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05718A - 밸브 마개 및 밸브 - Google Patents

밸브 마개 및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5718A
KR20050005718A KR1020030081374A KR20030081374A KR20050005718A KR 20050005718 A KR20050005718 A KR 20050005718A KR 1020030081374 A KR1020030081374 A KR 1020030081374A KR 20030081374 A KR20030081374 A KR 20030081374A KR 20050005718 A KR20050005718 A KR 20050005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screwing
screwing member
valve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8835B1 (ko
Inventor
오노가츠지
Original Assignee
다이헤이요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헤이요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헤이요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5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5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8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883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treamlined valve member around which the fluid flows when the valve is ope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18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either side
    • F16K17/19Equalising valves predominantly for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48Attaching valve members to screw-spindles
    • F16K1/482Attaching valve members to screw-spindles with a collar on the spindle or a groove in the spindle, by which a fixing element is supported, the spindle reaching into the valv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50Preventing rotation of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ft Valve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Taps Or Cocks (AREA)

Abstract

반복사용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밸브 마개 및 밸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밸브 및 밸브 마개에 의하면, 밸브 마개의 나사결합 부재의 선단에 회전 헤드 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했으므로, 회전 헤드 부재를 유로의 소직경부에 밀착시킬 때에, 회전 헤드 부재와 소직경부 사이의 회전 슬라이딩에 의한 마모가 억제되어, 반복사용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밸브에서는, 공구가 끼워맞추어지는 공구 구멍과는 다른 위치에 연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공구로 밸브 마개를 조작하면서, 압축 유체를 릴리스 또는 차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밸브 마개 및 밸브{VALVE PLUG AND VALVE PROVIDED THEREWITH}
본 발명은, 압축 유체를 차지(charge) 및/또는 릴리스(release) 하기 위한 유로의 일단의 개구로부터 안쪽측을 향해서 비틀어 넣어지고, 유로의 안쪽부의 소직경부를 밀폐하는 밸브 마개 및 이 밸브 마개를 내측에 구비한 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밸브로서, 미국특허 공보 6,266,971호에 개시된 것은, 나사결합 부재의 선단에 테이퍼지는 형상으로 테이퍼부를 일체 형성하여 구비한 밸브 마개를, 통형상의 스템내의 유로에 비틀어 넣고, 그 유로의 안쪽부의 소직경부에 밸브 마개의 테이퍼부를 돌입시켜서 유로를 밀폐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 밸브 마개에는, 테이퍼부와 반대측의 단면에 공구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 공구 구멍의 안쪽면과, 테이퍼부 근처의 측면 사이를 연결하는 연통구멍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퍼부가 소직경부로부터 이격되었을 때에는, 연통구멍을 통해서 압축 유체가 밸브 마개를 통과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상술한 종래의 밸브 마개에서는, 테이퍼부가 유로의 소직경부에 맞닿고나서, 밸브 마개의 나사결합을 더욱 깊게하여 테이퍼부가 소직경부에 밀착할 때까지의 동안에, 테이퍼부가 소직경부에 세게 눌려지면서 슬라이딩 회전하므로, 그들 서로의 슬라이딩부분이 마모되어, 밸브 마개의 반복사용에 대한 신뢰성이 낮았다. 또, 종래의 밸브 마개에서는, 공구 구멍에 공구를 결합시킨 상태에서는, 연통구멍이 막혀버리므로, 밸브 마개를 공구로 나사결합 조작하면서, 소직경부로부터 압축 공기를 릴리스하는 작업을 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복사용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밸브 마개 및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밸브가 열린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밸브 마개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3은 밸브 마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밸브를 닫힌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회전 헤드부가 경사진 상태에서 밸브가 닫혀진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밸브에 공구를 부착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제 2 실시형태의 밸브 마개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8은 밸브 마개의 변형예의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밸브 마개의 변형예의 부분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나사결합 부재를 유로에 비틀어 넣어 가면 회전 헤드 부재의 선단부가 소직경부내에 돌입하여, 그 소직경부의 개구 가장자리에 맞닿는다. 그리고, 더욱이 나사결합 부재를 비틀어 넣으면 회전 헤드 부재가 소직경부의 개구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소직경부가 밀폐된다. 여기에서, 회전 헤드 부재는 나사결합 부재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회전 헤드 부재가 소직경부의 개구 가장자리에 맞닿고나서 더욱 눌려서 밀착할 때까지 동안, 회전 헤드 부재가 나사결합 부재에 대해 공전하여, 회전 헤드 부재와 소직경부 사이의 회전 슬라이딩에 의한 마모가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밸브 마개의 반복사용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나사결합 부재 및 회전 헤드 부재 사이에서, 지지축의 선단의 플랜지에 통부를 끼워맞추어서 그 통부의 선단을 내측으로 절곡함으로써, 나사결합 부재와 회전 헤드 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나사결합 부재의 공구 구멍에 걸어맞춘 공구를 조작해서, 회전 헤드 부재를 소직경부로부터 이격하면, 소직경부에서 배출된 압축 유체가 나사결합 부재의 연통로 구성부와 유로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연통로를 통하여 밸브 마개를 통과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공구로 밸브 마개를 조작하면서, 압축 유체를 릴리스 또는 차지할 수 있다. 또, 나사결합 부재의 공구 구멍에 걸어맞춘 공구를 조작해서, 회전 헤드 부재를 소직경부로부터 이격하면, 소직경부로부터 배출된 압축 유체가, 나사결합 부재의 단면중 공구 구멍과는 다른 위치로 개방된 연통로를 통하여 밸브 마개를 통과한다. 이것에 의해, 공구에서 밸브 마개를조작하면서, 압축 유체를 릴리스 또는 차지할 수 있다.
(실시예)
<제 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밸브(10)는, 스템(11)의 내측에 밸브 마개(30)를 나사결합 조립하여 이루어진다. 스템(11)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제의 통체로서, 도 1의 상하 방향으로 뻗어 있다. 그리고, 스템(11)의 하단면으로부터 돌출한 결합부(12)를 예를 들면 카 에어컨의 냉매관(13)에 연결하고, 스템(11)의 내측의 유로(14)가 카 에어컨의 냉매유로(도시 생략)에 연결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템(11)의 외면은 축방향에서 보아 원형으로 되어 있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템(11)의 외면중 축방향의 도중부분에는, O링 홈(2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O링 홈(25)에 O링(26)이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템(11)의 내측의 유로(14)는, 일단의 개방구(14A)로부터 냉매관(13)으로의 접속구(14B)를 향해서, 대직경 나사부(15)와 중직경 나사부(16)와 소직경부(17)를 한줄로 잇는 구조로 되어 있다. 대직경 나사부(15)에는, 스토퍼 링(53)이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 스토퍼 링(53)은, 중직경 나사부(16)내에 밸브 마개(30)를 나사결합한 후에 대직경 나사부(15)에 나사결합되고, 스토퍼 링(53)의 둘레방향의 대향된 2개소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한 걸어맞춤 클릭(53A, 53A)(도 3참조)에 의해 밸브 마개(30)를 빠짐방지한다. 또, 스토퍼 링(53)의 내측에는, 밸브 마개(30)를 나사결합 조작하기 위한 공구(54)(도 6참조)가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직경 나사부(16)와 소직경부(17) 사이는 단차면(18)으로 되어 있고, 소직경부(17)중 단차면(18)에서의 개구 가장자리(19)에는, 소직경부(17)의 안쪽측을 향해서 직경이 작아진 테이퍼면(20)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밸브 마개(30)는, 축형상의 나사결합 부재(31)의 일단에, 회전 헤드 부재(40)를 회전할 수 있게 연결해서 이루어진다. 나사결합 부재(31)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나사부(32)가 유로(14) 중직경 나사부(16)에 나사결합한다. 나사결합 부재(31)의 일단(도 2의 상단)에는, 예를 들면 6각형(도 3 참조)의 공구 구멍(33)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공구 구멍(33)에 공구(54)를 꽂아넣어서 나사결합 부재(31)를 회전시킴으로써, 유로(14)내에서 밸브 마개(30)를 직동시킬 수 있다.
나사결합 부재(31)의 외면에는, 수나사부(32)를 축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하여 평면형상의 연통로 구성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통로 구성부(34)와 유로(14)의 내면 사이에는, 압축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연통로(35)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결합 부재(31)중 공구 구멍(33)과 반대측의 단부의 중심으로부터는, 지지축(36)이 돌출해 있고, 그 지지축(36)의 선단으로부터 측방으로 플랜지(37)가 불거져 나와 있다. 또, 플랜지(37)의 단면(37A)의 중심으로부터는, 반구 형상의 맞닿음 보스(38)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회전 헤드 부재(40)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제로서, 회전 헤드 부재(40)의선단부(45)는, 소직경부(17)를 향해서 테이퍼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선단부(45)의 테이퍼링의 경사각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직경부(17)의 개구 가장자리(19)에서의 테이퍼면(20)의 경사각보다 예각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테이퍼면(20)의 안쪽측의 각부가 선단부(45)에서의 테이퍼면의 도중부분에 맞닿아서 눌려 찌부러져, 소직경부(17)의 개구 가장자리(19)와 회전 헤드 부재(40) 사이에 메탈 실링이 시행된다.
회전 헤드 부재(40)의 기단부로부터는, 나사결합 부재(31)를 향해서 통부(41)가 돌출해 있다. 통부(41)의 선단에는 얇은 두께부(42)가 구비되고, 통부(41)의 내측에 나사결합 부재(31)의 플랜지(37)를 헐겁게 끼운 상태에서, 그 얇은 두께부(42)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플랜지(37)의 이면(37B)에 얇은 두께부(42)가 걸려, 나사결합 부재(31)에 대해 회전 헤드 부재(4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회전 헤드 부재(40)중 통부(41)의 안쪽면(43)의 중심에는, 보스 수용부(44)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 수용부(44)는, 소위 유발형상을 이루고, 바닥을 향해서 서서히 직경이 작아져 있다. 그리고, 나사결합 부재(31)측의 맞닿음 보스(38)가 이 보스 수용부(44)에 수용되고, 보스 수용부(44)와 맞닿음 보스(38)의 맞닿음 부분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헤드 부재(40)가 나사결합 부재(31)에 대해 경동(傾動)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10)의 외측에는, 공구장착통(51)이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진다. 공구장착통(51)은, 일단에 바닥을 갖는 통형상을 이루고,그 바닥벽의 중심에 형성한 공구장착 구멍(52)에 공구(54)가 관통하고 있다. 공구(54)은, 공구장착통(51)의 외측으로 돌출한 일단측에 조작부(57)를 구비하는 동시에, 공구장착통(51)의 안쪽면으로부터 돌출한 타단측에 단면 6각형의 걸어맞춤부(56)를 구비한다. 또, 공구장착 구멍(52)의 도중부분에는 O링(55)이 수용되어서, 공구(54)에 밀착되어 있다. 더욱이, 공구장착통(51)의 둘레벽에는, 공구장착통(51)을 내외로 관통한 공급배출 유로(58)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밸브 마개(30) 및 밸브(10)의 구성은 이상이며, 이하, 밸브 마개(30) 및 밸브(10)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밸브(10)를 닫으려면, 밸브 마개(30)를 유로(14)에서의 소직경부(17)를 향해서 비틀어 넣어간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10)에서의 스템(11)의 개방구(14A)로부터 공구(54)를 삽입하고, 공구(54)의 선단의 걸어맞춤부(56)를 밸브 마개(30)의 공구 구멍(33)내에 끼워맞춘다. 이 때, 유로(14)에 유체를 흘리지 않아도 좋은 상황이면, 공구장착통(51)을 제외한 공구(54)단체로 사용해도 좋다.
밸브 마개(30)의 나사결합 부재(31)를 공구(54)로 나사결합 조작하여, 유로(14)의 안쪽측으로 추진해 가면, 나사결합 부재(31)의 선단에 구비한 회전 헤드 부재(40)의 선단부(45)가 소직경부(17)내에 돌입해서, 소직경부(17)의 개구 가장자리(19)에 맞닿는다(도 4 참조). 그리고, 더욱이 나사결합 부재(31)를 비틀어 넣으면 회전 헤드 부재(40)가 소직경부(17)의 개구 가장자리(19)에 밀착하고, 개구 가장자리(19)에서의 테이퍼면(20)의 일단의 각부가 회전 헤드 부재(40)에 눌려 찌부러져서 메탈 실링이 시행되어, 소직경부(17)가 밀폐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의 밸브 마개(30)에서는, 회전 헤드 부재(40)는 나사결합 부재(31)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회전 헤드 부재(40)가 소직경부(17)의 개구 가장자리(19)에 맞닿고나서 더욱 가압되어 밀착할 때까지의 동안, 회전 헤드 부재(40)가 나사결합 부재(31)에 대해 공전하여, 회전 헤드 부재(40)와 소직경부(17)의 개구 가장자리(19) 사이의 회전 슬라이딩에 의한 마모가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밸브 마개(30)의 반복사용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유로(14) 또는 밸브 마개(30)는, 가공상의 불균일성에 의해, 밸브 마개(30)에서의 회전 헤드 부재(40)와 유로(14)에서의 소직경부(17)와의 중심이 어긋나버리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5에 강조해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로(14)에서 중직경 나사부(16)에 대해 소직경부(17)의 중심이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회전 헤드 부재(40)의 선단부(45)가 소직경부(17)내에 돌입하여, 소직경부(17)의 개구 가장자리(19)에서의 둘레방향에 일부분이 맞닿는다. 그렇게 하면, 회전 헤드 부재(40)가 밸브 마개(30)에 대해 경동해서, 회전 헤드 부재(40)가 소직경부(17)의 개구 가장자리(19)의 전체 둘레에 밀착한 상태로 되고, 이 상태에서 나사결합 부재(31)에 의해 회전 헤드 부재(40)가 더욱 밀어 넣어져서 소직경부(17)가 밀폐된다(도 5 참조). 여기에서, 본 실시예의 밸브 마개(30)에서는, 맞닿음 보스(38)의 선단이 보스 수용부(44)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회전 헤드 부재(40)가 경동하는 지지점의 위치가 정해져, 회전 헤드 부재(40)가 안정된다.
그런데, 냉매관(13)에 압축 유체가 충전된 상태에서, 밸브(10)를 개방해서 냉매관(13)내의 압축 유체(냉매)를 소정의 탱크에 회수하는 경우는 이하와 같다. 즉, 밸브(10)에서의 스템(11)의 외측에 공구장착통(51)을 끼워맞추고, 그 공구장착통(51)에 관통한 공구(54)의 걸어맞춤부(56)를 밸브 마개(30)의 공구 구멍(33)에 끼워맞춘다. 그리고, 공구(54)를 회전 조작하여, 밸브 마개(30)을 후퇴시켜서, 회전 헤드 부재(40)를 소직경부(17)로부터 이격한다. 그렇게 하면, 이 때 소직경부(17)로부터 배출된 압축 유체가 나사결합 부재(31)의 연통로 구성부(34)와 유로(14)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연통로(35)를 통해서 밸브 마개(30)를 통과하여, 공구장착통(51)내에 흐른다. 여기에서, 공구장착통(51)과 밸브(10)의 외면과의 간극은, O링(26)에 의해 밀폐되고, 공구장착통(51)의 공구장착 구멍(52)과 공구(54)의 간극은 O링(55)에 의해 밀폐되어 있으므로, 이들 간극으로부터 압축 유체가 누출되는 것이 규제되어, 공구장착통(51)에 흘러 들어간 압축 유체는, 공구장착통(51)의 공급배출 유로(58)를 통해서 소정의 탱크에 회수된다. 또, 이 때 유로(14)의 개방구(14A)측에는 스토퍼 링(53)이 나사결합되어 있으므로, 나사결합 부재(31)를 지나치게 돌려도 밸브 마개(30)가 유로(14)로부터 이탈하는 일은 없다.
이상, 정리하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밸브 마개(30)의 나사결합 부재(31)의 선단에 회전 헤드 부재(40)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했으므로, 회전 헤드 부재(40)를 유로(14)의 소직경부(17)에 밀착시킬 때에, 회전 헤드 부재(40)와 소직경부(17) 사이의 회전 슬라이딩에 의한 마모가 억제되어, 반복사용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밸브(10)에서는, 공구(54)가 끼워맞추어지는 공구 구멍(33)은 다른 위치에 연통로(3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공구(54)로 밸브 마개(30)를 조작하면서, 압축 유체를 릴리스 또는 차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본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밸브 마개(30)에서, 나사결합 부재(31)에 구비한 플랜지(37)의 단면(37A)과, 회전 헤드 부재(40)에 구비한 통부(41)의 안쪽면(43)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50)을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이외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부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밸브 마개(30)에서는, 회전 헤드 부재(40)은, 소직경부(17)로부터 이격되어 있을 때에는, 압축 탄성부재(50)에 의해 나사결합 부재(31)로부터 부상된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도 7 참조). 그리고, 나사결합 부재(31)를 유로(14)에 비틀어 넣어, 회전 헤드 부재(40)의 선단부(45)가 소직경부(17)의 개구 가장자리(19)에 맞닿으면, 압축 탄성부재(50)가 변형하여 회전 헤드 부재(40)가 용이하게 소직경부(17)에 대응한 위치에 경동한다. 더욱이 나사결합 부재(31)를 비틀어 넣으면, 회전 헤드 부재(40)가 나사결합 부재(31)에 의해 직접 밀려서, 소직경부(17)의 개구 가장자리(19)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 헤드 부재(40)와 나사결합 부재(31) 사이에 압축 탄성부재(50)를 설치함으로써, 회전 헤드 부재(40)를 소직경부(17)에 대응한 위치에 경동시킨 후에, 나사결합 부재(31)에 의해 직접 누르므로, 밸브 마개(30) 및 유로(14)의 형상의 불균일성을보다 확실하게 흡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이하에 설명하는 것과 같은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고, 더욱이, 하기 이외에도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해서 실시할 수 있다.
(1)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나사결합 부재(31)의 외면에 연통로 구성부(34)를 형성해서 유로(14)의 내면과의 사이에 연통로(35)을 구성하고 있었지만,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사결합 부재(31)중 회전 헤드 부재(40)와 반대측의 단면중 공구 구멍(33)을 피한 위치에서, 나사결합 부재(31)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로(39)를 형성하고, 이 연통로(39)가 유로(14)중 나사결합 부재(31)를 축방향으로 끼운 양측의 공간을 연통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2)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카 에어컨의 냉매관(13)에 부착되는 밸브(10)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본 발명의 밸브는 냉매관에 부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3)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나사결합 부재(31)측으로부터 지지축(36)을 돌출하고, 회전 헤드 부재(40)측에 통부(41)을 구비했는데,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것과는 반대로, 나사결합 부재(31)에 통부(41A)를 설치하고, 회전 헤드 부재(40)에 지지축(36A)을 설치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의 밸브 및 밸브 마개에 의하면, 밸브 마개의 나사결합 부재의 선단에 회전 헤드 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했으므로, 회전 헤드 부재를 유로의 소직경부에 밀착시킬 때에, 회전 헤드 부재와 소직경부 사이의 회전 슬라이딩에 의한 마모가 억제되어, 반복사용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밸브에서는, 공구가 끼워맞추어지는 공구 구멍과는 다른 위치에 연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공구로 밸브 마개를 조작하면서, 압축 유체를 릴리스 또는 차지할 수 있다.

Claims (25)

  1. 압축 유체를 차지 및/또는 릴리스 하기 위한 유로(14)의 일단의 개방구(14A)로부터 안쪽측을 향해서 비틀어 넣어져, 상기 유로(14)의 안쪽부를 죄어서 이루어지는 소직경부(17)를 밀폐하는 밸브 마개(30)로서,
    상기 유로(14) 중 상기 소직경부(17)로부터 상기 개방구(14A)측에 나사결합하는 나사결합 부재(31)와,
    상기 나사결합 부재(31)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서, 테이퍼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선단부(45)를 가지고, 그 선단부(45)가 상기 소직경부(17)에 돌입하여 그 소직경부(17)의 개구 가장자리(19)에 밀착가능한 회전 헤드 부재(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결합 부재(31) 및 상기 회전 헤드 부재(40) 중 일방으로부터 타방을 향해서 돌출 형성한 지지축(36)의 선단에 플랜지(37)를 설치하는 동시에, 타방으로부터 일방을 향해서 돌출 형성한 통부(41)의 내측에 상기 플랜지(37)를 수용하고 또한, 그 통부(41)의 선단을 내측으로 절곡하여, 상기 회전 헤드 부재(40)가 상기 나사결합 부재(31)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마개.
  3. 제 2 항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상기 통부(41)의 안쪽면(43)과 상기 플랜지(37)의 단면(37A) 중 어느 일방에, 반구 형상의 맞닿음 보스(38)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마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 보스(38)가 맞대지는 면에는, 그 맞닿음 보스(38)의 선단을 수용한 유발형상의 보스 수용부(44)가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마개.
  5. 제 2 항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상기 통부(41)의 안쪽면(43)과 상기 플랜지(37)의 단면(37A) 사이에 압축 탄성부재(5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마개.
  6. 제 3 항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상기 통부(41)의 안쪽면(43)과 상기 플랜지(37)의 단면(37A) 사이에 압축 탄성부재(5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마개.
  7. 제 4 항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상기 통부(41)의 안쪽면(43)과 상기 플랜지(37)의 단면(37A) 사이에 압축 탄성부재(5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마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결합 부재(31) 중 상기 회전 헤드 부재(40)와반대측의 단면에는, 상기 나사결합 부재(31)를 나사결합 조작하기 위한 공구 구멍(33)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결합 부재(31)의 외주면에는, 상기 유로(14)의 내면 사이에 압축 유체가 통과가능한 연통로(35)를 구성하기 위한 연통로 구성부(3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마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결합 부재(31) 중 상기 회전 헤드 부재(40)와 반대측의 단면에는, 상기 나사결합 부재(31)를 나사결합 조작하기 위한 공구 구멍(33)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결합 부재(31)의 외주면에는, 상기 유로(14)의 내면과의 사이에 압축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연통로(35)를 구성하기 위한 연통로 구성부(3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마개.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결합 부재(31) 중 상기 회전 헤드 부재(40)와 반대측의 단면에는, 상기 나사결합 부재(31)를 나사결합 조작하기 위한 공구 구멍(33)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결합 부재(31)의 외주면에는, 상기 유로(14)의 내면 사이에 압축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연통로(35)를 구성하기 위한 연통로 구성부(3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마개.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결합 부재(31) 중 상기 회전 헤드 부재(40)와 반대측의 단면에는, 상기 나사결합 부재(31)를 나사결합 조작하기 위한 공구 구멍(33)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결합 부재(31)의 외주면에는, 상기 유로(14)의 내면과의 사이에 압축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연통로(35)를 구성하기 위한 연통로 구성부(3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마개.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결합 부재(31) 중 상기 회전 헤드 부재(40)와 반대측의 단면에는, 상기 나사결합 부재(31)를 나사결합 조작하기 위한 공구 구멍(33)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결합 부재(31)의 외주면에는, 상기 유로(14)의 내면과의 사이에 압축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연통로(35)를 구성하기 위한 연통로 구성부(3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마개.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결합 부재(31) 중 상기 회전 헤드 부재(40)와 반대측의 단면에는, 상기 나사결합 부재(31)를 나사결합 조작하기 위한 공구 구멍(33)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결합 부재(31)의 외주면에는, 상기 유로(14)의 내면과의 사이에 압축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연통로(35)를 구성하기 위한 연통로 구성부(3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마개.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결합 부재(31) 중 상기 회전 헤드 부재(40)와 반대측의 단면에는, 상기 나사결합 부재(31)를 나사결합 조작하기 위한 공구 구멍(33)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결합 부재(31)의 외주면에는, 상기 유로(14)의 내면과의 사이에 압축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연통로(35)를 구성하기 위한 연통로 구성부(3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마개.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결합 부재(31) 중 상기 회전 헤드 부재(40)와 반대측의 단면에는, 상기 나사결합 부재(31)를 나사결합 조작하기 위한 공구 구멍(33)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나사결합 부재(31)의 단면중 상기 공구 구멍(33)을 피한 위치에, 상기 나사결합 부재(31)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로(39)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마개.
  16. 압축 유체를 차지 및/또는 릴리스 하기 위한 유로(14)를 내측에 구비한 스템(11)과, 상기 유로(14)의 일단의 개방구(14A)로부터 안쪽측을 향해서 비틀어 넣어지고, 상기 유로(14)의 안쪽부를 죄어서 이루어지는 소직경부(17)를 밀폐하는 밸브 마개(30)를 구비한 밸브(10)로서,
    상기 밸브 마개(30)에 설치되어서, 상기 유로(14) 중 상기 소직경부(17)보다 상기 개방구(14A)측에 나사결합하는 나사결합 부재(31)와,
    상기 밸브 마개(30)에 설치되고, 상기 나사결합 부재(31)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서, 테이퍼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선단부(45)를 가지고, 그 선단부(45)가 상기 소직경부(17)에 돌입하여 그 소직경부(17)의 개구 가장자리(19)에 밀착가능한 회전 헤드 부재(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결합 부재(31) 및 상기 회전 헤드 부재(40) 중 일방으로부터 타방을 향해서 돌출 형성한 지지축(36)의 선단에 플랜지(37)를 설치하는 동시에, 타방으로부터 일방을 향해서 돌출 형성한 통부(41)의 내측에 상기 플랜지(37)를 수용하고 또한, 그 통부(41)의 선단을 내측으로 절곡하여, 상기 회전 헤드 부재(40)가 상기 나사결합 부재(31)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18. 제 17 항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상기 통부(41)의 안쪽면(43)과 상기 플랜지(37)의 단면(37A) 중 어느 일방에, 반구 형상의 맞닿음 보스(38)를 돌출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 보스(38)가 맞대지는 면에는, 그 맞닿음 보스(38)의 선단을 수용한 유발 형상의 보스 수용부(44)가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20. 제 17 항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상기 통부(41)의 안쪽면(43)과 상기 플랜지(37)의 단면(37A) 사이에 압축 탄성부재(5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결합 부재(31) 중 상기 회전 헤드 부재(40)와 반대측의 단면에는, 상기 나사결합 부재(31)를 나사결합 조작하기 위한 공구 구멍(33)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결합 부재(31)의 외주면에는, 상기 유로(14)의 내면과의 사이에 압축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연통로(35)를 구성하기 위한 연통로 구성부(3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결합 부재(31) 중 상기 회전 헤드 부재(40)와 반대측의 단면에는, 상기 나사결합 부재(31)를 나사결합 조작하기 위한 공구 구멍(33)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나사결합 부재(31)의 단면중 상기 공구 구멍(33)을 피한 위치에, 상기 나사결합 부재(31)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로(39)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23.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11)의 외측에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는 일단에 바닥을 갖는 공구장착통(51)과,
    상기 공구장착통(51)과 상기 스템(11) 사이를 밀폐하는 제 1 실(26)과,
    상기 공구장착통(51)의 바닥벽을 관통하고, 일단에 상기 나사결합 부재(31)와의 걸어맞춤부(56)를 구비하는 동시에 타단에 조작부(57)를 구비한 공구(54)와,
    상기 공구장착통(51) 중 상기 공구(54)가 관통한 공구장착 구멍(52)과 상기 공구(54) 사이를 밀폐하는 제 2 실(55)과,
    상기 공구장착통(51)의 내외에 연통한 공급배출 유로(5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11)의 외측에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는 일단에 바닥을 갖는 공구장착통(51)과,
    상기 공구장착통(51)과 상기 스템(11) 사이를 밀폐하는 제 1 실(26)과,
    상기 공구장착통(51)의 바닥벽을 관통하고, 일단에 상기 나사결합 부재(31)와의 걸어맞춤부(56)를 구비하는 동시에 타단에 조작부(57)를 구비한 공구(54)와,
    상기 공구장착통(51) 중 상기 공구(54)가 관통한 공구장착 구멍(52)과 상기 공구(54) 사이를 밀폐하는 제 2 실(55)과,
    상기 공구장착통(51)의 내외에 연통한 공급배출 유로(5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11)의 외측에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는 일단에 바닥을 갖는 공구장착통(51)과,
    상기 공구장착통(51)과 상기 스템(11) 사이를 밀폐하는 제 1 실(26)과,
    상기 공구장착통(51)의 바닥벽을 관통하고, 일단에 상기 나사결합 부재(31)와의 걸어맞춤부(56)를 구비하는 동시에 타단에 조작부(57)를 구비한 공구(54)와,
    상기 공구장착통(51) 중 상기 공구(54)가 관통한 공구장착 구멍(52)과 상기 공구(54) 사이를 밀폐하는 제 2 실(55)과,
    상기 공구장착통(51)의 내외에 연통한 공급배출 유로(5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KR1020030081374A 2003-06-26 2003-11-18 밸브 마개 및 밸브 Expired - Fee Related KR1005588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82521A JP2005016630A (ja) 2003-06-26 2003-06-26 バルブ栓及びバルブ
JPJP-P-2003-00182521 2003-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5718A true KR20050005718A (ko) 2005-01-14
KR100558835B1 KR100558835B1 (ko) 2006-03-10

Family

ID=33411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374A Expired - Fee Related KR100558835B1 (ko) 2003-06-26 2003-11-18 밸브 마개 및 밸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46824B2 (ko)
EP (1) EP1491801B1 (ko)
JP (1) JP2005016630A (ko)
KR (1) KR100558835B1 (ko)
CN (1) CN1301381C (ko)
DE (1) DE602004008998T2 (ko)
TW (1) TWI23227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280Y1 (ko) * 2009-01-21 2010-01-13 김경호 보일러 압력용기용 안전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6630A (ja) * 2003-06-26 2005-01-20 Pacific Ind Co Ltd バルブ栓及びバルブ
DE202007004104U1 (de) * 2007-03-16 2007-05-24 Dorma Gmbh + Co. Kg Regulierventil
KR200446044Y1 (ko) * 2009-03-03 2009-09-21 정호영 비데 설치용 분기밸브 조립체
CN102022556A (zh) * 2010-11-03 2011-04-20 胡国强 双封内闭式顶针真空阀
US9506569B2 (en) * 2010-11-29 2016-11-29 Hayward Industries, Inc. Needle valve
US20120279236A1 (en) * 2011-05-06 2012-11-08 Trane International Inc. Reversible Flow Electronic Expansion Vavle
WO2013115674A1 (ru) * 2012-02-03 2013-08-08 Ufimtsev Vladimir Anatolyevich Клапан запорный
US20130255294A1 (en) * 2012-03-28 2013-10-03 Trane International Inc. Charge Port For Microchannel Heat Exchanger Systems
DE102014101416A1 (de) * 2014-02-05 2015-08-06 Dorma Deutschland Gmbh Ventilvorrichtung für einen hydraulischen Türschließer
CN104930241B (zh) * 2014-03-19 2018-09-28 浙江三花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电子膨胀阀
US10993546B2 (en) 2016-10-28 2021-05-04 Sleep Number Corporation Noise reducing plunger
WO2019160605A1 (en) * 2018-02-19 2019-08-22 Parker-Hannifin Corporation Valve stem and disc carrier assembly
MX2021001020A (es) * 2018-08-01 2021-04-19 Fastest Inc Montaje de valvula de conexion de servicio.
DE102018121999B4 (de) * 2018-09-10 2023-08-31 Autoliv Development Ab Pyrotechnische Straffvorrichtung für einen Sicherheitsgurt einer Sicherheitsgurteinrichtung mit einer Kraftbegrenzungseinrichtung
US12072719B2 (en) * 2018-12-21 2024-08-27 Illinois Tool Works Inc. Valve assembly having flow streamlining elements to prevent oscillating flow effects
US10961760B2 (en) * 2019-02-08 2021-03-30 Schlage Lock Company Llc Door closer with backout prevention
US11608899B2 (en) * 2021-06-08 2023-03-21 Raytheon Company Method of flow control
US11832728B2 (en) 2021-08-24 2023-12-05 Sleep Number Corporation Controlling vibration transmission within inflation assemblies
WO2025045121A1 (zh) * 2023-08-30 2025-03-06 浙江盾安人工环境股份有限公司 截止阀
WO2025068032A1 (en) * 2023-09-25 2025-04-03 Danfoss A/S Valve comprising a tiltable piston par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076E (ko) * 1923-07-12 1924-04-29
US1974639A (en) * 1930-04-07 1934-09-25 Burd High Compression Ring Com Valve for an automobile heater
US3155367A (en) * 1962-01-11 1964-11-03 Vernay Laboratories Valve plunger
FR2482237A1 (fr) * 1980-02-01 1981-11-13 Sourdillon Sa Perfectionnements apportes aux dispositifs a vis pointeau pour le reglage du debit d'un fluide
US4811929A (en) * 1984-10-26 1989-03-14 Scaramucci John P Needle valve seat
JPH06307554A (ja) * 1993-04-21 1994-11-01 Koganei Ltd 流量制御弁
JP3522502B2 (ja) * 1997-08-07 2004-04-26 株式会社山武 バルブプラグ
US6266971B1 (en) * 1999-12-22 2001-07-3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Refrigerant charge valve
US6273397B1 (en) * 1999-12-27 2001-08-14 Schrader-Bridgeport International, Inc. Air conditioner access and service fittings
JP2001248740A (ja) * 2000-03-07 2001-09-14 Pacific Ind Co Ltd チャージバルブ用のバルブコア
CN2483565Y (zh) * 2001-05-18 2002-03-27 黄俊杰 冷气管路控制阀
CN2527936Y (zh) * 2002-03-12 2002-12-25 蔡旭军 空调器用快速加液阀
JP2005016630A (ja) * 2003-06-26 2005-01-20 Pacific Ind Co Ltd バルブ栓及びバルブ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280Y1 (ko) * 2009-01-21 2010-01-13 김경호 보일러 압력용기용 안전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01381C (zh) 2007-02-21
DE602004008998D1 (de) 2007-10-31
CN1576665A (zh) 2005-02-09
DE602004008998T2 (de) 2008-06-26
TWI232279B (en) 2005-05-11
EP1491801A1 (en) 2004-12-29
US20040261437A1 (en) 2004-12-30
US7146824B2 (en) 2006-12-12
EP1491801B1 (en) 2007-09-19
JP2005016630A (ja) 2005-01-20
KR100558835B1 (ko) 2006-03-10
TW200500565A (en) 2005-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8835B1 (ko) 밸브 마개 및 밸브
US6554249B2 (en) Plug valve having seal segments with booster springs
US7516942B2 (en) Plug-style air-conditioning service valve
US7484523B2 (en) Rotatable wedge cartridge valve mechanism and method for assembly and disassembly
US6540206B2 (en) Bidirectional ball valve particularly for ecological frigorific gases
JP3861206B2 (ja) 流体制御器
US4634093A (en) Mounting means for valve disc
EP1367305A3 (en) Half ball valve
CN107366750B (zh) 一种制冷系统用截止阀
US4204559A (en) Line tap valve
CN1318788C (zh) 阀芯
US8146888B1 (en) Stopper sleeve assembly into standard valve
US7051996B2 (en) Plug-style air-conditioning service valve
KR100547004B1 (ko) 밸브 코어
US20060202149A1 (en) Cylindrical plug valve
CN106415090A (zh) 液体转移装置
JP2009513912A (ja) シリンダバルブ上の交換式の出口具
US7182094B2 (en) Air nozzle for inflating cushion
CN216242407U (zh) 一种水下闸阀
JP2005036963A (ja) バルブコア
EP0867227A1 (en) Nozzle structure for atomization
US8333364B1 (en) Stopper elastomeric sleeve assembly into standard valve
CN114060551A (zh) 一种水下闸阀
JP4189099B2 (ja) ボールバルブ
KR100508117B1 (ko) 글로우브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0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