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46485A -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이동성을 지원하며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이동성을 지원하며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6485A
KR20050046485A KR1020030080756A KR20030080756A KR20050046485A KR 20050046485 A KR20050046485 A KR 20050046485A KR 1020030080756 A KR1020030080756 A KR 1020030080756A KR 20030080756 A KR20030080756 A KR 20030080756A KR 20050046485 A KR20050046485 A KR 20050046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sgsn
mbms
message
lis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0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6319B1 (ko
Inventor
정경인
이국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0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6319B1/ko
Publication of KR20050046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6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31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호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단말기에게 동일한 서비스 또는 상기 다수의 단말기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이하 'MBMS'라고 칭함)에 대한 것으로써, 서비스 패킷 무선 서비스 지원 노드(SGSN)가 라우팅 지역내에 위치한 다수의 무선망 제어기(RNC)들에 대하여 리스트를 구비하고, 상기 MBMS 서비스의 세션 시작을 알리는 세션 메시지(Session start)의 전송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SGSN로부터 세션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RNC들은 소정의 단말기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MBMS 서비스 컨텍스트를 효율적으로 유지 및 운용하게 된다.

Description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이동성을 지원하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METHOD FOR TRANSMIT MBMS SERVICE SESSION AT SGSN FOR UE'S MOBILITY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ERVING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본 발명의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이하 ‘MBMS’라 칭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비스 패킷 무선 서비스 지원 노드(SGSN)가 상기 MBMS 서비스의 시작을 알리는 세션 스타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MBMS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동일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다수의 수신자에게 전송하는 서비스를 통칭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위한 3GPP 이동 통신망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MBMS가 무선 통신망에 적용될 수 있는 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3세대 비동기 이동 통신 방식의 표준인 3GPP 시스템에 적용한 구조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1의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의 단말기(User Equipment: 이하 'UE'라 칭함)들은 상기 MBMS를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 장치들을 의미한다. 111, 112, 113의 Cell1, Cell2, Cell3은 상기 UE들이 위치하고 있는 기지국의 셀 영역을 일컫는다. 상기 도 1의 121의 Node B 는 상기 121의 Node B에 속해있는 UE들에게 MBMS를 전송하는 기지국을 의미한다. 131의 무선망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이하 'RNC'라 칭함)는 다수의 Node B를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를 나타낸다. 상기 131의 RNC는 상기 MBMS를 통해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MBMS를 지원하는 또는 전송하고 있는 특정 Node B들로 선별적으로 전송하는 역할 및 상기 MBMS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121의 Node B 및 상기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의 UE들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무선 채널들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도 1의 131의 RNC 및 상기 RNC의 제어를 받는 121의 Node B, 상기 121의 Node B 안의 111의 Cell 1, 112의 Cell 2, 113의 Cell 3는 UMTS 무선 접속망 (UMTS Radio Access Network : 이하 'UTRAN'이라 칭함)을 구성하며, 상기 UTRAN은 상기 UE들(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과 중심망 (Core Network : 이하 CN이라 칭함)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141의 서비스 패킷 무선 서비스 지원 노드(Serving GPRS Support Node, 이하 'SGSN'라 칭함)는 각각의 가입자들의 MBMS 관련 서비스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대표적인 예로 각 가입자의 서비스 과금 데이터를 관리하는 역할과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특정 RNC에게 선별적으로 전송하는 역할 등이 있다. 151의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이하 'HLR' 라 칭함)은 상기 141의 SGSN과 연결되어 가입자를 인증하는 역할을 한다. 161의 게이트웨이 패킷 무선 서비스 지원 노드(Gateway GPRS Support Node, 이하 'GGSN'라 칭함)는 상기 UE들로 공급될 MBMS 데이터를 181의 BM-SC(Broadcast/Multicast Service Center)와 171의 BG (Border Gateway)를 통해 191의 컨텐츠 사업자(Contents Provider)와 192, 193의 Multicast Broadcast Source로부터 수신 받아 상기 141의 SGSN으로 전송한다. 또한, 각 UE의 이동 상황에 대한 관리, UE가 서비스 받는 MBMS에 대한 서비스 품질 관리 등의 역할을 한다. 상기 171의 BG는 현재 서비스 사업자가 관리하고 있지 않는 망에 있는 192의 Multicast Broadcast source로부터 MBMS 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161의 GGSN으로 전송한다. 181의 BM-SC는 컨텐츠 사업자로부터 MBMS 데이터를 공급받아 상기 161의 GGSN으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컨텐츠 사업자에 대한 인증, MBMS의 서비스 품질 결정, MBMS 데이터 손실에 대한 오류 정정 기능, Contents Provider에 대한 과금 및 UE에 대하여 현재 서비스 되고 있는 MBMS 공지의 역할을 한다. 상기 191의 Contents Provider와 192,193의 Multicast Broadcast source는 MBMS 데이터 전송의 근원지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MBMS 데이터 스트림은 191의 컨텐츠 사업자로부터 상기 181의 BM-SC를 거쳐서, 또는 192의 Multicast Broadcast Source로부터 171의 BG를 거쳐서, 또는 193의 Multicast Broadcast Source로부터 직접 161의 GGSN으로 전송되어, 141의 SGSN, 131의 RNC, 121의 Node B, 111, 112, 113의 Cell을 거쳐서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의 UE들에게 전달된다.
상기 도 1에 도시하지 않으나, 하나의 MBMS에 대해서 다수의 SGSN들과 각 SGSN에 연결된 다수의 RNC들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GSN은 RNC로, 상기 RNC는 Node B로 선별적인 데이터 전송을 수행해야 하며, 이를 위해 데이터를 전달해야 할 노드들의 명단 (SGSN에서는 RNC의 명단, RNC에서는 Node B의 명단) 등을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위한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특정 셀에서 MBMS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201은 MBMS 서비스를 받는 UE를 나타내며 211은 MBMS 서비스를 위한 RNC를, 221은 MBMS 서비스를 위한 SGSN을 나타낸다.
231의 서비스 안내(Announcement)단계는 상기 UE(201)에게 특정 MBMS 서비스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들, 예를 들어 상기 MBMS 서비스의 식별자 등과 상기 서비스의 가용성 등을 전달하는 단계이다. 이에 따라 상기 UE(201)은 상기 서비스 안내(Announcement)단계를 통해 인지한 MBMS 서비스 중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서비스가 있을 경우, 241에서 서비스 요청(Joining)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서비스 요청(Joining)과정은 상기 UE(201)가 상기 SGSN(221)에게 자신이 수신하고자 하는 MBMS 서비스를 통지하고 상기 SGSN(221)가 상기 UE(201)에 대하여 인증을 수행한 후, 상기 UE(201)에게 상기 MBMS 서비스 수신 가능 여부를 통지하는 과정을 이루어진다. 상기 SGSN(221)은 상기 서비스 요청(Joining)과정을 통해 특정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하는 UE(201)의 명단과 위치를 저장한다.
그 후 BM-SC가 상기 MBMS 서비스의 시작을 알리면, 251에서 상기 SGSN(221)은 서비스 요청(Joining)과정을 수행한 UE(201)이 위치하고 있는 RNC9211)로 세션 스타트(Session Start) 메시지를 전송한다. 252에서 상기 RNC(211)는 상기 MBMS 서비스를 수신할 상기 UE(201)를 호출하기 위해 서비스 통지(Notification)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통지(Notification) 메시지 전송을 통해 복수의 UE들이 호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252 단계는 기존의 호출 절차와 대비되는 의미로 집단 호출 (GroupPaging) 과정이라고도 불린다. 261 단계는 상기 252 단계에서 호출된 상기 UE들이 SGSN(221)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이다. 상기 261의 응답 메시지 전송 절차를 통해 상기 RNC(211)는 셀별로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하는 UE들의 수를 파악하고, 해당 셀의 무선 채널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MBMS 서비스를 받으려는 UE의 수가 미리 정의된 일정 임계값보다 크면 공통 채널 (Point to Multi-point, 이하 'PtM' 라고 칭함)을 통해 상기 MBMS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UE들의 수가 미리 정의된 일정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UE기 별로 전용 채널(Point to Point, 이하 'PtP'라고 칭함)을 구성해서 상기 MBM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271에서는 상기 RNC(211)는 상기 UE들에게 MBMS RB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MBMS RB 정보는 MBMS 서비스가 제공될 무선 채널 정보, 예를 들어 OVSF 코드 정보, 트랜스포트 포맷 정보,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라고 칭함) 정보, 패킷 데이터 컨버젼시 제어(Packet Data Convergence Control , 이하 'PDCP'라고 칭함)정보 등을 들 수 있다. 281에서는 상기 UE가 271의 MBMS RB를 통해 제공되는 MBMS 서비스를 수신한다.
상기 도 1과 도 2에서는 MBMS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구조와 MBMS 서비스의 과정을 설명하였다. 여기서, MBMS는 MBMS 데이터 스트림 뿐만 아니라, 상기 MBMS 서비스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 역시 멀티캐스트적인 성격을 가진다. 예를 들어 특정 MBMS 서비스를 특정 셀에서 제공할 때 사용할 MBMS RB 정보는 상기 셀에서 상기 MBMS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모든 UE들에게 유효한 정보이다. 그러므로 MBMS 와 관련된 제어 신호는 셀내에 구성되어 있는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현재 MBMS의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는 3GPP에서는 MBMS 제어신호를 MCCH 이라는 새로운 로지컬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방법이 논의되고 있다.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재 3GPP 표준에서 SGSN은 하기의 조건을 가지는 RNC에게 MBMS 서비스에 따른 세션 스타트(session start) 메시지를 전송한다.
SGSN이 세션 스타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조건
조건 1. 아이들 모드의 마지막 위치의 라우팅 지역(Routing Area, 이하 'RA'고 칭함) 내에 있는 모든 RNC들.
조건 2. 커넥티드 모드 UE의 서빙 RNC(Serving RNC).
조건 3. MBMS 서비스 등록(Registration)을 요청하는 제어 RNC(Control RNC)
상기와 같이 3GPP 표준에서 SGSN이 선별적 RNC로 세션 스타트(session start)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유는 네트워크의 혼잡을 줄이고, 쓸모없는 자원을 낭비하지 않기 위함이다. 그러나, 상기의 조건만으로는 적절한 RNC내의 MBMS 서비스 컨텍스트 유지가 실패하게 된다. 이에 따라 UE의 이동성, 즉, 다수의 RNC간의 이동성을 지원하는데 실패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하기의 도 3에는 현재 3GPP 표준에 제안되고 있는 방식에 따라 SGSN이 세션 스타트(session start) 메시지를 전송할 때의 문제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301은 MBMS 서비스를 위한 SGSN을 나타내며, 311은 상기 SGSN 밑에 존재하는 RA를 나타낸다. 321, 322, 323, 324는 모두 311 RA 내에 존재하는 RNC들을 나타낸다. MBMS 서비스를 위한 세션 스타트(session start) 메시지를 301의 SGSN에서 전송해야 할 시점에서 만약 311의 RA 내에 상기 서비스에 조인한 아이들 모드의 UE가 하나도 존재하지 않고 322의 RNC 2에만 커넥티드 모드의 상기 MBMS 서비스를 조인한 UE들이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상기 커넥티드 모드 UE의 SRNC가 322가 되며, 이때 CRNC는 다른 RNC가 될 수 있으나 도 3에서는 CRNC가 SRNC와 같다고 가정한다. 만약, CRNC가 322의 RNC와 다른 RNC를 가진다고 하여도 본 발명은 그대로 적용되기 때문에, 도 3의 가정을 배경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상기 가정에서 상기 3GPP 표준의 조건 1을 만족하지 못함을 SGSN이 유지하고 있는 상기 서비스에 조인한 UE의 리스트를 통해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SGSN은 RA내의 모든 RNC들에게 세션 스타트(session start)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으며, 상기 조건 2에 의해 오직 322의 RNC 2에게만 세션 스타트(session start)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조건 3은 SRNC와 CRNC가 같은 322의 RNC 2이므로 다른 RNC들에게 상기 MBMS 서비스 등록(registration)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만족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MBMS 서비스에 대한 세션(session)이 시작된 후에 322에 있던 MBMS 서비스를 요청했던 커넥티드 모드의 UE가 커넥션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다른 RNC에 속한 셀로 이동한다면 SRNC와 CRNC간의 Iur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UE가 받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SRNC에서 CRNC로 할당(attach)함으로써 UE의 이동성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322의 RNC 2에 속한 셀에서 323의 RNC 3에 속한 셀로 이동한다면, 비록 이동하기 전에는 323의 RNC가 331의 세션 스타트(session start) 메시지를 전송받지 못했기 때문에 상기 MBMS 서비스에 대한 컨텍스트를 가지고 있지 않았지만, 상기 설명한 할당(attach)절차에 따라 상기 SRNC로부터 상기 MBMS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 받아 SGSN로부터 MBMS 서비스 등록(registration)요청 과정을 통해 상기 서비스에 대한 컨텍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서비스에 대한 session이 시작된 후에 322에 있던 서비스를 조인했던 커넥티드 모드의 UE가 커넥션을 계속 유지하지 않고 아이들 모드로 상태 천이를 한 다음에 323의 RNC 3이 속한 셀로 이동을 한다면 문제가 발생한다. 아이들 모드의 UE가 다른 셀로 이동을 할 때에는 RA가 바뀌지 않는 이상 타겟 셀에서는 상기 아이들 모드의 UE가 자신의 셀로 이동했는지를 알 수가 없기 때문에, 상기 설명한 커넥티드 모드의 UE를 위한 할당(attach) 절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323의 RNC 3은 상기 SRNC(322)나 SGSN(301)으로부터 상기 MBMS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가 없고, 상기 MBMS 서비스에 대한 컨텍스트를 생성 및 유지하는데 실패하게 된다. 또한, 상기 RNC 3(323)은 상기 UE에게 현재 셀에서 서비스 가능한 MBMS 서비스들에 대한 정보를 알려줄 때 상기 MBMS 서비스에 대한 목록은 제외하고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UE는 상기 RNC 3(323)에 속해 있는 이동한 새로운 셀을 상기 MBMS 서비스를 지원하지 못하는 Non Service Area로 인식하여 상기 MBLMS 서비스의 수신을 포기하게 되는 UE 동작상의 오류를 발생시킨다.
즉, 현재 3GPP에서 제안되는 세션 메시지를 전송 방법에 따라 RNC는 MBMS 서비스 지역인데도 불구하고 상기 MBMS 서비스 컨텍스트를 유지하지 못해서 상기 UE에게 상기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없고, 이에 UE는 상기 MBMS 서비스를 요청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아 해당 MBMS 서비스를 수신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실질적으로 상기 UE가 상기 MBMS 서비스를 요청하여 상기 MBMS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UE의 이동성에 따른 MBMS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지 못하여 UE의 동작상의 오류를 유발되며, 상기 MBMS 서비스가 현재 셀에서는 지원 불가능함으로 인식되어 상기 MBMS 서비스를 받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MBMS 서비스를 위해 SGSN이 세션 스타트(session start) 메시지를 RA 지역내의 RNC들로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SGSN이 세션 스타트(session start)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은 RA 지역내의 RNC의 리스트를 유지, 운영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MBMS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RA 지역내에서 단말기의 이동성을 지원하고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MBMS)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서비스 패킷 무선 서비스 지원 노드(SGSN)이 방송 서비스의 시작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SGSN이 소정의 라우팅 지역내의 존재하는 다수의 무선망 제어기들에 대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의 시작을 알리는 메시지 전송 여부를 나타내는 리스트를 구비하는 과정과. 소정의 단말기의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망 제어기들에 대한 상기 리스트를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MBMS)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SGSN이 상기 MBMS 서비스를 요청한 단말기에게 상기 MBMS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SGSN이 상기 MBMS의 시작을 알리는 메시지의 전송 여부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의 전송 유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식별자에 따라 상기 메시지의 전송이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면, 자신에게 속하는 라우팅 지역내의 위치하는 다수의 무선망 제어기들의 리스트를 확인하여 상기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은 소정의 무선망 제어기들에게 상기 메시지를 다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후술되는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하기에서는 현재 3GPP 표준에서 SGSN은 RNC에게 MBMS 서비스에 따른 세션 스타트(session start) 메시지를 전송하는 규격을 만족하며, UE의 이동성을 보장하여 MBMS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SGSN이 세션 스타트(session start) 메시지에 대응하는 RNC들의 리스트를 구비하여 세션 스타트(session start) 메시지를 전송에 따른 상기 RNC들의 MBMS 서비스 컨텍스트를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상기 UE의 이동성을 지원하여 상기 UE가 요청한 MBMS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4에서는 현재 3GPP에서 세션 스타트(session start) 메시지의 전송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새롭게 제안하는 세션 스타트(session start) 메시지의 전송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401,402,403,404는 411의 SGSN 아래에 있는 동일한 RA 지역내에 있는 RNC들을 나타내고, 411은 MBMS 서비스를 위한 SGSN이다. 421에서는 상기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재 3GPP의 상황을 나타낸 것으로, 현재 상기 RA 지역내에 오직 402의 RNC 2 아래의 셀에만 특정 MBMS 서비스를 신청한 UE가 모두 커넥티드 모드로 존재함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SGSN(411)은 서비스 요청(Joining)과정을 통해 상기 UE에 대한 리스트를 유지하고 있으며, 또한 UE의 상태에 대한 정보도 파악하고 있다. 431에서 상기 SGSN(411)은 상기 RA 지역내에의 상기 MBMS 서비스를 요청한 커넥티드 모드의 UE들이 402의 RNC 2 아래에 존재함을 파악한다. 이때, 상기 MBMS 서비스를 요청한 아이들 모드의 UE들인 존재하지 않는다고 간주한다.
441에서는 상기 MBMS 서비스에 대한 SGSN(411)로부터 RNC들(401, 402, 403, 404)로 전송되는 세션 스타트(session start) 메시지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세션 스타트(session start) 메시지 는 현재 표준의 조건에 따라 RNC 2(402)에게만 전송된다. 451은 상기 MBMS 서비스에 대한 session이 시작되고 난 후에, 상기 431의 커넥티드 모드에 있던 UE들중에서 특정 UE가 아이들 모드로 상태천이를 수행함을 나타낸다. 이때, SGSN(411)은 상기 UE가 아이들 모드로 천이함을 감지하고, 상기 RA 지역내에 세션 스타트(session start)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은 다른 RNC((401, 403, 404)들의 리스트를 통해 461에서 상기 RA 지역내의 모든 RNC들에 대한 세션 스타트(session start) 메시지의 전송 유무를 확인한다.
즉, 상기 SGSN(411)은 상기 세션 스타트(session start)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은 상기 RA 지역내의 RNC 1, RNC3, RNC m(401, 403, 404)에 대한 리스트를 구비하여 상기 RA 지역내의 모든 RNC들에 대하여 상기 MBMS 서비스에 대한 세션 스타트(session start) 메시지의 전송 유무를 확인한다. 그 후, 471에서는 상기 SGSN(411)은 상기 RA 지역내의 모든 RNC들에게 세션 스타트(session start)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음을 파악하고, 상기 세션 스타트(session start)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은 RNC 1, RNC3, RNC m(401, 403, 404)에게 상기 세션 스타트(session start) 메시지를 다시 전송한다. 상기 471에서 세션 스타트(session start)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SGSN(411)은 상기 RNC 리스트를 갱신한다.
이때, 상기 SGSN(411)은 461에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비트에 상기 세션 스타트(session start) 메시지의 전송 유무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할당하여 상기 RA 지역내에 세션 스타트(session start)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은 RNC들의 리스트를 관리 할 수 있다. 즉, 상기 SGSN(411)은 상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RNC들의 리스트를 확인하는 것으로, 상기 식별자가 상기 세션 스타트(session start)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값을 가지면 상기 RNC의 리스트를 확인한다. 반면에, 상기 식별자가 상기 RA 지역내에 모든 RNC들에게 세션 스타트(session start) 메시지가 전송되었음을 나타내는 값을 가지면, 상기 RNC의 리스트를 확인하지 않고, 해당 MBMS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MBMS 서비스에 대한 세션 스타트(session start) 메시지를 수신한 RNC에 위치하는 커넥티드 모드의 특정 UE가 아이들 모드로 천이하는 경우, SGSN이 상기 RA 지역내의 위치한 세션 스타트(session start)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은 다른 RNC들에게도 세션 스타트(session start) 메시지를 다시 전송함으로, UE가 상기 RNC들간의 이동할 때에 상기 RA 지역내에 있는 모든 RNC들이 상기 UE가 요청한 MBMS 서비스에 대한 컨텍스트를 유지 가능하다. 또한, 상기 UE에게 상기 MBMS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전달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UE가 상기 MBMS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MBMS 서비스를 요청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현재 3GPP에서 제안되는 세션 메시지를 전송 방법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SGSN이 UE의 이동성을 고려하여 상기 UE에게 MBMS 서비스를 제공하는 RNC외에 RA에 위치한 모든 RNC들에게 세션 메시지를 전송한다. 따라서, 서비스 지역에 위치한 RNC들이 상기 UE가 요청한 MBMS 서비스에 대한 컨텍스트를 유지하여 상기 UE의 이동성에 따른 MBMS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고, MBMS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위한 3GPP 이동 통신망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위한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현재 3GPP 표준에 제안되고 있는 방식에 따라 세션 스타트(session start) 메시지를 전송할 때의 문제점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새롭게 제안하는 세션 스타트(session start) 메시지의 전송과정을 도시한 도면.

Claims (4)

  1.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MBMS)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서비스 패킷 무선 서비스 지원 노드(SGSN)이 방송 서비스의 시작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SGSN이 소정의 라우팅 지역내의 존재하는 다수의 무선망 제어기들에 대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의 시작을 알리는 메시지 전송 여부를 나타내는 리스트를 구비하는 과정과.
    소정의 단말기의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망 제어기들에 대한 상기 리스트를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GSN은 상기 소정의 단말기가 커넥티드 모드에서 아이들 모드로 천이함을 감지하여 상기 구비된 리스트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리스트를 통해 상기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은 소정의 무선망 제어기들로 상기 메시지를 다시 전송한 후, 상기 리스트를 갱신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MBMS)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SGSN이 상기 MBMS 서비스를 요청한 단말기에게 상기 MBMS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SGSN이 상기 MBMS의 시작을 알리는 메시지의 전송 여부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의 전송 유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식별자에 따라 상기 메시지의 전송이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면, 자신에게 속하는 라우팅 지역내의 위치하는 다수의 무선망 제어기들의 리스트를 확인하여 상기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은 소정의 무선망 제어기들에게 상기 메시지를 다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에 따라 상기 메시지의 전송이 존재함을 확인하면, 상기 SGSN은 상기 리스트를 확인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상기 MBMS 서비스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30080756A 2003-11-14 2003-11-14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066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756A KR101066319B1 (ko) 2003-11-14 2003-11-14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756A KR101066319B1 (ko) 2003-11-14 2003-11-14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485A true KR20050046485A (ko) 2005-05-18
KR101066319B1 KR101066319B1 (ko) 2011-09-20

Family

ID=37245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0756A Expired - Fee Related KR101066319B1 (ko) 2003-11-14 2003-11-14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63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708B1 (ko) * 2007-12-13 2009-12-30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방송 서비스 지원 시스템 및방법
US8385248B2 (en) 2007-12-13 2013-02-26 Posco ICT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6288B (zh) * 2015-04-08 2018-04-27 广东睿江云计算股份有限公司 任播通讯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39232A1 (en) * 2001-08-22 2003-02-27 Alessio Casati Method of sending a multicast message in such as a GPRS/UMTS network, and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708B1 (ko) * 2007-12-13 2009-12-30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방송 서비스 지원 시스템 및방법
US8385248B2 (en) 2007-12-13 2013-02-26 Posco ICT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6319B1 (ko) 2011-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3108B2 (en) Provision of a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MBMS) for a user equipment moving along cells in a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594101B1 (ko) 비추적 영역에서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79699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according to mobility of user equipment
US20050118992A1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rvice availability information about a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US7961662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BMS service relevant information transfer method for use therewith
US9277434B2 (en) Identification of UE counting results in eMBMS
KR20050083637A (ko) Mbms 포인트 대 포인트(ptp)와 포인트 대 멀티포인트(ptm)간의 채널 변경 방법
JP2005117655A (ja) マルチメディア放送/マルチキャストサービスのサービス有効性情報を送受信する方法
US765727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MBMS
AU2005273128B2 (en) Radio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for MBMS service
KR20060120591A (ko) Mbms용 공통 전송 채널 설정 방법
KR100689516B1 (ko)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서 선호주파수정보의 전달 방법 및 장치
US20070287392A1 (en) Mobility Handling
US20070232308A1 (en) Method for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Linking for Pmm Idle Mobiles
KR100790086B1 (ko)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유효성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KR101066319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US7839809B2 (en) Uninterrupted multicast service in a radiocommunication system
KR10104486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mbms서비스를 위한 망 노드간서비스정보 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1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11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9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9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