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98610Y1 - 말벌 포획 퇴치기 - Google Patents

말벌 포획 퇴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8610Y1
KR200498610Y1 KR2020220002326U KR20220002326U KR200498610Y1 KR 200498610 Y1 KR200498610 Y1 KR 200498610Y1 KR 2020220002326 U KR2020220002326 U KR 2020220002326U KR 20220002326 U KR20220002326 U KR 20220002326U KR 200498610 Y1 KR200498610 Y1 KR 2004986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ps
wasp
internal space
cartridge
b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23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00603U (ko
Inventor
김점이
Original Assignee
김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점이 filed Critical 김점이
Priority to KR20202200023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8610Y1/ko
Publication of KR202400006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6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86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8610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꿀벌을 죽이고, 양봉농가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는 말벌을 박멸하기 위한 포획 퇴치기에 관한 기술로서, 말벌을 포획한 다음, 말벌의 다리와 몸에 분말 살충제를 묻혀서 무리로 되돌아가게 방사 함으로써, 말벌의 무리를 집단적으로 박멸하여 양봉농가의 피해를 방지하고, 꿀벌의 생산성을 높이는 말벌 포획 퇴치기에 관한 기술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은, 말벌이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는 출입홀더가 설치되고, 상부가 원통형태로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부착 설치되는 망체; 상기 망체의 상측에 부착 설치되며, 상부 공간을 밀폐하는 커버; 상기 베이스의 내부 공간에 끼워져 설치되는 유인액용기; 상기 커버에 결합 설치되고, 수납홀이 구비된 카트리지; 및 상기 카트리지의 수납홀에 설치되며, 분말 살충제가 담기는 약제용기;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Description

말벌 포획 퇴치기 {wasp capture and repel}
본 고안은 꿀벌을 죽이고, 양봉농가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는 말벌을 박멸하기 위한 포획 퇴치기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말벌을 포획한 다음, 말벌의 다리와 몸에 분말 살충제를 묻혀서 무리로 되돌아가게 방사 함으로써, 말벌의 무리를 집단적으로 박멸하여 양봉농가의 피해를 방지하고, 꿀벌의 생산성을 높이는 말벌 포획 퇴치기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말벌은 여러 종류가 있으나, 특히 꿀벌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말벌에는 장수말벌, 꼬마장수말벌, 흑등말벌, 좀말벌 및 황말벌 등이 있으며, 양봉을 위한 꿀벌에게 큰 해를 입하는 말벌들이다.
이러한 말벌은 육식성 곤충으로 꿀벌을 공격하여 잡아먹거나, 어린 유충(幼蟲)에게 먹이로 주며, 꿀벌에게 가장 두려운 천적이고, 또한 꿀벌을 관리하는 양봉농가에도 두려운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근래 양봉농가는 꿀벌을 보호하기 위해 벌통에 접근하는 말벌을 파리채로 잡거나, 강력 접착제를 벌통에 올려놔서 말벌이 달라붙게 하거나, 또는 벌통에 말벌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해 그물망을 씌우는 방법으로 피해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 벌통에 접근하는 말벌을 감지하고, 말벌을 향해 열을 방사하여 퇴치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26158호(벌통 장착형 말벌 퇴치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말벌감지모듈과 발열모듈이 구비되어 말벌을 감지하고, 감지된 말벌을 향해 열을 방사하여 말벌이 벌통으로부터 퇴치됨으로써, 벌통의 벌출입구로 벌들이 안전하게 출입할 수 있고, 벌꿀의 생산량이 증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기존 말벌을 수집하여 제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3346호(말벌 수집 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꿀벌통 주위로 유입된 말벌만이 수집될 수 있고, 꿀벌들은 아무런 피해를 받지 않으며, 말벌의 분리 및 수집 효율이 향상되어 말벌에 의한 양봉업의 피해가 감소될 수 있고, 말벌이 최종적으로 수집되는 말벌 저장통이 말벌 수집 장치로부터 분리되어 말벌의 제거가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기존 선행기술은 말벌을 효과적으로 많이 수집하기 위해서 포획기의 사이즈를 키워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포획된 말벌의 후처리가 어려우며, 또한 포획망의 내부 공간도 넓어져서 공간 안에 산발해 있는 말벌을 처리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선행기술은 말벌이 벌통의 출입구 측으로 진입하는 것을 사전에 감지하여 출입 공간 또는 출입구를 자동으로 폐쇄함으로서, 말벌이 벌통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으나, 꿀벌의 출입이 보다 자유롭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334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140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2615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41623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0937호.
본 고안은 기존 선행기술에서 제시된 "말벌 퇴치장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퇴치기의 내부 공간으로 말벌을 포획한 다음, 포획된 말벌의 다리와 몸에 분말 살충제를 묻혀서 무리로 되돌아가게 방사 함으로써, 살충제로 인해 말벌의 무리를 집단적으로 박멸하여 꿀벌의 생존 기간을 늘리고, 생산성을 보다 높이므로, 양봉농가의 피해를 방지하는 말벌 포획 퇴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말벌이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는 출입홀더가 설치되고, 상부가 원통형태로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부착 설치되는 망체; 상기 망체의 상측에 부착 설치되며, 상부 공간을 밀폐하는 커버; 상기 베이스의 내부 공간에 끼워져 설치되는 유인액용기; 상기 커버에 결합 설치되고, 수납홀이 구비된 카트리지; 및 상기 카트리지의 수납홀에 설치되며, 분말 살충제가 담기는 약제용기;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베이스는 출입홀더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수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의 상부 양측에 각각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유인액용기는 전면부에 구형상으로 손잡이가 돌출 형성되고, 상부 양측단에 각각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카트리지는 내부 공간에 회동하여 개폐되는 댐퍼가 설치되고, 내부 공간의 바닥에 수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약제용기는 내측에 분말 살충제가 담기는 다수개의 투입홈이 형성되고, 한쪽 상부 양측에 헤드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말벌을 포획한 다음, 말벌의 다리와 몸에 분말 살충제를 묻혀서 무리로 되돌아가게 방사 함으로써, 살충제로 인해 말벌의 무리를 집단적으로 박멸하여 꿀벌의 생존 기간을 늘리고, 생산성을 보다 높이므로, 양봉농가의 피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꿀벌은 제외하고, 말벌만을 포획하여 다리와 몸에 분말 살충제를 묻혀서 무리를 집단적으로 박멸함으로써, 꿀벌의 피해없이 말벌 무리를 효과적으로 퇴치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말벌에 쏘이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피로감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평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서 말벌의 포획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서 약제용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서 차광커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서 차광커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은, 말벌이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는 출입홀더(12)가 설치되고, 상부가 원통형태로 형성된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의 상측에 부착 설치되는 망체(20); 상기 망체(20)의 상측에 부착 설치되며, 상부 공간을 밀폐하는 커버(30); 상기 베이스(10)의 내부 공간에 끼워져 설치되는 유인액용기(40); 상기 커버(30)에 결합 설치되고, 수납홀(51)이 구비된 카트리지(50); 및 상기 카트리지(50)의 수납홀(51)에 설치되며, 분말 살충제가 담기는 약제용기(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베이스(10)는 벌통의 주변에 놓이고, 포획 퇴치기를 지지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베이스(10)는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부가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하부는 상부보다 면적이 넓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합성수지(플라스틱)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에서 베이스(10)는 원통형태의 외측 둘레에 다수개의 장공(11)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11)에 말벌이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는 출입홀더(12)가 각각 끼워져 설치된다.
상기에서 다수개의 출입홀더(12)는 말벌이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크기로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은 내측 방향으로 점점 좁아지게 형성되어 말벌이 외부로 빠져나오기 어렵게 구성된다.
한편 출입홀더(12)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수납홈(13)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13)의 상부 양측에 각각 가이드홈(14)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13)은 후술하는 유인액용기(40)가 서랍식으로 끼워져 설치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망체(20)는 말벌을 포획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망체(20)는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하 길쭉한 원통형태로 구성되고, 철망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10)의 상측에 다수개의 나사로 부착 설치된다.
상기에서 망체(20)는 말벌만 내부 공간에 포획하는 기능으로, 말벌보다 크기가 작은 꿀벌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메쉬 직경이 대략 5~7mm로 형성되며, 상기 망체(20)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온 말벌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포획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커버(30)는 망체(20)의 상부 공간을 밀폐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커버(30)는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는 밀폐된 납작한 원통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망체(20)의 상측에 다수개의 나사로 부착 설치된다.
상기에서 커버(30)는 합성수지(플라스틱)로 성형될 수 있으며, 개방된 하부 공간에 망체(20)의 상측 둘레를 끼운 다음, 다수개의 나사를 이용하여 망체(20)와 커버(30)를 고정 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유인액용기(40)는 말벌을 망체(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인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유인액용기(40)는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베이스(10)의 수납홈(13)에 끼워져 설치되며, 내부 공간에 말벌을 유혹하는 유인액이 담긴다.
상기에서 유인액용기(40)는 전면부에 구형상으로 손잡이(41)가 돌출 형성되고, 상부 양측단에 각각 가이드레일(4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42)이 수납홈(13)의 상측 가이드홈(14)에 끼워져 설치된다.
따라서, 유인액용기(40)는 내부에 말벌을 유혹하는 유인액이 담기고, 가이드레일(42)이 수납홈(13)의 가이드홈(14)에 끼워져 서랍식으로 수납되며, 망체(20)의 내부 공간 아래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카트리지(50)는 포획된 말벌을 외부로 방사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카트리지(50)는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고, 커버(30)의 외측면에 결합 설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납홀(51)이 구비된다.
상기에서 카트리지(50)는 내부 공간에 회동하여 개폐되는 댐퍼(52)가 설치되고, 내부 공간의 바닥에 수납홀(51)이 형성되며, 상기 댐퍼(52)는 말벌을 포획할 때, 말벌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카트리지(50)는 도면에서 도 4 및 도 5와 같이, 양측 외부에 각각 체결돌기(53)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53)가 커버(30)의 외측면에 형성된 장공에 끼워져 결합 설치된다.
따라서, 카트리지(50)는 포획된 말벌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경로로서, 말벌을 포획할시 댐퍼(52)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말벌을 외부로 방사할시 댐퍼(52)가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약제용기(60)는 말벌의 다리와 몸에 분말 살충제를 묻히는 기능으로서, 상기 약제용기(60)는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카트리지(50)의 수납홀(51)에 끼워져 설치되며, 내측에 분말 살충제가 담기는 다수개의 투입홈(61)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약제용기(60)는 한쪽 상부 양측에 헤드(6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헤드(62)가 카트리지(50)의 댐퍼(52)를 내측 방향으로 밀어서 댐퍼(52)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약제용기(60)는 도면에서 도 5 및 도 7과 같이, 다수개의 투입홈(61)에 분말 살충제가 담기고, 상기 헤드(62) 위치를 카트리지(50)의 내부 공간으로 밀어 끼우면, 상기 헤드(62)가 댐퍼(52)를 밀어 열린상태를 유지하면서 수납홀(51) 안에 약제용기(60)가 안착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도면에서 도 8 및 도 9와 같이, 말벌을 포획한 다음, 카트리지(50)에 약제용기(60)를 끼워 설치하고, 말벌을 외부로 방사할시 망체(20)의 외부에 차광커버(70)를 씌워 설치하게 된다.
상기에서 차광커버(70)는 양분할된 원통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양분할된 상하 양측에 각각 힌지부(71)가 설치되고, 상기 힌지부(71)에 각각 체결핀(72)이 끼워져 차광커버(70)가 원통형태로 조립 설치된다.
한편 차광커버(70)는 표면에 빛을 흡수하는 검정색 도료를 도포할 수 있으며, 망체(20)의 외부에 원통형태로 씌워져 설치됨으로써, 외부 빛을 차단하여 말벌이 카트리지(50)의 댐퍼(52)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오도록 유도하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도면에서 도 10과 같이, 망체(20)의 내측면에 수직상으로 거치대를 설치하고, 상기 거치대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카트리지(50a)(50b)(50c)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다수의 말벌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퇴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는 우선 도면에서 도 6과 같이, 유인액용기(40)에 말벌을 유혹하는 유인액을 담고, 벌통 주변에 포획 퇴치기를 거치하면, 벌통으로 접근하는 말벌과 꿀벌들이 유인액의 유혹을 받아서 출입홀더(12)를 통해 망체(20)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여 포획된다.
여기서, 일반 꿀벌은 망체(20)를 통과하여 외부로 빠져나가고, 말벌들은 망체(20)를 빠져나가지 못하고 포획된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하루 해가 기울면서 대략 5시에 출입홀더(12)를 모두 막고, 30~60분 경과하여 어두워지면 망체(20) 안에 있던 꿀벌들은 모두 빠져나와 벌통으로 되돌아가고 말벌만 남아있게 된다.
다음은, 망체(20)의 외부에 차광커버(70)를 씌워 설치하고, 분말 살충제가 담긴 약제용기(60)를 카트리지(50)의 수납홀(51)에 끼워 설치한다. 이때 카트리지(50)의 댐퍼(52)가 약제용기(60)의 헤드(62)에 밀려서 열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말벌들은 빛이 희미하게 들어오는 망체(20)의 상측으로 기어올라가서 열려있는 댐퍼(52)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때 도면에서 도 7과 같이, 말벌들이 댐퍼(52)를 통해 나오면서 약제용기(60)에 담긴 분말 살충제가 말벌의 다리와 몸에 묻고, 외부로 빠져나온 말벌들은 무리로 되돌아가서 무리와 접촉하므로, 말벌의 다리와 몸에 묻은 살충제로 인해 무리가 집단적으로 박멸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꿀벌은 제외하고, 말벌만을 포획하여 다리와 몸에 분말 살충제를 묻혀서 무리를 집단적으로 박멸함으로써, 꿀벌의 피해없이 말벌 무리를 효과적으로 퇴치할 수 있으며, 꿀벌의 생존 기간을 늘리고, 생산성을 보다 높이게 된다.
상기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베이스 11: 장공
12: 출입홀더 13: 수납홈
14: 가이드홈 20: 망체
30: 커버 40: 유인액용기
41: 손잡이 42: 가이드레일
50: 카트리지 51: 수납홀
52: 댐퍼 60: 약제용기
61: 투입홈 70: 차광커버
71: 힌지부 72: 체결핀

Claims (6)

  1. 말벌이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는 출입홀더(12)가 설치되고, 상부가 원통형태로 형성된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의 상측에 부착 설치되는 망체(20);
    상기 망체(20)의 상측에 부착 설치되며, 상부 공간을 밀폐하는 커버(30);
    상기 베이스(10)의 내부 공간에 끼워져 설치되는 유인액용기(40);
    상기 커버(30)에 결합 설치되고, 수납홀(51)이 구비된 카트리지(50); 및
    상기 카트리지(50)의 수납홀(51)에 설치되며, 분말 살충제가 담기는 약제용기(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 포획 퇴치기.
  2.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10)는,
    출입홀더(12)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수납홈(13)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13)의 상부 양측에 각각 가이드홈(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 포획 퇴치기.
  3. 제1항에 있어서,
    유인액용기(40)는,
    전면부에 구형상으로 손잡이(41)가 돌출 형성되고, 상부 양측단에 각각 가이드레일(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 포획 퇴치기.
  4. 제1항에 있어서,
    카트리지(50)는,
    내부 공간에 회동하여 개폐되는 댐퍼(52)가 설치되고, 내부 공간의 바닥에 수납홀(5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 포획 퇴치기.
  5. 제1항에 있어서,
    약제용기(60)는,
    내측에 분말 살충제가 담기는 다수개의 투입홈(61)이 형성되고, 한쪽 상부 양측에 헤드(62)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 포획 퇴치기.
  6. 제1항에 있어서,
    망체(20)의 외부에 차광커버(70)가 씌워져 설치되며, 상기 차광커버(70)는 양분할된 원통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 포획 퇴치기.
KR2020220002326U 2022-09-30 2022-09-30 말벌 포획 퇴치기 Active KR2004986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326U KR200498610Y1 (ko) 2022-09-30 2022-09-30 말벌 포획 퇴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326U KR200498610Y1 (ko) 2022-09-30 2022-09-30 말벌 포획 퇴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603U KR20240000603U (ko) 2024-04-09
KR200498610Y1 true KR200498610Y1 (ko) 2024-12-11

Family

ID=90652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2326U Active KR200498610Y1 (ko) 2022-09-30 2022-09-30 말벌 포획 퇴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861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346B1 (ko) 2016-11-17 2017-04-05 이철호 말벌 수집 장치
KR101799771B1 (ko) 2015-11-06 2017-11-21 오승재 말벌 포획장치
KR101822029B1 (ko) 2017-10-24 2018-01-25 주식회사 다목에코텍 꿀벌통을 이용한 말벌 포획기
KR102117119B1 (ko) 2019-08-23 2020-05-29 길혜림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937Y1 (ko) 2014-09-01 2016-07-28 주식회사 대동금속 말벌 포획기
KR101891403B1 (ko) 2016-10-25 2018-08-24 장승룡 말벌 제거장치
KR102426158B1 (ko) 2020-05-07 2022-07-26 신현주 벌통 장착형 말벌 퇴치장치
KR102441623B1 (ko) 2020-07-10 2022-09-07 신현주 가열판을 이용한 말벌 퇴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771B1 (ko) 2015-11-06 2017-11-21 오승재 말벌 포획장치
KR101723346B1 (ko) 2016-11-17 2017-04-05 이철호 말벌 수집 장치
KR101822029B1 (ko) 2017-10-24 2018-01-25 주식회사 다목에코텍 꿀벌통을 이용한 말벌 포획기
KR102117119B1 (ko) 2019-08-23 2020-05-29 길혜림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603U (ko) 2024-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239B1 (ko) 말벌 포획장치
US6772556B1 (en) Insect trap
US7632167B1 (en) Selective insect trapping system
KR101822029B1 (ko) 꿀벌통을 이용한 말벌 포획기
KR102040486B1 (ko) 시각, 후각과 온도습성을 이용한 말벌유인 포획기
KR102073151B1 (ko) 해충 포획장치
US20200396977A1 (en) Cage for capturing hymenoptera
KR20180033014A (ko) 땅바닥 설치형 잡해충 포집기
KR101438976B1 (ko) 유해곤충류 유인 친환경 포획기
TWI828380B (zh) 黃蜂捕捉器
KR20180069456A (ko) 해충 차단 기능을 갖는 벌통
KR20090009148U (ko) 포획망 내부로 유인제가 구비되는 말벌포획장치
KR101621958B1 (ko) 농업용 해충 포획장치
EP3360412A1 (en) Wasp catching device
KR200498610Y1 (ko) 말벌 포획 퇴치기
KR20200052703A (ko) 유해충 포집장치
KR102108379B1 (ko) 꿀벌의 벌통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
US20210386048A1 (en) Wasp catching device provided on beehive
KR101835679B1 (ko) 땅바닥 설치형 잡해충 포집기
KR102642149B1 (ko) 꿀벌 천적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
KR20200071829A (ko) 유해성 말벌류 발생 현황 모니터링 IoT 시스템
KR102075057B1 (ko) 말벌을 산 채로 수집할 수 있는 말벌포획장치
KR20210053778A (ko) 꿀벌의 벌통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
JP5597125B2 (ja) ハエ等の飛翔防止及び捕獲用ネット構造
EP3878276A1 (en) Wasp catching device provided on beeh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22093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4120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