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7804A - Dust gathering unit of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Dust gathering unit of vacuum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57804A KR20050057804A KR1020030089995A KR20030089995A KR20050057804A KR 20050057804 A KR20050057804 A KR 20050057804A KR 1020030089995 A KR1020030089995 A KR 1020030089995A KR 20030089995 A KR20030089995 A KR 20030089995A KR 20050057804 A KR20050057804 A KR 200500578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st
- case
- vacuum cleaner
- dust collecting
- collecting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09—Rigid filtering recepta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7—Dry filters tube- or sleeve-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진공 청소기의 집진 케이스내에 포집된 오물을 비울 때, 케이스 내에 부유하던 먼지가 공기 중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물 비산 방지 구조가 구비된 집진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st collecting unit having a dust scattering prevention structure for preventing dust floating in a case from being scattered in the air when emptying dust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case of the vacuum cleaner. will be.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니트는 벽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중공부 안으로 삽입되는 비산 방지통;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덮여지는 케이스 커버; 및 상기 케이스의 저면 일측에 고정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바닥판;이 포함되고, 상기 케이스는 먼지와 오물이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외주면 일측에 구비되는 먼지 흡입구와, 상기 먼지 흡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먼지와 오물이 포집되는 집진 챔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ust collecting unit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in which a hollow part is formed in a wall; Shatterproof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of the case; A case cover covered on the top of the case; And a bottom plate fixed to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and configured to be rotatable, wherein the case includes a dust suction por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allow dust and dirt to flow therein, and dust introduced through the dust suction port. And a dust collecting chamber in which dirt is collected.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니트에 의하여, 집진통내에 포집된 오물을 비우기 위하여 바닥판을 개구시킬 때, 오물과 함께 섞여 있는 먼지가 낙하하면서 주위로 비산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거나 공기를 더럽히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When the bottom plate is opened in order to empty the dust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by the dust collecting unit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mixed with the dust falls to the surroundings, causing discomfort or polluting the air. This has the effect of being preven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진공 청소기의 집진 케이스내에 포집된 오물을 비울 때, 케이스 내에 부유하던 먼지가 공기 중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물 비산 방지 구조가 구비된 집진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st collecting unit having a dust scattering prevention structure for preventing dust floating in a case from being scattered in the air when emptying dust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case of the vacuum cleaner. will be.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에 장착된 모터의 회전에 의한 흡입력으로, 오염된 바닥 또는 틈새 등의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하고, 본체 내부에 설치된 집진통에 포집되도록 하되, 상기 집진통 내에는 오물만이 포집되고, 흡입된 공기는 다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전기 장치이다.In general, the vacuum cleaner is a suction force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sucks dust or foreign matter such as a contaminated floor or a gap, to be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or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only the dirt in the dust collector This collected, sucked air is an electrical device that is then discharged back to the outside.
청소기는 집진 방식에 따라 먼지봉투를 사용하는 백타입(bag-type)과, 먼지봉투없이 집진통안에 먼지를 모으고, 집진통을 비워주는 방식의 백리스타입(bagless-type)으로 나뉜다. 그리고, 백리스타입 청소기도 먼지 비움을 쉽게 하기 위하여 집진통의 바닥판을 열어주어 안에 모아 둔 먼지를 비워주는 방식이 있다.The vacuum cleaner is divided into a bag-type using a dust bag according to a dust collecting method, and a bagless-type of collecting dust in a dust collecting container without a dust bag and emptying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n addition, the bagless type vacuum cleaner also has a method of emptying the dust collected by opening the bottom plate of the dust collector in order to easily empty the dust.
도 1은 카페트 바닥을 청소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업라이트 청소기의 개략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청소기의 배면 사시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view of an upright cleaner mainly used for cleaning a carpet floor, and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er.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10)는 본체 케이스(11)와 상기 본체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진공 모터(미도시)와, 상기 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바닥에 흩어진 먼지 기타 오물을 빨아 들이는 흡입 노즐(40)과, 상기 흡입 노즐(40)을 통해 흡입된 오물이 포집되는 집진통(20)과, 상기 집진통(20)을 빠져 나온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30)가 포함된다.1 and 2, the general upright type vacuum cleaner 10 includes a main body case 11, a vacuum motor (not shown) formed inside the main body case, and dust and other dust scattered on the floor by suction power of the motor. A suction nozzle 40 for sucking water, a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through which dust sucked through the suction nozzle 40 is collected, and an exhaust port 30 through which the air exiting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is discharged. Included.
또한,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해 주는 전원 코드(60)가 더 포함되며, 바닥이외의 곳을 청소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장관(70)과, 상기 연장관(70)과 결합되는 플렉시블 호스(50)가 더 포함된다.In addition, a power cord 60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is further included, the extension pipe 70 used to clean the place other than the floor, and the flexible hose 50 is coupled to the extension pipe 70 is further Included.
상기 청소기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전원 코드(60)에 전원이 인가되면 본체 케이스(11)내부에 장착된 모터가 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흡입력이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40)을 통하여 오물 기타 먼지가 흡입되고, 흡입된 먼지는 상기 집진통(20)으로 이동되어 포집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cleaner, when power is first applied to the power cord 60, the motor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case 11 rotates, and the suction force is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Then, dirt or other dust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nozzle 40, and the sucked dust is moved 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and collected.
또한, 상기 집진통(20)내로 이동된 공기는 다시 상기 배기구(3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In addition, the air moved in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is agai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ort (30).
도 3은 종래의 일반적인 업라이트 진공 청소기내에 장착되는 집진통의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ust collector mounted in a conventional general upright vacuum cleaner.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업라이트 진공 청소기의 집진통(20)은 외주면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집진통(20)을 쥐기 위한 집진통 손잡이(21)와, 상기 손잡이(21)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먼지 흡입구(24)와, 상기 집진통(20)의 상측에 덮여지는 케이스 커버(22)와, 상기 케이스 커버(22)의 저면에 길게 형성되는 필터(23)와, 상기 집진통(20)의 저면에 형성되어 개폐가 가능한 바닥판(25)과, 상기 바닥판(25)을 닫았을 때 아래로 빠지지 않도록 걸어주는 바닥판 걸쇠(26)가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3, a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of a general upright vacuum cleaner is attached to one side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dust collecting handle 21 for holding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and the handle 21. A dust suction port 24, a case cover 22 which is covered on an upp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a filter 23 that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cover 22, and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25 is open and close, and when the bottom plate 25 is closed, the bottom plate latch 26 is included so as not to fall down.
상세히, 상기 케이스 커버(22)의 중앙에는 상기 필터(23)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의 공기 배출구(27)가 형성된다.In detail, an air outlet 27 having the same size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filter 23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ase cover 22.
상기 집진통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먼지 흡입구(24)를 통하여 먼지 기타 오물이 들어와서 포집되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23)를 통하여 한번 더 정화 된 다음 상기 공기 배출구(27)를 통하여 밖으로 빠져 나가게 된다.Dust and other dirt enter and are collected through the dust inlet 24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the sucked air is once more purified through the filter 23 and then exits through the air outlet 27. Will go out.
그러나, 이러한 경우 상기 집진통 내에 있는 오물을 버리기 위하여 상기 바닥판을 개구하였을 때, 오물 기타 먼지가 자중에 의하여 아래로 낙하하게 되는데, 먼지와 같이 가벼운 물질들은 바닥으로 낙하하지 않고 공기중에 부유하게 된다. In this case, however, when the bottom plate is opened to discard the dirt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dirt and other dusts fall down by their own weight, and light materials such as dusts float in the air without falling to the floor. .
상기와 같이 먼지가 공기중에 부유하게 되면 비위생적이고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If the dust is suspended in the air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unsanitary and give the user a feeling of discomfor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집진통 바닥면이 개구되어 오물이 낙하될 때, 중량이 가벼운 먼지들이 공기중으로 분산되어 부유되지 않고 바로 바닥으로 떨어지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위생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통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bottom surface is opened and dirt is dropped, light weight dusts are dispersed in the air so that they do not float and fall directly to the floor, which is hygienic to the us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st collecting structure of a vacuum cleaner that creates an environment and prevents an unpleasant feeling.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니트는 벽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중공부 안으로 삽입되는 비산 방지통;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덮여지는 케이스 커버; 및 상기 케이스의 저면 일측에 고정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바닥판;이 포함되고, 상기 케이스는 먼지와 오물이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외주면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먼지 흡입구와, 상기 먼지 흡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먼지와 오물이 포집되는 집진 챔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ust collecting unit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s a case in which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wall; Shatterproof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of the case; A case cover covered on the top of the case; And a bottom plate fixed to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and configured to be rotatable, the case including a dust inlet formed through one side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allow dust and dirt to flow therein, and the dust inlet through the dust inle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ust collecting chamber for collecting dust and dirt.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니트에 의하여, 집진통내에 포집된 오물을 비우기 위하여 바닥판을 개구시킬때, 오물과 함께 섞여 있는 먼지가 낙하하면서 주위로 비산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거나 공기를 더럽히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By the dust collecting unit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bottom plate is opened to empty the dust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the dust mixed with the dirt drops and is scattered around, causing discomfort to the user. Or fouling the air is preven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other inventive inventions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ade by adding, changing, or deleting other elements. I can suggest.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물 비산 방지 구조가 구비된 집진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a는 상기 집진통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b는 상기 도 5a의 AA선을 따라 이루어 지는 집진통의 수직 단면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collecting container equipped with a dust preven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FIG. 5B is a house made along the line AA of FIG. 5A. It is a vertical section of pain relief.
도 4와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물 비산 방지 구조가 구비된 집진통(200)은 벽 내부에 중공부(281)가 형성된 케이스(280)와, 상기 케이스(280)의 일측면에 구비된 손잡이(210)와, 상기 손잡이(210)에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흡입노즐(미도시)로부터 흡입된 오물을 받아 들이는 먼지 흡입구(240)와, 상기 케이스(280)의 상단에 구비되어 포집된 오물이 외부로 빠져 나가지 않도록 하는 케이스 커버(220)와, 상기 케이스 커버(220)의 저면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필터(230)와, 상기 케이스(280)의 저면에 형성되어 개구가 가능한 바닥판(25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250)은 상기 케이스(280)의 저면 일측과 회전 힌지 등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4, 5A and 5B,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0 provided with the structure for preventing dust scatte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280 having a hollow portion 281 formed inside a wall, and the case 280. A handle 21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ust suction port 240, which receives dirt from the suction nozzle (not shown) provid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handle 210, and the case 280 A case cover 220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case cover 220 to prevent the collected dirt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a filter 230 attached to a bottom of the case cover 220, and a bottom surface of the case 280. And a bottom plate 250 capable of being opened. The bottom plate 250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280 by a rotary hinge.
상세히, 상기 케이스(280)의 벽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281)에는 낙하되는 오물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비산 방지통(290)이 삽입되고, 상기 바닥판(250)과 상기 케이스(280)가 긴밀히 결합되어 케이스 내부에 포집된 오물이 쏟아지지 않도록 하는 바닥판 걸쇠(260)가 더 포함되며, 상기 케이스 커버(220)의 중앙부에는 상기 필터를 거친 공기가 빠져나가기 위한 공기 배출구(22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 배출구(221)의 직경은 상기 필터(230)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a scattering prevention container 29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281 formed inside the wall of the case 280 to prevent the falling of dirt, and the bottom plate 250 and the case 280 are The bottom plate latch 260 is tightly coupled to prevent the dust collected in the case from being spilled, and an air outlet 22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ase cover 220 to allow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to escape. do. Here, the diameter of the air outlet 221 is preferably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filter 230.
더욱 상세히, 상기 바닥판(250)의 상측 테두리부에는 상기 집진 챔버(270)내에 포집된 먼지가 새지 않도록 밀봉하기 위한 패킹 부재(251)가 형성된다.In more detail, a packing member 251 is formed at an upper edge of the bottom plate 250 to seal the dust collected in the dust chamber 270 so as not to leak.
또한, 상기 비산 방지통(290)의 상측 내주면에는 다수개의 볼 베어링(291)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280) 벽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281)와 상기 집진 챔버(270)를 경계짓는 중공부 내벽(282)의 하측 외주면에는 상기 베어링(291)이 수용되기 위한 베어링 홈(290)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ball bearings 291 are formed on the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tterproof container 290, and a hollow part that borders the hollow part 281 formed in the wall of the case 280 and the dust collecting chamber 270.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wall 282 is formed with a bearing groove 290 for accommodating the bearing 291.
상기 베어링구조와 베어링 홈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Details of the bearing structure and the bearing groove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비산 방지 구조가 구비된 집진통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or provided with a scattering prevention structure constitut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상기 집진통(200)에 오물이 가득 차서 비워야 할 때, 사용자는 먼저 상기 집진통(200)의 케이스(280) 외주면에 부착된 손잡이(210)를 잡고 잡아 당겨서 청소기 본체로부터 이탈 시킨다. 그 다음, 상기 케이스(280)의 외주면 하측에 구비된 바닥판 걸쇠(260)를 당겨서 상기 바닥판(250)과 케이스(280)를 분리하여 상기 케이스 저면을 개구시킨다.When dirt is fill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0, the user first grasps and pulls the handle 210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280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0 to separate it from the cleaner body. Then, the bottom plate 250 and the case 280 are separated by pulling the bottom plate latch 260 provided below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280 to open the bottom of the case.
상기 바닥판(250)이 탈거됨과 동시에 상기 중공부내에 있는 비산 방지통(290)과 집진 챔버(270)내에 있는 오물이 수직으로 낙하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as the bottom plate 250 is removed, dirt in the shatterproof container 290 and the dust collection chamber 270 in the hollow portion falls vertically.
여기서, 상기 비산 방지통(290)은 낙하하되, 상기 케이스(280)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어 빠지면 안된다. 따라서, 상기 비산 방지통(290)내주면에 형성된 베어링이 상기 중공부 내벽(282)의 외주면에 형성된 베어링 홈(292)에 이르면, 밖으로 돌출되어 상기 베어링 홈(292)에 삽입되어 더이상 빠지지 않게 된다.Here, the shatterproof container 290 falls, but should not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case 280. Accordingly, when the bearing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tterproof container 290 reaches the bearing groove 292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inner wall 282, the bearing protrudes out and is inserted into the bearing groove 292 so as to not fall out anymore.
도 6a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비산 방지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베어링 홈이 구비된 케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ure 6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atterproof contain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with a bearing groov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와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산 방지통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내주면 상측에 다수 개의 베어링(291)이 돌아가며 박혀 있다.6A and 6B, in the scattering preventio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bearings 291 are lodg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그리고, 상기 베어링은 상기 비산 방지통(290)의 내부에 함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중공부 내벽(282)에 형성된 베어링 홈(292)에 위치하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베어링 홈(292)에 안착되게 된다.The bearing is located in the bearing groove 292 formed in the inner wall 282 of the hollow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bearing is recessed in the shatterproof container 290 and protrudes outward to be seated in the bearing groove 292. Will be.
여기서, 상기 구비되는 베어링의 크기 기타 갯수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에 제한되지 아니함을 밝혀 둔다. 뿐만 아니라, 상기 베어링 홈의 형상에 있어서도 도시된 바와 같은 띠 형상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베어링에 대응하는 개별적 홈이 형성되는 것과 같이 다양한 방식의 베어링 홈이 제안가능하다.He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ize and the number of bearings provided are not limited to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bearing groove is not limited to the belt shape as shown, and various types of bearing grooves may be proposed as individual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bearing are formed.
도 7a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비산 방지 구조의 또다른 일실시예이고, 도 7b는 상기 실시예의 단면도이다.Figure 7a is another embodiment of a scattering preven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mbodiment.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산 방지 구조는 상기 비산 방지 통의 상부에 스프링(293)이 더 구비된다.7A and 7B, the scattering preven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spring 293 on top of the scattering prevention cylinder.
상기 집진 챔버(270)내에 포집된 오물 기타 먼지가 아래로 낙하하는 경우, 상기 비산 방지통(290)이 낙하하는 속도가 상기 오물이 낙하하는 속도보다 늦어지는 경우 먼지가 공기중으로 비산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When the dust and other dust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chamber 270 falls down, when the rate at which the shatterproof container 290 falls is slower than the speed at which the dust falls, a phenomenon that dust may scatter into the air may occur. It may be.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비산 방지통(290)을 상기 중공부(281)에 삽입하기에 앞서, 소정의 스프링 상수를 갖는 원형 스프링(293)을 삽입한 뒤에 상기 비산 방지통(290)을 삽입하도록 한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phenomenon, before the shatterproof container 29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281, the shatterproof container 290 is inserted after the circular spring 293 having a predetermined spring constant is inserted. Insert it.
상기 바닥판(250)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293)이 최대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상기 바닥판(250)의 잠김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스프링이(293) 팽창하면서 상기 비산 방지통(290)을 밀어내게 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bottom plate 250 is closed, the spring 293 is kept as compressed as possible, and when the locked state of the bottom plate 250 is released, the spring 293 expands to prevent the scattering. Push the barrel 290.
따라서, 상기 비산 방지통(290)의 하강 속도가 상기 집진 챔버(270)내의 오물이 하강하는 속도보다 늦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lling speed of the shatterproof container 290 from being slower than the falling speed of the dust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270.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니트에 의하여, 집진통 내에 포집된 오물을 비우기 위하여 바닥판을 개구시킬 때, 오물과 함께 섞여 있는 먼지가 낙하하면서 주위로 비산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거나 공기를 더럽히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When the bottom plate is opened to empty the dust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by the dust collecting unit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dust mixed with the dust is scattered around and is offended to the user. Or fouling the air is prevented.
또한, 오물이 곧바로 수직으로 낙하함으로써, 쓰레기통 기타 오물 저장 장소의 주위를 더럽히지 않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rt falls vertically, there is an effect of not polluting the circumference of the trash can or other waste storage place.
도 1은 카페트 바닥을 청소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업라이트 청소기의 개략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 사시도.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view of an upright cleaner mainly used for cleaning a carpet floor;
도 2는 상기 청소기의 배면 사시도.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er.
도 3은 종래의 일반적인 업라이트 진공 청소기내에 장착되는 집진통의 분해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llector mounted in a conventional general upright vacuum cleaner.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물 비산 방지 구조가 구비된 집진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collector provided with a structure for preventing dust scattering in accordance with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상기 집진통의 분해 사시도.5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도 5b는 상기 도 5a의 AA선을 따라 이루어 지는 집진통의 수직 단면도.Figure 5b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st collector made along the line AA of Figure 5a.
도 6a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비산 방지통을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6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atterproof contain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b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베어링 홈이 구비된 케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6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having a bearing groov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비산 방지 구조의 또다른 일실시예.Figure 7a is another embodiment of a scattering preven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b는 상기 실시예의 단면도.7B is a sectional view of the embodimen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0 : 집진통 210 : 손잡이 220 : 케이스 커버200: dust collector 210: handle 220: case cover
230 : 필터 240 : 먼지 흡입구 250 : 바닥판230: filter 240: dust suction port 250: bottom plate
251 : 패킹부재 260 : 바닥판 걸쇠 270 : 집진 챔버 251: packing member 260: bottom plate latch 270: dust collecting chamber
280 : 케이스 281 : 중공부 290 : 비산 방지통280: case 281: hollow portion 290: shatterproof container
291 : 베어링 292 : 베어링홈 293 : 스프링291: bearing 292: bearing groove 293: spring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89995A KR100593089B1 (en) | 2003-12-11 | 2003-12-11 | Dust collection unit of vacuum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89995A KR100593089B1 (en) | 2003-12-11 | 2003-12-11 | Dust collection unit of vacuum clea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57804A true KR20050057804A (en) | 2005-06-16 |
KR100593089B1 KR100593089B1 (en) | 2006-06-26 |
Family
ID=37251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89995A Expired - Fee Related KR100593089B1 (en) | 2003-12-11 | 2003-12-11 | Dust collection unit of vacuum clea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9308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3256U (en) * | 2018-06-20 | 2019-12-30 | 비쎌 인코포레이티드 | Vacuum cleaner and dust plume reduction apparatus |
-
2003
- 2003-12-11 KR KR1020030089995A patent/KR10059308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3256U (en) * | 2018-06-20 | 2019-12-30 | 비쎌 인코포레이티드 | Vacuum cleaner and dust plume reduction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93089B1 (en) | 2006-06-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550352B2 (en) | Cyclone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 |
US9943202B2 (en) |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 |
AU783611B2 (en) | Upright-type vacuum cleaner | |
CN1226011C (en) | Combination wet and dry type vacuum cleaner | |
JP3953386B2 (en) | Cyclone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 |
KR101250077B1 (en) | Dust collecting unit of vacuum cleaner | |
CN100382738C (en) | Stirrer Drive Construction | |
EP2813170A2 (en) |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 |
JP2002051947A (en) | Cyclone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 |
JP2002209815A (en) | Cyclone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 |
AU2006203063A1 (en) | Compact robot vacuum cleaner | |
KR20090038965A (en) | robotic vacuum | |
JP2009504310A (en) | Dust collection container structure of upright type vacuum cleaner and dust collection container cover support structure of upright type vacuum cleaner | |
CN209285380U (en) | A floor cleaning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nd a sweeping vacuum cleaner | |
JP3198459B2 (en) | Wet and dry vacuum cleaner | |
KR102665028B1 (en) |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 |
US20240277197A1 (en) | Cleaner station and cleaner system | |
CN209953473U (en) |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device assembly | |
KR20170046345A (en) |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 |
KR100593089B1 (en) | Dust collection unit of vacuum cleaner | |
KR100437374B1 (en) | Cyclone dust-collection apparatus of vacuum cleaner | |
EP2524641A2 (en) | Apparatus for collecting sucked up materials for use in vacuum cleaner appliances | |
KR100593090B1 (en) | Dust collection unit of vacuum cleaner | |
KR20060128387A (en) | Vacuum cleaner | |
KR102406189B1 (en) | Cleaner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11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1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12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6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6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