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7234A - 에프엠 송신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에프엠 송신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87234A KR20050087234A KR1020040012944A KR20040012944A KR20050087234A KR 20050087234 A KR20050087234 A KR 20050087234A KR 1020040012944 A KR1020040012944 A KR 1020040012944A KR 20040012944 A KR20040012944 A KR 20040012944A KR 20050087234 A KR20050087234 A KR 200500872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mobile communication
- transmitting
- communication terminal
- receiv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60 explo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1/58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 E04B1/583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of substantially rectangular form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2001/1924—Stru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1933—Stru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f polygonal, e.g. square, cross se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2001/195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nodes and stru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2001/587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using exterior clamping plates or sh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mit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FM 송신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지국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변조기, 복조기와 송신증폭기와 수신증폭기를 포함한 무선 회로부와, 무선 회로부를 통하여 MOD를 수신하면,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송출하거나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FM 수신부로 전달하는 오디오 신호처리부와,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특정 주파수의 FM 신호를 송신하는 FM 송신부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발생되는 각종 표시데이터 및 문자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표시부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와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다른 회로들을 포함하며 송신기와 수신기를 제어하여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가 스피커와 마이크로폰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의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무선 회로부를 통해 수신한 MOD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오디오 신호처리부로 전송하는 제어부와,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소자로 이루어져 있는 메모리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FM 송신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MOD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에 FM 송신 모듈을 첨가함으로써 차량의 오디오나 집안의 오디오를 통하여 음악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FM 송신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의 보급이 확산되고 이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서비스를 유용하게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전 세계적인 폭발적인 수요에 힘입은 활발한 연구활동의 결과로 그 기능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즉, 단말기의 외형에 있어서는 휴대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 단말기의 크기는 작아지고 무게 또한 가볍게 개선되고 있으며, 단말기의 내적 기능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음성통화 뿐만 아니라 인터넷 검색, 무선 데이터 통신, 전자수첩 기능 등 매우 다양한 기능이 구현되어 사용자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였다.
또한 최근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는 이러한 특정 기능들에 부합하여 MOD(Music on Demand) 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음악을 이어폰 혹은 내장된 스피커로 재생하여 들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음악을 제공받아 편리하게 들을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음악을 듣고 싶은 경우에는 항상 이동통신단말기에 직접 이어폰을 꽂아서 듣거나 내장된 스피커로만 들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에 FM 송신 모듈을 첨가함으로써 수신한 음악을 특정 FM 신호로 주변의 FM 기기에 이를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FM 기기를 통하여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단말기 내에 저장되어있는 음악을 편리하게 감상할 수 있는 FM 송신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지국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변조기, 복조기와 송신증폭기와 수신증폭기를 포함한 무선 회로부와, 무선 회로부를 통하여 MOD를 수신하면,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송출하거나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FM 송신부로 전달하는 오디오 신호처리부와,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특정 주파수의 FM 신호를 송신하는 FM 송신부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발생되는 각종 표시데이터 및 문자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표시부와, 복수개의 숫자/문자 입력키와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기능 키 및 통화를 위한 키 등을 구비하고 있는 입력부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와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다른 회로들을 포함하며 송신기와 수신기를 제어하여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가 스피커와 마이크로폰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의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무선 회로부를 통해 수신한 MOD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오디오 신호처리부로 전송하는 제어부와,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소자로 이루어져 있는 메모리부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동통신단말기(100)는 기지국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변조기, 복조기와 송신증폭기와 수신증폭기를 포함한 무선 회로부(110)를 포함한다.
표시부(1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각종 표시 데이터 및 문자 메시지 등을 출력한다.
입력부(140)는 키패드(Key pad)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개의 숫자/문자 입력키와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기능 키 및 통화를 위한 키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130)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와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다른 회로들을 포함하며 송신기와 수신기를 제어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스피커(170)와 마이크로폰(180)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의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무선 회로부(110)를 통해 수신한 MOD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오디오 신호 처리부(19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MOD(Music on Demand)란 주문형 음악 서비스라고도 하며,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원음의 음악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오디오 신호 처리부(190)는 디지털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스피커(170)로 송출하거나 마이크로폰(180)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무선 회로부(110)를 통하여 MOD를 수신하면,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스피커(170)로 송출하거나 마이크로폰(180)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FM 송신부(120)로 전달한다.
FM 송신부(120)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특정 주파수의 FM 신호를 송신한다. 메모리부(160)는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롬(Read Only Memory: ROM) 및 음성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FM 송신모듈을 이용하여 음악을 송신하는 모습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FM 송신모듈을 이용하여 음악을 송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MOD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100)에 FM 송신모듈을 첨가하고 MOD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듣고자 하는 음악을 수신한다(단계 303). 음악을 수신한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는 특정 주파수의 FM 신호로 단말기가 아닌 FM 기기 즉, 차량(203)이나 오디오(206)로 음악을 송신한다(단계 306).
FM 기기인 차량(203) 또는 오디오(206)에서는 특정 주파수의 FM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송신되어진 음악을 재생한다(단계 309).
이상, 본 발명을 몇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MOD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FM 송신모듈을 첨가시킴으로써 MOD 서비스를 통해 음악을 수신하고 이를 특정 주파수의 FM 신호로 FM 기기, 즉 오디오나 차량에 송신하여 오디오나 차량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되어있거나 수신한 음악을 편리하게 들을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FM 송신모듈을 이용하여 음악을 송신하는 모습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FM 송신모듈을 이용하여 음악을 송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Claims (1)
- 기지국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변조기, 복조기와 송신증폭기와 수신증폭기를 포함한 무선 회로부와,무선 회로부를 통하여 MOD를 수신하면,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송출하거나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FM 송신부로 전달하는 오디오 신호처리부와,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특정 주파수의 FM 신호를 송신하는 FM 송신부와,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발생되는 각종 표시데이터 및 문자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표시부와,복수개의 숫자/문자 입력키와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기능 키 및 통화를 위한 키 등을 구비하고 있는 입력부와,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와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다른 회로들을 포함하며 송신기와 수신기를 제어하여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가 스피커와 마이크로폰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의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무선 회로부를 통해 수신한 MOD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오디오 신호처리부로 전송하는 제어부와,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소자로 이루어져 있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 송신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2944A KR20050087234A (ko) | 2004-02-26 | 2004-02-26 | 에프엠 송신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2944A KR20050087234A (ko) | 2004-02-26 | 2004-02-26 | 에프엠 송신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87234A true KR20050087234A (ko) | 2005-08-31 |
Family
ID=37270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12944A KR20050087234A (ko) | 2004-02-26 | 2004-02-26 | 에프엠 송신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50087234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7061161A1 (en) * | 2005-11-28 | 2007-05-31 | Wiseware Co. | Portable fm transmitter |
WO2008122156A1 (fr) * | 2007-04-06 | 2008-10-16 | Dong Fang | Téléphone portable à fonction émetteur radio et musique |
-
2004
- 2004-02-26 KR KR1020040012944A patent/KR2005008723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7061161A1 (en) * | 2005-11-28 | 2007-05-31 | Wiseware Co. | Portable fm transmitter |
WO2008122156A1 (fr) * | 2007-04-06 | 2008-10-16 | Dong Fang | Téléphone portable à fonction émetteur radio et musiqu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0124993A (ja) | テレビ電話 | |
JPH10304030A (ja) | 携帯電話装置 | |
KR100779145B1 (ko) | 다기능 손목 시계 | |
WO2006088273A1 (en) | Remote control system for mobile phones | |
KR20050087234A (ko) | 에프엠 송신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 |
JPH10126466A (ja) | 携帯電話機 | |
JP3438021B2 (ja) | 移動体通信端末 | |
JPH0697876A (ja) | コードレス電話機 | |
KR20070080011A (ko) | 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스테레오 이어폰의 이어 마이크 폰구현 방법 및 회로 | |
KR20070105667A (ko) | 휴대 단말기의 배경음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 | |
JP2003188948A (ja) | 携帯端末装置 | |
JP2003125496A (ja) | 補聴装置及び音声再生装置 | |
KR100736569B1 (ko) |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JP2003125478A (ja) | オーディオ送受信装置 | |
KR100820549B1 (ko) |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화 장치 | |
JPH09247249A (ja) | 携帯電話機 | |
JP2525481Y2 (ja) | 電話機 | |
KR20070082169A (ko) |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플래시를 이용한 광통신 방법 및장치 | |
KR200330533Y1 (ko) | 유/무선 전화기 | |
KR20070063759A (ko) | 문자메시지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방법 | |
KR20060114081A (ko) | 에이알에스 접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
KR200342213Y1 (ko) | 전화기용 마이크-이어폰 | |
KR200343145Y1 (ko) | 동일한 배경음을 양쪽에서 들을수 있게 한 전화 | |
KR20010056432A (ko) | 무선 이어폰이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 시스템 | |
JP2000209657A (ja) | 分離型携帯電話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2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602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