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97649Y1 - 수전금구의 냉,온수 공급호스 고정용 조립체 - Google Patents

수전금구의 냉,온수 공급호스 고정용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649Y1
KR200497649Y1 KR2020220002248U KR20220002248U KR200497649Y1 KR 200497649 Y1 KR200497649 Y1 KR 200497649Y1 KR 2020220002248 U KR2020220002248 U KR 2020220002248U KR 20220002248 U KR20220002248 U KR 20220002248U KR 200497649 Y1 KR200497649 Y1 KR 2004976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peripheral surface
fixture
nut member
mai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22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시엘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시엘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시엘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20202200022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6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6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649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1Fixing a tap to the sanitary appliance or to an associated mounting surface, e.g. a counterto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전금구의 냉,온수 공급호스 고정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하단부에 금속재질의 고정구(220)가 구비되고, 이 고정구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222)가 구비된 수전몸체(200);
중공(中空)의 다단형 원통 구조를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제 1단부(242)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삼각 단면 형태의 돌기부(242a)가 등간격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단부(242)의 상단에 제 2단부(244)가 일체로서 연설되며, 이 제 2단부의 상단에 제 3단부(246)가 일체로서 연설되고, 이 제 3단부(246)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구(220)의 수나사부(222)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246a)가 구비된 너트부재(240);
중공의 링 형태를 갖는 본체(282)와, 이 본체의 외주면에 일체로 구비된 삼각 단면 형태의 플랜지(282a)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부재(240)의 제 3단부(246)가 상기 본체(282)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삼각부재(2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수전금구의 냉,온수 공급호스 고정용 조립체{Assembly for fixing warm and cold water supply hose of faucet}
본 고안은 수전금구의 냉,온수 공급호스 고정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수 공급호스 및 온수 공급호스가 너트부재에 연결 또는 분리되는 동작이 수월하게 이루어지고, 작업자가 너트부재의 암나사부와 고정구의 수나사부를 서로 매칭된 상태에서 나사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텐션에 의해 수나사부를 안정적으로 홀딩(holding)하는 것이 가능한 수전금구의 냉,온수 공급호스 고정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등의 주방에 싱크대에는 통상 벽붙이 수전 금구와는 다르게 직립된 형태의 싱크대붙이형 수전금구가 설치되는 바, 이는 싱크대의 일단에 천공된 홀에 수전몸체가 직립식으로 설치되며, 수전몸체에는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는 냉, 온수 공급호스를 내장시켜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싱크대붙이형 수전금구의 일례를 도시한 사진이다. 이를 참조하면, 수전몸체(20)의 하단부에 결합된 금속재질의 고정구(22)가 싱크대(미도시,도 5의 100 참조)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고정구(22)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미도시, 도 5의 222 참조)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수나사부에 합성수지 재질의 고정너트(24)가 결합된다. 이 고정너트는 대략 중공(中空)의 원통 형태로서 내주면 상단에 암나사부(미도시, 도 2의 246a 참조)가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구(22)의 수나사부가 고정너트(24)의 상기한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된다.
또한, 냉수 공급호스(26a), 온수 공급호스(26b)가 고정너트(24)와 고정구(22)의 내부, 그리고 마감처리용 삼각대(28)를 차례로 관통하여 수전몸체(20)의 수전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른 싱크대붙이형 수전금구에서는 고정너트(24)가 일정 직경을 갖는 원형 링체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냉,온수 공급호스(26a)(26b)를 고정너트(24) 내부에 삽입시키는 작업이 어렵고 번거로워 싱크대 또는 세면대와 같은 냉,온수 사용처에서 수전금구 교체 및 시공작업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교환등을 위해 냉,온수 공급호스(26a)(26b)를 고정너트(24)에서 분리할 때에도 냉,온수 공급호스(26a)(26b)가 고정너트(24)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도 1 중 미설명 부호 10은 핸들연결용 노브, 12는 조절밸브,14는 토수구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80905호(2016. 07. 20)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76636호(2002. 05. 2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83192호(2017. 04. 26)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냉수 공급호스 및 온수 공급호스가 너트부재에 연결 또는 분리되는 동작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한 수전금구의 냉,온수 공급호스 고정용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제 3단부의 암나사부와 고정구의 수나사부를 동시에 보면서 나사결합이 가능해져서 제 3단부의 암나사부와 고정구의 수나사부가 서로 매칭된 상태에서 나사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한 수전금구의 냉,온수 공급호스 고정용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구의 수나사부가 제 3단부의 암나사부 대비 상대적으로 크더라도 제 3단부의 좌우가 벌어지면서 수나사부가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것이 가능하고, 고정구의 수나사부가 제 3단부의 암나사부 대비 상대적으로 작더라도 제 3단부가 텐션에 의해 수나사부를 안정적으로 홀딩(holding)하는 것이 가능한 수전금구의 냉,온수 공급호스 고정용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단부에 금속재질의 고정구(220)가 구비되고, 이 고정구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222)가 구비된 수전몸체(200);
중공(中空)의 다단형 원통 구조를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제 1단부(242)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삼각 단면 형태의 돌기부(242a)가 등간격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단부(242)의 상단에 제 2단부(244)가 일체로서 연설되며, 이 제 2단부의 상단에 제 3단부(246)가 일체로서 연설되고, 이 제 3단부(246)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구(220)의 수나사부(222)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246a)가 구비된 너트부재(240);
중공의 링 형태를 갖는 본체(282)와, 이 본체의 외주면에 일체로 구비된 삼각 단면 형태의 플랜지(282a)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부재(240)의 제 3단부(246)가 상기 본체(282)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삼각부재(280)를 포함하는 수전금구의 냉,온수 공급호스 고정용 조립체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너트부재(240)의 제 3단부(246)의 서로 마주보는 양단부에 냉수 공급호스(250) 및 온수 공급호스(260)의 연결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절개부(248a)(248b)가 대향 형성되어지되, 상기 절개부(248a)(248b)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상광하협(上廣下狹)의 역 사다리꼴 형태를 구비하며, 상기 절개부(246a)(248b)는 상기 제 3단부(246)의 두께(t)만큼 절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수전금구의 냉,온수 공급호스 고정용 조립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너트부재(240)의 제 3단부(246)의 서로 마주보는 양단부에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역 사다리꼴 형태의 절개부(248a)(248b)가 서로 마주보게끔 구비되어 있으므로 냉수 공급호스(250) 및 온수 공급호스(260)가 너트부재(240)에 연결 또는 분리되는 동작이 수월하게 이루어진다.
둘째, 너트부재(240)의 절개부(248a)(248b)에 의해 제 3단부(246)의 암나사부(246a)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작업자는 제 3단부(246)의 암나사부(246a)와 고정구(220)의 수나사부(222)를 동시에 보면서 나사결합이 가능해져서 제 3단부(246)의 암나사부(246a)와 고정구(220)의 수나사부(222)가 서로 매칭된 상태에서 나사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셋째, 고정구(220)의 수나사부(222)가 제 3단부(246)의 암나사부(246a) 대비 상대적으로 크더라도 제 3단부(246)의 좌우가 벌어지면서 수나사부(222)가 암나사부(246a)에 나사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며, 고정구(220)의 수나사부(222)가 제 3단부(246)의 암나사부(246a) 대비 상대적으로 작더라도 제 3단부(246)가 텐션에 의해 수나사부(222)를 안정적으로 홀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종래기술에 따른 싱크대붙이형 수전금구의 일례를 도시한 사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금구의 냉,온수 공급호스 고정용 조립체에 있어서의 너트부재를 나타낸 일측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전금구의 냉,온수 공급호스 고정용 조립체에 있어서의 너트부재를 나타낸 타측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전금구의 냉,온수 공급호스 고정용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전금구의 냉,온수 공급호스 고정용 조립체의 조립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전금구의 냉,온수 공급호스 고정용 조립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수전금구의 냉,온수 공급호스 고정용 조립체는 수전몸체(200), 너트부재(240), 삼각부재(280)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수전몸체(200)는 하단부에 금속재질의 고정구(220)가 부설되어 있어서 이 고정구가 싱크대(100)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고정구(22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2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전몸체(200)의 상단 일측에는 핸들(224)가 부설되고, 수전몸체(200)의 선단부 밑면에는 토수구(226)가 설치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너트부재(240)는 중공(中空)의 다단형 원통 구조를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 1단부(242)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손으로 잡고 좌우 회동이 용이하도록 평면에서 보아 대략 삼각 단면 형태의 돌기부(242a)가 등간격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제 1단부(242)의 상단에 제 1단부의 직경대비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 2단부(244)가 일체로서 연설되며, 제 2단부의 상단에 제 2단부(244)의 직경대비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 3단부(246)가 일체로서 연설된다.
또한, 제 3단부(246)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246a)가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구(220)의 수나사부(222)가 제 3단부(246)의 암나사부(246a)에 나사결합된다.
이때, 도 2를 참조하면, 제 3단부(246)의 서로 마주보는 양단부에 냉수 공급호스(250) 및 온수 공급호스(260)의 연결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절개부(248a)(248b)가 대향 형성되어지되, 이 절개부(248a)(248b)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상광하협(上廣下狹)의 역 사다리꼴 형태를 구비하며, 이 절개부(246a)(248b)는 제 3단부(246)의 두께(t)만큼 절개되어 서로 마주 보는 절개부(246a)(248b)는 서로 연통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삼각부재(280)는 중공의 링 형태를 갖는 본체(282)의 외주면에 평면에서 보아 대략 삼각 단면 형태를 갖는 플랜지(282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제 3단부(246)가 그 외주면을 통해 본체(282)의 내주면에 삽입된 상태에서 삼각부재(280)가 싱크대(100)와 수전몸체(200) 사이에 개재되어 수전몸체(200) 설치 부위에 대한 마감처리를 하게 된다.
또한, 냉수 공급호스(250), 온수 공급호스(260)가 너트부재(240)와 삼각부재(280), 그리고 고정구(220)의 내부를 차례로 통과하여 수전몸체(200)의 수전에 결합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너트부재(240)의 제 3단부(246)의 서로 마주보는 양단부에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역 사다리꼴 형태의 절개부(248a)(248b)가 서로 마주보게끔 구비되어 있으므로 냉수 공급호스(250) 및 온수 공급호스(260)가 너트부재(240)에 연결 또는 분리되는 동작이 수월하게 이루어진다.
즉, 작업자가 냉수 공급호스(250) 및 온수 공급호스(260)가 너트부재(240)에 연결시키는 과정에서 절개부(248a)(248b)에 의해 쉽게 삽입이 되므로 냉,온수 공급호스(250)(260)를 너트부재(240) 내부에 삽입시키는 작업이 용이해져서 싱크대 또는 세면대와 같은 냉,온수 사용처에서 수전금구 교체 및 시공작업시 작업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교환등을 위해 냉,온수 공급호스(250)(260)를 너트부재(240)에서 분리할 때에도 냉,온수 공급호스(250)(260)가 절개부(248a)(248b)에 의해 너트부재(240)에서 쉽게 분리될수 있다.
또한, 너트부재(240)의 절개부(248a)(248b)에 의해 제 3단부(246)의 암나사부(246a)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작업자가 제 3단부(246)의 암나사부(246a)와 고정구(220)의 수나사부(222)를 동시에 보면서 나사결합이 가능해져서 제 3단부(246)의 암나사부(246a)와 고정구(220)의 수나사부(222)가 서로 매칭된 상태에서 나사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절개부(248a)(248b)에 의해 제 3단부(246)는 좌우가 벌어져서 일정 범위내에서 텐션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고정구(220)의 수나사부(222)가 제 3단부(246)의 암나사부(246a) 대비 상대적으로 크더라도 제 3단부(246)의 좌우가 벌어지면서 수나사부(222)가 암나사부(246a)에 나사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며(저항력 감소), 고정구(220)의 수나사부(222)가 제 3단부(246)의 암나사부(246a) 대비 상대적으로 작더라도 제 3단부(246)가 텐션에 의해 수나사부(222)를 안정적으로 홀딩(holding)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3단부(246)가 절개부(248a)(248b)에 의해 좌우가 벌어진 상태에 있다가 삼각부재(280)의 본체(282)에 삽입되면, 이 본체가 제 3단부(246)를 홀딩하면서 제 3단부(246)를 절개부(248a)(248b) 측으로 모아주게 되며, 이에 따라 너트부재(240)의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의 유동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전금구의 냉,온수 공급호스 고정용 조립체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싱크대 110 : 핸들
200 : 수전몸체 220 : 고정구
240 : 너트부재 242 : 제 1단부
244 : 제 2단부 246 : 제 3단부
250 : 냉수 공급호스 260 : 온수 공급호스
280 : 삼각부재

Claims (2)

  1. 하단부에 금속재질의 고정구(220)가 구비되고, 이 고정구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222)가 구비된 수전몸체(200);
    중공(中空)의 다단형 원통 구조를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제 1단부(242)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삼각 단면 형태의 돌기부(242a)가 등간격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단부(242)의 상단에 제 2단부(244)가 일체로서 연설되며, 이 제 2단부의 상단에 제 3단부(246)가 일체로서 연설되고, 이 제 3단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구(220)의 수나사부(222)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246a)가 구비된 너트부재(240);
    중공의 링 형태를 갖는 본체(282)와, 이 본체의 외주면에 일체로 구비된 삼각 단면 형태의 플랜지(282a)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부재(240)의 제 3단부(246)가 상기 본체(282)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삼각부재(28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너트부재(240)의 제 3단부(246)의 서로 마주보는 양단부에 냉수 공급호스(250) 및 온수 공급호스(260)의 연결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절개부(248a)(248b)가 대향 형성되어지되, 상기 절개부(248a)(248b)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상광하협(上廣下狹)의 역 사다리꼴 형태를 구비하며, 상기 절개부(248a)(248b)는 상기 제 3단부(246)의 두께(t)만큼 절개되고,
    상기 너트부재(240)의 절개부(248a)(248b)에 의해 상기 제 3단부(246)의 암나사부(246a)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상기 제 3단부(246)의 암나사부(246a)와 상기 고정구(220)의 수나사부(222)가 서로 매칭된 상태에서 나사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절개부(248a)(248b)에 의해 상기 제 3단부(246)는 좌우가 벌어져서 일정 범위내에서 텐션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제 3단부(246)가 상기 절개부(248a)(248b)에 의해 좌우가 벌어진 상태에 있다가 상기 삼각부재(280)의 본체(282)에 삽입되면, 이 본체가 상기 제 3단부(246)를 홀딩하면서 제 3단부(246)를 상기 절개부(248a)(248b) 측으로 모아줌에 따라 상기 너트부재(240)의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의 유동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의 냉,온수 공급호스 고정용 조립체.
  2. 삭제
KR2020220002248U 2022-09-20 2022-09-20 수전금구의 냉,온수 공급호스 고정용 조립체 Active KR2004976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248U KR200497649Y1 (ko) 2022-09-20 2022-09-20 수전금구의 냉,온수 공급호스 고정용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248U KR200497649Y1 (ko) 2022-09-20 2022-09-20 수전금구의 냉,온수 공급호스 고정용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649Y1 true KR200497649Y1 (ko) 2024-01-16

Family

ID=89713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2248U Active KR200497649Y1 (ko) 2022-09-20 2022-09-20 수전금구의 냉,온수 공급호스 고정용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649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636Y1 (ko) 2002-03-06 2002-05-25 대신건기산업 주식회사 수전 금구용 호스 고정구
KR200434950Y1 (ko) * 2006-09-29 2006-12-28 송병규 수전금구 구조
KR100854469B1 (ko) * 2007-05-22 2008-09-03 나은기술 주식회사 급수 분기구
US20150043963A1 (en) * 2013-08-09 2015-02-12 Globe Union Industrial Corp. Nut for providing quick assembly and disassembly
KR200480905Y1 (ko) 2016-03-09 2016-07-20 박귀출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
KR200481313Y1 (ko) * 2015-10-01 2016-09-09 박귀출 수전 고정구조
KR200483192Y1 (ko) 2016-10-27 2017-04-26 박귀출 싱크대 붙이형 수전금구용 고정너트 지지부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636Y1 (ko) 2002-03-06 2002-05-25 대신건기산업 주식회사 수전 금구용 호스 고정구
KR200434950Y1 (ko) * 2006-09-29 2006-12-28 송병규 수전금구 구조
KR100854469B1 (ko) * 2007-05-22 2008-09-03 나은기술 주식회사 급수 분기구
US20150043963A1 (en) * 2013-08-09 2015-02-12 Globe Union Industrial Corp. Nut for providing quick assembly and disassembly
KR200481313Y1 (ko) * 2015-10-01 2016-09-09 박귀출 수전 고정구조
KR200480905Y1 (ko) 2016-03-09 2016-07-20 박귀출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
KR200483192Y1 (ko) 2016-10-27 2017-04-26 박귀출 싱크대 붙이형 수전금구용 고정너트 지지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9968B2 (en) Faucet with a water outlet controlled by a central pull stick
US4848395A (en) Mixing faucet
US4852192A (en) Faucet assembly plumbing fixture
US2997058A (en) Plumbing fixture
US3998240A (en) Injection-molded faucet assembly
US9758949B2 (en) Fluid delivery system with a housing and at least one fluid inlet and one fluid outlet
US20190390446A1 (en) Faucet with one-piece trim
US9657874B2 (en) Plumbing fitting adapter
MXPA04007676A (es) Montaje combinado de grifo y desague.
US7647939B2 (en) Water inlet device for a faucet
US20240026666A1 (en) Easy drain installation assembly for bath or shower
US20160138253A1 (en) Quick Assembly Structure of Faucet Handle Base
KR200497649Y1 (ko) 수전금구의 냉,온수 공급호스 고정용 조립체
CN101035953B (zh) 卫生盥洗台配件
KR101143869B1 (ko) 수도전 푸시밸브
US5277226A (en) Water line adapter
US20200277763A1 (en) Fast installation mechanism for faucet
CN206592607U (zh) 一种龙头的快装结构
JP6441758B2 (ja) 湯水混合栓への給水および給湯ホース組付け機構
US9194109B2 (en) Modular faucet
US1181370A (en) Adjustable faucet attachment.
KR20200082950A (ko) 위생기구용 관 조인트
EP2898152B1 (en) Kit for fixing tap on a surface
US20160208463A1 (en) Mounting bracket for a shower head
CN216895938U (zh) 一种双控面盆龙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22092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3080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1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4011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