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97477Y1 - 절취분리홈이 형성된 음식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절취분리홈이 형성된 음식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477Y1
KR200497477Y1 KR2020210000314U KR20210000314U KR200497477Y1 KR 200497477 Y1 KR200497477 Y1 KR 200497477Y1 KR 2020210000314 U KR2020210000314 U KR 2020210000314U KR 20210000314 U KR20210000314 U KR 20210000314U KR 200497477 Y1 KR200497477 Y1 KR 2004974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container
food packaging
cut
groove
foo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3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1921U (ko
Inventor
정기호
Original Assignee
정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기호 filed Critical 정기호
Priority to KR20202100003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477Y1/ko
Publication of KR202200019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9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4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477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2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 B65D77/2032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 B65D77/2044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whereby a layer of the container or cover fails, e.g. cohesive failure
    • B65D77/204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whereby a layer of the container or cover fails, e.g. cohesive failure whereby part of the container or cover has been weakened, e.g. perforated or precut
    • B65D77/2052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whereby a layer of the container or cover fails, e.g. cohesive failure whereby part of the container or cover has been weakened, e.g. perforated or precut the container being weake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 B65D77/32Tearing-strings or like flexi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 B65D77/40Rigid cutting or tea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절취분리홈이 형성된 음식포장용기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포장용기(1)는 랩 포장기로 랩을 씌우는 방식으로 음식물이 포장되는 음식포장용기(1)로서, 상기 음식포장용기(1)를 본체 파트(11)와 상단 파트(12)로 분리하기 위한 절취분리홈(20)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절취분리홈이 형성된 음식포장용기{A food container having a separating groove}
본 고안은 음식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절취분리홈이 형성된 음식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재질의 음식포장용기에 대한 랩(wrap) 씌우기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랩 포장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랩 포장기는 배달음식점이나 분식점에서 사용된다.
랩 포장기에 의해 음식포장용기에 부착되는 랩은 일반적인 랩보다 두께가 두껍고 음식포장용기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어서 쉽게 제거되지 않는다.
그러다 보니 음식포장용기로부터 그러한 랩을 제거하는 과정이 불편하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그러한 랩을 깔끔하게 제거하기도 쉽지 않다.
또한 랩을 제거하는 중에 본의 아니게 음식포장용기 안의 내용물 중 일부가 용기 밖으로 나와서 짜증을 유발하는 경우도 흔하다. 이는 떡볶이, 육개장 등과 같이 액체 비율이 높은 음식물이 포장된 경우에 주로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출된 고안으로서, 랩 포장기로 씌어진 랩을 뜯지 않고도 음식포장용기를 가능하게 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주된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기 랩 포장기로 랩을 씌우는 방식으로 음식물이 포장되는 음식포장용기(1)로서, 상기 음식포장용기(1)를 본체 파트(11)와 상단 파트(12)로 분리하기 위한 절취분리홈(20)이 형성된 음식포장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음식포장용기는 상기 절취분리홈(20)이 연속적으로 이어져 하나의 직선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음식포장용기는 상기 절취분리홈(20)이 등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홈들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이 제공하는 효과 내지 이점은 다음과 같다.
소비자는 절취분리홈(20)을 따라 음식포장용기(1)를 절취하여 상단 파트(12)와 본체 파트(11)로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는 랩(L)을 제거하는 대신 음식포장용기(1)을 절취함으로써 음식포장용기(1)를 개방할 수 있다.
랩이 비교적 두꺼운 재질이고 음식포장용기(1)에 단단히 부착되어 있어서 랩 제거 작업은 쉽지도 않고 번거로운 반면, 본 고안이 제공하는 절취분리홈(20)을 통한 음식포장용기(1)의 절취 작업은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다.
랩을 뜯다 보면 깔끔하게 뜯기지도 않고 그 과정에서 음식물이 밖으로 튀어나오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본 고안의 경우에는 랩을 뜯어 제거할 필요 없이 절취분리홈(20)을 따르는 절취분리를 통해 용기를 개방할 수 있으므로 분리가 깔끔하게 수행됨은 물론 음식물이 용기 밖으로 튀어나오는 것도 피할 수 있다.
음식물을 다 소비하지 못하고 일부가 남은 경우 상단 파트(12)는 남은 음식물을 보관하는 동안 본체 파트(11)를 덮어두기 위한 뚜껑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포장용기(1)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음식포장용기(1)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음식포장용기(1)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본 고안의 구성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포장용기(1)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음식포장용기(1)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음식포장용기(1)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포장용기(1)는 배달음식점, 분식점 등의 음식점에서 랩 포장기를 이용하여 용기 상부에 랩을 씌우는 방식으로 음식을 포장하는 용도로 적합하게 사용된다.
예로써 음식포장용기(1)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에서 음식포장용기(1)는 대략 육면체 박스 형상으로 예시되었지만 음식포장용기(1)의 형상은 원통형 등 다른 형상이 될 수도 있다.
음식포장용기(1)는 상측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외측으로 평평하게 확장된 부분이 구비되며, 그 확장부에 랩 포장기에 의한 랩핑(wrapping)이 수행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음식포장용기(1)에는 절취분리홈(20)이 형성되어 있다. 절취분리홈(20)은 측면부(10)의 상측에 수평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용기 둘레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분리홈(20)은 음식포장용기(1)의 상단부(확장부)에 가깝게 위치하며 그 상단부(확장부)보다 약간 낮은 높이에 형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절취분리홈(20)은 음식포장용기(1)의 외표면으로부터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므로, 절취분리홈(20)이 형성된 부분의 두께는 절취분리홈(20)이 없는 부분의 두께보다 휠씬 얇게 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분리홈(20)은 연속적으로 이어져 하나의 직선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분리홈(20)은 연속적으로 이어진 형태가 아닌 다수의 홈들이 등간격으로 배열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절취분리홈(20)은 절취분리홈을 제공하는 설계의 금형을 적용함으로써 음식포장용기(1)의 사출 성형 시에 동시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절취분리홈(20)은 음식포장용기(1)를 사출 성형한 이후 2차 가공을 통해 형성할 수도 있다. 2차 가공 방식으로는 예를 들어 초음파 가공법이 적용될 수 있다.
2. 본 고안의 사용 예 및 효과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4에서 'L'은 랩 포장기에 의해 음식포장용기(1)에 부착된 랩을 표시한 것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소비자는 플라스틱 나이프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절취분리홈(20)을 따라 음식포장용기(1)를 절취할 수 있다. 이때 음식포장용기(1)의 절취는 절취분리홈(20)을 따라 용기 둘레 전체에 걸쳐(즉, 한 바퀴) 수행된다. 절취분리홈(20)이 형성된 부위는 두께가 매우 얇기 때문에 플라스틱 나이프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절취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술한 절취 작업을 통해 음식포장용기(1)는 두 파트(11, 12)로 분리된다. 즉 음식포장용기(1)는 절취분리홈(20)을 경계로 하여 뚜껑으로 사용 가능한 상단 파트(12)와 음식물이 담겨져 있는 본체 파트(11)로 분리된다. 분리 이후에도 상단 파트(12)는 여전히 랩(L)이 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소비자는 절취분리홈(20)을 따라 음식포장용기(1)를 절취하여 상단 파트(12)와 본체 파트(11)로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는 랩(L)을 제거하는 대신 절취분리홈(20)을 따라 음식포장용기(1)을 절취함으로써 음식포장용기(1)를 개방할 수 있다.
랩(L)이 비교적 두꺼운 재질이고 음식포장용기(1)에 단단히 부착되어 있어서 랩 제거는 간단하지도 않고 번거로움을 느끼게 하는 반면, 절취분리홈(20)을 통한 음식포장용기(1)의 절취 작업은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다.
랩(L)을 뜯다 보면 깔끔하게 뜯기지도 않고 그 과정에서 음식물이 밖으로 튀어나오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본 고안의 경우에는 랩(L)을 뜯어 제거할 필요 없이 절취분리홈(20)을 따르는 절취분리를 통해 용기를 개방할 수 있으므로 분리가 깔끔하게 수행됨은 물론 음식물이 용기 밖으로 튀어나오는 것도 피할 수 있다.
음식물을 모두 소비하지 못하고 일부가 남은 경우 상단 파트(12)는 남은 음식물을 보관하는 동안 본체 파트(11)를 덮어두기 위한 뚜껑으로 활용될 수 있다.
1 : 음식포장용기
10 : 측면부
11 : 상단 파트
12 : 본체 파트
20 : 절취분리홈
L : 랩

Claims (3)

  1. 랩 포장기로 랩을 씌우는 방식으로 음식물이 포장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음식포장용기(1)로서,
    상기 음식포장용기(1)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평평하게 확장된 확장부가 구비되며,
    상기 음식포장용기(1)에는 측면부(10)의 둘레 전체에 걸쳐 수평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취분리홈(20)이 구비되며,
    상기 절취분리홈(20)은 상기 확장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절취분리홈(20)은 상기 음식포장용기(1)의 외표면으로부터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절취분리홈(20)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 시에 동시적으로 형성되거나 플라스틱 사출 성형 이후 초음파 가공법에 의해 성형된 것이며,
    플라스틱 나이프에 의해 상기 절취분리홈(20)을 따라 상기 음식포장용기(1)가 절취됨으로써 상기 음식포장용기(1)는 상기 절취분리홈(20) 위에 위치하여 상기 랩 전체가 부착되어 있는 상단 파트(12)와 상기 절취분리홈(20) 아래에 위치한 본체 파트(11)로 분할되며, 상기 상단 파트(12)가 제거됨으로써 상기 본체 파트(11)가 완전히 개방되는
    음식포장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취분리홈(20)은 연속적으로 이어져 하나의 직선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된
    음식포장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취분리홈(20)은 등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홈들로 이루어진
    음식포장용기.
KR2020210000314U 2021-01-29 2021-01-29 절취분리홈이 형성된 음식포장용기 Active KR2004974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314U KR200497477Y1 (ko) 2021-01-29 2021-01-29 절취분리홈이 형성된 음식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314U KR200497477Y1 (ko) 2021-01-29 2021-01-29 절취분리홈이 형성된 음식포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921U KR20220001921U (ko) 2022-08-05
KR200497477Y1 true KR200497477Y1 (ko) 2023-11-24

Family

ID=82803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314U Active KR200497477Y1 (ko) 2021-01-29 2021-01-29 절취분리홈이 형성된 음식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47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871Y1 (ko) 1999-08-16 2000-02-15 김상천 음료포장용기
KR100902265B1 (ko) * 2008-10-10 2009-06-10 김구생 물결모양의 절취선이 형성된 종이컵
US20110290800A1 (en) * 2008-12-09 2011-12-01 Bradley Donald Teys Dispensing Container
WO2020028604A1 (en) 2018-08-01 2020-02-06 Inastir, Llc Tear-off baking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39805A1 (en) * 2000-11-14 2002-05-23 Michael Banhagel Removable plant container and method of use
KR20110113998A (ko) * 2010-04-12 2011-10-19 최선미 컵 모양을 갖는 즉석조리식품 포장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871Y1 (ko) 1999-08-16 2000-02-15 김상천 음료포장용기
KR100902265B1 (ko) * 2008-10-10 2009-06-10 김구생 물결모양의 절취선이 형성된 종이컵
US20110290800A1 (en) * 2008-12-09 2011-12-01 Bradley Donald Teys Dispensing Container
WO2020028604A1 (en) 2018-08-01 2020-02-06 Inastir, Llc Tear-off baking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921U (ko) 2022-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82544C (zh) 具有显窃启特征的防窃启容器
US3561668A (en) Sealed package
US3101870A (en) Film sealed container with pouring spout
US3797726A (en) Container for liquids with an openable pouring spout
MX2007003413A (es) Recipiente tapado.
JP4838907B1 (ja) ボトル型容器
JP2017525629A (ja) 食料製品を貯蔵及び/又は調理するためのパッケージとそのカバー
CN104736457A (zh) 用于接收板状产品和沿着弱化凹槽将其分离的容器,用于接收和分离板状产品的所述容器的用途,用于分离板状产品的方法,和特别是巧克力条的板状产品
CN109476399B (zh) 带撕条开口的锥筒套
KR200497477Y1 (ko) 절취분리홈이 형성된 음식포장용기
US4666044A (en) Tear-open flap orifice on packs consisting of plastic-coated laminated material with a folded-round fillet-seam closure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tear-open flap orifice
US8778427B2 (en) Packaging, unit comprising such a packaging and a food product, and sheet for the production of said packaging
US5516035A (en) Tray-lid assembly
JP3120178U (ja) シュリンク包装体
US5915601A (en) Scored dispensing liner
MX2009000413A (es) Envase compuesto de cartón/plástico teniendo una tapa desprendible, así como método y dispositivo para la producción de éste.
US10507963B2 (en) Resealable opening device and package comprising such an opening device
PL201155B1 (pl) Wieczko dla zespolonych kartonowych opakowań na napoje oraz narzędzia i sposób wytwarzania takiego wieczka oraz zaopatrzone w nie, zespolone kartonowe opakowanie na napoje
EP1725457B1 (en) Container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containers
CN112236371B (zh) 用于食品的单份容器
EP1707496B1 (en) Package formed from at least one flexible film
JP2001199464A (ja) 密封容器
JP6666714B2 (ja) トレー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7365260B2 (ja) シュリンクフィルム包装容器の製造法
KR102571767B1 (ko) 계란 포장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21012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21205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2D

Patent event date: 2023072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0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12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3112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