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40517A - 허혈성 질환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형질전환 생쥐 - Google Patents

허혈성 질환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형질전환 생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0517A
KR20050040517A KR1020030075751A KR20030075751A KR20050040517A KR 20050040517 A KR20050040517 A KR 20050040517A KR 1020030075751 A KR1020030075751 A KR 1020030075751A KR 20030075751 A KR20030075751 A KR 20030075751A KR 20050040517 A KR20050040517 A KR 20050040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omerase
mouse
ischemic disease
ischemic
transgenic mou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5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웅
최윤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리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리엔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리엔트
Priority to KR1020030075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0517A/ko
Publication of KR20050040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051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27New or modified breeds of vertebrates
    • A01K67/0275Genetically modified vertebrates, e.g. transgenic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10Mammal
    • A01K2227/105Murin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0Processes for the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of DNA or RNA
    • C12N15/1096Processes for the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of DNA or RNA cDNA Synthesis; Subtracted cDNA library construction, e.g. RT, RT-PC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체에서 텔로머라제를 발현시켜서 허혈성 질환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형질전환 생쥐, 전기 형질전환 생쥐의 작제방법 및 전기 형질전환 생쥐를 모델동물로 사용하여 허혈성 질환 치료제를 검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텔로머라제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생쥐는 허혈에 의한 저항성이 현저히 우수하므로, 허혈성 질환의 치료제 개발을 위한 동물모델로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허혈성 질환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형질전환 생쥐{Transgenic Mouse Possessing Resistance for Ischemia}
본 발명은 허혈성 질환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형질전환 생쥐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성체에서 텔로머라제를 발현시켜서 허혈성 질환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형질전환 생쥐, 전기 형질전환 생쥐의 작제방법 및 전기 형질전환 생쥐를 모델동물로 사용하여 허혈성 질환 치료제를 검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로머라제(telomerase)는 세포내에서 염색체 말단에 있는 텔로미어의 길이를 유지하는 효소이다. 텔로머라제의 활성이 거의 없는 체세포는 분열과정을 반복하면서 텔로미어의 길이는 점차 줄어들고, 어떤 특정길이 이하로 짧아지면 세포가 죽음에 이른다는 것이 알려져 있어, 텔로미어의 길이는 세포의 노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또한, 체세포가 암화되어 계속 분열을 하기 위해서는 텔로머라제가 재활성되어야 한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많은 종류의 암에서 텔로머라제의 활성이 증가되어 있음이 연구자들에 의해 보고되었다(참조: Cerni, Mutation Research, 462:31-47, 2000; Blasco et al., Genes & Development, 13:2353-2359, 1999). 아울러, 텔로머라제의 발현이 발생단계의 뇌세포의 생존을 촉진시킨다는 연구결과도 보고되었다(참조: Yamaguchi et al., Exp. Cell Res., 242(1):120-127, 1998; Fu et al., J. Mol. Neurosci., 14(1-2):3-15, 2000).
지금까지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뇌세포에서 텔로머라제의 발현을 억제하는 경우, 뇌세포가 세포자멸(apoptosis) 또는 세포괴사(excitotoxicity)에 더 민감하게 반응함을 알 수 있었으므로, 텔로머라제의 활성도가 뇌세포의 생존에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텔로머라제의 기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생체에서 텔로머라제의 기능을 연구하기에 큰 어려움이 있었다. 즉, 포유류는 태어나자마자 급속히 텔로머라제의 발현양이 감소하기 때문에, 실험적으로 사용하는 포유동물에서는 텔로머라제의 활성을 거의 측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출산되지 않은 배아를 대상으로 실험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성체에서 텔로머라제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 수 없었으므로, 텔로머라제의 연구에 별다른 진전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성체에서 텔로머라제의 역할을 연구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여야 할 필요성이 끊임없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성체에서 텔로머라제의 역할을 연구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성체에서도 텔로머라제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생쥐를 작제하는데 성공하였으며, 전기 형질전환 생쥐를 이용하여 규명된 텔로머라제의 신규한 역할인 허혈상태의 손상을 억제하는 특성을 기반으로, 허혈성 질환의 치료제를 검색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허혈성 질환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형질전환 생쥐를 작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 방법으로 작제된 형질전환 생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 형질전환 생쥐를 이용하여 허혈성 질환의 치료제를 검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허혈성 질환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형질전환 생쥐의 작제방법은 생쥐의 수정란에 텔로머라제 cDNA를 포함하는 발현벡터를 도입시켜서, 형질전환된 수정란을 수득하는 단계; 및, 전기 수득한 수정란을 대리모에 착상시키고, 착상된 수정란을 발생시켜서, 텔로머라제를 발현시키는 성체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텔로머라제 cDNA가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생쥐의 텔로머라제 cDNA(서열번호 1)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텔로머라제가 성체에서도 발현되는 형질전환 생쥐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텔로머라제 cDNA(서열번호 1)를 진핵세포에서 유전자를 발현시킬 수 있는 프로모터와 폴리아데닌(polyA) 형성부위 사이에 삽입시킴으로써 발현벡터 pTERT를 작제하고, 이를 FVB/N 생쥐의 수정란에 미세주입한 후, 대리모인 ICR 암컷 생쥐의 난관에 이식하여 형질전환 생쥐를 작제하였다. 이어, 유전자가 게놈에 삽입되었는지 써던블롯(Southern blot)법을 이용하여 확인하고, 텔로머라제가 생쥐 뇌에서 발현됨을 역전사-중합연쇄반응(reverse-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전기 작제한 형질전환 생쥐를 대상으로 뇌에서 텔로머라제의 기능을 조사한 결과, 텔로머라제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생쥐의 뇌는 정상쥐의 뇌보다 허혈성 질환(ischemia)에 대하여 저항성이 높고, 텔로머라제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생쥐는 N-메틸-D-아스파르트산(N-methyl-D-aspartate, NMDA)에 의해 괴사되는 정도가 정상 생쥐보다 낮음을 알 수 있었는데, NMDA가 뇌의 허혈상태에서 대량으로 분비되는 물질임을 감안한다면, 본 발명의 형질전환 생쥐는 NMDA의 독성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어 허혈에 의한 뇌의 손상이 감소됨을 예측할 수 있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형질전환 생쥐를 서로 교배시켜서 자손 생쥐를 수득한 경우, 자손 생쥐의 성체에서도 텔로머라제가 발현되고, 허혈성 질환에 대하여 저항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작제된 형질전환 생쥐의 수정란을 "TERT(transgenic mouse fertilized egg)"라고 명명하고, 2002년 5월 3일자로 국제기탁기관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은행(KCTC)에 기탁번호 KCTC 10237BP로 기탁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의하면, 본 발명의 형질전환된 생쥐는 허혈성 질환의 치료제의 개발에 이용될 수도 있다. 즉, 종래의 생쥐를 이용할 경우에는 허혈성 질환을 유발시켰을 때, 각종 장기 특히 뇌부분의 손상이 심하여, 허혈성 질환의 치료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 물질을 투여하여도 그의 정상적인 효과를 측정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형질전한된 생쥐는 허혈성 질환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어, 허혈에 의한 각종 장기의 손상이 현저히 감소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형질전한된 생쥐에 허혈성 질환을 유발시키고, 허혈성 질환의 치료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 물질을 투여할 경우에, 전기 투여된 물질의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허혈성 질환의 치료제의 개발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허혈성 질환의 치료제를 검색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형질전환 생쥐에 허혈성 질환을 유발시키는 단계; 전기 허혈성 질환이 유발된 형질전환 생쥐에 허혈성 질환 치료의 약리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물질을 투여하는 단계; 및, 전기 물질이 투여된 형질전환 생쥐의 조직괴사 정도를 측정하여, 허혈성 질환의 치료에 유효한 물질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허혈성 질환을 유발하는 방법이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외과적 수술 또는 허혈증상을 유발하는 물질을 처리하여 유발시킴이 바람직한데, 외과적 수술은 대뇌피질로 통하는 동맥을 막아 혈액의 공급을 완전 중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허혈증상을 유발하는 물질로는 NMDA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허혈성 질환의 치료제를 검색하는 방법의 실질적인 유용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공지된 허혈 증상 치료제를 이용하여, 허혈성 질환의 치료제를 검색하는 방법이 실질적으로 사용가능한지 알아보았다. 즉, 본 발명의 형질전환 생쥐와 정상 생쥐에 각각 허혈성 질환을 유발시키고, WO 01/51613(2001. 7. 19. 공개)에 개시된, 허혈 상태에서 세포생존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테트라사이클린과 허혈 상태에서 세포생존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앰피실린을 각각 투여한 다음, 뇌의 조직괴사 정도를 측정한 결과, 정상 생쥐를 이용한 경우에는 테트라사이클린을 투여한 생쥐와 앰피실린을 투여한 생쥐의 뇌조직에서 조직 괴사정도의 차이가 구별되지 않은 반면, 본 발명의 형질전환 생쥐를 이용한 경우에는 테트라사이클린을 투여한 생쥐와 앰피실린을 투여한 생쥐의 뇌조직에서 조직 괴사정도의 차이가 명확히 구별되었으므로, 허혈성 질환의 치료제를 검색하는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형질전환 생쥐가 모델동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형질전환 생쥐의 작제
먼저, 생쥐의 텔로머라제 cDNA(서열번호 1)를 닭의 베타-액틴 프로모터(chicken beta-actin promoter)와 토끼의 베타-글로빈 폴리아데닌(rabbit β-glogin polyA) 형성부위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발현벡터 pTERT를 제작하였다(참조: 도 1). 도 1은 텔로머라제를 발현하는 발현벡터 pTERT를 나타내는 유전자 지도이다.
배란유도제(PMSG)와 난포자극 호르몬(HCG)을 각각 5IU씩 자성 생쥐의 복강내에 투여하여 과배란을 유도한 후, 난관의 팽대부를 절제하여 수정란을 수득하고, 하이알루로니다제(300ng/ml)를 2분정도 처리하여 난구세포들을 제거하여 수정란만을 수득하였다. 전기 수득한 수정란 중, 핵이 잘 보이는 것에 미세조작기를 이용하여 전기 발현벡터 pTERT를 삽입하고, 전기 수정란을 대리모인 ICR 암컷쥐의 난관에 이식하여 임신시킨 후, 출산시켰다. 출산된 새끼들의 꼬리를 1cm 가량 자른 후, 이로부터 DNA를 추출하여 텔로머라제 발현벡터가 염색체내에 삽입여부를 써던블롯법을 이용하여 확인하고, 삽입된 유전자로부터 mRNA가 발현이 되는지의 여부를 역전사-핵산중합효소연쇄반응법을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출산된 새끼의 일부 개체의 DNA에 삽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생쥐의 텔로머라제 cDNA(서열번호 1)가 발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전기 작제된 형질전환 생쥐를 서로 교배시켜서, 자손 1세대 생쥐를 수득한 다음, 수득한 자손 1세대를 대상으로 하여, 상술한 써던블롯법과 역전사-핵산중합효소연쇄반응법을 시험한 결과, 자손 1세대에서도 생쥐의 텔로머라제 cDNA(서열번호 1)가 DNA에 삽입되어 발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작제된 형질전환 생쥐의 수정란을 "TERT(transgenic mouse fertilized egg)"라고 명명하고, 2002년 5월 3일자로 국제기탁기관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은행(KCTC)에 기탁번호 KCTC 10237BP로 기탁하였다.
실시예 2: 텔로머라제 유전자의 발현량 측정
전기 실시예 1에서 작제된 형질전환 생쥐에서 발현되는 텔로머라제 유전자의 발현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정량적 역전사-핵산중합효소연쇄반응법(Quantitative RT-PCR)을 수행하였다. 즉, 전기 실시예 1에서 작제된 형질전환 생쥐의 꼬리조직으로부터 분리한 mRNA를 역전사반응시켜서 cDNA를 수득한 다음, 수득한 cDNA를 PCR방법으로 증폭시키고, 증폭된 DNA양을 검출함으로써, 증폭전의 유전자의 발현량을 유추하였다(참조: 도 2). 도 2는 정상 생쥐와 형질전환 생쥐의 뇌에서 발현되는 텔로머라제의 양을 정량적으로 비교한 그래프로서, WT는 정상 생쥐를 나타내고, TG는 형질전환된 생쥐를 나타낸다. 도 2에서 보듯이, 형질전환 생쥐에서 정상 생쥐보다 텔로머라제가 많이 발현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형질전환 생쥐의 뇌의 허혈에의한 손상 측정
정상생쥐와 실시예 1에서 작제된 형질전환 생쥐를 대상으로, 각각 6-8주령의 숫컷 생쥐를 선별한 다음, 외과적 수술을 통하여 대뇌피질로 통하는 동맥을 막아 혈액의 공급을 완전 중단시켰다. 24시간이 지난 후, 각 생쥐에서 뇌를 적출하고, 적출된 뇌의 조직으로 조직박편 시료를 제작한 다음, 이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허혈손상으로 인해 사멸된 부위의 용적을 측정하였다(참조: 도 3). 도 3은 정상 생쥐(WT)와 형질전환 생쥐(TERT-TG)의 허혈에 의한 뇌손상을 비교한 그래프로서, 형질전환 생쥐의 뇌는 정상의 쥐에 비하여 허혈에 의한 뇌의 손상이 1/3 정도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텔로머라제의 발현이 허혈에 의한 뇌세포의 손상을 억제함을 예측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신경세포에대한 NMDA 독성정도 측정
전기 실시예 3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허혈상태에서 뇌로부터 대량으로 분비되는 NMDA에 의한 세포괴사에 대하여, 텔로머라제가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즉, 임신한지 15.5일 경의 텔로머라제 형질전환 생쥐의 태아를 추출하여, 태아의 전뇌부분을 해부현미경하에서 적출하고, 이를 배양액(MEM media, 5% horse serum, 2mM glutamine, 20mM glucose)에서 48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NMDA를 30, 100 및 1000μM의 농도로 각각 처리하고, 다시 24시간동안 배양한 후, 락테이트 디하이드로게나제(lactate dehydrogenase, LDH)의 활성을 측정하여 세포괴사(excitotoxicity)의 정도를 측정하였다(참조: 도 4). 도 4는 정상 생쥐와 형질전환 생쥐의 NMDA에 의한 세포괴사 정도를 NMDA의 농도별로 비교한 그래프로서, (●)는 정상쥐이고, (○)는 형질전환 생쥐를 나타낸다. 도 4에서 보듯이, 형질전환 생쥐가 정상쥐보다 NMDA에 의한 세포괴사 정도가 현저히 낮음을 알 수 있었다. NMDA는 뇌의 허혈시 대량으로 방출되고, 글루타메이트(glutamate)와 결합하여 활성화되며, 활성화된 NMDA는 특히 신경세포의 괴사를 유발시키므로, NMDA에 의한 신경세포 괴사를 텔로머라제가 감소시킨다는 결과는, 텔로머라제가 허혈에 의한 뇌 세포 손상을 감소시킨다는 실시예 3의 결과를 뒷받침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텔로머라제의 활성 억제효과 측정
전기 실시예 3 및 4에서 나타난 결과가 텔로머라제의 활성에 기인한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텔로머라제 효소 활성을 저해하는 물질로 알려진 AZT(참조: Gomez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246(1):107-110, 1998; Melana et al., Clin. Cancer. Res., 4(3):693-696, 1998)를 이용하여, 텔로머라제가 활성화된 조직과 활성화되지 않은 조직의 NMDA에 의한 신경세포 괴사정도를 측정하였다.
즉, 임신한지 15.5일 경의 텔로머라제 형질전환 생쥐의 태아를 추출하여, 태아의 전뇌부분을 해부현미경하에서 적출하고, 이를 배양액(MEM media, 5% horse serum, 2mM glutamine, 20mM glucose)에서 48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2일간 AZT(농도: 5μM)를 처리하여 텔로머라제의 활성을 감소시킨 다음, NMDA를 30, 100 및 1000μM의 농도로 각각 처리하고, 다시 24시간동안 배양한 후, 락테이트 디하이드로게나제의 활성을 측정하여 세포의 괴사의 정도를 측정하였다(참조: 도 5). 도 5는 텔로머라제의 활성화 여부에 따른, NMDA에 의한 세포괴사 정도를 NMDA의 농도별로 비교한 그래프로서, (■)는 텔로머라제가 활성화된 세포를 나타내고, (▨)는 텔로머라제가 활성화되지 않은 세포를 나타낸다. 도 5에서 보듯이, 텔로머라제가 활성화되지 않은 세포에서 세포괴사 정도가 증가됨을 알 수 있었는 바, NMDA 독성에 대한 저항성은 텔로머라제의 활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허혈성 질환의 치료제를 검색
WO 01/51613(2001. 7. 19. 공개)에 개시된, 허혈상태에서 세포생존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테트라사이클린과 허혈상태에서 세포생존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앰피실린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형질전환 생쥐가 허혈성 질환의 치료제를 검색하는 방법에 유용한지를 알아보았다.
즉, 정상생쥐와 실시예 1에서 작제된 형질전환 생쥐를 대상으로, 각각 6-8주령의 숫컷 생쥐를 선별한 다음, 외과적 수술을 통하여 대뇌피질로 통하는 동맥을 막아 혈액의 공급을 완전 중단시키고, 1㎎/㎖ 농도의 테트라사이클린 10㎖와 1㎎/㎖ 농도의 앰피실린 10㎖를 각각 연수를 통하여 뇌에 주사하였다. 24시간이 지난 후, 각 생쥐에서 뇌를 적출하고, 적출된 뇌의 조직으로 조직박편 시료를 제작한 다음, 이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허혈손상으로 인해 사멸된 부위의 용적을 측정하였다(참조: 표 1).
허혈손상으로 인해 사멸된 부위의 용적 비교
처리군 허혈손상으로 인해 사멸된 부위의 용적(㎣)
앰피실린 처리 테트라사이클린 처리
정상 생쥐 43.1 ±4.8 38.5 ±5.0
형질전환 생쥐 16.7 ±2.6 4.3 ±1.1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정상 생쥐의 경우에는 앰피실린을 처리한 생쥐와 테트라사이클린을 처리한 생쥐가 완전히 구별되지 않았으나, 형질전환 생쥐의 경우에는, 앰피실린을 처리한 생쥐와 테트라사이클린을 처리한 생쥐가 명확히 구별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원발명의 형질전환 생쥐는 허혈성 질환의 치료제를 검색하는 방법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입증하였듯이, 본 발명은 성체에서 텔로머라제를 발현시켜서 허혈성 질환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형질전환 생쥐, 전기 형질전환 생쥐의 작제방법 및 전기 형질전환 생쥐를 모델동물로 사용하여 허혈성 질환 치료제를 검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텔로머라제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생쥐는 허혈에 의한 저항성이 현저히 우수하므로, 허혈성 질환의 치료제 개발을 위한 동물모델로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텔로머라제를 발현하는 발현벡터 pTERT를 나타내는 유전자 지도이다.
도 2는 정상 생쥐(WT)와 형질전환 생쥐(TG)에서 발현되는 텔로머라제의 양을 정량적으로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정상 생쥐(WT)와 형질전환 생쥐(TERT-TG)의 허혈에 의한 뇌손상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정상 생쥐와 형질전환 생쥐의 NMDA에 의한 세포괴사 정도를 NMDA의 농도별로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5는 텔로머라제의 활성화 여부에 따른, NMDA에 의한 세포괴사 정도를 NMDA의 농도별로 비교한 그래프이다.
<110> ORIENT CO., LTD <120> Transgenic Mouse Possessing Resistance for Ischemia <160> 1 <170> KopatentIn 1.6 <210> 1 <211> 3369 <212> DNA <213> mouse GH3 <400> 1 atgacccgcg ctcctcgttg ccccgcggtg cgctctctgc tgcgcagccg ataccgggag 60 gtgtggccgc tggcaacctt tgtgcggcgc ctggggcccg agggcaggcg gcttgtgcaa 120 cccggggacc cgaagatcta ccgcactttg gttgcccaat gcctagtgtg catgcactgg 180 ggctcacagc ctccacctgc cgacctttcc ttccaccagg tgtcatccct gaaagagctg 240 gtggccaggg ttgtgcagag actctgcgag cgcaacgaga gaaacgtgct ggcttttggc 300 tttgagctgc ttaacgaggc cagaggcggg cctcccatgg ccttcactag tagcgtgcgt 360 agctacttgc ccaacactgt tattgagacc ctgcgtgtca gtggtgcatg gatgctactg 420 ttgagccgag tgggcgacga cctgctggtc tacctgctgg cacactgtgc tctttatctt 480 ctggtgcccc ccagctgtgc ctaccaggtg tgtgggtctc ccctgtacca aatttgtgcc 540 accacggata tctggccctc tgtgtccgct agttacaggc ccacccgacc cgtgggcagg 600 aatttcacta accttaggtt cttacaacag atcaagagca gtagtcgcca ggaagcaccg 660 aaacccctgg ccttgccatc tcgaggtaca aagaggcatc tgagtctcac cagtacaagt 720 gtgccttcag ctaagaaggc cagatgctat cctgtcccga gagtggagga gggaccccac 780 aggcaggtgc taccaacccc atcaggcaaa tcatgggtgc caagtcctgc tcggtccccc 840 gaggtgccta ctgcagagaa agatttgtct tctaaaggaa aggtgtctga cctgagtctc 900 tctgggtcgg tgtgctgtaa acacaagccc agctccacat ctctgctgtc accaccccgc 960 caaaatgcct ttcagctcag gccatttatt gagaccagac atttccttta ctccagggga 1020 gatggccaag agcgtctaaa cccctcattc ctactcagca acctccagcc taacttgact 1080 ggggccagga gactggtgga gatcatcttt ctgggctcaa ggcctaggac atcaggacca 1140 ctctgcagga cacaccgtct atcgcgtcga tactggcaga tgcggcccct gttccaacag 1200 ctgctggtga accatgcaga gtgccaatat gtcagactcc tcaggtcaca ttgcaggttt 1260 cgaacagcaa accaacaggt gacagatgcc ttgaacacca gcccaccgca cctcatggat 1320 ttgctccgcc tgcacagcag tccctggcag gtatatggtt ttcttcgggc ctgtctctgc 1380 aaggtggtgt ctgctagtct ctggggtacc aggcacaatg agcgccgctt ctttaagaac 1440 ttaaagaagt tcatctcgtt ggggaaatac ggcaagctat cactgcagga actgatgtgg 1500 aagatgaaag tagaggattg ccactggctc cgcagcagcc cggggaagga ccgtgtcccc 1560 gctgcagagc accgtctgag ggagaggatc ctggctacgt tcctgttctg gctgatggac 1620 acatacgtgg tacagctgct taggtcattc ttttacatca cagagagcac attccagaag 1680 aacaggctct tcttctaccg taagagtgtg tggagcaagc tgcagagcat tggagtcagg 1740 caacaccttg agagagtgcg gctacgggag ctgtcacaag aggaggtcag gcatcaccag 1800 gacacctggc tagccatgcc catctgcaga ctgcgcttca tccccaagcc caacggcctg 1860 cggcccattg tgaacatgag ttatagcatg ggtaccagag ctttgggcag aaggaagcag 1920 gcccagcatt tcacccagcg tctcaagact ctcttcagca tgctcaacta tgagcggaca 1980 aaacatcctc accttatggg gtcttctgta ctgggtatga atgacatcta caggacctgg 2040 cgggcctttg tgctgcgtgt gcgtgctctg gaccagacac ccaggatgta ctttgttaag 2100 gcagatgtga ccggggccta tgatgccatc ccccagggta agctggtgga ggttgttgcc 2160 aatatgatca ggcactcgga gagcacgtac tgtatccgcc agtatgcagt ggtccggaga 2220 gatagccaag gccaagtcca caagtccttt aggagacagg tcaccaccct ctctgacctc 2280 cagccataca tgggccagtt ccttaagcat ctgcaggatt cagatgccag tgcactgagg 2340 aactccgttg tcatcgagca gagcatctct atgaatgaga gcagcagcag cctgtttgac 2400 ttcttcctgc acttcctgcg tcacagtgtc gtaaagattg gtgacaggtg ctatacgcag 2460 tgccagggca tcccccaggg ctccagccta tccaccctgc tctgcagtct gtgtttcgga 2520 gacatggaga acaagctgtt tgctgaggtg cagcgggatg ggttgctttt acgttttgtt 2580 gatgactttc tgttggtgac gcctcacttg gaccaagcaa aaaccttcct cagcaccctg 2640 gtccatggcg ttcctgagta tgggtgcatg ataaacttgc agaagacagt ggtgaacttc 2700 cctgtggagc ctggtaccct gggtggtgca gctccatacc agctgcctgc tcactgcctg 2760 tttccctggt gtggcttgct gctggacact cagactttgg aggtgttctg tgactactca 2820 ggttatgccc agacctcaat taagacgagc ctcaccttcc agagtgtctt caaagctggg 2880 aagaccatgc ggaacaagct cctgtcggtc ttgcggttga agtgtcacgg tctatttcta 2940 gacttgcagg tgaacagcct ccagacagtc tgcatcaata tatacaagat cttcctgctt 3000 caggcctaca ggttccatgc atgtgtgatt cagcttccct ttgaccagcg tgttaggaag 3060 aacctcacat tctttctggg catcatctcc agccaagcat cctgctgcta tgctatcctg 3120 aaggtcaaga atccaggaat gacactaaag gcctctggct cctttcctcc tgaagccgca 3180 cattggctct gctaccaggc cttcctgctc aagctggctg ctcattctgt catctacaaa 3240 tgtctcctgg gacctctgag gacagcccaa aaactgctgt gccggaagct cccagaggcg 3300 acaatgacca tccttaaagc tgcagctgac ccagccctaa gcacagactt tcagaccatt 3360 ttggactaa 3369

Claims (10)

  1. (ⅰ) 생쥐의 수정란에 텔로머라제 cDNA를 포함하는 발현벡터를 도입시켜서, 형질전환된 수정란을 수득하는 단계; 및,
    (ⅱ) 전기 수득한 수정란을 대리모에 착상시키고, 착상된 수정란을 발생시켜서, 텔로머라제를 발현시키는 성체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허혈성 질환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형질전환 생쥐의 작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텔로머라제 cDNA는 생쥐의 텔로머라제 cDNA(서열번호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질전환 생쥐의 작제방법.
  3. 제 1항의 방법으로 작제되어, 체세포와 생식세포에 생쥐의 텔로머라제 cDNA를 포함하고, 텔로머라제가 성체에서도 발현되어, 허혈성 질환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형질전환 생쥐.
  4. 제 3항의 생쥐를 상호교배하여 생산된 자손 생쥐.
  5. 생쥐의 텔로머라제 cDNA(서열번호 1)를 포함하는 발현벡터 pTERT가 도입된 수정란(TERT(transgenic mouse fertilized egg), KCTC 10237BP)으로부터 발생되어, 체세포와 생식세포에 생쥐의 텔로머라제 cDNA를 포함하고, 텔로머라제가 성체에서도 발현되어, 허혈성 질환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는 형질전환 생쥐.
  6. (ⅰ) 제 3항의 형질전환 생쥐에 허혈성 질환을 유발시키는 단계;
    (ⅱ) 전기 허혈성 질환이 유발된 형질전환 생쥐에 허혈성 질환 치료의 약리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물질을 투여하는 단계; 및,
    (ⅲ) 전기 물질이 투여된 형질전환 생쥐의 조직괴사 정도를 측정하여, 허혈성 질환의 치료에 유효한 물질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허혈성 질환의 치료제를 검색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허혈성 질환은 외과적 수술 또는 허혈증상을 유발하는 물질을 처리하여 유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혈성 질환의 치료제를 검색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외과적 수술은 대뇌피질로 통하는 동맥을 막아 혈액의 공급을 완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혈성 질환의 치료제를 검색하는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허혈증상을 유발하는 물질은 N-메틸-D-아스파르트산(N-methyl-D-aspartate, NMD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혈성 질환의 치료제를 검색하는 방법.
  10. (ⅰ) 제 5항의 형질전환 생쥐의 대뇌피질로 통하는 동맥을 막아 혈액의 공급을 완전 중단시켜서, 허혈성 질환을 유발시키는 단계;
    (ⅱ) 전기 허혈성 질환이 유발된 형질전환 생쥐 TERT에 허혈성 질환 치료의 약리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물질을 투여하는 단계; 및,
    (ⅲ) 전기 물질이 투여된 형질전환 생쥐 TERT의 조직괴사 정도를 측정하여, 허혈성 질환의 치료에 유효한 물질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허혈성 질환의 치료제를 검색하는 방법.
KR1020030075751A 2003-10-29 2003-10-29 허혈성 질환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형질전환 생쥐 Ceased KR200500405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751A KR20050040517A (ko) 2003-10-29 2003-10-29 허혈성 질환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형질전환 생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751A KR20050040517A (ko) 2003-10-29 2003-10-29 허혈성 질환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형질전환 생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0517A true KR20050040517A (ko) 2005-05-03

Family

ID=37242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5751A Ceased KR20050040517A (ko) 2003-10-29 2003-10-29 허혈성 질환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형질전환 생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0517A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97509A1 (en) * 2006-02-21 2007-08-30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roduction method of cyst expressed transgenic animal using pkd2 gene
WO2014171792A1 (ko) * 2013-04-19 2014-10-23 주식회사 카엘젬백스 허혈성 손상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WO2015167067A1 (ko) * 2014-04-30 2015-11-05 주식회사 카엘젬백스 장기, 조직 또는 세포 이식용 조성물, 키트 및 이식 방법
US9540419B2 (en) 2012-05-11 2017-01-10 Gemvax & Kael Co., Ltd. Anti-inflammatory peptid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9572858B2 (en) 2013-10-23 2017-02-21 Gemvax & Kael Co., Ltd. Composition for treating and preventing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US9730984B2 (en) 2012-05-11 2017-08-15 Gemvax & Kael Co., Lt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rheumatoid arthritis
US9937240B2 (en) 2014-04-11 2018-04-10 Gemvax & Kael Co., Ltd. Peptide having fibrosis inhibitory activity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US10034922B2 (en) 2013-11-22 2018-07-31 Gemvax & Kael Co., Ltd. Peptide having angiogenesis inhibitory activity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US10383926B2 (en) 2013-06-07 2019-08-20 Gemvax & Kael Co., Ltd. Biological markers useful in cancer immunotherapy
US10463708B2 (en) 2014-12-23 2019-11-05 Gemvax & Kael Co., Ltd. Peptide for treating ocular diseases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ocular diseases comprising same
US10561703B2 (en) 2013-06-21 2020-02-18 Gemvax & Kael Co., Ltd. Method of modulating sex hormone levels using a sex hormone secretion modulator
US10835582B2 (en) 2015-02-27 2020-11-17 Gemvax & Kael Co. Ltd. Peptide for preventing hearing loss,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US10898540B2 (en) 2016-04-07 2021-01-26 Gem Vax & KAEL Co., Ltd. Peptide having effects of increasing telomerase activity and extending telomere,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US10967000B2 (en) 2012-07-11 2021-04-06 Gemvax & Kael Co., Ltd. Cell-penetrating peptide, conjugate comprising same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US11015179B2 (en) 2015-07-02 2021-05-25 Gemvax & Kael Co., Ltd. Peptide having anti-viral effect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US11058744B2 (en) 2013-12-17 2021-07-13 Gemvax & Kael Co., Ltd. Composition for treating prostate cancer

Cited B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97509A1 (en) * 2006-02-21 2007-08-30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roduction method of cyst expressed transgenic animal using pkd2 gene
US10960056B2 (en) 2012-05-11 2021-03-30 Gemvax & Kael Co., Ltd. Anti-inflammatory peptid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12168039B2 (en) 2012-05-11 2024-12-17 Gemvax & Kael Co., Ltd. Anti-inflammatory peptid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11369665B2 (en) 2012-05-11 2022-06-28 Gemvax & Kael Co., Ltd. Anti-inflammatory peptid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12156902B2 (en) 2012-05-11 2024-12-03 Gemvax & Kael Co., Ltd. Anti-inflammatory peptid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9540419B2 (en) 2012-05-11 2017-01-10 Gemvax & Kael Co., Ltd. Anti-inflammatory peptid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10039811B2 (en) 2012-05-11 2018-08-07 Gemvax & Kael Co., Ltd. Anti-inflammatory peptid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9730984B2 (en) 2012-05-11 2017-08-15 Gemvax & Kael Co., Lt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rheumatoid arthritis
US9844584B2 (en) 2012-05-11 2017-12-19 Gemvax & Kael Co., Lt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epsis
US11857607B2 (en) 2012-05-11 2024-01-02 Gemvax & Kael Co., Ltd. Anti-inflammatory peptid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9907837B2 (en) 2012-05-11 2018-03-06 Gemvax & Kael Co., Lt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chexia
US10967000B2 (en) 2012-07-11 2021-04-06 Gemvax & Kael Co., Ltd. Cell-penetrating peptide, conjugate comprising same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US9907838B2 (en) 2013-04-19 2018-03-06 Gemvax & Kael Co., Ltd. Composition and methods for treating ischemic damage
WO2014171792A1 (ko) * 2013-04-19 2014-10-23 주식회사 카엘젬백스 허혈성 손상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60008165A (ko) * 2013-04-19 2016-01-21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허혈성 손상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CN105263508A (zh) * 2013-04-19 2016-01-20 杰姆维克斯&凯尔有限公司 治疗和预防缺血性损伤的组合物
US10383926B2 (en) 2013-06-07 2019-08-20 Gemvax & Kael Co., Ltd. Biological markers useful in cancer immunotherapy
US10561703B2 (en) 2013-06-21 2020-02-18 Gemvax & Kael Co., Ltd. Method of modulating sex hormone levels using a sex hormone secretion modulator
US9572858B2 (en) 2013-10-23 2017-02-21 Gemvax & Kael Co., Ltd. Composition for treating and preventing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US10034922B2 (en) 2013-11-22 2018-07-31 Gemvax & Kael Co., Ltd. Peptide having angiogenesis inhibitory activity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US11058744B2 (en) 2013-12-17 2021-07-13 Gemvax & Kael Co., Ltd. Composition for treating prostate cancer
US9937240B2 (en) 2014-04-11 2018-04-10 Gemvax & Kael Co., Ltd. Peptide having fibrosis inhibitory activity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US10662223B2 (en) 2014-04-30 2020-05-26 Gemvax & Kael Co., Ltd. Composition for organ, tissue, or cell transplantation, kit, and transplantation method
WO2015167067A1 (ko) * 2014-04-30 2015-11-05 주식회사 카엘젬백스 장기, 조직 또는 세포 이식용 조성물, 키트 및 이식 방법
KR20160147818A (ko) * 2014-04-30 2016-12-23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장기, 조직 또는 세포 이식용 조성물, 키트 및 이식 방법
US11077163B2 (en) 2014-12-23 2021-08-03 Gemvax & Kael Co., Ltd. Peptide for treating ocular diseases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ocular diseases comprising same
US10463708B2 (en) 2014-12-23 2019-11-05 Gemvax & Kael Co., Ltd. Peptide for treating ocular diseases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ocular diseases comprising same
US10835582B2 (en) 2015-02-27 2020-11-17 Gemvax & Kael Co. Ltd. Peptide for preventing hearing loss,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US11015179B2 (en) 2015-07-02 2021-05-25 Gemvax & Kael Co., Ltd. Peptide having anti-viral effect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US10898540B2 (en) 2016-04-07 2021-01-26 Gem Vax & KAEL Co., Ltd. Peptide having effects of increasing telomerase activity and extending telomere,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 et al. Cloned ferrets produced by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Balling et al. Craniofacial abnormalities induced by ectopic expression of the homeobox gene Hox-1.1 in transgenic mice
KR20050040517A (ko) 허혈성 질환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형질전환 생쥐
US20180084767A1 (en) Animal models for cardiomyopathy
JPH06505870A (ja) 形質転換された魚類の製造用の遺伝子構築体
US7402724B2 (en) Longevity and PAPP-A
CN110628814A (zh) 基于基因编辑技术增加smn蛋白表达的方法及其在sma治疗中的应用
Molinaro et al. Genetically modified mice to unravel physiological and pathophysiological roles played by NCX isoforms
Ding et al. Genetic evidence that lethality in angiotensinogen-deficient mice is due to loss of systemic but not renal angiotensinogen
CN110691512B (zh) 遗传工程化的非人类哺乳动物及其构建方法和应用
RU2764650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линии гуманизированных мышей, содержащих инсерцию 3974insT в гене mGrin2a (mice glutamate [NMDA] receptor subunit epsilon-1), приводящую к преждевременному прекращению трансляции белка grin2a
EP1224861A1 (en) Animal with the mass expression of human gene and test method by using the animal
ES2784643T3 (es) Modelo de cerdo para la diabetes
US20060265772A1 (en) Histamine hyperproductive animal
EP1070454A1 (en) Transgenic animal showing vascular tissue-specific expression of angiotensin ii2 receptor
EP2004821A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generating transgenic animals
CN118421703B (zh) 一种自发出现情绪异常波动的非人哺乳动物模型的构建方法及其用途
JP6587091B2 (ja) 寿命短縮化モデル非ヒト哺乳動物
JP6650649B2 (ja) 遺伝子改変非ヒトモデル動物
JPH119140A (ja) 25−水酸化ビタミンd3 24−水酸化酵素遺伝子導入動物
CN116058335A (zh) 一种自发强直性脊柱炎模型的构建方法和应用
WO2004092371A1 (ja) グルタミン酸トランスポーターglast機能欠損マウス
CN117356520A (zh) 自发银屑病及银屑病性关节炎动物模型的构建及应用
JP3817638B2 (ja) トランスジェニック非ヒト哺乳動物
Gruzdev Discerning the Role of Prostaglandins in Ductus Arteriosus Remode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1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7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