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8867A -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18867A KR20050018867A KR1020050006423A KR20050006423A KR20050018867A KR 20050018867 A KR20050018867 A KR 20050018867A KR 1020050006423 A KR1020050006423 A KR 1020050006423A KR 20050006423 A KR20050006423 A KR 20050006423A KR 20050018867 A KR20050018867 A KR 200500188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file
- cooler
- synthetic resin
- mold
- manufactu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29C48/11—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comprising two or more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honeycomb-shap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Heating, e.g. for cross linking
- B29C48/9105—Heating, e.g. for cross linking of hollow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15—Cooling of hollow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62—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spiral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용융된 합성수지액을 공급받아, 금형에 통과시켜 취출해내는 압출기와, 이 프로파일을 냉각하는 냉각기, 및 냉각된 프로파일을 가열수단에 의해 다시 가열하는 재가열장치가 순차적으로 구성되되, 상기 압출기에 형성하는 금형의 돌출된 코어의 일단이 냉각기의 내부까지 일정길이로 삽입되도록 형성하여, 압출된 프로파일이 코어를 따라 냉각기 내부로 진입되므로, 냉각되는 프로파일의 구조 변형을 방지하고, 이를 다시 재가열함에 따라, 제조되는 다중벽관 표면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략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이는 회전하는 스크루로 용융된 합성수지액을 공급하는 공급기(11); 이를 금형(13)에 균일하게 분배하는 분배기(12); 중앙이 관통된 외부금형(13a)과, 이에 끼움되는 돌출된 코어(13a′)를 형성하는 내부금형(13a)으로 구성된 금형(13)이 순차 형성된 압출기(10); 진공 상태에서 물을 분사하여 프로파일(40)을 냉각시키는 냉각기(20); 밀폐된 커버(31)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방열판(32)을 형성하고, 이 내부를 가열할 수 있는 가열수단(33)이 구비된 재가열장치(30)가 구비되어, 상기 압출기(10), 냉각기(20), 재가열장치(30)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되, 내부금형(13a)의 돌출된 코어(13a′)의 일단은 냉각기(20)의 내부로 일정길이가 삽입된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를 구성한다.
이와 같은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는, 압출기에서 압출된 프로파일이 냉각기로 진행되어 들어감에 따라, 냉각기 내에서 돌출된 코어를 따라 냉각되므로, 그 내부구조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프로파일의 외부벽이 냉각되고, 프로파일이 코어를 벗어나서는 내부벽 및 내부구조가 균일하게 냉각되어 변형을 방지하고, 또한, 냉각기를 통과한 프로파일은 재가열장치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프로파일이 권취 공정에 적합한 최적의 상태로 만들어 주어, 다중벽관 제조시 표면의 균열을 방지하므로, 이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에 의해 취출된 프로파일로 제조한 합성수지관은, 길이 방향 또는 지름 방향에 따른 제품 균일성이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용융된 합성수지액을 공급받아, 금형에 통과시켜 취출해내는 압출기와, 이 프로파일을 냉각하는 냉각기, 및 냉각된 프로파일을 가열수단에 의해 다시 가열하는 재가열장치가 순차적으로 구성되되, 상기 압출기에 형성하는 금형의 돌출된 코어의 일단이 냉각기의 내부까지 일정길이로 삽입되도록 형성하여, 압출된 프로파일이 코어를 따라 냉각기 내부로 진입되므로, 냉각되는 프로파일의 구조 변형을 방지하고, 이를 다시 재가열함에 따라, 제조되는 다중벽관 표면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는 속이 빈 가늘고 긴 관으로, 수도관, 가스관, 송유관 등과 같이 매설되어 기체 또는 액체와 같은 유체 및 분체를 수송하거나, 또는, 땅 속이나 옥내에 배선을 할 때, 전선·케이블의 보호용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그 종류를 재료로 분류하면, 강관, 주철관, 구리관, 황동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관과, 합성수지관, 철근콘크리트관, 석면시멘트관, 고무관, 목관 등과 같은 비금속관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특히, 상기 비금속관 중에서, 합성수지재의 파이프은 폴리프로필렌, 폴린에틸렌, 폴리염화비닐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제작한 것으로, 대체로 가볍고, 내식성이 좋으며, 접합이 용이하여 많이 이용되는데, 굽힘에 대한 강도를 증가시키기고, 관의 지름방향의 변형에 대한 버팀력 증강 및 내부 물질의 보온 등을 위해 이중벽 또는 다중벽을 가지는 합성수지관의 사용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와 같은 합성수지재의 이중벽관 또는 다중벽관은, 용융된 합성수지액을 공급받아 이를 금형으로 통과시켜, 상기 단면의 형상으로 압출하는 압출기를 통해 일정한 단면을 가지는 프로파일을 연속적으로 압출하여, 이를 드럼상에 권취되면서, 그 사이를 합성수지액(43)으로 접합하여 제작되는데,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합성수지관의 제작을 위한 프로파일은, 첨부한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그 단면이 십자형태를 띄는 보강벽(41a)과 내부가 빈 중공구조(41b)로 구성된 내부구조(41)와 이 내부구조(41)를 둘러싸는 외부벽(42)으로 구성되며, 압출기는 용융된 합성수지액을 공급받아 금형을 통과시켜 프로파일을 압출하며, 프로파일의 단면을 결정하는 금형은 두 개로 이루어져 있되, 돌출된 코어로 보강벽 및 중공구조를 형성하는 내부금형과, 관통되어 프로파일의 외부벽을 형성하는 외부금형이 서로 끼움·결합되어, 이 금형이 용융된 합성수지액을 받아 합성수지관 제조에 필요한 프로파일을 압출하며, 이 압출된 프로파일은 공랭 또는 수냉 방식의 냉각기를 거친 뒤, 이를 드럼상에 권취하여 합성수지관으로 제작된다.
그러나 이는 압출기에서 압출된 프로파일이 냉각기 내부로 진입하면서, 급격한 온도 차이로 인해서 수축이 일어나거나, 외부벽에 비해 내부구조는 덜 냉각되어 휘어지거나, 내부구조의 변형이 일어나 외부벽이 함몰되어, 취출된 프로파일의 변형 및 휨이 발생되며, 따라서, 이와 같은 프로파일은 드럼상에서 권취될 때, 다중벽관 제작을 위한 각 프로파일의 상호접착 시 융착 불량이 일어나, 합성수지관의 지름방향으로의 품질이 균일하지 못하고, 다중벽관의 강도가 떨어지며, 프로파일의 내부구조의 균일한 냉각을 위해 압출 속도를 낮추면, 제작 시간의 증가로 생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냉각기 내부에서 프로파일이 균일한 냉각이 일어나지 못하게 되면, 내부에 열응력 또는 잔류응력이 남게되고, 또, 프로파일이 과도하게 냉각되면, 권취되면서 균열이 발생하여, 제작된 다중벽관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며, 이는 합성수지관의 길이방향에 따른 품질 저하로, 제조된 합성수지관의 누수나, 강도 저하의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용융된 합성수지를 공급받아, 이를 금형에 분배하여 프로파일을 압출하는 압출기와, 진공 상태에서 물을 분사하여 압출된 프로파일을 균일하게 냉각하는 냉각기를 순차 배열하되, 금형의 돌출된 코어를 냉각부 내부에 일정 길이로 삽입한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를 구성하여, 압출된 프로파일이 코어를 따라 냉각기 내부로 이동하면서 냉각됨에 따라, 프로파일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냉각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다수개의 방열판이 지지대에 고정되고, 이에 발열이 가능한 열선 또는, 유도가열코일과 같은 가열수단을 다수개소에 형성하여, 이를 밀폐된 커버 내부로 형성한 재가열장치가 구성되어, 상기 냉각기의 출구 쪽에 연속적으로 연결한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를 구성하여, 냉각기를 통과한 프로파일이 재가열장치에 의해 다시 가열되어, 권취하는데 최적의 프로파일로 취출하고, 이에 따라 다중벽관 표면의 균열 발생을 방지하며, 품질이 균일한 합성수지재의 다중벽관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외주연에 열풍입구 및 열풍출구를 형성한 커버 내부에, 지지대의 길이 방향으로 방열판을 형성한 재가열장치를, 상기 냉각기와 연결한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를 구성하여, 외부에서 열풍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된 열풍을 상기 재가열장치로 공급함에 따라, 재가열장치 내부에서 냉각기를 통과한 프로파일이 균일하게 가열되어, 프로파일의 변형을 방지하고, 권취하는데 최적의 프로파일로 취출하며, 권취된 프로파일의 상호접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용융된 합성수지액을 공급받아, 금형에 통과시켜 취출해내는 압출기와, 이 프로파일을 냉각하는 냉각기, 및 냉각된 프로파일을 가열수단에 의해 다시 가열하는 재가열장치가 순차적으로 구성되되, 상기 압출기에 형성하는 금형의 돌출된 코어의 일단이 냉각기의 내부까지 일정길이로 삽입되도록 형성하여, 압출된 프로파일이 코어를 따라 냉각기 내부로 진입되므로, 냉각되는 프로파일의 구조 변형을 방지하고, 이를 다시 재가열함에 따라, 제조되는 다중벽관 표면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략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이는 회전하는 스크루로 용융된 합성수지액을 공급하는 공급기(11); 이를 금형(13)에 균일하게 분배하는 분배기(12); 중앙이 관통된 외부금형(13a)과, 이에 끼움되는 돌출된 코어(13a′)를 형성하는 내부금형(13a)으로 구성된 금형(13)이 순차 형성된 압출기(10); 진공 상태에서 물을 분사하여 프로파일(40)을 냉각시키는 냉각기(20); 밀폐된 커버(31)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방열판(32)을 형성하고, 이 내부를 가열할 수 있는 가열수단(33)이 구비된 재가열장치(30)가 구비되어, 상기 압출기(10), 냉각기(20), 재가열장치(30)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되, 내부금형(13a)의 돌출된 코어(13a′)의 일단은 냉각기(20)의 내부로 일정길이가 삽입된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를 구성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먼저, 공급기(11)와 분배기(12) 및 금형(13)으로 구성되는 압출기(10)를 설명하면, 이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기(11)는 스크루를 이용하여 용융된 합성수지액을 공급하는 것이고, 분배기(12)는 용융된 합성수지액을 받아 금형(13)의 형태에 따라 균일하게 분배하는 것이며, 금형(13)은 일정한 단면을 가지는 프로파일(40)을 압출하는 것으로, 내부금형(13a) 및 외부금형(13b)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금형(13a)은 돌출된 코어(13a′)가 형성되어 프로파일(40)의 내부구조(41)를 형성하며, 외부금형(13b)은 중앙이 관통되어, 이에 내부금형(13a)이 끼움되어 프로파일(40)의 외부벽(42)을 형성하는데, 상기 금형(13)의 프로파일(40)이 압출되는 면은 내부금형(13a)과 외부금형(13b)이 일치되지 않고, 내부금형(13a)의 코어(13a′)가 외부금형(13b)에서 일정 길이로 더 돌출되어 형성한다.
한편, 상기 압출기(10)의 내부금형(13a) 및 외부금형(13b)으로 구성되는 금형(13)을 도2 및 도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내부금형(13a)은 일단에 돌출된 코어(13a′)를 형성하되, 사각의 바가 일정간격으로 2행 2열을 형성하며, 외부금형(13b)은 사각형상으로 관통된 것으로, 외부금형(13b)의 내부로 내부금형(13a)에 끼움되어 금형(13)을 구성하며, 이에 의해 압출되는 프로파일(60)의 형상을 살펴보면, 이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십자형태의 보강벽(41a)과 속이 빈 중공구조(41b)와 같은 내부구조(41), 및 이 내부구조(41)를 감싸는 외부벽(42)이 형성된 복층구조를 이루어,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다중벽관(1)의 굽힘강성, 강도 등을 향상시킨다.
다음으로, 냉각기(20)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 또는 사각 형상을 가지는 관(파이프) 형상의 외관(21)과 이 내부로, 원주 및 길이를 따라 관통된 다수개의 분사공(22′)을 형성하는 외관(22)이 끼워지듯 형성되고, 이의 각 양단으로는 밀폐되되, 프로파일(40)이 지나가는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외관(21)의 상측에 물주입구(21a) 및 진공흡입구(21c)가 각각 형성되고, 이의 지름방향으로 물탈출구(21b)를 형성하며, 외관(21)의 일단에는 연결이 가능한 플랜지(21d)를 각각 형성하고, 내관(22)의 내부로는, 중앙이 관통된 판형의 방열판(23)을 지지대(22)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고정되게 형성하여, 상기 물주입구(21a) 및 물탈출구(21b)로는 물펌프 및 물탱크 등이 연결되어, 물이 이 냉각기(30) 내부로 순환하며, 또한, 진공흡입구(21c)로는 진공펌프가 연결되어 냉각기(20)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한다.
한편, 상기 냉각기는, 통상 사용되는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의 구성 요소인 냉각기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외에도, 냉각기 내부로 냉풍 내지 온풍을 불어내는 공랭 방식, 또는, 냉각기 내부에 물재킷을 형성하거나, 물을 직접 분사하는 수냉 방식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압출된 프로파일을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재가열장치(30)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원 또는 사각 형상을 가지는 관(파이프)을 형성하고, 이의 양단을 밀폐하되, 프로파일(40)이 지나가는 통로를 형성한 커버(31)를 형성하며, 이 커버(31) 내부로, 중앙이 관통된 판형의 방열판(32)을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하되, 열을 낼 수 있는 가열수단(33)을 다수개소에 형성한 것이며, 상기 커버(31)의 외주연에는 관통된 배선공(31a)을 형성하고, 커버(31)의 일단에는 연결용 플랜지(31b)가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재가열장치(30)의 가열수단(33)으로는, 먼저,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과 크롬의 합금, 니켈과 크롬의 합금 등의 열선(33a)을 감고, 이에 전원이 연결되어 전류에 의한 열선(33a)의 발열 작용을 이용한 가열수단(33), 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리선과 같은 유도가열코일(33b)을 이용하고, 이에 전원이 연결되어 유도가열에 의한 유도가열코일(33b)의 발열 작용을 이용한 가열수단(33)의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가열수단(33)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은 상기 배선공(31a)을 통하도록 하며, 상기 재가열장치(30)의 커버(31)는 내열성이 좋고, 절연성 및 내열성이 높을 것을 사용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상기와 같이 형성한 압출기(10)와 냉각기(20) 및 재가열장치(30)는 순차적으로 순차적으로 연속 배열·고정되어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를 구성하며, 이의 각 연결 구조 및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압출기(10)와 냉각기(20)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금형(13a)의 돌출된 코어(13a′)의 일단이 냉각기(20) 내부에 일정 길이로 삽입되도록 순차·배열되어, 압출기(10)에서 압출된 프로파일(40)이 코어(13a′)를 따라 냉각기(20)로 진입되며, 이 때 진공펌프의 작동으로 냉각기(20) 내부가 진공 상태를 이루고, 또한, 물주입구(21a)로 물이 공급되며, 이 물은 분사구(22′)를 통해 냉각기(20) 내부로 분사되어, 압출된 프로파일(40)을 냉각한다.
또한, 냉각기(20)와 재가열장치(30)의 연결 구조를 살펴보면, 이는 도1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플랜지(21d)(31b)에 의해 순차·연결되고, 이에 의해 냉각기(20)에 의해 냉각된 프로파일(40)이 재가열장치(30)로 진행해 들어가며, 재가열장치(30)의 내부의 다수개소에 형성된 가열수단(33)에 의해, 프로파일(40)이 적정하게 재가열되도록 하는데, 이와 같이, 압출기(10)와 냉각기(20) 및 재가열장치(30)가, 순차·배열된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제조 장치에 의해 취출된 프로파일(40)은 드럼상에 권취되면서, 그 간격에 합성수지액이 주입되어 합성수지재의 다중벽관(1)이 제작된다.
한편, 상기 각 플랜지(21d)(31b)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냉각기(20)와 재가열장치(30)는, 각 방열판(23)(32)을 연속된 지지대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 때 냉각기(20) 내부에 형성되는 방열판(23)은 조밀하게 형성되고, 이에 반해, 재가열장치(30)에 형성되는 방열판(32)은 상대적으로 간격이 떨어지도록 형성하여, 냉각기(20) 내부에서 균일한 냉각이 일어나도록 하고, 재가열장치(30) 내부에서는 급격한 온도상승을 방지하며, 또한, 이 냉각기(20) 및 재가열장치(30)는 압출기(10)와는 독립적으로 구성되어지는 바, 필요에 따라, 냉각기(20) 및 재가열장치(30)를 동시에 잡아주는 프레임을 구성하고, 바퀴를 달아 이동 및 압출기(10)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며, 이는 돌출된 코어(13a′)의 길이, 냉각기(20) 및 유효길이 및 공급되는 물의 온도와, 재가열장치(30)의 유효길이 및 가열수단(33)에 의한 도달 온도 제어 등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의 특징을 살펴보면, 압출기에서 압출된 프로파일이 냉각기로 진행되어 들어감에 따라, 냉각기 내에서 돌출된 코어를 따라 냉각되므로, 그 내부구조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프로파일의 외부벽이 냉각되고, 프로파일이 코어를 벗어나서는 내부벽 및 내부구조가 균일하게 냉각되어 변형을 방지하며, 또한, 냉각기를 통과한 프로파일은 재가열장치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프로파일이 권취 공정에 적합한 최적의 상태로 만들어 주어, 표면의 균열을 방지하므로,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에 의해 취출된 프로파일로 제조된 합성수지관은, 길이 방향 및 지름방향에 따른 제품 균일성이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이는 상기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의 구성 요소 중 재가열장치(30)를 나타내는 것으로, 먼저, 원 또는 사각 형상을 가지는 관(파이프)을 형성하고, 이 양단을 밀폐하되, 프로파일(40)이 지나가는 통로를 형성한 커버(31) 내부에, 중앙이 관통된 판형의 방열판(32)을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커버(31)의 외주연에 관통된 열풍입구(31c)와, 이의 지름방향으로 열풍출구(31d)가 형성되어, 이에 가열수단(33)에 의해 그 내부가 가열되는 재가열장치(30)를 구성한다.
이와 함께, 상기 재가열장치(30)의 가열수단(33)으로는, 외부에서 열풍공급장치(미도시)에 의해 발생되는 열풍이 열풍입구(31c)를 통해 공급되어, 이 열풍이 재가열장치(30)의 내부를 순환하고, 온도가 내려간 열풍은 열풍출구(31c)를 통해 벗어나게 되므로, 열선(33a) 및 유도가열코일(33b)과 같은 가열수단(33)을 통한 재가열장치(30)와는 달리, 프로파일(40)의 전 표면으로 통해 재가열 하게 되므로, 균일한 가열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용융된 합성수지를 공급받아, 이를 금형에 분배하여 프로파일을 압출하는 압출기와, 진공 상태에서 물을 분사하여 압출된 프로파일을 균일하게 냉각하는 냉각기를 순차 배열하되, 금형의 돌출된 코어를 냉각부 내부에 일정 길이로 삽입한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를 구성하여, 압출된 프로파일이 코어를 따라 냉각기 내부로 이동하면서 냉각됨에 따라, 프로파일의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 다수개의 방열판이 지지대에 고정되고, 이에 발열이 가능한 열선 또는, 유도가열코일과 같은 가열수단을 다수개소에 형성하여, 이를 밀폐된 커버 내부로 형성한 재가열장치가 구성되어, 상기 냉각기의 출구 쪽에 연속적으로 연결한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를 구성하여, 냉각기를 통과한 프로파일이 재가열장치에 의해 다시 가열되어, 권취하는데 최적의 프로파일로 취출하고, 이에 따라 다중벽관 표면의 균열 발생을 방지하여, 제조된 합성수지재의 다중벽관의 품질이 균일한 효과가 있다.
또한, 외주연에 열풍입구 및 열풍출구를 형성한 커버 내부에, 지지대의 길이 방향으로 방열판을 형성한 재가열장치를, 상기 냉각기와 연결한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를 구성하여, 외부에서 열풍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된 열풍을 상기 재가열장치로 공급함에 따라, 재가열장치 내부에서 냉각기를 통과한 프로파일이 균일하게 가열되어, 프로파일의 변형을 방지하고, 권취하는데 최적의 프로파일로 취출하며, 권취된 프로파일의 상호접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기 및 냉각기의 절단사시도 및 일부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기 및 재가열장치의 절단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단면도.
도 5는 도4의 AA′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사출장치의 일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다중벽관의 절단사시도 및 일부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다중벽관 20 : 냉각기 21 : 외관
22 : 내관 30 : 재가열장치 31 : 커버
33 : 가열수단 40 : 프로파일
Claims (6)
- 용융된 합성수지액을 공급받아, 내부금형 및 외부금형으로 이루어진 금형에 통과시켜 프로파일을 취출해내는 압출기와, 이 프로파일을 냉각하는 냉각기로 구성되는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상기 외부금형(13b)의 내부에 결합된 내부금형(13a)의 코어(13a′) 일단은 냉각부(20) 내로 일정 길이로 돌출되도록 삽입되어,압출된 프로파일이 냉각기 내로 진입하면서, 일정부분을 코어를 따라 움직이면서, 그 내부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여, 프로파일의 내부구조의 변형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코어(13a′)는, 사각형태의 바가 일정 간격을 두고, 2행 2열의 배열을 이루어,이를 통해 압출되는 프로파일은, 그 단면이 ‘田’의 형상을 이루어, 십자형상의 보강벽, 내부가 빈 중공구조 및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벽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냉각기의 일단에는, 밀폐된 온도내부를 상승시키는 가열수단(33)을 구비한 재가열장치(30)가 구성되며, 이 재가열장치(30)는 밀폐된 커버(31) 내부로 중앙이 관통된 다수개의 방열판(32)이 바 형상의 지지대(34)에 따라 고정되도록 형성하여,냉각기를 통과한 프로파일을 다시 가열하여, 권취하는데 최적의 프로파일을 제조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재가열장치(30)의 가열수단(33)은, 커버(31) 내부에 열선(33a)을 지지대(34)를 따라 다수개소에 형성하여,전류·저항발열방식의 발열을 통해, 프로파일을 재가열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재가열장치(30)의 가열수단(33)은, 커버(31) 내부에 유도가열코일(34b)을 지지대(34)를 따라 다수개소에 형성하여,유도가열방식의 발열을 통해, 프로파일을 재가열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재가열장치(30)의 가열수단(33)은, 외부의 열풍공급장치로부터 열풍을 커부(31)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여,공급된 열풍으로 프로파일을 균일하게 가열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6423A KR20050018867A (ko) | 2005-01-24 | 2005-01-24 |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 |
KR10-2005-0015641A KR100532668B1 (ko) | 2005-01-24 | 2005-02-25 | 프로파일의 압출이 용이한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6423A KR20050018867A (ko) | 2005-01-24 | 2005-01-24 |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18867A true KR20050018867A (ko) | 2005-02-28 |
Family
ID=372282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06423A Pending KR20050018867A (ko) | 2005-01-24 | 2005-01-24 |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 |
KR10-2005-0015641A KR100532668B1 (ko) | 2005-01-24 | 2005-02-25 | 프로파일의 압출이 용이한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15641A KR100532668B1 (ko) | 2005-01-24 | 2005-02-25 | 프로파일의 압출이 용이한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050018867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2465A (ko) * | 2014-06-30 | 2016-01-08 | 마이크로파우더 주식회사 | 내부표면이 개질된 하수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KR20190075189A (ko) * | 2017-12-20 | 2019-07-01 | 김재중 | 인덕션 성형기 |
CN113858582A (zh) * | 2021-09-07 | 2021-12-31 | 苏州翠屏塑胶有限公司 | 塑料管材挤出模具及塑料管材生产工艺 |
-
2005
- 2005-01-24 KR KR1020050006423A patent/KR20050018867A/ko active Pending
- 2005-02-25 KR KR10-2005-0015641A patent/KR100532668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2465A (ko) * | 2014-06-30 | 2016-01-08 | 마이크로파우더 주식회사 | 내부표면이 개질된 하수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KR20190075189A (ko) * | 2017-12-20 | 2019-07-01 | 김재중 | 인덕션 성형기 |
CN113858582A (zh) * | 2021-09-07 | 2021-12-31 | 苏州翠屏塑胶有限公司 | 塑料管材挤出模具及塑料管材生产工艺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28003A (ko) | 2005-03-21 |
KR100532668B1 (ko) | 2005-1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677676A (en) | Apparatus for forming plastic tubing having a smooth inner wall and a corrugated outer wall | |
US6929060B2 (en) |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making a heat exchanger | |
FI67193C (fi) |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ett termoplastroer med laengsgaoende kanaler i vaeggen | |
CN101932417A (zh) | 复合产品及其制造方法 | |
CN210484855U (zh) | 柔性复合管 | |
US20090096131A1 (en) | Method of making a composite product | |
KR20050018867A (ko) |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 | |
KR101979861B1 (ko) | 삼중 구조를 구비하는 합성수지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제조방법 | |
JP2006335064A (ja) | 鋳造シェルの製造方法 | |
KR100497817B1 (ko) | 초경량 다단(多段) 전신주 및 그 제조방법과 장치 | |
KR100499535B1 (ko) | 고강도 합성수지관 및 그 성형방법 | |
KR20060001948A (ko) | 프로파일의 압출이 용이한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프로파일의 제조 장치 | |
KR20070089105A (ko) | 프로파일의 압출이 용이한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프로파일의 제조 장치 | |
KR200311881Y1 (ko) | 고강도 합성수지관 | |
KR100687286B1 (ko) | 상하수관 성형장치 | |
KR100278578B1 (ko) | 초강성 평활 다층관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냉각장치 및 냉각방법 | |
CN212194140U (zh) | 一种pe给水管成型模具 | |
KR101265770B1 (ko) | 후렌치 일체형 디씨 이중벽관 성형장치와 그 제조방법 | |
KR200238377Y1 (ko) | 양단부에 결합부를 가지는 합성수지 단열 이중관 | |
KR101398324B1 (ko) | 차수벽 다중관 제조방법 및 그 차수벽 다중관 | |
KR200312711Y1 (ko) | 고강도 합성수지관 및 그 성형방법 | |
KR101690529B1 (ko) | 격벽이 형성된 물막이관 제조방법 | |
RU2271930C2 (ru) |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бипластмассовых труб | |
KR100853414B1 (ko) | 고강도 스틸 폴리에틸렌 3층 피복관과 그 제조장치 | |
KR100556129B1 (ko) |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4 | Withdrawal of earlier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priority claim |
Patent event date: 200501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C12041R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