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18819A - 악취감지센서를 이용한 무취공기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악취감지센서를 이용한 무취공기 제조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8819A
KR20050018819A KR1020050000698A KR20050000698A KR20050018819A KR 20050018819 A KR20050018819 A KR 20050018819A KR 1020050000698 A KR1020050000698 A KR 1020050000698A KR 20050000698 A KR20050000698 A KR 20050000698A KR 20050018819 A KR20050018819 A KR 20050018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dor
odorless
odorless air
silica g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의석
김선규
임봉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버스
Priority to KR1020050000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8819A/ko
Publication of KR20050018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881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0Controlling by gas-analysis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Fluid Adsorption Or Reaction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희석관능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무취공기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기희석관능법은 악취방지법에서 제시한 공정시험방법 중 악취평가를 위한 주 실험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악취의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공정시험방법에 있는 공기희석관능법이라는 시험방법을 적용한다. 이 방법은 냄새가 없는 무취공기를 이용하여 악취를 포함하고 있는 시료를 일정 배율로 희석하면서 악취를 감지하지 못하는 수준까지 희석하여 실험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결과를 수치화하여 악취의 정도를 객관화하는 방법이다. 이 처럼 공기희석관능법 전과정에 걸쳐서 반드시 필요한 무취공기의 제조과정은 공정시험방법 상에 물, 공병, 실리카겔, 활성탄 등을 사용하는 것으로 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무취제조 방법은 원료로 사용되는 일반 공기의 질, 공기의 흐름속도, 내부에 들어가는 물·실리카겔·활성탄 등의 포화로 인한 처리효율 저하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결국, 기존의 종래 기술로는 균질성을 갖는 무취공기의 제조가 어려우며, 실험결과의 신뢰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무취공기 제조장비 후단에 악취유발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채택·장착하여, 무취공기 보다 오염된 수준의 기체에 대해서 반응하여, 경보 장치를 울리도록 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상기 방법을 활용할 경우, 무취공기 제조장비 내부에 들어가는 물·실리카겔·활성탄 등의 처리효율 저감에 따른 무취공기의 균질성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물·실리카겔·활성탄 등의 교체 시기도 알 수 있으며, 경보 장치가 울리지 않는 정도의 수준으로 공기 흐름속도를 제어하면서 무취공기를 제조할 수 있다. 결국, 최적의 조건에서 보다 많은 양의 균질한 무취공기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무취공기의 균질성 저하를 알리는 경보 장치 작동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먼저, 센서는 악취유발물질의 포함여부와 관계없이 공기와 반응하면 전기적인 수치를 나타내며 악취유발물질의 함유 정도에 비례하여 그 수치가 변화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전기적 신호를 해석하여 경보 장치가 작동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균질성 있는 무취공기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며, 실험결과의 신뢰성도 향상시킬 것이다.

Description

악취감지센서를 이용한 무취공기 제조 장치{An odor-free air generator with an odor sensor}
본 발명은 국내 악취방지법에 제시되어 있는 공정시험방법 중 악취평가를 위한 주 시험방법인 공기희석관능법을 수행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무취공기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악취의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공정시험방법에 있는 공기희석관능법을 적용한다. 이 방법은 냄새가 없는 무취공기를 이용하여 악취를 포함하고 있는 시료를 일정 배율로 희석하면서 악취를 감지하지 못하는 수준까지 희석하여 실험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결과를 수치화하여 악취의 정도를 객관화하는 방법이다. 이 처럼 공기희석관능법 전과정에 걸쳐서 반드시 필요한 무취공기의 제조과정은 도 2와 같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무취공기 제조장비는 공기를 공급해주는 펌프, 수용성 및 입자상 악취유발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는 물, 빈 공간, 극성 악취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실리카겔, 그리고, 마지막으로 비극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활성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과정을 모두 거치면 일반 대기가 포함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악취유발물질이 모두 제거된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무취제조 방법은 여러 가지 구조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다. 첫째, 무취공기의 질은 제조 과정을 통해 항상 일정하게 나타나야 하지만, 실제로 최종 처리된 무취공기의 질은 원료로 사용되는 일반 공기의 질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이는 일반 공기의 오염정도에 따라서 무취공기 제조장비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속도를 제어해주어야 악취유발물질이 물, 실리카겔, 활성탄 등과 반응하여 모두 제거되나, 이러한 흐름속도 제어과정은 외부공기의 질을 알기위한 사전 작업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외부공기의 질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기기분석법 등의 방법을 사용해야하는 등 매우 복잡한 절차가 따른다. 둘째, 무취공기 제조장비는 내부에 들어가는 물·실리카겔·활성탄 등이 악취유발물질과 물리·화학학적인 반응을 하는 원리이며, 결국 언젠가는 포화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일정한 주기를 두고 교체를 해주어야 하는데 그 교체시기를 명확히 알 수가 없다. 셋째, 상기 두 가지 이유 등으로 인하여 제조된 무취공기의 균질성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결국, 이러한 무취공기 제조상의 균질성 저하 문제는 실험결과의 신뢰성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무취공기 제조장비 후단에 악취유발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채택하여, 무취공기 보다 오염된 수준의 기체에 대해서 반응하여, 경보 장치를 울리도록 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상기 방법을 활용할 경우, 무취공기 제조장비에 사용되는 물·실리카겔·활성탄 등의 처리효율 저감에 따른 무취공기의 균질성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물·실리카겔·활성탄 등의 교체 시기도 알 수 있으며, 경보 장치가 울리지 않는 정도의 수준으로 공기 흐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결국, 보다 많은 양의 균질한 무취공기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무취공기의 균질성 저하를 알리는 경보 장치 작동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먼저, 센서는 악취유발물질을 포함여부와 관계없이 공기와 반응하면 전기적인 수치를 나타낸다. 악취유발물질의 함유 정도에 비례하여 그 수치가 커지는 원리이다. 그러므로, 악취유발물질을 포함하지 않은 공기와 센서를 반응시켰을 때, 센서가 갖는 전기적 신호를 기준점으로 설정하고, 그 이상의 전기적 신호가 나오는 경우에 대해서 경보 장치가 작동한다. 이렇게 되면, 무취공기 제조장비에 의해서 처리된 공기가 악취유발물질을 함유하였을 경우, 센서와 반응하여 경보 장치가 작동하는 것이다. 경보 장치가 작동하면, 그것은 곳 장비에 의해서 제조된 무취공기가 오염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제어부(10), 외부공기 공급용 펌프(20), 유량계(30), 수용성 악취유발물질 및 입자상 악취유발물질 제거용 수조(40), 공병(50), 극성 악취유발물질 제거용 실리카겔조(60), 비극성 악취유발물질 제거용 활성탄조(70), 악취유발물질 감지를 위한 센서(80), 무취공기 배출구(90), 전원스위치(100), 경보 장치(110), 외부공기 유입구(120)로 구성된다. 상기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은 장치 제어부(10)에 위치한 전원스위치(100)를 On/Off 함에 따라 작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전원스위치(100)를 On시키면, 외부공기 공급용 펌프(20)가 외부공기 유입구(120)를 통해서 유량계(30)쪽으로 공기를 보내도록 되어있다. 유량계(30)를 거친 공기는 수용성 악취유발물질 및 입자상 악취유발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물이 담긴 수조(40)를 통과하여 아무것도 들어 있지 않은 공병(50)을 거쳐 극성 및 비극성 악취유발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실리카겔조(60)와 활성탄조(70)를 순서대로 거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모든 악취유발물질 제거 과정을 거친 공기는 최종적으로 악취유발물질 감지를 위한 센서(80)가 있는 곳으로 보내지며, 센서(80)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장치 제어부(10)에서 받아들여 최종 배출 공기 중 악취유발물질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만약, 악취유발물질이 존재할 경우에는 경보 장치(110)를 작동시켜 물·실리카겔·활성탄 등의 교체를 알릴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대로 악취유발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경보 장치(110)가 작동하지 않고, 유량계(30)의 조절이 가능하며 지속적인 무취공기 제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최종적인 무취공기는 다수의 무취공기 배출구(90)를 통해서 배출되어 시험에 바로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기존 공정시험방법 상에 제시되어 있는 무취공기 제조장비의 전단에 유량계(30)를, 그리고 후단에는 센서(80)와 경보 장치(110)를 함께 작동하도록 설치하여 최적의 조건에서 최대량의 무취공기를 균질하게 제조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센서(80)와 경보 장치(110)를 사용함으로써, 제조장비에 사용되는 물·실리카겔·활성탄의 오염을 확인할 수 있고, 그 교체시기 등을 알려줌으로써, 무취공기의 균질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무취공기 배출구를 다수로 만들어 공기희석관능법에 필요한 다수의 무취공기를 동시에 제조 가능토록하여, 제조와 동시에 시험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취공기 제조방법은 기존 공정시험방법에서 제시한 방법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단점을 보완하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전문가는 물론 비전문가의 경우에도, 기존 방법에 비하여 균질성 있는 무취공기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공정시험방법에는 제시되어 있지 않은 물·실리카겔·활성탄 등의 무취공기 제조장비의 내용물을 교체할 수 있는 적절한 시기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방법보다 양질의 균질성 있는 무취공기의 제조가 가능하며, 이를 직접 시험방법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 종래 기술에 의한 실험결과보다 신뢰성 있는 실험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악취방지법 공정시험방법 상의 무취공기 제조장비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장치 제어부 20 : 외부공기 공급용 펌프
30 : 유량계 40 : 수용성 및 입자상 악취유발물질 제거용 수조
50 : 공병 60 : 극성 악취유발물질 제거용 실리카겔조
70 : 비극성 악취유발물질 제거용 활성탄조 80 : 악취유발물질 감지 센서
90 : 무취공기 배출구 100 : 전원스위치
110 : 경보 장치 120 : 외부공기 유입구

Claims (2)

  1. 무취공기를 제조함에 있어서 악취유발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부착하여 배출되는 무취공기의 악취유발물질 함유 여부를 확인, 함유시 경보 장치가 작동하도록 하여 무취공기의 균질성을 유지하는 방법
  2. 제 1항에서, 무취공기를 제조함에 있어서, 무취공기 배출구를 다수로 구성, 공기희석관능법에 필요한 다수의 무취공기를 동시에 제조 가능하도록 하여, 제조와 동시에 시험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방법
KR1020050000698A 2005-01-05 2005-01-05 악취감지센서를 이용한 무취공기 제조 장치 KR200500188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698A KR20050018819A (ko) 2005-01-05 2005-01-05 악취감지센서를 이용한 무취공기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698A KR20050018819A (ko) 2005-01-05 2005-01-05 악취감지센서를 이용한 무취공기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819A true KR20050018819A (ko) 2005-02-28

Family

ID=37228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698A KR20050018819A (ko) 2005-01-05 2005-01-05 악취감지센서를 이용한 무취공기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881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87483B2 (ja) 化学センサーを用いたガス媒体の測定方法並びに装置
JP2003522317A5 (ko)
EP1039294A2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analysis of a liquid carrying a suspension of organic matter
KR102175398B1 (ko) 다단식 복합 탈취장치
CN211263186U (zh) 一种硫化氢和二氧化硫气体浓度的检测系统
KR950701427A (ko) 유체정화시스템내의 시스템 소모품의 수명종료시험 예보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End-of-Life of a Consumable in a Fluid Purification System)
CN110320251B (zh) 一种天然气硫化氢和四氢噻吩含量的在线检测装置和检测方法
JP2021535998A (ja) 水の組成を測定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ATE278949T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timmung des organischen kohlenstoff(toc-)gehalts in flüssigkeiten, insbesondere reinstwasser
RU2004126841A (ru)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пригодного для дыхания воздуха
CN1141167C (zh) 工业废气净化方法
KR20220016725A (ko) 이동형 시표채취 및 분석장치.
JP3931592B2 (ja) アンモニア測定廃液処理方法とアンモニア測定装置
JPH01219544A (ja) オゾン濃度測定制御方法
BR9915291B1 (pt) mÉtodo para controlar as condiÇÕes de vÁcuo em um sistema de vÁcuo de equipamentos que sço usados em um processo de tratamento (refino, branqueamento ou desodorizaÇço) de àleo vegetal ou animal, e, layout de equipamentos de tratamento de àleo vegetal ou animal que possui um sistema de vÁcuo para execuÇço do mÉtodo.
KR20050018819A (ko) 악취감지센서를 이용한 무취공기 제조 장치
JP2011087811A (ja) 脱臭装置並びに脱臭剤の性能評価用試験槽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2005796A (ja) ヘッドスペース試料採取・モニター装置及び方法
JP2007024717A (ja) 水質分析計
JP2018025454A (ja) 過酸化水素分析装置及び過酸化水素分析方法
JP2005274386A (ja) 過酸化水素分析装置及び過酸化水素分析方法
JP2818869B2 (ja) 臭い検出装置
JP3362562B2 (ja) オゾンセンサ検査器
JP2008261865A (ja) 揮発性有機化合物測定装置
Yao et al. Dms removal in a bubble reactor by using peroxone (o3/h2o2) rea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8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5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