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45932A - 좌골지지식 의족 - Google Patents

좌골지지식 의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5932A
KR20050045932A KR1020040092340A KR20040092340A KR20050045932A KR 20050045932 A KR20050045932 A KR 20050045932A KR 1020040092340 A KR1020040092340 A KR 1020040092340A KR 20040092340 A KR20040092340 A KR 20040092340A KR 20050045932 A KR20050045932 A KR 20050045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shaft portion
saddle
sciatic
attach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2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사오 이케다
Original Assignee
이사오 이케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사오 이케다 filed Critical 이사오 이케다
Publication of KR20050045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5932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78Means for protecting prostheses or for attaching them to the body, e.g. bandages, harnesses, straps, or stockings for the limb stum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60Artificial legs or feet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433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using additional screws, bolts, dowels, rivets or washers e.g. connecting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476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locked by an additional locking mechanism
    • A61F2002/305Snap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002/5038Hinged joint, e.g. with transverse axle restricting the movement
    • A61F2002/5039Hinged joint, e.g. with transverse axle restricting the movement allowing only for single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002/5081Additional features
    • A61F2002/5084Additional features telescop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60Artificial legs or feet or parts thereof
    • A61F2/66Feet; Ankle joints
    • A61F2002/6614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78Means for protecting prostheses or for attaching them to the body, e.g. bandages, harnesses, straps, or stockings for the limb stump
    • A61F2002/7862Harnesses or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78Means for protecting prostheses or for attaching them to the body, e.g. bandages, harnesses, straps, or stockings for the limb stump
    • A61F2002/7875Means for protecting prostheses or for attaching them to the body, e.g. bandages, harnesses, straps, or stockings for the limb stump with releasable ratchets or pe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78Means for protecting prostheses or for attaching them to the body, e.g. bandages, harnesses, straps, or stockings for the limb stump
    • A61F2002/7881Means for protecting prostheses or for attaching them to the body, e.g. bandages, harnesses, straps, or stockings for the limb stump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25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25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220/0041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using additional screws, bolts, dowels or rivets, e.g. connecting scre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rosthes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결손된 다리쪽의 남은 대퇴부의 길이가 짧은 경우나, 다리가 가랑이관절부로부터 절단되어 대퇴부가 없는 경우라도, 원활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한다.
안장(1)과 안장(1)의 하면에 늘어뜨려 설치되어 대략 다리와 같은 길이를 한 축부(2)와, 축부(2) 하단에 부착된 다리부(8)를 구비한 좌골지지식 의족에 있어서, 안장(1)의 앞끝단부에 앞쪽 상하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부착된 앞쪽벨트 지지구(11)와, 안장의 뒷끝단부에 뒤쪽 상하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부착된 뒤쪽벨트 지지구(12)와, 앞·뒤쪽 벨트지지구(11,12)의 상단에 각각 접속되어 의족장착자의 허리둘레에 조임이 자유롭게 또한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허리벨트(13,14)를 구비한다. 또한, 앞·뒤쪽벨트 지지구(11,12)의 상단에 각각 끝단부가 접속되어 의족장착자의 어깨에 조임이 자유롭게 또한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어깨걸이밴드(15)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좌골지지식 의족 {HUCKLEBONE SUPPORTING TYPE ARTIFICIAL LEG}
본 발명은, 의족의 상단에 안장을 설치하고 가랑이 사이에 대어 좌골(座骨)로 체중을 지탱하는 좌골지지식 의족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의족의 상단에 안장을 설치하여 가랑이 사이에 대어 좌골로 체중을 지탱하는 동시에, 결손된 다리쪽의 남은 대퇴부를 의족에 고정하는 좌골지지식 의족으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의족」이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안장식 쌍지팡이」가 있다. 이것들은, 안장을 가랑이 사이에 대어 체중을 지탱하기 때문에, 사고, 지뢰, 질병등으로 다리를 결손 또는 부상한 경우에, 상처가 완치되지 않은 조기의 단계부터 의족을 장착하여 보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이것들은 종래의 의족과 같이, 결손된 다리의 결손부분의 형상에 맞추어 주문생산으로 제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양산이 가능하고, 저가격으로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특허문헌 1]
일본국 의장등록 제 116389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2002-34717호 공보
상술한 바와 같이, 좌골지지식 의족은 결손된 다리의 선단부에 하중이 걸리지 않기 때문에 장착감이 좋고, 또한, 특별한 보행훈련을 할 필요가 없어, 장착 후 금방 보행이 가능하게 되지만, 결손된 다리쪽의 남은 대퇴부의 길이가 짧은 경우는 의족과 대퇴부의 고정이 불충분하게 된다. 또한, 다리가 가랑이관절부로부터 절단되어 대퇴부가 없는 경우는, 의족을 대퇴부에 고정할 수가 없다. 이들의 경우는, 신체에 대한 의족의 부착이 불충분하게 되어, 보행동작중에, 뒤쪽의 의족을 끌어올려서 앞쪽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이 원활히 행하여지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의족을 결손된 다리쪽의 대퇴부에 고정하여 보행하는 경우, 의족의 선단의 다리부의 이동에 주목하면, 가랑이 사이의 안장부를 중심으로하여 다리부는 추와 같이 앞뒤로 이동을 한다. 이 때 다리부의 전방 위쪽으로의 흔들림각도와 후방 위쪽으로의 흔들림각도는 대략 같아진다. 한편, 의족을 착용하지 않은 건재한 다리쪽의 대퇴부의 움직임을 보면, 무릎관절이 있기 때문에, 대퇴부는 전방 위쪽으로의 흔들림각도가 커지게 되고, 그만큼, 뒤쪽으로의 흔들림각도는 작아진다. 이와 같이, 건재한 쪽의 대퇴부에 비교하여, 의족측의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뒤쪽으로 편재하게 되어, 결손측의 대퇴부에 건재시의 주행중에는 있을 수 없었던 후방으로의 기울기를 강제로 시키게 된다. 그 결과, 보행중에 대퇴부가 뒤쪽에 남고 의족이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경우는, 골반도 동시에 기울여지게 되어, 상반신이 앞으로 기울어지거나 비틀어지거나 하여, 보행자세가 흐트러지게 된다.
또한, 좌골지지식 의족을 장착한 상태의 자세를 앞쪽으로부터 보면, 건재한 다리쪽은 다리에 걸리는 체중을 골반의 끝단부의 가랑이관절로 지탱하고 있지만, 결손된 다리쪽은 의족을 착용하였기 때문에 다리에 걸리는 체중이 안장을 통해 가랑이 사이의 좌골부로 지탱하게 된다. 그 결과, 상체를 지지하는 자세가 좌우불균형하게 되어, 상체가 건재한 다리쪽으로 이동한 자세가 되기 쉽고, 보행중의 상체의 자세도 흐트러지기 쉬워진다. 그래서, 본 발명은, 결손된 다리쪽의 남은 대퇴부가 짧거나, 대퇴부가 없는 경우라도, 의족을 좌골부에 확실히 고정할 수 있는 좌골지지식 의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행중에 의족을 앞뒤로 이동시킬 때의 동작을 보다 원활하게 하여 자세의 흐트러짐을 적게 할 수 있는 좌골지지식 의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족에 걸리는 체중의 좌우불균형을 보다 적게 하여 장착감을 보다 개선한 좌골지지식 의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안장과, 해당 안장의 아랫면에 늘어뜨려 설치되어 대략 다리와 같은 길이를 한 축부와, 해당 축부 하단에 부착된 다리부를 구비한 좌골지지식 의족에 있어서, 상기 안장의 전단부에 전방상하방향의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부착된 앞쪽벨트 지지구와, 상기 안장의 후단부에 후방 상하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부착된 뒤쪽벨트 지지구와, 상기 앞·뒤쪽벨트 지지구의 상단에 각각 접속되어 의족장착자의 허리둘레에 조임이 자유롭게 또한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허리벨트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앞·뒤쪽벨트 지지구의 상단에 각각 끝단부가 접속되어 의족장착자의 어깨에 조임이 자유롭게 또한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어깨걸이밴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축부의 상부를 상기 안장의 중심의 접속위치로부터 결손된 다리쪽으로 비스듬히 앞쪽으로 오프세트하도록 굴곡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축부의 상단과 상기 안장과의 접속부를 나사를 사용한 조임구조로 하여, 상기 축부상부의 오프세트방향을 좌우전환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리부의 아래쪽 접지면의 전후방향 중간위치로서 좌우방향 한쪽에 오프세트한 위치를 상기 축부하단과의 접속위치로 함과 함께, 상기 축부하단과 상기 다리부와의 접속부를 나사를 사용한 조임구조로 하여, 상기 축부하단에 대한 상기 다리부의 오프세트방향을 좌우전환 가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축부상부에 비스듬히 전방 아랫방향에 부착되어 결손된 다리쪽의 대퇴부가 조임밴드에 의해 고정되는 오목면형상을 한 대퇴부 맞닿음부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축부의 중간에 상하이동이 자유로운 원통을 씌음과 함께, 해당 원통이 하강하고 있는 위치의 원통내의 축부를 상하 2분할하여 힌지결합시키고, 상기 원통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기 축부의 상부를 후방으로 경사가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축부의 임의의 구간을 2중축구조로 하는 동시에, 해당 2중축구조부분에 축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으로 복수의 직경방향구멍을 뚫어 형성하고, 또한 해당 구멍에 핀을 빼고넣기가 자유롭게 삽입하여 상기 축부의 길이를 단계적으로 조절가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좌골지지식 의족에 어깨걸이밴드를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은 정면도, 도 2는 좌측면도, 도 3은 우측면도, 도 4는 배면도, 도 5는 평면도, 도 6는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2로부터 어깨걸이밴드와 대퇴부를 고정하는 조임밴드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8은 어깨걸이밴드를 제거하여 허리벨트와 대퇴부를 고정하는 조임밴드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안장(1)의 아랫면의 대략 중심에 축부(2)가 접속되어 있다. 축부(2)의 상단 부근은, 안장(1)의 하부의 대략 중심으로부터 결손되어 있는 다리쪽의 비스듬히 앞으로 굴곡되는 것에 의해, 축부(2)의 하부측이 안장(1)의 중심으로부터 비스듬한 앞방향으로 오프세트되어 있다. 축부(2)의 상단가까이의 비스듬히 전방 아래방향으로 굴곡하고 있는 부분에, 오목면형상을 한 대퇴부 맞닿음부(3)이 부착되어 있다. 대퇴부 맞닿음부(3)의 위쪽에는, 대퇴부를 누르기 위한 조임밴드(4)가 접속되어 있다. 축부(2)의 대략 중간위치에는, 이음쇠(5)가 상하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맞춤되어, 그 안쪽에 후술하는 무릎관절이 내장되어 있다.
이음쇠(5)의 아래쪽의 축부(2)의 하부는, 나사가 부착된 이음쇠(6)가 나사부착되어, 이음쇠(6)보다 윗부분이 지름이 다른 2개의 파이프를 끼워 맞춤한 2중축구조로 구성되며, 그 부분에 축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그 관통구멍의 1세트에 클립핀(7)이 착탈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다. 이 이음쇠(6)를 느슨하게 하여 클립핀(7)을 빼냄으로써, 축부(2)의 길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가 있다. 축부(2)의 하단에는, 전후방향으로 긴 형상을 한 다리부(8)가 부착되어 있다. 다리부(8)는 전후방향 양 끝단이 위쪽으로 들어올려진 형상을 하고, 폭방향의 중심이 축부(2)의 중심보다도 안쪽에 오프세트되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안장(1)의 앞끝단에는, 좌우 한쌍의 브래킷쇠장식(31)에 의해, 앞쪽벨트 지지구(11)가 상하방향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안장(1)의 뒷끝단에는, 좌우 한쌍의 브래킷쇠장식(32)에 의해, 뒤쪽벨트 지지구(12)가 상하방향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이들 앞쪽벨트 지지구(11)와 뒤쪽벨트 지지구(12)의 윗끝단에는, 의족장착자의 허리부분에 감아붙여지는 좌우 한쌍의 허리벨트(13,14)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들 허리벨트(13,14)는, 그 끝단부에 설치된 버클(33,34)에 의해, 착탈 및 조임조절이 자유롭다. 또한, 앞쪽벨트 지지구(11)와 뒤쪽벨트 지지구(12)의 각각의 상단에는, 어깨걸이밴드(15)가 접속되어, 의족장착자의 양 어깨에 걸린다. 어깨걸이밴드(15)는, 그 중간에 설치된 버클(35,36)에 의해 착탈 및 조임조절이 자유롭다.
도 9 및 도 10은 안장(1)과 축부(2)의 연결부를 나타내고, 도 9는 안장(1)부분의 하면도이고, 도 10은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장(1)의 아랫면에 돌출설치된 안장축(1a)에, 비스듬한 크랭크형상으로 굴곡형성된 축부(2)의 상단(2a)이 끼워맞춤된다. 상단(2a)의 측면에 형성된 슬릿(S)의 부분을 관통하는 2개의 볼트를 조이는 것에 의해, 상단(2a)이 안장축(1a)에 고정된다. 이 2개의 볼트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상단(2a)을 좌우로 흔들어, 결손된 다리쪽의 기울어지는 앞쪽으로 향한다. 이 때의 흔들림각도는 45도가 적당하다.
도 11 및 도 12는 축부(2)의 상단(2a)에 대퇴부 맞닿음부(3)을 부착하는 구조를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안장쇠장식(16)을 상단(2a)에 접촉하여 2개의 볼트를 조임으로써, 대퇴부 맞닿음부(3)이 상단(2a)에 고정된다. 이 볼트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대퇴부 맞닿음부(3)이 상단(2a)에 대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되어, 대퇴부 맞닿음부(3)이 결손된 다리쪽의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이 대퇴부 맞닿음부(3)을 상단(2a)에 비스듬히 전방 아래쪽으로 향하여 부착함으로써, 결손된 다리쪽의 대퇴부가 스스로의 무게에 저항하여 지탱되어 그만큼 보행이 용이해진다.
도 13은 축부(2)의 도중에 형성된 무릎관절부를 구부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축부(2)의 중간부는, 상하 2분할되어, 그 상하부분에 세트이음쇠(17,18)가 고정되고, 그 사이에 이음쇠(5)가 상하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맞춤되어 있다. 분할부의 아래쪽 상단에는 2산 클레비스(19)가 형성되고, 분할부의 위쪽 하단에는 2산 클레비스(19)에 대응한 돌기부(21)가 형성되어, 클레비스(19)와 돌기부(21)를 끼워 맞춤한 상태에서 핀(22)을 끼워 통과하는 것에 의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통상은, 이 무릎관절부를 늘린 상태에서, 이음쇠(5)를 하강시켜 무릎관절부를 덮음으로써, 축부(2)의 상하가 일직선의 강체의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무릎관절은, 의족장착자가 보행을 중단하고 의자 등에 걸터앉을 때에, 이음쇠(5)를 상승시키고 나서 축부(2)의 상부를 뒤쪽으로 구부림으로써 무릎관절이 굴곡 가능해진다. 보행을 시작하는 경우는, 무릎관절을 늘리고 나서 이음쇠(5)를 아래쪽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축부(2)의 상하가 일직선의 상태가 되어, 보행이 가능해진다. 또, 도 9 내지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사용하는 볼트로서 육각구멍이 형성된 볼트를 사용하면, 육각렌치 1개로 분해조립이 가능해진다.
도 14 및 도 15는 축부(2)의 하단을 나타내는 외관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축부(2)는 파이프재로 이루어지고, 그 하단의 안쪽에 축부(2)보다 한층 가느다란 중간축(2b)이 출입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다. 축부(2)와 중간축(2b)에는 일정간격으로 직경방향에 관통구멍(2c,2d)이 형성되어 있다. 축부(2)와 중간축(2b)의 끼워맞춤량을 조절하여, 관통구멍(2c,2d)에 클립핀(7)을 삽입함으로써, 축부(2)의 길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클립핀(7)은 Ω자 형상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클립의 중심부분에 핀을 부착한 것으로, 축부(2)와 원터치로 착탈이 가능하다. 축부(2)의 하단부의 바깥둘레부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그 나사부에 나사가 부착된 이음쇠(6)를 나사식 접착하여 조임으로써, 축부(2)와 중간축(2b)이 반동을 발생하지 않고 접속된다.
또한, 중간축(2b)의 하단은, 다리부(8)의 표면의 한쪽에 오프세트한 위치에 돌출설치된 보스부(8a)에 삽입된 상태에서, 보스부(8a)의 측면에 형성된 슬릿부분을 볼트에 의해 조임으로써 다리부(8)가 고정되어 있다. 통상, 다리부(8)의 중심은 안쪽으로 오프세트시키고 있지만, 장착자가 의족장착직후의 보행이 되지않는 시점에서는, 다리부(8)를 바깥쪽으로 오프세트시켜서 보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다리부(8)는, 축부(2)의 상단(2a)이 좌우 어느 한쪽으로 오프세트되면 그것에 맞춰서, 방향이 조정된다. 또한, 도 6의 저면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다리부(8)는, 앞부분이 비스듬히 바깥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좌골지지식 의족은, 도 17과 같이 장착된다. 우선, 안장과 축부(2)의 연결부를 느슨하게 하고, 장착자의 결손된 다리의 방향에 맞춰서 축부(2)를 고정한다. 마찬가지로, 다리부(8)의 방향도 맞춰서 고정한다. 다음에, 이음쇠(6)를 느슨하게 하여 클립핀(7)을 빼냄으로써, 축부(2)의 길이를 건재하는 쪽의 다리에 맞춰서 조절한다. 여기서, 안장을 가랑이 사이에 닿게 함과 함께, 대퇴부 맞닿음부(3)에 결손된 다리쪽에 남아 있는 대퇴부를 얹고, 조임밴드(4)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이 때, 3개로 나눠져 있는 조임밴드(4)의 가장 위쪽의 앞뒤 양끝단의 버클은, 앞쪽벨트 지지구(11)와 뒤쪽벨트 지지구(12)의 각각의 하단부에 접속한다.
이어서, 좌우 한 쌍의 허리벨트(13, 14)를 의족장착자의 허리부분에 감아붙이고, 그 앞끝단의 버클(33,34)을, 앞쪽벨트 지지구(11)의 상단부에 접속하는 동시에 장력을 조절한다. 또한, 의족장착자의 양 어깨에, 어깨걸이밴드(15)를 걸고, 앞부분에서 버클(35,36)에 의해 앞쪽벨트 지지구(11)측에 접속하는 동시에 장력을 조절한다. 또한, 이 어깨걸이밴드(15)는, 허리벨트(13,14)와 대퇴부의 조임밴드(4)로 안장이 확실히 고정되는 경우에는, 장착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장착이 완료되어, 장착자는 즉시 보행을 개시할 수가 있다.
또한, 장착자가 보행도중에, 차에 승차하려고 하거나, 의자에 걸터앉으려고 하는 경우는, 체중을 건재하는 다리쪽으로 옮긴 후, 이음쇠(5)를 위로 조정하여, 무릎관절을 뒤쪽으로 구부림으로써, 앉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보행을 재개하는 경우는, 무릎관절을 늘리고 이음쇠(5)를 아래로 조정함으로써 보행이 가능해진다. 또, 도시예에서는, 안장(1)의 앞·뒤끝단에 앞쪽벨트 지지구(11)와 뒤쪽벨트 지지구(12)를 부착하고, 그것들의 상단에 허리벨트(13,14)를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안장의 앞·뒤끝단을 위쪽으로 연장설치하고, 그것들의 상단에 허리벨트(13,14)를 직접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으로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사고, 지뢰, 병 등으로 하지가 결손된 경우의 의족으로서 이용하는 것 이외에, 골절 또는 부상 때문에, 한쪽의 다리가 체중을 지탱 할 수 없는 경우에 쌍지팡이 대신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안장의 앞·뒤끝단부에 상하방향의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각각 앞·뒤쪽벨트 지지구를 부착하고, 그 앞·뒤쪽벨트 지지구의 상단에 각각 허리벨트를 접속하여 의족장착자의 허리둘레에 조이기가 자유롭고,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함으로써, 의족의 장착성이 향상하여, 안정한 보행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앞·뒤쪽벨트 지지구의 상단에 어깨걸이밴드의 끝단부를 접속하여 의족장착자의 어깨에 안장을 아래로 매달리도록 지지함으로써, 의족의 장착성이 더욱 향상하여, 안정한 보행이 가능해진다.
또한, 축부의 상부를 안장의 중심의 접속위치로부터 결손된 다리쪽의 비스듬히 앞쪽으로 오프세트시킴으로써, 체중을 지탱하는 의족의 안정성이 증가하여, 보행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축부의 상단과 안장과의 접속부를 나사를 사용한 조임구조로 하여, 상기 축부상단의 오프세트방향을 좌우로 전환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오른발용 의족과 왼발용 의족을 공통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다리부의 아래쪽 접지면의 전후방향 중간위치이면서 좌우방향의 한쪽으로 오프세트한 위치를 축부하단과의 접속위치로 함가 함께, 축부하단과 다리부와의 접속부를 나사를 사용한 조임구조로 하고, 축부하단에 대한 다리부의 오프세트방향을 좌우전환 가능하게 함으로써, 다리부에 대해서도, 오른발용 의족과 왼발용 의족을 공통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의족장착후의 보행의 익숙도에 따라서 다리부의 오프세트방향을 전환하여 가려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좌골지지식 의족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좌골지지식 의족의 좌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좌골지지식 의족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좌골지지식 의족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좌골지지식 의족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좌골지지식 의족의 저면도.
도 7은 도 2로부터 어깨걸이밴드와 대퇴부를 고정하는 조임밴드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8은 동 어깨걸이밴드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안장부분의 하면도.
도 10은 안장부분의 측면도.
도 11은 축부의 상단에 대퇴부 맞닿음부를 부착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축부의 상단에 대퇴부 맞닿음부를 부착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축부의 도중에 형성된 무릎관절부를 구부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축부의 하단을 나타내는 외관도.
도 15는 축부의 하단을 나타내는 외관도.
도 16은 도 15의 A-A 선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관한 좌골지지식 의족을 장착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장 1a : 안장축
2 : 축부 2a : 상단
2b : 중간축 2c, 2d : 관통구멍
3 : 대퇴부 맞닿음부 4 : 조임밴드
5, 6 : 이음쇠 7 : 클립핀
8 : 다리부 8a : 보스부
11 : 앞쪽벨트 지지구 12 : 뒤쪽벨트 지지구
13, 14 : 허리벨트 15 : 어깨걸이밴드
16 : 안장쇠장식 17, 18 : 세트이음쇠
19 : 2산 클레비스 21 : 돌기부
22 : 핀 31, 32 : 브래킷 쇠장식
33∼36 : 버클 S : 슬릿

Claims (8)

  1. 안장과, 이 안장의 아랫면에 늘어뜨려 설치되고 대략 다리와 같은 길이를 한 축부와, 이 축부 하단에 부착된 다리부를 구비한 좌골지지식 의족에 있어서,
    상기 안장의 앞끝단부에 전방 상하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부착된 앞쪽벨트 지지구와,
    상기 안장의 뒷끝단부에 후방 상하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부착된 뒤쪽벨트 지지구와,
    상기 앞·뒤쪽벨트 지지구의 상단에 각각 접속되어 의족장착자의 허리둘레에 조임이 자유롭게 또한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허리벨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골지지식 의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앞·뒤쪽벨트 지지구의 상단에 각각 끝단부가 접속되고 의족장착자의 어깨에 조임이 자유롭게 또한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어깨걸이밴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골지지식 의족.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의 상부를 상기 안장의 중심의 접속위치로부터 결손된 다리쪽 비스듬히 앞쪽으로 오프세트하도록 굴곡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골지지식 의족.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의 상단과 상기 안장과의 접속부를 나사를 사용한 조임구조로 하고, 상기 축부 상부의 오프세트방향을 좌우로 전환이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골지지식 의족.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아래쪽 접지면의 전후방향 중간위치이면서 좌우방향 한쪽으로 오프세트한 위치를 상기 축부하단과의 접속위치로 함과 함께, 상기 축부하단과 상기 다리부와의 접속부를 나사를 사용한 조임구조로 하고, 상기 축부하단에 대한 상기 다리부의 오프세트방향을 좌우로 전환이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골지지식 의족.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상부에 비스듬히 앞쪽 아래방향에 부착되어 결손된 다리쪽의 대퇴부가 조임밴드에 의해 고정되는 오목면형상을 한 대퇴부 맞닿음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골지지식 의족.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의 중간에 상하로 이동이 자유로운 원통을 씌우는 동시에, 이 원통이 하강하고 있는 위치의 원통내의 축부를 상하 2분할하여 힌지결합시키고, 상기 원통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기 축부의 상부를 뒤쪽으로 경사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골지지식 의족.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의 임의의 구간을 2중축구조로 함과 함께, 이 2중축 구조부분에 축방향으로 적절한 간격으로 복수의 직경방향구멍을 뚫어 형성하고, 또한 이 구멍에 핀을 빼고 넣기가 자유롭게 삽입하여 상기 축부의 길이를 단계적으로 조절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골지지식 의족.
KR1020040092340A 2003-11-12 2004-11-12 좌골지지식 의족 Withdrawn KR200500459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82015 2003-11-12
JP2003382015A JP4443896B2 (ja) 2003-11-12 2003-11-12 座骨支持式義足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932A true KR20050045932A (ko) 2005-05-17

Family

ID=34544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2340A Withdrawn KR20050045932A (ko) 2003-11-12 2004-11-12 좌골지지식 의족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50102039A1 (ko)
JP (1) JP4443896B2 (ko)
KR (1) KR20050045932A (ko)
CN (1) CN1615804A (ko)
DE (1) DE102004054085A1 (ko)
TW (1) TW2005170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534A (ko) * 2020-10-26 2022-05-04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단계분석 및 예측제어가 가능한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의족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34880B4 (de) * 2010-08-19 2013-06-13 Horst Gingel Beinprothese
US20190183662A9 (en) * 2014-07-01 2019-06-20 James Jay Martin Transfemoral level interface system using compliant members
CN106983630B (zh) * 2016-01-21 2019-06-28 上海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多自由度髋部支撑及检测装置
CN108272601A (zh) * 2018-01-17 2018-07-13 刘路清 一种用于腿部康复治疗的助步装置
CN112656555B (zh) * 2020-12-25 2022-06-10 江苏启源碳纤维制品有限公司 一种可拼接的高强度碳纤维假肢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2256A (en) * 1913-05-15 1913-12-23 John T Apgar Artificial leg.
US1299980A (en) * 1919-01-07 1919-04-08 Andrew Marcinko Artificial limb.
US2008897A (en) * 1930-04-14 1935-07-23 Carnes Artificial Limb Company Artificial leg
US3272210A (en) * 1964-09-24 1966-09-13 Boruvka Otto Telescopic folding crutch
US4697808A (en) * 1985-05-16 1987-10-06 Wright State University Walking assistance system
US4790855A (en) * 1986-09-03 1988-12-13 Jolly David F Total elastic support member for use with an orthopedic device
JP2758076B2 (ja) * 1989-04-28 1998-05-25 チャールズ フンベルト 片足障害者用成形外科器具
US5529576A (en) * 1994-03-23 1996-06-25 United States Manufacturing Company Prosthetic limb and alignment adapter
US5482070A (en) * 1994-10-04 1996-01-09 Kelly; James V. Combined adjustable crutch and ca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534A (ko) * 2020-10-26 2022-05-04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단계분석 및 예측제어가 가능한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의족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17097A (en) 2005-06-01
JP2005143618A (ja) 2005-06-09
CN1615804A (zh) 2005-05-18
DE102004054085A1 (de) 2005-07-14
US20050102039A1 (en) 2005-05-12
JP4443896B2 (ja) 201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8116B2 (en) Hucklebone supporting-type artificial leg
AU2002335696B2 (en) Contoured knee brace frame
US6689080B2 (en) Joint brace with limb-conforming arcuately adjustable cuffs
JP4792470B2 (ja) オフセットヒンジを有する整形外科用装具のフレーム
US8529484B2 (en) Orthotic foot brace
JP5822268B2 (ja) 膝装具
EP1993492B1 (en) Below knee orthosis
US20070276306A1 (en) One piece brace liner having multiple adjustment zones
US20100324461A1 (en) Adjustable splinting device
AU2002335696A1 (en) Contoured knee brace frame
JP2011131025A (ja) 歩行補助装置の腰部装具および歩行補助装置
JP2005500131A (ja) 膝装具用ストラップタブキャップ
US20080139985A1 (en) Patella Femoral Brace
EP2533734B1 (en) Orthotic foot brace for remediation of foot drop symptoms
KR20050045932A (ko) 좌골지지식 의족
AU2004255126A1 (en) Improved pack and frame for pack
CN102753121B (zh) 用于撕裂的前交叉韧带的膝部矫形器
JP6713124B1 (ja) 短下肢装具の後方支柱および短下肢装具
JP2010110365A (ja) 長下肢装具
JP4181445B2 (ja) 吊下げ用歩行補助具
KR100648639B1 (ko) 무릎관절견인장치
KR20190084450A (ko) 팔 근력 보조기구
WO2008040878A1 (fr) Dispositif de support d&#39;une personne sur une bicyclette
KR20250091565A (ko) 하지 보조기
JP2017196187A (ja) 短下肢装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