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02263A -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2263A
KR20050002263A KR20030043632A KR20030043632A KR20050002263A KR 20050002263 A KR20050002263 A KR 20050002263A KR 20030043632 A KR20030043632 A KR 20030043632A KR 20030043632 A KR20030043632 A KR 20030043632A KR 20050002263 A KR20050002263 A KR 20050002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ilure
identification number
network
management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43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4392B1 (ko
Inventor
성종규
황찬규
김기응
박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30043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4392B1/ko
Publication of KR20050002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2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392B1/ko

Links

Landscapes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규모 망에서 장애 관리를 위한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지역 게이트웨이 장치에서 1차 필터링 되어 전송되는 장애 이벤트들을 2차 필터링 하여, 장애 이벤트들 중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비 및 포트, 링크 관련 장애 이벤트들은 장애 알람 처리하고, 대형 장애 관련 장애 이벤트들은 객체트리 ID를 이용하여 해당 장애의 위치를 추적하여 장애 처리한다.
이와 같이 하면, 망 자원에서 장애 발생시 이중 필터링과 망 요소에 대한 객체트리 ID를 이용해 장애의 위치를 추적하여 관리함으로써 망 요소들간의 상관 관계가 쉽게 파악되고, 정확하고 신속한 장애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복잡한 장애 이벤트의 상관 관계를 고려하지 않고도 대형 장애를 처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NETWORK FAILURE}
본 발명은 대규모 망에서 장애 관리를 위한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인터넷 서비스가 IP를 이용한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고, 이러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망사업자는 대개 라우터나 스위치 등으로 망을 구성하여 신규 서비스를 수용하고 있다.
최근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의 성공적인 출범으로 인해 라우터나 스위치 등을 이용한 망요소는 급속한 증가하고 있으며, 이미 대단위의 망을 형성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의 대부분의 인터넷 환경은 매트로 이더넷, 전용회선, 무선랜 등의 다양한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는 액세스망에서 가입자의 트래픽을 수용하고, 이를 스위치와 라우터로 구성된 백본망으로 전달하여 백본망에서 서버 접속, 타 ISP 사업자와의 연결, 또는 해외라인으로 접속하도록 한다.
이러한 IP 계열의 장치로 이루어진 망을 유지 관리는 망 관리 시스템은 가입자를 수용하기 위한 스위치와 라우터 장치, 및 이를 서버군과 타 ISP 사업자나 해외라인으로 트래픽을 수송하기 위한 백본의 장치에 대한 장애를 신속 정확하게 파악하고 조치를 취해야 한다.
따라서, 망관리 시스템은 대규모 IP망에서 몇 대의 장치를 관리하는 수준의 장애처리 방안이 아니라, 수만에서 수십만 포트의 장치를 동시에 장애 처리하여 전국적인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 망관리 시스템은 대규모 IP망에서 수만에서 수십만에 이르는 장애 데이터를 신속히 추출하며 가공 분석하여 정확한 장애를 발생시키는 장치 또는 포트를 찾아내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 망관리 시스템은 수만에서 수십만 포트의 장치를 동시에 장애처리하여 전국적인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지 못하고 있고, 망 사업자도 복잡한 서비스들, 특히 운용 관리 기능인 장애와 성능 관리의 기능은 통합적으로 수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갈수록 망요소가 되는 스위치나 라우터 장치와 그 포트의 수는 다양한 서비스의 수용과 더불어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망요소들을 관리하기 위하여 각각의 서비스 단위로 각 망관리 시스템을 도입하는 데에는 망사업자의 비용 부담이 너무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대규모 IP 망에서 장애 발생시 장애의 정확한 위치를 추적하고, 대형 장애에 대한 신속한 장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망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망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객체트리 ID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도 5h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객체트리 ID를 부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계위 ID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대규모 망에서 장애 발생시 객체트리 ID와 이중 필터링을 통해 정확하고 신속한 장애 처리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특징에 따른 망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시스템은,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장애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장애 이벤트 정보들을 1차 필터링 하여 동일 주기 내의 장애 이벤트들을 단일 그룹화 하여 전송하는 지역 게이트웨이 장치; 및 상기 지역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장애 이벤트들 2차 필터링 하여, 상기 장애 이벤트들 중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비 및 포트, 링크 관련 장애 이벤트들은 장애 알람 처리하고, 대형 장애 관련 장애 이벤트들은 해당 장애의 위치를추적하여 장애 발생 객체와 상관 관계에 있는 객체들을 포함하여 장애 처리하는 장애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지역 게이트웨이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로 주기적인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ICMP) 핑 테스트를 수행하고, 그 테스트 결과를 전송하는 핑(ping) 시험기;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간이 망관리 프로토콜(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을 이용해 접속하여 주기적으로 각 장비의 포트 상태와 트랩 정보를 수집하고, 그 수집 결과를 전송하는 SNMP 처리기;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서 전송되는 원격 로그 정보를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형태로 변환한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는 로그정보 처리기; 및 상기 핑 시험기, SNMP 처리기, 또는 로그정보 처리기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1차적으로 필터링 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비 관련 장애 상황이 탐지되면 해당 장비에 속한 모든 포트의 장애 이벤트를 단일 그룹화 하여 상기 장애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1차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NMP 처리기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운용 상태를 설정 주기 동안 읽어들여 각 네트워크 장비의 포트의 업/다운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운용 상태 감시부; 및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서 전송되는 트랩 정보들을 파싱(parsing)하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이벤트 정보를 상기 1차 필터로 전송하는 트랩 파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애 관리 서버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를 물리적, 논리적 객체트리 형태로 관리하며, 각 객체마다 ID를 부여하여 객체트리 ID를 관리하는 자원 객체 관리기; 상기 지역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장애 이벤트를 저장하는 버퍼; 상기 버퍼 내의 장애 이벤트를 감시하다가 장애 발생 종류별 상기 장애 이벤트를 추출하여 알람 처리하는 알람 처리기; 상기 버퍼에 저장되는 장애 이벤트 중에서 링크에 속하는 장애 이벤트는 링크 장애로 알람 처리하는 링크 장애 처리기; 상기 알람 처리기 또는 링크 장애 처리기에서 알람 처리 후 전송하는 이벤트의 대형 장애 여부를 조사하고, 상기 자원 객체 관리기의 객체트리 ID를 이용하여 대형 장애 발생 객체의 위치를 추적하는 2차 필터; 및 상기 2차 필터를 통해 대형 장애 발생 객체의 하위에 있는 모든 객체트리 ID에 대해 대형 장애 처리하는 대형 장애 관리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원 객체 관리기의 상기 객체트리 ID는, 상기 객체의 물리적, 논리적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객체 ID와, 상기 객체의 상위 레벨 관계를 나타내는 계위 ID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객체 ID는, 망 식별번호, 장비 식별 번호, 링크 식별 번호, 샤시(chassis) 식별 번호, 모듈 식별 번호, 카드 식별 번호, 포트 식별 번호, 논리포트 식별 번호를 차례로 부여하여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객체 ID는, 하위 레벨의 객체는 자신이 속한 상위 레벨의 객체 ID를 포함하여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필터는, 상기 자원 객체 관리기의 객체트리 ID를 이용하여 특정 레벨에 속한 객체트리 ID의 장애 탐지시, 상기 객체트리 ID의 하위 레벨에 속한 객체트리 ID의 장애 상황은 무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 번째 특징에 따른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방법은, A)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장애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고, 장애 발생 종류별 상기 장애 이벤트 정보들을 분류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비 및 포트 관련 장애 발생한 장애 이벤트 정보를 추출하여 알람 처리하고, 상기 링크 관련 장애 발생한 장애 이벤트 정보를 추출하여 알람 처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A) 단계에서 대형 장애 관련 장애 발생한 장애 이벤트들은 해당 장애 발생 객체의 위치를 추적하여 상기 장애 발생 객체와 상관 관계에 있는 객체들을 포함하여 대형 장애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에서 장애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로 주기적으로 장애 감시하는 지역별 게이트웨이 장치가 상기 장애 데이터를 1차적으로 필터링 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비 관련 장애 상황이 탐지되면 해당 장비에 속한 모든 포트의 장애 이벤트를 단일 그룹화 하여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장애 이벤트를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각 개체마다 고유 ID를 부여하여 물리적, 논리적 객체트리 ID를 생성하고, 상기 객체트리 ID를 이용해 상기 장애 이벤트를 분석하여 장애 발생 종류와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애 이벤트를 1차적으로 필터링 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트리 ID를 이용하여 특정 레벨에 속한 객체트리 ID의 장애 탐지시, 상기 객체트리 ID의 하위 레벨에 속한 객체트리 ID의 장애 상황은 무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대형 장애를 처리하는 단계는, a) 상기 B) 단계의 알람 처리 결과에 대한 이벤트를 전달받아 2차적으로 필터링 하여 대형 장애 여부를 조사하고, 상기객체트리 ID를 이용하여 대형 장애 발생 객체의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의 2차적으로 필터링한 결과를 통해 대형 장애 발생 객체의 하위에 있는 모든 객체트리 ID에 대해 대형 장애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객체트리 ID는, 상기 객체의 물리적, 논리적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객체 ID와, 상기 객체의 상위 레벨 관계를 나타내는 계위 ID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객체 ID는, 하위 레벨의 객체는 자신이 속한 상위 레벨의 객체 ID를 포함하여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객체 ID는, 망 식별번호, 장비 식별 번호, 링크 식별 번호, 샤시(chassis) 식별 번호, 모듈 식별 번호, 카드 식별 번호, 포트 식별 번호, 논리포트 식별 번호를 차례로 부여하여 생성되는
상기 객체 ID는, 상기 망 식별 번호가 각 서비스 도메인별로 부여된 고유 ID를 이용하여 생성되고, 장비 식별 번호는 해당 장비가 속한 지역 본부와 국소번호, 장비의 종류, 일련번호를 붙여서 생성되고, 상기 링크 식별 번호는 각 장비간에 속한 논리적인 객체로 정의하고, 상기 샤시 식별 번호는 각 장비에 속한 물리적인 객체로 정의하고, 상기 모듈 식별 번호 각 새시에 속한 물리적인 객체로 정의하고, 상기 카드 식별 번호 각 모듈에 속한 물리적인 객체로 정의하고, 상기 포트 식별번호는 장비에 속한 물리적인 객체로 정의하고, 상기 논리포트 식별 번호는 각 포트에 속한 논리적인 객체로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망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 관리 시스템은 타 시스템과의 연동 관리 장치(10), GUI(Graphic User Interface) 관리 장치(20), 권한 및 계정 관리 장치(30), 서버 관리 장치(40), 장애 관리 장치(50), 성능 관리 장치(60), 구성 관리 장치(70), 및 데이터베이스(80)를 포함한다.
장애 관리 장치(50)는 장애의 검출, 분리, 이상 동작의 감지하고, 성능 관리 장치(60)는 효율적인 통신을 할 수 있는 것에 대한 평가하며, 구성 관리 장치(80)는 네트워크 장비 구성의 관리를 담당한다.
이와 같은, 망 관리 시스템이 장애의 검출을 하기 위한 데이터의 수집 방법은 크게 3가지의 방안이 있다.
첫 번째로, 장애 검출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방안은 장애 검출을 위한 관리망(Data Communication Network)을 구축하는 방안인데, 이는 비용이 많이 들고, 관리망 자체에서 장애 발생시 장애 상황이 감지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두 번째로, 장애 검출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방안은, 망 관리 시스템을 중앙 서버와 지역별 게이트웨이 시스템으로 구분하여 지역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모든 원시 장애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결과를 중앙 서버에서 수집하여 장애 데이터로 가공하는 것이다.
세 번째로, 중앙 서버가 모든 장애 관련 데이터를 수집 및 가공하는 것인데, 이는 서버의 성능이 아주 우수해야 하며, 대규모 망을 관리하기에 적합한 서버를 찾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시스템은 위에서 제안한 두 번째 방안을 응용하여 일반 IP 망을 비롯해 대규모 망의 장애 관리를 수행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시스템은 크게 지역 게이트웨이 장치(100)와 장애 관리 서버(200)를 포함한다.
지역 게이트웨이 장치(100)는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장애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장애 이벤트 정보들을 1차 필터링 하여 동일 주기 내의 장애 이벤트들을 단일 그룹화 하여 전송한다.
지역 게이트웨이 장치(100)는 네트워크 장비와 그 장비에 속한 포트의 장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4가지를 방식을 이용한다.
1. PING(packet internet groper)은 해당 장비에 ICMP PING 테스트를 수행하여, ECHO가 없거나 TIME OUT이 되는 현상이 발생하면 장애 상황으로 인식한다.
2. SNMP 폴링은 SNMP를 이용하여 IF 테이블의 ifOperStatus 항목을 주기적으로 폴링하여, 장치의 포트의 장애 여부를 확인하는데, SNMP로 바인딩조차도 안되는 경우는 해당 장치의 장애 상황으로 인식한다.
3. SNMP 트랩(TRAP)은 지역별로 존재하는 게이트웨이 장치(100)를 트랩 호스트로 지정하여, 장비에서 발생하는 SNMP 트랩 정보를 전달하여 수집하고, 표준 트랩인 링크 업/다운(link up, link down)은 포트의 장애 여부를, cold start, warm start는 장치의 장애 여부에 활용한다.
4. 원격로그(SYSLOG)는 장비에서 관리되고 있는 로그를 원격으로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장비에서 SYSLOG 호스트를 지역별로 존재하는 게이트웨이 장치(100)로 지정하여 장비에서 유지 관리하는 로그정보를 원격으로 전송받는다. 지역 게이트웨이 장치(100)는 이 로그 정보들 중에서 포트의 활성화/비활성화와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여 포트의 장애 정보로 활용하며, 장치의 이상 유무에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여 장치 장애 정보로 활용한다.
이와 같이, 지역 게이트웨이 장치(100)는 핑 시험기(110), SNMP 처리기(120), 로그정보(SYSLOG) 처리기(130), 1차 필터(140)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핑 시험기(110)는 네트워크 장비로 주기적인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ICMP) 핑 테스트를 수행하고, 그 테스트 결과를 1차 필터(140)로 전송한다.
SNMP 처리기()는 운용 상태 감시부(121)와 트랩 파싱부(122)로 구분되는데, 운용 상태 감시부(121)는 설정된 주기(T) 동안에 각 장비의 IP 주소정보와 설정된 커뮤니티(COMMUNITY) 정보를 가지고 장비에 간이 망 관리 프로토콜(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을 이용하여 접속한다.
그 후, 운용 상태 감시부(121)는 ifOperStatus( SNMP OID(Object ID) 값 : 1.3.6.1.2.1.2.2.1.8) 을 읽어와서 각 장비의 포트의 업/다운(UP/DOWN)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1차 필터(140)에 전송한다.
트랩 파싱부(122)는 네트워크 장비에서 수집되는 다수의 트랩 정보 중에서 망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하도록 등록되어 있는 타입의 정의에 따라 정보를 파싱하여 망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포맷으로 변환하여 이벤트화하고, 이 이벤트 정보를 1차 필터(140)로 전송한다.
SYSLOG 처리기(130)는 장비에서 전송되는 원격 로그 정보를 지역 게이트웨이 장치(100)의 로그 서버 데몬의 설정값으로 변경하여 특정 파일 형태로 저장하도록 한 후에, 이 저장되어 있는 원격 로그 정보를 파싱하여 네트워크 장비에서 사용되는 포맷으로 변환하여 이벤트화하고, 이 이벤트 정보는 1차 필터(140)로 전송한다.
1차 필터(140)는 각 지역 게이트웨이 장치(100)에서 관리하고 있는 모든 객체들의 장애 프로파일을 관리하며, 일차적인 필터링 작업을 수행한다.
즉, 1차 필터(140)는 네트워크 장비의 다운으로 트랩이 발생한다든지, 아니면 네트워크 장비의 대표 IP에 몇 차례 핑 테스트를 수행하여 장비의 다운이 탐지되거나, 원격 전송되는 네트워크 장비의 로그 정보에서 장비의 물리적인 에러로 인한 장애 상황이 모니터링 되는 경우에 해당 장비에 속한 모든 포트를 다운으로 인식한다.
그리하여, 1차 필터(140)는 장애가 발생한 네트워크 장비에 속한 포트 장애 이벤트, 동일 주기 내에 속한 모든 장애 이벤트를 하나의 그룹화 하여 장애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처럼, 1차 필터(140)에서 동일 주기 내의 장애 이벤트를 단일 그룹으로 처리하게 되면, 지역 게이트웨이 장치(100)와 장애 관리 서버(200)사이의 통신의 부담과 시스템의 부하가 줄어들게 된다.
한편, 장애 관리 서버(200)는 지역 게이트웨이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장애 이벤트들 2차 필터링 하여, 네트워크 장비 및 포트, 링크 관련 장애 이벤트들은 장애 알람 처리하고, 대형 장애 관련 장애 이벤트들은 해당 장애의 위치를 추적하여 장애 발생 객체와 상관 관계에 있는 객체들을 포함하여 장애 처리한다.
이러한 장애 관리 서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210), 자원 객체 관리기(220), 알람 처리기(230), 링크 장애 처리기(250), 대형 장애 관리기(260)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버퍼(210)는 지역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장애 이벤트를 저장한다. 이때, 버퍼(210)는 장애 이벤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80)의 테이블로 만들어도 되고, 시스템의 메모리를 이용하여 만들어도 되고, 파일 형태로 보관할 수도 있다. 버퍼(210)는 각 시스템의 운용 환경을 고려하여 최적을 방안을 활용하여 장애 이벤트 정보를 저장한다.
자원 객체 관리기는 네트워크 장비를 물리적, 논리적 객체트리 ID 형태로 관리한다.
객체트리 ID는 객체의 물리적, 논리적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객체 ID와, 상기 객체의 상위 레벨 관계를 나타내는 계위 ID로 구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객체트리 ID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5a~도 5h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객체트리 ID를 부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자원 객체 관리기(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리적이거나 논리적인 객체들을 트리 형태로 관리하는데, 모든 객체에 유일한 키 값을 부여하여 관리한다.
객체 ID에는 최상위 레벨에 루트(root)가 존재하며, 망 식별번호, 장비 식별 번호, 링크 식별 번호, 샤시(chassis) 식별 번호, 모듈 식별 번호, 카드 식별 번호, 포트 식별 번호, 논리포트 식별 번호가 차례로 부여된다.
자원 객체 관리기(220)는 우선 각 서비스 도메인별로 무선랜, 매트로 서비스, ntopia, 백본, 액세스 계 등으로 다양하게 필요에 따라 망 자원을 구분한다. 이러한 망자원은 망 관리 시스템에서 장애나 성능, 그리고 각 서비스별 다양한 보고서의 생성을 위하여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망 식별번호는 도메인에 따라서 ID 를 부여하는데, 예를 들면 네스팟은 1번, 매트로 이더넷 접속 서비스는 2번, ntopia 서비스는 3번, 백본은 4번, 액세스 망은 5번 등으로 사용한다.(도 5a)
장비의 식별번호는 2를 부여하고, 장비의 고유ID는 지역본부와 국소번호, 그리고 장비의 종류, 일련번호를 붙여서 고유한 객체 ID로 생성된다.(도 5b)
즉, 장비 식별번호는 도메인(1자리) + 객체 구분자(1자리) + 지역본부(2자리) + 국소번호(3자리) + 장비종류(2자리) + 일련번호(3자리)로, 예를 들면 4.24243512005와 같이 부여된다.
링크가 논리적인 객체이며 각 장비에 속해보이지만 실제로 단독의 장치에 대하여는 의미가 없으므로, 링크 식별번호는 각 장치간에 속한 논리적인 객체로 정의하여 장비와 같은 레벨로 분류한다.(도 5c)
예들 들면, 링크 식별 번호는 3을 부여하는데, 도메인(1자리) + 객체 구분자(1자리) + 일련번호는 8자리를 부여한다. 일례로, 링크 식별 번호는 4.300000032와 같이 부여된다.
링크는 대국 포트의 값이 존재해야 의미가 있으므로 대국이 되는 포트들의 조합 값을 포함하든지 아니면, 데이터베이스(80)의 각 테이블 레코드에 값을 저장하여 활용한다.
샤시(chassis)는 각 장치에 속한 물리적인 객체이므로 장비 다음의 레벨에 사용하는데, 샤시 식별번호는 4를 부여하고, 샤시 인덱스(chassis index(chas)) 값은 2자리로 표현한다(도 5d). (예) 4.24243512005.401
모듈(module)은 샤시에 속한 물리적인 객체이므로 샤시 다음의 레벨에 사용하는데, 모듈 식별번호는 5를 부여한다.(도 5e) (예) 4. 24243512005.401.502
카드는 모듈에 속한 물리적인 객체이므로 모듈 다음의 레벨에 사용하는데 카드 식별번호는 6을 부여한다.(도 5f)
카드 식별번호는 모듈 객체트리 ID + 객체 구분자 (1자리) + index(2자리)로, 예들 들면 4. 24243512005.401.501.612와 같이 부여된다. (도 5g)
포트는 장비에 속한 물리적인 객체로 포트 식별번호는 7을 부여하는데, 장비 객체트리 ID + 객체 구분자(1자리)+ 포트 타입(2자리) + sequence(4자리)로 부여한다.(도 5h) (예) 4. 24243512005.7010005
논리적 포트는 각 포트에 속한 논리적인 객체이므로 포트 다음의 레벨에 사용하고, 논리적 포트 식별번호는 8을 부여한다. 이때, 논리적 포트식별 번호는 포트 객체트리 ID + 객체 구분자( 1자리) + ifnumber(5자리)로 부여하는데, 인터페이스번호(ifnumber)를 함께 표현한다.(예) 4. 24243512005.7010005.800001
논리적인 포트에는 서브 포트(sub port), 가상랜(VLAN) 등이 있다.
이와 같이, 객체 ID는 각 하위 레벨의 객체가 자기가 속한 상위 레벨의 객체 ID를 포함하여 정의되도록 한다. 따라서, 객체 ID는 각 객체들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트리 상에서 어떤 위치에 존재하며, 어떤 포함 관계를 가지는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객체 ID만으로는 각 장치 및 포트들의 상관관계를 일목 요연하게 알 수 없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계위 ID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자원 객체 관리기(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장비에 대하여 각 계위별 ID를 부여한 계위 ID를 사용한다. 계위 ID는 링크에 속한 장치들 간의 상관관계에 사용된다.
이렇게 자원 객체 관리기(220)가 해당 링크의 정보를 저장하는 프로파일에 대국에 되는 장비의 객체 ID와 계위 ID를 저장하고, 1차 필터(140) 또는 2차 필터(240)는 자원 객체 관리기(220)에서 객체 ID와 계위 ID를 읽어들여 이를 필터링에 이용한다.
즉, 1차 필터(140)나 2차 필터(240)는 4.300000032 (링크 트리 ID) + 상위 장비 계위 ID + 하위 장비 계위 ID와 같은 값을 이용하여 모든 링크에 대하여 해당 링크가 망에서 어떤 위치에 존재하며, 어떤 장비와 어떤 장비를 연결하는 링크인지를 직관적으로 알게 된다.
1차 필터(140)는 자원 객체 관리기(220)의 객체트리 ID를 이용하여 상위의 레벨에 속한 객체 ID의 장애가 탐지되면, 해당 객체 ID의 하위 레벨의 장애는 의미가 없으므로 하위 레벨의 장애는 아주 손쉽게 필터링 할 수 있다.
1차 필터(140)에서 객체트리 ID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 장비에 속한 포트에 대한 이벤트 처리는 수행이 되지만, 논리 포트들과 그 논리포트가 속한 장비와 포트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힘들어진다.
알람 처리기(230)는 항시 버퍼(210)를 감시하다가, 장애 이벤트를 추출하여 알람 처리를 수행한 후에 해당 이벤트를 2차 필터(240)로 보낸다.
알람 처리기(230)에서 추출되는 대상이 되는 알람은 주로 링크로서, 이 링크 정보는 지역 게이트웨이 장치(100)에 존재하지 않고 장애 관리 서버(200)에서만 관리를 한다.
따라서, 링크 장애 처리기(250)는 지역 게이트웨이 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장애 이벤트의 객체트리 ID 중에서 링크에 속한 장애 이벤트를 추출하여 해당 링크를 장애로 알람 처리하고, 해당 이벤트를 2차 필터(240)로 전달한다.
링크 장애 처리기(250)에서 링크 장애를 바로 알람 처리하는 이유는 각 링크의 장애 건별은 신속히 처리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2차 필터(240)는 대형 장애 프로파일 정보를 가지고 있어 정확한 장애의 위치 추적하고, 대형 장애 관리기(260)는 2차 필터(240)에서 추적한 장애의 위치에 통해 대형 장애에 대한 장애 처리를 수행한다.
망 관리 운용자는 대형 장애 프로파일에 속한 장애 이벤트의 알람 처리 요청이 발생하면 다른 알람보다 최우선적으로 처리한다.
이때, 대형 장애 프로파일은 객체 ID, 계위 ID, 타입, 발생 시각 등의 정보를 가진다.
여기에서 타입은 장비를 기준으로 하위 계위 방향으로 링크의 이중화 여부에 대한 방안이다. 대부분 망 사업자가 망의 생존성을 높이기 위하여 백본망에 대하여 링크를 이중화하여 운용하고 있다. 따라서 하나의 링크에 대한 장애가 발생하면, 다른 경로를 통하여 자동으로 경로 우회하여 대형 장애에 대하여 대비하고 있다.
링크의 이중화가 없는 경우에, 하위 계위 ID를 가진 모든 객체에 대하여 장애로 처리한다. 이는 실제로 이중화가 되어 있지 않으면, 이 지점에서의 장애는 하위 계위에 존재하는 모든 객체를 통하여 타 ISP나 해외 라인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못하는 대형 장애에 해당된다.
링크가 다운으로 이중화가 있는 경우에, 포트의 객체트리 ID를 이용하여 링크의 하위 장비들의 상방향 포트가 모두 다운이면, 하위 계위의 모든 객체에 대하여 장애로 처리한다. 이는 인터넷이 라우팅을 통하여 하나의 경로가 다운일 경우 자동적으로 경로 재설정을 통하여 우회하므로 전체적인 망장애를 방지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중화되어 있는 두 개의 링크 중 하나의 링크에서 장애 발생시, 해당 포트와 링크의 장애로만 알람 처리한다. 그리고 장애의 복구과정도 마찬가지로 순서로 진행된다.
다음,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 자원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지역 게이트웨이 장치(100)가 핑 시험기(110), SNMP 처리기(120), 및 SYSLOG 처리기(130)를 이용해 장애 이벤트를 수집한다.(S1)
1차 필터(140)는 객체트리 ID를 이용해 장애 이벤트를 일차 필터링 하여 장비 장애인 경우에 해당 장비에 속한 모든 포트에 대한 장애 이벤트를 걸러내고, 동일 주기 내에 속한 이벤트를 1그룹으로 처리한다.(S2, S3)
1차 필터(140)에서 걸러내지 못한 장애 이벤트들은 장애 관리 서버(200)로 전송되어 버퍼(210)에 저장된다(S4).
알람 처리기(230)는 버퍼(210)를 계속 감시하다가 각 장애 이벤트를 읽어들여 장비와 포트의 장애 이벤트를 알람 처리하고, GUI 관리 장치(20)이나 연동이 되는 타 시스템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가공 처리한다(S5).
2차 필터(240)는 장애 이벤트를 2차 필터링 하여 해당 포트에 대한 장애 이벤트가 링크에 해당되는지를 조사하고(S6), 링크에 대한 장애가 아니면 해당 장애 이벤트를 폐기하며(S7), 링크에 대한 장애이면 링크 장애 처리기(250)에서 알람 처리를 한다.(S8)
2차 필터(240)는 장애 이벤트가 대형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이벤트인지를 조사하여 대형 장애인 경우에, 대형 장애 관리기(260)는 객체트리 ID를 이용해 현재 계위 ID 이하에 속하는 모든 객체트리 ID에 대해 장애 처리를 하고, GUI 관리 장치(20)와 타 시스템으로 정보를 전달한다.(S9, S10)
위에서 알람 처리된 장애는 장애 프로파일에서 해당 객체에 대한 장애 처리를 하며, GUI 관리 장치(20)나 타 시스템들과의 연동을 위한 연동 관리 장치(10)로 정보를 제공하여 장애 상황을 전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대규모 IP망에서 복잡한 이벤트 상관관계 처리 시스템(Event Correlation System)을 이용하지 않고도 객체 ID와 계위 ID를 혼합하여 사용하여 간단하면서도 좋은 성능의 정확한 장애 위치를 파악하며, 대형 장애의 대처 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망 자원에서 장애 발생시 이중 필터링과 망요소에 대한 객체트리 ID를 이용해 장애의 위치를 추적하여 관리함으로써 망요소들간의 상관 관계가 쉽게 파악되고, 정확하고 신속한 장애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복잡한 장애 이벤트의 상관 관계를 고려하지 않고도 대형 장애를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망 사업자가 정확하고 신속한 장애 처리를 수행하여 안정적으로 망을 운용함으로써 가입자들로부터 신뢰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장애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장애 이벤트 정보들을 1차 필터링 하여 동일 주기 내의 장애 이벤트들을 단일 그룹화 하여 전송하는 지역 게이트웨이 장치; 및
    상기 지역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장애 이벤트들 2차 필터링 하여, 상기 장애 이벤트들 중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비 및 포트, 링크 관련 장애 이벤트들은 장애 알람 처리하고, 대형 장애 관련 장애 이벤트들은 해당 장애의 위치를 추적하여 장애 발생 객체와 상관 관계에 있는 객체들을 포함하여 장애 처리하는 장애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게이트웨이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로 주기적인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ICMP) 핑 테스트를 수행하고, 그 테스트 결과를 전송하는 핑(ping) 시험기;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간이 망 관리 프로토콜(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을 이용해 접속하여 주기적으로 각 장비의 포트 상태와 트랩 정보를 수집하고, 그 수집 결과를 전송하는 SNMP 처리기;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서 전송되는 원격 로그 정보를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형태로 변환한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는 로그정보 처리기; 및
    상기 핑 시험기, SNMP 처리기, 또는 로그정보 처리기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1차적으로 필터링 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비 관련 장애 상황이 탐지되면 해당 장비에 속한 모든 포트의 장애 이벤트를 단일 그룹화 하여 상기 장애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1차 필터
    를 포함하는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NMP 처리기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운용 상태를 설정 주기 동안 읽어들여 각 네트워크 장비의 포트의 업/다운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운용 상태 감시부; 및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서 전송되는 트랩 정보들을 파싱(parsing)하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이벤트 정보를 상기 1차 필터로 전송하는 트랩 파싱부
    를 포함하는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관리 서버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를 물리적, 논리적 객체트리 형태로 관리하며, 각 객체마다 ID를 부여하여 객체트리 ID를 관리하는 자원 객체 관리기;
    상기 지역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장애 이벤트를 저장하는 버퍼;
    상기 버퍼 내의 장애 이벤트를 감시하다가 장애 발생 종류별 상기 장애 이벤트를 추출하여 알람 처리하는 알람 처리기;
    상기 버퍼에 저장되는 장애 이벤트 중에서 링크에 속하는 장애 이벤트는 링크 장애로 알람 처리하는 링크 장애 처리기;
    상기 알람 처리기 또는 링크 장애 처리기에서 알람 처리 후 전송하는 이벤트의 대형 장애 여부를 조사하고, 상기 자원 객체 관리기의 객체트리 ID를 이용하여 대형 장애 발생 객체의 위치를 추적하는 2차 필터; 및
    상기 2차 필터를 통해 대형 장애 발생 객체의 하위에 있는 모든 객체트리 ID에 대해 대형 장애 처리하는 대형 장애 관리기
    를 포함하는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객체 관리기의 상기 객체트리 ID는,
    상기 객체의 물리적, 논리적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객체 ID와, 상기 객체의 상위 레벨 관계를 나타내는 계위 ID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ID는,
    망 식별번호, 장비 식별 번호, 링크 식별 번호, 샤시(chassis) 식별 번호, 모듈 식별 번호, 카드 식별 번호, 포트 식별 번호, 논리포트 식별 번호를 차례로 부여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ID는, 하위 레벨의 객체는 자신이 속한 상위 레벨의 객체 ID를 포함하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필터는,
    상기 자원 객체 관리기의 객체트리 ID를 이용하여 특정 레벨에 속한 객체트리 ID의 장애 탐지시, 상기 객체트리 ID의 하위 레벨에 속한 객체트리 ID의 장애 상황은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시스템.
  9. A)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장애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고, 장애 발생 종류별 상기 장애 이벤트 정보들을 분류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비 및 포트 관련 장애 발생한 장애 이벤트 정보를 추출하여 알람 처리하고, 상기 링크 관련 장애 발생한 장애 이벤트 정보를 추출하여 알람 처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A) 단계에서 대형 장애 관련 장애 발생한 장애 이벤트들은 해당 장애 발생 객체의 위치를 추적하여 상기 장애 발생 객체와 상관 관계에 있는 객체들을 포함하여 대형 장애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장애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로 주기적으로 장애 감시하는 지역별 게이트웨이 장치가 상기 장애 데이터를 1차적으로 필터링 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비 관련 장애 상황이 탐지되면 해당 장비에 속한 모든 포트의 장애 이벤트를 단일 그룹화 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장애 이벤트를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각 개체마다 고유 ID를 부여하여 물리적, 논리적 객체트리 ID를 생성하고, 상기 객체트리 ID를 이용해 상기 장애 이벤트를 분석하여 장애 발생 종류와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이벤트를 1차적으로 필터링 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트리 ID를 이용하여 특정 레벨에 속한 객체트리 ID의 장애 탐지시, 상기 객체트리 ID의 하위 레벨에 속한 객체트리 ID의 장애 상황은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방법.
  13.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대형 장애를 처리하는 단계는,
    a) 상기 B) 단계의 알람 처리 결과에 대한 이벤트를 전달받아 2차적으로 필터링 하여 대형 장애 여부를 조사하고, 상기객체트리 ID를 이용하여 대형 장애 발생 객체의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의 2차적으로 필터링한 결과를 통해 대형 장애 발생 객체의 하위에 있는 모든 객체트리 ID에 대해 대형 장애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트리 ID는,
    상기 객체의 물리적, 논리적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객체 ID와, 상기 객체의 상위 레벨 관계를 나타내는 계위 ID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ID는, 하위 레벨의 객체는 자신이 속한 상위 레벨의 객체 ID를 포함하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ID는,
    망 식별번호, 장비 식별 번호, 링크 식별 번호, 샤시(chassis) 식별 번호, 모듈 식별 번호, 카드 식별 번호, 포트 식별 번호, 논리포트 식별 번호를 차례로 부여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ID는,
    상기 망 식별 번호가 각 서비스 도메인별로 부여된 고유 ID를 이용하여 생성되고,
    장비 식별 번호는 해당 장비가 속한 지역 본부와 국소번호, 장비의 종류, 일련번호를 붙여서 생성되고,
    상기 링크 식별 번호는 각 장비간에 속한 논리적인 객체로 정의하고,
    상기 샤시 식별 번호는 각 장비에 속한 물리적인 객체로 정의하고,
    상기 모듈 식별 번호 각 새시에 속한 물리적인 객체로 정의하고,
    상기 카드 식별 번호 각 모듈에 속한 물리적인 객체로 정의하고,
    상기 포트 식별 번호는 장비에 속한 물리적인 객체로 정의하고,
    상기 논리포트 식별 번호는 각 포트에 속한 논리적인 객체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방법.
KR1020030043632A 2003-06-30 2003-06-30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64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3632A KR100964392B1 (ko) 2003-06-30 2003-06-30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3632A KR100964392B1 (ko) 2003-06-30 2003-06-30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263A true KR20050002263A (ko) 2005-01-07
KR100964392B1 KR100964392B1 (ko) 2010-06-17

Family

ID=37217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3632A KR100964392B1 (ko) 2003-06-30 2003-06-30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439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879B1 (ko) * 2006-08-16 2007-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Nms 장애정보 동기화 기법 및 그 기법을 이용하는동기화 처리 시스템
KR100766845B1 (ko) * 2006-06-02 2007-10-17 주식회사 케이티 동기식 전송망에서의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21558B1 (ko) * 2008-10-23 2009-10-12 주식회사 케이티 Tcp/ip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5657080A (zh) * 2016-03-09 2016-06-08 浙江安正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ip地址配置方法及系统
KR20170133563A (ko) * 2016-05-25 2017-12-0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게이트웨이 및 이의 설비 제어 방법
KR20180005512A (ko) * 2016-07-06 2018-01-16 주식회사 케이티 장애 발생 판단 장치 및 장애 발생 판단 방법
KR102411419B1 (ko) * 2021-08-17 2022-06-22 주식회사 피오텍 네트워크 통합 배선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071B1 (ko) * 2013-01-21 2013-09-11 (주)보성전자 분산 설치된 관제장비의 장애상태 제어방법
KR101307091B1 (ko) * 2013-01-28 2013-09-11 (주)보성전자 분산 설치된 관제장비의 장애상태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8761A (ja) * 1997-05-02 1998-11-17 Nec Corp ネットワークエレメントの障害監視方式
JP3266126B2 (ja) 1999-01-14 2002-03-18 日本電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障害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記憶媒体
KR100492520B1 (ko) * 2001-07-11 2005-06-02 신해준 인트라넷의 계층적 장애관리방법
KR20030021862A (ko) * 2001-09-08 2003-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엠에스 서버와 에이전트 간의 장애 처리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845B1 (ko) * 2006-06-02 2007-10-17 주식회사 케이티 동기식 전송망에서의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57879B1 (ko) * 2006-08-16 2007-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Nms 장애정보 동기화 기법 및 그 기법을 이용하는동기화 처리 시스템
KR100921558B1 (ko) * 2008-10-23 2009-10-12 주식회사 케이티 Tcp/ip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5657080A (zh) * 2016-03-09 2016-06-08 浙江安正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ip地址配置方法及系统
KR20170133563A (ko) * 2016-05-25 2017-12-0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게이트웨이 및 이의 설비 제어 방법
KR20180005512A (ko) * 2016-07-06 2018-01-16 주식회사 케이티 장애 발생 판단 장치 및 장애 발생 판단 방법
KR102411419B1 (ko) * 2021-08-17 2022-06-22 주식회사 피오텍 네트워크 통합 배선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26245A (ko) * 2021-08-17 2023-02-24 정인택 단일 서버 기반의 이종 네트워크 통합 배선 장애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4392B1 (ko)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99890B1 (en) Automated network congestion and trouble locator and corrector
CN101399711B (zh) 网络监视装置以及网络监视方法
CN102195857A (zh) 一种网络拓扑结构与节点信息搜集方法
US20070234425A1 (en) Multistep integrated secur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intrusion detection log collection engine and traffic statistic generation engine
JP4412031B2 (ja) ネットワーク監視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プログラム
CN110808865A (zh) 一种被动工控网络拓扑发现方法及工控网络安全管理系统
CN109150869A (zh) 一种交换机信息采集分析系统及方法
KR100964392B1 (ko)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EP1703671B1 (en) Device and method for network monitoring
CN116248479A (zh) 网络路径探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4464256B2 (ja) ネットワーク上位監視装置
CN110620693A (zh) 一种基于物联网的铁路沿线车站路由远程重启控制系统及方法
KR100887874B1 (ko) 인터넷 망의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248505A (zh) 基于视图的网络监控方法及装置
KR100500836B1 (ko) 매트로 이더넷망의 장애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isco Cisco Secure Intrusion Detection System Overview
Cisco NetRanger Overview
Cisco Cisco Secure Intrusion Detection System Overview
Cisco Introducing Cisco Secure Intrusion Detection System
Cisco Introducing the Cisco Secure Intrusion Detection System
KR20020077000A (ko) 인트라넷의 계층적 장애관리방법
CN114500236A (zh) 基于交换机信息状态和日志的设备故障分析方法及装置
CN115913903B (zh) 一种录波主站组网设备网络故障自动修复方法及系统
EP3474489B1 (en) A method and a system to enable a (re-)configuration of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CN115913883B (zh) 新型通信电路故障诊断装置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6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06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6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6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