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98291Y1 - A variable-type spine correcting device - Google Patents

A variable-type spine correc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8291Y1
KR200498291Y1 KR2020230002652U KR20230002652U KR200498291Y1 KR 200498291 Y1 KR200498291 Y1 KR 200498291Y1 KR 2020230002652 U KR2020230002652 U KR 2020230002652U KR 20230002652 U KR20230002652 U KR 20230002652U KR 200498291 Y1 KR200498291 Y1 KR 2004982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al
support member
height
frame
sp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265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40000214U (en
Inventor
정시환
Original Assignee
정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시환 filed Critical 정시환
Priority to KR20202300026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8291Y1/en
Publication of KR202400002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214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82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8291Y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07Constructive details mod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변식 척추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로 배치된 복수개의 척추 지지부;를 포함하는 가변식 척추교정장치가 제공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spinal correction device, and provides a variable spinal correction device including a frame forming a skeleton; and a plurality of spinal support members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rame.

Description

가변식 척추교정장치{A VARIABLE-TYPE SPINE CORRECTING DEVICE}{A VARIABLE-TYPE SPINE CORRECTING DEVICE}

본 고안은 다양한 사람들의 신장 및 체형에 맞춰 효과적으로 척추의 정렬을 유도하는 가변식 척추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spinal correction device that effectively induces spinal alignment according to the height and body shape of various people.

일반적으로 척추(脊椎, spine)는 사람에서 목과 등, 허리, 엉덩이, 꼬리 부분에 이르기까지 주요 골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뼈를 말하며, 척추는 옆에서 바라볼 때 일자의 형태가 아니라 굽어져 있어, 이를 척추의 만곡(彎曲, curvatures of the vertebral column)이라고 한다. In general, the spine refers to the bones that maintain the main skeleton of a person from the neck and back, waist, hips, and tail.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spine is not in a straight shape but is curved, which is called the curvature of the vertebral column.

도 1을 참조하면, 경추는 앞으로 휘어진 전만(前彎, lordosis)을 이루며 만곡이 가장 작고, 흉추는 제2흉추의 중간에서 제12흉추의 중간까지이며 뒤로 휘어진 후만(後彎, kyphosis)을 이루며, 요추는 전만을 이루고, 남성에서보다 여성에서 더욱 현저하고, 골반만곡(骨盤彎曲, pelvic curvature)은 요천추관절에서부터 미추 끝가지이고 후만을 이루고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cervical spine forms a forward curvature (lordosis) and has the smallest curvature, the thoracic spine forms a backward curvature (kyphosis) from the middle of the second thoracic vertebra to the middle of the twelfth thoracic vertebra, the lumbar spine forms a lordosis that is more prominent in women than in men, and the pelvic curvature forms a kyphosis from the lumbosacral joint to the end of the coccyx.

사람은 4족 보행을 하는 동물들의 척추와는 달리 직립보행으로 인하여 큰 하중을 받게 되며, 장시간 앉아서 일을 하거나, 바르지 못한 자세를 취함으로써, 척추가 휘거나 어긋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Unlike the spines of animals that walk on four legs, humans are subject to a large load due to upright walking, and problems such as spinal curvature or misalignment can occur due to sitting for long periods of time at work or taking on incorrect posture.

특히, 스마트 폰 시청과 같이 장시간 목을 굽히는 경우, 거북목이나 일자목과 같이 척추가 변형된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In particular, when bending the neck for a long time, such as when watching a smartphone, symptoms of spinal deformation such as turtle neck or straight neck may appear.

사람의 척추는 직립 보행으로 인하여 중력을 받게 되는 표면적이 적게 되고, 이로 인하여 척추 마디와 마디 사이의 추간판이 압력을 받아 이탈하거나 협착, 측만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human spine has less surface area to deal with gravity due to upright walking, which can cause the intervertebral discs between the vertebrae to become compressed, dislocated, or develop scoliosis.

척추의 변형은 평상시 경추 7개, 흉추 12개, 요추 5개의 척추가 정상적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골고루 자극이 지속되어야만 교정하거나 방지할 수 있으나 기존의 척추교정기는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척후에 대한 수축과 이완 동작을 단순 반복하거나, 복대와 같은 형태의 척추 보호대를 적용하였으나, 거북목이나 척추 측만증과 같이 현대인에게 나타나는 척추 변형을 효과적으로 개선하지는 못하였다.Spinal deformation can be corrected or prevented only when the seven cervical, twelve thoracic, and five lumbar vertebrae are evenly and continuously stimulated to maintain their normal forms. However, existing spinal correctors simply repeat the contraction and relaxation movements of the spine using mechanical devices or apply spinal protectors in the form of a belt. However, they are not effective in improving spinal deformations that modern people experience, such as turtle neck or scoliosis.

한편, 요추는 요추 전만의 자세에서 가장 안정되고 손상의 가능성이 가장 낮아질 수 있다. 만약 몸을 앞으로 숙여 요추를 구부린 상태에서 추간판이 압력을 받게 된다면 디스크의 수핵이 뒤쪽의 후방 섬유륜을 압박할 수 있다. Meanwhile, the lumbar spine is most stable and least susceptible to injury in the lordotic posture. If the body is bent forward and the lumbar spine is flexed, the disc may be compressed, causing the nucleus pulposus of the disc to compress the posterior annulus fibrosus.

오랫동안 모니터 앞에서 몸을 구부리고 일을 하는 직장인, 무릎에 스마트폰을 올려 두고 목과 허리를 구부려 좁은 화면을 들여다보는 학생 등은 이와 같은 추간판에 대한 지속적인 압력을 받게 되며, 전만이 소실된 상태로 꾸준히 압력을 받은 추간판은 결국에는 디스크(HIVD, hernia of intervertebral discs)를 유발할 수 있다.Office workers who work bent over in front of a monitor for a long time, students who place their smartphones on their laps and bend their necks and backs to look at a narrow screen, etc., are subject to continuous pressure on their intervertebral discs, and intervertebral discs that are constantly under pressure in a state of loss of lordosis can eventually cause hernia of intervertebral discs (HIVD).

연구에 따르면, 경추의 신전을 유도하는 형태의 베개 등을 사용하는 경우 수핵이 앞으로 이동하여 목 디스크 탈출의 반대 방향으로 가는 것이 확인된 바 있으며, 척추를 받치기 위해 원형 또는 반원형의 폼롤러 및 이와 유사한 형태의 받침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Studies have shown that using pillows that induce extension of the cervical spine can cause the nucleus to move forwar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a herniated cervical disc. Circular or semicircular foam rollers and similar support devices are used to support the spine.

그러나 위와 같이 척추를 받치는 장치 들은 높이 조절이나 형태의 변형이 자유롭지 못하며, 높이를 변경하는 경우라도 설정한 높이에 따라 길이와 형태가 고정되므로 사용자의 신장 및 체형에 따라 신체가 힘을 받는 영역이 상이해질 수 있으므로, 사람에 따라 각각의 척추 분절에 해당하는 가장 적합한 높이를 섬세하게 구현하기 어렵다. However, the devices that support the spine as described above are not free to adjust their height or change their shape, and even when the height is changed, the length and shape are fixed according to the set height, so the area where the body receives force may differ depending on the user's height and body shape, making it difficult to delicately implement the most suitable height for each spinal segment depending on the person.

예컨대, '2번 요추와 3번 요추 추체 사이 높이의 요방형근상에 특정한 만큼 가해지는 상대적인 압력'과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기 어렵다.For example, it is difficult to satisfy conditions such as 'a specific amount of relative pressure applied to the lumbar trapezius muscle at the height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lumbar vertebrae.'

그러나, 사람들은 신장 및 체형이 매우 다양하며, 정상 경추 전만각, 정상 흉추 후만각, 정상 요추 전만각을 고려하여 척추의 정렬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척추 분절마다 적합한 높이를 구현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However, people vary greatly in height and body shape, and a device capable of implementing appropriate heights for each spinal segment would be required to induce spinal alignment while taking into account normal cervical lordosis, normal thoracic kyphosis, and normal lumbar lordosis.

(특허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238157호(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2238157

(특허문헌 2)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904016호(Patent Document 2)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1904016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사람의 신체 조건에 맞춰 압력과 자극을 적절하게 제공할 수 있는 척추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inal correction device that can appropriately provide pressure and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s of various people.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로 배치된 복수개의 척추 지지부;를 포함하는 가변식 척추교정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ariable spinal correction device is provided, which includes a frame portion forming a skeleton; and a plurality of spinal support portions sequentially arrang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por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척추 지지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높이 조정이 가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spinal supports may each be independently height-adjustabl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척추 지지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배치 간격의 조정이 가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spinal supports may be independently adjustable in spacing between each oth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척추 지지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프레임부와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spinal supports may be independently attachable and detachable from the frame por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척추 지지부 상단이 완만한 곡면을 이룰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pper portion of the spinal support may have a gentle curv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척추 지지부 상단의 중심부가 아래로 굴곡하는 밸리(valley)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enter of the top of the spinal support may include a valley region that curves downwar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척추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는 양 측면으로 연장되어 신체 후면부를 지탱하는 받침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pinal support member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extending in both lateral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to support the rear portion of the body.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로 끼움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rame portion may be formed of one or more modules that are sequentially fitted together along the length direction.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척추교정장치는 다양한 신체 조건에 맞춰 높이 및 길이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또는 환자의 신장과 체형에 최적화된 기기로 변형이 가능하다.The spinal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change its height and length to suit various physical conditions, so it can be transformed into a device optimized for the height and body shape of the user or patient.

또한, 상기 척추교정장치는 척추뿐만 아니라 근육의 관점에서 보아도 압력을 가할 위치(예컨대, 척추기립근과 요방형근 등의 압통점, 신체 배면부 경혈 등) 및 세기를 더욱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inal correction device can more accurately set the location (e.g., pressure points such as the erector spinae and quadratus lumborum muscles, acupuncture points on the back of the body, etc.) and intensity to apply pressure from the perspective of not only the spine but also the muscles.

또한, 상기 척추교정장치는 환자의 치료 또는 치료 보조를 목적으로 권장하거나 사용할 경우 기존의 제품들에 비해 의료인이 의도한 바를 더욱 정밀하게 반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inal correction device can more precisely reflect the intention of the medical professional compared to existing products when recommended or used for the purpose of treating or assisting treatment of a patient.

또한, 상기 척추교정장치는 필요에 따라 형태나 크기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휴대성이 우수하다.In addition, the spinal correction device can be changed in shape or size as needed, so it is highly portable.

본 고안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척추의 형상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장치의 척추 지지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장치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6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장치의 사용 형태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내지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장치의 척추 지지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shape of the spine.
FIG. 2 illustrates a spinal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and 4 illustrate the spinal support structure of a spinal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view of a spinal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usage form of a spinal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llustrates a spinal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8 to 10 illustrate the spinal support structure of a spinal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또한,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explana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drawing symbo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have been selected from commonly used terms as much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engineers working in the field, precedents,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etc.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고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고안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that the applicant has arbitrarily selected,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releva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erms used in this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is invention, rather than simply the name of th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Also,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that it excludes other components, but rather that it can hav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술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elow.

본 고안의 일 측면은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부(110); 및 상기 프레임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로 배치된 복수개의 척추 지지부(120);를 포함하는 가변식 척추교정장치(100)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riable spinal correction device (100) including a frame portion (110) forming a skeleton; and a plurality of spinal support portions (120)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rame portion (110).

상기 척추교정장치(100)는 척추에 받쳐 사용하는 장치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above spinal correction device (100) is a device used to support the spine, and can be modified to suit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척추교정장치(100)는 길이 및 높이 등을 자유롭게 변형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부(110) 및 상기 프레임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로 배치된 복수개의 척추 지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spinal correction device (100) may include a frame portion (110) and a plurality of spinal support portions (120)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rame portion (110) so that the length and height, etc. can be freely changed.

상기 프레임부(110)는 상기 척추교정장치(100)의 전체 뼈대를 이루는 것으로, 사람의 상체의 길이에 대응하는 크기일 수 있으며, 예컨대 80 내지 120cm 길이일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The above frame part (110) forms the entire frame of the spinal correction device (100) and may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a person's upper body, for example, 80 to 120 cm in length, but may be different as needed.

상기 척추 지지부(120)는 척추 또는 등 근육을 압박하는 수단으로, 신체의 등 부위를 상기 척추 지지부(120)에 기대는 방식으로 압박할 수 있다.The above spinal support (120) is a means for compressing the spine or back muscles, and can compress the back part of the body by leaning against the spinal support (120).

상기 척추 지지부(120)는 상기 프레임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로 배치될 수 있으며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상기 프레임부(110)를 척추를 따라 위치시켜 등 부위에 압박을 가함으로써 척추의 정렬을 유도할 수 있다.The above spinal support members (120) can be arranged sequentially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110) and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frame member (110) can be positioned along the spine to apply pressure to the back area, thereby inducing alignment of the spine.

상기 척추 지지부(120)는 등 부위를 적절하게 압박하기 위한 형태면 족하며, 그 크기 및 모양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 spinal support member (120) may be of a shape that appropriately compresses the back area, and its size and shape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상기 척추 지지부(120)는 각 유닛별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크기일 수 있고,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으며, 신체 부위에 소정의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척추 지지부(120) 상단이 완만한 곡면을 이룰 수 있다.The above spinal support (120) may have the same or different sizes for each unit, may have an overall rectangular shape, and may have a gently curved upper end to apply a predetermined pressure to a body part.

도 3을 참조하면, 신체와 맞닿는 상기 척추 지지부(120)의 상단이 각진 형태라면 신체를 압박할 때 과도한 고통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상단 영역을 적절하게 곡면 처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f the upper part of the spinal support member (120)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dy is angled, it may cause excessive pain when pressing the body, so the upper area may be appropriately curved.

상기 척추 지지부(120)는 복수개의 유닛이 순차로 배열된 구조로 크기는 제품의 특성을 고려하여 달리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척추 지지부(120)가 신체의 척추 부위를 적절하게 압박할 수 있도록 길이(L) 10 내지 20cm일 수 있고, 폭 2 내지 4cm일 수 있으며, 높이 5 내지 10cm로 구현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spinal support (120) has a structure in which multiple units are sequentially arranged, and the size may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However, preferably, the spinal support (120) may be implemented with a length (L) of 10 to 20 cm, a width of 2 to 4 cm, and a height of 5 to 10 cm so that it can appropriately compress the spinal region of the body.

상기 척추 지지부(120)의 폭이 너무 작으면 신체 부위에 압박을 가하기 어렵고, 폭이 너무 크면 복수개의 유닛이 배치된 구조를 고려할 때 제품의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척추 지지부(120)의 폭과 상기 척추 지지부(120) 유닛의 개수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If the width of the spinal support (120) is too small, it is difficult to apply pressure to a body part, and if the width is too large, the flexibility of the product may be reduced when considering the structure in which multiple units are arranged. Therefore, the width of the spinal support (120) and the number of spinal support (120) units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척추 지지부(120)는 척추 주변부를 집중적으로 지지하는 좁은 면적의 유닛과 척추 주변부 및 몸통 전체를 지지할 수 있는 넓은 면적의 유닛으로 상이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pinal support unit (120)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such as a narrow area unit that intensively supports the peripheral area of the spine and a wide area unit that can support the peripheral area of the spine and the entire torso.

상기 척추 지지부(120)의 소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신체를 압박하는 수단임을 고려할 때 상대적으로 상대적으로 경도(hardness)가 낮고 연질인 합성수지, 실리콘, 고무 등으로 구현할 수 있고, 신체 부위에 적절한 압력을 가하면서도 형태가 크게 변하지 않는 소재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terial of the above spinal support member (1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considering that it is a means of compressing the body, it can be implemented with synthetic resin, silicone, rubber, etc. that have relatively low hardness and are soft, and it is preferable to employ a material that does not change shape significantly while applying appropriate pressure to the body part.

한편, 상기 척추교정장치(100)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춰 길이 및 높이 등을 자유롭게 변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척추 지지부(120) 높이가 각각 독립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spinal correction device (100) can be freely modified in length and height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so that the heights of the multiple spinal support parts (120) can be adjusted independently.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척추 지지부(120)는 필요에 따라 높이를 변경할 수 있으며, 상기 순차로 배열된 복수개의 척추 지지부(120)는 각각 독립적으로 높낮이를 변경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spine support member (120) can change its height as needed, and the plurality of spine support members (120) arranged sequentially can each independently change their height.

상기 척추 지지부(120)는 개별적으로 높낮이를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순차로 배열된 구조이므로, 소정의 영역의 높이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머지 영역의 높이는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하여 “S”자 형태로 굴곡된 신체 부위를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Since the above-mentioned spinal support member (120) can be individually changed in height and has a structure arranged sequentially, the height of a certain area can be set relatively high and the height of the remaining area can be set relatively low, so that it can be appropriately used along a body part that is curved in an “S” shape.

상기 척추 지지부(120)의 높낮이를 변경하는 구조는 당해 기술분야의 다양한 기계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The structure for changing the height of the above-mentioned spinal support member (120) can be implemented through various mechanical means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척추 지지부(120)는 내부에 홈을 포함할 수 있고, 하단의 프레임부(110)에 고정된 연결봉을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으며, 높낮이 조절 나사를 통해 상기 척추 지지부(120)의 높낮이가 변경되는 구조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pinal support (120) may include a groove therein, may be mutually connected through a connecting rod fixed to the lower frame portion (110), and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height of the spinal support (120) is changed through a height adjustment screw.

다만, 상기 척추 지지부(120)의 높낮이를 변경하는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전기 모터를 통해 높낮이를 변경하는 등의 전동화 수단을 채용할 수도 있다. However, the structure for changing the height of the spinal support member (1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 electric motor may be used to change the height, as needed.

상기 척추 지지부(120)는 높이를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유닛 간의 배치 간격도 변경될 수 있다.The above spinal support member (120) can not only change its height, but also change the spacing between each unit.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개의 척추 지지부(120)는 각각 독립적으로 배치 간격이 조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spacing between the plurality of spinal supports (120) can be adjusted independently.

상기 척추 지지부(120)는 상기 프레임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로 배열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배치 간격도 변경될 수 있다.The above spinal support members (120) are not only arranged sequentially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110), but the spacing between them can also be changed.

상기 척추 지지부(120)는 개별적으로 높낮이를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치 간격도 조절할 수 있으므로, “S”자 형태로 굴곡된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적합하게 높이와 배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The above spinal support member (120) can be individually adjusted in height and also in spacing, so that the height and spacing can be adjusted to suit the user's body part that is bent in an “S” shape.

상기 척추교정장치(100)는 상기 척추 지지부(120)의 높낮이와 배치 간격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신장 및 체형에 따라 척추 지지부(120)의 위치와 높이를 정확히 설정함으로써 원하는 신체 부위를 적절한 세기로 압력을 가할 수 있다.The above spinal correction device (100) can freely change the height and spacing of the spinal support member (120), so that the position and height of the spinal support member (120) can be accurately set according to height and body shape, thereby applying pressure to a desired body part at an appropriate intensity.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척추 지지부(120)의 높낮이와 배치 간격을 조절하고 신체의 등 부위를 기대는 방식으로 척추를 효과적으로 압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user can effectively compress the spine by adjusting the height and spacing of the spine support (120) and leaning the back of the body against it.

한편, 상기 복수개의 척추 지지부(120)는 다양한 수단을 통해 배치 간격이 변경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기계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Meanwhile, the plurality of spinal supports (120) can be implement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spacing between the plurality of spine supports is changed through various means, and for this purpose, various mechanical means used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can be applied.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부(110)는 한 쌍의 레일 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리벳(rivet) 등의 기계적 결합 수단을 통해 상기 척추 지지부(120) 하단부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척추 지지부(120)는 상기 레일 구조를 따라 전후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frame portion (110) may include a pair of rail structures and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pine support portion (120) through a mechanical connection means such as a rivet, and the spine support portion (120) may move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rail structures.

다만, 상기 척추 지지부(120)의 위치를 변경하는 방식이나 구조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상기 척추 지지부(120)는 하단에 결합된 바퀴 등의 이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레임을 따라 전후측으로 이동하는 구조일 수도 있다.However, the method or structure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pinal support (1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the spinal support (120) may include a moving means such as a wheel attached to the bottom, and may have a structure that moves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frame.

한편, 본 고안에서 고안을 상세하고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부(110) 및 상기 척추 지지부(120)를 별개의 구성으로 개별적으로 기술하고 있으나, 구현 형태에 따라 상기 프레임부(110) 및 상기 척추 지지부(120)가 별도로 구분되지 않는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Meanwhile, in order to explain the design in detail and cle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part (110) and the spinal support part (120) are individually described as separate components, but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form, the frame part (110) and the spinal support part (120) may be formed as an integrated structure that is not separately distinguished.

예컨대, 상기 척추 지지부(120)가 인접하는 척추 지지부(12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척추 지지부(120)가 순차로 연결될 수도 있으나(미도시), 이 경우 상기 각각의 연결 부재가 상기 척추교정장치(100)의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부(11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프레임부(110)가 생략된 구조가 아닌 상기 순차로 연결된 연결 부재를 상기 프레임부(110)로서 이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pinal supports (120) may be sequentially connected (not shown) by including connecting members so that the spinal supports (120) can be connected to adjacent spinal supports (120). In this case, each connecting member may play the role of a frame (110) forming the skeleton of the spinal correction device (100), and the sequentially connected connecting members, not the structure in which the frame (110) is omitted, may be understood as the frame (110).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부(1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로 끼움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미도시).In one embodiment, the frame portion (110)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modules that are sequentially fitted together along the length direction (not shown).

즉, 상기 척추 지지부(120)가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프레임부(110)를 조립 블록과 같은 형태로 구현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로 끼움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로 구현함으로써 적절하게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That is, not only can the spine support member (120) be implemented as a structure that moves along the frame, but the frame member (110) can also be implemented in a form like an assembly block and implemented as one or more modules that are sequentially inserted and connect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thereby allowing the length to be appropriately adjusted.

따라서, 상기 프레임부(110)가 끼움 결합하는 모듈로 구성되는 경우 중간 영역의 일부 모듈을 제거함으로써 전체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 상부에 연결된 상기 척추 지지부(120)의 간격도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frame part (110) is composed of modules that are inserted and joined, the overall length can be reduced by removing some of the modules in the middle region, and the spacing of the spine support part (120)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frame can also be freely adjusted.

또한, 상기 척추 지지부(120) 상단의 중심부가 아래로 굴곡하는 밸리(121)(valley)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enter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pinal support member (120) may include a valley (121) region that bends downward.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밸리(121)는 하단으로 굴곡하는 오목한 영역으로서 “∪”자 또는 “V“자 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 밸리(121)의 양 측면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인해 상기 밸리(121)의 양 측면에서 신체의 척추 부위가 지지되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8, the valley (121) may be a concave area that bends downward and may have a “∪” or “V” structur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pine of the body is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valley (121) due to a relatively lower height than both sides of the valley (121).

상기 밸리(121)는 상기 척추 지지부(120) 상단에서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단절된 별도의 영역이 아니므로 엄밀하게 구분되지 않을 수 있으나, 고안의 구성을 특정하고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해당 영역의 의미를 일반적인 범위 내에서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 valley (121) means a relatively low area at the top of the spinal support (120), and is not a separate, disconnected area, so it may not be strictly distinguished, but it is intended to specify the composition of the design and to facilitate explanation,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clearly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area within a general scope.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척추 지지부(120)는 상기 밸리(121) 구조를 통해 흉부에서 골반까지 이어지는 척추기립근을 양쪽에서 적절하게 감싸는 형태로 압박을 가할 수 있으며, 상기 구조를 통해 안정적으로 신체 후면부를 지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spinal support member (120) can apply pressure to the erector spinae muscles extending from the thorax to the pelvis by appropriately wrapping them on both sides through the valley (121) structure, and can stably support the rear part of the body through the structure.

또한, 상기 복수개의 척추 지지부(120)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프레임부(110)와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미도시).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pinal supports (120) can be independent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frame portion (110) (not shown).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척추 지지부(120)는 레일 형태의 프레임부(110)를 따라 이동하는 가변 구조뿐만 아니라, 각 유닛이 개별적으로 탈부착 가능한 구조일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pinal support member (120) may not only have a variable structure that moves along a rail-shaped frame member (110), but may also have a structure in which each unit can be individually attached or detached.

따라서, 상기 척추교정장치(100)의 사용 형태를 고려하여 척추 지지부(120)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으며, 예컨대, 경추를 집중적으로 압박하기 위해 나머지 영역의 척추 지지부(120)는 제거한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number of spinal supports (120) can be changed considering the usage form of the spinal correction device (100), and for example, the spinal supports (120) in the remaining area can be removed to intensively compress the cervical spine.

또한, 상기 척추 지지부(120)는 상기 프레임부(1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는 양 측면으로 연장되어 신체 후면부를 지탱하는 받침 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inal support member (120)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122) that extends on both side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110) to support the rear portion of the body.

상기 척추교정장치(100)는 등 부위를 척추 지지부(120)에 기대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신체 후면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spinal correction device (100) can be used by leaning the back against the spinal support member (120) and may include a structure for stably supporting the back of the body.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받침 부재(122)는 상기 척추 지지부(120)의 양 측면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고, 신체 후면부를 감싸는 형태로 굴곡을 이룰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척추 지지부(120)에 기대는 경우라도 상기 받침 부재(122)에 의해 지지 위치가 변경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신체 후면부를 압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support member (122) may be in a form that extends to both sides of the spinal support member (120) and may be curved to wrap around the rear part of the body, so that even when the user leans on the spinal support member (120), the support position is not changed by the support member (122) and the rear part of the body can be stably compressed.

상기 척추 지지부(120)는 상기 프레임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므로 신체의 등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상기 받침 부재(122)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제품의 특성이나 사용 형태 등을 고려하여 각 척추 지지부(120)의 형태를 크기 등을 달리할 수 있다.Since the above-mentioned spinal support member (120) is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bove-mentioned frame member (110), the support member (122) structure may be included only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back of the body. Howeve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or the type of use, etc., the shape of each spinal support member (120) may be different in size, etc.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고안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척추교정장치
110: 프레임부
120: 척추 지지부
121: 밸리
122: 받침 부재
100: Spinal Correction Device
110: Frame section
120: Spinal Support
121: Valley
122: Absence of support

Claims (8)

뼈대를 이루도록 80 내지 120cm 길이의 레일 형태의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로 배치된 복수개의 척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척추 지지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높이 조정 및 배치 간격의 조정이 가능하고,
상기 척추 지지부는 합성수지, 실리콘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고,
상기 척추 지지부의 길이가 10 내지 20cm이고, 폭이 2 내지 4cm이고, 높이가 5 내지 10cm이고,
상기 척추 지지부 상단이 완만한 곡면을 이루고, 상기 척추 지지부 상단의 중심부가 아래로 굴곡하는 밸리(valley)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한 쌍의 레일 구조를 포함하고 기계적 결합 수단을 통해 상기 척추 지지부 하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척추 지지부는 상기 레일 구조를 따라 전후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척추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는 양 측면으로 연장되고, 호(弧) 형상으로 신체 후면부를 지탱하는 받침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 부재는 상기 척추 지지부와 일체를 이루고 상기 척추 지지부로부터 신체 후면부를 감싸는 형태로 완만한 굴곡을 이루면서 연장되어 사용자의 신체 후면부 위치가 변경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 및 압박되고,
상기 척추 지지부는 내부에 홈을 포함하고, 하단의 프레임부에 고정된 연결봉을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으며, 높낮이 조절 나사를 통해 상기 척추 지지부의 높낮이가 변경이 가능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로 끼움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로 이루어져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식 척추교정장치.
A frame part in the form of a rail, 80 to 120 cm long, to form a skeleton; and
It comprises a plurality of spine supports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above frame portion;
The above multiple spinal supports can each be adjusted in height and spacing independently.
The above spinal support is made of synthetic resin, silicone or rubber.
The length of the above spinal support is 10 to 20 cm, the width is 2 to 4 cm, and the height is 5 to 10 cm,
The upper part of the spinal support portion has a gentle curve, and the center of the upper part of the spinal support portion includes a valley region that is bent downwards.
The above frame portion includes a pair of rail structures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pine support portion through a mechanical coupling means, and the spine support portion moves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rail structures.
The above spinal support member includes a support member that extends on both side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part and supports the rear part of the body in an arc shape,
The above support member is formed as one piece with the spinal support member and extends from the spinal support member in a gentle curve to wrap around the back of the body, so that the position of the back of the user's body is stably supported and compressed without changing.
The above spinal support member includes a groove inside and can be mutually connected through a connecting rod fixed to the lower frame member, and the height of the spinal support member can be changed through a height adjustment screw.
The above frame portion is a variable spinal correction device with adjustable length, made up of one or more modules that are sequentially inserted and connect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척추 지지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프레임부와 탈부착이 가능한, 가변식 척추교정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multiple spinal supports are,
A variable spinal correction device, each of which can be independent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fram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230002652U 2021-04-27 2023-12-22 A variable-type spine correcting device Active KR20049829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2652U KR200498291Y1 (en) 2021-04-27 2023-12-22 A variable-type spine correc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103A KR20220147234A (en) 2021-04-27 2021-04-27 A variable-type spine correcting device
KR2020230002652U KR200498291Y1 (en) 2021-04-27 2023-12-22 A variable-type spine correcting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103A Division KR20220147234A (en) 2021-04-27 2021-04-27 A variable-type spine correc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214U KR20240000214U (en) 2024-02-06
KR200498291Y1 true KR200498291Y1 (en) 2024-08-27

Family

ID=838469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103A Ceased KR20220147234A (en) 2021-04-27 2021-04-27 A variable-type spine correcting device
KR2020230002652U Active KR200498291Y1 (en) 2021-04-27 2023-12-22 A variable-type spine correcting devic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103A Ceased KR20220147234A (en) 2021-04-27 2021-04-27 A variable-type spine correcting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220147234A (en)
WO (1) WO2022231097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7234A (en) * 2021-04-27 2022-11-03 정시환 A variable-type spine correct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687B1 (en) * 2012-12-10 2014-05-07 이영준 Apparatus for spinal column correcti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1231A (en) * 1998-11-04 2000-06-05 김병재 Chiropractor
KR20180059305A (en) * 2016-11-25 2018-06-04 최인성 Apparatus for spine correction and treatment
KR101904016B1 (en) 2018-02-28 2018-10-04 류원석 Spinal or cervical correction device
KR102058744B1 (en) * 2019-01-30 2019-12-30 김다선 A physical therapy device
CN210251045U (en) * 2019-07-17 2020-04-07 中国医科大学附属第一医院 Lumbar vertebra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for neurosurgical nursing
KR102238157B1 (en) 2020-02-14 2021-04-09 김찬 Apparatus for correcting backbone
KR20220147234A (en) * 2021-04-27 2022-11-03 정시환 A variable-type spine correct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687B1 (en) * 2012-12-10 2014-05-07 이영준 Apparatus for spinal column corr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214U (en) 2024-02-06
WO2022231097A1 (en) 2022-11-03
KR20220147234A (en)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47917A1 (en) Massaging device
US5405313A (en) Adjustable back support
US2007029379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tion, correction and/or reversal of aberrant cervical, cervico-thoracic, thoracic, thoraco-lumbar, lumbar and lumbo-sacral/pelvic postures
CN110433022B (en) Lumbar vertebra traction device driven by pneumatic muscles
JPS63503287A (en) Recumbent or seated elements
KR100945059B1 (en) Massage device
KR200498291Y1 (en) A variable-type spine correcting device
KR102030379B1 (en) Device for cervical therapy
KR20160096253A (en) Segmental Motion Spine Health Chair
KR102218609B1 (en) Portable Chiropractic Device with Different Stimulation Protrusion Structures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JP2006141694A (en) Stretch table
KR101647461B1 (en) Saddle type Spine Health Chair
KR102047714B1 (en) A Treatment Apparatus for Spinal Correction and Strengthening Lumbar Muscle
RU2294732C1 (en) Device for stretching vertebral column
KR101861040B1 (en) Multi-function shirt for correction having both of upper body exercise function
EP0959826B1 (en) Device for stationary and/or ambulant traction of the spinal column
JP2013090889A (en) Recovery pillow for lumbar flexure and method of using the pillow
CN209004367U (en) A kind of overlapping vertebra curvature traction device
CN209004368U (en) A kind of combination vertebra curvature traction device
KR102020146B1 (en) Body Correction Machine
US20210069001A1 (en) Zenith Adjustable-Height Cervical Orthotic
KR101487615B1 (en) Apparatus for correcting backbone
KR200474245Y1 (en) Supporter for spinal adjustment and alleviating waist pain
CN114522061B (en) Therapeutic instrument for vertebra correction
JP2002345863A (en) Auxiliary implement for body rectification treatment used before and after body rectification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5 Converted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22

Patent event code: UA01011R05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Conversion into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umber text: 1020210054103

Filing date: 2021042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4022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4082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