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70930A -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카세트용 매체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카세트용 매체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0930A
KR20050070930A KR1020030101536A KR20030101536A KR20050070930A KR 20050070930 A KR20050070930 A KR 20050070930A KR 1020030101536 A KR1020030101536 A KR 1020030101536A KR 20030101536 A KR20030101536 A KR 20030101536A KR 20050070930 A KR20050070930 A KR 20050070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link
support
seat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1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7159B1 (ko
Inventor
안중호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03-0101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159B1/ko
Priority to DE602004025449T priority patent/DE602004025449D1/de
Priority to EP04030968A priority patent/EP1559670B1/en
Priority to US11/023,469 priority patent/US7591463B2/en
Priority to CNB200410081876XA priority patent/CN1313338C/zh
Publication of KR20050070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0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1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2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on edg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65H2301/4225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in or on special supports
    • B65H2301/42254Boxes; Cassettes;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3Front, i.e. portion adjacent to the feeding / delivering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1Supports for sheets fu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5Means for moving support
    • B65H2405/353Means for moving support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2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5Height, e.g. of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Unwinding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카세트용 매체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이드슬롯(23)이 형성된 가이드편(22)이 구비되는 베이스(20)와, 적어도 하나의 연결핀(35')이 상기 가이드슬롯(23)을 따라 이동되고 상단연결링크(35)의 높이가 조절되게 구성되는 링크기구(30)와, 상기 링크기구(30)의 상단연결링크(35)에 수평이 되게 안착되는 것으로 적어도 2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매체안착대(50)와, 상기 링크기구(30)의 설정된 높이를 고정시키는 지지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사이즈를 가지는 매체를 공용화된 매체카세트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매체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기 위한 매체안착대의 높이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카세트용 매체지지장치{A media supporting apparatus of media cassette for media dispenser}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카세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체카세트 내부에 채워지는 매체를 보다 정확하게 지지하기 위해 매체의 사이즈에 높이와 좌우폭이 조절되는 매체카세트의 매체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매체(Media)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지폐, 수표, 티켓, 증명서 등을 나타내는 것이고, 매체자동지급기는 이와 같은 매체를 고객의 요청에 따라 자동으로 지급하는 장치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에서 사용되는 매체카세트와 그로부터 매체를 분리해 내기 위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매체자동지급기 내에는 매체카세트(1)가 설치된다. 상기 매체카세트(1)는 매체자동지급기 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별도로 구성된다.
상기 매체카세트(1)의 내부에는 매체(m)가 정리되어 채워진다. 상기 매체카세트(1)의 내부에서 매체(m)는 밀판(3)에 의해 배출구 방향으로 밀착되어 위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밀판(3)은 스프링(5)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매체카세트(1)의 내부에서 상기 매체(m)는 픽업롤러(7)에 밀착되게 눌러진다. 상기 픽업롤러(7)는 상기 매체카세트(1)의 일단부에서 상기 매체카세트(1)의 내부에 있는 매체(m)에 밀착되어 여러장이 차례로 있는 매체(m)를 하나 씩 분리하여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픽업롤러(7)는 매체카세트(1) 자체에 구비되거나, 매체카세트(1)와는 별도로 매체자동지급기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픽업롤러(7)에 의해 전달된 매체(m)를 한장 씩 분리하여 이송하는 피드롤러(9)와 콘트라롤러(10)가 서로 대응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매체(m)는 상기 피드롤러(9)와 콘트라롤러(10) 사이를 통과하면서 한장 씩 분리되어 이송된다. 이를 위해 상기 피드롤러(9)의 일부구간은 상대적으로 마찰력이 높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 상기 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매체(m)가 상기 밀판(3)에 의해 상기 픽업롤러(7) 방향으로 밀려져 눌러진다. 이와 같이 소정의 압력으로 픽업롤러(7)에 눌러진 매체(m)는 픽업롤러(7)에 의해 상기 피드롤러(9)와 콘트라롤러(10)의 사이로 이송된다. 상기 픽업롤러(7)에 의해서 이송된 매체(m)는 상기 피드롤러(9)와 콘트라롤러(10)사이를 통과하면서 한장 씩 분리되어 전달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매체카세트(1)의 내부에 채워지는 매체(m)는 그 사이즈가 다양한 것이 있다. 하지만, 매체(m)의 사이즈에 따라 그 지지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구성을 조절할 수 없어 하나의 매체카세트(1)를 다양한 사이즈의 매체(m)용으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각각의 매체(m)의 사이즈에 따라 그에 맞는 매체카세트(1)를 준비하여야 하므로 많은 불편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매체자동지급기에서 사용되는 매체의 사이즈에 맞춰 매체카세트 내부에서 매체를 지지하고 안내하는 매체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가이드슬롯이 형성된 가이드편이 구비되는 베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연결핀이 상기 가이드슬롯을 따라 이동되고 상단연결링크의 높이가 조절되게 구성되는 링크기구와, 상기 링크기구의 상단연결링크에 수평이 되게 안착되는 것으로 적어도 2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매체안착대와, 상기 링크기구의 설정된 높이를 고정시키는 지지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편은 상기 링크기구의 양단에 각각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매체안착대가 상면에 안착되는 상단연결링크와, 상기 상단연결링크의 양단에 각각 연결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승강링크와, 상기 양측의 승강링크의 단부에 상기 가이드슬롯에 위치되는 연결핀으로 각각 연결되는 하단연결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기구는 상기 베이스상에 고정되고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지지대와, 상기 연결링크를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경사부에 지지되어 링크기구의 상태를 고정하는 높이지지축과, 상기 높이지지축이 상기 경사부에 밀착되게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의 경사부에는 상기 높이지지축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높이지지축이 안착되는 다수개의 안착요홈이 형성된다.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지지대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높이지지축은 상기 양단의 링크기구의 승강링크에 동시에 연결된다.
상기 지지대에는 한쌍의 이동장공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장공을 관통하는 체결나사가 베이스에 체결되어 지지대의 위치가 조정된다.
상기 상단연결링크에 대해 상기 매체안착대는 그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데, 상기 상단연결링크에는 매체안착대의 횡방향으로 세레이션이 형성되고, 상기 매체안착대에는 상기 세레이션과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체결세레이션이 형성된 조작편이 탄성변형가능하게 구비된 고정구가 구비된다.
상기 상단연결링크에 대한 상기 매체안착대의 횡방향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매체안착대에는 상기 상단연결링크의 선단과 후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구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매체카세트에서 다양한 사이즈를 가지는 매체를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매체의 양단을 지지하는 구성의 높이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카세트용 매체지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카세트용 매체지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가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베이스(20)에는 가이드편(22)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20)는 매체카세트 본체를 형성하는 것일 수도 있고, 매체카세트 본체의 내부에 별도로 부착되는 금속재질의 플레이트 일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편(22)은 본 실시예에서 2개가 한쌍으로 총 8개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편(22)은 상기 베이스(20)의 일측을 잘라 절곡하여 세운 것이다. 상기 가이드편(22)에는 가이드슬롯(23)이 길게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20)에는 또한 고정편(25)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편(25) 역시 상기 베이스(20)의 일측을 잘라 절곡하여 형성한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부재(39)의 일단부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베이스(20) 상에는 링크기구(30)가 구비된다. 상기 링크기구(30)는 매체가 지지되는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좌우에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한쌍이 구비된다. 상기 링크기구(30)에는 승강링크(31)가 구비된다. 상기 승강링크(3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폭이 상기 한쌍의 가이드편(22)사이의 간격보다 약간 작게 형성된다. 상기 승강링크(31)의 하단을 관통하여서는 연결핀(31')이 구비되는데, 상기 연결핀(31')은 상기 가이드편(22)의 가이드슬롯(23)을 관통하여 위치된다. 이와 같은 승강링크(31)는 아래에서 설명될 매체안착대(50) 하나당 2개가 각각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총 4개의 승강링크(31)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핀(31')에는 상기 가이드편(22)의 외측에서 하단연결링크(34)가 연결된다. 상기 하단연결링크(34)는 하나의 매체안착대(50)에 관련된 2개의 승강링크(31)와 연결핀(31')으로 각각 연결된다. 상기 하단연결링크(34)는 상기 승강링크(31)가 서로 연동되어 구동되게 한다. 상기 하단연결링크(34)는 링크기구(30)의 동작안정성을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링크(31)의 양단에 각각 총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링크(31)의 상단에는 상단연결링크(35)가 구비된다. 상기 상단연결링크(35)는 상기 승강링크(31)의 상단에 연결핀(35')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상단연결링크(35)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장방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단연결링크(35)는 각각 2개의 승강링크(31)에 하나씩이 구비된다.
상기 상단연결링크(35)의 상면에는 세레이션(36)이 형성된다. 상기 세레이션(36)은 상기 상단연결링크(35)의 상면을 횡으로 가로질러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상단연결링크(35)쪽으로 단부까지 형성된다.
상기 승강링크(31)의 대략 중간부분을 횡으로 관통하여서 높이지지축(38)이 구비된다. 상기 높이지지축(38)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쌍의 링크기구(30)의 대응되는 승강링크(31)사이를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높이지지축(38)은 2개가 구비된다. 상기 높이지지축(38)은 상기 링크기구(30)에 의해 지지되는 상단연결링크(35)의 높이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일측 연결핀(35')의 양단부와 상기 고정편(25)에 각각 양단부가 연결되게 탄성부재(39)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39)는 상기 높이지지축(38)이 아래에서 설명될 지지대(40)의 안착요홈(43)에 밀착되어 안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링크기구(30)의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베이스(20) 상에는 지지대(4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40)는 상기 링크기구(30), 보다 정확하게는 상단연결링크(35)가 특정한 높이에 고정되어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대(40)에는 경사부(42)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42)는 상기 높이지지축(38)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각각의 높이지지축(38)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사부(42)에는 상기 높이지지축(38)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 높이지지축(38)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안착요홈(43)이 다수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요홈(43)중 특정한 것에 위치됨에 의해 상기 높이지지축(38)이 지지되는 높이가 달라진다.
상기 지지대(40)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복수개의 이동장공(45)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장공(45)은 나란히 형성되는 것으로, 이를 관통하여 체결나사(47)가 상기 베이스(20)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나사(47)가 상기 이동장공(45)의 어느 위치에 있느냐에 따라 상기 지지대(40)가 상기 높이지지축(38)을 지지할 수 있는 높이의 범위가 달라진다.
상기 상단연결링크(35)의 상면에는 각각 매체안착대(50)가 구비된다. 상기 매체안착대(50)는 각각의 상단연결링크(35)에 그 길이방향의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매체안착대(50)는 상기 상단연결링크(35)의 길이보다 훨씬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매체안착대(50)의 길이에 따라 매체카세트에 채워지는 매체의 수가 달라진다.
상기 매체안착대(50)에는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연결링크(35)의 상면에 지지되고, 그 상면에는 매체가 세워져 안착된다. 상기 매체안착대(50)의 길이방향 측변을 따라서는 상기 바닥판(52)에 대략 직각되게 측벽(53)이 구비된다. 상대 측벽(53)은 양측의 매체안착대(50)에서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세워진 매체의 양단을 각각 안내하게 된다.
한편, 상기 매체안착대(50)를 상기 상단연결링크(35)에서 매체안착대(50)의 횡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매체안착대(50)에는 상기 상단연결링크(35)의 세레이션(36)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구(55)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구(55)는, 도 5 및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매체안착대(50)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55)는 몰드물로서 일측에 조작편(56)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편(56)은 그 형상과 재질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조작편(56)은 상기 매체안착대(50)의 일측변 방향으로 선단이 연장된다. 즉, 서로 마주보는 매체안착대(50)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조작편(56)의 선단이 연장된다. 상기 조작편(56)의 일면에는 상기 상단연결링크(35) 상면의 세레이션(36)과 대응되는 체결세레이션(57)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세레이션(57)은 상기 세레이션(36)과 체결되어 상기 매체안착대(50)가 그 길이방향에 횡방향으로 임의로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
한편, 상기 매체안착대(50)에는 상기 상단연결링크(35)에 대해 상기 매체안착대(50)가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구(6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구(60)는 상기 매체안착대(50)의 하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상단연결링크(35)의 선단과 후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매체안착대(50)가 상단연결링크(35)에 대해 이동되는 것을 안내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카세트용 매체지지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매체카세트로 사이즈가 다양한 매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매체를 정면에서 볼 때 상하폭과 좌우폭에 따라 상기 매체안착대(50)의 위치가 달라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매체안착대(50)의 높이는 상기 링크기구(30)와 지지대(40)에 의해 조절된다. 이는 매체의 상하폭에 따른 조정이다. 그리고, 상기 매체안착대(50) 사이의 간격은 상기 상단연결링크(35) 상에서 상기 매체안착대(50)가 그 길이방향의 횡방향으로 이동됨에 의해 조절된다. 이는 매체의 좌우폭에 따른 조정이다.
먼저, 상기 매체안착대(50)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을 설명한다. 도 2의 상태는 상대적으로 매체안착대(50)의 높이가 높은 상태이다. 이때에는 상기 링크기구(30)의 상단연결링크(35)의 높이가 상기 높이지지축(38)이 상기 지지대(40)의 경사부(42)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안착요홈(43)에 안착됨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39)는 상기 안착요홈(43)에 높이지지축(38)이 밀착되게 안착되어 임의로 링크기구(30)가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매체안착대(5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링크기구(30)를 조절하면 된다. 즉, 상기 연결핀(31')이 도 2의 상태에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 즉 상기 가이드편(22)의 가이드슬롯(23)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이동되게 한다.
상기 연결핀(31')이 가이드슬롯(23)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상기 하단연결링크(34)가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승강링크(31)의 하단은 상기 연결핀(31')과 함께 가이드슬롯(23)의 타단부 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승강링크(31)의 상단은 상대적으로 그 높이가 낮아지고, 승강링크(31)의 상단에 연결된 상단연결링크(35)의 높이가 낮아지면서, 이에 구비된 매체안착대(50)의 높이가 자동적으로 낮아진다. 이때, 상기 높이지지축(38)도 상기 경사부(42)의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있는 안착요홈(43)에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양단의 링크기구(30)는 상기 높이지지축(38)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양측의 상단연결링크(35)의 높이는 동일하게 설정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양단에 있는 매체안착대(50)의 높이가 동일하게 설정된다. 상기 설정된 매체안착대(50)의 높이는 상기 높이지지축(38)이 상기 지지대(40)의 경사부(42)에 지지됨에 의해 유지되고, 상기 탄성부재(39)에 의해 임의로 유동도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양단의 매체안착대(5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설명한다. 이때에는, 도 7b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55)의 조작편(56)을 작업자가 들어올려 상기 조작편(56)의 체결세레이션(57)과 상단연결링크(35)의 세레이션(36)이 서로 분리되게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매체안착대(50)는 상기 가이드구(60)의 안내에 따라 상기 매체안착대(50)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양측의 매체안착대(50)를 적절한 간격이 되도록 매체안착대(50)의 위치를 설정하면 된다. 매체안착대(50)의 상기 상단연결링크(35)에 대해 이동이 끝나고 나면, 상기 조작편(56)에 가해지던 힘을 제거하여 원상복귀도록 한다. 상기 조작편(56)이 원상복귀되면 상기 체결세레이션(57)이 상기 상단연결링크(35)의 세레이션(36)에 맞물리면서 매체안착대(50)의 이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대(40)를 이동시켜 상기 매체안착대(50)의 높이조절범위를 달리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지지대(40)의 이동을 위해서는 상기 체결나사(47)를 약간 풀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40)를 도 4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이동장공(45)에는 상기 체결나사(47)가 관통된 상태로 있다. 이와 같은 이동은 상기 지지대(40)에 이동장공(45)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해서 가능한다.
상기 지지대(4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는, 상기 체결나사(47)를 다시 죄어 상기 베이스(20)에 상기 지지대(40)가 고정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대(40)를 이동시킨 상태가 도 7c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지지대(40)가 이동됨에 의해 상기 링크기구(30)의 조작으로 상기 매체안착대(50)의 높이가 조절되는 범위가 달라지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링크기구(30)를 하나만 사용하고, 상기 매체안착대(50)가 지지되는 상단연결링크(35)를 일측으로 길게 연장하여 한쌍의 매체안착대(50)가 하나의 상단연결링크(35)에 동시에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카세트용 매체지지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하나의 매체카세트를 다양한 사이즈의 매체에 대해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매체카세트의 공용화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매체의 사이즈에 맞춰 매체안착대의 높이를 조정함에 있어 양단의 링크기구가 서로 연동되므로 양단의 매체안착대의 높이를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어 매체를 보다 정확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매체의 상하폭뿐만 아니라 좌우폭에 대해서도 매체안착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매체안착대로 매체를 정확하게 지지하여 안내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에서 사용되는 매체카세트와 그로부터 매체를 분리해 내기 위한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카세트용 매체지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절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매체안착대가 설치되는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매체안착대의 하면 구성을 보인 부분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매체안착대의 높이가 조절된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 7b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매체안착대가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 7c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링크기구의 높이설정을 위한 지지대가 이동되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베이스 22: 가이드편
23: 가이드슬롯 25: 고정편
30: 링크기구 31: 승강링크
31': 연결핀 34: 하단연결링크
35: 상단연결링크 35': 연결핀
38: 높이지지축 39: 탄성부재
40: 지지대 42: 경사부
43: 안착요홈 50: 매체안착대
52: 바닥판 53: 측벽
55: 고정구 56: 조작편
57: 체결세레이션 60: 가이드구

Claims (9)

  1. 가이드슬롯이 형성된 가이드편이 구비되는 베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연결핀이 상기 가이드슬롯을 따라 이동되고 상단연결링크의 높이가 조절되게 구성되는 링크기구와,
    상기 링크기구의 상단연결링크에 수평이 되게 안착되는 것으로 적어도 2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매체안착대와,
    상기 링크기구의 설정된 높이를 고정시키는 지지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카세트용 매체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편은 상기 링크기구의 양단에 각각 쌍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카세트용 매체지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매체안착대가 상면에 안착되는 상단연결링크와,
    상기 상단연결링크의 양단에 각각 연결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승강링크와,
    상기 양측의 승강링크의 단부에 상기 가이드슬롯에 위치되는 연결핀으로 각각 연결되는 하단연결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카세트용 매체지지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구는,
    상기 베이스상에 고정되고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지지대와,
    상기 연결링크를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경사부에 지지되어 링크기구의 상태를 고정하는 높이지지축과,
    상기 높이지지축이 상기 경사부에 밀착되게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카세트용 매체지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경사부에는 상기 높이지지축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높이지지축이 안착되는 다수개의 안착요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카세트용 매체지지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지지대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높이지지축은 상기 양단의 링크기구의 승강링크에 동시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카세트용 매체지지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는 한쌍의 이동장공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장공을 관통하는 체결나사가 베이스에 체결되어 지지대의 위치가 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카세트용 매체지지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연결링크에 대해 상기 매체안착대는 그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데,
    상기 상단연결링크에는 매체안착대의 횡방향으로 세레이션이 형성되고, 상기 매체안착대에는 상기 세레이션과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체결세레이션이 형성된 조작편이 탄성변형가능하게 구비된 고정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카세트용 매체지지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연결링크에 대한 상기 매체안착대의 횡방향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매체안착대에는 상기 상단연결링크의 선단과 후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카세트용 매체지지장치.
KR10-2003-0101536A 2003-12-31 2003-12-31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카세트용 매체지지장치 KR100527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536A KR100527159B1 (ko) 2003-12-31 2003-12-31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카세트용 매체지지장치
DE602004025449T DE602004025449D1 (de) 2003-12-31 2004-12-29 Medienkassette für ein automatisches Medienausgabegerät
EP04030968A EP1559670B1 (en) 2003-12-31 2004-12-29 Media cassette for an automatic media dispenser
US11/023,469 US7591463B2 (en) 2003-12-31 2004-12-29 Media support apparatus for media cassette of automatic media dispenser
CNB200410081876XA CN1313338C (zh) 2003-12-31 2004-12-31 用于自动介质分配器的介质盒的介质支承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536A KR100527159B1 (ko) 2003-12-31 2003-12-31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카세트용 매체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0930A true KR20050070930A (ko) 2005-07-07
KR100527159B1 KR100527159B1 (ko) 2005-11-09

Family

ID=34651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1536A KR100527159B1 (ko) 2003-12-31 2003-12-31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카세트용 매체지지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91463B2 (ko)
EP (1) EP1559670B1 (ko)
KR (1) KR100527159B1 (ko)
CN (1) CN1313338C (ko)
DE (1) DE60200402544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66511B (zh) * 2002-12-31 2011-09-14 迪布尔特有限公司 Atm货币盒装置及其操作方法
GB2439733B (en) * 2006-07-06 2008-05-21 Int Currency Tech Card dispenser adjustable subject to the size of the cards to be dispensed
US7513432B2 (en) * 2006-07-11 2009-04-07 International Currency Technologies Corporation Card dispenser adjustable subject to the size of the cards to be dispensed
DE102008016588B4 (de) 2008-03-31 2024-09-26 Diebold Nixdorf Systems Gmbh Wertscheinkassette mit einer Wertscheinführung
JP5043984B2 (ja) * 2010-05-10 2012-10-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ト装置およびプリント装置の設置方法
CN101894418B (zh) * 2010-08-12 2012-08-22 恒银金融科技有限公司 一种atm钱箱的钞仓高度调整装置
CN101894417B (zh) * 2010-08-12 2012-07-25 恒银金融科技有限公司 一种atm钱箱的钞仓宽度调整装置
US8899475B2 (en) * 2010-08-26 2014-12-02 Ncr Corporation Media presenter
US8366107B2 (en) * 2010-08-26 2013-02-05 Ncr Corporation Media presenter
CN104103125B (zh) * 2014-08-08 2017-03-22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钞箱及其纸币尺寸调节装置
US9615674B2 (en) * 2015-03-11 2017-04-11 Trinity, Llc Can dispenser and merchandiser
CN108349670B (zh) * 2015-09-30 2019-10-29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介质托盘组件
CN109035547B (zh) * 2017-06-12 2020-10-27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币箱及纸币处理装置
CN110723569B (zh) * 2019-10-15 2021-10-15 朱笑笑 一种喷墨打印机用纸张填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82717B (en) * 1985-11-12 1989-12-06 Ncr Co A container and method for loading currency notes into a currency cassette
US5163670A (en) * 1991-03-04 1992-11-17 Compaq Computer Corporation Dual bin paper feed tray for an image reproduction machine such as a printer or copier
JPH09315596A (ja) 1996-05-31 1997-12-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印字装置用の封筒カセット
US6287032B1 (en) * 2000-01-05 2001-09-11 Hewlett-Packard Company Media tray supporter and method of using same
CN2562011Y (zh) * 2002-08-21 2003-07-23 天津市阿斯米机械设备制造安装工程有限公司 物料阀
JP3878098B2 (ja) * 2002-09-17 2007-02-07 株式会社沖データ 給紙カセット及び給紙装置
JP2004292092A (ja) * 2003-03-26 2004-10-21 Brother Ind Ltd 用紙案内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印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59670A2 (en) 2005-08-03
DE602004025449D1 (de) 2010-03-25
CN1313338C (zh) 2007-05-02
US20050184444A1 (en) 2005-08-25
CN1636849A (zh) 2005-07-13
US7591463B2 (en) 2009-09-22
KR100527159B1 (ko) 2005-11-09
EP1559670A3 (en) 2005-09-21
EP1559670B1 (en) 201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7159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카세트용 매체지지장치
US7360837B1 (en) Backrest adjusting device for chair
US5435435A (en) Adjustable conveyor belt
KR102011605B1 (ko) 검사장치용 무빙 스테이지
US6394568B1 (en) Structure for adjusting printhead to platen spacing in a printer and related methods
EP0906882B1 (en) Pusher block assembly for printing press
US6398042B1 (en) Substrate mounting apparatus
US20220250875A1 (en) Support Jig for Assembling Elevator Car
US20150093172A1 (en) Self-adjusting paper bucket for a printer and methods for providing a self-adjusting paper bucket
US5727917A (en) Magazine conveying device
US20080099986A1 (en) Media registration devices
US6651979B2 (en) Link type paper tray structure
EP0968944A2 (en) Sheet feeding apparatus for a corrugated fiberboard container making machine
JP2759144B2 (ja) アウト玉タンクおよびその取付装置
US5975716A (en) Mounting bar for spacing indicator lights used in electronic equipment
KR102305767B1 (ko) 엣지형 조명등 장치
US6595513B2 (en) Leveling device to accommodate paper with at least two sections of different thicknesses
US20050073330A1 (en) Adjusting device for chip adapter testing pin
JPH11177279A (ja) テープフィーダ
JPH033223Y2 (ko)
CN113199450B (zh) 标线器连接装置
CN117565543A (zh) 一种印刷平台及其丝网印刷机
JP4009015B2 (ja) 分離給紙装置
JP3535456B2 (ja) ネジの整列供給器
KR940000854Y1 (ko) 브이씨알 경사포스트 조립체의 들뜸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