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7669A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Google Patents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27669A KR20050027669A KR1020030064028A KR20030064028A KR20050027669A KR 20050027669 A KR20050027669 A KR 20050027669A KR 1020030064028 A KR1020030064028 A KR 1020030064028A KR 20030064028 A KR20030064028 A KR 20030064028A KR 20050027669 A KR20050027669 A KR 200500276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main body
- sliding
- body housing
- liquid cryst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 장치의 사용에 따라 상, 하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액정표시부의 영역을 개방시키거나 숨기게 하는 슬라이딩 하우징을 구성한 휴대용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홈이 형성된 본체 하우징과, 스피커 장치 및 그 상부에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회전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의 가이드 홈내에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 하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미 사용시에는 그의 상면이 항시 개방되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공하며, 사용시에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개방시키는 액정표시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딩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과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을 상기 본체 하우징의 전면에서 상, 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팝업 수단과, 상기 본체 하우징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팝업 수단의 이동을 구속시키거나 해제시키는 버튼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제품의 액정표시부 화면을 넓게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sliding housing configured to slide up and down to open or hide an area of a liquid crystal display according to the use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The main body housing, the speaker device and the upper portion is rotatably provided with a camera lens module, and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liding moveme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in the guide groove of the main body housing, the upper surface thereof when not in use And a sliding housing including a liquid crystal display portion which provides a first display area which is always open, and which opens the second display area when in use. A pop-up means provided in the main body housing and coupled to the sliding housing to enable the sliding housing to move up and down in front of the main body housing; and a side of the main body housing to move the pop-up mean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as a button unit for restraining or releasing, thereb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mprove the display function by using a wide scree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produ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통신 장치의 사용에 따라 상, 하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액정표시부의 영역을 개방시키거나 숨기게 하는 슬라이딩 하우징을 구성한 휴대용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sliding housing configured to slide upward and downward to open or hide an area of a liquid crystal display according to the use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통상적으로, "휴대용 통신 장치"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통신 장치로는 HHP, CT-2 셀룰라 폰, 디지털 폰, PCS 폰 및 PDA등를 칭하며, 외형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는 외형에 따라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무선 단말기로 분류된다. 바-형 무선 단말기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무선 단말기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 장치에 의해 플립이나 커버가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무선 단말기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는 신체 착용위치 또는 착용 방식에 따라서 목걸이-형(neck wearable-type) 또는 손목착용-형(wrist wearable-type)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목걸이-형 무선 단말기는 끈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목에 착용하는 휴대방식을 의미하고, 손목착용-형 무선 단말기는 손목에 단말기를 착용하는 휴대방식을 의미한다. 또한, 무선단말기는 개폐 방식에 따라서, 회전-형(rotation-type) 또는 슬라이딩-형(sliding-type) 무선 단말기로 분류되기도 한다. 회전-형 무선 단말기는 두 개의 하우징이 마주보면서 대면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것을 의미하고, 슬라이딩-형 무선단말기는 두 개의 하우징 중, 하나의 하우징이 길이방향 슬라이딩이동으로 대면한 상태로 개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된 다양하게 분류된 무선 단말기는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열거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들은 필수적으로 안테나 장치, 데이터 입출력 장치,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구비하게 된다. 물론, 상기 데이터 입력장치는 주로 손가락 누름 동작으로 데이터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터치 패드나 터치 스크린이 사용되기도 한다.In general, the term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refers to a device that a user can carry and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counterpart. Such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are referred to as HHP, CT-2 cellular phones, digital phones, PCS phones and PDAs, and ar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in appearance. For example, wireless terminals are classified into bar-type, flip-type, or folder-type wireless terminals according to their appearance. The bar-type wireless terminal means that the single housing is configured as a bar-type, and the flip-type wireless terminal means that the flip or cover is rotatably configured by the hinge device in the bar-type housing. The terminal means that the folder is configured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ingle bar-shaped housing by a hinge device and to be folded.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classified into a neck wearable type or a wrist wearable type according to a body wearing position or a wearing method. A necklace-type wireless terminal refers to a portable method of wearing a terminal around a neck using a string, and a wrist-type wireless terminal refers to a portable method of wearing a terminal to a wrist. In addition, the wireless terminal may be classified into a rotation-type or sliding-typ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opening and closing method. The rotatable wireless terminal means that two housings are rotatably connected and opened while facing each other, and the sliding-type wireless terminal is one of two housings, in which one housing is faced by longitudinal sliding movement. It means to open and close. The variously classified wireless terminals listed above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eanwhil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s are essentially provided with an antenna device, a data input / output device, and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device. Of course, the data input device is commonly used as a keypad for inputting data mainly by a finger pressing operation,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is also used.
아울러, 데이터 출력장치에 따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기능은 액정표시부(LCD)를 보편적으로 사용한다.In addition, the data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the data output device us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universally.
기본적으로 데이터 입력을 위해서는 사용하는 키패드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키들은 통화시작버튼인 센드(SND) 키, 취소 키, 수정 키(CLR), 숫자 키, 문자 키, 엔드(END) 키, 기능 키, 전원(PWR) 키 등으로 구성된다.Basically, the keypad used for data input consists of an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keys. These keys are composed of a call start button (SND) key, a cancel key, a modification key (CLR), a numeric key, a letter key, an end (END) key, a function key, a power (PWR) key, and the like.
또한, 상기 키들은 보통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상면에 15 내지 20정도 개수로 적소에 배열된다. 물론, 상기 키들은 상면에서 노출되어서 사용자는 손가락 누름 동작으로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keys are usually arranged in place in the number of 15 to 2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Of course, the keys are exposed from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user inputs the desired data by pressing a finger.
상기 플립-형 무선 단말기는 하우징 전면에 개방되어 송, 수신된 데이터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기능을 하는 액정표시부가 구비되며, 상기 액정표시부의 하측으로는 데이터를 입력시키기 위한 다수의 키패드가 구비되며, 상기 키패드의 하측으로 상대방에게 음성을 전달할 수 있는 마이크가 구비된다.The flip-type wireless terminal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liquid crystal display for a display function to visually check the transmitted and received data, a plurality of keypads for inputting data to the lower sid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It is provided with a microphone that can deliver a voice to the other side of the keypad.
또한, 상기 단말기의 하측상에는 상기 키패드를 보호하고, 송신하는 음성을 모아주기 위한 플립커버가 개폐 가능하도록 소정의 힌지 장치에 의해 제공된다.Further, on the lower side of the terminal, a flip cover for protecting the keypad and collecting voices to be transmitted is provided by a predetermined hinge device to open and close.
그러나. 상기 무선 단말기의 액정표시부는 화면영역이 비좁아 많은 문자메시지를 입력하는데 한계가 있을 뿐아니라, 인터넷을 통해 문서의 글을 한 화면에 다운받을 수가 없으므로, 통신 장치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 있었다.But.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wireless terminal has a limitation in inputting a large number of text messages due to the small screen area, and it is not possible to download a document of a document on one screen through the Internet, thus failing to perform various display functions of the communication device. .
또한, 상기 바-형 및 플립-형 무선 단말기는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액정표시부의 화면이 구비됨으로 휴대에 따른 액정표시부에 적은 충격이 가해질 경우 파손되거나 표면에 흠집이 생겨 상기 액정표시부를 교환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bar-type and flip-type wireless terminals are provided with a scree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with an open front surface, and thus, when a small impact is applied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according to the portable device, the bar-type and flip-type wireless terminals are damaged or have scratches on the surface. There was a disadvantage.
또한, 이러한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화상통화를 위하여 촬영 수단이 카메라 렌즈를 구비하며, 이를 통하여 상대방과 화상 통화를 하거나, 원하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uch a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has a camera lens for the video call, through which the video call with the other party, it is possible to shoot a desired subject.
그러나, 종래의 휴대 단말기의 액정표시부는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영역이 너무 작고 좁아서 렌즈를 통해 촬영된 피사체를 디스플레이 하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고화질의 동영상 및 사진등을 디스플레이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has a limitation in displaying a subject photographed through a lens because the display area is too small and narrow, and also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cannot display high-quality video and photo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통신 장치에서 통신 장치의 사용에 따라 상, 하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액정표시부의 영역을 개방시키거나 숨기게 하는 슬라이딩 하우징을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액정표시부 화면을 넓게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용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lide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us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i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to open or hide the area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By providing a sliding hous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improving a display function by using a wide screen of a liquid crystal display of a produc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통신 장치에서 통신 장치의 사용에 따라 상, 하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서 카메라 렌즈 모듈을 작동시키는 슬라이딩 하우징을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카메라 촬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a sliding housing for operating the camera lens module in accordance with the us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i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sliding up and down,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facilitate camera shooting of the product To prov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통신 장치에서 슬라이딩 하우징의 액정표시부 개폐를 원터치 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액정표시부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개폐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that facilitates opening and closing of a display area of a liquid crystal display by configur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sliding housing in a one-touch manner i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그 상부에 가이드 홈이 형성된 본체 하우징; A body housing having a guide groove formed thereon;
스피커 장치 및 그 상부에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회전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의 가이드 홈내에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 하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미 사용시에는 그의 상면이 항시 개방되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공하며, 사용시에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개방시키는 액정표시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딩 하우징; The speaker device and the upper part thereof are rotatably provided with a camera lens module, and are coupled to be slidably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in the guide groove of the main body housing. A sliding housing providing a first display area, wherein the sliding housing has a liquid crystal display for opening the second display area in use;
상기 본체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과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을 상기 본체 하우징의 전면에서 상, 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팝업 수단; 및A pop-up means provided in the main body housing, coupled to the sliding housing, and configured to allow the sliding housing to move up and down in front of the main body housing; And
상기 본체 하우징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팝업 수단의 이동을 구속시키거나 해제시키는 버튼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hou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button portion for restraining or releasing the movement of the pop-up means.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휴대용 통신 장치(100)는 본체 하우징(200)과, 슬라이딩 하우징(300)과, 팝업 수단(400)과, 버튼부(500)로 이루어져 있다.1 to 5,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0 includes a main body housing 200, a sliding housing 300, a popup means 400, and a button portion 500.
상기 본체 하우징(200)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딩 하우징(300)을 상. 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 하도록 가이드 홈(203)이 형성되어 있다.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200 has a sliding housing 300 to be described later. The guide groove 203 is formed to guide the slide in the downward direction.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0)은 미 사용시에는 그의 상면이 항시 개방되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301a)을 제공하며, 사용시에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301b)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200)의 가이드 홈(203)내에서 상기 본체 하우징(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 하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The sliding housing 300 provides a first display area 301a whose upper surface is always open when not in use, and guide grooves of the main body housing 200 to open the second display area 301b when in use. 203 i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liding moveme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housing 200.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0)의 전면에는 상기 스피커 장치(304)가 일체로 구비되고, 그 상부에는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03)을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The speaker device 304 is integrally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liding housing 300, and the camera lens module 303 is rotatably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thereof.
상기 팝업 수단(400)은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0)과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0)을 상기 본체 하우징(200)의 전면에서 상, 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200)내에 구비되어 있다.The pop-up means 400 is coupled to the sliding housing 300 and is provided in the body housing 200 to allow the sliding housing 300 to move up and down in front of the body housing 200. have.
상기 버튼부(500)는 상기 팝업 수단(400)의 이동을 구속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200)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다.The button unit 50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ody housing 200 to restrain or release the movement of the pop-up means (400).
또한, 상기 본체 하우징(200)의 상면에는 다수의 키(201)들 및 마이크 장치(202)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keys 201 and a microphone device 202 ar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200.
또한,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0)은 상기 제 1, 2 디스플레이 영역(301a)(301b)을 제공하도록 액정표시부(301)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liding housing 300 is provided with a liquid crystal display 301 to provide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areas 301a and 301b.
상기 액정표시부(301)는 상기 본체 하우징(200)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0)을 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301b)을 개방함과 동시에 노출시키고, 미 사용시에는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0)을 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301a)만을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The liquid crystal display 301 slides the sliding housing 300 upwardly from the body housing 200 to open and expose the second display area 301b, and when not in use, the sliding housing ( The first display area 301a is opened only by sliding 300 downward.
또한, 상기 팝업 수단(400)의 상부에는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0)의 양측면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가이드 부(40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pop-up means 400, the guide portion 401 is integrally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housing 200 to guide both side surfaces of the sliding housing 300.
또한,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0)의 카메라 렌즈 모듈(303)은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0)이 상기 본체 하우징(20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 상기 액정표시부(301)의 제 2 디스플레이 영역(301b)이 개방됨과 동시에 상기 렌즈 모듈(303)이 작동할 수 있도록 온(ON)되고,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0)이 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 상기 액정표시부(301)의 제 1 디스플레이 영역(301a)만이 개방됨과 동시에 상기 렌즈 모듈(303)이 작동하지 않도록 오프(OFF)되어 진다.In addition, the camera lens module 303 of the sliding housing 300 has a second display area 301b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301 when the sliding housing 300 slides upward from the main housing 200. ) Is opened to allow the lens module 303 to operate and when the sliding housing 300 slides downward, the first display area 301a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301 is opened. Only the door is opened and the lens module 303 is turned off so as not to operat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통신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1 to 5 attached to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as follows.
도 3 및 도 4와 같이, 휴대용 통신 장치(100)는 본체 하우징(200)과, 슬라이딩 하우징(300)과, 팝업 수단(400)과, 버튼부(500)로 이루어진다.3 and 4,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0 includes a main body housing 200, a sliding housing 300, a popup means 400, and a button portion 500.
이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상기 본체 하우징(200)의 측면에는 상기 팝업 수단(400)의 이동을 구속시키거나 해제시키는 버튼부(50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버튼부(500)를 누르면, 상기 버튼부(500)에 의해 상기 팝업 수단(400)의 구속을 해제시켜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0)을 상기 본체 하우징(20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시킨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ure 5, the side of the main body 200 is provided with a button portion 500 for restraining or releasing the movement of the pop-up means 400, so when pressing the button portion 500 By releasing the restraint of the pop-up means 400 by the button unit 500, the sliding housing 300 is slid upward from the body housing 200.
이때,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0)은 상기 본체 하우징(200)의 가이드 홈(203)내에서 상기 본체 하우징(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In this case, the sliding housing 300 is slidably moved up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housing 200 in the guide groove 203 of the body housing 200.
상기 팝업 수단(400)은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0)과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0)을 상기 본체 하우징(200)의 전면에서 상, 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The pop-up means 400 is coupled to the sliding housing 300 and provided to allow the sliding housing 300 to move up and down in front of the body housing 200.
이때, 상기 팝업 수단(400)의 상부에는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0)의 슬라이딩 이동시 양측면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가이드 부(401)가 일체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upper portion of the pop-up means 400, the guide portion 401 is integrally formed to guide both sides when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liding housing 300.
이때, 도 2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0)의 액정표시부(301)는 상기 액정표시부(301)의 제 2 디스플레이 영역(301b)이 개방됨과 동시에 노출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 the liquid crystal display 301 of the sliding housing 300 is exposed while the second display area 301b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301 is opened.
이때,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0)의 상부에는 카메라 렌즈를 구비한 카메라 렌즈 모듈(303)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0)이 상방향으로 슬라이이딩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렌즈 모듈(303)이 온(ON)되어 작동한다.In this case, since the camera lens module 303 including the camera lens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liding housing 300, the sliding housing 300 slides upward and the lens module ( 303) is turned ON to operate.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03)을 상,하방향으로 회전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고, 촬영된 동영상 및 사진등은 상기 액정표시부(301)의 제 2 디스플레이 영역(301b)에 고화질의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된다.In this state, the user rotates the camera lens module 303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o photograph the subject, and the captured video and the picture are of high quality on the second display area 301b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301. The image is displayed.
사용자가 미사용시에는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0)을 상기 본체 하우징(200)의 가이드 홈(203)내로 삽입한다. When the user is not in use, the sliding housing 30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203 of the body housing 200.
이때, 도 1 과 같이,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0)은 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액정표시부(301)의 제 1 디스플레이 영역(301a)만을 개방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 the sliding housing 300 slides downward, and simultaneously opens only the first display area 301a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301.
이때, 상기 본체 하우징(200)에 구비된 팝업 수단(400)에 의해 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본체 하우징(200)의 측면에 구비된 버튼부(500)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0)을 구속시킨다.In this case, the sliding housing 300 is slidable downward by the pop-up means 400 provided in the main housing 200, and at the same time, the button unit 500 provided on the side of the main housing 200. ).
이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03)이 오프(OFF)되어 작동을 하지 않는다.In this state, the camera lens module 303 is turned off and does not operate.
이때, 상기 액정표시부(301)의 제 1 디스플레이 영역(301a)은 단말기의 기본적 정보인 시계 및 배터리 용량표시등을 디스플레이 하여 제공한다.In this case, the first display area 301a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301 displays a clock and a battery capacity display, which are basic information of the terminal.
상기와 같이, 휴대용 통신 장치에서 상기 액정표시부의 제 1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큰 대형의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공하여 카메라 렌즈 모듈을 통해 촬영된 동영상 및 사진등을 선명하게 디스플레이 하고, 또한 고화질의 동영상 및 사진등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provides a large second display area larger than the first display area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to clearly display moving pictures and photos taken through the camera lens module, and also provides high quality moving pictures and pictures. Etc. can be display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한 모든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portable terminal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통신 장치에 의하면,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휴대용 통신 장치에서 통신 장치의 사용에 따라 상, 하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액정표시부의 영역을 개방시키거나 숨기는 슬라이딩 하우징을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액정표시부 화면을 넓게 사용하여 고화질의 동영상 및 사진등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의 카메라 촬영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아니라, 슬라이딩 하우징의 액정표시부의 개폐를 원터치 방식으로 구성하여 액정표시부의 디스플레이 영역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 sliding housing that slides up and down to open or hide the area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according to the us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is used, so that the display function of a high-quality video and photo can be displayed by using a wide scree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rt of the product. In addition, the camera can be easily photographed,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sliding housing can be configured in a one-touch manner to facilitat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isplay area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구성 중 슬라이딩 하우징의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을 나타낸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a first display area of a sliding housing in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구성 중 슬라이딩 하우징의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나타낸 정면도,2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econd display area of a sliding housing in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구성 중 버튼부를 나타낸 측면도,3 is a side view showing a button part of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구성 중 버튼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a button unit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 사시도.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A of FIG.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64028A KR20050027669A (en) | 2003-09-16 | 2003-09-16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64028A KR20050027669A (en) | 2003-09-16 | 2003-09-16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27669A true KR20050027669A (en) | 2005-03-21 |
Family
ID=37384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64028A Withdrawn KR20050027669A (en) | 2003-09-16 | 2003-09-16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50027669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52119A (en) * | 2005-11-16 | 2007-05-21 | 아이티이코리아 주식회사 | Popup type mobile terminal |
KR101122086B1 (en) * | 2006-06-07 | 2012-03-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
2003
- 2003-09-16 KR KR1020030064028A patent/KR20050027669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52119A (en) * | 2005-11-16 | 2007-05-21 | 아이티이코리아 주식회사 | Popup type mobile terminal |
KR101122086B1 (en) * | 2006-06-07 | 2012-03-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42516B1 (en) | Handheld terminal | |
KR100663573B1 (en) | 3-axis rotary folder type portable device | |
KR100575999B1 (en) | Bar Type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KR101098618B1 (en) | Composition open and clos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630067B1 (en) | PD A combined biaxial hinge typ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
KR100703402B1 (en) | Handheld terminal with camera lens module for shooting in multiple directions | |
EP1538814A1 (en) | Sliding/folding-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apparatus | |
KR20050038982A (en) | Sliding/swing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 |
EP1739931A2 (en) | Portable terminal having slidable and foldable housings | |
KR20040018169A (en) |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 |
KR20070075243A (en)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 |
KR100663550B1 (en) | Folding Portable Device | |
KR20040067278A (en)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
KR20040011275A (en) | Structure of camera in portable image phone | |
JP3751197B2 (en) | Mobile phone | |
KR20050027669A (en)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
KR100663501B1 (en) | Portable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
JP4239441B2 (en) | Electronics | |
KR100469855B1 (en)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
KR20060119589A (en) | Portable device for watching DMV | |
JP2002171320A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70021723A (en) |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providing a wide display area | |
KR200376791Y1 (en) | Sliding folder-type mobile terminal | |
KR100557095B1 (en)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 |
KR100941537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