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98137Y1 - 입간판 - Google Patents

입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8137Y1
KR200498137Y1 KR2020220000537U KR20220000537U KR200498137Y1 KR 200498137 Y1 KR200498137 Y1 KR 200498137Y1 KR 2020220000537 U KR2020220000537 U KR 2020220000537U KR 20220000537 U KR20220000537 U KR 20220000537U KR 200498137 Y1 KR200498137 Y1 KR 2004981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unit
stand
battery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5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1768U (ko
Inventor
윤주영
Original Assignee
삼화에스앤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화에스앤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화에스앤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200005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8137Y1/ko
Publication of KR202300017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7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81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8137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45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입간판을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광고지가 게시되는 패널부(panel unit); 패널부를 지지하는 스탠드부(stand unit); 패널부가 스탠드부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패널부와 스탠드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회전기구(rotation mechanism); 패널부에 장착되고 광고지에 빛을 비추도록 구성되는 조명, 및 조명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도선을 포함하는 조명부(lighting unit); 조명을 밝히기 위한 전압을 조명부에 공급하고 충전 및 방전이 반복적으로 가능한 배터리(battery); 및 배터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배터리함(battery case)을 포함하되, 배터리함은 패널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간판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입간판{Stand Panel}
본 개시는 입간판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개시는 회전 가능한 패널을 가지는 입간판에 있어서, 탈부착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입간판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입간판은 광고를 게시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장치이다. 입간판의 전면에 광고지를 게시할 수 있는데, 입간판은 광고지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광고지에 빛을 비추는 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입간판은 콘센트로부터 조명을 밝히기 위한 전력을 공급받는다. 따라서 입간판의 조명을 밝히기 위하여는 콘센트와 입간판을 연결하는 코드가 필요하고, 입간판은 콘센트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밖에 없다.
한편, 입간판은 다양한 규격의 광고지에 적응하기 위하여 직사각형 형태의 패널을 가지고, 패널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가로가 긴 광고지를 게시할 때에는 패널의 긴 변이 가로로 배열되도록 하고, 세로가 긴 광고지를 게시할 때에는 패널의 긴 변이 세로로 배열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입간판에서 조명부는 통상 패널의 내부에 배치된다. 일단이 조명부에 연결된 도선의 타단이 패널의 외부에 고정되는 경우, 패널이 회전하면서 도선이 끊기거나 의도치 않게 꼬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개시는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간판은 입간판에 탈착 가능한 배터리로부터 조명을 밝히기 위한 전력을 공급받음으로써, 콘센트의 위치에 의하여 설치 위치가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간판은 탈착 가능한 배터리를 패널부에 부착시킴으로써, 패널부가 회전할 때 배터리에 연결되는 도선이 끊기거나 의도치 않게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광고지가 게시되는 패널부(panel unit); 패널부를 지지하는 스탠드부(stand unit); 패널부가 스탠드부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패널부와 스탠드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회전기구(rotation mechanism); 패널부에 장착되고 광고지에 빛을 비추도록 구성되는 조명, 및 조명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도선을 포함하는 조명부(lighting unit); 조명을 밝히기 위한 전압을 조명부에 공급하고 충전 및 방전이 반복적으로 가능한 배터리(battery); 및 배터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배터리함(battery case)을 포함하되, 배터리함은 패널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간판을 개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간판은 입간판에 탈착 가능한 배터리로부터 조명을 밝히기 위한 전력을 공급받음으로써, 콘센트의 위치에 의하여 설치위치가 제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간판은 탈착 가능한 배터리를 패널부에 부착시킴으로써, 패널부가 회전할 때 배터리에 연결되는 도선이 끊기거나 의도치 않게 꼬이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간판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간판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널부를 평면 S1으로 자른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간판을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5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회전기구에 의하여 패널부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6은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회전기구 및 잠금기구를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회전기구에 의하여 패널부가 뒤로 젖혀진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회전기구 및 잠금기구를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회전기구에 의하여 패널부가 뒤로 젖혀진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간판을 나타낸 후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간판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간판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널부를 평면 S1으로 자른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입간판의 구성을 방향 또는 위치에 의하여 지칭할 때, 도 1의 도시를 기준으로 지칭한다. 본 개시에서 전방 및 후방은 각각 패널부(110)의 광고지가 부착된 면이 대향하는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을 지칭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간판은 패널부(panel unit, 110), 조명부(lighting unit, 120), 스탠드부(stand unit, 130), 회전기구(rotation mechanism, 150), 배터리(battery, 도 8의 160) 및 배터리함(battery case, 17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패널부(110)에 광고가 게시될 수 있다. 패널부(110) 에는 예컨대 광고 내용을 나타내는 광고지가 게시될 수 있다. 광고지가 외력 또는 이물질에 의하여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패널부(110)의 내부에 광고지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광고지를 입간판의 외부에 시각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하여, 패널부(110)의 앞면은 개방되거나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널부(110)는 패널부(110) 앞면의 각 변(edge)에 대응되는 네 개의 여닫이 프레임(hinged frame, 112), 및 투명판(transparent plate, 미도시)을 포함한다. 패널부(110)의 내부에 광고지가 삽입되고 광고지의 전방에 투명판이 배치된다. 투명판의 전방에 여닫이 프레임(112)이 배치되어 여닫이 프레임(112)이 투명판의 일부분을 덮을 수 있다. 각각의 여닫이 프레임(112)은 대응되는 변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네 개의 여닫이 프레임(112)을 패널 외측으로 회전시켜 투명판을 패널부(110)에서 분리시킨 후, 패널부(110) 내부의 광고지를 교체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입간판은 여닫이 프레임(112)을 이용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입간판은 윗면이 개방된 형태의 패널부(110)와, 패널부(110)의 윗면을 덮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패널부(110)는 광고지 및 조명부(120)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조명부(120)는 패널부(110)에 장착되고 광고지에 빛을 비추도록 구성되는 조명(121, lighting), 및 조명(121)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도선(122, wire)을 포함한다. 도 1의 점선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서의 조명(121)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조명부(120)는 패널부(11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부(120)는 패널부(110)의 윗면 측에서 패널부(110)의 윗변을 따라 일렬로 나열된 복수의 LED조명, 패널부(110)의 밑면 측에서 패널부(110)의 밑변을 따라 일렬로 나열된 복수의 LED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120)는 일렬로 나열된 복수의 LED조명의 결합체일 수 있다. 조명부(120)의 부식 및 물리적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명부(120)는 패널부(1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조명(121)의 배치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배치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조명(121)은 LED조명이 아니거나, 도 1에 도시된 것과 다르게 배치될 수도 있다.
입간판은 도광판(light guide plate, 115)을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115)은 조명(121)이 발생시킨 빛이 광고지의 전면적에 균일하게 비추어지게 한다. 도광판(115)은 조명부(120)로부터 도광판(115)에 입사된 빛을 전방에 균일하게 반사시키도록 형성된다. 도광판(115)은 분산판(dispersion plate, 미도시) 및 반사필름(reflective film,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산판에는 빛의 경로를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분산판은 투명한 아크릴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산판에 입사된 빛은 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복수의 홈은 분산판의 면적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빛이 분산판으로부터 균일하게 발산되도록 한다. 입사 방향과 상관 없이 빛을 고르게 분산시키기 위하여, 일부 홈들은 상호 다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홈은 분산판의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홈과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필름은 분산판의 뒷면에 부착되어 조명(121)으로부터 광고지의 후방으로 발산된 빛을 광고지 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도선(122)은 배터리(160) 및 도선(122)에 연결되어 도선(122)에 배터리(160)의 전압을 공급한다. 도선(122)은 조명부(120)로부터 패널부(110)의 뒷면에 형성된 구멍(111) 및 배터리함(170)에 형성된 구멍을 지나 배터리 (도 8의 16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간판을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탠드부(130)는 패널부(110)를 지지한다. 패널부(110)가 넘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세워지게 하기 위해서 스탠드부(130)의 하부에 플랜지부(flange portion, 133)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133)는 예컨대 납작한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랜지부(133)는 입간판의 무게중심이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동일한 이유에서 플랜지부(133)는 소정 길이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스탠드부(130)의 상부가 패널부(110)의 뒷면에 결합될 수 있다. 스탠드부(130)는 복수의 다리(leg, 131)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부(130)는 스탠드부(13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height adjustment unit, 13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부(130)의 각각의 다리(131)는 두 개의 관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관형부재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는 높이조절부(132)를 이용하여 관형부재가 삽입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두 개의 다리(131)가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34)가 두 개의 다리(131)의 사이에서 각각의 다리(131)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스탠드부(130)의 구성은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스탠드부(130)는 패널부(110)의 하부가 아래쪽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5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회전기구에 의하여 패널부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패널부(110)가 스탠드부(13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기구(150)가 스탠드부(130)와 패널부(110)를 상호 연결시킨다.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구(150)는 제1 회전기구(first rotation mechanism, 151), 제2 회전기구(second rotation mechanism, 152) 및 잠금기구(lock mechanism, 153)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제2 회전기구(152)는 패널부(110)가 패널부(110)에 수직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패널부(110)와 스탠드부(130)를 상호 연결시킨다. 제2 회전기구(152)는 패널부(110)의 뒷면에 결합되고,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패널부(110)에 수직하다는 것은, 패널부(110)의 앞면 또는 뒷면에 수직한 것을 의미한다. 패널부(110)는 제2 회전기구(152)에 의하여 패널부(110)에 수직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제2 회전기구(152)에 의하여 패널부(110)는 패널부(110)가 속한 평면 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제2 회전기구(152)는 패널의 뒷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회전기구(152)는 제1 판형부재(160)에 형성된 가이드 홈부(미도시), 및 제2 판형부재(17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미도시)를 포함한다. 패널부(110)의 뒷면에 제2 판형부재(170)가 결합되고, 제2 판형부재(170)의 후방에 제1 판형부재(160)가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부는 제2 판형부재(170)의 뒷면에 형성되고, 가이드 홈부는 제1 판형부재(160)의 앞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와 가이드 홈부의 결합에 의하여 제2 판형부의 뒷면에 제1 판형부재(160)가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 및 가이드 홈부는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대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제2 판형부재(170)에 결합된 패널부(110)가 제1 판형부재(160)에 대하여 상대회전할 수 있다. 제2 회전기구(152)를 매개로 패널부(110)가 스탠드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패널부(110)가 제2 회전기구(152)에 의하여 제1 판형부재(160)에 결합되고, 제1 판형부재(160)가 스탠드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회전기구 및 잠금기구를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회전기구에 의하여 패널부가 뒤로 젖혀진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1 회전기구(151)는 패널부(110)가 지면에 평행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패널부(110)와 스탠드부(130)를 상호 연결시킨다. 제1 회전기구(151)는 스탠드부(130)에 결합되고, 지면에 평행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회전기구(151)에 의하여 패널부(110)가 앞뒤로 젖혀질 수 있다. 제1 회전기구(151)는 제1 회전기립부(151a), 제2 회전기립부(151b), 및 제1 샤프트(15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기립부(151a) 및 제2 회전기립부(151b)는 제1 판형부재(160)의 뒷면으로부터 후방으로 기립된다. 제1 회전기립부(151a) 및 제2 회전기립부(151b)는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 회전기립부(151a)와 제2 회전기립부(151b)의 사이에 스탠드부(130)의 다리(13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회전기립부(151a), 제2 회전기립부(151b) 및 스탠드부(130)를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에 제1 샤프트(151c)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회전기립부(151a)와 제2 회전기립부(151b)가 제1 샤프트(151c)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 판형부재(160)에 결합된 패널부(110)가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회전기구(151)의 적어도 일부 및 제2 회전기구(152)의 적어도 일부는 일체로 형성된다. 제1 판형부재(160) 앞면에 제2 회전기구(152)의 가이드 홈부가 형성되고, 제1 판형부재(160)의 뒷면에 제1 회전기구(151)의 제1 기립부 및 제2 기립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패널부(110)를 앞뒤로 젖히거나, 패널부(110)가 속한 평면 상에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회전기구(151)의 일부와 제2 회전기구(152)의 일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그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더 포함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회전 잠금기구(153)는 제1 회전기구(151)가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구속하도록 구성된다. 회전 잠금기구(153)는 고정부재(153a), 너트(153b), 및 지렛대(15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샤프트(151c)의 외주면에는 너트(153b)가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샤프트(151c)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고정부재(153a), 제1 회전기립부(151a), 스탠드부(130), 제2 회전기립부(151b) 및 너트(153b)가 순차적으로 끼워질 수 있다. 고정부재(153a)는 제1 샤프트(151c)의 일단부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패널부(110)가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잠금기구(153)의 너트(153b)를 조일 수 있다. 잠금기구(153)의 너트(153b)를 조이면 고정부재(153a), 제1 회전기립부(151a), 스탠드부(130), 제2 회전기립부(151b) 및 너트(153b)가 상호 가까워지며 서로를 압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기립부 및 제2 기립부는 고정부재(153a), 스탠드부(130) 및 너트(153b)와의 마찰력 때문에 회전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패널부(110)가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못한다. 반대로, 사용자는 너트(153b)와 제1 샤프트(151c)의 결합을 느슨하게 하여 패널부(110)를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패널부(110)의 후방에 스탠드부(130)를 배치하고, 패널부(110)와 스탠드부(130) 사이의 공간에 배터리함(170)을 배치할 수 있다. 이렇게 배치하면 패널부를 뒤로 젖혔을 때에 배터리함의 상측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패널부에 의하여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가 오는 경우 패널부(110)가 뒤로 약간 젖혀진 상태에서 패널부(110)가 배터리함(170)에 빗물이 들이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너트(153b)에 지렛대(153c)가 결합될 수 있다. 지렛대(153c)는 제1 샤프트(151c)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지렛대(153c)에 의하여 사용자는 너트(153b)를 작은 힘으로도 너트(153b)를 조이거나 풀 수 있다. 제1 지름을 가지는 원통형의 중공이 너트(153b)에 천공되고, 너트(153b)가 중공에 끼워질 수 있다. 지렛대(153c)는 제1 샤프트(151c)로부터 지렛대(153c)의 일단까지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렛대(153c)의 중단부가 제1 지름보다 작은 제2 지름을 가지고, 지렛대(153c)의 양단부가 제1 지름보다 큰 제3 지름을 가지도록 지렛대(153c)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하여 지렛대(153c)는 중공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제한된 범위 안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샤프트로부터 힘점까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지렛대(153c)의 전체 길이가 패널부(110)와 제1 샤프트(151c) 간의 거리보다 긴 경우, 지렛대(153c)가 패널부(110)에 부딪혀 지렛대(153c)의 회전각도가 제한되는 일 없이 지렛대(153c)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레일, 슬라이더, 배터리 및 배터리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함을 패널부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입간판은 배터리(160) 및 배터리(160)를 수용하는 배터리함(170)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함(170)은 패널부(110)에 장착된다. 탈착 가능한 배터리(160)를 패널부(110)에 부착시킴으로써, 패널부(110)가 회전할 때 배터리(160)에 연결되는 도선(122)이 끊기거나 의도치 않게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터리(160)는 조명(121)을 밝히기 위한 전압을 조명부(120)에 공급한다. 배터리(160)는 충전 및 방전이 반복적으로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배터리함(170)은 배터리(16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입간판은 배터리(160) 및 배터리함(170)을 포함함으로써, 콘센트와 인접한 곳에 설치되지 않아도 조명(121)을 밝힐 수 있다. 배터리함(170)은 패널부(110)에 결합된다. 스탠드부(13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패널부(110)를 가지는 입간판에 있어서, 배터리(160)가 패널의 외측에 배치되는 경우 패널부(110)가 회전함에 따라 도선(122)이 단선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개시의 입간판은 배터리함(170)을 패널에 결합시킴으로써 도선(122)이 단선되는 문제 없이 패널부(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배터리함(170)의 내부에 배터리(160)가 수용된다. 배터리함(170)은 측면 및 윗면 중 적어도 하나가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60)를 배터리함(170)의 개방된 면 측으로 슬라이딩시켜 배터리함(170)에 삽입하거나, 배터리함(17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배터리함(170)의 개방된 면 측에는 배터리함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성된 탄성부(elastic portion, 172a)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172a)는 배터리(160)에 배터리(160)를 배터리함(170) 측으로 누르는 탄성력을 가한다. 탄성부(172a)에 의하여 배터리(160)가 배터리함(170)으로부터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배터리(160)를 배터리함(170)에서 분리시켜 충전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복수 개의 배터리(160)를 구비하고, 방전된 배터리를 충전해둔 배터리로 교체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배터리(160)를 충전 중일 때에도 필요할 때에 언제든지 조명부(160)를 밝힐 수 있다.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함(170)은 배터리함 본체(172), 및 배터리함 받침대(171)를 포함한다. 배터리함 받침대(171)가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고, 배터리함 받침대(171)의 후방에서 배터리함 본체(172)가 배터리함 받침대(171)에 결합된다. 배터리함 받침대(171) 상에 배터리(160)가 장착된다. 배터리(160)는 배터리함 받침대(171) 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패널의 뒷면으로부터 아래에서 설명할 슬라이딩 레일(sliding rail; 181, 182) 및 슬라이더(slider; 191, 192, 193)보다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로 인하여 배터리(160)를 배터리함(170)에 삽입시키거나 분리시킬 때에 배터리(160)가 슬라이딩 레일(181, 182)이나 슬라이더(191, 192, 193)에 부딪히는 것이 방지된다.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간판은, 패널부(110)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레일(181, 182), 및 슬라이딩 레일(181, 182)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더(191, 192, 193)를 포함한다. 배터리함(170)은 슬라이더(191, 192, 193)를 매개로 패널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배터리함(170)이 슬라이더(191, 192, 193)에 결합되고 슬라이더(191, 192, 193)가 패널부(110)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181, 182)에 결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슬라이더(190)는 통상의 패널의 테두리 측에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라이더는 통상의 패널의 테두리를 슬라이딩 레일로 삼아 슬라이딩 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슬라이더(191, 192, 193)는 슬라이딩 레일(181, 182)의 내부에 삽입되는 슬라이더(191, 192, 193) 플랜지, 및 슬라이더(191, 192, 193) 플랜지로부터 기립되는 기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립부는 슬라이더(191, 192, 193)가 슬라이딩 레일(181, 182)에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레일(181, 18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다. 슬라이더(191, 192, 193) 플랜지에는 슬라이딩 레일(181, 182) 측으로 관통되는 나사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구멍에 나사를 조인 상태에서, 슬라이더(191, 192, 193)를 슬라이딩 시키려는 경우 나사와 슬라이딩 레일(181, 182) 사이에 마찰력이 슬라이더(191, 192, 193)의 슬라이딩을 막는다. 이로써 슬라이더(191, 192, 193)가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슬라이더(191, 192, 193)가 원하는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슬라이더(191, 192, 193)의 나사홈에 나사를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슬라이더(191, 192, 193)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슬라이더(191, 192, 193) 및 슬라이딩 레일(181, 182)에 의하여 배터리함(170)을 원하는 위치에 이동시키거나 고정시킬 수 있다. 배터리함(170)은 슬라이더(19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배터리(160)를 사용하지 않을 때 배터리함(170)을 슬라이더(19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배터리함(170)은 기립부에 결합될 수 있다. 배터리함(170)에는 기립부가 삽입되기 위한 슬릿(171b)이 형성될 수 있다. 기립부가 슬릿(171b)에 삽입됨으로써 배터리함(170)과 슬라이더(191, 192, 193)가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배터리함(17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배터리함(170)에 슬라이더(191, 192, 193)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더(191, 192, 193)를 고정시킬 수 있다. 슬라이더(191, 192, 193)의 배터리함(170)에 삽입되는 부분은 입간판의 부피를 축소할 수 있도록 납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191, 192, 193)의 기립부의 일부분이 패널부(110)의 뒷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기립부의 중단부가 절곡될 수 있다. 배터리함(170)은 기립부의 패널부(110)의 뒷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부분에 끼워질 수 있다. 이렇게 끼워진 배터리함(170)은 슬라이더(191, 192, 193)가 슬라이딩 레일(181, 182)에 고정된 상태에서 패널부(110)의 후방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슬라이더(191, 192, 193)가 슬라이딩 레일(181, 182)에 고정되면 배터리함(170)은 당연히 슬라이더(191, 192, 193)의 슬라이딩 방향으로도 움직이지 않는다. 다만, 배터리함(170)의 일측면에만 슬라이더(191, 192, 193)가 결합된 경우 배터리함(170)은 기립부의 중단부가 절곡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배터리함(170)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배터리함(170)의 상호 인접한 두 면에 슬라이더(191, 192, 193)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함(170)의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면과, 배터리함(170)의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면에 슬라이더(191, 192, 193)가 삽입될 수 있다. 슬라이딩 레일(181, 182)은 패널부(110)의 뒷면에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레일(181, 182)은 제1 슬라이딩 레일(181) 및 제2 슬라이딩 레일(182)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부(110)의 제1 변을 따라 제1 슬라이딩 레일(181)이 형성되고, 패널부(110)의 제1 변에 인접한 제2 변을 따라 제2 슬라이딩 레일(182)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191, 192, 193)는 제1 슬라이더(191), 제2 슬라이더(192) 및 제3 슬라이더(19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더(191)가 제1 슬라이딩 레일(181)에 결합되고, 제2 슬라이더(192) 및 제3 슬라이더(193)가 제2 슬라이딩 레일(182)에 결합될 수 있다. 배터리함 받침대(171)와 패널부(110)의 뒷면 사이에 제1 슬라이더(191), 제2 슬라이더(192) 및 제3 슬라이더(193)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배터리함(170)을 패널부(110)의 뒷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먼저 제1 슬라이더(191)를 배터리함(170)에 삽입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슬라이더(191)와 함께 배터리함(170)을 제2 슬라이딩 레일(182) 측으로 이동시켜 배터리함(170)에 제2 슬라이더(192) 및 제3 슬라이더(193)를 삽입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제1 슬라이더(191), 제2 슬라이더(192) 및 제3 슬라이더(193) 각각의 나사구멍에 나사를 조여 제1 슬라이더(191), 제2 슬라이더(192) 및 제3 슬라이더(193)를 고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배터리함(170)을 완전히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9에는 두 개의 슬라이딩 레일(181, 182)이 패널부(110)의 상호 인접한 두 변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의 슬라이딩 레일(181, 182)은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슬라이딩 레일(181, 182)은 패널부(110)의 어느 한 변과 평행하지 않거나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개시의 슬라이더(191, 192, 193)는 슬라이더(191, 192, 193) 플랜지와 기립부를 가지는 슬라이더(191, 192, 193)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191, 192, 193)는 단순히 "ㄷ"자 모양을 가지고 패널부(110)의 테두리에 끼워져 패널부(110)의 테두리 상에서 슬라이딩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간판을 나타낸 후면도이다.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간판의 구성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간판은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입간판의 배터리함(270)은, 패널부(210)의 후면 중심부로부터 소정 거리보다 근접한 위치에서 패널부(210)에 결합된다. 패널부(210)의 뒷면의 중심부에 회전기구(250)가 결합되고, 회전기구(250)의 후방에 스탠드부(230)가 결합될 수 있다. 배터리함(270)을 패널부(210)의 중심부에 인접하게 배치함으로써, 패널부(210) 및 배터리(260)의 중량이 스탠드부(230)의 좌측이나 우측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부(210)가 의도치 않게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210: 패널부
120: 조명부
130, 230: 스탠드부
150, 250: 회전기구
160: 배터리
170, 270: 배터리함
180: 슬라이딩 레일
190: 슬라이더

Claims (11)

  1. 광고지가 게시되는 패널부(panel unit);
    상기 패널부를 지지하는 스탠드부(stand unit);
    상기 패널부가 상기 스탠드부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패널부와 상기 스탠드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회전기구(rotation mechanism);
    상기 패널부에 장착되고 상기 광고지에 빛을 비추도록 구성되는 조명, 및 상기 조명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도선을 포함하는 조명부(lighting unit);
    상기 조명을 밝히기 위한 전압을 조명부에 공급하고 충전 및 방전이 반복적으로 가능한 배터리(battery);
    상기 배터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배터리함(battery case);
    상기 패널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레일(sliding rail); 및
    상기 슬라이딩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더(slider)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함은 상기 슬라이더를 매개로 상기 패널부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은,
    상기 패널부의 뒷면의 테두리를 이루는 변(edge) 중 하나인 제1 변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 레일(first sliding rail); 및
    상기 패널부의 뒷면의 테두리를 이루는 변 중 하나이고, 상기 제1 변에 인접한 제2 변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 레일(second sliding rail)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1 슬라이딩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1 슬라이더(first slider); 및
    상기 제2 슬라이딩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 슬라이더(second slid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간판.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함 및 상기 슬라이더는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간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패널부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간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구는,
    상기 스탠드부에 결합되고, 지면에 평행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1 회전기구
    를 포함하되,
    상기 패널부가 상기 스탠드부에 상기 제1 회전기구를 매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간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구는 상기 패널부의 뒷면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스탠드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상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함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패널부의 뒷면과 상기 스탠드부의 사이에서 상기 패널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간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구는,
    상기 패널부의 뒷면에 결합되고, 상기 패널부에 수직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 회전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스탠드부는 상기 제2 회전기구를 매개로 상기 패널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간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구는,
    지면에 평행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스탠드부에 결합된 제1 회전기구; 및
    상기 패널부에 수직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패널부의 뒷면에 결합된 제2 회전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회전기구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 회전기구의 적어도 일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간판.
  10. 제 6항 및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기구가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구속하기 위한 회전 잠금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간판.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함은, 상기 패널부의 뒷면에 상기 패널부의 뒷면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보다 근접한 위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간판.
KR2020220000537U 2022-02-28 2022-02-28 입간판 Active KR2004981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537U KR200498137Y1 (ko) 2022-02-28 2022-02-28 입간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537U KR200498137Y1 (ko) 2022-02-28 2022-02-28 입간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768U KR20230001768U (ko) 2023-09-05
KR200498137Y1 true KR200498137Y1 (ko) 2024-07-05

Family

ID=87973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537U Active KR200498137Y1 (ko) 2022-02-28 2022-02-28 입간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8137Y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254B1 (ko) * 2011-12-13 2013-07-30 문창모 회전 가능한 거치대
KR20210031300A (ko) * 2019-09-11 2021-03-19 민은홍 배터리 외장형 광고대
KR20210078370A (ko) * 2019-12-18 2021-06-28 민은홍 다리대를 펼쳐서 설치가 이루어지는 절첩식 광고대
KR20210078369A (ko) * 2019-12-18 2021-06-28 민은홍 광고대의 배터리 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768U (ko) 202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3585A (en) Adjustable light fixture
US7431482B1 (en) Modular downlight assembly
US20060274521A1 (en) Lighting device for a realty sign
GB2448406A (en) Barrier support system
KR200498137Y1 (ko) 입간판
KR101502516B1 (ko) 굽힘형 고정 프레임을 구비한 엘이디 표시장치
CN211124929U (zh) 一种便于调节角度具有防尘效果的思政教育展示板
KR20090001634U (ko) 모니터 스탠드
US11435039B2 (en) Device for lighting a court and corresponding lighting strip
CN215215630U (zh) 一种排线式的电视支撑架
KR101646087B1 (ko) 등대 표체 조사등
CN108538215A (zh) 广告灯箱的转出式更换广告机构及其更换广告的方法
CN212229984U (zh) 一种用于户外led显示屏
US9454920B2 (en) Apparatus for backlighting billboards using indirect light
CN221941171U (zh) 一种用于工程监理的安全警示装置
CN103511959B (zh) 野外工作指示灯
EP0775362A1 (en) Modular storage and display device
CN207922006U (zh) 一种分体式led泛光灯
CN222394511U (zh) 一种新型软膜墨水屏灯箱
CN216551672U (zh) 一种电力检修用警示装置
RU77087U1 (ru) Реклам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CN222559619U (zh) 一种可转动led显示屏
KR102669267B1 (ko) 각도 조절식 깃대꽂이
JP4079859B2 (ja) 照明装置
CN209604923U (zh) 一种具有多种安装方式的led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22022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31221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7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4070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