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86749A - 트랜스폰더가 트랜스폰더의 그룹에 속해 있는지를 인식하는방법 및 통신 기지국, 트랜스폰더와 그 회로 - Google Patents

트랜스폰더가 트랜스폰더의 그룹에 속해 있는지를 인식하는방법 및 통신 기지국, 트랜스폰더와 그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6749A
KR20050086749A KR1020057009000A KR20057009000A KR20050086749A KR 20050086749 A KR20050086749 A KR 20050086749A KR 1020057009000 A KR1020057009000 A KR 1020057009000A KR 20057009000 A KR20057009000 A KR 20057009000A KR 20050086749 A KR20050086749 A KR 20050086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nder
data
crc
generating means
base st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9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란쯔 암트만
마이클 세르누스카
크리스티안 쉐라본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50086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674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59Responders; Transpon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01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 G06K7/1010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interrogating only those RFIDs that fulfill a predetermined requirement, e.g. selecting all RFIDs having the same speed and moving in a cloud like fashion, e.g. on the same train; interrogating only RFIDs having a certain predetermined temperature, e.g. in the same fridge, another possibility being the active ignoring of a group of tags that fulfill a predetermined requirement, equivalent to the Boolean NOT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08General problems related to the reading of electronic memory record carriers, independent of its reading method, e.g. powe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01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 G06K7/1002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the collision being resolved in the time domain, e.g. using binary tree search or RFID responses allocated to a random time slot
    • G06K7/1003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the collision being resolved in the time domain, e.g. using binary tree search or RFID responses allocated to a random time slot interrogator driven, i.e. synchrono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설계된 트랜스폰더(2)가 트랜스폰더(2)의 적어도 두 개의 그룹(GR1, GR2, GR3, ....GRn) 중의 하나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인식하는 방법을 사용함에 있어서, 우선, 트랜스폰더(2)의 각 그룹(GR1, GR2, GR3, ...GRn)에 대해, 트랜스폰더(2)의 그룹(GR1, GR2, GR3, ....GRn)을 가리키는 체크 데이터 블록(CRC1, CRC2, CRC3, .....CRCn)이 생성되며, 그 다음, 트랜스폰더(2)의 그룹(GR1, GR2, GR3, ...GRn)을 나타내는 체크 데이터 블록(CRC1, CRC2, CRC3, ..CRCn)으로부터의 데이터가, 트랜스폰더(2)가 트랜스폰더(2)의 그룹(GR1, GR2, GR3, ....GRn)에 속하는지 여부를 인식하기 위해 평가된다.

Description

트랜스폰더가 트랜스폰더의 그룹에 속해 있는지를 인식하는 방법 및 통신 기지국, 트랜스폰더와 그 회로{METHOD OF RECOGNIZING WHETHER A TRANSPONDER BELONGS TO A GROUP OF TRANSPONDERS}
본 발명은 통신 기지국(communication station)과 통신하도록 설계된 트랜스폰더(transponder)가 적어도 두 그룹의 트랜스폰더 중의 하나에 속하는지를 인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방법 하에서, 트랜스폰더와 통신하도록 설계된 통신 기지국은 코맨드 데이터 블록(command data block) 및 체크 데이터 블록(check data block)을 포함하는 요청 신호(request signal)를 트랜스폰더에 전송하고 트랜스폰더가 트랜스폰더의 그룹에 포함되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요청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가 트랜스폰더 내에서 평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그룹의 트랜스폰더 중의 하나에 속해 있는 트랜스폰더와 통신하는 통신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그룹의 트랜스폰더 중의 하나에 속해 있는 트랜스폰더와 통신하는 통신 기지국의 회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그룹의 트랜스폰더 중의 하나에 속해 있으며 통신 기지국과 통신하는 트랜스폰더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그룹의 트랜스폰더 중의 하나에 속해 있으며 통신 기지국과 통신하는 트랜스폰더의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방법, 통신 기지국, 통신 기지국을 위한 회로, 트랜스폰더 및 트랜스폰더를 위한 회로는 스탠다드 ISO 16593의 형태로 발행되어서 잘 알려져 있다.
알려진 해법의 경우, 요청 신호 - 요청 신호에 의해 트랜스폰더의 그룹이 어드레싱될 수 있으므로 그룹 요청 신호로 명명됨 - 는 코맨드 데이터 블록 및 체크 데이터 블록을 포함하고, 코맨드 데이터 블록은 코맨드 섹션 및 파라미터 섹션을 포함한다. 그룹 요청 신호의 파라미터 섹션에는 개개의 데이터 블록이 제공되는데, 이러한 데이터 블록은 AFI 데이터 블록으로 명명되고 총 8 비트, 즉 1 바이트를 포함하며 각 트랜스폰더의 그룹을 위해 신중히 선택되고 설계되었다. 축약어 AFI는 애플리케이션 필드 아이덴티파이어(application field identifier)를 나타낸다. AFI 데이터 블록은 공지의 통신 기지국에서 발생되고 공지의 통신 기지국의 통신 영역 내에 존재하는 공지의 트랜스폰더로 전송되며 이들 트랜스폰더 내에서 평가된다. 통신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설계된 트랜스폰더가 적어도 두 개 그룹의 트랜스폰더 중의 하나에 속하는지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공지의 해법을 통해 확실함에도 불구하고, 공지의 해법은 트랜스폰더가 트랜스폰더 그룹에 속하는지의 인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개개의 데이터 블록, 즉 AFI 데이터 블록이 그룹 요청 신호의 파라미터 섹션 내에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통신 기지국으로부터 트랜스폰더로의 전송을 위해, 이러한 종류의 개개의 AFI 데이터 블록은 부가적 전송 시간 인터벌을 필요로 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게다가 이러한 종류의 개개의 AFI 데이터 블록은 전송 주파수 스펙트럼에 부정적 영향을 끼쳐 이러한 공지의 해법이 개선되어야 할 필요성이 야기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근거하여 설명될 것이지만, 거기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지국의 부분을 개략적으로 블록도의 형태로 도시한다 - 이 실시예는 현 문맥상 중요하며 이 통신 기지국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적 회로를 포함함 - .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폰더의 부분을 개략적으로 블록도의 형태로 도시한다 - 이 실시예는 현 문맥상 중요하며 이 트랜스폰더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적 회로를 포함함 - .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도 1에 관한 통신 기지국(1)으로부터 도 2에 관한 트랜스폰더로 전송되는 요청 신호의 구성에 관한 개략적 도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의 필요성이 있는 공지의 방법을 향상시키는 것, 즉 이 방법의 적용에 있어서 발생하는 단점을 제거하고 향상된 방법, 향상된 통신 기지국, 통신 기지국을 위한 향상된 회로, 향상된 트랜스폰더 및 트랜스폰더를 위한 향상된 회로를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에 언급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특성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제공되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특정될 수 있다.
통신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설계된 트랜스폰더가 트랜스폰더의 적어도 두 개의 그룹 중의 하나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인식하는 방법으로서, 이 방법에 의하면 트랜스폰더와 통신하도록 설계된 통신 기지국이 요청 신호를 트랜스폰더로 전송하고, 요청 신호는 코맨드 데이터 블록과 체크 데이터 블록을 포함하며, 트랜스폰더가 트랜스폰더의 그룹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인식하기 위해 요청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가 트랜스폰더 내에서 평가되되, 트랜스폰더의 각 그룹에 있어서, 트랜스폰더의 그룹에 대해 의미를 가지는 상기 체크 데이터 블록이 생성되고, 트랜스폰더가 트랜스폰더의 그룹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인식하기 위해 평가되는 데이터가 트랜스폰더의 그룹에 대해 의미를 가지는 체크 데이터 블록으로부터의 데이터인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 언급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특성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기지국에 제공되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기지국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특정될 수 있다.
트랜스폰더와 통신하는 통신 기지국에 있어서, 트랜스폰더는 트랜스폰더의 적어도 두 개의 그룹 중의 하나에 속하되, 통신 기지국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기지국을 제공한다.
상기에 언급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특성이 통신 기지국을 위해 제공된 본 발명에 따른 회로에 제공되어,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종류의 회로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특정될 수 있다.
적어도 두 그룹의 트랜스폰더 중의 하나에 속하는 트랜스폰더와 통신하는 통신 기지국을 위한 회로를 제공하며, 이 회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언급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특성이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폰더에 제공되어,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폰더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특정될 수 있다.
통신 기지국과 통신하는 트랜스폰더 - 이 트랜스폰더는 적어도 두 그룹의 트랜스폰더 중의 하나에 속함 - 를 제공하며, 이 트랜스폰더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에 언급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특성이 트랜스폰더를 위해 제공된 본 발명에 따른 회로에 제공되어,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종류의 회로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특정될 수 있다.
통신 기지국과 통신하는 트랜스폰더 - 이 트랜스폰더는 적어도 두 그룹의 트랜스폰더 중의 하나에 속함 - 를 위한 회로를 제공하며, 이 회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특성의 제공을 통해, 통신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설계된 트랜스폰더가 적어도 두 그룹의 트랜스폰더 중의 하나에 속하는 지의 여부를 인식하기 위해, 트랜스폰더의 그룹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체크 데이터 블록 내에 포함된 데이터가 사용되며, 이는 인식을 위해 개별의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을 야기하는데, 이러한 장점은 이러한 종류의 체크 데이터 블록이 어쨌든 사용되어야 하며 그에 따라 여하튼 간에 제공 및 전송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로 전송 시간은 공지 방법에 비해 절약될 수 있고 전송 주파수 스펙트럼 내에서 높은 에너지를 함유하는 사이드밴드(energy-rich sideband)가 더 적어지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경우에, 소위 패러티 비트 방법에 의해 생성된 체크 데이터 블록은 체크 데이터 블록으로서 선택되고 전송될 것이다. 하지만, 만약 CRC 데이터 블록이 체크 데이터 블록으로서 선택되는 경우 특히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종류의 CRC 데이터 블록은 전송 에러에 대해 아주 높은 정도의 안전성을 제공하는 장점 및 전송 에러에 대해 높은 정도의 안전성이 있음에도 발생될 수 있는 어떠한 전송 에러에 대해서도 검출할 수 있고 어떤 경우에는 그 에러를 보정할 수도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기지국의 경우 및 통신 기지국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경우, 부가적으로 청구항 4 및 청구항 6 항에 주장된 특성 각각이 제공된다면 이로운 점이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러한 종류의 설계는 특히 이롭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는 이러한 설계로 통신 기지국 및 통신 기지국을 위한 회로 각각에서 아주 간단히 구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폰더의 경우 및 트랜스폰더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경우에, 부가적으로 청구항 8 및 청구항 11 항에 주장된 특성 각각이 제공된다면 아주 이로운 점이 많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러한 종류의 설계는 특히 이로운 점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는 이러한 설계로 트랜스폰더 및 트랜스폰더를 위한 회로 - 이 회로는 집적 회로로서 구현됨 - 각각에서 아주 간단히 구현될 수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경우 여기서 논쟁이 되고 있는 특성의 구현에 있어서 아주 작은 표면적만이 필요로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폰더의 경우 및 트랜스폰더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경우, 상기패러그래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이 적어도 두 개의 다른 스타트 값을 저장하도록 설계되고 적어도 두 개의 스타트 값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스타트 값을 CRC-데이터-블록 발생 수단으로 전송하는 수단이 제공되는 경우 아주 이로운 점이 많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결과적으로, 아주 간단한 방식으로, 테스트 절차 - 이 테스트 절차는 트랜스폰더를 위한 회로의 생산을 완성하고 회로 및 트랜스폰더의 제작자의 전제 하에 수행됨 - 동안이나 트랜스폰더의 생산을 완성하는 프로그래밍 절차 동안에 스타트 값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은 트랜스폰더 내에 어쨌든 제공되는 반도체 메모리의 부분의 형태를 취하고 있음을 언급해야 한다. 하지만,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은 트랜스폰더의 집적 회로 내에 어쨌든 존재하는 금속층에 의해 마찬가지로 형성되는데, 이는 다시 말하면, 하드웨어로 구현된 메모리 수단의 형태를 취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집적 회로에 세팅될 수 있는 제어 비트는 금속층에 의해 저장된 스타트 값의 선택을 위해 세팅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한 특정 스타트 값이 트랜스폰더 내에서 활성화된다.
본 발명의 상기 국면 및 심층적 국면이 이하 설명된다.
도 1은 통신 기지국(1), 도 2는 트랜스폰더(2)를 나타낸다. 통신 기지국(1)은 집적 회로로서 구현되어 있는 회로(3)를 포함하는데, 꼭 이에 국한 될 필요는 없다. 트랜스폰더(2)는 집적 회로(4)를 포함한다. 통신 기지국(1) 및 트랜스폰더(2)는 서로와의 비접촉식 통신(contactless communication)을 위해 설계되었다. 일반적인 적용의 경우에, 복수의 트랜스폰더(2)는 통신 기지국(1)과 상호 통신할 수 있으며, 트랜스폰더(2)는 통신 기지국(1)의 통신 영역 내에 위치한다. 이로써, 트랜스폰더(2)는 다른 그룹의 트랜스폰더(2)로 나뉘어지며, 이러한 세분(subdivision)은 대부분의 다양한 국면을 고려하여 행해진 것이다. 예를 들면, 음식 수퍼마켓에서 구입될 수 있는 제품의 분류는 품목 번호 및 가격에 따라서 이루어질 것이다. 또한, 이러한 분류는 다른 품목 형태, 예를 들면 화장품 품목, 주류, 제빵류 및 야채류에 따라 행해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생각하면 4 그룹의 트랜스폰더가 존재하게 된다. 이에 대해 표준-적격 트랜스폰더 - 예를 들면, 표준 ISO 15693에 따른 표준 - 및 표준-부적격 트랜스폰더로 분류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각 트랜스폰더(2)에 포함된 데이터의 판독 또는 각 트랜스폰더(2)로의 데이터 기록이 행하여지기 전에, 복수 개의 트랜스폰더(2)의 소위 체계적 관리는 통신 기지국(1)에 의해 수행되며, 통신 기지국(1)은 트랜스폰더(2)와 비접촉식 방식으로 통신한다. 이러한 종류의 관리를 함에 있어서, 특정 트랜스폰더(2)에 관련된 중요한 식별 데이터(identification data)가 그 특정 트랜스폰더(2)로부터 각 트랜스폰더(2)를 위한 통신 기지국(1)으로 전송되고 통신 기지국(1)에 저장됨으로써 통신 기지국(1)과 상호 통신할 수 있는 모든 트랜스폰더(2)를 위한 식별 데이터가 통신 기지국(1) 내에서 알려져 있고, 그 결과 트랜스폰더(2)를 나타내는 식별 데이터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관련된 트랜스폰더(2)로부터 유용한 데이터를 판독하고 관련된 트랜스폰더(2)에 유용한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하여, 관련된 트랜스폰더(2)와 복잡하지 않은 적확한 방식으로 상호 통신하도록 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트랜스폰더(2)에 대한 이러한 종류의 관리가 이루어지기 전에, 마찬가지로 트랜스폰더(2)가 특정 그룹의 트랜스폰더(2)에 속하는지에 대한 인식이 행해져야 한다. 이러한 인식에 관해서는 이후에 더 자세히 설명된다.
통신 기지국(1)은 마이크로 컴퓨터(5)를 포함한다. 또한, 하드웨어에 내장된 로직 회로가 마이크로 컴퓨터(5) 대신에 제공될 수도 있다. 게다가 통신 기지국(1)은 수정 발진기(quartz oscillator)(6)를 포함하며, 이를 사용하여 클럭 신호(CLK)가 생성될 수 있고, 이러한 클럭 신호(CLK)가 마이크로 컴퓨터(5)로 전송된다. 호스트 컴퓨터 및 마이크로 컴퓨터(5) 사이에서 데이터 교환이 일어날 수 있도록 마이크로 컴퓨터(5)는 버스 연결(7)을 거쳐 호스트 컴퓨터로 연결된다(도 1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 마이크로 컴퓨터(5)를 사용하여, 복수 개의 수단 및 기능이 실현되는데, 그 중에서 현 문맥상에서 중요한 수단 및 기능에 대해서만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마이크로 컴퓨터(5)는 시퀀스 제어 수단(8)을 포함하는데, 그 수단에 의해 마이크로 컴퓨터(5) 내에서 수행될 수 있는 시퀀스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5)는 프레임-데이터-블록 생성 수단(9), 코맨드-데이터-블록 생성 수단(10), 파라미터-데이터-블록 생성 수단(11),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12),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13), 코딩 수단(14) 및 디코딩 수단(15)을 포함한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5)는 여기서는 자세히 설명되고 있지 않지만 일련의 또 다른 코맨드 생성 수단, 신호 생성 수단, 코맨드 인식 수단 및 신호 인식 수단을 포함한다.
도 3은 개략적으로 요청 신호(REQS)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요청 신호(REQS)는 "프레임의 스타트" 데이터 블록, "코맨드" 데이터 블록, "파라미터" 데이터 블록 및 "CRC" 체크 데이터 블록 - 이 블록은 소위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임 - 및 "프레임의 엔드(end)" 데이터 블록을 포함한다. 다른 모든 코맨드 신호는 적어도 필수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나타낸다. 스타트 데이터 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폰더(2), 예를 들어, "응답(respond)", "기록", "판독", "삭제" 등의 코맨드 중의 하나로 향하는 특정 코맨드를 식별한다. 파라미터 데이터 블록은 코맨드에 관련된 부가적인 정보, 예를 들어 "판독" 코맨드와 관련된 부가적인 정보 "메모리 위치(xy)에서 시작하고 메모리 위치(yz)를 포함하는 모든 데이터"를 식별한다.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은 체크썸을 식별하는데, 그 것의 생성에 관해서는 이하에서 다룬다. 엔드 데이터 블록은 특정 코맨드 신호의 끝을 식별한다.
프레임-데이터-블록 생성 수단(9)은 2 개의 프레임 데이터 블록, 즉 "프레임의 스타트" 데이터 블록 및 "프레임의 엔드"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코맨드-데이터-블록 생성 수단(10)은 "코맨드" 데이터 블록을 생성한다. 파라미터-데이터-블록 생성 수단(11)은 "파라미터" 데이터 블록을 생성한다.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12)은 체크 데이터 블록, 즉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을 생성한다.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13)은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설계로 되어 있으며 제 1, 제 2, 제 3 스타트 값(SV1, SV2, SV3)을 저장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 들 3 개의 스타트 값(SV1, SV2, SV3)의 각각은 스타트 값의 그룹(SV1, SV2, SV3, .....SVn)으로부터 선택되며, 각각의 경우, 트랜스폰더(2)의 그룹(GR1, GR2, GR3, ...GRn)으로 할당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 스타트 값(SV1)만이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13)에 저장되어 있으며 버스 연결(7) 및 시퀀스 제어 수단(8)을 통해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13)을 전송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하나의 스타트 값 이상, 예를 들면, 둘, 셋, 넷 또는 그 이상이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13)에 저장될 수 있는데,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시퀀스 제어 수단(8)을 사용하여, 각 경우에 따라 다른 스타트 값이 활성화될 수 있고 특정 경우에 있어서 활성화된 스타트 값이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12)으로 전송된다.
이로써, 각 스타트 값(SV1, SV2, SV3, ....SVn)이 트랜스폰더(2)의 그룹(GR1, GR2, GR3, .....GRn)으로 할당되며, 이러한 그룹은 활성화된 특정 스타트 값에 따라서, 트랜스폰더(2)의 할당된 그룹(GR1, GR2, GR3, ....GRn)을 의미하는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CRC1, CRC2, CRC3, ....CRCn)이 생성되는 결과를 야기한다. 물론, 만약 오직 하나의 스타트 값이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13)에 저장된다면, 그 스타트 값에 따라 트랜스폰더(2)의 한 그룹을 의미하는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이 생성될 것이므로, 이 또한 마찬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스타트 값(SV1, SV2, SV3, ....SVn)은 다른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CRC1, CRC2, CRC3, .....CRCn)의 생성을 책임지고 있으며,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CRC1, CRC2, CRC3, ...CRCn)의 각각은 트랜스폰더(2)의 그룹(GR1, GR2, GR3, ....GRn)을 나타낸다.
코딩 수단(14)은 자신으로 전달된 코맨드와 신호를 코딩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그것에 의해 프레임 데이터 블록, 코맨드 데이터 블록, 파라미터 데이터 블록 및 체크 데이터 블록, 예를 들면 전체 요청 신호(REQS)를 코딩하는 역할을 한다. 그 곳에 전송된 요청 신호(REQS)를 코딩한 다음, 코딩 수단(14)은 코딩된 요청 신호(CREQS)를 전달한다. 디코딩 수단(15)은 그 곳으로 전송된 코딩된 신호, 예를 들면 코딩된 응답 신호(CRS)를 디코딩하는 역할을 한다. 디코딩 후, 디코딩 수단(15)은 디코딩된 신호, 예를 들면 디코딩된 응답 신호(RS)를 전달한다.
다음은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12)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코맨드" 데이터 블록, "파라미터" 데이터 블록 및 스타트 값(SV1, SV2, SV3, ....SVn)은 체크-데이터 블록 생성 수단(12)으로 전달된다. "코맨드" 데이터 블록 및 그와 관련된 "파라미터" 데이터 블록은 정해진 알고리즘에 의해 프로세싱되며, 사용되는 알고리즘은 스타트 값(SV1, SV2, SV3, ......SVn)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코맨드" 데이터 블록 및 "파라미터" 데이터 블록의 프로세싱 결과로 얻은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CRC1, CRC2, CRC3, .....CRCn)은 스타트 값(SV1, SV2, SV3, .....SVn)에 의존한다. 환언하면, 이는 만약에 제 1 스타트 값(SV1)이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13)에 저장될 경우에는, 트랜스폰더(2)의 제 1 그룹(GR1)을 나타내는 제 1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CRC1)이 얻어진다는 것을 뜻한다. 만약에 다른 스타트 값, 예를 들면 제 2 스타트 값(SV2) 또는 제 3 스타트 값(SV3)이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13)에 저장되는 경우에는, 다른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 즉 제 2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CRC2) 또는 제 3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CRC3)이 얻어진다. 제 2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CRC2)은 트랜스폰더(2)의 제 2 그룹(GR2)을 나타낸다. 제 3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CRC3)은 트랜스폰더(2)의 제 3 그룹(GR3)을 나타낸다. 이러한 종류의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의 생성은 이미 오래 동안 공지되어 왔기 때문에 여기서는 더 자세한 설명은 피하겠다.
또한, 통신 기지국(1)은 변조 수단(16)을 포함하며, 코딩 수단(15)에 의해 생성된 코딩된 요청 신호(CREQS) 및 부가적으로 캐리어 신호(CS)가 변조 수단(16)으로 전송될 수 있다. 캐리어 신호(CS)의 생성을 위해, 통신 기지국(1)은 캐리어-신호 생성기(17)를 포함하며, 클럭 신호(CLK)가 수정 발진기(6)로부터 캐리어-신호 생성기(17)로 제공되고, 이 캐리어-신호 생성기(17)는 클럭 신호(CLK)를 사용하여 캐리어 신호(CS)를 생성한다. 캐리어 신호(CS)는 공급된 코딩된 요청 신호(CREQS)를 사용하여 변조 수단(16)에 의해 변조될 수 있으며, 변조 후, 변조 수단(16)은 변조 및 코딩된 요청 신호(MCREQS)를 전송한다. 변조 및 코딩된 요청 신호(MCREQS)는 제 1 증폭 수단(18)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제 1 증폭 수단(18)은 변조 및 코딩된 요청 신호(MCREQS)의 증폭을 다룬다. 코딩된 요청 신호(CREQS)를 사용한 변조되지 않은 캐리어 신호(CS)에 대한 상기의 변조는 통신 기지국(1)으로부터 트랜스폰더(2)로 코맨드의 바람직한 전송이 이루어질 경우에 이루어진다. 트랜스폰더(2)로부터 통신 기지국(1)으로 신호의 바람직한 전송이 이루어진 경우, 캐리어-신호 생성기(17)에 의해 생성된 변조되지 않은 캐리어 신호(CS)는 변조 수단(16)으로부터 제 1 증폭 수단(18)으로 변조되지 않은 상태로 통과한다. 변조 및 코딩된 요청 신호(MCREQS) 및 변조되지 않은 캐리어 신호(CS) 모두 증폭 수단(18)으로부터 튜닝 수단(19)으로 전송될 수 있는데, 이 튜닝 수단(19)은 자신에게 전송된 변조 및 코딩된 요청 신호(MCREQS) 및 캐리어 신호(CS)를 기지국 전송 수단(20)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 전송 수단(20)은 이 실시예에서 전송 코일(21)을 포함한다. 전송 코일(21)은 트랜스폰더(2)의 전송 코일과 커플링되어 있는 유도성(inductive) 변압기를 제공한다. 전송 코일(21) 대신에, 기지국 전송 수단(20)은 전송을 위한 2극 안테나(dipole)를 갖출 수도 있다. 전송 코일(21) 또는 2극 안테나를 가지는 기지국 전송 수단(20) 대신에, 용량성(capacitive) 방식 또는 광학 방식으로 동작하는 기지국 전송 수단이 제공될 수도 있다.
기지국 전송 수단(20)은 통신 기지국(1)으로부터 통신 기지국(1)의 통신 영역 내에 존재하는 트랜스폰더(2)로 코맨드 및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 뿐만아니라, 현재 논쟁이 되고 있는 트랜스폰더(2)로부터 전송받은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도 한다. 예를 들어, 응답 신호(RS)는 트랜스폰더(2)로부터 통신 기지국(1)으로 전송된다. 이러한 응답 신호(RS)의 전송은 응답 신호(RS)가 코딩되고 변조되는 방식으로 행해지므로, 변조 및 코딩된 응답 신호(MCRS)는 기지국 전송 수단(20)에 의해 수신된다. 수신된 변조 및 코딩된 응답 신호(MCRS)는 튜닝 수단(19)을 통해 기지국 전송 수단(20)으로부터 제 1 필터링 수단(22)으로 전송하며, 이 필터링 수단(22)은 간섭(interference) 성분을 필터링하고 간섭 성분이 제거된 변조 및 코딩된 응답 신호(MCRS)를 복조 수단(23)으로 전송한다. 복조 수단(23)은 자신에게 전송된 변조 및 코딩된 응답 신호(MCRS)를 복조하도록 설계되었다. 변조 및 코딩된 응답 신호(MCRS)에 대해 복조한 후, 복조 수단(23)은 코딩된 응답 신호(CRS)을 제 2 증폭 수단(24)으로 전송하며, 이 제 2 증폭 수단(24)은 자신에게 전송된 코딩된 응답 신호(CRS)를 증폭한다. 제 2 증폭 수단(24)의 하류에는 제 2 필터링 수단(25)이 연결되며, 이 제 2 필터링 수단(25)은 심층적 필터링을 행하며, 필터링 후 코딩된 응답 신호(CRS)를 디코딩 수단(15)으로 보낸다.
이미 언급되었듯이, 통신 기지국(1)이 제공되어 복수 개의 트랜스폰더(2)와의 비접촉식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모든 트랜스폰더(2)는 동일하게 설계되었으며, 이하에서 도 2에 도시된 트랜스폰더(2)를 참조로 설명한다.
집적 회로(4)에 부가하여, 트랜스폰더(2)는 전송 코일(26)을 포함하며, 이 전송 코일(26)은 집적 회로(4)의 제 1 포트(27) 및 제 2 포트(28)에 연결된다. 전송 코일(26)을 수단으로, 트랜스폰더(2)는 통신 기지국(1)의 전송 코일(21)을 통해 비접촉식 방식으로 통신 기지국(1)과 통신할 수 있다. 전송 코일(26)과 병렬 연결되어 있는 것은 집적 회로(4) 내에 있는 캐패시터(29)이다. 전송 코일(26) 및 캐패시터(29)는 발진 회로를 구성하고, 이 발진 회로는 동작 주파수(working frequency)로 튜닝되며 트랜스폰더 전송 수단(30)의 구성 부분이다. 전송 코일(26) 대신에, 트랜스폰더 전송 수단(30)은 전송용 2극 안테나를 갖출 수도 있다. 전송 코일(26) 또는 2극 안테나를 구비하는 트랜서폰더 전송 수단(30) 대신에, 용량성 방식 또는 광학적 방식으로 동작하는 트랜스폰더 전송 수단이 제공될 수도 있다.
트랜스폰더(2)의 집적 회로(4) 및 결과적으로 트랜스폰더(2)도 공급-전압 생성 수단(31), 클럭-신호 재생 수단(32), 복조 수단(33) 및 변조 수단(34)를 포함한다. 이 들 4 개의 수단(31, 32, 33, 34)는 각각이 트랜스폰더 전송 수단(30)에 연결되어 있다.
공급-전압 생성 수단(31)은 트랜스폰더 전송 수단(30)으로부터 전달된 신호, 예를 들어 변조 및 코딩된 요청 신호(MCREQS) 또는 변조되지 않은 캐리어 신호(CS)를 사용하여 공급 전압(V)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공급-전압 생성 수단(31)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공급 전압(V)은 이 공급 전압(V)을 필요로 하는 집적 회로(4)의 모든 구성 요소로 전송될 수 있는데, 이는 도 2에서 개별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다. "파워 온(power on)" 식별 수단(35)은 공급-전압 생성 수단(31)에 연결되어 있으며, 공급-전압 생성 수단(31)의 출력 신호, 즉 생성된 특정 공급 전압(V)이 "파워 온" 식별 수단(35)으로 전송될 수 있다. "파워 온" 식별 수단(35)에 의해 충분히 높은 공급 전압(V)이 이용가능한지에 대한 인식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충분히 높은 공급 전압(V)이 이용가능한 경우, "파워 온" 식별 수단(35)은 소위 "파워 온" 리셋 신호(POR)을 전송한다.
클럭-신호 재생 수단(32)은 트랜스폰더 전송 수단(30)으로부터 전송된 신호, 예를 들면 변조 및 코딩된 요청 신호(MCREQS) 또는 변조되지 않은 캐리어 신호(CS)를 사용하여 클럭 신호(CLK)를 재생하는 역할을 한다. 클럭-신호 재생 수단(32)은 클럭 신호(CLK)를 전송한다. 클럭-신호 재생 수단(32) 대신에, 트랜스폰더 전송 수단(30)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대해 독립적인 내부 발진기 - 이에 의해 클럭 신호(CLK)가 생성됨 - 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종류의 내부 발진기는 만약 통신 기지국과 트랜스폰더 사이의 통신이 아주 높은 동작 주파수, 예를 들면 소위 UHF 범위 또는 마이크로웨이브 범위 내의 동작 주파수에서 이루어진다면, 특히 이롭게 된다.
복조 수단(33)은 자신에게 전송된 코맨드 및 신호를 복조하는 역할, 즉 예를 들면 변조 및 코딩된 요청 신호(MCREQS)를 복조하는 역할을 한다. 변조 및 코딩된 요청 신호(MCREQS)에 대한 복조 후, 복조 수단(34)은 코딩된 요청 신호(CREQS)를 전송한다.
변조 수단(34)은 신호를 변조하는 역할, 예를 들면 변조 수단(34)에 전달될 수 있는 코딩된 응답 신호(CRS)를 변조하는 역할을 한다. 2차 캐리어 신호(SCS)는 변조 수단(34)에 전송될 수도 있다. 2차 캐리어 신호(SCS)를 생성하기 위해, 2차-캐리어-신호 생성기(36)가 제공되며, 이 2차-캐리어-신호 생성기(36)로 클럭 신호(CLK)가 클럭-신호 재생 수단(32)으로부터 전송될 수 있고, 이 2차-캐리어-신호 생성기(36)는 클럭 신호(CLK)를 사용하여 2차 캐리어 신호(SCS)를 생성한다. 수행될 변조의 경우에는, 2차 캐리어 신호(SCS)는 예를 들면 코딩된 응답 신호(CRS)의 함수로써 변조 수단(34)에 의해 변조되므로, 결과적으로, 변조 수단(34)은 변조 및 코딩된 응답 신호(MCRS)를 전송하며, 이는 다시 트랜스폰더 전송 수단(30) 및, 여기서는, 특히 전송 코일(26)에 의해 통신 기지국(1)으로 전송된다.
트랜스폰더(2)의 집적 회로(4) 및 결과적으로 트랜스폰더(2)도 마이크로컴퓨터(37)를 포함한다. 마이크로컴퓨터(37) 대신에, 하드웨어에 내장된 로직 회로가 제공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컴퓨터(37)를 사용하여, 다수의 수단 및 기능이 실현되는데, 이 중 현 문맥에서 중요성을 갖는 수단 및 기능에 대해서만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파워 온" 리셋 신호(POR) 및 클럭 신호(CLK)는 이 전문 분야 내에서 오랫동안 알려져 왔던 목적을 위해 마이크로컴퓨터(37)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집적 회로(4)는 메모리 수단(38)을 포함하는데, 이 메모리 수단(38)은 연결(39)을 통해 마이크로컴퓨터(37)로 연결된다. 메모리 수단(38)은 복수 개의 메모리 영역을 포함하는데, 그 중 하나의 메모리 영역(40)만을 파선(broken lines)으로 표시하였고, 그 메모리 영역(40)은 프로그래밍 가능한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40)으로서 제공된다. 집적 회로(4)를 테스팅하기 위한 테스트 절차 동안 수행된 프로그래밍 시퀀스의 결과 3 개의 스타트 값이 프로그래밍 가능한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40)에 저장되며, 3 개의 스타트 값의 각각은, 즉 이 경우, 제 1, 제 2, 제 3 스타트 값(SV1, SV2, SV3) 각각은 트랜스폰더(2)의 그룹(GR1, GR2, GR3)을 가리킨다. 메모리 수단(38)에 저장되어 있는 것은 데이터에 대한 다수의 심층 항목인데, 여기서는 자세히 기술하지 않겠다. 여기서 기술되고 있는 프로그래밍되고 그에 따라 저장되어진 3 개의 스타트 값(SV1, SV2, SV3)의 경우에 있어서,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오직 제 1 스타트 값(SV1)만이 사용된다.
디코딩 수단(41) 및 코딩 수단(42)은 마이크로컴퓨터(37)를 사용하여 구체화된다. 디코딩 수단(41)은 자신에게 전송된 코맨드 및 신호를 디코딩하도록, 즉 코딩된 요청 신호(CREQS)를 디코딩하도록 제공된다. 코딩된 요청 신호(CREQS)의 디코딩 후에, 디코딩 수단(41)은 디코딩된 요청 신호(REQS), 즉 프레임 데이터 블록, 코맨드 데이터 블록, 파라미터 데이터 블록 및 체크 데이터 블록을 전송한다. 코딩 수단(42)은 신호, 예를 들어 응답 신호(RS)를 코딩하는 역할을 한다. 응답 신호(RS)의 코딩 후에, 코딩 수단(42)은 코딩된 응답 신호(CRS)를 전송한다.
또한, 프레임-데이터-블록 식별 수단(43), 코맨드-데이터-블록 식별 수단(44), 파라미터-데이터-블록 식별 수단(45), 체크-데이터-블록 식별 수단(46),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47) 및 비교 수단(48)은 마이크로컴퓨터(37)에 의해 구체화된다. 수단(43, 44, 45, 46, 47, 48)의 기능은 이하에 기술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37)는 시퀀스 제어 신호(49)를 포함하며, 그것에 의해 마이크로컴퓨터(37)에서 수행될 수 있는 시퀀스가 제어될 수 있다.
프레임-데이터-블록 식별 수단(43)은 "프레임의 스타트" 데이터 블록 및 "프레임의 엔드" 데이터 블록을 인식하도록 설계되었다. 프레임-데이터-블록 식별 수단(43)은 "프레임의 스타트" 데이터 블록 및 "프레임의 엔드" 데이터 블록 모두를 시퀀스 제어 수단(49)으로 전송하며, 그 결과로, 시퀀스 제어 수단(49)은 코맨드 신호의 시작과 끝, 즉 요청 신호(REQS)의 시작과 끝도 알게 된다.
코맨드-데이터-블록 식별 수단(44)은 "코맨드" 데이터 블록을 인식하도록 제공되고 설계되었다. 그에 따라, 요청 신호(REQS)의 "코맨드" 데이터 블록도 코맨드-데이터-블록 식별 수단(44)에 의해 인식된다. 요청된 신호(REQS)의 인식된 "코맨드" 데이터 블록은 시퀀스 제어 수단(49) 및 부가적으로 트랜스폰더(2)의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47)으로 전송된다.
파라미터-데이터-블록 식별 수단(45)은 코맨드 신호의 "파라미터" 데이터 블록, 즉 요청 신호(REQS)의 "파라미터" 데이터 블록을 인식하기 위해 제공되고 설계되었다. 인식된 "파라미터" 데이터 블록은 마찬가지로 시퀀스 제어 수단(49) 및 부가적으로 트랜스폰더(2)의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47)으로 제공된다.
체크-데이터-블록 식별 수단(46)은 통신 기지국(1)에 의해 생성되고 트랜스폰더(2)에 의해 수신된 체크 데이터 블록, 즉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을 인식하도록 제공되고 설계되었다. 본 경우에 있어서, 제 1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CRC1)은 인식되어 비교 수단(48)으로 전송된다.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47)은 본 경우에 있어서, 체크 데이터 블록, 즉 제 1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CRC1)을 생성하도록 제공되고 설계된다. 그 동작 원리에 관하여,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47)은 통신 기지국(1)의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12)과 같은데, 그 이유는 그것이 규정된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체크 데이터 블록, 본 경우에서는, 제 1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CRC1)의 생성을 수행하고 이러한 목적을 위해 자신에게 전송된 "코맨드" 데이터 블록, "파라미터" 데이터 블록, 스타트 값, 즉 이 경우는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40) 내에 저장된 제 1 스타트 값(SV1)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제 1 스타트 값(SV1)을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47)으로 제공하기 위해, 수단, 즉 시퀀스 제어 수단(49)은 커넥션(39)을 통해 제 1 스타트 값(SV1)을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47)에 전송하기 위해 제공된다.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47)에 의해 생성된 제 1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CRC1)은 비교 수단(48)으로 전송된다.
비교 수단(48)은 체크-데이터-블록 식별 수단(46)에 의해 전송된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즉, 이 경우 제 1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CRC1))과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47)에 의해 생성된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즉, 이 경우 제 1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CRC1))을 비교하는 역할을 한다. 만약 비교 수단(48)으로 제공된 두 개의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이 일치하면, 비교 수단(48)은 제 1 제어 신호(CS1)를 전송한다. 만약, 반대로, 비교 수단(48)으로 전송된 두 개의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비교 수단(48)은 제 2 제어 신호(CS2)를 전송한다. 제 1 제어 신호(CS1) 및 제 2 제어 신호(CS2)는 시퀀스 제어 수단(49)으로 전송된다. 제 1 제어 신호(CS1)의 발생의 경우, 시퀀스 제어 수단(49)은 트랜스폰더(2)가 통신 기지국(1)과의 심층적 통신 단계, 즉, 예를 들면 판독 절차 또는 기록 절차 또는 삭제 절차를 수행하도록 해준다. 제 2 제어 신호(CS2)의 발생의 경우에, 시퀀스 제어 수단(49)은 트랜스폰더(2)가 수신된 요청 신호(REQS)에 대해 전혀 반작용하지 않도록 해주는데, 이는 바꿔 말하면, 트랜스폰더(2)의 통신 기능을 자동적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해준다.
이러한 종류의 심층적 통신 단계에 있어서, 시퀀스 제어 수단(49)은 마이크로컴퓨터(37)에 의해 구체화되는 응답-신호 생성 수단(50)이 상기 언급된 응답 신호(RS)를 생성하도록 해 주는데, 이 응답 신호(RS)는 후속적으로 코딩 수단(42)에 의해 코딩되고 변조 수단(34)에 의해 변조되므로, 변조 및 코딩된 응답 신호(MCRS)가 트랜스폰더 전송 수단(30)에 의해 통신 기지국(1)의 기지국 전송 수단(20)으로 전송되고, 결과적으로 통신 기지국(1)으로 전송된다.
상기에 설명된 절차 - 이 절차에 따르면, 제 1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CRC1)이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47)에 의해 이 실시예에서 선택된 "코맨드" 데이터 블록, "파라미터" 데이터 블록, 제 1 스타트 값(SV1)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후속적으로 형성된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CRC1)과 통신 기지국(1)에 의해 전달되고 트랜스폰더(2)에 의해 수신된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CRC1)과의 비교가 수행됨 - 대신에, 소위 레지듀(residue) 방법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 레지듀 방법에 따르면, 트랜스폰더(2)에 의해 수신된 "코맨드" 데이터 블록, 트랜스폰더(2)에 의해 수신된 "파라미터" 데이터 블록 및 제 1 스타트 값(SV1)이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47)으로 전송되고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47)에 의해 프로세싱되며, 이러한 프로세싱 후에, 통신 기지국(1)으로부터 트랜스폰더(2)로 전송되는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CRC1)이 마찬가지로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47)으로 전송되고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47)에 의해 프로세싱된다. 후자의 프로세싱 동안, 소위 레지듀는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47)에 의해 형성되는데, 여기서 레지듀는 규정된 레지듀, 즉 규정된 고정 데이터 값과 비교되는 고정 데이터 값이며, 두 개의 레지듀가 같을 경우, 트랜스폰더(2)가 트랜스폰더(2)의 규정된 바람직한 그룹(GR1)에 속한다는 것이 인식되어 있다. 여기서 레지듀 값은 스타트 값에 의존한다.
이미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통신 기지국(1) 및 트랜스폰더(2) 사이에서 어느 통신이 수행되기 전에, 트랜스폰더(2)가 트랜스폰더(2)의 그룹(GR1, GR2, GR3, .....GRn)에 속하는지 여부가 정해지거나 인식되어야 한다. 통신 기지국(1)과 통신하도록 설계된 트랜스폰더(2)가 트랜스폰더(2)의 제 1 그룹(GR1)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인식하는 방법이 이하에 설명된다.
이 방법이 수행되기 전에, 여기서 가정된 예에서는, 제 1 스타트 값(SV1)이 통신 기지국(1)의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13)에 기록되므로, 제 1 스타트 값(SV1)이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13)에 저장된다. 제 1 스타트 값(SV1)의 기록은 버스 커넥션(7)을 통해 호스트 컴퓨터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데, 이 호스트 컴퓨터는 통신 기지국(1)과 통신할 수 있으며, 특히 통신 기지국(1)을 위한 회로(3)와 통신할 수 있다.
이 방법의 실제적 실행 전에, 트랜스폰더(2)의 내, 특히 트랜스폰더(2)의 집적 회로(4)의 내에서, 방법이 수행될 때, 제 1 스타트 값(SV1)이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40)으로부터 시퀀스 제어 수단(49)에 의해 판독되고 커넥션(39)을 통해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47)으로 전송된다는 것이 확실하다. 이는 트랜스폰더(2)가 트랜스폰더(2)의 제 1 그룹(GR1)에 속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 이유는 제 1 스타트 값(SV1)이 활성화되었기 때문이다.
통신 기지국(1)은 규칙적으로 연속하여 요청 신호(REQS)를 생성하는데, 이의 구현은 도 3에 도시한다. 이로써 요청 신호(REQS) 내에 포함된 체크 데이터 블록은 제 1 스타트 값(SV1)을 고려하면서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12)에 의해 형성되므로,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12)은 제 1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CRC1)을 생성하고 이를 요청 신호(REQS)의 구성 요소로서 공급한다. 그 후, 생성된 요청 신호(REQS)는 코딩 수단(14)에 의해 코딩되어 변조 수단(16)에 의해 변조되므로, 이 신호는 변조 및 코딩된 요청 신호(MCREQS)의 형태로 통신 기지국(1)의 통신 영역 내에 있는 모든 트랜스폰더(2)에 전송되고 각 트랜스폰더(2)에 의해 수신된다.
도 2에 도시된 트랜스폰더(2) 내에서, 변조 및 코딩된 요청 신호(MCREQS)가 수신되고 나서 복조 수단(33)에 의해 복조되며, 후속적으로 디코딩 수단(41)에 의해 디코딩되므로, 수신된 요청 신호(REQS)는 후속적으로 트랜스폰더(2)에서, 특히 트랜스폰더(2)의 집적 회로(4)에서 이용가능하다. 수신된 요청 신호(REQS)로부터, "프레임의 스타트" 데이터 블록 및 "프레임의 엔드" 데이터 블록은 프레임-데이터-블록 식별 수단(43)에 의해 인식되며 제어를 위해 시퀀스 제어 수단(49)으로 전달된다. 또한, 수신된 "코맨드" 데이터 블록은 코맨드-데이터-블록 식별 수단(44)에 의해, 수신된 "파라미터" 데이터 블록은 파라미터-데이터-블록 식별 수단(45)에 의해, 수신된 제 1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CRC1)은 체크-데이터-블록 식별 수단에 의해 수신된 요청 신호(REQS)로부터 인식된다. 인식된 "코맨드" 데이터 블록 및 인식된 "파라미터" 데이터 블록은 또 다른 프로세싱을 위해 시퀀스 제어 수단(49)으로 전송된다.
하지만, "코맨드" 데이터 블록 및 "파라미터" 데이터 블록에 대해 실제 또 다른 프로세싱이 이루어지기 전에, 트랜스폰더(2)가 트랜스폰더(2)의 제 1 그룹(GR1)에 속하는지에 대한 인식여부가 체크된다. 이 목적을 위해, "코맨드" 데이터 블록 및 "파라미터" 데이터 블록이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47)으로 전송되며,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40)에 저장되어 있는 제 1 스타트 값(SV1)도 시퀀스 제어 수단(49)에 의해 이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47)으로 전송된다. 이는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47)이 상기에 설명된 방법과 같이 제 1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CRC1)을 생성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생성된 제 1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CRC1)은 비교 수단(48)으로 전송된다. 체크-데이터-블록 식별 수단(46)에 의해 수신된 제 1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CRC1)도 비교 수단(48)으로 전송된다. 비교 수단(48)은 그 자신으로 전송된 두 개의 데이터 블록의 비교를 수행하며, 여기서 가정된 바에 따르면, 비교 수단은 그들이 동일한 제 1 체크썸 데이터 블록(CRC1)임을 나타낸다. 이는 비교 수단(48)이 제 1 제어 신호(CS1)를 전송하며, 이 제 1 제어 신호(CS1)가 시퀀스 제어 수단(49)으로 전송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에 의해 시퀀스 제어 수단(49)이 또 다른 "코맨드" 데이터 블록 및 "파라미터" 데이터 블록의 프로세싱을 인가하도록 하므로, 이들 두 데이터 블록이 다시 프로세싱되어 트랜스폰더(2), 특히 트랜스폰더(2)의 집적 회로(4) 내에 대응하는 시퀀스, 예를 들어 판독 시퀀스 또는 기록 시퀀스 또는 삭제 시퀀스 등이 도출된다. 또 다른 결과로서, 시퀀스 제어 수단(49)은, 예를 들어 응답-신호 생성 수단(50)을 활성화시킬 것이며, 그 후 응답-신호 생성 수단(50)은 응답 신호(RS)를 생성하여 통신 기지국(1)으로 전송한다.
트랜스폰더(2), 특히 트랜스폰더(2)의 집적 회로(4) 내에서 활성화되었던 것이 제 1 스타트 값(SV1)이 아니라 다른 스타트 값, 예를 들어 두 개의 스타트 값(SV2, SV3)의 하나였다면,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47)에 의해 제 1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CRC1)이 아니라 제 2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CRC2) 또는 제 3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CRC3)이 생성되었을 것이다. 이는 비교 수단(48)이 그 자신에게 전송된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의 비유사성을 감지하게 하여 비교 수단(48)이 제 2 제어 신호(CS2)를 전송하게 한다. 시퀀스 제어 수단(49)에서, 제 2 제어 신호(CS2)가, 코맨드-데이터-블록 식별 수단(44)에 의해 인식된 수신된 "코맨드" 데이터 블록 및 파라미터-데이터-블록 식별 수단(45)에 의해 인식된 수신된 "파라미터" 데이터 블록의 또 다른 프로세싱을 방해하는데, 이는 트랜스폰더(2), 특히 트랜스폰더(2)의 집적 회로(4)가 트랜스폰더(2)의 제 1 그룹(GR1)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트랜스폰더(2)의 다른 그룹, 즉 제 2 스타트 값(SV2)에 따른 트랜스폰더(2)의 제 2 그룹(GR2) 또는 제 3 스타트 값(SV3)에 따른 트랜스폰더(2)의 제 3 그룹(GR3)에 속하기 때문에 당연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의 상기 설명으로부터,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트랜스폰더(2)의 각 그룹(GR1, GR2, GR3, .....GRn)에 있어서, 트랜스폰더(2)의 그룹(GR1, GR2, GR3, ..GRn)을 나타내는 체크 데이터 블록(즉, 상기 설명에서 항상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으로 표시되었던 CRC 데이터 블록)(CRC1, CRC2, CRC3, .....CRCn)이 바람직하게 생성되는데, 이는 통신 기지국(1)의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12) 및 각 트랜스폰더(2)의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47)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방법의 기술로부터, 트랜스폰더(2)가 트랜스폰더(2)의 그룹(GR1, GR2, GR3, ..GRn)에 속해 있는지의 인식에 대해 평가하는 데이터가 트랜스폰더(2)의 그룹(GR1, GR2, GR3, ....GRn)의 그룹을 나타내는 체크 데이터 블록(CRC1, CRC2, CRC3, ...CRCn)으로부터의 데이터임이 분명함을 알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트랜스폰더(2)의 비교 수단(48)에 의해 이러한 평가가 이루어지며, 이러한 비교 수단(48)으로 트랜스폰더(2)에서 생성된 체크 데이터 블록(CRC1) 및 트랜스폰더(2)에 의해 수신된 체크 데이터 블록(CRC1)이 이들 두 개의 체크 데이터 블록의 비교를 위해 전송된다.
상기에 언급된 방법에 있어서, 트랜스폰더(2)가 프랜스폰더(2)의 그룹(GR1, GR2, GR3, ...GRn)에 속하는지의 인식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가 트랜스폰더(2)의 그룹(GR1, GR2, GR3, .....GRn)을 나타내는 체크 데이터 블록(CRC1, CRC2, CRC3, ....CRCn)으로부터의 데이터로부터 형성된다는 아주 큰 장점을 얻을 수 있는데, 이 체크 데이터 블록(CRC1, CRC2, CRC3, ....CRCn)은 여하튼 간에 안전상의 이유로 통신 기지국(1)으로부터 트랜스폰더(2)로 전송되어야 하므로, 트랜스폰더(2)가 트랜스폰더(2)의 그룹(GR1, GR2, GR3, .....GRn)에 속하는지의 식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어떠한 부가적인 데이터도 통신 기지국(1)으로부터 트랜스폰더(2)로 전송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통신 기지국(1)의 경우에 있어서, 제 1 스타트 값(SV1)만이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13)에 저장되므로, 통신 기지국(1)은 트랜스폰더(2)의 제 1 그룹(GR1)에 속해 있는 트랜스폰더(2)와만 통신할 수 있다. 만약 통신 기지국(1)이 트랜스폰더(2)의 제 2 그룹(GR2)에 속해 있는 트랜스폰더(2)와 통신할 수 있다면, 제 2 스타트 값(SV2)이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에 저장되고 활성화되어야 하므로,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은 제 2 CRC 체크썸 데이터 블록(CRC2)를 생성할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통신 기지국에 있어서, 다중 스타트 값을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13)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고, 각 경우에 있어서, 시퀀스 제어 수단(8)에 의해 트랜스폰더(2)의 그룹에 속해 있는 바람직한 스타트 값을 불러내어 이를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12)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트랜스폰더(2)의 경우에 있어서, 3 개의 스타트 값(SV1, SV2, SV3)의 전체는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40)에 저장된다. 3 개 이상의 스타트 값이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40)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하지만, 오직 하나의 스타트 값이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40)에 저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비접촉식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기지국(1) 및 비접촉식 통신을 수행하는 트랜스폰더(2)를 갖춘 시스템에서 뿐만아니라 접촉에 의해 서로 통신하는 통신 기지국(1) 및 트랜스폰더(2)를 갖춘 시스템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트랜스폰더(2)는 다른 물리적 설계의 칩 카드 및 트랜스폰더일 수도 있을 뿐만아니라 태그나 라벨일 수도 있다.
도 1에 따른 통신 기지국(1) 및 도 2에 따른 트랜스폰더(2)를 사용하여 구현된 상기에 언급된 방법에 있어서, 스타트 데이터 블록 및 엔드 데이터 블록이 사용된다. 하지만, 단지 스타트 데이터 블록만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소위 프레임 데이터 블록 없이 수행될 가능성이 있다.

Claims (12)

  1. 통신 기지국(1)과 통신하도록 설계된 트랜스폰더(2)가 트랜스폰더(2)의 적어도 두 개의 그룹(GR1, GR2, GR3, ....GRn) 중의 하나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인식하는 방법으로서,
    이 방법에 의하면 트랜스폰더(2)와 통신하도록 설계된 통신 기지국(1)이 요청 신호(REQS)를 트랜스폰더(2)로 전송하고,
    상기 요청 신호(REQS)는 코맨드 데이터 블록과 체크 데이터 블록(CRC1, CRC2, CRC3, ....CRCn)을 포함하며,
    상기 트랜스폰더(2)가 상기 트랜스폰더(2)의 그룹(GR1, GR2, GR3, ...GRn)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인식하기 위해 상기 요청 신호(REQS)에 포함된 데이터가 상기 트랜스폰더(2) 내에서 평가되되,
    상기 트랜스폰더(2)의 각 상기 그룹(GR1, GR2, GR3, ....GRn)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폰더(2)의 상기 그룹(GR1, GR2, GR3, ...GRn)을 가리키는 상기 체크 데이터 블록(CRC1, CRC2, CRC3, ....CRCn)이 생성되고,
    상기 트랜스폰더(2)가 상기 트랜스폰더(2)의 상기 그룹(GR1, GR2, GR3, ....GRn)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인식하기 위해 평가되는 데이터가 상기 트랜스폰더(2)의 상기 그룹(GR1, GR2, GR3, ....GRn)을 가리키는 상기 체크 데이터 블록(CRC1, CRC2, CRC3, ....CRCn)으로부터의 데이터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폰더(2)의 상기 그룹(GR1, GR2, GR3, ....GRn)을 가리키는 CRC 데이터 블록이 상기 트랜스폰더(2)의 상기 그룹을 가리키는 상기 체크 데이터 블록(CRC1, CRC2, CRC3, ....CRCn)으로서 선택되는
    방법.
  3. 트랜스폰더(2)와 통신하는 통신 기지국(1)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폰더(2)는 상기 트랜스폰더(2)의 적어도 두 개의 그룹(GR1, GR2, GR3, ..GRn) 중의 하나에 속하되,
    상기 통신 기지국(1)이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8, 10, 11, 12, 13)을 포함하는
    통신 기지국(1).
  4. 제 3 항에 있어서,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12)이 제공되고,
    상기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12)이 CRC-데이터-블록 생성 수단(12)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CRC-데이터-블록 생성 수단(12)은 스타트 값(SV1, SV2, SV3, ....SVn)을 저장하기 위해 제공되는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13)과 상호 작용하며,
    상기 스타트 값(SV1, SV2, SV3, ....SVn)은 상기 CRC-데이터-블록 생성 수단(12) 내에 상기 CRC 데이터 블록(CRC1, CRC2, CRC3, ....CRCn)의 생성을 위해 제공되고,
    상기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13)은 프로그래밍 가능하게 설계되며 상기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13)에 기록될 수 있는 다른 스타트 값(SV1, SV2, SV3, ....SVn)을 저장하도록 설계되고 다른 CRC 데이터 블록(CRC1, CRC2, CRC3, ...CRCn)의 생성을 담당하는데, 각 상기 CRC 데이터 블록(CRC1, CRC2, CRC3, ....CRCn)은 상기 트랜스폰더(2)의 상기 그룹(GR1, GR2, GR3, ...GRn)을 가리키는
    통신 기지국(1).
  5. 트랜스폰더(2)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기지국(1)용 회로(3)로서,
    상기 트랜스폰더(2)는 상기 트랜스폰더(2)의 적어도 두 개의 그룹(GR1, GR2, GR3, ....GRn) 중의 하나에 속하며,
    상기 회로(3)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8, 10, 11, 12, 13)을 포함하는
    회로(3).
  6. 제 5 항에 있어서,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12)이 제공되며,
    상기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12)은 CRC-데이터-블록 생성 수단(12)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CRC-데이터-블록 생성 수단(12)은 스타트 값(SV1, SV2, SV3,......SVn)을 저장하기 위해 제공되는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13)과 상호 작용하고,
    상기 스타트 값(SV1, SV2, SV3, ....SVn)은 상기 CRC-데이터-블록 생성 수단(12) 내에 상기 CRC 데이터 블록(CRC1, CRC2, CRC3, ....CRCn)의 생성을 위해 제공되고,
    상기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13)은 프로그래밍 가능하게 설계되며, 상기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13)에 기록될 수 있는 다른 스타트 값(SV1, SV2, SV3, ....SVn)을 저장하기 위해 설계되고 다른 CRC 데이터 블록(CRC1, CRC2, CRC3, ...CRCn)의 생성을 담당하는데,
    각 상기 CRC 데이터 블록(CRC1, CRC2, CRC3, ....CRCn)은 상기 트랜스폰더(2)의 상기 그룹(GR1, GR2, GR3, ...GRn)을 가리키는
    회로(3).
  7. 통신 기지국(1)과 통신하는 트랜스폰더(2)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폰더(2)는 상기 트랜스폰더(2)의 적어도 두 개의 그룹(GR1, GR2, GR3, ..GRn) 중의 하나에 속하며,
    상기 트랜스폰더(2)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44, 45, 46, 47, 48, 49)을 포함하는
    트랜스폰더(2).
  8. 제 7 항에 있어서,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47)이 제공되며,
    상기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47)은 CRC-데이터-블록 생성 수단(47)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CRC-데이터-블록 생성 수단(47)은 스타트 값(SV1, SV2, SV3,......SVn)을 저장하기 위해 제공되는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40)과 상호 작용하고,
    상기 스타트 값(SV1, SV2, SV3, ....SVn)은 상기 CRC-데이터-블록 생성 수단(47) 내에 상기 CRC 데이터 블록(CRC1, CRC2, CRC3, ....CRCn)의 생성을 위해 제공되고,
    상기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40)은 프로그래밍 가능하게 설계되며, 상기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40)에 기록될 수 있는 다른 스타트 값(SV1, SV2, SV3, ....SVn)을 저장하기 위해 설계되고 다른 CRC 데이터 블록(CRC1, CRC2, CRC3, ...CRCn)의 생성을 담당하는데,
    각 상기 CRC 데이터 블록(CRC1, CRC2, CRC3, ....CRCn)은 상기 트랜스폰더(2)의 상기 그룹(GR1, GR2, GR3, ...GRn)을 가리키는
    트랜스폰더(2).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40)은 적어도 두 개의 스타트 값(SV1, SV2, SV3, ..SVn)을 저장하기 위해 설계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스타트 값(SV1, SV2, SV3, ...SVn)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스타트 값(SV1, SV2, SV3, ....SVn)을 상기 CRC-데이터-블록 생성 수단(47)으로 전송하는 수단(39, 49)을 제공하는
    트랜스폰더(2).
  10. 통신 기지국(1)과 통신하는 트랜스폰더(2)용 회로(4)로서,
    상기 트랜스폰더(2)는 상기 트랜스폰더(2)의 적어도 두 개의 그룹(GR1, GR2, GR3, ....GRn) 중의 하나에 속하며,
    상기 회로(4)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방법을 구현하는 수단(44, 45, 46, 47, 48, 49)을 포함하는
    회로(4).
  11. 제 10 항에 있어서,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47)이 제공되며,
    상기 체크-데이터-블록 생성 수단(47)은 CRC-데이터-블록 생성 수단(47)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CRC-데이터-블록 생성 수단(47)은 스타트 값(SV1, SV2, SV3,......SVn)을 저장하기 위해 제공되는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40)과 상호 작용하고,
    상기 스타트 값(SV1, SV2, SV3, ....SVn)은 상기 CRC-데이터-블록 생성 수단(47) 내에 상기 CRC 데이터 블록(CRC1, CRC2, CRC3, ....CRCn)의 생성을 위해 제공되고,
    상기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40)은 프로그래밍 가능하게 설계되며, 상기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40)에 기록될 수 있는 다른 스타트 값(SV1, SV2, SV3, ....SVn)을 저장하기 위해 설계되고 다른 CRC 데이터 블록(CRC1, CRC2, CRC3, ...CRCn)의 생성을 담당하는데,
    각 상기 CRC 데이터 블록(CRC1, CRC2, CRC3, ....CRCn)은 상기 트랜스폰더(2)의 상기 그룹(GR1, GR2, GR3, ...GRn)을 가리키는
    회로(4).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값 메모리 수단(40)은 적어도 두 개의 스타트 값(SV1, SV2, SV3,....SVn)을 저장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스타트 값(SV1, SV2, SV3, ....SVn)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스타트 값(SV1, SV2, SV3, ....SVn)을 상기 CRC-데이터-블록 생성 수단(47)으로 전송하는 수단(39, 49)을 제공하는
    회로(4).
KR1020057009000A 2002-11-21 2003-10-31 트랜스폰더가 트랜스폰더의 그룹에 속해 있는지를 인식하는방법 및 통신 기지국, 트랜스폰더와 그 회로 Ceased KR200500867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2102616.6 2002-11-21
EP02102616 2002-11-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749A true KR20050086749A (ko) 2005-08-30

Family

ID=32319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9000A Ceased KR20050086749A (ko) 2002-11-21 2003-10-31 트랜스폰더가 트랜스폰더의 그룹에 속해 있는지를 인식하는방법 및 통신 기지국, 트랜스폰더와 그 회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737822B2 (ko)
EP (1) EP1567968B1 (ko)
JP (1) JP2006507581A (ko)
KR (1) KR20050086749A (ko)
CN (1) CN100492389C (ko)
AT (1) ATE335245T1 (ko)
AU (1) AU2003274554A1 (ko)
DE (1) DE60307318T2 (ko)
WO (1) WO20040470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56797B4 (de) * 2004-11-24 2008-01-31 Atmel Germany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atenübertragung
EP1901468B1 (de) * 2006-09-13 2012-10-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Kodierung eines berührungslosen Schaltsystems
US8085786B2 (en) 2007-03-16 2011-12-27 Qualcomm Incorporated H-ARQ throughput optimization by prioritized decoding
JP5013109B2 (ja) * 2008-04-01 2012-08-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タグ通信装置
US8994508B2 (en) * 2008-12-11 2015-03-31 Intelleflex Corporation Inclusive or exclusive RFID tag interrogation and query round
US8554136B2 (en) 2008-12-23 2013-10-08 Waveconnex, Inc. Tightly-coupled near-field communication-link connector-replacement chips
WO2012129426A2 (en) 2011-03-24 2012-09-27 Waveconnex, Inc. Integrated circuit with electromagnetic communication
US8811526B2 (en) 2011-05-31 2014-08-19 Keyssa, Inc. Delta modulated low power EHF communication link
US8897700B2 (en) 2011-06-15 2014-11-25 Keyssa, Inc. Distance measurement using EHF signals
TWI562555B (en) 2011-10-21 2016-12-11 Keyssa Inc Contactless signal splicing
CN104145380B (zh) 2011-12-14 2017-09-29 基萨公司 提供触觉反馈的连接器
CN107276641B (zh) 2012-03-02 2021-07-02 凯萨股份有限公司 双工通信系统和方法
CN104641505B (zh) 2012-08-10 2018-06-19 凯萨股份有限公司 用于ehf通信的电介质耦合系统
KR20150055030A (ko) 2012-09-14 2015-05-20 키사, 아이엔씨. 가상 히스테리시스를 이용한 무선 연결
US9531425B2 (en) 2012-12-17 2016-12-27 Keyssa, Inc. Modular electronics
US9553616B2 (en) 2013-03-15 2017-01-24 Keyssa, Inc. Extremely high frequency communication chip
EP2974504B1 (en) 2013-03-15 2018-06-20 Keyssa, Inc. Ehf secure communic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3037A (en) * 1994-09-09 1997-09-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adio frequency tag group select
CN1148456A (zh) * 1995-03-13 1997-04-23 摩托罗拉公司 可靠通信的一种新颖协议的方法和射频识别系统
EP0805575A3 (en) * 1996-05-03 2002-03-06 Texas Instruments Deutschland Gmbh Transponder
US6150921A (en) * 1996-10-17 2000-11-21 Pinpoint Corporation Article tracking system
US6201811B1 (en) * 1998-03-24 2001-03-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ferring Identifier information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JP2002516499A (ja) * 1998-05-15 2002-06-04 イーエム・ミクロエレクトロニク−マリン・エス アー 複数のトランスポンダを識別するための電子システム
US6915473B2 (en) * 2001-05-14 2005-07-0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mplicit user equipment identif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67968A1 (en) 2005-08-31
ATE335245T1 (de) 2006-08-15
CN1714365A (zh) 2005-12-28
AU2003274554A1 (en) 2004-06-15
CN100492389C (zh) 2009-05-27
DE60307318T2 (de) 2007-10-18
DE60307318D1 (de) 2006-09-14
WO2004047002A1 (en) 2004-06-03
JP2006507581A (ja) 2006-03-02
US7737822B2 (en) 2010-06-15
EP1567968B1 (en) 2006-08-02
US20060077043A1 (en) 2006-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86749A (ko) 트랜스폰더가 트랜스폰더의 그룹에 속해 있는지를 인식하는방법 및 통신 기지국, 트랜스폰더와 그 회로
CN101501705B (zh) 巧妙的标签激活
US7196613B2 (en) System for multi-standard RFID tags
US7872582B1 (en) RFID tag chips and tags with alternative memory lock bits and methods
US20070013484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dentification
US20090033493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Writing Common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s
CN101438331A (zh) 将dac输出与输入信号进行比较以选择性执行一个动作的rf装置
US20070085661A1 (en) RFID tag, RFID reader/writer, RFID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of RFID system
CN101211420A (zh) 电子卷标、具有电子卷标的装置及防窃及数据传输的方法
US7520424B2 (en) Identification storage medium arrangement, a read apparatus and an identification system
EP1527410B1 (en) Transponder with a controllable power-on-reset circuit
CN106886727A (zh) 一种超高频电子标签存储器批量写入的方法
JP2940562B2 (ja) コード化物品とその他同種類のものの遠隔識別用電子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6816062B2 (en) Data carrier for transmitting different stored status information with different transmission parameters
CN203444500U (zh) 一种基于射频识别技术的酒产品防伪装置
US8519827B2 (en) Method of generating activation code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US20080079548A1 (en) Non-Contact Power-Source-Less Ic Card System
CN101231685A (zh) 用于射频通信的防止冲突的方法和设备
CN117556838A (zh) 识别rfid标签的方法、装置及rfid打印机
CN101685505A (zh) 无线射频识别电子卷标和具有其的电子装置
JP2008059244A (ja) データキャリア及びデータキャリアシステム
US20110304440A1 (en) Rfid devices using a common master clock and methods thereof
KR100655910B1 (ko) Rf id 멀티 프로토콜 처리 방법 및 rf id 멀티 프로토콜 리더 장치
CN112116051A (zh) 一种智能rfid屏蔽芯片
Vun et al. Development of an embedded based rfid front e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709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0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08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5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