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3387A - 부도관 및 케이블의 설치 방법과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도관 및 케이블의 설치 방법과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03387A KR20050003387A KR10-2004-7017076A KR20047017076A KR20050003387A KR 20050003387 A KR20050003387 A KR 20050003387A KR 20047017076 A KR20047017076 A KR 20047017076A KR 20050003387 A KR20050003387 A KR 200500033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conduit
- conduit
- cross
- sectional area
- sub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fluid as pulling means, e.g. liquid, pressurised gas or suction mea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05—Shaping by direct application of fluent pressur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38—Assembling or joining by string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08—Joining by deforming
- Y10T29/49909—Securing cup or tube between axially extending concentric annuli
- Y10T29/49911—Securing cup or tube between axially extending concentric annuli by expanding inner annulu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313—Means to interrelatedly feed plural work parts from plural sources without manual intervention
- Y10T29/53348—Running-length wor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41)
- 도관내에 부품을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부품이 부도관물로 수리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도관 내에 제공된 부도관물의 단면적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상기 도관에서 상기 부도관물이 차지하는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부품을 포함하는 상기 부도관물의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내 부품 설치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부도관물은 유연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내 부품 설치 방법.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부도관물의 단면적을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부도관물의 상기 재료가 풀려나오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내 부품 설치 방법.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부도관물의 단면적을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면적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부도관물을 기계적으로 팽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내 부품 설치 방법.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부도관물의 단면적을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부도관물을 형성하는 상기 재료를 팽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내 부품 설치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부도관물을 압축가스 공급원에 연결하는 단계, 및상기 부도관물에 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부도관물의 상기 단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압축가스 공급원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내 부품 설치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부도관물에 주입된 가스의 활동으로 상기 부도관물을 통해 부품을 전진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내 부품 설치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부도관물을 중력에 의해 붕괴시키거나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내 부품 설치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위치교환을 통해 상기 부도관물을 상기 도관내로 삽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내 부품 설치 방법.
- 도관내에 부품을 설치하는 시스템에 있어서다양한 단면적을 가지는 부도관물,상기 부품이 상기 부도관물 내에 수리되도록 상기 부도관물의 상기 단면적을 증가시키는 수단, 및상기 도관내에서의 상기 부도관물이 차지하는 부피를 줄이기 위해 상기 부도관물의 상기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내 부품 설치용 시스템.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부도관물은 유연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내 부품 설치용 시스템.
-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부도관물은 복수의 부품을 수리하기 위한 복수의 부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내 부품 설치용 시스템.
-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시스템은 상기 부도관물에 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부도관물의 상기 단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부도관물에 연결 가능한 압축가스 공급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내 부품 설치용 시스템.
-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부도관물에 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부도관물을 통해 부품을 전진시키도록 상기 부도관물에 연결 가능한 압축가스 공급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내 부품 설치용 시스템.
-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부도관물의 상기 재료는 상기 부도관물의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상기 압력 가스 공급원상에서 상기 부도관물으로 풀어지는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내 부품 설치용 시스템.
- 제 15 항에 있어서,상기 부도관물은 상기 부도관물의 소정의 압축화가 발생할 때까지 풀어짐으로 인한 상기 부도관물의 단면적의 증가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유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내 부품 설치용 시스템.
-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부도관물에 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부도관물이 위치교환을 통해 도관내로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부도관물에 연결 가능한 압축가스의 공급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내 부품 설치용 시스템.
- 도관내에 다양한 단면적을 가지는 부도관물을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부도관물을 상기 도관내에 삽입하는 단계, 및상기 도관에서 상기 부도관물이 차지하는 부피를 줄이기 위해 상기 부도관물의 상기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도관물 설치 방법.
- 제 18 항에 있어서,상기 도관에서 상기 부도관물이 차지하는 부피를 줄이기 위해 상기 부도관물의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부도관물내로 부품을 수리하기 위해 상기 부도관물의 단면적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도관물 설치 방법.
-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상기 부도관물은 유연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도관물 설치방법.
- 제 18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부도관물의 단면적을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부도관물을 기계적으로 팽창시키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부도관물 설치 방법.
- 제 18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부도관물의 단면적을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부도관물을 형성하는 상기 재료를 팽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도관물 설치 방법.
- 제 18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부도관물을 압축가스 공급원에 연결하는 단계, 및상기 부도관물에 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부도관물의 단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압축가스 공급원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도관물 설치 방법.
- 제 23 항에 있어서,상기 부도관물에 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부도관물의 단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압축가스 공급원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부도관물을 상기 도관내에 삽입하는 동안에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도관물 설치 방법.
- 제 18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부도관물이 중력에 의해 붕괴되거나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도관물 설치 방법.
- 제 18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가스를 상기 부도관물에 주입하기 위해 상기 압축 가스 공급원을 활성화시키는 상기 단계는 가스가 상기 부도관물을 따라 주입됨에 따라 상기 부도관물을 뒤집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도관물 설치 방법.
- 제 18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부도관물을 뒤집는 단계는 상기 부도관물이 상기 도관내로 삽입되면서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도관물 설치 방법.
- 도관내에 부도관물을 설치하는 시스템에 있어서,다양한 단면적을 가지는 부도관물, 및상기 도관에서 상기 부도관물이 차지하는 부피를 줄이기 위해 상기 부도관물의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도관물 설치 시스템.
- 제 28 항에 있어서,상기 도관에서 상기 부도관물이 차지하는 부피를 줄이기 위해 상기 부도관물의 단면적을 감소시키기 전에, 상기 부도관물내로 부품을 수리하기 위해 상기 부도관물의 단면적을 증가시키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도관물 설치 시스템.
- 제 28 항 또는 제 29 항에 있어서,상기 부도관물은 유연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도관물 설치 시스템.
- 제 28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부도관물은 복수의 부품을 수리하기 위한 복수의 부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도관물 설치 시스템.
- 제 28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시스템은 가스를 상기 부도관물에 주입하여 상기 부도관물의 단면적을 증가시키며, 상기 부도관물에 연결 가능한 압축가스 공급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도관물 설치 시스템.
- 제 32 항에 있어서,상기 압축가스 공급원은 상기 도관내에 상기 부도관물을 삽입하는 동안 상기 부도관물의 단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부도관물로 가스를 주입하도록 동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도관물 설치 시스템.
- 제 32 항 또는 제 33 항에 있어서,상기 압축가스의 공급원은 상기 부도관물에 연결 가능함으로써 상기 압축가스 공급원의 활성이 상기 부도관물로 가스를 주입시켜 상기 부도관물이 뒤집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도관물 설치 시스템.
- 제 34 항에 있어서,상기 부도관물은 상기 부도관물이 부풀어 오르는 동안 뒤집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도관물 설치 시스템.
- 부도관에 있어서,부품이 상기 부도관내에 수리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부도관의 단면적이 증가될 수 있고,상기 부도관물이 차지하는 부피를 줄이기 위해 상기 부품을 포함하는 상기 부도관의 단면적은 감소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도관.
- 제 36 항에 있어서,상기 부도관의 재료는 상기 부도관의 단면적을 증기시키기 위해 풀어질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도관.
- 제 37 항에 있어서,상기 재료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나선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도관.
- 제 36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부도관내로 압력 가스 공급원을 수리하고, 상기 부도관의 단면적이 상기 압력 가스 공급원에 의해 증가되도록 되어 있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도관.
- 제 36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압력 가스의 활동을 통해 상기 부도관내로 들어가는 사용되는 부품을 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도관.
- 제 36 항 내지 제 4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부도관의 재료는 상기 부도관의 단면적이 증가된 이후에, 상기 재료가 상기 부도관의 단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해 중력에 의해 붕괴될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도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02252828A EP1357651A1 (en) | 2002-04-23 | 2002-04-23 | Method and system of subduct installation |
EP02252828.5 | 2002-04-23 | ||
GB0306848A GB0306848D0 (en) | 2003-03-25 | 2003-03-25 | Method and system of subduct & cable installation |
GB0306848.3 | 2003-03-25 | ||
PCT/GB2003/001629 WO2003092134A1 (en) | 2002-04-23 | 2003-04-15 | Method and system of subduct & cable installa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03387A true KR20050003387A (ko) | 2005-01-10 |
KR100966449B1 KR100966449B1 (ko) | 2010-06-28 |
Family
ID=29271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7017076A Expired - Fee Related KR100966449B1 (ko) | 2002-04-23 | 2003-04-15 | 부도관 및 케이블의 설치 방법과 시스템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7866022B2 (ko) |
EP (1) | EP1497899B1 (ko) |
JP (1) | JP4236633B2 (ko) |
KR (1) | KR100966449B1 (ko) |
CN (1) | CN100511890C (ko) |
AU (1) | AU2003219342B2 (ko) |
CA (1) | CA2483299C (ko) |
WO (1) | WO200309213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479137A (en) | 2010-03-29 | 2011-10-05 | Miniflex Ltd | Sub-duct for cables having lines of flexibility for expansion and contraction |
WO2023107805A1 (en) * | 2021-12-07 | 2023-06-15 | Milliken & Company | Blowable flexible innerduct |
US20230175612A1 (en) | 2021-12-07 | 2023-06-08 | Milliken & Company | Blowable flexible innerduct |
WO2024249209A1 (en) * | 2023-06-01 | 2024-12-05 | Milliken & Company | Elongated enclosed pathway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434113A (en) | 1987-07-30 | 1989-02-03 | Kansai Electric Power Co | Device for introducing induction wire to pipe line |
DE3731611A1 (de) | 1987-09-19 | 1989-03-30 | Kumpf Ursula |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nachtraeglichen einziehen von kabeln in kabelschutzrohre |
JPH0352508A (ja) | 1989-07-19 | 1991-03-06 | Furukawa Electric Co Ltd:The | ケーブルの後布設方法 |
JP3232312B2 (ja) | 1992-10-02 | 2001-11-26 | 杉江製陶株式会社 | 導線装置 |
NL1001960C2 (nl) * | 1995-12-21 | 1997-06-24 | Nederland Ptt | Werkwijze voor het installeren van een buis of een bundel buizen in een bestaand buisvormig kanaal. |
JPH10248131A (ja) | 1997-03-04 | 1998-09-14 | Nippon Komushisu Kk | ケーブルの敷設および撤去方法 |
US6026900A (en) * | 1998-06-15 | 2000-02-22 | Keller; Carl E. | Multiple liner method for borehole access |
US6262371B1 (en) * | 1999-06-23 | 2001-07-17 | Marc Talon,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dividing a conduit into compartments |
JP2001136621A (ja) | 1999-11-09 | 2001-05-18 | Nippon Comsys Corp | チューブ反転式通線装置 |
WO2001096092A1 (en) * | 2000-06-09 | 2001-12-20 | Fiberliner Networks | Method and apparatus for lining a conduit |
US6571833B1 (en) | 2000-07-14 | 2003-06-03 | Milliken & Company | Optic cable conduit insert and method of manufacture |
US6398190B1 (en) | 2000-10-30 | 2002-06-04 | Milliken & Company | Cable assembly and method |
-
2003
- 2003-04-15 CA CA2483299A patent/CA2483299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4-15 WO PCT/GB2003/001629 patent/WO200309213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3-04-15 EP EP03715152.9A patent/EP1497899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04-15 CN CNB038126192A patent/CN100511890C/zh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04-15 AU AU2003219342A patent/AU2003219342B2/en not_active Ceased
- 2003-04-15 KR KR1020047017076A patent/KR100966449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4-15 US US10/512,198 patent/US7866022B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04-15 JP JP2004500382A patent/JP4236633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U2003219342B2 (en) | 2008-09-04 |
JP2005524372A (ja) | 2005-08-11 |
KR100966449B1 (ko) | 2010-06-28 |
US7866022B2 (en) | 2011-01-11 |
JP4236633B2 (ja) | 2009-03-11 |
CN1659755A (zh) | 2005-08-24 |
CN100511890C (zh) | 2009-07-08 |
CA2483299C (en) | 2012-10-23 |
EP1497899B1 (en) | 2017-08-16 |
CA2483299A1 (en) | 2003-11-06 |
EP1497899A1 (en) | 2005-01-19 |
AU2003219342A1 (en) | 2003-11-10 |
US20050198798A1 (en) | 2005-09-15 |
WO2003092134A1 (en) | 2003-1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142594C1 (ru) | Способ извлечения уложенного в земле пустотелого объекта | |
AU2002328732B2 (en) | Installation assemblies for pipeline liners, pipeline liners and methods for installing the same | |
RU2145660C1 (ru) | Надувной трубчатый рукав для трубооборудования или уплотнения скважины или трубы | |
US5034180A (en) | Method for installing a substantially rigid thermoplastic pipe in an existing pipeline | |
AU5275790A (en) | Improvements relating to flexible tubular structures,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and pipes and pipe linings formed from said flexible tubular structures | |
US20030088249A1 (en) | Device for straightening and stabilizing the vertebral column | |
EP2844905B1 (en) | Liner assembly for pipeline repair or reinforcement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 |
RU1835025C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установки ремонтного материала в зоне ремонта внутренней стенки ремонтируем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 |
US20110120499A1 (en) | Method and System for an Injectable Foam Pig | |
CN101981327A (zh) | 组装复合材料的方法和实施该方法的铆接部件 | |
KR100966449B1 (ko) | 부도관 및 케이블의 설치 방법과 시스템 | |
KR102048524B1 (ko) | 비굴착 관로 부분 보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보수 보강 방법 | |
KR100784192B1 (ko) | 비 굴착식 관보수용 팩커를 이용한 비 굴착식 관 보수방법 | |
EP0461644B1 (de) | Verfahren zum Verbiegen verformbarer bzw. verbiegbarer Rohre und Vorrichtung zu seiner Durchführung | |
HU209197B (en) | Pipe connection | |
WO2003069211A1 (en) | Method for lining a pipe or main | |
CA1176224A (en) | Method and tool for inserting an overdimensioned elastic body in a cavity | |
EP1015805A1 (en) | Method of rehabilitating an existing pipeline | |
WO2002027159A2 (de) | Schalldämpferanlage eines kraftfahrzeuges mit variabler dämpfungscharakteristik | |
CN110409826A (zh) | 一种穿墙螺杆用套管及应用有该套管的穿墙组件 | |
EP0404256B1 (en) | Procedure for the widening of a passage in the ground | |
EP2186177A1 (en) | Device for expanding a tubular elastic body | |
PL210840B1 (pl) | Sposób układania w kanale kablowym, za pomocą sprężonego powietrza, liny wyposażonej w prowadnik i urządzenie układające w kanale kablowym, za pomocą sprężonego powietrza, linę wyposażoną w prowadnik | |
FI79958B (fi) |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utformande av en utvidgning i ett metallroer samt med en dylik utvidning foersedd stolpe. | |
JP2003309914A (ja) | 電力ケーブル接続用ゴム絶縁筒拡径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4102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1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6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6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