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900Y1 - A lifting apparatus for installing pipe - Google Patents
A lifting apparatus for installing pi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7900Y1 KR200497900Y1 KR2020190003329U KR20190003329U KR200497900Y1 KR 200497900 Y1 KR200497900 Y1 KR 200497900Y1 KR 2020190003329 U KR2020190003329 U KR 2020190003329U KR 20190003329 U KR20190003329 U KR 20190003329U KR 200497900 Y1 KR200497900 Y1 KR 20049790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alarm
- support
- unit
- lif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재, 이동부재의 상부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 승강부재의 상부에 구비되어 배관을 지지하고, 복수의 아이볼트를 통해 배관을 고정하는 배관 지지부를 포함하는 배관 설치용 리프팅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ing member that is movable on the ground, a lifting member that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ving member to be height-adjustable, a piping that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member to support the piping, and to secure the piping through a plurality of eye bolts. A lifting device for pipe installation including a support portion is provided.
Description
본 고안은 배관 설치용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device for pipe installation.
일반적으로 대형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에는 데크(deck) 하부에 하부 구조물이 설치되고, 하부 구조물에는 다양한 사이즈의 수많은 배관들이 설치되어 있다.In general, large ships or marine structures have a lower structure installed below the deck, and numerous pipes of various sizes are installed in the lower structure.
이러한 하부 구조물 내의 작업장에서 배관 공사를 위해 배관을 들어올릴 때에는, 통상 작업장의 천장 쪽에 체인과 레버가 장착된 체인블록을 설치하여 배관을 들어올리고 있다.When lifting a pipe for piping work in a workshop within such a lower structure, a chain block equipped with a chain and lever is usually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workshop to lift the pipe.
또한, 배관을 설치하는 과정에서는 작업자가 체인블록에 의해 들어올려진 배관을 핸들링하여 기 설치된 배관에 연결 설치해야 함으로써, 5m 이상의 높은 위치에서 배관을 설치할 때에는 족장을 설치하여 작업자가 족장 위에서 체인블록에 의해 들어올려진 배관을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pipes, the worker must handle the pipe lifted by the chain block and connect it to the already installed pipe. Therefore, when installing the pipe at a high location of 5 m or more, a pole is installed so that the worker can use the chain block on the pole. Raised piping can be installed.
그런데, 이와 같은 배관 설치 과정에서는 배관 설치 장소까지 대차를 이용하여 배관을 운반해야하고, 복수의 체인블록을 천장 구조물에 설치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배관 설치 장소마다 족장을 설치해야 함으로써,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작업 효율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in this pipe installation process,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transport the pipe using a truck to the pipe installation location, installing multiple chain blocks on the ceiling structure, and installing a pole at each pipe installation location, which takes a lot of time. It had the disadvantage of being time consuming and reducing work efficiency.
이에 따라, 최근에는 족장 대신에 작업자를 승강시킬 수 있는 고소차를 이용하여 족장 설치에 따른 노동력 및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는 있으나, 2대 이상의 고소차가 필요하고, 복수의 체인블록을 통해 배관을 들어올려야 함으로써 여러 명의 작업 인원이 동원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배관 설치 작업에 여전히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recently, the labor and work time required for installing a pole has been reduced by using an aerial vehicle that can lift workers instead of a pole, but two or more aerial vehicles are required and the pipes are lifted through multiple chain blocks. In order to raise the pipe, several workers must be mobilized, and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labor is still required for pipe installation work.
본 고안에서는 배관 설치용 리프팅 장치,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사이즈의 배관을 리프팅 장치 상부에 공고히 고정할 수 있고, 고정된 배관을 8m ~ 10m의 높이까지 들어올릴 수 있어, 작업장 내의 일정 높이까지는 체인블록 설치 없이도 배관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배관 설치용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lifting device for pipe installation, specifically, pipes of various sizes can be firmly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device, and the fixed pipes can be lifted to a height of 8m to 10m, so that the pipes can be lifted up to a certain height in the workplace without installing chain blocks. The object is to provide a lifting device for pipe installation that can easily install pipes.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challenge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desig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challenge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challenge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이동부재, 이동부재의 상부에 설치되고, 높이가 조절되는 승강부재 및 승강부재의 상부에 구비되어 배관을 지지하고, 지지되는 배관의 직경에 따라 간격이 조절되는 간격조절부재를 통해 배관을 고정하는 배관 지지부를 포함하는 배관 설치용 리프팅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ing member, a lifting member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ving member and the height of which is adjusted, and a lifting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member to support the pipe, depending on the diameter of the supported pipe. A lifting device for pipe installation is provided, including a pipe support portion that secures the pipe through a gap adjusting member whose gap is adjusted.
또한, 배관 지지부는 배관을 지지하고 판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지지판과, 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하고, 간격조절부재는 지지판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공 중 배관의 둘레 양측에 배치되는 체결공에 체결되어 배관의 둘레 양측을 지지하는 복수의 아이볼트를 포함하는 배관 설치용 리프팅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ipe support unit includes a support plate that supports the pipe and has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plate surface, and a spacing adjustment member, and the spacing adjusting member is a fastening member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ircumference of the pipe among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med in the support plate. A lifting device for installing a pipe is provided, including a plurality of eye bolts that are fastened to a ball and support both sides of the pipe.
또한, 배관 지지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배관 지지부의 흔들림을 감지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흔들림 경보장치를 더 포함하고, 흔들림 경보장치는, 배관 지지부의 흔들림을 감지하는 감지부,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부 및 감지부로부터 기 설정된 일정범위 이상의 흔들림이 감지되는 경우 경보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승강부재는 경보부의 동작이 확인되면, 배관 지지부를 하강시키는 배관 설치용 리프팅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shaking alarm devic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ipe support unit to detect shaking of the pipe support unit and generate an alarm, and the shaking warning device includes a detection unit that detects shaking of the pipe support unit, an alarm unit that generates an alarm, and It includes a control module that operates the alarm unit when shaking over a preset certain range is detected from the detection unit, and the lifting member provides a lifting device for pipe installation that lowers the pipe support unit when the operation of the alarm unit is confirmed.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리프팅 장치는, 아이볼트와 벨트부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배관을 리프팅 장치 상부에 공고히 고정할 수 있고, 고정된 배관을 8m ~ 10m의 높이까지 들어올릴 수 있어, 작업장 내의 일정 높이까지는 체인블록 설치 없이도 배관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배관 설치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고 작업 효율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The lifting device for pipe instal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irmly fix pipes of various sizes to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device using eye bolts and belt members, and can lift the fixed pipe to a height of 8 m to 10 m. , Piping can be easily installed up to a certain height in the workplace without installing chain blocks. This can reduce the labor required to install pipes and increase work efficiency.
또한, 배관을 들어올리는 과정이나, 설치 위치에 배관을 연결 설치하는 과정에서, 배관이 지지된 리프팅 장치 상부의 배관 지지부가 흔들리는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고 배관 지지부를 천천히 하강시킴으로써, 배관 설치 작업 중 배관이 낙하하는 등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lifting the pipe or connecting the pipe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if the pipe support on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device where the pipe is supported shakes, an alarm is generated and the pipe support is slowly lowered, so that the pipe is damaged during the pipe installation work. Safety accidents such as falling can be prevented.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리프팅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리프팅 장치의 상부에 구비되는 배관 지지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부에 배관을 지지하여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부에 다수개의 배관을 고정한 상태를 예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리프팅 장치를 이용하여 배관을 설치하는 상태를 예로 도시한 것이다.Figure 1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lifting device for pipe instal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pipe support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a lifting device for pipe instal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state in which a pipe is supported and fixed to a pipe suppor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pipes are fixed to a pipe suppor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s an example a state in which a pipe is installed using a lifting device for pipe instal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intended to describ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unrelated to the description may b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pressions such as “or”, “at least one”, etc. may represent one of words listed together,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리프팅 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리프팅 장치(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배관 지지부(130)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부(130)에 배관(P)을 지지하여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1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리프팅 장치(100)는 이동부재(110), 승강부재(120) 및 배관 지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3 , the
이동부재(110)는 배관 설치용 리프팅 장치(100)의 하부를 구성하며, 바퀴(112)를 통해 지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moving
이와 같은 이동부재(110)는 대차 프레임(111)과, 대차 프레임(111)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바퀴(112)를 포함할 수 있다.Such a moving
또한, 이동부재(110)가 전동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대차 프레임(111)에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동력을 복수의 바퀴(112)로 전달하는 벨트 또는 기어 구조의 동력전달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oving
승강부재(120)는 이동부재(110)의 상부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일 예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부재(120)가 시저스 리프트(121)로 이루어져 대차 프레임(111)의 상부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As an example, in this embodiment, the
이러한 시저스 리프트(121)는 대차 리프트에 설치되고 상부에 배관 지지부(130)를 구비하여 배관 지지부(130)를 승강시킬 수 있다.This
즉, 시저스 리프트(121)는 복수의 시저 암이 상호 교차되게 배치되고 교차 부위가 축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부에 구비된 배관 지지부(130)를 승강시킬 수 있다.That is, the
이때, 본 실시예의 시저스 리프트(121)의 경우, 시저 암이 대략 8m ~ 10m의 높이까지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배관 지지부(130)에 지지되는 배관(P)을 설치 장소까지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통상, 대형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에의 데크(deck) 하부에는 다수의 배관이 설치되는 하부 구조물이 배치됨으로써, 하부 구조물 내의 작업장에서 배관 공사를 위해 배관을 들어올릴 때에는 작업장의 천장 쪽에 체인블록을 설치하여 배관을 들어올리고 있는데, 본 실시예의 배관 설치용 리프팅 장치(100)의 경우 대략 8m ~ 10m의 높이까지 배관(P)을 들어올릴 수 있어, 작업장 내의 10m 미만의 일정 높이까지는 체인블록 설치 없이도 배관(P)을 운반할 수 있다.Typically, a lower structure with multiple piping installed is placed on the lower part of the deck of a large ship or marine structure, so when piping is lifted for piping work at a workshop within the lower structure, a chain block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workshop. The pipe is being lifted. In the case of the
또한, 시저스 리프트(121)에도 승하강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동력전달수단 등이 구비될 수 있고,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시저스 리프트(12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콘트롤부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배관 지지부(130)는 승강부재(120)의 상부에 구비되어 배관(P)을 지지하고, 지지되는 배관(P)의 직경에 따라 간격이 조절되는 간격조절부재를 통해 배관(P)을 고정할 수 있다.Meanwhile, the
이때, 본 실시예에서 배관 지지부(130)에 구비되는 간격조절부재는 배관 지지부에 구비되는 지지판(131)에 간격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어 다양한 사이즈의 배관을 지지할 수 있는 아이볼트(133)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is embodiment, the spacing adjustment member provided on the
구체적으로, 배관 지지부(130)는 승강부재(120)의 상부에 구비되어 배관(P)을 지지하고, 판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체결공(132)이 형성되는 지지판(131)과, 지지판(131)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공(132) 중 배관(P)의 둘레 양측에 배치되는 체결공(132)에 체결되어 배관(P)의 둘레 양측을 지지하는 복수의 아이볼트(133)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여기서, 지지판(131)은 시저스 리프트(121)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고, 금속 판재나 합성수지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이때, 바람직하게는 시저스 리프트(121) 상부의 무게 경감을 위해 지지판(131)은 PVC(Polyvinyl chloride)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preferably, in order to reduce the weight of the upper part of the
또한, 대형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에 설치되는 스풀(spool) 등의 배관(P)의 경우, 평균적으로 2.5m ~ 3m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의 지지판(131)은 이러한 배관(P)들을 지지할 수 있는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pipes (P) such as spools installed on large ships or marine structures, they are formed to have an average length of about 2.5 m to 3 m, and the
더욱이, 지지판(131)은 다른 사이즈의 배관(P)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사이즈별로 다수개 구비될 수 있고, 승강부재(120) 상부에서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또한, 지지판(131)의 판면에 형성되는 체결공(132)은 지지판(131)의 상면 일측과 상면 타측에 각각 가로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astening holes 132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더불어, 지지판(131)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체결공(132)에는 배관(P)의 둘레 양측을 지지하기 위한 아이볼트(133)가 체결될 수 있다.In addition,
이때, 아이볼트(133)는 지지판(131) 위에 지지되는 배관(P)의 직경에 대응하여 배관(P)의 둘레 양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판(131)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공(132)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즉, 배관(P)의 직경에 따라 지지판(131)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공(132)에 한 쌍의 아이볼트(133)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체결할 수 있어, 아이볼트(133)를 통해 다양한 직경의 배관(P)을 지지할 수 있다.That is, the gap between a pair of
본 실시예에서는 일 예로써, 지지판(131)의 상면 일측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체결공(132)에 한 쌍의 아이볼트(133)를 상호 이격하여 체결하고, 지지판(131)의 상면 타측에도 대응되는 위치의 체결공(132)에 한 쌍의 아이볼트(133)를 체결하여, 4개의 아이볼트(133)를 통해 배관(P)의 전단부 및 후단부의 둘레 양측을 지지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a pair of
또한, 아이볼트(133)의 고리에는 배관(P)을 지지판(131)에 구속하기 위한 슬링벨트 등의 벨트부재(134)가 체결될 수 있다.Additionally, a
이에 따라, 배관(P)의 둘레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아이볼트(133)에 배관(P)을 둘러싸도록 벨트부재(134)를 체결하여 지지판(131) 위에 배관(P)을 공고히 고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또한, 이와 같이 배관 지지부(130)에 배관(P)을 고정한 상태에서는 이동부재(110)를 통해 배관 설치 장소로 배관(P)을 이동시킬 수 있고, 승강부재(120)를 통해 배관 지지부(130)를 들어올려 배관 지지부(130)에 고정된 배관(P)을 8m ~ 10m의 높이까지 들어올릴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승강부재(120)를 이용한 배관 지지부(130)의 높이 조절을 통해 작업장 내의 일정 높이까지는 체인블록 설치 없이도 배관(P)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where the pipe (P) is fixed to the
따라서, 배관 설치에 동원되는 작업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작업 능률을 증대킬 수 있음은 물론, 배관 설치에 소요되는 작업 시간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Therefore, the number of workers required for pipe installation can be minimized and work efficiency can be increased, as well as the work time required for pipe installation can be effectively reduced.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배관 지지부(130)를 통해 하나의 배관(P)을 고정하여 운반하는 상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배관(P)의 직경에 따라 배관 지지부(130)에 다수개 배관(P)을 배치시켜 고정하고 운반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state in which one pipe (P) is fixed and transported through the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부(130)에 다수개의 배관(P)을 고정한 상태를 예로 도시한 것이다.Figure 4 shows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pipes (P) are fixed to the
일 예로써, 도 4를 참조하면, 지지판(131)에 다수개의 배관(P)을 고정하는 경우, 지지판(131)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공(132, 도 3 참조)에 가로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아이볼트(133)를 체결하여, 아이볼트(133) 사이 마다 배관(P)을 배치시킬 수 있고, 아이볼트(133)에 벨트부재(134)를 체결하여 지지판(131) 위에 복수의 배관(P)을 고정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ferring to FIG. 4, when a plurality of pipes (P) are fixed to th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리프팅 장치(100)는, 배관 지지부(130)의 일측에 구비되고, 배관 지지부(130)의 흔들림을 감지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흔들림 경보장치(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구체적으로, 흔들림 경보장치(140)는 배관 지지부(130)의 흔들림을 감지하는 감지부(미도시)와,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부(141) 및 감지부(미도시)로부터 기 설정된 일정범위 이상의 흔들림이 감지되는 경우 경보부(141)를 동작시키는 제어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haking
여기서, 감지부(미도시)는 배관 지지부(130)의 흔들림을 감지할 수 있는 자이로 센서, 기울기 센서 또는 진동 감지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detection unit (not shown) may be comprised of a gyro sensor, tilt sensor, or vibration detection sensor that can detect the shaking of the
또한, 경보부(141)는 경보 램프 및 경보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고, 경보 발생시 경보 램프를 점등시키고, 경보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the
또한, 제어모듈(미도시)은 감지부(미도시) 및 경보부(141)와 연결되어, 감지부(미도시)로부터 기 설정된 일정범위 이상의 흔들림이 감지되는 경우, 경보부(141)의 경보 램프 및 경보 스피커를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detection unit (not shown) and the
이때, 제어모듈(미도시)은 감지부(미도시)로부터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계속하여 배관 지지부(130)의 흔들림이 감지되거나, 소정 각도 이상으로 흔들림이 감지되는 경우 경보부(141)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킴으로써 작업자에게 주의를 줄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module (not shown) sends an alarm through the
또한, 경보부(141)에서 경보가 발생되면 승강부재(120)는 배관 지지부(130)를 하강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안전 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 alarm is generated in the
즉,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승강부재(120)는 경보부(141)에서 경보가 발생되면 배관 지지부(130)를 천천히 하강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That is, for the safety of workers, the lifting
한편,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리프팅 장치(100)의 사용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Meanwhile, the following will describe the use state of the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리프팅 장치(100)를 이용하여 배관(P)을 설치하는 상태를 예로 도시한 것이다.Figure 5 shows as an example a state in which a pipe (P) is installed using the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리프팅 장치(100)를 이용하여 배관(P)을 설치함에 있어서는, 시저스 리프트(121)가 접혀진 상태에서 시저스 리프트(121) 상부에 구비된 배관 지지부(130)에 배관(P)을 고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when installing the pipe (P) using the
이때에는, 배관 지지부(130)의 지지판(131) 상면에 복수의 아이볼트(133)를 체결하고, 아이볼트(133) 사이에 배관(P)의 둘레 양측을 지지시킨 다음, 배관(P)을 둘러싸도록 아이볼트(133)에 벨트부재(134)를 체결하여 지지판(131) 위에 배관(P)을 공고히 고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또한, 이와 같이 배관 지지부(130)에 배관(P)이 고정되면, 이동부재(110)를 통해 배관 설치용 리프팅 장치(100)를 배관 설치 위치의 하부 쪽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시저스 리프트(121)를 펼쳐 배관 지지부(130)를 대략 8m ~ 10m의 높이까지 들어올릴 수 있어, 10m 미만의 일정 높이까지는 체인블록 설치 없이도 배관(P)을 설치 위치까지 운반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ipe (P) is fixed to the
이때, 시저스 리프트(121)의 높이를 조절하여 배관(P)을 설치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작업자가 운반된 배관(P)을 기 설치된 배관(P')에 용이하게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ipe (P) can be placed at the installation location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여기서, 작업자는 배관 설치를 위해 별도의 고소차를 이용하여 배관 설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Here, the worker can move to the pipe installation location using a separate high-altitude vehicle for pipe installation.
또한, 작업자는 본 실시예의 배관 설치용 리프팅 장치(100)를 타고 배관 설치 위치로 이동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배관 지지부(130)의 일측에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핸드레일(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ker may move to the pipe installation location by riding the
또한, 시저스 리프트(121)를 통해 배관 지지부(130)에 고정된 배관(P)을 들어올리는 과정이나, 설치 위치에 배관(P)을 연결 설치하는 과정에서 배관 지지부(130)가 흔들리는 경우, 흔들림 경보장치(140)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켜 작업자에게 주의를 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일 예로써, 배관 지지부(130)가 1분 이상 흔들리거나, 15°이상 기울어지며 흔들리는 경우, 흔들림 경보장치(140)에 구비된 경보램프가 점등되고, 경보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이 발생될 수 있다.As an example, when the
더욱이,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승강부재(120)는 흔들림 경보장치(140)에서 경보가 발생되면 배관 지지부(130)를 천천히 하강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Moreover, for the safety of workers, the liftin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리프팅 장치(100)는, 아이볼트(133)와 벨트부재(134)를 이용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배관(P)을 리프팅 장치(100) 상부에 공고히 고정할 수 있고, 고정된 배관(P)을 8m ~ 10m의 높이까지 들어올릴 수 있어, 작업장 내의 일정 높이까지는 체인블록 설치 없이도 배관(P)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배관 설치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고 작업 효율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배관(P)을 들어올리는 과정이나, 설치 위치에 배관(P)을 연결 설치하는 과정에서, 배관(P)이 지지된 리프팅 장치(100) 상부의 배관 지지부(130)가 흔들리는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고 배관 지지부(130)를 천천히 하강시킴으로써, 배관 설치 작업 중 배관(P)이 낙하하는 등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during the process of lifting the pipe (P) or connecting and installing the pipe (P) at the installation location, an alarm is issued if the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ovided as specific examples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 : 배관 설치용 리프팅 장치 110 : 이동부재
120 : 승강부재 121 : 시저스 리프트
130 : 배관 지지부 131 : 지지판
132 : 체결공 133 : 아이볼트
134 : 벨트부재 140 : 흔들림 경보장치100: Lifting device for piping installation 110: Moving member
120: Elevating member 121: Scissor lift
130: piping support 131: support plate
132: fastening hole 133: eye bolt
134: Belt member 140: Shaking warning device
Claims (3)
상기 이동부재의 상부에 설치되고, 높이가 조절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상부에 구비되어 배관을 지지하고, 상기 지지되는 배관의 직경에 따라 간격이 조절되는 간격조절부재를 통해 상기 배관을 고정하는 배관 지지부; 및
상기 배관 지지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관 지지부의 흔들림을 감지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흔들림 경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흔들림 경보장치는,
상기 배관 지지부의 흔들림을 감지하는 감지부;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기 설정된 일정범위 이상의 흔들림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경보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경보부의 동작이 확인되면, 상기 배관 지지부를 하강시키는 배관 설치용 리프팅 장치.
moving member;
A lifting member installed on top of the moving member and whose height is adjusted;
A pipe support part provided on an upper part of the lifting member to support the pipe and fixing the pipe through a gap adjustment member whose gap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supported pipe. and
A shaking alarm devic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ipe support unit and detects shaking of the pipe support unit to generate an alarm,
The shaking warning device,
A detection unit that detects shaking of the pipe support part;
An alarm unit that generates an alarm; and
It includes a control module that operates the alarm unit when shaking over a preset certain range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A lifting device for pipe installation in which the lifting member lowers the pipe support unit when the operation of the alarm unit is confirmed.
상기 배관 지지부는,
상기 배관을 지지하고 판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공 중 상기 배관의 둘레 양측에 배치되는 체결공에 체결되어 상기 배관의 둘레 양측을 지지하는 복수의 아이볼트를 포함하는 배관 설치용 리프팅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pipe support part,
It includes a support plate that supports the pipe and has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plate surface, and the gap adjustment member,
The spacing adjustment member is,
A lifting device for pipe installa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eye bolts that are fastened to fastening hole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ircumference of the pipe among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med in the support plate and support both sides of the circumference of the pip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3329U KR200497900Y1 (en) | 2019-08-12 | 2019-08-12 | A lifting apparatus for installing pi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3329U KR200497900Y1 (en) | 2019-08-12 | 2019-08-12 | A lifting apparatus for installing pip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0407U KR20210000407U (en) | 2021-02-22 |
KR200497900Y1 true KR200497900Y1 (en) | 2024-03-28 |
Family
ID=74716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90003329U Active KR200497900Y1 (en) | 2019-08-12 | 2019-08-12 | A lifting apparatus for installing pip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7900Y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4276B1 (en) * | 2021-12-30 | 2024-06-11 | 주식회사 미래디앤에스 | Vehicle lifting device |
CN116025770A (en) * | 2022-10-28 | 2023-04-28 |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 Supporting device for comprehensive installation of electromechanical pipeline |
KR102783015B1 (en) * | 2023-02-03 | 2025-03-18 | (주)브이월드코리아 | Movable lifter for horizontal maintenance and rolling of flanged pipes |
KR102807800B1 (en) * | 2023-02-03 | 2025-05-16 | 문재화 | Movable lifter for quick connection of flanged pipes |
KR102645359B1 (en) * | 2023-06-14 | 2024-03-11 |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 Lift system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7481Y1 (en) | 2005-10-31 | 2006-01-31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Riding table lifts for solid work |
US20100213338A1 (en) | 2001-06-08 | 2010-08-26 | Draper, Inc. | Projector lift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7716B1 (en) * | 2012-09-11 | 2014-03-25 |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 Apparatus for transporting bogie module for magnetic levitation train |
KR20140003820U (en) * | 2012-12-12 | 2014-06-20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Apparatus for installing a pipe |
KR200485946Y1 (en) * | 2013-09-11 | 2018-03-16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Lifter for carrying circuit breaker |
-
2019
- 2019-08-12 KR KR2020190003329U patent/KR200497900Y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213338A1 (en) | 2001-06-08 | 2010-08-26 | Draper, Inc. | Projector lift |
KR200407481Y1 (en) | 2005-10-31 | 2006-01-31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Riding table lifts for solid work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0407U (en) | 2021-0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97900Y1 (en) | A lifting apparatus for installing pipe | |
KR101340870B1 (en) | Assistant apparatus for carrying a cable drum | |
JP6654995B2 (en) | Safety equipment for aerial work vehicles | |
US10875456B2 (en) | Cab guard with adjustable railing system for aerial device | |
KR20150102496A (en) | Carrying apparatus for piping spool | |
JP2021165498A (en) | Anti-sway structure of wire rope | |
KR101507626B1 (en) | Camera fixing device of forklift for safety | |
JP2019208792A (en) | Fall prevention device from truck loading platform | |
JP5466783B1 (en) | Support member for safety belt | |
KR101512129B1 (en) | Satety driving system of articulated hydraulic crane tactics truck | |
KR101016638B1 (en) | Lifting device for a small boat | |
KR20110129562A (en) | Aerial Vehicle Leveling Device | |
JP6433794B2 (en) | Fall prevention device for work at height | |
JP2004001907A (en) | Fall prevention device for aerial work vehicles | |
CN111498693A (en) | Protective device for crane | |
JP4556136B2 (en) | Fall prevention tool and its use, and fall prevention fence and its use | |
JP2018016415A (en) | Crane and crane control method | |
KR102437874B1 (en) | aerial work vehicle | |
CN116605746A (en) | Large-scale product overturning method, overturning device and hoisting equipment | |
KR102638014B1 (en) | Movable worktable with hazard alarm function | |
JP5964484B1 (en) | Fall prevention device and large vehicle | |
CN211594850U (en) | Lifting device for building | |
CN203889872U (en) | Installing device for front windshield of motor train | |
KR20240029025A (en) | Aerial Lift Incline Adjustment System | |
KR101378904B1 (en) | trolle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90812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1125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12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31005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2401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2403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40326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