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04983A - Intravenous catheter inserting device - Google Patents

Intravenous catheter inser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4983A
KR20050004983A KR1020030044088A KR20030044088A KR20050004983A KR 20050004983 A KR20050004983 A KR 20050004983A KR 1020030044088 A KR1020030044088 A KR 1020030044088A KR 20030044088 A KR20030044088 A KR 20030044088A KR 20050004983 A KR20050004983 A KR 20050004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axis
along
tubular
cathe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40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밍 쳉 슈이
밍 밍 후앙
필립 쉬
Original Assignee
밍 쳉 슈이
밍 밍 후앙
필립 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밍 쳉 슈이, 밍 밍 후앙, 필립 쉬 filed Critical 밍 쳉 슈이
Priority to KR1020030044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4983A/en
Publication of KR20050004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4983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5Guide 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는 배럴(2, 9)의 개방 전방 단부(223, 931)에 맞물리며 상기 배럴(2, 9)의 통로(21)와 소통되는 덕트(513)를 갖는 카테터 허브(5)를 포함한다. 관상 카테터(6)는 상기 덕트(513)와 소통되도록 배치되고, 이에 따라 니들 캐뉼러(32)가 통과되도록 한다. 플런저(4)는 상기 통로(21)에 수용되고 수동으로 작동되기 위해 상기 배럴(2)의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플런저(4)는 감소된 압력에서 유체를 포함하는 공동(41)을 구비하여, 상기 대기와 상기 감소된 압력 사이의 압력 차이에 의해 상기 니들 캐뉼러(32)가 상기 공동(41)의 내부로 끌러 들어가도록 상기 통로(21) 안에서 상기 니들 캐뉼러(32)와 연결된다.The venous catheter insertion device includes a catheter hub 5 having a duct 513 that engages the open front ends 223, 931 of the barrels 2, 9 and communicates with the passage 21 of the barrels 2, 9. do. The tubular catheter 6 is arranged in communication with the duct 513, thereby allowing the needle cannula 32 to pass through. The plunger 4 is received in the passage 21 and extends to the rear of the barrel 2 for manual operation. The plunger 4 has a cavity 41 containing fluid at a reduced pressure, so that the needle cannula 32 is inside the cavity 41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tmosphere and the reduced pressure. It is connected with the needle cannula 32 in the passage 21 to be drawn into.

Description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Intravenous catheter inserting device}Intravenous catheter inserting device

본 발명은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력이 감소된 상태의 플런저 공동 내로 니들 캐뉼러가 끌려 들어가는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ravenous catheter inser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nous catheter insertion device into which a needle cannula is drawn into a plunger cavity in a reduced pressure state.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는 환자의 정맥에 약물을 주사하거나 환자의 정맥으로부터 혈액을 뽑을 때 주로 사용된다.Intravenous catheter insertion devices are commonly used to inject drugs into a patient's vein or draw blood from a patient's vei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의 카테터에 니들 캐뉼러가 끼워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 개략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in catheter inser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schematic for explaining a state that the needle cannula is fitted to the catheter of the vein catheter inser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 단부(111)가 있는 관상 니들 시트(11), 상기 허브 단부(111)에 고정되는 니들 캐뉼러(12), 상기 니들 시트(11)에 끼워지는 카테터 허브(13), 그리고 상기 카테터 허브(13)에 고정(고정)되는 유연 카테터 허브(14)를 포함한다. 사용 시에, 상기 카테터(14)와 상기 니들 캐뉼러(12)는 간호사가 상기 카테터(14)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상기 니들 캐뉼러(12)의 예리한 팁을 환자의 정맥에 찔러 환자의 정맥에 삽입된다. 그 다음에, 간호사는 한편으로는 상기 카테터(14)로부터 상기 니들 캐뉼러(12)를 끌어당기고,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환자의 피부에 압력을 가하고 상기 환자의 정맥으로부터 상기 카테터(14)를 떼어낸다. 그 후, 약액이 들어 있거나 배럴이 비어 있는 주입 부재(도시도지 않음)가 상기 약액을 상기 환자의 정맥에 주입하거나 채혈하기 위해 상기 카테터 허브(13)와 연결된다. 이 때, 간호사는 사용된 니들 캐뉼러(12)와 상기 니들 시트(11)를 가까운 쟁반(도시되지 않음)에 두어야 하므로, 상기 사용된 니들 캐뉼러(12)의 예리한 팁이 노출되어 우연히 니들에 찔릴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카테터 허브(13)가 상기 주입 부재나 빈 배럴에 연결되어 있는 동안에 혈액 오염이 발생할 수도 있다.1 and 2, the conventional venous catheter insertion device 1 has a tubular needle seat 11 having a hub end 111 as shown, a needle cannula fixed to the hub end 111. 12), a catheter hub 13 fitted to the needle seat 11, and a flexible catheter hub 14 is fixed (fixed) to the catheter hub (13). In use, the catheter 14 and the needle cannula 12 are inserted into a patient's vein by a nurse sticking a sharp tip of the needle cannula 12 protruding out of the catheter 14 into the patient's vein. Is inserted. Then, a nurse pulls the needle cannula 12 from the catheter 14 on the one hand, simultaneously pressurizes the skin of the patient and removes the catheter 14 from the vein of the patient. Remove it. Thereafter, an injection member (not shown) containing a chemical liquid or an empty barrel is connected with the catheter hub 13 to inject or collect the chemical liquid into the patient's vein. At this time, the nurse should place the used needle cannula 12 and the needle seat 11 in a close tray (not shown), so that the sharp tip of the used needle cannula 12 is exposed to the needle by chance. There is a risk of being stabbed. In addition, blood contamination may occur while the catheter hub 13 is connected to the injection member or empty barrel.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니들 캐뉼러(12)의 노치(121)를 통해 상기 카테터(14)로의 혈액의 흐름은 상기 반투명의 카테터(14)에 의해 관찰된다. 그러나, 상기 노치(121)가 있기 때문에 상기 니들 캐뉼러(12)는 상기 환자의 정맥 내부로 상기 카테터(14)를 이송 시 휘어지는 경향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노치(121)가 있는 상기 니들 캐뉼러(12)의 부위는 상기 환자의 정맥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카테터(14) 내의 상기 혈액이 보이지 않게 된다.Referring to FIG. 2, the flow of blood to the catheter 14 through the notch 121 of the needle cannula 12 is observed by the translucent catheter 14. However, since the notch 121 is present, the needle cannula 12 tends to bend when transferring the catheter 14 into the vein of the patient. In addition, the portion of the needle cannula 12 with the notch 121 becomes invisible when the blood in the catheter 14 is inserted into the vein of the patient.

본 발명의 목적은 우연한 부주의로 사용 후의 니들 캐뉼러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에 따라 끌어 들여진 상기 니들 캐뉼러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ravenous catheter insertion device for preventing accidental inadvertent contact with a needle cannula after use and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needle cannula drawn in with us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in catheter inser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의 카테터에 니들 캐뉼러가 끼워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 개략도이다.Figure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schematic for explaining a state that the needle cannula is fitted to the catheter of the vein catheter inser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의 분해 단면도이다.3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vein catheter inser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의 사용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ein catheter insertion device in us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에서 밀봉 부재가 관상 니들 시트와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ling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coronary needle sheet in the vein catheter inser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에서 밀봉 부재가 관상 니들 시트와 맞물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ling member is engaged with the tubular needle sheet in the vein catheter inser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에서 밀봉 부재가 플런저 바디로부터 떨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ling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plunger body in the vein catheter inser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에서 관상 니들 시트와 니들 캐뉼러가 플런저 바디 내부로 끌려 들어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ronary needle sheet and the needle cannula is drawn into the plunger body in the venous catheter inser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편 단면도이다.9 is a fragmentary cross-sectional view for illustrating another use state of the venous catheter inser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단편 단면도이다.10 is a fragmentary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a vein catheter inser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a vein catheter insertion device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vein catheter insertion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1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a vein catheter insertion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 2:배럴1: vein catheter insertion device 2: barrel

3:니들 어셈블리 4:플런저3: needle assembly 4: plunger

5:카테터 허브 6:관상 카테터5: catheter hub 6: coronal catheter

7:채혈 부재 9:배럴7: No blood collection 9: Barrel

11:관상 니들 시트 12:니들 캐뉼러11: coronary needle sheet 12: needle cannula

13:카테터 허브 14:유연 관상 카테터13: catheter hub 14: flexible tubular catheter

21:통로 31:관상 니들 시트21: Path 31: Ornamental needle sheet

32:니들 캐뉼러 33:팁 프로텍터32: needle cannula 33: tip protector

34:슬리브 튜브 41:공동34 : Sleeve tube 41 : Joint

42:플런저 바디 43:밀봉 부재42: plunger body 43: sealing member

51:중앙 관상 벽 52:플러그51: Central tubular wall 52: Plug

53:관상 인서트 54:방어 부재53: Ornamental insert 54: Defense member

55:튜브 인서트 61:근접부55: Tube insert 61: Proximity part

62:원격부 71:수용 공간62: remote part 71: accommodation space

72:벽 73:안내 포트72: wall 73: Information port

74:공기 배출구 81:제1 유연 연결 튜브74: air outlet 81: first flexible connection tube

82:제2 유연 연결 튜브 91:소직경부82: 2nd flexible connection tube 91: Small diameter part

92:대직경부 111:허브 단부92: large diameter part 111: hub end

121:노치 211:소직경부121: Notch 211: Small diameter part

212:대직경부 213:숄더부212: Large diameter part 213: Shoulder part

221:외부 배럴 벽면 222:내부 배럴 벽면221: Outer barrel wall surface 222: Inner barrel wall surface

223:개방 전방 단부 224:개방 후방 단부223: Open front end 224: Open rear end

225:제1 암나사부 226:제2 암나사부225: First female thread part 226: Second female thread part

311:맞물림 벽 312:앵커부311: Engagement wall 312: Anchor part

313:허브 단부 314:제2 수나사부313 : hub end 314 : second male thread part

315:제3 수나사부 316:볼록면315: Third male thread part 316: Convex surface

321:팁 단부 322:고정 단부321: tip end 322: fixed end

323:중앙부 331:큰 개방 단부323 : Center part 331 : Big open end

341:개방 단부 421:상단벽341: Open end 421: Upper end wall

422:하단벽 423:외부 플런저 벽면422: Lower wall 423: External plunger wall surface

424:내부 주변 에지부 425:암나사부424 : Inner periphery edge part 425 : Female thread part

425:제1 수나사부 426:캐처부425: First male thread part 426: Catcher part

431:리세스 432:앵커부431: recess 432: anchor part

433:제3 암나사부 434:밀봉부433: Third female thread part 434: Sealing part

511:슬리브 벽 512:팁 벽511 : Sleeve wall 512 : Tip wall

513:덕트 514:소통 포트513: duct 514: communication port

515:리엔트리 포트 516:관통홀515: Reentry port 516: Through hole

517:삽입 홀 518:유지 숄더517: Insertion hole 518: Maintenance shoulder

519:경계부 531:관통로519 : Boundary department 531 : Pipeway

532:후방 플레어 단부 534:전방 목 단부532 : Rear flare end 534 : Front neck end

535:유체 통로 536:내부 인접면535 : Fluid passage 536 : Inner side

551:유체 통로 552:후방 플레어 단부551: fluid passage 552: rear flare end

554:전방 목 단부 555:리엔트리 포트554: Front neck end 555: Reentry pot

611:플랜지부 931:개방 전방 단부611: flange 931: open front end

932:개방 후방 단부 934:외부 배럴 벽면932: Open rear end 934: Outer barrel wall surface

935:수나사부 936:내부 배럴 벽면935 : Male thread part 936 : Inner barrel wall surface

2211:전방부 3121:축방향 관통홀2211: Front part 3121: Axial through hole

3122:앵커 단부 4241:돌기3122: Anchor end 4241: Proje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는 카테터 허브, 관상 카테터, 배럴, 니들 캐뉼러, 관상 니들 시트 및 플런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venous catheter insertion device comprises a catheter hub, a tubular catheter, a barrel, a needle cannula, a tubular needle sheet and a plunger.

상기 카테터 허브는 제1 축선을 둘러싸고 관통 홀을 한정하는 팁 벽, 상기 관통 홀보다 큰 삽입 홀을 한정하는 내부 슬리브 벽면을 갖는 슬리브 벽, 그리고상기 팁 벽과 상기 슬리브 벽에 삽입되고 상기 관통 홀과 상기 삽입 홀을 소통시키는 덕트를 한정하며 상기 덕트와 대기를 소통시키기 위한 소통 포트를 갖는 중앙 관상 벽을 포함한다.The catheter hub includes a tip wall surrounding a first axis and defining a through hole, a sleeve wall having an inner sleeve wall defining an insertion hole larger than the through hole, and inserted into the tip wall and the sleeve wall and with the through hole. And a central tubular wall defining a duct for communicating the insertion hole and having a communication port for communicating the duct with the atmosphere.

상기 관상 카테터는 상기 관통 홀에 배치되고 상기 덕트와 소통되도록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근접부와, 상기 팁 벽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근접부로부터 연장되는 원격부를 포함한다.The tubular catheter includes a proximal portion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and extending along the first axis to communicate with the duct, and a remote portion extending from the proximal portion along the first axis to protrude outwardly of the tip wall. do.

상기 배럴은 서로 대응하며 제2 축선을 둘러싸는 외부 및 내부 배럴 벽면을 갖는다. 상기 내부 배럴 벽면은 대응하는 개방 전방 및 후방 단부를 갖는 통로를 한정하고, 각각 후방 및 전방 통로를 한정하고 숄더부를 형성하기 위해 각각 상기 개방 후방 및 전방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대직경부와 소직경부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배럴 벽면은 상기 내부 슬리브 벽면에 대해 고정되는 전방부를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축선과 상기 제2 축선은 일치하게 된다.The barrels have outer and inner barrel wall surfac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surrounding the second axis. The inner barrel wall surface defines a passage having a corresponding open front and rear end, respectively, a large diameter portion and a small diameter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open rear and front ends, respectively, to define the rear and front passageways and form a shoulder portion. Include. The outer barrel wall surface has a front portion fixed relative to the inner sleeve wall surface such that the first axis and the second axis coincide.

상기 니들 캐뉼러는 대응하는 팁 단부와 고정 단부 및 그 사이에 삽입되는 중앙부를 포함한다.The needle cannula includes a corresponding tip end and a fixed end and a central portion inserted therebetween.

상기 관상 니들 시트는 상기 통로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2 축선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관상 니들 시트는 상기 고정 단부에 고정되도록 배치되는 허브 단부, 상기 제2 축선을 따라 상기 허브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고정 단부에 공급 또는 소통되기 위한 축 방향 통로를 한정하는 맞물림 벽, 그리고 상기 통로와 소통되도록 축 방향 관통 홀을 한정하며 상기 맞물림 벽으로부터 상기 전방 통로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앵커부를 포함한다. 상기 맞물림 벽은 소직경부와 맞물리며 맞물린위치와 맞물림이 해제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2 축선의 주위에서 상기 소직경부에 대해 회전 가능한 외부 벽면을 가지며, 그 위치에서 상기 맞물림 벽은 상기 제2축선을 따라 상기 소직경부에 대해 각각 움직이지 않거나 움직인다. 상기 앵커부는 상기 맞물림 벽과 같이 회전하는 앵커 단부에서 끝난다. 상기 맞물림 벽이 맞물림 위치에서 맞물림이 해제된 위치까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앵커 단부는 상기 숄더부와 가까운 접속(hook up) 위치로부터 상기 숄더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가압된 위치까지 이동한다.The tubular needle sheet is received in the passageway and extends along the second axis. The tubular needle sheet includes a hub end disposed to be secured to the fixed end, an engagement wall extending from the hub end along the second axis and defining an axial passageway to be supplied or communicated to the fixed end, and the passageway; An anchor portion defining an axial through hole to communicate with and extending outwardly of the front passageway from the engagement wall. The engagement wall has an outer wall surface that is rotatable about the small diameter portion about the second axis between the engaged position and the disengaged position and the disengaged position, wherein the engagement wall is along the second axis. It does not move or moves with respect to the said small diameter part, respectively. The anchor portion ends at an anchor end that rotates with the engagement wall. When the engagement wall is rotated clockwise from the engaged position to the disengaged position, the anchor end moves from a hook up position close to the shoulder portion to a pressurized position away from the shoulder portion.

사용 위치에서 상기 플런저가 상기 대직경부를 따라 움직이고, 처리 위치에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대직경부를 따라 움직이지는 않고 상기 대직경부에 대해 회전하도록 상기 플런저는 상기 통로에 수용된다. 상기 플런저는 플런저 바디와 밀봉 부재를 포함한다.The plunger is received in the passage so that in the use position the plunger moves along the large diameter portion and in the processing position the plunger does not move along the large diameter portion and rotates about the large diameter portion. The plunger includes a plunger body and a sealing member.

상기 플런저 바디는 상기 숄더부와 마주 대하도록 배치되는 상단벽 및 상기 플런저가 움직이고 회전하도록 상기 개방 후방 단부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하단벽을 포함한다. 상기 상단벽은 상기 제2축선을 둘러싸고, 그 안의 공동을 한정하는 내부 주변 에지부를 가진다. 상기 공동은 상기 제2 축선을 따라 상기 하단벽 방향으로 연장되고, 감소된 압력에서 유체를 포함한다.The plunger body includes a top wall disposed to face the shoulder portion and a bottom wall extending outward of the open rear end to move and rotate the plunger. The top wall has an inner peripheral edge surrounding the second axis and defining a cavity therein. The cavity extends along the second axis in the direction of the bottom wall and includes fluid at reduced pressure.

상기 밀봉 부재는 앵커부와 밀봉부를 포함한다. 상기 앵커부는 상기 앵커 단부와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상기 플런저가 상기 처리 위치에 있을 때와 상기 맞물림 벽이 맞물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대직경부에 대하여 상기 시계 방향으로 상기 플런저 바디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맞물림 벽이 상기 맞물림 위치에서 상기 맞물림이해제된 위치까지 회전하게 되며, 그것에 의해 상기 앵커 단부가 상기 접속 위치에서 가압된 위치까지 움직인다. 상기 밀봉부는 상기 공동의 상기 유체를 끌어들이기 위해 밀봉 라인을 따라 상기 내부 주변 에지부에 밀폐되도록 부착된다.The sealing member includes an anchor portion and a sealing portion. The anchor portion is arranged to engage the anchor end such that the plunger body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arge diameter portion when the plunger is in the treatment position and when the engagement wall is in the engaged position. It rotates from the engaged position to the disengaged position, whereby the anchor end moves from the connected position to the pressed position. The seal is attached to seal the inner peripheral edge portion along a seal line to attract the fluid in the cavity.

상기 밀봉 라인은 상기 밀봉 라인을 쪼개기 위해 상기 앵커 단부가 상기 접속 위치에서 상기 가압된 위치까지 이동하여 상기 앵커부가 내리 눌려지고, 여기에서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플런저 바디로부터 자유로워진다. 따라서, 상기 관상 니들 시트는 상기 니들 캐뉼러와 더불어 상기 감소된 압력과 상기 소통 포트를 통해 안내되는 상기 대기 사이의 압력 차이로 인하여 상기 공동 안으로 흡입되는 상기 밀봉 부재에 의해 당겨지고, 거기에서 상기 니들 캐뉼러는 상기 관상 카테터로부터 상기 공동 안으로 끌려 들어간다.The sealing line moves the anchor end from the connecting position to the pressed position to break the sealing line so that the anchor portion is pushed down, wherein the sealing member is freed from the plunger body. Thus, the tubular needle sheet is pulled by the sealing member sucked into the cavity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needle cannula and the reduced pressure and the atmosphere guided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where the needle A cannula is drawn into the cavity from the coronary catheter.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members.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의 사용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3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in catheter inser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state of use of the venous catheter inser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 허브(5), 관상 카테터(6), 배럴(2), 니들 어셈블리(3) 및 플런저(4)를 포함한다.3 and 4, the venous catheter inser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atheter hub 5, the tubular catheter 6, the barrel 2, the needle assembly 3 as shown And a plunger 4.

상기 카테터 허브(5)는 팁 벽(512), 제1축선을 따라 상기 팁 벽(512)에 대응하는 슬리브 벽(511), 그리고 상기 팁 벽(512)과 상기 슬리브 벽(511) 사이에 삽입되는 중앙 관상 벽(51)을 포함한다.The catheter hub 5 is inserted between the tip wall 512, the sleeve wall 511 corresponding to the tip wall 512 along the first axis, and between the tip wall 512 and the sleeve wall 511. A central tubular wall 51.

상기 팁 벽(512)은 상기 제1 축선을 둘러싸고,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관통홀(516)을 한정한다. 상기 슬리브 벽(511)은 상기 제1 축선을 둘러싸고 상기 관통홀(516) 보다 큰 삽입홀(517)을 한정하는 내부 슬리브 벽면을 갖는다. 상기 중앙 관상 벽(51)은 상기 삽입 홀(517)과 상기 관통홀(516)을 소통시키는 덕트를 한정하는 내부 관상 벽면과 방사 방향으로 상기 내부 관상 벽면에 대응하는 외부 관상 벽면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중앙 관상 벽(51)은 상기 덕트(513)와 대기가 소통되도록 상기 내부 및 외부 관상 벽을 통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소통 포트(514)를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52)는 상기 소통 포트(514)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중앙 관상 벽(51)의 상기 내부 관상 벽면은 상기 팁 벽(512)과 같이 유지 숄더(518)를 형성한다. 상기 유지 숄더(518)는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덕트(513)와 마주한다.The tip wall 512 surrounds the first axis and defines a through hole 516 extending along the first axis. The sleeve wall 511 has an inner sleeve wall surface surrounding the first axis and defining an insertion hole 517 larger than the through hole 516. The central tubular wall 51 has an inner tubular wall defining a duct communicating the insertion hole 517 and the through hole 516 and an outer tubular wall corresponding to the inner tubular wall in the radial direction. The central tubular wall 51 also has a communication port 514 extending radially through the inner and outer tubular walls such that the atmospher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duct 513. As shown in FIG. 4, a plug 52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ommunication port 514. The inner tubular wall of the central tubular wall 51 forms a retaining shoulder 518 like the tip wall 512. The retaining shoulder 518 faces the duct 513 along the first axis.

상기 관상 카테터(6)는 상기 관통홀(516)에 배치되고 상기 덕트(513)와 소통되도록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근접부(61) 및 상기 팁 벽(512)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근접부(61)로부터 연장되는 원격부(62)를 포함한다. 상기 근접부(61)는 상기 유지 숄더(518)에 인접하여 유지되는 플랜지부(611)에서 종료한다.The tubular catheter 6 is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516 and protrudes outwardly of the proximal portion 61 and the tip wall 512 extending along the first axis to communicate with the duct 513. And a remote portion 62 extending from the proximity portion 61 along a first axis. The proximal portion 61 terminates at a flange portion 611 held adjacent to the holding shoulder 518.

상기 배럴(2)은 서로 대응하고 제2 축선을 둘러싸는 외부 및 내부 배럴 벽면(221, 222)을 구비한다. 상기 내부 배럴 벽면(222)은 상기 제2 축선에 평행하게 상기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개방 전방 및 후방 단부(223, 224)를 갖는 통로(21)를 한정하며, 후방 및 전방 통로들을 각기 한정하며 상기 대직경부(212)와 상기 소직경부(211) 사이에 숄더부(213)를 형성하기 위해 각기 상기 개방 후방 및 전방 단부(224, 223)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대직경부(212) 및 소직경부(211)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배럴 벽면(221)은 상기 개방 전방 단부(223)에 인접하며 상기 슬리브 벽(511)의 상기 내부 슬리브 벽면에 대해 인접하도록 상기 삽입 홀(517)에 삽입할 수 있는 전방부(223)를 구비하며, 그것으로 인해 상기 제1 축선과 상기 제2 축선이 일치하도록 한다. 제1 암나사부(225)는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다수개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 후방 단부(224)에 인접한 상기 대직경부(212)에 배치된다. 나선 홈 형태의 제2 암나사부(226)는 상기 숄더부(213)에 인접한 상기 소직경부(211)에 배치된다.The barrel 2 has outer and inner barrel wall surfaces 221, 222 that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surround the second axis. The inner barrel wall surface 222 defines a passage 21 having open front and rear ends 223, 224 arrang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arallel to the second axis, respectively defining the rear and front passages. A large diameter portion 212 and a small diameter disposed adjacent to the open rear and front ends 224 and 223, respectively, to define a shoulder portion 213 between the large diameter portion 212 and the small diameter portion 211. And a neck 211. The outer barrel wall surface 221 is adjacent the open front end 223 and has a front portion 223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517 so as to be adjacent to the inner sleeve wall surface of the sleeve wall 511. And the first axis and the second axis thereby coincide. The first female threaded portion 225 includes a plurality of ribs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s disposed at the large diameter portion 212 adjacent to the open rear end 224. The second female screw portion 226 in the form of a spiral groove is disposed in the small diameter portion 211 adjacent to the shoulder portion 213.

상기 니들 어셈블리(3)는 니들 캐뉼러(32)와 관상 니들 시트(31)를 포함한다.The needle assembly 3 comprises a needle cannula 32 and a tubular needle sheet 31.

상기 니들 캐뉼러(32)는 서로 대응하는 팁 단부(321)와 고정 단부(322) 및 상기 팁 단부(321)와 고정 단부(322) 사이에 삽입되는 중앙부(323)를 포함한다. 상기 관상 니들 시트(31)는 상기 니들 캐뉼러(32)의 상기 고정 단부(322)를 고정하도록 배치되는 허브 단부(313) 및 상기 제2 축선을 따라 상기 허브 단부(313)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니들 캐뉼러(32)의 상기 고정 단부(322)에 공급 또는 소통되기 위한 축 방향 통로를 한정하는 맞물림 벽(311)을 포함한다. 상기 맞물림 벽(311)은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리브를 포함하며 (중앙)맞물림 위치에서상기 제2 암나사부(226)와 누비듯이 맞물리도록 상기 제2 축선을 둘러싸는 (제2)수나사부가 제공되는 외부 맞물림 벽면을 가지고, 상기 위치에서 상기 관상 니들 시트(31)의 상기 맞물림 벽(311)이 상기 제2 축선을 따라 상기 소직경부(211)에 대해 이동하지 않는다.The needle cannula 32 includes a tip end 321 and a fixed end 322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a central portion 323 inserted between the tip end 321 and the fixed end 322. The tubular needle sheet 31 extends from the hub end 313 along the second axis and the hub end 313 arranged to secure the fixed end 322 of the needle cannula 32, and An engagement wall 311 that defines an axial passageway for supply or communication to the fixed end 322 of the needle cannula 32. The engagement wall 311 includes a plurality of ribs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and surrounds the second axis so as to mate with the second female threaded portion 226 in the (center) engagement position (second). With an external engagement wall surface provided with a male thread portion, the engagement wall 311 of the tubular needle sheet 31 does not move relative to the small diameter portion 211 along the second axis in this position.

상기 관상 니들 시트(31)는 상기 통로(21)와 소통되기 위한 축방향 관통홀(3121)을 한정하며, 앵커 단부(3122)에서 종료되도록 상기 맞물림 벽(311)으로부터 상기 소직경부(211)의 상기 전방 통로의 외부로 연장되는 앵커부(312)를 더 포함한다. (제3)수나사부(315)는 복수 개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 단부(3122)에 배치된다.The tubular needle sheet 31 defines an axial through hole 3121 for communicating with the passage 21 and terminates in the small diameter portion 211 from the engagement wall 311 so as to terminate at the anchor end 3122. It further includes an anchor portion 312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front passage. (Third) The male screw portion 315 includes a plurality of ribs and is disposed at the anchor end 3122.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에서 밀봉 부재가 관상 니들 시트와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ling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tubular needle sheet in the vein catheter inser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플런저(4)는 상기 통로(21)에 수용되며, 도 4에서와 같이 사용 위치에서 상기 플런저(4)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대직경부(212)를 따라 움직이고, 도 5에서와 같이 처리 위치에서 상기 대직경부(212)를 따라 움직이지 않지만 상기 대직경부(212, 92)에 대해 회전한다. 상기 플런저(4)는 플런저 바디(42)와 밀봉 부재(43)를 포함한다.The plunger 4 is received in the passage 21, in the use position as in FIG. 4, the plunger 4 moves along the large diameter portion 2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the treatment position as in FIG. Does not move along the large diameter portion 212 but rotates with respect to the large diameter portions 212 and 92. The plunger 4 comprises a plunger body 42 and a sealing member 43.

상기 플런저 바디(42)는 상기 숄더부(213)와 만나도록 배치되는 상단벽(421)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상단벽(421)과 대응하는 하단벽(422)을 포함한다. 상기 하단벽(422)은 상기 플런저(4)가 움직이고 회전하도록 상기 개방 후방 단부(224)의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상기 상단벽(421)은 상기 제2 축선을 둘러싸고그 내부에 공동(41)을 한정하는 내부 주변 에지부(424)를 가진다. 상기 공동(41)은 상기 제2 축선을 따라 상기 하단벽(422) 방향으로 연장되고, 감소된 압력에서 유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플런저 바디(42)는 상기 제2 축선을 둘러싸는 외부 플런저 벽면(423)을 갖는다. 제1 수나사부(425)는 복수 개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플런저 벽면(423)에 배치된다. 캐처부(426)는 상기 하단벽(422)에 인접한 상기 내부 주변 에지부(424)에 배치된다.The plunger body 42 includes an upper wall 421 disposed to meet the shoulder part 213, and a lower wall 422 corresponding to the upper wall 42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bottom wall 422 extends out of the open rear end 224 so that the plunger 4 moves and rotates. The top wall 421 has an inner peripheral edge 424 that surrounds the second axis and defines a cavity 41 therein. The cavity 41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bottom wall 422 along the second axis and includes fluid at reduced pressure. The plunger body 42 also has an outer plunger wall surface 423 that surrounds the second axis. The first male thread portion 425 includes a plurality of ribs and is disposed on the outer plunger wall surface 423. A catcher portion 426 is disposed at the inner peripheral edge portion 424 adjacent to the bottom wall 422.

상기 밀봉 부재(43)는 탄성 중합체 물질로 형성되고, 앵커부(432)와 밀봉부(434)를 포함한다. 상기 앵커부(432)는 상기 앵커부(312)의 상기 앵커 단부(3122)를 수용하고 상기 앵커부(312)의 상기 앵커 단부(3122)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리세스(431)를 한정하기 위해 상기 제2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내부 벽을 갖는다. 상기 내부 벽에는 나선형 홈 형태의 제3 암나사부(433)가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돌기(4241)는 상기 밀봉부(434)와 마찰되도록 접촉하기 위해 상기 내부 주변 에지부(424)로부터 방사상으로 상기 제2 축선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공동(41)에 유체를 막기 위한 상기 밀봉 라인을 형성한다.The sealing member 43 is formed of an elastomeric material and includes an anchor portion 432 and a sealing portion 434. The anchor portion 432 defines a recess 431 formed to receive the anchor end 3122 of the anchor portion 312 and to engage the anchor end 3122 of the anchor portion 312. It has an inner wall extending along the second axis. The inner wall is formed with a third female thread portion 433 in the form of a spiral groove. Referring to FIG. 4, the projection 4241 extends radially forward of the second axis from the inner peripheral edge portion 424 so as to frictionally contact the seal 434, thereby extending into the cavity 41. The sealing line is formed to block the flui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시에, 간호사는 한 손으로 상기 배럴(2)을 잡고 상기 니들 캐뉼러(32)의 상기 팁 단부(321)와 상기 관상 카테터(6)의 상기 원격부(62)를 상기 환자의 정맥에 삽입한다. 상기 관상 니들 시트(31)의 상기 앵커부(312)는 투과성이 좋고, 상기 축 방향 관통홀(3121)을 통해 상기 혈액의 흐름을 확대하여 보여주기 위해 볼록면(316)을 갖는다. 간호사가 상기 혈액이 상기 앵커부(312) 안으로 흐르지 않는 것을 알아차리는 즉시 간호사는 상기 혈액이 상기앵커부(312)를 통하여 보일 때까지 상기 혈액을 끌어당기도록 상기 플런저(4)를 약간 뒤쪽으로 당겨서 상기 관상 카테터(6)가 상기 환자의 정맥에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확인한다.In use, as shown in FIG. 4, a nurse grabs the barrel 2 with one hand and the tip end 321 of the needle cannula 32 and the remote portion 62 of the tubular catheter 6. ) Is inserted into the patient's vein. The anchor portion 312 of the tubular needle sheet 31 has good permeability, and has a convex surface 316 to enlarge and show the flow of blood through the axial through hole 3121. As soon as the nurse notices that the blood does not flow into the anchor portion 312, the nurse pulls the plunger 4 back slightly to draw the blood until the blood is seen through the anchor portion 312. Confirm that the coronary catheter 6 is correctly inserted into the vein of the patient.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에서 밀봉 부재가 관상 니들 시트와 맞물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ling member is engaged with the tubular needle sheet in the vein catheter inser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상기 플러그(52)는 상기 덕트(513)와 상기 대기가 소통되도록 상기 소통 포트(514)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플런저(4)상기 관상 니들 시트(31)와 접촉하도록 앞쪽으로 눌려진다(도 5참조). 상기 제1 수나사부 및 제1 암나사부(425, 225)에 의해서, 상기 대직경부(212)를 따라 상기 플런저(4)가 이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상기 플런저(4)는 상기 개방 전방 단부(223)를 향해 돌아간다. 상기 플런저(4)의 나사 운동에 의해, 상기 밀봉 부재(43)는 상기 관상 니들 시트(31)에 대해 회전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수나사부 및 제3 암나사부(315, 433)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밀봉 부재(43)의 상기 앵커부(432)는 상기 앵커부(3122)와 맞물린다. 따라서, 상기 관상 니들 시트(31)는 상기 밀봉 부재(43)와 같이 회전 가능하게 된다.5 and 6, the plug 52 shown in FIG. 4 is removed from the communication port 514 such that the duct 513 and the atmosphere are in communication. The plunger 4 is pressed forward to contact the tubular needle sheet 31 (see FIG. 5). The movement of the plunger 4 along the large diameter portion 212 is suppressed by the first male thread portion and the first female thread portions 425 and 225. The plunger 4 is turned towards the open front end 223. By the screw movement of the plunger 4, the sealing member 43 rotates with respect to the tubular needle sheet 31, and as shown in FIG. 6, the third male thread portion and the third female thread portion 315. 433, the anchor portion 432 of the sealing member 43 is engaged with the anchor portion 3122. Thus, the tubular needle sheet 31 is rotatable like the sealing member 43.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에서 밀봉 부재가 플런저 바디로부터 떨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에서 관상 니들 시트와 니들 캐뉼러가 플런저 바디 내부로 끌려 들어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ling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plunger body in the vein catheter inser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tubular in the vein catheter inser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state which the needle sheet and the needle cannula drag in into the plunger body.

도 7을 참조하면, 이 후에, 상기 제2 암나사부(226)로부터 제거를 위해 맞물림이 해제된 위치까지 상기 제2 수나사부(314)를 상기 제2 축선 주위에서 돌리기 위해 상기 관상 니들 시트(31)가 회전되도록 상기 플런저(4)가 상기 대직경부(212)에 대해 상기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할 때, 상기 관상 니들 시트(31)의 상기 맞물림 벽(311)이 상기 소직경부(311)에 대해 상기 제2 축선을 따라 상기 개방 후방 단부(224) 방향으로 움직인다. 상기 앵커 단부(3122) 역시 상기 숄더부(213)에 가까운 접속 위치로부터 상기 숄더부(213)로부터 멀리 떨어진 가압된 위치까지 움직이도록 회전된다. 동시에, 상기 밀봉 라인을 쪼개기 위해 상기 앵커 단부(3122)가 상기 접속 위치에서 상기 가압된 위치까지 움직여 상기 앵커부(432)가 내리 눌려지고, 여기에서 상기 밀봉 부재(43)가 상기 플런저 바디(42)로부터 자유로워진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관상 니들 시트(31)는 상기 니들 캐뉼러(32)와 더불어 상기 감소된 압력과 상기 소통 포트(514)를 통해 안내되는 상기 대기 사이의 압력 차이로 인하여 상기 공동(41) 안으로 흡입되는 상기 밀봉 부재(43)에 의해 당겨지고, 거기에서 상기 니들 캐뉼러(32)는 상기 관상 카테터(6)로부터 상기 공동(41) 안으로 끌려 들어간다. 상기 캐처부(426)에 의해, 상기 관상 니들 시트(31) 뿐만 아니라 상기 니들 캐뉼러(32)는 상기 하단벽(422)과 충돌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7, afterwards, the tubular needle sheet 31 is turned around the second axis to rotate the second male threaded portion 314 from the second female threaded portion 226 to a position where the engagement is released for removal. When the plunger 4 further rotates 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large diameter portion 212 such that the engagement wall 311 of the tubular needle sheet 31 is rotated relative to the small diameter portion 311. Move along the second axis in the direction of the open rear end 224. The anchor end 3122 is also rotated to move from a connection position close to the shoulder portion 213 to a pressurized position away from the shoulder portion 213. At the same time, the anchor end 3122 is moved from the connecting position to the pressed position to break the sealing line so that the anchor portion 432 is pressed down, wherein the sealing member 43 is the plunger body 42. Free from) With reference to FIG. 8, the tubular needle seat 31 is formed by the cavity (3)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needle cannula 32 and the reduced pressure and the atmosphere guided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514. 41) is pulled by the sealing member 43 which is sucked into it, where the needle cannula 32 is drawn from the tubular catheter 6 into the cavity 41. By the catcher portion 426, the needle cannula 32 as well as the tubular needle sheet 31 do not collide with the bottom wall 422.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편 단면도이다.9 is a fragmentary cross-sectional view for illustrating another use state of the venous catheter inser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사용 시에 간호원은 상기 플러그(52)로 상기 소통 포트(514)를 막을 수 있고, 작은 양의 혈액이라도 상기 관상 카테터(6)를 통하여 상기 배럴(2)의 상기 통로(21)를 안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상기 밀봉 부재(43)와 상기 니들어셈블리(3)가 남겨진 상태로, 상기 플런저 바디(42)를 상기 개방 후방 단부(224)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간호사가 많은 양의 혈액을 빨아들일 필요가 있을 때, 상기 채혈 부재(7)는 상기 카테터 허브(5)에 연결된다. 상기 채혈 부재(7)는 수용 공간(71)을 한정하며 상기 수용 공간(71)과 소통되는 안내 포트(73)를 갖는 벽(72)을 포함한다. 제1 유연 연결 튜브(81)는 상기 안내 포트(73)와 상기 소통 포트(514)와 한꺼번에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혈액은 상기 관상 카테터(6), 상기 덕트(513) 및 상기 제1 유연 연결 튜브(81)를 통해 상기 플런저 바디(42)를 당길 필요 없이 상기 채혈 부재(7)로 흐르며, 간호사가 상기 혈액과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Thus, in use, the nurse can plug the communication port 514 with the plug 52 and allow the small passage of blood into the passage 21 of the barrel 2 through the tubular catheter 6. To attract, the plunger body 42 can be pulled toward the open rear end 224 with the sealing member 43 and the needle assembly 3 left. Referring to FIG. 9, when the nurse needs to suck up a large amount of blood, the blood collection member 7 is connected to the catheter hub 5. The blood collection member 7 includes a wall 72 defining a receiving space 71 and having a guide port 73 in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ing space 71. The first flexible connection tube 81 is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guide port 73 and the communication port 514 at once. The blood flows through the coronary catheter 6, the duct 513 and the first flexible connection tube 81 to the blood collection member 7 without having to pull the plunger body 42 and the nurse passes the blood. Avoid contact with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단편 단면도이다.10 is a fragmentary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a vein catheter inser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대신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발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는 구조에 있어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다.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성 요소에 더하여, 상기 카테터 허브(5)의 상기 슬리브 벽(511)의 상기 내부 슬리브 벽면은 상기 삽입홀(517)과 소통하기 위해 상기 슬리브 벽(511)을 통해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경계부(519)에 대해 상기 소통 포트(514)에 대응하는 리엔트리 포트(515)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는 방어 부재(54)와 관상 인서트(53)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어 부재(54)는 고무와 같은 탄성 중합체 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관상 인서트(53)는 상기 방어 부재(54)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관통로(531)를 한정하는 전방 목단부(534)와,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전방 목 단부(534)로부터 연장되고 내부 인접면(536)을 갖는 후방 플레어 단부(532)를 갖는다. 상기 내부 인접면(536)은 상기 제1 축선을 둘러싸며 상기 리엔트리 포트(515)가 소통되도록 연장되는 유체 통로(535)를 한정한다. 더구나, 상기 채혈 부재(7)는 상기 안내 포트(73)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이격되는 공기 배출구(74)를 갖는다. 제2 유연 연결 튜브(82)는 상기 공기 배출구(74)와 상기 리엔트리 포트(515)와 한꺼번에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조립에서, 상기 전방 목 단부(534)가 연결되는 상기 방어 부재(54)는 상기 경계부(519)에서 상기 카테터 허브(5)의 상기 슬리브 벽(511)의 상기 내부 슬리브 벽면과 맞물린다. 상기 배럴(2)의 상기 전방부(2211)는 상기 관상 인서트(53)의 상기 내부 인접면(536)과 맞물리고, 거기에서 상기 관통로(531)와 상기 배럴(2)의 상기 통로(21)가 정렬된다. 상기 니들 캐뉼러(32)(도 10에 미도시)는 상기 관통로(531), 상기 방어 부재(54) 내의 슬릿, 상기 덕트(513) 및 상기 관상 카테터(6)를 통하여 연장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상기 사용된 니들 어셈블리(3)(도 10에 미도시)가 상기 플런저 바디(도 10에 미도시) 내부로 끌려 들어간 후, 상기 방어 부재(54) 안의 상기 슬릿은 탄성 중합체 물질 자체의 특성에 의해 닫힌다.Instead, referring to FIG. 10, the vein catheter inser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in structure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inner sleeve wall surface of the sleeve wall 511 of the catheter hub 5 is through the sleeve wall 511 to communicate with the insertion hole 517. It has a reentry port 515 extending radially and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port 514 to the boundary 519. In addition, the vein catheter inser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urther comprises a protective member 54 and a coronary insert 53. The protective member 54 is formed of an elastomeric material such as rubber. The tubular insert 53 is a front neck end 534 connected to the defense member 54 and defining a passageway 531 along the first axis, and the front neck end 534 along the first axis. ) And a rear flare end 532 having an inner proximal surface 536. The inner proximal surface 536 defines a fluid passage 535 that surrounds the first axis and extends to allow the reentry port 515 to communicate. Moreover, the blood collection member 7 has an air outlet 74 spaced apart from the guide port 73 at regular intervals. The second flexible connection tube 82 is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air outlet 74 and the reentry port 515 at once. In assembly, the protective member 54 to which the front neck end 534 is connected engages with the inner sleeve wall of the sleeve wall 511 of the catheter hub 5 at the boundary 519. The front portion 2211 of the barrel 2 engages with the inner proximal surface 536 of the tubular insert 53, where the passageway 531 and the passageway 21 of the barrel 2. ) Is aligned. The needle cannula 32 (not shown in FIG. 10) extends through the passageway 531, the slit in the protective member 54, the duct 513 and the tubular catheter 6. After the used needle assembly 3 (not shown in FIG. 10) is drawn into the plunger body (not shown in FIG. 10)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slit in the protective member 54 is It is closed by the properties of the elastomeric material itself.

상기 방어 부재(54)의 정렬에 따라, 혈액이 상기 채혈 부재(7) 안으로 흐르지 않는 것을 알아차리는 즉시 상기 공기 배출구(74)로부터 상기 제2 유연 연결 튜브(82), 상기 리엔트리 포트(515) 및 상기 유체 통로(535)를 통하여 상기 배럴(2)의 상기 통로(21)까지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해 간호사는 상기 플런저 바디(42)를 뒤쪽으로 당길 수 있고, 이에 따라 혈액이 상기 채혈 부재(7)로 용이하게 흐른다.According to the alignment of the protective member 54, the second flexible connecting tube 82, the reentry port 515 from the air outlet 74 immediately after noticing that blood does not flow into the blood collection member 7. And a nurse may pull the plunger body 42 backward to guide the flow of air through the fluid passageway 535 to the passageway 21 of the barrel 2, whereby blood is collected from the blood collection member. (7) flows easily.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a vein catheter insertion device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는 구조면에서 상기 제1 실시예와 유사하다. 상기 카테터 허브(5)의 상기 덕트(513)는 상기 관상 인서트(55)를 통하여 상기 배럴(2)의 상기 통로(21)와 소통된다. 상기 관상 인서트(55)는 상기 방어 부재(54)에 연결되고 상기 축선을 따라 관통로를 한정하는 전방 목 단부(554)와, 상기 축선을 따라 상기 전방 목 단부(554)로부터 연장되는 후방 플레어 단부(552)를 가진다. 상기 후방 플레어 단부(552)는 상기 축선을 둘러싸고 유체 통로(551)를 한정하는 내부 인접면 및 상기 유체 통로(551)와 소통되도록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리엔트리 포트(555)를 구비한다. 상기 배럴(2)의 상기 전방부(2211)는 상기 관상 인서트(55)의 상기 인접면과 맞물린다. 상기 제2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사용된 니들 어셈블리(3)가 상기 플런저 바디(42)의 내부로 끌려 들어간 후, 상기 방어 부재(54) 내의 상기 슬릿은 탄성 중합체 자체의 특성에 의해 닫힌다.Referring to FIG. 11, the vein catheter insertion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in structure to the first embodiment. The duct 513 of the catheter hub 5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passage 21 of the barrel 2 via the tubular insert 55. The tubular insert 55 is connected to the defense member 54 and defines a front neck end 554 defining a passageway along the axis, and a rear flare end extending from the front neck end 554 along the axis. Has 552. The back flare end 552 extends radially in communication with the fluid passage 551 and an inner proximal surface surrounding the axis and defining a fluid passage 551 and having a reentry port 555. The front portion 2211 of the barrel 2 engages the adjoining surface of the tubular insert 55.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second embodiment, after the used needle assembly 3 is drawn into the plunger body 42, the slit in the protective member 54 is closed by the properties of the elastomer itself. .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vein catheter insertion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a vein catheter insertion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 보다 짧은 배럴(9)을 포함한다. 상기배럴(9)은 소직경부 및 대직경부(91, 92)를 포함하고, 또한 개방 전방 및 후방 단부(931, 932)를 갖는 통로를 한정하는 내부 배럴 벽면(936)을 구비한다. 상기 카테터 허브(5)의 상기 슬리브 벽(511)은 상기 개방 후방 단부(931)와 맞물리도록 한다. 상기 대직경부(92)는 상기 플런저(4)의 상기 외부 플런저 벽면에 형성되는 상기 암나사부(425)와 누비듯이 맞물리기 위한 수나사부(935)를 갖는다. 사용 시에, 간호사는 상기 외부 배럴 벽면(934)을 움켜쥐고, 혈액이 상기 배럴(9) 안으로 흐르도록 하기 위해 상기 관상 카테터(6) 뿐만 아니라 상기 니들 캐뉼러(32)를 상기 환자의 정맥으로 삽입한다. 그 후에, 전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니들 캐뉼러(32)는 안전한 처리를 위해 상기 플런저(4)의 상기 공동(41) 안으로 끌려 들어간다.12 and 13, the vein catheter inser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orter barrel 9 tha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barrel 9 has a small diameter portion and a large diameter portion 91, 92 and also has an inner barrel wall surface 936 that defines a passage having open front and rear ends 931, 932. The sleeve wall 511 of the catheter hub 5 is engaged with the open rear end 931. The large diameter portion 92 has a male thread portion 935 for engaging with the female thread portion 425 formed on the outer plunger wall surface of the plunger 4. In use, a nurse grabs the outer barrel wall 934 and pushes the needle cannula 32 as well as the coronary catheter 6 into the patient's vein to allow blood to flow into the barrel 9. Insert it. Thereafter,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needle cannula 32 is drawn into the cavity 41 of the plunger 4 for safe processing.

더욱이, 팁 프로텍터(33)는 상기 니들 캐뉼러(32)와 상기 카테터 허브(5)를 보호하기 위해 배치되고, 상기 배럴(9)의 전방 절반부를 삽입하기 위해 큰 개방 단부(331)를 갖는다. 슬리브 튜브(34)는 상기 플런저(4)를 보호하기 위해 배치되고, 상기 배럴(9)의 후방 절반부를 삽입하기 위해 개방 단부(341)를 갖는다. 따라서, 간호사가 접촉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니들 캐뉼러(32)와 상기 플런저(4)는 상기 팁 프로텍터(33)와 상기 슬리브 튜브(34)에 의해 완전하게 보호된다.Moreover, the tip protector 33 is arranged to protect the needle cannula 32 and the catheter hub 5 and has a large open end 331 for inserting the front half of the barrel 9. The sleeve tube 34 is arranged to protect the plunger 4 and has an open end 341 for inserting the rear half of the barrel 9. Thus, the needle cannula 32 and the plunger 4 are completely protected by the tip protector 33 and the sleeve tube 34 to prevent nurse contac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일회용 주사기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osable syring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1. 상기 플런저 바디(42)를 상기 대직경부(212)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니들 캐뉼러(32)를 삽입한 후에, 상기 사용된 니들 어셈블리(3)는 상기 플런저 바디(42)의 상기 공동(41) 안으로 끌려들어 갈 수 있어, 상기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의 처리를 용이하게 한다.1. After inserting the needle cannula 32 while rotating the plunger body 42 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large diameter portion 212, the used needle assembly 3 is formed of the plunger body 42. It can be drawn into the cavity 41 to facilitate processing of the venous catheter insertion device.

2. 상기 관상 니들 시트(31)의 상기 앵커부(312)가 투과성이 좋고 상기 볼록면(316)을 가지므로, 상기 축방향 관통홀(3121)을 통한 혈액 흐름이 간호사에게 확대되어 보인다.2. Since the anchor portion 312 of the tubular needle sheet 31 has good permeability and has the convex surface 316, the blood flow through the axial through hole 3121 appears enlarged to the nurse.

3. 상기 사용된 니들 어셈블리(3)가 상기 공동(41) 안으로 끌려들어간 후, 간호사는 상기 배럴(2)과 상기 카테터 허브(5)를 제거할 필요 없이 혈액을 상기 통로(21) 또는 상기 채혈 부재(7)로 빨아들이기 위해 상기 플런저 바디(42)를 직접 당길 수 있다.3. After the used needle assembly 3 has been drawn into the cavity 41, a nurse may draw blood into the passage 21 or the blood collection without having to remove the barrel 2 and the catheter hub 5. The plunger body 42 can be pulled directly to suck into the member 7.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Claims (10)

제1 축선을 둘러싸고, 상기 제1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관통홀(516)을 한정하는 팁 벽(512)과,A tip wall 512 surrounding the first axis and defining a through hole 516 extending along the first axis; 상기 제1축선을 따라 상기 팁 벽(512)에 대응하고, 상기 제1 축선을 둘러싸며 상기 관통홀(516)보다 큰 삽입홀(517)을 한정하는 내부 슬리브 벽면을 갖는 슬리브 벽(511) 및A sleeve wall 511 having an inner sleeve wal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tip wall 512 along the first axis and defining an insertion hole 517 that surrounds the first axis and is larger than the through hole 516; 상기 팁 벽(512)과 상기 슬리브 벽(511)의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홀(517)과 상기 관통홀(516)을 통하게 하는 덕트(513)를 한정하며, 대기가 상기 덕트(513)와 소통되도록 연장되는 소통 포트(513)를 갖는 중앙 관상 벽(51)을 포함하는 카테터 허브(5);The duct 513 is inserted between the tip wall 512 and the sleeve wall 511 and defines a duct 513 through the insertion hole 517 and the through hole 516, and the atmosphere is the duct 513. A catheter hub (5) comprising a central tubular wall (51) having a communication port (513) extending in communication therewith; 상기 관통홀(516)에 배치되고 상기 덕트(513)와 소통되도록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근접부(61) 및 상기 팁 벽(512)의 밖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근접부(61)로부터 연장되는 원격부(62)를 포함하는 관상 카테터(6);The proximal portion 61 disposed along the first axis and protruding out of the tip wall 512 and the proximal portion 61 extending along the first axis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duct 513. A coronary catheter (6) comprising a remote portion (62) extending from (61); 서로 대응하여 제2 축선을 둘러싸는 외부 및 내부 배럴 벽면(221, 222)을 구비하고,Having outer and inner barrel wall surfaces 221, 222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urrounding the second axis, 상기 내부 배럴 벽면은 상기 제2 축선에 평행하게 상기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개방 전방 및 후방 단부(223, 224, 931, 932)들을 갖는 통로(21)를 한정하며,The inner barrel wall surface defines a passage 21 having open front and rear ends 223, 224, 931, 932 arrang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arallel to the second axis, 상기 내부 배럴 벽면(222)은 후방 및 전방 통로들을 각각 한정하며, 상기 대직경부(212, 92)와 상기 소직경부(211, 91) 사이에 숄더부(213)를 형성하기 위해 각각 상기 개방 후방 및 전방 단부(224, 223, 932, 931)들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대직경부(212, 92) 및 소직경부(211, 91)를 포함하고,The inner barrel wall surface 222 defines rear and front passages, respectively, and the open rear and back portions respectively to form a shoulder portion 213 between the large diameter portions 212 and 92 and the small diameter portions 211 and 91. A large diameter portion 212, 92 and a small diameter portion 211, 91 disposed adjacent to the front ends 224, 223, 932, 931, 상기 외부 배럴 벽면(221)은 상기 개방 전방 단부(223, 931)에 인접하고 상기 내부 슬리브 벽면에 대해 고정되는 전방부(2211)를 가지며,The outer barrel wall surface 221 has a front portion 2211 adjacent the open front ends 223 and 931 and fixed to the inner sleeve wall surface, 상기 제1축선과 상기 제2축선이 일치되도록 하는 배럴(2, 9);Barrels (2, 9) for causing the first axis and the second axis to coincide; 서로 대응하는 팁 단부 및 고정 단부(321, 322)와, 상기 팁 단부 및 고정 단부(321, 322)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부(323)를 포함하는 니들 캐뉼러(32);A needle cannula (32) comprising a tip end and a fixed end (321, 322)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a central portion (323) positioned between the tip end and the fixed end (321, 322); 상기 통로(21)에 수용되며 상기 제2축선을 따라 연장되며,Is received in the passage 21 and extends along the second axis, 상기 고정 단부(322)를 고정하도록 배치되는 허브 단부(313),A hub end 313 arranged to secure the fixed end 322, 상기 제2축을 따라 상기 허브 단부(313)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고정 단부(322)에 공급 또는 소통되기 위한 축 방향 통로를 한정하고,Extends from the hub end 313 along the second axis and defines an axial passageway for supply or communication to the fixed end 322, 상기 제2축선을 둘러싸고, 맞물린 위치와 맞물림이 해제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2축선의 주위에서 상기 소직경부(211, 91)에 대해 맞물리거나 회전하는 외부 맞물림 벽면을 구비하며,An outer engagement wall surface that surrounds the second axis and engages or rotates about the small diameter portions 211, 91 around the second axis between the engaged position and the disengaged position; 그 위치에서 상기 제2축선을 따라 상기 소직경부(211, 91)에 대해 각각 움직이지 않거나 움직이는 상기 맞물림부(311) 및The engaging portion 311 which is not moved or moves with respect to the small diameter portions 211 and 91 respectively along the second axis at that position and 상기 통로(21)와 소통되기 위한 축방향 관통홀(3121)을 한정하고, 상기 맞물림 벽(311)으로부터 상기 전방 통로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며,Defines an axial through hole 3121 for communication with the passageway 21 and extends from the engagement wall 311 outward of the front passageway, 상기 맞물림 벽(311)이 상기 맞물림 위치에서 상기 맞물림이 해제되는 위치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숄더부(213)에 가까운 접속(hook-up) 위치에서 상기 숄더부(213)로부터 멀리 떨어진 가압된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맞물림 벽(311)과 회전되는 앵커 단부(3122)에서 끝나는 앵커부(312)를 포함하는 관상 니들 시트(31); 및Pressing away from the shoulder portion 213 at a hook-up position close to the shoulder portion 213 when the engagement wall 311 is rotated clockwise from the engagement position to the position where the engagement is released. A tubular needle seat (31) comprising an anchor portion (312) ending at the anchor end (3122) which rotates with the engagement wall (311) to move to a closed position; And 상기 통로(21)에 수용되며, 사용 위치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대직경부(212, 92)를 따라 움직이고, 처리 위치에서 상기 대직경부(212, 92)를 따라 움직이지 않고 상기 대직경부(212, 92)에 대해 회전하며,Is accommodated in the passage 21 and moves along the large diameter portions 212, 9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use position, and does not move along the large diameter portions 212, 92 at the treatment position; 92), 상기 숄더부(213)와 만나도록 배치되는 상단벽(421)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상단벽(421)과 대응하는 하단벽(422)을 포함하고, 상기 하단벽(422)은 상기 플런저(4)가 움직이고 회전하도록 상기 개방 후방 단부(224, 932)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단벽(421)은 상기 제2 축선을 둘러싸고 그 내부에 공동(41)을 한정하는 내부 주변 에지부(424)를 가지며, 상기 공동(41)은 상기 제2 축선을 따라 상기 하단벽(422) 방향으로 연장되고, 감소된 압력에서 유체를 포함하는 플런저 바디(42) 및An upper wall 421 disposed to meet the shoulder portion 213 and a lower wall 422 corresponding to the upper wall 42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ower wall 422 includes the plunger 4. An inner peripheral edge 424 extending outward of the open rear ends 224, 932 so that the top wall 421 surrounds the second axis and defines a cavity 41 therein. Wherein the cavity 41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bottom wall 422 along the second axis, and includes a plunger body 42 containing fluid at a reduced pressure; 상기 앵커 단부(3122)와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상기 플런저(4)가 상기 처리 위치에 있을 때와 상기 맞물림 벽(311)이 맞물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대직경부(212, 92)에 대하여 상기 시계 방향으로 상기 플런저 바디(42)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맞물림 벽(311)이 상기 맞물림 위치에서 상기 맞물림이 해제된 위치까지 회전하게 되며, 그것에 의해 상기 앵커 단부(3122)가 상기 접속 위치에서 상기 가압된 위치까지 움직이는 앵커부(432) 및Disposed to engage the anchor end 3122 in the clockwise direction relative to the large diameter portions 212, 92 when the plunger 4 is in the treatment position and when the engagement wall 311 is in the engaged position. Rotation of the plunger body 42 causes the engagement wall 311 to rotate from the engaged position to the disengaged position, thereby moving the anchor end 3122 from the connected position to the pressed position. Anchor portion 432 and 상기 공동(41)의 상기 유체를 끌어들이기 위해 밀봉 라인을 따라 상기 내부 주변 에지부(424)에 밀폐되도록 부착되고,Is hermetically attached to the inner peripheral edge 424 along a sealing line to draw the fluid in the cavity 41, 상기 밀봉 라인은 상기 밀봉 라인을 쪼개기 위해 상기 앵커 단부(3122)가 상기 접속 위치에서 상기 가압된 위치까지 움직이도록 형성되고, 거기에서 상기 밀봉 부재(43)가 상기 플런저 바디(42)로부터 자유로워지며,The sealing line is formed such that the anchor end 3122 moves from the connecting position to the pressed position to break the sealing line, where the sealing member 43 is freed from the plunger body 42. , 상기 관상 니들 시트(31)는 상기 니들 캐뉼러(32)와 더불어 상기 감소된 압력과 상기 소통 포트(514)를 통해 안내되는 상기 대기 사이의 압력 차이로 인하여 상기 공동(41) 안으로 흡입되는 상기 밀봉 부재(43)에 의해 당겨지고, 여기에서 상기 니들 캐뉼러(32)는 상기 관상 카테터(6)로부터 상기 공동(41) 안으로 끌려 들어가는 밀봉부(434)를 포함하는 밀봉 부재(43)를 포함하는 플런저(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The tubular needle sheet 31 is suctioned into the cavity 41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needle cannula 32 and the reduced pressure and the atmosphere guided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514. Pulled by the member 43, wherein the needle cannula 32 comprises a sealing member 43 including a seal 434 that is drawn from the tubular catheter 6 into the cavity 41. Intravenous catheter insertion device comprising a plunger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허브(5)의 상기 슬리브 벽(511)의 상기 내부 슬리브 벽면에 인접하도록 상기 배럴(2)의 상기 외부 배럴 벽면(221)의 상기 전방부(2211)는 상기 삽입홀(517)의 안으로 삽입되고;2. The front portion 2211 of the outer barrel wall surface 221 of the barrel 2 is inserted into the insert so as to be adjacent to the inner sleeve wall surface of the sleeve wall 511 of the catheter hub 5. Inserted into hole 517; 상기 플런저 바디(42)는 상기 제2 축선을 둘러싸는 외부 플런저 벽면(423)을 구비하며;The plunger body (42) has an outer plunger wall (423) surrounding said second axis; 상기 플런저 바디(42)가 상기 처리 위치에서 상기 대직경부(212, 92)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플런저 바디(42)가 상기 대직경부(212, 92)를 따라 옮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외부 플런저 벽면(423)과 상기대직경부(212, 92)에 각각 제1 수나사부 및 제1 암 나사부(425, 2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To prevent the plunger body 42 from moving along the large diameter portions 212, 92 while the plunger body 42 rotates clockwise relative to the large diameter portions 212, 92 at the treatment position. And a first male threaded portion and a first female threaded portion (425, 225) on the outer plunger wall surface (423) and the large diameter portions (212, 92), respectivel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직경부(211, 91)에 대해 상기 외부 맞물림 벽면이 회전하기 위해 상기 외부 맞물림 벽면과 상기 소직경부(211, 91)에 각기 배치되는 제2 수나사부 및 제2 암나사부(314, 22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3. The second male threaded portion and the second female threaded portion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external engagement wall surfaces and the small diameter portions 211, 91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external engagement wall surfaces so as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small diameter portions 211, 91. Intravenous catheter inser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314, 22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432)는 상기 앵커 단부(3122)를 수용하기 위해 형성되는 리세스(431)를 한정하기 위해 상기 제2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내부 벽을 구비하며,4. The anchor portion (432) of claim 3, wherein the anchor portion (432) has an inner wall extending along the second axis to define a recess (431) formed to receive the anchor end (3122). 서로에 대해 회전하여 상기 앵커부(432)가 상기 앵커 단부(3122)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앵커 단부(3122)와 상기 내부 벽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제3 수나사부 및 제3 암나사부(315, 4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The third male thread portion and the third female thread portion 315 disposed respectively at the anchor end 3122 and the inner wall to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so that the anchor portion 432 is connected to the anchor end 3122. 433), further comprising a vein catheter insertion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434)와 마찰되도록 접촉하기 위해 상기 내부 주변 에지부(424)로부터 방사상으로 상기 제2 축선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밀봉 라인을 형성하는 돌기(424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5. The protrusion 4241 of claim 4, wherein the protrusion 4241 extends radially forward of the second axis from the inner peripheral edge portion 424 so as to frictionally contact the sealing portion 434 to form the sealing line. Intravenous catheter inser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벽(511)의 상기 내부 슬리브 벽면은 상기 제1 축선을 둘러싸는 경계부(519)를 한정하고, 상기 삽입홀(517)과 소통하기 위해 상기 슬리브 벽(511)을 통해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경계부(519)에 대해 상기 소통 포트(514)에 대응하는 리엔트리 포트(515)를 구비하며,The inner sleeve wall surface of the sleeve wall 511 defines a boundary 519 surrounding the first axis and defines the sleeve wall 511 to communicate with the insertion hole 517. A reentry port 515 extending radially through and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port 514 with respect to the boundary 519, 상기 경계부(519)에서 상기 내부 슬리브 벽면과 맞물리는 방어 부재(54); 및A defense member 54 engaged with the inner sleeve wall at the boundary 519; And 상기 방어 부재(54)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관통로(531)를 한정하는 전방 목 단부(534) 및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상기 전방 목 단부(534)로부터 연장되고 내부 인접면(536)을 갖는 후방 플레어 단부(532)를 포함하고,A front neck end 534 connected to the defense member 54 and defining a passageway 531 along the first axis and extending from the front neck end 534 along the first axis and having an inner proximal surface ( A back flare end 532 having 536, 상기 내부 인접면(536)은 상기 제1 축선을 둘러싸며 상기 리엔트리 포트(515)가 소통되도록 연장되는 유체 통로(535)를 한정하고, 상기 내부 인접면(536)은 상기 배럴(2)의 상기 외부 배럴 벽면(221)의 상기 전방부(2211)와 맞물리고, 그것에 의해 상기 니들 캐뉼러(32)가 상기 관통로(531)를 통해 상기 관상 카테터(6)의 바깥쪽으로 연장되기 위해 상기 관통로(531)와 상기 배럴(2)의 상기 통로(21)가 정렬되는 관상 인서트(5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카테터 삽입 장치.The inner proximal surface 536 defines a fluid passageway 535 that surrounds the first axis and extends so that the reentry port 515 communicates with the inner proximal surface 536 of the barrel 2. Meshes with the front portion 2211 of the outer barrel wall surface 221, whereby the needle cannula 32 extends through the passageway 531 to extend outward of the tubular catheter 6. Intravenous catheter inser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ubular insert (53) is aligned with the passage (21) of the furnace (531) and the barrel (2).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개방 전방 및 후방 단부(223, 224, 931, 932)를 갖는 통로(21) 및 상기 개방 전방 단부(223, 931)에 인접하는 전방부(2211)를 갖는 외부 배럴 벽면(221)을 갖는 배럴(2, 9),A passage 21 having an open front and rear ends 223, 224, 931 and 932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ront portion 2211 adjacent to the open front ends 223 and 931. Barrels 2 and 9 having outer barrel wall surfaces 221 having 상기 개방 전방 단부(223, 931)에 넣을 수 있게 수용되는 니들 캐뉼러(32), 그리고A needle cannula 32 received to receive the open front ends 223 and 931, and 상기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통로(21)에 수용되고, 수동으로 작동되도록 상기 개방 후방 단부(224, 932)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감소된 압력에서 유체를 포함하는 공동(41)을 구비하며,A cavity received in the passage 21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xtending outwardly of the open rear ends 224 and 932 to be manually operate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taining fluid at a reduced pressure ( 41), 상기 니들 캐뉼러(32)가 상기 대기와 상기 감소된 압력 사이의 압력 차이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흡입력의 영향을 받자마자 상기 니들 캐뉼러(32)가 상기 공동(41) 안으로 끌려 들어가도록 상기 통로(21) 내에서 상기 니들 캐뉼러(32)와 연결되는 플런저(4)를 포함하는 일회용 주사기로 사용되는 정맥 카테터 장치에 있어서,As soon as the needle cannula 32 is affected by the suction force that occurs as a result of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tmosphere and the reduced pressure, the needle cannula 32 is drawn into the cavity 41 such that In a venous catheter device used as a disposable syringe comprising a plunger (4) connected to the needle cannula (32) in 21), 축선을 둘러싸고, 상기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관통홀(516)을 한정하는 팁 벽(512),A tip wall 512 surrounding the axis and defining a through hole 516 extending along the axis, 상기 축선을 따라 상기 팁 벽(512)에 대응하고, 상기 축선을 둘러싸며 상기 관통홀(516) 보다 큰 삽입홀(517)을 한정하는 내부 슬리브 벽면을 구비하며,An inner sleeve wal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tip wall 512 along the axis and surrounding the axis and defining an insertion hole 517 larger than the through hole 516, 상기 내부 슬리브 벽면은 상기 통로(21)를 상기 관통홀(516)과 정렬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배럴(2)의 상기 외부 배럴 벽면(221)의 전방부(2211)에 대해 고정되기에 적합한 슬리브 벽(511) 및The inner sleeve wall surface is adapted to be secured against the front portion 2211 of the outer barrel wall surface 221 of the barrel 2 to align the passage 21 with the through hole 516. 511) and 상기 팁 벽(512)과 상기 슬리브 벽(511)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내부 슬리브 벽면이 상기 배럴(2)의 상기 외부 배럴 벽면(221)의 상기 전방부(2211)에 대해 고정될 때 상기 니들 캐뉼러(32)가 관통하여 지나기에 적합한 덕트(513)를 한정하고,그리고, 상기 덕트(513)와 대기를 소통하도록 연장되는 소통 포트(514)를 갖는 중앙 관상 벽(51)을 포함하는 카테터 허브(2); 및The needle is inserted between the tip wall 512 and the sleeve wall 511 and when the inner sleeve wall surface is fixed relative to the front portion 2211 of the outer barrel wall surface 221 of the barrel 2. A catheter that defines a duct 513 suitable for passage through the cannula 32 and includes a central tubular wall 51 having a communication port 514 extending to communicate with the duct 513. Hub 2; And 상기 관통홀(516)에 배치되고, 상기 덕트(513)와 소통되도록 상기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근접부(61), 그리고 상기 근접부(61)로부터 상기 축선을 따라 상기 팁 벽(512)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고, 상기 니들 캐뉼러(32)가 상기 덕트(513)를 통하여 지날 때 상기 니들 캐뉼러(32)에 끼워져 상기 니들 캐뉼러(32)가 거기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기에 적합한 원격부(62)를 포함하는 관상 카테터(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카테터 장치.A proximal portion 61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516 and extending along the axis to communicate with the duct 513, and an outer side of the tip wall 512 along the axis from the proximal portion 61. A remote portion adapted to extend outwardly and fit into the needle cannula 32 when the needle cannula 32 passes through the duct 513 so that the needle cannula 32 extends therefrom outward. A tubular catheter device comprising a tubular catheter (6) comprising (6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상 벽(51)은 상기 덕트(513)를 한정하는 내부 관상 벽면 및 상기 방사상 방향으로 상기 내부 관상 벽면에 대응하는 외부 관상 벽면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 관상 벽면은 상기 팁 벽(512)과 유지 숄더(518)를 형성하고, 상기 유지 숄더(518)는 상기 축선을 따라 상기 덕트(513)와 만나고, 상기 근접부(61)는 상기 관통홀(516)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축선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유지 숄더(518)에 인접하며 유지되는 플랜지부(611)에서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카테터 장치.8. The central tubular wall (51)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central tubular wall (51) has an inner tubular wall that defines the duct (513) and an outer tubular wall that corresponds to the inner tubular wall in the radial direction, the inner tubular wall being the A tip wall 512 is formed with a retaining shoulder 518, wherein the retaining shoulder 518 meets the duct 513 along the axis, and the proximal portion 61 is outward of the through hole 516. Intravenous cathet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extends along the axis to protrude and terminates at a flange portion (611) adjacent and retained to the holding shoulder (5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슬리브 벽면은 상기 축선을 둘러싸는 경계부(519)를 한정하며, 그리고 상기 삽입홀(517)과 소통되도록 상기 슬리브 벽(511)을 통해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경계부(519)에 대하여 상기 소통포트(514)에 대응하는 리엔트리 포트(515)를 구비하며,9. The inner sleeve wall surface of claim 8 defines an interface 519 surrounding the axis and extends radially through the sleeve wall 511 to communicate with the insertion hole 517. A reentry port 515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port 514, 탄성 중합체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경계부(519)에서 상기 내부 슬리브 벽면과 맞물리는 방어 부재(54); 및A protective member 54 formed of an elastomeric material and engaged with the inner sleeve wall at the boundary 519; And 상기 방어 부재(54)에 연결되고 상기 축선을 따라 관통로(531)를 한정하는 전방 목 단부(534)와, 상기 축선을 따라 상기 전방 목 단부(534)로부터 연장되고 내부 인접면(536)을 가지는 후방 플레어 단부(532)를 포함하며,A front neck end 534 connected to the defense member 54 and defining a passageway 531 along the axis, and extending from the front neck end 534 along the axis and defining an inner proximal surface 536. The branch includes a rear flare end 532, 상기 내부 인접면(536)은 상기 축선을 둘러싸고 상기 리엔트리 포트(515)와 소통되도록 연장되는 유체 통로(535)를 한정하고, 상기 내부 인접면(536)은 상기 배럴(2)의 상기 외부 배럴 벽면(221)의 상기 전방부(2211)와 맞물리기에 적합하며,The inner proximal surface 536 defines a fluid passageway 535 that surrounds the axis and extends in communication with the reentry port 515, wherein the inner proximal surface 536 defines the outer barrel of the barrel 2. Suitable for engagement with the front portion 2211 of the wall surface 221, 그것에 의해 상기 니들 캐뉼러(32)가 상기 관통로(531)를 통과하여 상기 관상 카테터(6)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관통로(531)가 상기 배럴(2)의 상기 통로(21)와 정렬되는 관상 인서트(5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카테터 장치.The passageway 531 allows the passage 21 of the barrel 2 so that the needle cannula 32 passes through the passageway 531 and extends outwardly of the tubular catheter 6. Intravenous cathet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ubular insert (53) aligned with.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슬리브 벽면은 상기 축선을 둘러싸는 경계부를 한정하고,9. The inner sleeve wall surface of claim 8 wherein the inner sleeve wall defines a boundary surrounding the axis, 상기 경계부에서 상기 내부 슬리브 벽면과 맞물리는 방어 부재(54); 및A defense member 54 engaged with the inner sleeve wall at the boundary; And 상기 방어 부재(54)에 연결되고 상기 축선을 따라 관통로를 한정하는 전방 목 단부(554) 및 상기 축선을 따라 상기 전방 목 단부(554)로부터 연장되는 후방 플레어 단부(552)를 구비하며,A front neck end 554 connected to the defense member 54 and defining a passageway along the axis and a rear flare end 552 extending from the front neck end 554 along the axis, 상기 후방 플레어 단부(552)는 상기 축선을 둘러싸고 유체 통로(551)를 한정하는 내부 인접면과, 상기 유체 통로(551)와 소통되도록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경계부에 대해 상기 소통 포트(514)에 대응하는 리엔트리 포트(555)를 포함하고,The rear flare end 552 extends radially in communication with the fluid passage 551 and an inner proximal surface surrounding the axis and defining a fluid passage 551 and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port 514 for the boundary. Including a reentry port 555, 상기 후방 플레어 단부(552)의 상기 내부 인접면은 상기 배럴(2)의 상기 외부 배럴 벽면(221)의 전방부(2211)와 맞물리기에 적합하며,The inner proximal surface of the rear flare end 552 is adapted to engage the front portion 2211 of the outer barrel wall surface 221 of the barrel 2, 이에 따라 상기 니들 캐뉼러(32)가 상기 관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관상 카테터(6)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관통로가 상기 배럴(2)의 상기 통로(21)와 정렬되는 관상 인서트(5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카테터 장치.Accordingly, the tubular insert is aligned with the passage 21 of the barrel 2 so that the needle cannula 32 passes through the passageway and extends outwardly of the tubular catheter 6. 55) further comprising a venous catheter device.
KR1020030044088A 2003-07-01 2003-07-01 Intravenous catheter inserting device Ceased KR2005000498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088A KR20050004983A (en) 2003-07-01 2003-07-01 Intravenous catheter inser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088A KR20050004983A (en) 2003-07-01 2003-07-01 Intravenous catheter insert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983A true KR20050004983A (en) 2005-01-13

Family

ID=37219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4088A Ceased KR20050004983A (en) 2003-07-01 2003-07-01 Intravenous catheter inser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4983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996B1 (en) * 2008-08-29 2010-05-28 이제수 Needle structure for easy identification of arteries and veins
KR20230114993A (en) 2022-01-26 2023-08-02 한성욱 Iv cathe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996B1 (en) * 2008-08-29 2010-05-28 이제수 Needle structure for easy identification of arteries and veins
KR20230114993A (en) 2022-01-26 2023-08-02 한성욱 Iv cathe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1386B2 (en) Intravenous catheter inserting device
EP1984057B1 (en) Enclosed needle device with fluid path access
US4387879A (en) Self-sealing connector for use with plastic cannulas and vessel catheters
US9308352B2 (en) Retention member and application thereof
US7291130B2 (en) Safety needle and catheter assembly
EP1457229B1 (en) Intravenous catheter inserting device
US9427549B2 (en) Valved catheter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US5352205A (en) Bloodless insertion catheter assembly
US5098395A (en) Medical connector
CN101610809B (en) Catheter assembly and its components
EP1656168B1 (en) Needle with sealing valve
US6652486B2 (en) Safety catheter
KR102090183B1 (en) Fluid transfer device
US20150238747A1 (en) Connector with non-luer compatible access ports'
JP2020509842A (en) Intravenous catheter assembly with cannula safety mechanism
US20250114564A1 (en) Catheter device comprising a levering member
JP2006522646A (en) Safe assembly of needle and catheter
JP2023538929A (en) Blood collection set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20050004983A (en) Intravenous catheter inserting device
JP4078258B2 (en) Venous catheter insertion device
US20240139437A1 (en) Syringe with Suction-Based Automatic Disabling
CN101296719A (en) Needle device for low-vacuum wound drainage system
AU2003204253B1 (en) Intravenous catheter inserting device
JP2023530655A (en) A catheter system that facilitates flashback visualization of blood
BR112022006961B1 (en) CATHET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7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2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07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06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2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