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76083A - 의류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6083A
KR20050076083A KR1020040003884A KR20040003884A KR20050076083A KR 20050076083 A KR20050076083 A KR 20050076083A KR 1020040003884 A KR1020040003884 A KR 1020040003884A KR 20040003884 A KR20040003884 A KR 20040003884A KR 20050076083 A KR20050076083 A KR 20050076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drum
clothes dryer
air inlet
intake duct
ho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3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석
이진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3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6083A/ko
Priority to US10/926,949 priority patent/US20050155250A1/en
Priority to EP04255469A priority patent/EP1555341A1/en
Priority to CNA2004100118813A priority patent/CN1644786A/zh
Priority to JP2004304821A priority patent/JP2005205179A/ja
Publication of KR20050076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6083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회전드럼과, 회전드럼에 열풍을 공급하는 흡기덕트와, 회전드럼에 형성되며 흡기덕트와 연통되는 공기 유입부를 구비하되, 공기 유입부가 회전드럼의 내부로 볼록하게 융기되도록 구비되어 열풍을 방사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를 제공한다. 팬의 크기를 소형으로 유지하면서도 유입되는 열풍의 풍량이나 풍속을 빠르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풍이 사각지대 없이 회전드럼 내부로 골고루 공급되도록 하여, 포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건조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의류건조기{Clothes 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드럼의 후방에 형성되어있는 공기 유입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건조성능을 향상시킨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건조기는 하우징의 내부에 수평으로 배치된 회전드럼이 일방향으로 저속 회전하면서 이 회전드럼을 통과하는 열풍에 의해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의류건조기는 건조될 세탁물이 담겨지는 회전드럼과, 회전드럼에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는 흡기덕트와, 회전드럼을 통과한 고온의 공기를 배기시키는 배기덕트와, 세탁물을 신속하게 건조시키기 위해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를 구비한다.
흡기덕트의 내부에는 히터가 설치되어 이 흡기덕트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며, 배기덕트의 내부에는 배기팬이 설치되어 흡기덕트를 통해 회전드럼으로 유입된 고온의 공기를 회전드럼의 외부로 강제 배기시키게 된다. 또한, 회전드럼의 후면패널에는 흡기덕트와 연통되는 공기 유입부가 마련되어 열풍의 유입을 안내한다.
일반적인 의류건조기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1-0073539호의 도 5에서 개시된 것과 같이, 회전드럼의 공기 유입부가 회전드럼의 후면패널의 중앙에 넓게 다수의 홀을 구비한 평판 형태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회전드럼 내부에 직선방향으로 열풍이 공급되고 그 속력이 빠르므로, 회전드럼 내부의 일부분으로만 열풍이 공급된다. 결과적으로 회전드럼 내부에 열풍이 도달하지 않는 사각지대가 생겨 포와의 열전달 면적이 적어지고 결과적으로 건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기 흡입부의 면적이 너무 크므로 팬이 대형화되어 소음이 증가되고 부품재료비 및 전력소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열풍의 풍속이나 풍량이 감소하여 배기가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의류건조기의 건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드럼의 후면패널에 구비된 공기 유입부의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팬의 크기를 소형으로 유지하면서도 유입되는 열풍의 풍량이나 풍속을 빠르게 하되, 열풍이 사각지대 없이 회전드럼 내부로 골고루 공급되도록 하여, 포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건조효율을 향상시키는 의류건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에 열풍을 공급하는 흡기덕트와, 상기 회전드럼에 형성되며 상기 흡기덕트와 연통되는 공기 유입부를 구비하되, 상기 공기 유입부가 회전드럼의 내부로 볼록하게 융기되도록 구비되어 열풍을 방사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 유입부는 다수개의 방사상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 유입부의 지름은 상기 흡기덕트의 지름과 상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의류건조기는 히터를 더 구비하며 상기 히터는 상기 흡기덕트의 입구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에 열풍을 공급하는 흡기덕트와, 상기 회전드럼에서 열교환된 열풍을 배기하는 배기덕트와, 상기 회전드럼에 형성되며 상기 흡기덕트와 연통되는 공기 유입부를 구비하되, 상기 공기 유입부는 상기 회전드럼의 후면패널의 상측에 회전드럼 내부로 볼록하게 융기되어 형성되며 상기 배기덕트는 이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드럼의 전면패널의 하단과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 유입부는 다수개의 방사상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 유입부의 지름은 상기 흡기덕트의 지름과 상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의류건조기는 히터를 더 구비하며 상기 히터는 상기 흡기덕트의 입구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의류건조기는 배기팬을 더 구비하며, 상기 배기팬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상기 배기덕트와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대략적인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설치되어 건조될 세탁물이 담겨지는 회전드럼(2)과, 상기 회전드럼(2)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13)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은 대략 박스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의 전면에는 전면패널(9)을 통해 회전드럼(2)의 내부로 건조될 세탁물을 넣거나 건조된 세탁물을 꺼낼 수 있도록 도어(13)가 힌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의 후면판(1a)에는 흡기덕트(7)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흡기홀(미도시)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드럼(2)은 원통형상으로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어 형성되며, 개방된 상기 회전드럼(2)의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전면패널(9)과 후면패널(10)이 배치되어 상기 회전드럼(2)을 회전 가능한 상태로 밀폐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드럼(2)은 열풍에 의해 세탁물을 건조해야 하므로 주로 스테인레스강 등의 재질로 구비된다.
상기 회전드럼(2)은 저속으로 회전하여 세탁물을 건조하게 되므로, 구동장치(3)와 구동모터(4)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장치(3)는 상기 구동모터(4)에 축으로 결합되며, 벨트(6)와 풀리(5)로 이루어진다. 상기 벨트(6)는 상기 구동모터(4)와 축결합된 풀리(5)와 상기 회전드럼(6)을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4)의 구동력을 전달한다.
또한, 상기 전면패널(9)과 상기 후면패널(10)은 고정되어 있고 상기 회전드럼(2)은 회전하므로,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부재 사이에는 마찰감소부재(소형의 검은 사각형 부분)가 게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드럼(2)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리프터(20)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회전드럼(2)이 회전함에 따라 세탁물을 상부로 끌어올린 후에 일정 높이에서 낙하시켜서 세탁물이 골고루 건조되도록 한다.
또한, 의류건조기는 공기를 흡입하여 가열하고 이를 배출하는 순환과정을 통해 세탁물을 건조하는 장치이므로, 흡기덕트(7)와 히터(11) 및 배기덕트(8)가 구비된다.
상기 흡기덕트(7)는 그 입구부가 개방되고, 그 출구부가 후면패널(10)에 결합되어 형성되며, 이 흡기덕트(7)의 내부에는 히터(11)가 배치되어서 흡기덕트(7)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상기 히터는 주로 열선이나 세라믹으로 싸인 열선 등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기덕트(7)의 입구부에 구비된다.
상기 배기덕트(8)는 그 입구부가 상기 전면패널(9)과 연통되어 설치되며, 그 출구부는 개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의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배기덕트(8)의 내부에는 배기팬(12)이 설치되어서 공기가 하우징(1)의 외부에서 흡기덕트(7)를 통해 회전드럼(2)으로 유입된 후, 배기덕트(8)를 거쳐서 다시 하우징(1)의 외부로 강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배기팬(12)은 상기 회전드럼(2)과 함께 상기 구동모터(4)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상기 공기 유입부(10a)는 상기 흡기덕트(7)와 연통되며 상기 회전드럼(2)의 내부로 볼록하게 돔(Dome)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 유입부(10a)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연통공(10b)들이 방사상으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공기 유입부(10a)의 지름은 상기 흡기덕트(7)의 출구부의 지름과 유사하다.
공기 유입부(10a)는 상기 후면패널(10)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부재로 상기 후면패널(10)에 부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상기 후면패널(10)과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공기의 저항을 줄이는 측면이나 가공 및 재료비 절감의 측면에서 유리할 것이다.
도 2은 도 1의 A부분의 확대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유입구를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
상기 공기 유입부(10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드럼(2)의 안쪽으로 볼록하게 구비되는데 그 형상은 주로 돔(Dome) 형상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유입부(10a)의 지름은 상기 의류건조기의 히터성능, 건조효율, 흡기 및 배기 덕트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정해질 것이다.
상기 공기 유입부(10a)에는 다수개의 연통공(10b)이 형성된다. 이들은 열풍을 방사상으로 상기 회전드럼(2)의 내부로 유입시키려는 목적에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위 목적에 부합하도록 상기 연통공(10b)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하거나, 배치를 불균등 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며, 발명의 사상을 훼손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볼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정면도이다.
상기 하우징(1)의 전면 상단에는 상기 의류건조기의 건조행정을 제어하는 컨트롤부(14)가 구비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사용자가 행정을 선택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버튼과 진행상황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부(14)의 하단에는 상기 도어(13)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도어(13)의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회전드럼(12)과 이에 연통하여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구(10a) 및 배출시키는 배기덕트(8)의 입구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공기 유입부(10a)는 주로 상기 회전드럼(2)의 후면패널(10)의 우측상단에 구비된다. 상기 공기 유입부(10a)는 어느 곳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기덕트(8)가 상기 회전드럼(2)의 좌측하단에 상기 전면패널(9)과 연통되어 구비되므로 상기 공기 유입부(10a)를 통해 방사상으로 분사된 열풍이 상기 회전드럼(2) 내부를 통과하면서 보다 넓은 공간에서 세탁물과 열교환 할 수 있도록 대각선으로 배치한 것이다.
상기 공기 유입부(10a)는 상기 회전드럼(2)의 후면패널(10)의 좌측상단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며, 이 경우 상기 배기덕트(8)는 상기 회전드럼(3)의 우측하단에 위치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공기 유입부(10a)는 상기 회전드럼(2)이 회전하므로 상기 후면패널(10) 상단의 좌측에 위치하거나 우측에 위치하거나 큰 차이는 없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유입부(10a)를 구비하는 의류건조기의 동작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건조될 세탁물을 상기 회전드럼(2)에 넣고서 상기 도어(13)를 닫은 후에 상기 구동모터(4)와 상기 배기팬(12)과 상기 히터(11)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회전드럼(2)이 저속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1)의 외부에서 상기 흡기덕트(7)로 공기가 유입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리프터(20)에 의해서는 세탁물이 상기 회전드럼(2)의 하부에서 상향으로 들어올려진 후에, 상기 회전드럼(2)의 상부에서 하부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흡기덕트(7)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히터(11)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후면패널(10)의 상기 공기 유입부(10a)의 연통공(10b)을 통해 상기 회전드럼(20)으로 공급된다.
즉, 외기는 상기 흡기덕트(8)를 통과하면서 상기 히터(11)에 의해 가열되어 자체적인 상승력과 상기 배기팬(12)의 송풍력에 의해 상기 흡기덕트(8)의 상단으로 이동하여 상기 공기 유입부(10a)의 상기 연통공(10b)을 통과하여 상기 회전드럼(2)의 내부로 유입된다.
열풍은 상기 연통공(10b)을 통과하여 상기 회전드럼(2)의 내부에 골고루 방사상으로 공급되며 상기 회전드럼(2)이 회전하므로, 상기 리프터(20)에 의해 끌어 올려졌다 낙하하는 세탁물 뿐 아니라 바닥에 있는 세탁물에도 공급되게 된다.
열풍은 세탁물과 열교환하여 온도가 낮아지고 습기를 함유하게 되므로 상기 회전드럼(2)의 하부에 분포하게 되며, 상기 배기팬(12)의 송풍력에 의해 상기 배기덕트(8)를 통과해 의류 건조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즉, 열풍이 회전드럼 내부로 직선방향으로도 진행하지만 상기 연통공(10b)을 통해 방사방향으로도 진행하므로, 열풍이 어느 한 부분에만 집중되지 않고 상기 회전드럼(2) 내부로 골고루 퍼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회전드럼의 후면패널에 구비된 공기 유입부의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팬의 크기를 소형으로 유지하면서도 유입되는 열풍의 풍량이나 풍속을 빠르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풍이 사각지대 없이 회전드럼 내부로 골고루 공급되도록 하여, 포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건조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대략적인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유입구를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1a : 흡기홀
2 : 회전드럼 3 : 구동장치
4 : 모터 5 : 풀리
6 : 벨트 7 : 흡기덕트
8 : 배기덕트 9 : 전면패널
10 : 후면패널 10a : 공기 유입부
10b : 공기 유입부의 연통공 11 : 히터
12 : 배기팬 13 : 도어
14 : 컨트롤부

Claims (9)

  1.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에 열풍을 공급하는 흡기덕트와, 상기 회전드럼에 형성되며 상기 흡기덕트와 연통되는 공기 유입부를 구비하는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부가 회전드럼의 내부로 볼록하게 융기되도록 구비되어 열풍을 방사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부는 다수개의 방사상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부의 지름은 상기 흡기덕트의 지름과 상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건조기는 히터를 더 구비하며 상기 히터는 상기 흡기덕트의 입구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의류건조기.
  5.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에 열풍을 공급하는 흡기덕트와, 상기 회전드럼에서 열교환된 열풍을 배기하는 배기덕트와, 상기 회전드럼에 형성되며 상기 흡기덕트와 연통되는 공기 유입부를 구비하는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부는 상기 회전드럼의 후면패널의 상측에 회전드럼 내부로 볼록하게 융기되어 형성되며 상기 배기덕트는 이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드럼의 전면패널의 하단과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부는 다수개의 방사상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부의 지름은 상기 흡기덕트의 지름과 상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건조기는 히터를 더 구비하며 상기 히터는 상기 흡기덕트의 입구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의류건조기.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건조기는 배기팬을 더 구비하며, 상기 배기팬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상기 배기덕트와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KR1020040003884A 2004-01-19 2004-01-19 의류건조기 KR20050076083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884A KR20050076083A (ko) 2004-01-19 2004-01-19 의류건조기
US10/926,949 US20050155250A1 (en) 2004-01-19 2004-08-27 Clothes drying apparatus
EP04255469A EP1555341A1 (en) 2004-01-19 2004-09-09 Clothes drying apparatus
CNA2004100118813A CN1644786A (zh) 2004-01-19 2004-09-24 衣服烘干装置
JP2004304821A JP2005205179A (ja) 2004-01-19 2004-10-19 衣類乾燥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884A KR20050076083A (ko) 2004-01-19 2004-01-19 의류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083A true KR20050076083A (ko) 2005-07-26

Family

ID=34617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884A KR20050076083A (ko) 2004-01-19 2004-01-19 의류건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155250A1 (ko)
EP (1) EP1555341A1 (ko)
JP (1) JP2005205179A (ko)
KR (1) KR20050076083A (ko)
CN (1) CN16447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439B1 (ko) * 2008-06-09 2014-08-20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23494A1 (de) * 2003-05-23 2004-12-3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äschetrockner
US7627960B2 (en) * 2003-06-30 2009-12-08 General Electric Company Clothes dryer drum projections
ES2485340T3 (es) * 2004-12-06 2014-08-13 Lg Electronics Inc. Secadora de ropa
KR101256145B1 (ko) * 2007-11-05 2013-04-2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히터 내장형 흡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
KR101308510B1 (ko) * 2007-11-05 2013-09-12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히터 내장형 흡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
CN102108625B (zh) * 2011-03-29 2013-08-21 肖泽斌 工业干衣机
US11319662B2 (en) 2020-02-11 2022-05-03 Chuck DEWALD Drying apparatus and drum
CN112553847B (zh) * 2020-12-01 2022-03-08 安徽金帅洗衣机有限公司 温度保护机构及干衣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85791A1 (de) * 1966-05-25 1971-05-13 Licentia Gmbh Waschmaschine mit Heissluftgeblaese
US3483632A (en) * 1967-12-29 1969-12-16 Fedders Corp Static dry control for clothes dryers
US4891892A (en) * 1983-12-15 1990-01-09 Narang Rajendra K Clothes dryer and laundry system
US5315765A (en) * 1992-04-27 1994-05-31 Melvin Holst High-efficiency fabric dryer
KR100446758B1 (ko) * 2001-08-22 2004-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439B1 (ko) * 2008-06-09 2014-08-20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205179A (ja) 2005-08-04
US20050155250A1 (en) 2005-07-21
EP1555341A1 (en) 2005-07-20
CN1644786A (zh) 2005-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41367B2 (en) A single body washing machine and dryer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073508B1 (ko) 의류 건조기
KR100446758B1 (ko) 의류 건조기
US7765716B2 (en) Dryer having intake duct with heater integrated therein
KR100438618B1 (ko) 의류 건조기
KR100457582B1 (ko) 건조기용 히터 어셈블리
KR20050076083A (ko) 의류건조기
US20110041352A1 (en) Clothes dryer
TWI395852B (zh) Laundry dryers and washing machines
US20090165331A1 (en) Method of controlling heat in dryer having intake duct with builtin heater
KR100465726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465718B1 (ko) 건조기
KR100465725B1 (ko) 건조기
CN102653920B (zh) 烘干机
KR100570529B1 (ko) 의류건조기
CN216338606U (zh) 风机组件和衣物处理装置
KR20050061878A (ko) 건조기의 흡배기 유로 구조
KR100452367B1 (ko) 건조기
KR100651865B1 (ko) 의류 건조기
KR100388702B1 (ko) 건조기의 리프터 취부구조
KR20050076100A (ko) 의류건조기
JP2009247721A (ja) 洗濯乾燥機
JPS6223440Y2 (ko)
US20100050460A1 (en) Dryer having mixing type lifter
KR100712272B1 (ko) 혼합형 리프터와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1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0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01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2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12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