바람직하다. 축합에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펩티드 축합반응에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용매로부터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수 또는 함수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등의 산아미드류,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류, 트리플루오로에탄올, 페놀 등의 알코올류,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술폭시드류, 피리딘 등의 3급아민류,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류, 아세토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등의 에스테르류 또는 이들의 적절한 혼합물 등이 사용된다. 반응온도는 펩티드 결합형성반응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되고, 통상 약 -20℃∼50℃ 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된다. 활성화된 아미노산 유도체는 통상 1.5 내지 6배 과잉으로 사용된다. 고상합성의 경우에는 닌히드린 반응을 사용한 테스트의 결과, 축합이 불충분한 경우에는 보호기를 탈리하지 않고 축합반응을 반복함으로써 충분히 축합할 수 있다. 반응을 반복하여도 충분한 축합이 얻어지지 않을 때에는, 무수아세트산 또는 아세틸이미다졸 등을 사용하여 미반응 아미노산을 아실화하여, 후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원료 아미노산의 아미노기의 보호기로는 예를 들어, Z, Boc, tert-펜틸옥시카르보닐, 이소보르닐옥시카르보닐, 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 C1-Z, Br-Z, 아다만틸옥시카르보닐, 트리플루오로아세틸, 프탈로일, 포르밀, 2-니트로페닐슬페닐, 디페닐포스피노티오일, Fmoc 등을 들 수 있다. 카르복실기의 보호기로는 예를들어 R 로서 상기한 C1-6 알킬기, C3-8 시클로알킬기, C7-14 아르알킬기 외에, 알릴, 2-아다만틸, 4-니트로벤질, 4-메톡시벤질, 4-클로로벤질, 페나실기 및 벤질옥시카르보닐히드라지드, tert-부톡시카르보닐히드라지드, 트리틸히드라지드 등을 들 수 있다.
세린 및 트레오닌의 수산기는, 예를 들어 에스테르화 또는 에테르화에 의하여 보호할 수 있다. 이 에스테르화에 적합한 기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틸기 등의 저급 (C2-4) 알카노일기, 벤조일기 등의 알로일기 등의 유기산으로부터 유도되는 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에테르화에 적합한 기로는 예를 들어 벤질기, 테트라히드로피라닐기, tert-부틸기, 트리틸기 (Trt) 등이다.
티로신의 페놀성 수산기의 보호기로는 예를 들어 Bzl, 2,6-디클로르벤질, 2-니트로벤질, Br-Z, tert-부틸 등을 들 수 있다.
히스티딘의 이미다졸의 보호기로서는, Tos, 4-메톡시-2,3,6-트리메틸벤젠술포닐 (Mtr), DNP, Bom, Bum, Boc, Trt, Fmoc 등을 들 수 있다.
아르기닌의 구아니디노기의 보호기로서는 Tos, Z,4-메톡시-2,3,6-트리메틸벤젠술포닐 (Mtr), p-메톡시벤젠술포닐 (MBS), 2,2,5,7,8-펜타메틸크로만-6-술포닐 (Pmc), 메시틸렌-2-술포닐 (Mts), 2,2,4,6,7-펜타메틸디히드로벤조푸란-5-술포닐 (Pbf), Boc, Z, NO2 등을 들 수 있다.
리신의 측쇄 아미노기의 보호기로서는 Z, Cl-Z, 트리플루오로아세틸, Boc, Fmoc, Trt, Mtr, 4,4-디메틸-2,6-디옥소사이클로헥실리덴에일 (Dde) 등을 들 수 있다.
트립토판의 인돌릴 보호기로서는 포르밀 (For), Z, Boc, Mts, Mtr 등을 들 수 있다.
아스파라긴, 글루타민의 보호기로는 Trt, 크산틸 (Xan), 4,4'-디메톡시벤즈히드릴 (Mbh), 2,4,6-트리메톡시벤질 (Tmob) 등을 들 수 있다.
원료의 카르복실기의 활성화된 것으로는, 예를 들어 대응하는 산무수물, 아지드, 활성 에스테르 [알코올 (예를 들어, 펜타클로로페놀, 2,4,5-트리클로로페놀, 2,4-디니트로페놀, 시아노메틸알코올, 파라니트로페놀, HONB, N-히드록시숙시미드,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H0Bt), 1-히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 (H0At) 과의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원료의 아미노기의 활성화된 것으로는 예를 들어 대응하는 아인산아미드를 들 수 있다.
보호기의 제거 (탈리)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Pd 흑 또는 Pd 탄소 등의 촉매의 존재 하에서의 수소기류 중에서의 접촉환원이나, 또한 무수불화수소, 메탄술폰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브롬화트리메실실란 (TMSBr), 트리메틸실릴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테트라플루오로붕산, 트리스(트리플루오로)붕소, 3브롬화붕소 또는 이들의 혼합액 등에 의한 산처리나,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피페리딘, 피페라진 등에 의한 염기처리, 또한 액체암모니아 중 나트륨에 의한 환원 등도 들 수 있다. 상기 산처리에 의한 탈리반응은 일반적으로 -20℃∼40℃ 의 온도에서 행하여지는데, 산처리에 있어서는 아니솔, 페놀, 티오아니솔, 메타크레졸, 파라크레졸과 같은 양이온 포착제나, 디메틸술피드, 1,4-부탄디티올, 1,2-에탄디티올 등의 첨가가 유효하다. 또한, 히스티딘의 이미다졸 보호기로서 사용되는 2,4-디니트로페닐기는 티오페놀 처리에 의해 제거되어, 트립토판의 인돌 보호기로서 사용되는 포르밀기는 상기의 1,2-에탄디티올, 1,4-부탄디티올 등의 존재 하의 산처리에 의한 탈보호 이외에에, 묽은 수산화나트륨, 묽은 암모니아 등에 의한 알칼리처리에 의해서도 제거된다.
원료의 반응에 관여해서는 안되는 관능기의 보호 및 보호기, 및 그 보호기의 탈리, 반응에 관여하는 관능기의 활성화 등은 공지된 보호기 또는 공지된 수단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펩티드의 아미드체를 얻는 방법으로는, 아미드체 합성용 수지를 사용하여 고상 합성하거나 또는 카르복실 말단 아미노산의 α-카르복실기를 아미드화한 후, 아미노기측에 펩티드 사슬을 원하는 사슬길이까지 연장시킨 후, 그 펩티드 사슬의 N 말단의 α-아미노기의 보호기만을 제거한 펩티드와 C 말단의 카르복실기의 보호기만을 제거한 펩티드 (또는 아미노산) 을 제조하여, 이 양 펩티드를 상기한 바와 같은 혼합용매 중에서 축합시킨다. 축합반응의 상세한 것에 관해서는 상기와 동일하다. 축합에 의해 얻어진 보호 펩티드를 정제한 후, 상기 방법에 의해 모든 보호기를 제거하여, 원하는 비정제 폴리펩티드를 얻을 수 있다. 이 비정제 펩티드는 이미 알려진 각종 정제수단을 구사하여 정제하고, 주요 획분을 동결건조함으로써 원하는 펩티드의 아미드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메타스틴 유도체 (I) 가, 컨피규레이셔널 아이소머 (배치 이성체), 디아스테레오머, 컴포머 등으로 존재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의 분리, 정제수단에 의해 각각을 단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이 라세미체인 경우에는, 통상의 광학분할수단에 의해 S 체및 R 체로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타스틴 유도체 (I) 에 입체 이성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 이성체가 단독인 경우 및 이들 혼합물인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는, 수화물 또는 비수화물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는 동위원소 (예, 3H, 14C, 35S) 등으로 표지되어 있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펩티드는 펩티드 표기의 관례에 따라 좌단이 N 말단 (아미노말단), 우단이 C 말단 (카르복실 말단) 이다. 펩티드의 C 말단은, 아미드 (-CONH2), 카르복실기 (-COOH), 카르복실레이트 (-COO-), 알킬아미드 (-CONHR) 또는 에스테르 (-COOR) 이어도 되지만, 특히 아미드 (-CONH2) 가 바람직하다. 에스테르 또는 알킬아미드의 R 로는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또는 n-부틸 등의 C1-6 알킬기,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등의 C3-8 시클로알킬기, 페닐, α-나프틸 등의 C6-12 아릴기, 벤질, 페네틸, 벤즈히드릴 등의 페닐 C1-2 알킬, 또는 α-나프틸메틸 등의 α-나프틸-C1-2 알킬 등의 C7-14 아르알킬기 외에, 경구용 에스테르로서 범용되는 피발로일옥시메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메타스틴 유도체 (I) 의 염으로는 예를 들어 금속염, 암모늄염, 유기염기와의 염, 무기산과의 염, 유기산과의 염, 염기성 또는 산성 아미노산과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금속염의 바람직한 예로는 예를 들어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알칼리금속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바륨염 등의 알칼리 토금속염; 알루미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유기염기와의 염의 바람직한 예로는 예를 들어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피콜린, 2,6-루티딘,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등과의 염을 들 수 있다. 무기산과의 염의 바람직한 예로는 예를 들어 염산, 브롬화수소산, 질산, 황산, 인산 등과의 염을 들 수 있다. 유기산과의 염의 바람직한 예로는 예를 들어 포름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프탈산, 푸마르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말레산, 시트르산, 숙신산, 말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등과의 염을 들 수 있다. 염기성 아미노산과의 염의 바람직한 예로는 예를 들어 아르기닌, 리신, 오르니틴 등과의 염을 들 수 있고, 산성아미노산과의 염의 바람직한 예로는 예를 들어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등과의 염을 들 수 있다.
이 중, 약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화합물 내에 산성 관능기를 갖는 경우에는 알칼리금속염 (예, 나트륨염, 칼륨염등), 알칼리 토금속염 (예, 칼슘염, 마그네슘염, 바륨염 등) 등의 무기염, 암모늄염 등이, 또한, 화합물 내에 염기성 관능기를 갖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염산, 브롬화수소산, 질산, 황산, 인산 등 무기산과의 염, 또는 아세트산, 프탈산, 푸마르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말레산, 시트르산, 숙신산,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등의 유기산과의 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또는 그 염 (이하, 본 발명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로 약기한다) 의 프로드러그는, 생체내에서의 생리조건 하에서 효소나 위산 등에 의한 반응에 의해 본 발명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로 변환하는 메타스틴 유도체, 즉 효소적으로 산화, 환원, 가수분해 등을 일으켜 본 발명의 메타스틴 유도체로 변화하는 메타스틴 유도체, 위산 등에 의해 가수분해 등을 일으켜 본 발명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로 변화하는 메타스틴 유도체를 말한다.
본 발명의 메타스틴 유도체 (I) 의 프로드러그로는, 본 발명의 메타스틴 유도체 (I) 의 아미노기가 아실화, 알킬화, 인산화된 메타스틴 유도체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메타스틴 유도체 (I) 의 아미노기가 에이코사노일화, 알라닐화, 펜틸아미노카르보닐화, (5-메틸-2-옥소-1,3-디옥소렌-4-일)메톡시카르보닐화, 테트라히드로프라닐화, 피롤리딜메틸화, 피발로일옥시메틸화, tert-부틸화된 메타스틴 유도체 등); 본 발명의 메타스틴 유도체 (I) 의 수산기가 아실화, 알킬화, 인산화, 붕산화된 메타스틴 유도체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메타스틴 유도체 (I) 의 수산기가 아세틸화, 팔미토일화, 프로파노일화, 피발로일화, 숙시닐화, 푸마릴화, 알라닐화, 디메틸아미노메틸카르보닐화된 메타스틴 유도체 등); 본 발명의 메타스틴 유도체 (I) 의 카르복시기가 에스테르화, 아미드화된 메타스틴 유도체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메타스틴 유도체 (I) 의 카르복시기가 에틸에스테르화, 페닐에스테르화, 카르복시메틸에스테르화, 디메틸아미노메틸에스테르화, 피발로일옥시메틸에스테르화, 에톡시카르보닐옥시에틸에스테르화, 프탈리딜에스테르화, (5-메틸-2-옥소-1,3-디옥소렌-4-일)메틸에스테르화, 시클로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화, 메틸아미드화된 메타스틴 유도체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메타스틴 유도체는 자체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본 발명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메타스틴 유도체 (I) 의 프로드러그는, 히로카와서점 1990 년간「의약품의 개발」제7권 분자설계 163페이지-198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는 생리적 조건으로 본 발명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로 변화하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또는 그 염의 프로드러그 (이하, 본 발명의 화합물이라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는 암전이 억제 활성 또는 암증식 억제 활성을 갖기 때문에, 암전이 억제제 또는 암증식 억제제로서, 모든 암 (예를 들어, 폐암, 위암, 간암, 췌장암, 대장암, 직장암, 결장암, 전립선암, 난소암, 자궁경암, 유방암 등) 의 예방·치료제 등의 의약으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췌장 기능 조절 작용을 갖기 때문에, 췌장 기능 조절제로서, 여러 가지의 췌장 질환 (예를 들어, 급성 또는 만성 췌장염, 췌장암 등) 의 치료·예방제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태반 기능 조절 작용을 갖기 때문에, 태반 기능 조절제로서, 예를 들어, 융모암, 포상기태, 침입기태, 유산, 태아의 발육부전, 당대사이상, 지질대사이상 또는 분만유발의 예방 또는 치료제 등의 의약으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혈당 상승 작용, 췌글루카곤 분비 촉진 작용, 뇨생성 촉진 작용을 갖고 있기 때문에, 혈당상승제, 췌글루카곤 분비 촉진제, 뇨생성 촉진제로서, 예를 들어, 비만, 고지혈증, 2형 당뇨병, 저혈당증, 고혈압,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부종, 배뇨곤란증, 인슐린 저항성, 불안정 당뇨병, 지방위축, 인슐린 앨러지, 인슐리노마,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또는 지방 독성의 예방 또는 치료제 등의 의약으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성선 자극 호르몬 (예, FSH, LH 등) 분비 촉진작용, 성 호르몬〔예, 안드로겐 (예, 테스토스테론, 안드로스텐디온 등), 에스트로겐 (예, 에스트라디올, 에스트론 등), 프로게스테론 등〕분비 촉진작용, 성선 기능개선작용, 배란 유발 또는 촉진작용, 성 성숙작용 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성선 기능 개선제, 배란 유발 또는 촉진제, 성선 자극 호르몬 분비 촉진제 또는 성호르몬 분비 촉진제, 호르몬 의존성 암〔예, 전립선암, 유방암 등〕, 불임증〔예, 월경불순, 월경곤란증, 무월경증, 체중감소성 무월경증, 속발성 무월경증, 무배란증, 난소기능 저하증, 성선 기능 저하증, 정자형성장애, 성기능 저하증 (예, 임포텐스 등), 성기 위축증, 정소위축증, 정소기능장애, 무정자증, 저안드로겐혈증 등〕, 자궁내막증, 자궁근종 등의 예방·치료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메타스틴 유도체 또는 그 염 또는 그 프로드러그는, 알츠하이머병, 경도 인지 장애 등의 예방·치료제 등으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천연형 메타스틴, 예를 들어 메타스틴54 (1-54) 나 메타스틴10 (45-54) 에 비하여 우수한 혈중안정성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의약은, 독성이 약하고, 의약제제의 제조법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자체 공지된 수단에 따라, 본 발명의 화합물을 그대로 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혼합하여, 예를 들어, 정제 (당의정, 필름 코팅정을 포함한다), 산제, 과립제, 캡슐제, (소프트 캡슐을 포함한다), 액제, 주사제, 좌제, 서방제 등의 의약제제로서, 경구적 또는 비경구적 (예, 국소, 직장, 정맥 투여 등) 으로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본 발명 제제 중의 함유량은, 제제 전체의 약 0.01 내지 약 100중량% 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투여량은, 투여 대상, 대상 장기, 증상, 투여 방법 등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경구 투여의 경우, 일반적으로, 암환자 (체중 60㎏ 으로 하여) 에 대하여, 1일에 약 0.1∼100㎎, 바람직하게는 약 1.0∼5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20㎎ 이다. 비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경우에는, 그 1회 투여량은 투여 대상, 대상 장기, 증상, 투여 방법 등에 따라 다르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주사제의 형태에서는 통상, 암환자 (체중 60㎏ 으로 하여) 에 대하여, 1일에 약 0.01∼30㎎ 정도, 바람직하게는 약 0.1∼20㎎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1∼10㎎ 정도를 정맥 주사에 의해 투여하는 것이 적합하다. 다른 동물의 경우도, 체중 60㎏ 당으로 환산한 양을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의 제조에 사용되어도 되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서는, 제제 소재로서 관용의 각종 유기 또는 무기 담체 물질을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고형 제제에 있어서의 부형제, 활택제, 결합제 및 붕괴제, 혹은 액상 제제에 있어서의 용제, 용해보조제, 현탁화제, 등장화제, 완충제 및 무통화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통상의 방부제, 항산화제, 착색제, 감미제, 흡착제, 습윤제 등의 첨가물을 적절히 적량 사용할 수도 있다.
부형제로는 예를 들어 유당, 백당, D-만니톨, 전분, 옥수수 전분, 결정 셀룰로오스, 경질 무수 규산 등을 들 수 있다.
활택제로는 예를 들어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칼슘, 탤크, 콜로이드실리카 등을 들 수 있다.
결합제로는 예를 들어 결정 셀룰로오스, 백당, D-만니톨, 덱스트린,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전분, 자당, 젤라틴,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붕괴제로는 예를 들어 전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카르복시메틸스타치나트륨, L-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용제로는 예를 들어 주사용수,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마크로골, 참기름, 옥수수유, 올리브유 등을 들 수 있다.
용해보조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D-만니톨, 벤조산벤질, 에탄올, 트리스아미노메탄, 콜레스테롤, 트리에탄올아민, 탄산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현탁화제로는 예를 들어 스테아릴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아미노프로피온산, 레시틴,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등의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친수성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등장화제로는 예를 들어 포도당, D-소르비톨, 염화나트륨, 글리세린, D-만니톨 등을 들 수 있다.
완충제로는 예를 들어 인산염, 아세트산염, 탄산염, 시트르산염 등의 완충액 등을 들 수 있다.
무통화제로는 예를 들어 벤질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로는 예를 들어 파라히드록시벤조산에스테르류, 클로로부탄올, 벤질알코올, 페네틸알코올, 데히드로아세트산, 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항산화제로는 예를 들어 아황산염, 아스코르브산, α-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 이외의 약물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 병용할 수 있는 약물 (이하, 병용 약물이라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로는 예를 들어, 암 치료를 위한 화학요법제, 호르몬요법제, 면역요법제 등의 약제 (이하, 병용 약제라 약기한다) 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화학요법제」 로는 예를 들어 알킬화제, 대사길항제, 항암성 항생물질, 식물 유래 항암제 등을 들 수 있다.
「알킬화제」 로는 예를 들어, 나이트로젠마스타드, 염산나이트로젠마스타드-N-옥시드, 클로람부틸, 시클로포스파미드, 이포스파미드, 티오테파, 카르보콘, 토실산인프로술판, 부술판, 염산니무스틴, 미토브로니톨, 멜파란, 다카르바진, 라니무스틴, 인산에스트람스틴나트륨, 트리에틸렌멜라민, 카르무스틴, 로무스틴, 스트렙토조신, 피포브로만, 에토글루시드, 카르보플라틴, 시스플라틴, 미보플라틴, 네다플라틴, 옥살리플라틴, 알트레타민, 안바무스틴, 염산디브로스피듐, 포테무스틴, 프레드니무스틴, 푸미테파, 리보무스틴, 테모졸로미드, 트레오술판, 트로포스파미드, 디노스타틴스치말라마, 카르보콘, 아드젤레신, 시스템스틴, 비젤레신 등을 들 수 있다.
「대사길항제」 로는 예를 들어, 메르캅토퓨린, 6-메르캅토퓨린리보시드, 티오이노신, 메트트레키서트, 에노시타빈, 시타라빈, 시타라빈오크포스파이트, 염산안시타빈, 5-FU계 약제 (예, 플루오로우라실, 테가플, UFT, 독시플루리딘, 카르모풀, 갈로시타빈, 에미테플 등), 아미노프테린, 로이코보린칼슘, 타부로이드, 부토신, 폴리네이트칼슘, 레보폴리네이트칼슘, 클라드리빈, 에미테풀, 플루다라빈, 겜시타빈, 히드록시카르바미드, 펜토스타틴, 피리트렉심, 이독시우리딘, 미토구아존, 티아조푸린, 암밤스틴 등을 들 수 있다.
「항암성 항진 물질」로는 예를 들어, 액티노마이신 D, 액티노마이신 C, 마이토마이신 C, 크로모마이신 A3, 염산블레오마이신, 황산블레오마이신, 황산페프로마이신, 염산다우놀비신, 염산독솔비신, 염산아크랄비신, 염산피랄비신, 염산에필비신, 네오카르티노스타틴, 미스라마이신, 자루코마이신, 카르티노피린, 미토탄, 염산졸비신, 염산미톡산트론, 염산이달비신 등을 들 수 있다.
「식물 유래 항암제」 로는 예를 들어, 에토포시드, 인산에토포시드, 황산빈블라스틴, 황산빈크리스틴, 황산빈데신, 테니포시드, 파크리탁셀, 도세탁셀, 비노렐빈 등을 들 수 있다.
그 「호르몬요법제」 로는 예를 들어, 포스페스트롤, 디에틸스틸베스트롤, 클로로트리아니세린, 아세트산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트산메게스트롤, 아세트산크롤마디논, 아세트산시프로테론, 다나졸, 알릴에스트레놀, 게스트리논, 메팔트리신, 랄록시펜, 오르메록펜, 레보르메록시펜, 항에스트로겐 (예, 시트르산타목시펜, 시트르산트레미펜 등), 필 제제, 메피티오스탄, 테스트로락톤, 아미노글루테티이미드, LH-RH 아고니스트 (예, 아세트산고세레린, 부세레린, 류프로렐린 등), 드로록시펜, 에피티오스탄올, 술폰산에티닐에스트라디올, 알로마타아제 저해약 (예, 염산파드로졸, 아나스트로졸, 레트로졸, 엑세메스탄, 볼로졸, 폴메스탄 등), 항안드로겐 (예, 풀타미드, 비칼타미드, 닐타미드 등), 5α-리덕타아제 저해약 (예, 피나스테리드, 에프리스테리드 등), 부신피질 호르몬계 약제 (예, 덱사메타존, 프레드니졸론, 베타메타존, 트리암시놀론 등), 안드로겐합성 저해약 (예, 아비라테론 등), 레티노이드 및 레티노이드의 대사를 지연시키는 약제 (예, 리알로졸 등)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LH-RH 아고니스트 (예, 아세트산고세레린, 부세레린, 류프로레린 등) 이 바람직하다.
그 「면역요법제 (BRM)」 로는 예를 들어, 피시바닐, 크레스틴, 시조피란, 렌티난, 우베니메크스, 인터페론, 인터로이킨, 매크로 퍼지 콜로니 자극 인자, 과립구 콜로니 자극 인자, 에리스로포이에틴, 린포토키신, BCG 백신, 코리네박테륨 파르붐, 레바미졸, 폴리삭카라이드 K, 프로코다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 병용 약물을 조합함으로써,
(1)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병용 약물을 단독으로 투여하는 경우에 비하여, 그 투여량을 경감할 수 있고,
(2) 환자의 증상 (경증, 중증 등) 에 따라, 본 발명의 화합물과 병용하는 약물을 선택할 수 있고,
(3) 본 발명의 화합물과 작용기전이 다른 병용 약물을 선택함으로써, 치료기간을 길게 설정할 수 있고,
(4) 본 발명의 화합물과 작용기전이 다른 병용 약물을 선택함으로써, 치료효과의 지속을 꾀할 수 있고,
(5) 본 발명의 화합물과 병용 약물을 병용함으로써, 상승효과가 얻어지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화합물 (I) 과 병용 약물을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을「본 발명의 병용제」 라 칭한다.
본 발명의 병용제의 사용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화합물과 병용 약물의 투여 시기는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 의약 조성물과 병용 약물 또는 그 의약 조성물을, 투여 대상에 대하여, 동시에 투여해도 되고, 시간 차를 두고 투여해도 된다. 병용 약물의 투여량은, 임상상 사용되고 있는 투여량에 준하면 되고, 투여 대상, 투여 루트, 질환, 조합 등에 의해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병용제의 투여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투여시에, 본 발명의 화합물과 병용 약물이 조합되어 있으면 된다. 이러한 투여 형태로는 예를 들어, (1) 본 발명의 화합물과 병용 약물을 동시에 제제화하여 얻어지는 단일 제제의 투여, (2) 본 발명의 화합물과 병용 약물을 따로따로 제제화하여 얻어지는 2종 2종의 제제 투여의 제제의 동일 투여 경로에서의 동시 투여, (3) 본 발명의 화합물과 병용 약물을 따로따로 제제화하여 얻어지는 2종의 제제의 동일 투여 경로에서의 시간 차를 둔 투여, (4) 본 발명의 화합물과 병용 약물을 따로따로 제제화하여 얻어지는 2종의 제제의 다른 투여 경로에서의 동시 투여, (5) 본 발명의 화합물과 병용 약물을 따로따로 제제화하여 얻어지는 2종의 제제의 다른 투여 경로에서의 시간 차를 둔 투여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 병용 약물의 순서에서의 투여, 또는 반대의 순서에서의 투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병용제는, 독성이 낮고,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및) 상기 병용 약물을 자체 공지된 방법에 따라서,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혼합하여 의약 조성물, 예를 들어 정제 (당의정, 필름 코팅정을 포함한다), 산제, 과립제, 캡슐제, (소프트 캡슐을 포함한다), 액제, 주사제, 좌제, 서방제 등로서, 경구적 또는 비경구적 (예, 국소, 직장, 정맥 투여 등) 으로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다. 주사제는, 정맥내, 근육내, 피하 또는 장기내 투여 또는 직접 병소에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병용제의 제조에 사용되어도 되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제제 소재로서 관용의 각종 유기 또는 무기 담체 물질을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고형 제제에 있어서의 부형제, 활택제, 결합제 및 붕괴제, 또는 액상 제제에 있어서의 용제, 용해보조제, 현탁화제, 등장화제, 완충제 및 무통화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통상의 방부제, 항산화제, 착색제, 감미제, 흡착제, 습윤제 등의 첨가물을 적절히, 적량 사용할 수도 있다.
부형제로는 예를 들어 유당, 백당, D-만니톨, 전분, 옥수수 전분, 결정 셀룰로오스, 경질 무수 규산 등을 들 수 있다.
활택제로는 예를 들어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칼슘, 탤크, 콜로이드실리카 등을 들 수 있다.
결합제로는 예를 들어 결정 셀룰로오스, 백당, D-만니톨, 덱스트린,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전분, 자당, 젤라틴,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붕괴제로는 예를 들어 전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카르복시메틸스타치나트륨, L-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용제로는 예를 들어 주사용수,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마크로골, 참기름, 옥수수유, 올리브유 등을 들 수 있다.
용해보조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D-만니톨, 벤조산벤질, 에탄올, 트리스아미노메탄, 콜레스테롤, 트리에탄올아민, 탄산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현탁화제로는 예를 들어 스테아릴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아미노프로피온산, 레시틴,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등의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친수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등장화제로는 예를 들어 포도당, D-소르비톨, 염화나트륨, 글리세린, D-만니톨 등을 들 수 있다.
완충제로는 예를 들어 인산염, 아세트산염, 탄산염, 시트르산염 등의 완충액 등을 들 수 있다.
무통화제로는 예를 들어 벤질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로는 예를 들어 파라옥시벤조산에스테르류, 클로로부탄올, 벤질알코올, 페네틸알코올, 데히드로아세트산, 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항산화제로는 예를 들어 아황산염, 아스코르브산, α-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병용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화합물과 병용 약물의 배합비는, 투여 대상, 투여 루트, 질환 등에 의해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병용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함유량은, 제제의 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제제 전체에 대하여 약 0.01∼10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1∼5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20중량% 정도이다.
본 발명의 병용제에 있어서의 병용 약물의 함유량은, 제제의 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제제 전체에 대하여 약 0.01∼10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1∼5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20중량% 정도이다.
본 발명의 병용제에 있어서의 담체 등의 첨가제의 함유량은, 제제의 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제제 전체에 대하여 약 1∼99.99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0∼90중량% 정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병용 약물을 각각 따로따로 제제화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함유량이면 된다.
이들 제제는, 제제 공정에서 통상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체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병용 약물은, 분산제 (예, 트윈 (Tween) 80 (아트라스파우더사 제조, 미국), HC0 60 (닛꼬우케미컬즈 제조), 폴리에틸렌글리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덱스트린 등), 안정화제 (예, 아스코르브산, 피로아황산나트륨 등), 계면활성제 (예, 폴리솔베이트 80, 마크로골 등), 가용제 (예, 글리세린, 에탄올 등), 완충제 (예, 인산 및 그 알칼리금속염, 시트르산 및 그 알칼리금속염 등), 등장화제 (예,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만니톨, 소르비톨, 포도당 등), pH 조절제 (예, 염산, 수산화나트륨 등), 보존제 (예, 파라옥시벤조산에틸, 벤조산,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벤질알코올 등), 용해제 (예, 진한 글리세린, 메글루민 등), 용해보조제 (예, 프로필렌글리콜, 백당 등), 무통화제 (예, 포도당, 벤질알코올 등) 등과 함께 수성 주사제에, 또는 올리브유, 참기름, 면실유, 옥수수유 등의 식물유,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용해보조제에 용해, 현탁 또는 유화하여 유성주사제로 성형하여 주사제로 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제로 하기 위해서는, 자체 공지된 방법에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병용 약물을 예를 들어, 부형제 (예, 유당, 백당, 전분 등), 붕괴제 (예, 전분, 탄산칼슘 등), 결합제 (예, 전분, 아라비아 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 또는 활택제 (예, 탤크, 스테아르산마그네슘,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 등) 등을 첨가하여 압축성형하고, 이어서 필요에 따라, 맛의 마스킹, 장용성 또는 지속성의 목적을 위하여 자체 공지된 방법으로 코팅함으로써 경구 투여 제제로 할 수 있다. 그 코팅제로는 예를 들어,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트윈 80, 플루로닉 F68,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탈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삭시네이트, 오이드라깃트 (롬사 제조, 독일, 메타아크릴산·아크릴산 공중합) 및 색소 (예, 벵갈라, 이산화티탄 등) 등이 사용된다. 경구 투여용 제제는 속방성 제제, 서방성 제제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좌제로 하기 위해서는, 자체 공지된 방법에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병용 약물을 유성 또는 수성의 고상, 반고상 또는 액상의 좌제로 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사용하는 유성 기제로는 예를 들어, 고급지방산의 글리세리드 〔예, 카카오지, 우이테프졸류 (다이나마이트노벨사 제조, 독일) 등〕, 중급 지방산〔예, 미그리올류 (다이나마이트노벨사 제조, 독일) 등〕, 또는 식물유 (예, 참기름, 대두유, 면실유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수성 기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류, 프로필렌글리콜, 수성 겔 기제로는 예를 들어 천연 고무류, 셀룰로오스 유도체, 비닐 중합체, 아크릴산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서방성 제제로는 서방성 마이크로캡슐제 등을 들 수 있다.
서방형 마이크로캡슐로 하기 위해서는, 자체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기〔2〕 에 나타내는 서방성 제제로 성형하여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고형 제제 (예,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등의 경구 투여용 제제로 성형하거나, 좌제 등의 직장투여용 제제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경구 투여용 제제가 바람직하다.
병용 약물은, 약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한 제형으로 할 수 있다.
이하에, 〔1〕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병용 약물의 주사제 및 그 조제, 〔2〕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병용 약물의 서방성 제제 또는 속방성 제제 및 그 조제, 〔3〕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병용 약물의 설하정, 구강 또는 구강내 속붕괴제 및 그 조제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1〕주사제 및 그 조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병용 약물을 물에 용해하여 이루어지는 주사제가 바람직하다. 그 주사제에는 벤조산염 또는/및 살리실산염을 함유시켜도 된다.
그 주사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병용 약물과 필요에 따라 벤조산염 또는/및 살리실산염의 쌍방을 물에 용해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벤조산, 살리실산의 염으로는 예를 들어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금속염, 칼슘,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염, 암모늄염, 메글루민염, 기타 트로메타몰 등의 유기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주사제 중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병용 약물의 농도는 0.5∼50w/v%, 바람직하게는 3∼20w/v% 정도이다. 또한 벤조산염 또는/및 살리실산염의 농도는 0.5∼50w/v%, 바람직하게는 3∼20w/v% 가 바람직하다.
또, 본 제에는 일반적으로 주사제에 사용되는 첨가제, 예를 들어 안정화제 (아스코르브산, 피로아황산나트륨 등), 계면활성제 (폴리솔베이트 80, 마크로골 등), 가용제 (글리세린, 에탄올 등), 완충제 (인산 및 그 알칼리금속염, 시트르산 및 그 알칼리금속염 등), 등장화제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등), 분산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덱스트린), pH 조절제 (염산, 수산화나트륨 등), 보존제 (파라옥시벤조산에틸, 벤조산 등), 용해제 (진한 글리세린, 메글루민 등), 용해보조제 (프로필렌글리콜, 백당 등), 무통화제 (포도당, 벤질알코올 등)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주사제에 통상 사용되는 비율로 배합된다.
주사제는 pH 조절제의 첨가에 의해 2∼12 바람직하게는 2.5∼8.0 으로 조정하는 것이 좋다.
주사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병용 약물과 필요에 따라 벤조산염 또는/및 살리실산염의 쌍방을, 또한 필요에 의해 상기 첨가제를 물에 용해함으로써 얻어진다. 이들의 용해는 어떠한 순서로 행해도 되고, 종래의 주사제의 제법과 동일하게 적절히 실행할 수 있다.
주사용 수용액은 가온하는 것이 좋고, 또한 통상의 주사제와 동일하게 예를 들어 여과멸균, 고압가열멸균 등을 행함으로써 주사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주사용 수용액은, 예를 들어 100℃∼121℃ 의 조건에서 5분∼30분 고압가열멸균하는 것이 좋다.
또한 다회 분할 투여 제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용액의 항균성을 부여한 제제로 해도 된다.
[2〕서방성 제제 또는 속방성 제제 및 그 조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병용 약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핵을 필요에 따라 수불용성 물질이나 팽윤성 폴리머 등의 피막제로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서방성 제제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1일 l회 투여형의 경구 투여용 서방성 제제가 바람직하다.
피막제에 사용되는 수불용성 물질로는 예를 들어 에틸셀룰로오스, 부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에테르류,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류,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부틸레이트 등의 폴리비닐에스테르류,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메틸메타크릴레이트공중합체, 에톡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신나모에틸메타크릴레이트/아미노알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메타크릴산알킬아미드 공중합체,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아미드, 아미노알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메타크릴산안히드리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특히 오이드라깃트 RS-100, RL-100, RS-30D, RL-30D, RL-PO, RS-PO (아크릴산에틸·메타아크릴산메틸·메타아크릴산염화트리메틸·암모늄에틸 공중합체), 오이드라깃트 NE-30D (메타아크릴산메틸·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등의 오이드라깃트류 (롬·파마사) 등의 아크릴산계 폴리머, 경화 피마자유 (예, 러블리왁스 (프로인트산업) 등) 등의 경화유, 카르나바 왁스, 지방산 글리세린에스테르, 파라핀 등의 왁스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팽윤성 폴리머로서는, 산성의 해리기를 갖고, pH 의존성의 팽윤을 나타내는 폴리머가 바람직하고, 위 내와 같은 산성 영역에서는 팽윤이 적고, 소장이나 대장 등의 중성 영역에서 팽윤이 커지는 산성의 해리기를 갖는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산성의 해리기를 갖고 pH 의존성의 팽윤을 나타내는 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카보마 (Carbomer) 934P, 940, 941, 974P, 980, 1342 등, 폴리카르보필 (polycarbophil), 칼슘폴리카르보필 (carcium poIycarbophil) (상기는 전부 BF 굿리치사 제조), 하이비스와코 103, 104, 105, 304 (전부 와코쥰야쿠(주) 제조) 등의 가교형 폴리아크릴산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서방성 제제에 사용되는 피막제는 친수성 물질을 추가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그 친수성 물질로는 예를 들어 풀루란, 덱스트린, 알긴산알칼리금속염 등의 황산기를 갖고 있을 수 있는 다당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등의 히드록시알킬기 또는 카르복시알킬기를 갖는 다당류, 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서방성 제제의 피막제에 있어서의 수불용성 물질의 함유율은 약 30∼약 90%(w/w), 바람직하게는 약 35∼약 80%(w/w),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0∼75%(w/w), 팽윤성 폴리머의 함유율은 약 3∼약 30%(w/w), 바람직하게는 약 3∼약 15%(w/w) 이다. 피막제는 친수성 물질을 추가로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그 경우 피막제에 있어서의 친수성 물질의 함유율은 약 50%(w/w)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5∼약 40%(w/w),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약 35%(w/w) 이다. 여기서 상기 %(w/w) 는 피막제액으로부터 용매 (예, 물, 메탄올, 에탄올 등의 저급알코올 등) 를 제외한 피막제 조성물에 대한 중량% 를 나타낸다.
서방성 제제는, 이하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약물을 함유하는 핵을 조제하고, 이어서 얻어진 핵을, 수불용성 물질이나 팽윤성 폴리머 등을 가열 용해 또는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피막제액으로 피복함으로써 제조된다.
I. 약제를 포함하는 핵의 조제
피막제로 피복되는 약물을 함유하는 핵 (이하, 간단히 핵이라 칭하는 경우도 있다) 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과립 또는 세립 등의 입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핵이 과립 또는 세립인 경우, 그 평균입자직경은, 바람직하게는 약 150∼2,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0∼약 1,400㎛ 이다.
핵의 조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물에 적당한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활택제, 안정화제 등을 혼합하여, 습식 압출 조립법, 유동층 조립법 등에 의해 조제한다.
핵의 약물 함량은, 약 0.5∼약 95%(w/w), 바람직하게는 약 5.0∼약 8 0%(w/w),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약 70%(w/w) 이다.
핵에 함유되는 부형제로는 예를 들어 백당, 유당, 만니톨, 글루코오스 등의 당류, 전분, 결정 셀룰로오스, 인산칼슘, 옥수수 전분 등이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결정 셀룰로오스, 옥수수 전분이 바람직하다.
결합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플루로닉 F68, 아라비아 검, 젤라틴, 전분 등이 사용된다. 붕괴제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ECG505), 크로스카르멜로스나트륨 (Ac-Di-sol), 가교형 폴리비닐피롤리돈 (크로스포비돈),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L-HPC) 등이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가 바람직하다. 활택제, 응집방지제로는 예를 들어 탤크,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및 그 무기염, 또한 윤활제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이 사용된다. 안정화제로는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숙신산, 푸마르산, 말레산 등의 산이 사용된다.
핵은 상기 제조법 이외에도, 예를 들어 핵의 중심이 되는 불활성 담체 입자 상에 물, 저급 알코올 (예, 메탄올, 에탄올 등) 등의 적당한 용매에 용해한 결합제를 스프레이하면서, 약물 또는 이것과 부형제, 활택제 등과의 혼합물을 소량씩 첨가하여 행하는 전동조립법, 빵코팅법, 유동층 코팅법이나 용융조립법에 의해서도 조제할 수 있다. 불활성 담체 입자로는 예를 들어 백당, 유당, 전분, 결정 셀룰로오스, 왁스류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그 평균입자직경은 약 100㎛∼약 1,5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핵에 함유되는 약물과 피막제를 분리하기 위해, 방호제로 핵의 표면을 피복해도 된다. 방호제로는 예를 들어 상기 친수성 물질이나, 수불용성 물질 등이 사용된다. 방호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이나 히드록시알킬기 또는 카르복시알킬기를 갖는 다당류, 보다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가 사용된다. 그 방호제에는 안정화제로서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숙신산, 푸마르산, 말레산 등의 산이나, 탤크 등의 활택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방호제를 사용하는 경우, 그 피복량은 핵에 대하여 약 1∼약 15%(w/w), 바람직하게는 약 1∼약 10%(w/w),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약 8%(w/w) 이다.
방호제는 통상의 코팅법에 의해 피복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방호제를 예를 들어 유동층 코팅법, 팬 코팅법 등에 의해 핵에 스프레이 코팅함으로써 피복할 수 있다.
II. 핵의 피막제에 의한 피복
상기 I 에서 얻어진 핵을, 상기 수불용성 물질 및 pH 의존성의 팽윤성 폴리머, 및 친수성 물질을 가열 용해 또는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피막제액에 의해 피복함으로써 서방성 제제가 제조된다.
핵의 피막제액에 한 피복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분무코팅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피막제액 중의 수불용성 물질, 팽윤성 폴리머 또는 친수성 물질의 조성비는, 피막 중의 각 성분의 함유율이 각각 상기 함유율로 되도록 적절히 선택된다.
피막제의 피복량은, 핵 (방호제의 피복량을 포함하지 않는다) 에 대하여 약 1∼약 90%(w/w), 바람직하게는 약 5∼약 50%(w/w),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35%(w/w) 이다.
피막제액의 용매로는 물 또는 유기 용매를 단독으로 또는 양자의 혼합액을 사용할 수 있다. 혼합액을 사용할 때의 물과 유기 용매의 혼합비 (물/유기 용매:중량비) 는, 1∼100% 의 범위에서 변화시킬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약 30% 이다. 그 유기 용매로서는 수불용성 물질을 용해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어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n-부틸알코올 등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등의 저급 알카논, 아세토니트릴,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등이 사용된다. 이 중 저급 알코올이 바람직하고,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이 특히 바람직하다. 물 및 물과 유기 용매의 혼합액이 피막제의 용매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때, 필요하면 피막제액 중에 피막제액 안정화를 위해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숙신산, 푸마르산, 말레산 등의 산을 첨가해도 된다.
분무 코팅에 의해 피복하는 경우의 조작은 통상의 코팅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어, 구체적으로는, 피막제액을 예를 들어 유동층 코팅법, 팬 코팅법 등에 의해 핵에 스프레이 코팅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이 때 필요하면, 탤크, 산화티탄,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칼슘, 경질 무수 규산 등을 활택제로서,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경화 피마자유, 시트르산트리에틸,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등을 가소제로서 첨가해도 된다.
피막제에 의한 피막후, 필요에 따라 탤크 등의 대전방지제를 혼합해도 된다.
속방성 제제는, 액상 (용액, 현탁액, 유화물 등) 이어도 고형상 (입자상, 환제, 정제 등) 이어도 된다. 경구 투여제, 주사제 등 비경구 투여제가 사용되지만, 경구 투여제가 바람직하다.
속방성 제제는, 통상, 활성성분인 약물에 더하여, 제제 분야에서 관용되는 담체, 첨가제나 부형제 (이하, 부형제라 약칭하는 경우가 있다) 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사용되는 제제 부형제는, 제제 부형제로서 상용되는 부형제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경구 고형 제제용의 부형제로서는, 유당, 전분, 옥수수 전분, 결정 셀룰로오스 (아사히가세이(주) 제조, 아비셀PH101 등), 가루당, 그라뉴당, 만니톨, 경질 무수 규산,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L-시스테인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옥수수 전분 및 만니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부형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형제의 함유량은 속방성 제제 전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약 4.5∼약 99.4w/w%, 바람직하게는 약 20∼약 98.5w/w%,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약 97w/w% 이다.
속방성 제제에 있어서의 약물의 함량은, 속방성 제제 전량에 대하여, 약 0.5∼약 95%, 바람직하게는 약 1∼약 60%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속방성 제제가 경구 고형 제제인 경우, 통상 상기 성분에 더하여, 붕괴제를 함유한다. 이러한 붕괴제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고토쿠약품 제조, ECG-505), 크로스칼멜로오스나트륨 (예를 들어, 아사히가세이 (주) 제조, 아크디졸), 크로스포비돈 (예를 들어, BASF사 제조, 코리돈 CL),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신에쓰화학 (주)), 카르복시메틸스타치 (마쓰타니화학(주), 카르복시메틸스타치나트륨 (기무라산업 제조, 엑기스프로타브), 부분 α화 전분 (아사히가세이(주) 제조, PCS) 등이 사용되고, 예를 들면 물과 접촉하여 흡수, 팽윤, 또는 핵을 구성하고 있는 유효 성분과 부형제의 사이에 채널을 만드는 등에 의해 과립을 붕괴시키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붕괴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붕괴제의 배합량은, 사용하는 약물의 종류나 배합량, 방출성의 제제 설계 등에 의해 적절히 선택되지만, 속방성 제제 전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약 0.05∼약 30w/w%, 바람직하게는 약 0.5∼약 15w/w% 이다.
속방성 제제가 경구 고형 제제인 경우, 경구 고형 제제인 경우에는 상기의 조성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 고형 제제에 있어서 관용의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결합제 (예를 들어, 자당, 젤라틴, 아라비아고무말,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플루란, 덱스트린 등), 활택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 스테아르산마그네슘, 탤크, 경질 무수 규산 (예를 들어, 아에로딜 (닛폰아에로딜)),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알킬황산나트륨 등의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유도체 등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등), 착색제 (예를 들어, 탤크계 색소, 캬라멜, 벵갈라, 산화티탄, 리보플라빈류), 필요하면, 교미제 (예를 들어, 감미제, 향료 등), 흡착제, 방부제, 습윤제, 대전방지제 등이 사용된다. 또한, 안정화제로서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숙신산, 푸마르산 등의 유기산을 첨가해도 된다.
상기 결합제로서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속방성 제제는, 통상의 제제의 제조기술에 근거하여, 상기 각 성분을 혼합하고, 필요에 따라, 더욱 반죽하여 성형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상기 혼합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예를 들어, 혼합, 반죽 등에 의해 행하여진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속방성 제제를 입자상으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서방성 제제의 핵의 조제법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버티컬 그래뉴레이터, 만능반죽기 (하타철공소 제조), 유동층 조립기 FD-5S (파우렉사 제조) 등을 사용하여 혼합하고 그 후, 습식 압출 조립법, 유동층 조립법 등에 의해 조립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속방성 제제와 서방성 제제는, 그대로 또는 적절히, 제제 부형제 등과 함께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따로따로 제제화 후, 동시 또는 임의의 투여 간격을 두고 조합하여 투여하는 제제로 해도 되고, 또한 양자를 그대로 또는 적절히, 제제 부형제 등과 함께 하나의 경구 투여 제제 (예, 과립제, 세립제, 정제, 캡슐 등) 로 제제화해도 된다. 양 제제를 과립 또는 세립으로 제조하고, 동일한 캡슐 등에 충전하여 경구 투여용 제제로 해도 된다.
〔3〕설하정, 구강 또는 구강내 속붕괴제 및 그 조제
설하정, 구강 제제, 구강내 속붕괴제는 정제 등의 고형 제제이어도 되고, 구강 점막 첩부정 (필름) 이어도 된다.
설하정, 구강 또는 구강내 속붕괴제로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병용 약물과 부형제를 함유하는 제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활택제, 등장화제, 친수성 담체, 물분산성 폴리머, 안정화제 등의 보조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 흡수를 쉽게 하여, 생체내 이용율을 높이기 위해서 β-시클로덱스트린 또는β-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 (예, 히드록시프로필-β-시클로덱스트린 등)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부형제로서는 유당, 백당, D-만니톨, 전분, 결정 셀룰로오스, 경질 무수 규산 등을 들 수 있다. 활택제로서는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칼슘, 탤크, 콜로이드실리카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이나 콜로이드실리카가 바람직하다. 등장화제로서는 염화나트륨, 글루코오스, 푸룩토오스, 만니톨, 소르비톨, 락토오스, 수크로오스, 글리세린, 우레아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만니톨이 바람직하다. 친수성 담체로서는 결정 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가교성 폴리비닐피롤리돈, 경질 무수 규산, 규산, 인산2칼슘, 탄산칼슘 등의 팽윤성 친수성 담체를 들 수 있고, 특히 결정 셀룰로오스 (예, 미결정 셀룰로오스 등) 이 바람직하다. 수분산성 폴리머로서는 고무 (예, 트라가간트 고무, 아카시아 고무, 구아 고무), 알긴산염 (예, 알긴산나트륨), 셀룰로오스 유도체 (예,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젤라틴, 수용성 전분, 폴리아크릴산 (예, 카보마), 폴리메타크릴산,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카보필, 아스코르브산팔미트산염 등을 들 수 있고,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산, 알긴산염, 젤라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이 바람직하다. 특히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가 바람직하다. 안정화제로서는, 시스테인, 티오소르비톨,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탄산나트륨, 아스코르브산, 글리신, 아황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시트르산이나 아스코르브산이 바람직하다.
설하정, 구강 또는 구강내 속붕괴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병용 약물과 부형제를 자체 공지된 방법에 의해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한 활택제, 등장화제, 친수성 담체, 물분산성 폴리머, 안정화제, 착색제, 감미제, 방부제 등의 보조제를 혼합해도 된다. 상기 성분을 동시에 혹은 시간 차를 두고 혼합한 후, 가압 타정 성형함으로써 설하정, 구강정 또는 구강내 속붕괴정이 얻어진다. 적절한 경도를 얻기 위해, 타정 성형의 과정의 전후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물이나 알코올 등의 용매를 사용하여 가습·습윤시켜, 성형 후, 건조시켜 제조해도 된다.
점막 부착정 (필름) 으로 성형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병용 약물 및 상기한 수분산성 폴리머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부형제 등을 물 등의 용매에 용해시켜, 얻어지는 용액을 유연시켜 (cast) 필름으로 한다. 또한, 가소제, 안정제, 산화방지제, 보존제, 착색제, 완충제, 감미제 등의 첨가물을 첨가해도 된다. 필름에 알맞은 탄성을 주기 위해서 폴리에틸렌글리콜이나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글리콜류를 함유시키거나, 구강의 점막 라이닝에 대한 필름의 접착을 높이기 위해서 생물 접착성 폴리머 (예, 폴리카르보필, 카르보폴) 를 함유시켜도 된다. 유연은, 비접착성 표면에 용액을 부어, 닥터블레이드 등의 도포 용구로 균일한 두께 (바람직하게는 10∼1000마이크론 정도) 로 그것을 펴고, 이어서 용액을 건조시켜 필름을 형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필름은 실온 혹은 가온하 건조시켜, 원하는 표면적으로 절단하면 된다.
바람직한 구강내 속붕괴제로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병용 약물과,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병용 약물과는 불활성인 수용성 혹은 수확산성 캐리어와의 망상체로 이루어지는 고체상의 급속 확산 투여제를 들 수 있다. 그 망상체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병용 약물을 적당한 용매에 용해한 용액으로 구성되어 있는 고체상의 그 조성물로부터 용매를 승화시킴으로써 얻어진다.
그 구강내 속붕괴제의 조성물 중에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병용 약물에 더하여, 매트릭스 형성제와 2차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매트릭스 형성제로서는 젤라틴류, 덱스트린류 및 대두, 밀 및 오오바코 (psyllium) 종자 단백 등의 동물성 단백류 혹은 식물성 단백류; 아라비아 검, 구아 검, 한천 및 크산탄 등의 고무질 물질; 다당류; 알긴산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류; 카라게난류; 덱스트란류; 펙틴류;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합성폴리머류; 젤라틴-아라비아 검 컴플렉스 등으로부터 유도되는 물질이 포함된다. 또한, 만니톨, 덱스트로오스, 락토오스, 갈락토오스 및 트레할로스 등의 당류;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환상 당류; 인산나트륨, 염화나트륨 및 규산알루미늄 등의 무기염류; 글리신, L-알라닌, L-아스파라긴산, L-글루타민산, L-히드록시프롤린, L-이소류신, L-류신 및 L-페닐알라닌 등의 탄소원자수가 2 내지 12까지인 아미노산 등이 함유된다.
매트릭스 형성제는, 그 1종 혹은 그 이상을, 고형화 전에, 용액 또는 현탁액 중에 도입할 수 있다. 이러한 매트릭스 형성제는, 계면활성제에 추가되어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또한 계면활성제가 배제되어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매트릭스 형성제는 그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것에 더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병용 약물의 확산상태를 그 용액 또는 현탁액 중에 유지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보존제,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증점제, 착색제, pH 조정제, 향미료, 감미료 혹은 식미 마스킹제 등의 2차 성분을 조성물 중에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적당한 착색제로서는 적색, 흑색 및 황색 산화철류 및 엘리스·앤드·에베랄드사의 FD&C 블루 2호 및 FD&C 레드 40호 등의 FD&C 염료를 들 수 있다. 적당한 향미료에는, 민트, 라스베리, 감초, 오렌지, 레몬, 그레이프후르츠, 캬라멜, 바닐라, 체리 및 그레이프 플레이버 및 그 조합한 것이 포함된다. 적당한 pH 조정제는,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인산, 염산 및 말레산이 포함된다. 적당한 감미료로서는 아스파르템, 아세술펨 K 및 타우마틴 등이 포함된다. 적당한 식미 마스킹제로서는 중탄산나트륨, 이온교환 수지, 시클로덱스트린 포접 화합물, 흡착 저당 물질 및 마이크로캡슐화 아포몰핀이 포함된다.
제제에는 통상 약 0.1∼약 5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1∼약 30중량% 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병용 약물을 함유하고, 약 1분∼약 60분 동안, 바람직하게는 약 1분∼약 15분 동안,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분∼약 5분 동안에 (물에)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병용 약물의 90% 이상을 용해시키는 것이 가능한 제제 (상기, 설하정, 구강 등) 나, 구강내에 들어가 1∼60초 이내, 바람직하게는 1∼30초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초 이내에 붕괴되는 구강내 속붕괴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부형제의 제제 전체에 대한 함유량은, 약 10∼약 99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30∼약 90중량% 이다. β-시클로덱스트린 또는 β-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의 제제 전체에 대한 함유량은 0∼약 30중량% 이다. 활택제의 제제 전체에 대한 함유량은, 약 0.01∼약 1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약 5중량% 이다. 등장화제의 제제 전체에 대한 함유량은, 약 0.1∼약 9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0∼약 70중량% 이다. 친수성 담체의 제제 전체에 대한 함유량은 약 0.1∼약 5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0∼약 30중량% 이다. 수분산성 폴리머의 제제 전체에 대한 함유량은, 약 0.1∼약 3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0∼약25중량% 이다. 안정화제의 제제 전체에 대한 함유량은 약 0.1∼약 1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약 5중량% 이다. 상기 제제는 추가로, 착색제, 감미제, 방부제 등의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병용제의 투여량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종류, 연령, 체중, 증상, 제형, 투여 방법, 투여 기간 등에 따라 다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투여량은, 투여 대상, 대상 장기, 증상, 투여 방법 등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경구 투여의 경우, 일반적으로, 암환자 (체중 60㎏ 으로 하여) 에 대하여, 1일에 약 0.1∼100㎎, 바람직하게는 약 1.0∼5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20㎎ 이다. 비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경우에는, 그 1회 투여량은 투여 대상, 대상 장기, 증상, 투여 방법 등에 따라 다르기도 한데, 예를 들어, 주사제의 형태로는 통상, 암환자 (체중 60㎏ 으로 하여) 에 대하여, 1일에 약 0.01∼30㎎ 정도, 바람직하게는 약 0.1∼20㎎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1∼10㎎ 정도를 정맥 주사에 의해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동물의 경우도, 체중 60㎏ 당으로 환산한 양을 투여할 수 있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이 투여량은 여러 가지의 조건으로 변동되기 때문에, 상기 투여량보다 적은 양으로 충분한 경우도 있고, 또한 범위를 초과하여 투여할 필요가 있는 경우도 있다.
병용 약물은, 부작용이 문제가 되지 않는 범위에서 소정량을 설정할 수도 있다. 병용 약물로서의 1일 투여량은, 증상의 정도, 투여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감수성 차, 투여의 시기, 간격, 의약 제제의 성질, 조제, 종류, 유효성분의 종류 등에 따라 다르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약물의 양으로서 통상, 예를 들어 경구 투여로 포유동물 1㎏ 체중 당 약 0.001∼2000㎎, 바람직하게는 약 0.01∼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1∼100㎎ 정도이고, 이것을 통상 1일 1∼4회로 나눠 투여한다.
본 발명의 의약을 투여할 때에 있어서는, 동일 시기에 투여해도 되지만, 병용 약물을 먼저 투여한 후,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해도 되고, 본 발명의 화합물을 먼저 투여하고, 그 후에 병용 약물을 투여해도 된다. 시간 차를 두고 투여하는 경우, 시간 차는 투여하는 유효성분, 제형, 투여 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예를 들어, 병용 약물을 먼저 투여하는 경우, 병용 약물을 투여한 후 1분∼3일 이내, 바람직하게는 10분∼1일 이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15분∼l시간 이내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먼저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한 후, 1분∼1일 이내, 바람직하게는 10분∼6시간 이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15분 내지 1시간 이내에 병용 약물을 투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투여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경구 투여 제제로 제형된 병용 약물 약 0.001∼200㎎/㎏ 을 경구 투여하고, 약 15분 후에 비경구 투여 제제로 제형된 본 발명의 화합물 약 0.005∼0.5㎎/㎏ 을 1일량으서 비경구 투여한다.
메타스틴으로는 예를 들어 WO00/24890호에 기재된 인단 메타스틴, WO01/75104호에 기재된 마우스 또는 래트 메타스틴 등이 사용된다.
인간 메타스틴으로는 구체적으로는, 서열번호:1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N 말단에서 제47∼54번째의 아미노산 서열을 함유하고, 8 내지 54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등을 들 수 있다.
「서열번호:1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N 말단에서 제47∼54번째의 아미노산 서열을 함유하고, 8 내지 54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지는 펩티드」로는, 서열번호:1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N 말단에서 제47∼54번째의 아미노산 서열을 함유하고, 또한 8 내지 54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지는 펩티드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상관없지만, 생리활성 (예를 들어, 수용체 결합 활성, 시그널 정보 전달 작용, 혈당 상승 작용, 췌글루카곤 분비 촉진 작용, 뇨생성 촉진 작용 등) 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i) 서열번호:1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티드, (ii) 서열번호:1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N 말단에서 제47∼54번째의 아미노산 서열을 C 말단에 갖고, 8 내지 15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등이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메타스틴으로는, (i) 서열번호:1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인간 메타스틴 54 (1-54)), (ii) 서열번호:1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N 말단에서 제40∼54번째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인간 메타스틴 15 (40-54); 서열번호:15), (iii) 서열번호:1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N 말단에서 제45∼54번째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인간 메타스틴 10 (45-54); 서열번호:16), (iv) 서열번호:1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N 말단에서 제46∼54번째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인간 메타스틴 9 (46-54); 서열번호:17), (v) 서열번호:1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N 말단에서 제47∼54번째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인간 메타스틴 8 (47-54); 서열번호:18) 등이 사용된다.
마우스 메타스틴 (A) 로는 예를 들어, (i) 서열번호:3 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N 말단에서 제134∼141번째의 아미노산 서열을 함유하고, 8 내지 52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등이 사용되고, 구체적으로는, (i) 서열번호:3 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N 말단에서 제90∼141번째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ii) 서열번호:3 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N 말단에서 제132∼141번째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iii) 서열번호:3 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N 말단에서 제127∼141번째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등이 사용된다.
마우스 메타스틴 (B) 로는 예를 들어, 서열번호:5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N 말단에서 제138∼145번째의 아미노산 서열을 함유하고, 8 내지 52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등이 사용되고, 구체적으로는, 서열번호:5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N 말단에서 제94∼145번째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등이 사용된다.
래트 메타스틴으로는 예를 들어, 서열번호:7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N 말단에서 제112∼119번째의 아미노산 서열을 함유하고, 8 내지 52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등이 사용되고, 구체적으로는, (i) 서열번호:7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N 말단에서 제68∼119번째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ii) 서열번호:7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N 말단에서 제110∼119번째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iii) 서열번호:7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N 말단에서 제105∼119번째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등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메타스틴은 펩티드 표기의 관례에 따라서 좌단이 N 말단 (아미노 말단), 우단이 C 말단 (카르복실 말단) 이다. 서열번호:1 로 표시되는 펩티드의 C 말단은, 카르복실기 (-COOH), 카르복실레이트 (-COO-), 아미드 (-CONH2) 또는 에스테르 (-COOR) 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에스테르 또는 알킬아미드의 R 로는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또는 n-부틸 등의 C1-6 알킬기,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등의 C3-8 시클로알킬기, 페닐, α-나프틸 등의 C6-12 2아릴기, 벤질, 페네틸, 벤즈히드릴 등의 페닐-C1-2 알킬, 또는 α-나프틸메틸 등의 α-나프틸-C1-2 알킬 등의 C7-14 아르알킬기 외에, 경구용 에스테르로서 범용되는 피발로일옥시메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타스틴에는, N 말단의 메티오닌 잔기의 아미노기가 보호기 (예를 들어, 포르밀기, 아세틸 등의 C2-6 알카노일기 등의 C1-6 아실기 등) 로 보호되어 있는 것, N 단측이 생체내에서 절단되어 생성된 글루타밀기가 피로글루타민 산화된 것, 분자 내의 아미노산의 측쇄 상의 치환기 (예를 들어, -OH, -SH, -COOH, 아미노기, 이미다졸기, 인돌기, 구아니디노기 등) 가 적당한 보호기 (예를 들어, 포르밀기, 아세틸 등의 C2-6 알카노일기 등의 C1-6 아실기 등) 로 보호되어 있는 것, 또는 당쇄가 결합된 이른바 당펩티드 등의 복합 펩티드 등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메타스틴의 염으로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기 (예를 들어 알칼리금속 등) 이나 산 (유기산, 무기산) 과의 염이 사용되지만, 특히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부가염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염으로는 예를 들어 무기산 (예를 들어, 염산, 인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과의 염, 또는 유기산 (예를 들어, 아세트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말산, 옥살산, 벤조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과의 염 등이 사용된다.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로는 예를 들어 WO00/24890호에 기재된 인간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WO01/75104호에 기재된 마우스 또는 래트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등이 사용된다.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로는, 게놈 DNA, 게놈 DNA 라이브러리, 상기한 세포·조직 유래의 cDNA, 상기한 세포·조직 유래의 cDNA 라이브러리, 합성 DNA 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라이브러리에 사용하는 벡터는, 박테리오파지, 플라스미드, 코스미드, 파지미드 등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 상기한 세포·조직으로 totalRNA 또는 mRNA 획분을 조제한 것을 사용하여 직접 역전사 효소 중합효소 연쇄반응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이하, RT-PCR 법이라 약칭한다) 에 의해 증폭할 수도 있다.
인간 메타스틴, 마우스 메타스틴 전구체 (A), 마우스 메타스틴 전구체 (B) 또는 래트 메타스틴 전구체를 코드하는 DNA 로는, 각각 서열번호:2, 서열번호:4, 서열번호:6 또는 서열번호:8 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을 함유하는 DNA, 또는 서열번호:2, 서열번호:4, 서열번호:6 또는 서열번호:8 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과 하이스트린젠트한 조건 하에서 하이브리다이즈하는 염기 서열을 갖고, 상기한 인간 메타스틴, 마우스 메타스틴 (A), 마우스 메타스틴 (B) 또는 래트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서열번호:2, 서열번호:4, 서열번호:6 또는 서열번호:8 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과 하이브리다이즈할 수 있는 DNA 로는 예를 들어, 서열번호:2, 서열번호:4, 서열번호:6 또는 서열번호:8 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과 약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95%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염기 서열을 함유하는 DNA 등이 사용된다.
염기 서열의 상동성은, 상동성 계산 알고리즘 NCBI BLAST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를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 (기대치=10; 갭을 허용한다; 필터링=ON; 매치 스코어=1; 미스매치 스코어=-3) 에서 계산할 수 있다.
하이브리다이제이션은, 자체 공지된 방법 또는 또한 그것에 준하는 방법, 예를 들어, 몰레큘러·클로닝 (Molecular Cloning) 2nd (J. Sambrook et al., Cold Spring Harbor Lab. Press, 1989) 에 기재된 방법 등에 따라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시판되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경우, 첨부의 사용설명서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실시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이스트린젠트한 조건에 따라서 실시할 수 있다.
그 하이스트린젠트한 조건이란 예를 들어, 나트륨 농도가 약 19∼40mM, 바람직하게는 약 19∼20mM 이고, 온도가 약 50∼70℃, 바람직하게는 약 60∼65 ℃ 의 조건을 나타낸다. 특히, 나트륨 농도가 약 19mM 이고 온도가 약 65℃ 인 경우가 가장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서열번호:1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인간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로는, 서열번호:2 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로 이루어지는 DNA 가 사용된다. 따라서, 전술한 각종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인간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염기 서열로는, 서열번호:1 의 아미노산 서열 중의 부분 아미노산 서열에 대응하는 염기 서열을 서열번호:2 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로부터 선택하면 된다.
서열번호:3 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함유하는 마우스 메타스틴 전구체 (A) 를 코드하는 DNA 로는, 서열번호:4 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로 이루어지는 DNA 가 사용된다. 따라서, 전술한 각종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마우스 메타스틴 (A) 을 코드하는 염기 서열로서는, 서열번호:3 의 아미노산 서열 중의 부분 아미노산 서열에 대응하는 염기 서열을 서열번호:4 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로부터 선택하면 된다.
서열번호:5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마우스 메타스틴 전구체 (B) 를 코드하는 DNA 로는, 서열번호:6 으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로 이루어지는 DNA 가 사용된다. 따라서, 전술한 각종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마우스 메타스틴 (B) 을 코드하는 염기 서열로서는, 서열번호:5 의 아미노산 서열 중의 부분 아미노산 서열에 대응하는 염기 서열을 서열번호:6 으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로부터 선택하면 된다.
서열번호:7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래트 메타스틴 전구체를 코드하는 DNA 로는 서열번호:8 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로 이루어지는 DNA 가 사용된다. 따라서, 전술한 각종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래트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염기 서열로서는, 서열번호:7 의 아미노산 서열 중의 부분 아미노산 서열에 대응하는 염기 서열을 서열번호:8 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로부터 선택하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열번호:1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인간 메타스틴 54 (1-54)) 를 코드하는 DNA 로는 예를 들어, 서열번호:2 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을 함유하는 DNA 등이 사용된다.
서열번호:1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N 말단에서 제40∼54번째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인간 메타스틴 15 (40-54); 서열번호:15) 를 코드하는 DNA 로는 예를 들어, 서열번호:19 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을 함유하는 DNA 등이 사용된다.
서열번호:1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N 말단에서 제45∼54번째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인간 메타스틴 10 (45-54); 서열번호:16) 를 코드하는 DNA 로는 예를 들어, 서열번호:20 으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을 함유하는 DNA 등이 사용된다.
서열번호:l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N 말단에서 제46∼54번째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인간 메타스틴 9 (46-54); 서열번호:17) 를 코드하는 DNA 로는 예를 들어, 서열번호:21 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을 함유하는 DNA 등이 사용된다.
서열번호:1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N 말단에서 제47∼54번째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인간 메타스틴 8 (47-54); 서열번호:18) 를 코드하는 DNA 로는 예를 들어, 서열번호:22 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을 함유하는 DNA 등이 사용된다.
메타스틴 수용체, 그 부분 펩티드 또는 그 염으로는 예를 들어 WO00/24890호에 기재된 인간 메타스틴 수용체, 그 부분 펩티드 또는 그 염, WO01/75104호에 기재된 마우스 또는 래트 메타스틴 수용체, 그 부분 펩티드 또는 그 염 등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메타스틴 수용체로는 서열번호:9, 서열번호:11 또는 서열번호:13 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함유하는 단백질 등이 사용된다.
서열번호:9, 서열번호:11 또는 서열번호:13 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로는 예를 들어, 서열번호:9, 서열번호:11 또는 서열번호:13 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약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9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95%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 서열의 상동성은, 상동성 계산 알고리즘 NCBI BLAST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를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 (기대치=10; 갭을 허용한다; 매트릭스=BLOSUM62; 필터링=OFF) 에서 계산할 수 있다.
서열번호:9, 서열번호:11 또는 서열번호:13 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함유하는 단백질로는 예를 들어, 서열번호:9, 서열번호:11 또는 서열번호:13 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고, 서열번호:9, 서열번호:11 또는 서열번호:13 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단백질과 실질적으로 동질의 활성을 갖는 단백질 등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동질의 활성으로는 예를 들어, 리간드 결합 활성, 시그널 정보 전달 작용 등을 들 수 있다. 실질적으로 동질이란, 그들의 활성이 성질적으로 동질인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리간드 결합 활성이나 시그널 정보 전달 작용 등의 활성이 동등 (예, 약 0.01∼100배, 바람직하게는 약 0.5∼20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5∼2배) 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들의 활성의 정도나 단백질의 분자량 등의 양적요소는 달라도 된다.
리간드 결합 활성이나 시그널 정보 전달 작용 등의 활성의 측정은, 자체 공지된 방법에 준하여 실시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WO00/24890호나 WO01/75104호에 기재된 리간드의 결정방법이나 스크리닝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또, 메타스틴 수용체로는, (i) 서열번호:9, 서열번호:11 또는 서열번호:13 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 중의 1 또는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1∼30개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개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복수개 (1 또는 2개)) 의 아미노산이 결실된 아미노산 서열, (ii) 서열번호:9, 서열번호:11 또는 서열번호:13 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에 1 또는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1∼30개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개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복수개 (1 또는 2개)) 의 아미노산이 부가된 아미노산 서열, (iii) 서열번호:9, 서열번호:11 또는 서열번호:13 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 중의 1 또는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1∼30개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개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복수개 (1 또는 2개)) 의 아미노산이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된 아미노산 서열, 또는 (iv) 이들을 조합한 아미노산 서열을 함유하는 단백질 등도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메타스틴 수용체는, 펩티드 표기의 관례에 따라 좌단이 N 말단 (아미노 말단), 우단이 C 말단 (카르복실 말단) 이다. 서열번호:9, 서열번호:11 또는 서열번호:13 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함유하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비롯한 메타스틴 수용체의 C 말단은, 카르복실기 (-COOH), 카르복실레이트 (-COO-), 아미드 (-CONH2) 또는 에스테르 (-COOR) 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여기서 에스테르에 있어서의 R 로는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또는 n-부틸 등의 C1-6 알킬기, 예를 들어,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등의 C3-8 시클로알킬기, 예를 들어, 페닐, α-나프틸 등의 C6-12 아릴기, 예를 들어, 벤질, 페네틸 등의 페닐-C1-2 알킬기 또는 α-나프틸메틸 등의 α-나프틸-C1-2 알킬기 등의 C7-14 아르알킬기 외에, 경구용 에스테르로서 범용되는 피발로일옥시메틸기 등이 사용된다.
메타스틴 수용체가 C 말단 이외에 카르복실기 (또는 카르복실레이트) 를 갖고 있는 경우, 카르복실기가 아미드화 또는 에스테르화되어 있는 것도 본 발명의 리셉터 단백질에 포함된다. 이 경우의 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상기한 C 말단의 에스테르 등이 사용된다.
또한, 메타스틴 수용체에는, 상기한 단백질에 있어서, N 말단의 메티오닌 잔기의 아미노기가 보호기 (예를 들어, 포르밀기, 아세틸 등의 C2-6 알카노일기 등의 C1-6 아실기 등) 로 보호되어 있는 것, N 단측이 생체내에서 절단되어 생성된 글루타밀기가 피로글루타민 산화된 것, 분자 내의 아미노산의 측쇄 상의 치환기 (예를 들어, -OH, -SH, -COOH, 아미노기, 이미다졸기, 인돌기, 구아니디노기 등) 가 적당한 보호기 (예를 들어, 포르밀기, 아세틸 등의 C2-6 알카노일기 등의 C1-6 아실기 등) 로 보호되어 있는 것, 또는 당쇄가 결합된 이른바 당단백질 등의 복합단백질 등도 포함된다.
메타스틴 수용체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서열번호:9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인간 메타스틴 수용체, 서열번호:11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래트 메타스틴 수용체, 서열번호:13 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마우스 메타스틴 수용체 등이 사용된다.
메타스틴 수용체의 부분 펩티드 (이하, 부분 펩티드라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로는, 상기한 메타스틴 수용체의 부분 펩티드이면 어느 것이어도 되는데, 예를 들어, 메타스틴 수용체의 단백질 분자 중, 세포막의 밖으로 노출되어 있는 부위로서, 리간드 결합 활성을 갖는 것 등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서열번호:9, 서열번호:11 또는 서열번호:13 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부분 펩티드로서는, 소수성 플롯 해석에 있어서 세포외 영역 (친수성 (Hydrophilic) 부위) 인 것으로 분석된 부분을 포함하는 펩티드이다. 또한, 소수성 (Hydrophobic) 부위를 일부에 포함하는 펩티드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개개의 도메인을 개별로 포함하는 펩티드도 사용할 수 있지만, 복수의 도메인을 동시에 포함하는 부분의 펩티드이어도 된다.
부분 펩티드의 아미노산의 수는, 상기한 메타스틴 수용체의 구성 아미노산 서열 중 적어도 20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50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개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티드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분 펩티드는, 상기 아미노산 서열 중의 1 또는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1∼10개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개 (1 또는 2개)) 의 아미노산이 결실되거나, 또는, 그 아미노산 서열에 1 또는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1∼20개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개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개 (1 또는 2개)) 의 아미노산이 부가되거나, 또는, 그 아미노산 서열 중의 1 또는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1∼10개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개 (1 또는 2개)) 의 아미노산이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부분 펩티드는 상기한 메타스틴 수용체와 같이, C 말단이 카르복실기기 (-COOH), 카르복실레이트 (-COO-), 아미드 (-CONH2) 또는 에스테르 (-COOR) 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부분 펩티드에는, 상기한 메타스틴 수용체와 동일하게, N 말단의 메티오닌 잔기의 아미노기가 보호기로 보호되어 있는 것, N 단측이 생체내에서 절단되어 생성된 Gln 이 피로글루타민 산화된 것, 분자 내의 아미노산의 측쇄 상의 치환기가 적당한 보호기로 보호되어 있는 것, 또는 당쇄가 결합된 이른바 당펩티드 등의 복합 펩티드 등도 포함된다.
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그 부분 펩티드의 염으로서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기 또는 산과의 염이 사용되고, 특히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부가염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염으로는 예를 들어 무기산 (예를 들어, 염산, 인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과의 염, 또는 유기산 (예를 들어, 아세트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말산, 옥살산, 벤조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과의 염 등이 사용된다.
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그 부분 펩티드를 코드하는 DNA 로는 예를 들어 WO00/24890호에 기재된 인간 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그 부분 펩티드를 코드하는 DNA, WO01/75104호에 기재된 마우스 또는 래트 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그 부분 펩티드를 코드하는 DNA 등이 사용된다.
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그 부분 펩티드를 코드하는 DNA 로는, 게놈 DNA, 게놈 DNA 라이브러리, 상기한 세포·조직 유래의 cDNA, 상기한 세포·조직 유래의 cDNA 라이브러리, 합성 DNA 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라이브러리에 사용하는 벡터는, 박테리오 퍼지, 플라스미드, 코스미드, 파지미드 등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한 세포·조직으로 total RNA 또는 mRNA 획분을 조제한 것을 사용하여 직접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이하, RT-PCR 법이라 약칭한다) 에 의해서 증폭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메타스틴 수용체, 마우스 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래트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로는, 각각 서열번호:10, 서열번호:12 또는 서열번호:14 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을 함유하는 DNA, 또는 서열번호:10, 서열번호:12 또는 서열번호:14 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과 하이스트린젠트한 조건 하에서 하이브리다이즈하는 염기 서열을 함유하고, 서열번호:10, 서열번호:12 또는 서열번호:14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인간 메타스틴 수용체, 마우스 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래트 메타스틴 수용체와 실질적으로 동질의 활성 (예, 리간드 결합 활성, 시그널 정보 전달 작용 등) 을 갖는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이면 어느 것이어도 된다.
서열번호:10, 서열번호:12 또는 서열번호:14 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과 하이브리다이즈할 수 있는 DNA 로는 예를 들어, 10, 서열번호:12 또는 서열번호:14 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과 약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95%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염기 서열을 함유하는 DNA 등이 사용된다.
염기 서열의 상동성은, 상동성 계산 알고리즘 NCBI BLAST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를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 (기대치=10 ; 갭을 허용한다 ; 필터링=ON; 매치스코어=1; 미스매치스코어=-3) 에서 계산할 수 있다.
하이브리다이제이션은 자체 공지된 방법 또는 그것에 준하는 방법, 예를 들어, 몰레큘러·클로닝 (Molecular Cloning) 2nd (J. Sambrook et al., Cold Spring Harbor Lab. Press, 1989) 에 기재된 방법 등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시판되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경우, 첨부의 사용설명서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이스트린젠트한 조건에 따라서 실시할 수 있다.
그 하이스트린젠트한 조건이란, 예를 들어, 나트륨 농도가 약 19∼40mM, 바람직하게는 약 19∼20㎜ 이고, 온도가 약 50∼70℃, 바람직하게는 약 60∼65℃ 의 조건을 나타낸다. 특히, 나트륨 농도가 약 19mM 이고 온도가 약 65도 인 경우가 가장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열번호:9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인간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로는, 서열번호:10 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로 이루어지는 DNA 가 사용된다.
서열번호:11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함유하는 래트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로서는, 서열번호:12 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로 이루어지는 DNA가 사용된다.
서열번호:13 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마우스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로는, 서열번호:14 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로 이루어지는 DNA 가 사용된다.
메타스틴 수용체, 그 부분 펩티드 또는 그 염, 및 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그 부분 펩티드를 코드하는 DNA 는, WO00/24890호 또는 WO01/75104호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으로 취득·제조할 수 있다.
인간 메타스틴 또는 그 염, 또는 인간 메타스틴 수용체, 그 부분 펩티드 또는 그 염에 대한 항체는, WO00/24890호에 기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마우스 또는 래트 메타스틴 또는 그 염, 또는 마우스 또는 래트 메타스틴 수용체, 그 부분 펩티드 또는 그 염에 대한 항체는, WO01/75104호에 기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에 대한 안티센스·폴리누클레오리드는,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의 염기 서열의 일부, 또는 그 DNA 와 상보적인 염기 서열의 일부를 함유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이고,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RNA 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메타스틴 유전자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 유전자의 복제 또는 발현을 저해할 수 있는 안티센스·폴리뉴클레오티드 (핵산) 를, 클론화한 또는 결정된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의 염기 서열정보에 근거하여 설계하고, 합성할 수 있다. 그러한 폴리뉴클레오티드 (핵산) 는, 메타스틴 유전자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 유전자의 RNA 와 하이브리다이즈할 수 있고, 그 RNA 의 합성 또는 기능을 저해할 수 있거나, 또는 메타스틴 관련 RNA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 관련 RNA 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메타스틴 유전자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제어할 수 있다.
메타스틴 관련 RNA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 관련 RNA 의 선택된 서열에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메타스틴 관련 RNA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 관련 RNA 와 특이적으로 하이브리다이즈할 수 있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생체내 및 생체 외에서 메타스틴 유전자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제어하는 데 유용하고, 또 병 등의 치료 또는 진단에 유용하다. 용어「대응한다」 란, 유전자를 함유시킨 뉴클레오티드, 염기 서열 또는 핵산의 특정한 서열에 상동성을 갖는 또는 상보적인 것을 의미한다. 뉴클레오티드, 염기 서열 또는 핵산과 펩티드 (단백질) 사이에서「대응한다」 란, 뉴클레오티트 (핵산) 의 서열 또는 그 상보체로부터 유도되는 지령에 있는 펩티드 (단백질) 의 아미노산을 통상 의미한다.
메타스틴 유전자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 유전자의 5'단 헤어핀 루프, 5'단 6-베이스 페어·리피트, 5'단 비번역 영역, 펩티드 번역 개시 코돈, 단백질 코드 영역, ORF 번역 종지 코돈, 3'단 비번역 영역, 3'단 파린드롬 영역, 및 3'단 헤어핀 루프는 바람직한 대상 영역으로서 선택할 수 있지만, 메타스틴 유전자 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 유전자 내의 어떠한 영역도 대상으로서 선택할 수 있다.
목적 핵산과, 대상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보적으로 하이브리다이즈할 수 있는 폴리뉴클레오티드와의 관계는, 대상물과 「안티센스」라고 할 수 있다. 안티센스·폴리뉴클레오티드는, 2-데옥시-D-리보스를 함유하고 있는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D-리보스를 함유하고 있는 폴리리보누클레오티드, 퓨린 또는 피리미딘 염기의 N-글리코시드인 그 밖의 타입의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비뉴클레오티드 골격을 갖는 그 밖의 폴리머 (예를 들어, 시판되는 단백질핵산 및 합성 서열 특이적인 핵산 폴리머) 또는 특수한 결합을 함유하는 그 밖의 폴리머 (단, 그 폴리머는 DNA 나 RNA 중에 발견되는 염기의 페어링이나 염기의 부착을 허용하는 배치를 갖는 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한다) 등을 들 수 있다. 그것들은, 2개 사슬 DNA, 1개 사슬 DNA, 2개 사슬 RNA, 1개 사슬 RNA, 또한 DNA : RNA 하이브리드할 수 있고, 또한 비수식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비수식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나아가 공지된 수식이 부가된 것, 예를 들어 당해 분야에서 알려진 표지가 있는 것, 캡이 부착된 것, 메틸화된 것, 1개 이상의 천연 뉴클레오티드를 유연물 (類緣物) 로 치환한 것, 분자 내 뉴클레오티드 수식된 것, 예를 들어 비하전 결합 (예를 들어, 메틸포스포네이트, 포스포트리에스테르, 포스폴아미데이트, 카르바메이트 등) 을 갖는 것, 전하를 갖는 결합 또는 황함유 결합 (예를 들어, 포스포로티오에이트, 포스폴로디티오에이트 등) 을 갖는 것, 예를 들어 단백질 (뉴클레아제, 뉴클레아제·인히비터, 톡신, 항체, 시그널 펩티드, 폴리-L-리신 등) 이나 당 (예를 들어, 모노삭카라이드 등) 등의 측쇄기를 갖고 있는 것, 인터커런트 화합물 (예를 들어, 아크리딘, 푸소라렌 등) 을 갖는 것, 킬레이트 화합물 (예를 들어, 금속, 방사활성을 갖는 금속, 붕소, 산화성의 금속 등) 을 함유하는 것, 알킬화제를 함유하는 것, 수식된 결합을 갖는 것 (예를 들어, α아노마형의 핵산 등) 이어도 된다. 여기서 「뉴클레오시드」, 「뉴클레오티드」및「핵산」 이란, 퓨린 및 피리미딘 염기를 함유할 뿐만 아니라, 수식된 그 밖의 복소환형 염기를 갖는 것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수식물은, 메틸화된 퓨린 및 피리미딘, 아실화된 퓨린 및 피리미딘, 또는 그 밖의 복소환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수식된 뉴클레오티드 및 수식된 뉴클레오티드는 또한 당부분이 수식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어, 1개 이상의 수산기가 할로겐이거나, 지방족기 등으로 치환되어 있거나, 또는 에테르, 아민 등의 관능기로 변환되어 있어도 된다.
안티센스·폴리뉴클레오티드 (핵산) 는, RNA, DNA, 또는 수식된 핵산 (RNA, DNA) 이다. 수식된 핵산의 구체예로는 핵산의 황 유도체나 티오포스페이트 유도체, 그리고 폴리뉴클레오시드아미드나 올리고뉴클레오시드아미드의 분해에 저항성인 것을 들 수 있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안티센스 핵산은 다음과 같은 방침으로 바람직하게 설계될 수 있다. 즉, 세포 내에서의 안티센스 핵산을 보다 안정되게 하는, 안티센스 핵산의 세포투과성을 보다 높이고, 목표로 하는 센스 사슬에 대한 친화성을 보다 큰 것으로 하고, 그리고 만일 독성이 있으면 안티센스 핵산의 독성을 보다 작게 한다.
이렇게 해서 수식은 당해 분야에서 많이 알려져 있고, 예를 들어 J. Kawakami et al., Pharm Tech Japan, Vol.8, pp.247, 1992; Vol.8, pp.3 95,1992; S. T. Crooke et al. ed., Antisense Research and Applications, CRC Press, 1993 등에 개시되어 있다.
안티센스 핵산은, 변화되거나, 수식된 당, 염기, 결합을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리포좀, 미크로스페어와 같은 특수한 형태로 공급되거나, 유전자 치료에 의해 적용되거나, 부가된 형태로 부여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부가형태로 사용되는 것으로는, 인산기 골격의 전하를 중화하도록 작용하는 폴리리신과 같은 폴리 양이온체, 세포막과의 상호작용을 높이거나, 핵산의 삽입을 증대시키는 지질 (예를 들어, 포스포리피드, 콜레스테롤 등) 과 같은 소수성의 것을 들 수 있다. 부가하기에 바람직한 지질로서는, 콜레스테롤이나 그 유도체 (예를 들어, 콜레스테릴클로로포르메이트, 콜산 등) 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것은, 핵산의 3'단 또는 5'단에 부착시킬 수 있고, 염기, 당, 분자 내 뉴클레오시드 결합을 통해 부착시킬 수 있다. 그 밖의 기로서는, 핵산의 3'단 또는 5'단에 특이적으로 배치된 캡용의 기로, 엑소뉴클레아제, RNase 등의 뉴클레아제에 의한 분해를 저지하기 위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캡용의 기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등의 글리콜을 비롯한 당해 분야에서 알려진 수산기의 보호기를 들 수 있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안티센스 핵산의 저해활성은, 상기한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형질전환체,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생체내나 생체 외의 유전자 발현계, 또는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생체내나 생체 외의 번역계를 사용하여 조사할 수 있다. 그 핵산 그 자체 공지된 각종 방법으로 세포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 메타스틴 또는 그 염 (이하, 메타스틴이라 약기한다),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메타스틴에 대한 항체,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에 대한 안티 DNA, 메타스틴 수용체, 그 부분 펩티드 또는 그 염 (이하, 메타스틴 수용체라고 약기한다),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메타스틴 수용체에 대한 항체,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에 대한 안티 DNA 등의 용도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메타스틴,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의약
메타스틴은, 혈당 상승 작용, 췌글루카곤 분비 촉진작용, 뇨생성 촉진 작용을 갖고 있기 때문에, 메타스틴,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는, 예를 들어, 혈당상승제, 췌글루카곤 분비 촉진제, 뇨생성 촉진제로서 유용하다.
또한, 메타스틴,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는, 예를 들어, 비만, 고지혈증, 2형 당뇨병, 저혈당증, 고혈압,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부종, 배뇨곤란증, 인슐린 저항성, 불안정 당뇨병, 지방위축, 인슐린 앨러지, 인슐리노마,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또는 지방 독성의 예방·치료제로서 유용하다.
메타스틴,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상기 서술한 의약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통상적인 수단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요에 따라 당의나 장용성 피막을 실시한 정제, 캡슐제, 엘릭서제, 마이크로캡슐제 등으로 하여 경구적으로, 또는 물 또는 그 이외의 약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액과의 무균성 용액, 또는 현탁액제 등의 주사제의 형태로 비경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화합물 또는 그 염을 생리학적으로 인정되는 담체, 향미제, 부형제, 비히클, 방부제, 안정제, 결합제 등과 함께 일반적으로 인정된 제약 실시에 요구되는 단위 용량 형태로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들 제제에 있어서의 유효성분량은 지시된 범위가 적당한 용량이 얻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는, (가) 메타스틴를 코드하는 DNA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그 환자에게 투여하여 발현시킴으로써, 또는 (나) 세포 등에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삽입하여 발현시킨 후에, 그 세포를 그 환자에게 이식하거나 함으로써, 그 환자의 세포에 있어서의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양을 증가시켜, 메타스틴의 작용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DNA 를 단독 또는 레트로 바이러스 벡터, 아데노 바이러스 벡터, 아데노 바이러스 어소시에이티드 바이러스 벡터 등의 적당한 벡터에 삽입한 후, 통상적인 수단에 따라서 실시할 수 있다.
정제, 캡슐제 등에 혼합할 수 있는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젤라틴, 옥수수 전분, 트라간트 검, 아라비아 검과 같은 결합제, 결정성 셀룰로오스와 같은 부형제, 옥수수 전분, 젤라틴, 알긴산 등과 같은 팽화제, 스테아르산마그네슘과 같은 윤활제, 자당, 유당 또는 사카린과 같은 감미제, 페퍼민트, 아카모노 오일 또는 체리와 같은 향미제 등이 사용된다. 조제 단위 형태가 캡슐인 경우에는, 상기 타입의 재료에 추가로 유지와 같은 액상 담체를 함유할 수 있다. 주사를 위한 무균 조성물은 주사용수와 같은 비히클 중의 활성 물질, 참기름, 야자유 등과 같은 천연 산출 식물유 등을 용해 또는 현탁시키는 등의 통상의 제제실시에 따라서 처방할 수 있다.
주사용의 수성액으로는 예를 들어, 생리식염수, 포도당이나 그 밖의 보조약을 포함하는 등장액 (예를 들어, D-소르비톨, D-만니톨, 염화나트륨 등) 등을 들 수 있고, 적당한 용해보조제, 예를 들어 알코올 (예를 들어 에탄올), 폴리알코올 (예를 들어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폴리소르베이트80 (TM), HCO-50) 등과 병용해도 된다. 유성액으로서는 참기름, 대두유 등을 들 수 있고, 용해보조제로서 벤조산벤질, 벤질알코올 등과 병용해도 된다.
또한, 완충제 (예를 들어, 인산염 완충액, 아세트산나트륨 완충액), 무통화제 (예를 들어, 염화벤잘코늄, 염산프로카인 등), 안정제 (예를 들어, 인간 혈청 알부민, 폴리에틸렌글리콜 등), 보존제 (예를 들어, 벤질알코올, 페놀 등), 산화방지제 등과 배합해도 된다. 조제된 주사액은 통상, 적당한 앰플에 충전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제제는 안전하고 저독성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인간이나 포유동물 (예를 들어, 마우스, 래트, 몰모트, 토끼, 닭, 양, 돼지, 소, 고양이, 개, 원숭이, 망토비비, 침팬지 등) 에 대하여 투여할 수 있다.
메타스틴,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의 투여량은, 증상 등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경구 투여의 경우, 일반적으로 성인의 비만환자 (체중 60㎏ 으로 하여) 에 있어서는, 1일에 약 0.1∼100㎎, 바람직하게는 약 1.0∼5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20㎎ 이다. 비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경우에는, 그 1회 투여량은 투여 대상, 대상 장기, 증상, 투여 방법 등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예를 들어 주사제의 형태에서는 성인의 비만환자 (체중 60㎏으로 하여) 로의 투여에 있어서는, 1일에 약 0.01∼30㎎정도, 바람직하게는 약 0.1∼20㎎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1∼10㎎ 정도를 정맥 주사에 의해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동물의 경우도, 60㎏ 당으로 환산한 양을 투여할 수 있다.
(2)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에 대한 항체를 함유하는 의약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활성을 중화하는 작용을 갖는 항체는, 메타스틴의 혈당 상승 작용, 췌글루카곤 분비 촉진 작용, 뇨생성 촉진 작용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혈당저하제, 췌글루카곤 분비억제제, 뇨생성 억제제로서 유용하다.
나아가서는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활성을 중화하는 작용을 갖는 항체는, 예를 들어, 당뇨병, 내당능 장애, 케토시스, 아시도시스,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빈뇨, 야뇨증, 고지혈증, 성기능 장애, 피부질환, 관절증, 골감소증,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소화불량 또는 기억 학습 장애의 예방·치료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당뇨병에는, 인슐린 의존형 (I 형) 당뇨병, 인슐린 비의존형 (II 형) 당뇨병 등이 포함된다.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에 대한 항체 (이하, 본 발명의 항체라 약기한다) 를 함유하는 상기 질환의 치료·예방제는, 그대로 액제로서, 또는 적당한 제형의 의약 조성물로서, 인간 또는 포유동물 (예, 래트, 토끼, 양, 돼지, 소, 고양이, 개, 원숭이 등) 에 대하여 경구적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량은, 투여 대상, 대상 질환, 증상, 투여 루트 등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예를 들어, 성인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항체를 1회량으로서, 통상 0.01∼20㎎/㎏ 체중 정도, 바람직하게는 0.1∼10㎎/㎏ 체중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체중 정도를, 1일 1∼5회 정도, 바람직하게는 1일 1∼3회 정도, 정맥 주사에 의해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비경구 투여 및 경구 투여의 경우도 이것에 준하는 양을 투여할 수 있다. 증상이 특히 심한 경우에는, 그 증상에 따라 증량해도 된다.
본 발명의 항체는, 그 자체 또는 적당한 의약 조성물로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투여에 사용되는 의약 조성물은, 상기 또는 그 염과 약리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에 알맞는 제형으로서 제공된다.
즉, 예를 들어, 경구 투여를 위한 조성물로서는, 고체 또는 액체의 제형, 구체적으로는 정제 (당의정, 필름 코팅정을 포함한다), 환제, 과립제, 산제, 캡슐제 (소프트 캡슐제를 포함한다), 시럽제, 유제, 현탁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자체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제조되어, 제제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담체, 희석제 혹은 부형제를 함유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정제용의 담체, 부형제로서는, 유당, 전분, 자당,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등이 사용된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조성물로는 예를 들어, 주사제, 좌제 등이 사용되고, 주사제는 정맥 주사제, 피하 주사제, 피내 주사제, 근육 주사제, 점적주사제 등의 제형을 포함한다. 이러한 주사제는, 자체 공지된 방법에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항체 또는 그 염을 통상 주사제에 사용되는 무균의 수성 또는 유성액에 용해, 현탁 또는 유화함으로써 조제한다. 주사용의 수성액으로는 예를 들어, 생리식염수, 포도당이나 그 밖의 보조약을 포함하는 등장액 등이 사용되고, 적당한 용해보조제, 예를 들어, 알코올 (예, 에탄올), 폴리알코올 (예,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비이온 계면활성제〔예, 폴리소르베이트80, HCO-50 (폴리옥시에틸렌 50㏖) 수소화 캐스터유의 첨가생성물)〕등과 병용해도 된다. 유성액으로는 예를 들어, 참기름, 대두유 등이 사용되고, 용해보조제로서 벤조산벤질, 벤질알코올 등을 병용해도 된다. 조제된 주사액은 통상 적당한 앰플에 충전된다. 직장 투여에 사용되는 좌제는, 상기 항체 또는 그 염을 통상의 좌약용 기제에 혼합함으로써 조제된다.
상기의 경구용 또는 비경구용 의약 조성물은, 활성성분의 투여량에 적합한 투약 단위의 제형으로 조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투약 단위의 제형으로서는 정제, 환제, 캡슐제, 주사제 (앰플), 좌제 등이 예시되고, 각각의 투약 단위 제형 당 통상 5∼500㎎, 특히 주사제로는 5∼100㎎, 그 밖의 제형으로는 10∼250㎎ 의 상기 항체가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각 조성물은, 상기 항체와의 배합에 의해 바람직하지 않은 상호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한 다른 활성성분을 함유해도 된다.
(3) 본 발명의 항체를 함유하는 진단제
본 발명의 항체는,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피험액 중의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정량, 특히 샌드위치 면역측정법에 의한 정량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체를 사용하는 메타스틴의 정량법은, WO00/24890호 또는 WO01/75104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체는,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이상 발현 (과잉 발현, 발현 저하) 에 따르는 혈당 이상, 췌글루카곤 분비 이상, 뇨생성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항체는, 인간 또는 포유동물 (예, 래트, 토끼, 양, 돼지, 소, 고양이, 개, 원숭이 등) 에 있어서의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이상 발현에 따르는 혈당이상, 췌글루카곤 분비 이상, 뇨생성 이상에 의한 비만, 고지혈증, 저혈당증, 고혈압,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부종, 배뇨곤란증, 인슐린 저항성, 불안정 당뇨병, 지방위축, 인슐린 앨러지, 인슐리노마,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지방 독성, 당뇨병, 내당능장애, 케토시스, 아시도시스, 빈뇨, 야뇨증, 성기능 장애, 피부질환, 관절증, 골감소증,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소화불량 또는 기억 학습 장애 등의 진단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항체를 사용하여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농도를 정량함으로써,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농도의 감소가 검출된 경우, 예를 들어,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기능부전에 관련되는 질환이거나, 또는 장래 나환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농도의 증가가 검출된 경우에는, 예를 들어,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과잉 발현에 기인하는 질환이거나, 또는 장래 나환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기능부전에 관련되는 질환으로는 예를 들어, 비만, 고지혈증, 2형 당뇨병, 저혈당증, 고혈압,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부종, 배뇨곤란증, 인슐린 저항성, 불안정 당뇨병, 지방위축, 인슐린 앨러지, 인슐리노마,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또는 지방 독성 등을 들 수 있다.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과잉 발현에 기인하는 질환으로는 예를 들어, 당뇨병, 내당능장애, 케토시스, 아시도시스,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빈뇨, 야뇨증, 고지혈증, 성기능 장애, 피부질환, 관절증, 골감소증,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소화불량 또는 기억 학습 장애 등을 들 수 있다. 당뇨병에는, 인슐린 의존형 (I 형) 당뇨병, 인슐린 비의존형 (II 형) 당뇨병 등이 포함된다.
(4) 유전자 진단제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또는 그것에 대한 안티센스·폴리뉴클레오티드는, 예를 들어, 프로브로서 사용함으로써, 인간 또는 포유동물 (예를 들어, 래트, 마우스, 몰모트, 토끼, 닭, 양, 돼지, 소, 말, 고양이, 개, 원숭이 등) 에 있어서의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또는 mRNA 의 이상 (유전자 이상) 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그 DNA 또는 mRNA 의 손상, 돌연 변이 또는 발현 저하나, 그 DNA 또는 mRNA 의 증가 또는 발현 과다 등의 유전자 진단제로서 유용하다.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또는 그것에 대한 안티센스·폴리뉴클레오티드를 사용하는 상기 유전자진단은, 예를 들어, 자체 공지된 노던 하이브리다이제이션이나 PCR-SSCP 법 (게노믹스 (Genomics), 제5권, 874∼879페이지 (1989년), 프로시딩즈·오브·더·내셔널·아카데미·오브·사이언시즈·오브·유에스에이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제86권, 2766∼2770페이지 (1989년))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또는 그것에 대한 안티센스·폴리뉴클레오티드는, 인간 또는 포유동물에 있어서의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이상 발현에 따르는 혈당 이상, 췌글루카곤 분비 이상, 뇨생성 이상에 의한 비만, 고지혈증, 저혈당증, 고혈압,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부종, 배뇨곤란증, 인슐린 저항성, 불안정 당뇨병, 지방위축, 인슐린 앨러지, 인슐리노마,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지방 독성, 당뇨병, 내당능장애, 케토시스, 아시도시스, 빈뇨, 야뇨증, 성기능 장애, 피부질환, 관절증, 골감소증,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소화불량 또는 기억 학습 장애등의 진단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던 하이브리다이제이션에 의해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 저하가 검출된 경우에는, 예를 들어,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기능부전에 관련되는 질환일 가능성이 높거나 또는 장래 나환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노던 하이브리다이제션에 의해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 과다가 검출된 경우에는, 예를 들어,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과잉 발현에 기인하는 질환일 가능성이 높거나 또는 장래 나환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기능부전에 관련되는 질환으로는 예를 들어, 비만, 고지혈증, 2형 당뇨병, 저혈당증, 고혈압,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부종, 배뇨곤란증, 인슐린 저항성, 불안정 당뇨병, 지방위축, 인슐린 앨러지, 인슐리노마,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또는 지방 독성 등을 들 수 있다.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과잉 발현에 기인하는 질환으로는 예를 들어, 당뇨병, 내당능장애, 케토시스, 아시도시스,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빈뇨, 야뇨증, 고지혈증, 성기능 장애, 피부질환, 관절증, 골감소증,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소화불량 또는 기억 학습 장애 등을 들 수 있다. 당뇨병에는, 인슐린 의존형 (I 형) 당뇨병, 인슐린 비의존형 (II 형) 당뇨병 등이 포함된다.
(5) 안티센스 DNA 를 함유하는 의약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에 대한 안티센스 DNA는, 메타스틴의 혈당 상승 작용, 췌글루카곤 분비 촉진 작용, 뇨생성 촉진 작용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혈당저하제, 췌글루카곤 분비억제제, 뇨생성 억제제로서 유용하다.
또한,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에 대한 안티센스 DNA 는, 예를 들어, 당뇨병, 내당능장애, 케토시스, 아시도시스,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빈뇨, 야뇨증, 고지혈증, 성기능 장애, 피부질환, 관절증, 골감소증,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소화불량 또는 기억 학습 장애의 예방·치료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당뇨병에는, 인슐린 의존형 (I 형) 당뇨병, 인슐린 비의존형 (II 형) 당뇨병 등이 포함된다.
상기 안티센스 DNA 를 상기의 치료·예방제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안티센스 DNA 를,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와 동일하게 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제제는 저독성으로서, 인간 또는 포유동물 (예, 래트, 토끼, 양, 돼지, 소, 고양이, 개, 원숭이 등) 에 대하여 경구적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또, 그 안티센스 DNA 는, 그대로로 또는 섭취촉진용의 보조제 등의 생리학적으로 인정되는 담체와 함께, 유전자총이나 하이드로겔 카테터와 같은 카테터에 의해서 투여할 수도 있다.
그 안티센스 DNA 의 투여량은, 대상 질환, 투여 대상, 투여 루트 등에 따라 다르지만, 예를 들어, 당뇨병의 치료의 목적으로 안티센스 DNA 를 장기 (예, 간장, 폐, 심장, 신장 등) 에 국소 투여하는 경우, 성인 (체중 60㎏) 에 대하여, 1일 당 약 0.1∼100㎎ 이다.
또한,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RNA 의 일부와 그것에 상보적인 RNA 를 함유하는 2중 사슬 RNA (RNai ; RNA interference 법),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RNA 의 일부를 함유하는 리보자임 등은, 상기 안티센스 DNA 와 동일하게,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어, 생체내에서의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의 기능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그 2중 사슬 RNA 또는 리보자임은, 메타스틴의 혈당 상승 작용, 췌글루카곤 분비 촉진 작용, 뇨생성 촉진 작용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혈당저하제, 췌글루카곤 분비억제제, 뇨생성 억제제로서 유용하다. 또한, 그 2중 사슬 RNA 또는 리보자임은, 당뇨병, 내당능장애, 케토시스, 아시도시스,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빈뇨, 야뇨증, 고지혈증, 성기능 장애, 피부질환, 관절증, 골감소증,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소화불량 또는 기억 학습 장애의 예방·치료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당뇨병에는, 인슐린 의존형 (I 형) 당뇨병, 인슐린 비의존형 (II 형) 당뇨병 등이 포함된다.
2중 사슬 RNA 는, 공지된 방법 (예, Nature, 411권, 494페이지, 2001년) 에 준하여, 본 발명의 DNA 의 서열을 기초로 설계하여 제조할 수 있다.
리보자임은, 공지된 방법 (예, TRENDS in Molecular Medicine, 7권, 221페이지, 2001년) 에 준하여,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DNA 의 서열을 기초로 설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RNA 의 일부에 공지된 리보자임을 연결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RNA 의 일부로서는, 공지된 리보자임에 의해서 절단될 수 있는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RNA 상의 절단부위에 근접한 부분 (RNA 단편) 을 들 수 있다.
상기 2중 사슬 RNA 또는 리보자임을 상기 예방·치료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안티센스 DNA 와 동일하게 하여 제제화하여 투여할 수 있다.
(6) 스크리닝 방법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은,
(6-1) (a) 메타스틴 및 (또는) (b) 메타스틴 수용체 (이하, 부분 펩티드도 포함한다) 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조절약, 췌글루카곤 조절약 또는 뇨생성 조절약의 스크리닝 방법, 및
(6-2) (a)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및 (또는) (b)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조절약, 췌글루카곤 조절약 또는 뇨생성 조절약의 스크리닝 방법이다.
혈당조절약, 췌글루카곤 조절약 또는 뇨생성 조절약으로서는,
(a) 메타스틴과 메타스틴 수용체의 결합성을 변화시키는 물질, 또는
(b) 메타스틴 및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 등을 들 수 있다.
우선, 메타스틴과 메타스틴 수용체의 결합성을 변화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메타스틴 수용체를 사용하거나, 또는 재조합형 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계를 구축하여, 그 발현계를 사용한 리셉터 결합 분석계를 사용함으로써, 메타스틴과 메타스틴 수용체의 결합성을 변화시키는 물질을 스크리닝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통해 세포 자극 활성을 갖는 물질 (즉, 메타스틴 수용체 아고니스트) 과 그 세포 자극 활성을 갖지 않은 물질 (즉, 메타스틴 수용체 안타고니스트) 등이 포함된다. 「메타스틴과 메타스틴 수용체의 결합성을 변화시킨다」란, 메타스틴과 메타스틴 수용체와의 결합을 저해하는 경우와, 메타스틴과 메타스틴 수용체와의 결합을 촉진하는 경우의 양쪽을 포함하는 것이다.
세포 자극 활성으로는 예를 들어, 아라키돈산 유리, 아세틸콜린 유리, 세포내 Ca2+ 유리, 세포내 cAMP 생성, 세포내 cGMP 생성, 이노시톨인산 생성, 세포막 전위 변동, 세포내 단백질의 인산화, c-fos 의 활성화, pH 의 저하 등을 촉진시키는 활성 또는 억제하는 활성, 세포 증식 저해 활성, 유주 저해 활성, 종양 증식 억제 활성, 혈당 상승 활성, 췌글루카곤 분비 촉진 활성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세포내 Ca2+ 유리의 촉진 활성, 세포 증식 저해 활성, 유주 저해 활성, 종양 증식 억제 활성, 혈당 상승 활성, 췌글루카곤 분비 촉진 활성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은, (i) 메타스틴 수용체에 메타스틴을 접촉시킨 경우와 (ii) 메타스틴 수용체에 메타스틴 및 시험화합물을 접촉시킨 경우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스틴과 메타스틴 수용체의 결합성을 변화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에 있어서는, (i) 메타스틴 수용체에 메타스틴을 접촉시킨 경우와 (ii) 메타스틴 수용체에 메타스틴 및 시험화합물을 접촉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예를 들어 메타스틴 수용체에 대한 메타스틴의 결합량, 세포 자극 활성 등을 측정하여 비교한다.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은 구체적으로는,
(i) 표지한 메타스틴을 메타스틴 수용체에 접촉시킨 경우와, 표지한 메타스틴 및 시험화합물을 메타스틴 수용체에 접촉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표지한 메타스틴의 메타스틴 수용체에 대한 결합량을 측정하여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스틴과 메타스틴 수용체의 결합성을 변화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ii) 표지한 메타스틴을 메타스틴 수용체를 함유하는 세포 또는 그 세포의 막획분에 접촉시킨 경우와, 표지한 메타스틴 및 시험화합물을 메타스틴 수용체를 함유하는 세포 또는 그 세포의 막획분에 접촉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표지한 메타스틴의 그 세포 또는 그 막획분에 대한 결합량을 측정하여,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스틴과 메타스틴 수용체의 결합성을 변화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iii) 표지한 메타스틴을,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형질전환체를 배양함으로써 세포막 상에 발현한 메타스틴 수용체에 접촉시킨 경우와, 표지한 메타스틴 및 시험화합물을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형질전환체를 배양함으로써 세포막 상에 발현한 메타스틴 수용체에 접촉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표지한 메타스틴의 그 메타스틴 수용체에 대한 결합량을 측정하여,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스틴과 메타스틴 수용체의 결합성을 변화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iv) 메타스틴 수용체를 활성화하는 화합물 (예를 들어, 메타스틴, 본 발명의 메타스틴 유도체) 를 메타스틴 수용체를 함유하는 세포에 접촉시킨 경우와, 메타스틴 수용체를 활성화하는 화합물 및 시험화합물을 메타스틴 수용체를 함유하는 세포에 접촉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메타스틴 수용체를 통한 세포 자극 활성을 측정하여,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스틴과 메타스틴 수용체의 결합성을 변화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v) 메타스틴 수용체를 활성화하는 화합물 (예를 들어, 메타스틴, 본 발명의 메타스틴 유도체) 을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형질전환체를 배양함으로써 세포막 상에 발현한 메타스틴 수용체에 접촉시킨 경우와, 메타스틴 수용체를 활성화하는 화합물 및 시험화합물을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형질전환체를 배양함으로써 세포막 상에 발현한 메타스틴 수용체에 접촉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메타스틴 수용체를 통한 세포 자극 활성을 측정하여,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스틴과 메타스틴 수용체의 결합성을 변화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vi) 시험화합물을 메타스틴 수용체를 함유하는 세포에 접촉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메타스틴 수용체를 통한 세포 자극 활성을 측정하여,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스틴 수용체 아고니스트의 스크리닝 방법, 및
(vii) 시험화합물을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형질전환체를 배양함으로써 세포막 상에 발현한 메타스틴 수용체에 접촉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메타스틴 수용체를 통한 세포 자극 활성을 측정하여,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스틴 수용체 아고니스트의 스크리닝 방법 등이다.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에 있어서는, 리간드로서는, 메타스틴을 사용하는 대신에, 메타스틴과 메타스틴 수용체의 결합성을 변화시키는 화합물 (예를 들어, 저분자 합성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저분자 합성 아고니스트) 또는 그 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메타스틴과 메타스틴 수용체의 결합성을 변화시키는 화합물 또는 그 염은, 예를 들어, 리간드로서 메타스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을 실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본 발명의 메타스틴 유도체 또는 그 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의 구체적인 설명을 이하에 서술한다.
우선,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에 사용하는 메타스틴 수용체로서는, 상기한 메타스틴 수용체를 함유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인간이나 온혈동물의 장기의 막획분 등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특히 인간 유래의 장기는 입수가 매우 곤란한 점에서, 스크리닝에 사용되는 것으로서는, 재조합체를 사용하여 대량 발현시킨 메타스틴 수용체 등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에 있어서, 메타스틴 수용체를 함유하는 세포 또는 그 세포막획분 등을 사용하는 경우, 후술하는 조제법에 따르면 된다.
메타스틴 수용체를 함유하는 세포를 사용하는 경우, 그 세포를 글루타르알데히드, 포르말린 등으로 고정화해도 된다. 고정화 방법은 그 자체 공지된 방법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다.
메타스틴 수용체를 함유하는 세포로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발현한 숙주세포를 말하는데, 그 숙주세포로는, 전술한 대장균, 고초균, 효모, 곤충세포, 동물세포 등을 들 수 있다.
막획분으로서는, 세포를 파쇄한 후, 그 자체 공지된 방법으로 얻어지는 세포막이 많이 함유되는 획분을 말한다. 세포의 파쇄방법으로서는, Potter-Elvehjem형 호모지나이저로 세포를 눌러 찌부러뜨리는 방법, 워링 블렌더나 폴리트론 (Kinematica 사 제조) 에 의한 파쇄, 초음파에 의한 파쇄, 프렌치 프레스 등으로 가압하면서 세포를 가는 노즐로부터 분출시키는 것에 의한 파쇄 등을 들 수 있다. 세포막의 분획에는, 분획 원심분리법이나 밀도 구배 원심분리법 등의 원심력에 의한 분획법이 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세포파쇄액을 저속 (500rpm∼3000rpm) 으로 단시간 (통상, 약 1분∼10분) 원심하여, 상등액을 다시 고속 (15000rpm∼30000rpm) 으로 통상 30분∼2시간 원심하여, 얻어지는 침전을 막획분으로 한다. 그 막획분 중에는, 발현한 메타스틴 수용체와 세포 유래의 인지질이나 막단백질 등의 막성분이 많이 함유된다.
그 메타스틴 수용체를 함유하는 세포나 막획분 중의 메타스틴 수용체의 양은, 1세포 당 103∼108 분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105∼107 분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발현량이 많을 수록 막획분 당의 리간드 결합 활성 (비활성) 이 높아져, 고감도인 스크리닝계의 구축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동일 로트로 대량의 시료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메타스틴과 메타스틴 수용체의 결합성을 변화시키는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상기의 (i)∼(iii) 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메타스틴 수용체 획분과, 표지한 메타스틴이 사용된다. 메타스틴 수용체 획분으로서는, 천연형의 메타스틴 수용체 획분이나, 또는 그것과 동등한 활성을 갖는 재조합형 메타스틴 수용체 획분 등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동등한 활성이란 동등한 리간드 결합 활성 등을 나타낸다.
표지한 메타스틴으로는, 표지한 리간드, 표지한 리간드 아날로그 화합물 등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3H〕, 〔125I〕, 〔14C〕, 〔35S〕등으로 표지된 메타스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메타스틴과 메타스틴 수용체의 결합성을 변화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메타스틴 수용체를 함유하는 세포 또는 세포의 막획분을, 스크리닝에 알맞은 버퍼에 현탁함으로써 리셉터 표품을 조제한다. 버퍼에는, pH4∼10 (바람직하게는 pH6∼8) 의 인산버퍼, 트리스-염산버퍼 등의 메타스틴과 메타스틴 수용체와의 결합을 저해하지 않는 버퍼이면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비특이적 결합을 저감시키는 목적으로, CHAPS, Tween-80TM (카오-아틀라스사), 디기토닌, 데옥시콜레이트 등의 계면활성제를 버퍼에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테아제에 의한 메타스틴 수용체나 메타스틴의 분해를 억제하는 목적으로 PMSF, 로이펩틴, E-64 (펩티드연구소 제조), 펩스타틴 등의 프로테아제 저해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0.01∼10㎖ 의 그 메타스틴 수용체 용액에, 일정량 (5000∼500000cpm) 의 표지한 메타스틴을 첨가하고, 동시에 10-4∼10-1μM 의 시험화합물을 공존시킨다. 비특이적 결합량 (NSB) 을 알기 위해 대과잉의 미표지의 메타스틴을 첨가한 반응튜브도 준비한다. 반응은 약 0℃∼약 50℃, 바람직하게는 약 4℃∼약 37℃ 에서 약 20분∼약 24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30분∼약 3시간 실시한다. 반응 후, 유리섬유 여과지 등으로 여과하여, 적량의 동일 버퍼로 세정한 후, 유리섬유 여과지에 잔존하는 방사활성을 액체 신틸레이션 카운터 또는 γ-카운터에서 계측한다. 길항하는 물질이 없는 경우의 카운트 (B0) 로부터 비특이적 결합량 (NSB) 을 뺀 카운트 (B0-NSB) 를 100% 로 하였을 때, 특이적 결합량 (B-NSB) 이 예를 들어 50% 이하가 되는 시험화합물을 길항저해능력이 있는 후보물질로서 선택할 수 있다.
메타스틴과 메타스틴 수용체의 결합성을 변화시키는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상기의 (iv)∼(vii) 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통한 세포 자극 활성을 공지된 방법 또는 시판되는 측정용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메타스틴 수용체를 함유하는 세포를 멀티 웰 플레이트 등에tj 배양한다. 스크리닝을 실행하는 데 있어서는 미리 신선한 배지 또는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적당한 버퍼로 교환하여, 시험화합물 등을 첨가하여 일정 시간 인큐베이트한 후, 세포를 추출 또는 상등액을 회수하여, 생성된 산물을 각각의 방법에 따라서 정량한다. 세포 자극 활성의 지표로 하는 물질 (예를 들어, Ca2+, 아라키돈산, cAMP 등) 의 생성이, 세포가 함유하는 분해효소에 의해서 검정 곤란한 경우에는, 그 분해효소에 대한 저해제를 첨가하여 분석하여도 된다. 또한, cAMP 생성 억제 등의 활성에 관해서는, 폴스콜린 등으로 세포의 기초적 생성량을 증대시켜 놓은 세포에 대한 생성 억제 작용으로서 검출할 수 있다.
세포 자극 활성을 측정하여 스크리닝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메타스틴 수용체를 발현한 세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메타스틴 수용체를 발현한 세포로서는, 전술한 재조합형 메타스틴 수용체 발현 세포주 등이 바람직하다.
시험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펩티드, 단백, 비펩티드성 화합물, 합성화합물, 발효생산물, 세포추출액, 식물추출액, 동물조직 추출액, 혈장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화합물은 신규인 화합물이어도 되고, 공지된 화합물이어도 된다.
시험화합물은 염을 형성하고 있어도 되고, 시험화합물의 염으로서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예, 무기산 등) 이나 염기 (예, 유기산 등) 등과의 염이 사용되고, 특히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부가염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염으로는 예를 들어, 무기산 (예를 들어, 염산, 인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등) 과의 염, 또는 유기산 (예를 들어, 아세트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말산, 옥살산, 벤조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등) 과의 염 등이 사용된다.
또한, 시험화합물로서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활성부위의 원자 좌표 및 리간드 결합 포켓의 위치에 따라서, 리간드 결합 포켓에 결합하도록 설계된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메타스틴 수용체의 활성부위의 원자 좌표 및 리간드 결합 포켓의 위치의 측정은, 공지된 방법 또는 그것에 준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실행할 수 있다.
메타스틴과 메타스틴 수용체의 결합성을 변화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용 키트는, 메타스틴 수용체, 메타스틴 수용체를 함유하는 세포 또는 그 세포의 막획분, 및 (또는) 메타스틴을 함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스크리닝용 키트의 예로서는, 다음 것을 들 수 있다.
1. 스크리닝용 시약
(1) 측정용 완충액 및 세정용 완충액
Hanks' Balanced Salt Solution (기부코사 제조) 에, 0.05% 의 소 혈청 알부민 (시그마사 제조) 을 첨가한 것.
구멍직경 0.45㎛ 의 필터로 여과멸균하여, 4℃ 에서 저장하거나, 또는 용시 조제해도 된다.
(2) 메타스틴 수용체 표품
메타스틴 수용체를 발현시킨 CHO 세포를, 12 웰 플레이트에 5×105개/구멍으로 계대하여, 37℃, 5% CO2, 95% air 에서 2일간 배양한 것.
(3) 표지 리간드
〔3H〕, 〔125I〕, 〔14C〕, 〔35S〕등으로 표지한 메타스틴
적당한 용매 또는 완충액에 용해한 것을 4℃ 또는 -20℃ 에서 보존하여, 사용시에 측정용 완충액으로 1μM 으로 희석한다.
(4) 리간드 표준액
메타스틴을 0.1% 소 혈청 알부민 (시그마사 제조) 을 함유하는 PBS 로 1mM 이 되도록 용해하여, -20℃ 에서 저장한다.
2. 측정법
(1) 12구멍 조직배양용 플레이트에서 배양한 메타스틴 수용체를 발현시킨 세포를, 측정용 완충액 1㎖ 로 2회 세정한 후, 490㎕ 의 측정용 완충액을 각 구멍에 첨가한다.
(2) 10-3∼10-10M 의 시험화합물 용액을 5㎕ 첨가한 후, 표지한 메타스틴을 5㎕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킨다. 비특이적 결합량을 알기 위해서는 시험화합물 대신에 10-3M 의 리간드를 5㎕ 첨가하여 둔다.
(3) 반응액을 제거하여, 1㎖ 의 세정용 완충액으로 3회 세정한다. 세포에 결합된 표지 메타스틴을 0.2N NaOH-1% SDS 로 용해하여, 4㎖ 의 액체 신틸레이터 A (와코쥰야쿠 제조) 와 혼합한다.
(4) 액체 신틸레이션 카운터 (벡크만사 제조) 를 사용하여 방사활성을 측정하여, 최대 결합 백분율 (Percent Maximum Binding, PMB) 을 다음 식으로 구한다.
PMB=[(B-NSB)/(B0-NSB)]×100
PMB : Percent Maximum Binding
B : 검체를 첨가하였을 때의 값
NSB : 비특이적 결합량 (Non-specific Binding)
B0 : 최대 결합량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 또는 스크리닝용 키트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물질은, 메타스틴과 메타스틴 수용체와의 결합을 변화시키는 (결합을 저해 또는 촉진시키는) 물질로서, 구체적으로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통해 세포 자극 활성을 갖는 물질 (이른바 메타스틴 수용체 아고니스트) 또는 그 자극 활성을 갖지 않는 화합물 (이른바 메타스틴 수용체 안타고니스트) 이다.
그 물질은, 상기한 시험화합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그 염이고, 이들 화합물은 신규인 화합물이어도 되고, 공지된 화합물이어도 된다.
메타스틴 수용체 아고니스트인지, 안타고니스트인지의 구체적인 평가방법은 이하의 (1) 또는 (2) 에 따르면 된다.
(1) 상기 (i)∼(iii) 의 스크리닝 방법으로 표시되는 바인딩·어세이하여, 메타스틴과 메타스틴 수용체의 결합성을 변화시키는 (특히, 결합을 저해하는) 물질을 얻은 후, 그 물질이 상기한 메타스틴 수용체를 통한 세포 자극 활성을 갖는지 여부를 측정한다. 세포 자극 활성을 갖는 물질은 메타스틴 수용체 아고니스트이고, 그 활성을 갖지 않은 물질은 메타스틴 수용체 안타고니스트이다.
(2) (a) 시험화합물을 메타스틴 수용체를 함유하는 세포에 접촉시켜, 상기 메타스틴 수용체를 통한 세포 자극 활성을 측정한다. 세포 자극 활성을 갖는 물질은 메타스틴 수용체 아고니스트이다.
(b) 메타스틴 수용체를 활성화하는 화합물 (예를 들어, 메타스틴 등) 을 메타스틴 수용체를 함유하는 세포에 접촉시킨 경우와, 메타스틴 수용체를 활성화하는 화합물 및 시험화합물을 메타스틴 수용체를 함유하는 세포에 접촉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메타스틴 수용체를 통한 세포 자극 활성을 측정하여 비교한다. 메타스틴 수용체를 활성화하는 화합물에 의한 세포 자극 활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물질은 메타스틴 수용체 안타고니스트이다.
지표로 하는 세포 자극 활성으로는 예를 들어, 세포내 Ca2+ 유리의 촉진 활성, 세포 증식 저해 활성, 유주 저해 활성, 종양 증식 억제 활성, 혈당 상승 활성, 췌글루카곤 분비 촉진 활성이 바람직하다.
메타스틴 수용체 아고니스트로는 예를 들어, 상기한 본 발명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또는 그 염의 프로드러그 등이 사용된다.
메타스틴 수용체 아고니스트는, 메타스틴이 갖는 생리활성과 동일한 작용을 갖고 있기 때문에, 메타스틴과 동일하게 안전하고 저독성인 의약으로서 유용하다.
반대로, 메타스틴 수용체 안타고니스트는, 메타스틴이 갖는 생리활성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메타스틴의 활성을 억제하는 안전하고 저독성인 의약으로서 유용하다.
따라서, 메타스틴 수용체 아고니스트는, 예를 들어, 혈당상승제, 췌글루카곤 분비 촉진제, 뇨생성 촉진제로서 유용하다. 게다가, 메타스틴 수용체 아고니스트는, 예를 들어, 비만, 고지혈증, 2형 당뇨병, 저혈당증, 고혈압,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부종, 배뇨곤란증, 인슐린 저항성, 불안정 당뇨병, 지방위축, 인슐린 앨러지, 인슐리노마,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또는 지방 독성의 예방·치료제로서 유용하다.
또한, 메타스틴 수용체 안타고니스트는, 혈당저하제, 췌글루카곤 분비 억제제, 뇨생성 억제제로서 유용하다. 게다가, 메타스틴 수용체 안타고니스트는, 예를 들어, 당뇨병, 내당능장애, 케토시스, 아시도시스,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빈뇨, 야뇨증, 고지혈증, 성기능 장애, 피부질환, 관절증, 골감소증,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소화불량 또는 기억 학습 장애의 예방·치료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스크리닝 방법 또는 스크리닝용 키트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물질로부터 유도되는 물질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스크리닝 방법 또는 스크리닝용 키트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물질은 염을 형성하고 있어도 되고, 예를 들어,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예, 무기산, 유기산 등) 이나 염기 (예, 알칼리금속 등) 등과의 염이 사용되고, 특히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부가염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염으로는 예를 들어, 무기산 (예를 들어, 염산, 인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등) 과의 염, 또는 유기산 (예를 들어, 아세트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말산, 옥살산, 벤조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등) 과의 염 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물질을 상기 서술한 치료·예방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통상적인 수단에 따라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한 메타스틴을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과 동일하게 하여, 정제, 캡슐제, 엘릭서제, 마이크로캡슐제, 무균성 용액, 현탁액제 등으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제제는 안전하고 저독성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인간 또는 온혈동물 (예를 들어, 마우스, 래트, 토끼, 양, 돼지, 소, 말, 트리, 고양이, 개, 원숭이, 침팬지 등) 에 대하여 투여할 수 있다.
그 물질의 투여량은, 그 작용, 대상 질환, 투여 대상, 투여 루트 등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예를 들어, 메타스틴 수용체 아고니스트를 경구 투여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성인 (체중 60 ㎏ 당) 에 있어서는, 1일에 그 화합물을 약 0.1∼100㎎, 바람직하게는 약 1.0∼5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20㎎ 투여한다. 비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경우에는, 그 물질의 1회 투여량은 투여 대상, 대상 질환 등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예를 들어, 메타스틴 수용체 아고니스트를 주사제의 형태로 통상 성인 (체중 60㎏ 당) 에 투여하는 경우, 1일에 그 화합물을 약 0.01∼30㎎ 정도, 바람직하게는 약 0.1∼20㎎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1∼10㎎ 정도를 정맥 주사에 의해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동물의 경우도, 체중 60㎏ 당으로 환산한 양을 투여할 수 있다.
다음에 메타스틴 및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은, 구체적으로는,
(1) (i) 메타스틴을 발현할 수 있는 세포 또는 조직을, 시험화합물의 존재 하 및 비존재 하에서 배양한 경우에 있어서의, 각각의 메타스틴의 발현량 또는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mRNA 량을 측정하여,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스틴의 발현을 촉진 또는 억제하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2) (i) 메타스틴 수용체를 발현할 수 있는 세포 또는 조직을, 시험화합물의 존재 하 및 비존재 하에서 배양한 경우에 있어서의, 각각의 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량 또는 메타스틴를 코드하는 mRNA 량을 측정하여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을 촉진 또는 억제하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이다.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발현할 수 있는 세포 또는 조직으로서는, 인간이나 온혈동물 (예를 들어, 몰모트, 래트, 마우스, 닭, 토끼, 돼지, 양, 소, 원숭이 등) 의 세포 (예를 들어, 신경 세포, 내분비세포, 신경내분비세포, 글리아 세포, 췌장 β세포, 골수세포, 간세포, 비장세포, 메산기움 세포, 표피세포, 상피세포, 내피세포, 섬유아세포, 섬유세포, 근세포, 지방세포, 면역세포 (예, 매크로 퍼지, T세포, B세포, 내츄럴 킬러 세포, 비만세포, 호중구, 호염기구, 호산구, 단구, 수상세포), 거핵구, 활막세포, 연골세포, 골세포, 골아세포, 파골세포, 유선세포, 또는 간질세포, 또는 이들 세포의 전구세포, 줄기세포 또는 암세포 등), 또는 그것들의 세포가 존재하는 모든 조직, 예를 들어, 뇌, 뇌의 각 부위 (예, 후구(嗅球), 편도핵, 대뇌기저구, 해마, 시상, 시상하부, 대뇌피질, 연수, 소뇌), 척수, 하수체, 위, 췌장, 신장, 간장, 생식선, 갑상선, 담낭, 골수, 부신, 피부, 근육, 폐, 소화관 (예, 대장, 소장), 혈관, 심장, 흉선, 췌장, 타액선, 말초혈, 전립선, 고환 (정소), 난소, 태반, 자궁, 뼈, 연골, 관절, 골격근 등을 사용해도 된다. 그 때, 주화세포, 초대배양계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한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형질변환체를 사용해도 된다.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발현할 수 있는 세포의 배양방법은, 상기한 형질변환체의 배양법과 동일하다.
시험화합물로는 상기 시험화합물 외에, DNA 라이브러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량은 항체 등을 사용하여 면역화학적 방법 등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도 있고,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mRNA를 노던 하이브리다이제이션법, RT-PCR 이나 TaqMan PCR 법을 사용하여, 공지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도 있다.
mRNA 의 발현량의 비교를 하이브리다이제이션법에 의해서 실행하기 위해서는, 공지된 방법 또는 그것에 준하는 방법, 예를 들어, 몰레큘러·클로닝 (Molecular Cloning) 2nd (J. Sambrook et al., ColdSpring Harbor Lab. Press, 1989) 에 기재된 방법 등에 따라서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mRNA 의 양의 측정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 세포로부터 추출한 RNA 와,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또는 그 일부 또는 본 발명의 안티센스·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접촉시켜,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또는 그 일부 또는 본 발명의 안티센스·폴리뉴클레오티드와 결합한 mRNA 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행하여진다.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또는 그 일부 또는 본 발명의 안티센스·폴리뉴클레오티드를, 예를 들어 방사성 동위원소, 색소 등으로 표지함으로써,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또는 그 일부 또는 본 발명의 안티센스·폴리뉴클레오티드에 결합한 mRNA 의 양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방사성 동위원소로는 예를 들어 32P, 3H 등이 사용되고, 색소로는 예를 들어 fluorescein, FAM (PE Biosystems 사 제조), JOE (PE Biosystems 사 제조), TAMRA (PE Biosystems 사 제조), ROX (PE Biosystems 사 제조), Cy5 (Amersham 사 제조), Cy3 (Amersham 사 제조) 등의 형광색소가 사용된다.
또한, mRNA 의 양은, 세포로부터 추출한 RNA 를 역전사효소에 의해 cDNA로 변환한 후,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또는 그 일부 또는 본 발명의 안티센스·폴리뉴클레오티드를 프라이머로 사용하는 PCR 에 의해, 증폭되는 cDNA 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mRNA 의 양을 증가시키는 시험화합물을,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을 촉진하는 활성을 갖는 물질로서 선택할 수 있고, 또한,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mRNA 의 양을 감소시키는 시험화합물을,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을 억제하는 활성을 갖는 물질로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ii)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유전자의 프로모터 영역 또는 엔헨서 영역의 하류에 리포터 유전자를 연결한 재조합 DNA 로 형질전환한 형질전환체를 시험화합물의 존재 하 및 비존재 하에서 배양한 경우에 있어서의, 각각의 리포터 활성을 측정하고,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해 프로모터 활성을 촉진 또는 억제하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리포터 유전자로는 예를 들어, lacZ (β-갈락토시다아제 유전자), 클로람페니콜아세틸트랜스페라아제 (CAT), 루시페라아제, 성장인자, β-글루크로니다아제, 알칼리포스파다아제, 녹색 형광 단백질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 β-락타마아제 등이 사용된다.
리포터 유전자 산물 (예, mRNA, 단백질) 의 양을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함으로써, 리포터 유전자 산물의 양을 증가시키는 시험화합물을 본 발명의 펩티드의 프로모터 또는 엔헨서의 활성을 제어 (특히 촉진) 하는 작용을 갖는 화합물, 즉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을 촉진하는 활성을 갖는 물질로서 선택할 수 있다. 반대로, 리포터 유전자 산물의 양을 감소시키는 시험화합물을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프로모터 또는 엔헨서의 활성을 제어 (특히 억제) 하는 작용을 갖는 물질, 즉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을 억제하는 활성을 갖는 물질로서 선택할 수 있다.
시험화합물로서는 상기와 같은 것이 사용된다.
형질전환체의 배양은 상기 형질전환체와 동일하게 하여 실행할 수 있다.
리포터 유전자의 벡터 구축이나 분석법은 공지된 기술에 따를 수 있다 (예를 들어, Molecular Biotechnology 13, 29-43, 1999).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을 촉진하는 활성을 갖는 물질은, 메타스틴이 갖는 생리활성을 촉진하는 작용을 갖고 있기 때문에, 메타스틴과 동일하게 안전하고 저독성인 의약으로서 유용하다.
반대로,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을 억제하는 활성을 갖는 물질은, 메타스틴이 갖는 생리활성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메타스틴의 활성을 억제하는 안전하고 저독성인 의약으로서 유용하다.
따라서,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을 촉진하는 물질은, 예를 들어, 혈당상승제, 췌글루카곤 분비 촉진제, 뇨생성 촉진제로서 유용하다. 게다가,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을 촉진하는 물질은, 예를 들어, 비만, 고지혈증, 2형 당뇨병, 저혈당증, 고혈압,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부종, 배뇨곤란증, 인슐린 저항성, 불안정 당뇨병, 지방위축, 인슐린 앨러지, 인슐리노마,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또는 지방 독성의 예방·치료제로서 유용하다.
또한,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은, 혈당저하제, 췌글루카곤 분비 억제제, 뇨생성 억제제로서 유용하다. 게다가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은, 예를 들어, 당뇨병, 내당능장애, 케토시스, 아시도시스,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빈뇨, 야뇨증, 고지혈증, 성기능 장애, 피부질환, 관절증, 골감소증,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소화불량 또는 기억 학습 장애의 예방·치료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물질은, 예를 들어, 펩티드, 단백, 비펩티드성 화합물, 합성 화합물, 발효생산물, 세포추출액, 식물추출액, 동물 조직추출액, 혈장 등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이다. 그 화합물의 염으로는, 상기한 메타스틴의 염과 동일한 것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의 스크리닝 방법 또는 스크리닝용 키트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물질로부터 유도되는 물질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물질을 상기 서술한 치료·예방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통상적인 수단에 따라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한 메타스틴을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과 동일하게 하여, 정제, 캡슐제, 엘릭서제, 마이크로캡슐제, 무균성 용액, 현탁액제 등으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제제는 안전하고 저독성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인간 또는 온혈동물 (예를 들어, 마우스, 래트, 토끼, 양, 돼지, 소, 말, 닭, 고양이, 개, 원숭이, 침팬지 등) 에 대하여 투여할 수 있다.
그 물질의 투여량은, 그 작용, 대상 질환, 투여 대상, 투여 루트 등에 따라 차이는 있는데, 예를 들어, 메타스틴의 발현을 촉진하는 물질을 경구 투여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성인 (체중 60㎏ 당) 에 있어서는, 1일에 그 물질을 약 0.1∼100㎎, 바람직하게는 약 1.0∼5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20㎎ 투여한다. 비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경우에는, 그 화합물의 1회 투여량은 투여 대상, 대상 질환 등에 따라 다르기도 하고, 예를 들어, 메타스틴의 발현을 촉진하는 물질을 주사제의 형태로 통상 성인 (체중 60㎏ 당) 에 투여하는 경우, 1일에 그 물질을 약 0.01∼30㎎정도, 바람직하게는 약 0.1∼20㎎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1∼10㎎ 정도를 정맥 주사에 의해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동물의 경우도, 체중 60㎏ 당으로 환산한 양을 투여할 수 있다.
(7) DNA 전이동물
본 발명은, 외래성의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이하, 본 발명의 외래성 DNA 라 약기한다) 또는 그 변이 DNA (본 발명의 외래성 변이 DNA 라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를 갖는 비인간 포유동물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i) 본 발명의 외래성 DNA 또는 그 변이 DNA 를 갖는 비인간 포유동물,
(ii) 비인간 포유동물이 설치동물인 제 (i) 기재의 동물,
(iii) 설치동물이 마우스 또는 래트인 제 (ii) 기재의 동물,
및
(iv) 본 발명의 외래성 DNA 또는 그 변이 DNA 를 함유하고, 포유동물에 있어서 발현할 수 있는 재조합 벡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외래성 DNA 또는 그 변이 DNA 를 갖는 비인간 포유동물 (이하, 본 발명의 DNA 전이동물이라 약기한다) 은, 미수정란, 수정란, 정자 및 그 시원세포를 포함하는 배아세포 등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비인간 포유동물의 발생에 있어서의 배아 발생의 단계 (더욱 바람직하게는, 단세포 또는 수정란 세포의 단계에서 또한 일반적으로 8세포기 이전) 에, 인산칼슘법, 전기펄스법, 리포펙션법, 응집법, 마이크로인젝션법, 파티클건법, DEAE-덱스트란법 등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DNA 를 전이함으로써 작출할 수 있다. 또한, 그 DNA 전이 방법에 의해, 체세포, 생체의 장기, 조직세포 등에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의 외래성 DNA 를 전이하여, 세포배양, 조직배양 등에 이용할 수도 있고, 또한, 이들 세포를 상기 서술한 배아세포와 자체 공지된 세포융합법에 의해 융합시키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DNA 전이동물을 작출할 수도 있다.
비인간 포유동물로는 예를 들어, 소, 돼지, 양, 염소, 토끼, 개, 고양이, 몰모트, 햄스터, 마우스, 래트 등이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병체동물 모델계의 작성 면에서 개체발생 및 생물 사이클이 비교적 짧고, 또한, 번식이 용이한 설치동물, 특히 마우스 (예를 들어, 순계로서, C57BL/6 계통, DBA2 계통 등, 교잡계로서, B6C3FI 계통, BDFI 계통, B6D2FI 계통, BALB/c 계통, ICR 계통 등) 또는 래트 (예를 들어, Wistar, SD 등) 등이 바람직하다.
포유동물에 있어서 발현할 수 있는 재조합 벡터에 있어서의 「포유동물」 로는, 상기의 비인간 포유동물 외에 인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외래성 DNA란 비인간 포유동물이 원래 갖고 있는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 (이하, 본 발명의 DNA 라 약기한다) 가 아니라, 일단 포유동물로부터 단리·추출된 본 발명의 DNA 를 말한다.
본 발명의 변이 DNA 로는, 원래의 본 발명의 DNA 의 염기 서열에 변이 (예를 들어, 돌연 변이 등) 가 생긴 것, 구체적으로는, 염기의 부가, 결손, 다른 염기로의 치환 등이 생긴 DNA 등이 사용되고, 또한, 이상한 DNA 도 포함된다.
그 이상 DNA 로는 이상한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발현시키는 DNA 를 의미하여, 예를 들어, 정상인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기능을 억제하는 펩티드를 발현시키는 DNA 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외래성 DNA 는, 대상으로 하는 동물과 동종 또는 이종의 어느 포유동물 유래인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DNA 를 대상동물에게 전이시키는 데 있어서는, 그 DNA 를 동물세포로 발현시킬 수 있는 프로모터의 하류에 결합된 DNA 컨스트럭트로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유리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인간 DNA 를 전이시키는 경우, 이것과 상동성이 높은 본 발명의 DNA 를 갖는 각종 포유동물 (예를 들어, 토끼, 개, 고양이, 몰모트, 햄스터, 래트, 마우스 등) 유래의 DNA 를 발현시킬 수 있는 각종 프로모터의 하류에, 본 발명의 인간 DNA 를 결합한 DNA 컨스트럭트 (예, 벡터 등) 를 대상 포유동물의 수정란, 예를 들어, 마우스 수정란에 마이크로 인젝션함으로써 본 발명의 DNA 를 고발현하는 DNA 전이 포유동물를 작출할 수 있다.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벡터로서는, 대장균 유래의 플라스미드, 고초균 유래의 플라스미드, 효모 유래의 플라스미드, λ 퍼지 등의 박테리오 퍼지, 몰로니 백혈병 바이러스 등의 레트로 바이러스, 백시니아 바이러스 또는 버큐로 바이러스 등의 동물 바이러스 등이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대장균 유래의 플라스미드, 고초균 유래의 플라스미드 또는 효모 유래의 플라스미드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의 DNA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로는 예를 들어, 바이러스 (예, 시미안 바이러스, 사이토메갈로 바이러스, 몰로니 백혈병 바이러스, JC 바이러스, 유방암 바이러스, 폴리오바이러스 등) 에 유래되는 DNA 의 프로모터, 각종 포유동물 (인간, 토끼, 개, 고양이, 몰모트, 햄스터, 래트, 마우스 등) 유래의 프로모터, 예를 들어, 알부민, 인슐린 II, 유로플라킨 II, 에라스타아제, 에리스로포에틴, 엔드세린, 근 크레아틴키나아제, 글리아 섬유성 산성단백질, 글루타티온 S-트랜스페라아제,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β, 케라틴 Kl, K10, 및 K14, 콜라겐 I 형 및 II 형, 사이클릭 AMP 의존 단백질 키나아제 βI 서브 유닛, 디스트로핀, 타르타르산 저항성 알칼리 포스파타아제, 심방 나트륨 이뇨성 인자, 내피리셉터 티로신키나아제 (일반적으로 Tie2 라 약기한다), 나트륨칼륨아데노신3인산화효소 (Na, K-ATPase), 뉴로필라멘트 경쇄, 메탈로티오네인 I 및 IIA, 메탈로프로티나아제 1 조직 인히비터, MHC 클래스 I 항원 (H-2L), H-ras, 레닌, 도파민β-수산화효소, 갑상선 퍼옥시다아제 (TPO), 펩티드 사슬 연장 인자1α (EF-1α), β액틴, α 및 β 미오신 중쇄, 미오신 경쇄 1 및2, 미에린 기초 단백질, 티로글로불린, Thy-1, 면역 글로불린, H쇄 가변부 (VNP), 혈청 아밀로이드 P 컴포넌트, 미오글로빈, 트로포닌 C, 평활근 α 액틴, 프리프로엔케파린A, 바소프레신 등의 프로모터 등이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전신에서 고발현할 수 있는 사이토메갈로 바이러스 프로모터, 인간 펩티드 사슬 연장 인자 1α (EF-1α) 의 프로모터, 인간 및 닭 β 액틴 프로모터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벡터는, DNA 전이포유동물에 있어서 목적으로 하는 메신저 RNA 의 전사를 종결하는 서열 (일반적으로 터미네이터라고 불린다) 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바이러스 유래 및 각종 포유동물 유래의 각 DNA 의 서열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시미안 바이러스의 SV40 터미네이터 등이 사용된다.
그 외에 목적으로 하는 외래성 DNA 를 더욱 고발현시킬 목적으로 각 DNA 의 스플라이싱 시그널, 엔헨서 영역, 진핵 DNA 의 인트론의 일부 등을 프로모터 영역의 5' 상류, 프로모터 영역과 번역 영역 사이 또는 번역 영역의 3' 하류에 연결하는 것도 목적에 따라 가능하다.
정상인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번역 영역은, 인간 또는 각종 포유동물 (예를 들어, 토끼, 개, 고양이, 몰모트, 햄스터, 래트, 마우스 등) 유래의 간장, 신장, 갑상선 세포, 선유아세포 유래 DNA 및 시판되는 각종 게놈 DNA 라이브러리로부터 게놈 DNA 의 전부 또는 일부로서, 또는 간장, 신장, 갑상선세포, 선유아세포 유래 RNA 로부터 공지된 방법에 의해 조제된 상보 DNA 를 원료로서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외래성의 이상 DNA 는, 상기의 세포 또는 조직으로부터 얻어진 정상인 펩티드의 번역 영역을 점돌연변이 유발법에 의해 변이된 번역 영역을 제작할 수 있다.
그 번역 영역은 전이동물에 있어서 발현할 수 있는 DNA 컨스트럭트로서, 상기의 프로모터의 하류 및 필요에 따라 전사종결부위의 상류에 연결시키는 통상의 DNA 공학적 수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수정란 세포 단계에서의 본 발명의 외래성 DNA 의 전이는, 대상 포유동물의 배아세포 및 체세포의 전부에 존재하도록 확보된다. DNA 전이 후의 작출동물의 배아세포에 있어서, 본 발명의 외래성 DNA 가 존재하는 것은, 작출동물의 후대가 전부, 그 배아세포 및 체세포의 전부에 본 발명의 외래성 DNA 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외래성 DNA 를 계승한 이 종류의 동물의 자손은 그 배아세포 및 체세포의 전부에 본 발명의 외래성 DNA 를 갖는다.
본 발명의 외래성 정상 DNA 를 전이시킨 비인간 포유동물은, 교배에 의해 외래성 DNA 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여, 그 DNA 보유동물로서 통상의 사육환경에서 계대 사육할 수 있다.
수정란 세포 단계에서의 본 발명의 외래성 DNA 의 전이는, 대상 포유동물의 배아세포 및 체세포의 전부에 과잉으로 존재하도록 확보된다. DNA 전이 후의 작출동물의 배아세포에 있어서 본 발명의 외래성 DNA 가 과잉으로 존재하는 것은, 작출동물의 자손이 전부 그 배아세포 및 체세포의 전부에 본 발명의 외래성 DNA 를 과잉으로 갖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외래성 DNA 를 계승한 이와 같은 종류의 동물의 자손은 그 배아세포 및 체세포의 전부에 본 발명의 외래성 DNA 를 과잉으로 갖는다.
도입 DNA 를 상동 염색체의 양쪽에 갖는 호모자이고트 동물을 취득하고, 이 암수의 동물을 교배함으로써 모든 자손이 그 DNA 를 과잉으로 갖도록 번식 계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상 DNA 를 갖는 비인간 포유동물은, 본 발명의 정상 DNA 가 고발현되어 있고, 내재성의 정상 DNA 의 기능을 촉진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기능항진증을 발증하는 경우가 있어, 그 병태 모델 동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정상 DNA 전이동물을 사용하여,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기능항진증이나,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가 관련되는 질환의 병태 기전의 해명 및 이들 질환의 치료방법을 검토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외래성 정상 DNA 를 전이시킨 포유동물은, 유리한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증가 증상을 갖는 점에서,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에 관련되는 질환에 대한 치료약의 스크리닝 시험에도 이용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외래성 이상 DNA 를 갖는 비인간 포유동물은, 교배에 의해 외래성 DNA 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여 그 DNA 보유동물로서 통상의 사육환경에서 계대 사육할 수 있다. 또한, 목적으로 하는 외래 DNA 를 전술한 플라스미드에 삽입하여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프로모터와의 DNA 컨스트럭트는, 통상의 DNA 공학적 수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수정란 세포단계에서의 본 발명의 이상 DNA 의 전이는, 대상 포유동물의 배아세포 및 체세포의 전부에 존재하도록 확보된다. DNA 전이 후의 작출동물의 배아세포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이상 DNA 가 존재하는 것은, 작출동물의 자손이 전부 그 배아세포 및 체세포의 전부에 본 발명의 이상 DNA 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외래성 DNA 를 계승한 이와 같은 종류의 동물의 자손은, 그 배아세포 및 체세포의 전부에 본 발명의 이상 DNA 를 갖는다. 도입 DNA 를 상동염색체의 양쪽에 갖는 호모자이고트 동물을 취득하여, 이 암수의 동물을 교배함으로써 모든 자손이 그 DNA 를 갖도록 번식 계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상 DNA 를 갖는 비인간 포유동물은, 본 발명의 이상 DNA 가 고발현되어 있고, 내재성의 정상 DNA 의 기능을 저해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기능 불활성형 불응증으로 되는 경우가 있어, 그 병태 모델 동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이상 DNA 전이동물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펩티드의 기능 불활성형 불응증의 병태 기전의 해명 및 이 질환의 치료방법을 검토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인 이용가능성으로는, 본 발명의 이상 DNA 고발현 동물은, 아오에린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기능 불활성형 불응증에 있어서의 이상 메타스틴 또는 이상 메타스틴 수용체에 의한 정상 메타스틴 또는 정상 메타스틴 수용체의 기능저해 (dominant negative 작용) 를 해명하는 모델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외래 이상 DNA 를 전이시킨 포유동물은, 유리된 본 발명의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증가 증상을 갖는 점에서,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기능 불활성형 불응증 (예, 비만, 고지혈증, 2형 당뇨병, 저혈당증, 고혈압,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부종, 배뇨곤란증, 인슐린 저항성, 불안정 당뇨병, 지방위축, 인슐린 앨러지, 인슐리노마,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또는 지방 독성) 에 대한 치료약 스크리닝 시험에도 이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2 종류의 본 발명의 DNA 전이 동물의 그 밖의 이용가능성으로서, 예를 들어
(1) 조직배양을 위한 세포원으로서의 용도,
(2) 본 발명의 DNA 전이동물의 조직 중의 DNA 또는 RNA 를 직접분석하거나, 또는 DNA 에 의해 발현된 펩티드 조직을 분석하는 것에 의한,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에 의해 특이적으로 발현 또는 활성화하는 펩티드와의 관련성에 관한 해석,
(3) DNA 를 갖는 조직의 세포를 표준 조직 배양 기술에 의해 배양하고, 이것들을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배양 곤란한 조직으로부터의 세포 기능의 연구,
(4) 상기 (1) 기재의 세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한 세포의 기능을 높이는 약제의 스크리닝, 및
(5) 본 발명의 변이 펩티드를 단리 정제 및 그 항체 제작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DNA 전이동물을 사용하여,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기능 불활성형 불응증 등을 포함하는,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에 관련되는 질환의 임상증상을 조사할 수 있고, 또한,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에 관련되는 질환 모델의 각 장기에 있어서의 보다 상세한 병리학적 소견을 얻을 수 있어, 새로운 치료방법의 개발, 나아가서는 그 질환에 의한 2차적 질환의 연구 및 치료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DNA 전이동물로부터 각 장기를 꺼내, 가늘게 자른 후, 트립신 등의 단백질 분해 효소에 의해, 유리된 DNA 전이세포의 취득, 그 배양 또는 그 배양세포의 계통화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생성세포의 특정화, 아포토시스, 분획 또는 증식과의 관련성, 또는 그것들에 있어서의 시그널 전달 기구를 조사하고, 이들의 이상을 조사할 수 있어,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 및 그 작용 해명을 위한 유효한 연구재료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의 DNA 전이동물을 사용하여,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기능 불활성형 불응증를 포함하는,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에 관련되는 질환의 치료약을 개발하기 위해, 상기 서술한 검사법 및 정량법 등을 사용하여, 유효하고 신속한 그 질환치료약의 스크리닝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DNA 전이동물 또는 본 발명의 외래성 DNA 발현 벡터를 사용하여,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가 관련되는 질환의 DNA 치료법을 검토, 개발할 수 있다.
(8) 넉-아웃 동물
본 발명은,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이하, 본 발명의 DNA 라 약기한다) 가 불활성화된 비인간 포유동물 배아세포 및 본 발명의 DNA 발현 부전 비인간 포유동물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i) 본 발명의 DNA 가 불활성화된 비인간 포유동물 배간세포,
(ii) 그 DNA 가 리포터 유전자 (예, 대장균 유래의 β-갈락토시다아제 유전자) 를 도입함으로써 불활성화된 제 (i) 항에 기재된 배간세포,
(iii) 네오마이신 내성인 제 (i) 항에 기재된 배간세포,
(iv) 비인간 포유동물이 설치동물인 제 (i) 항에 기재된 배간세포,
(v) 설치동물이 마우스인 제 (iv) 항에 기재된 배간세포,
(vi) 본 발명의 DNA 가 불활성화된 그 DNA 발현 부전 비인간 포유동물,
(vii) 그 DNA 가 리포터 유전자 (예, 대장균 유래의 β-갈락토시다아제 유전자) 를 도입함으로써 불활성화되어, 그 리포터 유전자가 본 발명의 DNA 에 대한 프로모터의 제어 하에서 발현할 수 있는 제 (vi) 항에 기재된 비인간 포유동물,
(viii) 비인간 포유동물이 설치동물인 제 (vi) 항에 기재된 비인간 포유동물,
(ix) 설치동물이 마우스인 제 (viii) 항에 기재된 비인간 포유동물,
및
(x) 제 (vii) 항에 기재된 동물에게, 시험화합물을 투여하여, 리포터 유전자의 발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DNA 에 대한 프로모터 활성을 촉진 또는 저해하는 화합물 또는 그 염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DNA 가 불활성화된 비인간 포유동물 배간세포란, 그 비인간 포유동물이 갖는 본 발명의 DNA 에 인위적으로 변이를 가함으로써, DNA 의 발현능을 억제하거나, 또는 그 DNA 가 코드하고 있는 본 발명의 펩티드의 활성을 실질적으로 상실시킴으로써, DNA 가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펩티드의 발현능을 갖지 않는 (이하, 본 발명의 넉-아웃 DNA 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비인간 포유동물의 배간세포 (이하, ES 세포라 약기한다) 를 말한다.
비인간 포유동물로서는 상기와 동일한 것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DNA 에 인위적으로 변이를 가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유전자 공학적 수법에 의해 그 DNA 서열의 일부 또는 전부의 삭제, 다른 DNA 를 삽입 또는 치환시킴으로써 실행할 수 있다. 이들의 변이에 의해, 예를 들어, 코돈의 외래 전사해독프레임을 어긋나게 하거나, 프로모터 또는 엑손의 기능을 파괴함으로써 본 발명의 넉-아웃 DNA 를 제작하면 된다.
본 발명의 DNA 가 불활성화된 비인간 포유동물 배간세포 (이하, 본 발명의 DNA 불활성화 ES 세포 또는 본 발명의 넉-아웃 ES 세포라 약기한다) 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목적으로 하는 비인간 포유동물이 갖는 본 발명의 DNA 를 단리하고, 그 엑손 부분에 네오마이신 내성 유전자, 하이글로마이신 내성 유전자를 대표로 하는 약제 내성 유전자, 혹은 lacZ (β-갈락토시다아제 유전자), cat (클로람페니콜아세틸프랜스페라아제 유전자) 를 대표로 하는 리포터 유전자 등을 삽입함으로써 엑손의 기능을 파괴하거나, 또는 엑손간의 인트론 부분에 유전자의 전사를 종결시키는 DNA 서열 (예를 들어, 폴리A 부가 시그널 등) 을 삽입하여, 완전한 메신저 RNA 를 합성할 수 없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유전자를 파괴하도록 구축한 DNA 서열을 갖는 DNA 쇄 (이하, 타겟팅 벡터라 약기한다) 를, 예를 들어 상동 재조합법에 의해 그 동물의 염색체에 도입하고, 얻어진 ES 세포에 관해서 본 발명의 DNA 상 또는 그 근방의 DNA 서열을 프로브로 한 서던 하이브리다이제이션 해석 또는 타겟팅 벡터 상의 DNA 서열과 타겟팅 벡터 제작에 사용한 본 발명의 DNA 이외의 근방 영역의 DNA 서열을 프라이머로 한 PCR 법에 의해 해석하고, 본 발명의 넉-아웃 ES 세포를 선별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상동 재조합법 등에 의해 본 발명의 DNA 를 불활화시키는 원래의 ES 세포로는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은 이미 수립된 것을 사용하여도 되고, 또한 공지된 Evans 와 Kaufma 의 방법에 준하여 새롭게 수립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마우스의 ES 세포의 경우, 현재, 일반적으로는 129계의 ES 세포가 사용되고 있지만, 면역학적 배경이 확실하지 않기 때문에, 이것에 대신하는 순계에서 면역학적으로 유전적 배경이 분명한 ES 세포를 취득하는 등의 목적으로 예를 들어, C57BL/6 마우스나 C57BL/6 의 채란수의 적음을 DBA/2 와의 교잡에 의해 개선한 BDF1 마우스 (C57BL/6 과 DBA/2 와의 F1) 를 사용하여 수립한 것 등도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 BDF1 마우스는, 채란수가 많고, 또한, 알이 건강하다는 이점에 더하여, C57BL/6 마우스를 배경에 갖기 때문에, 이것을 사용하여 얻어진 ES 세포는 병태 모델 마우스를 작출했을 때, C57BL/6 마우스와 백크로스함으로써 그 유전적 배경을 C57BL/6 마우스로 대체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ES 세포를 수립하는 경우, 일반적으로는 수정후 3.5일째의 배아세포를 사용하는데, 이 이외에 8 세포기 배를 채란하여 배반포까지 배양하여 사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다수의 초기 배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암수 어느 ES 세포를 사용해도 되지만, 통상 수컷의 ES 세포 쪽이 생식계열 키메라를 작출하는 데에 적합하다다. 또한, 번잡한 배양의 시간을 삭감하기 위해서도 가능한 한 일찍 암수을 판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S 세포의 암수의 판정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PCR 법에 의해 Y 염색체 상의 성 결정 영역의 유전자를 증폭, 검출하는 방법을 그 일례로 들 수 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종래, 핵형 분석을 하는 데 약 106 개의 세포수를 필요로 하였던 것에 대하여, 1 콜로니 정도의 ES 세포수 (약 50개) 로 끝나기 때문에, 배양초기에서의 ES 세포의 제1차 셀렉션을 암수의 판별로 실시할 수 있어, 조기에 수컷 세포의 선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배양초기의 시간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또, 제2차 셀력션으로는 예를 들어, G-분염 (G-banding) 법에 의한 염색체수의 확인 등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얻어지는 ES 세포의 염색체수는 정상수의 100% 가 바람직하지만, 수립시의 물리적 조작 등의 관계상 곤란한 경우에는, ES 세포의 유전자를 넉-아웃한 후, 정상세포 (예를 들어, 마우스로서는 염색체수가 2n=40인 세포) 에 다시 클로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배간세포주는, 통상 그 증식성은 매우 좋지만, 개체 발생할 수 있는 능력을 잃기 쉽기 때문에, 주의깊게 계대 배양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STO 섬유아세포와 같은 적당한 피더세포 상에서 LIF (1∼10000U/㎖) 존재 하에 탄산 가스 배양기 내 (바람직하게는, 5% 탄산 가스, 95% 공기 또는 5% 산소, 5% 탄산 가스, 90% 공기) 에서 약 37℃ 에서 배양하는 등의 방법으로 배양하고, 계대시에는, 예를 들어, 트립신/EDTA 용액 (통상 0.00 1∼0.5% 트립신/0.1∼5mM EDTA, 바람직하게는 약 0.1% 트립신/1mM EDTA) 처리에 의해 단세포화하여, 새로 준비한 피더세포 상에 파종하는 방법 등이 취해진다. 이와 같은 계대는, 통상 1∼3일마다 실행하는데, 이 때에 세포를 관찰하여, 형태적으로 이상한 세포가 보인 경우에는 그 배양세포는 포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S 세포는, 적당한 조건에 의해, 고밀도에 도달할 때까지 단층배양하거나, 또는 세포집괴를 형성할 때까지 부유배양함으로써, 두정근, 내장근, 심근 등의 여러 가지의 타입의 세포로 분획시킬 수 있고 〔M. J. Evans 및 M. H. Kaufman, 네이쳐 (Nature) 제292권, 154페이지, 1981년; G. R. Martin 프로시딩즈·오브·내셔널. 아카데미·오브·사이언스·유에스에이 (Proc. Natl. Acad. Sci.U.S.A.) 제78권, 7634페이지, 1981년; T. C. Doetschman 등, 저널·오브·엔브리올로지·앤드·익스페리멘탈·몰포로지, 제87권, 27페이지, 1985년〕, 본 발명의 ES 세포를 분획시켜 얻어지는 본 발명의 DNA 발현 부전 세포는, 인비트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본 발명의 리셉터 단백질의 세포생물학적 검토에 있어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DNA 발현 부전 비인간 포유동물은, 그 동물의 mRNA량을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간접적으로 그 발현량을 비교함으로써, 정상동물과 구별할 수 있다.
그 비인간 포유동물로는 상기와 동일한 것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DNA 발현 부전 비인간 포유동물은,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하여 제작한 타겟팅 벡터를 마우스 배간세포 또는 마우스 난세포에 도입하여, 도입에 의해 타켓팅 벡터의 본 발명의 DNA 가 불활성화된 DNA 서열이 유전자 상동 재조합에 의해, 마우스 배간세포 또는 마우스 난세포의 염색체 상의 본 발명의 DNA 로 교체되는 상동 재조합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DNA 를 넉-아웃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DNA 가 넉-아웃된 세포는, 본 발명의 DNA 상 또는 그 근방의 DNA 서열을 프로브로 한 서던 하이브리다이제이션 해석 또는 타겟팅 벡터 상의 DNA 서열과, 타겟팅 벡터에 사용한 마우스 유래의 본 발명의 DNA 이외의 근방 영역의 DNA 서열을 프라이머로 한 PCR 법에 의한 해석으로 판정할 수 있다. 비인간 포유동물 배간세포를 사용한 경우에는, 유전자 상동 재조합에 의해, 본 발명의 DNA 가 불활성화된 세포주를 클로닝하여, 그 세포를 적당한 시기, 예를 들어, 8세포기의 비인간 포유동물 배(胚) 또는 배반포에 주입하여, 제작한 키메라 배를 가임신시킨 그 비인간 포유동물의 자궁에 이식한다. 작출된 동물은 정상인 본 발명의 DNA 자리를 갖는 세포와 인위적으로 변이한 본 발명의 DNA 자리를 갖는 세포의 양자로 구성되는 키메라 동물이다.
그 키메라 동물의 생식세포의 일부가 변이된 본 발명의 DNA 자리를 갖는 경우, 이러한 키메라 개체와 정상 개체를 교배함으로써 얻어진 개체군으로부터, 모든 조직이 인위적으로 변이를 가한 본 발명의 DNA 자리를 갖는 세포로 구성된 개체를, 예를 들어, 코트컬러의 판정 등에 의해 선별함으로써 얻어진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개체는, 통상, 본 발명의 펩티드의 헤테로 발현 부전 개체로서, 본 발명의 펩티드의 헤테로 발현 부전 개체끼리를 교배하여, 이들의 산자 (産仔) 로부터 본 발명의 펩티드의 호모 발현 부전 개체를 얻을 수 있다.
난세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난세포핵 내에 마이크로인젝션법으로 DNA 용액을 주입함으로써 타겟팅 벡터를 염색체 내에 도입한 트랜스제닉비인간 포유동물을 얻을 수 있고, 이들의 트랜스제닉 비인간 포유동물에 비하여, 유전자 상동 재조합에 의해 본 발명의 DNA 자리에 변이가 있는 것을 선택함으로써 얻어진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의 DNA 가 넉-아웃되어 있는 개체는, 교배에 의해 얻어진 동물 개체도 그 DNA 가 넉-아웃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여 통상의 사육환경에서 사육 계대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생식계열의 취득 및 유지에 관해서도 통상적인 방법에 따르면 된다. 즉, 그 불활화 DNA 가 보유하는 암수의 동물을 교배함으로써, 그 불활화 DNA 를 상동염색체의 양쪽에 갖는 호모자이고트 동물을 취득할 수 있다. 얻어진 호모자이고트 동물은, 모친 동물에 대하여, 정상개체 1, 호모자이고트 복수가 되는 상태로 사육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헤테로자이고트 동물의 암수을 교배함으로써, 그 불활화 DNA 를 갖는 호모자이고트 및 헤테로자이고트 동물을 번식 계대한다.
본 발명의 DNA 가 불활성화된 비인간 포유동물 배간세포는, 본 발명의 DNA 발현 부전 비인간 포유동물을 작출하는 데에 매우 유용하다.
또, 본 발명의 DNA 발현 부전 비인간 포유동물은, 본 발명의 펩티드에 의해 유도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생물 활성을 결실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펩티드의 생물 활성의 불활성화를 원인으로 하는 질병의 모델이 될 수 있으므로, 이들 질병의 원인 구명 및 치료법의 검토에 유용하다.
(8a) 본 발명의 DNA 의 결손이나 손상 등에 기인하는 질병에 대하여 치료·예방 효과를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본 발명의 DNA 발현 부전 비인간 포유동물은, 본 발명의 DNA 의 결손이나 손상 등에 기인하는 질병 (예, 비만, 고지혈증, 2형 당뇨병, 저혈당증, 고혈압,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부종, 배뇨곤란증, 인슐린 저항성, 불안정 당뇨병, 지방위축, 인슐린 앨러지, 인슐리노마,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또는 지방 독성) 에 대하여 치료·예방 효과를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에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본 발명의 DNA 발현 부전 비인간 포유동물에 시험화합물을 투여하여, 그 동물의 변화를 관찰·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DNA 의 결손이나 손상 등에 기인하는 질병에 대하여 치료·예방 효과를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그 스크리닝 방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본 발명의 DNA 발현 부전 비인간 포유동물로는 상기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시험화합물로서는 상기와 동일한 것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DNA 발현 부전 비인간 포유동물을, 시험화합물로 처리하고, 무처리의 대조동물과 비교하여, 그 동물의 각 기관, 조직, 질병의 증상 등의 변화를 지표로 하여 시험화합물의 치료·예방 효과를 시험할 수 있다.
시험동물을 시험화합물로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경구 투여, 정맥 주사 등이 사용되고, 시험동물의 증상, 시험화합물의 성질 등을 맞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시험화합물의 투여량은, 투여 방법, 시험화합물의 성질 등에 맞춰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그 스크리닝 방법에 있어서, 시험동물에게 시험화합물을 투여한 경우, 그시험동물의 질환증상이 약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3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 이상 개선된 경우, 그 시험화합물을 상기의 질환에 대하여 치료·예방 효과를 갖는 물질로서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 시험화합물을 예를 들어, 혈당상승제, 췌글루카곤 분비 촉진제, 뇨생성 촉진제로서, 나아가서는, 예를 들어, 비만, 고지혈증, 2형 당뇨병, 저혈당증, 고혈압,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부종, 배뇨곤란증, 인슐린 저항성, 불안정 당뇨병, 지방위축, 인슐린 앨러지, 인슐리노마,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또는 지방 독성의 예방·치료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기타, 그 시험화합물은, 혈당상승기능, 췌글루카곤 분비 기능, 뇨생성 기능을 조사하기 위한 검사약으로서도 응용할 수 있다.
그 스크리닝 방법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물질은, 상기한 시험화합물에서 선택된 물질로서,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결손이나 손상 등에 의해서 일어나는 질환에 대하여 치료·예방 효과를 갖기 때문에, 그 질환에 대한 안전하고 저독성인 치료·예방제 등의 의약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리닝으로 얻어진 물질로부터 유도되는 물질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리닝 방법으로 얻어진 물질은 염을 형성하고 있어도 되고, 그 물질의 염으로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예, 무기산, 유기산 등) 이나 염기 (예, 알칼리금속 등) 등과의 염이 사용되고, 특히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부가염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염으로는, 예를 들면 무기산 (예를 들어, 염산, 인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등) 과의 염, 또는 유기산 (예를 들어, 아세트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말산, 옥살산, 벤조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등) 과의 염 등이 사용된다.
그 스크리닝 방법으로 얻어진 물질을 함유하는 의약은, 상기한 메타스틴을 함유하는 의약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제제는, 안전하고 저독성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인간 또는 포유동물 (예를 들어, 래트, 마우스, 몰모트, 토끼, 양, 돼지, 소, 말, 고양이, 개, 원숭이 등) 에 대하여 투여할 수 있다.
그 물질의 투여량은, 대상 질환, 투여 대상, 투여 루트 등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예를 들어, 그 물질을 경구 투여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성인 환자 (체중 60㎏ 으로 하여) 에 있어서는, 1일에 그 화합물을 약 0.1∼100㎎, 바람직하게는 약 1.0∼5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20㎎ 투여한다. 비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경우에는, 그 물질의 l 회 투여량은 투여 대상, 대상 질환 등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예를 들어, 그 물질을 주사제의 형태로 통상 성인 환자 (체중 60㎏ 으로 하여) 에 투여하는 경우, 1일에 그 물질을 약 0.01∼30㎎ 정도, 바람직하게는 약 0.1∼20㎎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1∼10㎎ 정도를 정맥 주사에 의해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동물의 경우도, 체중 60㎏ 당으로 환산한 양을 투여할 수 있다.
(8b) 본 발명의 DNA 에 대한 프로모터의 활성을 촉진 또는 저해하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본 발명은, 본 발명의 DNA 발현 부전 비인간 포유동물에게, 시험화합물을 투여하여, 리포터 유전자의 발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DNA 에 대한 프로모터의 활성을 촉진 또는 저해하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스크리닝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DNA 발현 부전 비인간 포유동물로는, 상기한 본 발명의 DNA 발현 부전 비인간 포유동물 중에서도, 본 발명의 DNA 가 리포터 유전자를 도입함으로써 불활성화되어, 그 리포터 유전자가 본 발명의 DNA 에 대한 프로모터의 제어 하에서 발현할 수 있는 것이 사용된다.
시험화합물로서는 상기와 동일한 것이 사용된다.
리포터 유전자로서는 상기와 동일한 것이 사용되고, β-갈락토시다아제 유전자 (lacZ), 가용성 알칼리 포스파타아제 유전자 또는 루시페라아제 유전자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DNA 가 리포터 유전자로 치환된 본 발명의 DNA 발현 부전 비인간 포유동물에서는, 리포터 유전자가 본 발명의 DNA 에 대한 프로모터의 지배 하에 존재하기 때문에, 리포터 유전자가 코드하는 물질의 발현을 트레이스함으로써, 프로모터의 활성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펩티드를 코드하는 DNA 영역의 일부를 대장균 유래의 β-갈락토시다아제 유전자 (lacZ) 로 치환하고 있는 경우, 원래, 본 발명의 펩티드가 발현하는 조직에서, 본 발명의 펩티드 대신에 β-갈락토시다아제가 발현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5-브로모-4-클로로-3-인돌릴-β-갈락토피라노시드 (X-gal) 와 같은 β-갈락토시다아제의 기질이 되는 시약을 사용하여 염색함으로써, 간편하게 본 발명의 펩티드의 동물 생체내에 있어서의 발현상태를 관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펩티드 결손 마우스 또는 그 조직 절편을 글루탈알데히드 등으로 고정하여, 인산 완충 생리식염액 (PBS) 으로 세정 후, X-gal 을 포함하는 염색액으로, 실온 또는 37℃ 부근에서, 약 30분 내지 1시간 반응시킨 후, 조직 표본을 1mM EDTA/PBS 용액으로 세정함으로써, β-갈락토시다아제 반응을 정지시키고, 나타낸 색을 관찰하면 된다. 또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lacZ 를 코드하는 mRNA 를 검출해도 된다.
상기 스크리닝 방법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물질은, 상기한 시험화합물에서 선택된 물질로서, 본 발명의 DNA 에 대한 프로모터 활성을 촉진 또는 저해하는 물질이다.
그 스크리닝 방법으로 얻어진 물질은 염을 형성하고 있어도 되고, 그 물질의 염으로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예, 무기산 등) 이나 염기 (예, 유기산 등) 등과의 염이 사용되고, 특히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부가염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염으로는 예를 들어, 무기산 (예를 들면, 염산, 인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등) 과의 염, 또는 유기산 (예를 들어, 아세트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말산, 옥살산, 벤조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등) 과의 염 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DNA 에 대한 프로모터 활성을 촉진하는 물질은,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을 촉진하여, 메타스틴의 기능을 촉진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혈당상승제, 췌글루카곤 분비 촉진제, 뇨생성 촉진제로서 유용하다.
게다가 본 발명의 DNA 에 대한 프로모터 활성을 촉진하는 물질은, 예를 들어, 비만, 고지혈증, 2형 당뇨병, 저혈당증, 고혈압,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부종, 배뇨곤란증, 인슐린 저항성, 불안정 당뇨병, 지방위축, 인슐린 앨러지, 인슐리노마,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또는 지방 독성의 예방·치료제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DNA 에 대한 프로모터 활성을 저해하는 물질은,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을 저해하여, 메타스틴의 기능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혈당저하제, 췌글루카곤 분비억제제, 뇨생성 억제제로서 유용하다.
게다가 본 발명의 DNA 에 대한 프로모터 활성을 저해하는 물질은, 예를 들어, 당뇨병, 내당능장애, 케토시스, 아시도시스,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빈뇨, 야뇨증, 고지혈증, 성기능 장애, 피부질환, 관절증, 골감소증,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소화불량 또는 기억 학습 장애의 예방·치료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리닝으로 얻어진 물질로부터 유도되는 물질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스크리닝 방법으로 얻어진 물질을 함유하는 의약은, 상기한 메타스틴을 함유하는 의약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제제는, 안전하고 저독성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인간 또는 포유동물 (예를 들어, 래트, 마우스, 몰모트, 토끼, 양, 돼지, 소, 말, 고양이, 개, 원숭이 등) 에 대하여 투여할 수 있다.
그 물질의 투여량은, 대상 질환, 투여 대상, 투여 루트 등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DNA 에 대한 프로모터 활성을 촉진 또는 저해하는 물질을 경구 투여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성인환자 (체중 60㎏으로 하여) 에 있어서는, 1일에 그 물질을 약 0.1∼100㎎, 바람직하게는 약 1.0∼5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20㎎ 투여한다. 비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경우에는, 그 물질의 1회 투여량은 투여 대상, 대상 질환 등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DNA 에 대한 프로모터 활성을 촉진 또는 저해하는 물질을 주사제의 형태로 통상 성인환자 (체중 60㎏으로 하여) 에 투여하는 경우, 1일에 그 물질을 약 0.01∼30㎎ 정도, 바람직하게는 약 0.1∼20㎎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1∼10㎎ 정도를 정맥 주사에 의해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동물의 경우도, 체중 60㎏ 당으로 환산한 양을 투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DNA 발현 부전 비인간 포유동물은, 본 발명의 DNA 에 대한 프로모터의 활성을 촉진 또는 저해하는 화합물 또는 그 염을 스크리닝하는 데에 있어서 매우 유용하고, 본 발명의 DNA 발현 부전에 기인하는 각종 질환의 원인구명 또는 예방·치료약의 개발에 크게 공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펩티드의 프로모터 영역을 함유하는 DNA 를 사용하여, 그 하류에 여러 가지의 단백을 코드하는 유전자를 연결하고, 이것을 동물의 난세포에 주입하여 이른바 트랜스제닉 동물 (유전자 이입 동물) 을 제작하면, 특이적으로 그 펩티드를 합성시켜, 그 생체에서의 작용을 검토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프로모터 부분에 적당한 리포터 유전자를 결합시켜, 이것이 발현되는 세포주를 수립하면, 본 발명의 펩티드 그 자체의 체내에서의 생성능력을 특이적으로 촉진 또는 억제하는 작용을 갖는 저분자 화합물의 탐색계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하의 실시예, 제제예 및 시험예에 의해 자세히 설명되지만, 이것들의 예는 단순한 실시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화시켜도 된다.
이하의 실시예 중의「실온」은 통상 약 10℃ 내지 약 35℃ 를 나타낸다. % 는, 수율은 ㏖/㏖% 를,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사용되는 용매는 체적% 를, 그 외에는 중량% 를 나타낸다. 프로톤 NMR 스펙트럼으로, OH 나 NH 프로톤 등을 광범위하게 확인할 수 없는 것에 관해서는 데이터에 기재하고 있지 않다.
그 밖의 본문 속에서 사용되고 있는 약호는 하기의 의미를 나타낸다.
약칭명 일본명
10Ψ, CSNH : 10위 C 말단의-CONH2 가 -CSNH2 로 치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1Ψ2, CH2NH : 1위와 2위 사이의 -CONH- 결합이 -CH2NH- 결합으로 치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2Ψ3, CH2NH : 2위와 3위 사이의 -CONH- 결합이 -CH2NH- 결합으로 치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3Ψ4, CH2NH : 3위와 4위 사이의 -CONH- 결합이 -CH2NH- 결합으로 치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4Ψ5, CH2NH : 4위와 5위 사이의 -CONH- 결합이 -CH2NH- 결합으로 치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6Ψ7, CSNH : 6위와 7위 사이의 -CONH- 결합이 -CSNH- 결합으로 치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6Ψ7, NHC0 : 6위와 7위 사이의 -CONH- 결합이 -NHCO- 결합으로 치환되어있는 것을 나타낸다.
6Ψ7, CH2NH : 6위와 7위 사이의 -CONH- 결합이 -CH2NH- 결합으로 치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7Ψ8, CH2NH : 7위와 8위 사이의 -CONH- 결합이 -CH2NH- 결합으로 치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8Ψ9, CH2NH : 8위와 9위 사이의 -CONH- 결합이 -CH2NH- 결합으로 치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9Ψl0, CH2NH : 9위와 10위 사이의 -CONn- 결합이 -CH2NH- 결합으로 치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Abu : 2-아미노부탄산
Ac : 아세틸
AcOEt : 아세트산에틸
Ac0H : 아세트산
Ala(2-Qui) : 2-퀴놀릴알라닌
Ala(3-Bzt) : 3-벤조티에닐알라닌
Arg(Ac) : Nω-아세틸아르기닌
Arg(Boc2, Me) : Nω,ω'-비스-tert-부톡시카르보닐-Nω-메틸아르기닌
Arg(Et) : Nω-에틸아르기닌
Arg(Me) : Nω-메틸아르기닌
Arg(asyMe2) : 비대칭-Nω,ω-디메틸아르기닌
Arg(symMe2) : 대칭-Nω,ω'-디메틸아르기닌
Arg(n-Pr) : Nω-프로필아르기닌
AzaGly : 아자글리신
β-Ala : 베타알라닌
Boc : tert-부톡시카르보닐
Br-Z : 2-브로모벤질옥시카르보닐
But : tert-부틸
BzI : 벤질
CDI :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
Cha : 시클로헥실알라닌
CIP : 2-클로로-1,3-디메틸이미다졸륨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Cit : 시틀린
Clt 레진 : 2-클로로트리틸레진
Cl-Z : 2-클로로벤질옥시카르보닐
Dab : 1,4-디아미노부탄산
Dap : 1,3-디아미노프로피온산
Dap(Gly) : Nβ-글리실디아미노프로피온산
Dap(GnGly) : Nβ-(N-구아니디노글리실)디아미노프로피온산
DCM : 디클로로메탄
DEA : 디에틸아민
DIEA :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DMF : N,N-디메틸포름아미드
EDT : 에탄디티올
Fmoc : 9-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
Gn : 구아니디노
Har : 호모아르기닌
Har(Me) : Nω-메틸호모아르기닌
HOAt : 1-히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
HOBt :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HONB : N-히드록시-5-노르보르넨-2,3-디카르보키미드
Hph : 호모페닐알라닌
IndPr : 3-(인돌-3-일)프로피오닐
Lys(Me2) : Nε,ε-디메틸리신
MBHA : p-메틸벤즈히드릴아민
Me0H : 메탄올
N((CH2)3Gn)Gly : N-(3-구아니디노프로필}글리신
Nal(1) : 1-나프틸알라닌
Nal(2) : 2-나프틸알라닌
Nar : 노르아르기닌
Nar(Me) : Nω-메틸노르아르기닌
Nle : 노르로이신
NMeArg : Nα-메틸아르기닌
NMeLeu : Nα-메틸류신
NMePhe : Nα-메틸페닐알라닌
NMeSer : Nα-메틸세린
Orn : 오르니틴
Orn(Mtt) : Nδ-(4-메틸트리틸)오르니틴
PAL : 5-(4-(9-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3,5-디메톡시페녹시)발레르산
Pbf : 2,2,4,6,7-펜타메틸디히드로벤조푸란-5-술포닐
Phe(2Cl) : 2-클로로페닐알라닌
Phe(2F) : 2-플루오로페닐알라닌
Phe(3,4Cl2) : 3,4-디클로로페닐알라닌
Phe(3,4F2) : 3,4-디플루오로페닐알라닌
Phe(3CF3) : 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알라닌
Phe(3Cl) : 3-클로로페닐알라닌
Phe(3F) : 3-플루오로페닐알라닌
Phe(4Cl) : 4-클로로페닐알라닌
Phe(4CN) : 4-시아노페닐알라닌
Phe(4F) : 4-플루오로페닐알라닌
Phe(4Gn) : 4-구아니디노페닐알라닌
Phe(4NH2) : 4-아미노페닐알라닌
Phe(4N02) : 4-니트로페닐알라닌
Phe(4CN) : 4-시아노페닐알라닌
Phe(F5) : 펜타플루오로페닐알라닌
PheΨ(CSNH)-NH2 : C 말단의 페닐알라닐아미드가 페닐알라닐티오아미드로 치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Phg : 페닐글리신
Ph0H : 페놀
PhSMe : 티오아니솔
pro : 프롤린
pya(2) : 2-피리딜알라닌
Pya(3) : 3-피리딜알라닌
Pya(4) : 4-피리딜알라닌
PyAOP : (7-아자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피롤리디노)포스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PyB0P :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피롤리디노)포스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pyBrop : 브로모-트리스(피롤리디노)포스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Sar : N-메틸글리신
Tle : tert-류신
Trp(For) : Nin-포르밀트립토판
Tyr(Me) : O-메틸티로신
TyrΨ(CH2NH)Asn : Tyr 과 Asn 사이의 -CONH- 결합이 -CH2NH- 결합으로 치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TFA :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FE : 트리플루오로에탄올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염기나 아미노산 등을 약호로 표시하는 경우, IUPAC-IUB Commision on Biochemical Nomenclature 에 의한 약호 또는 당해 분야에서의 관용 약호에 근거하는 것으로, 그 예를 아래에 기재한다. 또한 아미노산에 관하여 광학이성체가 있을 수 있는 경우에는, 특별히 명시하지 않으면 L 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DNA : 데옥시리보핵산
cDNA : 상보적 데옥시리보핵산
A : 아데닌
T : 티민
G : 구아닌
C : 시토신
Y : 티민 또는 시토신
N : 티민, 시토신, 아데닌 또는 구아닌
R : 아데닌 또는 구아닌
M : 시토신 또는 아데닌
W : 티민 또는 아데닌
S : 시토신 또는 구아닌
RNA : 리보핵산
mRNA : 메신저 리보핵산
dATP : 데옥시아데노신3인산
dTTP : 데옥시티미딘3인산
dGTP : 데옥시구아노신3인산
dCTP : 데옥시시티딘3인산
ATP : 아데노신3인산
EDTA : 에틸렌디아민4아세트산
SDS : 도데실황산나트륨
TFA :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EIA : 엔자임 이뮤노 어세이
Gly 또는 G : 글리신
Ala 또는 A : 알라닌
Val 또는 V : 바린
Leu 또는 L : 류신
Ile 또는 I : 이소류신
Ser 또는 S : 세린
Thr 또는 T : 트레오닌
Cys 또는 C : 시스테인
Met 또는 M : 메티오닌
Glu 또는 E : 글루타민산
Asp 또는 D : 아스파라긴산
Lys 또는 K : 리신
Arg 또는 R : 아르기닌
His 또는 H : 히스티딘
Phe 또는 F : 페닐알라닌
Tyr 또는 Y : 티로신
Trp 또는 W : 트립토판
Pro 또는 P : 프롤린
Asn 또는 N : 아스파라긴
Gln 또는 Q : 글루타민
pGlu : 피로글루타민산
본 명세서의 서열표의 서열번호는, 이하의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1
인간 유래 메타스틴 (Mestatin) 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2
인간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의 염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3
마우스 메타스틴 전구체 (A) 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4
마우스 메타스틴 전구체 (A) 를 코드하는 DNA 의 염기 서열을 나타낸다. 형질전환체 에쉐리키아·콜리 (Escherichia coli) DH10B/pCMV-mKiSS-1 로 유지되는 플라스미드 pCMV-mKiSS-1 에 포함되는 염기 서열이다.
서열번호:5
마우스 메타스틴 전구체 (B) 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6
마우스 메타스틴 전구체 (B) 를 코드하는 DNA 의 염기 서열을 나타낸다. 형질전환체 에쉐리키아·콜리 (Escherichia coli) DH5α/pCR2.1-mKiSS-1.4A 로 유지되는 플라스미드 pCR2.1-mKiSS-1.4A 에 포함되는 염기 서열이다.
서열번호:7
래트 유래 메타스틴 전구체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8
래트 메타스틴 전구체를 코드하는 DNA 의 염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9
인간 OT7T175 (메타스틴 수용체) 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10
인간 OT7T175 (메타스틴 수용체) 를 코드하는 DNA 의 염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11
래트 OT7T175 (메타스틴 수용체) 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12
래트 OT7T175 (메타스틴 수용체) 를 코드하는 DNA 의 염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13
마우스 OT7T175 (메타스틴 수용체) 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14
마우스 OT7T175 (메타스틴 수용체) 를 코드하는 DNA 의 염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15
인간 메타스틴15 (40-54) 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16
인간 메타스틴10 (45-54) (MS10) 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17
인간 메타스틴9 (46-54) 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18
인간 메타스틴8 (47-54) 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19
인간 메타스틴15 (40-54) 를 코드하는 DNA 의 염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20
인간 메타스틴10 (45-54) 을 코드하는 DNA 의 염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21
인간 메타스틴9 (46-54) 를 코드하는 DNA 의 염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22
인간 메타스틴8 (47-54) 을 코드하는 DNA 의 염기 서열을 나타낸다.
형질전환체 에쉐리키아·콜리 (Escherichia coli) DHl0B/pCMV-mKiSS-1 은, 평성 12 (2000) 년 1월 24일부터 이바라기현 쯔꾸바시 히가시1쵸메 1번지1 중앙제6 (우편번호305-8566) 의 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종합연구소 특허생물기탁센터 (구 통상산업성 공업기술원 생명공학공업기술연구소 (NIBH)) 에 기탁번호 FERM BP-7003 으로, 평성 11 (1999) 년 12월 16일부터 오오사카후 오오사카시 요도가와구 쥬우산봉마찌 2-17-85 의 재단법인·발효연구소 (IFO) 에 기탁번호 IFO 16348 로 기탁되어 있다.
형질전환체 에쉐리키아·콜리 (Escherichia coli) DH5α/pCR2.1-mKiSS-1.4A 는, 평성 12년 3월 6일부터 이바라기현 쯔구바시 히가시 1쵸메 1번지1 중앙제6 (우편번호305-8566) 의 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종합연구소 특허생물기탁센터 (구 통상산업성 공업기술원 생명공학공업기술연구소 (NIBH)) 에 기탁번호 FERM BP-7073 으로, 평성 12년 2월 16일부터 재단법인·발효연구소 (IFO) 에 기탁번호 IFO 16360 으로 기탁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Tyr-Asn-Trp-Asn-Ser-Phe-Gly-Leu-Arg-Phe-NH2 (서열번호:16) 를 메타스틴10 (Metastin10),즉 MS10 으로 표기한다.
후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MS10 의 N 말단의 Tyr 의 위치를 1위, C 말단의 Phe 의 위치를 10 위로 센다.
Tyr-Asn-Trp-Asn-Ser-Phe-Gly-Leu-Arg-Phe-NH2
1 2 3 4 5 6 7 8 9 10
예를 들어, 화합물번호 79 (실시예1) 의 [Hph10]MS10 은 MS10 의 C 말단 (10 위) 의 Phe 가 Hph 로 치환된 펩티드인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화합물번호 4 의 des(1)-MS10 은 N 말단 (1위) 의 Tyr 을 결실시킨 펩티드인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화합물번호 53 의 des(1-3)-Fmoc-MS10 은 N 말단 (1∼3위) 의 Tyr-Asn-Trp 를 결실시켜, 4위의 Asn 의 아미노기에 Fmoc 를 수식한 펩티드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우수한 암전이 억제 활성, 암증식 억제 활성 등을 갖는 안정된 메타스틴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메타스틴의 구성 아미노산을 특정한 수식기로 수식함으로써, 예상외로 천연형 메타스틴보다도 혈중안정성 등이 향상되고, 또한 우수한 암전이 억제 활성이나 암증식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 등은 메타스틴 및 메타스틴 유도체가, 예상외로 종래 알려졌던 작용과는 완전히 다른 혈당 상승 작용, 췌글루카곤 분비 촉진작용, 뇨생성 촉진 작용을 갖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 등은 이들 지견에 근거하여 더욱 검토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1〕식
〔식 중, Z1, Z3, Z5 및 Z7 은 각각 수소원자 또는 C1-3 알킬기를, Z2, Z4, Z6 및 Z8 은 각각 수소원자, O 또는 S 를,
R1 은 (1) 수소원자 또는 (2)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카르바모일기,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히드록실기 및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방향족환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8 알킬기를,
R2 는 (1) 수소원자 또는 (2) 환상 또는 쇄상의 C1-10 알킬기 또는 (3) 환상 알킬기와 쇄상 알킬기로 이루어지는 C1-10 알킬기를,
R3 은 (1)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염기성기를 갖고, 추가로 다른 치환기를 갖고 있을 수 있는 C1-8 알킬기,
(2)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염기성기를 갖고, 추가로 다른 치환기를 갖고 있을 수 있는 아르알킬기,
(3)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염기성기를 갖고 있는 탄소수 7 이하의 비방향성 환상 탄화수소기를 갖고, 추가로 다른 치환기를 갖고 있을 수 있는 C1-4 알킬기, 또는
(4)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염기성기를 갖고 있는 탄소수 7 이하의 비방향성 복소환기를 갖고, 추가로 다른 치환기를 갖고 있을 수 있는 C1-4 알킬기를,
R4 는 (1)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2 방향족 탄화수소기,
(2)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1 내지 7개의 탄소원자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로 이루어지는 5 내지 14원 방향족 복소환기,
(3)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8-14 방향족 축합환기,
(4)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3 내지 11개의 탄소원자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로 이루어지는 5 내지 14원 방향족 축합 복소환기,
(5)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탄소수 7 이하의 비방향성 환상 탄화수소기, 및
6)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탄소수 7 이하의 비방향성 복소환기,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4 알킬기를,
X 는 식 -NHCH(Q1)YQ2C(=Z9)-
(식 중, Q1 은 (1)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2 방향족 탄화수소기,
(2)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1 내지 7개의 탄소원자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로 이루어지는 5 내지 14원 방향족 복소환기,
(3)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8-14 방향족 축합환기,
(4)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3 내지 11개의 탄소원자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로 이루어지는 5 내지 14원 방향족 축합 복소환기,
(5)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탄소수 7 이하의 비방향성 환상 탄화수소기, 및
(6)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탄소수 7 이하의 비방향성 복소환기,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4 알킬기를, Q2 는 (1) 카르바모일기 및 히드록실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4 알킬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H2, (2) 카르바모일기 및 히드록실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4 알킬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NH 또는 (3) O 를,
Y 는 C1-6 알킬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식-CONH-, -CSNH-, -CH2NH-, -NHCO-, -CH2O-, -CH2S- 또는 -CH2CH2-로 표시되는 기를,
Z9 는 수소원자, 0 또는 S 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기를,
P 는 (1) 수소원자,
(2) 서열번호:1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제1∼48번째의 아미노산 서열의 C 말단측으로부터 임의의 연속되었거나 불연속으로 결합된 아미노산 잔기,
(3) 식 J1-J2-C(J3)(Q3)YlC(J4)(Q4)Y2C(J5)(Q5)Y3C(J6)(Q6)C(=Z10)-
(식 중, J1 은 (a) 수소원자 또는 (b) 치환기를 갖고 있을 수 있는 환기를 포함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i) C1-15 아실기, (ii) C1-15 알킬기, (iii) C6-14 아릴기, (iv) 카르바모일기, (v) 카르복실기, (vi) 술피노기, (vii) 아미디노기, 또는 (viii) 글리옥시로일기를,
J2 는 (1) C1-6 알킬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NH, (2) C1-6 알킬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H2, (3) O 또는 (4) S 를,
J3∼J6 은 각각 수소원자 또는 C1-3 알킬기를,
Q3∼Q6 은 각각,
(1)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2 방향족 탄화수소기,
(2)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1 내지 7개의 탄소원자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로 이루어지는 5 내지 14원 방향족 복소환기,
(3)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8-14 방향족 축합환기,
(4)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3 내지 11개의 탄소원자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로 이루어지는 5 내지 14원 방향족 축합 복소환기,
(5)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탄소수 7 이하의 비방향성 환상 탄화수소기,
(6)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탄소수 7 이하의 비방향성 복소환기,
(7)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아미노기,
(8)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구아니디노기,
(9)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히드록실기,
(10)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카르복실기,
(11)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카르바모일기, 및
(12)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술프히드릴기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를 갖고 있을 수 있는 C1-4 알킬기 또는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J3 과 Q3, J4 와 Q4, J5 와 Q5, J6 과 Q6 이 결합함으로써, 또는 J2 와 Q3, Yl 와 Q4, Y2 와 Q5, Y3 과 Q6 이 결합함으로써 환을 형성해도 되는,
Yl∼Y3 은 각각-CON(J13)-, -CSN(J13)-, -C(J14)N(J13)- 또는 -N(J13)CO-(J13 및 J14 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C1-3 알킬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Z10 은 수소원자, 0 또는 S 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기,
(4) 식 J1-J2-C(J7)(Q7)Y2C(J8)(Q8)Y3C(J9)(Q9)C(=Z10)-
(식 중, J1 및 J2 는 각각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J7∼J9 는 J3 과 동일한 의미를,
Q7∼Q9 는 Q3 과 동일한 의미를,
Y2 및 Y3 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Z10 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J7 과 Q7, J8 과 Q8, J9 와 Q9 가 결합함으로써, 또는 J2 와 Q7, Y2 와 Q8, Y3 과 Q9 가 결합함으로써 환을 형성할 수 있다) 으로 표시되는 기,
(5) 식 J1-J2-C(J10)(Q10)Y3C(J11)(Q11)C(=Z10)-
(식 중, J1 및 J2 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J10 및 J11 은 J3 과 동일한 의미를,
Q10 및 Q11 은 Q3 과 동일한 의미를,
Y3 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Z10 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J10 과 Q10, J11 과 Q11 이 결합함으로써, 또는 J2 와 Q10, Y3 과 Q11 이 결합함으로써 환을 형성할 수 있다) 으로 표시되는 기,
(6) 식 J1-J2-C(J12)(Q12)C(=Z10)-
(식 중, J1 및 J2 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J12 는 J3 과 동일한 의미를,
Q12 는 Q3 과 동일한 의미를,
Z10 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J12 와 Q12 가 결합함으로써, 또는 J2 와 Q12 가 결합함으로써 환을 형성할 수 있다) 으로 표시되는 기, 또는
(7) 식 J1-(J1 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메타스틴 유도체 (I) (다만, 서열번호:1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제1∼54번째, 제2∼54번째, 제3∼54번째, 제4∼54번째, 제5∼54번째, 제6∼54번째, 제7∼54번째, 제8∼54번째, 제9∼54번째, 제10∼54번째, 제11∼54번째, 제12∼54번째, 제13∼54번째, 제14∼54번째, 제15∼54번째, 제16∼54번째, 제17∼54번째, 제18∼54번째, 제19∼54번째, 제20∼54번째, 제21∼54번째, 제22∼54번째, 제23∼54번째, 제24∼54번째, 제25∼54번째, 제26∼54번째, 제27∼54번째, 제28∼54번째, 제29∼54번째, 제30∼54번째, 제31∼54번째, 제32∼54번째, 제33∼54번째, 제34∼54번째, 제35∼54번째, 제36∼54번째, 제37∼54번째, 제38∼54번째, 제39∼54번째, 제40∼54번째, 제41∼54번째, 제42∼54번째, 제43∼54번째, 제44∼54번째, 제45∼54번째, 제46∼54번째, 제47∼54번째, 제48∼54번째 또는 제49∼54번째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펩티드를 제외한다) 또는 그 염,
〔2〕(i) D-Tyr-Asn-Trp-Asn-Ser-Phe-Gly-Leu-Arg(Me)-Phe-NH2 (화합물번호 141),
(ii) D-Tyr-Asn-Trp-Asn-Ser-Phe-Gly-Leu-Arg(Me)-Trp-NH2 (화합물번호 174),
(iii) 3-(3-인돌릴)propionyl-Asn-Ser-Phe-AzaGly-Leu-Arg(Me)-Phe-NH2 (화합물번호 260),
(iv) 3-페닐propionyl-Asn-Ser-Phe-AzaGly-Leu-Arg(Me)-Phe-NH2 (화합물번호 269),
(v) 2-(indol-3-yl)ethyl카르바모일-Asn-Ser-Phe-AzaGly-Leu-Arg(Me)-Phe-NH2 (화합물번호 279),
(vi) D-Tyr-Asn-Pya(4)-Asn-Ser-Phe-AzaGly-Leu-Arg(Me)-Phe-NH2 (화합물번호 286),
(vii) D-Tyr-Asn-Trp-Asn-Ser-PheΨ(CSNH)Gly-Leu-Arg(Me)-Phe-NH2 (화합물번호 296),
(viii) TyrΨ(CH2NH)Asn-D-Trp-Asn-Ser-Phe-AzaGly-Leu-Arg(Me)-Phe-NH2 (화합물번호 300),
(ix) D-Tyr-D-Asn-Pya(4)-Asn-Ser-Phe-AzaGly-Leu-Arg(Me)-Phe-NH2 (화합물번호 303),
(x) D-Tyr-D-Pya(4)-Asn-Ser-Phe-AzaGly-Leu-Arg(Me)-Phe-NH2 (화합물번호 305),
(xi) D-Tyr-Asn-Trp-Asn-Ser-Phe-AzaGly-Leu-Arg(Me)-Phe(4F)-NH2 (화합물번호 318),
(xii) D-Tyr-Asn-Trp-Asn-Ser-PheΨ(NHCO)Gly-Leu-Arg(Me)-Phe-NH2 (화합물번호 319),
(xiii) 3-Pyridylpropionyl-Asn-Ser-Phe-AzaGly-Leu-Arg(Me)-Phe-NH2 (화합물번호 322),
(xiv) 4-이미다졸acetyl-Asn-Ser-Phe-AzaGly-Leu-Arg(Me)-Phe-NH2 (화합물번호 323),
(xv) D-Tyr-D-Pya(4)-Asn-Ser-Phe-AzaGly-Leu-Arg(Me)-Trp-NH2 (화합물번호 385), 또는
(xvi) D-Tyr-D-Pya(4)-Asn-Ser-Phe-AzaGly-Leu-Arg(Me)-Trp-NH2 (화합물번호 386) 인 청구항 1 기재의 메타스틴 유도체 ( I ) 또는 그 염,
〔3〕상기〔1〕기재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또는 그 염의 프로드러그,
〔4〕상기〔1〕기재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또는 그 염 또는 그 프로드러그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의약,
〔5〕암전이 억제제 또는 암증식 억제제인 상기〔4〕기재의 의약,
〔6〕암의 예방·치료제인 상기〔4〕기재의 의약,
〔7〕췌장 기능 조절제인 상기〔4〕기재의 의약,
〔8〕급성 또는 만성 췌장염 또는 췌장암의 예방·치료제인 상기〔4〕기재의 의약,
〔9〕태반 기능 조절제인 상기〔4〕기재의 의약,
〔10〕융모암, 포상기태, 침입기태, 유산, 태아의 발육부전, 당대사이상, 지질대사이상 또는 분만유발의 예방·치료제인 상기〔4〕기재의 의약,
〔11〕성선 기능 개선제인 상기〔4〕기재의 의약,
〔12〕호르몬 의존성 암 (예를 들어, 전립선암, 유방암), 불임증, 자궁내막증 또는 자궁근종의 예방·치료제인 상기〔4〕기재의 의약,
〔13〕배란 유발 또는 촉진제인 상기〔4〕기재의 의약,
〔14〕성선 자극 호르몬 분비 촉진제 또는 성호르몬 분비 촉진제인 상기〔4〕기재의 의약,
〔15〕알츠하이머병 또는 경도 인지 장애의 예방·치료제인 상기〔4〕기재의 의약,
〔16〕포유동물에 대하여, 상기〔1〕기재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또는 그 염 또는 그 프로드러그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전이 억제 또는 암증식 억제방법,
〔17〕포유동물에 대하여, 상기〔1〕기재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또는 그 염 또는 그 프로드러그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의 예방·치료방법,
〔18〕포유동물에 대하여, 상기〔1〕기재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또는 그 염 또는 그 프로드러그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췌장 기능 조절 방법,
〔19〕포유동물에 대하여, 상기〔1〕기재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또는 그 염 또는 그 프로드러그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 또는 만성 췌장염 또는 췌장암의 예방·치료방법,
〔20〕포유동물에 대하여, 상기〔1〕기재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또는 그 염 또는 그 프로드러그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반 기능 조절 방법,
〔21〕포유동물에 대하여, 상기〔1〕기재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또는 그 염 또는 그 프로드러그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모암, 포상기태, 침입기태, 유산, 태아의 발육부전, 당대사이상, 지질대사이상 또는 분만유발의 예방·치료방법,
〔22〕포유동물에 대하여, 상기〔1〕기재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또는 그 염 또는 그 프로드러그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선 기능 개선 방법,
〔23〕포유동물에 대하여, 상기〔1〕기재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또는 그 염 또는 그 프로드러그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르몬 의존성 암 (예를 들어, 전립선암, 유방암), 불임증, 자궁내막증 또는 자궁근종의 예방·치료방법,
〔24〕포유동물에 대하여, 상기〔1〕기재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또는 그 염 또는 그 프로드러그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란 유발 또는 촉진방법,
〔25〕포유동물에 대하여, 상기〔1〕기재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또는 그 염 또는 그 프로드러그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선 자극 호르몬 분비 촉진 방법 또는 성호르몬 분비 촉진 방법,
〔26〕포유동물에 대하여, 상기〔1〕기재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또는 그 염 또는 그 프로드러그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병 또는 경도 인지 장애의 예방·치료방법,
〔27〕암전이 억제제 또는 암증식 억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1〕기재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또는 그 염 또는 그 프로드러그의 용도,
〔28〕암의 예방·치료제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1〕기재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또는 그 염 또는 그 프로드러그의 용도,
〔29〕췌장 기능 조절제을 제조하기 위한 상기〔1〕기재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또는 그 염 또는 그 프로드러그의 용도,
〔30〕급성 또는 만성 췌장염 또는 췌장암의 예방·치료제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1〕기재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또는 그 염 또는 그 프로드러그의 용도,
〔31〕태반 기능 조절제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1〕기재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또는 그 염 또는 그 프로드러그의 용도,
〔32〕융모암, 포상기태, 침입기태, 유산, 태아의 발육부전, 당대사이상, 지질대사이상 또는 분만유발의 예방·치료제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1〕기재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또는 그 염 또는 그 프로드러그의 용도,
〔33〕성선 기능 개선제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1〕기재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또는 그 염 또는 그 프로드러그의 용도,
〔34〕호르몬 의존성 암 (예를 들어, 전립선암, 유방암), 불임증, 자궁내막증 또는 자궁근종의 예방·치료제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1〕기재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또는 그 염 또는 그 프로드러그의 용도,
〔35〕배란 유발 또는 촉진제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1〕기재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또는 그 염 또는 그 프로드러그의 용도,
〔36〕성선 자극 호르몬 분비 촉진제 또는 성호르몬 분비 촉진제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1〕기재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또는 그 염 또는 그 프로드러그의 용도,
〔37〕알츠하이머병 또는 경도 인지 장애의 예방·치료제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1〕기재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또는 그 염 또는 그 프로드러그의 용도,
〔38〕 메타스틴 수용체 아고니스트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췌글루카곤 분비 촉진제,
〔39〕 메타스틴 수용체 아고니스트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뇨생성 촉진제,
〔40〕메타스틴 수용체 아고니스트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비만, 고지혈증, 2형 당뇨병, 저혈당증, 고혈압,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부종, 배뇨곤란증, 인슐린 저항성, 불안정 당뇨병, 지방위축, 인슐린 앨러지, 인슐리노마,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또는 지방 독성의 예방·치료제,
〔41〕메타스틴 수용체 아고니스트가 청구항 1 기재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또는 그 염 또는 그 프로드러그인 상기〔38〕∼〔40〕기재의 제,
〔42〕포유동물에 대하여, 메타스틴 수용체 아고니스트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췌글루카곤 분비 촉진방법,
〔43〕포유동물에 대하여, 메타스틴 수용체 아고니스트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뇨생성 촉진방법,
〔44〕포유동물에 대하여, 메타스틴 수용체 아고니스트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고지혈증, 2형 당뇨병, 저혈당증, 고혈압,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부종, 배뇨곤란증, 인슐린 저항성, 불안정 당뇨병, 지방위축, 인슐린 앨러지, 인슐리노마,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또는 지방 독성의 예방·치료방법,
〔45〕췌글루카곤 분비 촉진제를 제조하기 위한 메타스틴 수용체 아고니스트의 용도,
〔46〕뇨생성 촉진제를 제조하기 위한 메타스틴 수용체 아고니스트의 용도, 및
〔47〕비만, 고지혈증, 2형 당뇨병, 저혈당증, 고혈압,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부종, 배뇨곤란증, 인슐린 저항성, 불안정 당뇨병, 지방위축, 인슐린 앨러지, 인슐리노마,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또는 지방 독성의 예방·치료제를 제조하기 위한 메타스틴 수용체 아고니스트의 사용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메타스틴 또는 그 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혈당상승제,
〔2〕메타스틴 또는 그 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췌글루카곤 분비 촉진제,
〔3〕메타스틴 또는 그 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뇨생성 촉진제,
〔4〕메타스틴 또는 그 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비만, 고지혈증, 2형 당뇨병, 저혈당증, 고혈압,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부종, 배뇨곤란증, 인슐린 저항성, 불안정 당뇨병, 지방위축, 인슐린 앨러지, 인슐리노마,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또는 지방 독성의 예방·치료제,
〔5〕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혈당상승제,
〔6〕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췌글루카곤 분비 촉진제,
〔7〕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뇨생성 촉진제,
〔8〕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비만, 고지혈증, 2형 당뇨병, 저혈당증, 고혈압,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부종, 배뇨곤란증, 인슐린 저항성, 불안정 당뇨병, 지방위축, 인슐린 앨러지, 인슐리노마,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또는 지방 독성의 예방·치료제,
〔9〕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비만, 고지혈증, 저혈당증, 고혈압,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부종, 배뇨곤란증, 인슐린 저항성, 불안정 당뇨병, 지방위축, 인슐린 앨러지, 인슐리노마,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지방 독성, 당뇨병, 내당능 장애, 케토시스, 아시도시스, 빈뇨, 야뇨증, 성기능 장애, 피부질환, 관절증, 골감소증,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소화불량 또는 기억 학습 장애의 진단제,
〔10〕메타스틴 또는 그 염에 대한 항체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혈당저하제,
〔11〕메타스틴 또는 그 염에 대한 항체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췌글루카곤 분비억제제,
〔12〕메타스틴 또는 그 염에 대한 항체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뇨생성 억제제,
〔13〕메타스틴 또는 그 염에 대한 항체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당뇨병, 내당능장애, 케토시스, 아시도시스,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빈뇨, 야뇨증, 고지혈증, 성기능 장애, 피부질환, 관절증, 골감소증,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소화불량 또는 기억 학습 장애의 예방·치료제,
〔14〕메타스틴 또는 그 염에 대한 항체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비만, 고지혈증, 저혈당증, 고혈압,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부종, 배뇨곤란증, 인슐린 저항성, 불안정 당뇨병, 지방위축, 인슐린 앨러지, 인슐리노마,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지방 독성, 당뇨병, 내당능장애, 케토시스, 아시도시스, 빈뇨, 야뇨증, 성기능 장애, 피부질환, 관절증, 골감소증,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소화불량 또는 기억 학습 장애의 진단제,
〔15〕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에 대한 안티센스 DNA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혈당저하제,
〔16〕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에 대한 안티센스 DNA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췌글루카곤 분비억제제,
〔17〕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에 대한 안티센스 DNA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뇨생성 억제제,
〔18〕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에 대한 안티센스 DNA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당뇨병, 내당능장애, 케토시스, 아시도시스,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빈뇨, 야뇨증, 고지혈증, 성기능 장애, 피부질환, 관절증, 골감소증,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소화불량 또는 기억 학습 장애의 예방·치료제,
〔19〕 메타스틴이,
(1) 서열번호:1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N 말단에서 제47∼54번째의 아미노산 서열을 함유하고, 8 내지 54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2) 서열번호:3 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N 말단에서 제134∼141번째의 아미노산 서열을 함유하고, 8 내지 54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3) 서열번호:5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N 말단에서 제 138∼145번째의 아미노산 서열을 함유하고, 8 내지 54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또는
(4) 서열번호:7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N 말단에서 제112∼119번째의 아미노산 서열을 함유하고, 8 내지 54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지는 펩티드인 상기〔1〕∼〔18〕기재의 제,
〔20〕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그 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혈당상승제,
〔21〕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그 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췌글루카곤 분비 촉진제,
〔22〕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그 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뇨생성 촉진제,
〔23〕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그 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비만, 고지혈증, 2형 당뇨병, 저혈당증, 고혈압,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부종, 배뇨곤란증, 인슐린 저항성, 불안정 당뇨병, 지방위축, 인슐린 앨러지, 인슐리노마,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또는 지방 독성의 예방·치료제,
〔24〕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혈당상승제,
〔25〕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췌글루카곤 분비 촉진제,
〔26〕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뇨생성 촉진제,
〔27〕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비만, 고지혈증, 2형 당뇨병, 저혈당증, 고혈압,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부종, 배뇨곤란증, 인슐린 저항성, 불안정 당뇨병, 지방위축, 인슐린 앨러지, 인슐리노마,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또는 지방 독성의 예방·치료제,
〔28〕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비만, 고지혈증, 저혈당증, 고혈압,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부종, 배뇨곤란증, 인슐린 저항성, 불안정 당뇨병, 지방위축, 인슐린 앨러지, 인슐리노마,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지방 독성, 당뇨병, 내당능장애, 케토시스, 아시도시스, 빈뇨, 야뇨증, 성기능 장애, 피부질환, 관절증, 골감소증,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소화불량 또는 기억 학습 장애의 진단제,
〔29〕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그 염에 대한 항체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혈당저하제,
〔30〕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그 염에 대한 항체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췌글루카곤 분비억제제,
〔31〕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그 염에 대한 항체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뇨생성 억제제,
〔32〕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그 염에 대한 항체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당뇨병, 내당능장애, 케토시스, 아시도시스,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빈뇨, 야뇨증, 고지혈증, 성기능 장애, 피부질환, 관절증, 골감소증,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소화불량 또는 기억 학습 장애의 예방·치료제,
〔33〕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그 염에 대한 항체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비만, 고지혈증, 저혈당증, 고혈압,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부종, 배뇨곤란증, 인슐린 저항성, 불안정 당뇨병, 지방위축, 인슐린 앨러지, 인슐리노마,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지방 독성, 당뇨병, 내당능장애, 케토시스, 아시도시스, 빈뇨, 야뇨증, 성기능 장애, 피부질환, 관절증, 골감소증,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소화불량 또는 기억 학습 장애의 진단제,
〔34〕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에 대한 안티센스 DNA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혈당저하제,
〔35〕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에 대한 안티센스 DNA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췌글루카곤 분비억제제,
〔36〕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에 대한 안티센스 DNA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뇨생성 억제제,
〔37〕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에 대한 안티센스 DNA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당뇨병, 내당능장애, 케토시스, 아시도시스,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빈뇨, 야뇨증, 고지혈증, 성기능 장애, 피부질환, 관절증, 골감소증,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소화불량 또는 기억 학습 장애의 예방·치료제,
〔38〕메타스틴 수용체가 서열번호:9, 서열번호:11 또는 서열번호:13 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함유하는 단백질인 상기〔1〕∼〔22〕기재의 제,
〔39〕메타스틴 또는 그 염 및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 그 부분 펩티드 또는 그 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조절약, 췌글루카곤 조절약 또는 뇨생성 조절약의 스크리닝 방법,
〔40〕메타스틴 또는 그 염 및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 그 부분 펩티드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조절약, 췌글루카곤 조절약 또는 뇨생성 조절약의 스크리닝용 키트,
〔41〕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및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그 부분 펩티드를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조절약, 췌글루카곤 조절약 또는 뇨생성 조절약의 스크리닝 방법,
〔42〕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및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그 부분 펩티드를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조절약, 췌글루카곤 조절약 또는 뇨생성 조절약의 스크리닝용 키트,
〔43〕메타스틴 수용체에 대한 안타고니스트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혈당저하제,
〔44〕메타스틴 수용체에 대한 안타고니스트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췌글루카곤 분비억제제,
〔45〕메타스틴 수용체에 대한 안타고니스트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뇨생성 억제제,
〔46〕메타스틴 수용체에 대한 안타고니스트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당뇨병, 내당능장애, 케토시스, 아시도시스,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빈뇨, 야뇨증, 고지혈증, 성기능 장애, 피부질환, 관절증, 골감소증,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소화불량 또는 기억 학습 장애의 예방·치료제,
〔47〕메타스틴의 발현을 촉진하는 물질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혈당상승제,
〔48〕메타스틴의 발현을 촉진하는 물질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췌글루카곤 분비 촉진제,
〔49〕메타스틴의 발현을 촉진하는 물질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뇨생성 촉진제,
〔50〕메타스틴의 발현을 촉진하는 물질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비만, 고지혈증, 2형 당뇨병, 저혈당증, 고혈압,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부종, 배뇨곤란증, 인슐린 저항성, 불안정 당뇨병, 지방위축, 인슐린 앨러지, 인슐리노마,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또는 지방 독성의 예방·치료제,
〔51〕메타스틴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혈당저하제,
〔52〕 메타스틴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췌글루카곤 분비억제제,
〔53〕메타스틴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뇨생성 억제제,
〔54〕메타스틴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당뇨병, 내당능장애, 케토시스, 아시도시스,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빈뇨, 야뇨증, 고지혈증, 성기능 장애, 피부질환, 관절증, 골감소증,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소화불량 또는 기억 학습 장애의 예방·치료제,
〔55〕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을 촉진하는 물질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혈당상승제,
〔56〕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을 촉진하는 물질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췌글루카곤 분비 촉진제,
〔57〕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을 촉진하는 물질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뇨생성 촉진제,
〔58〕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을 촉진하는 물질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비만, 고지혈증, 2형 당뇨병, 저혈당증, 고혈압,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부종, 배뇨곤란증, 인슐린 저항성, 불안정 당뇨병, 지방위축, 인슐린 앨러지, 인슐리노마,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또는 지방 독성의 예방·치료제,
〔59〕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혈당저하제,
〔60〕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췌글루카곤 분비억제제,
〔61〕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뇨생성 억제제,
〔62〕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당뇨병, 내당능장애, 케토시스, 아시도시스,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빈뇨, 야뇨증, 고지혈증, 성기능 장애, 피부질환, 관절증, 골감소증,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소화불량 또는 기억 학습 장애의 예방·치료제,
〔63〕포유동물에 대하여,
(1) 메타스틴 또는 그 염,
(2)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3) 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그 염,
(4)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5) 메타스틴의 발현을 촉진하는 물질, 또는
(6) 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을 촉진하는 물질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상승 방법,
〔64〕포유동물에 대하여,
(1) 메타스틴 또는 그 염,
(2)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3) 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그 염,
(4)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5) 메타스틴의 발현을 촉진하는 물질, 또는
(6) 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을 촉진하는 물질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췌글루카곤 분비 촉진방법,
〔65〕포유동물에 대하여,
(1) 메타스틴 또는 그 염,
(2)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3) 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그 염,
(4)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5) 메타스틴의 발현을 촉진하는 물질, 또는
(6) 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을 촉진하는 물질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고지혈증, 2형 당뇨병, 저혈당증, 고혈압,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부종, 배뇨곤란증, 인슐린 저항성, 불안정 당뇨병, 지방위축, 인슐린 앨러지, 인슐리노마,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또는 지방 독성의 예방·치료방법,
〔66〕포유동물에 대하여,
(1) 메타스틴 또는 그 염에 대한 항체,
(2)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에 대한 안티센스 DNA,
(3) 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그 염에 대한 항체,
(4)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에 대한 안티센스 DNA,
(5) 메타스틴 수용체에 대한 안타고니스트,
(6) 메타스틴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 또는
(7) 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저하방법,
〔67〕포유동물에 대하여,
(1) 메타스틴 또는 그 염에 대한 항체,
(2)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에 대한 안티센스 DNA,
(3) 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그 염에 대한 항체,
(4)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에 대한 안티센스 DNA,
(5) 메타스틴 수용체에 대한 안타고니스트,
(6) 메타스틴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 또는
(7) 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췌글루카곤 분비억제방법,
〔68〕포유동물에 대하여,
(1) 메타스틴 또는 그 염에 대한 항체,
(2)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에 대한 안티센스 DNA,
(3) 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그 염에 대한 항체,
(4)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에 대한 안티센스 DNA,
(5) 메타스틴 수용체에 대한 안타고니스트,
(6) 메타스틴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 또는
(7) 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내당능장애, 케토시스, 아시도시스,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빈뇨, 야뇨증, 고지혈증, 성기능 장애, 피부질환, 관절증, 골감소증,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소화불량 또는 기억 학습 장애의 예방·치료방법,
〔69〕혈당상승제를 제조하기 위한
(1) 메타스틴 또는 그 염,
(2)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3) 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그 염,
(4)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5) 메타스틴의 발현을 촉진하는 물질, 또는
(6) 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을 촉진하는 물질의 용도,
〔70〕췌글루카곤 분비 촉진제를 제조하기 위한
(1) 메타스틴 또는 그 염,
(2)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3) 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그 염,
(4)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5) 메타스틴의 발현을 촉진하는 물질, 또는
(6) 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을 촉진하는 물질의 용도,
〔71〕비만, 고지혈증, 2형 당뇨병, 저혈당증, 고혈압,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부종, 배뇨곤란증, 인슐린 저항성, 불안정 당뇨병, 지방위축, 인슐린 앨러지, 인슐리노마,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또는 지방 독성의 예방·치료제를 제조하기 위한
(l) 메타스틴 또는 그 염,
(2)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3) 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그 염,
(4)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5) 메타스틴의 발현을 촉진하는 물질, 또는
(6) 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을 촉진하는 물질의 용도,
〔72〕혈당저하제를 제조하기 위한
(1) 메타스틴 또는 그 염에 대한 항체,
(2)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에 대한 안티센스 DNA,
(3) 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그 염에 대한 항체,
(4)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에 대한 안티센스 DNA,
(5) 메타스틴 수용체에 대한 안타고니스트,
(6) 메타스틴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 또는
(7) 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의 용도,
〔73〕췌글루카곤 분비억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1) 메타스틴 또는 그 염에 대한 항체,
(2)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에 대한 안티센스 DNA,
(3) 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그 염에 대한 항체,
(4)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에 대한 안티센스 DNA,
(5) 메타스틴 수용체에 대한 안타고니스트,
(6) 메타스틴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 또는
(7) 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의 용도,
〔74〕당뇨병, 내당능장애, 케토시스, 아시도시스, 당뇨병 신경 장애, 당뇨병 신증, 당뇨병 망막증, 빈뇨, 야뇨증, 고지혈증, 성기능 장애, 피부질환, 관절증, 골감소증, 동맥경화, 혈전성 질환, 소화불량 또는 기억 학습 장애의 예방·치료제를 제조하기 위한
(1) 메타스틴 또는 그 염에 대한 항체,
(2)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에 대한 안티센스 DNA,
(3) 메타스틴 수용체 또는 그 염에 대한 항체,
(4)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에 대한 안티센스 DNA,
(5) 메타스틴 수용체에 대한 안타고니스트,
(6) 메타스틴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 또는
(7) 메타스틴 수용체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의 용도,
〔75〕(a) 메타스틴 및 (또는) (b) 메타스틴 수용체 (이하, 부분 펩티드도 함유한다) 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조절약, 췌글루카곤 조절약 또는 뇨생성 조절약의 스크리닝 방법,
〔76〕(a) 메타스틴을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DNA 및 (또는) (b)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조절약, 췌글루카곤 조절약 또는 뇨생성 조절약의 스크리닝 방법,
〔77〕표지한 메타스틴을 메타스틴 수용체에 접촉시킨 경우와, 표지한 메타스틴 및 시험화합물을 메타스틴 수용체에 접촉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표지한 메타스틴의 메타스틴 수용체에 대한 결합량을 측정하여,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스틴과 메타스틴 수용체의 결합성을 변화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78〕표지한 메타스틴을 메타스틴 수용체를 함유하는 세포 또는 그 세포의 막획분에 접촉시킨 경우와, 표지한 메타스틴 및 시험화합물을 메타스틴 수용체를 함유하는 세포 또는 그 세포의 막획분에 접촉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표지한 메타스틴의 그 세포 또는 그 막획분에 대한 결합량을 측정하여,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스틴과 메타스틴 수용체의 결합성을 변화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79〕표지한 메타스틴을,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형질전환체를 배양함으로써 세포막 상에 발현한 메타스틴 수용체에 접촉시킨 경우와, 표지한 메타스틴 및 시험화합물을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형질전환체를 배양함으로써 세포막 상에 발현한 메타스틴 수용체에 접촉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표지한 메타스틴의 그 메타스틴 수용체에 대한 결합량을 측정하여,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스틴과 메타스틴 수용체의 결합성을 변화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80〕메타스틴 수용체를 활성화하는 화합물 (예를 들어, 메타스틴, 상기〔1〕기재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또는 그 염 또는 그 프로드러그) 을 메타스틴 수용체를 함유하는 세포 (예, CHO 세포, 인간 대장암 유래 세포주 SW620 세포) 에 접촉시킨 경우와, 메타스틴 수용체를 활성화하는 화합물 및 시험화합물을 메타스틴 수용체를 함유하는 세포에 접촉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메타스틴 수용체를 통한 세포 자극 활성을 측정하여,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스틴과 메타스틴 수용체의 결합성을 변화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81〕메타스틴 수용체를 활성화하는 화합물 (예를 들어, 메타스틴, 상기〔1〕기재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또는 그 염 또는 그 프로드러그) 을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형질전환체를 배양함으로써 세포막 상에 발현한 메타스틴 수용체에 접촉시킨 경우와, 메타스틴 수용체를 활성화하는 화합물 및 시험화합물을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형질전환체를 배양함으로써 세포막 상에 발현한 메타스틴 수용체에 접촉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메타스틴 수용체를 통한 세포 자극 활성을 측정하여,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스틴과 메타스틴 수용체의 결합성을 변화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82〕시험화합물을 메타스틴 수용체를 함유하는 세포에 접촉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메타스틴 수용체를 통한 세포 자극 활성을 측정하여,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스틴 수용체 아고니스트의 스크리닝 방법,
〔83〕시험화합물을 메타스틴 수용체를 코드하는 DNA 를 함유하는 형질전환체를 배양함으로써 세포막 상에 발현한 메타스틴 수용체에 접촉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메타스틴 수용체를 통한 세포 자극 활성을 측정하여,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스틴 수용체 아고니스트의 스크리닝 방법,
〔84〕세포 자극 활성이 세포내 Ca2+ 유리의 촉진 활성, 세포 증식 저해 활성, 유주 저해 활성, 종양 증식 억제 활성, 혈당 상승 활성 또는 췌글루카곤 분비 촉진 활성인 상기〔80〕∼〔83〕기재의 스크리닝 방법,
〔85〕(a) 상기〔1〕기재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또는 그 염 또는 그 프로드러그 및 (또는) (b) 메타스틴 수용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스틴 수용체 아고니스트 또는 메타스틴 수용체 안타고니스트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식 중, Z1, Z3, Z5 및 Z7 은 각각 수소원자 또는 C1-3 알킬기를, Z2, Z4, Z6 및 Z8 은 각각 수소원자, O 또는 S 를 나타낸다.
C1-3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가 사용된다.
Z1∼Z8 의 조합으로는 Z1 및 Z3 이 수소원자이고, Z5 및 Z7 이 각각 수소원자 또는 C1-3 알킬기이고, Z2, Z4, Z6 및 Z8 이 각각 O 또는 S 를 나타내는 경우도 바람직하다.
Z1∼Z8 의 보다 바람직한 조합으로는,
(a) Z1 이 수소원자, Z3 이 수소원자, Z5 가 수소원자, Z7 이 수소원자이고, Z2 가 O, Z4 가 O, Z6 이 O, Z8 이 O 인 경우,
(b) Z1 이 수소원자, Z3 이 수소원자, Z5 가 수소원자, Z7 이 수소원자이고, Z2 가 O, Z4 가 O, Z6 이 O, Z8 이 S 인 경우,
(c) Z1 및 Z3 이 수소원자이고, Z5 가 수소원자이고, Z7 이 메틸기이고, Z2 2가 O 이고, Z4 가 O 이고, Z6 이 O 이고, Z8 이 O 인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a) 와 (b) 의 경우가 바람직하다.
R1 은 (1) 수소원자 또는 (2)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카르바모일기,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히드록실기 및 치환되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환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8 알킬기를 나타내고, 그 중에서도 (1) 수소원자 또는 (2)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카르바모일기,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히드록실기 및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방향족환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로 치환되어 있는 C1-8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C1-8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헥실, 헵틸, 옥틸 등의 쇄상 C1-8 알킬기나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등의 환상 C3-8 알킬기 등이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메틸, 에틸 등의 C1-3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카르바모일기」 로는 예를 들어, 카르바모일,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기 (예, 메틸카르바모일, 에틸카르바모일 등), 디-C1-6 알킬카르바모일기 (예, 디메틸카르바모일, 디에틸카르바모일, 에틸메틸카르바모일 등), 모노- 또는 디-C6-14 아릴카르바모일기 (예, 페닐카르바모일, 1-나프틸카르바모일, 2-나프틸카르바모일 등),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종,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모노- 또는 디-5 내지 7원 복소환 카르바모일기 (예, 2-피리딜카르바모일, 3-피리딜카르바모일, 4-피리딜카르바모일, 2-티에닐카르바모일, 3-티에닐카르바모일 등) 등이 사용된다.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히드록실기」로는, 예를 들어, 히드록시기,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콕시기,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4 아릴옥시기,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7-16 아르알킬옥시기 등이 사용된다.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콕시기」,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4 아릴옥시기」및「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7-16 아르알킬옥시기」 로서는, 후술하는 치환기 A 군의「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콕시기」,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4 아릴옥시기」및「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7-16 아르알킬옥시기」 와 동일한 것이 사용된다.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방향족환기」 의「방향족환기」 로는 예를 들어,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방향족 축합환기, 방향족 축합 복소환기 등이 사용된다.
「방향족 탄화수소기」 로는 예를 들어, 페닐, 2-비페닐릴, 3-비페닐릴, 4-비페닐릴, 시클로옥타테트라에닐 등의 C6-14 아릴기가 사용된다.
「방향족 복소환기」 로는 예를 들어,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종,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 내지 14원,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원,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또는 6원의 방향족 복소환기가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티에닐 (예, 2-티에닐, 3-티에닐), 푸릴 (예, 2-푸릴, 3-푸릴), 피리딜 (예, 2-피리딜, 3-피리딜, 4-피리딜), 티아졸릴 (예, 2-티아졸릴, 4-티아졸릴, 5-티아졸릴), 옥사졸릴 (예, 2-옥사졸릴, 4-옥사졸릴),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예, 2-피리미디닐, 4-피리미디닐), 피롤릴 (예, 1-피롤릴, 2-피롤릴, 3-피롤릴), 이미다졸릴 (예, 1-이미다졸릴, 2-이미다졸릴, 4-이미다졸릴), 피라졸릴 (예, 1-피라졸릴, 3-피라졸릴, 4-피라졸릴), 피리다지닐 (예, 3-피리다지닐, 4-피리다지닐), 이소티아졸릴 (예, 3-이소티아졸릴), 이속사졸릴 (예, 3-이속사졸릴) 등이 사용된다.
「방향족 축합환기」로는 나프틸 (예, 1-나프틸, 2-나프틸), 안스릴 (예, 2-안스릴, 9-안스릴) 등의 C8-14 방향족 축합환기가 사용된다.
「방향족 축합 복소환기」로는 예를 들어, 3 내지 11개의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종,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 내지 14원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원) 의 2환 또는 3환식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종,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 내지 14원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원) 의 7 내지 10원 방향족 복소 가교환으로부터 임의의 1개의 수소원자를 제거하여 이루어지는 1가의 기가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퀴놀릴 (예, 2-퀴놀릴, 3-퀴놀릴, 4-퀴놀릴, 5-퀴놀릴, 8-퀴놀릴), 이소퀴놀릴 (예, 1-이소퀴놀릴, 3-이소퀴놀릴, 4-이소퀴놀릴, 5-이소퀴놀릴), 인돌릴 (예, 1-인돌릴, 2-인돌릴, 3-인돌릴), 2-벤조티아졸릴, 벤조[b]티에닐, (예, 2-벤조[b]티에닐, 3-벤조[b]티에닐), 벤조[b]프라닐 (예, 2-벤조[b]프라닐, 3-벤조[b]프라닐) 등이 사용된다.
「방향족환기」의「치환기」 로는 후술하는 치환기 A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가 사용된다.
R1 로는 예를 들어, 수소원자, 카르바모일메틸, 2-카르바모일에틸, 히드록시메틸, 1-히드록시에틸, 벤질, 4-히드록시벤질, 2-피리딜메틸, 3-피리딜메틸, 4-피리딜메틸, 2-티에닐메틸, 3-티에닐메틸, 1-나프틸메틸, 2-나프틸메틸, 3-인돌메틸,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시클로헥실메틸 등이 사용되고, 그 중에서도 히드록시메틸, 1-히드록시에틸, 벤질, 4-히드록시벤질, 3-인돌메틸, 메틸, 이소부틸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히드록시메틸, 1-히드록시에틸 등이 바람직하다.
R2 는 (1) 수소원자, (2) 환상 또는 쇄상의 C1-10 알킬기 또는 (3) 환상 알킬기와 쇄상 알킬기로 이루어지는 C1-10 알킬기를 나타낸다.
환상의 C1-10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등의 C3-8 시클로알킬기 등이 사용된다.
쇄상의 C1-10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헥실, 헵틸, 옥틸, 노나닐, 데카닐 등이 사용된다.
환상 알킬기와 쇄상 알킬기로 이루어지는 C1-10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시클로펜틸메틸, 시클로헥실메틸 등의 C3-7 시클로알킬-C1-3 알킬기 등이 사용된다.
R2 로는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시클로헥실메틸 등이 사용되고, 그 중에서도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등이 바람직하다.
R3 은 (1)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염기성기를 갖고, 추가로 다른 치환기를 갖고 있을 수 있는 C1-8 알킬기,
(2)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염기성기를 갖고, 추가로 다른 치환기를 갖고 있을 수 있는 아르알킬기,
(3)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염기성기를 갖고 있는 탄소수 7 이하의 비방향성 환상 탄화수소기를 갖고, 추가로 다른 치환기를 갖고 있을 수 있는 C1-4 알킬기, 또는
(4)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염기성기를 갖고 있는 탄소수 7 이하의 비방향성 복소환기를 갖고, 추가로 다른 치환기를 갖고 있을 수 있는 C1-4 알킬기를 나타낸다.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염기성기」 로는 예를 들어, (1) 1 또는 2개의 C1-6 알킬, C1-6 아실 (예,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아세틸, 프로피오닐 등) 등을 갖고 있을 수 있는 구아니디노기, (2) 1 내지 3개의 C1-6 알킬, C1-6 아실 (예,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아세틸, 프로피오닐 등) 등을 갖고 있을 수 있는 아미노기, (3) 1 또는 2개의 C1-6 알킬, C1-6 아실 (예,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아세틸, 프로피오닐 등) 등을 갖고 있을 수 있는 구아니디노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예, 아세트아미드), (4) 1 내지 3개의 C1-6 알킬, C1-6 아실 (예,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아세틸, 프로피오닐 등) 등을 갖고 있을 수 있는 아미노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예, 아세트아미드) 등이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구아니디노, N-메틸구아니디노, N,N-디메틸구아니디노, N,N'-디메틸구아니디노, N-에틸구아니디노, N-아세틸구아니디노, 아미노, N-메틸아미노, N,N-디메틸아미노, 아미노아세트아미드, 구아니디노아세트아미드, 아미디노 등이 바람직하다.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염기성기」이외의 다른「다른 치환기」 로서는, 후술하는 치환기 A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가 사용된다.
「C1-8 알킬기」 로는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헥실, 헵틸, 옥틸 등이 사용된다.
「아르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벤질, 페네틸, 디페닐메틸, 1-나프틸메틸, 2-나프틸메틸, 2,2-디페닐에틸, 3-페닐프로필, 4-페닐부틸, 5-페닐펜틸, 2-비페닐릴메틸, 3-비페닐릴메틸, 4-비페닐릴메틸 등의 C7-16 아르알킬기 등이 사용된다.
「탄소수 7 이하의 비방향성 환상 탄화수소기」 로는 예를 들어,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등의 C3-7 시클로알킬기 등이 사용된다.
「탄소수 7 이하의 비방향성 복소환기」로는 예를 들어, 1 내지 7개의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종,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 내지 10원 비방향성 복소환기 등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피롤리디닐 (예, 1-피롤리디닐, 2-피롤리디닐, 3-피롤리디닐), 옥사졸리디닐 (예, 2-옥사졸리디닐), 이미다졸리닐 (예, 1-이미다졸리닐, 2-이미다졸리닐, 4-이미다졸리닐), 피페리디닐 (예, 1-피페리디닐, 2-피페리디닐, 3-피페리디닐, 4-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예, 1-피페라지닐, 2-피페라지닐), 모르폴리노, 티오모르폴리노 등이 사용된다.
「C1-4 알킬기」 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등이 사용된다.
R3 으로는 예를 들어, (1) 3-구아니디노프로필, 3-(N-메틸구아니디노)프로필, 3-(N,N-디메틸구아니디노)프로필, 3-(N,N'-디메틸구아니디노)프로필, 3-(N-에틸구아니디노)프로필, 3-(N-프로필구아니디노)프로필, 3-(N-아세틸구아니디노)프로필, 4-구아니디노부틸, 4-(N-메틸구아니디노)부틸, 2-구아니디노에틸, 2-(N-메틸구아니디노)에틸, 4-아미노부틸, 4-(N-메틸아미노)부틸, 4-(N,N-디메틸아미노)부틸, 3-아미노프로필, 2-아미노에틸, 아미노메틸, 아미노아세트아미드메틸, 구아니디노아세트아미드메틸, 2-(구아니디노카르보닐)에틸, (2) 4-구아니디노벤질, 4-아미노벤질, (3) 4-구아니디노시클로헥실메틸, 4-아미노시클로헥실메틸, (4) 1-아미디노피페리딘-4-일메틸 등이 사용되고, 그 중에서도 3-구아니디노프로필, 3-(N-메틸구아니디노)프로필, 3-(N,N-디메틸구아니디노)프로필, 3-(N,N'-디메틸구아니디노)프로필, 3-(N-에틸구아니디노)프로필, 3-(N-프로필구아니디노)프로필, 3-(N-아세틸구아니디노)프로필, 4-구아니디노부틸, 4-(N-메틸구아니디노)부틸, 2-구아니디노에틸, 2-(N-메틸구아니디노)에틸, 4-아미노부틸, 4-(N∼메틸아미노)부틸, 4-(N,N-디메틸아미노)부틸, 3-아미노프로필, 2-아미노에틸, 4-아미노벤질, 아미노아세트아미드메틸, 구아니디노아세트아미드메틸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3-구아니디노프로필, 3-(N-메틸구아니디노)프로필, 3-(N,N-디메틸구아니디노)프로필, 3-(N,N'-디메틸구아니디노)프로필, 3-(N-에틸구아니디노)프로필, 3-(N-아세틸구아니디노)프로필, 4-구아니디노부틸, 4-(N-메틸구아니디노)부틸, 2-구아니디노에틸, 4-아미노부틸 등이 바람직하다.
R4 는 (1)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2 방향족 탄화수소기,
(2)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1 내지 7개의 탄소원자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로 이루어지는 5 내지 14원 방향족 복소환기,
(3)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8-14 방향족 축합환기,
(4)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3 내지 11개의 탄소원자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로 이루어지는 5 내지 14원 방향족 축합 복소환기,
(5)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탄소수 7 이하의 비방향성 환상 탄화수소기, 및
(6)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탄소수 7 이하의 비방향성 복소환기,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4 알킬기를 나타내고, 그 중에서도
(1)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2 방향족 탄화수소기,
(2)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1 내지 7개의 탄소원자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로 이루어지는 5 내지 14원 방향족 복소환기,
(3)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8-14 방향족 축합환기,
(4)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3 내지 11개의 탄소원자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로 이루어지는 5 내지 14원 방향족 축합 복소환기,
(5)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탄소수 7 이하의 비방향성 환상 탄화수소기, 및
(6)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탄소수 7 이하의 비방향성 복소환기,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는 C1-4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C1-4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등이 사용된다.
「C6-12 방향족 탄화수소기」 로는 예를 들어, 페닐, 시클로옥타테트라에닐 등의 단환식의 C6-12 방향족 탄화수소기 등이 사용된다.
「1 내지 7개의 탄소원자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로 이루어지는 5 내지 14원 방향족 복소환기」로는 예를 들어, 1 내지 7개의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종,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 내지 14원,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원,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또는 6원의 단환식의 방향족 복소환기가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티에닐 (예, 2-티에닐, 3-티에닐), 푸릴 (예, 2-푸릴, 3-푸릴), 피리딜 (예, 2-피리딜, 3-피리딜, 4-피리딜), 티아졸릴 (예, 2-티아졸릴, 4-티아졸릴, 5-티아졸릴), 옥사졸릴 (예, 2-옥사졸릴, 4-옥사졸릴),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예, 2-피리미디닐, 4-피리미디닐), 피롤릴 (예, 1-피롤릴, 2-피롤릴, 3-피롤릴), 이미다졸릴 (예, 1-이미다졸릴, 2-이미다졸릴, 4-이미다졸릴), 피라졸릴 (예, 1-피라졸릴, 3-피라졸릴, 4-피라졸릴), 피리다지닐 (예, 3-피리다지닐, 4-피리다지닐), 이소티아졸릴 (예, 3-이소티아졸릴), 이속사졸릴 (예, 3-이속사졸릴) 등이 사용된다.
「C8-14 방향족 축합환기」 로는 예를 들어, 나프틸 (예, 1-나프틸, 2-나프틸), 안스릴 (예, 2-안스릴, 9-안스릴) 등이 사용된다.
「3 내지 11개의 탄소원자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로 이루어지는 5 내지 14원 방향족 축합 복소환기」 로는 예를 들어, 3 내지 11개의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종,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 내지 14원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원) 의 2환 또는 3환식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종,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 내지 14원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원) 의 7 내지 10원 방향족 복소 가교환으로터 임의의 1개의 수소원자를 제외하고 이루어지는 1가의 기가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퀴놀릴 (예, 2-퀴놀릴, 3-퀴놀릴, 4-퀴놀릴, 5-퀴놀릴, 8-퀴놀릴), 이소퀴놀릴 (예, 1-이소퀴놀릴, 3-이소퀴놀릴, 4-이소퀴놀릴, 5-이소퀴놀릴), 인돌릴 (예, 1-인돌릴, 2-인돌릴, 3-인돌릴), 2-벤조티아졸릴, 벤조[b]티에닐, (예, 2-벤조[b]티에닐, 3-벤조[b]티에닐), 벤조[b]프라닐 (예, 2-벤조[b]프라닐, 3-벤조[b]프라닐) 등이 사용된다.
「탄소수 7 이하의 비방향성 환상 탄화수소기」 로서는 예를 들어,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등의 C3-7 시클로알킬기 등이 사용된다.
「탄소수 7 이하의 비방향성 복소환기」 로는 피롤리디닐 (예, 1-피롤리디닐, 2-피롤리디닐, 3-피롤리디닐), 옥사졸리디닐 (예, 2-옥사졸리디닐), 이미다졸리닐 (예, 1-이미다졸리닐, 2-이미다졸리닐, 4-이미다졸리닐), 피페리디닐 (예, 1-피페리디닐, 2-피페리디닐, 3-피페리디닐, 4-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예, 1-피페라지닐, 2-피페라지닐), 모르폴리노, 티오모르폴리노 등의 1 내지 7개의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종,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 내지 10원의 비방향성 복소환기 등이 사용된다.
이들 「C6-12 방향족 탄화수소기」, 「1 내지 7개의 탄소원자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로 이루어지는 5 내지 14원 방향족 복소환기」, 「C8-14 방향족 축합환기」, 「3 내지 11개의 탄소원자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로 이루어지는 5 내지 14원 방향족 축합 복소환기」,「탄소수 7 이하의 비방향성 환상 탄화수소기」및「탄소수 7 이하의 비방향성 복소환기」의 치환기로는 예를 들어, 옥소, 할로겐원자 (예,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등), C1-3 알킬렌디옥시 (예, 메틸렌디옥시, 에틸렌디옥시 등), 니트로, 시아노,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 치환되고 있어도 되는 C2-6 알케닐,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2-6 알키닐,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3-8 시클로알킬,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4 아릴,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7-16 아르알킬,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콕시, 히드록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4 아릴옥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7-16 아르알킬옥시, 메르캅토,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티오,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4 아릴티오,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7-16 아르알킬티오,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아미노[아미노,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모노 또는 디-C1-6 알킬-아미노 (예, 메틸아미노, 디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프로필아미노, 이소프로필아미노 등),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모노 또는 디-C2-6 알케닐-아미노 (예, 비닐아미노, 프로페닐아미노, 이소프로페닐아미노),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2-6 알키닐-아미노 (예, 2-부틴-1-일-아미노, 4-펜틴-1-일-아미노, 5-헥신-1-일-아미노),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모노 또는 디-C3-8 시클로알킬-아미노 (예, 시클로프로필아미노, 시클로헥실아미노),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4 아릴-아미노 (예, 페닐아미노, 디페닐아미노, 나프틸아미노),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콕시-아미노 (예, 메톡시아미노, 에톡시아미노, 프로폭시아미노, 이소프로폭시아미노), 포르밀아미노,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예, 아세틸아미노, 프로피오닐아미노, 피발로일아미노 등),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3-8 시클로알킬-카르보닐아미노 (예, 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아미노, 시클로펜틸카르보닐아미노, 시클로헥실카르보닐아미노 등),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4 아릴-카르보닐아미노 (예, 벤조일아미노, 나프토일아미노 등),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 (예, 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 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 프로폭시카르보닐아미노, 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 등),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술포닐아미노 (예, 메틸술포닐아미노, 에틸술포닐아미노 등),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4 아릴술포닐아미노 (예, 페닐술포닐아미노, 2-나프틸술포닐아미노, 1-나프틸술포닐아미노 등)], 포르밀, 카르복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카르보닐 (예, 아세틸, 프로피오닐, 피발로일 등),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3-8 시클로알킬-카르보닐 (예, 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 시클로펜틸카르보닐, 시클로헥실카르보닐, 1-메틸-시클로헥실-카르보닐 등),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4 아릴-카르보닐 (예, 벤조일, 1-나프토일, 2-나프토일 등),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7-16 아르알킬-카르보닐 (예, 페닐아세틸, 3-페닐프로피오닐 등),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종,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 내지 7원 복소환 카르보닐 (예, 니코테노일, 이소니코테노일, 테노일, 프로일, 모르폴리노카르보닐, 티오모르폴리노카르보닐, 피페라진-1-일카르보닐, 피롤리딘-1-일카르보닐 등), 에스테르화되어 있어도 되는 카르복실,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카르바모일기,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술포닐 (예, 메틸술포닐, 에틸술포닐 등),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술피닐 (예, 메틸술피닐, 에틸술피닐 등),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4 아릴술포닐 (예, 페닐술포닐, 1-나프틸술포닐, 2-나프틸술포닐 등),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4 아릴술피닐 (예, 페닐술피닐, 1-나프틸술피닐, 2-나프틸술피닐 등),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카르보닐옥시 (예, 아세톡시, 프로피오닐옥시 등),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4 아릴-카르보닐옥시 (예, 벤조일옥시, 나프틸카르보닐옥시 등),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콕시-카르보닐옥시 (예, 메톡시카르보닐옥시, 에톡시카르보닐옥시, 프로폭시카르보닐옥시, 부톡시카르보닐옥시 등),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옥시 (예, 메틸카르바모일옥시, 에틸카르바모일옥시 등),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디-C1-6 알킬카르바모일옥시 (예, 디메틸카르바모일옥시, 디에틸카르바모일옥시 등),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모노- 또는 디-C6-14 아릴카르바모일옥시 (예, 페닐카르바모일옥시, 나프틸카르바모일옥시 등),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복소환기, 술포, 술파모일, 술피나모일, 술페나모일, 또는 이것들의 치환기가 2개 이상 (예, 2∼3개) 결합한 기 등에서 선택되는 치환기 (치환기 A 군) 가 사용된다. 치환기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치환 가능한 위치에 1 내지 5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 갖고 있어도 되고, 치환기수가 2개 이상인 경우, 각 치환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된다.
치환기 A 군의「에스테르화되어 있어도 되는 카르복실기」 로는 예를 들어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콕시-카르보닐 (예,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프로폭시카르보닐, tert-부톡시카르보닐 등),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4 아릴옥시-카르보닐 (예, 페녹시카르보닐 등),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7-16 아르알킬옥시-카르보닐 (예, 벤질옥시카르보닐, 페네틸옥시카르보닐 등) 등이 사용된다.
치환기 A 군의「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의 「C1-6 알킬」로는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헥실 등이 사용된다.
치환기 A 군의「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2-6 알케닐」의「C2-6 알케닐」 로는, 예를 들어 비닐, 프로페닐, 이소프로페닐, 2-부텐-1-일, 4-펜텐-1-일, 5-헥센-1-일 등이 사용된다.
치환기 A 군의「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2-6 알키닐」의「C2-6 알키닐」 로는 예를 들어 2-부틴-1-일, 4-펜틴-1-일, 5-헥신-1-일 등이 사용된다.
치환기 A 군의「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3-8 시클로알킬」 의「C3-8 시클로알킬」 로는 예를 들어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등이 사용된다.
치환기 A 군의「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4 아릴」의「C6-14 아릴」 로는, 예를 들어 페닐, 1-나프틸, 2-나프틸, 2-비페닐릴, 3-비페닐릴, 4-비페닐릴, 2-안스릴 등이 사용된다.
치환기 A 군의「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7-16 아르알킬」의 「C7-16 아르알킬」 로는 벤질, 페네틸, 디페닐메틸, 1-나프틸메틸, 2-나프틸메틸, 2,2-디페닐에틸, 3-페닐프로필, 4-페닐부틸, 5-페닐펜틸, 2-비페닐릴메틸, 3-비페닐릴메틸, 4-비페닐릴메틸) 등이 사용된다.
치환기 A 군의「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콕시」의「C1-6 알콕시」 로는 예를 들어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이소부톡시, sec-부톡시, 펜틸옥시, 헥실옥시 등이 사용된다.
치환기 A 군의「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4 아릴옥시」의「C6-14 아릴옥시」 로는 예를 들어, 페닐옥시, 1-나프틸옥시, 2-나프틸옥시 등이 사용된다.
치환기 A 군의「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7-16 아르알킬옥시」의「C7-16 아르알킬옥시」 로는 예를 들어, 벤질옥시, 페네틸옥시 등이 사용된다.
치환기 A 군의「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티오」의 「C1-6 알킬티오」 로는 예를 들어 메틸티오, 에틸티오, 프로필티오, 이소프로필티오, 부틸티오, sec-부틸티오, tert-부틸티오 등이 사용된다.
치환기 A 군의「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4 아릴티오」 의「C6-14 아릴티오」 로는 예를 들어 페닐티오, 1-나프틸티오, 2-나프틸티오 등이 사용된다.
치환기 A 군의「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7-16 아르알킬티오」의「C7-16 아르알킬티오」 로는 예를 들어 벤질티오, 페네틸티오 등이 사용된다.
이들 「C1-6 알콕시-카르보닐」, 「C1-6 알킬기」, 「C2-6 알케닐」, 「C2-6 알키닐」, 「C1-6 알콕시」, 「C1-6 알킬티오」, C1-6 알킬-아미노, C2-6 알케닐-아미노, C2-6 알키닐-아미노, C1-6 알콕시-아미노, 「C1-6 알킬-카르보닐」, 「C1-6 알킬술포닐」, 「C1-6 알킬술피닐」,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6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술포닐아미노」, 「C1-6 알킬-카르보닐옥시」, 「C1-6 알콕시-카르보닐옥시」,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옥시」, 「디-C1-6 알킬카르바모일옥시」의 치환기로서는 예를 들어 할로겐원자 (예,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요오드원자), 카르복시, 히드록시, 아미노, 모노- 또는 디-C1-6 알킬아미노, 모노- 또는 디-C6-14 아릴아미노, C3-8 시클로알킬, C1-6 알콕시, C1-6 알콕시-카르보닐, C1-6 알킬티오, C1-6 알킬술피닐, C1-6 알킬술포닐, 상기한 에스테르화되어 있어도 되는 카르복실, 카르바모일, 티오카르바모일,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 (예, 메틸카르바모일, 에틸카르바모일 등), 디-C1-6 알킬카르바모일 (예, 디메틸카르바모일, 디에틸카르바모일, 에틸메틸카르바모일 등), 모노- 또는 디-C6-14 아릴카르바모일 (예, 페닐카르바모일, 1-나프틸카르바모일, 2-나프틸카르바모일 등),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종,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모노- 또는 디-5 내지 7원 복소환 카르바모일 (예, 2-피리딜카르바모일, 3-피리딜카르바모일, 4-피리딜카르바모일, 2-티에닐카르바모일, 3-티에닐카르바모일 등)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5개의 치환기가 사용된다.
치환기 A 군의 「C6-14 아릴옥시-카르보닐」, 「C7-16 아르알킬옥시-카르보닐」, 「C3-8 시클로알킬」, 「C6-14 아릴」, 「C7-16 아르알킬」, 「C6-14 아릴옥시」, 「C7-16 아르알킬옥시」, 「C6-14 아릴티오」, 「C7-16 아르알킬티오」, C3-8 시클로알킬-아미노, C6-14 아릴-아미노, 「C3-8 시클로알킬-카르보닐」, 「C6-14 아릴-카르보닐」, 「C7-16 아르알킬-카르보닐」,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종,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 내지 7원 복소환 카르보닐」, 「C6-14 아릴술포닐」, 「C6-14 아릴술피닐」,「C3-8 시클로알킬-카르보닐아미노」, 「C6-14 아릴-카르보닐아미노」, 「C6-14 아릴술포닐아미노」, 「C6-14 아릴-카르보닐옥시」, 「모노- 또는 디-C6-14 아릴카르바모일옥시」 의 치환기로는 예를 들어 할로겐원자, 히드록시, 카르복시, 니트로, 시아노, 상기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 상기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2-6 알케닐, 상기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2-6 알키닐, 상기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3-8 시클로알킬, 상기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콕시, 상기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티오, 상기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술피닐, 상기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술포닐, 상기한 에스테르화되어 있어도 되는 카르복실, 카르바모일, 티오카르바모일,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 디-C1-6 알킬카르바모일, 모노- 또는 디-C6-14 아릴카르바모일,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종,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모노- 또는 디-5 내지 7원 복소환 카르바모일 등에서 선택되는 1 내지 5개의 치환기가 사용된다.
치환기 A 군의「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복소환기」 로서는 예를 들어, 할로겐원자, 히드록시, 카르복시, 니트로, 시아노, 상기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 상기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2-6 알케닐, 상기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2-6 알키닐, 상기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3-8 시클로알킬, 상기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4 아릴, 상기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콕시, 상기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티오, 상기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4 아릴티오, 상기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7-16 아르알킬티오, 상기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술피닐, 상기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4 아릴술피닐, 상기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술포닐, 상기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4 아릴술포닐, 상기한 에스테르화되어 있어도 되는 카르복실, 카르바모일, 티오카르바모일,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 디-저급알킬카르바모일, 모노- 또는 디-C6-14 아릴카르바모일,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종,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모노- 또는 디-5 내지 7원 복소환 카르바모일 등으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종,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 내지 14원 (단환, 2환 또는 3환식) 복소환기, 바람직하게는 (i) 5 내지 14원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원) 방향족 복소환기, (ii) 5 내지 10원 비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iii) 7 내지 10원 복소 가교환으로부터 임의의 1개의 수소원자를 제외하고 이루어지는 1가의 기 등이 사용되고, 그 중에서도 5원 방향족 복소환기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티에닐 (예, 2-티에닐, 3-티에닐), 푸릴 (예, 2-푸릴, 3-푸릴), 피리딜 (예, 2-피리딜, 3-피리딜, 4-피리딜), 티아졸릴 (예, 2-티아졸릴, 4-티아졸릴, 5-티아졸릴), 옥사졸릴 (예, 2-옥사졸릴, 4-옥사졸릴), 퀴놀릴 (예, 2-퀴놀릴, 3-퀴놀릴, 4-퀴놀릴, 5-퀴놀릴, 8-퀴놀릴), 이소퀴놀릴 (예, 1-이소퀴놀릴, 3-이소퀴놀릴, 4-이소퀴놀릴, 5-이소퀴놀릴),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예, 2-피리미디닐, 4-피리미디닐), 피롤릴 (예, 1-피롤릴, 2-피롤릴, 3-피롤릴), 이미다졸릴 (예, 1-이미다졸릴, 2-이미다졸릴, 4-이미다졸릴), 피라졸릴 (예, 1-피라졸릴, 3-피라졸릴, 4-피라졸릴), 피리다지닐 (예, 3-피리다지닐, 4-피리다지닐), 이소티아졸릴 (예, 3-이소티아졸릴), 이속사졸릴 (예, 3-이속사졸릴), 인돌릴 (예, 1-인돌릴, 2-인돌릴, 3-인돌릴), 2-벤조티아졸릴, 벤조[b]티에닐, (예, 2-벤조[b]티에닐, 3-벤조[b]티에닐), 벤조[b] 프라닐 (예, 2-벤조[b]프라닐, 3-벤조[b]프라닐) 등의 방향족 복소환기, 예를 들어 피롤리디닐 (예, 1-피롤리디닐, 2-피롤리디닐, 3-피롤리디닐), 옥사졸리디닐 (예, 2-옥사졸리디닐), 이미다졸리닐 (예, 1-이미다졸리닐, 2-이미다졸리닐, 4-이미다졸리닐), 피페리디닐 (예, 1-피페리디닐, 2-피페리디닐, 3-피페리디닐, 4-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예, 1-피페라지닐, 2-피페라지닐), 모르폴리노, 티오모르폴리노 등의 비방향족 복소환기 등이 사용된다.
치환기 A 군의「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카르바모일기」 로는 상기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2-6 알케닐,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2-6 알키닐,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3-8 시클로알킬,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4 아릴,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복소환기 등으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카르바모일기가 사용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카르바모일, 티오카르바모일,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 (예, 메틸카르바모일, 에틸카르바모일 등), 디-C1-6 알킬카르바모일 (예, 디메틸카르바모일, 디에틸카르바모일, 에틸메틸카르바모일 등), C1-6 알킬 (C1-6 알콕시) 카르바모일 (예, 메틸(메톡시)카르바모일, 에틸(메톡시)카르바모일), 모노- 또는 디-C6-14 아릴카르바모일 (예, 페닐카르바모일, 1-나프틸카르바모일, 2-나프틸카르바모일 등),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종,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모노- 또는 디-5 내지 7원 복소환 카르바모일 (예, 2-피리딜카르바모일, 3-피리딜카르바모일, 4-피리딜카르바모일, 2-티에닐카르바모일, 3-티에닐카르바모일 등), 5 내지 7원의 환상카르바모일 (예, 1-피롤리디닐카르보닐, 1-피페리디닐카르보닐, 헥사메틸렌이미노카르보닐) 등이 사용된다.
치환기 A 군의「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아미노」 로는, 상기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 상기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2-6 알케닐, 상기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2-6 알키닐, 상기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3-8 시클로알킬, 상기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4 아릴, 상기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콕시, 포르밀, 상기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카르보닐, 상기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3-8 시클로알킬-카르보닐, 상기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4 아릴-카르보닐, 상기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콕시-카르보닐, 상기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술포닐,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4 아릴술포닐) 등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아미노가 사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C6-12 방향족 탄화수소기」, 「1 내지 7개의 탄소원자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로 이루어지는 5 내지 14원 방향족 복소환기」, 「C8-14 방향족 축합환기」, 「3 내지 11개의 탄소원자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로 이루어지는 5 내지 14원 방향족 축합 복소환기」, 「탄소수 7 이하의 비방향성 환상 탄화수소기」및「탄소수 7 이하의 비방향성 복소환기」의 치환기로는 할로겐원자, 히드록시, C1-6 알콕시, 할로겐화되어 있어도 되는 C1-6 알킬, 할로겐화되어 있어도 되는 C1-6 알콕시, 아미노, 니트로, 시아노 등이 바람직하다.
R4 로는 예를 들어,
(1) 벤질, 2-플루오로벤질, 3-플루오로벤질, 4-플루오로벤질, 4-클로로벤질, 3,4-디플루오로벤질, 3,4-디클로로벤질, 펜타플루오로벤질, 4-히드록시벤질, 4-메톡시벤질, 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 4-아미노벤질, 4-니트로벤질, 4-시아노벤질, 페네틸 등의「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2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갖고 있는 C1-4 알킬기」,
(2) 2-피리딜메틸, 3-피리딜메틸, 4-피리딜메틸, 2-티에닐메틸, 3-티에닐메틸, 4-티아졸릴메틸 등의「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1 내지 7개의 탄소원자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로 이루어지는 5 내지 14원 방향족 복소환기를 갖고 있는 C1-4 알킬기」,
(3) l-나프틸메틸, 2-나프틸메틸, 인덴-2-일메틸 등의「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8-14 방향족 축합환기를 갖고 있는 C1-4 알킬기」,
(4) 3-인돌메틸, 1-포르밀인돌-3-일메틸, 3-벤조[b]티에닐메틸, 2-퀴놀릴메틸 등의「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3 내지 11개의 탄소원자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로 이루어지는 5 내지 14원 방향족 축합 복소환기를 갖는 C1-4 알킬기」,
(5) 시클로헥실메틸, 시클로펜틸메틸, 인단-2-일메틸 등의「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탄소수 7 이하의 비방향성 환상 탄화수소기를 갖는 C1-4 알킬기」,
(6) 4-피페리디닐메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테트라히드로푸란-2-일, 테트라히드로피란-3-일, 인돌린-3-일 등의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탄소수 7 이하의 비방향성 복소환기를 갖는 C1-4 알킬기」 등이 사용되고, 그 중에서도 벤질, 2-플루오로벤질, 3-플루오로벤질, 4-플루오로벤질, 4-히드록시벤질, 4-아미노벤질, 4-니트로벤질, 4-클로로벤질, 4-메톡시벤질, 4-시아노벤질, 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 3,4-디클로로벤질, 3,4-디플루오로벤질, 펜타플루오로벤질, 3-피리딜메틸, 4-피리딜메틸, 3-인돌메틸, 1-포르밀인돌-3-일메틸, 3-벤조[b]티에닐메틸, 2-퀴놀릴메틸, 1-나프틸메틸, 2-나프틸메틸, 시클로헥실메틸, 페네틸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벤질, 2-플루오로벤질, 3-플루오로벤질, 4-플루오로벤질, 4-히드록시벤질, 4-아미노벤질, 4-니트로벤질, 4-클로로벤질, 4-메톡시벤질, 4-시아노벤질, 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 3,4-디클로로벤질, 3,4-디플루오로벤질, 펜타플루오로벤질, 3-피리딜메틸, 4-피리딜메틸, 3-인돌메틸, 3-벤조[b]티에닐메틸, 1-나프틸메틸, 2-나프틸메틸, 시클로헥실메틸 등이 바람직하다.
X 는 식
-NHCH (Q1)YQ2C(=Z9)-
(식 중, 각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낸다.
Q1 은 (1)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2 방향족 탄화수소기,
(2)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1 내지 7개의 탄소원자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로 이루어지는 5 내지 14원 방향족 복소환기,
(3)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8-14 방향족 축합환기,
(4)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3 내지 11개의 탄소원자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로 이루어지는 5 내지 14원 방향족 축합 복소환기,
(5)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탄소수 7 이하의 비방향성 환상 탄화수소기, 및
(6)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탄소수 7 이하의 비방향성 복소환기,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4 알킬기를 나타내고, R4 와 동일한 것이 사용된다.
Q1 로는,
(1) 벤질, 2-플루오로벤질, 3-플루오로벤질, 4-플루오로벤질, 4-클로로벤질, 3,4-디플루오로벤질, 3,4-디클로로벤질, 펜타플루오로벤질, 4-히드록시벤질, 4-메톡시벤질, 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 4-아미노벤질, 4-니트로벤질, 4-시아노벤질, 페네틸 등의「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2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갖고 있는 C1-4 알킬기」,
(2) 2-피리딜메틸, 3-피리딜메틸, 4-피리딜메틸, 2-티에닐메틸, 3-티에닐메틸, 4-티아졸릴메틸 등의「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1 내지 7개의 탄소원자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로 이루어지는 5 내지 14원 방향족 복소환기를 갖고 있는 C1-4 알킬기」,
(3) 1-나프틸메틸, 2-나프틸메틸, 인덴-2-일메틸 등의「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8-14 방향족 축합환기를 갖고 있는 C1-4 알킬기」,
(4) 3-인돌메틸, 1-포르밀인돌-3-일메틸, 3-벤조[b]티에닐메틸, 2-퀴놀릴메틸 등의「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3 내지 11개의 탄소원자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로 이루어지는 5 내지 14원 방향족 축합 복소환기를 갖는 C1-4 알킬기」,
(5) 시클로헥실메틸, 시클로펜틸메틸, 인단-2-일메틸 등의「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탄소수 7 이하의 비방향성 환상 탄화수소기를 갖는 C1-4 알킬기」,
(6) 4-피페리디닐메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테트라히드로푸란-2-일, 테트라히드로피란-3-일, 인돌린-3-일 등의「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탄소수 7 이하의 비방향성 복소환기를 갖는 C1-4 알킬기」 등이 사용되고, 그 중에서도 시클로헥실메틸, 벤질, 4-플루오로벤질, 4-히드록시벤질, 펜타플루오로벤질, 2-피리딜메틸, 4-피리딜메틸, 1-나프틸메틸, 2-나프틸메틸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벤질, 4-플루오로벤질, 시클로헥실메틸 등이 바람직하다.
Q2 는 (1) 카르바모일기 및 히드록시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4 알킬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H2, (2) 카르바모일기 및 히드록시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4 알킬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NH 또는 (3) O 를 나타낸다.
「C1-4 알킬기」 로는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등이 사용된다.
Q2 로는 CH2, CH(CH3), CH(CH2OH), NH 등이 바람직하다.
Y 는 C1-6 알킬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식 -CONH-, -CSNH-, -CH2NH-, -NHCO-, -CH2O-, -CH2S- 또는 -CH2CH2- 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낸다.
「C1-6 알킬기」 로는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헥실 등이 사용된다.
Y 로는 식 -CONH-, -CSNH-, -NHCO-, -CH2NH- 로 표시되는 기가 바람직하다.
Z9 는 수소원자, O 또는 S 를 나타내고, 그 중에서도 O, S 가 바람직하다.
P 는 (1) 수소원자,
(2) 서열번호:1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 (인간 메타스틴의 54 아미노산 잔기) 의 제1∼48번째의 아미노산 서열의 C 말단측으로부터 임의의 연속되었거나 불연속으로 결합된 아미노산 잔기,
(3) 식 J1-J2-C(J3)(Q3)YlC(J4)(Q4)Y2C(J5)(Q5)Y3C(J6)(Q6)C(=Z10)-
(식 중, 각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기,
(4) 식 -J1-J2-C(J7)(Q7)Y2C(J8)(Q8)Y3C(J9)(Q9)C(=Z10)-
(식 중, 각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기,
(5) 식 J1-J2-C(J10)(Q10)Y3C(J11)(Q11)C(=Z10)-
(식 중, 각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기,
(6) 식 J1-J2-C(J12)(Q12)C(=Z10)-
(식 중, 각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기, 또는
(7) 식 J1- (J1 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낸다.
「서열번호:1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제1∼48번째의 아미노산 서열의 C 말단측으로부터 임의의 연속되었거나 불연속으로 결합된 아미노산 잔기」 로는 구체적으로는,
등이 사용된다.
J1 은, (a) 수소원자 또는 (b) 치환기를 갖고 있을 수 있는 환기를 포함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i) C1-15 아실기, (ii) C1-15 알킬기, (iii) C6-14 아릴기, (iv) 카르바모일기, (v) 카르복실기, (vi) 술피노기, (vii) 아미디노기, 또는 (viii) 글리옥시로일기를 나타낸다.
「환기」 로는 예를 들어,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방향족 복소환기」,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방향족 축합환기」,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방향족 축합 복소환기」,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비방향성 환상 탄화수소기」,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비방향성 복소환기」 등이 사용되고, 「방향족 탄화수소기」,「방향족 복소환기」, 「방향족 축합환기」, 「방향족 축합 복소환기」 로는 상기와 동일한 것이 사용된다.
「비방향성 환상 탄화수소기」 로는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등의 C3-8 시클로알킬기 등이 사용된다.
「비방향성 복소환기」 로는 피롤리디닐 (예, 1-피롤리디닐, 2-피롤리디닐, 3-피롤리디닐), 옥사졸리디닐 (예, 2-옥사졸리디닐), 이미다졸리닐 (예, 1-이미다졸리닐, 2-이미다졸리닐, 4-이미다졸리닐), 피페리디닐 (예, 1-피페리디닐, 2-피페리디닐, 3-피페리디닐, 4-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예, 1-피페라지닐, 2-피페라지닐), 모르폴리노, 티오모르폴리노 등의 1 내지 7개의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종,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 내지 10원의 비방향성 복소환기 등이 사용된다.
「환기」가 갖고 있을 수 있는 치환기로는 상기한 치환기 A 군의 치환기와 동일한 것이 사용된다.
「C1-15 아실기」로는 예를 들어, 포르밀, C1-14 알킬-카르보닐 (예, 아세틸, 프로피오닐, 피발로일 등등의 C1-6 알킬-카르보닐) 등이 사용된다.
「C1-15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헥실, 헵틸, 옥틸, 노나닐, 데카닐 등이 사용된다.
「C6-14 아릴기」 로는 예를 들어, 페닐, 1-나프틸, 2-나프틸, 비페닐 등이 사용된다.
(1) 환기를 포함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15 아실기로는 (i) 포르밀, (ii) C1-14 알킬-카르보닐 (예, 아세틸, 프로피오닐, 피발로일 등등의 C1-6 알킬-카르보닐), (iii) C3-8 시클로알킬-카르보닐 (예, 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 시클로펜틸카르보닐, 시클로헥실카르보닐, 1-메틸시클로헥실카르보닐 등), (iv) C3-8 시클로알킬-C1-6 알킬-카르보닐 (예를 들어, 시클로프로필아세틸, 시클로펜틸아세틸, 시클로헥실아세틸 등) (v) C6-14 아릴-카르보닐 (예, 벤조일, 1-나프토일, 2-나프토일 등), C6-14 아르알킬-카르보닐 (예, 페닐아세틸, 3-페닐프로피오닐 등), (vi)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종,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 내지 7원의 단환식 복소환 카르보닐 (예, 니코테노일, 이소니코테노일, 테노일, 프로일, 모르폴리노카르보닐, 티오모르폴리노카르보닐, 피페라진-1-일카르보닐, 피롤리딘-1-일카르보닐 등), (vii)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종,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 내지 7원의 단환식 복소환-C1-6 알킬카르보닐 (예, 3-피리딜아세틸, 4-피리딜아세틸, 2-티에닐아세틸, 2-푸릴아세틸, 모르폴리노아세틸, 티오모르폴리노아세틸, 피페리딘-2-아세틸, 피롤리딘-2-일아세틸 등), (viii) 3 내지 11개의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종,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 내지 14원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원) 의 2환 또는 3환식의 방향족 복소환 카르보닐 (예를 들어, 2-인돌카르보닐, 3-인돌카르보닐, 2-퀴놀릴카르보닐, 1-이소퀴놀릴카르보닐, 2-벤조[b]티에닐카르보닐, 2-벤조[b]프라닐카르보닐 등), (ix) 3 내지 11개의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종,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 내지 14원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원) 의 2환 또는 3환식의 방향족 복소환-C1-6 알킬카르보닐 (예를 들어, 2-인돌아세틸, 3-인돌아세틸, 2-퀴놀릴아세틸, 1-이소퀴놀릴아세틸, 2-벤조[b]티에닐아세틸, 2-벤조[b]프라닐아세틸 등) 등이 사용되고, 그 중에서도 아세틸, 2-인돌카르보닐, 3-인돌카르보닐, 3-인돌아세틸, 3-인돌프로피오닐, 2-인돌린카르보닐, 3-페닐프로피오닐, 디페닐아세틸, 2-피리딘카르보닐, 3-피리딘카르보닐, 4-피리딘카르보닐, 1-피리디니오아세틸, 2-피리딘아세틸, 3-피리딘아세틸, 4-피리딘아세틸, 3-(1-피리디니오)프로피오닐, 3-(피리딘-2-일)프로피오닐, 3-(피리딘-3-일)프로피오닐, 3-(피리딘-4-일)프로피오닐, 4-이미다졸아세틸, 시클로헥산카르보닐, 1-피페리딘아세틸, 1-메틸-1-피페리디니오아세틸, 4-피페리딘카르보닐, 2-피리미딘카르보닐, 4-피리미딘카르보닐, 5-피리미딘카르보닐, 2-피리미딘아세틸, 4-피리미딘아세틸, 5-피리미딘아세틸, 3-(피리미딘-2-일)프로피오닐, 3-(피리미딘-4-일)프로피오닐, 3-(피리미딘-5-일)프로피오닐, 부타노일, 헥사노일, 옥타노일, D-글루크로닐, 아미노-(4-히드록시페닐)아세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2) 환기를 포함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15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i) 모노- 또는 디-C1-15 알킬 (예,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헥실, 헵틸, 옥틸, 노나닐, 데카닐), (ii) 모노- 또는 디-C3-8 시클로알킬 (예, 시클로프로필, 시클로펜틸 등), (iii) 모노- 또는 디-C3-8 시클로알킬-C1-7 알킬 (예를 들어, 시클로프로필메틸, 시클로펜틸메틸, 시클로헥실에틸 등), (iv) 모노- 또는 디-C7-15 아르알킬 (예, 벤질, 페네틸 등), (v)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종,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모노- 또는 디-5 내지 7원의 단환식 복소환-C1-6 알킬기 (예, 3-피리딜메틸, 4-피리딜메틸, 2-티에닐메틸, 푸르푸릴 등), (vi) 3 내지 11개의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종,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모노- 또는 디-5 내지 14원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원) 의 2환 또는 3환식의 방향족 복소환-C1-6 알킬기 (예를 들어, 2-인돌메틸, 3-인돌메틸, 3-(인돌-3-일)프로필, 2-퀴놀릴메틸, 1-이소퀴놀릴메틸, 2-벤조[b]티에닐메틸, 2-벤조[b]프라닐메틸 등) 등이 사용되고, 그 중에서도 메틸, 에틸, 벤질, 3-(인돌-3-일)프로필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3) 환기를 포함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4 아릴기로서는 예를 들어 (i) C6-14 탄소환기 (예, 시클로알킬, 페닐, 1-나프틸, 2-나프틸 등), (ii)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종,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 내지 7원의 단환식 복소환기 (예, 3-피리딜, 2-티에닐 등), (iii) 3 내지 11개의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종,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 내지 14원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원) 의 2환 또는 3환식의 방향족 복소환기 (예를 들어, 2-인돌릴, 3-인돌릴, 2-퀴놀릴, 1-이소퀴놀릴, 2-벤조[b]티에닐, 2-벤조[b]프라닐 등) 등으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4 아릴기 (예, 페닐, 나프틸, 비페닐) 등이 사용된다.
(4) 환기를 포함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카르바모일기로는 (i) 카르바모일, (ii) 모노- 또는 디-C1-15 알킬카르바모일기 (예, 메틸카르바모일, 에틸카르바모일, (iii) 모노- 또는 디-C3-8 시클로알킬-카르바모일 (예, 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 시클로펜틸카르바모일, 시클로헥실카르바모일 등), (iv) 모노- 또는 디-C3-8 시클로알킬-C1-6 알킬-카르바모일 (예를 들어, 시클로프로필메틸카르바모일, 시클로펜틸메틸카르바모일, 2-시클로헥실에틸카르바모일 등) (v) 모노- 또는 디-C6-14 아릴-카르바모일 (예, 페닐카르바모일 등), 모노- 또는 디-C6-14 아르알킬-카르바모일 (예, 벤질카르바모일, 페네틸카르바모일 등), (vi)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종,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모노- 또는 디-5 내지 7원의 단환식 복소환 카르바모일 (예, 3-피리딘카르바모일, 2-티오펜카르바모일, 피페리딘-3-일카르바모일 등), (vii)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종,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모노- 또는 디-5 내지 7원의 단환식 복소환-C1-6 알킬카르바모일 (예, 3-피리딜메틸카르바모일, 2-(피리딘-2-일)에틸카르바모일, 2-(피페리딘-1-일)에틸카르바모일 등), (viii) 3 내지 11개의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종,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모노- 또는 디-5 내지 14원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원) 의 2환 또는 3환식의 방향족 복소환 카르바모일 (예, 4-인돌카르바모일, 5-인돌카르바모일, 3-퀴놀릴카르바모일, 5-퀴놀릴카르바모일 등), (ix) 3 내지 11개의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종,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모노- 또는 디-5 내지 14원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원) 의 2환 또는 3환식의 방향족 복소환-C1-6 알킬카르보닐 (예, 벤즈이미다졸-2-일메틸카르바모일, 2-(인돌-3-일)에틸카르바모일 등), (x) 5 내지 7원의 환상 카르바모일 (예, 1-피롤리디닐카르보닐, 1-피페리디닐카르보닐, 헥사메틸렌이미노카르보닐 등) (xi) C1-15 아실카르바모일 (여기서 말하는 C1-15 아실은「환기를 포함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15 아실기」 의 「C1-15 아실기」 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xii) C1-15 알킬아미노카르바모일 (여기서 말하는 C1-15 알킬은「환기를 포함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15 알킬기」의「C1-15 알킬기」 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xiii) C6-14 아릴아미노카르바모일 (여기서 말하는 C6-14 아릴은「환기를 포함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4 아릴기」의「C6-14 아릴기」 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등이 사용되고, 그 중에서도 2-(인돌-3-일)에틸카르바모일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5) 환기를 포함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카르복실기로는, (i) C1-15 알킬옥시카르보닐 (여기서 말하는 C1-15 알킬은「환기를 포함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15 알킬기」의「C1-15 알킬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예, tert-부틸옥시카르보닐, 벤질옥시카르보닐, 9-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 (ii) C6-14 아릴옥시카르보닐 (여기서 말하는 C6-14 아릴은「환기를 포함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4 아릴기」의「C6-14 아릴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예, 페녹시카르보닐) 등이 사용된다.
(6) 환기를 포함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술피노기로는, (i) C1-15 알킬술포닐 (여기서 말하는 C1-15 알킬은「환기를 포함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15 알킬기」의「C1-15 알킬기」 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예, 벤질술포닐), (ii) C6-14 아릴술포닐 (여기서 말하는 C6-14 아릴은「환기를 포함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4 아릴기」의「C6-14 아릴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예, 토실) 등이 사용된다.
(7) 환기를 포함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아미디노기로는, (i) 아미디노, (ii) C1-15 알킬아미디노 (여기서 말하는 C1-15 알킬은「환기를 포함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15 알킬기」의「C1-15 알킬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예, N-메틸아미디노), (iii) C1-15 아실아미디노 (여기서 말하는 C1-15 아실은「환기를 포함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15 아실기」의「C1-15 아실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예, N-아세틸아미디노) 등이 사용된다.
(8) 환기를 포함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글리옥시로일기로는 (i) C1-15 알킬옥사릴 (여기서 말하는 C1-15 알킬은「환기를 포함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15 알킬기」의「C1-15 알킬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예, 에틸옥사릴), (ii) C6-14 아릴옥사릴 (여기서 말하는 C6-14 아릴은「환기를 포함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4 아릴기」의「C6-14 아릴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예, 페닐옥사릴) 등이 사용된다.
상기한 것 중에서도, J1 로는 수소원자, 아세틸, 3-인돌카르보닐, 3-(인돌-3-일)프로피오닐, 3-페닐프로피오닐, 디페닐아세틸, 3-(피리딘-3-일)프로피오닐, 4-이미다졸아세틸, 시클로헥산카르보닐, 1-피페리딘아세틸, 1-메틸-1-피페리디니오아세틸, 4-피페리딘카르보닐, 헥사노일, 아미노-(4-히드록시페닐)아세틸, D-글루크로닐, 2-(인돌-3-일)에틸카르바모일, tert-부틸옥시카르보닐, 9-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 아미디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그 중에서도 수소원자, 아세틸, 3-인돌카르보닐, 3-(인돌-3-일)프로피오닐, 3-페닐프로피오닐, 3-(피리딘-3-일)프로피오닐, 4-이미다졸아세틸, 시클로헥산카르보닐, 헥사노일, 아미노-(4-히드록시페닐)아세틸, 2-(인돌-3-일)에틸카르바모일, 9-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 아미디노 등이 바람직하다.
J2 는 (1) C1-6 알킬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NH, (2) C1-6 알킬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H2, (3) O 또는 (4) S 를 나타낸다.
「C1-6 알킬기」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헥실 등이 사용된다.
J2 로는 NH 가 바람직하다.
J3∼J12 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C1-3 알킬기를 나타낸다.
「C1-3 알킬기」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이 사용된다.
J3 으로는 수소원자가 바람직하다.
J4 로는 수소원자가 바람직하다.
J5 로는 수소원자가 바람직하다.
J6 으로는 수소원자가 바람직하다.
J7 로는 수소원자가 바람직하다.
J8 로는 수소원자가 바람직하다.
J9 로는 수소원자가 바람직하다.
J10 으로는 수소원자가 바람직하다.
J11 로는 수소원자가 바람직하다.
J12 로는 수소원자가 바람직하다.
Q3∼Q12 는 각각,
(1)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2 방향족 탄화수소기,
(2)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1 내지 7개의 탄소원자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 원자로 이루어지는 5 내지 14원 방향족 복소환기,
(3)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8-14 방향족 축합환기,
(4)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3 내지 11개의 탄소원자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로 이루어지는 5 내지 14원 방향족 축합 복소환기,
(5)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탄소수 7 이하의 비방향성 환상 탄화수소기,
(6)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탄소수 7 이하의 비방향성 복소환기,
(7)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아미노기,
(8)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구아니디노기,
(9)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히드록실기,
(10)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카르복실기,
(11)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카르바모일기, 및
(12)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술프히드릴기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를 갖고 있을 수 있는 C1-4 알킬기를 나타낸다.
특히, Q3∼Q6 으로는,
(1)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2 방향족 탄화수소기,
(2)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1 내지 7개의 탄소원자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로 이루어지는 5 내지 14원 방향족 복소환기,
(3)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8-14 방향족 축합환기,
(4)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3 내지 11개의 탄소원자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로 이루어지는 5 내지 14원 방향족 축합 복소환기,
(5)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탄소수 7 이하의 비방향성 환상 탄화수소기,
(6)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탄소수 7 이하의 비방향성 복소환기,
(7)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아미노기,
(8)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구아니디노기,
(9)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히드록실기,
(10)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카르복실기,
(11)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카르바모일기, 및
(12)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술프히드릴기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를 갖는 C1-4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2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1 내지 7개의 탄소원자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로 이루어지는 5 내지 14원 방향족 복소환기」,「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8-14 방향족 축합환기」,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3 내지 11개의 탄소원자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로 이루어지는 5 내지 14원 방향족 축합 복소환기」,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탄소수 7 이하의 비방향성 환상 탄화수소기」및「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탄소수 7 이하의 비방향성 복소환기」 로는 상기와 동일한 것이 사용된다.
(1)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6-12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갖고 있는 C1-4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벤질, 4-히드록시벤질, 2-클로로벤질, 3-클로로벤질, 4-클로로벤질, 4-아미노벤질 등이 사용된다.
(2)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1 내지 7개의 탄소원자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로 이루어지는 5 내지 14원 방향족 복소환기를 갖고 있는 C1-4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2-피리딜메틸, 3-피리딜메틸, 4-피리딜메틸, 4-이미다졸메틸 등이 사용된다.
(3)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8-14 방향족 축합환기를 갖고 있는 C1-4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1-나프틸메틸, 2-나프틸메틸 등이 사용된다.
(4)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3 내지 11개의 탄소원자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로 이루어지는 5 내지 14원 방향족 축합 복소환기를 갖고 있는 C1-4 킬기로는 예를 들어, 3-인돌메틸, 1-포르밀인돌-3-일메틸, 2-퀴놀릴메틸 등이 사용된다.
(5)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탄소수 7 이하의 비방향성 환상 탄화수소기를 갖고 있는 C1-4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시클로헥실메틸 등이 사용된다.
(6)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탄소수 7 이하의 비방향성 복소환기를 갖고 있는 C1-4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피페리딘-1-일메틸 등이 사용된다.
(7)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아미노기를 갖고 있는 C1-4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2-아미노에틸, 3-아미노프로필, 4-아미노부틸, 4-아세트아미드부틸 등이 사용된다.
(8)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구아니디노기를 갖고 있는 C1-4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3-구아니디노프로필, 3-(N-토실)구아니디노프로필 등이 사용된다.
(9)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히드록실기를 갖고 있는 C1-4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히드록시메틸, 1-히드록시에틸, 벤질옥시메틸 등이 사용된다.
(10)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카르복실기를 갖고 있는 C1-4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실메틸, 2-카르복실에틸, 벤질옥시카르보닐메틸 등이 사용된다.
(11)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카르바모일기를 갖고 있는 C1-4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카르바모일메틸, 2-카르바모일에틸, 크산틸카르바모일 등이 사용된다.
(12) 치환되어도 되는 술프히드릴기를 갖고 있는 C1-4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술프히드릴메틸, 2-(메틸술프히드릴)에틸 등이 사용된다.
(13) 무치환의 C1-4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등이 사용된다.
Q3 으로는 4-히드록시벤질, 3-피리딜메틸, 4-피리딜메틸, 메틸, 이소부틸, 히드록시메틸, 카르복시메틸, 4-아미노부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특히, 4-히드록시벤질, 3-피리딜메틸, 4-피리딜메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Q4 로는 카르바모일메틸, 2-카르바모일에틸, 4-히드록시벤질, 4-이미다졸메틸, 이소부틸, 히드록시메틸, 1-히드록시에틸, 카르복시메틸, 4-아미노부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특히, 카르바모일메틸, 2-카르바모일에틸, 4-히드록시벤질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Q5 로는 벤질, 2-클로로벤질, 3-클로로벤질, 4-클로로벤질, 4-아미노벤질, 2-피리딜메틸, 3-피리딜메틸, 4-피리딜메틸, 1-나프틸메틸, 2-나프틸메틸, 3-인돌메틸, 1-포르밀인돌-3-일메틸, 2-퀴놀릴메틸, 시클로헥실메틸, 히드록시메틸, 1-히드록시에틸, 메틸,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sec-부틸, 카르복시메틸, 4-아미노부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특히, 벤질, 2-클로로벤질, 3-클로로벤질, 4-클로로벤질, 4-아미노벤질, 2-피리딜메틸, 3-피리딜메틸, 4-피리딜메틸, 1-나프틸메틸, 2-나프틸메틸, 3-인돌메틸, 2-퀴놀릴메틸, 시클로헥실메틸, 1-히드록시에틸,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sec-부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Q6 으로는 메틸, 히드록시메틸, 1-히드록시에틸, 카르바모일메틸, 2-카르바모일에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특히, 카르바모일메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Q7 로는 4-히드록시벤질, 카르바모일메틸, 3-피리딜메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특히 4-히드록시벤질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Q8 로는 벤질, 4-피리딜메틸, 2-나프틸메틸, 3-인돌메틸, 히드록시메틸, 시클로헥실메틸, sec∼부틸, 1-히드록시에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특히, 4-피리딜메틸, 3-인돌메틸, sec-부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Q9 로는 카르바모일메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Q10 으로는 4-히드록시벤질, 3-인돌메틸, 메틸, 1-히드록시에틸, 3-구아니디노프로필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특히, 3-인돌메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Q11 로는 카르바모일메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Q12 로는 카르바모일메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yl∼Y3 은 각각 식 -CON(J13)-, -CSN(J13)-, -C(J14)N(J13)- 또는 -N(J13)CO-(J13 및 J14 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C1-3 알킬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낸다.
J13 및 J14 로 표시되는 C1-3 알킬기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이 사용된다.
J13 으로는 수소원자가 바람직하다.
J14 로는 수소원자가 바람직하다.
Yl 로는 식 -CONH-, 또는 -CH2NH- 로 표시되는 기 등이 바람직하다.
Y2 로는 식 -CONH-, 또는 -CH2NH- 로 표시되는 기 등이 바람직하다.
Y3 으로는 식 -CONH- 로 표시되는 기 등이 바람직하다.
J9 와 Q3, J4 와 Q4, J5 와 Q5, J6 과 Q6, J7 과 Q7, J8 과 Q8, J9 와 Q9, J10 과 Q10, J11 과 Q11, J12 와 Q12 가 결합함으로써 환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C(J3)(Q3), C(J4)(Q4), C(J5)(Q5), C(J6)(Q6), C(J7)(Q7), C(J8)(Q8), C(J9)(Q9), C(J10)(Q10), C(J11)(Q11) 또는 C(J12)(Q12) 로, 예를 들어, 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피페리딘 등을 형성한다.
J2 와 Q3, Yl 과 Q4, Y2 와 Q5, Y3 과 Q6, J2 와 Q7, Y2 와 Q8, Y3 과 Q9, J2 와 Q10, Y3 과 Q11, J2 와 Q12 가 결합함으로써 환을 형성할 수 있다.
J2 와 Q3, J2 와 Q7, J2 와 Q10, J2 와 Q12 가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는 경우, J2-C(J3)(Q3), J2-C(J7)(Q7), J2-C(J10)(Q10), J2-C(J12)(Q12) 로, 예를 들어, 피롤리딘, 피페리딘, 티아졸리딘을 형성한다.
Yl 과 Q4, Y2 와 Q5, Y3 과 Q6, Y2 와 Q8, Y3 과 Q9, Y3 과 Q11 이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는 경우, YlC(J4)(Q4), Y2C(J5)(Q5), Y3C(J6)(Q6), Y2C(J8)(Q8), Y3C(J9)(Q9), Y3C(J11)(Q11) 로, 예를 들어, 피롤리딘-2-카르보닐, 피페리딘-2-카르보닐, 티아졸리딘-4-카르보닐을 형성한다.
식 J1-J2-C(J3)(Q3)ylC(J4)(Q4)Y2C(J5)(Q5)Y3C(J6)(Q6)C(=Z10)- 로 표시되는 기로는 예를 들어,
등이 바람직하다.
식 J1-J2-C(J7)(Q7)Y2C(J8)(Q8)Y3C(J9)(Q9)C(=Z10)- 로 표시되는 기로는 예를 들어,
등이 바람직하다.
식 J1-J2-C(J10)(Q10)Y3C(J11)(Q11)C(=Z10)- 로 표시되는 기로는 예를 들어,
Fmoc Trp Asn-,
Boc Tyr Asn-,
Tyr Asn-,
D-Trp Asn-,
Ac Trp Asn-,
아미디노 Trp Asn-,
Ac Ala Asn-,
Ac Arg Asn-,
Ac Thr Asn- 등이 바람직하다.
식 J1-J2-C(J12)(Q12)C(=Z10)- 로 표시되는 기로는,
Fmoc Asn-,
3-(인돌-3-일)프로피오닐 Asn-,
3-인돌카르보닐 Asn-,
3-인돌아세틸 Asn-,
4-(인돌-3-일)부티릴 Asn-,
디페닐아세틸 Asn-,
헥사노일 Asn-,
시클로헥산카보닐 Asn-,
2-(인돌-3-일)에틸카바모일 Asn-,
3-피리딜프로피오닐 Asn-,
4-이미다졸아세틸 Asn-,
피페리딘카르보닐 Asn-,
1-피페리딘아세틸 Asn-,
1-메틸-1-피페리디니오아세틸 Asn-,
1-피리디니오아세틸 Asn-,
D-글루크로닐(Glucronyl) Asn- 등이 바람직하다.
식 J1- 로 표시되는 기로는 예를 들어, 수소원자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로는, 상기한 각 기호의 기를 임의로 조합한 모든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되지만, 그 중에서도 이하의 화합물번호로 나타내는 화합물 (표1∼11) 이 바람직하다.
MS10:Tyr-Asn-Trp-Asn-Ser-Phe-Gly-Leu-Arg-Phe-NH2
1 2 3 4 5 6 7 8 9 10
다만, 본 발명의 메타스틴 유도체 (I) 는, 서열번호:1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제1∼54번째 (화합물번호 1), 제2∼54번째, 제3∼54번째, 제4∼54번째, 제5∼54번째, 제6∼54번째, 제7∼54번째, 제8∼54번째, 제9∼54번째, 제10∼54번째, 제11∼54번째, 제12∼54번째, 제13∼54번째, 제14∼54번째, 제15∼54번째, 제16∼54번째, 제17∼54번째, 제18∼54번째, 제19∼54번째, 제20∼54번째, 제21∼54번째, 제22∼54번째, 제23∼54번째, 제24∼54번째, 제25∼54번째, 제26∼54번째, 제27∼54번째, 제28∼54번째, 제29∼54번째, 제30∼54번째, 제31∼54번째, 제32∼54번째, 제33∼54번째, 제34∼54번째, 제35∼54번째, 제36∼54번째, 제37∼54번째, 제38∼54번째, 제39∼54번째, 제40∼54번째 (화합물번호 2), 제41∼54번째, 제42∼54번째 (화합물번호 32), 제43∼54번째, 제44∼54번째, 제45∼54번째 (화합물번호 3), 제46∼54번째 (화합물번호 4), 제47∼54번째, 제48∼54번째 또는 제49∼54번째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천연형의 인간·메타스틴 또는 그 부분 펩티드) 를 포함하지 않는다.
실시예1 (합성법 A):[Hph10]MS10 (화합물번호 79) 의 제조
시판되는 PAL 레진 (resin) 에 Fmoc-Hph 를 도입함으로써 조제한 Fmoc-Hph-PAL 레진 (sub.0.39m㏖/g) 51㎎ 을 사용하여, 멀티펩티드 신시사이저 ACT-396 에 의해 펩티드 사슬을 신장하여, Tyr(But)Asn(Trt)Trp(Boc)Asn(Trt)Ser(But)PheGlyLeuArg(Pbf)Hph-PAL 레진을 얻었다. 그 중, 18.2㎎ 에 TFA/PhSMe/m-크레졸/TIS/EDT (85/5/5/2.5/2.5) 200μL 을 더하여 2시간 진탕하였다. 반응용액에 디에틸에테르를 더하여 침전을 얻어,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제거하는 조작을 반복 세정을 실행하고, 잔류물을 아세트산 수용액으로 추출, 여과에 의해 수지를 제거한 후, YMC D-ODS-5-ST S-5 120A 칼럼 (20x150㎜) 을 사용한 분취 HPLC 로, A액:0.1% TFA-물, B액:0.1% TFA 함유 아세토니트릴에 의한 A/B:73/27∼63/37 로의 직선형 농도 구배 용출 (30분) 을 실행하여, 목적물을 포함하는 획분을 모아 동결건조시켜 백색분말 2.6㎎ 을 얻었다.
질량분석에 의한 (M+H)+ 1316.5 (계산치1316.7)
HPLC 용출시간: 20.6분
용출조건
칼럼: Wakosi1-II 5C18 HG (4.6x100㎜)
용리액: A액:0.1% TFA-물, B액:0.1% TFA 함유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고, A/B:100/0∼30/70 으로. 직선형 농도 구배 용출 (35분).
유속:1.0㎖/분
실시예2 (합성법 B):[Trp(For)10]MS10 (화합물번호 186) 의 제조법
시판 2-클로로트리틸클로라이드 레진 (Clt 레진, 1.33m㏖/g) 에 Fmoc-Arg(Pbf)-OH 를 도입한 Fmoc-Arg(Pbf)-0-Clt 레진 (sub.0.33m㏖/g) 379㎎ 을 사용하여, ABI 433A 를 사용하여 펩티드 사슬을 신장하여, Boc-Tyr(But)Asn(Trt)Trp(Boc)Asn(Trt)Ser(But)PheGlyLeuArg(Pbf)-O-Clt 레진을 540㎎ 얻었다. 그 중 270㎎ 에 AcOH/TFE/DCM (1/1/8) 10mL 을 더하여, 30분 진탕하였다. 수지를 여과 제거후 용매를 농축하고, AcOEt 에 용해 후, 포화 NaCl 용액 로 세정하였다. Na2SO4 로 건조 후 용매를 농축하여, 디에틸에테르·석유 에테르를 더하여, 침전으로서 Boc-Tyr(But)Asn(Trt)Trp(Boc)Asn(Trt)Ser(But)PheGlyLeuArg(Pbf)-OH 를 68㎎ 얻었다. 그 중 22㎎ 에 HCl H-Trp(For)-NH2 (Boc-Trp(For)-NH2 을 9.7 N HCl/디옥산, 0℃, 30분 처리함으로써 조제) 4㎎, PyAOP l0㎎, HOAt 5㎎, DIEA 11μL 을 더하여, 15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농축하여, 클로로포름·디에틸에테르를 더하여 침전으로 하여 Boc-Tyr(But)Asn(Trt)Trp(Boc)Asn(Trt)Ser(But)PheGlyLeuArg(Pbf)Trp(For)-NH2 를 얻었다. 이것에 TFA/PhSMe/m-크레졸/TIS/EDT (85/5/5/2.5/2.5) 1mL 을 더하여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용액에 디에틸에테르를 더하여 침전을 얻어,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제거하는 조작을 반복하여 세정하고, 잔류물을 아세트산 수용액으로 추출, 여과에 의해 수지를 제거한 후, YMC D-ODS-5-ST S-5 120A 칼럼 (20x150㎜) 를 사용한 분취 HPLC 로, A액:0.1% TFA-물, B액:0.1% TFA 함유 아세토니트릴에 의한 A/B:73/27∼63/37 로의 직선형 농도 구배 용출 (30분) 을 실행하여, 목적물을 포함하는 획분을 모아 동결건조시켜 백색분말 2.0㎎ 을 얻었다.
질량분석에 의한 (M+H)+ 1369.3 (계산치1369.6)
HPLC 용출시간: 19.6분
용출조건
칼럼:Wakosi1-II 5C18 HG (4.6x100mm)
용리액: A액:0.1% TFA-물, B액:0.1% TFA 함유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고, A/B:100/0∼30/70 으로. 직선형 농도 구배 용출 (35분).
유속:1.0㎖/분
실시예3 (합성법 C):[10Ψ, CSNH]MS10 (화합물번호 128) 의 제조
Boc-Phe-NH2 264㎎ 을 THF 20mL 에 용해 후, Lawesson 시약 1.62g 을 더하여 24시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 제거 후 용매를 농축하고, AcOEt 에 용해 후 포화 NaHCO3 용액, 포화 NaCl 용액으로 세정하였다. Na2SO4 로 건조 후 용매를 농축하여,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디에틸에테르·석유 에테르를 더하여 침전으로서 (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페닐프로판티오아미드 (Boc-PheΨ(CSNH)-NH2) 를 얻었다 275㎎ (수율 98%). 그 중 42㎎ 을 0℃ 하에서 9.7 N HCl 처리에 의한 탈 Boc 후, 10% DEA/DMF 처리에 의한 탈 Fmoc, PVBOP/HOBt 법에 의한 축합을 반복 Fmoc-LeuArg (Pbf)PheΨ(CSNH)-NH2 를 66㎎ 얻었다 (수율 93%).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조제한 Boc-Tyr(But)Asn(Trt)Trp(Boc)Asn(Trt)Ser(But)PheGly-OH 17㎎ 에 H-LeuArg(Pbf)PheΨ(CSNH)-NH2 (Fmoc-LeuArg(Pbf)PheΨ(CSNH)-NH2 14㎎을 10% DEA/DMF 처리함으로써 조제), PyBrop 9㎎, HOAt 3㎎, DIEA 7mL 을 더하여, 15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농축하고, 클로로포름·디에틸에테르를 더하여 침전으로 하였다. 그 중 10㎎ 에 TFA/PhSMe/m-크레졸/TIS/EDT (85/5/5/2.5/2.5) 100μL 을 더하여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용액에 디에틸에테르를 더하여 침전을 얻어,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제거하는 조작을 반복하여 세정하고, 잔류물을 아세트산 수용액으로 추출, 여과에 의해 수지를 제거한 후, YMC D-ODS-5-ST S-5 120A 칼럼 (20x150㎜) 를 사용한 분취 HPLC 로, A액:0.1% TFA-물, B액:0.1% TFA 함유 아세토니트릴에 의한 A/B:72/28∼62/38 로의 직선형 농도 구배 용출 (30분) 을 실행하여, 목적물을 포함하는 획분을 모아 동결건조시켜 백색분말 1.0㎎ 을 얻었다.
질량분석에 의한 (M+H)+ 1318.4 (계산치1318.6)
HPLC 용출시간: 21.8분
용출조건:
칼럼:Wakosi1-II 5C18 HG (4.6x100㎜)
용리액: A액:0.1% TFA-물, B액:0.1% TFA 함유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고, A/B:100/0∼30/70 으로. 직선형 농도 구배 용출 (35분).
유속:1.0㎖/분
실시예4 (합성법 D):[6Ψ7, CH2NH]MS10 (화합물번호 163) 의 제조
시판되는 PAL 레진에 Fmoc-Phe 를 도입함으로써 조제한 Fmoc-Phe-PAL 레진 321㎎ 을 사용하고 ABI 433A 에 의해 펩티드 사슬을 신장하여, Fmoc-LeuArg(Pbf)Phe-PAL 레진을 얻었다. 그 중 절반량에 Fmoc-Gly 를 축합하여 Fmoc-GlyLeuArg(Pbf)Phe-PAL 레진을 190㎎ 얻었다. 그 중 76㎎ 을 탈 Fmoc 후, DMF 2mL, AcOH 50μL, Fmoc-Phe-H 46㎎, NaBH3CN 8㎎ 을 더하여, 1시간 진탕하였다. 수지를 세정 후 DMF 2㎖, DIEA 22μL, Z-Cl 18μL 을 더하여 3시간 진탕하였다. 수지를 세정 후 ABI 433A 를 사용하여 펩티드 사슬을 신장시켜, Boc-Tyr (But)Asn(Trt)Trp(Boc)Asn(Trt)Ser(But)PheΨ(CH2NZ)GlyLeuArg (Pbf)Phe-PAL 레진을 얻었다. 그 중 15㎎ 에 빙랭 하, TMS-Br 46μL, PhSMe 42μL, m-크레졸 38μL, EDT 18μL, TFA 227μL 을 더하여, 2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류 제거 후 디에틸에테르를 더하여 침전을 얻어,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제거하는 조작을 반복하여 세정하고, 잔류물을 아세트산 수용액으로 추출, 여과에 의해 수지를 제거한 후, YMC D-ODS-5-STS-5 120A 칼럼 (20x150mm) 을 사용한 분취 HPLC 로, A액:0.1% TFA-물, B액:0.1% TFA 함유 아세토니트릴에 의한 A/B:72/28∼62/38 로의 직선형 농도 구배 용출 (30분) 을 실행하여, 목적물을 포함하는 획분을 모아 동결건조시켜 백색분말 2.0㎎ 을 얻었다.
질량분석에 의한 (M+H)+ 1288.7 (계산치1288.7)
HPLC 용출시간: 18.2분
용출조건:
칼럼: Wakosi1-II 5C18 HG (4.6x100mm)
용리액: A액:0.1% TFA-물, B액: 0.1% TFA 함유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고, A/B:l00/0∼0/70 으로. 직선형 농도 구배 용출 (35분).
유속:1.0㎖/분
실시예5 (합성법 E):[Arg(Me)9]MS10 (화합물번호 82) 의 제조
60% NaH in oi1 360㎎ 을 dry DMF 20mL 에 용해하고, N,N'-비스-Boc-1-구아닐pyrazoIe 2793㎎ 의 dry DMF 용액 10mL 를 0℃ 하에서 더하여, 10분간 교반하였다. 메틸 요오디드 748μL 을 더하여,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류 제거 후 AcOEt 에 용해하고 포화 NaHCO3 용액, 포화 NaCl 용액으로 세정하였다. Na2SO4 로 건조 후 용매를 농축하여,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N-메틸-N,N'-비스-Boc-1-구아닐pyrazo1e 을 얻었다 2.96g (수율 91%). 시판되는 Rink Amide MBHA 레진에 Fmoc-Phe 를 도입함으로써 조제한 Fmoc-Phe-Rink Amide MBHA 레진 480㎎ 을 사용하여 ABI 433A 에 의해 펩티드 사슬을 신장하여, Boc-Tyr(But)Asn(Trt)Trp(Boc)Asn(Trt)Ser(But)PheGlyLeuOrn(Mtt)Phe-Rink Amide MBHA 레진을 1080㎎ 얻었다. 그 중 540㎎ 에 TFA/TIS/DCM (1/5/94) 10mL을 더하여 50분간 진탕하였다. 수지를 세정 후 건조시켜 2/5량에 DMF 2mL, 먼저 조제한 N-메틸-N,N'-비스-Boc-1-구아닐피라졸 49㎎, DIEA 87μL 을 더하여 15시간 진탕하여 Boc-Tyr(But)Asn(Trt)Trp(Boc)Asn(Trt)Ser(But)PheGlyLeuArg(Boc2, Me)Phe-Rink Amide MBHA 레진을 220㎎ 얻었다. 그 중 50㎎ 에 TFA/PhSMe/m-크레졸/TIS/EDT (85/5/5/2.5/2.5) 1mL 을 더하여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용액에 디에틸에테르를 더하여 침전을 얻어,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제거하는 조작을 반복하여 세정하고, 잔류물을 아세트산 수용액으로 추출, 여과에 의해 수지를 제거한 후, YMC D-ODS-5-ST S-5 120A 칼럼 (20x150㎜) dmf 사용한 분취 HPLC 로, A액: 0.1% TFA-물, B액: 0.1% TFA 함유 아세토니트릴에 의한 A/B:74/26∼64/36 으로의 직선형 농도 구배 용출 (30분) 을 실행하여, 목적물을 포함하는 획분을 모아 동결건조시켜 백색분말 10.5㎎ 을 얻었다.
질량분석에 의한 (M+H)+ 1316.5 (계산치 1316.7)
HPLC 용출시간: 20.1분
용출조건:
칼럼:Wakosi1-II 5C18 HG (4.6x100㎜)
용리액: A액: 0.1% TFA-물, B액: 0.1% TFA 함유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고, A/B: 100/0∼30/70 으로. 직선형 농도 구배 용출 (35분).
유속:1.0㎖/분
실시예6 (합성법 F):[6Ψ7, CSNH]MS10 (화합물번호 166) 의 제조
HCl H-Gly-OBut 503㎎ 을 DMF 10mL 에 용해하여, 0℃ 하 Fmoc-Phe l162㎎, HOBt 608㎎, PyBOP 1874㎎, DlEA 784μL 을 더하여, 4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농축하고, AcOEt 에 용해 후 1 N HCl 용액, 포화 NaHCO3 용액, 포화 NaCl 용액으로 세정하였다. Na2SO4 로 건조후 용매를 농축하여, 디에틸에테르·석유에테르를 더하여, 침전으로서 Fmoc-PheGly-OBt 를 얻었다 1.48g (수율 99%). 그 중 250㎎ 을 toluene l0mL 에 용해 후, Lawesson 시약 404㎎ 을 더하여 80℃ 하 2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농축하고, AcOEt 에 용해 후 포화 NaHCO3 용액, 포화 NaCl 용액으로 세정하였다. Na2SO4 로 건조 후 용매를 농축하여,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디에틸에테르·석유에테르를 더하여 침전으로서 Fmoc-PheΨ(CSNH)Gly-OBut 를 얻었다 207㎎ (수율 80%). 그 중 1035㎎ 에 TFA/H2O (95/5) 를 더하여 1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농축 후, 디에틸에테르를 더하여 침전으로서 Fmoc-PheΨ(CSNH)Gly-OH 를 얻었다 82.4㎎ (수율 90%). 시판되는 PAL 레진에 Fmoc-Phe 를 도입함으로써 조제한 Fmoc-Phe-PAL 레진을 사용하여 ABI 433A 에 의해 펩티드 사슬을 신장한 Fmoc-LeuArg(Pbf)Phe-PAL 레진 80㎎ 을 탈 Fmoc 후, Fmoc-PheΨ(CSNH)Gly-OH 35㎎, PyBrop 47㎎, HOAt 14㎎, DIEA 35μL 을 더하여 15시간 진탕하였다. 수지를 세정 후 ABI 433A 를 사용하여 펩티드 사슬을 신장하여, Boc-Tyr(But)Asn(Trt)Trp(Boc)Asn(Trt)Ser(But)PheΨ(CSNH)GlyLeuArg(Pbf)Phe-PAL 레진을 얻었다. 그 중 15㎎ 에 TFA/PhSMe/m-크레졸/TIS/EDT (85/5/5/2.5/2.5) 200μL 을 더하여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용액에 디에틸에테르를 더하여 침전을 얻어,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제거하는 조작을 반복하여 세정하고, 잔류물을 아세트산 수용액으로 추출, 여과에 의해 수지를 제거한 후, YMC D-ODS-5-ST S-5 120A 칼럼 (20x150㎜) 을 사용한 분취 HPLC 로, A액:0.1% TFA-물, B액:0.1% TFA 함유 아세토니트릴에 의한 A/B:77/23∼57/43 으로의 직선형 농도 구배 용출 (60분) 을 실행하여, 목적물을 포함하는 획분을 모아 동결건조시켜 백색분말 1.0㎎ 을 얻었다.
질량분석에 의한 (M+H)+ 1318.7 (계산치 1318.6)
HPLC 용출시간: 20.8분
용출조건:
칼럼:WakosiI-II 5C18 HG (4.6x100mm)
용리액: A액:0.1% TFA-물, B액:0.1% TFA 함유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고, A/B:100/0∼30/70 으로. 직선형 농도 구배 용출 (35분).
유속:1.0㎖/분
실시예7 (합성법 G):[AzaGly7]MS10 (화합물번호 176) 의 제조
시판되는 PAL 레진에 Fmoc-Phe 를 도입함으로써 조제한 Fmoc-Phe-PAL 레진 321㎎ 을 사용하여, ABI 433A 에 의해 펩티드 사슬을 신장함으로써 얻은 Fmoc-LeuArg(Pbf)Phe-PAL 레진 80㎎ 을 탈 Fmoc 후, THF 2mL, CDI 16㎎ 을 더하여 2시간 진탕하였다. 히드라진 일수화물 (monohydrate) 6μL 을 더하여 1시간 진탕한 후 수지를 세정하였다. Fmoc-Phe 39㎎, pyBrop 93㎎, HOAt 27㎎, DIEA 105μL 을 더하여 2시간 진탕하였다. 수지를 세정 후, ABI 433A 를 사용하여 펩티드 사슬을 신장하여, Boc-Tyr(But)Asn(Trt)Trp(Boc)Asn(Trt)Ser (But)PheAzaGlyLeuArg(Pbf)Phe-PAL 레진을 얻었다. 그 중 25㎎ 에 TFA/PhSMe/m-크레졸/TlS/EDT (85/5/5/2.5/2.5) 1mL 를 더하여 2시간 진탕하였다. 반응용액에 디에틸에테르를 더하여 침전을 얻어,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제거하는 조작을 반복하여 세정하고, 잔류물을 아세트산 수용액으로 추출, 여과에 의해 수지를 제거한 후, YMC D-ODS-5-ST S-5 120A 칼럼 (20x150㎜) 을 사용한 분취 HPLC 로, A액: 0.1% TFA-물, B액: 0.1% TFA 함유 아세토니트릴에 의한 A/B:74/26∼64/36 으로의 직선형 농도 구배 용출 (30분) 을 실행하여, 목적물을 포함하는 획분을 모아 동결건조시켜 백색분말 5.5㎎ 을 얻었다.
질량분석에 의한 (M+H)+ 1303.3 (계산치 1303.6)
HPLC 용출시간: 18.9분
용출조건:
칼럼:Wakosi1-II 5C18 HG (4.6x100㎜)
용리액: A액:0.1% TFA-물, B액:0.1% TFA 함유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고, A/B:100/0∼30/70 으로. 직선형 농도 구배 용출 (35분).
유속:1.0㎖/분
실시예8 (합성법 H):[D-Tyrl, AzaGly7, Arg(Me)9]MS10 (화합물번호 232) 의 제조
시판되는 Rink Amide MBHA 레진 (0.55㎜o1/g) 4g 에 Fmoc-Phe, Fmoc-Orn (Mtt) 을 도입함으로써 조제한 Fmoc-Orn (Mtt)-Phe-Rink Amide MBHA 레진에 TFA/TIS/DCM (1/5/94) 50mL 를 더하여 50분간 진탕하였다. 수지를 세정 후 DCM 40mL, 실시예 5 에서 조제한 N-메틸-N,N'-비스-Boc-1-구아닐피라졸 2.27g 을 더하여, DIEA 를 더하여 용액의 pH 를 9 로 조제하여 15시간 진탕하여 Fmoc-Arg(Boc2, Me)Phe-Rink Amide MBHA 레진 4.74g 을 얻었다. 별도 Fmoc-NHNH2 HCl 145㎎ 를 THF l0mL 에 현탁하여, 빙랭 하 CDI 89㎎, DIEA 87 mL 를 더하여,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빙랭 하 H-Leu-0But HCl 224㎎ 의 DMF 5mL 용액을 더하여, 실온으로 되돌리면서 18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류 제거 후 AcOEt 에 용해하고 1N HCl 용액, 포화 NaHCO3 용액, 포화 NaCl 용액으로 세정하였다. Na2SO4 로 건조 후 용매를 농축하여,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Fmoc-AzaGly-Leu-OBut 230㎎ (수율 99%) 을 얻었다. 그 중187㎎ 에 TFA/H2O (9/1) 10mL 를 더하여 1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류 제거 후 Ac0Et 에 용해하여 포화 NaCl 용액으로 세정하였다. Na2SO4 로 건조 후 용매를 농축하여, 디에틸에테르를 더하여 침전으로서 Fmoc-AzaGly-Leu-OH 143㎎ 을 얻었다 (수율 87%). 얻어진 Fmoc-AzaGly-Leu-OH, Trt-Phe 를 Fmoc-Arg(Boc2, Me)phe-Rink Amide MBHA 레진에 도입함으로써 조제한 Trt-Phe-AzaGly-Leu-Arg(Boc2, Me)Phe-Rink Amide MBHA 레진에 TFA/TIS/DCM (1/5/94) 50mL 를 더하여 50분간 진탕하였다. 수지를 세정, 중화 후 Fmoc-Ser(But) 계속해서 Fmoc-Asn(Trt) 를 도입하였다. 얻어진 Fmoc-Asn(Trt)Ser(But)Phe-AzaGly-LeuArg(Boc2, Me)Phe-Rink Amide MBHA 레진 중 80.3㎎ 을 사용하여 펩티드 사슬을 신장하여 H-D-Tyr(But)Asn(Trt)Trp(Boc)Asn(Trt)Ser(But)Phe-AzaGly-LeuArg(Boc2, Me)Phe-Rink Amide MBHA 레진 97.2㎎ 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에 TFA/PhSMe/m-크레졸/H2O/TIS/EDT (80/5/5/5/2.5/2.5) ImL 를 더하여 90분 교반하였다. 반응용액에 디에틸에테르를 더하여 침전을 얻어,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제거하는 조작을 반복하여 세정하고, 잔류물을 아세트산 수용액으로 추출, 여과에 의해 수지를 제거한 후, YMC SH-343-5S-5, 120A 칼럼 (20x250㎜) 을 사용한 분취 HPLC 로, A액:0.1% TFA-물, B액:0.1% TFA 함유 아세토니트릴에 의한 A/B:76/24∼66/34 로의 직선형 농도 구배 용출 (60분) 을 실행하여, 목적물을 포함하는 획분을 모아 동결건조시켜 백색분말 11.7㎎ 을 얻었다.
질량분석에 의한 (M+H)+ 1317.0 (계산치 1317.6)
HPLC 용출시간: 21.0분
용출조건:
칼럼:Wakosi1-II 5C18 HG (4.6x100mm)
용리액: A액:0.1% TFA-물, B액: 0.1% TFA 함유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고, A/B:100/0∼30/70 으로. 직선형 농도 구배 용출 (35분).
유속: 1.0㎖/분
실시예9 (합성법 I ) :des(1-3)-3-피리딘프로피오닐-[AzaGly7, Arg(Me)9]MS10 (화합물번호 322) 의 제조
실시예 8 에서 조제한 Fmoc-Asn(Trt)Ser(But)Phe-AzaGly-LeuArg(Boc2, Me)Phe-Rink Amide MBHA 레진 중 48.2㎎ 을 탈 Fmoc후, 시판되는 3-피리딘프로피온산 15.2㎎, DIPCDI 15.9μL, 0.5M HOAt/DMF 용액 200μL 에서 실온 90분 처리하였다. 얻어진 수지를 세정 건조 후, TFA/PhSMe/m-cresoI/H2O/TIS/EDT (80/5/5/5/2.5/2.5) 1mL 를 더하여 90분 교반하였다. 반응용액에 디에틸에테르를 더하여 침전을 얻어,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제거하는 조작을 반복하여 세정하고, 잔류물을 아세트산 수용액으로 추출, 여과에 의해 수지를 제거한 후, YMC SH-343-5 S-5, 120A 칼럼 (20x250㎜) 을 사용한 분취 HPLC 로, A액:0.1% TFA-물, B액:0.1% TFA 함유 아세토니트릴에 의한 A/B:80/20-60/40 으로의 직선형 농도 구배 용출 (60분) 을 실행하여, 목적물을 포함하는 획분을 모아 동결건조시켜 백색분말 6.0㎎ 을 얻었다.
질량분석에 의한 (M+H)+ 987.4 (계산치 987.5)
HPLC 용출시간: 8.1분
용출조건:
칼럼 YMC-AM301 (4.6x100㎜)
용리액: A액:0.1% TFA-물, B액:0.1% TFA 함유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고 A/B:80/20∼30/70 으로. 직선형 농도 구배 용출 (25분).
유속: 1.0㎖/분
실시예10 (합성법 J) : des(1-2)-아미디노-[AzaGly7, Arg(Me)9]MS10 (화합물번호 273) 의 제조
실시예 8 에서 조제한 Fmoc-Asn(Trt)Ser(But)Phe-AzaGly-LeuArg(Boc2, Me) Phe-Rink Amide MBHA 레진 48.2㎎ 에 Fmoc-Trp(Boc) 를 도입 후 탈 Fmoc 하여, H-Trp(Boc)Asn(Trt)Ser(But)Phe-AzaGly-LeuArg(Boc2, Me)Phe-Rink Amide MBHA 레진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를 DMF 중 N,N'-비스-Boc-1-구아닐피라졸 29.3㎎, DIEA 34.8μL 로 실온 14시간 처리하여, 아미디노-Trp(Boc)Asn(Trt)Ser(But)Phe-AzaGly-LeuArg(Boc2, Me)Phe-Rink Amide MBHA 레진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를 세정 건조 후, TFA/PhSMe/m-크레졸/H20/TIS/EDT (80/5/5 /5/2.5/2.5) lmL 를 더하여 90분 교반하였다. 반응용액에 디에틸에테르를 더하여 침전을 얻어,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제거하는 조작을 반복하여 세정하고, 잔류물을 아세트산 수용액으로 추출, 여과에 의해 수지를 제거한 후, YMC SH-343-5 S-5, 120A 칼럼 (20x250㎜) 을 사용한 분취 HPLC 로, A액:0.1% TFA-물, B액:0.1% TFA 함유 아세토니트릴에 의한 A/B:78/22-58/42 로의 직선형 농도 구배 용출 (60분) 을 실행하여, 목적물을 포함하는 획분을 모아 동결건조시켜 백색분말 0.6㎎ 을 얻었다.
질량분석에 의한 (M+H)+ 1082.3 (계산치 1082.6)
HPLC 용출시간: 11.4분
용출조건:
칼럼:YMC-AM301 (4.6x100㎜)
용리액: A액:0.1% TFA-물, B액:0.1% TFA 함유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고, A/B:80/20∼30/70 으로. 직선형 농도 구배 용출 (25분).
유속: 1.0㎖/분
실시예11 (합성법 K):[6Ψ7, NHC0, D-Tyrl, Arg(Me)9]MS10 (화합물번호 319) 의 제조
Z-Phe 5.99g 을 MeCN 30mL 에 용해하고, 0℃ 하 HONB 3.94g, WSCD HCl 4.59g 을 더하여, 실온에서 4시간 교반하였다. 0℃ 하 25% NH3용액 3.4mL, DMF 10mL 를 더하여 4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류 제거 후 AcOEt 에 용해하고 1N HCl용액, satd.NaHCO3용액, satd.NaCl용액으로 세정하였다. Na2SO4 로 건조 후 용매를 농축하여, 디에틸에테르를 더하여, 침전으로서 Z-Phe-NH2 를 얻었다 1.48g (수율99%).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요오도]벤젠 1.94g 을 MeCN 20mL, H2O 5mL 에 용해 후, 0℃ 하에서 먼저 조제한 Z-Phe-NH2 890㎎, 피리딘 972μL 을 더하여, 실온에서 15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농축 후 디에틸에테르-1N HCl용액으로 분액하고, 1N HCl용액 층을 농축 후 건조시켰다. 절반량을 DMF 5mL 에 용해하여, 모노-tert-Butyl malonate 486μL, HOBt 540㎎ 을 더한 후, 0℃ 하 PyBOP 2.08g, DIEA 1394μL 을 더하여, 실온에서 15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류 제거후 AcOEt 에 용해하고 1N HCl 용액, 포화 NaHCO3 용액, 포화 NaCl 용액으로 세정하였다. Na2SO4 로 건조 후 용매를 농축하여,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 후 디에틸에테르·석유에테르를 더하여, 침전으로서 Z-PheΨ(NHCO)Gly-OBut 를 304㎎ 얻었다 (수율 33%). 그 중 154㎎ 을 MeOH 20mL 에 용해 후 l0% Pd-C 를 더하여, 수소기류 하에서 2시간 접촉환원을 실행하였다. 촉매를 여과 제거 후 용매를를 농축하여 건조시켰다. 이것을 MeCN 10mL 에 용해하여, Fmoc-OSu 152㎎, DIEA 78μL 을 더하여 15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류 제거 후 AcOEt 에 용해하고 1N HCl용액, satd.NaHCO3용액, satd.NaCl용액으로 세정하였다. Na2SO4 로 건조 후 용매를 농축하여, 디에틸에테르·석유에테르를 더하여, 침전으로서 Fmoc-PheΨ(NHCO)Gly-OBut 를 얻었다 127㎎ (수율 68%). 실시예 10 에서 조제한 Fmoc-Arg(Boc2, Me)Phe-Rink Amide MBHA 레진 63㎎ 에 Fmoc-Leu 를 도입, 탈 Fmoc 후, Fmoc-PheΨ(NHCO)Gly-OH(Fmoc-PheΨ(NHCO)Gly-OBut 25㎎ TFA 3분 처리에 의해 조제), 0.5M HOAt 300μL, PyAOP 78㎎, DIEA 52μL 을 더하여 6시간 진탕하였다. 수지를 세정 후 DMF 2mL, DIEA 9μL, Ac20 12μL 을 더하여 30분 진탕하였다. 수지를 세정 후 ABI 433A 를 사용하여 펩티드 사슬을 신장하여, Boc-D-Tyr(But)Asn(Trt)Trp(Boc)Asn(Trt)Ser(But)PheΨ(NHCO)GlyLeuArg(Boc2, Me)Phe-Rink Amide MBHA 레진을 얻었다. 그 중 34㎎ 에 TFA/PhSMe/m-크레졸/TIS/EDT (85/5/5/2.5/2.5) 200μL 을 더하여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용액에 에테르를 더하여 침전을 얻어,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제거하는 조작을 반복하고 세정하고, 잔류물을 아세트산 수용액으로 추출, 여과에 의해 수지를 제거한 후, YMC D-ODS-5-ST S-5 120A 칼럼 (20x150㎜) 을 사용한 분취 HPLC 로, A액:0.1% TFA-물, B액:0.1% TFA 함유 아세토니트릴에 의한 A/B:76/24∼66/34 로의 직선형 농도 구배 용출 (60분) 을 실행하여, 목적물을 포함하는 획분을 모아 동결건조시켜 백색분말 0.7㎎ 을 얻었다.
질량분석에 의한 (M+H)+ 1316.3 (계산치 1316.7)
HPLC 용출시간: 18.7분
용출조건:
칼럼:Wakosi1-II 5C18 HG (4.6x100mm)
용리액: A액:0.1% TFA-물, B액: 0.1% TFA 함유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고, A/B:100/0∼0/70 으로. 직선형 농도 구배 용출 (35분).
유속: 1.0㎖/분
실시예12 (합성법 L):[N((CH2)3Gn)Gly9]-MS10 (화합물번호 218) 의 제조
Fmoc-Phe-Rink Amide MBHA 레진 192㎎ 을 사용하여 ABI 433A 에 의해 펩티드 사슬을 신장하여, Fmoc-GlyPhe-Rink Amide MBHA 레진을 얻었다. 그 중 1/4량을 탈 Fmoc 하여, DMF 2mL, AcOH 50μL, Boc-β-Ala-H 5㎎, NaBH3CN 16㎎ 을 더하여, 30분간 진탕하였다. 수지를 세정 후 Fmoc-Leu 71㎎, CIP 56㎎, HOAt 27㎎, DIEA l05mL 를 더하여 15시간 진탕하였다. 수지를 세정 후 ABI 433A 를 사용하여 펩티드 사슬을 신장하여, Z-Tyr(Bzl)Asn(Trt)Trp(Boc)Asn(Trt)Ser(But)PheGlyLeuN((CH2)3NHBoc)GlyPhe-Rink Amide MBHA 레진을 얻었다. 이것에 TFA/PhOH/H2O/TIS/EDT (87.5/5/2.5/2.5/2.5) 1mL 을 더하여 2시간 교반하였다. 수지를 여과 제거 후 농축하여, 에테르를 더하여 침전으로 한 후, 절반량을 DMF 500μL 에 용해하여, 1H-피라졸-1-카르복스아미딘 히드로클로라이드 9㎎, DIEA 22mL 을 더하여, 15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류 제거후 에테르를 더하여 침전으로 하여, 빙랭 하 PhSMe 60μL, m-크레졸 56μL, EDT 26μL, TFA 337μL, TMSBr 65μL 을 더하여 2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류 제거 후 에테르를 더하여 침전을 얻어,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제거하는 조작을 반복하고 세정하여, 잔류물을 아세트산 수용액으로 추출, 여과에 의해 수지를 제거한 후, YMC D-0DS-5-ST S-5 120A 칼럼 (20x150㎜) 을 사용한 분취 HPLC 로, A액:0.1% TFA-물, B액:0.1% TFA 함유 아세토니트릴에 의한 A/B:74/26∼64/36 으로의 직선형 농도 구배 용출 (60분) 을 실행하여, 목적물을 포함하는 획분을 모아 동결건조시켜 백색분말 1.8㎎ 을 얻었다.
질량분석에 의한 (M+H)+ 1302.5 (계산치 1302.7)
HPLC 용출시간: 18.6분
용출조건:
칼럼:Wakosi1-II 5C18 HG (4.6x100㎜)
용리액: A액:0.1% TFA-물, B액:0.1% TFA 함유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고, A/B:100/0∼30/70 으로. 직선형 농도 구배 용출 (35분).
유속: 1.0㎖/분
실시예13 (합성법 M):MS10 (화합물번호 3) 의 제조
시판되는 p-메틸 BHA 수지 (0.77 m mole/g 레진) 를 펩티드 합성기 ABI 430A 의 반응조에 넣고, Boc-Strategy (DCC-HOBt) 펩티드 합성방법으로 Boc-Phe. Boc-Arg(Tos), Boc-Leu. Boc-Gly, Boc-Phe. Boc-Ser(Bzl))), Boc-Asn. Boc-Trp(For), Boc-Asn. Boc-Tyr(Br-Z) 을 순서대로 도입하여 목적하는 보호 펩티드 수지를 얻었다. 이 수지 0.11g 을 p-크레졸 1㎖, 1,4-부탄디티올 1.2㎖ 와 함께 무수불화수소 10㎖ 중, 0℃, 60분 교반한 후, 불화수소를 감압증류 제거하여, 잔류물에 디에틸에테르를 더하여 침전을 여과하였다. 이 침전에 50% 아세트산수를 더하여 추출하여, 불용 부분을 제거하고, 추출액을 충분히 농축 후, 50% 아세트산수로 충전한 세파덱스 (상품명) G-25 칼럼 (2.0x80㎝) 을 사용하여, 동 용매로 전개, 주요 획분을 모아 동결건조시켜, 백색분말 40㎎ 을 얻었다. 절반량을 LiChroprep (상품명) RP-18 을 충전한 크로마토칼럼 (2.6x60㎝) 에 넣고 0.1% TFA수 200㎖ 로 세정, 0.1% TFA수 300㎖ 와 0.1% TFA 함유 33% 아세토니트릴수 300㎖ 를 사용한 선형 구배 용출을 실행하여, 주요 획분을 모아 동결건조시켜 목적으로 하는 펩티드 2.2㎎ 을 얻었다.
질량분석에 의한 (M+H) 1302.5 (계산치 1302.6)
HPLC 용출시간: 18.7분
용출조건:
칼럼:Wakosi1-II 5C18T 4.6x100㎜
용리액: A액:0.1% TFA수, B액:0.1% TFA 함유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고 A/B:95/5∼45/55 로 직선형 농도 구배 용출 (25분)
유속:1.0㎖/분
실시예 1∼11 과 동일하게 하여 합성한 화합물의 구조와 물리화학적 성질을 이하의 표 1∼표11 에 나타낸다.
제제예1:
(1) 화합물번호 305 10.0㎎
(2) 유당 60.0㎎
(3) 옥수수 전분 35.0㎎
(4) 젤라틴 3.0㎎
(5) 스테아르산마그네슘 2.0㎎
화합물번호 305 10.0㎎ 과 유당 60.0㎎ 및 옥수수 전분 35.0㎎ 의 혼합물을 10% 젤라틴 수용액 0.03㎖ (젤라틴으로서 3.0㎎) 를 사용하여, 1㎜ 메시의 체를 통과시켜 과립화한 후, 40℃ 에서 건조시켜 다시 체를 통과시킨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과립을 스테아르산마그네슘 2.0㎎ 과 혼합하여 압축한다. 얻어지는 중심 정을, 자당, 이산화티탄, 탤크 및 아라비아 검의 수현액 (水懸液) 에 의한 당의로 코팅한다. 코팅된 정제를 밀랍으로 윤기내어 코트정을 얻는다.
제제예2
(1) 화합물번호 305 10.0㎎
(2) 유당 70.0㎎
(3) 옥수수 전분 50.0㎎
(4) 가용성 전분 7.0㎎
(5) 스테아르산마그네슘 3.0㎎
화합물 305 10.0㎎ 과 스테아르산마그네슘 3.0㎎ 을 가용성 전분의 수용액0.07㎖ (가용성 전분으로서 7.0㎎) 로 과립화한 후 건조시켜, 유당 70.0㎎ 및 옥수수 전분 50.0㎎ 과 혼합한다. 혼합물을 압축하여 정제를 얻는다.
제제예3
(1) 화합물번호 305 5.0㎎
(2) 식염 20.0㎎
(3) 증류수 전량 2㎖ 로 한다
화합물번호 305 5.0㎎ 및 식염 20.0㎎ 을 증류수에 용해시키고, 물을 더하여 전량 2.0㎖ 로 한다. 용액을 여과하여, 무균조건 하에 2㎖ 의 앰플에 충전한다. 앰플을 멸균한 후, 밀봉하여 주사용 용액을 얻는다.
시험예1:hOT7T175 리셉터 결합 활성 측정
(1) Cy-5 표지 메타스틴 (40-54) 의 제작
메타스틴의 아미노산 서열의 40번째부터 54번째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합성펩티드에, 그 아미노 말단에 위치하는 리신의 ε위의 아미노기를 통해 Cy-5 를 도입하고, 다시 카르복실 말단을 아미드화한 것을 아마샴 바이오사이언스사가 보유한 합성기술에 의해 얻었다. 이 합성펩티드를 사용하여 결합 저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서열: (Cy-5)-KDLPNYNWNSFGLRF-NH2
(2) 시험화합물, Cy-5 표지 메타스틴 (40-54) 및 h0T7T175 발현 CH0 세포를 사용한 결합 저해 실험
hOT7T175 발현 CH0 세포는 10% 투석 혈청을 포함하는 MEM-α 배지 (핵산 불포함) 에서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접착되어 있는 세포를 PBS 로 세정한 후, 5mM EDTA를 포함하는 PBS 를 첨가하여, 셀 스크레이퍼를 사용하여 세포를 플라스크로부터 떼어냈다. 원심조작 후, 세포를 1.11x105cel1s/㎖ 가 되도록 측정용 버퍼 (10mM HEPES pH7.4, 140mM NaC1, 2.5mM CaCl2, 3mM MgCl2, 0.5% BSA, 0.01% NaN3) 에 현탁하여, 종농도 1nM 의 Cy-5 표지 메타스틴 (40-54) 을 더하였다. 96구멍 흑색 클리어 보텀 플레이트 (어플라이드 바이오시스템스사) 의 각 well 에, 총결합을 조사하기 위해 1% 디메틸술폭시드를 포함하는 측정용 버퍼를 10μL, 비특이적결합을 조사하기 위해 측정용 버퍼로 희석한 10μM 의 비표지 펩티드 (표지한 것과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 용액을 10μL, 시험화합물의 결합 저해 활성을 조사하기 위해 측정용 버퍼로 희석한 시험화합물을 10μL 각각 첨가하고, 다시 세포현탁액을 90μL 씩 분주하였다. 1시간 후, FMAT 8100 HTS system (어플라이드 바이오시스템스사) 으로 세포에 결합된 Cy-5 표지 메타스틴 (40-54) 량을 측정하였다. 특이적 결합은, 총결합으로부터 비특이적 결합을 뺀 값이다. 시험화합물의 결합 저해 활성은, 총결합으로부터 시험화합물을 더한 경우의 측정치를 뺀 값의 특이적 결합에 대한 비율로 나타내어진다. 시험화합물의 리셉터 결합 활성을 표 12∼표 17 에 나타낸다.
시험예2: FLIPR 을 사용한 세포내 Ca 이온 농도 상승 활성의 측정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312590 에 기재된 방법으로 FLIPR 을 사용한 세포내 Ca 이온 농도 상승 활성을 측정하였다.
hOT7T175 안정 발현 세포주는 동물세포 발현용 플라스미드 pAK-rOT175 를 CHO/dhfr- 세포에 Cel1Phect Transfection kit (Amersham Pharmacia Biotecb 사) 를 사용하여 형질도입함으로써 취득하였다. 우선, 증류수 240μL 에 용해한 플라스미드 DNA 9.6μg 에 대하여 Buffer A (Cel1Phect Transfection kit 에 첨부) 240μL 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10분간 정치 후, Buffer B (CellPhect Transfection kit 에 첨부) 480μL 를 첨가하여, 세게 교반하여 그 DNA 를 함유하는 리포좀을 형성시켰다. 4x105개의 CHO/dhfr- 세포 (ATCC로부터 입수) 를 60㎜ 샬레에 뿌려, 10% 의 소 태아 혈청 (BIO WHITTAKER 사) 을 포함하는 Ham' s F-12 배지 (닛스이제약주식회사) 내에서 37℃, 5% 탄산 가스 중에서 2일간 배양한 후, 그 리포좀 480㎖ 를 샬레의 그 세포 상에 적하시켰다. 이것을, 37℃, 5% 탄산 가스 중에서 6시간 배양한 후, 혈청을 포함하지 않은 Ham's F-12 배지에서 2회 세포를 세정하여, 샬레의 그 세포 상에 15% 글리세롤 3㎖ 를 첨가하여 2분간 처리하였다. 이것을 다시 혈청을 포함하지 않은 Ham's F-12 배지에서 2회 세정한 후, 10% 의 소 태아 혈청을 포함하는 Ham's F-12 배지 내에서 37℃, 5% 탄산 가스 중에서 15시간 배양하였다. 그 세포를 트립신 처리에 의해 분산시켜 샬레로부터 회수하고, 1.25x104개씩 6-well plate 에 뿌려, 투석 완료 10% 소 태아 혈청 (JRH BIOSCIENCES 사) 을 포함하는 Dulbecco 변형 이글 배지 (DMEM) 배지 (닛스이제약주식회사) 중에서 37℃, 5% 탄산 가스 중에서 배양을 개시하였다. 플라스미드가 도입된 형질전환 CHO 세포는 그 배지 중에서 생육되지만 비도입세포는 점점 사멸되어 가기 때문에, 배양 개시 1일째, 및 2일째에 배지를 교환하여 사멸세포를 제거하였다. 배양 개시 8-10일 후에 생육하여 온 형질전환 CH0 세포의 콜로니를 약 20개 단리하였다. 이것들의 콜로니의 세포로부터 리간드 펩티드인 메타스틴에 대하여 높은 반응성을 나타내는 세포 (이후 hOT7T175/CHO 라 약칭한다) 를 선별하여, 이후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합성 펩티드에 관해서, hOT7T175/CH0 에 있어서의 세포내 Ca 이온 농도 상승 활성의 측정을 FLIPR (Molecular Devices 사) 를 사용하여 행하였다.
hOT7T175/CH0 는 10% 투석 처리 완료 소 태아 혈청 (이후 dFBS 라 약칭한다) 을 더한 DMEM (이하 10% dFBS/DMEN 이라 한다) 을 사용하여 계대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hOT7T175/CHO 를 각각 세포수 15×104/㎖ 가 되도록 10% dFBS-DMEM 에 현탁하고, FILPR용 96웰 플레이트 (BIack Plate clear bottom, Coster 사) 로, 각 웰 당 200μL 씩 뿌려 (3.0x104 cel1s/200μL/웰), 37℃-5% CO2 인큐베이터 속에서 하룻밤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 플레이트라 약칭한다). HANKS/HBSS (HANKS 9.8g, 탄산수소나트륨 0.35g, 1M HEPES 20㎖, 1N 수산화나트륨으로 pH7.4 로 맞춘 후, 필터 멸균 처리) 21㎖, 250mM 프로벤에시드 (Probenecid) 210㎕, 소 태아 혈청 (FBS) 210㎕ (HANKS/HBSS-프로벤에시드-FBS) 을 혼합하였다.
또한, Fluo3-AM2 바이알 (50μg/바이알) 을 디메틸술폭시드 21μL, 20% Pluronic acid 21μL 에 용해하여, 이것을 상기 HANKS/HBSS-프로벤에시드-FBS l0㎖ 에 더하여, 혼합 후, 배양액을 제거한 세포 플레이트에 각 웰 당 100μL 씩 분주하고, 37℃-5% CO2 인큐베이터 속에서 1시간 인큐베이트하였다 (색소 로딩). 펩티드를 1×10-3M 이 되도록 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하였다. 이 펩티드 용액을 2.5mM 프로벤에시드, 0.2% BSA, 0.1% CHAPS 를 포함하는 HANKS/HBSS 를 사용하여 희석하고, FLIPR용 96웰 플레이트 (V∼Bottom 플레이트, Coster 사) 로 옮겼다 (이후, 샘플 플레이트라 한다). 세포 플레이트의 색소 로딩 종료 후, HANKS/HBSS 에 2.5mM 프로벤에시드를 더한 세정 버퍼로 플레이트 워셔를 사용하여 세포 플레이트를 4회 세정하고, 세정 후 100μL 의 세정 버퍼를 남겼다. 이 세포 플레이트와 샘플 플레이트를 FLIPR 에 세트하고, FLIPR 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샘플 플레이트로부터 0.05㎖ 의 샘플을 세포 플레이트로 옮겨, 세포의 응답반응을 재촉하였다. 180초간의 세포내 칼슘 이온 농도의 변화를 계시적으로 측정하였다. 표 18∼표 22 에 세포내 Ca 이온 농도 상승 활성[메타스틴 (1-54) 에 대한 비활성으로 표시] 을 나타낸다.
시험예3: hOT7T175 발현 CH0 세포에 있어서의 세포 증식 저해 활성의 측정
hOT7T175 발현 CHO 세포 (이후, hOT7T175 라 한다) 를 10% 투석된 FBS 를 첨가한 DMEM (이후, 10% dFBS/DMEM 이라 한다) 을 사용하여 배양하고, 이하의 어세이에 사용하였다. hOT7T175 를 각각 세포수 10,000/㎖ 가 되도록 10% dFBS/DMEM 에 현탁하여, 96 well plate 에 각 웰 당 100μL 씩 뿌려 (세포수 1,000/웰), 37℃-5% CO2 인큐베이터 속에서 하룻밤 배양하였다. 다음날 배지를 제거하고, 0.5% BSA를 첨가한 10% dFBS/DMEM (이후, 0.5% BSA/10% dFBS/DMEM 이라 한다) 을 90μL 더하였다. 계속해서, 각 웰에 0.5% BSA/10% dFBS/DMEM 에 용해한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유도체 용액 10μL 을 더하여, 37℃-5% CO2 인큐베이터 속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Cell Counting Kit-8용액 (도진화학연구소) 을 각 웰에 10μL 더하여, 37℃-5% CO2 인큐베이터 속에서 4시간 배양하여, 450nm 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Metasti (1-54), 메타스틴 (45-54), 합성 화합물의 세포 증식 저해 활성을 표 23 에 나타낸다.
* 1-54 는 메타스틴 (1-54) 을, 45-54 는 메타스틴 (45-54) 을 나타낸다.
시험예4:hOT7T175 발현 CH0 세포에 있어서의 유주 저해 활성의 측정
hOT7T175 발현 CH0 세포 (이후, hOT7T175 라 한다) 를 10% 투석된 FBS 를 첨가한 DMEM (이후, 10% dFBS/DMEM 이라 한다) 를 사용하여 배양하여 어세이에 사용하였다. 또한, 24-well 6.5㎜ Transwell (pore size 8.0㎛) (COSTAR) 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피브로넥틴 처리하여 어세이에 사용하였다. 즉, Transwell 의 상하실에 1μg/㎖ 의 소 피브로넥틴 (야가이주식회사) 0.5㎖ 를 더하여, 실온에서 10분간 정치하고, 피브로넥틴 용액을 제거하고, 다시 풍건시켰다. hOT7T175 를 DMEM 으로 3회 세정한 후, 0.5% BSA 를 첨가한 DMEM (이후, 0.5% BSA/DMEM 이라 한다) 에 세포수 2.5×106/㎖ 가 되도록 현탁하였다.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유도체를 0.5% BSA/DMEM 으로 희석하였다. Transwell 의 하실에 20% FBS 를 첨가한 0.5% BSA/DMEM (또는 negative control 의 경우에는 0.5% BSA/DMEM) 을 600μL 더하고, 상실에 세포 현탁액 50μL, 메타스틴 또는 메타스틴 유도체 희석 용액 (또는 Positive contorol 의 경우에는 0.5% BSA/DMEM) 을 50μL 더하였다. 37℃-5% CO2 인큐베이터 속에서 7시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Phosphate-buffered saline 로 적신 면봉으로 필터 상면을 닦아, 필터 상면의 세포를 전부 제거하였다. 디프퀵 (고꾸사이시약주식회사) 으로 필터를 고정, 염색하여, 필터 하면에 유주된 세포수를 세었다. 유주 저해 활성을 도 1 에 나타낸다.
시험예5:종양 증식 억제 활성 평가
인간 결장암 유래 세포주 SW620 담암 마우스를 사용하여, 메타스틴 (1-54} (이하, 메타스틴 이라 표기한다) 및 화합물 (화합물번호 305,322) 의 생체내에서의 종양 증식 억제 작용에 관해 평가하였다.
증류수 (오오쓰카 증류수) 에 용해한 1mM 의 메타스틴, 0.1mM 및 1mM 의 화합물, 및 vehicle 로서의 증류수를 각각 100μL 씩 충전한 Alza 침투압 펌프 (0.25μL/hour, 14 days release, Model 1002) 를 에테르 마취 하에서 BALB/cAnN∼nu (생후 6주, 암컷, 닛폰찰즈리바) 마우스 배부 (背部) 의 피하에 매립하고 14일간 지속적으로 투여를 개시하였다. 실험수는 메타스틴 투여군과 vehicle 투여군은 n=10, 화합물 투여군은 모두 n=11 로 하였다. 다음날, 인간 대장암 유래 세포주 SW620 세포 (ATCC) 2x106cel1s 을 200μL 의 0.15M NaC1 을 포함하는 20mM 인산 완충액 (pH 7.2)(PBS) 에 용해하여, 상기 마우스의 왼쪽 옆구리에 피하투여하였다. 세포를 투여한 날을 0일째로 하여, 세포투여 4일째부터 13일째까지 1일 또는 2일 간격으로 종양을 전자 노기스로 측정하여, 종양 체적율 (단경)2×장경/2 로 산출하였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타스틴 투여군 (24n㏖/일/마우스×14 일) 은, 투여 6일째에 vehicle 군에 비교하여 유의한 증식 억제 작용을 나타내었다. 한편, 화합물 322 투여군은, 메타스틴의 1/10 의 투여량 (2.4n㏖/일/마우스×14 일) 으로 투여 6일째부터 8일째까지 vehicle 군에 비교하여 유의한 종양 증식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메타스틴 과 동 용량의 화합물 322 투여군 (24n㏖/일/마우스×14 일) 은, 투여 6일째부터 11일째까지 vehicle 군에 비교하여 유의한 종양 증식 억제 활성을 나타내고, 투여 11일째에서는 메타스틴 투여군과 비교하더라도 유의한 종양 증식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메타스틴 은 생체내에 있어서도 종양 증식 억제 작용을 나타내고, 화합물 322 는, 메타스틴의 10배 이상의 종양 증식 억제 작용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찬가지로 화합물 305 에 관한 결과를 도 3 에 나타낸다. 메타스틴 투여군 (24n㏖/일/마우스×14 일) 은, 투여 5-7일째에 vehicle 군에 비교하여 유의한 증식 억제 작용을 나타내었다. 한편, 화합물 305 투여군은, 메타스틴의 1/10 의 투여량 (2.4n㏖/일/마우스×14 일) 으로 투여 5일째부터 11일째까지 VehiCle 군에 비교하여 유의한 종양 증식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메타스틴 과 동일 용량의 화합물 305 투여군 (24n㏖/일/마우스×14 일) 은, 투여5일째부터 9일째까지 vehicle 군에 비교하여 유의한 종양 증식 억제 활성을 나타내고, 화합물 305 도 생체내에서 메타스틴의 10배 이상의 종양 증식 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것이 밝혀졌다.
시험예6:메타스틴의 혈당 상승 작용
메타스틴의 말초 투여에 의한 혈당치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자유 행동 하에서 채혈용의 수술을 실행하였다. 성숙 Wistar계 수컷 래트 (수술시 체중 210∼230g) 를 펜트발비탈 50㎎/㎏ 의 복강내투여로 마취하였다. 해부용 패드 위에 배위 (背位) 에 고정하여, 좌측의 경정맥을 노출시켰다. 폴리에틸렌 튜브 SP35 (내경 0.5㎜, 외경 0.9㎜, 나쓰메제작소) 를 약 30㎝ 의 길이로 잘라, 200단위/㎖ 의 헤파린 함유 생리식염수로 채운 후, 경정맥에 약 4.5㎝ 삽입하여 고정하였다. 튜브의 다른 일단은 배측의 피하를 통해서 경부 (배측) 로부터 노출시켰다.
수술 후 하룻밤 대기한 후, 메타스틴 투여 전에 용량 1㎖ 의 투베르클린용 주사통과 25 게이지 주사바늘 (모두 테루모사) 을 사용하여 300㎕ 의 혈액을 채취하였다. 혈액응고를 방지하기 위해, 주사통에는 미리 3㎎/㎖ EDTA 를 함유하는 300 KIU/㎖ 아프로티닌 용액을 3㎕ 넣어 놓았다. 오오쓰카 생리식염수 또는 메타스틴 (17, 80, 170n㏖) 의 1mL 생리식염수 용해액을 튜브로부터 1mL/㎏ 으로 정맥 투여하였다. 정맥 투여의 개시 시점에서 0, 5, 15, 30, 60분 후에 경정맥으로부터 300㎕씩 채혈하였다. 채혈한 혈액은 미량 고속 냉각원심기 (MR-150, 토미정공) 를 사용하여 원심 (13,000rpm, 5분간) 하여, 상등액 (혈장) 을 회수하였다. 혈중 글루코오스 농도는, 후지드라이켐3500 (FUJIFILM 사) 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타스틴 투여군은 대상군에 비하여, 정맥 투여 5분후부터 용량의존적 (17-170n㏖/㎏) 에 유의한 (p〈0.005, n=5)) 혈중 글루코오스 농도의 상승작용을 나타내었다. 혈중 글루코오스치는, 메타스틴 투여량의 증가에 따라, 최대치의 상승과 함께 상승시간의 연장 (최대 30분) 이 관찰되었다.
시험예7:메타스틴의 췌글루카곤 분비 촉진 작용
메타스틴의 혈중 글루코오스 농도 상승 작용에 관해서 그 메카니즘을 검토하기 위해, 혈중 글루코오스 농도에 변동을 주는 호르몬으로 알려져 있는 혈중 글루카곤, 인슐린, 코르티코스테론, 갑상선 호르몬 (T3) 농도에 대한 메타스틴의 영향에 관해서 검토하였다. 성숙 Wistar계 수컷 래트 (수술시 체중 260∼3000g) 에 대하여 자유 행동 하에서 채혈용의 수술을 실행하였다. 수술 후 하룻밤 대기한 후, 메타스틴 투여 전에 용량 1㎖ 의 투베르클린용 주사통과 25 게이지 주사바늘 (모두 테루모사) 을 사용하여 300㎕ 의 혈액을 채취하였다. 혈액응고를 방지하기 위해, 주사통에는 미리 3㎎/㎖ EDTA 를 포함하는 300KIU/㎖ 아프로티닌 용액을 3㎕ 넣어 놓았다. 오오쓰카 생리식염수 또는 메타스틴의 생리식염수 용해액 (80n㏖/mL) 을 튜브로부터 1mL/㎏ 으로 정맥투여하였다. 정맥 투여의 개시 시점부터 1, 3, 5, 15분 후에 경정맥으로부터 300㎕ 씩 채혈하였다. 채혈한 혈액은 미량 고속 냉각원심기 (MR-150, 토미정공) 를 사용하여 원심 (I3,000 rpm, 5분간) 하여, 상등액 (혈장) 을 회수하였다. 혈중 글루카곤 농도는 글루카곤 키트 「제1」(제1 라디오아이소토프 연구소), 혈중 인슐린 농도는 래트인슐린 [125I], 어세이 시스템 (Amersham Biosciences), 혈중 코르티코스테론 농도는 래트 코르티코스테론 [125I], 어세이 시스템 (Amersham Biosciences), 혈중 갑상선 호르몬 (T3) 농도는 T-3·리어 비드 (다이나봇트(주)), 혈중 글루코오스 농도는 후지드라이켐3500 (FUJIFILM 사) 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타스틴 투여군은 대상군에 비하여, 투여 1분 후에 유의한 혈중 글루카곤 농도의 상승이 관찰되고, 투여 5분 후까지 유의한 상승은 지속되었다. 한편, 혈중 인슐린 농도 (도 6), 혈중 코르티코스테론 농도 (도 7) 및 혈중 갑상선 호르몬 (T3) 농도 (도 8) 는 메타스틴 투여에 의한 변동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들 결과 및 메타스틴 투여군에서는, 혈중 글루카곤 농도의 상승 후에 혈중 글루코오스 농도의 상승 (도 9) 이 보이는 점에서, 메타스틴 정맥 투여에 의한 혈중 글루코오스 농도의 상승작용은, 메타스틴에 의한 글루카곤 분비 자극에 의해 야기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시험예8 메타스틴 유도체의 혈당 상승 작용
메타스틴 유도체 KiSS305 (화합물 305) 및 KiSS322 (화합물 322) 의 혈중 글루코오스 농도 및 혈중 글루카곤 농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 검토하였다. 성숙 Wistar계 수컷 래트 (수술시 체중 260∼3000g) 에 대하여 실험예 1 과 동일하게 자유 행동 하에서 채혈용의 수술을 실행하였다. 수술 후 하룻밤 대기한 후, 메타스틴 투여 전에 용량 1㎖ 의 투베르클린용 주사통과 25 게이지 주사바늘 (모두 테루모사) 을 사용하여 300㎕ 의 혈액을 채취하였다. 혈액응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주사통에는 미리 3㎎/㎖ EDTA 를 포함하는 300 KIU/ml 아프로티닌 용액을 3㎕ 넣어 놓았다. 오오쓰카 생리식염수 또는 메타스틴의 생리식염수 용해액 (80n㏖/mL) 을 튜브로부터 1mL/㎏ 으로 정맥 투여하였다. 정맥 투여의 개시 시점부터 2, 5, 15, 30, 45, 60분 후에 경정맥으로부터 300㎕씩 채혈하였다. 채혈한 혈액은 미량 고속 냉각원심기 (MR-150, 토미정공) 를 사용하여 원심 (13,000rpm, 5분간) 하여, 상등액 (혈장) 을 회수하였다. 실험예 1 또는 2 와 동일하게, 혈중 글루코오스 농도는 후지드라이켐 3500 (FUJIFILM 사), 혈중 글루카곤 농도는 글루카곤 키트 「제1」 (제1 라디오아이소토프 연구소)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화합물 모두 혈중 글루코오스 농도의 상승이 관찰되었다. 또한,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화합물 모두 혈중 글루카곤 농도의 상승이 관찰되었다.
시험예9 인간 메타스틴을 사용한 미성숙 래트에서의 배란 유발
말의 융모성 성선 자극 호르몬 (equine chorionic gonadotropin) (eCG, 셀로트로핀, 다이닛폰제약) 을 100IU/mL 로 생리식염수 (오오쓰카제약) 에 용해하여, 생후 23일된 암컷 Wistar 래트 (닛폰찰즈리바) 의 배부 피하에, 1개체 당 10IU 의 eCG 를, 오전 9시 30분부터 10시 사이에, 용량 1mL 의 투베르클린용 주사통과 26 게이지 주사바늘 (모두 테루모) 을 사용하여 투여하였다. eCG 투여 후 47∼48시간 후에 이하에 나타내는 군으로 나누어 각각의 약제를 투여하였다.
그룹 A (래트 5마리): 인간 융모성 성선 자극 호르몬 (hCG, 고나트로핀, 다이닛폰제약) 을 100 IU/mL 로 생리식염수에 용해하여, 1개체 당 20 IU 를 배부 피하에 투여하였다.
그룹 B (래트 5마리):인간 메타스틴을 100n㏖/mL 로 생리식염수에 용해하여, 1개체 당 20n㏖ 을 배부 피하에 피하투여하였다.
그룹 C (래트 5마리):인간 메타스틴을 33.3n㏖/mL 로 생리식염수에 용해하고, 1개체 당 6.67n㏖ 을 배부 피하에 투여하였다.
그룹 D (래트 6마리):1개체 당 200μL 의 생리식염수를 배부 피하에 투여하였다.
상기 약제의 투여 후, 다시 24∼25시간 후에 단두하여, 혈액, 양측 난관 및 자궁을 회수하였다. 혈액회수에 있어서는, 혈액응고를 방지하기 위해, 회수하는 원심튜브에는 미리 3㎎/mL EDTA 를 포함하는 10KIU/mL 의 아프로티닌 용액 (트라시롤, 바이엘) 을 90μL 넣어 놓았다. 혈액회수 후에는, 충분히 혼합하여, 2,000G 로 25분간 원심하고, 상등액을 회수하여 혈장 샘플로 하였다.
배란수의 계수는, 다음과 같이 하여 실행하였다.
실체 현미경 하에서의 난관의 관찰에 의해, 난관 팽대부에 있어서의 난자의 체류가 확인된 경우에는, 동 부위를 27 게이지의 주사바늘 (테루모) 에 의해서 절개하여 난자를 꺼내고, 트립신 처리에 의해서 난자를 둘러싸는 과립막 세포를 제거한 후, 난자를 계수하였다. 실체 현미경 하에서의 난관의 관찰로, 난관 팽대부에서 난자를 확인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선단을 연마한 27 게이지의 주사바늘을 난관구에 삽입하여, 난관 및 자궁 내를 400μL 이상의 생리식염수로 세정한 후, 유출액 중의 난자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얻어진 배란수를 표 24 에 나타낸다.
표 중, 1∼5 는 래트의 개체번호를 나타낸다.
범용의 과배란처리군인 그룹 A 에서는, 래트 1마리 당 평균 37.6개의 배란이 확인되었다. 메타스틴를 투여한 그룹 B, 그룹 C 에서는, 각각 평균 31.8개, 27.6개의 배란이 확인되었다. 한편,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그룹 D 에서는, 배란수의 평균은 0.6개이고, 배란자극 비존재 하에서의 자발적 배란은 거의 없었다.
표 22 에 나타내는 래트로부터 채취한 혈장 중에 포함되는 에스트라디올 농도를, 라디오 이뮤노 어세이 (DPC ·에스트라디올 키트; Diagnostic Products Corporation) 에 의해 측정한 결과를 도 12 에 나타낸다.
이것으로부터 그룹 A, 그룹 B 및 그룹 C 사이에서, 혈장 중에 포함되는 에스트라디올의 농도차는 없고,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그룹 D 에서만, 에스트라디올의 농도가 매우 높았던 것을 알 수 있다.
혈장 중에 함유되는 프로게스테론 농도를, 라디오 이뮤노 어세이 (DPC ·프로게스테론; Diagnostic Products Corporation) 에 의해 측정한 결과를 도 13 에 나타낸다.
이것으로부터 프로게스테론 농도는 그룹 A 가 가장 높고, 그룹 B 및 그룹 C 는, 그룹 A 의 약 절반의 혈중 농도이었던 것이, 또, 그룹 D 의 프로게스테론 농도는 매우 낮았던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래트, 마우스 및 인간의 난소에 있어서 생성되는 주된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난포의 성숙기에서는 에스트로겐이고, 또한, 배란이 유발된 후에는 프로게스테론이다. 실제, 도 12 및 도 13 의 결과에서도,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그룹 D 에서는, 배란이 유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에스트로겐 생성이 높은 상태에 있고, 한편 hCG 를 투여한 그룹 A 에서는, 에스트로겐 생성이 저하되고, 프로게스테론의 생성이 상승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메타스틴 투여군인 그룹 B 및 그룹 C 에서는, 혈장 중 에스트로겐 농도는 매우 낮고, 반대로 프로게스테론 농도가 상승되어 있는 점에서, 메타스틴은 래트 난소에 대하여, 정상적인 과정을 거쳐 배란을 유발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그룹 A 보다도 그룹 B, 그룹 C 의 프로게스테론 농도가 낮은 점에서, hCG 와 비교하여 메타스틴은, 보다 부드러운 난소 자극 작용을 갖고 있다고 생각된다.
시험예10 인간 메타스틴의 미성숙 래트에서의 고나도트로핀 방출작용
생후 25일된 암컷 Wistar 래트 (닛폰찰즈리바) 에 대하여, 오전 9시부터 10시 사이에, 생리식염수에 33.3n㏖/mL 의 농도로 용해한 인간 메타스틴을, 1개체 당 200μL, 즉 인간 메타스틴 6.67n㏖ 을 배부 피하에 투여하였다. 메타스틴을 투여하기 전, 및 투여하고 나서 1, 2, 4시간 후에 단두하여, 혈액을 회수하였다. 혈액회수에 있어서는, 혈액응고를 방지하기 위해, 회수하는 원심튜브에는 미리 3㎎/mL 의 EDTA를 포함하는 10 KIU/mL 의 아프로티닌 용액 (트라시롤, 바이엘) 을 90μL 넣어 놓았다. 또한 회수 후에는, 충분히 혼합한 후, 2,000G 로 25분간 원심하여, 상등액을 회수하여 혈장 샘플로 하였다. 혈장 중에 포함되는 FSH (난포 자극 호르몬), LH (황체 자극 호르몬), 및 프로게스테론 농도는, 라디오 이뮤노 어세이 (Rat Follicle Stimu1ating Hormone (rFSH) [125I] Biotrack Assay System with Magnetic Separation, Rat Luteinizing Hormone (rLH) [125I] Biotrack Assay System with Magnetic Separation, 모두 아마샴 바이오사시언스 및 DPC·프로게스테론, Diagnostic Products Corporation)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메타스틴 투여에 의한 미성숙 래트 혈중 FSH 농도의 변동을 측정한 결과를, 도 14 에 나타낸다. 메타스틴 투여 후 1시간부터, 혈중 FSH 농도는 유의하게 상승을 시작하여, 2시간 후에 가장 높아져 있었다. 4시간 후에서는 혈중 FSH 농도의 저하가 관찰되었지만, 투여 전에 비교하면 높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메타스틴 투여에 의한 미성숙 래트 혈중 LH 농도의 변동을 측정한 결과를 도 15 에 나타낸다. FSH 의 경우와 동일하게, 메타스틴 투여 후 1시간부터, 혈중 LH 농도는 유의하게 상승을 시작하여, 2시간 후에 가장 높아져 있었다. 4시간 후에서는 혈중 LH 농도의 저하가 관찰되었지만, 투여 전에 비교하면, 높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메타스틴 투여에 의한 미성숙 래트 혈중 프로게스테론 농도의 변동을 측정한 결과를 도 16 에 나타낸다. 혈중 LH 농도의 상승을 반영하여, 혈중 프로게스테론 농도는 메타스틴 투여 후 1시간부터 완만한 상승을 시작하여, 2시간 후에는 투여 전에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도 14 및 도 15 의 결과로부터, 메타스틴을 말초 투여하면, FSH, LH 등의 고나도트로핀의 방출이 유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9 에서 나타낸 메타스틴에 의한 배란 유발은, 이 고나도트로핀 방출, 특히 LH 의 방출을 통한 것으로 추찰된다.
또, 시험예 9 에서 나타낸 배란 유발 작용은 eCG 를 투여한 래트에서의 작용이지만, 본 실시예의 작용은 미처치의 래트를 사용한 결과이고, 메타스틴에 의한 고나도트로핀 방출 작용에는 eCG의 전처리는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16 의 결과는, 메타스틴의 투여에 의한 고나도트로핀의 방출이, 난소에도 생리적인 자극을 주어, 프로게스테론의 생성을 항진시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시험예11 인간 메타스틴에 의한 성숙 수컷 래트의 고나도트로핀 방출작용
생후 11주된 수컷 Wistar 래트 (닛폰찰즈리바) 에 대하여, 오전 10시 30분부터 11시 30분 사이에, 생리식염수에 175n㏖/mL 의 농도로 용해한 인간 메타스틴을, 1개체 당 200μL, 즉 인간 메타스틴 35n㏖ 을 배부 피하에 투여하였다. 메타스틴을 투여하기 전 및 투여하고 나서 1, 2, 4시간 후에 단두하여, 혈액을 회수하였다. 혈액회수에 있어서는, 혈액응고를 방지하기 위해, 회수하는 원심튜브에는 미리 3㎎/mL 의 EDTA 를 포함하는 10 KIU/mL 의 아프로티닌 용액 (트라시롤, 바이엘) 을 300μL 넣어 놓았다. 또한 회수 후에는, 충분히 혼합한 후, 2,000G 로 25분간 원심하여, 상등액을 회수하여 혈장 샘플로 하였다. 혈장 중에 포함되는 FSH (난소 자극 호르몬), LH (황체 자극 호르몬), 및 테스토스테론 농도는, 라디오 이뮤너 어세이 (Rat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rFSH)[125I] Biotrack Assay System with Magnetic Separation, Rat Luteinizing Hormone (rLH)「125I] Biotrack Assay System with Magnetic Separation, 모두 아마샴 바이오사이언스 및 DPC·토탈테스트스텔론 키트, Diagnostic Products Corporation)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메타스틴 투여에 의한 래트 혈중 FSH 농도의 변동을 측정한 결과를, 도 17 에 나타낸다. 메타스틴 투여 후 1시간부터, 혈중 FSH 농도는 유의하게 상승을 시작하여, 2시간 후에 가장 높고, 4시간 후에도 높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메타스틴 투여에 의한 래트 혈중 LH 농도의 변동을 측정한 결과를, 도 18 에 나타낸다. FSH 의 경우와 동일하게 메타스틴 투여 후 1시간부터, 혈중 LH 농도는 유의하게 상승을 시작하여, 2시간 후에 가장 높아져 있었다. 4시간 후에는 혈중 LH 농도의 저하가 관찰되었지만, 투여 전에 비교하면, 높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메타스틴 투여에 의한 래트 혈중 테스토스테론 농도의 변동을 측정한 결과를, 도 19 에 나타낸다. 혈중 테스토스테론 농도는 메타스틴 투여 후 1시간에 급격한 상승을 나타내고, 2시간 후, 4시간 후에서는 저하가 관찰되었지만, 투여 전에 비교하면 어느 시점에서나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도 17 및 도 18 의 결과로부터, 메타스틴을 말초 투여하면, 수컷 래트에 있어서 FSH, LH 등의 고나도트로핀의 방출이 유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9 의 결과를 고려하면, 메타스틴은 고나도트로핀의 방출을 재촉하는 데에 있어서, 암수 어느 것에서나 매우 중요한 인자라고 생각된다.
도 19 의 결과는, 메타스틴의 투여에 의한 고나도트로핀의 방출이, 정소에도 생리적인 자극을 주어, 테스토스테론의 생성을 항진시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들의 결과로부터, 메타스틴의 투여는, 고나도트로핀의 방출을 통해 정소를 자극한다고 생각된다. 메타스틴은, 정자의 성숙이나 호르몬의 분비 등, 남성생식기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 시사되었다.
시험예12 화합물의 혈중 안정성 시험
마우스 혈청은, 생후 8주된 Balb/c 마우스 ( ) 로부터 채혈 후, 37 , 30분 방치하여, 13000rpm 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한 상등액으로서 취득하여, 얻어진 혈청은 -80 에서 동결 보존하였다.
안정성 시험은 혈청 45iL 에, 화합물 5n㏖ (5iL 수용액) 을 더하여, 37 에서 방치함으로써 실행하였다. 방치시간은 2, 10, 30분간의 3점으로 하였다. 방치 후의 샘플은 3분간 끓인 후 빙욕에서 냉각하고, 아세토니트릴/물 (3/1) 200iL 을 더하여, 5분간 초음파처리 후 5000rpm 으로 1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 150iL 을 증류수 250iL 로 희석 후 불용물을 구멍직경 0.45im 의 필터로 여과 제거하고, 여과액 200iL 을 HPLC 분석 (220nm) 하여 화합물의 피크면적을 구하였다. 동일한 조건 하에서, 0분간 처리시의 면적과의 비를, 각각 4회씩 행한 평균치의 비율로서 계산하여 잔존율을 구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잔존율을 세로축에, 시간을 가로축으로 하여 그래프를 작성 후 지수 근사하여, 잔존율이 50% 가 되는 시간을 반감기로서 산출하였다.
분석용 HPLC 는 시마즈제작소 제조 LC-VP series 를 사용하고, 칼럼은 와코쥰야쿠 제조 Wakosi1-II 5C18 HG (4.6㎜×100mm) 를 사용하였다. 용리액에는 A액 (0.1% TFA 함유 수), B액 (0.1% TFA 함유 아세토니트릴) 을 사용하고, 유속 1.0㎖/분으로 A/B:100/0-0/50 의 직선형 농도 구배 용출 (25분) 에 의해 분석하였다.
시험 실시화합물과 그 t1/2(min) 의 값을 표 25 에 나타낸다.
시험예13 메타스틴 유도체를 사용한 미성숙 래트에서의 배란 유발
말의 융모성 성선 자극 호르몬 (eCG, 셀로트로핀, 다이닛폰제약) 을 100IU/mL 로 생리식염수 (오오쓰카제약) 에 용해하여, 생후 23일된 암컷 Wistar 래트 (닛폰찰즈리바) 의 배부 피하에, 1개체 당 10IU 의 eCG 를, 오전 9시부터 10시 사이에, 용량 1mL 의 투베르클린용 주사통과 26 게이지 주사바늘 (모두 테루모) 을 사용하여 투여하였다. eCG 투여 후 47-48 시간 후에 이하에 나타내는 군으로 나누어 각각의 약제를 투여하였다.
그룹 A (5마리): 인간 융모성 성선 자극 호르몬 (hCG, 고나트로핀, 다이닛폰제약) 을 l00IU/mL 로 생리식염수에 용해하여, 1개체 당 20IU 를 배부 피하에 투여.
그룹 B (5마리):화합물번호 305 를 33.3n㏖/mL 로 생리식염수에 용해하고, 1개체 당 6.7n㏖ 을 배부 피하에 피하투여.
그룹 C (5마리):화합물번호 305를 10.0n㏖/mL 로 1개체 당 2.0n㏖ 을 배부 피하에 투여.
그룹 D (5마리):화합물번호 322 를 33.3n㏖/mL 로 생리식염수에 용해하여, 1개체 당 6.7n㏖ 을 배부 피하에 투여.
그룹 E (5마리):화합물번호 322 를 10.0n㏖/mL 로 생리식염수에 용해하고, 1개체 당 2.0n㏖ 을 배부 피하에 투여.
그룹 F (6마리):1개체 당 200μL 의 생리식염수를 배부 피하에 투여.
이들 약제의 투여 후 다시 24-25시간 후에 단두한 후, 혈액, 양측 난관 및 자궁을 회수하였다. 혈액회수에 있어서는, 혈액응고를 방지하기 위해, 회수하는 원심튜브에는 미리 3㎎/mL 의 EDTA 를 포함하는 10kIU/mL 의 아프로티닌 용액 (트라시롤, 바이엘) 을 90μL 넣어 놓고, 또한 회수 후에는, 충분히 혼합한 후, 2,000G 로 25분간 원심하여, 상등액을 회수하여 혈장 샘플로 하였다.
배란수의 계수는, Eur. J. Endocrinol. 138, 594-600 (1998) 에 기재된 방법을 참고로 하여 실행하였다. 즉, 실체 현미경 하에서의 난관의 관찰에 의해, 난관 팽대부에 있어서의 난자의 체류가 확인된 경우에는, 동 부위를 27 게이지의 주사바늘 (테루모) 에 의해서 절개하여 난자를 꺼내고, 트립신 처리에 의해 난자를 둘러싸는 과립막세포를 제거한 후 난자를 계수하였다. 실체 현미경 하에서의 난관의 관찰로, 난관팽대부에서의 난자를 확인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선단을 연마한 27 게이지의 주사바늘을 난관구에 삽입하여, 난관 및 자궁내를 400μL 이상의 생리식염수로 세정한 후, 유출액 중의 난자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배란수를 도 20 에 나타낸다. 널리 쓰이는 과배란 처리군인 그룹 A 에서는, 래트 1마리 당 평균 38.0개의 배란이 확인되고, 그룹 B, C, D 에서의 평균 배란수는 각각 32.6개, 29.4개, 29.6개이고, 그룹 A 와 동등한 배란을 나타내었다. 한편, 화합물번호 322 를 2.0n㏖ 투여한 그룹 E 에서는, 배란한 래트는 5마리 중 3마리이고, 또한 평균 배란수도 11.6개로, 그룹 A 와 비교하고 적었다. 또 음성대상군인 그룹 F 에서는, 전혀 배란은 볼 수 없었다.
도 20 의 결과로부터, hCG 와 동등한 배란을 유발하기 위해서는, 화합물번호 305 는 2.0n㏖/개체 이상, 화합물번호 322 는 6.7n㏖/개체 이상을 투여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혈장 중에 포함되는 에스트라디올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도 21 에 나타낸다. 혈중 에스트라디올 농도는, 라디오 이뮤노 어세이 (DPC ·에스트라디올 키트, 야트론) 에 의해 측정하였다.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스트라디올에 관해서는, 그룹 A, B, C 및 D 의 사이에서 차는 없고,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그룹 F 에서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 그룹 E 에서는, 배란이 유발되지 않았던 래트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었다.
혈장 중에 포함되는 프로게스테론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도 22 에 나타낸다. 혈중 프로게스테론 농도는, 라디오 이뮤노 어세이 (DPC:프로게스테론, 야트론) 에 의해서 측정하였다.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혈중 프로게스테론의 값은 그룹 A 에서 가장 높고, 그룹 B, C, 및 D 에서는 그룹 A 의 약 절반의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그룹 E 와 그룹 F 는 매우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도 21 및 도 22 의 결과로부터, 화합물번호 305 에서는 2.0n㏖/개체 이상, 화합물번호 322 에서는 6.7n㏖/개체를 투여함으로써, 에스트로겐 생성 세포인 과립막세포로부터, 프로게스테론 생성세포인 황체세포로의 정상적인 분획가 유도되고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hCG 투여시에 비교하여 화합물번호 305, KiSS-322 투여시에서는 프로게스테론 농도가 낮은 점에서, 이들 유도체의 난소에 대한 자극작용은 hCG 보다 완화인 것이 시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