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15771A -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5771A
KR20050015771A KR1020030054725A KR20030054725A KR20050015771A KR 20050015771 A KR20050015771 A KR 20050015771A KR 1020030054725 A KR1020030054725 A KR 1020030054725A KR 20030054725 A KR20030054725 A KR 20030054725A KR 20050015771 A KR20050015771 A KR 20050015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ver
emergency
deceleration
ecu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4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동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4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5771A/ko
Publication of KR20050015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577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60K28/06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8Recognition of the road, e.g. of lane markings; Recognition of the vehicle driving pattern in relation to the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8Lane monitoring; Lane Keep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60W2040/0827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due to sleepi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2Brake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1Vo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29Attention level, e.g. attentive to driving, reading or sl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18Brakin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은, 차량에 설치되어 외부 환경의 변화를 감지하고, 외부 차선의 변경 정도를 감지하는 디지털 카메라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감속도를 감지하는 감속도 센서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 내 운전자의 고주파 음성 대역과 감속도의 관계를 맵핑하는 음성인식센서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 운전자의 페달 정보와 브레이크 작동유압을 분리시키기 위한 페달 시뮬레이터를 장착한 브레이크장치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각종 센서와 상기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감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긴급상황을 종합적으로 맵핑하고, 긴급상황시 상기 브레이크장치를 통해 페달 답력에 상관없이 브레이크 답력을 높여 주어 감속도를 증대시켜 제동거리를 짧게하는 ECU와; 상기 ECU가 졸음운전으로 판단했을 때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경고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브레이크 제동력을 운전자의 페달력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습관을 학습하여 졸음운전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졸음운전 뿐 아니라 예기치 못한 장애물에 의한 긴급상황도 방지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PREVENTING DROWSINESS DRIVING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운전자의 습관을 학습하여 긴급상황 발생시 사전에 제동장치를 작동시켜 제동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운전자가 급감속 제동할 때, 뒤쪽 바퀴에 잠김이 발생하여 차량 안정성을 잃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ABS(Anti-lock Brake System)나 BAS(Brake Assist System)를 이용하여 차량 안정성과 조향성을 유지한다.
그런데, 상기한 ABS나 BAS의 작동은 실제 긴급상황 제동에 대한 인지를 오로지 페달 답력에 의존하는 수동적인 브레이크 시스템이어서 사고전에 미리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다.
따라서 운전에 미숙한 운전자가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다수 발생한다.
그리고 현재 차량 내에서 수면중인 운전자를 위한 안전장치가 미비하여 차량 내 수면시 화재사고 및 질식사고로 인한 사고가 다수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운전자의 습관을 학습하여 긴급상황 발생시 사전에 제동장치를 작동시켜 제동성능을 향상시키고,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도록 한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은, 차량에 설치되어 외부 환경의 변화를 감지하고, 외부 차선의 변경 정도를 감지하는 디지털 카메라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감속도를 감지하는 감속도 센서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 내 운전자의 고주파 음성 대역과 감속도의 관계를 맵핑하는 음성인식센서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 운전자의 페달 정보와 브레이크 작동유압을 분리시키기 위한 페달 시뮬레이터를 장착한 브레이크장치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각종 센서와 상기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감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긴급상황을 종합적으로 맵핑하고, 긴급상황시 상기 브레이크장치를 통해 페달 답력에 상관없이 브레이크 답력을 높여 주어 감속도를 증대시켜 제동거리를 짧게하는 ECU와; 상기 ECU가 졸음운전으로 판단했을 때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경고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졸음운전 방지 방법은, (a) 차량 ECU에서 상기 차량의 외부 상황을 이미지 프로세싱하고, 운전자의 음성을 계속적으로 파악하는 단계와; (b) 일정 거리 이내에 장애물이 발견되어 더 이상 피할 수 없을 긴급상황으로 인식되어지는 경우를 결정하는 단계와; (c) 긴급상황에 대한 차량 조건에서 운전자의 페달 압력에 상관없이 브레이크 제동력을 높여 미숙한 운전자에게 고감속의 제동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단계와; (d) 상기 차량의 차선 변경을 통해 운전자의 습관을 파악하여 일정 횟수 이상 차선 변경 주기와 급격한 차선 변경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으로 인지되어진 졸음운전이나 긴급상황의 경우 차량속도를 줄이는 동시에 운전자에게 경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은, 차량에 설치되어 외부 환경의 변화를 감지하고, 외부 차선의 변경 정도를 감지하여 후술하는 ECU에 전달하는 디지털 카메라(11)와, 차량에 설치되어 감속도를 감지하는 감속도 센서(12)와,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 내 운전자의 고주파 음성 대역과 감속도의 관계를 맵핑하는 음성인식센서(13)와,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 운전자의 페달 정보와 브레이크 작동유압을 분리시키기 위한 페달 시뮬레이터(pedal simulator)를 장착한 브레이크장치(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에는,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각종 센서와 상기 디지털 카메라(11)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감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긴급상황을 종합적으로 맵핑하고, 긴급상황시 브레이크장치(14)를 통해 페달 답력에 상관없이 브레이크 답력을 높여 주어 감속도를 증대시켜 제동거리를 짧게하는 ECU(20)와, 이 ECU(20)가 졸음운전으로 판단했을 때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경고장치(15)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에는 상기 ECU(20)에서 운전자의 수면을 유도하고 안전하게 수면을 하도록 신호를 받는 ETACS(Electronic Time & Alarm Control System)(21)와,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 내 공기의 질을 측정하여 ETACS(21)에서 운전자가 수면중에 질식하지 않도록 하는 AQS(Air Quality System)센서(31)와, 운전자의 수면중에 화재가 발생되지 않도록 차량의 전자 액셀러레이터 페달(Electronic Accelerator Pedal)(32) 신호를 중간에서 차단하기 위해 차량에 설치된 릴레이(33)와,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실내 온도를 제어하는 자동온도조절장치(34)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졸음운전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졸음운전 방지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졸음운전 방지방법은, 우선, 차량 ECU(20)에서 차량의 외부 상황을 이미지 프로세싱하고, 운전자의 음성을 계속적으로 파악한다.(단계 110)
즉, 상기 감속도 센서(12)에 의해 차량의 감속도를 항상 인지하고, 브레이크 작동신호를 받아 제동시 감속도와, 이미지 프로세싱에 의한 차선 변경 정도, 음성인식센서(13)의 음성 주파수와의 관계를 ECU(20)에 전달하여 맵핑한다.
이어서, 일정 거리 이내에 장애물이 발견되어 더 이상 피할 수 없을 긴급상황으로 인식되어지는 경우를 결정한다.(단계 120)
그리고 긴급상황에 대한 차량 조건에서 운전자의 페달 압력에 상관없이 브레이크 제동력을 높여 미숙한 운전자에게 고감속의 제동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단계 130)
또한 차량의 차선 변경을 통해 운전자의 습관을 파악하여 일정 횟수 이상 차선 변경 주기와 급격한 차선 변경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으로 인지되어진 졸음운전이나 긴급상황의 경우 차량속도를 줄이는 동시에 운전자에게 경보한다.(단계 140)
즉, 약 0.3g 이상에서의 졸음운전으로 인한 장애물과의 거리 정도, 음성 주파수 대를 맵핑하여 일정 횟수 이상이면 이를 긴급 제동상황으로 인식하고, 운전자의 운전 스타일과 움직임의 주기를 ECU(20)가 파악하고 있어 외부 차선의 움직임 정도가 급격한 경우나 차선의 변경이 평균 이하인 경우 졸음 운전으로 인식 차량의 속도를 줄이고, 이를 운전자에게 예컨대, 경보음을 울려 경고한다.
상기 단계 140 이후에 차량이 완전히 세워진 후 운전자가 계속 졸음 상태에 있을 경우, 미리 입력되어진 ETACS(21)의 메모리에 따라 운전자가 수면을 유도하도록 시트를 뒤로 젖히고 실내 환경 자동모드 후 전자 액셀러레이터 페달(32)의 신호를 차단한다.(단계 150)
상기 단계 150에서 운전자가 수면을 원하지 않아 다시 시트를 올릴 경우 신호 차단을 해제한다.
상기 단계 15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단계 150은 운전자의 상태를 파악한 후, 안전모드를 작동하는 과정으로, 우선, 운전자가 시트를 뒤로 젖힐 때 신호를 상기 ECU(20)에 보낸다.(단계 151)
그리고 상기 ECU(20)에서 ETACS(21)로 신호를 보내 운전자의 수면을 유도하고 안전하게 수면을 할 수 있도록 입력되어진 메모리를 작동시킨다.(단계 152)
또한 상기 ETACS(21)에서 운전자가 수면중에 질식하지 않도록 차량 내에 AQS센서(31)로 공기가 오염됐을 때 경보장치를 작동시켜 경고한다.(단계 153)
그리고 차량 실내 온도를 제어하고, 수면 중에 화재사고가 나지 않도록 전자 액셀러레이터 페달(32)의 신호를 차단하여 수면중 과도한 전자 액셀러레이터 페달(32)의 작동으로 인한 엔진 과열을 막는다.(단계 153)
한편, 상기 단계 140에서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한 긴급상황 및 졸음운전의 인식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상기 디지털 카메라(11)를 이용하여 외부 차선의 경계를 촬영한다.(단계 141)
상기 단계 141에서 촬영한 전체 형상을 흑백 이미지로 전환한다.(단계 142)
그리고 상기 차선의 이미지를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분리한다.(단계 143) 이러한 분리는 전체적인 형상에서 전체 큰 곡률을 이용하여 분리한다.
또한 상기 차선 부위의 자료를 추출하고, 차선 변경의 움직임의 주기와 변경 크기를 차선 변화의 시간함수로 계산(차선 변화율)하고, 그 크기의 평균치를 계산한다.(단계 144)
이어서, 차량 외부의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현재 속도에 비례하여 회피할 수 있는 시간을 측정한다.(단계 145)
그리고 상기 ECU(20)에 상기한 정보를 전송한다.(단계 146)
즉, 차선 변경의 평균 주기와, 차선의 변화량과, 외부 장애물과의 거리의 변화율 등의 정보를 ECU(20)에 전달하여 운전자의 피곤한 정도와 긴급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운전자의 긴급상황 음성인식은, 우선, 차량을 처음 인도 받을 때,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소리를 저장하여 운전자의 일반 음성대의 주파수대역과 음조를 기억시킨다.(단계 210)
그리고 주행중 마이크로폰(microphone)을 이용하여 차량 실내의 소리를 측정하여 Hz별로 분리한다.(단계 220)
또한 차량 실내의 여러 소리 중 운전자의 음성을 분리하기 위해 차량 초기에 기억시킨 주파수대와 음조를 비교한다.(단계 230)
그리고 운전자의 음성인식에 의해 긴급 제동사항으로 인식되는 경우는, 상기 ECU(20)에 제동신호 감지하고, 운전자 음성 주파수대 이상의 높은 주파수가 발생하며, 일정 음성 주파수대 유지시간이 α미만이고, 변화율은 β이상이 만족하는 경우로 한다.
이에 반해, 상기 운전자의 음성인식에 의해 긴급 제동상황으로 인식되지 않는 경우는, 상기 ECU(20)에 제동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운전자의 음조가 아닌 경우, 일정 음성 주파수대 유지시간이 매우 긴 경우, 음성 주파수의 변화율이 느린 경우 중 어는 하나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긴급 상황과 졸음운전을 외부 환경의 변화와 운전자의 반응에 따라 차량이 학습하게 하여 긴급상황 발생시 차량이 페달 압력에만 의존하지 않고도 적절한 감속도를 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운전자가 수면 중에는 전자 액셀러레이터 페달(32)을 계속 밟거나, 차량 내 공기 오염으로 인해 질식사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위급한 상황이 일어나지 않도록 운전자를 보호해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운전자의 습관을 학습하여 긴급상황 발생시 사전에 제동장치를 작동시켜 제동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특히 운전에 미숙한 운전자가 실제 긴급상황 발생시 취할 수 있는 행동(음성, 운전습관)을 미리 차량 ECU가 기억하여 긴급상황 제동시 보다 안전하게 제동할 수 있으며, 졸음 운전에 대한 대비책을 차량의 학습을 통해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제동력을 운전자의 페달력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습관을 학습하여 졸음운전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졸음운전 뿐 아니라 예기치 못한 장애물에 의한 긴급상황도 방지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블록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졸음운전 방지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디지털 카메라 12. 감속도 센서
13. 음성인식센서 14. 브레이크장치
15. 경고장치 20. ECU
21. ETACS 31. AQS센서
32. 전자 액셀러레이터 페달 33. 릴레이
34. 자동온도조절장치

Claims (10)

  1. 차량에 설치되어 외부 환경의 변화를 감지하고, 외부 차선의 변경 정도를 감지하는 디지털 카메라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감속도를 감지하는 감속도 센서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 내 운전자의 고주파 음성 대역과 감속도의 관계를 맵핑하는 음성인식센서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 운전자의 페달 정보와 브레이크 작동유압을 분리시키기 위한 페달 시뮬레이터를 장착한 브레이크장치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각종 센서와 상기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감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긴급상황을 종합적으로 맵핑하고, 긴급상황시 상기 브레이크장치를 통해 페달 답력에 상관없이 브레이크 답력을 높여 주어 감속도를 증대시켜 제동거리를 짧게하는 ECU와;
    상기 ECU가 졸음운전으로 판단했을 때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경고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CU에서 운전자의 수면을 유도하고 안전하게 수면을 하도록 신호를 받는 ETACS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 내 공기의 질을 측정하여 상기 ETACS에서 운전자가 수면중에 질식하지 않도록 하는 AQS센서와;
    운전자의 수면중에 화재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차량의 전자 액셀러레이터 페달 신호를 중간에서 차단하기 위해 상기 차량에 설치된 릴레이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실내 온도를 제어하는 자동온도조절장치;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
  3. (a) 차량 ECU에서 상기 차량의 외부 상황을 이미지 프로세싱하고, 운전자의 음성을 계속적으로 파악하는 단계와;
    (b) 일정 거리 이내에 장애물이 발견되어 더 이상 피할 수 없을 긴급상황으로 인식되어지는 경우를 결정하는 단계와;
    (c) 긴급상황에 대한 차량 조건에서 운전자의 페달 압력에 상관없이 브레이크 제동력을 높여 미숙한 운전자에게 고감속의 제동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단계와;
    (d) 상기 차량의 차선 변경을 통해 운전자의 습관을 파악하여 일정 횟수 이상 차선 변경 주기와 급격한 차선 변경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으로 인지되어진 졸음운전이나 긴급상황의 경우 차량속도를 줄이는 동시에 운전자에게 경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운전 방지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한 긴급상황 및 졸음운전의 인식은,
    (e)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외부 차선의 경계를 촬영하는 단계와;
    (f) 상기 단계 (e)에서 촬영한 전체 형상을 흑백 이미지로 전환하는 단계와;
    (g) 상기 차선의 이미지를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단계와;
    (h) 상기 차선 부위의 자료를 추출하고, 상기 차선 변경의 움직임의 주기와 변경 크기를 상기 차선 변화의 시간함수로 계산(차선 변화율)하고, 그 크기의 평균치를 계산하는 단계와;
    (i) 상기 차량 외부의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현재 속도에 비례하여 회피할 수 있는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j) 상기 ECU에 상기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운전 방지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g)에서 상기 차선의 이미지를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한 분리는, 전체적인 형상에서 전체 큰 곡률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운전 방지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긴급상황 음성인식은,
    (k) 상기 차량을 처음 인도 받을 때,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소리를 저장하여 상기 운전자의 일반 음성대의 주파수대역과 음조를 기억시키는 단계와;
    (l) 주행중 상기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 실내의 소리를 측정하여 Hz별로 분리하는 단계와;
    (m) 상기 차량 실내의 여러 소리 중 상기 운전자의 음성을 분리하기 위해 상기 차량 초기에 기억시킨 주파수대와 음조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운전 방지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음성인식에 의해 긴급 제동사항으로 인식되는 경우는,
    상기 ECU에 제동신호 감지하고, 운전자 음성 주파수대 이상의 높은 주파수가 발생하며, 일정 음성 주파수대 유지시간이 α미만이고, 변화율은 β이상이 만족하는 경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운전 방지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음성인식에 의해 긴급 제동상황으로 인식되지 않는 경우는,
    상기 ECU에 제동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운전자의 음조가 아닌 경우, 일정 음성 주파수대 유지시간이 매우 긴 경우, 음성 주파수의 변화율이 느린 경우 중 어는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운전 방지 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 이후에 상기 차량이 완전히 세워진 후 운전자가 계속 졸음 상태에 있을 경우, 미리 입력되어진 ETACS의 메모리에 따라 운전자가 수면을 유도하도록 시트를 뒤로 젖히고 실내 환경 자동모드 후 전자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신호를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운전 방지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가 수면을 원하지 않아 다시 시트를 올릴 경우 신호 차단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운전 방지방법.
KR1020030054725A 2003-08-07 2003-08-07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Ceased KR200500157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4725A KR20050015771A (ko) 2003-08-07 2003-08-07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4725A KR20050015771A (ko) 2003-08-07 2003-08-07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5771A true KR20050015771A (ko) 2005-02-21

Family

ID=37226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4725A Ceased KR20050015771A (ko) 2003-08-07 2003-08-07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5771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75686A4 (en) * 2011-02-18 2014-08-06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RIVER BEHAVIOR REACTION
US9292471B2 (en) 2011-02-18 2016-03-22 Honda Motor Co., Ltd. Coordinated vehicle response system and method for driver behavior
KR20160065539A (ko) 2014-12-01 2016-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 오조작 차량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차량 제어장치
KR20170035035A (ko) 2015-09-22 2017-03-30 홍정표 졸음운전 방지 장치 및 방법
US9682711B2 (en) 2014-07-23 2017-06-20 Hyundai Mobi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driver status
US9751534B2 (en) 2013-03-15 2017-09-05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driver state
US10499856B2 (en) 2013-04-06 2019-12-10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biological signal processing with highly auto-correlated carrier sequences
WO2021208940A1 (zh) * 2020-04-17 2021-10-21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减速控制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车辆
CN114644004A (zh) * 2022-03-28 2022-06-21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驾驶员习惯监测的汽车传感器灵敏度控制方法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73437B2 (en) 2011-02-18 2018-01-23 Honda Motor Co., Ltd. Coordinated vehicle response system and method for driver behavior
US9855945B2 (en) 2011-02-18 2018-01-02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driver behavior
US9292471B2 (en) 2011-02-18 2016-03-22 Honda Motor Co., Ltd. Coordinated vehicle response system and method for driver behavior
US9296382B2 (en) 2011-02-18 2016-03-29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driver behavior
US11377094B2 (en) 2011-02-18 2022-07-05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driver behavior
US9440646B2 (en) 2011-02-18 2016-09-13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driver behavior
US9475502B2 (en) 2011-02-18 2016-10-25 Honda Motor Co., Ltd. Coordinated vehicle response system and method for driver behavior
US9505402B2 (en) 2011-02-18 2016-11-29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driver behavior
US10875536B2 (en) 2011-02-18 2020-12-29 Honda Motor Co., Ltd. Coordinated vehicle response system and method for driver behavior
EP2675686A4 (en) * 2011-02-18 2014-08-06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RIVER BEHAVIOR REACTION
AU2012218054B2 (en) * 2011-02-18 2014-10-23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driver behavior
US10759436B2 (en) 2013-03-15 2020-09-01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driver state
US10780891B2 (en) 2013-03-15 2020-09-22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driver state
US11383721B2 (en) 2013-03-15 2022-07-12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driver state
US10759438B2 (en) 2013-03-15 2020-09-01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driver state
US9751534B2 (en) 2013-03-15 2017-09-05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driver state
US10752252B2 (en) 2013-03-15 2020-08-25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driver state
US10759437B2 (en) 2013-03-15 2020-09-01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driver state
US10308258B2 (en) 2013-03-15 2019-06-04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driver state
US10246098B2 (en) 2013-03-15 2019-04-02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driver state
US10499856B2 (en) 2013-04-06 2019-12-10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biological signal processing with highly auto-correlated carrier sequences
US9682711B2 (en) 2014-07-23 2017-06-20 Hyundai Mobi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driver status
KR20160065539A (ko) 2014-12-01 2016-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 오조작 차량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차량 제어장치
KR20170035035A (ko) 2015-09-22 2017-03-30 홍정표 졸음운전 방지 장치 및 방법
WO2021208940A1 (zh) * 2020-04-17 2021-10-21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减速控制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车辆
CN114644004A (zh) * 2022-03-28 2022-06-21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驾驶员习惯监测的汽车传感器灵敏度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8376B2 (en) Saddle-ride vehicle with autonomous braking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6607255B2 (en) Collision mitigation by braking system
CN109572705B (zh) 一种驾驶员情绪管理方法、设备及存储设备
US200903225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er state detection
KR101478068B1 (ko) 차량 충돌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55969A (ko) 운전자 거동에 응답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4529394B2 (ja) ドライバの車両運転特性推定装置
CN111144311A (zh) 一种基于驾驶员注意力的辅助速控方法、装置及系统
KR102088428B1 (ko) 운전 상태 추정을 위한 이동체, 서버, 운전 상태 추정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15771A (ko)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36968A (ko) 운전자 졸음, 부주의 및 과부하 통합 판단 장치 및 방법
JPH03260900A (ja) 先行車両接近警報装置
JP6011450B2 (ja) 車両制動装置
WO2021179889A1 (zh) 驾驶辅助方法和驾驶辅助装置
US9393937B2 (en) Method for operating a braking system of a vehicle, braking system
JP2002329300A (ja) 車両の走行安全装置
JP4719960B2 (ja) 車両用警報装置
JP4051813B2 (ja) インフォメーション装置
JP7513105B2 (ja) 通知システム、通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26857A (ko) 졸음 운전 방지 장치
KR100412691B1 (ko)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졸음운전과긴급상황 인식방법
JP3291962B2 (ja) 車間距離警報装置
JP2006182325A (ja) 車両用警報装置
CN111516491B (zh) 一种车辆油门控制装置及控制方法
KR100295849B1 (ko) 졸음운전방지장치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8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5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2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