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98116Y1 - 펠릿 연료용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보일러 - Google Patents

펠릿 연료용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8116Y1
KR200498116Y1 KR2020220001745U KR20220001745U KR200498116Y1 KR 200498116 Y1 KR200498116 Y1 KR 200498116Y1 KR 2020220001745 U KR2020220001745 U KR 2020220001745U KR 20220001745 U KR20220001745 U KR 20220001745U KR 200498116 Y1 KR200498116 Y1 KR 2004981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furnace
exhaust gas
combustion
burner
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7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00151U (ko
Inventor
진상민
장시권
Original Assignee
진상민
장시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상민, 장시권 filed Critical 진상민
Priority to KR20202200017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8116Y1/ko
Publication of KR202400001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1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81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8116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 F23B60/02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with combustion air supplied through a g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1/00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 F23B1/16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the combustion apparatus being modified according to the form of grate or other fuel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8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 F23B80/04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by means for guiding the flow of flue gases, e.g. baf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2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 F23J15/025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using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4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 F24H1/16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 F24H1/167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4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700/00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 F23B2700/003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adapted for use in water-tube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700/00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 F23B2700/037Burners for solid or solidified fuel, e.g. metaldehyde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가 구비되는 윈드박스; 상기 윈드박스 상부에 위치하며, 펠렛 연료가 투입되는 연료 투입구가 구비되는 연소로; 상기 연소로의 둘레 측에서 상기 연소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면서 상기 연소로의 직경방향과 접선방향 사이 방향을 따라 타공되는 통공; 상기 연소로의 둘레를 감싸도록 위치하는 외통; 상기 외통의 내주면과 상기 연소로의 외주면이 이격된 공간인 차단부; 및상기 연소로의 둘레측에서 상기 통공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윈드박스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통공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에어가이드;를 포함하는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보일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펠릿 연료용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보일러{Burner for pellet fuel and boiler comprising same}
본 고안은 펠릿을 연료로 하여 연소하는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소각로나 공장이나 등의 난방 등에 폐기물자원을 에너지화하는 측면에서 최근에는 친환경 고체 연료가 각광받고 있다.
고체연료로서 폐기물 등을 압축하여 형성한 펠릿 연료가 사용되는데, 이와 같은 펠릿 연료는 상기와 같이 폐기물 등으로 제조되므로 제조단가는 매우 낮으나, 탄소함량은 적고 불순물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완전연소가 어려우며, 연소시 배출되는 배가스에 회분에 의한 그을음 등 입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오염물질 배출이 많고, 이러한 그을음이 연소로 내벽면에 부착되어 연소장치의 열화를 야기한다.
특허문헌 1에는 고온의 외기와 배기가스 중 일부를 리턴시켜 펠렛이 연소하는 로스톨로 다시 공급하여 펠렛을 완전 연소시킬수 있는 보일러가 개시된다.
그러나, 외기와 배기가스를 리턴시키기 위하여 추가적인 배관 등이 설치되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다, 보일러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면 열손실이 많아져 열효율이 저하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화로(연소로) 내부에 부착되는 그을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화로를 회전 및 진동시키는 구성이 별도로 구비되는바, 구성이 복잡하고, 또한, 화로를 회전 및 진동시키기 위한 에너지가 별도로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KR 10-2002074 B1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펠렛을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의 연소 효율을 높이면서, 배가스의 그을음에 의한 문제를 해결하는 버너 및 보일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가 구비되는 윈드박스; 상기 윈드박스 상부에 위치하며, 펠렛 연료가 투입되는 연료 투입구가 구비되는 연소로; 상기 연소로의 둘레 측에서 상기 연소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면서 상기 연소로의 직경방향과 접선방향 사이 방향을 따라 타공되는 통공; 상기 연소로의 둘레를 감싸도록 위치하는 외통; 상기 외통의 내주면과 상기 연소로의 외주면이 이격된 공간인 차단부; 및상기 연소로의 둘레측에서 상기 통공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윈드박스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통공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에어가이드;를 포함하는 버너를 제공한다.
상기 윈드박스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에어가이드 내부를 지나 상기 통공을 통하여 상기 연소로 내부로 유입되면서 상기 연소로의 내주면 측을 따라 와류를 형성하고, 형성되는 상기 와류에 의해 상기 연소로 내 연소에 의한 화염이 상기 연소로 내주면에 접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부의 공간에 의해 상기 연소로와 상기 외통의 외부와의 열 차단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공은 상기 연소로의 둘레방향을 따라 5열로 타공되며, 상기 에어가이드는 내부에 소정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윈드박스 측과 상기 통공측이 개방된 삼각기둥 형태로서, 열을 이룬 상기 통공의 외측에 5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소로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화격자, 및 상기 윈드박스 내에서 상기 연소로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연소로 내부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재가 상기 화격자를 통해 투입되어 수집되는 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소로 상부에 위치하며, 내부로 유입되는 물 유입구 및 내부의 물이 배출되는 물 배출구가 구비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둘레를 감싸도록 위치하며, 상부에 배가스 배출구가 구비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물탱크 사이의 이격된 공간인 배가스 유동부;를 포함하는,를 포함하는 보일러를 제공한다.
상기 연소로에서 배출되어 상기 배가스 유동부로 유동하는 배가스와 상기 물탱크 내부의 물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물탱크 내부의 물이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가스 배출구로 배출되는 배가스가 여과되도록 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하우징 상부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버너 및 보일러에 의하면, 에어가이드 및 통공의 구성을 통하여, 연소로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와류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연소 효율을 높임은 물론이고, 펠렛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그을음이 연소로 내부에 부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연소로의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연소로 및 외통 부분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작용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연소로 및 외통 부분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보일러의 작용을 나타낸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기술되는 실시예는 고안의 설명을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 및 이를 포하는 보일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는 버너(100) 및 열교환부(200)를 포함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1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너(100)는 윈드박스(110), 연소로(130), 외통(140), 차단부(150) 및 수집부(120)를 포함한다.
윈드박스(110)는 버너(100) 하부에 위치한다, 윈드박스(110)는 내부에 소정 공간이 마련되며, 그 일측으로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111)가 설치된다.
공기 유입구(111)에는 팬(미도시) 등의 공기공급수단이 연결되어, 공기 공급 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공기 유입구(111)를 통하여 윈드박스(110) 내부로 유입된다.
도 3 및 도 4를 더 참조하여 연소로(130)의 구성을 설명한다.
연소로(130)는 윈드박스(110) 상부에 위치한다. 연소로(130)는 윈드박스(110)의 단면적보다는 작도록 구성되며, 내부에는 연소를 위한 공간이 마련된다.
연소로(130)의 바닥면에는 세장형의 봉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화격자(133)가 위치한다.
연소로(130) 일측으로는 펠렛 연료가 투입되는 연료 투입구(131)가 위치한다. 연료 투입구(131)를 통하여 투입된 펠렛 연료가 연소로(130) 내부에서 연소된다.
연소로(130)로 투입되는 펠렛 연료는 폐기물 등을 분쇄, 압축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연소로(130)의 둘레면에는 다수의 통공(134)이 형성된다. 통공(134)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개의 통공(134)이 연소로(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면서 타공되고, 이러한 열이 연소로(130)의 둘레면을 따라 위치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공(134)은 연소로(130)의 둘레 측에 타공되되, 연소로(130)의 직경방향과 접선방향 사이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다수개가 타공된다.
또한, 통공(134)은 연소로(130)의 길이방향(상하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며 타공된다.
열의 갯수는 한정되지 않으나, 연소로(130)의 둘레를 따라 동간격으로 5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효율적인 연소 및 후술하는 연소로(130) 내부의 와류 형성에 효율적임을 확인 하였다.
연소로(130) 내부로 투입된 펠렛 연료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통공(134)을 통하여 연소로(130) 내부로 유입된다. 이 때, 상기와 같은 통공(134)의 형태 및 방향에 의해, 통공(134)을 통하여 연소로(13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연소로(130) 내부에서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 상세히는 후술한다.
에어가이드(135)는 상기 연소로(130)의 둘레측을 따라 상기 통공(134)의 외측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에어가이드(135)는 연소로(130)의 길이방향에 따른 높이를 갖는 삼각기둥 형태로서 내부에 소정 공간이 마련되고, 하부면과 측면 일측이 개방된 삼각기둥 형태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윈드박스(110) 측과 통공(134) 측이 개방된 삼각기둥 형태를 이룬다.
에어가이드(135)가 열을 이루어 타공된 통공(134)의 외측에 위치함에 따라, 에어가이드(135)의 개방된 하측은 윈드박스(110) 측에 위치하고, 개방된 일측은 열을 이루어 타공된 통공(134) 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써, 윈드박스(110)와 통공(134)이 연통되고, 이로써, 윈드박스(110)로 유입된 공기가 에어가이드(135)의 하부를 통하여 에어가이드(135)로 유입되어 에어가이드(135)를 따라 상부로 유동하면서 에어가이드(135) 측면에 연통되는 다수의 통공(134)을 통하여 연소로(130) 내부로 유입된다.
외통(140)은 연소로(130)의 외부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외통(140)은 연소로(130) 외주면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둘레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외통(140)의 일측에는 연료 투입구(131)가 통과하여 연소로(13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공(141)이 형성된다.
차단부(150)는 외통(140)과 연소로(130) 사이에 위치한다. 차단부(150)는 외통(140)과 연소로(13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이다.
외통(140)과 연소로(130)가 이격되어 차단부(150)가 형성됨으로써, 연소로(130)와 외부 공기가 직접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수집부(120)는 연소로(130) 하부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수집부(120)는 연소로(130) 하부에서 윈드박스(110) 내부에 위치하는 공간이며, 윈드박스(110)와는 차단되어, 윈드박스(110)로 유입되는 공기는 수집부(120)로 유입되지 않는다.
수집부(120)는 연소로(130)의 화격자(133) 하부에 위치하여, 연소로(130) 내부에서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재가 화격자(133)를 통과하여 수집부(120)로 투입되어 수집된다.
수집부(120)의 하부 측은 개방되어 연소로(130)로부터 배출되는 재가 수집부(120)를 통하여 하부로 배출되거나, 또는 별도의 개방 도어(미도시)가 설치되어, 개방 도어를 개방함으로써 수집부(120)에 수집된 재를 용이하게 배출시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수집부(120)는 연소로(130)의 둘레면이 하부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체로 형성된 연소로(130)와 수집부(120) 사이에 연소로(130) 바닥면이 위치하여 구획될 수 있다.
윈드박스(100)의 하부에는 받침대(300)가 위치할 수 있다. 받침대(300)의 내부에는 소정 공간이 마련되고, 상부에는 연결구(310)가 형성된다.
받침대(300)의 연결구(310)가 수집부(120)의 하부와 연통됨으로써, 수집부(120)에 수집된 재를 받침부(300) 내부로 투입되도록 하고, 받침대(300)를 제거하여 내부의 재를 외부로 빼낼 수 있다.
다음,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버너(100)를 포함하는 보일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는 상기 버너(100)와, 물탱크(210), 하우징(220) 배가스 유동부(230) 및 필터부(240)를 포함한다.
물탱크(210)는 연소로(130) 상부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연소로(130)의 상부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연소로(130) 상부에서 다수의 지지바(201)가 이격되어 설치되고, 물탱크(210)가 지지바(201) 상부에 거치되어 배치될 수 있다.
물탱크(210) 내부에는 열교환 튜브(213)가 배치되며, 열교환 튜브(213)의 일측에는 물이 유입되는 물 유입구(211)가 구비되고, , 열교환 튜브(213)의 타측에는 물이 배출되는 물 배출구(212)가 구비된다.
하우징(220)은 물탱크(210)의 외부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220)은 물탱크(210)의 외주면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둘레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하우징(220)의 일측에는 상기 물 유입구(211) 및 물 배출구(212)가 통과하여 연소로(130)에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의 설치공(221)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220)은 외통(14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배가스 유동부(230)는 하우징(220)과 물탱크(210) 사이에 위치한다. 배가스 유동부(230)는 하우징(220)과 물탱크(21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이다.
연소로(130)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배가스가 상부로 유동하여 배가스 유동부(230)를 따라 유동하고, 이와 같이 배가스 유동부(230)을 따라 유동하는 고온의 배가스와 물탱크(210) 내부에 수용된 열교환 튜브(213)를 유동하는 물의 열교환에 의해 물이 가열되어 배출된다.
필터부(240)는 하우징(220) 상부에 위치하여 하우징(220) 내 배가스 유동부(230)를 지나 하우징(220) 상부로 배출되는 배가스에 포함된 입자성 물질(그을음) 등이 여과되어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필터부(240)는 하우징(220) 상부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교체가 가능하다.
필터부(240) 상부에는 필터부(240)를 덮는 덮개(250)가 설치될 수 있고, 덮개(250) 일측에 배가스 배출구(251)이 연결되어, 여과된 배가스가 배출된다.
배가스 배출구(251)에는 팬이나 컴프레셔 등의 공기배출수단(미도시)이 연결되어, 공기배출수단을 작동시켜 배가스 배출구(251) 쪽에 읍압을 형성하여 배가스가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다음, 도 5 및 도 6을 더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100) 및 이를 포함하는 보일러의 작용을 설명한다.
연료 투입구(131)를 통하여 펠렛 연료가 연소로(130) 내부로 투입된다. 펠렛 연료의 투입은 연료 투입구(131)에 피스톤 장치 등의 연료주입수단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공기공급수단을 통하여 공기 유입구(111)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공기 유입부를 통하여 윈드박스(1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된다.
윈드박스(1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에어가이드(135) 내부를 지나 통공(134)을 통하여 연소로(130) 내부로 유입되고, 연료와 공기가 연소로(130) 내부로 투입되기 시작하면, 점화를 통하여 화염에 의한 연소가 개시된다.
통공(134)은 상기와 같이 경사를 이루며 타공되어 있으므로, 통공(134)을 통하여 연소로(13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연소로(130)의 내주면 측을 따라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로써, 공기에 포함된 산소와 연료의 접촉이 원활하게 되어 보다 효율적인 연소가 가능하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소로(130) 내주면에 형성되는 공기의 와류에 의해 연소로(130) 내주면에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로써, 펠렛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그을음이 연소로(130) 내주면에 부착되지 않도록 하면서 연소가 가능하게 되어, 연소로(130)의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연소로(130)에서의 연소시에, 외통(140)과 연소로(130) 사이에 위치하는 차단부(150)에 의하여 연소로(130)와 외부 공기가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되므로, 연소로(130) 내부의 온도가 외부공기에 의해 저하됨으로써 연소 효율이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연소에 의해 연소로(130) 상부로 배출되는 고온의 배가스는 배가스 유동부(230)로 유동하며, 배가스 유동부(230)로 유동하는 고온의 배가스와 물탱크(210) 내부에서 물 유입구(211)를 통하여 열교환 튜브(213)로 유입되어 유동하는 물이 열교환됨으로써 물이 가열되고, 가열된 물은 물 배출구(212)로 배출된다.
배가스 유동부(230)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배가스는 하우징(220) 상부로 유동하여 필터부(240)를 지나면서 배가스에 포함된 입자성 물질이 여과되어 배가스 배출구(25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본 고안에 의한 버너 및 보일러에 의하면, 에어가이드 및 통공의 구성을 통하여, 연소로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와류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연소 효율을 높임은 물론이고, 펠렛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그을음이 연소로 내부에 부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연소로의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버너
110: 윈드박스
111: 공기 유입구
120: 수집부
130: 연소로
131: 연료 투입구
133: 화격자
134: 통공
135: 에어가이드
140: 외통
150: 차단부
200: 열교환부
201: 지지바
210: 물탱크
211: 물 유입구
212: 물 배출구
213: 열교환 튜브
220: 하우징
230: 배가스 유동부
240: 필터부
250: 덮개
251: 배가스 배출구

Claims (9)

  1.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111)가 구비되는 윈드박스(110);
    상기 윈드박스(110) 상부에 위치하며, 펠렛 연료가 투입되는 연료 투입구(131)가 구비되는 연소로(130);
    상기 연소로(130)의 둘레 측에서 상기 연소로(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면서 상기 연소로(130)의 직경방향과 접선방향 사이 방향을 따라 타공되는 통공(134);
    상기 연소로(130)의 둘레를 감싸도록 위치하는 외통(140);
    상기 외통(140)의 내주면과 상기 연소로(130)의 외주면이 이격된 공간인 차단부(150);
    상기 연소로(130)의 둘레측에서 상기 통공(134)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윈드박스(110)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통공(134)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에어가이드(135);를 포함하는
    버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드박스(110)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에어가이드(135) 내부를 지나 상기 통공(134)을 통하여 상기 연소로(130) 내부로 유입되면서 상기 연소로(130)의 내주면 측을 따라 와류를 형성하고,
    형성되는 상기 와류에 의해 상기 연소로(130) 내 연소에 의한 화염이 상기 연소로(130) 내주면에 접촉되지 않는,
    버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150)의 공간에 의해 상기 연소로(130)와 상기 외통(140)의 외부와의 열 차단이 이루어지는,
    버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134)은 상기 연소로(130)의 둘레방향을 따라 5열로 타공되며,
    상기 에어가이드(135)는 내부에 소정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윈드박스(110) 측과 상기 통공(134)측이 개방된 삼각기둥 형태로서, 열을 이룬 상기 통공(134)의 외측에 5개가 구비되는,
    버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로(13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화격자(133), 및 상기 윈드박스(110) 내에서 상기 연소로(130)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연소로(130) 내부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재가 상기 화격자(133)를 통해 투입되어 수집되는 수집부(120)를 더 포함하는,
    버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버너(100)를 포함하는 보일러로서,
    상기 연소로(130) 상부에 위치하며, 내부로 유입되는 물 유입구(211) 및 내부의 물이 배출되는 물 배출구(212)가 구비되는 물탱크(210);
    상기 물탱크(210)의 둘레를 감싸도록 위치하며, 상부에 배가스 배출구(251)가 구비되는 하우징(220); 및
    상기 하우징(220)과 상기 물탱크(21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인 배가스 유동부(230);를 포함하는,
    보일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로(130)에서 배출되어 상기 배가스 유동부(230)로 유동하는 배가스와 상기 물탱크(210) 내부의 물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물탱크(210) 내부의 물이 가열되는,
    보일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가스 배출구(251)로 배출되는 배가스가 여과되도록 하는 필터부(240)를 더 포함하는,
    보일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240)는 상기 하우징(220) 상부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보일러.
KR2020220001745U 2022-07-18 2022-07-18 펠릿 연료용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보일러 Active KR2004981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745U KR200498116Y1 (ko) 2022-07-18 2022-07-18 펠릿 연료용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745U KR200498116Y1 (ko) 2022-07-18 2022-07-18 펠릿 연료용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151U KR20240000151U (ko) 2024-01-26
KR200498116Y1 true KR200498116Y1 (ko) 2024-07-03

Family

ID=89713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745U Active KR200498116Y1 (ko) 2022-07-18 2022-07-18 펠릿 연료용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8116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162Y1 (ko) 2004-12-13 2005-03-14 전영주 난방용 난로
KR100813130B1 (ko) 2007-03-15 2008-03-17 신한보일러(주) 화목보일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468B1 (ko) 2000-06-21 200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경사투입 세탁기의 조작부 체결구조
KR20030073442A (ko) * 2002-03-11 2003-09-19 강성보일러 주식회사 보일러
KR101892127B1 (ko) * 2016-11-30 2018-08-28 이상훈 보일러용 연소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162Y1 (ko) 2004-12-13 2005-03-14 전영주 난방용 난로
KR100813130B1 (ko) 2007-03-15 2008-03-17 신한보일러(주) 화목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151U (ko) 2024-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1467B2 (ja) 熱効率が向上された燃焼装置
KR200455315Y1 (ko) 열회수율 및 내구성이 향상된 연소장치
KR101209022B1 (ko) 열회수율이 향상된 열회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열병합 발전시스템
KR101280857B1 (ko) 연소효율이 향상되는 연소장치
KR101228345B1 (ko) 연소효율이 향상되는 연소장치
KR101077600B1 (ko) 보일러
KR20070005481A (ko) 회류발생 가스 연소로
CN102345850B (zh) 具有改进的热回收率的热回收系统及利用该系统的热电联产系统
KR200445277Y1 (ko) 열회수율 및 내구성이 향상된 연소장치
KR200412529Y1 (ko) 연료 분해장치와 오일 연소장치를 이용한 고형연료연소장치
KR200498116Y1 (ko) 펠릿 연료용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보일러
EA008320B1 (ru) Газогенераторный отопительный котёл для сжигания твёрдого топлива, в особенности кип соломы, с оптимизированными параметрами отработавших газов
KR101080928B1 (ko) 열효율이 향상된 연소장치
KR200464404Y1 (ko) 열회수율 및 내구성이 향상된 연소장치
KR101017700B1 (ko) 열효율이 향상된 연소장치
KR0114474Y1 (ko) 조립식 소각로
CN112815526A (zh) 热风炉
CN204829922U (zh) 一种垃圾焚烧炉热利用装置
CN202938363U (zh) 组合式煤转气燃烧供暖炉
CN214664451U (zh) 化工残渣处理焚烧炉
CN116398874B (zh) 生物质燃烧锅炉
WO2011156871A1 (en) Indirectly fired gas turbine assembly
KR102297258B1 (ko) 유해연소가스를 제거 가능한 펠릿 난로
KR20120008416A (ko) 고체 연료 보일러
KR200312509Y1 (ko) 스팀 기능을 갖는 온수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22071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4022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6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4062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