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09151A - 디씨-디씨 컨버터 컨트롤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디씨-디씨 컨버터 컨트롤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9151A
KR20050009151A KR1020040053264A KR20040053264A KR20050009151A KR 20050009151 A KR20050009151 A KR 20050009151A KR 1020040053264 A KR1020040053264 A KR 1020040053264A KR 20040053264 A KR20040053264 A KR 20040053264A KR 20050009151 A KR20050009151 A KR 20050009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voltage
converter control
power supply
outp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3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와케히로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9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915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2Buck-boost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16Control circuits providing compensation of output voltage deviations using feedforward of disturbance parameters
    • H02M1/0022Control circuits providing compensation of output voltage deviations using feedforward of disturbance parameters the disturbance parameters being input voltage fluctu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부스팅/디부스팅 자동 전환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구성하는 DC-DC 컨버터 컨트롤 회로에 전력 공급 전압을 감시하기 위한 전력 공급 검출 회로가 제공되어 DC-DC 컨버터 컨트롤 회로의 동작이 부스팅 동작인지 디부스팅 동작인지를 감시되는 전력 공급 전압 및 원하는 출력 전압값에 기초하여 검출한다. DC-DC 컨버터 컨트롤 회로의 동작이 전력 공급 전압의 상승시 디부스팅 동작으로 검출되면, 제어는 전력 공급 검출 회로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 활성화 펄스를 출력하지 않도록 수행된다.

Description

디씨-디씨 컨버터 컨트롤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DC-DC CONVERTER CONTROL CIRCUIT}
본 발명은 통상 저 전압으로 동작 가능하고 또한 자기 바이어스(self-bias) 전압으로서 이용되는 출력 전압을 출력하는 PWM(pulse width modulated)형의 DC-DC컨버터 컨트롤 회로를 포함하는 집적된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적으로 부스팅(boosting) 동작과 디부스팅(deboosting) 동작 간을 전환하는 기능을 갖는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자동적으로 부스팅 동작과 디부스팅 동작 간을 전환하는 기능을 갖는 종래의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회로도를 도시한다.
부스팅/디부스팅 자동 전환 기능은 입력 전압값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부스팅 동작과 디부스팅 동작 간을 전환하여 원하는 출력 전압을 얻는 기능이다.
이하, 이 회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DC-DC 컨버터 컨트롤 회로는, 블리더(bleeder) 저항기 회로(206), 기준 전압 회로(201), 오차 증폭기(204), 오차 증폭기(204)의 출력 전압을 시프트하기 위한 회로(205), 삼각파 발진기(202), PWM 비교기 회로들(207 및 208), 활성화 발진기(activation oscillator)(203), 전환 스위치들(209 및 210), 및 출력 버퍼 회로들(211 및 212)을 포함하고 있다.
블리더 저항기 회로(206)는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압(VOUT)을 저항비로 분할함으로써 얻어지는 전압을 출력한다. 기준 전압 회로(201)는, 예를 들면 1V의 일정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기준 전압원이다.
오차 증폭기(204)는, 기준 전압 회로(201)의 전압과 블리더 저항기의 저항비 분할을 통해 얻어진 전압 간의 전위차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전압을 출력한다.
오차 증폭기 출력 전압 시프팅 회로(205)는 오차 증폭기(204)의 출력 전압을 시프트함으로써 얻어지는 전압을 출력한다. 이 시프트 폭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삼각파 발진기(202)의 삼각파 신호의 크기에 대한 전압 시프팅을 포함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PWM 비교기 회로(207)는 삼각파 발진기(202)의 출력을 오차 증폭기(204)의 출력과 비교함으로써 PWM 컨트롤 신호(221)를 출력한다.
PWM 비교기 회로(208)는 삼각파 발진기(202)의 출력을 오차 증폭기 출력 전압 시프팅 회로(205)와 비교함으로써 PWM 컨트롤 신호(222)를 출력한다.
활성화 발진기(203)는, 예를 들면, 1V의 낮은 전력 공급 전압으로 동작할 수 있는 발진기로, 활성화 펄스(220)를 출력한다.
전환 스위치(209)는 PWM 컨트롤 신호(221)와 GND 전위 간을 전환하여 P-채널 MOSFET(213)를 구동시키는데 이용되는 구동 신호(223)를 출력 버퍼 회로(211)를 통해 출력한다.
전환 스위치(210)는 PWM 컨트롤 신호(222)와 활성화 펄스(220) 간을 전환하여 N-채널 MOSFET(216)를 구동시키는데 이용되는 구동 신호(224)를 출력 버퍼 회로(212)를 통해 출력한다.
전환 스위치들(209 및 210)은,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키는데 충분한 예를 들면 2V 이상의 전압을 PWM 컨트롤 신호(221 및 222)가 가지면, 전환 동작을 수행하여 각각 PWM 제어 신호(221 및 222)를 출력하기 위한 회로이다.
PWM 컨트롤 신호(221 및 222)가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키기에 충분한 전압에 도달하지 않는 전압을 가지면, 오차 증폭기(204), 오차 증폭기 출력 전압 시프팅 회로(205), 삼각파 발진기(202), 및 PWM 비교기 회로(207 및 208)와 같은 회로들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없다. 그 결과, 필수적으로 얻어져야하는 PWM 신호를 얻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전환 스위치들(209 및 210)은 PWM 컨트롤 신호(221 및 222)를 GND 전위와 활성화 펄스(220)로 전환하여 각각 GND 전위와 활성화 펄스(220)를 출력한다.
부스팅/디부스팅 자동 전환 스위칭 레귤레이터 회로는, DC-DC 컨버터 컨트롤 회로, P-채널 MOSFET(213), 쵸퍼 코일(214), N-채널 MOSFET(216),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들(215 및 217), 및 캐패시터(218)를 포함하므로, 부스팅/디부스팅 자동 전환 동작이 가능하다.
다수의 채널 출력을 갖는 DC-DC 컨버터 컨트롤 회로를 이용하여 저 전압 구동이 실현될 때에, 전술한 바와 같은 회로 구성을 채용하고,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압(VOUT) 이상이 자기-바이어스에 이용되거나, 또는 자기-바이어스에도 이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도 4a 및 도 4b는 종래의 DC-DC 컨버터 컨트롤 회로의 동작 시퀀스를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4a는 부스팅 동작시의 DC-DC 컨버터 컨트롤 회로의 상승 시퀀스이다. 부스팅 동작은 스위칭 레귤레이터 회로의 전력 공급 전압(VDD)이 원하는 출력 전압 이하인 경우의 동작이다.
전력 공급 전압이 인가된 후에 출력 전압(VOUT)이 낮으면, 전환 스위치들(209 및 210)은 활성화 측으로 전환하도록 됨으로써 GND 전위와 활성화 펄스를 각각 P-채널 MOSFET 드라이브 단자(이후 간단히 "PDRV 단자"라고 함)(223)와 N-채널 MOSFET 드라이브 단자(이후 간단히 "NDRV 단자"라고 함)(224)로 출력한다. 이 때,스위칭 레귤레이터 회로는 출력 전압(VOUT)을 상승시키는 활성화 펄스에 따라 부스팅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출력 전압(VOUT)이 안정한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전압이 되면, 전환 스위치들은 각각 PWM 컨트롤 신호들을 출력하도록 전환 동작을 수행하게 되어, 동작이 정상의 PWM 동작이 된다.
도 4b는 디부스팅 동작시의 DC-DC 컨버터 컨트롤 회로의 상승 시퀀스를 도시한다. 디부스팅 동작은 스위칭 레귤레이터 회로의 전력 공급 전압(VDD)이 원하는 출력 전압 이상인 경우의 동작이다.
부스팅 동작에서와 같이, 전력 공급 전압이 인가된 후에 출력 전압(VOUT)이 낮으면, 전환 스위치들(209 및 210)은 활성화 측으로 전환하도록 됨으로써 GND 전위와 활성화 펄스를 각각 PDRV 단자와 NDRV 단자로 출력한다. 이 때, 스위칭 레귤레이터 회로는 출력 전압(VOUT)을 상승시키는 활성화 펄스에 따라 부스팅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출력 전압(VOUT)이 안정한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전압이 되면, 전환 스위치들은 각각 PWM 컨트롤 신호들을 출력하도록 전환 동작을 수행하여, 동작이 정상의 PWM 동작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력 공급 전압의 상승시에, 부스팅 출력 신호는 출력 전압(VOUT)이 저 전압에서 안정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전압으로 상승함에 따라 활성화 펄스 신호에서 PWM 컨트롤 신호로 전환된다. 출력 전압(VOUT)에 대응하는 펄스 신호가 PWM 컨트롤 신호를 이용하여 출력되기 때문에, 출력 전압(VOUT)은 원하는 출력 전압에서 안정하게 된다(JP 2002-233138 A(도 11) 참조).
그러나, 활성화 펄스 신호는 고정된 파형을 갖는 펄스 신호이므로, 출력 전압(VOUT)에 대응하는 펄스 신호가 아니다. 따라서, 출력 전압은 부하에 따라 불안정하게 된다.
과부하의 경우에, 부스팅 동작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길어지거나, 또는 부스팅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한편, 경 부하의 경우에, 부스팅 동작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짧아지므로, PWM 컨트롤 신호를 출력하도록 전환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리플이 커지게 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예와 관련된 전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만들어졌으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 공급 전압의 상승시라도 안정하게 동작할 수 있는 부스팅/디부스팅 자동 전환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 공급 전압을 감시하기 위한 전력 공급 검출 회로가 부스팅/디부스팅 자동 전환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구성하는 DC-DC 컨버터 컨트롤 회로에 제공된다. 이 전력 공급 전압 검출 회로는, DC-DC 컨버터 컨트롤 회로의 동작이 부스팅 동작인지 디부스팅 동작인지를 감시되는 전력 공급 전압 및 원하는 출력 전압값에 기초하여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그 다음, DC-DC 컨버터 컨트롤 회로의 전력 공급 전압의 상승 시퀀스는 전력 공급 검출 회로의 출력 신호에 따라 제어된다.
본 발명의 DC-DC 컨버터 컨트롤 회로에서는, 전력 공급의 ON시 전력 공급 전압이 원하는 출력 전압 이상이면, 활성화 펄스에 기초하여 부스팅 동작이 수행되지 않고, PWM 컨트롤 출력의 안정한 동작 영역에 도달하도록 출력 전압이 상승될 수있다. 따라서, 출력 전압은 스위칭 레귤레이터 출력에 부여되는 부하에 상관없이 명확하게 상승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회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동작 시퀀스를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
도 3은 종래예에 의한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일부 블록도인, 회로도,
도 4a 및 도 4b는 종래예에 의한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동작 시퀀스를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기준 전압 회로 102 : 삼각파 발진기
103 : 활성화 발진기 104 : 오차 증폭기
106 : 블리더 저항기 회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회로도이다.
DC-DC 컨버터 컨트롤 회로는, 블리더 저항기 회로(106), 기준 전압 회로(101), 오차 증폭기(104), 오차 증폭기(104)의 출력 전압을 시프트하기 위한 회로(105), 삼각파 발진기(102), PWM 비교기들(107 및 108), 활성화 발진기(103), 전환 스위치들(109 및 110), 출력 버퍼 회로들(111 및 112), 및 전력 공급 검출 회로(125)를 포함한다. 전력 공급 검출 회로(125)는 전력 공급 전압(VDD)를 감시하여 이 전력 공급 전압(VDD)이 원하는 출력 전압보다 높은지 낮은지를 식별하기 위한 회로이다.
블리더 저항기 회로(106)는 출력 전압(VOUT)을 저항비로 분할함으로써 얻어지는 전압을 출력한다. 이 블리더 저항기 회로(106)는 DC-DC 컨버터 컨트롤 회로에 대해 내장형 또는 외장형일 수 있다. 기준 전압 회로(101)는, 예를 들면 1V의 일정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기준 전압원이다.
오차 증폭기(104)는 블리더 저항기 회로(106)에서의 저항비 분할을 통해 얻어진 전압과 기준 전압 회로(101) 간의 전위차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전압을 출력한다.
오차 증폭기 출력 전압 시프팅 회로(105)는 오차 증폭기(104)의 출력 전압을 시프팅함으로써 얻어지는 전압을 출력한다. 이 시프트 폭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삼각파 발진기(102)의 삼각파 신호의 크기에 대한 전압의 시프팅을 포함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PWM 비교기 회로(107)는 삼각파 발진기(102)의 출력을 오차 증폭기(104)의 출력과 비교함으로써 PWM 컨트롤 신호(121)를 출력한다.
PWM 비교기 회로(108)는 삼각파 발진기(102)의 출력을 오차 증폭기 전압 시프팅 회로(105)의 출력과 비교함으로써 PWM 컨트롤 신호(122)를 출력한다.
활성화 발진기(103)는, 예를 들면 1V의 낮은 전력 공급 전압으로 동작할 수 있는 발진기 회로로서, 활성활 펄스(120)를 출력한다.
전환 스위치(109)는 PWM 컨트롤 신호(121)와 GND 전위 간을 전환하여 P-채널 MOSFET(113)를 구동시키는데 이용되는 구동 신호(123)를 출력 버퍼 회로(111)를 통해 출력한다. 전환 스위치(110)는 PWM 컨트롤 신호(122)와 활성화 펄스(120) 간을 전환하여 N-채널 MOSFET(116)를 구동시키는데 이용되는 구동 신호(124)를 출력 버퍼 회로(112)를 통해 출력한다.
각 전환 스위치(109 및 110)는 전력 공급 검출 회로(125)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 제어된다. 전환 스위치(109 및 110)는, PWM 컨트롤 신호(121 및 122)가,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키는데 충분한, 예를 들면 2V 이상의 전압을 갖으면, 전환 동작을 수행하여 각각 PWM 컨트롤 신호(121 및 122)를 출력하기 위한 회로이다.
PWM 컨트롤 신호(121 및 122)가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키는데 충분한 전압에 도달하지 않는 전압을 가지면, 오차 증폭기(104), 오차 증폭기출력 전압 시프팅 회로(105), 삼각파 발진기(102) 및 PWM 비교기 회로(107 및 108)와 같은 회로들은 정상적으로 동작될 수 없다. 그 결과, 필수적으로 얻어져야 하는 PWM 신호들을 얻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전환 스위치들(109 및 110)은 PWM 컨트롤 신호들(121 및 122)을 GND 전위와 활성화 펄스(120)로 전환하여 각각 GND 전위와 활성화 펄스(120)를 출력한다.
부스팅/디부스팅 자동 전환 스위칭 레귤레이터 회로는, DC-DC 컨버터 컨트롤 회로, P-채널 MOSFET(113), 쵸퍼 코일(114), N-채널 MOSFET(116),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들(115 및 117), 및 캐패시터(118)를 포함하므로, 부스팅/디부스팅 자동 전환 동작이 가능하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동작 시퀀스를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2a는 부스팅 동작시의 DC-DC 컨버터 컨트롤 회로의 상승 시퀀스를 도시한다. 부스팅 동작은 스위칭 레귤레이터 회로의 전력 공급 전압(VDD)이 원하는 출력 전압 이하인 경우의 동작이다.
전력 공급 전압이 인가된 후에 출력 전압(VOUT)이 낮으면, 전환 스위치들(209 및 210)은 활성화 측으로 전환하도록 됨으로써 GND 전위와 활성화 펄스를 각각 P-채널 MOSFET 구동 단자(이후 간단히 "PDRV 단자"라고 함)(123)와 N-채널 MOSFET 구동 단자(이후 간단히 "NDRV 단자"라고 함)(124)로 출력한다. 이 때, 스위칭 레귤레이터 회로는 출력 전압(VOUT)을 상승시키는 활성화 펄스에 따라 부스팅 동작을 수행한다. 이 후, 출력 전압(VOUT)이 안정한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전압이되면, 전환 스위치들은 각각 PWM 제어 신호들을 출력하도록 전환 동작을 수행하게 되어, 동작이 정상의 PWM 동작이 된다.
도 2b는 디부스팅 동작시의 DC-DC 컨버터 컨트롤 회로의 상승 시퀀스를 도시한다. 디부스팅 동작은 스위칭 레귤레이터 회로의 전력 공급 전압(VDD)이 원하는 출력 전압 이상인 경우의 동작이다.
전력 공급 전압이 인가된 후에 출력 전압(VOUT)이 낮으면, 전환 스위치들(209 및 210)은 활성화 측으로 전환하도록 됨으로써 PDRV 단자로 GND 전위를 출력한다.
이 때, 전력 공급 전압(VDD)이 원하는 출력 전압 이상인 것으로 전력 공급 검출 회로(125)가 판정하면, 즉, 동작이 디부스팅 동작 상태이면, 전환 스위치(110)는 NDRV 단자로 활성화 펄스를 출력하지 않지만 GND 전위를 출력하도록 제어된다. 이와 같이 전환 스위치들(109 및 110)이 제어되면, 스위칭 레귤레이터 회로에서는, P-채널 MOSFET(113)가 ON으로 되고, N-채널 MOSFET(116)가 OFF로 된다. 그 결과, 출력 전압(VOUT)은 원하는 출력 전압까지 상승한다.
이 후, 출력 전압(VOUT)이 안정한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전압이 되면, 전환 스위치들은 각각 PWM 제어 신호들을 출력하도록 전환 동작을 수행하게 되어, 동작이 정상의 PWM 동작이 된다.
본 발명의 DC-DC 컨버터 컨트롤 회로에서는, 전력 공급의 ON시 전력 공급 전압이 원하는 출력 전압 이상이면, 활성화 펄스에 기초하여 부스팅 동작이 수행되지않고, PWM 컨트롤 출력의 안정한 동작 영역에 도달하도록 출력 전압이 상승될 수 있다. 따라서, 출력 전압은 스위칭 레귤레이터 출력에 부여되는 부하에 상관없이 명확하게 상승될 수 있다.

Claims (3)

  1. DC-DC 컨버터 컨트롤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DC-DC 컨버터 컨트롤 회로는,
    전력 공급 전압값에 따라 부스팅 동작과 디부스팅 동작 간을 전환하는 기능;
    상승 동작시 활성화 펄스를 출력하여 부스팅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 및
    전압 검출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DC-DC 컨버터 컨트롤 회로의 상승 동작은 상기 전압 검출 회로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DC-DC 컨버터 컨트롤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검출 회로는 상기 DC-DC 컨버터 컨트롤 회로에 공급되는 전력 공급 전압을 감시하여 DC-DC 컨버터 컨트롤 회로의 동작이 부스팅 동작인지 디부스팅 동작인지를 판정하는, DC-DC 컨버터 컨트롤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는 상기 DC-DC 컨버터 컨트롤 회로의 동작이 상승 동작시 디부스팅 동작인 것을 상기 전압 검출 회로가 판정하는 경우에 활성화 펄스를 출력하지 않도록 수행되는, DC-DC 컨버터 컨트롤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KR1020040053264A 2003-07-11 2004-07-09 디씨-디씨 컨버터 컨트롤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Ceased KR200500091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95466 2003-07-11
JPJP-P-2003-00195466 2003-07-11
JPJP-P-2004-00198544 2004-07-05
JP2004198544A JP4498037B2 (ja) 2003-07-11 2004-07-05 Dc−dcコンバータ制御回路を備えた半導体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9151A true KR20050009151A (ko) 2005-01-24

Family

ID=33566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3264A Ceased KR20050009151A (ko) 2003-07-11 2004-07-09 디씨-디씨 컨버터 컨트롤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92016B2 (ko)
JP (1) JP4498037B2 (ko)
KR (1) KR20050009151A (ko)
CN (1) CN100571000C (ko)
TW (1) TWI35063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610B1 (ko) * 2005-01-26 2009-04-08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스위칭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 및 스위칭 레귤레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61594C (zh) * 2005-07-12 2009-02-11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〇九研究所 直流电源稳压变换器
FR2889001A1 (fr) * 2005-07-22 2007-01-26 Atmel Nantes Sa Sa Dispositif de conversion d'une tension d'alimentation continue en une tension de sortie continue et circuit electronique correspondant
US7405551B2 (en) * 2006-05-08 2008-07-29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n apparatus to adjust duty cycle for voltage supply regulation
US7449966B2 (en) * 2006-05-09 2008-11-11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n apparatus to sense supply voltage
US7506184B2 (en) * 2006-05-09 2009-03-17 Intel Corporation Current detection for microelectronic devices using source-switched sensors
US7474544B2 (en) * 2006-06-19 2009-01-06 Global Mixed-Mode Technology Inc. Initial voltage establishing circuit for a switching voltage converter
JP2009278797A (ja) * 2008-05-15 2009-11-26 Panasonic Corp 昇圧コンバータ
US8143865B2 (en) * 2008-08-22 2012-03-27 Active-Semi, Inc. Average current mode controlled converter having a buck mode, a boost mode, and a partial four-switch mode
US7872460B2 (en) * 2008-08-25 2011-01-18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thod for detecting output short circuit in switching regulator
JP5381014B2 (ja) * 2008-10-29 2014-01-08 ミツミ電機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
US8067925B2 (en) * 2008-11-20 2011-11-29 Silergy Technology Hybrid power converter
EP2189870A1 (en) * 2008-11-25 2010-05-26 St Microelectronics S.A. A switch-mode voltage regulator
US7847634B2 (en) * 2009-01-22 2010-12-07 Analog Devices, Inc. Error amplifier structures
JP5798328B2 (ja) * 2011-02-01 2015-10-2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制御回路及び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TWI458263B (zh) * 2011-03-07 2014-10-21 C Media Electronics Inc 全差動電路的電壓振幅限制電路
US8773091B2 (en) * 2011-12-13 2014-07-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ead time modulation technique for the improvement of power conversion efficiency
US8570012B2 (en) * 2011-12-13 2013-10-2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iode for use in a switched mode power supply
CN104054248B (zh) * 2012-01-20 2017-10-13 飞思卡尔半导体公司 具有降压升压级联的dc‑dc转换器以及对其操作的方法
US9395738B2 (en) 2013-01-28 2016-07-19 Nvidia Corporation Current-parking switching regulator with a split inductor
US9800158B2 (en) 2013-01-30 2017-10-24 Nvidia Corporation Current-parking switching regulator downstream controller
US9804621B2 (en) 2013-02-05 2017-10-31 Nvidia Corporation Current-parking switching regulator downstream controller pre-driver
US9459635B2 (en) 2013-02-08 2016-10-04 Nvidia Corporation Current-parking switching regulator upstream controller
US9389617B2 (en) 2013-02-19 2016-07-12 Nvidia Corporation Pulsed current sensing
US9639102B2 (en) 2013-02-19 2017-05-02 Nvidia Corporation Predictive current sensing
CN104467427B (zh) 2014-11-13 2018-07-24 南京矽力杰半导体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四管Buck-Boost变换器的开关控制电路及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1023A (en) * 1977-09-07 1979-07-1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Up-and-down chopper circuit
JPS60215222A (ja) * 1984-04-11 1985-10-28 Fuji Photo Film Co Ltd 直流電源回路
DE3713540A1 (de) * 1987-04-22 1988-11-10 Siemens Ag Kombinierter sekundaerschalter
US4814685A (en) * 1987-12-04 1989-03-21 Pacesetter Infusion, Ltd. Inductive power converter for use with variable input and output voltages
US4964029A (en) * 1988-05-18 1990-10-16 Viteq Corporation AC to DC power converter with input current waveform control for buck-boost regulation of output
DE4209053A1 (de) * 1992-03-20 1993-09-23 Telefunken Microelectron Schaltreglersystem
JPH0767326A (ja) * 1993-08-26 1995-03-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源装置
US5422562A (en) * 1994-01-19 1995-06-06 Unitrode Corporation Switching regulator with improved Dynamic response
JP3198215B2 (ja) * 1994-06-17 2001-08-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およびその電力供給方法
US6037755A (en) * 1998-07-07 2000-03-14 Lucent Technologies Inc. Switching controller for a buck+boost converter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3116931B2 (ja) * 1998-12-16 2000-12-11 日本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KR100702721B1 (ko) * 1999-08-03 2007-04-03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Dc/dc 업/다운 컨버터와 이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및 휴대용 전자 기기
ATE484096T1 (de) * 2001-01-18 2010-10-15 Nxp Bv Gleichstrom-aufwärts-/abwärts-wandler
JP3742780B2 (ja) * 2002-05-09 2006-02-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
JP4360833B2 (ja) * 2002-05-28 2009-11-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610B1 (ko) * 2005-01-26 2009-04-08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스위칭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 및 스위칭 레귤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07080A1 (en) 2005-01-13
TWI350635B (en) 2011-10-11
CN1578084A (zh) 2005-02-09
US7292016B2 (en) 2007-11-06
JP4498037B2 (ja) 2010-07-07
JP2005051992A (ja) 2005-02-24
CN100571000C (zh) 2009-12-16
TW200509509A (en) 2005-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09151A (ko) 디씨-디씨 컨버터 컨트롤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KR100832827B1 (ko) 정전압 회로
JP4076376B2 (ja) 駆動装置
US7106031B2 (en) Electric power supply apparatus having input switching circuit
US7504807B2 (en) Switching regulator with voltage step up or pass in standby mode and with voltage step up/step down in normal operation mode
US9800157B2 (en) Switching regulator
JP2009207242A (ja) 電源装置
JP7577582B2 (ja) 降圧dc/dcコンバータならびにそのコントローラおよびその制御方法、電子機器
US8427804B2 (en) Power amplifier
JP6943650B2 (ja) ハイサイドトランジスタの駆動回路、それを用いたdc/dcコンバータの制御回路、dc/dcコンバータ
JP2019129614A (ja) 半導体装置、負荷駆動システムおよびインダクタ電流の検出方法
US10243549B2 (en) Drive circuit for power element
US12149164B2 (en) Control circuit and power supply circuit of DC/DC converter,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080246519A1 (en) Gate drive circuit
WO2015064206A1 (ja) 半導体装置
JP2021097541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10268221B2 (en) Power supply device and electronic control unit for lowering a minimum operating voltage and suppressing a consumed current to be low
JP7626673B2 (ja) 昇圧dc/dcコンバータの制御回路、電源回路、電子機器
JP7582887B2 (ja) 電流検出回路、同期整流型の降圧dc/dcコンバータおよびその制御回路
CN112952762B (zh) 短路确定设备
US11309705B2 (en) Semiconductor device
US7936216B2 (en) True current limiting
EP3721540A1 (en) Buck-boost power converter controller
JP2008271758A (ja) Dc−dcコンバータ
JP2002101647A (ja) 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11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07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9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9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