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54092A -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adjusting duplex printing func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adjusting duplex print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4092A
KR20050054092A KR1020030087386A KR20030087386A KR20050054092A KR 20050054092 A KR20050054092 A KR 20050054092A KR 1020030087386 A KR1020030087386 A KR 1020030087386A KR 20030087386 A KR20030087386 A KR 20030087386A KR 20050054092 A KR20050054092 A KR 20050054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rinting
mode
print
print m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73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48133B1 (en
Inventor
이돈선
강재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7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8133B1/en
Publication of KR20050054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40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133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6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on both faces of the printing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41J2002/17589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using ink level as input for printer mode selection or for prediction of remaining printing capa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양면인쇄기능 조정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프린터 드라이버부는 인쇄데이터가 인쇄되는 용지의 종류 및 인쇄데이터를 인쇄하는 인쇄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창을 제공하며, 입력부는 유저 인터페이스창을 통해 용지의 종류 및 상기 인쇄모드를 설정하며, 문서에 대한 인쇄를 요청하며, 프린터 드라이버는, 입력부로부터 인쇄가 요청되면 문서를 인쇄가능한 인쇄데이터로 변환하되, 설정된 인쇄모드가 용지의 양면에 자동인쇄되는 제1인쇄모드이고 설정된 용지가 기저장된 용지걸림발생 가능용지에 포함되어 있으면, 제1인쇄모드를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용지의 양면에 인쇄하는 제2인쇄모드 및 용지의 한 면에만 인쇄하는 제3인쇄모드 중 하나로 전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기준값 이상 또는 제2기준값 이하의 두께를 갖는 용지가 양면인쇄장치를 통과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용지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Disclosed are a duplex printing function adjusting device and method. The printer driver unit provides a user interface window for setting the type of paper on which the print data is printed and a print mode for printing the print data, and the input unit sets the type of the paper and the print mode through the user interface window, The printer driver converts the document into printable print data when printing is requested from the input unit, but the set print mode is the first print mode in which the set is automatically printed on both sides of the paper, and a paper jam occurs in which the set paper is stored. If included in the available paper, the first print mode is switched to one of the second print mode for printing on both sides of the paper and the third print mode for printing only on one side of the paper by a user's manual operation.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aper jam that may occur when a paper having a thickness of more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or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passes through the duplex printing apparatus.

Description

양면인쇄기능 조정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adjusting duplex printing function}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adjusting duplex printing function}

본 발명은 양면인쇄기능 조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기준값 이상 또는 제2기준값 이하의 두께를 갖는 용지가 양면인쇄장치를 통과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용지 걸림을 방지하기 위해 인쇄모드를 조정할 수 있는 양면인쇄기능 조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duplex print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a paper jam that may occur when a paper having a thicknes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reference value or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reference value passes through the duplex printing apparatu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plex printing function adjusting device and a method for adjusting a printing mode.

프린터는 컴퓨터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인쇄데이터를 비트맵 데이터로 변환하여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로서, 대부분 용지의 단면에만 화상을 형성하는 심플렉스(simplex) 인쇄를 수행한다.A printer is a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converting print data transmitted from a user terminal such as a computer into bitmap data to perform a print job. Mostly, a printer performs a simplex printing that forms an image only on one end of a sheet of paper.

그러나, 최근에 출시되는 프린터는 심플렉스 인쇄 뿐만 아니라 용지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듀플렉스(duplex) 인쇄 기능 또한 수반하고 있다. 듀플렉스 인쇄를 수행하는 프린터에는 용지의 일면에 화상을 형성한 후 그 용지를 반전시켜 다른 면에 화상이 형성되도록 하는 양면인쇄장치(duplexer : 듀플렉서)가 구비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기에서 프린터 드라이버의 UI(User Interface)를 통해 양면인쇄기능이 선택된 경우, 프린터는 용지의 일면에 화상을 형성한 후 양면인쇄장치를 통과시켜 용지의 다른 면에 화상을 형성함으로써 인쇄작업을 수행한다.Recently released printers, however, involve simplex printing as well as duplex printing to form images on both sides of the paper. A printer performing duplex printing is provided with a duplexer (duplexer) for forming an image on one side of a sheet of paper and then inverting the sheet of paper to form an image on the other side. When duplex printing is selec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UI) of the printer driver in the user terminal, the printer forms an image on one side of the paper and passes the duplexer to form an image on the other side of the paper. do.

이러한 종래의 프린터는 일반적으로 소정치 이내의 두께를 갖는 얇은 용지를 사용하여 양면인쇄를 수행한다. 이는, OHP 필름과 같이 두꺼운 용지가 양면인쇄장치를 통과하는 경우, 두꺼운 용지는 양면인쇄장치의 인쇄경로 상에서 급격히 꺾이게 되어 용지의 이송이 저지되며 결과적으로 용지 걸림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용자의 실수에 의해 두꺼운 용지를 이용하여 듀플렉스 인쇄를 수행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러한 경우, 종래의 프린터는 용지가 두꺼워도 듀플렉스 인쇄를 수행하며 이로써, 프린터에서는 용지 걸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수반된다. 또한, 용지 걸림에 의해, 용지의 한 면에 정상적으로 인쇄된 용지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Such conventional printers generally perform duplex printing using thin paper having a thickness within a predetermined value. This is because when a thick paper, such as an OHP film, passes through the duplex printing device, the thick paper is sharply bent on the printing path of the duplex printing device so that the conveyance of the paper is prevented and a paper jam occurs as a result. However, in some cases, duplex printing is performed using thick paper due to a user's mistake. In such a case, a conventional printer performs duplex printing even when the paper is thick, thereby causing a paper jam in the printer. do.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aper normally printed on one side of the paper cannot be used due to the paper jam.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1기준값 이상 또는 제2기준값 이하의 두께를 갖는 용지가 양면인쇄장치를 통과하는 경우 발생하는 용지 걸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양면인쇄기능 조정장치 및 조정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just the duplex printing function and the adjustment method that can prevent the paper jam that occurs when the paper having a thicknes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or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passes through the duplex printing apparatus in advance. To provid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양면인쇄기능 조정장치는, 소정 인쇄데이터가 인쇄되는 용지의 종류 및 상기 인쇄데이터를 인쇄하는 인쇄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창을 제공하는 프린터 드라이버부; 및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창을 통해 상기 용지의 종류 및 상기 인쇄모드를 설정하며, 상기 문서에 대한 인쇄를 요청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린터 드라이버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인쇄가 요청되면 상기 문서를 인쇄가능한 인쇄데이터로 변환하되, 설정된 인쇄모드가 상기 용지의 양면에 자동인쇄되는 제1인쇄모드이고 상기 설정된 용지가 기저장된 용지걸림발생 가능용지에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제1인쇄모드를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상기 용지의 양면에 인쇄하는 제2인쇄모드 및 상기 용지의 한 면에만 인쇄하는 제3인쇄모드 중 하나로 전환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apparatus for adjusting a duplex prin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inter that provides a user interface window for setting the type of paper on which predetermined print data is printed and the print mode for printing the print data. A driver unit; And an input unit for setting the type of the paper and the print mode through the user interface window and requesting printing of the document, wherein the printer driver prints the document when the printing is requested from the input unit. Convert the printable data to printable data, and if the set print mode is the first print mode to be automatically printed on both sides of the paper, and the set paper is included in the pre-stored paper jam-capable paper, the first print mode may be Thereby switching between the second printing mode for printing on both sides of the paper and the third printing mode for printing only on one side of the pap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지걸림발생 가능용지가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변환된 인쇄데이터, 상기 설정된 용지의 종류 및 상기 설정된 인쇄모드를 외부 인쇄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storage unit is stored paper jam occurrence possible paper; And a communication unit which transmits the converted print data, the set paper type, and the set print mode to an external printing apparatus.

또한, 상기 용지걸림발생 가능용지는 상기 용지의 두께 및 상기 용지의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분류저장된다.In addition, the paper jam generation possible paper is classified and stor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of the paper and the material of the paper.

한편,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양면인쇄기능 조정방법은, 소정 문서가 인쇄되는 용지의 종류 및 상기 문서를 인쇄하는 인쇄모드가 설정된 후, 상기 문서의 인쇄가 요청되는 단계; 상기 문서를 인쇄가능한 인쇄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인쇄모드가 상기 용지의 양면에 자동인쇄하는 제1인쇄모드이면, 상기 설정된 용지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된 상기 용지의 종류가 기설정된 용지걸림발생 가능용지에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제1인쇄모드를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상기 용지의 양면에 인쇄하는 제2인쇄모드 및 상기 용지의 한 면에만 인쇄하는 제3인쇄모드 중 하나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인쇄데이터 및 상기 전환된 인쇄모드의 식별정보를 외부 인쇄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ve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the duplex printing function adjus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type of paper on which a predetermined document is printed and the print mode for printing the document is set, the printing of the document is requested. step; Converting the document into printable print data; If the set print mode is a first print mode for automatically printing on both sides of the paper, checking the type of the set paper; If the type of the checked paper is included in the preset paper jam occurrence possible paper, the second print mode for printing the first print mode on both sides of the paper by a user's manual operation and the printing on only one side of the paper Switching to one of the third print modes;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print data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witched print mode to an external printing apparatus.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지걸림발생 가능용지는 상기 용지의 두께 및 상기 용지의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분류저장된다.Preferably, the paper jam generation possible paper is classified and stor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of the paper and the material of the paper.

한편,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양면인쇄기능 조정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인쇄가능하도록 변환된 인쇄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쇄데이터의 인쇄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인쇄모드가 용지의 양면에 자동으로 인쇄하는 제1인쇄모드이면, 상기 인쇄데이터가 형상화되는 용지의 종류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상기 용지의 종류가 기설정된 용지걸림발생 가능용지에 포함되면, 상기 제1인쇄모드를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상기 용지의 양면에 인쇄하는 제2인쇄모드 및 상기 용지의 한 면에만 인쇄하는 제3인쇄모드 중 하나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전환된 인쇄모드로 상기 인쇄데이터를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duplex printing function adjus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receiving the print data converted to be printable from the user terminal; Checking a print mode of the print data; If the identified print mode is a first print mode that automatically prints on both sides of the paper, detecting a type of paper on which the print data is shaped; If the detected type of paper is included in the preset paper jam occurrence possible paper, a second printing mode for printing the first printing mode on both sides of the paper by a user's manual operation, and a second printing mode for printing only one side of the paper. Switching to one of three print modes; And printing the print data in the switched print mode.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용지걸림발생 가능용지는 상기 용지의 두께 및 상기 용지의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분류저장된다.More specifically, the paper jam generation possible paper is classified and stor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of the paper and the material of the pape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양면인쇄기능 조정장치가 적용된 프린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inter system to which a duplex printing function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및 프린터(200)를 포함한다. 먼저,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데이터의 양면인쇄기능과 관련된 블럭만을 도시하며 그 외의 블럭의 도시는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1, a print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100 and a printer 200. First, Fig. 1 shows only blocks related to the duplex printing function of print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llustration of other blocks is omitted.

사용자 단말기(100)는 인쇄대상데이터를 생성하여 소정의 통신망(300)을 통해 프린터(200)로 전송하는 기기로서, 프린터(200)와 관련된 드라이버를 내장하는 호스트 컴퓨터를 예로 들 수 있다. 통신망(10)의 예로는 근거리 통신망과 허브와 같은 공유기, 또는 인터넷망을 들 수 있다. 프린터(200)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공유되어 사용가능하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인쇄데이터를 인쇄하는 외부 인쇄장치이다.The user terminal 100 is a device that generates data to be printed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printer 200 through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network 300.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00 may include a host computer incorporating a driver related to the printer 200. Examples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may include a local area network and a router such as a hub, or an internet network. The printer 200 is shared and available to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nd is an external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print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먼저,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표시부(120), 메인저장부(130), 서브저장부(140), 응용 프로그램부(150), 프린터 드라이버부(160), 스풀러(170), 단말기 통신부(180) 및 단말기 제어부(190)를 구비한다.First, the user terminal 100 includes a user interface unit 110, a display unit 120, a main storage unit 130, a sub storage unit 140, an application program unit 150, a printer driver unit 160, and a spooler ( 170,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80, and a terminal control unit 190.

입력부로 적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른 키입력신호를 후술할 단말기 제어부(190)로 인가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로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널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소정 문서에 대한 인쇄요청신호 및 다수의 인쇄모드 중 소정의 인쇄모드에 대한 선택신호를 단말기 제어부(190)로 출력한다.The user interface 110 applied as an input unit applies a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key operation to the terminal controller 190 to be described later. As the user interface 110, a keyboard, a mouse, a touch panel, and the like may be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terface unit 110 outputs a print request signal for a predetermined document and a selection signal for a predetermined print mode among a plurality of print modes by the user's selection to the terminal controller 190.

여기서, 다수의 인쇄모드에는 제1인쇄모드로 적용된 자동양면인쇄모드, 제2인쇄모드로 적용된 수동양면인쇄모드 및 제3인쇄모드로 적용된 단면인쇄모드가 있다. 자동양면인쇄모드는 듀플렉서를 이용하여 용지의 양면에 자동으로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모드이며, 수동양면인쇄모드는 용지의 양면에 인쇄작업을 수행하되 용지의 한면에 인쇄를 한 후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용지가 인쇄되는 방향을 교체하여 용지의 다른면에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모드이며, 단면인쇄모드는 용지의 일면에만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모드이다.Here, the plurality of print modes include an automatic duplex printing mode applied to the first printing mode, a manual duplex printing mode applied to the second printing mode, and a single-sided printing mode applied to the third printing mode. The automatic duplex printing mode is a mode that automatically prints on both sides of the paper using a duplexer. The manual duplex printing mode prints on both sides of a sheet of paper. In this mode, the paper is pri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paper by changing the printing direction, and the single-sided printing mode is a mode in which only one side of the paper is printed.

표시부(120)는 일반적인 모니터로서, 단말기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의 동작상태를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120 is a general monitor and displays an operating state of the user terminal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ler 190.

메인저장부(13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기능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각종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이다.The main storage unit 130 is a nonvolatile memory in which various control programs necessary for implementing the functions of the user terminal 100 are stored.

서브저장부(140)에는 문서가 인쇄되는 용지의 종류에 따라 용지 걸림(Paper Jam) 발생 가능성이 높은 용지가 분류저장된다. 용지 걸림은 용지가 프린터(200)의 인쇄부(240)에 걸려 인쇄작업을 수행할 수 없도록 하는 현상을 말한다. 용지걸림발생 가능용지는 용지의 두께 및 용지의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분류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용지의 두께가 제1기준 두께값을 초과하는 경우 또는 제2기준값을 미달하는 경우, 이 용지는 용지걸림발생 가능용지로 분류저장된다. The sub storage unit 140 classifies and stores paper having a high possibility of a paper jam according to the type of paper on which the document is printed. The paper jam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paper is caught on the printing unit 240 of the printer 200 so that a print job cannot be performed. Paper jam occurrence possible paper is classified and stor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of the paper and the material of the paper. For example, when the thickness of the paper exceeds the first reference thickness value or below the second reference value, the paper is classified and stored as a paper jam occurrence possible paper.

용지의 종류는 예를 들어, 본드지, 거친 용지, OHP, 두꺼운 용지, 색지, 카드용지 등 다양하며, 이 중 본드지, 두꺼운 용지, OHP 등은 용지걸림발생 가능용지로 분류저장된다. The types of paper are, for example, bond paper, coarse paper, OHP, thick paper, color paper, card stock, and the like. Among them, bond paper, thick paper, and OHP are classified and stored as paper jam-producing paper.

응용프로그램부(150)에는 각종 문서를 작성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이 마련된다.The application program unit 150 is provided with an application program for generating various documents.

프린터 드라이버부(160)는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작성된 문서에 대한 인쇄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인쇄조건 설정화면(미도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쇄조건 설정화면(미도시)은 용지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용지종류 선택메뉴 및 소정 인쇄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인쇄모드 선택메뉴를 포함한다.The printer driver 160 provides a printing condition setting screen (not shown) for setting printing conditions for a document created through an application program. In the present invention, a printing condition setting screen (not shown) includes a paper type selection menu for selecting a paper type and a print mode selection menu for selecting a predetermined print mode.

또한, 프린터 드라이버부(160)는 응용프로그램에서 작성된 문서를 인쇄하고자 하는 경우, 문서를 이루는 인쇄대상데이터를 프린터(200)에서 인식가능한 인쇄데이터로 변환한다. 이 때, 프린터 드라이버부(160)는 현재 인쇄모드가 자동양면인쇄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문서가 인쇄되는 용지의 종류를 확인한다. In addition, when the printer driver 160 wants to print a document created by an application program, the printer driver 160 converts the print target data constituting the document into print data recognizable by the printer 200. At this time, the printer driver 160 checks the type of paper on which the document is printed, if the current print mode is set to the automatic duplex printing mode.

그리고, 프린터 드라이버부(160)는 확인된 용지의 종류를 기초로 자동양면인쇄모드를 수동양면인쇄모드 및 단면인쇄모드 중 소정 모드로의 강제전환여부를 판단하여 최종인쇄모드를 결정한다.The printer driver 160 determines whether the automatic duplex printing mode is forcibly switched to a predetermined mode among the manual duplex printing mode and the single-sided printing mode based on the identified paper type to determine the final printing mode.

자세히 설명하면, 프린터 드라이버부(160)는 프린터 드라이버부(160)에서 제공하는 인쇄조건 설정화면 중 용지종류 선택메뉴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 의해 선택된 용지에 의해 용지의 종류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린터 드라이버부(160)는 확인된 용지의 종류가 서브저장부(140)에 분류저장된 용지걸림발생 가능용지에 포함되어 있으면, 자동양면인쇄모드를 수동양면인쇄모드 및 단면인쇄모드 중 기설정된 모드로 강제전환한다. 강제전환된 모드는 곧 최종인쇄모드이다. In detail, the printer driver 160 checks the type of paper by the paper selected by the user interface unit 110 in the paper type selection menu of the printing condition setting screen provided by the printer driver 160. The printer driver 160 may set the automatic two-sided printing mode to the manual two-sided printing mode and the one-sided printing mode if the type of the checked paper is included in the paper jam occurrence possible paper stored in the sub storage unit 140. Force switch to mode. The forced mode is the final print mode.

한편, 프린터 드라이버부(160)는 확인된 용지의 종류가 서브저장부(140)에 저장된 용지걸림발생 가능용지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초기 설정된 자동양면인쇄모드를 최종인쇄모드로 결정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rinter driver 160 determines that the automatic duplex printing mode initially set as the final print mode when the type of the checked paper is not included in the paper jam occurrence possible paper stored in the sub storage unit 140.

최종인쇄모드가 결정되면, 프린터 드라이버부(160)는 변환된 인쇄데이터(예를 들어, PDL 데이터) 및 최종인쇄모드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인쇄조건정보(예를 들어, PJL 데이터)를 스풀러(170)로 제공한다.When the final print mode is determined, the printer driver unit 160 prints the print condition information (for example, PJL data) including the converted print data (for example, PDL data)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nal print mode. 170).

스풀러(170)는 프린터 드라이버부(160)로부터 제공된 인쇄데이터의 스풀링(spooling)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인쇄데이터를 프린터(200)의 처리속도에 맞춰 단말기 통신부(180)로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스풀러(170)는 페이지 단위로 인쇄데이터를 제공한다.The spooler 170 is a program that manages spooling of print data provided from the printer driver 160, and provides the print data to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80 according to the processing speed of the printer 200. In general, the spooler 170 provides print data in units of pages.

단말기 통신부(180)는 다수의 포트(예를 들어, 네트워크 포트, parallel 포트)를 구비하며, 다수의 포트 중 소정 포트는 프린터(200) 및 사용자 단말기(100)와 상호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단말기 통신부(180)는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작성된 문서의 인쇄데이터 및 프린터 드라이버부(160)에서 설정된 인쇄조건 정보를 프린터(200)로 전송한다.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80 includes a plurality of ports (for example, a network port and a parallel port), and predetermined ports of the plurality of ports are connected to the printer 200 and the user terminal 100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80 transmits the print data of the document created through the application program and the printing condition information set in the printer driver 160 to the printer 200.

단말기 제어부(190)는 메인저장부(130)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일 예로서, 단말기 제어부(190)는 소정 문서에 대한 인쇄요청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수신되면, 문서의 인쇄대상데이터를 인쇄가능한 인쇄데이터로 변환한 후 프린터(200)로 전송하도록 프린터 드라이버부(160), 스풀러(170) 및 단말기 통신부(180)를 제어한다.The terminal controller 19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control program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130. As an example, when a print request for a predetermined document is received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110, the terminal controller 190 converts the print target data of the document into printable print data and then transmits the print driver to the printer 200. The unit 160, the spooler 170, and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80 are controlled.

한편, 프린터(200)는 동작패널부(210), 프린터 통신부(220), 에뮬레이터(230), 인쇄부(240), ROM(250), RAM(260) 및 프린터 제어부(270)를 구비한다. The printer 200 includes an operation panel unit 210, a printer communication unit 220, an emulator 230, a printing unit 240, a ROM 250, a RAM 260, and a printer control unit 270.

동작패널부(210)는 프린터(200)에서 지원하는 기능을 선택 및 설정할 수 있는 다수의 조작키를 구비하여, 선택된 조작키 신호를 프린터 제어부(270)로 인가하는 입력부(미도시) 및 프린터 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프린터(200)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를 갖는다. The operation panel unit 210 includes a plurality of operation keys for selecting and setting a function supported by the printer 200, and an input unit (not shown) and a printer control unit for applying the selected operation key signal to the printer control unit 270. A display unit (not shown) that displays an operating state of the printer 200 under the control of 270 is provided.

프린터 통신부(220)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통신가능하게 마련되는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프린터 통신부(220)는 단말기 통신부(180) 및 통신망(30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인쇄데이터를 수신한다.The printer communication unit 220 is a communication interfac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100. The printer communication unit 220 receives print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80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에뮬레이터(230)는 프린터 통신부(220)를 통해 수신된 인쇄데이터에 대해 렌더링(rendering)을 수행한 후 비트맵 데이터를 생성한다. 인쇄부(240)는 프린터 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생성된 비트맵 데이터를 기록용지에 인쇄하는 인쇄작업을 수행한다. 특히, 인쇄부(240)는 자동/수동양면인쇄를 수행하기 위한 양면인쇄장치(듀플렉서)를 구비한다.The emulator 230 generates bitmap data after performing rendering on the print data received through the printer communication unit 220. The printing unit 240 performs a printing operation of printing the bitmap data gen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printer control unit 270 on the recording paper. In particular, the printing unit 240 includes a duplex printing apparatus (duplexer) for performing automatic / manual duplex printing.

ROM(250)에는 프린터(200)의 기능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각종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RAM(260)에는 프린터(200)의 동작 수행 중에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The ROM 250 stores various control programs necessary to implement the functions of the printer 200, and the RAM 260 stores various data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rinter 200.

프린터 제어부(270)는 ROM(250)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프린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린터 제어부(27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인쇄데이터를 비트맵 데이터로 변환한 후 인쇄하도록 에뮬레이터(230) 및 인쇄부(240)를 제어한다.The printer controller 27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rinter 200 according to a control program stored in the ROM 250. For example, the printer controller 270 controls the emulator 230 and the printer 240 to convert the print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into bitmap data and then print.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린터 시스템의 양면인쇄기능 조정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2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adjusting a duplex printing function of the printer system shown in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소정의 문서를 인쇄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이용하여 인쇄조건 설정화면(미도시)에 대한 표시를 요청한다. 인쇄조건 설정화면(미도시)이 표시부(120)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 의해 자동양면인쇄모드 및 그 외 인쇄조건(예를 들어, 인쇄매수, 인쇄범위, 용지 종류 등)를 설정한다(S210).1 and 2, when a user wants to print a predetermined document, the user requests a display of a printing condition setting screen (not shown) using the user interface 110. When a printing condition setting screen (not show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the user may use the user interface unit 110 to print the automatic duplex mode and other printing conditions (for example, the number of prints, the printing range, the paper type, etc.). ) Is set (S210).

S210단계가 수행된 후, 인쇄 요청이 수신되면 프린터 드라이버부(160)는 소정 문서를 이루는 인쇄대상데이터를 프린터(200)에서 인식가능한 인쇄데이터로 변환한다(S220, S230).After the step S210 is performed, when the print request is received, the printer driver 160 converts the print target data constituting the predetermined document into print data recognizable by the printer 200 (S220 and S230).

그리고, 프린터 드라이버부(160)는 용지 걸림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문서가 인쇄되는 용지의 종류를 확인한다(S240). 이는, 현재 인쇄모드가 자동양면인쇄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양면인쇄모드에 부적합한 용지가 프린터(200)에 삽입된 경우 용지 걸림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S240단계에서 프린터 드라이버부(160)는 인쇄조건 설정화면 중 용지종류 선택메뉴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 의해 선택된 용지에 의해 용지의 종류를 확인한다.In addition, the printer driver 160 checks the type of paper on which the document is printed in order to prevent a paper jam (S240). This is because the current print mode is set to the automatic duplex printing mode, in order to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a paper jam may occur when a paper suitable for the duplex printing mode is inserted into the printer 200. In step S240, the printer driver 160 checks the type of paper by the paper selected by the user interface unit 110 in the paper type selection menu of the printing condition setting screen.

프린터 드라이버부(160)는 S240단계에서 확인된 용지의 종류가 서브저장부(140)에 분류저장된 용지걸림발생 가능용지에 포함되어 있으면, 자동양면인쇄모드를 수동양면인쇄모드 및 단면인쇄모드 중 기설정된 모드로 강제전환하여 최종인쇄모드를 결정한다(S250, S260).If the type of paper checked in step S240 is included in the paper jam occurrence possible paper stored in the sub storage unit 140, the printer driver 160 may set the automatic duplex printing mode to manual duplex printing mode and single-sided printing mode. Forcibly switching to the set mode to determine the final print mode (S250, S260).

S260단계가 수행되면, 단말기 제어부(190)는 프린터 드라이버부(160)로 출력되는 인쇄데이터 및 최종인쇄모드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인쇄조건정보를 프린터(200)로 전송하도록 단말기 통신부(180)를 제어한다(S270).When step S260 is performed, the terminal controller 190 sends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80 to transmit the print condi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print data output to the printer driver 160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nal print mode to the printer 200. Control (S270).

이로써, 프린터(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인쇄데이터를 최종인쇄모드를 포함하는 인쇄조건정보에 부합되게 인쇄한다. 여기서, 최종인쇄모드는 S260단계에서 결정된 수동양면인쇄모드 및 단면인쇄모드 중 어느 하나이다. 즉, S260단계에서 최종인쇄모드로써 수동양면인쇄모드가 결정되면, 프린터(200)는 사용자에 의해 삽입되는 S240단계에서 확인된 용지에 대하여 수동양면인쇄를 수행한다. 또한, S260단계에서 최종인쇄모드로써 단면인쇄모드가 결정되면, 프린터(200)는 S460단계에서 인쇄부(470)는 S240단계에서 확인된 용지의 단면에만 인쇄를 수행한다.Thus, the printer 200 prints the print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in accordance with the print condi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final print mode. Here, the final printing mode is any one of the manual duplex printing mode and the single-sided printing mode determined in step S260. That is, when the manual duplex printing mode is determined as the final printing mode in step S260, the printer 200 performs manual duplex printing on the paper identified in step S240 inserted by the user. In addition, when the single-sided printing mode is determined as the final printing mode in step S260, the printer 200 prints only on the end face of the paper identified in step S240 in step S460.

한편, S250단계에서 용지의 종류가 용지걸림발생 가능용지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프린터 드라이버부(160)는 인쇄데이터 및 자동양면인쇄모드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인쇄조건정보를 프린터(200)로 전송하도록 단말기 통신부(180)를 제어한다(S280). 이로써, 프린터(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인쇄데이터에 대하여 자동양면인쇄를 수행한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50 that the type of paper is not included in the paper jam occurrence possible paper, the printer driver 160 prints the print condi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print data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utomatic duplex printing mode.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80 is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to (S280). As a result, the printer 200 performs automatic duplex printing on the print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한편, 도 2의 S240단계에서 확인된 용지의 종류가 서브저장부(140)에 분류저장된 용지걸림발생 가능용지에 포함되어 있으면, 프린터 드라이버부(160)는 사용자가 최종인쇄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인쇄모드 선택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S260단계에서 강제전환되는 인쇄모드는 수동양면인쇄모드 및 단면인쇄모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드로 강제전환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type of paper identified in step S240 of FIG. 2 is included in the paper jam occurrence possible paper classified and stored in the sub storage unit 140, the printer driver 160 prints to allow the user to set the final print mode. The mode selection menu can be provided. As a result, the printing mode forcibly switched in step S260 is forcibly switched to the mode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manual duplex printing mode and the single-sided printing mod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양면인쇄기능 조정장치가 적용된 프린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inter system to which a duplex printing function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300) 및 프린터(400)를 포함한다. 먼저,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데이터의 농도조정과 관련된 블럭만을 도시하며 그 외의 블럭의 도시는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3, the print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300 and a printer 400. First, Fig. 2 shows only blocks related to density adjustment of print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llustration of other blocks is omitted.

먼저, 사용자 단말기(3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 표시부(320), 메인저장부(330), 응용 프로그램부(340), 프린터 드라이버부(350), 스풀러(360), 단말기 통신부(370) 및 단말기 제어부(380)를 구비한다. First, the user terminal 300 includes a user interface 310, a display 320, a main storage 330, an application program 340, a printer driver 350, a spooler 360, and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370. And a terminal controller 380.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 표시부(320), 메인저장부(330), 응용 프로그램부(340), 스풀러(360), 단말기 통신부(370) 및 단말기 제어부(380)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표시부(120), 메인저장부(130), 응용 프로그램부(150), 스풀러(170), 단말기 통신부(180) 및 단말기 제어부(190)와 유사한 동작을 수행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user interface unit 310, the display unit 320, the main storage unit 330, the application program unit 340, the spooler 360,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370, and the terminal control unit 380 illustrated in FIG. 3 are illustrated in FIG. 1. Performs operations similar to those of the user interface unit 110, the display unit 120, the main storage unit 130, the application program unit 150, the spooler 170,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80, and the terminal control unit 190 shown in FIG.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다만, 프린터 드라이버부(3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로부터 소정 문서에 대한 인쇄가 요청되면, 소정 문서를 프린터(400)에서 인식가능한 인쇄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리고, 프린터 드라이버부(350)는 변환된 인쇄데이터 및 소정 인쇄모드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인쇄조건정보를 출력한다. 이로써 프린터(400)는 변환된 인쇄데이터 및 소정 인쇄모드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인쇄조건정보를 수신한다.However, when a print request for a predetermined document is requested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210, the printer driver 350 converts the predetermined document into print data recognizable by the printer 400. The printer driver 350 outputs print condi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onverted print data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edetermined print mode. As a result, the printer 400 receives the print condi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onverted print data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edetermined print mode.

한편, 프린터(400)는 동작패널부(410), 프린터 통신부(420), 용지 검출부(430), ROM(440), RAM(450), 에뮬레이터(460), 인쇄부(470) 및 프린터 제어부(480)를 구비한다. The printer 400 may include an operation panel unit 410, a printer communication unit 420, a paper detection unit 430, a ROM 440, a RAM 450, an emulator 460, a printing unit 470, and a printer control unit ( 480).

먼저, 도 3에 도시된 동작패널부(410), 프린터 통신부(420), ROM(440), RAM(450), 에뮬레이터(460), 인쇄부(470) 및 프린터 제어부(480)는 도 1에 도시된 동작패널부(210), 프린터 통신부(220), 에뮬레이터(230), 인쇄부(240), ROM(250), RAM(260) 및 프린터 제어부(270)와 유사한 동작을 수행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irst, the operation panel unit 410, the printer communication unit 420, the ROM 440, the RAM 450, the emulator 460, the printing unit 470, and the printer control unit 480 illustrated in FIG. 3 are illustrated in FIG. 1. Since the operation panel 210, the printer communication unit 220, the emulator 230, the printing unit 240, the ROM 250, the RAM 260, and the printer control unit 270 shown in FIG. Omit.

용지 검출부(430)는 인쇄부(470)의 급지 카세트(미도시)에 삽입된 용지의 종류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인쇄데이터가 전송된 후, 후술할 펌웨어(firmware)로부터 용지종류검출요청이 있으면, 용지 검출부(430)는 프린터 제어부(480)의 제어에 의해 용지의 종류를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The paper detector 430 detects a type of paper inserted into a paper cassette (not shown) of the printing unit 470. Sensor. After the print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300, if there is a paper type detection request from firmware to be described later, the paper detection unit 430 detects the paper type under the control of the printer control unit 480 and detects the detection signal. Outputs

ROM(440)에는 프린터(400)의 기능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각종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본 발명의 경우, 펌웨어 저장부(442) 및 서브저장부(444)를 포함한다. 펌웨어 저장부(442)에는 인쇄데이터의 인쇄모드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는 펌웨어가 저장되며, 서브저장부(444)에는 문서가 인쇄되는 용지의 종류에 따라 용지걸림발생 가능용지가 분류저장된다.The ROM 440 stores various control programs necessary to implement the functions of the printer 40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M 440 includes a firmware storage unit 442 and a sub storage unit 444. The firmware storage unit 442 stores firmware that supports a function of adjusting a print mode of the print data, and the sub storage unit 444 stores paper jam occurrence papers according to the type of paper on which the document is printed. .

자세히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인쇄데이터 및 인쇄조건정보가 전송되면, 펌웨어 저장부(442)에 저장된 펌웨어는 사용자 단말기(300)의 인쇄조건 설정화면에서 설정된 인쇄모드를 확인한다. 인쇄모드의 확인은 인쇄조건정보에 포함된 인쇄모드 식별정보에 의해 확인가능하다.In detail, when print data and print condition information ar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300, the firmware stored in the firmware storage unit 442 checks the print mode set on the print condition setting screen of the user terminal 300. Confirmation of the print mode can be confirmed by print mo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rint condition information.

확인 결과 자동양면인쇄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펌웨어는 용지 검출부(430)가 급지 카세트(미도시)에 삽입된 용지의 종류를 검출하도록 프린터 제어부(480)에 요청한다. 따라서, 용지 검출부(430)는 프린터 제어부(480)의 제어에 의해 용지의 종류를 검출하며, 검출된 신호는 펌웨어에게 제공된다.If the automatic duplex printing mode is set as a result of the check, the firmware requests the printer control unit 480 to detect the type of paper inserted in the paper cassette (not shown). Therefore, the paper detector 430 detects the type of paper under the control of the printer controller 480, and the detected signal is provided to the firmware.

펌웨어는 검출된 신호에 의해 용지의 종류를 확인하고, 확인된 용지의 종류가 서브저장부(444)에 분류저장된 용지걸림발생 가능용지에 포함되어 있으면, 자동양면인쇄모드를 수동양면인쇄모드 및 단면인쇄모드 중 기설정된 모드로 강제전환한다. 그리고, 펌웨어는 강제전환된 모드를 최종인쇄모드로 결정된다. 반면, 확인된 용지의 종류가 서브저장부(444)에 분류저장된 용지걸림발생 가능용지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펌웨어는 초기 설정된 자동양면인쇄모드를 최종인쇄모드로 결정한다. The firmware checks the paper type according to the detected signal, and if the checked paper type is included in the paper jam occurrence possible paper stored in the sub storage unit 444, the automatic duplex printing mode is set to manual duplex printing mode and single-sided printing. Forcibly switch to the preset mode among the print modes. Then, the firmware determines the forced switch mode as the final print mode. On the other hand, if the identified paper type is not included in the paper jam occurrence possible paper classified and stored in the sub storage unit 444, the firmware determines the initial automatic duplex printing mode as the final printing mode.

최종인쇄모드가 결정되면, 프린터 제어부(480)는 최종인쇄모드에 대응되는 비트맵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인쇄하도록 에뮬레이터(460) 및 인쇄부(470)를 제어한다. When the final print mode is determined, the printer controller 480 controls the emulator 460 and the printer 470 to generate and print bitmap data corresponding to the final print mode.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프린터 시스템의 양면인쇄기능 조정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adjusting a duplex printing function of the printer system shown in FIG. 3.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단말기(300)는 인쇄하고자 하는 문서를 인쇄데이터로 변환한 후 출력한다. 즉,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LAN과 같은 통신망(30) 및 프린터 통신부(420)를 통해 인쇄데이터 및 인쇄조건정보가 수신되면, 펌웨어는 인쇄데이터의 인쇄모드가 자동양면인쇄모드인지를 확인한다(S410, S420). 3 and 4, first, the user terminal 300 converts a document to be printed into print data and outputs the converted document. That is, when print data and printing condition information ar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 such as LAN and the printer communication unit 420, the firmware checks whether the print mode of the print data is the automatic duplex printing mode ( S410, S420).

S420단계에서 자동양면인쇄모드로 확인되면, 펌웨어는 급지 카세트(미도시)에 삽입된 용지의 종류를 확인한다(S430). 용지의 종류는 용지 검출부(430)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신호에 의해 확인가능하다. If it is confirmed in the automatic duplex printing mode in step S420, the firmware checks the type of paper inserted in the paper feed cassette (not shown) (S430). The type of paper can be confirmed by the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paper detection unit 430.

확인된 용지의 종류가 서브저장부(444)에 분류저장된 용지걸림발생 가능용지에 포함되어 있으면, 펌웨어는 인쇄모드를 자동양면인쇄모드에서 수동양면인쇄모드 및 단면인쇄모드 중 기설정된 모드로 강제전환하여 최종인쇄모드를 결정한다(S440, S450). If the identified paper type is included in the paper jam occurrence paper stored in the sub storage unit 444, the firmware forcibly switches the print mode from the automatic duplex printing mode to the preset one of the manual duplex printing mode and the single-sided printing mode. To determine the final print mode (S440, S450).

S450단계에 의해 최종인쇄모드가 결정되면, 프린터 제어부(480)는 최종인쇄모드에 대응되는 비트맵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인쇄하도록 에뮬레이터(460) 및 인쇄부(470)를 제어한다(S460). 즉, S450단계에서 최종인쇄모드로써 수동양면인쇄모드가 결정되면, S460단계에서 인쇄부(470)는 사용자에 의해 삽입되는 두꺼운 용지에 대하여 수동양면인쇄를 수행한다. 또한, S450단계에서 최종인쇄모드로써 단면인쇄모드가 결정되면, S460단계에서 인쇄부(470)는 S430단계에서 확인된 용지의 단면에만 인쇄를 수행한다.When the final print mode is determined in step S450, the printer controller 480 controls the emulator 460 and the print unit 470 to generate and print bitmap data corresponding to the final print mode (S460). That is, when the manual duplex printing mode is determined as the final printing mode in step S450, the printing unit 470 performs manual duplex printing on the thick paper inserted by the user in step S460. In addition, when the single-sided printing mode is determined as the final printing mode in step S450, the printing unit 470 prints only on the end face of the paper identified in step S430.

한편, S440단계에서 확인된 용지의 종류가 용지걸림발생 가능용지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프린터 제어부(480)는 자동양면인쇄모드에 대응되는 비트맵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인쇄하도록 에뮬레이터(460) 및 인쇄부(470)를 제어한다(S470).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ype of paper checked in step S440 is not included in the paper jam-prone paper, the printer controller 480 generates an emulator 460 to generate and print bitmap data corresponding to the automatic duplex printing mode. ) And the printing unit 470 (S470).

이로써, 프린터(40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인쇄데이터를 인쇄하되, 용지의 종류에 따라 인쇄모드를 조정하여 인쇄한다. 이에 의해, 자동양면인쇄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용지 걸림이 발생할 확률이 높은 용지가 삽입된 경우, 인쇄모드를 변경함으로써 용지 걸림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printer 400 prints the print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300, but adjusts the print mode according to the type of paper to print. As a result, when a sheet having a high probability of a paper jam is inserted while the automatic duplex printing mode is set, the paper jam phenomenon can be prevented by changing the print mode.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면인쇄기능 조정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기준값 이상의 두께를 갖는 용지가 양면인쇄장치로 진입되는 경로를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자동양면인쇄모드가 설정된 경우 두꺼운 용지 또는 얇은 용지가 프린터에 삽입되어 있으면, 자동양면인쇄모드를 수동양면인쇄모드 또는 단면인쇄모드로 조정함으로써 용지의 진입경로를 규제할 수 있으며, 이로써 프린터의 용지걸림 발생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용지 걸림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일면에 정상적인 인쇄가 수행된 용지가 사용불가능하게 처리되는 것 또한 방지함으로써 버려지는 용지의 매수를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so far, according to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duplex prin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strict the path in which paper having a thicknes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enters the duplex printing apparatus. That is, if the thick paper or thin paper is inserted in the printer when the automatic duplex mode is set, the entry path of the paper can be regulated by adjusting the automatic duplex mode to the manual duplex mode or the single-sided printing mode. The rate of paper jams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by preventing paper jams in advance, it is also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sheets of paper discarded by preventing the paper which has been normally printed on one surface from being unusable.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representativ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and equivalent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양면인쇄기능 조정장치가 적용된 프린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inter system to which a duplex printing function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린터 시스템의 양면인쇄기능 조정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FIG. 2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a duplex printing function of the printer system shown in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양면인쇄기능 조정장치가 적용된 프린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inter system to which a duplex printing function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프린터 시스템의 양면인쇄기능 조정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adjusting a duplex printing function of the printer system shown in FIG. 3.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0 : 사용자 단말기 11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 user terminal 110: user interface unit

120 : 표시부 140 : 서브저장부120: display unit 140: sub storage unit

150 : 응용 프로그램부 160 : 프린터 드라이버부150: application unit 160: printer driver unit

180 : 단말기 통신부 190 : 단말기 제어부180: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90: terminal control unit

200 : 프린터 220 : 프린터 통신부200: printer 220: printer communication unit

230 : 에뮬레이터 240 : 인쇄부230: emulator 240: printing unit

270 : 프린터 제어부270 printer control

Claims (7)

소정 인쇄데이터가 인쇄되는 용지의 종류 및 상기 인쇄데이터를 인쇄하는 인쇄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창을 제공하는 프린터 드라이버부; 및A printer driver unit providing a user interface window for setting a type of paper on which predetermined print data is printed and a print mode for printing the print data; And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창을 통해 상기 용지의 종류 및 상기 인쇄모드를 설정하며, 상기 문서에 대한 인쇄를 요청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며,And an input unit for setting the type of the paper and the print mode through the user interface window and requesting printing of the document. 상기 프린터 드라이버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인쇄가 요청되면 상기 문서를 인쇄가능한 인쇄데이터로 변환하되, 설정된 인쇄모드가 상기 용지의 양면에 자동인쇄되는 제1인쇄모드이고 상기 설정된 용지가 기저장된 용지걸림발생 가능용지에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제1인쇄모드를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상기 용지의 양면에 인쇄하는 제2인쇄모드 및 상기 용지의 한 면에만 인쇄하는 제3인쇄모드 중 하나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인쇄기능 조정장치.The printer driver unit converts the document into printable print data when the printing is requested from the input unit, but the set print mode is a first print mode in which the printer is automatically printed on both sides of the paper, and a paper jam occurs in which the set paper is stored. If the paper is included in the paper, the first printing mode is switched to one of a second printing mode for printing on both sides of the paper by a user's manual operation and a third printing mode for printing only on one side of the paper. Duplex printing adjust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용지걸림발생 가능용지가 저장된 저장부; 및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paper jam occurrence possible paper; And 상기 변환된 인쇄데이터, 상기 설정된 용지의 종류 및 상기 설정된 인쇄모드를 외부 인쇄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인쇄기능 조정장치.And a communication unit which transmits the converted print data, the set paper type, and the set print mode to an external printing de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용지걸림발생 가능용지는 상기 용지의 두께 및 상기 용지의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분류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양면인쇄기능 조정장치.The paper jam occurrence possible paper is classified and stor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of the paper and the material of the pap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uplex printing function adjustment apparatus. 소정 문서가 인쇄되는 용지의 종류 및 상기 문서를 인쇄하는 인쇄모드가 설정된 후, 상기 문서의 인쇄가 요청되는 단계;Requesting printing of the document after setting a type of paper on which a predetermined document is printed and a print mode for printing the document; 상기 문서를 인쇄가능한 인쇄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Converting the document into printable print data; 상기 설정된 인쇄모드가 상기 용지의 양면에 자동인쇄하는 제1인쇄모드이면, 상기 설정된 용지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If the set print mode is a first print mode for automatically printing on both sides of the paper, checking the type of the set paper; 확인된 상기 용지의 종류가 기설정된 용지걸림발생 가능용지에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제1인쇄모드를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상기 용지의 양면에 인쇄하는 제2인쇄모드 및 상기 용지의 한 면에만 인쇄하는 제3인쇄모드 중 하나로 전환하는 단계; 및If the type of the checked paper is included in the preset paper jam occurrence possible paper, the second print mode for printing the first print mode on both sides of the paper by a user's manual operation and the printing on only one side of the paper Switching to one of the third print modes; And 상기 변환된 인쇄데이터 및 상기 전환된 인쇄모드의 식별정보를 외부 인쇄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면인쇄기능 조정방법.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print data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witched print mode to an external printing apparatus.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용지걸림발생 가능용지는 상기 용지의 두께 및 상기 용지의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분류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양면인쇄기능 조정방법.The paper jam generation possible paper is classified and stor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of the paper and the material of the pap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inting method for adjusting the duplex printing.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인쇄가능하도록 변환된 인쇄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print data converted to be printable from a user terminal; 상기 인쇄데이터의 인쇄모드를 확인하는 단계;Checking a print mode of the print data; 상기 확인된 인쇄모드가 용지의 양면에 자동으로 인쇄하는 제1인쇄모드이면, 상기 인쇄데이터가 형상화되는 용지의 종류를 검출하는 단계;If the identified print mode is a first print mode that automatically prints on both sides of the paper, detecting a type of paper on which the print data is shaped; 검출된 상기 용지의 종류가 기설정된 용지걸림발생 가능용지에 포함되면, 상기 제1인쇄모드를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상기 용지의 양면에 인쇄하는 제2인쇄모드 및 상기 용지의 한 면에만 인쇄하는 제3인쇄모드 중 하나로 전환하는 단계; 및If the detected type of paper is included in the preset paper jam occurrence possible paper, a second printing mode for printing the first printing mode on both sides of the paper by a user's manual operation, and a second printing mode for printing only one side of the paper. Switching to one of three print modes; And 상기 전환된 인쇄모드로 상기 인쇄데이터를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면인쇄기능 조정방법.And printing the print data in the switched printing mode.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용지걸림발생 가능용지는 상기 용지의 두께 및 상기 용지의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분류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양면인쇄기능 조정방법.The paper jam generation possible paper is classified and stor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of the paper and the material of the pap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inting method for adjusting the duplex printing.
KR1020030087386A 2003-12-03 2003-12-03 Duplex printing function adjusting device and method Expired - Fee Related KR1005481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386A KR100548133B1 (en) 2003-12-03 2003-12-03 Duplex printing function adjusting device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386A KR100548133B1 (en) 2003-12-03 2003-12-03 Duplex printing function adjusting device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092A true KR20050054092A (en) 2005-06-10
KR100548133B1 KR100548133B1 (en) 2006-02-02

Family

ID=37249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7386A Expired - Fee Related KR100548133B1 (en) 2003-12-03 2003-12-03 Duplex printing function adjusting device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813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625B1 (en) * 2005-12-26 2007-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Double-side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ouble-sided image forming method
KR100762801B1 (en) * 2006-07-07 2007-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546056B2 (en) * 2004-12-22 2009-06-09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performing either automatic or manual duplex printing based on copy media attribut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6056B2 (en) * 2004-12-22 2009-06-09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performing either automatic or manual duplex printing based on copy media attributes
KR100729625B1 (en) * 2005-12-26 2007-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Double-side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ouble-sided image forming method
KR100762801B1 (en) * 2006-07-07 2007-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8133B1 (en) 200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9214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print job control method, and print data processing apparatus
US740916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US7826084B2 (en) Output control apparatus, output control system, output control metho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computer program for communicating with a plurality of printing apparatuses
US821303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eventing printing error from being generated
US1065962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to cancel a job
US785250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04649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8472036B2 (en) Controlling program and controlling method
US20130077109A1 (en) Printing system, print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8854652B2 (en) Host device and printing control method thereof
KR100548133B1 (en) Duplex printing function adjusting device and method
US20090208235A1 (en) Terminal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inting system having the same, and printing method thereof
JP5814529B2 (en) Printing system, paper attribute setting method, program
US8289532B2 (en) Printer controlling device
JP2009140166A (en) Printing processing system
US2012003325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ob processing system, job transmission path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therefor
JP2019001003A (en) Image formation system and image formation method
US9623682B2 (en) Print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758014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1762319B2 (en) Print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therefor, and print system
US9262116B2 (en) Print control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for spooling printing data and handling status information about a work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roughout printing process
JP7172333B2 (e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432382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system, method, and control program
KR100255193B1 (en) Method for setting zoom function sphere and unit in printer
KR100630931B1 (en) Image Forming Device and Prin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8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