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79011A - VoIP 기반의 비가입형 시외전화 선택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VoIP 기반의 비가입형 시외전화 선택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9011A
KR20050079011A KR1020040007075A KR20040007075A KR20050079011A KR 20050079011 A KR20050079011 A KR 20050079011A KR 1020040007075 A KR1020040007075 A KR 1020040007075A KR 20040007075 A KR20040007075 A KR 20040007075A KR 20050079011 A KR20050079011 A KR 20050079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p
network
call
long
long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7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경세
심형식
이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데이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데이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데이콤
Priority to KR1020040007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9011A/ko
Publication of KR20050079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01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1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 H04M7/1205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where the types of switching equipement comprises PSTN/ISDN equipment and switching equipment of networks other than PSTN/ISDN, e.g. Internet Protocol networks
    • H04M7/121Details of network access arrangements or protocols
    • H04M7/122Details of network access arrangements or protocols where the PSTN/ISDN access is used as an access to networks other than PSTN/ISD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oIP 기반의 비가입형 시외전화 선택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VoIP 단말기에 시외망 식별번호를 설정해 놓을 수 있도록 하는 단계, VoIP 단말기는 발신이 시도되면 입력된 발신번호에 시외망 식별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VoIP 단말기는 시외망 식별번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기 설정되어 있는 시외망 식별번호를 포함시키는 단계, VoIP 단말기는 발신호를 자신이 가입한 전화망(가입자측 전화망)으로 연결하는 단계, 가입자측 전화망은 발신호의 시외망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전화망(타측 전화망)으로 해당 발신호를 라우팅 하는 단계, 및 타측 전화망을 통해 VoIP 가입자와 해당 착신자가 서로 연결되어 통화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사용하면, VoIP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이한 시외권역의 PSTN 단말기로 호를 시도할 때 비가입 상태의 시외망(PSTN)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이용자는 VoIP 사업자의 공중전화망에 종속되지 않고, 원하는 시외망 사업자를 선택할 수 있어 보다 양질의 시외전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질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VoIP 기반의 비가입형 시외전화 선택 서비스 방법{ Method to provide service for selecting the toll line network based on VoIP }
본 발명은 VoIP 기반의 비가입형 시외망 선택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VoIP망에 연결된 VoIP 단말기에서 상이한 시외권역의 PSTN 단말기로 통화를 시도할 경우 해당 시외망 식별번호를 자동 다이얼링하게 하여, VoIP망 사업자에 종속된 부분을 최소화하고 VoIP 서비스 이용자의 시외망에 대한 선택의 폭을 확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는 시외전화 사업자인 점을 감안하면, 서비스 제공자가 서비스 이용자에게 자사의 공중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이용하도록 강제할 가능성이 많으며, 현재 제조 및 제공되고 있는 데이터 모뎀 및 IP Phone 또한 국내 시외망 사업자를 선택하는 기능이 없는 실정이다. 이 때, 서비스 이용자는 매 통화시마다 시외망 식별번호를 직접 다이얼링 (mannual dialing)하여 이용할 수는 있지만 불편함을 가중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향후 VoIP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공중전화망(PSTN)과 VoIP망이 상존하는 상황에서 사전 선택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일반 VoIP 이용자가 보다 안정적이고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시외망 서비스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일반적인 VoIP 단말기에서 시외권역의 PSTN 단말기로 호를 시도하는 경우 미리 선택해 놓은 시외망 식별전호를 자동 다이얼링하도록 하여, 일반 VoIP 서비스 이용자가 타 공중전화망(PSTN)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VoIP 기반의 비가입형 시외전화 선택 서비스 방법은, VoIP 단말기에 시외망 식별번호를 설정해 놓을 수 있도록 하는 단계; 상기 VoIP 단말기는 발신이 시도되면 발신호가 시외통화를 위한 호인지를 확인하고, 일정 시외망 식별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VoIP 단말기는 상기 시외망 식별번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기 설정되어 있는 시외망 식별번호를 포함시키는 단계; 상기 VoIP 단말기는 상기 발신호를 자신이 가입한 전화망(가입자측 전화망)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측 전화망은 상기 발신호의 시외망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전화망(타측 전화망)으로 해당 발신호를 라우팅 하는 단계; 및 상기 타측 전화망을 통해 상기 VoIP 가입자와 해당 착신자가 서로 연결되어 통화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자면, 발신자는 VoIP 기반의 통화를 할 수 있는 VoIP 단말기(10)를 사용하여 수신자(33)와 통화할 수 있다. 이 때, 발신자는 VoIP망(21)을 통해 VoIP 기반의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고, 자신이 가입한 시외망(PSTN,23) 및 가입하지 않은 타측 시외망(PSTN,32)을 경유하여 수신자(33)와 통화한다. 즉, 수신자(33)는 타측 시외망(32)에 연결되어 있다.
VoIP 단말기(1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1에는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에 설치된 VoIP용 프로그램과 모뎀을 이용하여 VoIP망(21)에 접속하는 소프트폰(softphone,11)과 VoIP 전용의 IP 폰(12)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전화 시스템에서 호가 처리도는 개요를 설명하자면, VoIP망 사업자A의 가입자인 발신자는 VoIP 단말기(10)를 사용하여 호를 시도하고, 이 호는 레지덴셜 게이트웨이(Residential GateWay,13) 등의 장치를 통해 VoIP망(21)과 연결된 후 VoIP망 사업자A의 망으로 전달된다. 이 때, 호처리용 게이트웨이(22)는 소프트 스위치(Soft-Switch)로서 VoIP망(21)과 공중전화망을 연동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인입되는 호의 시외망 식별번호에 따라 해당 타 사업자의 시외망(32)측으로 호를 라우팅(Routing)한다. 그러면, 타 사업자의 시외망(32)을 통해 수신자의 전화단말기(33)와 최종적으로 연결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발신측 VoIP 단말기와 수신측 PSTN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시외통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VoIP 단말기는 서비스 이용자가 자신이 사용할 시외망을 설정해 놓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VoIP 단말기는 키, 스위치, 메뉴 등 다양한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 이용자가 시외망 식별번호를 미리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입력된 시외망 식별번호를 서비스 이용자의 디폴트 시외망 식별번호로서 설정/관리한다(S40-1). 이후에 VoIP 단말기는 외부 공중전화망으로 권역간 호가 시도되는 경우에는 해당 시외망 식별번호를 자동 다이얼링 하게 된다.
한편, VoIP 단말기는 발신자가 자신의 VoIP 단말기에서 발신번호(착신자 번호)를 입력하여 호를 시도하면(S40-2), 발신자가 직접 입력한 착신자 호가 시외호인지를 확인하여(S40-3), 시외호가 아닌 경우에는 자체 공중전화망을 통해 수신자와 연결하고(S40-7), 시외호인 경우에는 그 중에 일정 시외망 식별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40-4). 즉, 발신자가 직접 시외망 식별번호를 입력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서비스 이용자가 스스로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시외망을 매 호마다 선택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이 경우에는 그대로 바이패스한다(S40-6).
그러나, VoIP 단말기는 시외망 식별번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40-1에서 설정해 놓은 시외망 식별번호를 호에 포함시킨다(S40-5). 여기서 포함시킨다는 것은 시외망 식별번호를 다이얼링한다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VoIP 단말기는 발신호를 가입자측 전화망으로 연결한다(S40-8). 가입자측 전화망의 소프트 스위치는 이 호에 포함된 시외망 식별번호를 확인하여(S40-9), 자체 시외망의 식별번호이면 자체 시외망을 이용하여 수신자와 호 연결 시킨다(S40-10). 그러나, 타 시외망 사업자와 연동된 것인 경우에는 해당 시외망으로 호를 라우팅(Routing)하며(S40-11), 해당 타측 시외망에서 수신자에게 호를 연결시키게 된다(S40-12). 이에 따라 발신자와 수신자는 서로 통화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S40-13).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적용되는 VoIP 단말기는 소프트 폰 또는 IP 폰의 형태로 구성하여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VoIP 단말기가 소프트 폰인 경우에는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에 설치되는 VoIP 통화용 컴퓨터 프로그램상에서 시외망 식별번호를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VoIP 단말기가 IP 폰인 경우에는 키, 스위치, 메뉴 등의 방식을 통해 시외망 식별번호를 입력하여 설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VoIP 단말기뿐 아니라 각종 부대 장비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을 사용하면, VoIP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이한 시외권역의 PSTN 단말기로 호를 시도할 때 비가입 상태의 시외망(PSTN)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이용자는 VoIP 사업자의 공중전화망에 종속되지 않고, 원하는 시외망 사업자를 선택할 수 있어 보다 양질의 시외전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각종 망 사업자들에게는 통화 서비스의 향상을 위한 경쟁의식을 유발시키고, 최상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유인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비가입 시외망과 연결되는 VoIP 기반의 전화 시스템에 관한 개요,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VoIP 기반의 비가입형 시외망 선택 서비스 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VoIP 단말기 11: 소프트 폰
12: IP 폰 13: RGW
21: VoIP망 22,31: 게이트웨이
23,32: 공중전화망(PSTN)

Claims (4)

  1. VoIP 가입자가 타 사업자의 시외망을 선택하여 VoIP 기반의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VoIP 단말기에 시외망 식별번호를 설정해 놓을 수 있도록 하는 단계;
    상기 VoIP 단말기는 발신이 시도되면 발신호가 시외통화를 위한 호인지를 확인하고, 일정 시외망 식별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VoIP 단말기는 상기 시외망 식별번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기 설정되어 있는 시외망 식별번호를 포함시키는 단계;
    상기 VoIP 단말기는 상기 발신호를 자신이 가입한 전화망(가입자측 전화망)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측 전화망은 상기 발신호의 시외망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전화망(타측 전화망)으로 해당 발신호를 라우팅 하는 단계; 및
    상기 타측 전화망을 통해 상기 VoIP 가입자와 해당 착신자가 서로 연결되어 통화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기반의 비가입형 시외망 선택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VoIP 단말기는 소프트 폰 혹은 IP 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기반의 비가입형 시외망 선택 서비스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VoIP 단말기가 소프트 폰인 경우에는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에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상에서 상기 시외망 식별번호를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기반의 비가입형 시외망 선택 서비스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VoIP 단말기가 IP 폰인 경우에는 상기 시외망을 선택할 수 있는 키의 조합을 통해 상기 시외망 식별번호를 입력하여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기반의 비가입형 시외망 선택 서비스 방법.
KR1020040007075A 2004-02-03 2004-02-03 VoIP 기반의 비가입형 시외전화 선택 서비스 방법 KR200500790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075A KR20050079011A (ko) 2004-02-03 2004-02-03 VoIP 기반의 비가입형 시외전화 선택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075A KR20050079011A (ko) 2004-02-03 2004-02-03 VoIP 기반의 비가입형 시외전화 선택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011A true KR20050079011A (ko) 2005-08-09

Family

ID=37266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075A KR20050079011A (ko) 2004-02-03 2004-02-03 VoIP 기반의 비가입형 시외전화 선택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901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9231B1 (en) Internet phone system and directory search engine using same
US8175240B2 (en) Tandem access controller within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WO2002058351A1 (en) User transparent internet telephony device and method
US20080084991A1 (en) Automatic switch-dialing system and method
US7567269B2 (en) Television phone adaptor
JP3002667B2 (ja) 通話システム
KR100350488B1 (ko) 브이.아이.피 게이트웨이의 발신 호 처리방법
AU2886600A (en) Method of establishing a connection
JP2001036641A (ja) インターネット又は公衆電話網を経由する呼接続方法及びその交換機
KR100342166B1 (ko) 인터넷 VoIP망을 이용하여 저렴한 통화 서비스를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및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CN102075649A (zh) 一种voip的即时呼叫方法
KR20050079011A (ko) VoIP 기반의 비가입형 시외전화 선택 서비스 방법
KR100428481B1 (ko) 액정표시장치가 장착된 자동 접속 다이얼 전화기의 선로설정 방법
JP2003264644A (ja) インターネットを使用した電話システム
TW567706B (en) Communicative device
KR20040091186A (ko) 최저요금자동선택 이동통신시스템
KR200322102Y1 (ko) 가변 프리픽스 기능을 갖는 인터넷 전화기
WO2001033819A1 (en) A system for automatically switching between analogue and ip telephony
KR20000042236A (ko) 종합정보통신망을 통한 문자정보 서비스방법
JPH09130474A (ja) 国際電気通信サービスの利用システム
KR20030028020A (ko) 일반전화 겸용 인터넷폰
KR20050047204A (ko) 에이알에스장치와 에이씨에스장치가 통합된 목적번호 접속시스템
JP2011254244A (ja) Ip電話網における加入者サーバ及びゲートウェイ装置並びに通信方法
KR20020021536A (ko) 인터넷 전화 연결시스템 및 인터넷 전화 연결 시스템을통한 착신 전화 번호 변경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4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10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