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3147A - 온도조절 소각로 건조격자 - Google Patents
온도조절 소각로 건조격자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13147A KR20050013147A KR10-2004-7020725A KR20047020725A KR20050013147A KR 20050013147 A KR20050013147 A KR 20050013147A KR 20047020725 A KR20047020725 A KR 20047020725A KR 20050013147 A KR20050013147 A KR 200500131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bustion chamber
- lattice
- oxygen
- inlet
- combus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5/00—Blast-producing apparatus before the fire
- F23L5/02—Arrangements of fans or blow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3/00—Grates with hollow bars
- F23H3/04—Grates with hollow bars externally cooled, e.g. with water, steam or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1/00—Grates with solid bars
- F23H1/02—Grates with solid bars having provision for air supply or air preheating, e.g. air-supply or blast fittings which form a part of the grate structure or serve as suppor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11/00—Travelling-grates
- F23H11/12—Travelling-grates inclined travelling grates; Stepped travelling grat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3/00—Grates with hollow bars
- F23H3/02—Grates with hollow bars internally cool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2202/00—Fluegas recirculation
- F23C2202/30—Premixing fluegas with combustion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2202/00—Fluegas recirculation
- F23C2202/50—Control of recirculation ra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5/00—Waste feed arrangements
- F23G2205/10—Waste feed arrangements using ram or push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7/00—Control
- F23G2207/30—Oxidant supp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incinerators
- F23G2900/00001—Exhaust gas recircu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incinerators
- F23G2900/55—Controlling; Monitoring or measuring
- F23G2900/55001—Controlling combustion air pre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시스템은 격자수단에 결합된 조절수단을 포함한다. 이 조절수단은 산화수단, 산소함유기체 및 기체 연소생성물과는 별도로 격자수단의 온도를 조절한다. 특히, 본 발명의 소각로는 격자수단에 연결된 온도조절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온도조절수단은 격자수단을 통해 산소함유기체와는 별도로 산소함유기체 이외에 소정 온도범위의 다른 유체를 흐르게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 유체가 소정 온도범위의 2상 유체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증기-물 혼합물은 공지된 특성 때문에 2상 유체로 바람직하지만, 다른 유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증기-물의 2상 유체는 전력 없이도 계속 순환된다. 따라서, 정전의 경우에도 증기-물 혼합물은 여전히 격자를 보호한다.
Description
John N. Basic, Jr.의 미국특허 4,438,705, 4,475,469, 4,516,510, 4,706,578, 5,007,353, 5,209,169, 5,413,715에서는 상당히 진보된 폐기물 소각로 기술을 선보였고, 연소에 대한 "3가지 T", 즉 시간, 온도, 난류를 적절히 제어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이들 특허중 첫번째 및 세번째 특허에서는, 경제적인 사용을 위해 열회수를 최적화하고 여러가지 폐기물의 소각 효율을 상당히 개선한 소각방법과 장비를 보여주고 있다. 이들 두개의 특허에서는 3군데의 연소구역을 설정하여, 중요한 위치에서 온도를 측정하고, 원하는 효율과 환경평가를 얻기 위해 연소 조건을 변경하곤 한다. 또, 이들 특허에서는 연소실로 투입하기 전에 별도처리가 불필요한 대규모 폐기물을 이용하여 목적을 달성한다. 이 시스템은 현저하게 다른 종류의 폐기물들을 처리하면서도 환경적으로 정상적인 소각을 달성할 수 있는 다양성을 보여준다.
이들 특허의 원리는 광범위하게 응용되어 연료로서 폐기물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런 발견은 일반적인 미확인 소스로부터 나오는 탄화수소-함유 연기의 연소에도 유용함이 발견되었다. 이들 특허에 의하면 특히 연소실이 없는 시스템으로도 이런 연기를 태울 수 있다.
그러나, 연소실을 사용할 경우에도 이들 특허에서는 소각로 시스템의 연소실을 개량하였다. 개량사항으로는, 첫째 노(爐)의 바닥을 계단형으로 하고, 계단의 수직면에 에어노즐을 배치했다. 다른 고려사항은, 소각로의 연소실에 연소성분으로서 일정 화학량의 산소가 들어있고, 연소실의 바닥과 체적이 각각 연소폐기물의 열함량에 대해 일반적인 관계를 갖는다는 점이다. 또한, 연소되지 않은 폐기물 입자의 부유를 방지하기 위해 연소실로 진입하는 공기의 속도는 제한이 있다. 한편, 연소개선을 위해 다양한 크기의 연소실 벽면들이 서로에 대해 특정 관계를 맺는다.
위에 열거한 특허중 2번째 및 4번째 특허에서는, 연소실내의 바닥에 놓인 물질을 운반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이들 특허에서는 실제로 재료의 전진을 촉진하는 노의 바닥의 움직임이 사인파 형태가 아님을 알 수 있다. 바닥의 움직임은 눈 등을 삽질하는 움직임과 아주 비슷하다. 물질, 특히 연소 폐기물을 전진시킴과 동시에 맥동시키면 대량의 폐기물을 가감속하면서 밀어주게 되어 연소속도와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Basic의 처음 4개 특허에서는 폐기물 소각에 대해 전혀 새로운 체계를 세웠다. 이들 특허는 폐기물의 소각에 대한 기본적인 조건들을 제시했고, 주연소실에 대규모 폐기물을 통과시켜 과정을 촉진하는 방법을 보여주었다. 이렇게 확립된 인자들을 이용해, Basic은 이미 개발된 시스템을 개량하고자 했다. 그 과정에서, 여러가지 폐기물을 신뢰성 있게 취급하고자 종래에 비해 시스템은 더 개선되었다. 전술한 특허중 최종 3개 특허의 등록은 Basic의 지속적인 노력의 결과였다.
Basic은 다양하게 소각로를 개선하였다. 특히, 재연소 터널을 두개의 평행한 재연소 구간으로 나눈다는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연소실 등에서 나오는 연기에 대해 각각의 구간이 동일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게 되었다. 두개의 작은 재연소 구간에서 생기는 다양성 때문에 연소에 대한 3가지 T에 대한 제어가 현저히 개선되었다.
또다른 특징으로, 전술한 특허에서는 재연소 터널에 "여자기(excitor)"를 설치했다. 여자기는 대량의 기체가 위치하는 터널 중심의 단면적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고 그 둘레로 기체를 강제로 통과시킨다. 기체분자와 벽면 사이의 간격이 짧아지고, 외벽과 여자기 벽면 사이의 간격도 짧아져, 열복사에 의해 3가지 T의 제어가 획기적으로 개선된다. 여자기는 그 외에도 터널로 들어가는 공기를 분무하여 온도와 시간의 제어는 물론 완전연소를 위한 충분량의 산소도 확보할 수 있다. 여자기의 다른 특징은, 여자기의 지지부를 통해 공기를 재연소 터널에 공급하고, 여자기의 외부의 열전도율을 낮춰 열생성을 제한하는데 있다. 또, 이 특허에서는, 재연소 터널 출구에 댐퍼를 설치하여 연소에 있어서 (3가지 T중 하나인) 시간을 더 제어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미국특허 5,209,169는 노의 바닥을 갖는 연소실에 전혀 새로운 특성을 부여했다. 특히, 노 윗쪽으로 연소실 입구 부근에 격자를 설치했다. B.T.U 함량이 높거나 수분이 많은 쓰레기가 격자에 놓인다. 수분이 많은 쓰레기는 격자에서 건조되고, B.T.U 함량이 높은 쓰레기의 경우, 휘발성 탄화수소의 일부가 연소되거나 배출되어 과열을 방지하고 노의 바닥에 가능한한 슬래그가 쌓이는 것을 막는다. 어느 경우에도, 고정된 탄화수소 폐기물이 격자를 통해 연소실로 낙하한다. 폐기물은 절반이상의 연소성 탄화수소를 함유한채 낙하할 수 있다. 한편, 격자에 일정 크기의 구멍들을 뚫어 전술한 목적을 이룰 수도 있다. 격자를 통과하는 공기 등의 유체는 격자를 냉각하는 역할을 하고, 내화코팅은 격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공기는 격자를 통과해 직접 연소실로 들어가 연소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격자를 흔들면 폐기물이 흔들려 원하는 연소를 이룰 수 있고, 건조하거나 일부 연소된 폐기물이 하부의 노로 낙하할 수 있다.
격자를 통과하는 공기나 증기와 같은 유체는 격자의 금속구조를 냉각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내화코팅은 격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격자를 통과한 공기는 연소실로 바로 들어가서 연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격자를 통과하는 공기는 2가지 기능을 한다. 첫째, 격자의 내부구조를 연소실의 연소로부터 보호한다. 둘째, 연소불꽃 장체에 산소를 공급한다.
미국특허 5,413,715는 소각로에 물통을 설치한 뒤 물통에서 재를 떠내는 스쿠프(scoop)에 관한 것이다. 스쿠프는 궤도를 따라 움직이고, 바닥에 닿으면 재를 담아둘 수 있도록 닫힌다. 궤도를 따라 상승한 뒤, 스쿠프가 열리면 재는 트럭 등의 재받이로 떨어진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폐기물 연소 기술은 Basic에 의해 상당히 진보되었다. 이상과 같은 최근의 소각 경향에서 볼 수 있듯이, 기술이 진보할 때마다 새로운 개량이 이루어진다. 이런 진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온도조절 소각로 건조격자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2단 재연소구간을 갖는 소각로의 측면도;
도 2는 건조격자 위에 폐기물을 새로 도입하고 3개이 맥동 노를 갖는 소각실의 개략도;
도 3은 건조격자 위에 폐기물을 분산시키는 도 2의 소각실의 개략도;
도 4는 소각실 입구에 로더가 있는 건조격자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5-5선 단면도;
도 6은 벽면이 경사진 소각실 입구의 로더 부근의 다른 건조격자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7-7선 단면도;
도 8은 도 6의 8-8선 단면도;
도 9는 열조절 유체의 순환을 위한 3개의 연속 튜브격벽을 갖는 격자의 아암의 일부파단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10-10선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건조격자의 아암 일부의 확대도;
도 12는 도 9-12의 격자아암의 2개 튜브들 사이의 엔드커넥터의 단면도;
도 13은 건조격자아암의 2개 튜브들 사이의 다른 엔드커넥터의 단면도;
도 14는 아암이 3개인 격자시스템의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15-15선 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16-16선 단면도;
도 17은 도 16, 18의 17-17선 단면도;
도 18은 도 17의 18-18선 단면도;
도 19는 도 14-18과 비슷하지만, 각각의 격자아암에서 온도조절유체의 순환을 위한 튜브쌍이 3쌍이 아닌 5쌍인 격자시스템의 평면도;
도 20은 도 19의 20-20선 단면도;
도 21은 도 19의 21-21선 단면도;
도 22는 도 21의 사각형이 아닌 사다리꼴 단면의 격자아암을 보여주는 도면;
도 23은 도 22와 비슷하지만 내화코팅이 적은 사다리꼴 격자아암을 보여주는 도면;
도 24는 도23과 비슷하지만 산소함유기체의 유입을 위한 노즐이 추가로 형성된 사다리꼴 격자아암의 도면;
도 25는 도 24의 사다리꼴 아암과 격자 안으로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는 상자를 이용하는 격자시스템의 도면;
도 26은 도 25의 26-26선 단면도;
도 27은 도 25, 26의 27-27선 단면도;
도 28은 도 25, 26의 28-28선 단면도;
도 29는 소각로의 후방 스테이지로부터 건조격자시스템으로 연료기체를 보내는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0은 소각로의 연소실에서 격자시스템으로 직접 연료기체를 공급하는 재순환 시스템의 측면도;
도 31은 도 30의 평면도;
도 32는 재순환된 연료기체를 직접 격자아암으로 보내는 건조격자 부근의 배관 측면도;
도 33은 도32의 재순환 연료기체를 건조격자로 보내는 배관연결도;
도 34는 주변공기를 흡입하는 송풍기가 연료기체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의 연료기체 재순환 시스템의 정면도;
도 35는 격자시스템으로 재순환되는 연료기체의 양을 조절하는 댐퍼의 부분파단 사시도;
도 36은 도 35의 36-36선 단면도;
도 37은 도 35, 36의 댐퍼 지지부와 댐퍼 도어의 사시도;
도 38은 소각로의 연료기체 배출상태와 공기 인입상태를 보여주는 도 34의 재순환 시스템의 평면도;
도 39는 도 38의 기체 혼합, 송풍 시스템의 다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0은 도 건조격자에 대한 연료기체의 통로를 보여주는 34, 38의 재순환 시스템의 측면도;
도 41은 건조격자아암에 대한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도 37-39의 연료기체 재순환시스템의 정면도;
도 42는 소형의 자잘한 폐기물을 위해 2개의 건조격자를 이용하되, 한쪽 격자는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념도.
발명의 요약
전술한 미국특허 5,208,169에 의하면, 격자를 하부 노 위에 배치하고, 그 위에 폐기물을 놓아 건조시키고 휘발성 탄화수소를 증발시킬 수 있다. 격자를 통과하는 공기는 격자를 손상시키거나 파손시킬 수 있는 온도 이하로 격자의 온도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 공기는 또한 산소함유기체를 연소불꽃에 공급하기도 한다.
그러나, 후속 공정에서는 격자에서의 공기의 두가지 기능을 제어하기가 어려워, 폐기물이나 탄화수소를 최대 효율로 태워 청정한 상태를 얻기가 어려움이 밝혀졌다. 따라서, 미국특허 4,438,705, 4,516,510에서 설명한대로, 연소물질을 위해 화학량의 산소를 주연소실에 공급해야만 한다. 이렇게 되면 연소가 과잉되거나 부족하고 격자 공기가 필요하다. 격자에 허용되는 공기량은 격자의 파손방지를 위한 적절한 냉각에 불충분할 수 있다. 한편, 격자를 적절히 냉각하려면 최적량 이상의 공기를 격자에 통과시켜야 할 수도 있다.
또, 격자를 냉각하면서도 연소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공기를 주입하면, 격자 부근의 온도를 부적절하게 낮출 수도 있다. 특히, 산소함유기체가 여러 소각요소를 통과하면서 열을 받을 때 그럴 수 있다. 또, 격자 위의 축축한 폐기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실제로는 산소보다 열을 더 필요로 할 수 있다. 이런 기능은 제어하기가 아주 어렵다고 본다.
연소공기를 이용해 격자의 온도를 조절하는데 있어서 또다른 심각한 문제점은 공기공급 자체가 중단될 수 있다는 것이다. 격자에 대한 심각한 공기공급 중단은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의 고장 때문에 일어날 수 있다. 다른 원인은, 격자에 냉각공기 공급을 중단하는 정전 등이 있을 수 있다. 또는, 오퍼레이터가 장치 정지중에 격자를 적절히 냉각하기 전에 송풍기를 끌 수도 있다.
어떤 경우에도, 격자에 대한 냉각공기의 손실은 격자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격자는 소각실내의 극히 높은 가열상태에 있다. 일반적으로 격자의 재료로는 스틸을 사용하고, 가능한한 내화코팅을 한다. 700 내지 900℉의 온도에서는 스틸은 그 강도의 90%를 잃는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든 냉각공기가 부족하면 격자 자체가 심각한 기형으로 되거나 파손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격자의 열손상 방지를 위해 적절한 공기를 공급는 것이 실제로는 격자 위의 폐기물에 과잉공기 공급을 일으키게 된다. 전술한 미국특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격자 위에 폐기물을 놓는 것은 2가지 목적 때문이다. 첫째, 폐기물의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다. 폐기물의 수분이 50%까지 떨어질 때만 점화가 가능하다. 폐기물에 과잉공기가 공급되어 냉각이 일어나면 폐기물에서 수분을 제거하는데 방해가 된다.
또, 격자 위에 폐기물을 놓으면 폐기물에 포함된 휘발성 탄화수소를 증발시킬 수 있다. 탄화수소가 하부 노에 떨어지면 불꽃을 확 일으켜 국부적 과열을 일으키고 과잉열로 인한 슬래그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가급적 휘발성 탄화수소는 노에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격자의 냉각을 위해 많은 공기를 격자에 통과시키면 휘발성 HC가 격자 부근에서 타버릴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휘발하는 HC의 불꽃에 의해 생긴 열때문에 격자에 슬래그가 생길 수 있다. 휘발성 HC에 공급되는 공기량과 냉각의 제어는 아주 어렵고 언제나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격자를 통해 소각실로 들어간 공기로 격자의 온도를 조절하면, 시스템의 동작과 신뢰성에 아주 좋음이 발견되었다. 격자의 파손을 유발할 소각상태와 요인들을 더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량 폐기물과 탄화수소 함유 액체를 위한 소각로는 밀폐연소실와, 연소실 내부에서 물질을 홀딩해 연소시키는 내화 바닥수단을 구비한다. 연소실의 입구를 통해 고체폐기물이 들어가고 출구를 통해 기체 연소생성물이 나간다. 구멍이 관통되어 있는 격자는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바닥수단 위로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킨다. 산화수단은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킨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격자수단에 결합된 조절수단을 포함한다. 이 조절수단은 산화수단, 산소함유기체 및 기체 연소생성물과는 별도로 격자수단의 온도를 조절한다.
특히, 본 발명의 소각로는 격자수단에 연결된 온도조절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온도조절수단은 격자수단을 통해 산소함유기체와는 별도로 산소함유기체 이외에 소정 온도범위의 다른 유체를 흐르게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 유체가 소정 온도범위의 2상 유체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증기-물 혼합물은 공지된 특성 때문에 2상 유체로 바람직하지만, 다른 유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증기-물의 2상 유체는 전력 없이도 계속 순환된다. 따라서, 정전의 경우에도 증기-물 혼합물은 여전히 격자를 보호한다.
산소함유기체와는 별도로 유체가 격자수단을 통과하므로, 밀폐시스템에 이 유체가 순환될 수 있다. 이 경우, 온도조절이나 기타 목적에 이 유체를 사용한 다음 격자수단으로 되돌릴 수 있다.
특별한 경우, 소각로는 출구에 보일러를 연결할 수 있다. 보일러는 출구를 통과하는 기체 연소생성물에 포함된 열을 취하여 별도의 유체에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이 유체는 2상 증기 형태를 취한다. 온도조절수단을 보일러와 격자수단에 연결하고, 2상 유체를 산소함유기체와는 별도로 보일러와 격자수단 사이에 흐르게 하면 상당히 유리하다. 이 경우 2가지 목적이 달성된다. 첫째, 냉각유체가 격자수단을 통과하면서 과잉 열을 제거할 수 있다. 둘째, 이 유체가 얻은 열을 다른 곳에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특징들 어떤 것에서도, 온조조절유체는 산소함유기체와 별도로 격자수단을 통과한다. 이 유체를 산소함유기체와 섞이지 않게 흐르게 하는 개량된 구조는 "튜브격벽" 형태이다. 튜브격벽은 격자수단의 일부를 구성하고, 열전달 물질로 된 비교적 얇은 구간이나 판으로 된 관 형태이다. 튜브격벽은 2개 이상의 별도의 유체기밀 튜브를 갖고, 이들 튜브는 얇은 금속판과 열접촉하며 열전달물질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온도조절유체는 튜브를 통과하고 튜브의 온도를 상당히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조절된 온도는 열전달 물질 구조 때문에 격벽의 다른 부분으로 이동한다.
일반적으로, 얇은 금속판과 튜브는 서로 일체로 용접된다. 또, 튜브들중 두개는 기밀상태로 서로 통한다. 실제로, 튜브격벽은 짝수개의 튜브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되면, 튜브를 두개씩 서로 연결할 수 있다. 각각의 쌍에서, 한쪽 튜브는 격자수단에 들어가는 유체를 취한다. 이 유체는 튜브쌍의 두번째 관으로 들어가서, 결국 격자수단을 나간다. 격벽튜브의 특히 바람직한 형태는 관 형태이다.
이를 위해, 튜브격벽을 원형으로 하여 밀폐된 원통관을 형성한다. 튜브는 원통관의 중심축에 평행하다. 산소함유기체는 튜브의 관통노즐을 통해 원통관 내부를 흐른다. 튜브의 온도 조절효과 때문에 뜨거운 산소함유기체를 사용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이런 기체는 연료기체 자체 또는 연료기체를 함유하고, 여전히 약간의 산소를 포함한다. 원통형 튜브격벽을 이용하기 위해, 격자수단은 다수의 격자아암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아암 각각은 관 형태의 튜브격벽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산화수단은 산소함유기체를 튜브격벽으로 이루어진 상자에 통과시킨다.
격자수단의 온도조절 특징 때문에, 폐기물 자체가 연소생성열에 견딜 필요가 없다. 자체적으로는 연소온도에서 견디기 어려운 물질을 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 결과, 고온에서 강도를 손실하는 스틸과 같은 물질에 내화코팅과 같은 추가적인 보호조치를 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격자수단은 산호함유기체가 연소실로 들어가기 전에 통과하는 통로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 통로는 스틸로 이루어지고, 그 일부는 직접 연소실 내부의 연소에 노출된다. 통로의 나머지는 폐기물 등과 접촉하여 생기는 마모로부터 보호되도록 내화코팅이나 다른 코팅을 구비할 수 있다.
소각로의 연료개스는 대표적인 열원이다. 그러나, 폐기물 연소생성물은 한가지 이상의 심각한 부식성분, 특히 고온에서는 연소를 저온에서는 염산을 포함한다. 이들중 어떤 성분도 연료기체의 이동을 조절하는 송풍기의 금속성분에 악영향을 준다. 이 경우, 연료기체를 소각로 자체, 특히 격자수단의 열원으로 사용하는 것이 제한된다.
그러나, 연료기체는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 구체적으로는 격자수단 위의 폐기물을 통과하는 산소함유기체의 일부나 전체로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특징들을 몇가지 갖는다. 첫째, 연소기체는 연소과정의 결과 상당한 수분을 갖는다. 물분자는 기체에 높은 비열을 부여한다. 이렇게 되면, 연료기체는 격자수단 위의 폐기물에 신속하게 많은 열을 공급할 수 있다. 또, 연료기체는 이미 연소과정을 겪었으므로 공기보다 산소함량이 낮다. 따라서, 격자 위의 폐기물을 연소시킬 가능성이 낮다. 이런 기능은 폐기물이 상당량의 휘발성 탄화수소를 포함할 때 특히 유리하다. 연료기체의 낮은 산소함량 때문에 휘발성 HC의 연소가 제한된다. 그 결과, 국부적인 과열, 슬래그, 격자수단의 파손을 유발할 과잉불꽃이 격자수단에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격자에 연료기체를 사용하는 것은 과거에는 일반적으로 불가능했었다.
일반적으로, 연료기체를 사용하기 위해 본 발명의 소각로는 밀폐된 연소실의 출구에 격자수단의 산화수단을 연결한다. 산화수단은 출구에서 얻은 기체 연소생성물의 일부를 격자수단을 통해 산소함유기체로서 연소실로 되돌린다. 산화수단은 격자수단 위에서 일어나는 연소과정을 보조하기도 한다. 이를 위해, 산화수단은 산소함유 연료기체가 격자수단에 들어가기 전에 이 기체의 온도를 소정 범위로 설정한다. 폐기물이 PVC로 인한 염소를 함유하면, 상기 온도범위는 350 내지 800℉, 더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750℉이다. 이보다 낮으면, 연료기체를 움직이는 송풍기의 일부가 염산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산에 견디는 부품을 사용하면 상기 온도범위 밑의 온도도 허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온도범위 이상에서는 염소가 송풍기를 공격한다.
산화수단이 산소함유 연료기체의 온도를 설정하는 한가지 편리한 방법은, 연소실 출구에서 취한 기체 연소생성물보다 낮은 온도의 별도의 산소함유기체를 연소생성물과 혼합하는 것이다. 공기는 대표적인 저온기체이다. 적당량의 공기를 연료기체와 섞으면 시스템 파괴 없이 연소를 지원하는 적당한 온도범위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폐기물에 염소가 없으면, 전술한 염소와 염산기체 부식으로 인한 온도한계는 특히 연료기체를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고온 송풍기에 부적합하다. 연료기체 온도를 송풍기의 설계온도 한계, 통상 고온부품에 대해서는 2000℉ 밑으로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폐기물과 기체 연소생성물이 염소를 함유하면, 연료기체를 격자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송풍기의 부품을 연료기체가 공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관은 내화코팅으로 보호되고, 격자수단은 온도조절로 보호된다. 보호되지 않는 송풍기 부품의 파손 등을 방지하려면, 두가지 해결책중 하나를 적용한다. 부품을 염소함유 연료기체와 접촉시키지 않거나, 연료기체가 부해한 온도범위에 있는 뒤에만 접촉시킨다.
전자를 위해, 산화수단은 출구 및 격자수단과 통하는 관을 구비한다. 이 관에 연결된 송풍기는 연소실 외부로부터 고압으로 공기를 관에 유입시켜 연소생성물과 공기를 혼합한다. 송풍기는 연소생성물 및 기체와 공기의 혼합물에 전혀 접촉하지 않으면서 이런 혼합을 한다. 산화수단은 이런 혼합물의 일부를 격자수단을 통해 산소함유기체의 일부로서 연소실에 주입한다.
한편, 기체가 송풍기 부품에 닿기 전에 원하는 온도로 낮추기 위해, 산화수단은 출구 및 격자수단과 통하는 관을 포함한다. 출구와 격자수단 사이에서 관에 연결된 인입수단은 기체 연소생성물에 공기를 주입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송풍기는 인입수단과 격자수단 사이에서 관에 연결된다. 송풍기가 부분적인 부압으로 인입수단에서 공기를 흡입해 기체 연소생성물에 주입하여 공기와 연소생성물의 혼합물을 형성한 뒤에야 연소생성물이 송풍기에 도달한다. 기체가 송풍기에 닿기 전에 혼합물이 형성되므로, 송풍기는 원하는 온도범위의 기체만을 접할 뿐이다. 송풍기는 공기와 기체 연소생성물의 혼합물을 압력에 의해 관과 격자를 통해 산소함유기체의 일부로서 연소실로 보낸다.
Basic의 특허에서 언급한 시스템은 폐기물을 소각하는 방법에 있어 상당히 변했다. 이 임무를 위해 방법과 장치를 개량했다. 소각할 폐기물은 불꽃에 닿기 전에 더이상 분쇄처리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사전 분쇄로 인한 소형 입자들이 전술한 시스템에 남아있으면 문제가 생긴다. 소형 입자들은 격자를 통해 쉽게 떨어지고 전술한 두가지 목적을 이루는데 충분히 장기간동안 격자 위에 머물지 않는다. 이런 물질의 경우, 입자 등이 건조되고 휘발성 탄화수소를 증발시키기에 충분히 머물지 않으므로 격자가 거의 제역할을 못한다. 그러나, 첫번째 격자 밑에 두번째 격자를두면 건조와 HC 증발의 두가지 목적을 달성하기에 충분히 오래 입자물질의 하강을 지연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입자물질에 특히 유용한 본 발명의 소각로는 제1 격자수단이고 일반적으로 제1 윗면을 형성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전술한 연소실 내부의 격자수단이다. 두개의 격자수단의 개발을 위해, 구멍이 관통되어 있는 제2 격자수단을 연소실 내부에 배치하고 제2 윗면을 형성하되, 제2 윗면은 제1 윗면과 제1 격자수단 밑에 위치한다. 시스템의 다목적을 위해, 제2 격자수단은 연소실에서 제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상의 구조에서는 산화수단이 산소함유기체를 제1 격자수단과 제2 격자수단에 통과시킨다. 물론, 모든 온도조절특징은 제1, 제2 격자수단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온도조절수단을 제1, 제2 격자수단 모두에 연결하고, 산소함유기체와는 다른 제1, 제2 유체를 각각 산소함유기체와는 다른 온도범위로 제1, 제2 격자수단에 통과시킨다. 일반적으로, 2가지 격자수단의 온도조절유체는 2상 물-증기로서 동일하다.
특히, 제1, 제2 격자수단들은 모두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연소실에 부착된 다수의 기다란 제1, 제2 아암들을 포함하며, 제1 격자수단은 입구 부근에서 입구 반대쪽으로 뻗는다. 제1, 제2 아암들은 서로 평행하다. 제1, 제2 아암들의 윗면은 각각 제1, 제2 윗면을 구성하고, 제2 윗면은 제1 윗면보다 밑에 있다.
작거나 입자상 물질을 충분히 오랫동안 2개의 격자수단 위에 머물게 하려면, 제1 아암들을 제2 아암에 평행하되 서로 엇갈리게 배치한다. 따라서, 작은 물질들은 제1 격자수단은 빠르게 통과하지만, 제2 격자수단에 떨어져 더 반응한다.
마찬가지로, 산화수단은 동일한 이유로 제1, 제2 격자수단 모두에 산소함유기체를 통과시킨다. 마찬가지로, 온도조절수단은 제1, 제2 격자수단 모두에 연결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산화수단은 산소함유기체 이외의 제1 및 제2 유체를 산소함유기체와는 다른 온도범위로 제1, 제2 격자수단에 통과시킨다. 이렇게 되면, 양쪽 격자수단의 온도를 조절해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소각로가 정상적인 대형 물질을 취급할 수 있도록 제2 아암은 연소실에서 제거될 수 있다. 산소함유기체나 온도조절 유체가 제2 격자수단을 통과하는 모든 구멍을 막으면 소각로가 전술한 일반적 구조로 변한다.
다른 구조적 특징으로서, 제1 및 제2 아암들 각각의 일단부는 연소실에 외팔보 형태로 부착된다. 이렇게 하면, 소각로의 열로 인해 격자수단이 팽창된다. 아암의 일단부를 측벽에 연결하면, 아암의 열챙창율과 냉각수축율이 다르기 때문에 아암이나 측벽이 파손된다. 또, 외팔보식 아암은 연소 폐기물의 나머지를 붙잡지 않고 타이어 와이어나 자전거 조각등의 금속물체를 일단부 쪽으로 미끄러지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소실로 들어가는 폐기물은 입구로 들어가 일정 기간 격자수단 위에 머문다. 이 동안, 수분은 50% 이하로 떨어지고 휘발성 HC는 기체상태로 변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격자수단의 장점들이 있는 한 폐기물은 지나치게 많이 쌓이지 않을 것이다. 격자수단에 쌓이는 폐기물 덩어리의 높이를 제한하면 처리가 훨씬 효율적으로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각로에서는 입구 부근의 연소실에 로더수단을 연결하는 것이 좋다. 일차적으로, 로더수단은 입구를 통해 연소실 안의 격자수단 위로 폐기물을 운반해야 한다. 이차적으로 격자수단과 공기가 제기능을 하도록 하려면, 로더수단이 격자수단 위의 폐기물의 높이를 제한해야 한다. 따라서, 로더수단은 격자수단 위에 폐기물층이 지나치게 두껍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여러가지 사항은 폐기물 소각로 이외의 다른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모든 형태의 물질을 연소시킬 수 있는 시스템에 유리하다. 이런 시스템은 내화바닥수단을 내부에 갖춰 연소물질을 바닥수단 위에 홀딩하는 연소실을 포함한다. 구멍이 관통되어 있는 격자수단은 연소실 내부에 배치한다. 격자수단은 바닥수단 위로 제한된 시간동안 물질을 보유한 다음 바닥수단에 낙하시킨다. 소각로와 마찬가지로, 격자수단에 결합된 산화수단은 산소함유 기체를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로 도입한다. 소각로에서 설명한 장점들 각각은 다른 물질을 연소하는 이런 형태의 시스템에도 유용하다.
Basic의 특허에서 설명한대로, 소각과정의 온도는 폐기물과 탄화수소 함유 액체를 연소하는데 중요하다. 이런 연소를 수행하는 소각로는 밀폐 연소실을 갖는다. 연소실 내부에는 물질을 홀딩해 연소시키는 내화바닥수단이 있고, 고체폐기물을 들여보내는 입구와, 기체 연소생성물을 연소실에서 내보내는 출구가 있다. 구멍이 관통되어 있는 격자수단은 바닥수단 위로 입구 부근에 위치한다. 격자수단은 바닥수단 위로 입구를 통해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홀딩했다가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킨다. 이 시스템의 온도를 조절하는 중요한 단계는 격자수단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지만, 격자수단을 통해 들어간 산소함유기체와 기체 연소생성물 둘다의 온도와 무관하게 해야 한다. 격자수단의 온도를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은 격자수단, 격자수단을 통해 유입된 산소함유기체, 및 기체 연소생성물의 온도들을 별도로 최적화한다.
격자수단을 통해 산소함유기체의 온도를 별도로 조절하는 한가지 편리한 방법은, 산소함유기체 이외의 유체를 소정 온도범위로 격자수단에 통과시키는 것이다. 이 유체를 산소함유기체와 떨어지게 유지하면 유체와 산소함유기체를 섞지 않고도 유체를 통해 산소함유기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완전히 별개의 2가지 유체를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온도조절을 위해 격자수단을 통과하는데 아주 유용한 물질은 소정 온도범위의 2상 유체 형태를 취한다. 이 목적으로는 물-증기 혼합물이 좋은데, 여러 압력에서 온도가 오래 유지되기 때문이다. 사용된 유체와 무관하게, 이 유체가 격자수단을 별도로 통과한다는 사실 때문에 다른 손쉬운 취급방법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유체는 밀폐시스템 안에서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유체가 격자수단을 통과한 뒤, 밀폐시스템을 통해 격자수단으로 돌아간다. 물-증기 시스템의 두가지 특별한 장점은, 이것이 순환하는데 외부전원이 불필요하기 때문이다. 다라서, 정전이 되어도 물-증기 혼합물은 계속 순환하여 온도보호기능을 수행한다. 또, 2상 시스템의 연속순환은 시스템의 여러 곳에 해로운 영향을 주는 국부적 과열을 피할 수 있다.
기체 연소생성물은 다른 곳에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열을 보유한다. 이 열을 유용한 형태로 취하려면, 보일러와 같은 열교환기에 연소기체를 통과시킨다.열회수 방법은 기체 연소생성물의 열을 물-증기와 같은 2상 유체에 전달하는 것이다. 이 유체는 연소기체로부터 열을 회수한 뒤 격자수단의 온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이를 위해, 2상 유체는 산소함유기체와는 별도로 격자수단을 통과한다.
유체를 산소함유기체와는 별도로 격자수단에 통과시키는 것은, 2가지 유체의 성분을 혼합하지 않고 2가지 유체 사이에 열전달을 하기 위해서이다. 이를 위해, 상대적으로 얇은 열전달물질의 튜브격벽으로 이루어진 관을 통해 연소실로 산소함유기체를 들여보낼 수 있다. 튜브격벽은 격자수단의 일부를 구성하고 비교적 얇은 열전달 물질 구간과, 이 구간과 열접촉하고 열전달 물질로 이루어진 2개 이상의 서로 떨어진 유체기밀 튜브로 이루어진 튜브격벽으로 이루어진 관을 포함한다. 산소함유기체 이외의 유체가 유체기밀 튜브를 통과하면서 격자수단의 온도를 조절한다.
격자수단의 온도를 조절하면 격자수단을 열파괴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격자수단의 재료선택과 별도의 보호수단 없이도 격자수단을 보호하는데 상당한 융통성이 생긴다. 특히, 산소함유기체가 연소실로 들어가기 전에 통과하는 스틸로 된 통로를 하나 이상 격자수단이 구비할 수 있다. 스틸은 강도면과 경제성에서 유리하다. 온도를 조절하면, 폐기물을 연소실에서 연소할 수 있다. 스틸 통로의 일부분을 열파괴를 받지 않고 연소실 내부의 연소에 직접 노출시킬 수 있다.
이 방법들은 주로 대형폐기물의 소각을 목적으로 한다.
이들 방법은 또한 잘게 부서진 물질을 더이상 변화시키지 않고 적절히 소각할 수 있다. 그러나,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 자잘한 물질은 격자수단을 너무 빨리 통과하여 내부의 수분이나 휘발성 탄화수소를 적절히 제거하지 못하기도 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격자수단에 물질을 통과시키면 적절히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제각기 구멍이 관통되어 있는 제1, 제2 격자수단들을 이용한다. 제1 격자수단은 바닥수단 위로 입구부근에서 연소실 내부에 위치한다. 제1, 제2 격자수단들은 각각 제1, 제2 윗면을 구성한다. 제2 격자수단의 제2 윗면은 제1 윗면과 제1 격자수단 밑에 위치한다. 이런 종류의 소각로 내부의 연소보조방법은 산소함유기체를 제1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 안으로 넣고, 입구를 통해 제1 윗면에 폐기물을 넣으며, 폐기물을 제1 격자수단을 통해 낙하시킨다. 폐기물을 제 윗면에 놓은 다음 제2 격자수단을 통해 낙하시킨다. 끝으로, 폐기물을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놓는다. 폐기물이 2개의 격자수단을 통해 처리되는 시간동안 전술한 제어방식으로 소각을 이룰 수 있다.
특히, 제1, 제2 격자수단은 각각 연소실에 부착된 다수의 기다란 제1, 제2 아암들을 포함하고, 제1 아암은 입구 반대쪽으로 연장한다. 제2 아암은 제1 아암에 평행하다. 제1, 제2 아암들의 윗면은 각각 제1, 제2 윗면을 구성한다. 제2 윗면은 제1 윗면 밑에 있고, 제1 아암들은 제2 아암들과 평행하되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이런 소각로에서는, 산소함유기체가 제1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로 들어가고, 이 때 입구를 통해 제1 윗면에 새로 도입된 폐기물이 놓인다. 폐기물은 제1 아암을 통해 낙하한 다음 제2 윗면에 놓인다. 여기서, 폐기물은 제2 아암을 통해 낙하한 다음 연소되면서 바닥수단에 놓인다.
산소함유기체가 격자의 온도를 조절하는 임무를 갖지 않으므로, 공기 이외의다른 기체를 이 공정에 쉽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이유로, 연료기체는 소각과정을 개선할 잠재력을 갖는다. 연료기체의 특성을 이용하기 위해, 연소실 출구에서 나오는 기체 연소생성물의 일부를 산소함유기체의 일부로서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로 넣는다. 연소과정에서, 연료기체는 공기보다는 적지만 여전히 산소를 소량 함유한다.
그러나, 온도조절용으로 별도의 유체를 사용하면, 연료기체를 산소함유기체로 사용할 때 연료기체의 온도를 조절할 이유가 없다. 또, 연료기체가 격자수단에 들어가기 전에 연료기체의 온도를 적절히 조절하면, 적당한 환경에서 별도의 온도조절유체를 사용할 필요성이 경감된다. 어느 경우든, 온도조절기체를 사용하려면 먼저 기체 연소생성물을 산소함유기체의 일부로서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 안으로 도입한다. 산소함유기체의 온도는 각자수단에 들어가기 전에 소정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연료기체를 격자수단을 통해 들어온 산소함유기체의 일부로 사용한다는 것은, 기체 자체의 공격을 받을 수 있는 요소들을 신중히 보호해야 함을 의미한다. 특히, 연소되는 폐기물과 연료기체가 염소를 함유할 경우 그렇다. 이 경우, 스틸로 된 요소, 특히 기체에 노출된 송풍기는 350 내지 800℉, 또는 400 내지 750℉를 벗어난 온도의 연료기체에 노출되었을 경우 심각한 타격을 받을 수 있다. 이런 타격을 방지하는 한가지 방법은 송풍기와 다른 스틸 요소들을 연료기체에 접촉시키지 않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컨대, 송풍기를 기체통로 외부에 설치하고 벤튜리효과를 일으켜 공기와 연료기체를 격자수단으로 강제로 안내하기에 충분한 압력으로 공기를 유도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송풍기를 이용해 기체 연소생성물에 연소실 외부의 공기를 혼합해 공기와 연소생성물의 혼합물을 형성한다. 이 혼합물의 일부를 산소함유기체의 일부로서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로 보낸다. 물론 송풍기는 연소생성물과 혼합물에 접촉하지 않는다.
한편, 송풍기는 공기를 연료기체에 보내 그 온도를 적당한 수준으로 낮춘 뒤에야, 연료기체가 송풍기에 도달되게 할 수 있다. 이 방식을 이용하면, 송풍기에 의한 부압으로 연소실 외부의 공기가 연소생성물에 섞인다. 이 혼합물은 연소생성물이 송풍기에 도달하기 전에 형성된다. 끝으로, 공기와 연소생성물의 혼합물은 정압에 의해 산소함유기체의 일부로서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로 들어간다.
연료기체를 산소함유기체의 일부로 사용하고 산소함유기체의 온도를 전술한대로 조절해도, 격자수단의 온도를 여전히 추가로 조절해야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소실 출구로부터 기체 연소생성물을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 안으로 산소함유기체의 일부로서 들여보낸다. 전술한 온도조절과 마찬가지로, 산소함유기체 이외의 소정 온도범위의 유체가 산소함유기체와는 별도로 격자수단을 통과한다.
격자수단을 나온 산소함유기체는 격자수단 위의 폐기물에 대해 전술한 기능을 수행한다. 산소함유기체가 폐기물 덩어리를 통과하면 그 목적을 이룰 수 있다. 폐기물이 너무 높이 쌓이면 기체가 통과하지 못하여, 기체의 기능을 방해하거나 최소화한다. 이를 피하는 방법은 먼저 입구를 통해 연소실 안의 격자수단 위에 폐기물을 운반한다. 격자수단 위의 폐기물의높이는 기체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제한된다.
이상 소각로에 대해 여러가지 방법들을 설명했다. 이들 방법은 폐기물이 아닌 물질을 연소시키는 비슷한 모든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런 시스템은 연소실, 연소실 내부에서 물질을 홀딩하는 내화 바닥수단을 포함한다. 역시, 구멍이 관통되어 있는 격자수단은 연소실 내부에 위치하고, 바닥수단 위의 물질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다. 격자수단은 이 물질을 바닥수단에 낙하시킬 수 있다. 이런 일반적인 물질의 연소 또는 건조 시스템은 폐기물 소각로에 대해 설명한 모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구조와 방법은 폐기물이나 기타 물질을 단순히 건조시키는데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격자수단을 통해 들어온 기체는 연소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산소를 함유할 필요가 없다. 또는, 건조한 물질에서 연소가 일어날 수 있다 해도, 격자수단에서 나온 기체는 필수 산소를 전혀 공급하지 않는다. 또, 건조실에서 연소가 일어나지 않는다 해도 고온의 기체 연소생성물을 이용해 건조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화석연료 발전과 같은 다른 목적에서 나오는 기체 연소생성물을 건조에 이용할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런 발전기의 배가스를 이런 건조목적에 사용한다.
이런 목적의 건조실은 격자수단을 갖는다. 기체는 격자수단을 통해 건조물질로 들어간다. 건조시킬 물질은 격자수단 위에 놓인다. 이런 상태에서, 전술한 모든 방법과 구조는 개별적으로나 조합하여 건조장치와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동일한 요소와 방법들을 적당한 조건하에 물질에서 휘발성 탄화수소를 배출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소각로(75)는 2개의 맥동 노(76,77)와, 라디에이터(78)와 보일러(79)로 이루어진 2단 열회수장치를 채택한다. 프로세스를 시작하려면, 호퍼(82)에 대형 고체폐기물을 넣는다. 이 폐기물은 램로더(ram loader; 83)에 의해 주연소실(84)로 들어간다. 주연소실(84)에서 폐기물은 첫번째 맥동 노(76)로 떨어지고, 필요하다면 버너(85)의 열로 이곳에서 연소된다. 첫번째 맥동 노(76)는 전술한 미국특허 4,475,469의 방식대로 표면을 가로질러 연소 폐기물을 이동시키되 입구에서 연소실(84)쪽으로 이동시킨다. 결국, 연소폐기물은 두번째 맥동 노(77)로 떨어지고, 이곳에서 소각이 계속된다. 연소과정을 위해 송풍기(86,87)로부터 공기가 공급된다.
폐기물은 연소하면서 자연스럽게 열에너지를 방출한다. 열에너지의 일부는 라디에이터(78)로 들어가 내부의 유체를 가열한다. 라디에이터(78)에서 가열된 유체는 배관(88)을 통해 보일러(79)로 들어간다. 보일러(79)의 상단에서 제거된 증기는 소각로(75)에서는 물론 발전이나 가열분야에서 건설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연소가 끝난 폐기물은 두번째 맥동 노(77)로부터 물이 들어있는 재받이(89)로 떨어진다. 모터(92)에 연결된 케이블(91)로 견인되는 스쿠프(90)는 궤도(93)를 따라 움직인다. 스쿠프(90)에서 호퍼(94)로 재를 부으면 쓰레기통(95)으로 떨어진다.
기상 연소생성물은 연소실(84)에서 통로(102)로 들어가고, 이곳에서 호퍼(82)의 원료 폐기물과 결합되는데, 기상 연소생성물은 송풍기(103)에 의해 배관(104)을 따라 이동한다. 이렇게 되면 원료 폐기물의 악취가 제거된다.
기체는 통로(102)를 통해 첫번째 재연소구간(108)으로 들어가고, 보조 연료버너(109)와 송풍기(110)의 도움으로 고온에서 계속 연소되어 기체내의 가연성 부분을 파괴한다. 기체 연소생성물의 소각이 진행되면서, 기체는 두번째 재연소구간(111)으로 들어가서 계속 연소된다. 이 과정중에, 송풍기(112)로부터 공기가 추가로 혼입된다.
두번째 재연소구간(111)을 지난 뒤, 시스템에 문제가 있으면 기체가 안전굴뚝(117)으로 빠져나간다. 그러나, 정상상태에서는, 굴뚝(117)이 댐퍼(118)로 닫혀있어, 개스가 시스템의 구간(121)으로 이동한다. 이곳에서 배관(122)을 통해 냉각기체가 추가로 들어간다. 따라서, 연소기체가 냉각되어 기체내의 아연 등의 각종 성분이 기상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온도 밑으로 내려간다. 그러므로, 이들 성분들은 냉각과정을 촉진하여, 연소기체가 보일러(79)로 들어갈 때 보일러의 배관에서 응축되지 않는다. 어느정도 냉각된 기체가 보일러(79)를 통과하므로, 열을 다른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미국특허 4,438,705에서 언급한대로, 두개의 재연소구간(108,111)이 라디에이터(78)와 보일러(79) 사이에 위치한다. 이때문에 재연소구간(108,111)내의 기체에 충분한 열이 잔류하여 기체의 가연성 성분들을 충분히 연소시킬 수 있다.
기체는 보일러(79)를 나와 이코노마이저(123)로 들어가고, 이곳에서 라디에이터(78)와 보일러(79)에 사용될 공급수를 예열한다. 따라서, 이코노마이저는 연소과정에서 생기는 열에너지를 더 절약하고, 절약된 에너지는 시스템을 통과하는 물에 공급된다. 이렇게 절약된 열은 소각로의 증기발전에 추가된다.
기체의 일부는 송풍기(125)에 의해 이코노마이저(123)로부터 배관(124)을 통과한다. 물론 이 기체는 보일러(79)와 이코노마이저(123)에서 상당량의 열을 빼앗겼으므로, 보일러와 이코노마이저로 들어갈 때보다는 온도가 낮다. 따라서, 배관(122)을 통해 구역(121)으로 들어간 기체는 두번째 재연소구간(111)을 통과한 기체의 온도를 낮춘다.
나머지 기체는 이코노마이저(123)로부터 배관(132)을 통해 열교환기(133)로 들어간다. 송풍기(134)에 의해 열교환기(133)로 외기가 들어가 기체를 더 냉각한다. 이 때, 기체는 이미 상당량의 열을 보일러(79)와 이코노마이저(123)에서 빼앗긴 상태이다. 그러나, 기체의 온도는 여전히 기체에 함유된 산의 비등점이나 이슬점보다 높은 상태이다. 열교환기(133)에서 기체 온도는 약 400℉ 이하로 낮춰지고, 이곳에서 기체내의 산은 액상으로 응축된다. 이렇게 되면 산을 염기와 반응시켜 중화시킨 다음 후처리 과정에서 제거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배관(135)에서 배가스에 건조한 석회와 활성탄을 혼합하여 응축된 산을 중화시키고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이 기체는 백하우스(138)로 들어가고, 이곳에서 입자상 물질이 분리된다. 고체물질은 쓰레기통(141)으로 낙하하여 폐기상태로 대기된다.
백하우스(138)에서 나온 청정기체는 배관(142)을 통과한다. 이때에는 작동중인 소각로내의 폐기물과 기체가 배관(143)으로부터 배관(142)으로 들어가지 못하는데, 이는 모터(144)에 의해 댐퍼(145)가 폐쇄되어 연소기체를 백하우스(138)로만 흐르게 하기 때문이다.
배관(142)내의 기체는 흡출송풍기(148)에 의해 흡인되어 배기굴뚝(149)를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모니터(150)에서는 굴뚝(149)에서 나가는 배가스에 포함된 각종 연소생성물을 평가한다. 이런 연소생성물에는 입자, 탄소화합물, 질소산화물, 황 등이 있다. 모니터(150)의 정확한 임무는 소각되는 폐기물, 소각로의 위치 등과 같은 요인을 포함해 상황에 따라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시동과정중에, 소각로(75)는 버너(85,109)에서 천연개스를 사용해 작동온도까지 가열한 다음, 실제 폐기물을 받기 시작한다. 이런 워밍업중에는, 백하우스(138)에서 제거해야 할 성분들이 실제로는 배가스에 들어있지 않다. 이런 제한된 조건에서는, 댐퍼(145)를 완전히 열고 백하우스(138)를 우회하여 배가스를 배관(143)을 통해 배관(142)과 굴뚝(149)으로 직접 흐르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소각로(75)가 작동온도에 이르면, 전술한 것처럼 댐퍼(145)를 닫고 배가스가 백하우스(138)로 들어가게 한다.
도 2, 3의 주소각실(155)에는 3개의 노(156-158)가 있고, 이들 노는 실제로는 전술한 미국특허 4,475,469, 4,706,578에 기재된 것과 같은 맥동 노 형태를 취한다. 소각실(155)의 출구(162)를 통해 연소기체가 처리된다. 폐기물 연소 뒤에 잔류하는 재는 그릇(163)으로 낙하한다. 입구(164)를 통해 대부분의 폐기물(168)이 연소실(155) 내부(169)로 들어간다. 입구도어(170)는 도면에서 상승되어 개방된 상태로 폐기물(168)의 진입을 허용한다. 도어(170)를 파단선으로 표시한 아치(171)와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 닫으면 입구(164)가 닫힌다.
폐기물(168)은 호퍼(175)를 통해 소각실(155)로 들어가기 시작한다. 이를 위해, 플러그 로더(176)를 호퍼(175) 좌측으로 움직여 호퍼(175) 내부에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호퍼(175) 안에 폐기물이 있으면, 로더는 모터의 힘으로 우측으로 움직인다. 결국, 로더(176)는 도 2의 위치에 도달하여, 전단부(179)가 입구(164) 바로 안에 위치한다. 로더(176)가 도 2의 위치에 있으면, 폐기물(168)은 일부는 선반(180)에 쌓이고 일부는 격자(181)에 쌓인다. 도 2와 같이 폐기물(168)이 쌓이면, 격자(181)를 통해 공기가 폐기물에 침투하기가 어렵다. 다시 말해, 폐기물(168) 덩어리 때문에 공기가 격자(181)를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단, 폐기물이 없거나 최소량만 쌓여있을 경우는 제외). 어느 경우에도, 공기는 격자(181)를 통해 폐기물 덩어리에 침투하지 못하게 된다.
도 3에서, 로더(176)는 소각실(155) 안쪽으로 우측으로 더 이동되어 있다. 로더가 우측으로 움직일수록, 폐기물(168)은 격자(181) 위에 비교적 얇게 펼쳐진다. 이렇게 되면, 노즐을 통해 유입된 산소함유기체가 격자(181)를 통해 전체 폐기물 덩어리를 통과하면서, 폐기물을 건조시키고 휘발성 탄화수소를 밀어올린다. 대개, 층의 두께가 2-6인치, 또는 8인치까지 되어도 격자(181)를 통해 기체가 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로더(176)를 소각실(155) 안으로 움직이면, 격자(181) 위에 폐기물(168)을 펼치는 외에도 좋은 점이 있다. 흔히 폐기물에는 여러가지 금속이나 와이어 조각들이 들어있다. 이런 조각에는 타이어조각이나 자전거조각 등이 있고, 이들은 격자(181) 위에 얹혀져 폐기물이 소각실로 들어가는 것을 방해한다. 로더(176)는 소각실 안으로 움직이면서 이런 불연성 금속조각들을 격자(181)에서 밀어낸다. 로더가충분히 소각실 안으로 들어가 그 전단부(179)가 격자(181) 끝에 닿으면 이런 금속조각들이 격자에서 바닥의 노(156)로 떨어진다. 결국, 3개의 노(156-158)를 통해 금속찌꺼기가 용기(163)로 이동한다. 이로부터 알 수 있듯이, 로더(176)를 소각실(155) 안으로 움직이는 목적은, 격자(181)에 쌓인 불연성 찌꺼기들을 청소하는데 있다. 분명한 것은, 격자 자체의 구멍을 통과하지 않는 통나무 등의 대형 불연성 물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로더(176)가 소각실(155) 안으로 들어가는 깊이는 상황에 따라 다르다. 격자(181)에서 물질을 밀어내려면, 로더의 전단부(179)가 격자(181) 끝에 닿을 정도로 충분히 움직이는 것이 좋다. 폐기물이 대량이라면, 로더(176)가 도 3과 같이 가능한한 멀리 뻗는 것이 좋다. 폐기물이 소량이라면, 로더가 소각실(155) 안으로 약간이나 중간거리 정도 들어가기만 하면 된다. 어느 경우에도, 침입길이를 다르게 하려면, 로더를 구동하는 모터가 자동이든 수동이든 상황에 맞게 로더(176)의 이동거리를 조정해야한다. 분명한 것은, 로더(176)가 소각실(155)에 진입할수록, 연소에 의한 열을 받는다. 따라서, 로더는 어느정도 고온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이런 보호책은 하나 이상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로더를 먼저 내화코팅할 수 있다. 또, 냉각효과를 높이기 위해 로더 자체 내부에 공기를 순환시킬 수도 있다. 어떤 냉각을 이용하든, 로더가 소각실(155) 내부에 있을 경우 로더를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도 4는 공기-격자, 선반, 로더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로더(176)는 폐기물을 선반(180) 위로 밀어내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선반(180)은 실제로는 내부공간(186)을 갖는 박스 형태이다. 내부공간(186)에는 송풍기(190)에 의해 배관으로부터 냉각공기가 강제로 들어간다. 냉각공기는 내부공간(186)에서 격자(181)의 3개 아암(193-195)을 통과한 다음 통로(197)로 나간다. 선반(180)은 스틸 등의 내측면(198)과, 내측면을 연소실의 열과 화학물질은 물론 연소실을 움직이는 폐기물에 의한 마모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내화코팅(199)을 갖는다.
후술하겠지만, 3개의 격자 아암(193-195)은 선반의 내부공간(186)을 통해 소각실의 외부(201)까지 이어진다. 소각실 밖으로 돌출하는 아암의 단부(203) 때문에, 아암 자체에 산소함유 기체와 냉각액을 넣을 수 있다.
도 6-8은 로더의 입구(207)를 로더가 없는 상태에서 보여주는 소각실의 상세 사시도이다. 폐기물은 벽면(208)의 입구(207)로 들어가 선반(209)을 따라 움직여, 두개의 동일한 격자아암(213,214) 위에 놓인다. 선반(209)은 선반(215)의 윗면을 형성하고, 선반의 측면(216)으로 냉각공기가 들어갈 수 있다.
소각로는 2개의 측벽(217,218)도 갖는다. 각각의 측벽에는 Basic의 전술한 특허에서와 마찬가지로 소각실로부터 열을 회수하고 제거하기 위한 튜브격벽(219,220)이 달려있다. 또, 측벽(217,218) 측면에는 각각 경사선반(223,224)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선반을 통해 폐기물은 측벽(217,218)을 타고 내려가 격자아암(213,214)에 이르게 된다. 격자아암(214)의 구조는 도 7의 단면도에서 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격자아암(213)의 구조도 동일하므로, 동일한 설명이 적용된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격자아암(214)은 6각형 모서리마다 금속관(231-236)이 하나씩위치하는 형태이다. 금속관(231-236) 사이사이에는 금속판(241-246)이 배치되고, 이들은 서로 용접으로 연결된다. 이들은 전체적으로 속이 빈 원통형 관벽을 이룬다.
격자아암(214,213)의 이런 중요한 구조로 인해 2가지 목적이 달성된다. 첫째, 아암(214) 위의 폐기물에서 일어나는 처리과정에 사용되는 산소함유 기체가 내부공간(249)을 통과할 수 있다. 산소함유 기체는 금속판(241,244)에 형성된 노즐(251,252)을 통해 아암(214)을 빠져나간다. 산소함유 기체는 여러가지일 수 있지만, 그중의 공기는 가장 일반적이고 쓸모가 많다. 연료기체는 전술한 바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산소함유 기체로서의 중요한 장점을 보인다. 첫째, 필요하다면 상당량의 열을 폐기물 건조에 이용할 수 있다. 또, 그 열은 휘발성 탄화수소를 증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 수분은 높은 비열을 가지므로, 격자아암 위의 폐기물에 더 많은 열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산소함량이 비교적 낮아 휘발성 탄화수소(HC)가 불꽃으로 변하기 전에 격자아암을 떠날 수 있다. 이때문에 격자아암의 국부적인 과잉 고온점이 방지되고, 그 결과 슬래그형성이 방지된다.
산소함유 기체로서 공기를 사용하면 연소실에 아주 낮은 온도의 기체가 유입된다. 이것은 제반 목적을 달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발열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동일한 목적의 연료기체를 사용하면 아주 뜨거운 기체가 격자아암(213,214)에 유입될 수 있다. 이들의 높은 온도로 인해 격자아암의 스틸은 자체 강도 대부분을 잃게될 수 있다. 사실상, 800 내지 950℉ 정도의 온도에서는 스틸합금은 자체 강도의 90%를 손실할 수 있다.
유입되는 연료기체의 온도가 2000℉에 이르면 격자아암의 구조적 일체성을 잃게된다. 물론, 격자아암(213,214)은 연소실 내부에 있고, 연소실의 온도는 이곳에서 일어나는 소각작용 때문에 1200 내지 1400℉에 이르고, 심지어는 2000 내지 2400℉에 이를 수도 있다. 이런 높은 온도에서는 격자아암의 강도 모두를 잃을 수 있다. 그 결과, 내부공간(249)으로 들어가는 기체는 온도를 조절한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더 중요한 것은, 격자아암(213,214)의 스틸 구조상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아암(213,214)의 온도, 나아가서는 내부공간을 흐르는 기체의 온도를 조절하려면, 온도가 알려진 유체가 관(231-236)을 통과해야 한다. 이들 관(231-236)은 스틸과 같은 열전도물질 조성을 가지므로, 유체의 온도는 관의 재료로 전달된다.
그러나, 온도조절 유체의 장점은 관(231-236) 자체를 통과하는데 있다. 이들 관(231-36)은 금속판(241-246)에 대해 열전달을 한다. 이 목적으로 용접이나 기타 연결법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관(231-236)의 온도는 이들 관으로부터 금속판(241-246)으로 옮겨간다. 다시 말해, 금속판(241-246)의 과잉 열은 관(231-236)으로 옮겨가고, 이들 관에서 내부유체에 의해 다른 장소로 열이 이동한다. 물론, 금속판(241-246)의 폭은 유체가 흐르는 관(231-236)에 적시에 열이 전달되는 이상의 폭을 가져서는 안된다.
관(231-236)을 흐르는 유체는 2상 유체가 바람직하다. 공지의 압력에서 이 유체는 공지의 온도를 유지한다. 또, 유체를 순환시키면서 가열하면, 아암(213,214)의 국부적인 구조적 열화나 파손을 가져오는 과열을 일으키는 위치에 열이 축적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용가능한 유체로는 오일과 물이 있는데, 어느 것도 강제순환되는 것이 좋다. 2상 유체는 자체운동이나 강제순환 방식으로 관을 흐를 수 있다. 또, 40bar 정도 압력의 포화증기는 약 500℉의 온도를 갖는다. 격자아암의 파손이 시작하는 온도 밑으로 격자아암의 온도를 유지하는 증기시스템이라면 충분하다.
도 8은 관(231-236)에 유체가 흐르면서 소각실을 출입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도 8의 아암(213)과 도 7의 아암(214)은 구조가 같으므로, 동일한 위치의 관에는 같은 번호를 붙여 표시한다. 도 8에서, 관(231-236)은 서로 쌍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관(233)의 일단부는 밀봉커넥터(255)를 통해 관(236)의 일단부에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관(232)은 엔드커넥터(256)를 통해 관(231)에 연결되고, 관(234)은 엔드커넥터(257)를 통해 관(235)에 연결된다. 따라서, 관(232-234)으로 들어간 유체는 관(231,236,235)을 통해 소각실을 통과한다. 다시 말해, 엔드커넥터(255-257)에서 연결된 관(231-236)은 온도조절유체가 흐르는 완벽히 밀폐된 시스템을 이룬다. 유체는 결코 밀폐시스템을 나가지 못하고, 특히 아암(213,214)의 내부공간(249)을 흐르는 산소함유 기체와 결코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온도조절유체는 아암(213,214)을 들어가 관(232-234)을 통과하며 엔드커넥터(256,255,257)로 들어간다. 이 유체는 관(235,236,231)을 따라 움직이고 소각실을 완전히 나간다. 유체는 금속관 시스템을 통과하면서 먼저 관 자체의 온도를 조절한 다음 금속판(241-246)의 온도를 조절한다. 이런 온도조절기능 때문에 아암 자체의 열파괴가 방지되어, 결국 격자가 제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산소함유기체는 연소실 외부에서 아암의 내부공간(249)로 들어간다. 이어서, 연소실 내부를 통과하고, 노즐(251,252)을 통해 아암(213,214)을 나가 연소실로 들어간다. 자연적으로, 이 기체는 격자아암 위에 쌓인 폐기물에 스며들면서 폐기물을 건조시키고 휘발성 탄화수소를 증발시킨다. 도 6, 8에서는 관(233,234)을 잘 보이기 위해 이들을 연결하는 금속판(241,246)은 생략했지만, 실제 동작에서는 이들 금속판(241-246)은 전장에 걸쳐 뻗어있고 엔드커넥터(255-257)에 용접되어 아암(213) 단부에서 내부공간(149)을 완전히 밀폐한다. 그 결과, 각자아암 내부공간(249)의 공기는 노즐(251,252)을 통해서만 아암을 나가 연소실로 들어갈 수 있다. 도 6-8의 아암(213,214)은 스틸요소로서 열로부터 완벽히 보호되지는 않는다. 관(231-236)은 물론 엔드커넥터(255-257) 안의 유체가 아암(213,214)을 적절히 냉각하므로, 연소실에서 일반적으로 생기는 높은 온도에도 아암이 약화되지는 않는다. 다시 말해, 관(231-236)과 엔드커넥터(255-257) 내부의 유체 때문에 아암(213,214)이 충분히 낮은 온도로 유지되므로, 내화코팅과 같은 다른 방열부가 불필요하다.
공기와 같은 산소함유기체는 아암(213,2140의 내부공간으로 들어가지 못할 수도 있다. 그 원인은 단순히 기체를 밀어내는 송풍기를 정지시키는 정전이나, 송풍기 자체의 고장일 수 있다. 그러나, 아암 내부공간(249)에서 산소함유기체를 손실하면 아암(213,214)의 구조적 파괴를 일으키게 된다. 관(231-236)과 커넥터(255-257) 내부의 유체는 연소실 내부의 고열로부터 격자아암(213,214)을 여전히 보호한다. 또, 온도조절유체가 있으므로, 공기나 기타 산소함유기체로 격자아암(213,214)을 냉각할 필요도 없다. 사실상, 연소를 지원하기 위해, 격자아암 내부공간(249)으로 들어간 공기가 아암에 닿기 전에 고온으로 가열될 수도 있다. 관(231-236)과 커넥터(255-257) 내부의 유체는 격자를 고온공기로부터는 물론 연소실 자체의 열로부터도 보호한다.
따라서, 관(231-236)과 커넥터(255-257) 내부유체의 온도조절 효과 때문에 스틸 격자아암(213,214)의 내화코팅의 일부나 전체를 제거할 수도 있다. 내화코팅을 없애면 여러가지 잠재적인 장점이 있다. 내화코팅의 중량을 지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아암(213,214)에 내화코팅이 전혀 엇거나 일부만 있는 구조에서는 다른 중량을 지지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지지구조로 아암의 길이를 더 길게할 수 있다. 또는 아암이 더 많은 무게의 폐기물을 지지할 수 있다. 또는, 내화코팅이 불필요하므로, 과거에는 더 무거운 지지체를 필요로 했던 곳에 더 가벼운 지지구조체로도 충분할 수 있다.
그러나, 내화코팅은 격자를 다른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하기도 한다. 예컨대, 폐기물과의 접촉, 특히 폐기물 내부의 날카롭고 단단하거나 긁히는 물체와의 접촉에서 생기는 마모가 있다. 따라서, 도 9-1의 격자아암(261)은 내화코팅으로 대부분 둘러싸인다. 특히, 이 격자아암(261)은 6개의 유체관(265-270)을 갖는데, 관(265,266)은 엔드커넥터(275)에서 연결되고, 관(267,270)은 엔드커넥터(276)에서 연결되며, 관(268,269)도 단부에서 연결된다. 전술한 것처럼, 관(265-270)에 용접된 금속판(279)은 내부공간(280)과의 격벽을 형성한다. 내부공간(280)은 노즐(283)을 통해 연소실로 들어가는 산소함유기체의 통로 역할을 한다. 세라믹이나 금속 내화물 구간(286)을 금속판(279)에 부착해 내마모성을 제공한다. 금속구간(286)의 경우, 관(265-27) 내부의 유체도 열파괴에 대해 보호한다.
도 9-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261)은 거의 완전히 내화구간(286)으로 둘러싸이고, 관(265-270)의 이부만 내화구간을 통해 보인다. 도 6-8에서는, 아암(213-214)에 아무런 내화코팅이 없었다. 경우에 따라서는, 아암의 모든 금속을 내화코팅으로 덮을 수 있다. 한편, 아암의 상단부만을 코팅하여 그 위의 폐기물이 움직일 때 생기는 마모로부터 보호하게 할 수도 있다.
도 12는 두개의 관(265,266) 사이의 엔드커넥터(275)의 확대도이다. 이들 3개 요소를 연결하면 온도조절유체가 흐르는 내부통로(291)가 생기고, 유체는 입구로부터 통로를 통해 연소실을 통과한 다음 출구로 나간다.
도 13에는 두개의 관(295,296)을 연결하는 다른 커넥터가 보인다. 이 경우, 박스형 기밀 커넥터(297)가 관(295,296)에 연결된다. 유체는 커넥터(297)를 통해 관(295,296) 사이를 자유로이 흐를 수 있다. 그러나, 이런 박스형 커넥터(297)의 단부에는 두개의 구멍(299,300)이 있다. 이 구멍을 통해 두개의 관(295,296)을 직접 청소할 수 있다. 특히, 증기를 사용할 때, 보일러물을 사용하지 않으면 관 내부에 녹이 쌓일 수 있다. 이 경우, 이들 구멍을 통해 녹을 제거한다. 실제로 관을 소각에 사용할 때는 구멍(299,300)을 적당한 마개로 막는다.
도 14-18에는 3-아암 공기격자 시스템(311)이 도시되어 있다. 온도조절 유체를 유입하기 위한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 29-4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건조격자(311)는 3개의 외팔보식 아암(313-315)을 구비한다. 이들 아암은 전술한 아암(213214;261)과 거의 동일하다. 그러나, 이들 아암(313-315)은 관(319,320)의 스틸전체를 완전히 둘러싸는 내화구간(318)을 갖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볼트(323) 등의 체결구에 의해 내화구간(318)은 제자리에 고정된다. 내화 엔드캡(324)으로 관(319,320)의 단부가 보호된다.
소각실을 통과하는 관(319,320)은 선반(331)을 관통한다. 선반의 스틸케이싱(332)는 내화커버(333)로 보호된다. 선반(331)의 상단부(334)가 선반을 이루고, 폐기물은 연소실로 들어가면서 선반 위를 지나간다. 도 4, 5에서 설명한 것처럼, 선반(331)을 통해 공기를 공급하면 열파손이 방지된다. 연소실의 외부 또는 도 14, 15에서 선반(331) 좌측에서 인입관(319)은 하부 헤더(339)에 연결되어 온도조절유체를 받는다. 마찬가지로, 연소실 외부에서 배출관은 상부 헤더(340)에 연결된다. 따라서, 온도조절유체는 어디서 오든지 간에 커플링(341)을 통해 하부헤더(339)로 들어간다. 이 유체는 선반(331)을 관통하는 인입관(319)을 통해 아암(313,315)의 단부에 도달한다. 이어서, 마찬가질 선반(331)을 관통하는 상부 관(320)을 통해 상부 헤더(340)로 돌아간다. 이 유체는 커플링(342)을 통해 헤더(340)를 나가 후처리된 다음, 다시 동일한 경로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산소함유기체는 아암(313-315)의 내부공간(345)으로 들어간다(도 16, 18 참조). 이어서, 노즐(346)을 통해 아암(313-315) 위에 있을 폐기물을 통과하여 연소실로 들어간다.
도 19-21의 공기격자 시스템은 앞의 5개 도면의 시스템과 아주 비슷하다. 각각 인입관(357)과 배출관(358)을 갖는 3개의 아암(353-355)을 갖는다. 이들 관(357,358)는 모두 내화커버(362)로 덮인 선반(361)을 통과한다. 인입관은 하부 헤더(365)에 연결되고, 이곳에서 온도조절유체가 커플링(366)을 통해 들어온다. 마찬가지로, 배출관(358)은 선반(361)을 관통해 배출헤더(367)에 연결되고, 이 헤더는 커플링(368)에 연결된다. 이 격자시스템(351)과 도 14-18의 격자시스템(311)의 차이점은 도 21에서 알 수 있다. 각각의 아암(353-355)에는 5개의 인입관(357)과 5개의 배출관(358)이 있으며, 이들 관의 갯수는 앞의 실시예의 6개의 관의 갯수와 비교된다. 도 21과 같은 구성에서 아암(353)은 일반적으로 단면이 직사각형이다.
마찬가지로, 고정볼트(372)로 제자리에 고정된 내화구간(371)이 관(357,358)을 완전히 덮는다. 산소함유기체는 노즐(376)을 통해 내부공간(375)에서 나온다. 이전 시스템에 비해 관(357,358)의 갯수가 많아서, 아암(353-355)의 내부공간(375)이 커진다. 내부공간(375)을 통해 더 많은 양의 기체가 노즐(376)로부터 폐기물과 연소실로 들어갈 수 있다.
도 22의 아암(381)은 도 21의 아암(353-355)과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로 표시했다. 그러나, 도 22의 아암(381)의 바닥면(382)은 윗면(383)보다 폭이 좁다. 다시말해, 측면(387)은 아래로 갈수록 안쪽으로 기울어진다. 이런 형태의 이점은, 여러개, 통상 3개의 아암(381)이 연소실 내부에서 서로 인접해 일렬로 있을 때 분명하다. 인접 아암 쌍들 사이의 공간이 윗면(383)에서 바닥면(382)으로 갈수록 증가한다. 아암 바닥면(382)이 윗면(383)보다 좁기 때문에 그렇다. 그 결과, 건조단계, HC 증발단계 또는 연소단계 어느 단계에서든, 인접 2개 아암들 사이의 공간에 폐기물이 끼이지 않는다; 즉, 폐기물 밑의 아암들 사이의 공간이 커져, 폐기물이 도 2, 3의 맥동 노(156)에 쉽게 떨어질 수 있다.
도 23의 격자아암(389)은 아암 윗면에서 떨어지는 폐기물이 낙하하는 중에 아암 사이에 끼이지 않도록 전술한 아암(381)과 마찬가지로 사다리꼴이다. 이 아암(389)도 인입관(390)과 배출관(391)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인입관(390)과 배출관(391)은 서로 쌍을 이루어 연속적인 온도조절유체 통로를 제공한다. 관들(390,391)은 금속판(393)으로 연결되어 튜브격벽관을 이룬다. 마찬가지로, 아암의 내부공간(394)에 있는 산소함유기체는 노즐(395)을 통해 연소실(396)로 들어간다.
그러나, 이 아암(389)은 구조적으로 다른 것과 상당히 틀리다. 도 23에서 보듯이, 내화커버(401)는 아암(389)의 윗면(402) 전체와 측면(403) 일부만 덮는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관(390,391)을 흐르는 유체로 인해 관 자체는 물론 금속판(393)도 열로부터 보호된다. 따라서, 내화커버(402)로 소각실내의 열로부터 금속요소들을 모두 보호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내화커버(410)는 아암 윗면(402)의 마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격자아암(389)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폐기물로부터 윗면(402)을 보호한다.
또, Y형 앵커(406)로 인해 아암(389) 윗면(402)에 내화커버(401)가 단단히 고정된다. Y형 앵커(406)의 사용은, 내화커버(401)를 아암(389) 윗면(402)에 주조했음을 의미한다. 또, 이런 주조는 앵커(406)를 금속판(393)에 연결한 뒤에 일어난다. 일반적으로, 도면에서 보듯이, 내화커버(401)는 주조할 때 아암(389)의 폭 전체로 퍼진다. 그러나, 이 과정을 단순화하기 위해, 내화커버(401)를 아암의 길이를 따라 일부 구간에서만 주조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구조가 현저하게 단순화되고 요소의 팽창과 수축이 허용될 수 있다.
도 23에서 알 수 있듯이, 내화커버(402)는 관(391,392)의 윗면과 연결 금속판(393)의 마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할뿐이다. 열에 대한 보호는 관(391,392)을 흐르는 유체가 담당한다. 따라서, 도 23의 내화커버(402)가 떨어진다 해도 치명적인 것은 아니다. 실제로, 이런 문제는 거의 일어나지 않으며 구조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적절한 보수를 위해 소각로를 정지시키기만 하면 된다.
도 23의 내화커버(402)나 다른 도면의 내화물과 동일한 마모방지 역할을 하는 다른 커버를 채택할 수도 있다. 예컨대 금속구조물 윗면에 금속판을 붙여도 좋다. 금속관에 부착된 금속판도 어느 정도는 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로부터 열의 보호를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런 보호는 관-금속판 격벽구조의 열보호보다 덜 중요한데, 이는 후자는 격자아암 구조를 지원하면서 자체중량은 물론 그 위에 놓인 폐기물의 무게도 지탱하기 때문이다.
도 24의 격자아암(413)은 구조적으로 아암(389)과 거의 동일하다. 기본적인 차이는 건조용 산소함유공기를 연소실로 보내기 위한 제2 노즐(415)에 있다. 내화커버(416)를 관통하는 이런 추가 노즐(415) 때문에 아암의 내부공간(394)에서 아암 위의 폐기물로 흐르는 기체량이 증가한다. 노즐의 직경을 크게 하기보다는 노즐을 추가하면 기체속도를 줄이지 않고 더 많은 기체를 보낼 수 있다. 이렇게 노즐이 추가된 아암은 음식물과 같이 습기가 많은 폐기물에 특히 적합하다. 노즐을 통과하는 추가공기로 폐기물이 건조되어 폐기물을 점화시키고 연소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습도가 80% 가까이 되고 셀러리나 수박 등을 포함하는 음식물 찌꺼기를 건조시킬 수 있다.
도 25-28은 산소함유기체를 연소실로 보내기 이해 튜브격벽관에 들여보내기 위한 선반의 용도를 보여준다. 도 26-40을 참조해서는 튜브격벽관 내부공간에 기체를 직접 넣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5, 26의 공기격자 시스템(427)은 앞의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 3개의 격자아암(413)의 용도를 보여준다. 아암은 선반(428)을 관통하고, 냉각기체는 입구(429)에서 출구(430)를 향해 흐른다. 선반(428)의 윗면(435)은 폐기물이 연소실(436)로 들어가면서 움직이는 선반표면을 이루고, 이에 대해서는 도 4-6을 참조해 설명한바 있다. 선반(428) 좌측 공간(437)은 연소실 외부에 있다. 여기서, 인입관(390)은 입구 헤더(439)에 연결되고, 배출관(391)은 출구 헤더(440)에 연결된다. 온도조절유체는 입구헤더(439)로부터 인입관(390)과 배출관(391)을 통해 출구헤더(440)를 나가 후처리된다.
도 25, 26의 좌측에 건조격자 시스템(427)은 산소통(444)을 갖는다. 이것의 단면도가 도 27, 28이다. 도 25, 27에서 알 수 있듯이, 산호함유기체는 격자시스템 좌단부에서 관(390,391) 밑에 위치한 입구(447)를 통해 산소통(444)으로 들어간다. 도 27과 같이, 산소통(4440 내부에서 기체는 관(390,391)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가는데, 이 공간에는 금속판(393)이 없다. 기체가 격자아암을 빠져나가지 않고 안으로 들어가게 하려면, 산소통의 윗면(449)을 금속판(393)과 내화코팅된 금속스트립(450)으로 형성한다. 산소통의 나머지 틀은 도 27의 좌우측의 금속판(393)과 내화코팅된 스트립(451)으로 형성되는데, 좌우측 하단 모서리에는 3개의 금속판(393)이 있다.
산소통(444)이 도 28의 뒷판(455)까지 이르면, 산소함유기체를 연소실로 흐르게 했다가 노즐(395,415)을 통해 빠져나가게 하는 튜브격벽관(394) 구조가 형성된다. 이 지점에서, 뒷벽(455)의 차단기능과 금속판(393) 때문에 가압된 산소함유기체는 관(34)을 통해 연소실과 노즐(394,415)로 들어가기만 한다.
도 29는 산소함유기체가 건조격자 시스템에 흐르는 경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458)에 들어간 폐기물은 로더(459)에 의해 연소실로 밀려들어가서, 격자(461) 위에 놓인다. 최종적으로, 폐기물은 바닥(462)으로 떨어진다. 연소실(460)에서 연소가 일어나면 기체가 생성되고, 이 기체는 연소실의 출구(465)로 나간다. 이 기체는 제1 재연소 터널(467)과 제2 재연소 터널(468)로 들어가 더 연소된다. 이 지점에서, 기체는 비상굴뚝(469)이나 시스템의 4번째 스테이지(470)로 들어갈 수 있다.
관(475)은 제3 스테이지(468)에서 기체를 취하고, 송풍기(476)에 의해 공기관(477)으로부터 공기가 흡입된다. 모든 공기나 연소기체 또는 이들 두가지의 원하는 배합으로부터 사용기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송풍기(476)는 원하는 산소함유기체를 관(478)을 통해 격자(461)로 보내서, 전술한 건조, 증발 및 연소과정들에 사용한다.
도 1에 의하면, 격자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실제 연료기체는 소각로(75) 자체의 여러 위치에서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재연소구간(111)의 단부(481)에서는 온도가 1400 내지 2100℉ 이상, 심지어는 2700℉에 이르되 일반적으로는 약 1800℉ 이상의 연료기체를 제공할 수 있다. 구간(121)을 지나 보일러(79) 앞의 제2 위치(482)에서는 온도가 대략 1200 내지 1400℉인 연료기체를 제공한다.
이코너마이저(123) 뒤의 제3 위치(483)에서는 온도가 약 400 내지 450℉인 연료기체가 제공된다. 열교환기(133) 뒤의 제4 위치(484)에서는 온도가 약 250 내지 300℉인 연료기체를 얻을 수 있다. 사실상, 연료기체는 이것이 통과하는 어느 위치에서도 얻을 수 있다. 연료기체의 온도는 공기와 혼합했을 때 최종 혼합물을 얻을 수 있도록 고려하여 취해야 한다.
도 31-33의 소각로(487)는 재연소구간(489)의 단부(488)로부터 연료기체를 취한다. 이 위치는 도 1의 재연소구간(111)의 단부의 제1 위치(481)에 대응한다. 도 30, 31에서 볼 수 있듯이, 구간(488)의 소량의 연료기체가 관(492)으로 보내진다. 관(492)에서 연료기체는 댐퍼(493)를 만나는데, 댐퍼는 기체의 열과 부식성으로부터 보호하도록 내화코팅이 되어있다. 댐퍼(43)는 건조격자로 돌아가는 연료기체량을 조절하도록 개폐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연료기체는 댐퍼(493)를 통해 관(494)으로 들어가고, 이곳에서 입구(497)를 통해 흡입된 공기와 혼합된다. 그러나, 공기는 입구로 들어간 뒤 자체 댐퍼(498)를 통과해야만 한다. 에어댐퍼(498)는 연료기체 댐퍼(493)와 마찬가지로 개폐위치로 조절될 수 있다. 공기와 연료기체는 댐퍼(498,493)가 허용하는 한도로 들어간 다음 관(494)을 통해 모터(502)로 작동되는 송풍기(501)로 진입한다. 송풍기(501)는 기체를 관(505)으로 보내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체는 건조격자(507)를 통해 소각실(506)로 들어간다.
두개의 댐퍼(493,498)는 여러가지 기능을 한다. 첫째, 이들을 어떻게 세팅하느냐에 따라 송풍기(501)를 통해 격자(507)로 보내지는 공기/연료기체의 상대량이 결정된다. 예컨대, 공기댐퍼(498)를 연료기체 댐퍼(493)보다 더 열면 송풍기(501)를 통해 격자(507)로 보내지는 기체류에서 연료기체에 비해 공기량이 증가한다. 마찬가지로, 연료기체 댐퍼(493)를 공기댐퍼(498)에 비해 더 닫아도 기체류에서 공기량이 증가하는 동일한 결과를 얻는다.
기체류에서 연료기체에 대한 상대적인 공기량을 변화시키면 여러가지 효과가 있다. 첫째, 관(494), 송풍기(501), 관(505) 및 격자(507)내의 기체류 온도가 결정된다. 저온 공기량을 증가시키면 이들 부분을 통과하는 기체류의 온도가 하강한다. 반대도 마찬가지다. 즉, 연료기체량을 증가시키면 온도가 올라간다.
소각실(506)에서 연소하는 폐기물에 염소가 있을 경우에는 송풍기(501)의 온도조절이 특히 중요하다. 이 경우, 연료기체는 온도 800 내지 850℉ 이상의 부식성 염소기체로서 송풍기(501)에 큰 손상을 줄 수 있다. 350℉ 이하의 온도에서 연료기체는 염산을 포함하므로 송풍기(501)에 타격을 줄 수 있다. 어느정도 안전 여유를 두려면, 송풍기(501)로 진입하는 기체의 온도가 400 내지 700℉ 또는 750℉ 범위로 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송풍기(501)는 각각의 입구(492,497)를 통해 연료기체와 공기를 흡입하고 그 혼합물을 관(505)과 격자(507)로 보내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송풍기가 파손되면 격자의 동작에는 물론 소각로 전체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송풍기(501)에 진입하기 전에 뜨거운 연료기체와 찬공기를 혼합하면 기체가 송풍기에 악영향을 주는 전술한 온도범위 밑으로 온도조절을 할 수 있다.
기체류가 접촉하는 다른 부분과는 달리, 송풍기(501)는 내화커버가 없다. 따라서, 송풍기를 염소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하려면 송풍기를 통과하는 기체류의 온도를 조절해야 한다. 도 30, 31에서 알 수 있듯이, 공기를 송풍기(501)에 도달하기 전에 관(494)의 연료기체와 혼합하여 그 온도를 조절한다. 따라서, 송풍기(501)가 재연소구간(488)에서 연료기체를 흡입하는 부압력을 제공한다 해도, 공기와 혼합하여 안전범위로 온도를 낮추기 까지는 송풍기는 연료기체와 접촉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체류는 격자아암을 관통하는 관을 형성하는 튜브격벽의 중심을 통과한다. 기체류는 격벽튜브 자체를 구성하는 스틸과 접촉한다. 그러나, 격벽튜브에서 관을 통과하는 유체로 인해 기체류의 온도가 조절되어 이 부분에서 기체는 격벽튜브 자체를 파손시키지 않는다.
2개의 댐퍼(493,498)도 혼합물을 구성하는 두가지 기체의 상대적 양을 변화시키지 않고 격자(507)로 보내진 공기-기체 혼합물의 전체량을 조절할 수 있다. 댐퍼(493,498)를 모두 열면 혼합물의 2가지 성분비는 변하지 않고 건조격자를 통해 소각실로 들어가는 기체의 전체량이 증가된다. 따라서, 최종 혼합물은 송풍기(501)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원하는 온도에 있게 된다. 그러나, 격자 위의 폐기물 양을 증가시키거나 폐기물의 습도가 높아 소각하기 전에 건조시켜야 할 경우에는 소각실(506)에 들어가는 전체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관(505)을 나온 기체는 직각 관(509)을 통해 커플링(510)으로 들어간다. 커플링(510)은 원형 단면의 관(509)으로부터 기체류를 받고, 이 기체는 사각단면의 관(511)으로 수평으로 보내진다(도 33 참조). 이 관(511)을 통해 기체는 단부판(513)의 구멍(512)을 지나 전술한 격자아암의 내부공간(514)으로 들어간다. 이곳에서, 기체는 격자아암의 노즐을 통과하고, 로더(517)에 의해 소각실(506) 안으로 보내진 폐기물과 만난다. 기체가 폐기물을 건조시키고 휘발성 탄화수소를 내보내면, 나머지 고정된 탄화수소는 맥동 노(518)로 떨어져 더 연소된다.
도 32, 33을 보면, 온도조절유체가 커플링(522)을 통해 하부 헤더(521)로 들어감을 알 수 있다. 유체는 이곳에서 플랜지커플링(526)를 통해 인입관(525)으로 들어간다. 이들 플랜지는 관(511) 옆의 구속공간에 엇갈려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아암을 통해 소각로를 통과한 뒤, 온도조절유체는 배출관(531)을 통해 소각실을 나가고, 도 32의 플랜지커플링(532)을 통해 상부 헤더(533)로 들어간 다음 커플링(534)을 통과한다. 상부헤더(533), 배출관(531), 플랜지(532)의 배열은 일반적으로 비슷한 인입부의 대응 부분과 수평면에 대해 대칭을 이룬다. 이상의 설명은 동일한 격자를 통과하는 산소함유기체에도 적용되는데, 단 2상 온도조절유체의 흐름과는 분리된다.
도 34-41은 연료기체를 취해서 공기와 혼합하고 격자를 통해 소각실로 보내되 온도조절유체와 분리하는 소각로 시스템을 보여준다. 그러나, 여러가지 다른 부품들을 이용한다.
소각로(541)에서, 폐기물은 구멍(543)을 통해 주소각실(542)로 들어간다. 마찬가지로, 도 40의 로더(546)에 의해 소각로는 도어(543)를 통과한다. 소각로가 건조되면 휘발성 탄화수소는 증발되고 나머지는 계속 연소되어, 기체 연소생성물이 출구(549)를 통해 2개의 재연소구간(550)으로 들어가고, 이곳에서 계속 연소된다. 2개의 재연소구간(550)은 도 34의 뒷면에서 정면을 향하고 있으며 둘다 횡방향 재연소구간(551)과 만난다. 대부분의 기체는 도 1에 도시된 배출굴뚝과 경로를 따라간다.
도 35, 36을 보면, 연소기체 일부는 횡방향 재연소구간을 지나 측면 관(554)으로 들어간 다음, 측면관(554)을 댐퍼하우징 관(556)에 고정하는 플랜지(555)를 지난다. 기체는 이곳으로부터 댐퍼관(556)을 지나 구멍을 통해 댐퍼하우징(559)에 들어간다. 그러나, 댐퍼(565)가 구멍(560)을 막아 기체가 관(556)에서 댐퍼하우징(559)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해한다. 그러나, 댐퍼(565)를 반시계 방향으로 화살표(566)를 따라 돌리면 구멍(560)이 열린다. 이렇게 되면 연료기체가 하우징(559)에 들어갈 수 있다. 하우징에 들어가는 기체량은 기본적으로 하우징(559)에서 댐퍼(565)가 반시계방향으로 얼마나 회전하냐에 따라 좌우된다. 약간 회전하면 최소량의 기체가 들어갈 수 있다. 더 회전하면 더 많은 양의 기체가 들어간다. 90도 회전하면 댐퍼(565)가 도 35, 36에 파단선으로 표시한 수평위치에 있게 된다. 어느 경우에도, 하우징(559)에 들어가는 공기는 출구(570)를 나갈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댐퍼하우징(559)를 나간 기체는 격자를 통해 소각실로 다시 들어간다.
댐퍼하우징은 하부(571)와 상부(572)를 갖는다. 플랜지(573)에 의해 두 부분(571,572)이 결합된다. 하우징 상부(572)를 제거하면 댐퍼하우징(559) 내부에 접근하여, 하우징(559) 내부에 댐퍼(565)를 설치할 수 있다. 상하부(571,572)는 둘다 스틸 하우징(579)과 내화커버(580)로 이루어진다. 내화커버(580)는 하우징(559)을 통과하는 연료기체로 인한 부식과 열손상으로부터 스틸하우징(579)을 보호한다. 마찬가지로, 동일한 이유로 관(554,556)도 내화커버(581)를 갖는다. 또, 댐퍼(565)를도 36과 같이 닫으면 댐퍼관(556)의 내화시트(584)에 맞닿는다.
댐퍼(565) 자체의 구조는 도 37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댐퍼(565)의 중공 스틸 몸체(587)는 내화단열커버(588)로 덮인다. 이 몸체(587)에 중공 스틸 관(589)이 연결되고, 이 관은 자체의 내화단열커버(590)로 보호된다(도 35, 36 참조). 마찬가지로, 이들 커버(588,590)는 댐퍼하우징(559)을 통과하는 연료기체로부터 스틸 요소들(587,589)을 보호하고 내부의 열을 유지한다. 양단부(595,596)는 댐퍼하우징(559)의 측면보다 돌출한다. 이는 2가지 목적을 위해서이다. 첫째, 단부(595,596)를 하우징 벽면의 구멍에 삽입하여 하우징(559)에 댐퍼(565)를 지지한다. 이런 지지부가 관의 양단부(595,596)이므로, 댐퍼(565)를 개폐회전시킬 수 있다.
또, 댐퍼(565)의 내부공간을 통과한 공기가 관(589)을 지나므로, 연료기체에서 나타나는 열로부터 보호된다. 구체적으로, 압력에 의해 공기는 관(589) 일단부(595)의 구멍(601)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이곳에서, 공기는 계속 이동하여 관(589)의 개구부(602)와 만난다. 이 개구부를 통해 공기는 관(589)에서부터 댐퍼(565)의 내부공간에 들어간다. 이어서 공기는 배플(603)을 따라 댐퍼(565) 내부를 흐른 다음, 개구부(606)를 통해 댐퍼를 나가서 관(589)을 흐르고 단부(596)를 통해 나간다. 다시 말해, 배플(603)때문에 입구 개구부(602)에서 곧바로 출구개구부(606)로 흐를 수는 없다. 또, 관(589) 내부에는 입구단부(595)로부터 출구단부(596)까지 공기의 직접적인 흐름을 차단하는 디스크(607)가 있다. 이 디스크 때문에 공기는 강제로 입구개구부(602)를 통과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댐퍼(565) 내부로 들어간다. 관(589) 내부에 디스크(607)를 둔다는 것은 관(589)을 2 부분으로 나눈다는 것을의미한다. 디스크(607)를 용접한 다음 2개의 관을 용접하면 관(589)이 형성된다.
댐퍼(565)의 자세를 돕기 위해 슬리이브(613)에 고정된 아암(612)에 무게추(611)를 용접한다. 다음, 볼트(618)로 슬리이브(613)를 결합하여 무게추(611)를 관(589) 위에 정위치시킨다.
댐퍼(565)는 스틸몸체(587) 외에도 내화커버(588) 때문에 상당한 중량을 갖는다. 댐퍼(565)가 도 35,36의 폐쇄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있으면, 자체중량 때문에 반시계 방향으로 폐쇄위치로 회전하려는 경향이 있다. 관(589)에 단단히 고정된 무게추(611)는 이런 부적절한 운동을 방해하는 역할을 한다. 필요하다면, 관(589)의 양단부(595,596)에 무게추를 달아 이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다. 분명한 것은, 무게추(611)가 재연소구간(551), 관의 일부구간(554,556) 및 플랜지(555)에 대해 원하는 위치로 회전할 정도의 여유를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연료기체는 출구(570)를 통해 댐퍼하우징(559)을 나가서 공기혼합기(617)로 들어간다. 혼합기(617)는 모터(619)로 구동되는 송풍기(618)로부터 공기를 받는다. 구체적으로, 송풍기는 혼합기(617) 내측면에 부착된 상자(620) 안으로 공기를 보낸다. 상자(620) 안의 공기는 내벽(622)의 노즐(621)을 통과한 다음, 혼합기(617) 내부공간(623)의 연료기체와 혼합한다.
송풍기(618) 때문에 노즐(621)을 통과하는 공기는 상당한 힘으로 혼합기(617) 내부공간(623)의 연료기체에 혼합되고, 이 때문에 아래의 두가지 임무가 달성된다.
첫째, 공기와 연료기체가 적절히 혼합된다. 둘째, 도면에서 보듯이, 기체가혼합기 출구(626)를 향하는 방향으로 노즐(621)을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강제로 노즐(621)을 통과하는 공기는 벤튜리형 벡터효과를 형성하여, 기체를 댐퍼로부터 혼합기(617)쪽으로 당기고 혼합기(617)의 출구(623)쪽으로 밀어준다. 다시 말해, 혼합기(617)는 송풍기(618)의 도움으로 연료기체를 재연소구간(551)에서 당기는 힘을 생성한다. 또한, 기체는 출구(626)로부터 연결관(630)로 보내진다.
혼합기(618)는 혼합기(617)를 통과하는 연료기체와 결코 접촉하지 않는다. 도 38과 같이, 송풍기(618)가 실제로 보내는 기체는 공기뿐이다. 송풍기(618)는 공기를 상자(620)로 보내고 내벽(622)의 노즐(621)을 통과하게 한다. 연료기체는 내벽을 통해 송풍기(618)로 갈 수 없다. 따라서, 연료기체의 모든 부식성분은 결코 송풍기(618)와 접촉하여 송풍기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30, 31의 구조에서는, 공기가 연료기체와 혼합된 뒤에야 혼합물이 송풍기(501)에 도달한다. 연료기체와 혼합된 공기는 400 내지 750℉의 온도로 되고, 연료기체의 모든 부식성 염소성분은 송풍기(501)에 영향을 줄 수 없다. 도 38의 구조에서는, 연료기체가 결코 송풍기(618)에 닿지 않는다. 따라서, 연료기체의 모든 부식성 성분들은 송풍기(618)의 금속성분을 해칠 수 없다.
도 30, 31에서 설명한대로, 건조격자에 연료기체를 공급하는 시스템은 공급된 기체중의 두가지 완전히 별개의 변수들을 제어해야만 한다. 첫째, 혼합물중의 공기와 기체의 상대량을 조절해야만 한다. 이렇게 하면 공기나 연료기체만을 사용했을 때보다 적용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 격자 위의 폐기물에 연소 전에 증발시켜야 하는 수분이 전혀 없을 경우에는 공기만을 사용한다. 송풍기에 악영향을 주는염소가 폐기물에 거의 없을 경우에는 연료기체만 사용한다. 그 외의 경우에는 연료기체와 공기를 적절히 혼합한다. 예컨대, 최종적으로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기체에는 일정 비율의 산소가 함유되어야 할 경우가 있다. 기체중의 탄화수소 물질이 완전연소될 경우이다.
둘째, 격자로 들어가는 기체혼합물의 총량을 조절해야 한다. 이 경우, 소각로로 들어가는 폐기물의 양과 그 성질에 따라 기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4-41의 구조에서는 동일한 두가지 변수를 조절할 수 있다. 댐퍼(565)를 개폐하면 격자로 들어가는 연료기체량을 먼저 조절할 수 있다. 송풍기(618)의 힘으로 혼합될 기체량과 연결관(630)을 통해 격자로 보낼 혼합물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댐퍼(565)의 개방과 송풍기(618)의 속도를 조절하면, 격자로 보낼 기체의 양과 특성을 선택할 수 있다.
도 38과 같이, 송풍기(618)는 필연적으로 격자로 보낼 기체에 공기를 유입시켜, 혼합기(617)에 벤튜리 효과를 유도한다. 그러나, 이렇게 들어간 공기량은 반드시 격자의 폐기물로 보낼 필요는 없다. 예컨대, 수분함량이 아주 높으면 산소를 적게하되 열량은 훨씬 높은 산소함유기체가 적합하다. 또, 상당한 시간동안 원하는 건조를 이루려면 이런 기체가 상당히 많이 필요하다.
도 39의 변경 구조에서는 격자로 공급되는 산소함유기체의 성분에 융통성이 더 크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기(618)는 내화코팅(636)을 갖는 바이패스 관(635)로부터 기체를 받는다. 도 38의 송풍기(618)에서는 대기로부터 직접 입력기체를 받아 단순히 공기만을 받는다.
도 39에 의하면, 송풍기(618)는 바이패스 관(635)을 따라 부분적인 부압을 형성하여 2개의 공급원으로부터 기체를 흡입한다. 바이패스 관(635)의 첫번째 공급원은 혼합기(617)의 측면출구이다. 측면출구(637)는 댐퍼하우징의 출구(570)로부터 직접 연료기체를 받는다. 따라서, 플랜지커플링(63)을 직접 바이패스 출구(636)에 연결하는 측면출구(637)는 재연소구간(551)에서 직접 취한 연료기체를 바이패스 출구에 공급한다.
다른 기체공급원은 바이패스 관(635)에 직접 기체를 공급하는 구간(642)의 구멍(641)이다. 그러나, 이 구멍(641)에서는 공기만을 공급한다. 구멍(641)을 통해 바이패스 관에 도달하는 공기량은 에어댐퍼(643)의 제어를 받는다. 따라서, 에어댐퍼(643)는 송풍기(618)로 보내지는 바이패스 관(635)의 연료기체-공기의 상대량을 결정한다. 송풍기(618)는 이 혼합물을 상자(620)와 노즐(621)을 통해 혼합기(617)의 내부공간(623)으로 강제로 보낸다. 이 혼합물은 댐퍼하우징(559)의 출구(570)에서 직접 유입된 연료기체와 혼합기에서 혼합된다. 따라서, 댐퍼출구(570)에서 온 연료기체는 바이패스 관(635)에서 온 (에어댐퍼(643)에서 결정된) 공기-연료기체 혼합물과 혼합기 내부공간(623)에서 섞인다. 이것은 공기와 연료기체를 혼합하기만 하는 도 38의 혼합기(617)와 비교된다.
도 39의 구조에서는 연결관(630)에 들어갈 기체의 선택폭이 넓다. 조절댐퍼(643)를 닫으면 송풍기(618), 혼합기(617) 및 관(630)로 가는 공기통로가 완전히 막힌다.
따라서, 연결관을 통해 격자로 연료기체만 공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격자로 보내진 연료기체는 습도가 높은 폐기물 특히 B.T.U.가 낮은 폐기물에 적합하다. 송풍기(618)가 재연소구간에서 건조격자로 연료기체를 공급하는데 필요한 힘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런 특정 용도가 유리하다.
그러나, 송풍기(618)를 통해 연료기체를 보내는데는 2가지 제한이 있다. 첫째, 연료기체(연소폐기물)에 염소성분이 없으면, 기체온도를 약 2000℉ 이하로 유지해야 한다. 이보다 온도가 높으면 송풍기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모든 금속이 파괴된다. 둘째, 염소성분이 있으면, 송풍기의 부식을 피하기 위해 송풍기의 온도를 약 750℉ 이하로 유지해야 한다. 조절댐퍼(643)를 통해 바이패스 관(635)에 공기를 공급하면 송풍기(618)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온도까지 기체온도를 낮출 수 있다. 내화코팅(636,649) 때문에 관(635)과 혼합기(617)가 보호된다.
한편, 재연소구간(551)의 댐퍼(565)를 닫고 에어댐퍼(643)를 열면 송풍기(618)에서 순수 공기만 격자로 공급된다. 이 경우는 폐기물의 수분이 아주 낮을 경우 유리하다. 결론적으로, 2개의 댐퍼(565,643)와 송풍기(618)를 조정하면 건조공기에 원하는 양의 산소함유기체를 공급할 수 있고, 이 기체에서 공기에 대한 연료기체의 비율을 원하는대로 할 수 있다.
도 34, 40, 41에서, 연료기체와 공기의 혼합물은 연결관(630)을 통해 연소실(642) 측면 바닥을 따라 공급관(652)에 보내진다. 공급관(652)에서부터, 산소함유기체는 통로(653)를 통해 격자아암(654)까지 위로 올라가고, 이곳에서 격자아암(654)의 노즐을 통해 연소실(542)로 들어가는데, 이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격자아암(654) 위의 폐기물은 건조되면서 휘발성 HC를 상실한다. 결국, 폐기물은 격자아암(654)을 통해 제1 노(657), 제2 노(658) 및 후속 노로 낙하한다.
도 42는 작은 조각이나 입자들을 함유하거나 아직 분쇄되기 전의 폐기물에 특히 유용한 건조격자 시스템(661)을 보여준다. 이런 조각이나 입자로는, 겨, 폐기물자원(RDF), 사양이 안 맞아 폐기된 롤테잎 등이 있다. 문제는 이런 물질이 격자를 통해 너무 쉽게 떨어져 폐기물을 건조시키고 휘발성 HC를 증발시키는 전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는데 있다. 이런 물질은 바닥에 떨어지고 국부적으로 과열되며 슬래그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이런 물질은 축축할 경우 불꽃을 끌 수도 있다.
공기격자 시스템(661)은 상부층(662)의 격자아암(663-665)과 하부층(668)의 격자아암(669-670)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격자아암은 소각실 내부에서 소각실에 연결되고, 전술한 어떤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이들 아암 내부공간에서 산소함유기체가 흐르고, 노즐을 통해 연소실로 들어간다. 또, 아암의 온도도 온도조절유체를 이용해 원하는대로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튜브격벽형 구조를 이들 아암에도 적용할 수 있다. 내화커버로 아암을 일부나 전체 둘러쌀 수도 있다. 또는 내화커버를 사용 안할수도 있다. 아암은 또한 연소실 벽면에 부착된 외팔보 형태일 수도 있다. 또, 이런 다층 구조, 특히 Basic의 전술한 특허에 기재된 구조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것과 다른 격자구조로도 충분할 수 있다. 따라서, 격자구조상 아암 형태가 아니거나, 산소함유기체가 흐르지 않거나, 내부에 냉각액이 없을 수도 있다. 그러나, 본 격자아암들은 전술한 것과는 다른 용도에 특히 적합할 수 있다.
도 42의 입자물질(675)은 먼저 상부층(662)의 격자아암(663-665) 위로 떨어질 것이다. 물질(675)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이들 입자는 건조, 휘발 등의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기에 충분한 시간 격자아암 위에 머물 수 없다. 이자들은 상부층(662)을 통과해 하부층(668)의 격자아암(669,670) 위로 떨어진다. 하부층(668)에 추가로 걸리기 때문에 전술한 처리를 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얻을 수 있다.
특수한 구조를 선택하면 입자물질(675)에 건조나 휘발처리에 필요한 충분한 잔류시간을 보장할 수 있다. 하부층과 상부층의 격자아암들을 서로 엇갈리게 배치한다. 요컨대, 하부 격자아암(669)은 상부 아암(663,664) 사이의 틈새(676) 밑에 배치한다. 이렇게 하면, 틈새(676)를 통해 떨어지는 물체가 하부 아암(669)에 걸린다. 마찬가지로 하부아암(670)은 상부아암(664,665) 사이의 틈새(677) 밑에 배치한다.
아암(663-665,669,670)의 폭을 조정하면 틈새(676,677)에 비해 작은 물질(675)이라도 상하층의 아암을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가장 좋은 것은, 하부층(668)의 아암(669,670)의 폭을 상부층(662)의 아암(663-665) 사이의 틈새(676,677)아 같게 하는 것이다. 또, 격자아암(663-665,669,670)의 윗면을 평평하게 하면 입자물질(675)이 격자구조를 통과하는 시간을 지연시켜 원하는 건조 및 HC 증발을 이룰 수 있다.
여러층(662,668)의 격자아암은 일반적인 대형 폐기물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대형 폐기물에 도 42의 격자아암 시스템(661)을 맞추려면, 여러층의 하나를 제거하면 된다. 예컨대, 하부층(668)의 격자아암(669,670)을 연소실 벽면에 형성된 통로로 들어가는 텔레스코픽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이들 통로는 산소함유기체와 온도조절유체에 연결된다. 아암(669,670)을 통로 안으로 삽입하면 이런 연결이 이루어져 산소함유기체와 온도조절유체가 일반적인 형태로 아암에 공급된다.
예컨대, 격자아암(669,670)을 제거하면, 나머지 3개의 아암(663-665)을 사용해 대형 폐기물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런 구성에서, 하부 아암(669,670) 내부의 산소함유기체와 온도조절유체의 연결부는 이들이 연소실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되어야 한다.
Claims (140)
- 물질을 홀딩해 연소시킬 내화바닥수단을 내부에 구비한 밀폐 연소실; 고체폐기물을 집어넣는 입구와 상기 연소실로부터 기체 연소생성물을 배출하는 출구;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 및 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산화수단;을 포함하는 폐기물과 탄화수소 함유 액체의 소각로에 있어서: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상기 격자수단을 통해 산소함유기체와는 별도로 산소함유기체 이외에 소정 온도범위의 다른 유체를 흐르게 하는 온도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연소실 내부온도가 상기 격자수단 부근에서는 상기 온도범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수단내의 산소함유기체의 온도가 격자수단내의 상기 유체의 온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수단내의 산소함유기체의 온도가 격자수단내의 상기 유체의 온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로 유입된 산소함유기체가 공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로 유입된 산소함유기체가 연소실 내부의 상기 기체 연소생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로 유입된 산소함유기체가 공기와 기체 연소생성물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물질을 홀딩해 연소시킬 내화바닥수단을 내부에 구비한 밀폐 연소실; 고체폐기물을 집어넣는 입구와 상기 연소실로부터 기체 연소생성물을 배출하는 출구;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 및 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산화수단;을 포함하는 폐기물과 탄화수소 함유 액체의 소각로 내부온도 조절방법에 있어서:⒜ 상기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 안으로 산소함유기체를 인입하는 단계; 및⒝ 산소함유기체와는 별도로 격자수단을 통해 산소함유기체 이외에 소정 온도범위의 다른 유체를 흐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연소실;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연소시킬 물질을 홀딩하는 내화바닥수단;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수단 위의 상기 물질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 및 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산화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상기 격자수단을 통해 산소함유기체와는 별도로 산소함유기체 이외에 소정 온도범위의 다른 유체를 흐르게 하는 온도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시스템.
- 연소실;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연소시킬 물질을 홀딩하는 내화바닥수단;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수단 위의 상기 물질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 및 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산화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내부의 온도조절방법에 있어서:⒜ 상기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 안으로 산소함유기체를 인입하는 단계; 및⒝ 산소함유기체와는 별도로 격자수단을 통해 산소함유기체 이외에 소정 온도범위의 다른 유체를 흐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물질을 홀딩해 연소시킬 내화바닥수단을 내부에 구비한 밀폐 연소실; 고체폐기물을 집어넣는 입구와 상기 연소실로부터 기체 연소생성물을 배출하는 출구;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 및 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산화수단;을 포함하는 폐기물과 탄화수소 함유 액체의 소각로에 있어서:상기 격자수단은 관으로 형성되는 튜브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관은 비교적 얇은 열전달 물질 구간으로 이루어지며 두개 이상의 분리된 유체기밀 튜브를 포함하고, 이들 튜브는 상기 구간과 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과 상기 튜브가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과 상기 튜브가 서로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중 2개가 유체기밀되고 서로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수단이 다수의 격자아암을 포함하고, 각각의 아암은 관 형태의 상기 튜브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산화수단은 산소함유기체를 상기 튜브격벽을 통해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함유기체가 기체성 연소생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함유기체가 공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함유기체가 기체 연소생성물과 공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물질을 홀딩해 연소시킬 내화바닥수단을 내부에 구비한 밀폐 연소실; 고체폐기물을 집어넣는 입구와 상기 연소실로부터 기체 연소생성물을 배출하는 출구;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 및 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산화수단;을 포함하는 폐기물과 탄화수소 함유 액체의 소각로 내부온도 조절방법에 있어서:⒜ 비교적 얇은 열전달 물질 구간과, 이 구간과 열접촉하고 열전달 물질로 이루어진 2개 이상의 서로 떨어진 유체기밀 튜브에 의해 상기 격자수단의 일부를 이루는 튜브격벽으로 이루어진 관을 통해 연소실 안으로 산소함유기체를 인입하는 단계; 및⒝ 상기 유체기밀 튜브에 산소함유기체 이외의 다른 유체를 흐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연소실;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연소시킬 물질을 홀딩하는 내화바닥수단;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수단 위의 상기 물질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 및 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산화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격자수단은, 비교적 얇은 열전달 물질 구간과, 이 구간과 열접촉하고 열전달 물질로 이루어진 2개 이상의 서로 떨어진 유체기밀 튜브로 이루어진 튜브격벽으로 이루어진 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시스템.
- 연소실;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연소시킬 물질을 홀딩하는 내화바닥수단;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수단 위의 상기 물질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 및 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산화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내부의 온도조절방법에 있어서:⒜ 비교적 얇은 열전달 물질 구간과, 이 구간과 열접촉하고 열전달 물질로 이루어진 2개 이상의 서로 떨어진 유체기밀 튜브에 의해 상기 격자수단의 일부를 이루는 튜브격벽으로 이루어진 관을 통해 연소실 안으로 산소함유기체를 인입하는 단계; 및⒝ 상기 유체기밀 튜브에 산소함유기체 이외의 다른 유체를 흐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물질을 홀딩해 연소시킬 내화바닥수단을 내부에 구비한 밀폐 연소실; 고체폐기물을 집어넣는 입구와 상기 연소실로부터 기체 연소생성물을 배출하는 출구;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 및 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산화수단;을 포함하는 폐기물과 탄화수소 함유 액체의 소각로에 있어서:상기 입구 부근에서 연소실에 결합되어, ⑴ 입구를 통해 연소실 내부의 상기 격자수단 위로 폐기물을 이동시키고, ⑵ 격자수단 위의 폐기물의 높이를 제한하기 위한 로더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로더수단은 플러그 로더 형태를 취하고, 상기 플러그 로더를 입구를 통해 상기 밀폐 연소실 내부공간을 향해 이동시키는 모티브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모티브 수단은 상기 로더를 입구를 통해 상기 밀폐 연소실 내부공간 안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모티브 수단은 상기 로더가 격자수단의 끝에 이르는 위치에 도달하는 방향과 깊이로 상기 로더를 입구를 통해 상기 밀폐 연소실 내부공간 안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모티브 수단은 연소실 내부의 다수의 위치까지 상기 로더를 입구를 통해 밀폐 연소실 내부공간 안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각각의 위치에서 로더는 연소실 안으로 침투하는 깊이가 서로 다르며, 다수의 위치들중 모티브 수단이 로더를 이동시키는 특정 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수단이 모티브 수단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로더 내부에 내열내식 물질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로더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수단이 로더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물질을 홀딩해 연소시킬 내화바닥수단을 내부에 구비한 밀폐 연소실; 고체폐기물을 집어넣는 입구와 상기 연소실로부터 기체 연소생성물을 배출하는 출구;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 및 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산화수단;을 포함하는 폐기물과 탄화수소 함유 액체의 소각로 내부의 연소를 보조하는 방법에 있어서:⑴ 입구를 통해 연소실 내부의 상기 격자수단 위로 폐기물을 이동시키는 단계;⑵ 격자수단 위의 폐기물의 높이를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입구를 갖는 연소실; 연소물질을 홀딩하는 연소실 내부의 내화바닥수단;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 및 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산화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입구 부근에서 연소실에 결합되어, ⑴ 입구를 통해 연소실 내부의 상기 격자수단 위로 폐기물을 이동시키고, ⑵ 격자수단 위의 폐기물의 높이를 제한하기 위한 로더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연소실; 물질을 홀딩하는 연소실 내부의 내화바닥수단; 및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내부의 연소를 보조하는 방법에 있어서:⑴ 상기 격자수단 위에 가연성 물질을 놓는 단계;⑵ 격자수단 위의 상기 물질의 높이를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물질을 홀딩해 연소시킬 내화바닥수단을 내부에 구비한 밀폐 연소실; 고체폐기물을 집어넣는 입구와 상기 연소실로부터 기체 연소생성물을 배출하는 출구;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 및 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산화수단;을 포함하는 폐기물과 탄화수소 함유 액체의 소각로에 있어서:상기 산화수단이 ⒜ 상기 출구에 연결되고, ⒝ 상기 기체 연소생성물을 산소함유기체의 일부로서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 안으로 인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수단이 산소함유기체의 일부로서 공기를 격자수단 안으로 유입시키고, 또한 산소함유기체내의 공기와 연료기체의 상대량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수단이 격자수단을 통해 유입된 산소함유기체의 총량을 조절하는 체적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수단이 산소함유기체의 일부로서 공기를 격자수단 안으로 유입시키고, 또한 격자수단을 통해 유입된 산소함유기체의 총량을 조절하는 체적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물질을 홀딩해 연소시킬 내화바닥수단을 내부에 구비한 밀폐 연소실; 고체폐기물을 집어넣는 입구와 상기 연소실로부터 기체 연소생성물을 배출하는 출구;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 및 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산화수단;을 포함하는 폐기물과 탄화수소 함유 액체의 소각로 내부의 연소보조방법에 있어서:상기 출구로부터의 기체 연소생성물의 일부를 상기 산소함유기체의 일부로서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 안으로 유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기체 연소생성물을 내보낼 출구를 갖는 연소실;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연소물질을 홀딩하는 내화바닥수단;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물질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 및 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산화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산화수단이 ⒜ 상기 출구에 연결되고, ⒝ 상기 기체 연소생성물을 산소함유기체의 일부로서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 안으로 인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연소실;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연소물질을 홀딩하는 내화바닥수단; 구멍이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물질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내부의 연소를 보조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연소실로부터의 기체 연소생성물 일부를 산소함유기체의 일부로서 상기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 안으로 인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물질을 홀딩해 연소시킬 내화바닥수단을 내부에 구비한 밀폐 연소실; 고체폐기물을 집어넣는 입구와 상기 연소실로부터 기체 연소생성물을 배출하는 출구;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 및 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산화수단;을 포함하는 폐기물과 탄화수소 함유 액체의 소각로에 있어서:상기 산화수단이 ⒜ 상기 출구에 연결되고, ⒝ 상기 기체 연소생성물의 일부를 산소함유기체의 일부로서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 안으로 인입하며, ⒞ 산소함유기체가 격자수단에 진입하기 전에 산소함유기체의 온도를 소정 범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범위가 약 400 내지 7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소각로.
-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수단이 기체 연소생성물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별도의 산소함유기체와 기체 연소생성물을 혼합하여 산소함유기체의 온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산소함유기체가 공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수단이 산소함유기체의 일부로서 공기를 격자수단에 인입하고 또한 산소함유기체내의 공기와 연료기체의 상대량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수단이 격자수단을 통해 유입된 산소함유기체의 총량을 조절하는 체적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수단이 산소함유기체의 일부로서 공기를 격자수단 안으로 유입시키고, 또한 격자수단을 통해 유입된 산소함유기체의 총량을 조절하는 체적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물질을 홀딩해 연소시킬 내화바닥수단을 내부에 구비한 밀폐 연소실; 고체폐기물을 집어넣는 입구와 상기 연소실로부터 기체 연소생성물을 배출하는 출구;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을 포함하는 폐기물과 탄화수소 함유 액체의 소각로 내부의 연소보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산소함유기체의 일부로서 상기 기체 연소생성물의 일부를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에 유입하는 단계; 및⒝ 산소함유기체가 격자수단에 들어가기 전에 산소함유기체의 온도를 소정 범위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기체 연소생성물을 내보낼 출구를 갖는 연소실;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연소물질을 홀딩하는 내화바닥수단;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물질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 및 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산화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산화수단이 ⒜ 상기 출구에 연결되고, ⒝ 상기 기체 연소생성물의 일부를 산소함유기체의 일부로서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 안으로 인입하며, ⒞ 산소함유기체가 격자수단에 진입하기 전에 산소함유기체의 온도를 소정 범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기체 연소생성물을 내보낼 출구를 갖는 연소실;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연소물질을 홀딩하는 내화바닥수단; 및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물질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내부의 연소보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산소함유기체의 일부로서 상기 기체 연소생성물의 일부를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에 유입하는 단계; 및⒝ 산소함유기체가 격자수단에 들어가기 전에 산소함유기체의 온도를 소정 범위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물질을 홀딩해 연소시킬 내화바닥수단을 내부에 구비한 밀폐 연소실; 고체폐기물을 집어넣는 입구와 상기 연소실로부터 기체 연소생성물을 배출하는 출구;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 및 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산화수단;을 포함하는 폐기물과 탄화수소 함유 액체의 소각로에 있어서:상기 산화수단은,⒜ 상기 출구 및 격자수단과 통하는 관과, 이 관에 연결되어 연소실 외부로부터 관 안으로 고압으로 공기를 인입하여 기체 연소생성물과 공기의 혼합물을 만들면서도 기체 연소생성물 및 상기 혼합물과 접촉하지 않는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연소생성물과 공기의 혼합물 일부를 산소함유기체의 일부로서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 안으로 인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수단이 혼합물내의 공기와 연료기체의 상대량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수단이 격자수단을 통해 인입된 혼합물의 총량을 조절하는 체적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수단이 격자수단을 통해 인입된 혼합물의 총량을 조절하는 체적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물질을 홀딩해 연소시킬 내화바닥수단을 내부에 구비한 밀폐 연소실; 고체폐기물을 집어넣는 입구와 상기 연소실로부터 기체 연소생성물을 배출하는 출구; 및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을 포함하는 폐기물과 탄화수소 함유 액체의 소각로 내부의 연소보조방법에 있어서:⒜ 연소생성물과 공기의 혼합물을 만들기 위해 송풍기를 이용해 연소실 외부로부터 공기를 고압으로 기체 연소생성물에 인입하는 단계;⒝ 상기 연소생성물과 공기의 혼합물 일부를 산소함유기체의 일부로서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 안으로 인입하는 단계; 및⒞ 상기 송풍기를 연소생성물 및 혼합물에 접촉하지 않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기체 연소생성물을 내보낼 출구를 갖는 연소실;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연소물질을 홀딩하는 내화바닥수단;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물질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 및 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산화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산화수단은,⒜ 상기 출구 및 격자수단과 통하는 관과, 이 관에 연결되어 연소실 외부로부터 관 안으로 고압으로 공기를 인입하여 기체 연소생성물과 공기의 혼합물을 만들면서도 기체 연소생성물 및 상기 혼합물과 접촉하지 않는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연소생성물과 공기의 혼합물 일부를 산소함유기체의 일부로서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 안으로 인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기체 연소생성물을 내보낼 출구를 갖는 연소실;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연소물질을 홀딩하는 내화바닥수단; 및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물질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내부의 연소보조방법에 있어서:⒜ 연소생성물과 공기의 혼합물을 만들기 위해 송풍기를 이용해 연소실 외부로부터 공기를 고압으로 기체 연소생성물에 인입하는 단계;⒝ 상기 연소생성물과 공기의 혼합물 일부를 산소함유기체의 일부로서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 안으로 인입하는 단계; 및⒞ 상기 송풍기를 연소생성물 및 혼합물에 접촉하지 않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물질을 홀딩해 연소시킬 내화바닥수단을 내부에 구비한 밀폐 연소실; 고체폐기물을 집어넣는 입구와 상기 연소실로부터 기체 연소생성물을 배출하는 출구;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 및 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산화수단;을 포함하는 폐기물과 탄화수소 함유 액체의 소각로에 있어서:상기 산화수단은, ⑴ 상기 출구 및 격자수단과 통하는 관, ⑵ 상기 출구와 격자수단 사이에서 상기 관에 연결되어 기체 연소생성물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경로를 제공하는 인입수단, 및 ⑶ 상기 인입수단과 격자수단 사이에서 상기 관에 연결된 송풍기를 포함하여; ⒜ 상기 인입수단으로부터 부분적 부압으로 공기를 기체 연소생성물에 끌어들여, 연소생성물이 송풍기에 닿기 전에 공기와 연소생성물의 혼합물을 형성하며, ⒝ 공기와 연소생성물의 혼합물을 산소함유기체의 일부로서 차례대로 상기 관과 격자를 통해 연소실 안으로 부압에 의해 유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수단이 혼합물내의 공기와 연료기체의 상대량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수단이 격자수단을 통해 인입된 혼합물의 총량을 조절하는 체적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수단이 격자수단을 통해 인입된 혼합물의 총량을 조절하는 체적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관이 제1 관이고, 상기 혼합물은 제1 혼합물이며, 상기 산화수단은 출구, 제1 관 및 격자수단과 통하는 제2 관을 구비하고;⒝ 상기 송풍기는 제2 관에 결합되어 제1 혼합물을 제2 관에 압력으로 유입시켜 제1 혼합물과 연소생성물의 제2 혼합물을 만들되, 연소생성물과 제2 혼합물에 접촉하지 않으며;⒞ 상기 송풍기는 또한 제2 혼합물의 일부를 산소함유기체의 일부로서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 안으로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물질을 홀딩해 연소시킬 내화바닥수단을 내부에 구비한 밀폐 연소실; 고체폐기물을 집어넣는 입구와 상기 연소실로부터 기체 연소생성물을 배출하는 출구; 및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을 포함하는 폐기물과 탄화수소 함유 액체의 소각로 내부의 연소보조방법에 있어서:⒜ 송풍기에 의한 부분적 부압을 이용해 연소실 외부에서 기체 연소생성물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단계;⒝ 연소생성물이 송풍기에 도달하기 전에 공기와 연소생성물의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공기와 연소생성물의 혼합물을 정압을 이용해 산소함유기체의 일부로서 격자수단과 연소실 안으로 유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기체 연소생성물을 내보낼 출구를 갖는 연소실;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연소물질을 홀딩하는 내화바닥수단;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바닥수단 위로 상기 물질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 및 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산화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산화수단은, ⑴ 상기 출구 및 격자수단과 통하는 관, ⑵ 상기 출구와 격자수단 사이에서 상기 관에 연결되어 기체 연소생성물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경로를 제공하는 인입수단, 및 ⑶ 상기 인입수단과 격자수단 사이에서 상기 관에 연결된 송풍기를 포함하여; ⒜ 상기 인입수단으로부터 부분적 부압으로 공기를 기체 연소생성물에 끌어들여, 연소생성물이 송풍기에 닿기 전에 공기와 연소생성물의 혼합물을 형성하며, ⒝ 공기와 연소생성물의 혼합물을 산소함유기체의 일부로서 차례대로 상기 관과 격자를 통해 연소실 안으로 부압에 의해 유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기체 연소생성물을 내보낼 출구를 갖는 연소실;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연소물질을 홀딩하는 내화바닥수단; 및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물질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내부의 연소보조방법에 있어서:⒜ 송풍기에 의한 부분적 부압을 이용해 연소실 외부에서 기체 연소생성물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단계;⒝ 연소생성물이 송풍기에 도달하기 전에 공기와 연소생성물의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공기와 연소생성물의 혼합물을 정압을 이용해 산소함유기체의 일부로서 격자수단과 연소실 안으로 유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물질을 홀딩해 연소시킬 내화바닥수단을 내부에 구비한 밀폐 연소실; 고체폐기물을 집어넣는 입구와 상기 연소실로부터 기체 연소생성물을 배출하는 출구;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 및 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산화수단;을 포함하는 폐기물과 탄화수소 함유 액체의 소각로에 있어서: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산소함유기체와는 별도의 2상 유체를 산소함유기체와는 다른 소정 범위의 온도로 격자수단에 통과시키는 온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2상 유체가 물-증기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물질을 홀딩해 연소시킬 내화바닥수단을 내부에 구비한 밀폐 연소실; 고체폐기물을 집어넣는 입구와 상기 연소실로부터 기체 연소생성물을 배출하는 출구; 및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을 포함하는 폐기물과 탄화수소 함유 액체의 소각로 내부의 온도조절방법에 있어서:⒜ 상기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 안으로 산소함유기체를 유입하는 단계; 및⒝ 산소함유기체와는 별도의 2상 유체를 산소함유기체와는 다른 소정범위의 온도로 격자수단에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연소실; 물질을 홀딩하는 연소실 내부의 내화바닥수단;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 및 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산화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산소함유기체와는 별도의 2상 유체를 산소함유기체와는 다른 소정 범위의 온도로 격자수단에 통과시키는 온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연소실; 물질을 홀딩하는 연소실 내부의 내화바닥수단; 및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내부의 온도조절방법에 있어서:⒜ 상기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 안으로 산소함유기체를 유입하는 단계; 및⒝ 산소함유기체와는 별도의 2상 유체를 산소함유기체의 온도와는 다른 소정범위의 온도로 격자수단에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물질을 홀딩해 연소시킬 내화바닥수단을 내부에 구비한 밀폐 연소실; 고체폐기물을 집어넣는 입구와 상기 연소실로부터 기체 연소생성물을 배출하는 출구;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 및 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산화수단;을 포함하는 폐기물과 탄화수소 함유 액체의 소각로에 있어서: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산소함유기체와는 별도의 공지 온도를 갖는 산소함유기체 이외의 2상 유체를 격자수단을 통해 밀폐시스템에 순환시키는 온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물질을 홀딩해 연소시킬 내화바닥수단을 내부에 구비한 밀폐 연소실; 고체폐기물을 집어넣는 입구와 상기 연소실로부터 기체 연소생성물을 배출하는 출구; 및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을 포함하는 폐기물과 탄화수소 함유 액체의 소각로 내부의 온도조절방법에 있어서:산소함유기체와는 다른 공지의 온도를 갖는 산소함유기체 이외의 다른 유체를 상기 격자수단을 통과한 뒤 격자수단을 통해 밀폐시스템으로 되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연소실; 물질을 홀딩하는 연소실 내부의 내화바닥수단;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 및 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산화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산소함유기체와는 별도의 공지 온도를 갖는 산소함유기체 이외의 유체를 격자수단을 통해 밀폐시스템에 순환시키는 온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연소실; 물질을 홀딩하는 연소실 내부의 내화바닥수단; 및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내부의 온도조절방법에 있어서:산소함유기체의 온도와는 다른 공지의 온도를 갖는 산소함유기체 이외의 다른 유체를 상기 격자수단을 통과한 뒤 격자수단을 통해 밀폐시스템을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물질을 홀딩해 연소시킬 내화바닥수단을 내부에 구비한 밀폐 연소실; 고체폐기물을 집어넣는 입구와 상기 연소실로부터 기체 연소생성물을 배출하는 출구;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 및 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산화수단;을 포함하는 폐기물과 탄화수소 함유 액체의 소각로에 있어서: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로 유입된 상기 산소함유기체는 연소실로부터의 기체 연소생성물을 포함하고;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산소함유기체와는 별도의 유체를 산소함유기체와는 다른 소정 범위의 온도로 격자수단에 통과시키는 온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수단이 산소함유기체의 일부로서 공기를 격자수단에 인입하고 또한 산소함유기체내의 공기와 연료기체의 상대량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수단이 격자수단을 통해 유입된 산소함유기체의 총량을 조절하는 체적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수단이 산소함유기체의 일부로서 공기를 격자수단 안으로 유입시키고, 또한 격자수단을 통해 유입된 산소함유기체의 총량을 조절하는 체적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물질을 홀딩해 연소시킬 내화바닥수단을 내부에 구비한 밀폐 연소실; 고체폐기물을 집어넣는 입구와 상기 연소실로부터 기체 연소생성물을 배출하는 출구; 및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을 포함하는 폐기물과 탄화수소 함유 액체의 소각로 내부의 온도조절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의 출구로부터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 안으로 기체 연소생성물을 산소함유기체의 일부로서 유입하는 단계; 및⒝ 산소함유기체와는 다른 유체를 산소함유기체의 온도와는 다른 소정범위의온도로 격자수단에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연소실; 물질을 홀딩하는 연소실 내부의 내화바닥수단;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 및 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산화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로 유입된 상기 산소함유기체는 연소실로부터의 기체 연소생성물을 포함하고;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산소함유기체와는 별도의 유체를 산소함유기체와는 다른 소정 범위의 온도로 격자수단에 통과시키는 온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연소실; 물질을 홀딩하는 연소실 내부의 내화바닥수단; 및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내부의 온도조절방법에 있어서:⒜ 상기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 안으로 연소실의 기체 연소생성물을 산소함유기체의 일부로서 유입하는 단계; 및⒝ 산소함유기체와는 별도의 유체를 산소함유기체의 온도와는 다른 소정범위의 온도로 격자수단에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물질을 홀딩해 연소시킬 내화바닥수단을 내부에 구비한 밀폐 연소실; 고체폐기물을 집어넣는 입구와 상기 연소실로부터 기체 연소생성물을 배출하는 출구;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 및 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산화수단;을 포함하는 폐기물과 탄화수소 함유 액체의 소각로에 있어서:상기 격자수단은 산소함유기체가 연소실로 들어가기에 앞서 통과하는 통로를 하나 이상 가지며, 상기 통로는 스틸로 구성되고 그 일부는 연소실에서 일어나는 연소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80항에 있어서, 연소실에서 일어나는 연소에 직접 노출되는 상기 통로의 일부가 통로의 절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물질을 홀딩해 연소시킬 내화바닥수단을 내부에 구비한 밀폐 연소실; 고체폐기물을 집어넣는 입구와 상기 연소실로부터 기체 연소생성물을 배출하는 출구; 및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을 포함하는 폐기물과 탄화수소 함유 액체의 소각로 내부의 연소보조방법에 있어서:상기 격자수단은 산소함유기체가 연소실로 들어가기에 앞서 통과하는 스틸로 구성된 통로를 하나 이상 가지며;상기 폐기물을 연소실 내부에서 연소시키는 단계; 및상기 스틸통로의 일부를 연소실에서 일어나는 연소에 직접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연소실; 물질을 홀딩하는 연소실 내부의 내화바닥수단;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 및 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산화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격자수단은 산소함유기체가 연소실로 들어가기에 앞서 통과하는 통로를 하나 이상 가지며, 상기 통로는 스틸로 구성되고 그 일부는 연소실에서 일어나는 연소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연소실; 물질을 홀딩하는 연소실 내부의 내화바닥수단; 및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내부의 연소보조방법에 있어서:상기 격자수단은 산소함유기체가 연소실로 들어가기에 앞서 통과하는 스틸로 구성된 통로를 하나 이상 가지며;상기 폐기물을 연소실 내부에서 연소시키는 단계; 및상기 스틸통로의 일부를 연소실에서 일어나는 연소에 직접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물질을 홀딩해 연소시킬 내화바닥수단을 내부에 구비한 밀폐 연소실; 고체폐기물을 집어넣는 입구와 상기 연소실로부터 기체 연소생성물을 배출하는 출구;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 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산화수단; 및 상기 출구에 연결되고, 출구를 통과하는 기체 연소생성물의 열을 2상 유체에 전달하기 위한 보일러수단;을 포함하는 폐기물과 탄화수소 함유 액체의 소각로에 있어서:상기 보일러수단과 격자수단에 연결되어, 산소함유기체와는 별개의 2상 유체를 보일러수단과 격자수단 사이로 통과시키는 온도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물질을 홀딩해 연소시킬 내화바닥수단을 내부에 구비한 밀폐 연소실; 및 고체폐기물을 집어넣는 입구와 상기 연소실로부터 기체 연소생성물을 배출하는 출구;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을 포함하는 폐기물과 탄화수소 함유 액체의 소각로 내부의 온도조절방법에 있어서:상기 출구를 통과하는 기체 연소생성물의 열을 2상 유체로 전달하는 단계; 및산소함유기체와는 별개의 2상 유체를 상기 격자수단에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연소실; 물질을 홀딩하는 연소실 내부의 내화바닥수단;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 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산화수단; 및 상기 출구에연결되고, 출구를 통과하는 기체 연소생성물의 열을 2상 유체에 전달하기 위한 보일러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보일러수단과 격자수단에 연결되어, 산소함유기체와는 별개의 2상 유체를 보일러수단과 격자수단 사이로 통과시키는 온도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연소실; 물질을 홀딩하는 연소실 내부의 내화바닥수단; 및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내부의 온도조절방법에 있어서:⒜ 기체 연소생성물의 열을 2상 유체에 전달하는 단계; 및⒝ 산소함유기체와는 별도의 2상 유체를 격자수단에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물질을 홀딩해 연소시킬 내화바닥수단을 내부에 구비한 밀폐 연소실; 고체폐기물을 집어넣는 입구와 상기 연소실로부터 기체 연소생성물을 배출하는 출구;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 및 상기 격자수단에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산화수단;을 포함하는 폐기물과 탄화수소 함유 액체의 소각로에 있어서:상기 격자수단이 제1 격자수단으로서 제1 윗면을 형성하는 외에,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 배치되어 제2 윗면을 형성하는 제2 격자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윗면은 제1 윗면 밑에 위치하고 제1 격자수단 밑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격자수단이 연소실에서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수단이 제2 격자수단에 산소함유기체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격자수단들에 연결되어 산소함유기체와는 다른 제1 및 제2 유체를 산소함유기체와는 다른 소정 범위의 온도로 각각 제1, 제2 격자수단들에 통과시키는 온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물질을 홀딩해 연소시킬 내화바닥수단을 내부에 구비한 밀폐 연소실; 고체폐기물을 집어넣는 입구와 상기 연소실로부터 기체 연소생성물을 배출하는 출구; 및 구멍이 관통되어 있는 제1, 제2 격자수단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격자수단들은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이들 격자수단들 각각은 제1 윗면과, 제1 윗면 및 제1 격자수단 밑에 있는 제2 윗면을 형성하는 폐기물과 탄화수소 함유 액체의 소각로 내부의 연소보조방법에 있어서:상기 제1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 안으로 산소함유기체를 보내는 단계;상기 입구를 통해 유입된 폐기물을 제1 윗면에 놓는 단계;제1 격자수단을 통해 폐기물을 낙하시키는 단계;제2 윗면에 폐기물을 놓는 단계;제2 격자수단을 통해 폐기물을 낙하시키는 단계; 및상기 폐기물을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놓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연소실; 물질을 홀딩하는 연소실 내부의 내화바닥수단;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 및 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산화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격자수단이 제1 격자수단으로서 제1 윗면을 형성하는 외에,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 배치되어 제2 윗면을 형성하는 제2 격자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윗면은 제1 윗면 밑에 위치하고 제1 격자수단 밑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물질을 홀딩해 연소시킬 내화바닥수단을 내부에 구비한 밀폐 연소실; 상기 물질을 집어넣는 입구; 및 구멍이 관통되어 있는 제1, 제2 격자수단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격자수단들은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이들 격자수단들 각각은 제1 윗면과, 제1 윗면 및 제1 격자수단 밑에 있는 제2 윗면을 형성하는 시스템 내부의 연소보조방법에 있어서:상기 제1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 안으로 산소함유기체를 보내는 단계;상기 입구를 통해 새로 유입된 물질을 제1 윗면에 놓는 단계;제1 격자수단을 통해 물질을 낙하시키는 단계;제2 윗면에 물질을 놓는 단계;제2 격자수단을 통해 물질을 낙하시키는 단계; 및상기 물질을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놓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물질을 홀딩해 연소시킬 내화바닥수단을 내부에 구비한 밀폐 연소실; 고체폐기물을 집어넣는 입구와 상기 연소실로부터 기체 연소생성물을 배출하는 출구;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 및 상기 격자수단에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산화수단;을 포함하는 폐기물과 탄화수소 함유 액체의 소각로에 있어서:상기 격자수단이 제1 격자수단이고 상기 입구 부근에서 연소실에 부착되어 입구 반대쪽으로 뻗어나가는 다수의 기다란 제1 아암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아암들의 윗면은 제1 윗면을 형성하고, 상기 격자수단이 구멍이 관통되어 연소실 내부에 위치하는 제2 격자수단을 더 포함하며, 이런 제2 격자수단은 상기 제1 아암에 평행한 다수의 기다란 제2 아암들을 포함하고, 제2 아암의 윗면은 제2 윗면을 형성하며, 제2 윗면은 제1 윗면 밑에 있고, 상기 제1 아암들은 제2 아암들에 평행하되 서로 엇갈리게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9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암이 연소실에서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9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아암들 각각의 일단부가 연소실에 외팔보 형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96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수단이 산소함유기체를 제2 격자수단에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격자수단들에 연결되어 산소함유기체와는다른 제1 및 제2 유체를 산소함유기체와는 다른 소정 범위의 온도로 각각 제1, 제2 격자수단들에 통과시키는 온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물질을 홀딩해 연소시킬 내화바닥수단을 내부에 구비한 밀폐 연소실; 폐기물을 집어넣는 입구; 구멍이 관통되어 있는 제1, 제2 격자수단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격자수단은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제1, 제2 격자수단 각각은 연소실에 부착된 다수의 기다란 제1, 제2 아암들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1 아암은 상기 입구 반대쪽으로 뻗어나가며, 상기 제2 아암들은 제1 아암에 평행하게 놓이고, 제1, 제2 아암들의 윗면은 각각 제1, 제2 윗면들을 형성하되, 제2 윗면은 제1 윗면 밑에 위치하고, 제1 아암들이 제2 아암들에 평행하되 엇갈리게 배치되는 시스템 내부의 연소보조방법에 있어서:상기 제1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 안으로 산소함유기체를 보내는 단계;상기 입구를 통해 새로 유입된 폐기물을 제1 윗면에 놓는 단계;제1 아암을 통해 폐기물을 낙하시키는 단계;제2 윗면에 폐기물을 놓는 단계;제2 아암을 통해 폐기물을 낙하시키는 단계; 및상기 폐기물을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놓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연소실; 물질을 홀딩하는 연소실 내부의 내화바닥수단;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물질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 및 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산화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격자수단이 제1 격자수단이고 상기 입구 부근에서 연소실에 부착되어 입구 반대쪽으로 뻗어나가는 다수의 기다란 제1 아암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아암들의 윗면은 제1 윗면을 형성하고, 상기 격자수단이 구멍이 관통되어 연소실 내부에 위치하는 제2 격자수단을 더 포함하며, 이런 제2 격자수단은 상기 제1 아암에 평행한 다수의 기다란 제2 아암들을 포함하고, 제2 아암의 윗면은 제2 윗면을 형성하며, 제2 윗면은 제1 윗면 밑에 있고, 상기 제1 아암들은 제2 아암들에 평행하되 서로 엇갈리게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물질을 홀딩해 연소시킬 내화바닥수단을 내부에 구비한 밀폐 연소실; 상기 물질을 집어넣는 입구; 구멍이 관통되어 있는 제1, 제2 격자수단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격자수단은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제1, 제2 격자수단 각각은 연소실에 부착된 다수의 기다란 제1, 제2 아암들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1 아암은 상기 입구 반대쪽으로 뻗어나가며, 상기 제2 아암들은 제1 아암에 평행하게 놓이고, 제1, 제2 아암들의 윗면은 각각 제1, 제2 윗면들을 형성하되, 제2 윗면은 제1 윗면 밑에 위치하고, 제1 아암들이 제2 아암들에 평행하되 엇갈리게 배치되는 시스템 내부의 연소보조방법에 있어서:상기 제1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 안으로 산소함유기체를 보내는 단계;상기 입구를 통해 새로 유입된 물질을 제1 윗면에 놓는 단계;제1 아암을 통해 상기 물질을 낙하시키는 단계;이 물질을 제2 윗면에 놓는 단계;제2 아암을 통해 물질을 낙하시키는 단계; 및상기 물질을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놓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물질을 홀딩해 연소시킬 내화바닥수단을 내부에 구비한 밀폐 연소실; 고체폐기물을 집어넣는 입구와 상기 연소실로부터 기체 연소생성물을 배출하는 출구;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 및 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산화수단;을 포함하는 폐기물과 탄화수소 함유 액체의 소각로에 있어서: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산화수단, 산소함유기체 및 기체 연소생성물에서는 분리되어 격자수단의 온도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104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로 유입된 산소함유기체가 공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104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로 유입된 산소함유기체가 밀폐 연소실내의 기체 연소생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제106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수단을 통해 연소실로 유입된 산소함유기체가 공기와, 밀폐 연소실내의 기체 연소생성물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 물질을 홀딩해 연소시킬 내화바닥수단을 내부에 구비한 밀폐 연소실; 고체폐기물을 집어넣는 입구와 상기 연소실로부터 기체 연소생성물을 배출하는 출구; 및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폐기물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을 포함하는 폐기물과 탄화수소 함유 액체의 소각로 내부의 온도조절방법에 있어서:상기 산소함유기체 및 기체 연소생성물과는 독립적으로 격자수단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연소실; 물질을 홀딩하는 연소실 내부의 내화바닥수단;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물질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 및 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상기 연소실에 산소함유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산화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산화수단, 산소함유기체 및 연소실내의 기체 연소생성물에서는 분리되어 격자수단의 온도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연소실; 물질을 홀딩하는 연소실 내부의 내화바닥수단; 및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 상기 바닥수단 위로 상기 입구 부근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바닥수단 위로 새로 들어온 물질을 제한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 연소시키면서 바닥수단에 낙하시키기 위한 격자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내부의 온도조절방법에 있어서:상기 산소함유기체 및 기체 연소생성물과는 독립적으로 격자수단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건조실;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건조실 내부에서 물질을 보유하는 격자수단; 및 격자수단에 결합된 기체수단;을 포함하는 물질 건조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격자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기체와는 다른 온도범위로 기체 이외의 유체를 격자수단에 통과시키는 온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건조실; 및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건조실 내부에서 물질을 보유하는 격자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물질을 건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격자수단을 통해 건조실 안으로 기체를 유입하는 단계; 및⒝ 상기 기체 이외의 유체를 기체와는 다른 온도범위로 격자수단에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건조실;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건조실 내부에서 물질을 보유하는 격자수단; 및 격자수단에 결합된 기체수단;을 포함하는 물질 건조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격자수단은, 비교적 얇은 열전달 물질 구간과, 이 구간과 열접촉하고 열전달 물질로 이루어진 2개 이상의 서로 떨어진 유체기밀 튜브로 이루어진 튜브격벽으로 이루어진 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시스템.
- 건조실; 및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건조실 내부에서 물질을 보유하는 격자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물질을 건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비교적 얇은 열전달 물질 구간과, 이 구간과 열접촉하고 열전달 물질로 이루어진 2개 이상의 서로 떨어진 유체기밀 튜브에 의해 상기 격자수단의 일부를 이루는 튜브격벽으로 이루어진 관을 통해 건조실 안으로 기체를 인입하는 단계; 및⒝ 상기 유체기밀 튜브에 상기 기체 이외의 다른 유체를 흐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입구가 달린 건조실;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건조실 내부에서 물질을 보유하는 격자수단; 및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건조실 안으로 기체를 유입시키는 기체수단;을 포함하는 물질 건조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입구 부근에서 건조실에 결합되어, ⑴ 입구를 통해 건조실 내부의 상기 격자수단 위로 상기 물질을 이동시키고, ⑵ 격자수단 위의 상기 물질의 높이를 제한하기 위한 로더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건조실; 및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건조실 내부에서 물질을 보유하는 격자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물질을 건조하는 방법에 있어서:⑴ 상기 격자수단 위에 상기 물질을 놓는 단계;⑵ 격자수단 위의 상기 물질의 높이를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건조실;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건조실 내부에서 물질을 보유하는 격자수단; 및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건조실 안으로 기체를 유입시키는 기체수단;을 포함하는 물질 건조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기체수단이 기체 연소생성물을 상기 기체의 일부로서 격자수단을 통해 건조실 안으로 유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건조실; 및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건조실 내부에서 물질을 보유하는 격자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물질을 건조하는 방법에 있어서:격자수단을 통해 기체 연소생성물을 건조실에 유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건조실;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건조실 내부에서 물질을 보유하는 격자수단; 및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건조실 안으로 기체를 유입시키는 기체수단;을 포함하는 물질 건조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기체수단은 격자수단을 통해 건조실 안으로 기체 연소생성물을 상기 기체의 일부로서 유입시키고, 상기 기체가 격자수단에 들어가기 전에 기체의 온도를 소정 범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건조실; 및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건조실 내부에서 물질을 보유하는 격자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물질을 건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체의 일부로서 상기 기체 연소생성물을 격자수단을 통해 건조실에 유입하는 단계; 및⒝ 상기 기체 연소생성물이 격자수단에 들어가기 전에 기체 연소생성물의 온도를 소정 범위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건조실;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건조실 내부에서 물질을 보유하는 격자수단; 및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건조실 안으로 기체를 유입시키는 기체수단;을 포함하는 물질 건조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기체수단은,⒜ 연소생성물 소스 및 격자수단과 통하는 관과, 이 관에 연결되어 건조실 외부로부터 관 안으로 고압으로 공기를 인입하여 연소생성물과 공기의 혼합물을 만들면서도 기체 연소생성물 및 상기 혼합물과 접촉하지 않는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연소생성물과 공기의 혼합물 일부를 상기 기체의 일부로서 격자수단을 통해 건조실 안으로 인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건조실; 및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건조실 내부에서 물질을 보유하는 격자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물질을 건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연소생성물과 공기의 혼합물을 만들기 위해 송풍기를 이용해 건조실 외부로부터 공기를 고압으로 기체 연소생성물에 인입하는 단계;⒝ 상기 연소생성물과 공기의 혼합물 일부를 격자수단을 통해 건조실 안으로 인입하는 단계; 및⒞ 상기 송풍기를 연소생성물 및 혼합물에 접촉하지 않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건조실;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건조실 내부에서 물질을 보유하는 격자수단; 및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건조실 안으로 기체를 유입시키는 기체수단;을 포함하는 물질 건조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기체수단은, ⑴ 연소생성물 소스 및 격자수단과 통하는 관, ⑵ 연소생성물 소스와 격자수단 사이에서 상기 관에 연결되어 기체 연소생성물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경로를 제공하는 인입수단, 및 ⑶ 상기 인입수단과 격자수단 사이에서 상기 관에 연결된 송풍기를 포함하여; ⒜ 상기 인입수단으로부터 부분적 부압으로 공기를 기체 연소생성물에 끌어들여, 공기와 연소생성물의 혼합물을 형성하며, ⒝ 공기와 연소생성물의 혼합물을 상기 기체의 일부로서 차례대로 상기 관과 격자를 통해 건조실 안으로 부압에 의해 유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건조실; 및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건조실 내부에서 물질을 보유하는 격자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물질을 건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송풍기에 의한 부분적 부압을 이용해 건조실 외부에서 기체 연소생성물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단계;⒝ 연소생성물이 송풍기에 도달하기 전에 공기와 연소생성물의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공기와 연소생성물의 혼합물을 정압을 이용해 격자수단과 건조실 안으로 유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건조실;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건조실 내부에서 물질을 보유하는 격자수단; 및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건조실 안으로 기체를 유입시키는 기체수단;을 포함하는 물질 건조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상기 기체와는 별도의 2상 유체를 소정 범위의 온도로 격자수단에 통과시키는 온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건조실; 및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건조실 내부에서 물질을 보유하는 격자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물질을 건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격자수단을 통해 건조실 안으로 기체를 유입하는 단계; 및⒝ 상기 기체와는 별도의 2상 유체를 소정범위의 온도로 격자수단에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건조실;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건조실 내부에서 물질을 보유하는 격자수단; 및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건조실 안으로 기체를 유입시키는 기체수단;을 포함하는 물질 건조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상기 기체와는 다른 유체를 기체와는 다른 공지의 온도로 격자수단을 통해 밀폐시스템에 순환시키는 온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건조실; 및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건조실 내부에서 물질을 보유하는격자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물질을 건조하는 방법에 있어서:격자수단을 통해 건조실에 기체를 보내는 단계;상기 기체와는 다른 공지의 온도를 갖고 상기 기체와는 다른 유체를 격자수단에 통과시키는 단계;상기 유체가 격자수단을 통과한 뒤, 이 유체를 밀폐시스템을 통해 격자수단에 되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건조실;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건조실 내부에서 물질을 보유하는 격자수단; 및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건조실 안으로 기체를 유입시키는 기체수단;을 포함하는 물질 건조 시스템에 있어서:격자수단을 통해 건조실로 유입된 상기 기체는 기체 연소생성물을 포함하고;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상기 기체와는 별도의 유체를 이 기체와는 다른 소정 범위의 온도로 격자수단에 통과시키는 온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건조실; 및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건조실 내부에서 물질을 보유하는 격자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물질을 건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격자수단을 통해 건조실 안으로 기체 연소생성물을 유입하는 단계; 및⒝ 상기 기체와는 다른 유체를 기체와는 다른 소정범위의 온도로 격자수단에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건조실;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건조실 내부에서 물질을 보유하는 격자수단; 및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건조실 안으로 기체를 유입시키는 기체수단;을 포함하는 물질 건조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격자수단은 상기 기체가 건조실로 들어가기에 앞서 통과하는 통로를 하나 이상 가지며, 상기 통로는 스틸로 구성되고 그 일부는 건조실의 내부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건조실; 및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건조실 내부에서 물질을 보유하는 격자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물질을 건조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격자수단은 상기 기체가 건조실로 들어가기에 앞서 통과하는 통로를 하나 이상 가지며, 상기 통로는 스틸로 구성되고 그 일부는 건조실의 내부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건조실;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건조실 내부에서 물질을 보유하는 격자수단;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건조실 안으로 기체를 유입시키는 기체수단; 및 상기 건조실에 결합되어 건조실의 열을 2상 유체로 전달하는 보일러수단;을 포함하는 물질 건조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보일러수단과 격자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기체와는 별도의 2상 유체를 보일러수단과 격자수단 사이로 통과시키는 온도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시스템.
- 건조실; 및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건조실 내부에서 물질을 보유하는 격자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물질을 건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체를 격자수단을 통해 건조실 안으로 보내는 단계; 및⒝ 상기 기체와는 별도의 2상 유체를 격자수단에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건조실;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건조실 내부에서 물질을 보유하는 격자수단; 및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건조실 안으로 기체를 유입시키는 기체수단;을 포함하는 물질 건조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격자수단이 제1 격자수단으로서 제1 윗면을 형성하는 외에,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건조실 내부에 배치되어 제2 윗면을 형성하는 제2 격자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윗면은 제1 윗면 밑에 위치하고 제1 격자수단 밑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건조실; 및 구멍이 관통되어 있는 제1, 제2 격자수단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격자수단들은 각각 제1 윗면과 제2 윗면을 형성하며, 제2 윗면은 제1 윗면과 제1 격자수단 밑에 있는 시스템에서 물질을 건조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제1 격자수단을 통해 건조실 안으로 기체를 보내는 단계;물질을 제1 윗면에 놓는 단계;제1 격자수단을 통해 물질을 낙하시키는 단계;제2 윗면에 물질을 놓는 단계;제2 격자수단을 통해 물질을 낙하시키는 단계; 및상기 물질을 제2 격자수단 밑의 바닥수단에 놓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건조실;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건조실 내부에서 물질을 보유하는 격자수단; 및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건조실 안으로 기체를 유입시키는 기체수단;을 포함하는 물질 건조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격자수단이 제1 격자수단이고 상기 건조실에 부착된 다수의 기다란 제1 아암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아암들의 윗면은 제1 윗면을 형성하고, 상기 격자수단이 구멍이 관통되어 건조실 내부에 위치하는 제2 격자수단을 더 포함하며, 이런 제2 격자수단은 상기 제1 아암에 평행한 다수의 기다란 제2 아암들을 포함하고, 제2 아암의 윗면은 제2 윗면을 형성하며, 제2 윗면은 제1 윗면 밑에 있고, 상기 제1 아암들은 제2 아암들에 평행하되 서로 엇갈리게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건조실; 및 구멍이 관통되어 있는 제1, 제2 격자수단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격자수단은 상기 건조실 내부에 배치되며, 제1, 제2 격자수단 각각은 건조실에부착된 다수의 기다란 제1, 제2 아암들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1 아암은 상기 입구 반대쪽으로 뻗어나가며, 상기 제2 아암들은 제1 아암에 평행하게 놓이고, 제1, 제2 아암들의 윗면은 각각 제1, 제2 윗면들을 형성하되, 제2 윗면은 제1 윗면 밑에 위치하고, 제1 아암들이 제2 아암들에 평행하되 엇갈리게 배치되는 시스템에서 물질을 건조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제1 격자수단을 통해 건조실 안으로 기체를 보내는 단계;제1 아암을 통해 상기 물질을 낙하시키는 단계;제2 윗면에 물질을 놓는 단계;제2 아암을 통해 물질을 낙하시키는 단계; 및상기 물질을 제2 격자수단 밑의 바닥수단에 놓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건조실;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건조실 내부에서 물질을 보유하는 격자수단; 및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격자수단을 통해 건조실 안으로 기체를 유입시키는 기체수단;을 포함하는 물질 건조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격자수단에 결합되고 기체수단, 상기 기체 및 건조실내의 기체와는 분리되어 격자수단의 온도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건조실; 및 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건조실 내부에서 물질을 보유하는격자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물질을 건조하는 방법에 있어서:격자수단을 통해 건조실 안으로 기체를 보내는 단계; 및상기 기체 및 건조실 내부의 온도와는 독립적으로 격자수단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39105202P | 2002-06-24 | 2002-06-24 | |
US60/391,052 | 2002-06-24 | ||
PCT/US2003/018701 WO2004001289A2 (en) | 2002-06-24 | 2003-06-12 | Temperature-controlled incinerator dryer grat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13147A true KR20050013147A (ko) | 2005-02-02 |
Family
ID=30000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7020725A KR20050013147A (ko) | 2002-06-24 | 2003-06-12 | 온도조절 소각로 건조격자 |
Country Status (12)
Country | Link |
---|---|
EP (1) | EP1540251A2 (ko) |
JP (1) | JP2005530981A (ko) |
KR (1) | KR20050013147A (ko) |
CN (1) | CN1477331A (ko) |
AR (1) | AR040464A1 (ko) |
AU (1) | AU2003243555A1 (ko) |
BR (1) | BR0312044A (ko) |
CA (1) | CA2490433A1 (ko) |
EA (1) | EA200500078A1 (ko) |
IL (1) | IL165806A0 (ko) |
MX (1) | MXPA04012818A (ko) |
WO (1) | WO2004001289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1101390A1 (de) * | 2011-05-13 | 2012-11-15 | Clyde Bergemann Drycon Gmbh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Fördereinrichtung für ein Abbrandprodukt |
CN106398494A (zh) * | 2016-08-31 | 2017-02-15 | 江苏东方电力锅炉配件有限公司 | 锅炉用链条式炉排 |
CN106380916A (zh) * | 2016-08-31 | 2017-02-08 | 江苏东方电力锅炉配件有限公司 | 锅炉用固定式炉排 |
CN106398350A (zh) * | 2016-08-31 | 2017-02-15 | 江苏东方电力锅炉配件有限公司 | 锅炉用往复式炉排 |
CN106381030A (zh) * | 2016-08-31 | 2017-02-08 | 江苏东方电力锅炉配件有限公司 | 锅炉用移动式炉排 |
CN106380999A (zh) * | 2016-08-31 | 2017-02-08 | 江苏东方电力锅炉配件有限公司 | 锅炉用倾斜往复式炉排 |
CN106318050A (zh) * | 2016-08-31 | 2017-01-11 | 江苏东方电力锅炉配件有限公司 | 锅炉用下饲式炉排 |
CN106381015A (zh) * | 2016-08-31 | 2017-02-08 | 江苏东方电力锅炉配件有限公司 | 锅炉用水平炉排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010215A (en) * | 1959-06-29 | 1961-11-28 | Fuller Co | Gas-solids heat exchanger |
US3016849A (en) * | 1959-08-18 | 1962-01-16 | Fuller Co | Incinerator for waste material |
US3570422A (en) * | 1969-11-10 | 1971-03-16 | John L Winther | Incinerator |
US5209169A (en) * | 1982-03-29 | 1993-05-11 | Basic J N Sen | Incinerator improvements |
US4434725A (en) * | 1982-02-16 | 1984-03-06 | Samuel Foresto | Mass burning self-cleaning incinerator |
JPS59180213A (ja) * | 1983-03-30 | 1984-10-13 | Takuma Co Ltd | 階段式スト−カ |
DE3330636C1 (de) * | 1983-08-24 | 1985-01-10 | Martin GmbH für Umwelt- und Energietechnik, 8000 München | Rostbelag fuer mechanisch bewegte stufenfoermige Feuerungsroste von Grossfeuerungen |
DE3913885A1 (de) * | 1989-04-27 | 1990-10-31 | Omnical Gmbh | Kesselfeuerung zum verfeuern feuchter brennstoffe |
US5016364A (en) * | 1990-04-23 | 1991-05-21 | Cochrane Russell D | Shoe dryer |
DE59101576D1 (de) * | 1991-02-07 | 1994-06-09 | Martin Umwelt & Energietech | Verfahren zur Verbrennungsluftzuführung und Feuerungsanlage. |
US5235921A (en) * | 1991-11-08 | 1993-08-17 | Dunham Environmental Services, Inc. | Combustion system having a movable hearth |
DE59405777D1 (de) * | 1993-10-21 | 1998-05-28 | Asea Brown Boveri | Rost für eine Feuerungsanlage |
DE4344906C2 (de) * | 1993-12-29 | 1997-04-24 | Martin Umwelt & Energietech | Verfahren zum Regeln einzelner oder sämtlicher die Verbrennung auf einem Feuerungsrost beeinflussender Faktoren |
DE4400992C1 (de) * | 1994-01-14 | 1995-05-11 | Noell Abfall & Energietech | Roststab und Rost mit Kühleinrichtung |
EP0815396B1 (de) * | 1995-03-23 | 1999-09-15 | KOCH, Theodor | Verbrennungsrost und verfahren zum optimieren des betriebes eines verbrennungsrostes |
JP3830164B2 (ja) * | 1995-08-24 | 2006-10-04 | エフ エル スミス アンド コムパニー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 粒状材料床の処理方法及び装置 |
DE19622424C2 (de) * | 1996-06-04 | 1998-10-29 | Martin Umwelt & Energietech | Rostelement und Rost mit Flüssigkeitskühlung |
DE19650742C1 (de) * | 1996-12-06 | 1998-02-19 | Metallgesellschaft Ag | Mit Wasser gekühlter Verbrennungsrost |
US5957064A (en) * | 1997-11-28 | 1999-09-28 | Barry; Louis T. |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multiple hearth furnace |
US6220190B1 (en) * | 1999-01-15 | 2001-04-24 | George David Dumbaugh | Water-cooled oscillating grate system |
DE19929614C2 (de) * | 1999-06-28 | 2001-04-26 | Martin Umwelt & Energietech | Feuerungsanlage mit flüssigkeitsgekühlten Rostelementen |
US6405661B1 (en) * | 2001-03-22 | 2002-06-18 | New York State Electric & Gas Corporation | Combustion enhancing air foil |
-
2003
- 2003-06-12 JP JP2004515791A patent/JP2005530981A/ja active Pending
- 2003-06-12 EA EA200500078A patent/EA200500078A1/ru unknown
- 2003-06-12 BR BRPI0312044-9A patent/BR0312044A/pt unknown
- 2003-06-12 CA CA002490433A patent/CA249043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3-06-12 MX MXPA04012818A patent/MXPA04012818A/es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3-06-12 KR KR10-2004-7020725A patent/KR2005001314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3-06-12 AU AU2003243555A patent/AU200324355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3-06-12 EP EP03761064A patent/EP1540251A2/en not_active Withdrawn
- 2003-06-12 WO PCT/US2003/018701 patent/WO2004001289A2/en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03-06-23 AR AR20030102236A patent/AR040464A1/es unknown
- 2003-06-24 CN CNA031410995A patent/CN1477331A/zh active Pending
-
2004
- 2004-12-16 IL IL16580604A patent/IL165806A0/xx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R040464A1 (es) | 2005-04-06 |
EP1540251A2 (en) | 2005-06-15 |
CN1477331A (zh) | 2004-02-25 |
WO2004001289A3 (en) | 2005-02-17 |
WO2004001289A2 (en) | 2003-12-31 |
MXPA04012818A (es) | 2005-03-31 |
BR0312044A (pt) | 2007-05-22 |
JP2005530981A (ja) | 2005-10-13 |
WO2004001289A8 (en) | 2005-05-12 |
CA2490433A1 (en) | 2003-12-31 |
AU2003243555A1 (en) | 2004-01-06 |
IL165806A0 (en) | 2006-01-15 |
EA200500078A1 (ru) | 2006-04-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438705A (en) | Incinerator with two reburn stages, and, optionally, heat recovery | |
KR100564684B1 (ko) | 폐기물 소각용 수직형 쓰레기 소각로 및 그 제어 방법 | |
US4516510A (en) | Incinerator with two reburn stages and, optionally, heat recovery | |
KR20050013147A (ko) | 온도조절 소각로 건조격자 | |
US20050183642A1 (en) | Temperature-controlled incinerator dryer grates | |
JP2002364836A (ja) | 焼却炉及び焼却炉用熱交換タンクとエゼクター | |
JP2001108220A (ja) | 廃棄物焼却炉 | |
JP2015209992A (ja) | 廃棄物焼却処理装置及び廃棄物焼却処理方法 | |
KR0153406B1 (ko) | 폐기물 소각 방법 및 장치 | |
JP2005315539A (ja) | 焼却炉 | |
KR200184761Y1 (ko) | 폐기물 소각장치 | |
JP2006002947A (ja) | バーナー装置 | |
KR100303382B1 (ko) | 복합연소 병류형 열분해 소각로 | |
CA1319049C (en) | Debris burner | |
JP2024066090A (ja) | 容積可変型燃焼設備 | |
JP2003322320A (ja) | 廃棄物焼却炉 | |
NZ213735A (en) | Combustion chamber for burning bulk refuse at predetermined heat output | |
JPH0828848A (ja) | ゴミ焼却炉 | |
JPH0225619A (ja) | 熱乱流式燃焼装置 | |
JPH04278112A (ja) | 焼却システムの改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4122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