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90253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0253A
KR20050090253A KR1020040015589A KR20040015589A KR20050090253A KR 20050090253 A KR20050090253 A KR 20050090253A KR 1020040015589 A KR1020040015589 A KR 1020040015589A KR 20040015589 A KR20040015589 A KR 20040015589A KR 20050090253 A KR20050090253 A KR 20050090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torage container
sliding
support
p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목
김용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5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0253A/ko
Publication of KR20050090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253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05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using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6Doors; Covers for open-top cabi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4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용기를 수용하는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저장실내에 수용되어 상기 저장용기를 지지하는 저장용기지지부와; 상기 저장용기지지부의 하측에 마련되어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맞물림결합하여, 상기 회전부재 회전 시 상기 회전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접근 및 이격이동이 가능한 한 쌍의 이동부재와; 각 일단부는 제1회동부에 의해 상기 저장용기지지부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각 타단부는 제2회동부에 의해 상기 각 이동부재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회동링크부재와; 상기 이동부재 이동시 상기 한 쌍의 회동링크부재의 각 일단부가 상기 제1회동부와 함께 상기 저장용기지지부의 판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각 회동링크부재와 상기 저장용기지지부를 연결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한 쌍의 회동링크부재의 중앙영역에 마련되어 상호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회동링크부재를 연결하는 중심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회동링크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시 상기 중심힌지부를 중심으로 상호 접근 및 이격되어 상기 저장용기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저장실내에 수용된 저장용기를 사용자가 간편하게 원하는 위치만큼 상승시킬 수 있다.
더욱이 한 쌍의 회동링크부재가 중심힌지부를 중심으로 거의 X형태로 교차되면서 저장용기를 상승시키기 때문에, 저장실의 낮은 곳에 위치한 저장용기를 사용자가 인출하기 쉬운 높은 위치까지 상승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저장용기 승강 시 슬라이딩부가 저장용기지지부의 판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함에 따라 저장용기를 지지하는 저장용기지지부가 유동되는 것을 억제되어, 저장용기가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 할 수 있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에 결합되어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 및 저장용기를 수용하는 저장실과 저장실의 온도를 적절히 냉각시키기 위해 형성된 기계실을 포함하는 본체와, 이러한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저장실의 도어개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특히, 냉장고의 기본적인 원리가 김치를 숙성하고, 신선하게 보관하는데 이용된 김치냉장고는 김치 등을 보관하는 저장용기를 수용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저장실과 저장실의 온도를 적절히 냉각시키는 기계실을 포함하는 본체와, 이러한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저장실의 도어개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김치냉장고의 도어는 냉기의 유출을 최소화 하기위해 본체 상부면에 부착되어 저장실의 도어개구를 상향개폐하는 방법이 선호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상향개폐식 도어가 장착된 김치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겠다.
도 8은 종래 김치냉장고의 측단면도로써, 김치냉장고는 본체(101)와, 본체(101)의 상부에 부착되어 저장실(107)의 도어개구를 상향개폐하는 도어(103)를 갖는다.
본체(101)는 본체(101)의 내측에 저장용기(105)를 수용하는 저장실(107)과 저장실(107)의 하부에 저장실(107)의 온도를 적절히 냉각시키기 위해 형성된 기계실(109)을 갖는다.
이러한 김치냉장고는 저장실의 수용공간을 더 확보하기 위해 대형화되면서, 저장실의 폭과 깊이가 더 넓어지고, 또한 저장실내에 수용되는 저장용기도 대형화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더 넓어진 저장실내의 하부에 수용된 무거운 저장용기를 직접 들어올리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다.
이에, 김치저장고의 보관용기 상승장치가 국내특허공개 제01-0028446호에 개시되어있다. 이러한 김치저장고의 보관용기 상승장치는 김치보관용기의 저면에 지지판상에 지지되어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다수 형성하여, 도어를 닫을 때, 하측으로 하강하고, 도어를 개방할 때, 탄성력에 의하여 상승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스프링의 탄성력만을 이용한 보관용기 상승장치가 부착된 김치저장고는 보관용기가 무거울수록 고탄력의 스프링소재를 사용해야하며, 도어를 닫을 때 사용자의 힘만으로 스프링을 압축시켜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어를 개방할 때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만 보관용기가 상승하도록 구성되어 보관용기의 무게에 따라 상승폭이 변동되며, 보관용기가 무거울 경우는 상대적으로 상승폭이 작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만큼 보관용기를 상승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실내에 수용된 저장용기를 사용자가 간편하게 원하는 위치만큼 상승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저장용기를 수용하는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내에 수용되어 상기 저장용기를 지지하는 저장용기지지부와; 상기 저장용기지지부의 하측에 마련되어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맞물림결합하여, 상기 회전부재 회전 시 상기 회전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접근 및 이격이동이 가능한 한 쌍의 이동부재와; 각 일단부는 제1회동부에 의해 상기 저장용기지지부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각 타단부는 제2회동부에 의해 상기 각 이동부재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회동링크부재와; 상기 이동부재 이동시 상기 한 쌍의 회동링크부재의 각 일단부가 상기 제1회동부와 함께 상기 저장용기지지부의 판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각 회동링크부재와 상기 저장용기지지부를 연결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한 쌍의 회동링크부재의 중앙영역에 마련되어 상호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회동링크부재를 연결하는 중심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회동링크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시 상기 중심힌지부를 중심으로 상호 접근 및 이격되어 상기 저장용기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저장용기지지부의 측벽에 관통형성된 슬라이딩장공과; 상기 저장용기지지부의 하부면에 배치되며, 중앙영역은 상기 제1회동부에 의해 상기 각 회동링크부재의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양단부영역은 상기 슬라이딩장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슬라이딩바아를 포함함으로써, 저장용기 승강시 저장용기지지부의 좌우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슬라이딩바아의 양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딩장공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슬라이딩핀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슬라이딩바아는 좌측 및 우측슬라이딩바아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좌측슬라이딩바아부분과 상기 우측슬라이딩바아부분 사이에는 부시가 개재되어 있는 것이 저장용기의 승강시 저자용기지지부의 좌우유동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회동부는 상기 각 회동링크부재의 일측에 관통형성된 힌지공과; 상기 좌측 및 우측슬라이딩부분과 단차지도록 상기 슬라이딩바아의 중앙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힌지공에 회동가능하게 수용되는 바아결합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심힌지부는 상기 한 쌍의 회동링크부재를 관통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 회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중심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저장용기지지부의 하부면에 상기 슬라이딩바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간격을 두고 마련되며, 판면을 관통하는 가이드홀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재와; 상기 각 가이드부재와 상기 중심축부재의 각 단부영역을 연결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지지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저장용기지지부 승강 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슬라이딩지지부의 일측은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기 가이드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제3회동부에 의해 상기 중심축부재의 각 단부영역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3회동부는 상기 중심축부재의 양단부영영역에 각각 결합되며, 회동핀공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축결합부와; 상기 각 슬라이딩지지부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회동핀공과 연통하는 핀수용공과; 상기 회동핀공과 상기 핀수용공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회동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회동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양측방영역에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고정축과; 상기 각 회동링크부재의 타측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각 고정축을 회동가능하게 수용하는 회동공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부재는 중앙영역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물릴 수 있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회전부재통과공과, 양측방영역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각 고정축이 고정되는 축결합공을 가지고, 상기 회전부재를 따라 이동가능한 이동부재본체와; 상기 각 고정축에 결합된 안내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지지대의 양측에는 상기 안내핀을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안내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김치냉장고에 따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2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송장치의 상승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 및 도 4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가 하강한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가 상승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김치냉장고는, 본체(1)와, 본체(1)의 상부에 부착되어 저장실(7)의 도어개구를 상향개폐하는 도어(3)를 갖는다. 본체(1)는 본체(1)의 내측에 저장용기(5)를 수용하는 저장실(7)과, 저장실(7)의 하측에 저장실(7)의 온도를 적절히 냉각시키기 위해 형성된 기계실(9)을 갖는다. 또한, 저장실(7)내부에는 저장용기(5)를 상하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장치(10)가 마련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이송장치(10)는, 저장실(7)내에 수용된 저장용기(5)를 지지하는 저장용기지지부(20)와, 저장실(7)의 저면부에 접촉하는 하부지지대(30)와, 저장용기지지부(20)와 하부지지대(30) 사이에 마련되어 저장용기(5)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한다.
저장용기지지부(20)는 저장실(7) 내에 수용된 저장용기(5)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판부(21)와, 지지판부(21)의 판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플랜지부(22,24)와, 제1 및 제2플랜지부(22,24) 사이에서 각 플랜지부(22,24)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지지판부(21)의 하부면에 마련되어 후술할 제1 및 제2슬라이딩바아(44,47)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바아지지부(26,28)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플랜지부(22)와 제1바아지지부(26) 사이에는 후술할 제1슬라이딩지지부(80)의 슬라이딩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재(11)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2플랜지부(24)와 제2바아지지부(28) 사이에는 후술할 제2슬라이딩지지부(83)의 슬라이딩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재(13)가 마련되어 있다.
제1플랜지부(22)에는 후술할 제1슬라이딩바아(44)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후술할 제1좌측슬라이딩핀(46a)이 삽입되는 제1좌측슬라이딩장공(23a)이 형성되어 있고, 제1좌측슬라이딩장공(23a)과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후술할 제2슬라이딩바아(47)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후술할 제2좌측슬라이딩핀(41a)이 삽입되는 제1우측슬라이딩장공(23b)이 형성되어 있다.
제2플랜지부(24)에는 후술할 제1우측슬라이딩핀(46b)이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좌측슬라이딩장공(25a)이 형성되어 있고, 제2좌측슬라이딩장공(25a)과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후술할 제2우측슬라이딩핀(49b)이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우측슬라이딩장공(25b)이 형성되어 있다.
제1바아지지부(26)에는 후술할 제1좌측바아결합부분(98a)이 삽입되는 제1좌측지지공(27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좌측지지공(27a)과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후술할 제2좌측바아결합부분(99a)이 삽입되는 제1우측지지공(27b)이 형성되어 있다.
제2바아지지부(28)에는 후술할 제1우측바아결합부분(98b)이 삽입되는 제2좌측지지공(29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좌측지지공(29a)과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제2우측바아결합부분(99b)이 삽입되는 제2우측지지공(29b)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좌측슬라이딩장공(23a)과 제1좌측지지공(27a)과, 제2좌측지지공(29a)과 제2좌측슬라이딩장공(25a)이 연통배치되며, 제1우측슬라이딩장공(23b)과 제1우측지지공(27b)과, 제2우측지지공(29b)과 제2우측슬라이딩장공(25b)이 연통배치되는 것이다.
제1가이드부재(11)는 지지판부(21)의 하부면에 마련되어 제1플랜지부(22)의 길이방향에 대한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후술할 제1슬라이딩지지부(80)의 제1가이드돌기(81)를 수용하여 제1가이드돌기(81)의 슬라이딩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홀(12)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제2가이드부재(13)는 지지판부(21)의 하부면에 마련되어 제2플랜지부(24)의 길이방향에 대한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후술할 제2슬라이딩지지부(83)의 제2가이드돌기(84)를 수용하여 제2가이드돌기(84)의 슬라이딩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홀(14)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하부지지대(30)는 후술할 제1 및 제2회동링크부재(50,60)가 사이에 개재되도록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및 제2안내부(31,33)와, 제1 및 제2안내부(31,33)가 사이에 개재되도록 제1 및 제2안내부의 각 양단부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커버(36,37)를 갖는다.
제1안내부(31)에는 후술할 제1좌측안내핀(16a)의 슬라이딩이동을 안내하는 제1안내장공(32a)과, 제1안내장공(32a)과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후술할 제2좌측안내핀(18a)의 슬라이딩이동을 안내하는 제3안내장공(32b)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제2안내부(33)에는 후술할 제1우측안내핀(16b)의 슬라이딩이동을 안내하는 제2안내장공(34a)과, 제2안내장공(34a)과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후술할 제2우측안내핀(18b)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4안내장공(34b)이 형성되어 있다.
제1커버(35)에는 후술할 회전부재(42)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설치공(36)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커버(37)에는 회전부재(42)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2설치공(38)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승강유닛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하부지지대(30)에 마련되어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재(42)와, 하부지지대(30)와 저장용기지지부(20)에 사이에 마련되어 회전부재(42)의 회전운동을 저장용기(5)의 상하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한다.
구동부는 회전운동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41)를 포함한다. 구동모터(41)는 전원공급에 의해 회전운동을 발생시키며 일단부에 회전부재(42)와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출력축(미도시)이 마련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구동모터(41)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본체에 스위치(2)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구동모터(41)는 저장실(7) 내에 마련될 수도 있고 저장실(7) 외측 후방이나 하부에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회전부재(42)와 구동모터(41)의 연결은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회전부재(42)의 일측에 기어를 장착하고 구동모터(41)에 이에 대응하는 기어를 맞물리는 기어를 장착할 수도 있으며, 이렇게 기어를 이용하여 회전부재(42)와 구동모터(41)를 연결할 경우 헬리컬 기어, 일반 평기어, 웜기어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회전부재(42)는 단면이 원형인 봉 형상으로, 대략 길이방향으로 반을 나누어 전반에는 일정방향의 수나사부(43)가 형성되고 나머지 절반에는 반대방향의 수나사부(4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부재(42)의 일측은 구동모터(41)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모터(41)에 의해 회전가능한 것이다.
승강부는 구동부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운동을 저장용기(5)의 상하운동으로 변환시켜 저장용기(5)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며, 회전부재(42)와 나사결합(회전부재(42)의 일영역에 형성된 수나사부(43)와 이에 맞물리게 형성된 암나사부를 마련하여 상호 맞물림 접촉하는 결합)한다.
이러한 승강부는 회전부재(4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및 제2이동부재(90,94)와, 제1 및 제2이동부재(90,94)와 각각 결합하여 제1 및 제2이동부재(90,94)의 슬라이딩이동을 저장용기(5)의 상하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제1 및 제2회동링크부재(50,60)와, 저장용기지지부(20)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저장용기지지부(20)와 각 회동링크부재(50,60)를 연결하는 제1 및 제2슬라이딩바아(44,47)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슬라이딩바아(44,47)는 제1 및 제2가이드부재(11,13)와 나란한 방향으로, 즉 제1 및 제2바아지지부(26,28)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저장용기지지부(20)의 지지판부(21) 하부면에 설치되며, 제1슬라이딩바아(44)는 후술할 제1회동링크부재(5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슬라이딩바아(47)은 후술할 제2회동링크부재(6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슬라이딩바아(44)는 제1좌측 및 제1우측슬라이딩바아부분(45a,45b)과, 제1좌측 및 제1우측바아결합부분(98a,98b)을 포함하며, 제1좌측슬라이딩바아부분(45a)과 제1우측슬라이딩바아부분(45b) 사이에는 저장용기지지부(20)의 승강시 저장용기지지부(20)의 좌우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제1부시(19a)가 개재된다.
제1좌측슬라이딩바아부분(45a)는 제1플랜지부(22)와 제1바아지지부(26)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에는 제1플랜지부(22)의 제1좌측슬라이딩장공(23a)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좌측슬라이딩핀(46a)이 마련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단차지게 연장되어 제1바아지지부(26)의 제1좌측지지공(27a)으로 삽입되는 제1좌측바아결합부분(98a)이 마련되어 있다.
제1우측슬라이딩바아부분(45b)은 제2플랜지부(24)와 제2바아지지부(28)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에는 제2플랜지부(24)의 제2좌측슬라이딩장공(25a)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우측슬라이딩핀(46b)이 마련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단차지게 연장되어 제2바아지지부(28)의 제2좌측지지공(29a)에 삽입되는 제1우측바아결합부분(98b)이 마련되어 있다.
제1좌측바아결합부분(98a)은 제1좌측슬라이딩바아부분(45a)의 단부로부터 단차지게 연장형성되어 제1바아지지부(26)의 제1좌측지지공(27a)과 후술할 제1회동링크부재(50)의 제1좌측힌지공(5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1부시(19a)의 일측에 결합되며, 제1우측바아결합부분(98b)은 제1우측슬라이딩바아부분(45b)의 단부로부터 단차지게 연장형성되어 제2바아지지부(28)의 제2좌측지지공(29a)과 후술할 제1회동링크부재(50)의 제1우측힌지공(55)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1부시(19a)의 타측에 결합된다.
제2슬라이딩바아(47)는 제2좌측 및 제2우측슬라이딩바아부분(48a,48b)과, 제2좌측 및 제2우측바아결합부분(99a,99b)을 포함하며, 제2좌측슬라이딩바아부분(48a)과 제2우측슬라이딩바아부분48b) 사이에는 저장용기지지부(20)의 승강시 저장용기지지부(20)의 좌우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제2부시(19b)가 개재된다.
제2좌측슬라이딩바아부분(48a)은 제1플랜지부(22)와 제1바아지지부(26)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에는 제1플랜지부(22)의 제1우측슬라이딩장공(23b)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좌측슬라이딩핀(49a)이 마련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단차지게 연장되어 제1바아지지부(26)의 제1우측지지공(27b)에 삽입되는 제2좌측바아결합부분(99a)이 마련되어 있다.
제2우측슬라이딩바아부분(48b)은 제2플랜지부(24)와 제2바아지지부(28)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에는 제2플랜지부(24)의 제2우측슬라이딩장공(25b)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우측슬라이딩핀(49b)이 마련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단차지게 연장되어 제2바아지지부(28)의 제2우측지지공(29b)에 삽입되는 제2우측바아결합부분(99b)이 마련되어 있다.
제2좌측바아결합부분(99a)은 제2좌측슬라이딩바아부분(48a)의 단부로부터 단차지게 연장형성되어 제1바아지지부(26)의 제1우측지지공(27b)과 후술할 제2회동링크부재(60)의 제2좌측힌지공(6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2부시(19b)의 일측에 결합되며, 제2우측바아결합부분(99b)은 제2우측슬라이딩바아부분(48b)의 단부로부터 단차지게 연장형성되어 제2바아지지부(28)의 제2우측지지공(29b)과 후술할 제2회동링크부재(60)의 제2우측힌지공(65)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2부시(19b)의 타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1회동링크부재(50)와 제2회동링크부재(60)의 중앙영역에는 제1 및 제2회동링크부재(50,60)가 상호 회동가능하도록 제1 및 제2회동링크부재(50,60)를 연결하는 중심힌지부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중심힌지부는 제1 및 제2회동링크부재(50,60)를 관통하는 제1 및 제2관통공(57,67)과, 제1 및 제2관통공(57,67)에 회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중심축부재(70)를 포함한다.
중심축부재(70)는 후술할 제1좌측링크부(51)와 제2좌측링크부(61)를 관통하는 제1관통공(57)과 제2우측링크부(64)와 제1우측링크부(54)를 관통하는 제2관통공(67)에 회동가능하게 수용된다. 그리고, 중심축부재(70)의 일측과 제1가이드부재(11) 사이에는 제1슬라이딩지지부(80)가 개재되고, 중심축부재(70)의 타측과 제2가이드부재(13) 사이에는 제2슬라이딩지지부(83)가 개재되어 저장용기(5)의 승강시 저장용기지지부(2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제1슬라이딩지지부(80)는 일정 길이를 갖는 바아형상으로, 일측에는 돌출된 제1가이드돌기(81)가 마련되어 있고, 타측에는 관통된 제1핀수용공(82)이 마련되어 있으며, 여기서 제1가이드돌기(81)는 제1가이드부재(11)의 제1가이드홀(12)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1가이드홀(12)에 수용된다.
제2슬라이딩지지부(83)는 일정 길이를 갖는 바아형상으로, 일측에는 돌출된 제2가이드돌기(84)가 마련되어 있고, 타측에는 관통된 제2핀수용공(85)이 마련되어 있으며, 여기서, 제2가이드돌기(84)는 제2가이드부재(13)의 제2가이드홀(14)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2가이드홀(14)에 수용된다.
이 제1슬라이딩지지부(80)를 중심축부재(7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중심축부재(70)의 일측에는 제1축결합부(71)가 결합되어 있고, 이 제2슬라이딩지지부(83)를 중심축부재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중심축부재(70)의 타측에는 제2축결합부(72)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제1슬라이딩지지부(80)에 형성된 제1핀수용공(82)과, 제1핀수용공(82)과 연통하도록 제1축결합부(71)에 형성된 제1회동핀공(73)과, 제1핀수용공(82)과 제1회동핀공(73)에 회동가능하게 수용된 제1회동핀(86)이 마련되기 때문에 제1슬라이딩지지부(80)는 중심축부재(70)에 대해 회동가능하다. 또한 제2슬라이딩지지부(83)에 형성된 제2핀수용공(85)과 제2핀수용공(85)에 연통하도록 제2축결합부(72)에 형성된 제2회동핀공(74)과, 제2핀수용공(85)과 제2회동핀공(74)에 회동가능하게 수용된 제2회동핀(87)을 포함한다.
한편, 제1회동링크부재(50)는 제1좌측링크부(51)와 제1우측링크부(54)로 구성되고, 제2회동링크부재(60)는 제2좌측링크부(61)와 제2우측링크부(64)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제1좌측링크부(51)와 제1우측링크부(64)의 상부영역에는 전술한 제1부시(19a)가 개재되고, 제1좌측링크부(51)와 제1우측링크부(64)의 하부영역에는 제1이동부재(90)가 개재되며, 제2좌측링크부(61)와 제2우측링크부(64)의 상부영역에는 전술한 제2부시(19b)가 개재되고, 제2좌측링크부(61)와 제2우측링크부(64)의 하부영역에는 제2이동부재(94)가 개재되어 있다.
제1좌측 및 제1우측링크부(51,54)는 일정 길이를 갖는 바아형상으로, 제1좌측링크부(51)의 상부영역에는 제1좌측힌지공(52)이 형성되어 있고, 제1좌측힌지공(52)에 대응하는 제1우측링크부(54)의 상부영역에는 제1우측힌지공(5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제1좌측지지공(27a)으로 삽입된 제1좌측바아결합부분(98a)이 이 제1좌측힌지공(52)을 통과하여 제1부시(19a)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이고, 제2좌측지지공(29a)으로 삽입된 제1우측바아결합부분(98b)이 이 제1우측힌지공(55)을 통과하여 제1부시(19a)의 타측에 결합되는 것이다.
제1좌측링크부(51)의 하부영역에는 후술할 제1좌측고정축(15a)을 회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제1좌측회동공(53)이 형성되어 있고, 제1좌측힌지공(53)에 대응한 제1우측링크부(54)의 하부영역에는 제1우측고정축(15b)을 회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제1우측회동공(56)이 형성되어 있다.
제2좌측 및 제2우측링크부(61,64)는 일정 길이를 갖는 바아형상으로, 제2좌측링크부(61)의 상부영역에는 제2좌측힌지공(62)이 형성되어 있고, 제2좌측힌지공(62)에 대응하는 제2우측링크부(64)의 상부영역에는 제2우측힌지공(6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제1우측지지공(27b)으로 삽입된 제2좌측바아결합부분(99a)이 이 제2좌측힌지공(62)을 통과하여 제2부시(19b)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이고, 제2우측지지공(29b)으로 삽입되는 제2우측바아결합부분(99b)이 제2우측힌지공(65)을 통과하여 제2부시(19b)의 타측에 결합되는 것이다.
제2좌측링크부(61)의 하부영역에는 후술할 제2좌측고정축(17a)을 회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제2좌측회동공(63)이 형성되어 있고, 제2좌측회동공(63)에 대응한 제2우측링크부(64)의 하부영역에는 후술할 제2우측고정축(17b)을 회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제2우측회동공(6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1 및 제2회동링크부재(50,60)는 각각 제1 및 제2이동부재(90,94)에 의해 회전부재(42)에 연결되어 있다.
제1이동부재(90)는 거의 사각통형상의 제1이동부재본체(91)와, 제1이동부재본체(91)의 양 측벽 각각에 형성된 제1축좌측결합공(93a) 및 제1축우측결합공(93b)과, 제1이동부재본체(91)의 전방면에 형성된 제1회전부재통과공(92)을 포함한다.
제1축좌측결합공(93a)에는 제1좌측회동공(53)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좌측고정축(15a)이 삽입되고, 제1축우측결합공(93b)에는 제1우측회동공(56)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우측고정축(15b)이 삽입되며, 제1회전부재통과공(92)에는 제2커버(37)의 제2설치공(38)에 설치되는 회전부재의 일단부가 관통되는데, 제1회전부재통과공(92) 내부에는 제1이동부재(90) 이동시 회전부재(42)의 수나사부(43)와 맞물릴 수 있는 암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축좌측결합공(93a)에 삽입되는 제1좌측고정축(15a)에는 제1안내장공(32a)을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제1안내장공(32a)에 삽입되는 제1좌측안내핀(16a)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1축우측결합공(93b)에 삽입되는 제1우측고정축(15b)에는 제2안내장공(34a)을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제2안내장공(34a)에 삽입되는 제1우측안내핀(16b)이 마련되어 있다. 제1좌측 및 제1우측안내핀(16a,16b)의 머리부분은 제1 및 제2안내장공(32a,34a)의 외측으로 노출배치되고 머리부분 직경이 제1 및 제2안내장공(32a,34a)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흔들림이 방지되고 강도가 보완된다.
제2이동부재(94)는 거의 사각통형상의 제2이동부재본체(95)와, 제2이동부재본체(95)의 양 측벽 각각에 형성된 제2축좌측결합공(97a) 및 제2축우측결합공(97b)과, 제2이동부재본체(95)의 전방면에 형성된 제2회전부재통과공(96)을 포함한다.
제2축좌측결합공(97a)에는 제2좌측회동공(63)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좌측고정축(17a)이 삽입되고, 제2축우측결합공(97b)에는 제2우측회동공(66)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우측고정축(17b)이 삽입되며, 제2회전부재통과공(96)에는 제1커버(35)의 제1설치공(36)에 설치되는 회전부재(42)의 일단부가 관통되는데, 제2회전부재통과공(96) 내부에는 제1이동부재(94) 이동시 회전부재(42)의 수나사부(43)와 맞물릴 수 있는 암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축좌측결합공(97a)에 삽입되는 제2좌측고정축(17a)에는 제3안내장공(32b)을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제3안내장공(32b)에 삽입되는 제2좌측안내핀(18a)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2축우측결합공(97b)에 삽입되는 제2우측고정축(17b)에는 제4안내장공(34b)을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제4안내장공(34b)에 삽입되는 제2우측안내핀(18b)이 마련되어 있다. 제2좌측 및 제2우측안내핀(18a,18b)의 머리부분은 제1 및 제2안내장공(32b,34b)의 외측으로 노출배치되고 머리부분 직경이 제1 및 제2안내장공(32b,34b)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흔들림이 방지되고 강도가 보완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이송장치의 조립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조립순서는 이하에 기재하는 바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를 기준으로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조립순서를 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지지판부(21)의 하부면에 제1 및 제2슬라이딩바아(44,47)를 설치하는데, 제1좌측슬라이딩핀(46a)을 제1플랜지부(22)의 제1좌측슬라이딩장공(23a)으로 삽입하여 제1플랜지부(22)와 제1바아지지부(26) 사이에 위치한 제1좌측슬라이딩바아부분(45a)의 일측을 결합시키고, 제1좌측바아결합부분(98a)은 제1좌측지지공(27a)을 통과시켜 제1부시(19a)의 일측과 결합시키며, 제1우측슬라이딩핀(46b)을 제2플랜지부(24)의 제2좌측슬라이딩장공(25a)으로 삽입하여 제2플랜지부(24)와 제2바아지지부(28) 사이에 위치한 제1우측슬라이딩바아부분(45b)의 일측을 결합시키고 제1우측바아결합부분(98b)은 제2좌측지지공(29a)을 통과시켜 제1부시(19a)의 타측과 결합시킨다. 이때 제1좌측지지공(27a)에 삽입된 제1좌측바아결합부분(98a)은 제1좌측링크부(51)의 제1좌측힌지공(52)을 통과하여 제1부시(19a)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이며, 제2좌측지지공(29a)에 삽입된 제1우측바아결합부분(98b)은 제1우측링크부(54)의 제1우측힌지공(55)을 통과하여 제1부시(19a)의 타측에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제2좌측슬라이딩핀(49a)을 제1플랜지부(22)의 제1우측슬라이딩장공(23b)으로 삽입하여 제1플랜지부(22)와 제1바아지지부(26) 사이에 위치한 제2좌측슬라이딩바아부분(48a)의 일측을 결합시키고 제2좌측바아결합부분(99a)은 제1우측지지공(27b)을 통과시켜 제2부시(19b)의 일측과 결합시키며, 제2우측슬라이딩핀(49b)을 제2플랜지부(24)의 제2우측슬라이딩장공(25b)으로 삽입하여 제2플랜지부(24)와 제2바아지지부(28) 사이에 위치한 제2우측슬라이딩바아부분(48b)의 일측을 결합시키고 제2우측바아결합부분(99b)은 제2우측지지공(29b)을 통과시켜 제2부시(19b)의 타측과 결합시킨다. 이때 제1우측지지공(27b)에 삽입된 제2좌측바아결합부분(99a)은 제2좌측링크부(61)의 제2좌측힌지공(62)을 통과하여 제2부시(19b)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이며, 제2우측지지공(29b)에 삽입된 제2우측바아결합부분(99b)은 제2우측링크부(64)의 제2우측힌지공(65)을 통과하여 제2부시(19b)의 타측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1좌측링크부(51)와 제1우측링크부(54)의 상부영역에는 제1부시(19a)가 개재되고, 제1좌측슬라이딩핀(46a)이 제1좌측슬라이딩장공(23a)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제1우측슬라이딩핀(46b)이 제2좌측슬라이딩장공(25a)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수용됨에 따라, 제1슬라이딩바아(44)는 지지판부(21)의 판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판부(21)의 하부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2좌측링크부(61)와 제2우측링크부(64)의 상부영역에는 제2부시(19b)가 개재되고, 제2좌측슬라이딩핀(49a)이 제1우측슬라이딩장공(23b)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제2우측슬라이딩핀(49b)이 제2우측슬라이딩장공(25b)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수용됨에 따라 제2슬라이딩바아(47)는 지지판부(21)의 판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이동가능하도록 지지판부(21)의 하부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1회동링크부재(50)와 제2회동링크부재(60)의 중앙영역에 형성된 제1 및 제2관통공(57,67)으로 중심축부재(70)를 회동가능하게 수용시키고, 중심축부재(70)의 일측에 제1축결합부(71)를 결합시키고 타측에 제2축결합부(72)를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제1슬라이딩지지부(80)의 제1가이드돌기(81)를 제1가이드부재(11)의 제1가이드홀(12)에 수용시키고 제2슬라이딩지지부(83)의 제2가이드돌기(84)를 제2가이드부재(19)의 제2가이드홀(14)에 수용시킨 후, 제1슬라이딩지지부(80)의 제1핀수용공(82)과 제1축결합부(71)의 제1회동핀공(73)이 상호 연통되면 제1회동핀(86)을 회동가능하게 수용시키고, 마찬가지로 제2슬라이딩지지부(83)의 제2핀수용공(85)과 제2축결합부(72)의 제2회동핀공(74)이 상호 연통되면 제2회동핀(87)을 회동가능하게 수용시킨다.
한편, 제1좌측바아결합부분(98a)을 회동가능하게 수용한 제1좌측힌지공(52)과 제1우측바아결합부분(98b)을 회동가능하게 수용한 제1우측힌지공(55)에 의해 상부영역이 제1슬라이딩바아(44)와 연결된 제1회동링크부재(50)의 하부영역을 제1이동부재(90)에 결합시키고, 제2좌측바아결합부분(99a)을 회동가능하게 수용한 제2좌측힌지공(62)과 제2우측바아결합부분(99b)을 회동가능하게 수용한 제2우측힌지공(65)에 의해 상부영역이 제2슬라이딩바아(47)와 연결된 제2회동링크부재(60)의 하부영역을 제2이동부재(94)에 결합시킨다.
즉 회전부재(42)의 일측영역을 제1이동부재본체(91)의 제1회전부재통과공(92)으로, 제1좌측고정축(15a)을 제1축좌측결합공(93a)으로, 제1우측고정축(15b)을 제1축우측결합공(93b)으로 삽입시킨 다음, 제1이동부재본체의 좌측에 고정된 제1좌측고정축(15a)을 제1좌측회동공(53)에 회동가능하게 수용시키고, 제1이동부재본체(91)의 우측에 고정된 제1우측고정축(15b)을 제1우측회동공(56)에 회동가능하게 수용시킨다. 후에 제1좌측안내핀(16a)을 제1좌측고정축(15a)에 결합시키고 제1우측안내핀(16b)을 제1우측고정축(15b)에 결합시킨다.
마찬가지로 회전부재의 타측영역을 제2이동부재본체(95)의 제2회전부재통과공(96)으로, 제2좌측고정축(17a)을 제2축좌측결합공(97a)으로, 제2우측고정축(17b)을 제2축우측결합공(97b)으로 삽입시킨 다음, 제2이동부재본체(95)의 좌측에 고정된 제2좌측고정축(17a)을 제2좌측회동공(63)에 회동가능하게 수용시키고, 제2이동부재본체(95)의 우측에 고정된 제2우측고정축(17b)을 제2우측회동공(66)에 회동가능하게 수용시킨다. 후에 제2좌측안내핀(18a)을 제2좌측고정축(17a)에 결합시키고 제2우측안내핀(18b)를 제2우측고정축(17b)에 결합시킨다.
여기서 제1좌측고정축(15a)에 의해 제1좌측링크부(51)와 연결된 제1좌측안내핀(16a)은 제1안내장공(32a)으로, 제1우측고정축(15b)에 의해 제1우측링크부(54)와 연결된 제1우측안내핀(16b)은 제2안내장공(34a)으로, 제2좌측고정축(17a)에 의해 제2좌측링크부(61)와 연결된 제2좌측안내핀(18a)은 제3안내장공(32b)으로, 제2우측고정축(17b)에 의해 제2우측링크부(64)와 연결된 제2우측안내핀(18b)은 제4안내장공(34b)으로 각각 삽입시킨 후, 제1 및 제2안내부((13,33)의 각 양단부를 제1커버 및 제2커버(35,37)에 결합시키며, 이때 제2회전부재통과공(96)을 통과한 회전부재(42)의 일측단부는 제1커버(35)의 제1설치공(36)에 삽입시키고 제1회전부재통과공(92)을 통과한 회전부재(42)의 타측단부는 구동모터(41)와 연결되도록 제2커버(37)의 제2설치공(38)에 삽입시키면 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4 및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이송장치에 의해 저장용기의 승강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하강상태를 기준으로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상승상태로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저장용기지지부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슬라이딩바아(44,47)는 상호 이격되어 각각 지지판부의 양단부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제1 및 제2회동링크부재(50,60)는 지지용기지지부(20)의 지지판부(21) 하부면에 거의 밀착배치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슬라이딩지지부(80,83)는 상호 이격되어 제1 및 제2가이드부재(11,13)와 거의 밀착배치되어 있고, 하부지지대(30) 역시 지지판부(21)의 하부면과 거의 인접배치되어 있는 상태이며, 제1 및 제2이동부재(90,94)는 각각 제2 및 제1커버(37,35)와 인접하게 상호 이격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본체(1)의 일영역에 부착되어 구동모터(41)와 연결된 스위치(2)를 조작하면, 구동모터(41)의 출력축(미도시)이 스위치(2)에 의해 조작된 만큼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모터(41)와 연결된 회전부재(42)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회전부재(42)와 나사결합된 제1 및 제2이동부재(90,94))가 상호 접근하는 방향 즉 회전부재(40)의 중앙영역으로 상호 이동하게 되고 이때 이격되어 있던 제1 및 제2슬라이딩바아(44,47)가 역시 지지판부(21)읠 판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이동하면서 상호 접근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제1 및 제2이동부재(90,94)에 힌지결합된 제1 및 제2회동링크부재(50,60)도 중심축부재(70)를 중심으로 점차 상호 이격되면서 기립된다.
한편 이러한 동작과 함께 제1 및 제2가이드부재(11,13)에 거의 나란하게 인접배치된 제1 및 제2슬라이딩지지부(80,83)가 지지판부(21) 하부면에 대해 기립하는 방향으로 회동이동하고, 제1 및 제2슬라이딩바아의 제1가이드돌기(81) 및 제2가이드돌기(84)는 상호 접근하는 방향 즉 지지판부(21)의 중앙영역으로 제1 및 제2가이드홀(12,14)을 따라 슬라이딩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접혀져 있던 제1 및 제2회동링크부재(50,60)가 제1 및 제2이동부재(90,94)가 상호 접근함에 따라 제1 및 제2슬라이딩바아(44,47)가 슬라이딩이동하면서 상호 접근하고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X자 형태로 기립하게 되면서 저장용기지지부(20)와 저장용기지지부(20) 위의 저장용기(5)가 상승하는 것이다. 따라서 따라서 사용자는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편리하게 저장용기(5)를 꺼낼 수 있는 것이다.
저장용기(5)를 하강시키기 위한 이송장치(10)의 하강과정은 본체(1)의 일영역에 부착된 스위치(2)를 조작하여 구동모터(41)를 역회전시키며, 이에 따라 전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저장용기(5)가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저장용기(15)를 저장실(13)로 다시 넣을 때에도 허리를 숙일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김치냉장고에서 회전되는 회전부재와; 회전부재 회전 시 상호 접근 및 이격이동이 가능한 한 쌍의 이동부재와; 이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중심힌지부를 중심으로 승강가능한 한 쌍의 회동링크부재와; 이동부재 이동시 한 쌍의 회동링크부재의 각 일단부가 저장용기지지부의 판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딩부가 마련되어 있음에 따라, 저장실 내에 수용된 저장용기를 사용자가 간편하게 원하는 위치만큼 상승시킬 수 있다.
더욱이 한 쌍의 회동링크부재가 중심힌지부를 중심으로 거의 X형태로 교차되면서 저장용기를 상승시키기 때문에, 저장실의 낮은 곳에 위치한 저장용기를 사용자가 인출하기 쉬운 높은 위치까지 상승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저장용기 승강 시 슬라이딩부가 저장용기지지부의 판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함에 따라 저장용기를 지지하는 저장용기지지부가 유동되는 것을 억제되어, 저장용기가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송장치(10)는 김치냉장고의 저장실(7)내에 수용되며, 구동모터(41))와 스위치(2)를 연결하는 선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있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착탈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고, 승강장치(10)가 김치냉장고의 본체(1)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실내에 수용된 저장용기를 사용자가 간편하게 원하는 위치만큼 상승시킬 수 있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더욱이 한 쌍의 회동링크부재가 중심힌지부를 중심으로 거의 X형태로 교차되면서 저장용기를 상승시키기 때문에, 저장실의 낮은 곳에 위치한 저장용기를 사용자가 인출하기 쉬운 높은 위치까지 상승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저장용기 승강 시 슬라이딩부가 저장용기지지부의 판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함에 따라 저장용기를 지지하는 저장용기지지부가 유동되는 것을 억제되어, 저장용기가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 할 수 있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2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송장치의 상승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3 및 도 4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가 하강한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가 상승한 상태의 측면도,
도 8은 종래 김치냉장고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3 : 도어
5 : 저장용기 7 : 저장실
9 : 기계실 10 : 이송장치
11 : 제1가이드부재 13 : 제2가이드부재
19a : 제1부시 19b : 제2부시
20 : 저장용기지지부 21 : 지지판부
22 : 제1플랜지부 24 : 제2플랜지부
26 : 제1바아지지부 28 : 제2바아지지부
30 : 하부지지대 31 : 제1안내부
33 : 제2안내부 35 : 제1커버
37 : 제2커버 41 : 구동모터
42 : 회전부재 43 : 수나사부
44 : 제1슬라이딩바아 47 : 제2슬라이딩바아
50 : 제1회동링크부재 51 : 제1좌측링크부
54 : 제1우측링크부 57 : 제1관통공
60 : 제2회동링크부재 61 : 제2좌측링크부
64 : 제2우측링크부 70 : 중심축부재
71 : 제1축결합부 72 : 제2축결합부
80 : 제1슬라이딩지지부 83 : 제2슬라이딩지지부
90 : 제1이동부재 94 : 제2이동부재

Claims (12)

  1. 저장용기를 수용하는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내에 수용되어 상기 저장용기를 지지하는 저장용기지지부와;
    상기 저장용기지지부의 하측에 마련되어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맞물림결합하여, 상기 회전부재 회전 시 상기 회전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접근 및 이격이동이 가능한 한 쌍의 이동부재와;
    각 일단부는 제1회동부에 의해 상기 저장용기지지부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각 타단부는 제2회동부에 의해 상기 각 이동부재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회동링크부재와;
    상기 이동부재 이동시 상기 한 쌍의 회동링크부재의 각 일단부가 상기 제1회동부와 함께 상기 저장용기지지부의 판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각 회동링크부재와 상기 저장용기지지부를 연결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한 쌍의 회동링크부재의 중앙영역에 마련되어 상호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회동링크부재를 연결하는 중심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회동링크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시 상기 중심힌지부를 중심으로 상호 접근 및 이격되어 상기 저장용기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저장용기지지부의 측벽에 관통형성된 슬라이딩장공과;
    상기 저장용기지지부의 하부면에 배치되며, 중앙영역은 상기 제1회동부에 의해 상기 각 회동링크부재의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양단부영역은 상기 슬라이딩장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슬라이딩바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슬라이딩바아의 양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딩장공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슬라이딩핀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슬라이딩바아는 좌측 및 우측슬라이딩바아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좌측슬라이딩바아부분과 상기 우측슬라이딩바아부분 사이에는 부시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부는
    상기 각 회동링크부재의 일측에 관통형성된 힌지공과;
    상기 좌측 및 우측슬라이딩부분과 단차지도록 상기 슬라이딩바아의 중앙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힌지공에 회동가능하게 수용되는 바아결합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힌지부는
    상기 한 쌍의 회동링크부재를 관통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 회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중심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지지부의 하부면에 상기 슬라이딩바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간격을 두고 마련되며, 판면을 관통하는 가이드홀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재와;
    상기 각 가이드부재와 상기 중심축부재의 각 단부영역을 연결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슬라이딩지지부의 일측은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기 가이드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제3회동부에 의해 상기 중심축부재의 각 단부영역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회동부는
    상기 중심축부재의 양단부영영역에 각각 결합되며, 회동핀공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축결합부와;
    상기 각 슬라이딩지지부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회동핀공과 연통하는 핀수용공과;
    상기 회동핀공과 상기 핀수용공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회동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동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양측방영역에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고정축과;
    상기 각 회동링크부재의 타측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각 고정축을 회동가능하게 수용하는 회동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중앙영역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물릴 수 있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회전부재통과공과, 양측방영역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각 고정축이 고정되는 축결합공을 가지고, 상기 회전부재를 따라 이동가능한 이동부재본체와;
    상기 각 고정축에 결합된 안내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지지대의 양측에는 상기 안내핀을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안내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40015589A 2004-03-08 2004-03-08 냉장고 Withdrawn KR200500902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589A KR20050090253A (ko) 2004-03-08 2004-03-08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589A KR20050090253A (ko) 2004-03-08 2004-03-08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253A true KR20050090253A (ko) 2005-09-13

Family

ID=37272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589A Withdrawn KR20050090253A (ko) 2004-03-08 2004-03-08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02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841A1 (en) * 2018-10-19 2020-04-2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20230017901A (ko) * 2018-05-08 2023-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7901A (ko) * 2018-05-08 2023-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20080841A1 (en) * 2018-10-19 2020-04-2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N112867902A (zh) * 2018-10-19 2021-05-28 Lg电子株式会社 冰箱
US11573050B2 (en) 2018-10-19 2023-02-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N112867902B (zh) * 2018-10-19 2023-02-21 Lg电子株式会社 冰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0647B1 (ko)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586519B1 (ko) 김치 냉장고
KR100662405B1 (ko) 서랍식 인출장치
KR100555826B1 (ko) 냉장고
KR10070077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바스켓 구동장치
KR20180138083A (ko)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20200025507A (ko) 냉장고
KR20100122459A (ko) 연장식 풀아웃 요소를 구비한 찬장 유닛
CN100429466C (zh) 具有拉篮提升装置的冰箱
EP3911903B1 (en) Refrigerator
KR20060006588A (ko)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20050090253A (ko) 냉장고
KR100471050B1 (ko) 냉장고
KR20190128501A (ko) 냉장고
CN112639381A (zh) 冰箱
KR20060006599A (ko) 바스켓 승강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KR100606981B1 (ko) 냉장고
US9074807B2 (en) Reclosable compartment for refrigerator
KR100697466B1 (ko) 냉장고
CN219433566U (zh) 冰箱
KR100481079B1 (ko) 김치냉장고
KR20180138080A (ko)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0628712B1 (ko) 김치냉장고
KR20040067662A (ko) 김치냉장고
CN117166864A (zh) 一种冷柜助力铰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