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83942A - 정보이용에 대한 허가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이용에 대한 허가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3942A
KR20050083942A KR1020057009189A KR20057009189A KR20050083942A KR 20050083942 A KR20050083942 A KR 20050083942A KR 1020057009189 A KR1020057009189 A KR 1020057009189A KR 20057009189 A KR20057009189 A KR 20057009189A KR 20050083942 A KR20050083942 A KR 20050083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ermission
communication
usag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9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이몬드 유진 패덕
마크 클린톤 녹스
Original Assignee
인트라도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트라도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인트라도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83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94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01Auditing as a secondary asp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정보 이용자에 의해 이용환경에서 정보소유자가 소유한 지정된 정보의 이용에 대한 허가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은, (a) 정보이용 허가요청을 정보이용 지시와 비교하여 관리를 실행하기 위한 정보제어유닛과, (b) 정보제어유닛에 연결되어 정보 이용자로부터의 정보이용 허가요청을 수신하도록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통신설비 및, (c) 정보제어유닛과 통신설비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정보이용지시를 저장하기 위한 정보저장유닛을 갖추고 있고, 정보이용 허가요청은 적어도 정보와 이용환경을 식별하며, 정보이용 지시는 허가받은 지정된 정보의 이용을 규정하는 기준을 포함하고, 정보제어유닛은 이용환경이 정보에 대한 정보 이용지시에 따를 때 허가 인디케이터(permitting indicator)를 정보이용자에게 전달한다.

Description

정보이용에 대한 허가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ADMINISTERING PERMISSION FOR USE OF INFORMATION}
본 발명은 각 이용환경에서 정보이용에 대한 허가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이용환경에서 개인정보이용에 대한 허가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한 기동력은 한 개인이 개인에 관한 어떤 개인정보를 소유하고, 이 개인이 그의 개인정보의 이용을 제어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상술한 다른 방법, 한 개인은 그의 개인정보의 이용을 제어해야 하고, 그의 허가는 그의 개인정보가 이용되기 전에 요구되어야 한다.
현재 한 개인의 개인정보가 이 개인에 의해 소유된다는 전제를 실시하는데 필요한 원하는 허가제어나 관리를 실현하는데 유효한 시스템이나 방법이 없다. 한 개인에 대한 개인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배열에 관한 구조적 양상에 관해 작성된 몇몇 명세서가 있다. 예컨대, 2001년 6월 26일에 출원한 오플래허티 등의 미국특허출원 제6,253,203호 "프라이버시 향상 데이터베이스(Privacy-Enhanced Database)"에는 소비자 프라이버시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다수의 데이터 제어열을 갖춘 데이터베이스 테이블를 포함하는 메모리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오플래허티 등의 미국특허출원 공개번호 US2001/0011247호(2001년 8월 2일)에는 소비자에게 발행된 프라이버시 카드에 기재되어 있는 소비자 유일 프럭시(proxy)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소비자는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에 프라이버시 우선권을 부과하기 위한 프라이버시 카드를 이용한다. 프라이버시 카드의 이용에 있어서, 소비자는 소비자의 신원이 판단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프라이버시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다.
2001년 8월 14일에 출원한 오플래허티 등의 미국특허출원번호 제6,275,824호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에서의 프라이버시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rivacy in a Database Management System)"에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다수의 데이터베이스 테이블로부터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프라이버시 파라미터에 따라 제어 접근할 수 있다.
2002년 8월 20일에 출원한 그림머 등의 미국특허번호 제6,438,544호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Discovery of Data Model Allowing Customization of Consumer Applications Accessing Privacy Data"에는 데이터 웨어하우스와 연결되어 있는 프라이버시 메타데이터 서브시스템과 데이터 웨어하우스와 프라이버시 메타데이터 서브시스템과 연결되어 있는 소비자 억세스 서브시스템의 이용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소비자 억세스 서브시스템은 클라이언트로부터의 프라이버시 정보에 대한 요청을 수락하고, 이 요청을 데이터 웨어하우스 컴플라이언트 질문(compliant query)으로 변환하며, 이 질문을 데이터 웨어하우스로 전송하고, 클라이언트에게 이 질문에 응답하는 데이터를 보낸다.
인용된 대표적인 명세서에서는 프라이버시나 개인정보의 식별을 제공하기 위해 사이트 특정 솔루션을 다루고 있고, 각 위치에서의 각 데이터베이스의 그 특별한 처리를 제공한다. 이 출원에서 용어 "프라이버시 정보", "프라이비트 정보(private information), "개인정보(personal information)"는 거의 같은 뜻으로 쓰인다.
그러나, 프라이버시 정보의 보다 광대한 처리능력이 필요하다. 오늘날 사회에는 개인에 관한 정보의 많은 홀더가 있다. 개인에 관한 정보를 유지하는 엔티티의 예시로는 크레디트 카드 발행회사, 로열티 카드회사, 온라인 소매회사, 제품보증 정보회사, 잡지 구독예약 처리회사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본 전제는 한 개인에 관한 프라이버시 정보가 그 개인에 속하지만, 누구나 프라이버시 정보를 유지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보의 사용시에 우선권을 시행하는 것을 허가하는 방식으로 그들의 개인정보의 처리에 관한 정보 소유자의 우선권을 기록하기 위한 시스템이나 서비스나 방법을 필요로 한다.
정보 이용자에 의해 각 이용환경에서 지정된 정보이용에 대해 정보소유자에 의해 허가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필요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의 이용에 대한 허가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정보 이용자에 의해 이용환경에서 정보 소유자에 의해 소유되어 있는 정보이용에 대한 허가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은, (a) 정보이용 허가요청을 정보이용 지시와 비교하여 관리를 실행하기 위한 정보제어유닛과, (b) 정보제어유닛에 연결되어 정보 이용자로부터의 정보이용 허가요청을 수신하도록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통신설비 및, (c) 정보제어유닛과 통신설비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정보이용지시를 저장하기 위한 정보저장유닛을 갖추고 있고, 정보이용 허가요청은 적어도 정보와 이용환경을 식별하며, 정보이용 지시는 정보의 허가된 이용을 규정하는 기준을 포함하고, 이용환경이 정보에 대한 정보이용지시에 따를 때 정보제어유닛은 정보이용자에게 허가 인디케이터를 전달한다.
정보 이용자에 의해 이용환경에서 정보 소유자에 의해 소유되어 있는 정보의 이용에 대한 허가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a) 허가된 정보이용을 규정하는 이용기준을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정보이용지시를 확립하여 정보 소유자를 식별하는 기준을 식별하는 단계와, (b) 정보이용자로부터 정보이용 허가질문을 수신하는 단계, (c) 정보이용 허가질문을 정보이용지시와 비교하는 단계 및, (d) 이용환경이 정보에 대한 정보이용지시에 따를 때 정보이용자에게 허가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갖추고, 정보이용 허가질문은 적어도 정보와 이용환경을 식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보 이용자에 의해 각 이용환경에서 지정된 정보의 이용에 대한 정보 소유자에 의한 허가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더욱 상세한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과 관련해서 고려할 때 다음의 설명과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할 것이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여러 도면에서 같은 소자끼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인다.
본 발명의 시스템과 방법은 엔티티가 정보 이용을 허가받지 못했을 경우 한 개인(정보소유자)에 대해 그 엔티티에 의해 소유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기를 바라는 엔티티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제공으로 구체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서비스는 정보소유자를 위해 행해진다. 코트와 조정체는 어떤 특성이 금후에 누구의 것인지에 대해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결정을 수용하고, 어떤 한 사람이나 단체뿐만 아니라 다른 개인정보 소유자도 포함할 수 있는 정보소유자에 속하는 정보에 대한 허가를 관리한다. 특히,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관리하기 위한 정보저장유닛에 기록되고 저장된 그 자신의 각 허가(정보이용지시) 정보소유자 그룹에 대해 행해지리라고 생각한다.
일례로서, 시스템의 허가에 의해 보호되는 개인정보는 가족에 관한 정보와 재정 데이터, 라이프스타일 선호, 습관 및 개인 관심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정보는 각 정보요소와 각 정보소유자를 동일시하는 회복가능한 형태의 여러 정보요소(예컨대, 이름, 주소, 사회보장번호, 여러 개인 허가 파라미터나 제한)로 저장유닛에 저장된다.
예기된 서비스는 정보소유자에 의해 부과되는 사용의 제한에 따라 그들의 개인정보를 이용하는 허가를 정보이용자가 정보소유자로부터 얻도록 본 발명의 시스템과 방법을 구체화한다. 정보소유자는 일반적인 이용제한을 식별하는 미리 정해진 이용 파라미터를 설명하는 것이 가능한 본 발명에 의해 예기된다. 정보소유자는, 예컨대 누가 그것을 이용할 수 있고, 어떻게 그것이 이용될 수 있으며, 언제 그것이 이용될 수 있고, 어떤 정보가 이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그들의 정보의 이용시에 제한이나 이용 파라미터와 부가적인 제한을 설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어떤 제한이나 이용 파라미터는 한 개인정보요소나 정보요소그룹이나 각 정보소유자와 관련되는 모든 정보요소에 부과될 수 있다.
정보 이용자가 각 이용환경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는 허가를 얻으려고 시도할 때, 허가 인디케이터나 허가 응답(즉, 허가를 승인하거나 거절함)은 실시간으로나 배치모드(batch mode)로 정보이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용에 대한 승인이나 거절의 여부는 정보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이용 허가요청을 정보소유자의 저장된 이용 파라미터로 구체화되는 정보이용지시와 비교함으로써 본 발명의 시스템과 방법을 구체화하는 서비스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방법과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는 것이 쉬울 정도로 간단하다. 가입자수나 정보소유자수가 증가함에 따라, 단일 서비스 포인트나 몇몇 서비스 포인트라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과 방법을 구체화하는 서비스를 행하는 것이 힘들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스템은 로직과 데이터가 선택된 정보이용자에게 분배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이러한 대체 시스템에 있어서, 로직과 데이터 번들은 정보이용자의 컴퓨터 장비의 정보이용자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로직과 데이터 번들은 특정한 이용환경에서 지정된 정보를 이용하는 허가를 받기 위해 정보이용자에 의해 호출될 수 있다. 로직과 데이터 번들은 허가의 적당한 관리를 확보하기 위해 간격을 두거나 연속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관리될 수 있는 정보 형태는 또한 변화된다. 일례로서, 본 발명의 시스템과 방법은 음악가나 작사작곡가가 인터넷을 통해 음악작업을 다운로드하는데 대한 허가를 관리하거나 작가가 그 작가의 소설을 다시 인쇄하는데 대한 허가를 관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용어 "소유자"와 "정보"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되어 있는 발명의 문맥에서는 고의로 광범위하게 쓰인다.
서비스의 오퍼레이션에서 여러 관계부(본 발명의 시스템의 정보제어유닛과 정보 이용자들) 사이의 통신이, 예컨대 정보의 인터넷 웹사이트 입력과 인터넷이나 다른 네트워크를 통한 이메일, 일반 전화교환망, 무선전화망,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이나 다른 전화시스템이나 네트워크를 통한 전화통신 및, 팩스통신이나 그 외의 다른 통신환경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여러 통신 환경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새로 가입하는 정보소유자로부터의 정보이용지시를 전달하거나 갱신된 정보이용지시나 이미 가입한 정보소유자로부터의 변경을 전달하는데에도 유사한 통신환경이 도입될 수 있다. 정보소유자가 어떤 정보이용허가 질문의 리뷰의 권리와 함께 이러한 요청을 허가하거나 거절하는 권리를 요청할 수 있고, 여러 통신이 이 양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도입될 수 있다. 게다가, 정보소유자는 그들이 허가받지 않기로 결정한 정보의 일례나 그들이 허가받지 않았다고 믿는 이용에 대해 정보가 허가되었는 경우 일례를 이용하여 그들 각 정보이용지시를 갱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소유자 통신과 갱신은 실시간이나 배치모드로 실행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시스템과 방법을 구체화하는 서비스는 새 가입자가 이 서비스에 가입하거나 변경이 어떤 정보소유자의 정보이용지시로 기록된 정보이용자에게 통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전달의 수용자는, 예컨대 가입한 정보이용자들 중에서 선택되거나 은행, 보험회사, 전화회사 또는 그 외의 산업그룹 등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산업그룹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이용에 대한 외부에서 발생되는 제한은 본 발명에 의해 쉬워질 수 있다. 예컨대, 몇몇 상태는 노콜 리스트(no-call list)에 놓이도록 선택된 개인 리스트를 유지하는데 텔레마케팅 회사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노콜 리스트는 한 개인의 노콜 상태가 정보이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이용 허가 요청질문에 대한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어떤 응답에 반영될 수 있도록 본 시스템에 의해 저장된 정보에 통합될 수 있다.
정보이용 허가요청 질문은 어떤 소유자 요구를 열거하지 않고 일반적인 용어로 원하는 정보를 기술하는 형태로 정보이용자에 의해 행해질 수 있기 때문에, 정보의 클래스는 명세서에 적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과 방법을 구체화하는 서비스가 기술적 요청에 응답하는 문의하는 정보이용자에 대한 메일링 리스트(mailing list)의 생성을 쉽게 하기 위해 그 허가 데이터베이스(여러 가입한 정보소유자의 허가제한에 따름)로부터 정보를 식별하는 것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기술적 요청에 응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시스템의 정보제어유닛과 다수의 원격 데이터베이스간의 통신을 제공한다. 이러한 원격 데이터베이스는 본 발명의 시스템과 방법을 구체화하는 서비스 제공자와는 다른 엔티티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원격 데이터베이스의 관리자는 서비스에 관여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과 방법을 구체화하는 서비스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다. 이러한 확장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구성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정보이용자는 정보이용 허가 요청 질문을 제공할 수 있고, 서비스는 요청하는 정보이용자에게 응답하는 허가 인디케이터를 명확하게 할 때 가입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그 자신의 허가 데이터베이스도 숙독할 것이다. 이 숙독은 정보이용자와 정보소유자간의 통신과 관련해서 상술한 여러 통신 환경 중 어느 하나의 통신을 이용하여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감사 트레일(audit trail)이 시스템과 서비스의 오퍼레이션을 리뷰하도록 설치될 수 있게 정보이용자들, 정보소유자들, 원격 데이터베이스 관리자들,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정보제어유닛간의 통신과 트랜잭션에 적당한 코딩을 제공한다.
정보소유자, 정보이용자 및 원격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각각은 에이전트나 다른 중개자를 통해 본 발명의 시스템과 방법을 구체화하는 서비스에 관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의 이용에 대한 허가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이용자에 의해 각 환경에서 지정된 정보의 이용에 대한 허가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10)은 다수의 정보이용자(14) 및 적어도 하나의 정보소유자(16)와 통신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정보 억세스 제어유닛(12)을 갖추고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정보소유자(16)는 정보소유자(17, 19, 21)를 포함한다. 정보소유자(17, 19, 21)는 어떤 하나 이상의 다수의 통신환경(20)을 통해 정보 억세스 제어유닛(12)과 통신한다. 통신환경(20)은, 예컨대 인터넷(24)을 통한 웹사이트 억세스(22)와 인터넷(24)을 통한 VoIP(26), 인터넷(24)을 통한 그 외의 장치(28; 예컨대, 무선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환경(20)은 음성전화통신(32)이나 팩스통신(34) 등의 일반 전화교환망(PSTN; 30)을 통한 전화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 외의 통신(36)이 무선통신 등의 통신환경(20)이나 다른 통신환경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에서 정보소유자(21)를 정보소유자 a로 나타내었는데, 여기에서 a는 통신환경(20)을 통해 정보 억세스 제어유닛(12)과 통신할 수 있는 정보소유자(17, 19, 21)의 수에 이론상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정보 억세스 제어유닛(12)은 다수의 통신환경(38; 도 1에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정보사용자(14)와 통신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통신환경(38)은 통신환경(20)과 관련해서 상술한 바와 유사한 통신커넥션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이용자(40, 42, 44)는 하나 이상의 통신환경(38)을 통해 정보 억세스 제어유닛(12)과 통신할 수 있다. 도 1에서 정보이용자(44)를 정보이용자 m으로 나타내었는데, 여기에서 m은 통신환경(38)을 통해 정보 억세스 제어유닛(12)과 통신할 수 있는 정보이용자(40, 42, 44)의 수에 이론상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보 억세스 제어유닛(12)은 통신유닛(50)과 허가기준 저장유닛(52) 및 비교유닛(54)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정보소유자(16)는, 예컨대 누가 그것을 이용할 수 있는지, 어떻게 그것이 이용될 수 있는지, 언제 그것이 이용될 수 있는지, 어떤 정보가 이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그들의 정보의 이용시에 제한이나 이용 파라미터, 부가적인 제한을 설명할 수 있다. 이들 이용 파라미터나 허가 기준은 하나 이상의 통신환경(20)과 통신유닛(50)을 통해 정보이용지시로 정보 억세스 제어유닛(12)에 전달된다. 통신 억세스 제어유닛(12)은 허가기준을 허가기준 저장유닛(52)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어떤 이용 파라미터나 허가기준이 개인정보요소와 정보요소 그룹이나 허가기준 저장유닛(52)의 각 정보소유자(17, 19, 21)와 관련되는 모든 정보요소에 부과될 수 있다.
정보이용자(14)가 각 이용환경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는 허가를 얻으려고 할 때, 각 정보이용자(40, 42, 44)는 하나 이상의 통신환경(38)을 통해 정보이용 허가요청을 정보 억세스 제어유닛(12)에 보낸다. 허가 인디케이터나 허가 응답(즉, 허가를 승인하거나 거절함)은 실시간으로나 배치모드로 하나 이상의 통신환경(38)을 통해 정보 억세스 제어유닛(12)으로부터 각 요청하는 정보이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용에 대한 승인이나 거절의 여부는 각 요청하는 정보이용자(40, 42, 44)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이용 허가요청을 정보소유자(16)로부터의 정보이용지시로 수신되는 허가기준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정보 억세스 제어유닛(12)에 의해 결정된다.
더욱이, 정보 억세스 제어유닛(12)은 새 가입자(예컨대, 정보소유자(6))가 서비스에 가입되고 허가기준 저장유닛(52)에 저장하기 위한 허가기준을 전달하는 정보이용지시가 기록되며, 변경이 어떤 정보소유자(16)의 허가기준에 기록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통신환경(38)을 통해 정보이용자(14)에게 통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전달을 받는 정보이용자(14)는, 예컨대 가입한 정보이용자들(예컨대, 도 1에서 정보이용자(40, 42, 44)) 중에서 선택되거나 은행, 보험회사, 전화회사 또는 그 외의 산업그룹 등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산업그룹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정보이용 허가요청 질문은 어떤 소유자 요구를 열거하지 않고 일반적인 용어로 원하는 정보를 기술하는 형태로 정보이용자(14)에 의해 행해질 수 있기 때문에, 정보의 클래스는 명세서에 적당할 수 있다. 시스템(10)은 기술적 정보이용 허가요청에 응답하는 문의하는 정보이용자(14)에 대한 메일링 리스트의 생성을 쉽게 하기 위해 허가기준 저장유닛(52; 허가기준 저장유닛(52)에 저장된 여러 가입한 정보소유자(16)의 허가제한에 따름)으로부터 정보를 식별하는 것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기술적 요청에 응답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억세스 제어유닛(12)은 다수의 통신환경(60; 도 1에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다수의 정보제공자(14)와 통신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통신환경(60)은 통신환경(20, 38)과 관련해서 상술한 바와 유사한 통신커넥션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제공자(62, 64, 66)는 하나 이상의 통신환경(60)을 통해 정보 억세스 제어유닛(12)과 통신할 수 있다. 도 1에서 정보제공자(66)를 정보제공자 n으로 나타내었는데, 여기에서 n은 통신환경(60)을 통해 정보 억세스 제어유닛(12)과 통신할 수 있는 정보제공자(62, 64, 66)의 수에 이론상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보제공자(60, 62, 66) 각각은 하나 이상의 관련된 정보저장장치나 데이터베이스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정보제공자(62)는 관련된 정보저장장치(72)를 갖추고 있고, 정보제공자(64)는 관련된 정보저장장치(74)를 갖추고 있으며, 정보제공자(66)는 관련된 정보저장장치(76)를 갖추고 있다. 통신환경(60)과 정보제공자(18)를 갖춘 시스템(10)의 1실시예에 있어서, 정보제공자(18)는 정보 억세스 제어유닛(12)에 의해 제공되는 서브시에 관여하도록 가입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 실시예의 일례는 정보저장장치(72, 74, 76)에 구체화되는 원격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인 정보제공자(18)를 포함한다.
시스템(10)이 정보저장장치(72, 74, 76)에서 구체화되는 원격 데이터베이스를 갖추기 위해 이러한 확장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구성을 사용하면, 정보이용자(14)는 정보이용 허가요청 질문을 정보 억세스 제어유닛(12)에 제공할 수 있고, 정보 억세스 제어유닛(12)은 요청하는 정보이용자(14)에게 응답하는 허가 인디케이터를 명확하게 할 때 가입 데이터베이스(정보저장장치(72, 74, 76))뿐만 아니라 그 자식의 허가 데이터베이스(허가기준 저장유닛(52))를 숙독할 것이다. 정보 억세스 제어유닛(12)에 의한 숙독은 정보소유자(16), 정보 억세스 제어유닛(12), 정보이용자(14) 및 정보제공자(18)간의 통신과 관련해서 상술한 여러 통신 환경(20, 38, 60) 중 어느 하나의 통신을 이용하여 행해질 수 있다.
이 시스템(10)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감사 트레일이 시스템의 오퍼레이션을 리뷰하도록 설치될 수 있게 정보이용자(14), 정보소유자(16), 정보제공자(18) 및 정보 억세스 제어유닛(12)간의 통신과 트랜잭션에 적당한 코딩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2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이용자에 의해 각 이용환경에서 지정된 정보의 이용에 대한 허가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100)은 블록 10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용자 허가기준을 설정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이 이용자 허가기준은 지정된 정보의 이용을 허가받아 미리 정해진 정보이용지시로 설정된다. 이용자 허가 기준은 허가받은 지정된 정보의 이용을 규정하는 이용기준을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정보이용지시로 설정된다. 지정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소유자에 의해 소유되고, 정보이용지시는 각 정보소유자나 소유자들이 지정된 정보를 소유하는지를 확인하는 기준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 정보이용지시는 정보 억세스 제어유닛(예컨대, 도 1에서 정보 억세스 제어유닛(12))에 의해 수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이 방법(100)은 블록 104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정보이용자로부터 정보이용 허가질문을 수신하는 단계를 실행한다. 정보이용 허가질문은 적어도 지정된 정보와 각 이용환경을 확인한다. 질문은, 블록 102로 나타낸 단계에 따라 얻은 저장된 허가기준이 갱신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행해진다. 허가기준이 갱신할 필요가 있으면, 이 방법(100)은 YES 응답선(108)을 따라 진행되어 블록 11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준은 갱신된다. 그 후, 방법(100)은 라인 112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계속 진행된다.
이러한 갱신 질문은(질문 블록 106으로 나타냄) 정보이용 허가질문의 각 수취로 행해지는 것은 아니다. 갱신의 필요에 대한 가끔의 체크는 충분한 것이다. 갱신체크의 횟수는 경과시간, 즉 특정한 정보소유자에 대해 마지막 질문한 이후 시간이나 다른 파라미터에 기초하고 있다.
허가기준이 갱신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또는 평가되는 갱신이 필요하지 않으면), 방법(100)은 NO 응답선(114)을 따라 진행된 후에, 질문 블록 116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허가기준이 충족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허가기준에 명시되어 있는 정보이용지시와 정보이용 허가질의를 비교한다.
허가기준이 각 이용환경에서 지정된 정보에 대해 충족되지 않으면, 방법(100)은 NO 응답선(118)을 따라 진행된 후에, 정보이용 허가질문은 거절되고(요청정보 이용자에게 보내진 거절하는 허가 인디케이터로 명시됨), 방법(100)은 다음 정보이용 허가질문을 받기 위한 블록 104로 복귀선(120, 122)을 통해 되돌아간다. 각 이용환경에서 충족된 정보에 대해 허가기준이 충족되면, 방법(100)은 YES 응답선(124)을 따라 진행된 후에, 질문 블록 126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요청된 정보가 유효한지의 여부를 묻는다.
본 발명의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특정한 이용환경이 특정한 정보소유자에 대한 지정된 정보에 대해 허가되는지의 여부를 정보이용자가 물을 수 있도록 정보이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때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질문은 어떤 정보가 유효한지에 관해 묻는 것은 아니고, 단지 문의하는 정보이용자가 승인을 얻으려고 하는 각 이용환경에서 허가가 지정된 정보에 대해 일치되는지의 여부를 묻는 것이다.
질문 블록 126으로 나타낸 질문은 정보가 유효하고 어떤 미리 정해진 환경에서 보급을 위해 허가되는 상황의 본 발명의 방법의 변형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질문 블록 126으로 나타낸 질문은, 예컨대 어떤 소유자 요구를 열거하지 않고 일반적인 용어로 원하는 정보를 기술하는 형태로 정보이용자에 의해 정보이용 허가질문이 행해질 때의 상황에서 본 발명의 방법에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정보 클래스는 이 서술에 적당하다. 방법(100)은 정보가 저장되는 여러 가입한 정보소유자의 허가 기준에 따라 저장된 허가기준으로부터의 정보 확인의 제공을 예기하고 질문 블록 126으로 나타낸 질문을 행함으로써 이러한 기술적 요청에 응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한 정보소유자를 나타내지 않는 이러한 기술적 정보요청은 메일링 리스트의 생성을 쉽게 하기 위해 정보이용자에 의해 도입될 수 있다. 지정된 정보가 유효한지에 대한 체크가 질문 블록 126으로 나타낸 질문에 따라 행해질 때, 정보는 허가기준을 포함하고 정보소유자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는 로컬 데이터베이스(예컨대, 도 1에서 허가 기준 저장유닛(52))로부터 검색되어 제공될 수 있다. 원격 데이터베이스가 또한 접근하기 쉬우면, 지정된 정보가 유효한지에 대한 체크는 또한 이들 원격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질문 블록 126으로 나타낸 질문 후에 요청된 정보가 유효하면, 방법(100)은 YES 응답선(128)을 따라 진행되고, 블록 13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정보이용에 대한 허가와 요청된 정보가 제공된 후, 방법(100)은 다음 정보 이용허가 질문을 받기 위한 블록 104로 복귀선(132, 122)을 통해 되돌아간다.
정보가 유효하지 않거나 정보이용 허가질문이 정보를 요청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정보를 이용하는 것에 대한 허가를 요청하면(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방법(100)은 NO 응답선(134)을 따라 진행된 후, 방법(100)은 블록 136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준제한에 따라 허가를 해준다. 기준제한에 따라 허가를 해주는 것은 각 이용환경이 지정된 정보에 대한 정보이용지시에 따를 때 정보이용자에게 허가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에서 명백하게 된다. 거절통지는 각 이용 환경이 지정된 정보에 대한 정보이용지시에 따르지 않을 때 정보이용자에게 보내진다. 방법(100)은 블록 136에서부터 복귀선(122)을 통해 다음 정보이용 허가질문을 받기 위한 블록 104로 되돌아간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의 특정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정보 이용자에 의해 각 이용환경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소유자가 소유한 지정된 정보의 이용에 대한 허가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a) 정보이용 허가요청을 미리 정해진 정보이용 지시와 비교하여 상기 관리를 실행하기 위한 정보제어유닛과,
    (b) 상기 정보제어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이용자로부터의 상기 정보이용 허가요청을 수신하도록 상기 정보제어유닛과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통신설비 및,
    (c) 상기 정보제어유닛과 상기 통신설비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정보이용지시를 저장하기 위한 정보저장유닛을 갖추고 있고,
    상기 정보이용 허가요청은 적어도 상기 지정된 정보와 상기 각 이용환경을 식별하며,
    상기 정보이용 지시는 상기 허가받은 지정된 정보의 이용을 규정하는 기준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제어유닛은 상기 각 이용환경이 상기 지정된 정보에 대한 상기 정보 이용지시에 따를 때 상기 통신설비를 이용하여 허가 인디케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이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이용에 대한 허가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어유닛이, 상기 통신설비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소유자로부터 상기 정보이용지시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이용에 대한 허가 관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이용지시 각각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소유자의 각각의 제공하는 정보소유자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각 정보이용지시가, 각각의 제공하는 정보소유자와 관련되어 있는 상기 정보저장유닛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이용에 대한 허가 관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설비가, 다수의 통신환경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환경을 통해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이용에 대한 허가 관리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설비가, 다수의 통신환경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환경을 통해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이용에 대한 허가 관리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통신환경이, 인터넷 웹사이트 데이터 입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이용에 대한 허가 관리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통신환경이, VoIP 장비를 이용하는 전화통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이용에 대한 허가 관리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통신환경이, 일반 전화 교환망을 이용하는 전화통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이용에 대한 허가 관리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통신환경이, 네트워크를 통한 이메일 통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이용에 대한 허가 관리시스템.
  10. 적어도 하나의 정보 이용자에 의해 각 이용환경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소유자가 소유한 지정된 정보의 이용에 대한 허가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특별하지 않은 순서로,
    (1) 정보제어유닛을 제공하고,
    (2) 상기 정보제어유닛에 연결되어 있는 통신설비를 제공하며,
    (3) 상기 정보제어유닛과 상기 통신설비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있는 정보저장유닛을 제공하는 단계와,
    (b) 상기 정보저장유닛에 미리 정해진 정보이용지시를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정보제어유닛과 통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이용자로부터 정보이용 허가요청을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설비를 작동시키는 단계,
    (d) 상기 관리를 행하기 위한 상기 미리 정해진 정보이용지시와 상기 정보이용 허가요청을 비교하도록 상기 정보제어유닛을 작동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각 이용환경이 상기 지정된 정보에 대한 상기 정보이용지시를 따를 때 상기 통신설비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이용자에게 허가 인디케이터를 전달하는 단계를 갖추고,
    상기 정보이용 허가요청은 적어도 상기 지정된 정보와 상기 각 이용환경을 식별하며,
    상기 정보이용지시는 상기 허가받은 지정된 정보의 이용을 규정하는 기준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이용에 대한 허가 관리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어유닛이, 상기 통신설비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소유자로부터 상기 정보이용지시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이용에 대한 허가 관리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이용지시 각각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소유자의 각각의 제공하는 정보소유자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각 정보이용지시가, 각각의 제공하는 정보소유자와 관련되어 있는 상기 정보저장유닛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이용에 대한 허가 관리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설비가, 다수의 통신환경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환경을 통해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이용에 대한 허가 관리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설비가, 다수의 통신환경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환경을 통해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이용에 대한 허가 관리방법.
  15. 적어도 하나의 정보 이용자에 의해 각 이용환경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소유자가 소유한 지정된 정보의 이용에 대한 허가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허가받은 지정된 정보의 이용을 규정하는 이용기준을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정보이용지시를 확립하여 상기 지정된 정보를 소유한 상기 각 정보 소유자를 식별하는 기준을 식별하는 단계와,
    (b)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이용자로부터 정보이용 허가질문을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정보이용 허가질문을 상기 정보이용지시와 비교하는 단계 및,
    (d) 상기 각 이용환경이 상기 지정된 정보에 대한 상기 정보이용지시에 따를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이용자에게 허가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갖추고,
    상기 정보이용 허가질문은 적어도 상기 지정된 정보와 상기 각 이용환경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이용에 대한 허가 관리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이용 허가질문이 이용하기 바라는 기술된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허용 인디케이터가 상기 기술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이용에 대한 허가 관리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이용 허가질문이, 다수의 통신환경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환경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이용에 대한 허가 관리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이용 허가질문이, 다수의 통신환경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환경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이용에 대한 허가 관리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통신환경이, 네트워크를 통한 인터넷 웹사이트 데이터 입력과 이메일 통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이용에 대한 허가 관리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통신환경이, 적어도 VoIP 통신과 일반 전화교환망 통신, 팩시통신 및 무선전화통신을 포함하는 전화통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이용에 대한 허가 관리방법.
KR1020057009189A 2002-11-21 2003-11-20 정보이용에 대한 허가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839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2804102P 2002-11-21 2002-11-21
US60/428,041 2002-11-21
US10/712,605 2003-11-12
US10/712,605 US20040103306A1 (en) 2002-11-21 2003-11-12 System and method for administering permisson for use of inform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942A true KR20050083942A (ko) 2005-08-26

Family

ID=32329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9189A KR20050083942A (ko) 2002-11-21 2003-11-20 정보이용에 대한 허가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40103306A1 (ko)
EP (1) EP1567954A2 (ko)
JP (1) JP2006507604A (ko)
KR (1) KR20050083942A (ko)
AU (1) AU2003291148A1 (ko)
CA (1) CA2506062A1 (ko)
PL (1) PL377041A1 (ko)
WO (1) WO200404931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28049B1 (en) 1996-02-17 2006-04-11 Allcare Health Management System, Inc. Standing order database search system and method for internet and internet application
US8464311B2 (en) * 2004-10-28 2013-06-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privacy notice, consent, and preference with a privacy proxy
US7996530B1 (en) 2004-11-15 2011-08-09 Bank Of Americ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authentication of on-line communications
IL165405A0 (en) * 2004-11-25 2006-01-15 Wow Effect Ltd Method for authenticating a web site
US7849102B2 (en) * 2005-09-07 2010-12-07 Microsoft Corporation Availability data service
US20090100099A1 (en) * 2007-08-08 2009-04-16 Buckwalter Alan 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d offering an exchange database
CN101572606B (zh) * 2009-06-12 2012-05-23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社会化网络中认证请求消息发送方法及装置
US9183407B2 (en) * 2011-10-28 2015-11-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ermission based query processing
US11170102B1 (en) 2019-02-13 2021-11-09 Wells Fargo Bank, N.A. Mitigation control of inadvertent processing of sensitive data
JP7441157B2 (ja) 2020-11-06 2024-02-29 株式会社東芝 データ管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8412A (en) * 1996-11-19 1998-12-08 Ncr Corporation User controlled browser identification disclosing mechanism
IL128935A (en) * 1998-09-18 2003-10-31 Direct & Clear Inc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utilizing a specific communication code
US6253203B1 (en) * 1998-10-02 2001-06-26 Ncr Corporation Privacy-enhanced database
US6275824B1 (en) * 1998-10-02 2001-08-14 Nc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ata privacy in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US20010011247A1 (en) * 1998-10-02 2001-08-02 O'flaherty Kenneth W. Privacy-enabled loyalty card system and method
US6438544B1 (en) * 1998-10-02 2002-08-20 Nc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discovery of data model allowing customization of consumer applications accessing privacy data
US6690932B1 (en) * 2000-03-04 2004-02-10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anguage translation services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US6678357B2 (en) * 2001-09-26 2004-01-13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s, Inc. Internet protocol (IP) emergency connections (ITEC) telephon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06062A1 (en) 2004-06-10
PL377041A1 (pl) 2006-01-23
WO2004049315A3 (en) 2004-07-15
EP1567954A2 (en) 2005-08-31
WO2004049315A2 (en) 2004-06-10
AU2003291148A1 (en) 2004-06-18
AU2003291148A8 (en) 2004-06-18
US20040103306A1 (en) 2004-05-27
JP2006507604A (ja) 200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74263C (zh) 用于用户概况表管理的方法
US8302164B2 (en) Authorization and authentication based on an individual's social network
US7853786B1 (en) Rules engine architecture and implementation
US77300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user profiles
US7496191B1 (en) Integrated privacy rules engine and application
US20030018915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er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of services
EP1829316B1 (en) Means and method for control of personal data
CN1695361B (zh) 远程通信网络中对数据库进行集中式数据管理和访问控制的设备与方法
US7210163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er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of services
KR20050083942A (ko) 정보이용에 대한 허가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00578A (ko) 특허 관리시스템
US763104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ersonal policy-controlled automated response to information transfer requests
KR20040106619A (ko) 기업내 특허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US20010011354A1 (en) Information provision control system, information provision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040106620A (ko) 특허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20030035820A (ko) 전화번호 변경을 통한 주소지 자동 변경 시스템 및 방법과그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2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