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743Y1 - Press component and connector thereof - Google Patents
Press component and connector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7743Y1 KR200497743Y1 KR2020210002930U KR20210002930U KR200497743Y1 KR 200497743 Y1 KR200497743 Y1 KR 200497743Y1 KR 2020210002930 U KR2020210002930 U KR 2020210002930U KR 20210002930 U KR20210002930 U KR 20210002930U KR 200497743 Y1 KR200497743 Y1 KR 20049774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conductor cable
- ground
- flat conductor
- connec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평면 도체 케이블과 인쇄 회로 기판에 응용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 커넥터에는 하우징 하나, 신호단자 하나, 접지단자 하나, 그리고 복수의 압박 부품이 있다. 평면 도체 케이블이 하우징의 삽입구에 삽입될 때, 평면 도체 케이블은 압박 부품에 작용하여 압박 부품으로 하여금 첫째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는 평면 도체 케이블이 더 이상 압박 부품에 작용하지 않고 압박 부품이 변형량을 방출하고 둘째 방향으로 이동하여 압박 부품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 평면 도체 케이블이 거치 공간에 잠금 고정될 때까지 계속된다. 그리고 외력이 압박부를 눌러 변형이 일어나게 해서 첫째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평면 도체 케이블은 거치 공간으로부터 잠금 해제된다. 본 고안은 또한 압박 부품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or applied to a flat conductor cable and a printed circuit board. This connector has one housing, one signal terminal, one ground terminal, and multiple pressing parts. When the flat conductor cabl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housing, the flat conductor cable acts on the pressing part and causes the pressing part t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This continues until the flat conductor cable no longer acts on the pressing part, the pressing part releases its strain and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pressing part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locking the flat conductor cable in the mounting space. And when an external force presses the pressing part, causing deformation and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the flat conductor cable is unlocked from the holding spac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ressing part.
Description
본 고안은 커넥터 기술 영역에 속하는 압박 부품 및 그 커넥터를 제시한다.This design presents a pressing part and its connector belonging to the connector technology area.
커넥터는 도체 케이블과 전기 회로 기판의 부품을 연결한다. 그 장점은 실체 용접 방식으로 부품들을 전기 회로 기판에 용접할 필요 없이 사용자로 하여금 쉽게 플러그 인/아웃 하는 방법으로 전기적 연결 효능을 실현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Connectors connect conductor cables and components of an electrical circuit board. The advantage is that it allows the user to realize the effectiveness of electrical connection by easily plugging in and out without the need to weld the components to the electric circuit board using a solid welding method.
커넥터가 도체 케이블과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여러 가지 자동 걸쇠 잠금 방식이 개발되어 커넥터와 도체 케이블이 쉽게 연결되고 떨어지지 않게 하며, 위에서 언급한 동작은 도체 케이블이 커넥터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자동적으로 잠금 고정되어 커넥터와 도체 케이블의 연결이 유지된다.In order to ensure that the connector is in stable contact with the conductor cable, several automatic latch locking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ensure that the connector and the conductor cable are easily connected and do not fall off, and the above-mentioned actions are automatically triggered during the conductor cable being inserted into the connector. The locking mechanism maintains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conductor cable.
본 고안은 기존의 커넥터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압박 부품 및 그 커넥터를 제시한다.This design proposes a pressing part and its connector to solve problems caused by existing connectors.
본 고안의 첫 번째 목적은 인쇄 회로 기판과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잠금 고정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first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that can connect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flexible flat cable, thereby locking the flexible flat cable.
본 고안의 두 번째 목적은 상기 커넥터에 근거하여 여러 개의 압박 부품을 이용해서 평면 도체 케이블(예를 들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Flexible flat cable,FFC)과 플렉시블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FPC)을 자동적으로 잠그는 것이다.The second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connect a flat conductor cable (for example, a flexible flat cable, FFC)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 using several pressing parts based on the connector. It will be locked.
본 고안의 세 번째 목적은 상기 커넥터에 근거하여 접지단자를 제공하며, 접지단자의 한쪽 단은 거치 공간으로 연장되어 평면 도체 케이블의 접지를 연결하고 평면 도체 케이블이 접지단자의 다른 쪽 단을 통해서 인쇄 회로 기판의 접지를 연결하게 하는 것이다.The third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ound terminal based on the connector, one end of the ground terminal extends into the holding space to connect the ground of the flat conductor cable, and the flat conductor cable is printed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ground terminal. It connects the ground of the circuit board.
본 고안의 네 번째 목적은 상기 커넥터에 근거하여 하우징에 경사면을 형성해서 압박 부품이 작동하도록 하고 압박 부품의 변형을 일으키는 탄성부의 변형 정도를 결정하는 것이다.The fourth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n inclined surface in the housing based on the connector to enable the pressing part to operate and to determine the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elastic portion that causes deformation of the pressing part.
본 고안의 다섯 번째 목적은 커넥터에 응용하는 압박 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fifth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ssing part applied to a connector.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평면 도체 케이블과 인쇄 회로 기판에 응용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 커넥터에는 하우징 하나, 신호단자 하나, 접지단자 하나, 그리고 복수의 압박 부품이 들어있다. 하우징은 거치 공간 하나, 복수의 오프닝, 삽입구 하나, 단자 홈 하나, 그리고 접지 오프닝 하나를 형성한다. 복수의 오프닝은 하우징의 표면에 형성되고 오프닝은 하우징 외부와 거치 공간을 연통한다. 삽입구는 거치 공간과 연결하여 평면 도체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게 한다. 단자 홈은 삽입구의 대응 측에 형성된다. 접지 오프닝은 삽입구와 인접한 하우징에 설치된다. 신호단자는 단자 홈에 설치된다. 신호단자의 한쪽 단은 평면 도체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접지단자는 접지 오프닝에 설치된다. 접지단자의 한쪽 단은 거치 공간으로 연장되며, 접지단자의 다른 쪽 단은 하우징에 노출된다. 압박 부품은 제각기 오프닝에 설치된다. 각각의 압박 부품에는 압박부 하나, 연결부 하나, 고리부 하나, 탄성부 하나, 그리고 접지부 하나가 있다. 연결부는 압박부와 고리부를 연결하며, 탄성부는 고리부와 접지부를 연결한다. 압박부는 각각의 오프닝에서 하우징에 노출되며, 고리부와 연결부는 동일 측에 위치한다. 평면 도체 케이블이 삽입구에 삽입될 때, 평면 도체 케이블은 고리부에 작용하여 고리부로 하여금 탄성부를 연동시켜 변형이 일어나게 하고 첫째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는 평면 도체 케이블이 더 이상 고리부에 작용하지 않고 탄성부가 변형량을 방출하고 둘째 방향으로 이동하여 고리부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 평면 도체 케이블이 거치 공간에 잠금 고정될 때까지 계속된다. 그리고 외력이 압박부를 눌러서 탄성부에 변형이 일어나서 첫째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탄성부는 고리부를 연동하여 평면 도체 케이블이 거치 공간으로부터 잠금 해제되게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and other purpos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or applied to a flat conductor cable and a printed circuit board. This connector contains one housing, one signal terminal, one ground terminal, and multiple pressing parts. The housing forms one holding space, a plurality of openings, one insertion hole, one terminal groove, and one ground opening. A plurality of opening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openings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the holding space. The insertion hole is connected to the holding space so that a flat conductor cable can be inserted. The terminal groove is formed on the corresponding side of the insertion hole. A ground opening is installed in the housing adjacent to the insertion hole. The signal terminal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groove. One end of the signal terminal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lat conductor cable. The ground terminal is installed in the ground opening. One end of the ground terminal extends into the holding space, and the other end of the ground terminal is exposed to the housing. Pressing parts are installed in each opening. Each compression element has one compression part, one connection part, one loop part, one elastic part, and one contact part. The connection part connects the pressure part and the loop part, and the elastic part connects the loop part and the ground part. The compression portion is exposed to the housing at each opening, and the hook portion and connection portion are located on the same side. When the flat conductor cabl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the flat conductor cable acts on the ring portion to cause the ring portion to interlock the elastic portion to cause deformation and move in the first direction. This continues until the flat conductor cable no longer acts on the loop, the elastic part releases the strain and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loop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locking the flat conductor cable in the holding space. And when an external force presses the pressing portion, causing deformation of the elastic portion and moving it in the first direction, the elastic portion interlocks with the ring portion to unlock the flat conductor cable from the mounting space.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커넥터에 응용되는 압박 부품을 제공한다. 이 압박 부품에는 압박부 하나, 고리부 하나, 연결부 하나, 접지부 하나, 그리고 탄성부 하나가 들어있다. 압박부는 압박면을 형성한다. 고리부에는 가이드 각이 있다. 연결부는 압박부와 고리부를 연결하고 탄성부는 고리부와 접지부를 연결하며, 고리부와 연결부는 동일 측에 위치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and other purpos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ssing part applied to a connector. This compression part contains one compression part, one loop part, one connection part, one contact part, and one elastic part. The compression portion forms a compression surface. The ring portion has a guide angle. The connection part connects the pressure part and the loop part, the elastic part connects the loop part and the ground part, and the loop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are located on the same side.
기존의 커넥터들과 비교해서, 본 고안이 제시하는 압박 부품 및 그 커넥터는 여러 개의 압박 부품과 앞 가장자리의 접지단자를 통해 얇으면서 간편하게 잠금 및 잠금 해제할 수 있는 커넥터를 구현한다.Compared to existing connectors, the pressing part and its connecto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 a connector that is thin and can be easily locked and unlocked through multiple pressing parts and a ground terminal at the front edge.
도 1은 본 고안 첫째 실시예의 커넥터를 입체적으로 보여 주는 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커넥터를 첫 번째 시각으로 본 도이다.
도 2b는 도 1의 커넥터를 두 번째 시각으로 본 도이다.
도 3a는 도 2의 하우징을 위에서 내려다 본 도이다.
도 3b는 도 2의 하우징을 앞에서 본 도이다.
도 3c는 도 2의 하우징을 뒤에서 본 도이다.
도 3d는 도 2의 하우징을 옆에서 본 도이다.
도 4a는 도 2의 압박 부품을 첫 번째 시각으로 본 도이다.
도 4b는 도 2의 압박 부품을 두 번째 시각으로 본 도이다.
도 5는 도 2의 신호단자, 접지단자, 그리고 압박 부품의 구조 배치를 보요 주는 도이다.Figure 1 is a three-dimensional diagram showing the connector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first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of FIG. 1.
Figure 2b is a second view of the connector of Figure 1.
Figure 3a is a view looking down at the housing of Figure 2 from above.
Figure 3b is a front view of the housing of Figure 2.
FIG. 3C is a view of the housing of FIG. 2 from behind.
FIG. 3D is a side view of the housing of FIG. 2.
Figure 4a is a first view of the pressing part of Figure 2;
Figure 4b is a second view of the pressing part of Figure 2;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al arrangement of the signal terminal, ground terminal, and pressing parts of Figure 2.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효능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제시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In order to help you fully understand the purpose, features, and efficac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 examples below are presented with drawings and explained as follows.
본 고안에서는 '하나' 또는 '한 개'로 유닛, 부품, 구성 부재 등을 묘사한다. 이는 단지 설명상의 편의를 위하고 본 발명의 범주에 대해 일박적인 의미를 제공하기 위함뿐이다. 따라서 분명하게 별도의 뜻을 제시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러한 묘사는 한 개 또는 최소한 한 개로, 그리고 단수 역시 동시에 복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In this design, a unit, part, component, etc. is described as 'one' or 'one'. This is on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o provide an unambiguous meaning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except where a separate meaning is clearly indicated, these descriptions should be understood as one or at least one, and that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용어 '…에는 …이 있다', '포함한다', '들어있다' 또는 기타 유사한 용어는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 포괄적인 포함물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중요한 부재가 들어있는 부품, 구조물, 제품 혹은 장치는 본 설명서에 열거된 부재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열거되지 않았으나 상기 부품, 구조물, 제품 혹은 장치에 통상적으로 있는 고유한 기타 부재 역시 포함된다. 분명하게 별도의 뜻을 제시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또는'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인 '또는'이지 배타적인 '또는'이 아니다.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 In… The terms 'is', 'includes', 'includes' or other similar terms refer to inclusive rather than exclusive inclusion. For example, a part, structure, product or device that contains multiple significant members includes not only the members listed in this manual but also other members not specifically listed but that are customary and unique to the part, structure, product or device. do. Except where a separate meaning is clearly provided, the term 'or' is an inclusive 'or' and not an exclusive 'or'.
본 고안 첫째 실시예의 커넥터를 입체적으로 보여 주는 도인 도 1을 참고한다. 도 1에서, 커넥터(10)는 평면 도체 케이블(2)과 인쇄 회로 기판(4)에 응용된다.Refer to Figure 1, which is a three-dimensional diagram showing the connector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ure 1, connector 10 is applied to a flat conductor cable 2 and a printed circuit board 4.
도 1의 커넥터를 입체적으로 상세히 보여 주는 도 2a와 도 2b를 같이 참고한다. 도 2a는 도 1의 커넥터를 첫 번째 시각으로 본 도이며, 도 2b는 도 1의 커넥터를 두 번째 시각으로 본 도이다.Please refer to FIGS. 2A and 2B which show the connector of FIG. 1 in three-dimensional detail. FIG. 2A is a diagram showing the connector of FIG. 1 viewed from a first perspective, and FIG. 2B is a diagram showing the connector of FIG. 1 viewed from a second perspective.
커넥터(10)에는 하우징(12) 하나, 신호단자(18) 하나, 접지단자(16) 하나, 그리고 압박 부품(14)이 있다.The connector 10 has one housing 12, one signal terminal 18, one ground terminal 16, and a pressing part 14.
도 2의 하우징을 상세히 보여 주는 도 3a 내지 도 3d를 같이 참고한다. 도 3a는 도 2의 하우징을 위에서 내려다 본 도이며, 도 3b는 도 2의 하우징을 앞에서 본 도이며, 도 3c는 도 2의 하우징을 뒤에서 본 도이며, 도 3d는 도 2의 하우징을 옆에서 본 도이다.Please also refer to FIGS. 3A to 3D which show the housing of FIG. 2 in detail. Figure 3a is a view looking down at the housing of Figure 2 from above, Figure 3b is a view of the housing of Figure 2 from the front, Figure 3c is a view of the housing of Figure 2 from behind, and Figure 3d is a view of the housing of Figure 2 from the side. This is the way I saw it.
하우징(12)은 거치 공간(SP), 오프닝(124), 삽입구(123), 단자 홈(128), 그리고 접지 오프닝(126)을 형성한다.The housing 12 forms a holding space (SP), an opening 124, an insertion hole 123, a terminal groove 128, and a ground opening 126.
오프닝(124)은 하우징(12)의 표면(122)에 형성되어, 오프닝(124)으로 하여금 하우징(12) 외부 및 거치 공간(SP)과 연통되게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우징(12) 표면(122)에는 오프닝(124)과 인접한 위치에 경사면(122’)이 형성된다. 경사면(122’)을 통해서 나중에 탄성부(146)를 변형시키는 변형 정도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오프닝(124)의 모양은 T형이다.The opening 124 is formed on the surface 122 of the housing 12, allowing the opening 124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of the housing 12 and the holding space SP. In another embodiment, the surface 122 of the housing 12 has an inclined surface 122' formed adjacent the opening 124. The degree of deformation that later deforms the elastic portion 146 is determined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122'. In this embodiment, the shape of the opening 124 is T-shaped.
삽입구(123)는 거치 공간(SP)과 연결하여 평면 도체 케이블(2)이 삽입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오프닝(124)은 하우징(12)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 이외에, 거치 공간(SP)에 연통될 수도 있다. 즉 도면의 오프닝(124’)이다. 또한 오프닝(124’)에 위치한 거치 공간(SP)고 스냅 고정 틈(121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나중에 설명되는 압박 부품(14)을 고정하거나 조립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The insertion hole 123 is connected to the holding space SP so that the flat conductor cable 2 can be inserted. In addition to being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12, the opening 124 may communicate with the holding space SP. That is, the opening (124’) of the drawing. In addition, the holding space (SP) located in the opening (124') can form a snap fixing gap (1210). This can be used to secure or assemble the pressing part 1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단자 홈(128)은 삽입구(123)의 대응 측에 형성된다. 신호단자(18)는 단자 홈(128)에 설치될 수 있으며, 신호단자(18)의 한쪽 단은 전기적으로 평면 도체 케이블과 연결하고, 신호단자(18)의 다른 쪽 단은 인쇄 회로 기판(4)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The terminal groove 128 is formed on the corresponding side of the insertion hole 123. The signal terminal 18 may be installed in the terminal groove 128, one end of the signal terminal 18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lat conductor cable, and the other end of the signal terminal 18 is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4). )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접지 오프닝(126)은 삽입구(123)와 인접하는 하우징(12)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접지 오프닝(126)의 모양은 Z형이다.The ground opening 126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2 adjacent to the insertion hole 123. In this embodiment, the shape of the ground opening 126 is Z-shaped.
접지단자(16)는 접지 오프닝(126)에 설치된다. 접지단자(16)의 한쪽 단(164)은 거치 공간(SP)까지 연장되며, 접지단자(16)의 본체(162)는 접지 오프닝(126)에 설치되며, 그리고 접지단자(16)의 다른 쪽 단(166)은 하우징(12)에 노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접지단자(16)의 한쪽 단은 삽입구(123)에서 거치 공간(SP)을 향해 연장된다. 또한 접지단자(16)는 탄성 구조일 수 있으며, 평면 도체 케이블을 끼워서 거치 공간(SP)에 고정시키는 데 사용된다.The ground terminal 16 is installed in the ground opening 126. One end 164 of the ground terminal 16 extends to the holding space SP, the main body 162 of the ground terminal 16 is installed in the ground opening 126, and the other end of the ground terminal 16 Stage 166 is exposed to housing 12. In this embodiment, one end of the ground terminal 16 extends from the insertion hole 123 toward the mounting space SP. Additionally, the ground terminal 16 may have an elastic structure and is used to insert a flat conductor cable and fix it in the holding space (SP).
본 실시예에서, 오프닝(124), 단자 홈(128), 그리고 접지 오프닝(126)의 수량은 도면에 나타난 수량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In this embodiment, the quantities of openings 124, terminal grooves 128, and ground openings 126 are not limited to the quantities shown in the drawings.
도 2의 압박 부품을 입체적으로 보여 주는 도 4a 및 도 4b를 같이 참고한다. 도 4a는 도 2의 압박 부품을 첫 번째 시각으로 본 도이며, 도 4b는 도 2의 압박 부품을 두 번째 시각으로 본 도이다.Please refer to FIGS. 4A and 4B which show the pressing part of FIG. 2 in three dimensions. FIG. 4A is a first view of the pressing part of FIG. 2, and FIG. 4b is a second view of the pressing part of FIG. 2.
압박 부품(14)은 제각기 오프닝(124)에 설치된다. 압박 부품(14)에는 압박부(148) 하나, 연결부(142) 하나, 고리부(144) 하나, 탄성부(146) 하나, 그리고 접지부(1410) 하나가 있다.The pressing parts 14 are installed in the respective openings 124. The pressing part 14 includes one pressing part 148, one connecting part 142, one ring part 144, one elastic part 146, and one contact part 1410.
본 실시예에서, 압박부(148)의 면적은 표면(122) 오프닝(124)의 면적보다 크거나 같다. 그리고 압박부(148)는 하우징(12) 표면(122)의 오프닝(124)을 통해서 하우징(12)에 노출된다.In this embodiment, the area of compression portion 148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area of opening 124 of surface 122. And the pressing portion 148 is exposed to the housing 12 through the opening 124 of the surface 122 of the housing 12.
연결부(142)는 압박부(148)와 고리부(144)를 연결한다. 연결부(142)는 하우징(12) 표면(122)에 돌출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142 connects the compression portion 148 and the ring portion 144. The connection portion 142 may protrude from the surface 122 of the housing 12.
고리부(144)는 가이드 각을 형성한다. 가이드 각의 방향은 삽입구(123)의 방향을 향하며, 고리부(144)와 연결부(142)는 동일 측에 위치한다.The ring portion 144 forms a guide angle. The direction of the guide angle is toward the insertion hole 123, and the ring portion 144 and the connecting portion 142 are located on the same side.
탄성부(146)는 고리부(144)와 접지부(1410)를 연결한다. 탄성부(146)의 측면은 U형 모양을 나타낸다. 탄성부(146)의 한쪽 측면은 고리부(144)를 형성한다.The elastic portion 146 connects the ring portion 144 and the ground portion 1410. The side surface of the elastic portion 146 has a U-shape. One side of the elastic portion 146 forms a ring portion 144.
접지부(1410)는 인쇄 회로 기판(4)의 접지에 연결된다.The ground portion 1410 is connected to the ground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4.
압박부(148)는 연결부(142)에 수직하며, 압박부(148)는 탄성부(146)와 접지부(1410)에 평행한다.The compression portion 148 is perpendicular to the connection portion 142, and the compression portion 148 is parallel to the elastic portion 146 and the ground portion 1410.
평면 도체 케이블(2)이 삽입구(123)에 삽입될 때, 평면 도체 케이블(2)은 고리부(144)에 작용하여 고리부(144)로 하여금 탄성부(146)를 연동시켜 변형이 일어나게 하고 첫째 방향(예를 들어 도 4a의 밑을 향한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한다. 이는 평면 도체 케이블(2)이 더 이상 고리부(144)에 작용하지 않고, 탄성부(146)가 변형량을 방출하고 둘째 방향(예를 들어 도 4a 중 위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고리부(144)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 평면 도체 케이블(2)이 거치 공간(SP)에 잠금 고정될 때까지 계속된다. 이와 반대로, 외력이 압박부(148)를 눌러서 탄성부(146)에 변형이 일어나서 첫째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탄성부(146)는 고리부(144)를 연동하여 평면 도체 케이블(2)이 거치 공간(SP)으로부터 잠금 해제되게 한다.。When the flat conductor cable 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23, the flat conductor cable 2 acts on the ring portion 144, causing the ring portion 144 to interlock the elastic portion 146 to cause deformation. It is made to move toward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the downward direction in FIG. 4A). This means that the flat conductor cable 2 no longer acts on the ring portion 144, and the elastic portion 146 releases the amount of deformation and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for example, the upward direction in FIG. 4A) to form the ring portion ( This continues until 144)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flat conductor cable 2 is locked in the holding space SP. On the contrary, when an external force presses the pressing part 148, the elastic part 146 is deformed and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the elastic part 146 interlocks with the ring part 144 to hold the flat conductor cable 2. It is unlocked from space (SP).
도 2의 신호단자, 접지단자, 그리고 압박 부품의 구조 배치를 보요 주는 도인 도 5를 같이 참고한다.Please also refer to Figure 5, which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al arrangement of the signal terminal, ground terminal, and pressing parts of Figure 2.
상기 실시예로 본 고안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이가 이해해야 할 것은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게 아니라는 점이다. 주의할 점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기술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것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것을 준거로 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presented in the above examples. However, what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is that these embodiments are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various forms of substitution and change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will be sai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based on what is stated in the patent claims.
2 평면 도체 케이블
4 인쇄 회로기판
10 커넥터
12 하우징
122 표면
122' 경사면
123 삽입구
124、124' 오프닝
126 접지 오프닝
128 단자 홈
1210 스냅 잠금 틈
14 압박 부품
142 연결부
144 고리부
146 탄성부
148 압박부
1410 접지부
16 접지단자
162 본체
164 단
166 단
18 신호단자
SP 거치 공간2 flat conductor cable
4 printed circuit board
10 connector
12 housing
122 surface
122' slope
123 insertion hole
124, 124' opening
126 ground opening
128 terminal groove
1210 snap lock gap
14 pressing parts
142 connection
144 hook
146 elastic part
148 compression unit
1410 ground
16 Ground terminal
162 body
164 Dan
166 Dan
18 signal terminal
SP holding space
Claims (5)
하우징은 거치 공간, 복수의 오프닝, 삽입구, 단자 홈, 그리고 접지 오프닝을 형성하며, 복수의 오프닝은 하우징의 표면에 형성되고 오프닝이 하우징 외부와 거치 공간을 연통하며, 삽입구는 거치 공간과 연결하여 평면 도체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게 하며, 단자 홈은 삽입구의 대응 측에 형성되고 접지 오프닝은 삽입구와 인접한 하우징에 설치되며,
신호단자는 단자 홈에 설치되고 신호단자의 한쪽 단은 평면 도체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접지단자는 접지 오프닝에 설치되고 접지단자의 한쪽 단은 거치 공간에 설치되고 다른 한쪽 단은 하우징에 노출되며, 그리고
복수의 압박 부품은 제각기 오프닝에 설치되고 각각의 압박 부품에는 압박부, 연결부, 고리부, 탄성부, 그리고 접지부가 있으며, 연결부는 압박부와 고리부를 연결하고 탄성부는 고리부와 접지부를 연결하며, 압박부는 각각의 오프닝에서 하우징에 노출되며, 고리부와 연결부는 동일 측에 위치하며;
평면 도체 케이블이 삽입구에 삽입될 때, 평면 도체 케이블은 고리부에 작용하여 고리부로 하여금 탄성부를 연동시켜 변형이 일어나게 하고 첫째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며, 이는 평면 도체 케이블이 더 이상 고리부에 작용하지 않고 탄성부가 변형량을 방출하고 둘째 방향으로 이동하여 고리부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 평면 도체 케이블이 거치 공간에 잠금 고정될 때까지 계속되며, 외력이 압박부를 눌러서 탄성부에 변형이 일어나서 첫째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탄성부는 고리부를 연동하여 평면 도체 케이블이 거치 공간으로부터 잠금 해제되게 하는 커넥터.
It is applied to flat conductor cables and printed circuit boards and includes a housing, signal terminal, ground terminal, and multiple pressing parts.
The housing forms a mounting space, a plurality of openings, an insertion hole, a terminal groove, and a ground opening. The plurality of opening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the opening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the mounting space, and the insertion hole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space to form a flat surface. Allows the conductor cable to be inserted, a terminal groove is formed on the corresponding side of the insertion hole, and a ground opening is installed in the housing adjacent to the insertion hole,
The signal terminal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groove, and one end of the signal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lat conductor cable.
The ground terminal is installed in the ground opening, one end of the ground terminal is installed in the holding space, and the other end is exposed to the housing, and
A plurality of pressure parts are installed in each opening, and each pressure part includes a pressure part, a connection part, a ring part, an elastic part, and a ground part. The connection part connects the pressure part and the ring part, and the elastic part connects the ring part and the ground part, The compression portion is exposed to the housing at each opening, and the hook portion and connection portion are located on the same side;
When the flat conductor cabl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the flat conductor cable acts on the ring portion, causing the ring portion to interlock the elastic portion to cause deformation and move in the first direction, which means that the flat conductor cable no longer acts on the ring portion. The elastic part releases the amount of deformation and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which continues until the ring part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flat conductor cable is locked in the holding space. An external force presses the compression part, causing deformation in the elastic part and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A connector in which the elastic portion interlocks with the ring portion to unlock the flat conductor cable from the holding space.
상기 압박부의 면적은 각각의 오프닝의 면적보다 작지 않은 커넥터.
In claim 1,
A connector in which the area of the pressing portion is not smaller than the area of each opening.
상기 하우징은 오프닝에 인접하고 경사면을 형성하여 탄성부를 변형시키는 변형 정도를 결정하는 커넥터.
In claim 1,
A connector in which the housing is adjacent to the opening and forms an inclined surface to determine the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elastic portion.
상기 접지단자의 그 한쪽 단은 삽입구에서 거치 공간을 향해 연장되는 커넥터.
In claim 1,
A connector where one end of the ground terminal extends from the insertion hole toward the mounting space.
가이드 각이 있는 고리부,
압박부와 고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접지부, 그리고
고리부와 접지부를 연결하는 탄성부가 있으며,
압박부는 연결부에 수직하며, 압박부는 탄성부와 접지부에 평행하고, 고리부와 연결부는 동일 측에 위치하는 커넥터에 응용되는 압박 부품.
A pressure portion forming a pressure surface,
Hook with guide angle,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pressure part and the ring part,
grounding part, and
There is an elastic part that connects the ring part and the ground part,
A compression part applied to a connector in which the compression portion is perpendicular to the connection portion, the compression portion is parallel to the elastic portion and the ground portion, and the ring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are located on the same si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TW110203995U TWM621300U (en) | 2021-04-12 | 2021-04-12 | Press component and connector thereof |
TW110203995 | 2021-04-1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2512U KR20220002512U (en) | 2022-10-19 |
KR200497743Y1 true KR200497743Y1 (en) | 2024-02-14 |
Family
ID=78604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10002930U Active KR200497743Y1 (en) | 2021-04-12 | 2021-09-27 | Press component and connector thereof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3235095U (en) |
KR (1) | KR200497743Y1 (en) |
CN (1) | CN216903566U (en) |
TW (1) | TWM621300U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221859A (en) | 2011-04-13 | 2012-11-12 | Daiichi Seiko Co Ltd | Connector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298227B1 (en) * | 2012-07-19 | 2013-09-25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connector |
TWM576352U (en) * | 2018-11-15 | 2019-04-01 |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 Connector |
TWM600490U (en) * | 2020-04-15 | 2020-08-21 |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 Easy lock lvds connector |
-
2021
- 2021-04-12 TW TW110203995U patent/TWM621300U/en unknown
- 2021-08-09 CN CN202121848063.4U patent/CN216903566U/en active Active
- 2021-09-15 JP JP2021003574U patent/JP3235095U/en active Active
- 2021-09-27 KR KR2020210002930U patent/KR200497743Y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221859A (en) | 2011-04-13 | 2012-11-12 | Daiichi Seiko Co Ltd | Connector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216903566U (en) | 2022-07-05 |
JP3235095U (en) | 2021-11-25 |
TWM621300U (en) | 2021-12-21 |
KR20220002512U (en) | 2022-10-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997198B (en) | Connector | |
EP1505695B1 (en) | Electrical connector improving both functions of magnetic shielding and ground connection | |
JP5949081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CN111193125B (en) | Connectors | |
US9979127B2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US6749458B1 (en) | Cable end connector assembly having pull member | |
KR20120087817A (en) | Flexible Cable Connector | |
JP2013239388A (en) | Electric connector | |
JPH0718384U (en) | connector | |
US20190363476A1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 |
JP5885594B2 (en) | Flat cable connector | |
KR101530431B1 (en) | Connector device | |
JP5723478B1 (en) | connector | |
JP5110271B2 (en) | Connector device | |
KR200497743Y1 (en) | Press component and connector thereof | |
US7086893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2015222638A (en) | Connector device | |
JP3435600B2 (en) | Connector for plate | |
US6565389B1 (en) | Connector of a thin type | |
US12244086B2 (en) | Polarized connector for flat cable | |
KR20090090247A (en) | A socket for connection | |
JP6450574B2 (en) | connector | |
JP7051248B2 (en) | connector | |
JP6128696B2 (en) | connector | |
JP6195861B2 (en) |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210927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30509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2401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2402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40208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